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6562B1 - 팽창식안전띠장치 - Google Patents

팽창식안전띠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6562B1
KR100306562B1 KR1019930013158A KR930013158A KR100306562B1 KR 100306562 B1 KR100306562 B1 KR 100306562B1 KR 1019930013158 A KR1019930013158 A KR 1019930013158A KR 930013158 A KR930013158 A KR 930013158A KR 100306562 B1 KR100306562 B1 KR 10030656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bbing
gas
tongue
seat belt
knitted fabr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131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05455A (ko
Inventor
다나카요시히코
치카라이시쯔네오
Original Assignee
다카다 쥬이치로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카다 쥬이치로, 다카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다카다 쥬이치로
Publication of KR94000545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0545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656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656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18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the inflatable member formed as a belt or harness or combined with a belt or harness 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28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incorporating energy-absorbing device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1/00Weft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1/14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 D04B1/16Other fabrics or articles characterised primarily by the use of particular thread materials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04BRAIDING; LACE-MAKING; KNITTING; TRIMMINGS; NON-WOVEN FABRICS
    • D04BKNITTING
    • D04B21/00Warp knitting processes for the production of fabrics or articles not dependent on the use of particular machines; Fabrics or articles defined by such processes
    • D04B21/14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 D04B21/16Fabrics characterised by the incorporation by knitting, in one or more thread, fleece, or fabric layers, of reinforcing, binding, or decorative threads; Fabrics incorporating small auxiliary elements, e.g. for decorative purposes incorporating synthetic thread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2Cross-sectional features
    • D10B2403/024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 D10B2403/0241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enhancing mechanical properties
    • D10B2403/02411Fabric incorporating additional compounds enhancing mechanical properties with a single array of unbent yarn, e.g. unidirectional reinforcement fabric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403/00Details of fabric structure established in the fabric forming process
    • D10B2403/03Shape features
    • D10B2403/031Narrow fabric of constant width
    • D10B2403/0312Bulk fabric, e.g. belts
    • DTEXTILES; PAPER
    • D10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LASSES OF SECTION D, RELATING TO TEXTILES
    • D10B2505/00Industrial
    • D10B2505/12Vehicles
    • D10B2505/122Safety bel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 Automotive Seat Belt Assembly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Abstract

웨빙의 띠형상 형태유지상태에서 두께를 되도록 얇게하고 또 웨빙의 접어 포개는 공정을 생략함과 아울러 기포의 사용량을 삭감하고 더욱이 긴급시에 웨빙을 확실하게 팽창시킨다.
어깨띠(2)는 통형상의 웨빙(17)과, 이 웨빙(17)내에 끼워 넣어진 예컨데 우레탄 고무 또는 실리콘고무 등을 비교적 얇게 형성할 수 있고 더우기 내연성이 있음과 아울러 강도가 비교적 큰 탄성재로 이루어진 튜우브(16)와 웨빙(17)를 덮는 예컨데 폴리에스테르 등의 수지로 이루어진 커버(15)로 형성되어 있다. 웨빙은 가로 편물에 의하여 통형상으로 짜여진 편물포에 의하여 형태가 유지되어 있다. 이 편물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웨빙은 가로방향으로는 크게 신장하지만 세로방향으로 거의 신장하지 않는다.

Description

팽창식 안전띠 장치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팽창식 안전띠장치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개략적인 전체 구성도이다.
제2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어깨띠를 표시하고, (a)는 각 구성요소를 축으로 평행이동하여 표시하는 사시도, (b)는 횡단면도이다.
제3도는 어깨띠의 통상상태와 팽창상태를 표시하는 제1도에 있어서의 III-III선을 따르는 단면도이다.
제4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평편물로 이루어진 가로편물의 편물포에 의하여 형성된 웨빙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5도는 편물포로서 고무편물의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6도는 편물포로서 퍼얼편물(pearl stitch)의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7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버클장치, 텅 및 가스발생장치를 표시하는 분해사시도이다.
제8도에서 (a)는 텅측캡을 표시하는 도면.
(b)는 버클측캡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9도는 버클장치와 텅이 걸어 맞추어진 상태를 표시하는 부분단면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고, 유사퍼얼편물으로 이루어진 세로편물의 편물포에 의하여 형성된 웨빙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고, 평편물의 가로편물로 이루어진 편물포에 날실을 끼워 넣은 웨빙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12도는 싱글덴비(single denbigh)의 세로편물으로 된 편물포에 날실을 끼워넣은 웨빙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13도는 세로편물로 된 편물포에 날실을 끼워 넣은 웨빙의 다른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14도는 세로편물로 된 편물포에 날실을 끼워 넣은 웨빙의 또 다른 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15도는 편물포에 사용되는 편물실의 하중-신장특성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16도는 본 발명의 팽창식 안전띠장치에 사용되는 텅의 변형예을 표시하는 평면도이다.
제17도는 종래의 팽창식 안전띠의 접어 포개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제18도는 종래의 팽창식 안전띠의 다른 접어 포개는 방법을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팽창식 안전띠장치 2 : 어깨띠
3 : 무릎띠 4 : 버클장치
4a : 가스유통구멍 4b : 버클본체
4d : 홈 4f : 포올
4g, 4j, 4r : 스프링 4k : 상측커버
4m : 조작버튼 4q : 하측커버
5 : 텅 5a : 가스유통구멍
5c : 홈 5d :결합부
6 : 중간가이드 7 : 크램프가 달린 안전띠 리트랙터
8 : 안전띠 리트랙터 9 : 가스발생기(가스발생장치)
10 : 여과기 11, 12 : 캡
13, 14 : 날실 15 : 웨빙
16 : 튜우브 17 : 커버
본 발명은 적어도 일부가 자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통상시는 띠모양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긴급시에 가스발생장치로부터의 가스에 의하여 팽창하는 웨빙(webbing)을 보유하는 팽창식(inflatable) 안전띠(seat belt)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예컨데 자동차등의 차량의 좌석에는 안전띠장치가 부착 설치되어 있는 것이 많이 있으나, 안전띠장치는 차량충돌시등의 긴급시에 있어서 웨빙에 의하여 승무원을 구속하여 차체에 충돌하는 것에 의한 부상으로부터 승무원을 보호하도록 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안전띠장치에 있어서는 승무원을 구속하는 띠를 구성하는 웨빙의 폭이 그렇게 넓지 않으므로 승무원은 웨빙에 의하여 구속되었을 때 비교적 큰 하중을 국부적으로 받게 된다.
