KR100367342B1 - 내충격성 향상을 위한 마크로모노머를 포함하는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 Google Patents

내충격성 향상을 위한 마크로모노머를 포함하는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67342B1
KR100367342B1 KR10-2000-0049833A KR20000049833A KR100367342B1 KR 100367342 B1 KR100367342 B1 KR 100367342B1 KR 20000049833 A KR20000049833 A KR 20000049833A KR 100367342 B1 KR100367342 B1 KR 100367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yrene
group
derivatives
resin
syndiotac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0-00498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76179A (ko
Inventor
박준용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00-004983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67342B1/ko
Priority to EP01300134A priority patent/EP1118639A3/en
Priority to JP2001007972A priority patent/JP2001220492A/ja
Priority to US09/766,483 priority patent/US20010025082A1/en
Publication of KR200100761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761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67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67342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1/00Compositions of unspecified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6Poly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3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8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L51/085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on to polysiloxa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3/00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3/02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 C08L53/025Compositions of block copolymers containing at least one sequence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of vinyl-aromatic monomers and conjugated dienes modifi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00Compositions of natural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9/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njugated diene hydrocarbons

Abstract

본 발명은 (A) 말단에 중합활성을 갖는 비닐기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마크로모노머와 1종 이상의 스티렌계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1∼99 중량%; 및 (B) 1종 이상의 고무상 수지 및/또는 1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99∼1 중량%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상기 (B) 성분으로 극성기를 포함하는 고무상 수지 1종 이상 및/또는 코아에 고무성분을 가지며 쉘부분이 스티렌 또는 스티렌을 포함하는 비닐계 모노머로 중합되어 코팅된 코아/쉘 구조를 갖는 고무상 수지 1종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으며, 본원 발명의 상기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에 도입된 마크로모노머가 타 수지와의 사용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충격강도가 월등히 향상된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내충격성 향상을 위한 마크로모노머를 포함하는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Syndiotactic Polystyrene Copolymer Resin Composition Having Macromonomer for Improving Impact Strength}
본 발명은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중합활성을 말단에 갖는 마크로모노머를 도입함으로써 내충격성이 향상된 신디오탁틱 스티렌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스티렌계 수지는 일반적으로 투명성, 열안정성, 가공성 등이 우수하여 상업적으로 많이 제조되고 있다. 그러나, 스티렌계 수지는 입체규칙성에 관계없이 낮은 내충격 강도를 가지는 단점이 있다. 라디칼 중합법에 의하여 상업화되고 있는 아탁틱(atactic)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수지의 경우 내충격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스티렌계 모노머와 고무상 모노머의 공중합(예를 들면, 고충격성 폴리스티렌 수지(HIPS),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수지(ABS)등) 또는 스티렌계 수지와 고무상 중합체와의 혼합법을 주로 사용해 오고 있다. 상기 방법에 의하여 제조된 아탁틱 구조를 갖는 스티렌계 수지는 절연특성이 우수하여 성형품, 필름, 전자제품, 포장재료 등으로 널리 사용하고 있으나 내열성 및 내화학성이 낮은 문제점을갖는다.
한편, 최근 상업화되고 있는 신디오탁틱(Syndiotactic) 구조를 갖는 스티렌 수지의 경우, 내열성, 전기적 성질 및 내화학성에 있어서는 매우 우수한 성질을 보이지만 내충격성이 좋지 않기 때문에 사출 등에 의하여 제조되는 구조물로의 응용에 큰 제한을 받는다.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고무상 수지 및/또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와 블렌딩하여 내충격성을 향상시키는 방법이 개발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방법의 경우 기본 수지인 신디오탁틱 스티렌 수지와 치환된 페닐 링을 갖는 단위를 포함하는 공중합체가 높은 용융점을 가지며 고무상수지 및/또는 다른 열가소성 수지와의 상용성(compatibility)이 결여되기 때문에 그 개발이 제한되어 왔다.
이에 따라 본 발명자는 상기 문제점을 극복하기 위하여 중합활성을 말단에 가지는 마크로모노머를 도입하여 이 마크로모노머와 스티렌계 유도체들을 이원 또는 삼원 공중합함에 따라 수지 고유의 물성을 가지면서 상용성, 유동성, 내충격성 등의 물성 면에서 우수하고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 이원 및 삼원 공중합체를 개발하여 기 출원한 바 있다.(대한민국 특허출원 99-33723, 99-48607) 그러나 내충격성 면에서는 개선의 여지가 여전히 남아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는 상기 수지를 기초수지로 하여 고무상 수지 및/또는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시킴으로써 내충격성이 향상된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을개발하게 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A) 말단에 중합활성을 갖는 비닐기를 포함하며,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종 이상의 마크로모노머와 1종 이상의 스티렌계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1∼99 중량%; 및 (B) 1종 이상의 고무상 수지 및/또는 1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99∼1 중량%을 포함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을 제공한다.[화학식 2]상기 식에서 R2는 탄소수 1~20의 포화탄화수소, 아로마틱 또는 시클로알킬기이고, CO나 CH2-C6H4기가 아니며, R3는 탄소수 1~10의 포화 탄화수소로 이루어져 있고, X는 하기 화학식 3a∼3k로 표현되는 이온중합성 모노머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모노머로 이루어진 중합체를 나타낸다.[화학식 3a][화학식 3b][화학식 3c][화학식 3d][화학식 3e][화학식 3f][화학식 3g][화학식 3h][화학식 3i][화학식 3j][화학식 3k]상기 화학식 3a에서 3k의 R4, R5, R6, R7, R8및 R9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이고, R10, R11, R12, R13, R16및 R17은 각각 탄소수 1~20의 알킬기이며, R14및 R15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이고, R18은 수소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며, R19는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다.
