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94518B1 - 다층절연전선및그의제조방법,그리고그에관한변압기 - Google Patents

다층절연전선및그의제조방법,그리고그에관한변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94518B1
KR100294518B1 KR1019930022633A KR930022633A KR100294518B1 KR 100294518 B1 KR100294518 B1 KR 100294518B1 KR 1019930022633 A KR1019930022633 A KR 1019930022633A KR 930022633 A KR930022633 A KR 930022633A KR 100294518 B1 KR100294518 B1 KR 10029451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sulated wire
extrusion coating
insulating layer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022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40010129A (ko
Inventor
히가시우라아쓰시
마에조노도오시끼
나까무라노부유끼
야마구찌시게오
이노우에미쓰루
꼬바야시이사무
사노후미까즈
Original Assignee
후루까와 준노스께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루까와 준노스께, 후루까와덴끼고오교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후루까와 준노스께
Publication of KR940010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40010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9451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94518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27/00Details of transformers or inductances, in general
    • H01F27/28Coils; Windings; Conductive connections
    • H01F27/32Insulating of coils, windings, or parts thereof
    • H01F27/323Insulation between winding turns, between wind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3/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06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 H01B13/14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extrusion
    • H01B13/141Insulating conductors or cables by extrusion of two or more insulat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2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polyesters; polyethers; polyacetals
    • H01B3/421Polyest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0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3/18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 H01B3/30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 H01B3/44Insulators or insulating bodies characterised by the insulating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mainly consisting of organic substances plastics; resins; waxes vinyl resins; acrylic resi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7/00Insulated conductors or cabl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H01B7/17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ernal factors, e.g. sheaths or armouring
    • H01B7/29Protection against damage caused by extremes of temperature or by flame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2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 H01F41/04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for manufacturing cores, coils, or magnets for manufacturing coils
    • H01F41/06Coil winding
    • H01F41/064Winding non-flat conductive wires, e.g. rods, cables or cords
    • H01F41/066Winding non-flat conductive wires, e.g. rods, cables or cords with insul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Insulating Materials (AREA)
  • Extrusion Mould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Abstract

도체와, 상기 도체를 피복하는 3층 이상의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절연전선에 있어서, 도체측으로 부터 1층째 및 2층째의 절연층이,
(a)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측쇄에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갖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혼합물의 압출 피복층.
(b) 전부 또는 일부가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인 알콜성분과 산성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압출 피복층, 또는,
(c) 전부 또는 일부가 시클로헥산 디메탄올인 알콜성분과 산성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측쇄에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갖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50 중량부 이하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혼화물의 압출 피복층의 어느 하나이며, 3층째의 절연층이, 열가소성 폴리아미드수지 또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혼화물의 압출 피복층인 다층 절연전선이 제공되고, 또 3층째의 절연층의 위에 공중합 폴리아미드로 이루어지는 자기 융착층이 형성되어 있는 자기 융착성을 갖는 다층 절연전선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다층 절연 전선 및 그의 제조방법, 그리고 그에 관한 변압기
제 1 도는 종래 구조의 변압기의 일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제 2 도는 3 층 절연 전선을 권선으로 하는 구조의 변압기의 예를 나타내는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페라이트코어 2 : 보빈
3 : 절연베리어 4 : 1차 권선
5 : 절연테이프 6 : 2차 권선
4a,6a : 도체 4b,4c,4d,6b,6c,6d : 절연층
본 발명은 3 층 이상의 절연층을 갖는 다층 절연 전선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며, 더욱 상세하게는 절연층 상호간의 박리성이 양호하며, 땜납욕에 침지하면 그의 절연층이 단시간에 제거되어서 도체에 땜납을 부착시킬수가 있으므로 납땜 특성이 뛰어나고, 또 절연층의 절연 특성은 경시 열화를 일으키기가 어렵고, 더나아가서는 코일 가공성이 뛰어나 있어서, 전기, 전자기기 등에 조입하는 변압기의 권선이나 리드선으로서 사용하는데 유용한 다층 절연전선과 그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변압기의 구조는 IEC 규격 (International Electrotechnical Communication Standard) Pub. 950, 65, 335, 601 등에 의해서 규정되어 있다. 즉, 이것들의 규격에서는 권선에 있어서, 도체를 피복하는 에나멜 피막은 절연층이라고 인정하지 않는 1차 권선과 2차 권선의 사이에는 3 층 이상의 절연층이 형성되어 있거나, 또는 절연층의 두께는 0.4mm 이상인것, 1 차 권선과 2차 권선의 연면(緣面)(테두리면) 거리는 인가 전압에 따라서 상이하나, 5mm 이상일것, 또는 1차측과 2차측에 3000v 를 인가하였을때에 1분이상 견딜수 있는 것, 등이 규정되어 있다.
그 때문에, 현재 주류의 자리를 차지하고 있는 변압기에서는, 제 1 도에 예시한 바와 같은 단면구조가 채용되고 있다. 즉, 페라이트 코어 (1)에 플랜지가 형성된 보빈 (2)이 삽입되고, 보빈 (2)의 주면양측단에 연면 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절연 베리어 (barrier) (3) 가 배치된 상태에서 에나멜 피복된 1 차 권선 (4)이 권회(卷回, 두루감는것) 된후, 이 1 차 권선 (4)의 위에, 절연 테이프 (5)를 3 층 이상으로 두루 감고, 또 이 절연 테이프층의 위에 연면거리를 확보하기 위한 절연 베리어 (3)를 배치한 후, 마찬가지로 에나멜 피복된 2 차 권선 (6)이 두루 감겨진 구조이다.
그런데 근래, 제 1 도에 표시한 단면구조의 변압기에 대신하여, 제 2 도에서 표시한 바와 같이 절연 베리어 (3)나 절연 테이프 층 (5)을 포함하지 않는 구조의 변압기가 등장하기 시작하였다.
이 변압기는 제 1 도의 구조의 변압기에 비하여, 전체를 소형화 할 수가 있고, 또 절연 테이프의 두루감는 작업을 생략할 수 있는등의 이점을 구비하고 있다.
제 2 도에서 표시한 변압기를 제조할 경우, 사용하는 1차 권선 (4) 및 2 차 권선 (6)에서는 어느 한쪽 또는 양쪽의 도체 (4a(6a))의 외주에 3 층 이상의 절연층 (4b(6b)), (4c(6c)), (4d(6d))이 형성되어 있을것, 게다가 이것들의 각 절연층의 사이에서는 서로의 층간 박리가 가능하다는 것이 상기한 IEC 규격과의 관계에서 필요케된다.
