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5793B1 - 불안신경증치료제 - Google Patents

불안신경증치료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5793B1
KR100325793B1 KR1019980701070A KR19980701070A KR100325793B1 KR 100325793 B1 KR100325793 B1 KR 100325793B1 KR 1019980701070 A KR1019980701070 A KR 1019980701070A KR 19980701070 A KR19980701070 A KR 19980701070A KR 100325793 B1 KR100325793 B1 KR 1003257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xiety
nicolandil
acid
day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70107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90036401A (ko
Inventor
도시로 미우라
Original Assignee
나가야마 오사무
쥬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로 미우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가야마 오사무, 쥬가이 세이야쿠 가부시키가이샤, 도시로 미우라 filed Critical 나가야마 오사무
Publication of KR199900364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9003640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57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579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55Nicotinic acids, e.g. niacin;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8Antipsychotics, i.e. neuroleptics; Drugs for mania or schizophrenia

Abstract

불안신경증 또는 공황장애를 예방 또는 개선하거나, 또는 연속되는 불안을 예방 또는 개선하는 N-(2-히드록시에틸)니코틴아미드 니트레이트 또는 그의 염. 상기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부작용이 거의 없으며, 즉각적인 효력을 갖는다.

Description

불안신경증 치료제{REMEDY FOR ANXIETY NEUROSIS}
불안신경증은 불안을 주증상으로 하는 광의의 신경증을 의미한다. 1980 년 미국 정신 의학회에 의해 편집된 DSM-Ⅲ 에 따라, 신경불안증은 공황장애와 전반성 불안 장애로 분류되었다.
공황장애를 포함한 불안신경증은 트리시클릭 항우울제 또는 벤조디아제핀 불안완화제를 사용해 치료하는 것이 실행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약물은 몇가지 문제에 시달린다는 것이 지적되었다. 즉, 트리시클릭 항우울제는 약효를 서서히 방출하고, 항콜린성 부작용을 일으킨다. 반면에, 벤조디아제핀 불안완화제는 과진정, 이탈증상 등의 부작용을 유도하며, 또한 중독을 일으킨다. 즉, 불안신경증에 대한 만족할만한 치료제는 공지되어 있지 않다.
반면에, N-(2-히드록시에틸)니코틴아미드 니트레이트 (일반명 : 니코란딜) 은 협심증 치료제로서 시판되는 공지된 화합물이며, 예를 들면, 일본 특허공개 공보 제 52-122373 호에 기술되어 있다. 니코란딜이 협심증 방지 효과 외에 몇가지 효력을 갖는 것이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53-9323 호는 순환기 질환 치료제로서 효과적이라고 기술하고 있으며, 반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58-85819 호는 그 기관지에 대한 효과를 지적하고 있다. 또한,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63-152317 호는 니코란딜이 뇌허혈 장애를 동반하는 질환 치료제로서 유용함을 개시하고 있으며,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3-101621 호는 니코란딜이 히드록실 라디칼 소거제로서 유용함을 지적하고 있다. 그러나, 니코란딜 및 그의 유사체는 불안신경증, 특히 공황장애의 치료에 유용하다고 공지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불안신경증, 특히 공황장애의 치료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트리시클릭 항우울제는 그 효과를 서서히 방출하고, 항콜린성 부작용 (갈증, 변비, 배뇨곤란 등) 및 기타 부작용을 일으키는 문제를 갖는다. 반면에, 벤조디아제핀 불안완화제는 과진정, 이탈증상, 약물 중독, 근육 이완 등의 부작용을 유도함이 공지되어 있다. 따라서, 공황장애, 이어서 불안을 예방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매우 안전한 약물을 발전시킬 것이 시급히 요구된다.