이와 같은 일로 인하여 웨빙을 자루형상으로 형성하여 통상시에는 이 자루형상의 웨빙을 띠모양으로 형성하여 일반적인 안전띠로서 기능시키고, 긴급시에는 가스발생장치로부터 분출하는 가스를 이 자루형상의 웨빙에 도입하므로서 웨빙을 팽창시켜서 이 팽창한 웨빙에 의하여 승무원을 보호하도록 하는 에어벨트로서 기능시킨 팽창식 안전띠장치가 예컨대 일본국 특개소 47-26830호 공보나 일본국 특개소 49-88220호 공보 등에서 여러가지로 제안되고 있다. 이와 같은 팽창식 안전띠장치에 의하면 웨빙이 승무원의 운동에너지를 보다 넓은 면적에서 받게된다. 이것에 의하여 하중이 분산되므로 승무원이 받는 하중은 비교적 작은 것이 되어 승무원은 보다 더 한층 효과적으로 보호되도록 된다.
또 뒷좌석에 있어서는 앞자석의 승무원을 위하여 설치되는 에어백장치를 설치하고자할 때 그 에어백장치를 뒷자석의 전방에 있는 앞좌석에 설치하지 않을 수 없지만 에어백장치를 앞좌석에 설치할 경우 앞좌석이 승무원에 의하여 전후방향으로 위치가 달라지거나 등받이 각도가 변하기 때문에 에어백장치가 뒷자석의 승무원을 적절하고 효과적으로 보호하도록 하는 것은 어렵다. 따라서, 전술한 팽창식 안전띠장치는 이와 같은 뒷좌석에 대해서는 특히 유효하다.
그런데 통상시에 자루형상의 웨빙을 띠형상으로 형태를 유지하는 방법으로 종래부터 여러가지의 방법이 채용되고 있다. 예컨데 미국특허 제3865398호 명세서 및 도면에 표시되어 있는 띠형상의 형태유지방법이 있다. 이 형태유지방법은 제1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웨빙(W)의 양측단(W1)(W2)을 반대편으로 접고, 그 반대편으로 접은부분을 죔쇠(fastener)등의 적당한 걸림장치(F)에 의하여 걸어 소정폭의 띠 형상으로 형성한다. 그리고 웨빙(W)을 에어벨트로서 기능시킬 때는 자루형상의 웨빙(W)내에 가스를 공급하여 웨빙(W)을 팽창 전개시킨다. 웨빙(W)이 팽창 전개할 때에 그 팽창력에 의하여 걸림장치(F)에 의한 걸림이 해제되고 반대편으로 접은 부분(W1)(W2)이 원래의 상태로 되돌아가고 웨빙(W)이 띠형상의 형상폭보다도 더 크게 팽창전개한다.
또 다른 형태유지방법으로서 예컨데 제18도에 표시하는 것 같은 방법이 고려된다. 이 형성방법은 자루형상의 웨빙(W)의 양측단(W1)(W2)이 안쪽으로 들어가도록 하여 웨빙(W)을 소정폭의 띠형상으로 접어 포개고 커버(C)에 의하여 웨빙(W)을 띠형상의 접어 포갠 상태로 형태를 유지한다. 웨빙(W)의 팽창전개시레 그 팽창력으로 커버(C)의 봉착부가 끊어지는 것에 의하여 전술한 형태유지방법과 동일하게 웨빙(W)은 크게 팽창 전개한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의 웨빙(W)의 형태유지 방법에서는 어느 것이나 자루형상의 웨빙(W)을 처음에 팽창한 상태의 크기로 형성하고, 그것을 접어 포개므로서 안전띠를 위한 소정폭의 띠형상으로 형태를 유지하도록 되어 있다. 이 때문에 웨빙(W)은 접어 포갠 두께가 두껍게 되어 부피가 늘어나므로 안전띠 장착시에 승무원에 적합하지 않아 장착느낌이 거북함과 아울러, 안전띠의 안내를 원활하게 행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웨빙(W)의 팽창시에는 웨빙(W)이 접어 포개져 있기 때문에 자루형상의 웨빙(W)내에 가스가 공급되어도 원활하게 팽창하기 어렵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웨빙(W)의 접어 포개는 작업이 필요하게 되어 작업공수가 많을 뿐 아니라. 웨빙(W)의 폭을 미리 팽창 전개한 상패로 재단할 필요가 있으므로 기포(基布)의 사용량이 많다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은 이와 같은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그 목적은 통상시 띠형상으로 형태유지한 상태에서는 웨빙이 두꺼워져 부피가 늘어나지 않도록 하고, 또, 접어 포개는 공정을 생략할 수 있게 함과 아울러 기포의 사용량을 삭감할 수 있고, 더우기 긴급시에 웨빙을 확실하고 신속하게 팽창시킬 수 있는 팽창식 안전띠장치를 제공하는데에 있다.
전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청구항 제1항의 발명은 차량충돌시등의 긴급시에 발생하는 차량감속도가 제1설정감속도를 초과했을 때 작동하여 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장치와, 승무원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가 자루형상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가스발생장치로부터 가스가 발생하지 않을 때에는 소정폭의 띠형상으로 형태가 유지됨과 아울러 상기한 가스발생장치로부터 가스가 발생될 때는 그 가스에 의하여 상기한 자루형상부분이 팽창하는 웨빙과, 차량감속도가 상기한 제1설정감속도보다 작은 제2설정감속도이하일 때는 이 웨빙의 감기 및 인출을 자유롭게 설정함과 아울러, 차량감속도가 상기한 제2설정감속도를 초과했을 때는 상기한 웨빙의 인출을 저지하는 리트랙터와, 상기한 웨빙에 연결된 텅과, 이 텅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 넣어 걸어 맞추는 버클장치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는 팽창식 안전띠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웨빙의 상기한 자루형상부분이 편물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 청구항 제2항의 발명은 상기한 편물포가 가로편물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제3항의 발명은 상기한 편물포가 세로편물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제4항의 발명은 상기한 편물포에 날실을 끼워 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제5항의 발명은 상기한 웨빙의 자루형상부분에 상기 가스에 의하여 팽창 가능한 튜우브가 끼워 넣어겨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청구항 제6항의 발명은 상기한 튜우브가 우레탄고무 또는 실리콘고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또한 청구항 제7항의 발명은 상기한 텅이 상기한 웨빙의 상기한 자루형상부분에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텅에 가스유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버클장치에 가스 발생장치가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가스발생장치에 연통하는 가스유통구멍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텅에 형성된 가스유통구멍과 상기한 버클장치에 형성된 가스유통구멍은 상기한 텅이 상기한 버클장치에 끼워 넣어 걸어 맞추었을 때, 상기한 가스발생장치에서 발생한 가스를 상기한 웨빙의 자루형상부분에 도입하는 가스유통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고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한 본 발명에 관한 팽창식 안전띠장치에 있어서는 차량감속도가 제2설정감속도보다 크고 제1설정감속도 이하일 때는 가스발생장치가 작동하지 않고, 이 때에는 웨빙이 소정폭의 띠 형상으로 형태가 유지됨과 아울러 날실이 그 하중-신장특성에 의하여 거의 늘어나지 않으므로 웨빙은 승무원을 확실하게 구속하게 된다. 따라서 팽창식 안전띠장치는 종래의 일반적인 안전띠장치와 동일한 안전띠기능을 발휘한다.