이와 같은 권선으로서는, 먼저 도체의 외주에 절연 테이프를 두루감아서 1층째의 절연층을 형성하고, 다시 그 위에, 절연 테이프를 두루감아서 2층 째의 절연층, 3층째의 절연층을 순차적으로 형성하여 서로 층간 박리하는 3층 구조의 절연층을 형성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일본국 실개평 3 - 106626 호 공보 참조). 또 폴리우레탄에 의한 에나멜 피복이 된 도체의 외주에 불소계 수지를 순차적으로 압출피복하여 전체로서 3층 구조의 압출 피복층을 절연층으로 하는 권선이 알려져 있다 (실개평 3 - 56112호 공보).
그러나, 전자의 권선의 경우는, 절연 테이프의 두루감는 작업이 불가피하기 때문에, 생산성은 현저하게 저하되고 그 때문에 제조비용은 상승한다는 문제가 있다.
또 후자의 권선의 경우, 절연층은 불소계 수지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내열성이 양호하다는 이점을 구비하고 있으나, 한편으로는 도체와 절연층과의 사이 및 절연층 상호간의 밀착성이 나쁘기 때문에 절연 전선으로서의 신뢰성이 결여된다는 문제가 있다.
즉, 절연 전선을 코일 가공할때에는 그 절연 전선을 가이드 노즐로 유도하면서 코일 보빈에 감아 나가지만 이 때, 절연전선이 가이드 노즐과 마찰되어 절연층이 도체로 부터 박리되거나 또 각 절연층의 층간이 박리한다는 사태가 발생하기 쉽게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전선이 코일 보빈에 두루 감겨지면 두루감겨진 절연전선 상호간의 마찰등에 의해, 절연층이 찢어져 버린다. 이와 같은 상태로 되면 코일의 전기특성, 예를들면 절연파괴특성이 손상되게 된다.
더 나아가서는, 이 절연층의 경우는 땜납욕에 침지하더라도 제거할 수가 없기 때문에, 예를들면 절연 전선을 리드선에 접속할때에 실시하는 단말 가공에 있어서는 단말의 절연층을 신뢰성이 낮은 기계적인 수단으로 박리하지 않으면 안된다는 문제가 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전기 절연성이나 내열성이 뛰어나고, 게다가 땜납의 용융온도에서 용이하게 분해하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계 수지를 도체의 외주에 압출피복하여 절연층으로 하는 것이 검토되고 있다.
그러나, 이 PET 계 수지는 적절한 배향조건하에서 결정화되어 비로소 본래의 내열성, 기계특성을 발휘하는 것이며, 압출에 의해 피복하는 경우에는 높은 결정도의 피막을 얻을 수가 없어, 경시적인 내전압 특성에 지금도 아직 개선의 여지가 있다.
또 3 층의 절연층의 모두를 상기 PET 계 수지로 형성한 전선의 경우, 그 전선을 코일 가공하여 얻어진 코일의 절연 특성에 개선의 여지가 남겨져 있다.
이 문제는 절연층으로서 형성된 PET 계 수지층에 있어서의 표면의 마찰계수가 높기 때문에 코일 가공시에, 코일 가공기의 가이드 노즐과 서로 마찰하여 거기에 균열등의 손상이 생기기 쉽다. 게다가, 각 절연층은 어느것이나 PET 계 수지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상호간의 밀착성이 비교적 양호하며, 따라서 최외층에 발생한 균열등이 노치 효과에 의해서 하층의 절연층에 까지 파급하기 쉽다는 것에 기인하는 것이라고 생각된다.
한편, 다층절연 전선은 아니지만, 에나멜선의 표면에 폴리에스테르이미드와 같은 수지를 구어서 최외층에 자기 융착성의 층을 형성한 절연 전선이 알려져 있다.
예를들면, 이 절연전선은 감겨져서 코일로 된다. 감는 것이 끝나서 형성된 코일에 고전류를 흘려서 발열시키면, 자기 융착층을 구성하는 폴리아미드가 용해되어 코일 가공된 전선이 융착된다 (통상, 통전가열법이라고 불리우고 있다). 또 절연전선을 감아갈 때에, 절연전선이 감겨진 부분에 열풍을 내뿜어서 자기 융착층을 구성하는 폴리아미드를 용해시킴으로써 전선이 융착된 코일을 생산할 수가 있다. (통상 분무법이라고 한다) 또 용제를 사용하여 절연전선을 융착시킬수도 있다.
이와 같이 자기 융착성 절연전선은 코일에 두루감겨진 전선을 상호 융착할 수 있으므로, 이른바 코일의 흐트러짐을 방지할 수가 있고, 그 결과, 제조된 코일의 신뢰성이 높아지는 동시에 코일 생산성을 높일 수가 있다는 이점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한 절연 전선의 자기 융착층은 통상, 에나멜선의 표면에 자기 융착성을 갖는 수지를 용제에 용해하여 이루어지는 도료를 도포한후, 구어서 형성된다. 따라서 에나멜선의 외주를 피복하는 절연 피막과 상기한 자기 융착층과의 계면에 있어서의 습윤성이 향상되고 있으므로, 자기 융착층은 에나멜선의 절연피막에 견고하게 밀착하기 쉽게 된다. 이 때문에 자기 융착층의 재료로서는 여러가지의 것을 이용할 수가 있다.
그런데, 다층절연전선의 경우라도 상기한 절연전선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3층 구조를 하고 있는 절연층의 외측에 자기 융착층을 형성한 것은, 이 자기 융착층의 자기 융착성에 의해 코일 가공시에 있어서의 흐터짐 방지, 코일 가공의 신뢰성 향상에 있어서 유용하다.
그러나 각각의 절연층과 최외층의 절연층의 외측에 형성되는 자기 융착층을 압출 피복에 의해서 형성한, 자기 융착성을 갖는 다층 절연 전선의 경우, 형성시에는 용제를 사용하는 일이 없으므로, 상기한 에나멜선의 경우와 같이, 자기 융착층과 그의 바로밑에 위치하는 절연층의 최외층과의 계면에서는 용제에 의한 습윤성의 향상효과는 발생하지 않는다.
따라서, 자기 융착층과 그의 바로밑에 위치하는 절연층의 최외층과의 밀착력은 그다지 커지지 않는다.
그 때문에, 자기 융착성을 갖는 다층절연전선을 코일 가공하면 가이드 지그 (Jig) (가이드노즐) 와의 마찰에 의해, 가장 외측에 있는 자기융착층이 그 아래의 절연층으로 부터 박리되거나 또 깎겨지거나 하는 일이 있다. 설사, 자기 융착층이 최외층의 절연층에 잔류되었다고 하더라도, 그의 융착성은 현저하게 열화한다는 문제가 발생하고 있다.
또 상기한 IEC 규격에 합격하는 다층 절연전선의 경우는, 3층 이상의 절연층의 사이에 있어서의 층간 박리가 가능하기 때문에,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자기 융착층이 박리되거나 또는 깎겨지거나 하여 그것이 가이드 노즐의 내면에 부착하면, 다음과 같은 불합리한 사태가 보다 한층 발생하기 쉽게 된다.
