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04416B1 - 환식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의수소화물의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환식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의수소화물의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04416B1
KR100304416B1 KR1019980019147A KR19980019147A KR100304416B1 KR 100304416 B1 KR100304416 B1 KR 100304416B1 KR 1019980019147 A KR1019980019147 A KR 1019980019147A KR 19980019147 A KR19980019147 A KR 19980019147A KR 100304416 B1 KR100304416 B1 KR 10030441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ring
hydride
polymer
opening metathes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800191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7394A (ko
Inventor
타다히로 수나가
마스미 오키타
타다시 아사누마
Original Assignee
나까니시 히로유끼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나까니시 히로유끼, 미쓰이 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나까니시 히로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8739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739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0441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0441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08G61/04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08G61/06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liphatic carbon atoms prepared by ring-opening of carbocyclic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1/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1/02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 C08G61/04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liphatic carbon atoms
    • C08G61/06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liphatic carbon atoms prepared by ring-opening of carbocyclic compounds
    • C08G61/08Macromolecular compounds containing only carbon atoms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e.g. polyxylylenes only aliphatic carbon atoms prepared by ring-opening of carbocyclic compounds of carbocyclic compounds containing one or more carbon-to-carbon double bonds in the r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04Reduction, e.g. hydrogenati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5/00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to-carbon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oxymethylene Polymers And Polymers With Carbon-To-Carbon Bo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를 수소화해서 그의 수소화물을 높은 수율로 얻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특정의 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를, 수소의 존재하에, 하기 일반식(2):
MHkQmTpZq(2)
[식중, k는 0 또는 1의 정수, m은 1∼3의 정수, p는 0 또는 1의 정수, q는 2∼4의 정수, M은 루테늄, 로듐, 오스뮴, 이리듐, 팔라듐, 백금 또는 니켈원자, H는 수소원자, Q는 할로겐원자, T는 CO, NO, 톨루엔, 아세토니트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Z는 하기 일반식(3):
PR'1R'2R'3(3)
(식중, P는 인원자, R'1 ,R'2및 R'3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개별적으로, 직선형, 분기형 또는 환식 알킬기, 직선형, 분기형 또는 환식 알케닐기, 아릴기, 직선형, 분기형 또는 환식 알콕시기 및 아릴옥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임)으로 표시되는 유기인화합물임]로 표시되는 유기금속착물과 아민화합물로 이루어진 수소화촉매를 이용해서 수소화(즉, 수소첨가)하고,
상기 유기금속착물에 대한 아민화합물의 당량비가 0.1 내지 1,000의 범위인 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환식 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의 제조방법{PREPARATION OF HYDROGENATED PRODUCT OF CYCLIC OLEFIN RING-OPENING METATHESIS POLYMER}
본 발명은 환식(고리식) 올레핀 개환복분해(ring-opening metathesis)중합체의 수소화물(즉, 수소첨가물)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환식 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 및 공중합체의 수소화물은, 광학특성 및 전기특성이 우수한 동시한 강성, 내열성 및 내후성이 높은 수지로서 주목받고 있으므로, 이러한 각종 개환복분해중합체 및 이 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제조하는 방법이 다수 제안되어 있다.
환식 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의 주사슬에 있어서의 탄소-탄소이중결합을 수소화하는 방법이 몇 가지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면, 금속지지촉매인 비균질 촉매를 사용하는 방법이 있으며, 이 촉매에 있어서는, 탄소, 실리카, 알루미나, 티타니아, 마그네시아, 규조토 및 합성제올라이트 등의 담체(carrier)상에 팔라듐, 플라티늄, 로듐, 루테늄 또는 니켈 등의 금속이 지지되어 있다. 또, 일본국 특개평 3-174406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평 4-363312호 공보에는 각각 이들 몇몇 촉매를 사용해서 개환복분해중합체를 수소화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균질촉매로서는, 니켈나프테네이트/트리에틸알루미늄, 니켈아세틸아세토네이트/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코발트 옥타네이트/n-부틸리튬, 티타노센/디에틸알루미늄모노클로라이드, 로듐아세테이트, 디클로로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클로로하이드리도카르보닐트리스(트리페닐포스핀)루테늄 또는 클로로트리스(트리페닐포스핀)로듐이 사용된다. 일본국 특개평 5-239124호 공보 및 일본국 특개평 7-41549호 공보에는 각각 이들 몇몇 촉매를 사용해서 개환중합체를 수소화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금속지지촉매를 사용할 경우 수소화반응은 불균질하므로, 높은 수소화율을 얻기 위해서는 이러한 촉매를 다량 사용해야 한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한편, 균질촉매는 소량 사용하더라도 수소화반응이 진행되는 특성을 지니지만, 니켈, 코발트 또는 티탄의 유기염과 알루미늄, 리튬, 마그네슘 또는 주석 등의 금속을 함유하는 유기금속화합물로 이루어진 지글러촉매는, 물, 공기 또는 극성화합물에 의해 불활성화되므로, 처리가 복잡하고, 극성이 큰 용매는 사용할 수 없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또, 로듐의 착물 등의 금속착물은 값비싸며, 그들의 활성이 반드시 충분히 높은 것은 아니라고 하는 문제도 있다. 이들 촉매는, 예를 들면, 환식 올레핀 개환복분해중합체에 있어서의 탄소-탄소이중결합의 이웃에 큰 트리시클로도데센 고리가 있으므로 이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에 대해서 큰 입체장해를 지닌다. 따라서, 상기 중합체를 높은 수소화율로 수소화하는 것은 곤란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특히, 개환복분해중합체에 있어서 수산기, 카르보닐기, 카르복시기 및 니트릴기(nitrile group)등의 극성치환기가 있을 경우 해당 중합체를 높은 수소화율로 수소화하는 것은 곤란한 것으로 여겨지고 있다.
따라서, 니트릴기 등의 극성치환기를 지닌 환식 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에 있어서도 수소화를 높은 수소전화율로 용이하게 행하는 방법이 요구되고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전술한 문제점이 없고, 또한 환식 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제조하는 것이 가능한 새로운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전술한 문제점이 없는 환식 올레핀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의 제조방법을 예의 연구하여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즉,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환식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 방법은, 하기 일반식(1):
(식중, R1, R2, R3및 R4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개별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알콕시기, 할로겐원자, 탄소수 1∼12의 할로겐화알킬기, 시아노기, 카르복시기 및 알콕시카르보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고, x는 0∼3의 정수임)로 표시되는 환식 올레핀의 환식 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를, 수소의 존재하에, 하기 일반식(2):
MHkQmTpZq(2)
[식중, k는 0 또는 1의 정수, m은 1∼3의 정수, p는 0 또는 1의 정수, q는 2∼4의 정수, M은 루테늄, 로듐, 오스뮴, 이리듐, 팔라듐, 백금 또는 니켈원자, H는 수소원자, Q는 할로겐원자, T는 CO, NO, 톨루엔, 아세토니트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Z는 하기 일반식(3):
PR'1R'2R'3(3)
(식중, P는 인원자, R'1, R'2및 R'3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개별적으로, 직선형, 분기형 또는 환식 알킬기, 직선형, 분기형 또는 환식 알케닐기, 아릴기, 직선형, 분기형 또는 환식 알콕시기 및 아릴옥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임)으로 표시되는 유기인화합물임]로 표시되는 유기금속착물과 아민화합물로 이루어진 수소화촉매를 이용해서 수소화하고, 상기 유기금속착물에 대한 아민화합물의 당량비가 0.1 내지 1,0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본 발명의 환식 올레핀단량체로서는, x가 0인 비시클로헵텐의 유도체, x가 1인 테트라시클로도데칸의 유도체, x가 2인 헥사시클로 헵타데센의 유도체 및 x가 3인 옥타시클로도코센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치환기 R1, R2, R3및 R4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또는 달라도 된다.
