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7513B1 - 접착강도를 개선시킨 블랜드형 클로로프렌계 고무 접착제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접착강도를 개선시킨 블랜드형 클로로프렌계 고무 접착제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7513B1
KR100307513B1 KR1019990041212A KR19990041212A KR100307513B1 KR 100307513 B1 KR100307513 B1 KR 100307513B1 KR 1019990041212 A KR1019990041212 A KR 1019990041212A KR 19990041212 A KR19990041212 A KR 19990041212A KR 100307513 B1 KR100307513 B1 KR 1003075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nomer
chloroprene rubber
hard
graf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412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10028788A (ko
Inventor
박인환
송시용
이종문
이건
Original Assignee
김충섭
한국화학연구원
이건
삼공물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충섭, 한국화학연구원, 이건, 삼공물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김충섭
Priority to KR10199900412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307513B1/ko
Publication of KR2001002878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1002878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75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7513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1/00Adhesives based on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hlorop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2Non-macromolecular additives
    • C09J11/06Non-macromolecular additives organic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JADHESIVES; NON-MECHANICAL ASPECTS OF ADHESIVE PROCESSES IN GENERAL; ADHESIVE PROCESSES NOT PROVIDED FOR ELSEWHERE; USE OF MATERIALS AS ADHESIVES
    • C09J11/00Features of adhesive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J9/00, e.g. additives
    • C09J11/08Macromolecular additiv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dhesives Or Adhesive Processes (AREA)
  • Graft Or Block Polym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랜드형 클로로프렌계 고무 접착제의 제조방법, 상세하게는 수지로 전환시에 경질성을 부여하는 단량체와 연질성을 부여하는 단량체들로 클로로프렌계 고무를 각각 그라프트 공중합시키고, 상용화제로서 상기 이종의 단량체들을 함께 그라프트 공중합시킨 공중합체를 블랜딩함으로써 경도와 유연성의 조절은 물론 접착강도를 개선시킨 고무접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접착강도를 개선시킨 블랜드형 클로로프렌계 고무 접착제의 제조방법 {Process For Preparing Blend-typed Polychloroprene Adhesives with Enhanced Adhesive strength}
본 발명은 블랜드형 클로로프렌계 고무 접착제의 제조방법, 상세하게는 수지로 전환시킬 때에 경질성을 부여하는 단량체와 연질성을 부여하는 단량체들로 클로로프렌계 고무를 각각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별도의 공중합체를 만들고, 이들 이종(異種)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상용화시키기 위하여, 상기 단량체들을 함께 그라프트 공중합시킨 중합체를 블랜딩시킴으로써, 경질/연질의 물성조절과 접착강도를 동시에 개선시킨 고무접착제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통상적으로, 클로로프렌 고무는 극성이 높고 결정성을 가지기 때문에 응집력과 초기 접착력이 높으며, 내열성, 내수성, 내노화성 등도 비교적 우수하기 때문에 고무계 접착제이면서 금속, 목재(합판), 경질 섬유판, 유리 등의 경질 재료의 접착에서부터 천연 또는 합성고무, 섬유, 피혁, 비닐 레자, 섬유포, 우레탄폼 등의 연질 재료의 접착까지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클로로프렌계 고무를 소재로 하는 접착제들은 충분한 유연성과 탄성을 가져 내충격성이 크지만, 높은 하중이 걸리면 접착강도, 내열성 및 내크리프성 등에 문제가 있었다(Ency. Polym. Sci. & Eng., Vol 3, 1985, p.451 참조). 이러한 단점을 개선하기 위하여 염소화폴리프로필렌(미국특허 제5,753,727호 참조)이나 페놀수지(일본특개평 제3-17,140호 및 제3-177,475호, 및 Eur. Pat. Appl. EP 441480 참조) 등을 블랜딩하거나, 금속산화물들(일본특개평 제4-309,586호 및 동제7-126,593호, 및 Ger. Offen. 2,356,656 참조)에 의한 가교(架橋)결합을 이루어 접합강도를 높였으나 가교반응 속도는 상온에서 매우 느리며, 가교촉진제를 병용해도 90℃이상의 고온이 필요하였다.