즉, 먼저 두루감겨져 있는 절연전선에 가하여지는 장력 (tension)이 증대하여, 가이드 노즐과 코일 보빈과의 사이에서 단선이 생긴다. 또 가이드 노즐의 내면에 부착한 자기 융착층의 구성수지와 절연층이 마찰되어서 절연층이 찢어진다는 사태가 생긴다. 더나아가서는 절연층의 층사이가 박리된다는 사태가 생기고, 그대로의 상태에서 코일 보빈에 두루감겨지면, 두루 감겨진 절연전선상호간의 마찰에 의해 절연층이 찢어진다는 사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이 절연층이 찢어지면 코일의 절연특성, 예를들면 절연 파괴 특성이 손상된다.
본 발명의 목적은 IEC 규격에 합격하고, 납땜 특성이 양호하며, 절연층의 전기 절연성의 경시 열화가 작고, 또 코일 가공성이 뛰어난 다층 절연전선과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자기융착성을 가진 다층 절연 전선으로서, IEC 규격에 합격하고, 납땜특성이 양호하며, 코일 가공시에 있어서의 자기 융착층의 박리현상도 일으키지 않으며, 높은 신뢰성하에서 코일 가공할 수가 있는 다층 절연 전선과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체와 상기 도체를 피복하는 3층 이상의 절연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절연전선에 있어서, 도체측으로부터 1층째 및 2층째를 구성하는 절연층이,
(a) 지방족 알콜성분 및 산성분을 결합함으로서 형성된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측쇄에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갖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혼화물의 압출 피복층 (이하, 압출피복층 a 라고 한다.)
(b) 전부 또는 일부가 시클로지방족, 바람직하게는 시클로 헥산디메탄올인 알콜성분과, 산성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압출피복층 (이하, 압출피복층 b 라고 한다). 또는,
(c) 전부 또는 일부가 시클로헥산 디메탄올인 알콜 성분과 산성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측쇄에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갖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50 중량부 이하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혼화물의 압출 피복층 (이하, 압출피복층 c 라고 한다) 중 어느 하나이며, 3층째의 절연층이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 또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혼화물의 압출 피복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절연 전선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체의 표면에 3층 이상의 절연층을 압출피복으로 형성할때에 1층째, 2층째 혹은 양자 층의 압출피복이 종료된 시점에서, 1층째, 2층째 혹은 양자 층의 압출피복층의 표면을 100℃ 이하로 냉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절연 전선의 제조방법이 제공된다.
또 본 발명에 있어서는, 도체와 상기 도체의 표면을 피복하는 3층 이상의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최외층을 피복하는 자기 융착층으로 이루어지는 자기 융착성을 갖는 다층 절연 전선에 있어서, 도체측으로 부터 1 층째 및 2 층째를 구성하는 절연층이
(a) 지방족 알콜성분 및 산성분을 결합함으로서 형성된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측쇄에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갖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혼화물의 압출 피복층 (이하, 압출피복층 a 라고 한다.)
(b) 전부 또는 일부가 시클로지방족, 바람직하게는 시클로 헥산디메탄올인 알콜성분과, 산성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압출피복층 (이하, 압출피복층 b 라고 한다). 또는,
(c) 전부 또는 일부가 시클로지방족, 바람직하게는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인 알콜성분과 산성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측쇄에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갖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50 중량부 이하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수지 혼화물의 압출 피복층 (이하, 압출 피복층 c 라고 한다)
중 어느하나이며, 3 층째의 절연층이 열가소성 폴리아미드수지 또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혼화물의 압출 피복층이며, 상기 자기 융착층이 공중합 폴리아미드수지의 압출 피복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기 융착성을 갖는 다층 절연 전선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층 절연 전선 또는 자기 융착성을 갖는 다층절연 전선은 도체측으로 부터 1층째, 2층째의 절연층이 함께 압출피복층 a, 압출피복층 b 또는 압출피복층 c 로부터 선택된 한 종류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으나 다른 종류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그 경우, 1 층째와 2층째 절연층이 모두 압출 피복층 a 로 형성되어 있는 전선은 특히 납땜 특성이 뛰어난 절연 전선으로 된다.
또 1층째와 2층째의 절연층이 압출 피복층 b 또는 압출 피복층 c 로 형성되어 있는 전선은 특히 내열성이 뛰어난 절연전선으로 된다.
상기한 전선에 있어서, 1 층째와 2층째의 절연층을 구성하는 수지 또는 수지 혼화물은 성분 조성이 상이하여도 좋다.
또 1 층째와 2층째의 절연층에 있어서, 한쪽의 층을 압출 피복층 a 로 하고, 다른쪽의 층을 압출 피복층 b 또는 압출 피복층 c 로 하면, 얻어지는 다층 절연 전선은 납땜 특성이나 내열성에서 균형이 잡힌 것으로 된다.
압출 피복층 a 를 구성하는 수지 혼화물은 후술하는 열가소성의 직쇄 폴리에스테르 수지와 에틸렌계 공중합체를 필수성분으로 한다.
이중,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수지로서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 또는 그의 일부가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 치환되어 있는 디카르복실산과 지방족 디올과의 에스테르 반응에서 얻어진 것이 사용된다. 예를들면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PET), 폴리부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PBT),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 수지등을 대표예로서 들 수가 있다.
이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 수지의 합성시에 사용하는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들면, 테레프탈산 이소프탈산, 테레프탈디카르복실산, 디페닐술폰디카르복실산, 디페녹시에탄디카르복실산, 디페닐에테르카르복실산, 메틸테레프탈산, 메틸이소프탈산등을 들 수가 있다. 이것들 중, 특히 테레프탈산은 적합한 것이다.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일부를 치환하는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들면 숙신산, 아디프산, 세바크산등을 들 수가 있다. 이것들의 지방족 디카르복실산의 치환량은 방향족 디카르복실산의 30 몰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 몰 %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에스테르 반응에 사용하는 지방족 디올로서는 예를들면, 에틸렌글리콜,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헥산디올, 데칸디올등을 들수가 있다. 이것들중, 에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은 적합하다. 또 지방족 디올로서는 그의 일부가 폴리에틸렌글리콜이나, 폴리테트라메틸렌글리콜과 같은 옥시글리콜로 되어 있어도 좋다.
압출피복층 a 를 구성하는 수지혼화물의 다른 필수성분은, 예를들면, 폴리에틸렌의 측쇄에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결합시킨 에틸렌계 공중합체이다.
이 에틸렌계 공중합체는, 상기한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수지의 결정화를 억제하는 작용을 하고 그것으로 인해, 형성된 절연층의 전기적 특성의 경시 열화를 억제하는 동시에, 1층째와 2층째의 각 절연층간의 층간에 있어서의 양호한 박리성의 확보에 기여한다.