각 치환기는 다음의 부재로부터 선택된다:
(1) 수소원자;
(2) 메틸기, 에틸기, 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부틸기, t-부틸기 및 시클로헥실기 등의 탄소수 1∼12의 알킬기;
(3) 페닐기 및 나프틸기 등의 아릴기;
(4) 벤질기, 페네틸기, 페닐이소프로필기, 2-나프틸메틸기, 2-나프틸에틸기 및 2-나프틸이소프로필기 등의 아랄킬기;
(5) 메톡시기, 에톡시기 및 멘톡시기 등의 알콕시기;
(6) 염소, 브롬, 요드 및 불소 등의 할로겐원자;
(7) 플루오로메틸기, 클로로메틸기, 브로모메틸기, 디플루오로메틸기, 디클로로메틸기, 디브로모메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트리클로로메틸기 및 트리브로모메틸기 등의 탄소수 1∼12의 할로겐화알킬기;
(8)시아노기;
(9) 카르복실기; 및
(10) 메톡시카르보닐기, 에톡시카르보닐기 및 메톡시카르보닐기 등의 알콕시카르보닐기.
특히 치환기의 적어도 1종의 니트릴기인 경우의 단량체가 바람직하며, 이 단량체의 예로서는, 이하와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1) 5-시아노비시클로[2.2.1]헵트-2-엔, 5-시아노-5-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디시아노비시클로[2.2.1]헵트-2-엔, 5-시아노-6-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시아노-6-메톡시비시클로[2.2.1]헵트-2-엔, 5-시아노-6-카르복시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시아노-6-카르복시비시클로[2.2.1]헵트-2-엔, 5-시아노-6-시아노비시클로[2.2.1]헵트-2-엔, 5-시아노-6-트리플루오로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시아노-6-플루오로비시클로[2.2.1]헵트-2-엔, 5-시아노-6-디플루오로비시클로[2.2.1]헵트-2-엔, 5-시아노-6-페닐비시클로[2.2.1]헵트-2-엔, 5-시아노-6-벤질비시클로[2.2.1]헵트-2-엔 및 5-시아노-6-시클로헥실비시클로[2.2.1]헵트-2-엔 등의 시아노비시클로헵트-엔류;
(2) 8-시아노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8-시아노-8-메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8-디시아노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8-시아노-9-메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8-시아노-9-메톡시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8-시아노-9-카르복시메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8-시아노-9-카르복시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8-시아노-9-시아노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8-시아노-9-트리플루오로메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8-시아노-9-플루오로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8-시아노-9-디플루오로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8-시아노-9-페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8-시아노9-벤질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및 8-시아노-9-시클로헥실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등의 시아노테트라시클로도데센류;
(3) 11-시아노헥사시클로[6.6.1.13,6.110,13.02,7.09,14]-4-헵타데센, 11-시아노-11-메틸헥사시클로[6.6.1.13,6.110,13.02,7.09,14]-4-헵타데센,11-디시아노헥사시클로[6.6.1.13,6.110,13.02,7.09,14]-4-헵타데센,11-시아노-12-메틸헥사시클로[6.6.1.13,6.110,13.02,7.09,14]-4-헵타데센, 11-시아노-12-메톡시헥사시클로[6.6.1.13,6.110,13.02,7.09,14]-4-헵타데센, 11-시아노-12-카르복시메틸헥사시클로[6.6.1.13,6.110,13.02,7.09,14]-4-헵타데센, 11-시아노-12-카르복시헥사시클로[6.6.1.13,6.110,13.02,7.09,14]-4-헵타데센, 11-시아노-12-시아노헥사시클로[6.6.1.13,6.110,13.02,7.09,14]-4-헵타데센, 11-시아노-12-트리플루오로메틸헥사시클로[6.6.1.13,6.110,13.02,7.09,14]-4-헵타데센, 11-시아노-12-플루오로헥사시클로[6.6.1.13,6.110,13.02,7.09,14]-4-헵타데센, 11-시아노-12-디플루오로헥사시클로[6.6.1.13,6.110,13.02,7.09,14]-4-헵타데센,11-시아노-12-페닐헥사시클로[6.6.1.13,6.110,13.02,7.09,14]-4-헵타데센,11-시아노-12-벤질헥사시클로[6.6.1.13,6.110,13.02,7.09,14]-4-헵타데센 및 11-시아노-12-시클로헥사시클로[6.6.1.13,6.110,13.02,7.09,14]-4-헵타데센 등의 시아노헥사시클로헵타데센류; 및
(4) 14-시아노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14-시아노-14-메틸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14-디시아노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14-시아노-15-메틸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14-시아노-15-메톡시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14-시아노-15-카르복시메틸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14-시아노-15-카르복시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14-시아노-15-시아노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14-시아노-15-트리플루오로메틸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14-시아노-15-플루오로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14-시아노-15-디플루오로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14-시아노-15-페닐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14-시아노-15-벤질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및 14-시아노-15-시클로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등의 시아노옥타시클로도코센류.
또, 예로서, 이하와 같은 것을 들 수도 있다:
(5) 비시클로[2.2.1]헵트-2-엔, 5-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에틸비시클로[2.2.1]헵트-2-엔, 5-카르복시비시클로[2.2.1]헵트-2-엔, 5-카르복시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5-벤질비시클로[2.2.1]헵트-2-엔,5-클로로비시클로[2.2.1]헵트-2-엔, 5-브로모비시클로[2.2.1]헵트-2-엔, 5-메톡시비시클로[2.2.1]헵트-2-엔, 5-에톡시비시클로[2.2.1]헵트-2-엔 및 5-메틸-6-메틸비시클로[2.2.1]헵트-2-엔 등의 비시클로헵트-엔유도체류;
(6) 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8-메틸테트라시클로[4.4.0. 12,5.17,10]-3-도데센, 8-에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8-카르복시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8-카르복시메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8-벤질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8-클로로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8-브로모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8-메톡시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8-에톡시테트라시클로[4.4.0.12,5. 17,10]-3-도데센, 8-메틸-9-메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8-메틸-9-카르복시메틸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 및 8-페닐테트라시클로[4.4.0. 12,5.17,10]-3-도데센 등의 테트라시클로도데센유도체류;
(7)헥사시클로[6.6.1.13,6.02,7.09,14]-4-헵타데센, 11-메틸헥사시클로[6.6.1. 13,6.02,7.09,14]-4-헵타데센, 11-에틸헥사시클로[6.6.1.13,6.02,7.09,14]-4-헵타데센, 11-카르복시헥사시클로[6.6.1.13,6.02,7.09,14]-4-헵타데센,11-벤질헥사시클로[6.6.1. 13,6.02,7.09,14]-4-헵타데센,11-카르복시메틸헥사시클로[6.6.1.13,6.02,7.09,14]-4-헵타데센,11-메톡시헥사시클로[6.6.1.13,6.02,7.09,14]-4-헵타데센,11-에톡시헥사시클로[6.6.1.13,6.02,7.09,14]-4-헵타데센 및 11-메틸-12-카르복시메틸헥사시클로[6.6.1. 13,6.02,7.09,14]-4-헵타데센 등의 헥사시클로헵타데센유도체류; 및
(8) 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14-메틸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14-에틸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14-카르복시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14-벤질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14-카르복시메틸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14-메톡시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14-에톡시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및 14-메틸-15-카르복시메틸옥타시클로[8.8.0.12,9.14,7.111,18.113,16.03,8.012,17]-5-도코센 등의 옥타시클로도코센유도체류.
단환식 올레핀으로서는, 시클로부텐, 시클로펜텐, 시클로헵텐, 시클로옥텐 등의 시클로올레핀류나, 시클로펜타디엔의 이량체를 들 수 있다. 특히 니트릴기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개환복분해중합시킬 경우, 얻어지는 중합체가 양호하고, 물성도 바람직하다.
이들 환식 올레핀단량체는 반드시 단독으로 사용할 필요는 없고, 임의의 비율로 조합해서 개환중합을 행해도 된다.