최근에는 클로로프렌 고무에 실란올 구조를 도입(일본특개소 제62-57,474호(1987) 및 동 제1-301,776호 참조)하여 공기 중 수분에 의해 가교가 일어나도록 하기도 하고, 해당 단량체들로부터 얻어진 클로로프렌/아크릴레이트나 클로로프렌/메타크릴레이트 등의 에멀젼 형태의 공중합체를 얻은 뒤, 블랜딩 과정을 통하여 염화비닐수지에 대한 접착강도를 높였다(미국특허 제5,407,993호 참조).
이외에도 카르복시기를 함유하는 클로로프렌 고무를 원료로 MgO, ZnO 등과 같은 금속산화물(일본특개평 제4-309586호, 동 제5-179216호 및 동 제5-295,336호 참조)을 가교제로 사용함으로써 짧은 시간내 열(熱)가교로 응집력을 향상시켰는데, 이 경우 카르복시기와 금속산화물간의 반응은 용액 속에서도 진행되어 점도가 상승되기 때문에 알코올류를 첨가하여 점도를 조절해야 하는 불편이 있었다.
또한, 종래에는 유연한 성질의 클로로프렌 고무에 대해 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 스티렌(미국특허 제4,366,289호 참조),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J. Appl.Polym. Sci., 64, 1973(1977) 참조], 메틸메타크릴레이트나 아크릴로니트릴(일본공개특허 제5-86,347호 참조) 등과 같이 수지로 전환시에 경질성분이 되는 단량체들만으로서 그라프트 공중합 반응들이 대부분 이루어졌는데, 이때는 접착제 자체의 경도(硬度)를 높여서 접착강도를 개선하는데는 한계가 있었다. 즉, 클로로프렌 고무에, 수지로 전환시에 경질성분이 되는 단량체들을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응집력을 증대시키는 등의 접착제 물성을 개선해왔는데, 이 때는 응집력이 보완되면서 접착강도가 증가하게 되는데 일정 강도에 이르게 되면, 이후부터는 접착강도가 저하되었다.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종래의 기술들은 클로로프렌계 고무접착제의 단점을 보완하는 주요방법으로서, 경질성의 타 수지계 재료를 물리화학적으로 블랜딩하는 방법이나 금속 산화물에 의해 가교화하는 방법 등을 사용하였으나, 역시 그 나름대로의 문제점을 안고 있으므로, 이종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들과 상용화용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블랜딩하여, 경질/연질의 물성 조절은 물론 접착강도도 개선하는 블랜드형 클로로프렌계 고무접착제를 개발하고자 하였다.
본 발명자들은 1) 수지로 전환시에 경도를 줄 수 있는 높은 유리전이온도(Tg)를 갖는 단량체('경질성 단량체')를 클로로프렌 고무에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중합체('경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만들고, 2) 수지로 전환시에 유연성과 접착성을 줄 수 있는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단량체('연질성 단량체')를 클로로프렌 고무에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중합체('연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만들고, 3) 상기연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경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상용화할 수 있도록 상기의 수지로 전환시에 경질성을 주는 단량체와 연질성을 주는 단량체를 함께 클로로프렌 고무에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중합체('상용화용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만들어, 이들 3 종류의 공중합체들을 블랜딩하므로써, 응집력과 접착성을 상호 보완하면서 접착 강도를 개선시킬 수 있다는 사실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본 발명에 따른 블랜드형 클로로프렌계 고무 접착제의 제조방법은, (a) 클로로프렌 고무를 6∼18 중량부의 유기 용제에 용해시켜 클로로프렌 고무 용액을 만든 다음, (b) 수지로 전환시에 100∼105℃ 범위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져 경질성분을 주는 단량체('경질성 단량체')를 클로로프렌 고무에 대해 0.1∼1.5 중량부로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용액에 중합 개시제와 함께 혼합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중합체('경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만들고, (c) 수지로 전환시에 -22∼-85℃ 범위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져 연질성분을 주는 단량체('연질성 단량체')를 클로로프렌 고무에 대해 0.1∼1.5 중량부로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용액에 중합 개시제와 혼합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중합체('연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만들고, (d) 상기 수지로 전환시에 경질성을 주는 단량체와 연질성을 주는 단량체를 혼용하되, 클로로프렌 고무에 대해 0.1∼1.5 중량부로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용액에 중합 개시제와 혼합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중합체('상용화용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만들고, (e) 상기 경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연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상용화용 그라프트공중합체와 블랜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각각의 그라프트 공중합 반응이 완료된 후 또는 블랜딩 단계에서 중합금지제 및/또는 점착성부여수지를 첨가하는 단계를 거칠 수 있다.