상기 (B) 성분으로 극성기를 포함하는 고무상 수지 1종 이상 및/또는 코아에 고무성분을 가지며 쉘부분이 스티렌 또는 스티렌을 포함하는 비닐계 모노머로 중합되어 코팅된 코아/쉘 구조를 갖는 고무상 수지 1종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내용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폴리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은 (A) 말단에 중합활성을 갖는 비닐기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마크로모노머 및 1종 이상의 스티렌계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기초수지로 하고, 이와 함께 (B) 1종 이상의 고무상 수지 및/또는 1종 이상의 열가소성수지를 블렌딩함으로써 제조된다.
이때 (B) 성분의 1종 이상의 고무상 수지과 1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성분은 따로 또는 함께 조합되어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상기 (B) 성분으로 극성기를 포함하는 고무상 수지 1종 이상 및/또는 코아에 고무성분을 가지며 쉘부분이 스티렌 또는 스티렌을 포함하는 비닐계 모노머로 중합되어 코팅된코아/쉘 구조를 갖는 고무상 수지 1종 이상이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조성비는 (A) 성분은 1∼99 중량%, (B) 성분은 99∼1 중량%이며, 바람직하게는 (A) 성분은 5∼95 중량%, (B) 성분은 95∼5 중량%가 되는 것이 좋다.
상기 구성성분의 혼합방법으로 용융혼합 또는 용액혼합 등의 방법을 사용할 수 있으며, 혼합장치로 하케 믹서(Haake mixer), 헨쉘 믹서, 밴버리 믹서, 싱글 압출기, 트윈 압출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기핵제 및 산화방지제 등의 기타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의 구성성분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A) 말단에 중합활성을 갖는 비닐기를 포함하는 1종 이상의 마크로모노머 및 1종 이상의 스티렌계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본 발명에서 사용된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화학식 1로 표현되는 스티렌계 모노머와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마크로모노머를 사용하여 전이금속화합물과 알킬알루미녹산으로 구성된 촉매 존재하에서 중합하여 얻는다.
1
위에서 R1은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이고, R2는 탄소수 1~20의 포화탄화수소, 아로마틱 또는 시클로알킬기이고, CO나 CH2-C6H4기가 아니며, R3는 탄소수 1~10의 포화 탄화수소로 이루어져 있고, X는 마크로모노머를 합성하는데 사용한 이온중합성 모노머의 중합체로서 아래에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상업적으로 시판되는 스티렌계 모노머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스티렌계 모노머의 대표적인 예로는 스티렌, o-, m-, p-클로로스티렌, 브로모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과 같은 할로겐화 스티렌이 있으며, o-, m-, p-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프로필스티렌, 부틸스티렌, tert-부틸스티렌 등과 같은 알킬스티렌 등이 있다.
공단량체로 사용한 마크로모노머는 이온개시제를 사용하여 이온중합성 모노머를 중합하고, 여기에 할로겐화 불포화 화합물과 반응시켜서 말단에 중합활성 비닐기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화학식 2로 표현되는 마크로모노머는 X로 표시되는 중합체 부분의 반복단위인 이온중합성을 가진 모노머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제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온중합성을 가진 모노머로는 화학식 3a에서 3k로 표현되는 공역성 모노머가 있다.
상기 화학식 3a에서 3k의 R4, R5, R6, R7, R8및 R9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이고, R10, R11, R12, R13, R16및 R17은 각각 탄소수1~20의 알킬기이며, R14및 R15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이고, R18은 수소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며, R19는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다.
이러한 이온중합이 가능한 공역성모노머의 대표적인 예는 다음과 같다.
이소부틸렌, 이소펜텐 등과 같은 올레핀류, 이소프렌, 1,3-부타디엔, 2-플루오로 -1,3-부타디엔, 2,3-디클로로-1,3-부타디엔 등과 같은 디엔류, 스티렌, o-, m-, p- 클로로스티렌, 브로모스티렌, 플루오로스티렌과 같은 할로겐화 스티렌류, o-, m, p-메틸스티렌, 에틸스티렌, 프로필스티렌, 부틸스티렌, tert-부틸스티렌 등과 같은 알킬스티렌류, 아크릴로니트릴, 에틸렌옥시드, 프로필렌옥시드, 헥사메틸시클로 트리실록산, 비닐실록산, 비닐아세테이트류, 메타크릴레이트류, 메타크릴릭에시드류, 메타크릴아미드류, 2-비닐피리딘, 4-비닐피리딘 등이 있다. 또한, 이들의 이온중합성 모노머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을 중합하는데 사용하는 개시제로는 세슘, 루비듐, 칼륨, 나트륨, 리튬 등의 알카리금속과 n-부틸리튬, sec-부틸리튬, tert-부틸리튬, 리튬디이소프로필아미드, 옥틸칼륨, 리튬트리메틸실라노네이트, 부틸마그네슘브로마이드 등과 같은 알카리금속화합물이 대표적이다.