중합촉매로서는, 개환중합을 수행한다면 어떤 종류이든 본 발명에 사용할 수 있고, 개환복분해촉매의 예로서는 다음과 같다:
(1) W(N-2,6-C6H3Pri 2)(CHBut)(OBut)2, W(N-2,6-C6H3Pri 2)(CHBut)(OCMe2CF3)2, W(N-2,6-C6H3Pri 2)(CHBut)(OCMe2(CF3)2)2, W(N-2,6-C6H3Pri 2)(CHCMe2Ph)(OBut)2, W(N-2, 6-C6H3Pri 2)(CHCMe2Ph)(OCMe2CF3)2및 W(N-2,6-C6H3Pri 2)(CHCMe2Ph)(OCMe2(CF3)2)2, (식중, Pri는 이소프로필기, But는 tert-부틸기, Me는 메틸기, Ph는 페닐기임) 등의 텅스텐알킬리덴촉매류;
(2) W(N-2,6-Me2C6H3)(CHCHCMePh)(O-But)2(PMe3), W(N-2,6-Me2C6H3)(CHCHCMe2) (O-But)2(PMe3), W(N-2,6-Me2C6H3)(CHCHCPh2)(O-But)2(PMe3), W(N-2,6-Me2C6H3)(CHCHCMe Ph)(OCMe2(CF3))2(PMe3), W(N-2,6-Me2C6H3)(CHCHCMe2)(OCMe2(CF3))2(PMe3), W(N-2,6-Me2C6H3)(CHCHCPh2)(OCMe2(CF3)2)2(PMe3), W(N-2,6-Me2C6H3)(CHCHCMe2)(OCMe(CF3)2)2(PMe3), W(N-2,6-Me2C6H3)(CHCHCMe2)(OCMe(CF3)2)2(PMe3), W(N-2,6-Me2C6H3)(CHCHCPh2)(OCMe(CF3)2)2(PMe3), W(N-2,6-Pri 2C6H3)(CHCHCMePh)(OCMe2(CF3))2(PMe3), W(N-2,6-Pri 2C6H3)(CH CHCMePh)(OCMe(CF3)2)2(PMe3) 및 W(N-2,6-Pri 2C6H3)(CHCHCMePh)(OPh)2(PMe3)(식중, Pri는 이소프로필기, But는 tert-부틸기, Me는 메틸기, Ph는 페닐기임) 등의 기타 텅스텐 알킬리덴촉매류;
(3) Mo(N-2,6-Pri 2C6H3)(CHBut)(OBut)2, Mo(N-2,6-Pri 2C6H3)(CHBut)(OCMe2CF3)2, Mo(N-2,6-Pri 2C6H3)(CHBut)(OCMe(CF3)2)2, Mo(N-2,6-Pri 2C6H3)(CHCMe2Ph)(CHBut)2, Mo (N-2,6-Pri 2C6H3)(CHCMe2Ph)(OCMe2CF3)2및 Mo(N-2,6-Pri 2C6H3)(CHCMe2Ph)(OCMe(CF3)2)2(식중, Pri는 이소프로필기, But는 tert-부틸기, Me는 메틸기, Ph는 페닐기임)등의 몰리브데늄알킬리덴촉매류;
(4) Re(CBut)(CHBut)(0-2,6-Pri 2C6H3)2, Re(CBut)(CHBut)(0-2-ButC6H4)2, Re (CBut)(CHBut)(OCMe2CF3)2, Re(CBut)(CHBut)(OCMe(CF3)2)2및 Re(CBut)(CHBut)(0-2,6-Me C6H3)2(식중, But는 tert-부틸기임) 등의 레늄알킬리덴촉매류;
(5) Ta[C(Me)C(Me)CHMe3](0-2,6-Pri 2C6H3)3Py 및 Ta[C(Ph)C(Ph)CHMe3](0-2,6- Pri 2C6H3)3Py (식중, Me는 메틸기, Ph는 페닐기, Py는 피리딜기임) 등의 탄탈알킬리덴촉매류;
(6) Ru(CHCHCP2)(PPh3)2Cl2(식중, Ph는 페닐기임) 등의 루테늄알킬리덴촉매류; 및
(7) 티타노시클로부탄류.
상기 촉매는 단독으로 또는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 "올레핀복분해"(Kenneth J Ivin, Academic Press, New York 198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전이금속화합물과 촉진제로서의 루이스산을 배합한 기타 개환복분해촉매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개환복분해촉매는, 몰리브덴, 텅스텐, 바나듐 또는 티탄 등의 전이금속의 할라이드와, 촉진제로서의 유기알루미늄화합물, 유기주석화합물 또는 리튬, 나트륨, 마그네슘, 아연, 카드뮴 또는 붕소 등의 금속을 함유하는 유기금속화합물로 이루어져 있다.
전이금속할라이드의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1) MoBr2, MoBr3, MoBr4, MoCl4, MoCl5, MoF4, Mo0Cl4및 MoOF4등의 몰리브덴 할라이드류;
(2) WBr2, WBr4, WCl2, WCl4, WCl5, WCl6, WF4, WI2, WOBr4, WOCl4, WOF4, WCl4(OC6H4Cl2)2등의 텅스텐할라이드류;
(3) VOCl3및 VOBr3등의 바나듐할라이드류; 및
(4) TiCl4및 TiBr4등의 티탄할라이드류.
촉진제로서의 유기금속화합물의 예로서는 다음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1) 트리메틸알루미늄, 트리에틸알루미늄, 트리이소부틸알루미늄, 트리헥실알루미늄, 트리옥틸알루미늄, 트리페닐알루미늄, 트리벤질알루미늄, 디에틸알루미늄모노클로라이드, 디-n-부틸알루미늄모노클로라이드, 디에틸알루미늄모노브로마이드, 디에틸알루미늄모노아이오다이드, 디에틸알루미늄모노하이드라이드, 에틸알루미늄세스퀴클로라이드 및 에틸알루미늄디클로라이드 등의 유기알루미늄화합물류;
(2) 테트라메틸주석, 디에틸디메틸주석, 테트라에틸주석, 디부틸디에틸주석, 테트라부틸주석, 테트라옥틸주석, 트리옥틸주석플루오라이드, 트리옥틸주석클로라이드, 트리옥틸주석브로마이드, 트리옥틸주석아이오다이드, 디부틸주석디플루오라이드, 디부틸주석디클로라이드, 디부틸주석디브로마이드, 디부틸주석디아이오다이드, 부틸주석트리플루오라이드, 부틸주석트리클로라이드, 부틸주석트리브로마이드및 부틸주석트리아이오다이드 등의 유기주석화합물류;
(3) n-부틸리튬 등의 유기리튬화합물류;
(4) n-펜틸나트륨 등의 유기나트륨화합물류;
(5) 메틸마그네슘아이오다이드, 에틸마그네슘브로마이드, 메틸마그네슘브로마이드, n-프로필마그네슘브로마이드, t-부틸마그네슘클로라이드 및 아릴마그네슘클로라이드 등의 유기마그네슘화합물류;
(6) 디에틸납 등의 유기납화합물류;
(7) 디에틸카드뮴 등의 유기카드뮴화합물류; 및
(8) 트리메틸붕소, 트리에티붕소 및 트리-n-부틸붕소 등의 유기붕소화합물류.
개환복분해촉매 대 환식 올레핀단량체의 몰비는, 상기 촉매가 텅스텐, 몰리브덴, 레늄, 탄탈 또는 루테늄의 알킬리덴촉매류 및 티타노시클로부탄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인 경우 0.01:100∼10:000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0.1:100∼5:100이다. 개환복분해촉매중의 전이금속할라이드 대 환식 올레핀단량체의 몰비는, 상기 촉매가 전이금속할라이드와 유기금속화합물로 이루어진 경우 0.001:100∼5:100의 범위이며, 바람직하게는 0.01:100∼3:100이다. 또, 촉진제로서의 유기금속화합물 대 환식 올레핀단량체의 몰비는 0.005:100∼10:100, 바람직하게는 0.02:100∼5:100이다.
또, 개환복분해중합에 사용되는 용매로서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디부틸에테르 및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 및 에틸벤젠 등의 방향족 화합물류,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디메틸시클로헥산 및 데칼린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용매로서는, 메틸렌디클로라이드, 디클로로에탄, 디클로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및 트리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탄화수소류도 들 수 있으며, 이들 용매는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또한, 분자량을 조절하기 위하여, 개환복분해중합은,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이소부텐, 스티렌, 1-헥센, 4-메틸펜텐 및 헥사디엔 등의 올레핀화합물의 존재하에서 행해도 된다.