상기 클로로프렌계 고무는 폴리클로로프렌, 카르복시 변성 폴리클로로프렌, 이들의 공중합체, 이들의 블랜드 등 일반적으로 클로로프렌 고무에 포함될 수 있는 모든 종류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수지로 전환시에 경질성분으로 되어 경도를 부여하게 되는 경질성을 주는 단량체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및 스티렌 중에서 1종 혹은 2종 이상을 선택하고, 수지로 전환시에 연질성분으로 되어 유연성을 부여하게 되는 단량체로서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혹은 2종 이상을 선택하여, 이들을 클로로프렌 고무와 각각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중합체를 만들고, 이들 이종의 단량체들을 클로로프렌 고무와 함께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만든 중합체를 상용화제로 사용하여 블랜딩시키므로써, 경도와 유연성의 조절이 가능하고 접착강도를 개선시킨 블랜드형 고무접착제를 얻을 수 있다. 이때 접착제의 물성을 조절하기 위해서 먼저 수지로 전환시에 경질 혹은 연질이 되는 중합체들의 각각의 그라프트된 성분들간의 예상되는 물성에 맞게 단량체들의 비율을 조절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체들을 제조하게 된다.
따라서, 클로로프렌계 고무를 유기 용제에 완전히 용해시킨 후, 공중합체 수지로 전환시에 유리전이온도(Tg)가 높아 경도를 부여할 수 있는메틸메타크릴레이트(Tg: 105℃), 아크릴로니트릴(Tg: 100℃) 및 스티렌(Tg: 100℃) 등의 경질 성분들과 공중합체 수지로 전환시에 Tg가 낮아 유연성을 부여할 수 있는 에틸아크릴레이트(Tg: -22℃), 부틸아크릴레이트(Tg: -54℃),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Tg: -65℃)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Tg: -85℃) 등의 연질 성분 등을 원하는 물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여 클로로프렌계 고무의 유기용액 중에서 중합 개시제에 의해 별도로 각각 그라프트 공중합 반응시키고, 이들 생성된 공중합체들을 상용화시킬 수 있도록 상기 경질 성분과 연질 성분을 함께 가진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생성하여 함께 블랜딩시킴으로써, 경도와 유연성의 물성 조절은 물론, 접착강도도 동시에 개선시킨 블랜드형 클로로프렌계 고무접착제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클로로프렌 고무에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수지로 전환시에 경질성을 주는 단량체, 연질성을 주는 단량체, 그 경질성 및 연질성들을 주는 단량체들의 비율을 클로로프렌 고무에 대해서 0.1∼1.5 중량부로 한다.
상기 경질성을 주는 단량체는 100∼105℃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져 공중합체 수지로 전환시에 경질성을 부여하는 부분이 되고, 그 경질성을 주는 단량체들의 적정 사용량은 단량체 총량에 대해 55∼95 중량% 이다. 그 사용량이 55 중량% 보다 적으면 고무접착제의 응집력이 부족하고, 95 중량% 보다 많으면 고무접착제의 유연성이 저하된다.
반면, 상기 연질성을 주는 단량체는 -22∼-85℃의 낮은 Tg를 가져 공중합체수지로 전환시에 연질성을 부여하는 부분이 되며, 그 연질성을 주는 단량체들의 적정 사용량은 단량체 총량에 대해서 5∼45 중량% 이다. 그 사용량이 5 중량% 보다 적으면 유연성이 부족하며, 45 중량% 보다 많으면 접착강도가 저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유기 용제로서는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틸에틸케톤, 이소부틸메틸케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펜탄, n-헥산,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디클로로메탄 및 트리클로로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1종 혹은 2종 이상의 용제들이 사용되었다. 그 용제의 적정 사용량은 클로로프렌계 고무에 대해 6∼18 중량부이다. 그 사용량이 6 중량부보다 적으면 클로로프렌계 고무가 용해된 용액의 점도가 너무 커서 반응기 교반에 지장을 주며, 18 중량부보다 많으면 클로로프렌계 고무와 단량체들과의 충돌빈도가 적어 그라프트 효율이 나쁘다.