본 발명은 N-(2-히드록시에틸)니코틴아미드 니트레이트 또는 그 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신경증, 특히 공황장애 치료에 효과적인 약물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개시
이러한 환경 하에서, 본 발명자들은 불안신경증, 특히 공황장애에 대해 효과적이며, 부작용이 거의 없는 약물을 발전시키는 광범위한 연구를수행하였다. 결과로서, N-(2-히드록시에틸)니코틴아미드 니트레이트 또는 그의 염이 불안신경증의 예방 뿐만 아니라, 그에 따른 불안을 예방하는 데에 유용하다는 것을 발견하였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발명을 수행하기 위한 최고의 양태
본 발명에서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N-(2-히드록시에틸)니코틴아미드 니트레이트 (일반명 : 니코란딜) 은 협심증 치료제로서 시판되어 온 화합물이다. 본 발명에서는 시판 니코란딜 정제 또는 주사제 등을 사용하는 것이 가능한다. 대안적으로, 예를 들면,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52-122373 호에 기술된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유효 성분으로서 사용되는 니코란딜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유기 또는 무기산과 함께 산부가염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염 또한 본 발명에서 유용하다. 산부가염의 예는 히드로클로라이드, 히드로브로마이드, 포스페이트, 술페이트, 니트레이트, 옥살레이트, 락테이트, 타르트레이트, 아세테이트, 살리실레이트, 벤조에이트, 포르메이트, 프로피오네이트, 피발레이트, 디에틸아세테이트, 말로네이트, 숙시네이트, 피멜레이트, 푸마레이트, 말리에이트, 말레이트, 술파메이트, 페닐프로피오네이트, 글로코네이트, 아스코르베이트, 이소니코티네이트, 메탄술포네이트, p-톨루오술포네이트, 시트레이트, 아디페이트 및 나프탈렌술포네이트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불안신경증" 이라는 용어는 주증상으로서 불안이 동반되는 신경증을 의미한다. 이는 예를 들면, 심계항진증, 손가락의 진전(palmospasm), 갈증, 발한, 빈뇨, 호흡 곤란 등의 물리적 증상과 함께 "어쩐지 자가 억제가 되지 않음", "어쩐지 공포스러움" 또는 "평온을 유지할 수 없음" 등과 같은 희미한 감정이 주로 동반되는 질병으로서 정의될 수 있다. 반면에, 공황장애는 불안신경증의 범주 내에 드는 질병으로서 인식되고 있다. 이는 반복되는 공황 발작에 의해 본질적으로 특징지어지며, 호흡 곤란, 동계, 발한, 질식감, 이상 감각 등과 같은 둘 이상의 증상을 동반하는 장애로서 정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물은 불안신경증, 특히 공황장애 치료제로서 유용하다. 또한, 이는 상기 질병에 의해 야기되는 상술한 증상을 치료하고, 개선하는데 유용하다.
본 발명에서, 니코란딜 또는 그의 염은 적당한 제제 내로 가공처리된 다음, 불안신경증, 특히 공황장애를 위한 치료제로서 사용된다. 제제의 예는 정제, 분말제, 과립, 미립제, 캡슐, 주사, 에멀젼, 현탁액, 좌약 및 경피 흡수용 제제를 포함한다.
상기 제제는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 57-145659 호, 제 58-39618 호, 제 61-143316 호, 제 62-149630 호, 제 62-161727 호, 제 62-252722 호, 제 62-252723 호, 제 63-270624 호 등에 기술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더욱 특별하게는, 정제는 니코란딜 또는 그의 염을 유기산 (푸마르산, 옥살산, 살리실산, 타르타르산, 글루타르산 등) 및 상온에서 고체 상태인 포화 고급 지방산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등) 또는 포화 고급 알코올 (세틸 알코올, 스테아릴 알코올 등) 과 혼합하거나 또는, 니코란딜 또는 그의 염을푸마르산 및/또는 DL-트립토판과 혼합함으로써 제조될 수 있다.