개환복분해중합에 있어서, 중합용매중의 단량체와 개환복분해촉매의 농도는, 단량체의 반응성 및 중합용매에 대한 단량체의 용해도에 의존하며, 바람직하게는 0.1∼100몰/ℓ범위이다. 통상, 반응온도는 -30∼150℃범위이고, 반응시간은 1분∼1시간 범위이다. 또, 알데하이드류, 케톤류 및 알콜류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불활성제를 이용해서 반응을 중지시켜 개환복분해중합체용액을 얻고 있다.
본 발명의 환식 올레핀단량체로 이루어진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반응에 있어서는, 유기금속착물과 아민화합물로 이루어진 수소화촉매를 이용해서 수소의 존재하에 수소화함으로써 그 수소화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일반식(2)로 표시되는 유기금속착물에 있어서의 M은 루테늄, 로듐, 오스뮴, 이리듐, 팔라듐, 백금 또는 니켈원자를 나타내고, H는 수소원자를, Q는 염소, 불소, 브롬 및 요드 등의 할로겐원자를, T는 CO, NO, 톨루엔, 아세토니트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을, Z는 트리메틸포스핀, 트리에틸포스핀, 트리이소프로필포스핀, 트리-n-프로필포스핀, 트리-n-부틸포스핀, 트리이소부틸포스핀, 트리-n-부틸포스핀, 트리시클로헥실포스핀, 트리페닐포스핀, 메틸디페닐포스핀, 디메틸페닐포스핀, 트리-o-톨릴포스핀, 트리-m-톨릴포스핀, 트리-p-톨릴포스핀, 디에틸페닐포스핀, 디클로로(에틸)포스핀, 디클로로(페닐)포스핀, 클로로디페닐포스핀, 트리메틸포스파이트, 트리이소프로필포스파이트 및 트리페닐포스파이트 등의 유기인화합물을 나타낸다.
또, 일반식(2)로 표시되는 유기금속착물의 예로서는, 디클로로비스(트리페닐포스핀)니켈, 디클로로비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 디클로로비스(트리페닐포스핀)백금, 클로로트리스(트리페닐포스핀)로듐, 디클로로트리스(트리페닐포스핀)오스뮴, 디클로로하이드리도비스(트리페닐포스핀)이리듐, 디클로로트리스(트리페닐포스핀)루테늄, 디클로로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루테늄, 트리클로로니트로실비스(트리페닐포스핀)루테늄, 디클로로비스(아세토니트릴)비스(트리페닐포스핀)루테늄, 디클로로비스(테트라하이드로푸란)비스(트리페닐포스핀)루테늄, 클로로하이드리도(톨루엔)트리스(트리페닐포스핀)루테늄, 클로로하이드리도카르보닐트리스(트리페닐포스핀)루테늄, 클로로하이드리도카르보닐트리스(디에틸페닐포스핀)루테늄, 클로로하이드리도니트로실트리스(트리페닐포스핀)루테늄, 디클로로트리스(트리메틸포스핀)루테늄, 디클로로트리스(트리에틸포스핀)루테늄, 디클로로트리스(트리시클로헥실포스핀)루테늄, 디클로로트리스(트리페닐포스핀)루테늄, 디클로로트리스(트리메틸디페닐포스핀)루테늄, 디클로로트리스(트리디메틸페닐포스핀)루테늄, 디클로로트리스(트리-o-톨릴포스핀)루테늄, 디클로로트리스(디클로로에틸포스핀)루테늄, 디클로로트리스(디클로로페닐포스핀)루테늄, 디클로로트리스(트리메틸포스파이트)루테늄 및 디클로로트리스(트리페닐포스파이트)루테늄 등을 들 수 있다.
아민화합물로서는, 메틸아민, 에틸아민, 아닐린, 에틸렌디아민 및 1,3-디아미노시클로부탄 등의 1차아민화합물류; 디메틸아민, 메틸이소프로필아민 및 N-메틸아닐린 등의 2차아민화합물류; 및 트리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트리페닐아민, N,N-디메틸아닐린, 피리딘 및 γ-피콜린 등의 3차아민화합물류 등을 들 수 있다. 특히 트리에틸아민을 사용할 경우 수소화율이 증가한다.
이들 유기금속착물 및 아민화합물은 개별적으로 2종이상을 임의의 비율로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환식 올레핀단량체의 개환복분해중합체에 대한 유기금속착물의 비율은 5∼50,000ppm(중량), 바람직하게는 10∼10,000ppm(중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50∼10,000ppm(중량)범위이다. 유기금속착물에 대한 아민화합물의 비율은 0.1∼1,000(당량), 0.5∼500(당량), 특히 바람직하게는 1∼100(당량)범위이다.
본 발명에 사용되는 유기금속착물과 아민화합물로 이루어진 수소화촉매로서는, 유기금속착물과 아민화합물을 미리 접촉시켜 얻어진 촉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이들을 미리 접촉시키지 않고 반응계에 유기금속착물과 아민화합물을 직접 첨가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반응에 사용하는 용매로서는, 용매자체가 해당 중합체를 용해시키지 않거나 수소화되지 않는다면 어떤 종류의 용매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매의 예로서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디에틸에테르, 디부틸에테르 및 디메톡시에탄 등의 에테르류, 벤젠, 톨루엔, 자일렌 및 에틸렌벤젠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류, 펜탄, 헥산 및 헵탄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등을 들 수 있다. 또, 용매로서는, 시클로펜탄, 시클로헥산, 메틸시클로헥산, 디메틸시클로헥산 및 데칼린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류, 메틸렌 디클로라이드, 디클로로에탄, 디클로에틸렌, 테트라클로로에탄, 클로로벤젠 및 트리클로로벤젠 등의 할로겐화 탄화수소류 등도 들 수 있고, 이들 용매는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된다.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반응(즉, 수소첨가반응)은, 통상 0.1MPa(대기압)∼29.5MPa(300kg/㎠G; 수소압), 바람직하게는 0.6∼19.7MPa(5∼200kg/㎠G; 수소압), 특히 바람직하게는 2.1∼14.8MPa(20∼150kg/㎠G; 수소압)의 압력에서 행한다. 반응온도는 통상 0∼300℃, 바람직하제는 실온∼250℃, 특히 바람직하게는 50∼200℃범위이다.
또, 개환복분해중합체를 개환복분해중합체용액으로부터 분리하고 재차 용매속에 용해시킬 경우에도 환식 올레핀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생성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어떠한 분리작업없이도 개환복분해중합체용액에 유기금속착물과 아민화합물로 이루어진 수소화촉매를 첨가하는 방법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개환복분해중합 또는 수소화반응의 완결후에 잘 알려진 방법에 따라 중합체속에 남아있는 개환복분해촉매 또는 수소화촉매를 제거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방법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즉, (1) 흡착제를 사용하는 흡착법. (2) 유산 등의 유기산, 빈용매(poor solvent; 용질을 녹이는 능력이 적은 용매) 및 물을 우량용매(good solvent; 용질을 녹이는 능력이 큰 용매)를 함유하는 용액중에 첨가하고, 그 혼합물을 실온 또는 고온에서 추출해서 제거하는 추출제거법. (3) 우량용매를 함유하는 용액 또는 중합체슬러리를 염기성 또는 산성 화합물과 혼합한 후, 세정 및 제거를 행하는 접촉법.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용액으로부터 수소화물을 회수하는 방법은 특히 제한되지 않고 공지의 방법이어도 된다. 이 방법은 예를 들면 다음과 같다. 즉, (1) 반응혼합물을 교반하에 빈용매에 넣어 중합체의 수소화물을 고형화하고, 여과, 원심분리 및 데칸테이션(decantation)을 통해 상기 수소화물을 회수하는 방법. (2) 반응혼합물에 수증기를 넣고 스팀스트리핑법으로 중합체의 수소화물을 결정화시키는 방법. (3) 가열하에 반응혼합물로부터 용매를 직접 제거하는 방법.