본 발명에서의 그라프트 공중합반응들은 질소기류하, 50∼90℃에서 행하는 바, 50℃ 이하의 반응에서는 그라프트 효율이 나쁘며, 90℃ 이상의 반응에서는 유기 용제가 냉각기에서 일부 환류되어 반응용액의 농도가 균일해지지 못하게 되기 때문에 균일한 용액의 공중합 반응물이 얻어지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의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 반응 개시제로는 벤조일퍼옥시드, t-부틸히드로퍼옥시드, 쿠멘히드로퍼옥시드, 디-t-부틸퍼옥시드, 메틸에틸케톤퍼옥시드, 디큐밀퍼옥시드, 2,5-디메틸헥실디히드로퍼옥시드, 디이소프로필벤젠퍼옥시드, t-부틸히드로벤조에이트 및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등의 라디칼 중합촉매 중에서 선택된 1종 혹은 2종 이상의 촉매들이 사용된다. 그 촉매의 적정 사용량은 사용하는 단량체들 총량에 대하여 0.5∼5 중량% 이다. 그 촉매의 사용량이 0.5 중량% 보다 적은 경우 반응시간이 매우 길어지며, 5 중량% 보다 많으면 저장시 부분가교가 이루어지면서 용액점도가 급속히 증가된다.
본 발명에서는 클로로프렌계 고무에 대한 상기 단량체들의 그라프트 공중합반응을 종료한 뒤, 그 반응에 참여하지 못하고 남아 있는 라디칼 개시제에 의해 가교반응과 같은 또다른 부(副)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반응되는 유기 용제에 용해성이 있는 중합금지제로서 페노티아진, 히드로퀴논, 히드로퀴논메틸에테르, 4-t-부틸카테콜, N,N'-디에틸히드록시아민 및 2,4-디니트로페놀 등을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0.03∼3 중량% 비율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그 사용량이 0.03 중량% 보다 적으면 고무접착제의 장기간 저장에 대한 중합금지 효과가 적으며, 3 중량% 보다 많으면 접착강도가 조금씩 저하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상기 그라프트 공중합 반응 후 또는 블랜딩 전 또는 블랜딩 후에 클로로프렌계 고무접착제 용액에 접착력을 향상시키기 위해 석유수지, 알킬페놀수지, 페닐페놀수지, 테르펜페놀수지, 로진페놀수지, 로진에스테르수지 및 쿠마론인덴 수지 등과 같은 점착성부여수지를 고무접착제 용액의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0.1∼7 중량%의 비율로 첨가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점착성부여수지의 양이 0.1 중량% 보다 적으면 접착강도 향상이 없으며, 7 중량% 이상이면 오히려 접착강도를 저하시킨다.
상기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의 블랜드형 클로로프렌계 고무 접착제는 종래의 제조방법과는 달리, 단량체가 수지로 전환시에 경질성분이 되는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스티렌 등의 단량체들을 클로로프렌계 고무에 대해 그라프트 공중합 반응시켜 경질성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얻고, 고무의 유연성은 그대로 유지되면서 접착강도의 개선이 이루어지도록 수지로 전환시에 연질성분이 되는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등의 단량체들을 그라프트 공중합 반응시켜 연질성의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얻고, 이들 경질성 중합체와 연질성 중합체가 상호 용이하게 혼합할 수 있도록, 상기 이종의 단량체들을 함께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얻은 공중합체를 상용화제로 하여 경질성 중합체와 연질성 중합체를 블랜딩하므로써, 상기 경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연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가 단독으로 사용될 때보다 유연성과 접착강도가 더욱 개선되는 블랜드형 클로로프렌계 고무접착제를 얻게 된다.