주사제로서는 니코란딜 또는 그의 염과 유기산 (시트르산, 푸마르산, 옥살산, 말론산, 말FP산, 타르타르산 등) 의 알칼리 금속염을 혼합함으로써 제조된 비용액 형으로 제조된 것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제제를 제조하기 위해, 부형제, 분해제, 윤활제, 결합제, 향료 및 착색제와 같은 당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를 부가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담체의 예는 락토오스, 옥수수 전분, 만니톨, 카올린, 결정성 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탈크, 크로스카르멜로스 나트륨, 무수 칼슘 히드로겐포스페이트, 칼슘 카보네이트, 칼슘 시트레이트, 칼슘 스테아레이트 및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 니코란딜 또는 그의 염의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체형, 체질, 연령 및 성별, 투여 경로, 투여 형태 등에 따라 적절하게 결정될 수 있다. 경구 투여의 경우에, 1 일 투여량의 하한은 일반적으로 1 내지 15 mg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5 내지 10 mg 의 범위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7.5 mg 이며, 반면, 1 일 투여량의 상한은 일반적으로 20 내지 80 mg, 바람직하게는 25 내지 6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30 mg 이다. 1 일 1 내지 4 회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의 경우, 1 일 투여의 하한은 일반적으로, 0.1 내지 12 mg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0.5 내지 6 mg 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 mg 범위이며, 반면에, 1 일 투여량의 상한은 일반적으로 10 내지 50 mg,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30 mg, 더욱 바람직하게는 약 24 mg 이다. 1 일 1 내지 4 회 투여될 수 있다. 니코란딜 또는 그의 염 12 내지 288 mg/1 일이 연속적으로 정맥 내 투여되는 것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니코란딜 제제는 하나 이상의 항우울제, 불안완화제 또는 기타 허용가능한 약물과 부가로 혼합 또는 조합될 수 있다.
항우울제의 예는 이미프라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데시프라민 히드로클로라이드, 트리미프라민 히드로클로라이드, 미안세린 히드로클로라이드, 아미트립틸린 히드로클로라이드, 마롭틸린 히드로클로라이드, 술피리드, 에티졸람 및 카르바마제핀을 포함한다. 불안완화제의 예는 알프라졸람, 에스타졸람, 옥사졸람 및 디아제팜을 포함한다. 기타 약물의 예는 트리아졸람, 플루니트라제팜, 페노바르비탈 및 조피클론과 같은 수면 촉진제; 디멘히드리네이트 및 디페니돌 히드로클로라이드와 같은 항현기증제; 및 딜티아젬 히드로클로라이드, 니페디핀 히드로클로라이드, 니트로글리세린 및 이소소르비드 니트레이트와 같은 혈관확장제를 포함한다.
보다 상세하게 본 발명을 부가 예시하기 위해 하기에 실시예가 제시되나, 본 발명을 제한하지는 않는다.
제조예 1: 니코란딜 정제의 제조
니코란딜 10 mg
스테아르산 8 mg
만니톨 65.7 mg
옥수수 전분 15 mg
메틸 셀룰로오스 0.3 mg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 mg
100 mg
만니톨 65.7 g, 옥수수 전분 15 g 및 메틸셀룰로오스 SM-400 (신에쓰 케미칼사 제) 0.3 g 을 모르타르 (mortar) 내에서 잘 혼합하고, 물을 첨가한 후, 반죽하였다. 수득되는 혼합물을 30 메쉬 체를 통해 여과하고, 45 ℃ 에서 3 시간 동안 건조시켰다. 이어서, 건조된 생성물을 30 메쉬 체를 통과시킴으로써 선별하여 조립물을 수득하였다. 다음에 , 니코란딜 10 g, 30 메쉬 체를 통해 여과된 스테아르산 8 g, 상기 수득된 조립물 81 g 및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 g 을 폴리에틸렌 백 내에서 혼합하고, 7 mm 직경의 금형 내에서 2,000 kg/cm2의 압력으로 압착하여 무게가 100 mg 인 정제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2: 니코란딜 정제의 제조