본 발명의 수소화법에 의하면, 수소화율을 90%이상 얻는 것이 용이하며, 또 95%이상, 특히 99%이상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 얻어진 환식 올레핀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은 쉽게 산화될 수 없어, 우수한 환식 올레핀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로 된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각종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히 설명하나, 본 발명의 범위는 이들 실시예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 각종 실시예에서 얻어진 중합체의 물성을 다음과 같은 방법에 따라 구했다.
평균분자량: GPC를 사용했다. 얻어진 환식 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 또는 이 중합체의 수소화물을 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검출기로서는, 830-RI 및UVIDEC-100-VI(니혼분코사제품)을 사용하고, 칼럼으로서는, 쇼덱스k-805, 804, 803 및 802.5를 사용하고, 실온에 있어서 유량 1.0㎖/min에서 폴리에틸렌표준을 이용해서 분자량을 교정하였다.
유리전이온도: DSC-50(시마즈세이사쿠쇼사제품)을 사용하고, 10℃/min의 승온속도로 질소흐름속에서 온도를 측정하였으며, 환식 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 및 이 중합체의 수소화물의 시료분말은 각각 3.5㎎이었다.
수소화율: 환식 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의 시료분말을 중수소화클로로포름에 용해시키고, 주사슬에 있어서의 탄소-탄소이중결합으로부터 얻어진 피크(δ=4.5∼6.0ppm, 90MHz-NMR)를 측정하고, 수소화에 의한 감소를 산출하였다.
실시예 1
질소분위기하, 자기교반장치를 갖춘 500㎖ 플라스크속에서, 8-시아노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10.00g, 54.20mmole)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400㎖)에 용해시키고, 교반을 행하였다. 이 용액에 개환복분해중합촉매로서 Mo(N-2,6-C6H3Pri 2)(CHCMe2Ph)(OBut)2(300㎎, 0.540mmole)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반응을 행한 후, 벤즈알데히드(252㎎, 2.700mmole)를 첨가하여, 더욱 30분간 교반하고, 반응을 정지시켰다.
이 개환복분해중합체용액에 트리메틸렌디아민(400㎎, 5.40mmole)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메탄올(2,000㎖)에 첨가하여 개환복분해중합체를 침전시켰다. 이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나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300㎖)에 재차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구연산(1.033g, 5.40mmole)을 첨가하고, 실온에서 30분간 교반하고 메탄올(1,500㎖)에 첨가한 후 세정하였다. 세정한 중합체를 진공건조하여 개환복분해중합체분말 10.00g을 얻었다.
다음에, 5,000㎖ 오토클레이브속에서 상기 개환복분해중합체분말 10.00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800㎖)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수소화촉매로서 제조된 디클로로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루테늄(5.0㎎, 0.004mmole) 및 트리에틸아민(2.1㎎, 0.020mmole)을 함유하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80㎖)용액을 첨가하고, 165℃, 8.4Mpa(85kg/㎠G)의 수소압하에서 5시간 수소화를 행하고, 온도를 실온까지 내려 수소가스를 방출하였다.
상기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그 체적이 절반으로 줄을 때까지 농축시키고, 이 농축액을 아세톤(800㎖) 및 메탄올(1,200㎖)로 이루어진 혼합액속에 교반하에 첨가하여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석출시키고, 상기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진공건조하여 백색분말형태의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얻었다. 얻어진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의1H-NMR데이터로부터 수소화율을 평가한 바, 주사슬의 올레핀프로톤에 기인하는 피크가 관측되지 않았으므로 수소화율은 100%였다. 또, GPC에 의하면, 중량평균분자량(Mw)은 18,300, 수평균분자량(Mn)은 18,260, Mw/Mn은 1.00이었다. 또한, DSC에 의하면, 유리전이온도는 207℃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개환복분해중합을 행하여 소정량의 개환복분해중합체분말을 얻었다. 다음에, 5,000㎖ 오토클레이브속에서, 상기 개환복분해중합체분말 10.00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800㎖)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수소화촉매로서 제조된 디클로로트리스(트리페닐포스핀)루테늄(5.0㎎, 0.005mmole) 및 트리에틸아민(3.0㎎, 0.026mmole)을 함유하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80㎖)용액을 첨가하고, 165℃, 8.4Mpa(85kg/㎠G)의 수소압하에서 5시간 수소화를 행하고, 온도를 실온까지 내려 수소가스를 방출하였다.
상기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그 체적이 절반으로 줄을 때까지 농축시키고, 이 농축액을 아세톤(800㎖) 및 메탄올(1,200㎖)로 이루어진 혼합액속에 교반하에 첨가하여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석출시켰다. 상기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진공건조하여 백색분말형태의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얻었다. 얻어진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의1H-NMR데이터로부터 수소화율을 평가한 바, 주사슬의 올레핀프로톤에 기인하는 피크가 관측되지 않았으므로 수소화율은 100%였다. 또, GPC에 의하면, 중량평균분자량(Mw)은 18,350, 수평균분자량(Mn)은 18,310, Mw/Mn은 1.00이었다. 또한, DSC에 의하면, 유리전이온도는 207℃였다.
실시예 3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개환복분해중합을 행하여 개환복분해중합체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에, 수소화촉매로서 제조된 디클로로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루테늄(5.0㎎, 0.004mmole) 및 트리에틸아민(2.1㎎, 0.020mmole)을 함유하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80㎖)용액을 첨가하고, 165℃, 8.4Mpa(85kg/㎠G)의 수소압하에서 5시간 수소화를 행하고, 온도를 실온까지 내려 수소가스를 방출하였다.
상기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그 체적이 절반으로 줄을 때까지 농축시키고, 이 농축액을 아세톤(800㎖) 및 메탄올(1,200㎖)로 이루어진 혼합액속에 교반하에 첨가하여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석출시켰다. 상기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진공건조하여 백색분말형태의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얻었다. 얻어진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의1H-NMR데이터로부터 수소화율을 평가한 바, 주사슬의 올레핀프로톤에 기인하는 피크가 관측되지 않았으므로 수소화율은 100%였다. 또, GPC에 의하면, 중량평균분자량(Mw)은 18,190, 수평균분자량(Mn)은 18,310, Mw/Mn은 1.00이었다. 또한, DSC에 의하면, 유리전이온도는 207℃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개환복분해중합을 행하여 소정량의 개환복분해중합체분말을 얻었다. 다음에, 5,000㎖ 오토클레이브속에서, 상기 개환복분해중합체분말 10.00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840㎖)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수소화촉매로서의 디클로로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루테늄(5.0㎎, 0.004mmole) 및 트리에틸아민(2.1㎎, 0.020mmole)을 함유하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40㎖)용액을 첨가하고, 165℃, 8.4Mpa(85kg/㎠G)의 수소압하에서 5시간 수소화를 행하고, 온도를 실온까지내려 수소가스를 방출하였다.
상기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그 체적이 절반으로 줄을 때까지 농축시키고, 이 농축액을 아세톤(800㎖) 및 메탄올(1,200㎖)로 이루어진 혼합액속에 교반하에 첨가하여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석출시켰다. 상기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진공건조하여 백색분말형태의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얻었다. 얻어진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의1H-NMR데이터로부터 수소화율을 평가한 바, 주사슬의 올레핀프로톤에 기인하는 피크가 관측되지 않았으므로 수소화율은 100%였다. 또, GPC에 의하면, 중량평균분자량(Mw)은 18,230, 수평균분자량(Mn)은 18,170, Mw/Mn은 1.00이었다. 또한, DSC에 의하면, 유리전이온도는 207℃였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서와 마찬가지로 개환복분해중합을 행하여 소정량의 개환복분해중합체분말을 얻었다. 다음에, 5,000㎖ 오토클레이브속에서, 수소화촉매로서의 디클로로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루테늄(5.0㎎, 0.004mmole)을 넣어, 용해시키고, 165℃, 8.4Mpa(85kg/㎠G)의 수소압하에서 5시간 수소화를 행하고, 온도를 실온까지 내려 수소가스를 방출하였다.