또 차량감속도가 제1설정감속도보다 클 때는 가스발생장치가 작동하여 가스를 발생하므로 이 가스에 의하여 웨빙의 자루형상부분이 팽창한다 이 경우 이 자루형상부분의 팽창은 가스에 의하여 웨빙의 자루형상부분의 팽창시에 있어서의 팽창력으로 씨실이 늘어나는것에 의하여 행하여진다. 팽창한 웨빙의 자루형상부분에 의하여 승무원이 확실하게 받아 지지되게 되므로 승무원의 운동에너지가 넓은 면적에서 받아지게되므로 그 결과 하중이 분산되어 승무원은 큰 충격하중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되게 된다. 즉, 팽창식 안전띠장치는 에어벨트의 기능을 발휘하게 된다. 더우기 이 때에도 날실은 거의 늘어나지 않으므로 팽창식 안전띠장치는 안전띠기능을 발휘한다.
또한 가스발생장치로부터의 가스에 의하여 웨빙이 팽창할 때 웨빙기포의 씨실이 늘어나므로 웨빙기포의 폭을 팽창후의 비교적 큰 폭으로 설정할 필요는 없고, 통상시의 안전띠의 소정폭과 동일하게 설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웨빙을 접어 포갤 필요가 없게 기어 통상시의 안전띠의 두께를 극히 얇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안전띠의 인출·감기를 원활하게 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안전띠 리트랙터의 띠감기 용량이 작아도 되므로 안전띠 리트랙터를 보다 더 한층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안전띠를 접어 포갤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안전띠 결합시에 수고되는 안전띠의 접어 포개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공수가 절감됨과 아울러 띠를 극히 간단하게 결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안전띠를 구성하는 통형상의 웨빙의 편물포는 납작하게 한 상태의 폭이 통상 안전띠의 폭으로 설정할 수 있으므로 종래의 팽창식 안전띠에 비하여 기포의 사용량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웨빙에 편물포를 사용하므로서 직물포에 비하여 가로방향으로 늘어남이 크고 세로방향으로 작다고 하는 극히 양호한 신축특성이 얻어지게 된다.
이하, 도면을 사용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팽창식 안전띠장치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개략적이 전체구성도, 제2도는 이 실시예에 사용되는 어깨띠를 표시하고 (a)는 각 구성요소를 축방향으로 평행이동하여 표시하는 사시도, (b)는 횡단면도이다. 또 제3도는 어깨띠의 통상상태와 팽창상태를 표시하는 제1도에 있어서의 III-III선에 따르는 단면도, 제4도는 이 실시예의 웨빙을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1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팽창식 안전띠장치(1)는 승무원의 좌우한쪽의 편측(도면의 예에서 승무원의 우측)에서 다른쪽으로 상하방향으로 비스듬하게 연달아 설치되는 어깨띠(2)와 좌우한쪽의 편측(도면의 예에서는 승무원의 우측)에서 다른쪽으로 연달아 설치되는 무릎띠(3)와 차체바닥부등에 고정된 띠(미도시)에 연결되는 버클장치(4)와, 띠장착시에 버클장치(4)에 끼워 넣어 걸리는 텅(5)과, 센터필러(center pillar)등의 차체에 배설되어 어깨띠(2)를 안내하는 중간가이드인 필러앵커(pillar anchor)(6)와 어깨띠(2)를 감기하는 크랩프가 달린 리트랙터(7), 무릎띠(3)를 감기하는 리트랙터(8)와, 버클장치(4)에 연결된 가스발생장치인 가스발생기(gas generator : G,G)(9)를 구비하고 있다.
어깨띠(2)는 승무원이 접촉하는 부분 즉 어깨, 흉부, 복부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고, 한쪽 끝이 텅(5)에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다른쪽 끝이 차체에 고정된 안전띠 리트랙터(ELR)(7)에 연결되어 있다.
제2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 어깨띠(2)는 통형상의 웨빙(15)과, 이 웨빙(15)내에 끼워 넣어진 예컨대 우레탄고무 또는 실리콘고무 등으로 비교적 얇게 형성할 수 있고, 더욱이 내열성이 있음과 아울러 강도가 비교적 큰 탄성재로 이루어진 튜우브(16)와, 웨빙(15)을 덮는 예컨대 폴리에스테르 등의 수지로 이루어진 커버(17)로 형성되며, 안전띠 리트랙터(7)에 연결되는 측의 끝부분이 막혀 자루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자루형상의 어깨띠(2)는 제3도에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시에는 납작한띠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 때 어깨띠(2)는 통상의 일반적인 어깨띠의 폭과 대략 같은 정도의 소정폭(예컨대 50mm)으로 되도록 설정되어 있다. 가스발생기(9)로부터의 반응가스 도입시에는 어깨띠(2)는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크게 팽창전개하도록 되어있다. 그리고 어깨띠(2)의 한쪽끝이 텅(5)의 다른끝부분 외주에 끼워 맞추어져 연결되어 있으나 이 경우 이 연결부는 반응가스가 새나가지 않도록 기밀(氣密)상태로 유지되어 있다.
어깨띠(2)의 웨빙(15)은 가로편물에 의하여 통형상으로 짜여진 편물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다. 가로편물의 기본조직으로서 제4도에 표시하는 것 같은 평편물, 제5도에 표시하는 것 같은 고무편물 및 제6도에 표시하는 것 같은 퍼얼(pearl)편물이 있다.
제4도에 표시하는 평편물은 가장 간단한 조직으로 평편물의 코가 연속해서 나란히 된 것이고, 표면과 이면의 구별이 있다. 제4도의 (a)는 평편물의 표면의 코를 표시하고 있고 종방향으로 표면코의 웨일(wale)(w)이 연속하여 나란히 됨과 아울러, 횡방향에 표면코의 코오스(course)(c)가 연속해서 나란히 되어 있다. 또 제4(b)도는 평편물의 이면의 코를 표시하고 있고 종방향으로 이면코의 웨일(W')이 연속하여 나란히 되어 있으며 횡방향으로 이면코의 코오스(C')가 연속하여 나란히 되어 있다. 그리고 웨일(W)이 웨빙(15)의 길이방향으로, 또 코오스(C)가 웨빙(15)의 폭방향으로 배치되어 있다.
또 제5도에 표시하는 고무편물은 종방향으로 표면코의 웨일(W)과 이면코의 웨일(W')이 번갈아서 나란히 된 편물코를 보유하고 있다. 따라서 코오스는 표면코의 코오스(C)와 이면코의 코오스(C')가 번갈아 배열되어 있다. 제5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하나의 웨일마다 표면코와 이면코를 배열한 것을 1×1고무편물이라 하고, 기타 2×1고무편물이나 2×2고무편물 등의 여러가지의 변화고무편물이 있다. 이 편물지는 표면과 이면의 구별이 없고 표면의 코만이 외관을 나타낸다 이 고무편물은 횡방향(제5도에 있어서 좌우방향)에 대하여 현저한 신축성이 있다.