본 발명은 또한 이들 방법에 의해 제조된 블랜드형 고무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상세하게는, 1) 수지로 전환시에 경도를 줄 수 있는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단량체('경질성 단량체')를 클로로프렌 고무에 그라프트 공중합시킨 중합체('경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2) 수지로 전환시에 유연성과 접착성을 줄 수 있는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갖는 단량체('연질성 단량체')를 클로로프렌 고무에 그라프트 공중합시킨 중합체('연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3) 상기 경질성 단량체와 연질성 단량체를 함께 클로로프렌 고무에 그라프트 공중합시킨 중합체('상용화용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블랜딩에 의해 제조된 블랜형 고무 접착제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블랜드형 고무 접작체의 제조 과정에서 또는 제조 후에 중합금지제와 점착부여수지를 더 첨가할 수 있다.
실시예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이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경질성분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3, 7 내지 9 및 14 내지 15)
실시예 1: 냉각기와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기에 클로로프렌 고무 6g을 80g의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단량체로 아크릴로니트릴 8g을, 중합개시제로 벤조일퍼옥시드 0.01g(단량체 총량에 대해 1.5 중량%)을 넣어 완전히 용해시키고, 80℃에서 6 시간 그라프트 공중합 반응시켜, 고형분 8.8g의 용액을 얻었다. 중합이 완료된 후 이 용액에 중합금지제로서 히드로퀴논 0.2g(단량체 총량에 대해 2.0 중량%)과 점착부여수지로서 테르펜페놀수지 0.05g을 혼합하여 경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한 고무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기타 실시예는 각 성분의 종류 및 사용랑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고, 그 실험 조건을 표 1에 기재하였다.
연질성분의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예 4 내지 6, 10 내지 13 및 17 내지 20)
연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주성분으로 한 고무 접착제의 제조에 대한 실험들도 실시예 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고 실험 조건을 표 1에 나타내었다.
표 1의 실시예 1 내지 20과 이하에서 설명하게 될 표 2 내지 4의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얻은 용액 접착제의 물성치 중 별도의 조건을 달고 있는 경우를 제외하고는 다음과 같이 얻어졌다.
1) 고형분의 무게는 80℃의 오븐에서 더 이상의 무게 감소가 없을 때까지 건조시켜 측정한 값이고,
2) 유리전이온도(Tg)는 고형분을 기준으로 측정된 값이며,
3) 접착강도는 핸드그라인더(크기: 100)로 나일론 천이 강화된 클로로술폰화 폴리에틸렌 쉬트의 표면을 균일하게 갈아내고, 그 쉬트를 조각(2.5cm ?? 15.2cm)으로 오려서, 2 조각을 1 조로 하여 각기 1 면에만, 상기에서 만든 2 종류의 접착제 용액을 붓으로 각각 도포하여 20분 정도 방치한 다음, 도포된 양쪽 면을 철재 롤러를 사용, 전후로 4-5회 정도 압착하면서 접합시켜 3일 동안 실온에 방치한 뒤, 300mm/분 속도로 당겨(T-peel) 측정된 값이고,
4)접착제의 균일성은 접착제 용액에서 일부 수지들의 뭉침이 있는지의 여부를 평가하는 것으로서 뭉침이 없는 것은 '○'(균일), 그리고 뭉침이 있는 것은 'X'(불균일)로 구별하였다.
상기 표 1에서,
CR: 클로로프렌 고무(A90, 일본전기화학)
MMA: 메틸메타크릴레이트
AN: 아크릴로니트릴
ST: 스티렌
EA: 에틸아크릴레이트
BA: 부틸아크릴레이트
LMA: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EHA: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TP: 테프렌페놀수지(SP560, 미국 Schenectady)
RET: 로진글리세롤에스테르(WI-200, 우인화학)
Tg는 유리전이온도로서, 점착성부여수지를 제외한 고형분의 함량을 기준으로 계산된 값이다.