니코란딜 10 mg
스테아릴 알코올 10 mg
만니톨 72.4 m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5 mg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1.6 mg
스테아르산 칼슘 1 mg
100 mg
35 메쉬 체를 통해 여과된 스테아릴 알코올 10 g, 만니톨 72.4 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5 g 및 히드록시프로필 셀룰로오스 HPC-L (닛뽕 소다사 제) 1.6 g 을 모르타르 내에서 잘 혼합하고, 물을 첨가한 후, 반죽하였다. 수득되는 혼합물을 30 메쉬 체를 통해 여과하고, 40 ℃ 에서 5 시간동안 건조시켰다. 이어서, 건조된 생성물을 30 메쉬 체를 통과시킴으로써 선별하여 조립물을 수득하였다. 다음에 , 니코란딜 10 g, 상기 수득된 조립물 89 g 및 스테아르산 칼슘 1 g 을 폴리에틸렌 백 내에서 혼합하고, 7 mm 직경의 금형 내에서 2,000 kg/cm2의 압력으로 압착하여 무게가 100 mg 인 정제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3: 니코란딜 정제의 제조
니코란딜 10 mg
팔미트산 3 mg
락토오스 82 mg
크로스카르멜로스 나트륨 5 mg
100 mg
니코란딜 10 g, 제트 밀 (마이크로제트 밀 모델 FS-4, 세이신 기교 제) 로 분쇄되고, 평균 직경 1 내지 3 mm 을 갖는 팔미트산 3 g, 락토오스 82 g 및 크로스카르멜로스 나트륨 (Ac-Di-SolTM, FMC 사 제) 5 g 을 폴리에틸렌 백 내에서 혼합하고, 7 mm 직경의 금형 내에서 2,000 kg/cm2의 압력으로 압착하여 무게가 100 mg 인 정제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4: 니코란딜 정제의 제조
니코란딜 10 mg
락토오스 76.5 mg
옥수수 전분 10 mg
푸마르산 3 mg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0.5 mg
100 mg
니코란딜 결정 200 g, 락토오스 1530 g, 옥수수 전분 200 g 및 평균 입자 크기 약 3 mm 을 갖는 분말 푸마르산 60 g 을 시나가와 혼합기에 공급하고, 20 분 동안 혼합하였다. 이어서, 여기에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10 g 을 부가로 첨가하고, 수득되는 혼합물을 1 분 동안 혼합하였다.
이어서, 수득되는 혼합물을 7 mm 직경의 모르타르 및 납작한 나무메가 장치된 단일 작동 정제화기로 약 1 t 의 압력 하에서 압착함으로써 무게가 100 mg 인 정제를 수득하였다.
제조예 5: 니코란딜 캡슐의 제조
니코란딜 10 mg
만니톨 44 m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5 mg
살리실산 40 mg
스테아르산 칼슘 1 mg
100 mg
니코란딜 결정 200 g, 만니톨 880 g,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100 g, 살리실산 결정 800 g 및 스테아르산 칼슘 20 g 을 폴리에틸렌 백 내에서 균일하게 혼합하고, 10 메쉬 체를 통해 선별하여, 슬래그 (slag) 과립을 수득하였다. 상기 슬래그 과립 100 mg 을 No.3 캡슐 내에 포장하였다.
제조예 6: 니코란딜 과립의 제조
니코란딜 50 mg
만니톨 920 mg
옥살산 10 mg
옥수수 전분 20 mg
1000 mg
니코란딜 결정 100 g, 만니톨 1840 g 및 옥살산 20 g 을 시나가와 혼합기로 공급하고, 20 분 동안 혼합하였다. 다음에, 10 % 옥수수 전분 페이스트 400 g 을 여기에 첨가하고, 수득되는 혼합물을 10 분 동안 반죽하였다. 수득되는 생성물을 1.0 mm 직경의 네트가 장치된 실린더형 과립화기 내에서 과립화하였다. 이와 같이 수득된 과립을 방치 건조기에서 50 ℃ 에서 4 시간 동안 건조시킨 다음, 10 메쉬 체를 통해 선별하였다.
제조예 7: 동결 건조 니코란딜 제제의 제조
니코란딜 0.2 g, 시트르산 나트륨 0.5 g 및 만니톨 3 g 을 주사제용 증류수 100 ml 에 용해시켰다. 수득되는 용액을 무균적으로 여과하고, 바이알에 1 ml 정도 피펫팅하였다. 통상의 방법으로 동결 건조 후에, 동결 건조 제제를 수득하였다.
실시예 1
Y.N. : 남자, 57 세, 회사원.