본 발명에 사용된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입체규칙성 면에서 신디오탁틱 구조를 갖는다. 탁티서티(tacticity)는 탄소 동위체를 사용한 핵자기 공명법(13C-NMR)에 의하여 정량적으로 측정된다.13C-NMR 방법에 의하여 측정된 탁티서티는 2, 3, 5개의 구조단위에 대하여 각각 다이아드(diads), 트리아드(triads), 펜타드(pentads)와 같은 연속적인 서열로 존재하는 다수의 구조단위의 부분에 의하여 표시된다. 본 발명의 스티렌계 중합체의 경우13C-NMR법으로 측정한 다이아드가 적어도 85%이거나 펜타드가 적어도 50%인 탁티서티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 사용된 스티렌계 공중합체는 전체 중합도가 최소한 10∼10,000인 마크로모노머를 공중합체의 한 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마크로모노머를 포함하는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내의 마크로모노머 함량은 0.1∼50 중량%이고, 녹는점은 150∼272℃이며, 겔투과크로마토그라피(GPC)로 분석한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0∼2,000,000을 갖는다.
(B-1) 고무상 수지
본 발명의 마크로모노머를 포함하는 신디옥탁틱 스티렌계 수지와 함께 조성물의 구성성분을 이루는 1종 이상의 고무상 수지는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수지 조성물의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고무상 수지, 스티렌을 포함하는 고무상 수지 및 이들의 유도체로부터 선택된다.
그 예로는 천연고무, 천연고무 유도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스티렌(ABS) 수지, 고충격 폴리스티렌(HIPS) 수지, 폴리 부타디엔, 폴리 이소프렌, 네오프렌, 수소치환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수소치환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M),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폴리 부타디엔 유도체, 폴리 이소프렌 유도체, 네오프렌 유도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의 유도체, 수소치환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의 유도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M)의 유도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의 유도체 등이 있다.
(B-2)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의 신디옥탁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는 전술한 마크로모노머를 포함하는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를 제외한 통상적인 열가소성 수지이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이 수지조성물의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열가소성수지로부터 선택된다.
구체적으로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옥시메틸렌, 폴리페닐렌옥사이드, 고분자 액정 중합체 등의 축합계 중합체 및 이들의 유도체,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아크릴 중합체 및 이들의 유도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4-메틸펜텐-1),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및 이들의 유도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등과 같은 비닐할로겐 중합체 및 이들의 유도체, 수지 주쇄의 곁가지의 부분 또는 전체가 이온으로 치환된 아이오노머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폴리페닐렌에테르의 경우 폴리(2,3-다이메틸-6-에틸-1,4-페닐렌 에테르), 폴리(2-메틸-6-클로로메틸-1,4-페닐렌 에테르), 폴리(2-메틸-6-하이드록시에틸-1,4-페닐렌 에테르), 폴리(2-메틸-6-n-부틸-1,4-페닐렌 에테르), 폴리(2-메틸-6-프로필-1,4-페닐렌 에테르), 폴리(2,3,6-트리메틸-1,4-페닐렌 에테르), 폴리[2-(4'-메틸페닐)-1,4-페닐렌 에테르], 폴리(2-브로모-6-페닐-1,4-페닐렌 에테르), 폴리(2-메틸-6-페닐-1,4-페닐렌 에테르), 폴리(2-페닐-1,4-페닐렌 에테르), 폴리(2-클로로-1,4-페닐렌 에테르), 폴리(2-메틸-1,4-페닐렌 에테르), 폴리(2-클로로-6-메틸-1,4-페닐렌 에테르), 폴리(2-메틸-6-에틸-1,4-페닐렌 에테르), 폴리(2,6-다이브로모-1,4-페닐렌 에테르), 폴리(2,6-다이클로로-1,4-페닐렌 에테르), 폴리(2,6-다이에틸-1,4-페닐렌 에테르), 폴리(2,6-다이메틸-1,4-페닐렌 에테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B) 성분으로 다음의 극성기를 포함하는 고무상 수지 및/또는 코아에 스티렌계를 포함하는 비닐모노머가 하나 혹은 둘 이상 공중합되어 코팅된 코아/쉘 형태의 고무상 수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B-3) 극성기를 포함하는 고무상 수지
극성기를 포함하는 고무상 수지는 상기 고무상 수지에 극성기가 포함된 것을 말하는데, 극성기는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대표적으로, 산 할로겐화물(acid halide), 카르보닐기(carbonyl group), 산무수물(acid anhydride), 산아미드(acid amide), 카르본산 에스테르(carbonic acid ester), 아지드화산(acid azide), 술폰기(sulfone group), 니트릴기(nitrile group), 시아노기(cyano group), 이소시아산 에스테르기(isocyanic acid ester group), 아미노기(amino group), 히드록시기(hydroxyl group), 이미드기(imide group), 티올기(thiol group), 옥사졸린기(oxazoline group) 및 에폭시기(epoxy group) 등이 있으며, 그 중 말레산무수물기(maleic anhydride group)과 에폭시(epoxy group)으로 치환된 고무상이 바람직하다. 극성기의 함량은 고무의 무게 대비 0.01 % 이상이 바람직하다.