상기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그 체적이 절반으로 줄을 때까지 농축시키고, 이 농축액을 아세톤(800㎖) 및 메탄올(1,200㎖)로 이루어진 혼합액속에 교반하에 첨가하여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석출시켰다.상기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진공건조하여 백색분말형태의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얻었다. 얻어진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의1H-NMR데이터로부터 수소화율을 평가한 바, 수소화율은 2.8%였다. 또, GPC에 의하면, 중량평균분자량(Mw)은 18,100, 수평균분자량(Mn)은 18,020, Mw/Mn은 1.00이었다. 또한, DSC에 의하면, 유리전이온도는 236℃였다.
실시예 5
질소분위기하, 자기교반장치를 갖춘 500㎖ 플라스크속에서, 건조테트라하이드로푸란(40㎖)에 8-시아노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1.0g, 5.42mmole)을 용해시키고, 교반을 행하였다. 이 용액에 개환복분해중합촉매로서 Mo(M-2,6- C6H3Pri 2)(CHCMe2Ph)(OBut)2(30mg, 0.054mmole)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반응을 행한 후, 벤즈알데하이드(25.2mg, 0.27mmole)를 첨가하여, 더욱 30분간 교반하고, 반응을 정지시켰다.
이 개환복분해중합체용액에 트리메틸렌디아민(60㎎, 0.81mmole)을 첨가하고, 이 혼합물을 질소분위기하, 200㎖ 오토클레이브에 옮겨, 60℃, 0.5MPa(4kg/㎠G)의 수소압하에서 3시간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또한 메탄올(200㎖)에 첨가하여 개환복분해중합체를 석출시켰다. 이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나서, 진공건조하여 개환복분해중합체분말 1.00g을 얻었다.
다음에, 200㎖ 오토클레이브속에서 상기 개환복분해중합체분말 1.00g을 건조테트라하이드로푸란(54㎖)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수소화촉매로서 제조된 디클로로트리스(트리페닐포스핀)오스뮴(0.5㎎, 0.0005mmole) 및 트리에틸아민(0.21㎎, 0.0025mmole)을 함유하는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6㎖)용액을 첨가하고, 155℃, 8.5Mpa(86kg/㎠G)의 수소압하에서 5시간 수소화를 행하고, 온도를 실온까지 내려 수소가스를 방출하였다.
상기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아세톤(80㎖) 및 메탄올(120㎖)로 이루어진 혼합액속에 교반하에 첨가하여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석출시켰다. 상기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진공건조하여 백색분말형태의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얻었다. 얻어진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의1H-NMR데이터로부터 수소화율을 평가한 바, 주사슬의 올레핀프로톤에 기인하는 피크가 관측되지 않았으므로 수소화율은 100%였다. 또, GPC에 의하면, 중량평균분자량(Mw)은 18,260, 수평균분자량(Mn)은 18,230, Mw/Mn은 1.00이었다. 또한, DSC에 의하면, 유리전이온도는 209℃였다.
실시예 6
실시예 5에서와 마찬가지로 개환복분해중합을 행하여 개환복분해중합체용액을 얻었다. 이 용액에, 수소화촉매로서 디클로로트리스(트리페닐포스핀)오스뮴(0.5㎎, 0.0005mmole) 및 트리에틸아민(0.21㎎, 0.0025mmole)을 함유하는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5㎖)용액을 첨가하고, 155℃, 8.5Mpa(86kg/㎠G)의 수소압하에서 5시간 수소화를 행하고, 온도를 실온까지 내려 수소가스를 방출하였다.
상기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아세톤(80㎖) 및 메탄올(120㎖)로 이루어진 혼합액속에 교반하에 첨가하여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석출시켰다. 상기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진공건조하여 백색분말형태의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얻었다. 얻어진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의1H-NMR데이터로부터 수소화율을 평가한 바, 주사슬의 올레핀프로톤에 기인하는 피크가 관측되지 않았으므로 수소화율은 100%였다. 또, GPC에 의하면, 중량평균분자량(Mw)은 18,170, 수평균분자량(Mn)은 18,000, Mw/Mn은 1.01이었다. 또한, DSC에 의하면, 유리전이온도는 209℃였다.
실시예 7
실시예 5에서와 마찬가지로 개환복분해중합을 행하여 개환복분해중합체용액을 얻었다. 이 개환복분해중합체용액에 트리메틸렌디아민(60㎎, 0.81mmole)을 첨가하여, 이 혼합물을 질소분위기하, 200㎖ 오토클레이브로 옮기고, 60℃, 0.5MPa(4kg/㎠G)의 수소압하에서 3시간 혼합하고, 또한 이 혼합물을 메탄올(200㎖)에 첨가하여, 개환복분해중합체를 침전시켰다. 이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제거한 중합체를 재차 테트라하이드로푸란(54㎖)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구연산(0.13g, 0.54mmole)을 첨가한 후, 질소분위기하의 200㎖ 오토클레이브로 옮겨, 60℃, 0.5MPa(4kg/㎠G)의 수소압하에 3시간 혼합하였다. 이 혼합물을 또 메탄올(200㎖)에 첨가하여 개환복분해중합체를 석출시켰다. 이 중합체를 여과에의해 제거하고, 진공건조하여 개환복분해중합체분말 1.00g을 얻었다.
다음에, 200㎖ 오토클레이브속에서 상기 개환복분해중합체분말 1.00g을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54㎖)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수소화촉매로서 제조된 디클로로트리스(트리페닐포스핀)오스뮴(0.5㎎, 0.0005mmole) 및 트리에틸아민(0.21㎎, 0.0025mmole)을 함유하는 건조 테트라하이드로푸란(6㎖)용액을 첨가하고, 155℃, 8.5Mpa(86kg/㎠G)의 수소압하에서 5시간 수소화를 행하고, 온도를 실온까지 내려 수소가스를 방출하였다.
이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아세톤(80㎖) 및 메탄올(120㎖)로 이루어진 혼합액속에 교반하에 첨가하여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석출시켰다. 상기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진공건조하여 백색분말형태의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얻었다. 얻어진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의1H-NMR데이터로부터 수소화율을 평가한 바, 주사슬의 올레핀프로톤에 기인하는 피크가 관측되지 않았으므로 수소화율은 100%였다. 또, GPC에 의하면, 중량평균분자량(Mw)은 18,230, 수평균분자량(Mn)은 18,200, Mw/Mn은 1.00이었다. 또한, DSC에 의하면, 유리전이온도는 209℃였다.
실시예 8
질소분위기하, 자기교반장치를 갖춘 500㎖ 오토클레이브속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300㎖)에 8-tert-부톡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10.00g, 38.4mmole)을 용해시키고, 교반을 행하였다. 이 용액에 개환복분해중합촉매로서 W(N-2,6- C6H3Me2)(CHCHCMe2)(PMe3)(OBut)2(464mg, 0.77mmole)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반응을 행한 후, 부틸알데하이드(278mg, 3.85mmole)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이 개환복분해중합체용액에 트리메틸렌디아민(570㎎, 7.70mmole)을 첨가하고, 수소압으로서 0.49MPa(4kg/㎠G)하, 80℃에서 1시간 교반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메탄올(2,000㎖)에 부어 개환복분해중합체를 침전시켰다. 그 후, 이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진공건조하여 분말로서 10.0g을 얻었다.
다음에, 5,000㎖ 오토클레이브속에서 상기 개환복분해중합체분말 10.0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800㎖)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80㎖)중에 디클로로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루테늄(5.0㎎, 0.004mmole) 및 트리에틸아민(2.1㎎, 0.02mmole)으로부터 제조된 수소화촉매용액을 첨가하고, 155℃, 8.1Mpa(83kg/㎠G)하에서 5시간 수소화를 행하고, 온도를 실온까지 내려 수소가스를 방출하였다.