가족력에 특기사항 없었다. 병력으로서 다발성 뇌경색, 불안신경증, 고혈압증이 있었다. 1993 년 9 월, 다발성 뇌경색으로 진단된 이래, 불안감이 커져서, 신경안정제 (에티졸람) 를 복용하였다. 같은해 11 월, 심계항진이 현저해졌다. 1994 년 3 월, 안정시에도 가슴앓이, 현기증, 방황감, 심계항진, 질식감, 상기감, 죽음에의 공포 및 정신장애 뿐만 아니라, 심각한 불안감 및 불쾌감을 겪었다. 대진 후, 정신과의는 그를 불안신경증으로 진단하였으며, 투여해오던 에티졸람 외에 또다른 신경안정제 (술피리드), 항현기증제 (디페니돌) 및 혈압강하제 (니트렌디핀) 를 투여하였다. 집중된 약물 요법에도 불구하고, 그의 증상은 구제되지 않았다. 발작 및 불면증의 재발에 대한 그의 호소에 대응하여, 약물 치료가 계속되었으며, 또한 상담도 시도되었다. 그러나, 발작율은 예기불안을 동반하여, 1 개월에 4 내지 5 회 나타났다.
1994 년 5 월, 정신과의는 그에게 흉부 통증 발작에 대한 정밀 검사를 받을 것을 권하였다. 그가 당소에 처음 왔을 때, 그는 할로페리돌, 이데베논 및 티클로피딘과 함께 에티졸람 5 정을 복용해왔으며, 혈압 140/86 (mmHg), 심장 박동수 90 회/분이었으며, 혈액생화학적 검사는 정상 범위였다. 당초 관경축성 협심증이 우려되었다. 따라서, 지속성 Ca 길항제 [딜티아젬 히드로클로라이드 : 1 캡슐 (100 mg)/1 일] 를 내복 투여하고, 2 달 동안 관찰하였다. 결과로서, 불안감 및 발작 빈도가 감소하였다. 따라서, 니코란딜 5 mg 제제 3 정 (5 mg)/1 일을 1994 년 7 월부터 추가로 투여하였다. 니코란딜 투여의 개시 이후 잠시동안, 이 약물에 의한 것으로 생각되는 두통 때문에, 환자 본인의 의지에 의해 복용을 일시 중단하였다. 그러나, 9 월, 환자로부터 니코란딜 복용 기간동안 양호한 조건이었다는 보고 때문에, 니코란딜 제제의 투여를 재개하였다. 발작은 나타나지 않았고, 불안감은 사라졌다. 또한, 에티졸람의 투여량은 초기보다 반이 될 수 있었다. 1995 년 4 월부터, 딜티아젬을 제외한 니코란딜 7.5 mg/1 일만 투여되었고, 경과가 관찰되었다. 그 후 2 달 동안, 발작 및 불안감이 없었다.
실시예 2
B.T. : 남자, 63 세, 무직.
가족성 당뇨병이 있었다. 당뇨병으로서 진단된 후, 식이요법 및당뇨를 위한 치료를 해왔다. 하루에 30 개피의 담배를 피웠다.
1982 년 10 월 및 12 월, 후두부에 통증이 있은 다음에 약 1 시간 동안 흉부 통증이 계속되었다. 그러나, 심장 카테테르 검사 및 관상동맥조영에서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마찬가지로, 1983 년 2 월, 에르고노빈 내성 시험 및 발작시의 심전도에서도 이상은 발견되지 않았다.
1993 년 1 월, 심야에 흉부 통증 발작을 일으키고, 이소소르비드 니트레이트 2 정 설하 사용으로 30 분 동안 치료하였다. 상기 발작에서, 초음파 심장검사법 및 홀터 심전도에 의한 정밀 검사에서도 어떠한 이상도 발견되지 않았다. 지속적인 Ca 길항제 및 지속적인 이소소르비드 니트레이트의 약물 치료를 하지 않고, 월 2 또는 3 회의 발작을 일으켰다. 1993 년 5 월, 1 개월간 4 회의 니트로글리세린 저항성 발작을 일으켰다. 그 후에도 목 및 어깨에 통증을 동반한 빈번한 흉부 통증, 두통 및 방황감 때문에, 1995 년 6 월 입원하였다. 운동 내성 시험, 아세틸콜린 내성 시험, 심장 카테테르 검사를 시행하여도 관동맥 질환은 발견되지 않았다. 입원 중 약 2 일에 1 번 발작이 있었으나, 발작시 초음파 심장검사법 및 방사선검사에서는 정상으로 협심증은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으며, 니트레이트의 설하 정제 투여에 의해 흉부 통증이 쉽게 구제되지 않았다. 또한 초음파 복부 조영법에서도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상기 결과를 근거로, 불안신경증으로 진단하고, 신경안정제 (에티졸람) 을 투여하였다.