(B-4) 코아에 고무성분을 가지며 쉘부분이 스티렌 또는 스티렌을 포함하는 비닐계 모노머로 중합되어 코팅된 코아/쉘 구조를 갖는 고무상 수지
코아/쉘 구조를 갖는 고무상 수지는 고무상 수지의 코아에 스티렌계를 포함하는 비닐모노머가 하나 혹은 둘 이상 공중합되어 코팅된 것으로,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수지 조성물의 사용용도에 따라 다양한 종류의 코아/쉘 구조의 고무상 수지로부터 선택된다. 코어부분은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나, 특히 부타디엔이나 그의 유도체 및/또는 아이소프렌이나 그의 유도체 및/또는 스티렌이나 그의 유도체 및/또는 실리콘이나 그의 유도체 등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고무상 수지로 이루어진다. 쉘 부분은 특정한 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특히, 스티렌, 메타크릴로니트릴((meth)acrylonitrile), 메타크릴 에스테르 공모노머 ((meth)acrylic ester co-monomer) 등을 포함하는 1종 이상의 비닐 단량체 등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코아/쉘 형태의 내충격 보강제는 상업적으로 많이 알려져 있다.
본 발명의 수지 조성물은 하기의 실시예에 의하여 보다 명확히 이해될 수 있으며,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의 예시 목적에 불과하고 발명의 권리범위를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 마크로모노머의 제조
질소 분위기 하에서 건조한 1000 ㎖의 유리 반응기에, 톨루엔 500 ㎖를 가한 다음 -78℃로 유지하면서 tert-부틸리튬 0.001 ㏖을 가하고 여기에 이소프렌 1 ㏖을 서서히 주입하였다. 12시간 동안 반응시킨 후, -78℃를 유지한 상태에서 스티렌 모노머 1 ㏖을 서서히 가하여 12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78℃를 유지시킨 상태에서 3-클로로-1-프로펜 0.0015 ㏖을 주입하고 4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반응 종료 후, 과량의 메탄올에 침전시키고 진공 건조하여 이소프렌-스티렌 블록 마크로모노머를 얻었다. 상기 마크로모노머의 중합도(degree of polymerization)를 NMR로 분석한 결과 스티렌 블록이 1,000이었고 이소프렌 블록이 1,000이었으며 수율은 80%였다.
제조예 2 : 마크로모노머를 포함하는 스티렌계 공중합체의 제조
기계 교반기가 설치된 10ℓ 써스(SUS) 반응기를 70℃, 진공상태에서 2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질소분위기로 치환하였다. 제조예 1에서 얻어진 이소프렌-스티렌 블록 마크로모노머 50g이 용해되어 있는 스티렌 2ℓ를 가하고 tert-부틸스티렌 40㎖를 가하였다.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0.12㏖을 가한 후에 200 rpm으로 15분 동안 교반시켰다. 조촉매(co-catalyst) 성분인 개질알루미녹산 30m㏖을 적하시키고 70℃를 유지한 후에 촉매인 (Cp*Ti)2(OC6H4C(CH3)2C6H4O)3를 150μ㏖ Ti의 양으로 가하여 전중합을 개시하고 400 rpm의 교반속도에서 1시간 동안 중합시켰다. 상기 반응계에 개질알루미녹산 30m㏖을 다시 가하고, 촉매인 (Cp*Ti)2(OC6H4C(CH3)2C6H4O)3150μ㏖을 가하여 교반속도 400rpm에서 1시간 동안 본중합을 진행시켰다. 중합 후에 얻어진 고형중합체에 과량의 메탄올을 투입한 후, 메탄올로 세척하고 건조시켰다. 생성된 폴리머의 양은 914g이었다. 중량평균분자량은 530,000, 녹는점은 254℃이었으며, 메틸에틸케톤으로 추출한 불용분의 함량은 92 중량%이었다.13C-NMR로 이소프렌-스티렌형 마크로모노머의 함량을 분석한 결과 5.17 중량%이었고 tert-부틸 스티렌 함량은 1.69 ㏖e%이었다.
비교제조예 1 : 마크로모노머를 포함하지 않는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단독중합체
이소프렌-스티렌 블록 마크로모노머 및 tert-부틸 스티렌을 사용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스티렌 단독중합을 행하였다. 생성된 폴리머의 양은 1,211g이었다. 중량평균분자량은 430,000, 녹는점은 273℃이었고 메틸에틸케톤으로 추출한 불용분의 함량은 97중량%이었다.
비교제조예 2 : 마크로모노머를 포함하지 않는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이소프렌-스티렌 블록 마크로모노머를 사용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제조예 2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스티렌/tert-부틸 스티렌(sPS/t-BuSt)을 공중합시켰다. 생성된 폴리머의 양은 1,052g이었다. 중량평균분자량은 480,000, 녹는점은 251℃이었고, 메틸에틸케톤으로 추출한 불용분의 함량은 96중량%이었다.13C-NMR로 측정한 tert-부틸 스티렌 함량은 1.95 mole%이었다.