결합시키는 카르복실산으로서는 예를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크로톤산과 같은 불포화 모노 카르복실산이나, 말레산, 푸마르산, 프탈산과 같은 불포화 디카르복실산을 들 수가 있고, 또 이것들의 금속염으로서는 Zn, Na, K, Mg 등의 염을 들수가 있다.
이와 같은 에틸렌계 공중합체로서는 예를들면, 에틸렌 - 메타크릴산 공중합체의 카르복실산의 일부를 금속염으로 하고, 일반적으로 아이오노머라고 불리우는 수지 (예를들면, 하이미란 : 상품명, 미쓰이 폴리케미칼 (주)제), 에틸렌 - 아크릴산 공중합체 (예를들면, EAA : 상품명, 다우께미카루사제), 측쇄에 카르복실산을 갖는 에틸렌계 그라프트 중합체 (예를들면 아도머 : 상품명, 미쓰이 석유 화학 공업 (주) 제)를 들 수가 있다.
이 수지 혼화물에 있어서,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수지와 에틸렌계 공중합체와의 배합 비율은, 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후자는 5 내지 40 중량부의 범위로 설정된다.
후자의 배합량이 5 중량부보다 적은 경우는, 형성된 절연층의 내열성에 문제는 없으나,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수지의 결정화 억제효과는 작아지고, 그 때문에, 코일가공시에 절연층의 표면에 미소균열이 발생하는 이른바 크레이징 현상이 다발한다. 또, 절연층의 경시열화가 진행하여 절연 파괴 전압의 현저한 저하를 야기시키게된다. 또한편 배합량이 40 중량부 보다 많아지면 절연층의 내열성은 현저하게 열화되어 버린다. 양자의 바람직한 배합비율은 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후자는 7 내지 25 중량부이다.
다음에 압출피복층 (b) 을 구성하는 재료는 이하와 같은 열가소성의 직쇄 폴리에스테르수지이다.
즉, 전부 또는 일부가 지방족의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인 알콜성분과 산성분을 축합하여 형성되는 직쇄 폴리에스테르 수지이며, 구체적으로는 폴리시클로헥산 디메틸렌 테레프탈레이트 수지 (PCT)를 들 수가 있다. 이 수지는 상기한 PET 등에 비하여 보다 뛰어난 내열성을 구비하고 있다.
또 절연층의 경시 열화에 기인하는 절연 파괴전압의 저하를 억제하는 것을 고려하면 변성수지로서 예를들면,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수지, 폴리우레탄 수지등을,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내지 100 중량부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PCT 계 수지로서는, 예를들면, EKTAR-DN, EKTAR - DA, EKTAR - GN (상품명, 도레(주)제)를 적합한 것으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압출피복층 c 를 구성하는 수지혼화물은 상기한 PCT 계 수지와, 압출 피복층 a 의 형성에 사용한 수지 혼화물에 있어서의 필수 재료인 에틸렌계 중합체와의 수지 혼화물이다.
이 수지혼화물에 있어서, PCT 계 수지와 에틸렌계 공중합체와의 배합비율은 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후자는 50 중량부 이하로 설정된다.
후자의 배합량을 50 중량부보다 많이하면, PCT 계 수지의 뛰어난 내열성이 발휘되지 않게되고 형성된 절연층의 내열성에 문제가 생기기 때문이다. 양자의 바람직한 배합 비율은 전자 100 중량부에 대하여, 후자 5 내지 30 중량부이다.
본 발명의 다층 절연 전선에 있어서의 3 층째의 절연층은 열가소성 폴리아미드수지 또는 이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혼화물로 형성된다.
이 3층째의 절연층은 표면에 있어서의 마찰 계수가 비교적 작고, 또 기계적 강도도 뛰어나므로, 전선의 코일 가공시에 있어서의 최외층에 대한 균열등의 손상을 최소한으로 억제할 수가 있다. 또 2층째의 절연층 (폴리에스테르계 수지층)과의 밀착성도 낮으므로, 최외층에 손상이 생겼을 경우에도 그 손상이 2 층째의 절연층에 파급되는 사태는 억제된다. 그 결과 코일 가공후에 있어서의 코일 전체의 절연특성의 저하를 방지할 수가 있다.
또, 이 3층째의 절연층은 압출피복층 a 또는 압출 피복층 c 의 형성시에 배합하는 폴리에틸렌계 공중합체의 양이 적은 경우나, 압출 피복층 b 또는 압출 피복층 c 에 사용하는 PCT 계 수지를 제조할때에 사용하는 알콜성분인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의 양이 적은 경우에 생기기 쉬운 절연 파괴 전압의 경시 열화를 완화시키는 작용도 한다.
이 3 층째의 절연층을 구성하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수지 로서는, 예를 들면 4 - 나일론, 6 - 나일론, 10 - 나일론, 11 - 나일론, 12 - 나일론, 46 - 나일론, 66 - 나일론, 610 - 나일론, 612 - 나일론, 등의 공중합 나일론을 들수가 있다. 특히 46 - 나일론은 내열성이 뛰어나다는 점에서 적합한다.
또 이것들의 폴리아미드수지에, 예를들면, 에틸렌 - 메타크릴산 공중합체, 에틸렌 - 아크릴산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상기한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수지, 폴리우레탄계 수지, 폴리카르보네이트수지등의 1종 또는 2종이상을 혼화시켜 사용하여도 좋다. 이 경우, 혼화의 비율은 폴리아미드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3 내지 5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전선에 있어서는, 1층째와 2층째의 절연층을 어느것이나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이 60몰 % 이상 축합하고 있는 PCT 계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측쇄에 카르복실산의 Zn 염을 갖는 폴리에틸렌계 공중합체 20 중량부 이하를 혼화한 수지 혼합물로 형성하고, 3층째의 절연층을 46 - 나일론으로 형성한 것은 전선의 내열 등급을 E 종 (120℃) 수준에서 B 종 (130℃) 수준에까지 향상 시킬수가 있어 유용하다.
상기한 다층 절연전선은 1층째 용의 수지 또는 수지 혼합물을 도체의 외주에 압출피복하여 소망 두께의 1층째의 절연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이 1 층째의 절연층의 외주에 2층째용의 수지 또는 수지혼화물을 압출피복하여 소망두께의 2층째의 절연층을 형성하고, 또 이 2 층째의 절연층의 외주에 3층째용의 폴리아미드수지를 압출피복하여 소망 두께의 3층째의 절연층을 형성하고, 필요에 따라서는 그 위에 더 절연층을 형성함으로써 제조된다.