또한 제6도에 표시하는 퍼얼편물은 횡방향으로 표면코의 코오스(C)와 이면코의 코오스(C')가 번갈아 나란히 되는 편물코이며 표면과 이면의 구별이 없고 이면코만이 외관을 나타낸다. 이 경우의 웨일은 표면코의 웨일(W)과 이면코의 웨일(W')이 번갈아서 배열되어 있다. 이 퍼얼편물은 종방향에 대하여 신축성이 있다.
그리고 이들의 각 편물법에 의하여 형성된 가로편물의 편물포를 사용하여 편물코의 신축특성을 폭방향으로는 크게 신축가능하게, 또 길이방향으로 약간만 신축하도록 제작한다. 실제로 고무편물로 이루어지는 가로편물생지(生地)에 의하여 폭 50mm의 통형상의 웨빙을 만들면 횡방향으로 크게 늘어나는 신축특성을 보유하는 웨빙(15)을 얻을 수 있었다. 또 고무편물로 이루어진 가로메리야스(knitted fabric)생지에 의하여 폭50mm의 통형상의 웨빙(15)을 만들어 이 웨빙(15)내에 튜우브를 끼워 넣어 이 튜우브내에 내압을 가하면 횡방향으로 크게 팽창함과 아울러 종방향으로 수축하는 특성을 보유하는 웨빙이 얻어졌다. 이 웨빙이 횡방향으로 크게 팽창하는 것에 의하여 띠폭이 넓어져 인체에 맞닿아 누루는 면적이 중대하고 이것으로 인하여 인체에 대한 충격이 완화되어 인체를 확실하게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또 웨빙이 종방향으로 수축하는 것에 의하여 안전띠의 프리텐션의 효과가 얻어지게 된다.
또한 고무편물의 코오스(C)(C')밀도를 바꾸는 것에 의하여 웨빙의 횡방향의 팽창크기를 조정할 수 있게 된다. 따라서 웨빙의 필요한 부분을 팽창시켜 크게 되도록 함과 아울러 불필요한 부분을 수축하도록 설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웨빙을 형성하므로서 에어벨트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으면서 가스의 발생량을 작게 할 수 있다. 무릎띠(3)는 종래의 일반적인 안전띠와 마찬가지의 보통(normal)띠로 형성되고 그 한쪽 끝이 텅(5)에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다른쪽 끝이 차체에 고정된 안전띠 리트랙터(ELR)(8)에 연결되어 있다.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 칼이 텅(5)은 가스유통구멍(5a)을 보유하는 원통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부(5b)의 외주에 어깨띠(2)가 기밀하게 끼워 맞추어져 연결되도록 되어 있다. 또 텅(5)의 타단부에는 후술하는 포올(제7도에는(4f)로 표시되어 있다)이 걸어 맞추어지는 흠(5c)을 보유하는 결합부(5d)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결합부(5d)의 타단부측은 경사면(5e)로 되어 있다. 또한 텅(5)의 대략 중앙부에는 무릎띠(3)가 연결되는 연결부(5f)가 형성되어 있다 텅(5)의 가스유통구멍(5a)내에는 일단부(5b)측에 위치한 여과기(10)가 T캡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음과 아울러 타단측에는 텅측캡(11)(제9도에 명료하게 표시되어 있다)이 설치되어 있다. 여과기(10)는 어깨띠(2)로 유동하는 가스의 열을 냉각함과 아울러 어깨띠(2)로 이물질이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또 텅측캡(11)은 제8(a)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절결홈(11a)이 설치되어 있어 통상시에는 이 캡(11)은 텅(5)의 가스유통구멍(5a)을 밀폐하여 이물질이 가스유통구멍(5a)내로 칩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긴급시의 가스발생시에는 그 가스의 압력으로 절결홈(11a)로부터 용이하게 갈라져서 가스유통로를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텅(5)은 원통형상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가스유통구멍(5a)을 그렇게 크게 형성할 필요는 없으므로 전체적으로 콤팩트하게 형성할 수 있고 버클장치(4)로의 붙였다 떼었다 함에 있어서 조작성이 양호하게 되어 있다.
제7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버클장치(4)는 가스유통구멍(4a)을 보유하는 원통형상의 버클본체(4b)를 구비하고 있고 이 버클본체(4b)의 일단부에 텅(5)의 타단부가 가스유통구멍(4a)내로 끼워 넣어지도록 되어 있다. 또 버클본체(4b)의 타단부에는 가스발생기(9)가 끼워 맞추어 고정되도록 되어 있다. 또한 버클본체(4b)의 외주면에는 돌출부(4c)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출부(4c)에 포올(4f)이 끼워 맞추어 걸리는 홈(4d)이 축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음과 아울러 돌출부 및 버클본체(4b)에 텅(5)의 결합부(5d)가 끼워 넣기 가능한 홈(4e)이 축방향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제7도 및 제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버클본체(4b)의 가스유통구멍(4a)내에는 이 가스유통구멍(4a)내에 끼워 넣어진 텅(5)을 탈출방향으로 미는 스프링(4g)이 배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스프링(4g)의 한쪽 끝에는 버클측캡(12)이 부착되어 있다. 이 버클측캡(12)은 텅(5)이 가스유통구멍(4a)내로 끼워 넣어지지 않고 스프링(4g)이 자유상태의 위치와 텅(5)이 가스유통구멍(4a)내로 끼워 넣어져서 압압되고 가스유통구멍(4a)의 단부(4h)에 접촉한 위치와의 사이에서 접동가능하게 되어 있다.