실시예 1 :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의 제조
제조예 2에 의한 스티렌계 공중합체(Ter 1000) 70 중량부, SEBS(수소 치환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 상품명 G1651, 쉘社) 30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100 중량부의 조성물에 산화방지제로 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티톨-디포스피트(상품명 Mark PEP-36, 아데카 아구스社) 및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피트(상품명 Irganox B225, 시바-가이기社)를 0.3 중량부씩 첨가하였고, 기핵제로서 (파라-tert부틸)알루미늄 벤조에이트(상품명 PTBBA-A1, 다이니폰 잉크 화학社) 0.3 중량부를 첨가하였다. 상기 분말 조성물을 상온에서 혼합한 후 하케 믹서(Hakke mixer)를 이용하여 280℃에서 5분간 용융혼합하여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미니몰더를 사용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 시험용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ASTM D256의 방법에 따라 내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1~2
제조예 2에 의한 스티렌계 공중합체(Ter 1000) 대신에 비교제조예 1 및 2에 의한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sPS)을 사용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내충격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2∼4 : 조성 변화에 따른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의 제조
블렌딩내 수지성분의 조성을 표 1과 같이 변화시킨 점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3
제조예 2에 의한 스티렌계 공중합체(Ter 1000) 대신에 비교제조예 1에 의한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sPS)을 사용하여 실시예 3와 동일한 조성 및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스티렌 유도체(중량부) SEBS(중량부) 충격강도(kg·cm/cm)
실시예 1 Ter 1000, 70 30 33.46
비교예 1 sPS, 70 30 16.26
비교예 2 sPS/t-BuSt, 70 30 20.04
실시예 2 Ter 1000, 80 20 14.91
실시예 3 Ter 1000, 90 10 6.28
비교예 3 sPS, 90 10 2.66
실시예 4 Ter 1000, 95 5 3.25
실시예 5
제조예 2에 의한 스티렌계 공중합체(Ter 1000) 80 중량부, SEBS(상품명 G1651 : 쉘사) 15 중량부, 폴리페닐렌옥사이드(상품명 P401, 아사히 케미칼社) 5중량부로 이루어지는 100 중량부의 수지 조성물에 산화방지제로 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티톨-디포스피트 (상품명 Mark PEP-36, 아데카 아구스社) 및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피트(상품명 Irganox B225, 시바-가이기社)를 각각 0.3 중량부씩 첨가하였고, 기핵제로서 (파라-tert부틸)알루미늄 벤조에이트(상품명 PTBBA-A1, 다이니폰 잉크 화학社)를 0.3 중량부 첨가하였다. 상기 분말 조성물을 상온에서 혼합한 후 하케 믹서(Hakke mixer)를 이용하여 280℃에서 5분 동안 용융혼합시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미니몰더를 사용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 시험용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ASTM D256에 따라 내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4
제조예 2에 의한 스티렌계 공중합체(Ter 1000) 대신에 비교제조예 1에 의한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sPS)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내충격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블렌드 내의 수지성분의 조성을 스티렌계 공중합체(Ter 1000) 75 중량부, SEBS(상품명 G1651, 쉘社) 20 중량부, 폴리페닐렌옥사이드(상품명 P401, 아사히 케미칼社) 5 중량부로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내충격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5
비교제조예 1에 의한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sPS)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6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내충격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7∼16
블렌드내 수지성분의 조성을 표 2와 같이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5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내충격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스티렌 유도체(중량부) SEBS(중량부) PPO(중량부) 충격강도(kg·cm/cm)
실시예 5 Ter 1000, 80 15 5 18.49
비교예 4 sPS, 80 15 5 9.06
실시예 6 Ter 1000, 75 20 5 25.95
비교예 5 sPS, 75 20 5 11.88
실시예 7 Ter 1000, 72.5 17.5 10 30.34
실시예 8 Ter 1000, 71 24.8 4.2 26.01
실시예 9 Ter 1000, 70 21.7 8.3 26.59
실시예 10 Ter 1000, 65 25 10 38.03
실시예 11 Ter 1000, 76.2 21.3 2.5 19.63
실시예 12 Ter 1000, 85 12.5 2.5 11.73
실시예 13 Ter 1000, 76.7 15 8.3 21.59
실시예 14 Ter 1000, 80 10 10 12.59
실시예 15 Ter 1000, 67.5 30 2.5 31.76
실시예 16 Ter 1000, 79.8 16 4.2 15.83
실시예 17
제조예 2에 의한 스티렌계 공중합체(Ter 1000) 60 중량부, SEBS(상품명 G1651, 쉘 社) 21.3 중량부, 극성기를 가지는 SEBS(상품명 M1913, 아사히 케미칼社) 10 중량부, 코어/쉘구조를 가지는 고무상 수지(상품명 메타블렌 S2001, 미츠비시 레이온社) 2.5 중량부, 폴리페닐렌옥사이드(상품명 P401, 아사히 케미칼社) 6.2 중량부로 이루어지는 수지조성물 100중량부에 산화방지제로 비스(2,6-디-tert-부틸-4-메틸페닐)펜타에리티톨-디포스피트(상품명 Mark PEP-36, 아데카 아구스社) 및 테트라키스[메틸렌-3-(3,5-디-tert-부틸-4-하이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트리스(2,4-디-tert-부틸페닐)포스피트(상품명Irganox B225, 시바-가이기社)를 각각 0.3 중량부씩 첨가하였고, 기핵제로서 (파라-tert부틸)알루미늄 벤조에이트(상품명 PTBBA-A1, 다이니폰 잉크 화학社)를 0.3 중량부 첨가하였다. 상기 분말 조성물을 상온에서 혼합한 후 하케 믹서(Haake mixer)를 이용하여280℃에서 5분 동안 용융혼합시켜 수지 조성물을 제조한다. 미니몰더를 사용하여 상기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 시험용 시편을 제조하였으며, ASTM D256에 따라 내충격 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비교실시예 6~7
제조예 2에 의한 스티렌계 공중합체(Ter 1000) 대신에 비교제조예 1에 의한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sPS)과 비교제조예 2에 의한 신디오탁틱 스티렌/tert-부틸 스티렌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내충격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를 표 3에 나타내었다.