이 때, 1층째 및 2층째의 각 압출 피복시에 사용하는 수지 혼화물은 각층에 관하여 같은 조성의 것이어도 좋고, 상기한 허용되는 배합 비율의 범위내에서 성분의 조성을 변화시킨 것이어도 좋다.
또 형성된 3층의 절연층의 전체의 두께는 100㎛이하로 관리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2층째의 절연층의 두께를 다른 절연층의 어느 하나의 두께층의 두께의 2배 이상의 두께로 하면, IEC 규격 950 에서 규정하는 전기적 특성을 용이하게 실현할 수가 있다.
또 절연층을 이루는 각 압출 피복층의 형성시에는 1층째의 압출 피복이 종료된 시점에서 그 압출 피복층의 표면을 예를들면 수냉 또는 공냉과 같은 방법으로 100℃ 이하로 냉각한 후, 2층째의 압출 피복층을 형성하면, 상,하의 압출 피복층 간에 있어서의 박리성이 향상되어 유효하다.
상기한 다층 절연 전선의 경우, 3층 이상의 절연층은 어느 것이나 수지 혼화물의 압출 피복법으로 형성되므로, 제조시의 생산성은 매우 높아진다. 또 층간 박리성은 양호한 동시에, 단말 가공시에는 직접 납땜을 할수가 있다. 그리고, 1 층째, 2층째의 절연층에서는 베이스 수지인 PET 계 수지나 PCT 계 수지의 결정화는 억제되고, 그 때문에 절연층의 전기 특성등의 열화는 매우 일어나기 어렵게 된다.
또, 상기 다층 절연 전선의 최외층은 폴리아미드수지 또는 그것을 주성분으로 하는 수지 혼화물로 형성되어 있으므로, 외표면의 마찰 계수는 작아지고, 그 때문에 코일 가공시에 있어서의 최외층의 손상은 억제되도록 된다. 또 1층째, 2층째의 경시 열화도 완화된다.
다음에 자기 융착성을 갖는 본 발명의 다층 절연전선은 상기한 다층 절연 전선의 절연층의 최외층의 위에 자기 융착층을 압출 피복층으로서 설치한 것이다.
자기 융착층의 형성에 사용하는 수지로서는 예를들면 프라다미드 M 1186, 프라다미드 M 1422, 프라다미드 M 1276 (모두 상품명, 일본 리루산 (주)제) 베스타메루또 X 7079 (상품명, 다이세루 휴루스 (주)제)와 같은 공중합 폴리아미드 수지가 사용된다.
다층 절연전선의 절연층에 있어서의 최외층이 상기한 열가소성 폴리아미드수지 또는 그것을 주성분으로하는 수지혼화물로 형성되어 있는 경우, 이 최외층을 구성하는 수지와, 그 위에 형성되는 자기 융착층을 구성하는 공중합 폴리아미드수지는, 어느것이나, 아미드 결합을 갖었으므로, 분자간에서 견고한 수소 결합을 형성하고 서로 밀착성이 양호하다. 즉, 자기 융착층의 박리는 일어나기 어렵게되어 있다.
이 자기 융착성을 갖는 다층 절연전선은 1층째용의 수지를 도체의 외주에 압출피복하여 소망 두께의 1층째의 절연층을 형성하고, 이어서 이 1 층째의 절연층의 외주에 2층째용의 수지를 압출 피복하여 소망 두께의 2층째의 절연층을 형성하고, 또, 이 2층째의 절연층의 외주에 3층째용의 수지를 압출 피복하여 예를들면 3층의 절연층을 형성하고, 또 필요에 따라서는 다른 절연층을 형성한 후, 그의 최외층에, 자기 융착층용의 수지를 압출 피복하여 제조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자기 융착성을 갖는 다층절연 전선은 자기 융착층과 그밑에 위치하는 절연층의 최외층과는 어느것이나 아미드 결합을 갖는, 같은 계통의 수지로 구성되어 있으므로 양자의 밀착력은 강하다. 그 때문에, 코일가공시에 자기융착층이 절연층의 최외층으로 부터 박리되기 어렵게 되는 동시에 제조되는 코일의 흐트러짐도 거의 일어나지 않아 신뢰성이 풍부한 코일을 매우 안정된 상태에서 제조할 수가 있게 된다.
[실시예]
실시예 1 내지 5, 비교에 1 내지 7
표 1 에 표시한 각성분을 표시한 비율 (중량부)로 훈련하여, 각 압출피복층용의 수지 혼화물을 조제하였다.
도체로서 선지름 0.6mm의 연동선을 준비하고, 그의 외주에 상기한 수지 혼화물을 압출피복하여 표시한 두께로 1층째의 압출피복층을 형성한 후, 2층째의 압출피복층을 형성하고, 다시 2층째의 외주에 상기 수지 혼화물을 압출피복하여 3층 절연전선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1 을 제조할때에는 각 압출 피복공정후의 표면을 100℃ 이하로 수냉하였다.
또 비교예 4의 전선의 각 절연층은 표시한 절연 필름을 두루감는 것이다.
[표 1]
이상의 9 종류의 3층 절연 전선에 관하여, 하기의 시방으로 각종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납땜성 :
전선의 말단 약 40mm 의 부분을 온도 400℃ 의 용융 땜납에 침지하고 침지한 30mm 의 부분에 땜납이 부착할때까지의 시간 (초)을 측정, 이시간이 짧을수록 납땜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전기 절연성 :
제조직후의 2층 피복, 3층피복의 각각의 전선에 관하여, JISC 3003 으로 측정하는 2개 꼬임법에 준하여 한편에 나동선을 사용하고 그때의 절연파괴 전압을 측정.
또, 3층 피복의 전선에 관해서는 대기중에 1년간 방치한후, 상기와 같은 방법으로 절연 파괴 전압을 측정하여, 전기 절연성의 경시 변화를 조사하였다.
내열성 :
3층 피복 전선과 나동선을 JISC 3003 에 준거하여 2개 꼬임으로하고, 그 상태에서, 온도 200℃ 에서 7일간의 가열처리를 한후, 절연 파괴전압을 측정, 이 값이 클수록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내크레이징성 :
전선을 6개월간 대기중에 방치한 후, 그 전선을 직경 12mm 의 코일감는 틀에 정렬 기계 감기로 하고, 그때에 전선 표면에 크레이징이 발생 하였는지 여부를 관찰.
층간박리성 :
절연층의 길이방향을 약 50cm에 걸쳐 절단칼로 베어낸후, 전선의 둘레 방향에도 1 개, 전둘레에 걸쳐서 잘림선 자국을 내고, 전선의 1단을 꼬임기에 고정시키고, 다른 끝을 꼬임기의 척에 물려서, 전선을 똑바르게 유지하고, 이 상태에서 척을 회전시켜서 전선을 길이 방향으로 비틀고, 3층의 절연층이 각층에 박리하는 회전수를 조사하였다. 그리고 박리는 둘레방향으로 잘림선 자국을 낸 부분의 일부의 피막이 박리된 시점으로 한다. 이 회전수가 적은 것일 수록 층간 박리성이 우수하다.