또 버클측캡(12)은 제8도(b)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절결홈(12a)이 설치되어 있고 통상시에는 이 캡(12)은 버클본체(4b)의 가스유통구멍(4a)을 밀폐해서 이물질이 캡(12)으로부터 가스발생기(9)측의 가스유통구멍(4a)내로 침입하는 것을 방지하고 있으나, 긴급시의 가스발생시에는 그 가스의 압력으로 절결홈(12a)로부터 용이하게 갈라져서 가스유통로를 확보하도록 되어 있다
제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홈(4d)에는 포올(4f)이 끼워 넣어져 있고, 이 포올(4f)은 판스프링으로 이루어진 스프링(4j)에 의하여 홈(4d)내로 끼워 넣어지는 방향으로 항상 밀리고 있다. 이에 의하여 텅(5)을 버클본체(4b)의 가스유통구멍(4a)내에 끼워 넣었을 때 텅(5)의 축방향이동에 따라서 포올(4f)이 텅(5)의 결합부(5d)에 있어서의 경사면(5e)에 의하여 상방으로 스프링(4j)의 미는 힘에 항거하여 밀려 올라가고, 텅(5)이 버클측캡(12)을 개재하여 가스유통구멍(4a)의 단부(4h)에 접촉하였을 때 텅(5)의 결합부(5d)에 있어서의 홈(5c)이 버클본체(4b)의 홈(4d)에 정합하는 것에 의하여 포올(4f)은 스프링(4j)의 미는 힘에 의해 흠(5c)에 끼워 넣어져 걸어 맞추어 지게 된다. 이 포올(4f)이 홈(5c)에 걸어 맞추어진 상태에서는 텅(5)은 버클본체(5b)로부터 탈출 불가능하게 된다. 이 스프링(4j)은 그 일단부가 버클장치(5)의 상측커버(4k)와 돌출부(4c)사이에 끼워 놓여 있다. 제7도에 표시하는 것 같은 상측커버(4k)에는 조작버튼(4m)이 끼워넣어지는 개구(4n) 및 텅(5)이 끼워 넣어지는 개구(4o)의 일부(4o1)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또 상측커버(4k)에는 걸림발톱(4p)이 형성되어 있고 이 걸림발톱(4p)이 상측 커버(4k)와 하측커버(4q)가 합해질 때 하측커버(4q)의 피걸림부(미도시)에 걸리는 것에 의하여 버클본체(4b)를 덮는 커버가 형성되도록 되어 있다. 하측커버(4q)에는 텅(5)이 끼워 넣어지는 개구(4o)의 타부(4o2)가 형성되어 있고 상측커버(4k)와 하측커버(4q)가 합해진 상태로 하나의 원형상의 개구(4o)가 형성된다.
상측커버(4k)의 개구(4n)에 진퇴이동 가능하게 끼워 넣어지는 조작버튼(4m)은 상측커버(4k)와의 사이에 수축 설치된 한쌍의 코일스프링(4r)에 의하여 개구(4n)에서 돌출하는 방향으로 항상 밀리고 있다. 이 경우 조작버튼(4m)의 양측에 형성된 걸림돌기(4s)가 상측커버(4k)의 소정위치에 설치된 피걸림부(미도시)에 걸리는 것에 의하여 조작버튼(4m)은 그 돌출량이 제한되도록 되어 있다. 걸림돌기(4s)가 상측커버(4k)의 피걸림부에 걸린 위치가 제9도에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조작버튼(4m)의 비작동 위치로 된다.
또 조작버튼(4m)에는 경사면(4t)를 보유하는 포올(4f)의 들어올림부(4u)가 좌우양측으로 한쌍 형성되어 있다. 들어올림부(4u)의 경사면(4t)은 조작버튼(4m)이 축방향으로 이동하였을 때 포올(4f)의 아래에 위치하도록 되어 있다. 그리고 제9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텅(5)과 버클장치(4)가 연결되어 있는 상태에서 조작버튼(4m)을 2점쇄선으로 표시하는 위치쪽으로 밀어 넣으면 이 조작버튼(4m)의 축방향 이동에 따라서 경사면(4t)과 포올(4f)의 하단에 맞닿게 되고 또한 이 포올(4f)을 상방으로 들어올리게 되므로 포올(4f)은 홈(4d),(5c)로부터 탈출하고 텅(5)과 버클장치(4)와의 걸어 맞추어진 것이 벗기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성을 한 본 실시예의 팽창식 안전띠장치(1)에 있어서는 제3도에 실선으로 표시하는 바와 같이 통상시 자루형상의 어깨띠(2)는 띠형상으로 형태가 유지되어 있다. 또 버클장치(4)와 텅(5)과의 비계합 상태에서는 터클장치(4)의 가스유통구멍(4a)이 캡(12)에 의하여 막혀 있음과 아울러 텅(5)의 가스유통구멍(5a)이 캡(11)에 의하여 막히게되어 있으므로 이물질이 가스발생기(9) 및 어깨띠(2)쪽으로 침입하는 일은 없다.
승무원이 좌석에 앉아서 텅(5)을 버클장치(4)에 끼워 넣어 걸리게 하는 것에 의하여 안전띠를 장착한다. 이 안전띠의 장착상태에서는 포올(4f)이 흡(5c)에 끼워 넣어져 걸어 맞추므로 텅(5)이 버클장치(4)에서 벗기어지는 일이 없고 텅(5)과 버클장치(4)와의 연결상태가 유지된다. 또 텅(5)과 버클장치(4)와의 연결상태에서는 가스유통구멍(4a)과 가스유통구멍(5a)이 꼭맞아서 하나의 가스유통로를 형성하게되나, 통상시에는 가스유통구멍(4a)과 가스유통구멍(5a)은 캡(11)(12)에 의하여 차단되어 있다.
또한 안전띠장착상태에서는 어깨띠(2) 및 무릎띠(3)가 각각 안전띠 리트랙터(7)(8)에 의하여 감기방향에 약한 힘으로 밀리고 있으나, 이 약한 힘은 승무원에 암박감을 주지 않을 뿐만 아니라 안전띠 리트랙터(7)(8)의 감기릴이 로크되지 않으므로 양쪽띠(2)(3)는 자유롭게 인출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승무원의 평상시의 동작에 추종하여 어깨띠(2) 및 무릎띠(3)의 인출 및 격납이 행하여 지게되어 안전띠의 쾌적성이 양호하게 된다.
차량의 운전증에 차량에 제2설정감속도 이상의 크기의 감속도가 작용하면 승무원은 관성력에 의하여 앞쪽으로 이동하려고 하여 양쪽띠(2)(3)를 압압한다. 이것에 의하여 양쪽띠(2)(3)는 각각 안전띠 리트랙터(7)(8)로부터 빠져나오려고 한다. 그러나 이 때 안전띠 리트랙터(7)(8)의 각 감속도 감지장치가 작동하여 각 감기릴이 잠금상태가 되므로 양쪽띠(2)(3)의 인출이 저지된다. 따라서 승무원은 어깨띠(2) 및 무릎띠(3)에 의하여 확실하게 구속되어 승무원의 전방이동이 방지된다. 이 경우 중간가이드(6)에 의하여 어깨띠(2)는 승무원의 올바른 위치에 접촉하게 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의 팽창식 안전띠장치(1)는 종래의 일반적인 안전띠장치와 동일한 승무원 구속기능을 발휘한다.