스티렌 유도체(중량부) SEBS(중량부) 극성SEBS(중량부) 코아/쉘고무상수지(중량부) PPO(중량부) 충격강도(kg·cm/cm)
실시예 17 Ter 1000, 60 21.3 10 2.5 6.2 68.7
비교예 6 sPS, 60 21.3 10 2.5 6.2 40.9
비교예 7 sPS/t-BuSt, 60 21.3 10 2.5 6.2 56.7
실시예 18~36
블렌드내 수지 성분의 조성을 변화시킨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7과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여 내충격 시험을 하였다. 그 결과를 표 4에 나타내었다.
스티렌 유도체(중량부) SEBS(중량부) 극성SEBS(중량부) 코아/쉘고무상수지(중량부) PPO중량부 충격강도(kg·cm/cm)
실시예 18 Ter 1000, 60 10 10 10 10 27.5
실시예 19 Ter 1000, 60 30 5 2.5 2.5 54.4
실시예 20 Ter 1000, 60 25 2.5 2.5 10 54.7
실시예 21 Ter 1000, 60 17.5 2.5 10 10 31.4
실시예 22 Ter 1000, 60 17.5 10 10 2.5 34.4
실시예 23 Ter 1000, 60 25 2.5 10 2.5 35.1
실시예 24 Ter 1000, 60 17.5 6.2 6.2 10 43.1
실시예 25 Ter 1000, 63.8 13,8 10 2.5 10 46.7
실시예 26 Ter 1000, 63.8 24.1 4 4 4 39.2
실시예 27 Ter 1000, 67.5 17.5 10 2.5 2.5 44.4
실시예 28 Ter 1000, 67.5 17.5 2.5 2.5 10 35.2
실시예 29 Ter 1000, 67.5 10 6.2 10 6.2 21.6
실시예 30 Ter 1000, 67.5 17.5 2.5 10 2.5 26.1
실시예 31 Ter 1000, 71.2 10 6.2 2.5 10 28.7
실시예 32 Ter 1000, 71.2 10 2.5 6.2 10 15.7
실시예 33 Ter 1000, 72.5 20 2.5 2.5 2.5 31
실시예 34 Ter 1000, 75 10 10 2.5 2.5 22.6
실시예 35 Ter 1000, 75 10 2.5 10 2.5 17
실시예 36 Ter 1000, 82.5 10 2.5 2.5 2.5 17
상기 표 1~4의 실시예 및 비교실시예 결과를 비교하면 마크로모노머를 도입한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은 대응되는 조성을 갖는 비교실시예의 조성물에 비하여 충격강도가 크게 향상된 것을 알 수 있다. 이와 같은 결과는 중합활성을 말단에 갖는 마크로모노머를 도입함으로써 고무상 수지 또는 열가소성 수지와의 상용성이 좋아지고 결국 충격강도가 월등히 향상된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이러한 고무성분들이 내충격성에 있어서 상승효과를 보임을 알 수 있다.

Claims (13)

  1. (A) 말단에 중합활성을 갖는 비닐기를 포함하며,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1종 이상의 마크로모노머와 1종 이상의 스티렌계 모노머를 공중합시킨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1∼99 중량%; 및 (B) 1종 이상의 고무상 수지 및/또는 1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 99∼1 중량%을 포함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화학식 2]
    상기 식에서 R2는 탄소수 1~20의 포화탄화수소, 아로마틱 또는 시클로알킬기이고, CO나 CH2-C6H4기가 아니며, R3는 탄소수 1~10의 포화 탄화수소로 이루어져 있고, X는 하기 화학식 3a∼3k로 표현되는 이온중합성 모노머 중 선택된 1종 이상의 모노머로 이루어진 중합체를 나타낸다.