코일가공성 :
1변이 7mm 의 정방형 단면을 가진 도전성 각 심(코어)에 코일을 가공기를 사용하여 6kg 의 장력을 걸면서 전선을 정렬권선 (50회)하고, 전선과 각심의 사이에 전압 3000V를 인가하였을때에, 절연 파괴가 일어날때까지의 시간을 측정, 이 시험은 코일각 10개씩 실시하고, 결과는 평균치로 평가, 이 시간이 길수록 코일 가공시에 절연층에 손상이 일어나지 않는것, 즉, 코일 가공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가이드노즐로서는 선단의 구멍의 지름이 전선의 외경보다 0.05mm 큰것을 사용하고 또 선속은 20m/분으로 설정하였다.
권선후의 외관관찰 :
코일 가공성의 시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정렬감기를 하여 코일을 가공하고, 얻어진 각 10개의 코일에 관하여 전선을 각심으로 부터 풀어서 그의 표면을 관찰하고 절연층에 찢어진 부분이 발생한 개수를 조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일괄해서 표 2 에 표시하였다.
[표 2]
표 2 로부터 다음과 같은 것이 명백하다.
1) 측쇄에 카르복실산등을 갖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이하, 변성재라고한다)와,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수지로 이루어진 수지 혼화물로 1층째, 2층째가 형성되고, 3층째가 열가소성 폴리아미드수지로 형성된 실시예 1 내지 5의 절연전선은 특히 납땜 특성이 뛰어나고, 다른 특성도 양호하다.
또 상기한 각 실시예의 절연전선의 경우는 어느것이나, 상기층간 박리성의 시험시에 우선 최초로 3층째와 2층째에서 층간 박리가 일어나고, 이어서 1층째와 2층째의 층간 박리가 일어난다고 알고있듯이, 절연층의 외측으로부터 박리되었다.
이것은, 전선에 외력이 가하여 졌을때, 절연층에서는, 외측으로 부터 박리가 생기고, 내측일수록 박리가 방지된다는 것을 의미하고 있다. 따라서, 이것들의 실시예의 각전선은 신뢰성이 높은 것으로 되어 있다.
2) 제조시 압출피복후에 수냉하는 공정을 설치한 실시예 1 의 절연전선은 층간 박리성이 우수하다.
3) 상기 변성재를 배합하지 않고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수지 단독으로 1층째, 2층째를 형성한 비교예 1 의 절연전선은, 특성의 경시 변화가 현저하다. 또 코일 가공성도 나쁘다. 코일 가공성이 나쁜것은 최외층이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수지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4) 한편 변성재가 과잉 (50중량부)하게 배합된 수지 혼화물을 사용하여 형성한 비교에 2 의 절연전선은 내열성이 나쁘다.
5) 비교예 3 은 1층째, 2층째에 가하여, 3층째도 변성재가 배합된 열가소성 폴리에스테르수지로 절연층이 형성된 것이다. 이 절연전선은 2층째가 열가소성 폴리아미드수지로 형성되어 있지 않기 때문에 코일 가공성이 나쁘다.
6) 필름을 감아서 절연층을 형성한 비교예 4 의 절연전선은 납땜을 할 수 없다. 또 절연 파괴 전압이 낮고 절연특성이 나쁘다. 또 최외층에 요철이 있어서 코일가공성의 결과도 나쁘다.
7) 전혀 다른 수지 (테프론)로 절연층을 형성한 비교예 5의 절연전선도 납땜을 할 수 없다. 또 층간 박리성은 8회이며, 층간의 밀착성이 지나치게 나쁘다.
8) 절연층의 1층째와 3층째가 폴리아미드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비교예 6 의 전선은 코일가공성이 나쁘다. 이것은 절연층과 도체와의 밀착성이 양호치 않는데 다가, 1층째와 2층째, 2층째와 3층째가 각각 다른 종류의 수지가 접촉하는 상태이기 때문에 전체로서의 밀착성이 매우 악화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 이 비교예 6 의 전선은 절연 파괴 전압이 낮다.
이것은 폴리아미드수지로 이루어지는 절연층이 2층 존재하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9) 2층째와 3층째가 폴리아미드수지로 형성되어 있는 비교예 7 의 전선은 비교예 6 과 마찬가지로 절연 파괴 특성이 나쁘다.
실시예 6 내지 8, 비교예 8, 9
표 3 에 표시한 각 성분을 표시한 비율로 훈련하여 각 압출 피복층용의 수지 혼화물을 조제하였다.
도체로서 선 직경 0.6mm의 연동선을 준비하여, 그의 외주에 상기 수지 혼화물을 압출 피복하여, 표시한 두께로 1층째의 압출 피복층을 형성한후, 2층째의 압출피복층을 형성하고 또 2층째의 외주에 상기 수지 혼화물을 압출 피복하여 3층 절연전선을 제조하였다.
그리고 실시예 6,7 을 제조할때에는 각 압출피복 공정후, 그의 표면을 100℃ 이하로 수냉하였다.
[표 3]
이것들의 3층 절연 전선에 관하여, 실시예 1 내지 5와 동일한 시방으로 각종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단, 내열성 시험에 있어서의 가열온도는 230℃ 로 설정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표 4 에 표시하였다.
[표 4]
표 4 로 부터 다음과 같은 것이 명백하다.
1) PCT 계 수지로 1층째와 2층째를 형성한 실시예 6 내지 8 의 절연전선은 어느 특성도 우수하다. 특히 내열성 시험을 230℃라는 높은 온도에서 실시하였는데도 불구하고 양호한 결과가 얻어졌으며, 이것들의 실시예 6 내지 8 이 내열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 이것들의 실시예 6 내지 8의 절연전선은 실시예 1 내지 5의 것과 마찬가지로 외측의 절연층으로 부터 순차적으로 박리되어 갔다.
2) 실시예 6 은 PCT 계 수지 단독으로 1층째와 2층째를 형성한 것이지만, 양호한 특성을 나타내고 있다. PCT 계 수지를 사용한 경우는, 상기 변성재를 배합하지 않더라도 경시 변화의 문제를 무시할 수 있다. (상기 비교예 1 참조) 단 이와 같은 양호한 특성을 얻기 위하여 3층째를 열가소성 폴리아미드수지로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생각된다 (비교예 8을 참조).
3) 압출 피복후에 냉각 공정을 설치한 실시예 6,7의 절연전선은 층간 박리성이 우수하다.