1995 년 2 월, 흉부 통증을 동반하는 다양한 증상이 빈번하게 발생하고, 니트로글리세린의 설하 정제의 투여에 의해 쉽게 구제되지 않았다. 따라서, 그는 당소를 외래환자로서 방문하였다. 발작 동안 심전도에서 어떠한 이상도 발견되지 않았다. 또한, 콜레스테롤치가 약간 높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혈액 생화학적검사에서도 이상이 발견되지 않앗다. 딜티아젬의 지속적 Ca 길항제의 2 캡슐 (100 mg)/1 일 및 니코란딜 15 mg/1 일의 투여 후에, 발작이 완전히 사라졌다. 지속적인 Ca 길항제의 투여를 1995 년 5 월 중단하였다. 니코란딜만 15 mg/1 일 투여하여 경과를 관찰한 결과, 발작이 2 달 동안 전혀 관찰되지 않았다.
실시예 3
M.I. : 남자, 44 세, 회사원.
가족력에 특기사항은 없었다. 고혈압이 있었으며, 혈압강하제 (프라조신) 으로 치료중이었다. 하루에 담배 30 개피를 피웠다.
1994 년 3 월, 특별한 원인없이 동계, 질식감, 과호흡 등이 동반된 현기증이 있었다. 상기 증상은 약 1 내지 2 시간 동안 계속되었으며, 자연적으로 개선되었다.
1995 년 4 월, 당소 방문시, 혈압 130/80 (mmHg), 심장 박동수 70 회/분이었으며, 혈액 생화학적검사 결과는 정상 범위 이내였다. 흉부 X-선 촬영, 심전도에서 심폐기능에 이상은 확인되지 않았다. 또한, 심전도에서는 동빈박만을 확인하였을뿐, 허혈성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협심증이 없는 것으로 판명되었다. 정상적인 갑상선 기능을 나타냈기 때문에, 공황장애와 함께 불안신경증을 갖는 것으로 진단되었다. 니코란딜 7.5 mg/1 일을 투여한 후 2 개월 동안 관찰한 결과 불안감이 사라지고, 발작이 발견되지 않았다. 다른 약물과의 결합 치료는 사용되지 않았다.
실시예 4
S.I. : 남자, 54 세, 회사원.
가족력에 특기사항은 없었다. 피부 아밀로이도시스증 및 고혈압이 있었으며, 혈압강하제 (에나라프릴) 치료중이었다. 오오사까에 단신부임해 있었다. 1995 년 3 월, 세면시, 흉부압박감이 오고, 이어서, 냉감, 과호흡증상, 질식감, 불안감이 나타났으며, 30 분 동안 지속되었다. 그후, 유사한 발작이 1 개월에 5 회 일어났다. 따라서, 회사를 쉬고, 고향에 돌아와서 당소를 방문하였다.
1995 년 5 월, 당소 방문시, 혈압 206/110 (mmHg), 심장 박동수 70 회/분이었으며, 혈액 생화학적 검사에서는 이상이 없었다. 또한, 흉부 X-선 촬영, 심전도 및 초음파 심장검사에서도 이상이 없었다. 따라서, 그는 협심증이 없는 공황 발작을 동반한 불안신경증으로 판명되었다.
니코란딜 15 mg/1 일 투여 개시로부터 2 개월 동안, 발작이 없었으며, 불안감도 사라졌고, 회사로 복귀할 수 있었다. 현재, 그는 고혈압 치료를 위한 혈압강하제 (에나라프릴) 1 정/1 일 외에 어떠한 약물도 복용하지 않고 있다.