얻어진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메탄올에 부어 수소화된 중합체를 석출시켰다. 상기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진공건조하여 무색의 분말형태의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얻었다. 얻어진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의1H-NMR데이터로부터 수소화율을 평가한 바,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주사슬의 올레핀프로톤에 기인하는 피크가 관측되지 않았으므로 수소화율은 100%였다. 또, GPC에 의해 측정한 수평균분자량(Mn)은 13,000, Mw/Mn은 1.00이었다.
실시예 9
질소분위기하, 자기교반장치를 갖춘 500㎖ 오토클레이브속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300㎖)에 8-tert-부톡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10.0g, 38.4mmole)을 용해시키고, 교반을 행하였다. 이 용액에, 개환복분해중합촉매로서의 W(N-2,6-C6H3Me2)(CHCHCMe2)(PMe3)(OBut)2(90mg, 0.15mmole)와 1,5-헥사디엔(493㎎, 6.0mmole)을 첨가하여, 60℃에서 1시간 반응을 행한 후, 부틸알데하이드(278mg, 3.85mmole)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이 개환복분해중합체용액에 트리메틸렌디아민(570㎎, 7.70mmole)을 첨가하고, 수소압으로서 0.49MPa(4kg/㎠G)하, 80℃에서 1시간 교반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메탄올(2,000㎖)에 부어 개환복분해중합체를 침전시켰다. 그 후, 이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진공건조하여 분말로서 10.0g을 얻었다.
다음에, 5,000㎖ 오토클레이브속에서 상기 개환복분해중합체분말 10.0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800㎖)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80㎖)용액중에 디클로로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루테늄(5.0㎎, 0.004mmole) 및 트리에틸아민(2.1㎎, 0.02mmole)으로부터 제조된 수소화촉매용액을 첨가하고, 165℃, 8.1Mpa(83kg/㎠G)하에서 5시간 수소화를 행하고, 온도를 실온까지 내려 수소가스를 방출하였다.
얻어진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메탄올에 부어 수소화된 중합체를 석출시켰다. 상기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진공건조하여 무색의 분말형태의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얻었다. 얻어진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의1H-NMR데이터로부터 수소화율을 평가한 바,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주사슬의 올레핀프로톤에 기인하는 피크가 관측되지 않았으므로 수소화율은 100%였다. 또, GPC에 의해 측정한 수평균분자량(Mn)은 9,600, Mw/Mn은 1.33이었다.
실시예 10
질소분위기하, 자기교반장치를 갖춘 500㎖ 오토클레이브속에서, 테트라하이드로푸란(300㎖)에 8-tert-부톡시카르보닐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12.81g, 49.2.mmole) 및 8-시아노테트라시클로[4.4.0.12,5.17,10]-3-도데센(6.07g, 32.8mmole)을 용해시키고, 교반을 행하였다. 이 용액에, 개환복분해중합촉매로서 W(N-2,6-C6H3Me2)(CHCHCMe2)(PMe3)(OBut)2(973mg, 1.64mmole)를 첨가하여, 실온에서 1시간 반응을 행한 후, 부틸알데하이드(590mg, 8.20mmole)를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이 개환복분해중합체용액에 트리메틸렌디아민(570㎎, 7.70mmole)을 첨가하고, 수소압으로서 0.49MPa(4kg/㎠G)하, 80℃에서 1시간 교반하여 얻어진 혼합물을 메탄올(2,000㎖)에 첨가하여 개환복분해중합체를 석출시켰다. 그 후, 이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진공건조하여 분말로서 18.88g을 얻었다.
다음에, 5,000㎖ 오토클레이브속에서 상기 개환복분해중합체분말 10.0g을 테트라하이드로푸란(800㎖)에 용해시키고, 이 용액에, 테트라하이드로푸란(80㎖)중에 디클로로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루테늄(5.0㎎, 0.004mmole) 및 트리에틸아민(2.1㎎, 0.02mmole)으로부터 제조된 수소화촉매용액을 첨가하고, 165℃, 8.1Mpa(83kg/㎠G)하에서 5시간 수소화를 행하고, 온도를 실온까지 내려 수소가스를 방출하였다.
얻어진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함유하는 용액을, 메탄올에 부어 수소화된 중합체를 석출시켰다. 상기 중합체를 여과에 의해 제거하고, 진공건조하여 무색의 분말형태의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을 얻었다. 얻어진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의1H-NMR데이터로부터 수소화율을 평가한 바,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주사슬의 올레핀프로톤에 기인하는 피크가 관측되지 않았으므로 수소화율은 100%였다. 또, GPC에 의해 측정한 수평균분자량(Mn)은 11,600, Mw/Mn은 1.00이었다.
이상, 본 발명의 환식 올레핀단량체로 이루어진 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반응에 있어서는, 유기금속착물과 아민화합물로 이루어진 수소화촉매를 이용해서 수소의 존재하에 수소화함으로써 그 수소화율을 증가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또, 본 발명의 수소화법에 의하면, 수소화율을 90%이상 얻는 것이 용이하며,또 95%이상, 특히 99%이상 얻는 것도 가능하다. 또, 얻어진 환식 올레핀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은 쉽게 산화될 수 없어, 우수한 환식 올레핀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로 된다.

Claims (5)

  1. 일반식(1) :
    (식중, R1, R2, R3및 R4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개별적으로, 수소원자, 탄소수 1∼12의 알킬기, 아릴기, 아랄킬기, 알콕시기, 할로겐원자, 탄소수 1∼12의 할로겐화알킬기, 시아노기, 카르복시기 및 알콕시카르보닐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이고, x는 0∼3의 정수임)로 표시되는 환식 올레핀의 환식 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를, 수소의 존재하에, 하기 일반식(2) :
    MHkQmTpZq(2)
    [식중, k는 0 또는 1의 정수, m은 1∼3의 정수, p는 0 또는 1의 정수, q는 2∼4의 정수, M은 루테늄, 로듐, 오스뮴, 이리듐, 팔라듐, 백금 또는 니켈원자, H는 수소원자, Q는 할로겐원자, T는 CO, NO, 톨루엔, 아세토니트릴 또는 테트라하이드로푸란, Z는 하기 일반식(3) :
    PR'1R'2R'3(3)
    (식중, P는 인원자, R'1, R'2및 R'3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개별적으로, 직선형, 분기형 또는 환식 알킬기, 직선형, 분기형 또는 환식 알케닐기, 아릴기, 직선형, 분기형 또는 환식 알콕시기 및 아릴옥시기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임)으로 표시되는 유기인화합물임]로 표시되는 유기금속착물과 아민화합물로 주로 이루어진 수소화촉매를 이용해서 수소화하고,
    상기 유기금속착물에 대한 아민화합물의 당량비가 0.1 내지 1,000의 범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식 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의 제조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M은 루테늄원자, Q는 염소원자, R'1, R'2및 R'3은 각각 페닐기이고, k는 0, m은 2, p는 0, q는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식 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의 제조방법.
  3. 제 1항에 있어서, M은 루테늄원자, Q는 염소원자, R'1, R'2및 R'3은 각각 페닐기이고, k는 0, m은 2, p는 0, q는 4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식 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의 제조방법.
  4. 제 4항에 있어서, M은 오스뮴원자, Q는 염소원자, R'1, R'2및 R'3은 각각 페닐기이고, k는 0, m은 2, p는 0, q는 3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식 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의 제조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아민화합물은 트리에틸아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환식 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의 수소화물의 제조방법.