4) 최외층이 PET 계 수지로 형성된 비교예 8 의 절연전선은, 경시 변화가 크다. 이것은 최외층을 폴리아미드 수지는 아니고, PET 계 수지로 형성하였기 때문에 PCT 의 열화가 진행하기 쉽게되어 있기 때문이라고 생각된다. 또 이것은 코일 가공성이 떨어져 있었다.
5) 변성재가 과잉으로 배합되어 있는 비교예 9 의 절연전선에서는 내열성이 저하되어 있다.
실시예 9 내지 11, 비교예 10 내지 12
표 5 에 표시한 각성분을 표시한 비율 (중량부)도 훈련하여, 각 압출피복층 용의 수지혼화물을 조제하였다.
도체로서 선 직경 0.6mm 의 연동선을 준비하고, 그의 외주에 상기 수지 혼화물을 압출피복하여, 표시한 두께로 1층째의 압출 피복층을 형성한 후, 2층째의 압출 피복층을 형성하고, 또 2 층째의 외주에 상기 수지 혼화물을 압출 피복하여 3층 절연 전선으로 하고, 최후로 자기 융착층용의 수지를 압출피복하여 자기 융착성을 갖는 3층 절연전선을 제조하였다.
[표 5]
이상의 6 종류의 자기 융착성을 갖는 3층 절연전선에 관하여 하기의 시방으로 각종의 특성을 측정하였다.
납땜성 :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와 같은 조건으로 조사하였다.
내열성 :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와 같은 조건으로 조사하였다.
접착성 :
전선을 직경 5mm 의 나선코일로 형성하고, 실시예 9,11, 비교예 10 내지 12에 관하여는 160℃ 에서 15분간 가열 융착, 실시예 10에 관하여는 140℃에서 15 분간 가열융착한 후, JIS 3003 에 준거하여 상온과 80℃ 에 있어서의 접착 강도를 측정.
자기 융착층의 밀착성 (코일가공시험) :
전체의 피복을 길이방향으로 절단칼로 비어낸 상태에서 3 % 신장시키면서 직경 12mm 의 코일 보빈에 코일링하고, 자기융착층과 절연층이 서로 박리되는지 아닌지를 관찰, 이 시험은 통상의 코일링 작업시에, 자기 융착층과 절연층과의 사이에 박리가 생기는지 아닌지를 조사하는 시험으로서, 이때는 박리를 일으키지 않는 것이 필요하다.
코일 가공성 :
1변이 7mm 의 정방향 단면을 갖는 도전성 각심에, 코일 가공기를 사용하여 6kg 의 장력을 걸면서 전선을 정렬로 감고 (50회) 전선과 각심의 사이에 전압 3000V 를 인가하였을때에, 절연파괴가 일어날때까지의 시간을 측정. 이 시험은 코일 각 10 개씩을 시험하고, 결과는 평균치로 평가. 이 시간이 길수록 코일 가공시에 절연층에 손상이 일어나 있지 않을 것, 즉 코일 가공성이 우수하다는 것을 나타낸다. 그리고 가이드 노즐로서는 선단의 공경이 전선의 외경보다 0.05mm 큰것을 사용하고, 또 선속은 10m/분으로 설정하였다.
절연층의 층간 박리성 :
실시예 1 내지 5의 경우와 같은 조건으로 조사하였다. 이상의 결과를 일괄해서 표 6에 표시하였다.
[표 6]
실시예 9 내지 11은 2층째의 절연층에 폴리아미드수지를 사용하고, 자기 융착층의 형성에 공중합 폴리아미드를 사용한 예이지만, 어느 특성도 우수하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비교예 10은, 3층째의 절연층에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사용하고, 자기 융착층의 형성에 공중합 폴리에스테르를 사용한 예이며, 어느 특성도 우수하지만, 실시예 9 내지 11 보다 접착력이 낮다.
비교예 11 은 2층째의 절연층에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사용하고, 자기 융착층의 형성에 다른 종류의 재료의 공중합 폴리아미드를 사용하였기 때문에, 코일 가공시에 자기 융착층의 박리가 생겼다. 또 접착력의 저하를 볼 수 있다.
비교예 12 는 절연층에 테프론 수지를 사용하고, 자기 융착층의 형성에 다른 종류의 재료인 공중합 폴리아미드를 사용한 예이다. 이 예는 모든 층간의 밀착력이 나쁜것이기 때문인지, 코일 가공시험의 결과가 나쁘고, 또 자기 융착층이 박리되어 접착력이 없다. 게다가 납땜 특성을 전혀 나타내지 않는다.

Claims (19)

  1. 도체와, 상기 도체를 피복하는 3 층 이상의 절연층으로 이루어지고, 도체측으로부터 1 층째 및 2 층째를 구성하는 절연층이,
    (a) 지방족 알콜성분 과 산 성분을 결합함으로써 형성된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측쇄에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갖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잘 혼합된 수지 혼화물의 압출 피복층,
    (b) 전부 또는 일부가 시클로지방족 알콜 성분과 산 성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압출 피복층, 또는
    (c) 전부 또는 일부가 시클로지방족 알콜 성분과 산성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측쇄에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갖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50 중량부 이하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잘 혼합된 수지 혼화물의 압출 피복층 중 어느 하나이며, 3 층째의 절연층이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 또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잘 혼합된 수지 혼화물의 압출 피복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절연 전선.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층째의 절연층 및 2 층째의 절연층이 모두 상기 (a) 의 압출 피복층인 다층 절연 전선.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층째의 절연층 및 2 층째의 절연층이 모두 상기 (b) 또는 (c) 의 압출 피복층인 다층 절연 전선.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2 층째의 절연층의 두께가 상기 1 층째의 절연층 또는 3 층째의 절연층중 두꺼운쪽 층의 절연층의 두께의 2 배 이상인 다층 절연 전선.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3 층째의 압출 피복층이 4,6-나일론으로 이루어진 다층 절연 전선.
  6. 제 1 항에 있어서, 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따르는 잘림선과 둘레 방향으로 따르는 잘림선 자국을 절연층에 형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선을 직선상으로 유지하고, 상기 전선의 길이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전선을 비틀어 돌렸을 때에 도체가 절단되기 전에, 상기 절연층의 각층이 서로 분리하는 다층 절연 전선.
  7. 제 6 항에 있어서, 20 회 이상의 비틀어돌림에 의해서 상기 절연층의 각 층이 분리하는 다층 절연 전선.