또 차량충돌시등에 의하여 제1설정감속도 이상의 극히 큰 감속도가 차량에 작용하는 긴급시에는 차량에 설치된 감속도 감지장치가 작동하고 가스발생기(9)가 작동해서 고압의 가스를 발생한다. 제9도에 있어서, 발생한 가스는 버클장치(4)의 가스유통구멍(4a)내에 순식간에 침입하여 버클측캡(12)에 충돌하여 이 캡(12)이 갈라진다. 이것에 의하여 가스유통로가 형성되고 또한 가스는 텅측캡(11)에 충돌하고 마찬가지로 이 캡(11)도 갈라진다. 이 결과 버클장치(4)측의 가스유통구멍(4a)과 텅(5)측의 가스유통 구멍(5a)이 연통하므로 가스발생기(9)는 어깨띠(2)와 직접 연통하고 가스발생기(9)와 어깨띠(2)의 사이에 가스유통로가 형성된다. 이 때문에 가스발생기(9)에서 발생한 가스는 가스유통구멍(5a)을 통하여 어깨띠(2)에 침입하므로 커버(2d)가 가스의 압력으로 벗겨져서 어깨띠(2)는 대략 순식간에 확실하게 팽창전개한다. 이 경우 가스발생기(9)에 있어서의 가스반응시의 잔재나 캡(11)(12)의 파편 등의 이물질은 여과기(10)에 의하여 포착되므로 이들의 이물질이 어깨띠(2)에 침입하는 일이 없다.
따라서 승무원은 이와 같이 팽창한 어깨띠(2)에 의하여 어깨나 가슴등의 상반신이 확실하게 받아 지지되게 된다. 그 경우 어깨띠(2)의 팽창에 의하여 승무원의 운동에너지가 넓은 면적에서 받아 지지되게 되므로 하중이 분산되어 승무원은 큰 충격하중으로부터 확실하게 보호되게 된다. 즉 팽창식 안전띠장치(1)는 에어벨트의 기능을 발휘한다.
또 어깨띠(2)의 팽창시에의 어깨띠(2)는 그 폭방향으로 크게 신장하지만 그 길이방향으로는 이 어깨띠(2)의 팽창에 의하여 약간 수축하므로 어깨띠(2)가 길이방향으로 약간 축소한다. 이 결과 어깨띠(2)의 팽창에 의하여 팽창식 안전띠장치(1)는 플리텐셔너의 기능을 발휘하여 안전띠의 느슨함이 흡수되게 된다. 이것에 의하여 팽창식 안전띠장치(1)는 안전띠기능을 확실하게 발휘하므로서 안전띠의 승무원 구속성능이 향상한다.
텅(5)과 버클장치(4)와 걸어 맞추어 진 것을 해방하기 위하여 조작버튼(4m)을 누르면 포올(4f)이 상승하여 홈(4d)(5c)로부터 탈출하고 텅(5)과 버클장치(4)와의 걸어 맞추어진 것이 벗겨진다. 이것에 의하여 스프링(4g)에 의하여 텅(5)이 탈출방향으로 밀리고 있으므로 텅(5)은 용이하게 버클장치(4)에서 이탈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실시예의 팽창식 안전띠장치(1)에 의하면 어깨띠(2)는 편물포에 의하여 형성된 웨빙(15)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폭방향으로 크게 팽창할 수 있으므로 통상시에는 단순히 납작하게 하여 통상의 안전띠의 폭으로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종래의 팽창식 안전띠장치에 있어서의 접어 포개진 어깨띠에 비하여 통상시의 어깨띠의 두께를 극히 얇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어깨띠의 인출 및 감기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안전띠 리트랙터(7)로의 띠의 감기용량이 작아지므로 안전띠 리트랙터(7)를 보다 더 한층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 어깨띠(2)는 접어 포갤 필요가 없으므로 띠 조립시에 손이 많이 가는 안전띠의 접어 포개는 작업이 불필요하여 작업공수를 삭감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안전띠를 극히 간단하게 조립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어깨띠(2)에 있어서의 웨빙(15)은 종래의 통상의 안전띠의 폭으로 설정되므로 종래의 팽창식 안전띠에 비하여 기포의 사용량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또 웨빙(15)을 형성하는 편물포로서 본 실시예에서는 세로편물에 의하여 짜여진 편물포를 사용한다. 세로편물로서는 제10도에 표시하는 것 같은 유사퍼얼편물이 있다. 그리고 다른 편물법 예컨데 싱글덴비(single denbigh), 다블트리코트(double trricot)혹은 푸렌트리코트드등에 의하여 세로편물로 이루어진 편물포에 의해서도 웨빙(15)을 형성할 수 있다. 웨빙(15)이 이 세로편물로 이루어진 편물포의 의하여 형성된 경우에도 전술한 가로편물과 동등한 작용효과를 얻을 수 있다.
제11도 내지 제1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는 도면이다. 제11도 내지 제14도에 표시하는 실시예에서는 각각 웨빙(15)을 형성하는 편물포에 날실을 끼워 넣은 것에 의하여 웨빙(15)의 세로방향(길이방향)의 강도를 크게 하고 있다. 즉 제11도에 표시하는 예에서는 평편물로 이루어진 가로편물의 편물포에 날실(13)을 끼워 넣어 웨빙(15)을 형성하고 있다. 또 제12도 및 제13도에 표시하는 싱글덴비에 의한 세로편물의 편물포에 날실(13)을 끼워 넣어 웨빙(15)을 형성하고 있다. 또한 제14도에 표시하는예에서는 제13도에 표시하는 웨빙에 다시 제2의 날실(14)을 끼워 넣어 웨빙(15)을 형성하고 있다.
이와 같이 편물포에 날실(13)(14)을 끼워 넣은 것에 의하여 웨빙(15)의 세로방향의 강도가 커지므로 어깨띠(2)의 세로방향의 늘어남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어깨띠(2)에 큰 인장력이 가해져도 이 힙은 이 날실(13)(14)에 의하여 지지되게 되므로 편물포를 형성하는 편물실에 비교적 가느다란 실을 사용할 수 있게 된다.
이와 같은 가로편물이나 세로편물로 이루어진 편물포를 사용하여 제작한 웨빙(15)은 구조로상 늘어남이 직물에 비하여 특히 크다. 또 이들의 편물포에 사용하는 실로서는 제15도에 표시하는 것 같은 하중-신장특성을 보유하는 실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또한 에어벨트의 효과를 더욱더 한층 충분히 얻을 수 있게 된다.
그리고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여러가지 설계변결이 가능하다. 예컨데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웨빙을 형성하는 편물포를 통형상으로 짠 것을 사용하도록 하고 있으나, 평포(平佈)를 두장 중합시켜 각각의 양측끝 가장자리를 접합하도록 하여도 좋고, 한장의 평포를 구부려서 그 양측가장자리를 접합하도록 하여도 좋다.
또 전술한 실시예에서는 텅(5)에는 어깨띠(2)에 연통하는 가스유통구멍(5a)만을 설치하도록 하고 있으나, 제16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텅(5)에 설치되는 가스유통구멍(5a)을 두갈래 형상으로 형성함과 아울러 무릎띠(3)를 자루형상띠로 형성하여 가스유통구멍(5a)을 어깨띠(2)외에 무릎띠(3)의 자루형상띠에도 연통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면 에어벨트의 효과를 더욱더 한층 높일 수 있게 되어 승무원의 보호를 더한층 효과적으로 행할 수 있다.