실시예 5
T.I. : 남자, 43 세, 교사.
가족력, 병력에 특기사항 없으며, 점착기질이다. 1994 년 미국유학중에 흉부 통증, 흉부 불쾌감, 냉감, 불면, 불안감, 동계, 호흡 곤란, 빈호흡 및 죽음에의 공포가 왔다. 심전도, 운동 내성 시험 및 초음파 심장검사에서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기 때문에, 순환기 전문의들은 그를 불안신경증으로 진단하였다. 그가, 에티졸람으로 약물 치료를 가짐에도 불구하고, 증상은 사라지지 않았다. 1994 년 12 월, 일본으로 돌아온 후, 강한 불안감이 동반되는 발작을 1 개월에 1 내지 2 회 겪었다. 1995 년 1 월, 4 월 및 6 월, 당원 구급 외래에 입원하였으나, 심전도 상에서 동빈박만이 발견되고, 허혈변화는 확인되지 않았으며, 심질환은 판명되지 않았다.
1995 년 6 월, 당원 방문시, 혈압 130/80 (mmHg), 심장박동수 95 회/분이었으며, 혈액 생화학적 검사 및 갑상선 기능에서는 이상이 발견되지 않았다. 홀터 심전도에 의한 정밀 검사 결과, 발작시에 120 - 140/분의 동빈박만을 확인하였을 뿐, 허혈성 변화는 확인되지 않았다. 따라서, 그를 앞의 경우와 유사한 공황 발작을 동반한 불안신경증으로 진단하였다. 안정제 (에티졸람) 및 불안완화제 (알프라졸람) 를 복용할 것이 추천되었다. 그러나, 에티졸람은 나른하게 하기 때문에, 거의 복용하지 않았다. 반면에, 아프라졸람은 졸리게 하기 때문에 수면시에만 복용하였다. 따라서, 에티졸람의 투여를 중단하고, 니코란딜 (7.5 mg/1 일) 을 알프라졸람과 함께 투여하였다. 이후, 어떠한 발작도 없었으며, 불안감도 사라졌고, 직장에복귀할 수 있었다.
트리시클릭 항우울제 및 벤조디아제핀 불안완화제와 같은 약물의 사용으로 공황장애로 유형화된 불안 장애를 치료하는 것이 시행되어 왔다. 그러나, 상기 약물은 효과가 서서히 방출될 뿐만 아니라, 예를 들면, 심각한 부작용의 공포 및 약물 중독과 같은 안전 상에 몇 가지 문제를 제공한다. 반면에, 본 발명에 따른 불안신경증의 니코란딜 치료제는 안전성의 문제가 거의 없이 즉각적인 효과를 나타낼 수 있는 이상적인 것이다.

Claims (2)

  1. 유효 성분으로서 N-(2-히드록시에틸)니코틴아미드 니트레이트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불안신경증 치료제.
  2. 유효 성분으로서 N-(2-히드록시에틸)니코틴아미드 니트레이트 또는 그의 염을 함유함을 특징으로 하는 공황장애 치료제.