KR1019980019147A 1997-05-28 1998-05-27 환식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의수소화물의제조방법 KR10030441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848597 1997-05-28
JP97-138485 1997-05-28
JP1997-138485 1997-05-28
JP30178697 1997-11-04
JP1997-301786 1997-11-0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7394A KR19980087394A (ko) 1998-12-05
KR100304416B1 true KR100304416B1 (ko) 2002-05-09

Family

ID=264714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80019147A KR100304416B1 (ko) 1997-05-28 1998-05-27 환식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의수소화물의제조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6197894B1 (ko)
KR (1) KR100304416B1 (ko)
TW (1) TW411348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2076920A1 (en) * 2001-03-26 2002-10-03 Dow Global Technologies Inc. Metathesis of unsaturated fatty acid esters or unsaturated fatty acids with lower olefins
JP2002363263A (ja) * 2001-06-08 2002-12-18 Nippon Zeon Co Ltd 開環共重合体、開環共重合体水素化物、それらの製造方法および組成物
KR20040111565A (ko) 2002-04-29 2004-12-31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종자유의 공업적 활용을 위한 통합 화학 공정
CN101003459B (zh) * 2002-10-24 2011-08-10 陶氏环球技术有限责任公司 烯烃易位产物混合物的稳定
CN1802341A (zh) * 2003-01-13 2006-07-12 卡吉尔公司 制备工业化学品的方法
ATE461954T1 (de) * 2003-01-31 2010-04-15 Zeon Corp Polymerisierbare zusammensetzung, thermoplastische harzzusammensetzung, vernetztes harz und vernetztes harz enthaltende verbundwerkstoffe
CN100588638C (zh) * 2003-10-09 2010-02-10 陶氏环球技术公司 合成不饱和醇的改进方法
WO2006076364A2 (en) * 2005-01-10 2006-07-20 Cargill, Incorporated Candle and candle wax containing metathesis and metathesis-like products
WO2007081987A2 (en) 2006-01-10 2007-07-19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Method of making hydrogenated metathesis products
MX2008011524A (es) * 2006-03-07 2009-02-03 Elevance Renewable Sciences Composiciones que comprenden esteres de poliol insaturados metatesizados.
US8888908B2 (en) * 2006-03-07 2014-11-18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Colorant compositions comprising metathesized unsaturated polyol esters
WO2008008420A1 (en) * 2006-07-12 2008-01-17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Hot melt adhesive compositions comprising metathesized unsaturated polyol ester wax
CN101563315B (zh) * 2006-07-12 2013-08-14 埃莱文斯可更新科学公司 环烯烃与种子油等的开环交叉复分解反应
US8067610B2 (en) 2006-07-13 2011-11-29 Yann Schrodi Synthesis of terminal alkenes from internal alkenes and ethylene via olefin metathesis
CN101558032B (zh) * 2006-10-13 2013-06-19 埃莱文斯可更新科学公司 包括氢化的复分解方法及与其相关的组合物
CN102123979A (zh) * 2006-10-13 2011-07-13 埃莱文斯可更新科学公司 通过烯烃复分解由内烯烃合成末端烯烃的方法
WO2008048520A2 (en) 2006-10-13 2008-04-24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Methods of making organic compounds by metathesis and hydrocyanation
EP3281931A1 (en) * 2006-10-13 2018-02-14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Methods of making organic compounds by metathesis
US8263712B2 (en) * 2007-09-04 2012-09-11 Exxonmobil Research And Engineering Company Production of elastomeric functionalized olefin polymers
EP2350159A1 (en) * 2008-10-31 2011-08-03 Dow Global Technologies LLC Olefin metathesis process employing bimetallic ruthenium complex with bridging hydrido ligands
US9051519B2 (en) 2009-10-12 2015-06-09 Elevance Renewable Sciences, Inc. Diene-selective hydrogenation of metathesis derived olefins and unsaturated esters
CN104508101A (zh) 2011-12-28 2015-04-08 艾勒旺斯可再生科学公司 可再生脂肪酸蜡及其制造方法
EA033372B1 (ru) 2012-06-20 2019-10-31 Elevance Renewable Sciences Композиция, полученная метатезисом
EP2676969B1 (en) 2012-06-22 2016-06-01 University Of Waterloo Tandem metathesis and hydrogenation of diene-based polymers in latex
JP2020516695A (ja) 2017-04-12 2020-06-11 ウリゲン ファーマシューティカルズ、インコーポレイテッド 改善された安定性を備えた注射器中に局所麻酔薬、緩衝液、およびグルコサミノグリカンを含む製品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2404A (ja) * 1990-11-30 1992-07-23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開環重合体水素化物の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84796B2 (ja) 1989-12-04 1997-12-03 日本合成ゴム株式会社 重合体の水添方法
US5075388A (en) * 1990-12-13 1991-12-24 Rempel Garry L Amine modified hydrogenation of nitrile rubber
EP0589041B1 (en) * 1991-06-11 1996-09-04 Nippon Zeon Co., Ltd. Hydrogenated thermoplastic norbornene polymer, production thereof, and optical element base, optical element and lens molded therefrom
JP3151862B2 (ja) 1991-06-11 2001-04-03 日本ゼオン株式会社 熱可塑性ノルボルネン系重合体水素添加物、その製造方法、それを成形した光学素子基板、光学素子、及びレンズ
JPH05239124A (ja) 1992-02-27 1993-09-17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開環重合体水素化物の製造方法
JP3277624B2 (ja) 1993-07-30 2002-04-2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メタセシス重合体の水素添加方法
US5539060A (en) * 1993-07-30 1996-07-23 Nippon Zeon Co., Ltd. Method for hydrogenation of metathesis polymer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202404A (ja) * 1990-11-30 1992-07-23 Japan Synthetic Rubber Co Ltd 開環重合体水素化物の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6197894B1 (en) 2001-03-06
TW411348B (en) 2000-11-11
KR19980087394A (ko) 1998-1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304416B1 (ko) 환식올레핀개환복분해중합체의수소화물의제조방법
JP4352620B2 (ja) ノルボルネン系開環重合体水素化物の製造方法
WO2000073366A1 (fr) Procede de production de polymere de polymerisation hydrogene a chaine ouverte de cyclo-olefine
US6506860B1 (en) Regio-regular copolymer and methods of forming same
JP3730013B2 (ja) 環状オレフイン系開環メタセシス重合体水素添加物の製造方法
JP3522009B2 (ja) 環状オレフィン系開環メタセシス重合体水素添加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556373B2 (ja) 開環共重合体水素化物の製造方法
KR0153263B1 (ko) 고리-열림 중합반응에 의한 중합체의 제조방법
JP2013184925A (ja) タングステン錯体、メタセシス反応用触媒および環状オレフィン開環重合体の製造方法
JP3696388B2 (ja) 環状オレフイン系開環メタセシス重合体水素添加物の製造方法
KR100989242B1 (ko) 유기 전이금속 착체 화합물의 제조 방법, 그 방법으로 제조되는 메타세시스 촉매, 그것에 의한 개환 메타세시스 중합체 및 중합체의 제조 방법
JP3234699B2 (ja) テトラシクロドデセン系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3526668B2 (ja) 環状オレフィン系開環メタセシス重合体水素添加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3678559B2 (ja) 開環メタセシス(共)重合体の水素添加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H11209460A (ja) 環状オレフイン系開環メタセシス重合体水素添加物の製造方法
JP3693484B2 (ja) 開環メタセシス共重合体の水素添加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3662720B2 (ja) 環状オレフィン系開環メタセシス重合体水素添加物の製造方法
JP3696372B2 (ja) 環状オレフィン系開環メタセシス重合体の精製方法
JP3234700B2 (ja) テトラシクロドデセン系重合体水素添加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3693477B2 (ja) 開環メタセシス(共)重合体の水素添加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4056586B2 (ja) 環状オレフィンの開環メタセシス重合方法
JP2001151869A (ja) 環状オレフィン開環メタセシス重合体水素化物の製造方法
JP4056585B2 (ja) 環状オレフィンの開環メタセシス重合方法
JPH07206999A (ja) テトラシクロドデセン系重合体水素添加物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11130844A (ja) 酸分解性重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J201 Request for trial against refusal decision
AMND Amendment
B701 Decision to gra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O035 Opposition [patent]: request for opposition
O132 Decision on opposition [patent]
J210 Request for trial for objection to revocation decision
J301 Trial decision

Free format text: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30214

Effective date: 20031229

Free format text: TRIAL NUMBER: 2003103000018; TRIAL DECISION FOR APPEAL AGAINST DECISION OF CANCELLATION REQUESTED 20030214

Effective date: 20031229

O074 Maintenance of registration after opposition [patent]: final registration of opposition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705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711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710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70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