이상의 설명에서 명백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팽창식 안전띠장치에 의하면 종래의 일반적인 안전띠장치와 동일한 승무원을 구속하는 안전띠기능을 발휘시킬 수 있을 뿐만아니라, 승무원의 운동에너지를 넓은 면적에서 받아 지지시켜 주므로 승무원을 큰 충격 하중으로부터 보호하는 에어벨트의 기능을 확실하게 발휘시킬수 있다. 이 경우 웨빙을 접어 포개지 않으므로 팽창시에 웨빙을 신속하고 원활하게 팽창시킬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의하면 웨빙의 접어 포개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통상시의 안전띠의 두께를 극히 얇게 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하여 안전띠의 인출 및 감기를 원활하게 행할 수 있음과 아울러 안전띠 리트랙터의 안전띠 리트랙터의 띠감기용량이 작아지게 되므로 안전띠 리트랙터를 보다 더 한층 소형으로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안전띠를 접어 포갤 필요가 없기 때문에 안전띠 조립시에 수고가 많이되는 안전띠 접어 포개는 작업이 불필요하게 되어 작업공수가 삭감됨과 아울러 띠를 극히 간단하게 조립할수 있다.
또한 안전띠를 구성하는 통형상의 웨빙의 편물포는 납작하게한 상태의 폭이 통상의 팽창식 안전띠의 폭으로 설정되므로, 종래의 팽창식 안전띠에 비하여 기포의 사용량을 대폭 삭감할 수 있다.
또한 웨빙에 편물포를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직물포에 비하여 가로방향의 신장이 크고 세로방향으로는 작다고 하는 극히 양호한 신축특성을 얻을 수 있게 된다.

Claims (7)

  1. 차량충돌시 등의 긴급시에 발생하는 차량감속도가 제1설정감속도를 초과했을때 작동하여 가스를 발생하는 가스발생장치(9)와, 승무원 접촉부의 적어도 일부가 자루형상부분으로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가스발생장치(9)에서 가스가 발생하지 아니할 때는 소정폭의 띠형상으로 형태가 유지됨과 아울러, 상기한 가스발생장치에서 가스가 발생할 때에는 그 가스에 의하여 상기한 자루형상부분이 팽창하는 웨빙(15)과, 차량감속도가 상기한 제1설정감속도보다 작은 제2설정감속도 이하일 때는 이 웨빙(15)의 감기 및 인출을 자유롭게 설정함과 아울러, 차량감속도가 상기한 제2설정감속도를 초과할 때는 상기한 웨빙(15)의 인출을 저지하는 리트랙터(7)(8)와, 상기한 웨빙에 연결된 텅(5)자, 이 텅이 착탈 가능하게 끼워 넣어 걸어 맞추어지는 버클장치(4)를 적어도 구비하고 있는 팽창식 안전띠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웨빙의 상기한 자루형상부분이 편물포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안전띠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편물포는 가로편물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안전띠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한 편물포는 세로편물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안전띠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편물포에 날실(13)(14)을 끼워 넣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안전띠장치.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웨빙(15)의 상기한 자루형상부분에 상기한 가스에 의하여 팽창가능한 튜우브(16)가 끼워 넣어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안전띠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한 튜우브(16)는 우레탄고무 또는 실리콘고무로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팽창식 안전띠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한 텅(5)은 웨빙(15)의 상기한 자루형상부분에 연결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텅에 가스유통구멍(5a)이 형성되어있고, 상기한 버클장치(4)에 상기한 가스발생장치(9)가 설치되어 있음과 아울러, 이 가스발생장치에 연통하는 가스유통구멍(5a)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한 텅에 형성된 가스유통구멍(5a)과 상기한 버클장치에 형성된 가스유통구멍(4a)과는 상기한 텅이 상기한 버클장치에 끼워 넣어 걸어 맞추어졌을 때 상기한 가스발생장치에서 발생한 가스를 상기한 웨빙의 자루형상부분에 도입하는 가스유통로를 형성하도록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팽창식 안전띠장치.
KR1019930013158A 1992-08-06 1993-07-13 팽창식안전띠장치 KR10030656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2-210355 1992-08-06
JP21035592A JP3278075B2 (ja) 1992-08-06 1992-08-06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05455A KR940005455A (ko) 1994-03-21
KR100306562B1 true KR100306562B1 (ko) 2001-12-15

Family

ID=165880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13158A KR100306562B1 (ko) 1992-08-06 1993-07-13 팽창식안전띠장치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5385367A (ko)
JP (1) JP3278075B2 (ko)
KR (1) KR100306562B1 (ko)
CN (1) CN1088527A (ko)
DE (1) DE4326481C2 (ko)
FR (1) FR2694529B1 (ko)
GB (1) GB2270044B (ko)
IT (1) IT1314367B1 (ko)
MY (1) MY115770A (ko)
SE (1) SE9302563L (ko)
TW (1) TW251260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465999A (en) 1994-06-30 1995-11-14 Takata Corporation Inflatable seat belt having defined shape
US5466003A (en) * 1994-06-30 1995-11-14 Takata Corporation Inflatable seat belt having bag filter
US5466002A (en) * 1994-06-30 1995-11-14 Takata Corporation Inflatable seat belt with leak detection device
WO1997044215A1 (en) 1996-05-22 1997-11-27 Simula, Inc. Inflatable tubular bolster
US5839753A (en) * 1997-03-31 1998-11-24 Simula Inc. Inflatable tubular torso restraint system
US6126194A (en) * 1997-03-31 2000-10-03 Simula, Inc. Inflatable tubular torso restraint system
US6336656B1 (en) 1997-03-31 2002-01-08 Simula, Inc. Inflatable tubular torso restraint system with pivoting upper anchor point attachment
JPH1178775A (ja) * 1997-09-02 1999-03-23 Takata Kk エアベルト装置
JPH1178781A (ja) * 1997-09-02 1999-03-23 Takata Kk エアベルト装置
JP3598781B2 (ja) * 1997-12-03 2004-12-0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及びエアベルト装置
US6109647A (en) * 1997-12-15 2000-08-29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Seat-occupant restraining apparatus
FR2773755B1 (fr) * 1998-01-16 2000-03-24 Renault Equipement de securite pour la protection d'un passager d'un vehicule automobile comportant une ceinture de securite et un coussin gonflable associe
US6220626B1 (en) 1998-03-13 2001-04-24 Honda Giken Kogyo Kabushiki Kaisha Air belt apparatus
JP3726494B2 (ja) * 1998-05-27 2005-12-14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用タング及びエアベルト装置
EP0963885B1 (en) * 1998-06-09 2003-08-13 Takata Corporation Air belt system
JP3760632B2 (ja) 1998-06-09 2006-03-29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及びエアベルト装置
US6837079B1 (en) * 1998-06-09 2005-01-04 Takata Corporation Warp knitted fabric for air belt cover
US6267409B1 (en) * 1998-10-09 2001-07-31 Joalto Design, Inc. Vehicle restraint presenting system
JP4135273B2 (ja) * 1999-01-13 2008-08-20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カバー用たて編み物及びエアベルト装置
JP3899723B2 (ja) * 1999-03-10 2007-03-2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装置