KR1019980701070A 1995-08-15 1996-08-15 불안신경증치료제 KR1003257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5-208048 1995-08-15
JP20804895 1995-08-15
PCT/JP1996/002302 WO1997006800A1 (fr) 1995-08-15 1996-08-15 Remede contre la nevrose d'angois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401A KR19990036401A (ko) 1999-05-25
KR100325793B1 true KR100325793B1 (ko) 2002-06-20

Family

ID=1654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701070A KR100325793B1 (ko) 1995-08-15 1996-08-15 불안신경증치료제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5905086A (ko)
EP (1) EP0846465B1 (ko)
KR (1) KR100325793B1 (ko)
AT (1) ATE228841T1 (ko)
AU (1) AU710937B2 (ko)
DE (1) DE69625210T2 (ko)
ES (1) ES2187666T3 (ko)
TW (1) TW458776B (ko)
WO (1) WO1997006800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6125A (ko) 2014-06-22 2015-12-31 이경록 다중 표시기능을 갖는 단일 정보표시등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7115661B1 (en) * 1999-12-29 2006-10-03 Queen's University At Kingston Methods and compositions for mitigating pain
US6143188A (en) * 1998-12-22 2000-11-07 Tetra Process Technologies Underdrain block for filter media system
JP2003523405A (ja) 2000-02-22 2003-08-05 セレジー カナダ 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睡眠改善のための方法および組成物
US6906164B2 (en) * 2000-12-07 2005-06-14 Eastman Chemical Company Polyester process using a pipe reactor
JPWO2006004115A1 (ja) * 2004-07-05 2008-04-24 中外製薬株式会社 過活動膀胱治療剤
FR2872705B1 (fr) * 2004-07-08 2008-07-18 Aventis Pharma Sa Compositions contenant du nicorandil, procede de preparation et utilisation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28039A (en) * 1994-02-20 1995-06-27 The Center For Innovative Technology Method for electively achieving reversible hyperpolarized cardiac arrest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146125A (ko) 2014-06-22 2015-12-31 이경록 다중 표시기능을 갖는 단일 정보표시등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90036401A (ko) 1999-05-25
WO1997006800A1 (fr) 1997-02-27
TW458776B (en) 2001-10-11
EP0846465A1 (en) 1998-06-10
EP0846465B1 (en) 2002-12-04
ES2187666T3 (es) 2003-06-16
DE69625210T2 (de) 2003-08-14
AU710937B2 (en) 1999-09-30
ATE228841T1 (de) 2002-12-15
AU6670596A (en) 1997-03-12
US5905086A (en) 1999-05-18
DE69625210D1 (de) 2003-01-16
EP0846465A4 (en) 1999-01-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DE69713890T3 (de) Pharmazeutische kombination enthaltend einen wirkstoff mit angiotensin-ii antagonistischer aktivität und einen wirkstoff der die insulin-sensitivität erhöht
US20090149518A1 (en) Pharmaceutical for protection of motor nerve in patient with 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JP6137833B2 (ja) 脱髄性および他の神経系疾患を患っている患者における神経認知的および/または神経精神医学的障害を改善するための4−アミノピリジンの使用
US4210670A (en) Antithrombotic agents
Weinbroum et al. The use of flumazenil in the management of acute drug poisoning—a review
KR100325793B1 (ko) 불안신경증치료제
JP2001510800A (ja) 注意欠損/活動亢進症の治療のためのアルカノイルカルニチン誘導体の使用
CZ20022330A3 (cs) Farmaceutický prostředek
MX2013013125A (es) Combinaciones de solifenacina y estimulantes salivales para el tratamiento de la vejiga hiperactiva.
EP1535616A1 (en) Remedy for integration dysfunction syndrome
US4404226A (en) Use of guanfacine in treating schizophrenia
JP3947582B2 (ja) 不安神経症治療剤
Sloman et al. Oral disopyramide in the management of cardiac arrhythmias
JP2003201238A (ja) 脳梗塞治療用医薬組成物
KR20010021796A (ko) 선택성 세로토닌 재흡수 억제제 (ssri)를 사용하는심장 질환의 치료 및 예방법
Woosley et al. Pharmacologic reversal of hypotensive effect complicating antiarrhythmic therapy with bretylium
JP2006528155A (ja) 3,7−ジアザビシクロ[3.3.1]ノナン化合物の、ヒト男性患者の抗不整脈事象治療及び/又は予防のための使用
EP0208335B1 (en) Use of a quinazolinone in the preparation of an anti-vertigo drug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
JPH0737387B2 (ja) 神経系症状の処置剤
JPH04159224A (ja) ヒトの糖尿病性知覚障害および末梢神経障害の治療剤
NZ200185A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n"-cyano-n-4-pyridyl-n'-1,2,2-trimethylpropyl-guanidine and a diuretic
Injection et al. Pr SUMATRIPTAN INJECTION
Milei et al. Ketanserin in the Treatment of Essential Hypertension a Double Blind Trial Against Metoprolol Followed By One-year open Treatment
JPH10287568A (ja) アルコール依存症治療剤
JPS63145231A (ja) ステロイド化合物を含有する脳機能賦活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125

Year of fee payment: 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