상용화용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제조 (실시예 21 내지 31)
실시예 21: 경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연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상용화제로 사용될 수 있는 상용화용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제조하기 위하여, 수지로 전환시에 경질성을 주는 단량체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5.0g과 연질성을 주는 단량체로서 에틸아크릴레이트 2.0g과 부틸아크릴레이트 3.0g을 함께 클로로프렌 고무에 그라프트 공중합 반응시킨다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의 방법에 따라 실시하였고, 실험 조건 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기타 실시예 22 내지 31도 실시예 21과 같은 방법으로 실시하였으며, 실험조건 등을 표 2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2에서, CR, MMA, AN, ST, EA, BA, LMA, EHA, TP, RET 및 Tg는 표 1에서와 동일하다.
블랜드형 고무접착제의 제조 (실시예 32 내지 43)
실시예 32: 실시예 1로부터의 경질성 그라프트 고무 접착제 1.75g과 실시예 4로부터의 연질성 그라프트 고무 접착제 0.34g 및 실시예 21로부터의 상용화제 0.08g을 블랜딩하여 고형분 8.17g의 블랜드형 고무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기타 실시예 33 내지 43도 실시예 32과 같은 방법으로 행하였고 실험조건을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3에서, CR은 표 1에서와 동일한 것이고, 접착제의 고형분의 양은 점착부여수지들의 사용량을 포함시키지 않은 것이고, 접착제의 Tg는 점착부여수지 및 상용화제를 제외한 고형분의 원소분석을 기준으로 계산된 값이다.
비교예 1
냉각기와 교반기를 구비한 반응기에 클로로프렌 고무 8g을 90g의 톨루엔에 용해시키고, 단량체로서 메틸메타크릴레이트 10g과 중합개시제로서 벤조일퍼옥시드 0.07g을 넣어 완전히 용해시키고, 80℃에서 6시간 그라프트 공중합 반응시켜, 고형분 10.8g의 용액을 제조하고, 중합이 종료된 후에 이 용액에 중합금지제로서 히드로퀴논메틸에테르 0.02g과 점착성부여 수지로서 테르펜페놀수지 0.11g을 첨가하여 고무 접착제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16
본 비교예에서는 클로로프렌 고무의 양, 단량체의 종류와 그의 양, 중합개시제의 양, 점착성부여 수지의 종류와 그의 양 및 중합금지제의 양을 표 4에 나타낸 대로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비교예 1에서와 동일한 방법으로 실시하였다. 각 비교예에서 얻어진 접착제의 고형분과 물성을 표 4에 나타내었다.
상기 표 4에서, CR, MMA, AN, BA, EHA, TP, RET 및 Tg의 내용은 표 1에서와 동일하다.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블랜드형 클로로프렌계 고무 접착제는 경질성과 연질성을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고, 그에 따라 유연성을 유지하면서도 우수한 접착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효과를 발휘한다.
그러한 효과의 우수성은, 수지로 전환시에 경질성을 주는 단량체 또는 연질성을 주는 단량체만을 가지고 중합반응시켜 얻은 고무 접착제들을 각기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대한 표1의 실시예 1 내지 20의 물성이, 이들 2 가지 성분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에 대한 표2의 실시예 21 내지 31의 물성보다 떨어진다는 사실에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의 반응 조건의 설정이 갖는 우수성을 표4를 통해 살펴보면, 1) 수지로 전환되어 경질성을 주는 단량체만을 가지고 그라프트 공중합 반응을 하는 경우(비교예 1∼5), 2) 수지로 전환시에 경질 성분 혹은 연질성분을 주는 단량체들이 적정량보다 다소 많거나 적게 조합된 경우(비교예 3∼7), 3) 연쇄이동효과가 큰 용제만을 사용하는 경우(비교예 8), 4) 사용된 희석용 용제가 적정량보다 많거나 적은 경우(비교예 9∼10), 5) 사용된 개시제의 양이 적정량보다 많거나 적은 경우(비교예 11∼12), 6) 사용된 중합금지제의 양이 적정량보다 많거나 적은 경우(비교예 13∼14) 및 7) 사용된 점착성부여 수지의 양이 적정량보다 많거나 적은 경우(비교예 15∼16)에 고무접착제 접합강도가 저하되었다는 실험적 사실에서 확인되었다.