    [화학식 3a]
    [화학식 3b]
    [화학식 3c]
    [화학식 3d]
    [화학식 3e]
    [화학식 3f]
    [화학식 3g]
    [화학식 3h]
    [화학식 3i]
    [화학식 3j]
    [화학식 3k]
    상기 화학식 3a에서 3k의 R4, R5, R6, R7, R8및 R9는 각각 수소원자, 할로겐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이고, R10, R11, R12, R13, R16및 R17은 각각 탄소수 1~20의 알킬기이며, R14및 R15은 각각 수소원자 또는 탄소수 1~20의 알킬기이고, R18은 수소 또는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며, R19는 탄소수 1~4의 알킬기이다.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B) 성분으로 극성기를 포함하는 고무상 수지 1종 이상 및/또는 코아에 고무성분을 가지며 쉘부분이 스티렌 또는 스티렌을 포함하는 비닐계 모노머로 중합되어 코팅된 코아/쉘 구조를 갖는 고무상 수지 1종 이상이 더 포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3. 삭제
  4.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가13C-NMR 측정에 의하여 적어도 85%의 다이아드 또는 적어도 50%의 펜타드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5.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가 50,000∼2,000,000의 중량평균분자량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6.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스티렌계 모노머가 스티렌, 알킬 스티렌, 할로겐화 스티렌, 알콕시 스티렌 및 스티렌 카르복실레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1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7.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중 마크로모노머의 함량이 0.1∼50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8.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내의 마크로모노머의 중합도가 10∼10,000이고, 단일중합체 또는 공중합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9.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상 수지가 천연고무, 천연고무 유도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고충격 폴리스티렌(HIPS) 수지, 폴리 부타디엔, 폴리 이소프렌, 네오프렌, 수소치환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수소치환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M),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폴리 부타디엔 유도체, 폴리 이소프렌 유도체, 네오프렌 유도체,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의 유도체, 수소치환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의 유도체,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M)의 유도체 및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10.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기를 갖는 고무상 수지가 산 할로겐화물(acid halide), 카르보닐기(carbonyl group), 산무수물(acid anhydride), 산아미드(acid amide), 카르본산 에스테르(carbonic acid ester), 아지드화산(acid azide), 술폰기(sulfone group), 니트릴기(nitrile group), 시아노기(cyano group), 이소시아산 에스테르기(isocyanic acid ester group), 아미노기(amino group), 히드록시기(hydroxyl group), 이미드기(imide group), 티올기(thiol group), 옥사졸린기(oxazoline group) 및 에폭시기(epoxy group)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극성기에 의해 부분적으로 치환된 천연고무, 천연고무 유도체,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ABS) 수지, 고충격 폴리스티렌(HIPS) 수지, 폴리 부타디엔, 폴리 이소프렌, 네오프렌, 수소치환된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BS),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IS), 수소치환된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블록 공중합체(SEPS),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PM), 에틸렌/프로필렌/디엔 고무(EPDM), 폴리 부타디엔 유도체, 폴리 이소프렌 유도체, 네오프렌 유도체, SIS 유도체, SEBS 유도체, EPM 유도체, 또는 EPDM 유도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11.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코아/쉘 구조를 갖는 고무상 수지가 코어부분은 부타디엔 및 그 유도체, 아이소프렌 및 그 유도체, 스티렌 및 그 유도체, 실리콘 및 그 유도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1종 이상으로 이루어지며, 쉘 부분은 1종 이상의 비닐 단량체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12.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에스테르,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에테르, 폴리아미드, 폴리옥시메틸렌, 폴리페닐렌옥사이드, 고분자 액정 중합체 및 그 유도체; 폴리(아크릴산), 폴리(아크릴산 에스테르),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및 그 유도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부텐, 폴리(4-메틸펜텐-1), 에틸렌과 프로필렌의 공중합체 및 이들의 유도체; 폴리(비닐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클로라이드), 폴리(비닐리덴 플루오라이드) 및 이들의 유도체; 및 수지 주쇄의 곁가지의 부분 또는 전체가 이온으로 치환된 아이오노머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13. 제 1항 또는 2항에 있어서, 상기 (A)성분의 조성비가 5∼95 중량%, 상기 (B)성분의 조성비가 95∼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충격성이 우수한 신디오탁틱 스티렌계 수지 조성물.