JP3945100B2 (ja) * 1999-11-05 2007-07-1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及びエアベルト装置
JP4527268B2 (ja) * 2000-03-02 2010-08-18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用係止装置
GB0008547D0 (en) * 2000-04-06 2000-05-24 Scott & Fyfe Ltd Vehicle safety device
JP4380021B2 (ja) * 2000-05-11 2009-12-09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装置
US6709063B1 (en) * 2000-06-15 2004-03-23 Keiji Furukawa Automobile seat belt structure and assist apparatus thereof
US6951350B2 (en) * 2003-02-24 2005-10-04 Universal Propulsion Company, Inc. Seatbelt airbag
US7631896B2 (en) * 2005-04-15 2009-12-15 Indiana Mills & Manufacturing, Inc. Sleeper bunk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JP4670531B2 (ja) * 2005-08-02 2011-04-13 タカタ株式会社 エアベルト及びエアベルト装置
US20070096535A1 (en) * 2005-11-03 2007-05-03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Restraint system for a vehicle
EP2303645B1 (en) * 2008-06-20 2015-07-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Inflatable seat belt system
DE202008016802U1 (de) 2008-12-19 2009-04-02 E. Oppermann, Einbeck, Mechanische Gurt- Und Bandweberei Gmbh Gurt
DE102010045650B4 (de) * 2010-09-17 2015-11-12 Autoliv Development Ab Aufblasbarer Sicherheitsgurt
DE102010053311A1 (de) * 2010-12-02 2012-06-06 Daimler Ag Gurtband für einen Sicherheitsgurt eines Fahrzeugs
KR101305720B1 (ko) * 2011-06-03 2013-09-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차량용 에어벨트 장치
DE102011109612A1 (de) 2011-08-05 2013-02-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Aufblasbarer Sicherheitsgurt
DE102011109616A1 (de) 2011-08-05 2013-02-07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n. d. Gesetzen des Staates Delaware) Aufblasbarer Sicherheitsgurt
US9283913B2 (en) * 2013-03-01 2016-03-15 Trw Vehicle Safety Systems, Inc. Seat belt system
US10974083B2 (en) * 2015-02-06 2021-04-13 B/E Aerospace, Inc. Inflatable harness assembly for aircraft oxygen crew mask
JP6576679B2 (ja) * 2015-04-28 2019-09-18 Joyson Safety Systems Japan株式会社 エアベルト及びエアベルト装置
DE102017001998A1 (de) 2017-03-01 2017-10-12 Daimler Ag Sicherheitsgurt für ein Fahrzeug, insbesondere für ein Kraftfahrzeug
US10479162B2 (en) * 2017-12-07 2019-11-19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belt having tubes for air delivery
US10442392B2 (en) 2017-12-07 2019-10-1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belt system having air distribution manifold
US10569735B2 (en) * 2017-12-07 2020-02-25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ehicle seat belt system having uniform air delivery
US20190344743A1 (en) * 2018-05-14 2019-11-14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Seatbelt assembly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1416517A (en) * 1971-11-15 1975-12-03 Project Lab Ltd Safety belts
US3791670A (en) * 1972-09-21 1974-02-12 Allied Chem Band buckle for use with inflatable seat belts
US3841654A (en) * 1972-09-21 1974-10-15 Allied Chem Vehicle safety system
SE390623B (sv) * 1972-12-13 1977-01-03 Allied Chem Fordonssekerhetsbelte med ett uppblasbart band
JPS4988220A (ko) * 1972-12-27 1974-08-23
US3865398A (en) * 1973-02-05 1975-02-11 Toni Woll Expandable crash-restraining means
JPS576545Y2 (ko) * 1973-05-09 1982-02-06
US3929348A (en) * 1974-02-13 1975-12-30 Allied Chem Tongue for inflataband
FR2442058A1 (fr) * 1978-11-24 1980-06-20 Pierre Clausin Dispositif destine a tendre les ceintures de securite ou les systemes d'arrimage a bord des vehicules au moment d'un choc accidentel
DE3627519A1 (de) * 1986-08-13 1988-02-18 Overmans Olaf Elastisches material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seiner herstellung
JPS63258239A (ja) * 1987-04-14 1988-10-25 Mitsuharu Yamaguchi 膨張機能を有する人体緊締保護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656001A (ja) 1994-03-01
US5385367A (en) 1995-01-31
DE4326481C2 (de) 1999-09-02
ITMI931825A1 (it) 1995-02-12
TW251260B (ko) 1995-07-11
ITMI931825A0 (it) 1993-08-12
GB2270044B (en) 1995-11-01
IT1314367B1 (it) 2002-12-09
JP3278075B2 (ja) 2002-04-30
DE4326481A1 (de) 1994-03-31
FR2694529B1 (fr) 1995-03-17
SE9302563L (sv) 1994-02-07
MY115770A (en) 2003-09-30
CN1088527A (zh) 1994-06-29
SE9302563D0 (sv) 1993-08-05
KR940005455A (ko) 1994-03-21
FR2694529A1 (fr) 1994-02-11
GB9316212D0 (en) 1993-09-22
GB2270044A (en) 1994-03-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6562B1 (ko) 팽창식안전띠장치
KR100286132B1 (ko) 팽창식 안전띠장치
JP3113081B2 (ja)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USRE37280E1 (en) Inflatable seat belt having defined shape
US6276715B1 (en) Safety belt device with an inflatable belt
USRE36587E (en) Inflatable seat belt having bag filter
EP1087878B1 (en) Belt system with inflatable section within an outer belt section and method of restraint
JP3057116B2 (ja)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JP3460526B2 (ja) エアベルト装置
JP2019137319A (ja) 乗員拘束装置
JPH0585301A (ja)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JP3110882B2 (ja)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JPH05112199A (ja)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EP0904993B1 (en) Inflatable safety belt device
US6641165B2 (en) Air belt apparatus
JP3741850B2 (ja) 乗員拘束装置
JP3352136B2 (ja) 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JP3308348B2 (ja) シートベルト装置のプリテンショナ
JP2008100649A (ja) 乗員拘束装置
JPH11165605A (ja) エアベルト装置
JP2000025546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JPH06262997A (ja) テンションレスインフレータブルシートベルト装置
JP2001158317A (ja) エアベルト装置
US20240059243A1 (en) Occupant protection device
JPH10230807A (ja) シートベルト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