Claims (8)

  1. (a) 클로로프렌 고무를 6∼18 중량부의 유기 용제에 용해시켜 클로로프렌 고무 용액을 만든 다음, (b) 100∼105℃ 범위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져 수지로 전환시에 경질성분이 되는 단량체('경질성 단량체')를 클로로프렌 고무에 대해 0.1∼1.5 중량부로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용액에 중합 개시제와 함께 혼합하여 그라프트 공중합 반응시켜 중합체('경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만들고, (c) -22∼-85℃ 범위의 유리전이온도를 가져 수지로 전환시에 연질성분이 되는 단량체('연질성 단량체')를 클로로프렌 고무에 대해 0.1∼1.5 중량부로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용액에 중합 개시제와 혼합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중합체('연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만들고, (d) 상기 수지로 전환시에 경질성을 주는 단량체와 연질성을 주는 단량체를 함께 클로로프렌 고무에 대해 0.1∼1.5 중량부로 상기 클로로프렌 고무 용액에 중합 개시제와 혼합하여 그라프트 공중합 반응시켜 중합체('상용화용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만들고, (e) 상기 경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연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를 상용화용 그라프트 공중합체와 블랜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블랜드형 고무 접착제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각각의 그라프트 공중합 반응이 완료된 후 또는 블랜딩 단계에서 중합금지제 및/또는 점착성부여수지를 첨가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조방법.
  3.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경질성을 주는 단량체의 사용량이 단량체 총량의 55 내지 95 중량%인 제조방법.
  4. 제 1항 또는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유기 용제가 벤젠, 톨루엔, 크실렌, 메틸에틸케톤, 이소부틸메틸케톤, 에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n-펜탄, n-헥산,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디클로로메탄 및 트리클로로에틸렌 중에서 선택된 1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경질성을 주는 단량체가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및 스티렌 중에서 선택된 1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상기 연질성을 주는 단량체가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및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인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중합개시제가 벤조일퍼옥시드, t-부틸히드로퍼옥시드, 쿠멘히드로퍼옥시드, 디-t-부틸퍼옥시드, 메틸에틸케톤퍼옥시드, 디큐밀퍼옥시드, 2,5-디메틸헥실디히드로퍼옥시드, 디이소프로필벤젠퍼옥시드, t-부틸히드로벤조에이트 및 t-부틸퍼옥시아세테이트 중에서 선택된 1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중합개시제의 사용량이 사용된 단량체 총량에 대하여 0.5∼5 중량%인 제조방법.
  6.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점착성부여수지가 석유수지, 알킬페놀수지, 페닐페놀수지, 테르펜페놀수지, 로진페놀수지, 로진에스테르수지 및 구마론인덴수지 중에서 선택된 1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점착성부여수지의 양이 공중합 반응 후 생성된 고형분량에 대해 0.1∼7 중량%이며;
    상기 중합금지제가 페노티아진, 히드로퀴논, 히드로퀴논메틸에테르, 4-t-부틸카테콜, N,N'-디에틸히드록시아민 및 2,4-디니트로페놀 중에서 선택된 1종 혹은 2종 이상의 혼합물이고, 중합금지제의 양이 전체 고형분에 대하여 0.03∼3 중량%인 제조방법.
  7. 1) 수지로 전환시에 높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져 경도를 줄 수 있단량체('경질성 단량체')를 클로로프렌 고무에 그라프트 공중합 반응시킨 중합체('경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2) 수지로 전환시에 낮은 유리전이온도를 가져 유연성과 접착성을 줄 수 있단량체('연질성 단량체')를 클로로프렌 고무에 그라프트 공중합시킨 중합체('연질성 그라프트 공중합체') 및 3) 수지로 전환시에 상기 경질성을 주는 단량체와 연질성을 주는 단량체를 함께 클로로프렌 고무에 그라프트 공중합 반응시킨 중합체('상용화용 그라프트 공중합체')의 블랜딩에 의해 제조된 블랜드형 고무 접착제.
  8. 제 7항에 있어서, 중합금지제와 점착부여수지를 첨가한 블랜드형 고무 접착제.