KR10-2000-0049833A 2000-01-20 2000-08-26 내충격성 향상을 위한 마크로모노머를 포함하는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KR100367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0-0049833A KR100367342B1 (ko) 2000-01-20 2000-08-26 내충격성 향상을 위한 마크로모노머를 포함하는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EP01300134A EP1118639A3 (en) 2000-01-20 2001-01-08 Syndiotactic polystyrene copolymer resin composition having macromonomer for improving impact strength
JP2001007972A JP2001220492A (ja) 2000-01-20 2001-01-16 耐衝撃性の向上のためのマクロモノマーを含むシンジオタクチックスチレン系共重合体樹脂組成物
US09/766,483 US20010025082A1 (en) 2000-01-20 2001-01-19 Syndiotactic polystyrene copolymer resin composition having macromonomer for improving impact streng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000002614 2000-01-20
KR1020000002614 2000-01-20
KR10-2000-0049833A KR100367342B1 (ko) 2000-01-20 2000-08-26 내충격성 향상을 위한 마크로모노머를 포함하는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179A KR20010076179A (ko) 2001-08-11
KR100367342B1 true KR100367342B1 (ko) 2003-01-10

Family

ID=266367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0-0049833A KR100367342B1 (ko) 2000-01-20 2000-08-26 내충격성 향상을 위한 마크로모노머를 포함하는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010025082A1 (ko)
EP (1) EP1118639A3 (ko)
JP (1) JP2001220492A (ko)
KR (1) KR1003673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937B1 (ko) 2009-12-04 2013-09-26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14658B1 (ko) * 2001-04-16 2007-05-07 삼성토탈 주식회사 신디오탁틱 폴리스티렌 반응기 공중합체
EP1408068A4 (en) * 2001-05-30 2005-01-05 Idemitsu Petrochemical Co CHEMICAL-RESISTANT POLYSTYRENE RESIN COMPOSITION AND FORM BODY
DE10221688B4 (de) * 2002-05-16 2009-02-05 Rehau Ag + Co. Verwendung einer Polymerzusammensetzung
US6894102B2 (en) 2002-05-20 2005-05-17 General Electric Syndiotactic polystyrene blends
KR100466201B1 (ko) 2002-09-19 2005-01-13 금호석유화학 주식회사 스티렌계 공중합체
WO2005033206A1 (de) * 2003-09-13 2005-04-14 Rehau Ag + Co Polymerzusammensetzung
EP1716203B1 (de) * 2004-02-09 2014-04-16 Styrolution GmbH Formmassen aus styrolpolymeren mit matter oberfläche
EP1907478B1 (en) 2005-06-29 2012-02-08 Cheil Industries In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having good chemical resistance and flowability
KR100838451B1 (ko) 2005-12-30 2008-06-16 제일모직주식회사 내열도가 높고, 내충격성이 우수한 난연성 폴리카보네이트수지 조성물
WO2010045230A2 (en) 2008-10-14 2010-04-22 Bridgestone Corporation New polymers and use thereof in preparation of high impact polymeric compositions
JP2012116875A (ja) * 2010-11-29 2012-06-21 Dic Corp 熱収縮性フィルム用樹脂組成物及び熱収縮性フィルム
KR101664843B1 (ko) * 2013-08-23 2016-10-11 롯데첨단소재(주) 내화학성이 우수한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JP2017088707A (ja) * 2015-11-06 2017-05-25 住友化学株式会社 アクリル樹脂組成物
WO2017077908A1 (ja) * 2015-11-06 2017-05-11 住友化学株式会社 アクリル樹脂組成物
CN114213596A (zh) * 2021-09-10 2022-03-22 大连理工大学 一类溶聚a-dpe衍生物集成橡胶增韧hips树脂及其制备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2076A (ja) * 1997-02-21 1998-11-04 Idemitsu Petrochem Co Ltd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755972B1 (en) * 1995-07-24 1999-09-15 Rohm And Haas Company Styrenic polymer compositi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0292076A (ja) * 1997-02-21 1998-11-04 Idemitsu Petrochem Co Ltd スチレン系樹脂組成物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1937B1 (ko) 2009-12-04 2013-09-26 제일모직주식회사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76179A (ko) 2001-08-11
US20010025082A1 (en) 2001-09-27
JP2001220492A (ja) 2001-08-14
EP1118639A2 (en) 2001-07-25
EP1118639A3 (en) 2002-10-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67342B1 (ko) 내충격성 향상을 위한 마크로모노머를 포함하는신디오탁틱 스티렌계 공중합체 수지 조성물
EP0044703B1 (en) A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having high heat resistance and articles molded therefrom
US3994856A (en) Composition of a polyphenylene ether and a block copolymer of a vinyl aromatic compound and a conjugated diene
US6048932A (en) Impact modified syndiotactic polystyrene blend
US4299757A (en) Aromatic polyether resin composition
US6262166B1 (en) Polyphenylene ether resin composition
US4113797A (en) Thermoplastic molding compositions of rubber modified copolymers of a vinyl aromatic compound and an α,β-unsaturated cyclic anhydride
EP0546497A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EP1343843B1 (en) Syndiotactic polystyrene compositions having improved impact strength
WO2002068532A1 (en) Flame retardant syndiotactic polystyrene resin composition
EP1311612B1 (en) Reactor alloy of syndiotactic polystyrene having high impact resistance
JP4589541B2 (ja) 熱可塑性エラストマー組成物
JPS5883053A (ja) ポリフエニレンエ−テル組成物
CA1084195A (en) Composition of a polyphenylene ether resin, homopolystyrene and an a-b- a.sup.1 block copolymer
JPH07166026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の製造方法
EP0078834B1 (en) Novel polyphenylene oxide blends
JPH078947B2 (ja) 耐衝撃性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系樹脂組成物
KR100344893B1 (ko) 유동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한 스티렌계 삼원공중합체 및그 제조방법
JPH0320356A (ja) ポリフェニ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JPH1135757A (ja) 耐熱性に優れたポンプ部品用樹脂組成物
JPS62243644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S62243643A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
JPH02296864A (ja) ポリフェニレンサルファイド樹脂組成物
JPH04366165A (ja) Ic耐熱トレー成形体用樹脂組成物
JPH0632975A (ja) ポリフェニレンエーテル系樹脂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1004

Year of fee payment: 4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