KR1019990041212A 1999-09-22 1999-09-22 접착강도를 개선시킨 블랜드형 클로로프렌계 고무 접착제의 제조방법 KR1003075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212A KR100307513B1 (ko) 1999-09-22 1999-09-22 접착강도를 개선시킨 블랜드형 클로로프렌계 고무 접착제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90041212A KR100307513B1 (ko) 1999-09-22 1999-09-22 접착강도를 개선시킨 블랜드형 클로로프렌계 고무 접착제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788A KR20010028788A (ko) 2001-04-06
KR100307513B1 true KR100307513B1 (ko) 2001-09-24

Family

ID=1961283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41212A KR100307513B1 (ko) 1999-09-22 1999-09-22 접착강도를 개선시킨 블랜드형 클로로프렌계 고무 접착제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307513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2201A (en) * 1988-08-29 1990-07-17 Illinois Tool Works, Inc. Adhesive for low temperature applications
JPH0586347A (ja) * 1991-09-28 1993-04-06 Aica Kogyo Co Ltd 接着剤
WO1995015998A1 (en) * 1993-12-08 1995-06-1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chloroprene blend composition
JPH0959579A (ja) * 1995-08-23 1997-03-04 Hitachi Kasei Polymer Co Ltd 1液形クロロプレン系接着剤組成物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942201A (en) * 1988-08-29 1990-07-17 Illinois Tool Works, Inc. Adhesive for low temperature applications
JPH0586347A (ja) * 1991-09-28 1993-04-06 Aica Kogyo Co Ltd 接着剤
WO1995015998A1 (en) * 1993-12-08 1995-06-15 E.I. Du Pont De Nemours And Company Polychloroprene blend composition
JPH0959579A (ja) * 1995-08-23 1997-03-04 Hitachi Kasei Polymer Co Ltd 1液形クロロプレン系接着剤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10028788A (ko) 2001-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512358B1 (ko) 감압 접착제로서 유용한 고 Tg 중합체 에멀젼과 감압 접착성 중합체 에멀젼의 블렌드
TWI236494B (en) Adhesive compositions containing low molecular weight polymeric additives
EP0312228B2 (en) Polymeric additives for use in adhesive compositions
KR920000194B1 (ko) 구조 보강 라텍스 미립자,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함유하는 감압성 접착제
JPH09507869A (ja) ポリクロロプレン配合組成物
US6409860B1 (en) Method for adhering a floor covering to a floor with a floor adhesive
US20030143409A1 (en) Blends of high Tg polymer emulsions and pressure sensitive adhesive polymer emulsions useful as pressure sensitive adhesives
JPH0931429A (ja) 接着剤用クロロプレンゴムラテックス、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用いた接着剤組成物
CN114133500A (zh) 一种三嵌段共聚物韧性树脂胶乳及制备方法
KR100307513B1 (ko) 접착강도를 개선시킨 블랜드형 클로로프렌계 고무 접착제의 제조방법
WO2000073385A1 (fr) Composition de latex a base de chloroprene, procede de production, et composition adhesive comprenant cette composition
KR100307510B1 (ko) 접착강도를 개선시킨 그라프트 반응형 클로로프렌계 고무접착제의 제조방법
US6211288B1 (en) Highly water resistant tackifier resin
JPS6232233B2 (ko)
EP0259842B9 (en) Aqueous pressure sensitive adhesive compositions
JP2567762B2 (ja) 接着剤
IE914030A1 (en) High impact resistance adhesive compositions
JP4774189B2 (ja) クロロプレン系グラフト接着剤組成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0230352B2 (ja) Kanatsusetsuchakuzaisoseibutsu
JPH08333425A (ja) 変性炭化水素樹脂及びその用途
JP2003138065A (ja) ポリクロロプレン系ラテックス組成物、水系プライマー、及び接着方法
JP2686255B2 (ja) 水分散型感圧性接着剤組成物の製造方法
JPH07188352A (ja) 変性炭化水素樹脂およびその水性分散体
JP2004352921A (ja) ポリクロロプレン2液型水系接着剤組成物
JP2000096020A (ja) 水分散型感圧性接着剤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082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