  8. 도체와, 상기 도체의 표면을 피복하는 3 층 이상의 절연층과, 상기 절연층의 최외층을 피복하는 자기 융착층으로 이루어지고, 도체측으로부터 1 층째 및 2 층째를 구성하는 절연층이,
    (a) 지방족 알콜 성분과 산 성분을 결합함으로써 형성된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측쇄에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갖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잘 혼합된 수지 혼화물의 압출 피복층,
    (b) 전부 또는 일부가 시클로지방족 알콜 성분과 산 성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압출 피복층, 또는
    (c) 전부 또는 일부가 시클로지방족 알콜 성분과 산 성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측쇄에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갖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50 중량부 이하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잘 혼합된 수지 혼화물의 압출 피복층 중 어느 하나이며, 3층째의 절연층이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 또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잘 혼합된 수지 혼화물의 압출 피복층이며, 상기 자기 융착층이 공중합 폴리아미드 수지의 압출 피복층임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절연 전선.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1 층째의 절연층 및 2 층째의 절연층이 모두 상기 (a) 의 압출 피복층인 다층 절연 전선.
  10.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1 층째의 절연층 및 2 층째의 절연층이 모두 상기 (b) 또는 (c) 의 압출 피복층인 다층 절연 전선.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2 층째의 절연층의 두께가 상기 1 층째의 절연층 또는 3 층째의 절연층중 두꺼운쪽 층의 절연층의 두께의 2 배 이상인 다층 절연 전선.
  12.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3 층째의 절연층이 4,6-나일론으로 이루어진 다층 절연 전선.
  13. 제 8 항에 있어서, 전선의 길이 방향으로 따르는 잘림선과 둘레 방향으로 따르는 잘림선 자국을 절연층에 형성시킨 상태에서, 상기 전선을 직선상으로 유지하고, 상기 전선의 길이 방향을 중심축으로 하여, 상기 전선을 비틀어 돌렸을 때에 도체가 절단되기 전에, 상기 절연층의 각층이 서로 분리하는 다층 절연 전선.
  14. 도체의 표면에 3 층 이상의 절연층을 압출 피복하여 형성할 때에, 형성된 압출 피복층의 표면을 100 ℃ 이하로 냉각하는 공정을 1 회 이상 행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절연 전선의 제조 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도체와, 상기 도체의 표면을 피복하는 3 층 이상의 절연층으로 이루어지고, 도체측으로부터 1 층째 및 2 층째를 구성하는 절연층이,
    (a) 지방족 알콜 성분과 산 성분을 결합함으로써 형성된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측쇄에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갖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5 내지 40 중량부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잘 혼합된 수지 혼화물의 압출 피복층,
    (b) 전부 또는 일부가 시클로지방족 알콜 성분과 산 성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압출 피복층, 또는
    (c) 전부 또는 일부가 시클로지방족 알콜 성분과 산 성분을 결합하여 형성되는 열가소성 직쇄 폴리에스테르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측쇄에 카르복실산 또는 카르복실산의 금속염을 갖는 에틸렌계 공중합체 50 중량부 이하를 배합하여 이루어지는 잘 혼합된 수지 혼화물의 압출 피복층
    중 어느 하나이며, 3 층째의 절연층이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 또는 열가소성 폴리아미드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잘 혼합된 수지 혼화물의 압출 피복층인 다층 절연 전선을 제조할 때에, 1 층째의 절연층을 압출 피복한 후, 그의 표면을 100 ℃ 이하로 냉각함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절연 전선의 제조 방법.
  1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지방족 알콜 성분이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절연 전선.
  17.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시클로지방족 알콜 성분이 시클로헥산디메탄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다층 절연 전선.
  18. 제 1 항에 기재된 다층 절연 전선을 사용하여 제조된 변압기.
  19. 제 8 항에 기재된 다층 절연 전선을 사용하여 제조된 변압기.
KR1019930022633A 1992-10-28 1993-10-28 다층절연전선및그의제조방법,그리고그에관한변압기 KR10029451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016092 1992-10-28
JP92-290160 1992-10-28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129A KR940010129A (ko) 1994-05-24
KR100294518B1 true KR100294518B1 (ko) 2001-10-22

Family

ID=17752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022633A KR100294518B1 (ko) 1992-10-28 1993-10-28 다층절연전선및그의제조방법,그리고그에관한변압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606152A (ko)
KR (1) KR100294518B1 (ko)
CA (1) CA2109336C (ko)
DE (1) DE4336385B4 (ko)
MY (1) MY111255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287B1 (ko) 2006-03-31 2011-11-30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다층 절연 전선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21397A (en) * 1995-06-07 1998-02-24 Weinberg; Martin J. Electrical insulation and products protected thereby
US6296935B1 (en) 1996-08-22 2001-10-02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Multilayer insulated wire and transformer using the same
US5965263A (en) * 1996-12-25 1999-10-12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Insulated wire
JPH11176244A (ja) 1997-10-06 1999-07-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多層絶縁電線及びそれを用いた変圧器
JPH11176245A (ja) 1997-10-14 1999-07-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多層絶縁電線およびそれを用いた変圧器
JPH11176246A (ja) 1997-10-24 1999-07-02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多層絶縁電線及びそれを用いた変圧器
US6303866B1 (en) * 1997-12-08 2001-10-16 Acome Societe Cooperative Detravailleurs Self-adjusting cables and method for making same
US6265667B1 (en) 1998-01-14 2001-07-24 Belden Wire & Cable Company Coaxial cable
DE19951709A1 (de) * 1999-10-27 2001-05-03 Alcatel Sa Elektrischer Leiter mit rechteckigem oder quadradischem Querschnitt
TW495771B (en) * 2000-01-25 2002-07-21 Furukawa Electric Co Ltd Multilayer insulated wire and transformer using the same
KR100368571B1 (ko) * 2000-07-31 2003-01-24 주식회사 코스모링크 개질된 절연전선 피복용 폴리에스테르 수지 및 이를이용하여 제조된 다층 절연전선
JP4057230B2 (ja) * 2000-10-03 2008-03-05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絶縁被覆電気導体
MY136063A (en) * 2001-06-01 2008-08-29 Furukawa Electric Co Ltd Multilayer insulated wire and transformer using the same
TWI270088B (en) * 2002-11-29 2007-01-01 Furukawa Electric Co Ltd Insulated wire and resin dispersion
US20190357827A1 (en) 2003-08-01 2019-11-28 Dexcom, Inc. Analyte sensor
US8532730B2 (en) 2006-10-04 2013-09-10 Dexcom, Inc. Analyte sensor
WO2005106898A1 (ja) * 2004-04-28 2005-11-10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多層絶縁電線及びそれを用いた変圧器
US20050252679A1 (en) * 2004-05-13 2005-11-17 Hsing-Hua Chang Multi-layer insulated wire, processes for preparing the same, and its applications
US20060102380A1 (en) * 2004-11-17 2006-05-18 Kuo Kuang Electronic Wire Co., Ltd. Multilayer insulating wire
EP1829059A1 (de) * 2004-12-06 2007-09-05 Siemens Aktiengesellschaft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wickelleiters für elektrische geräte und nach diesem verfahren hergestellter wickelleiter
JP4579989B2 (ja) * 2005-09-30 2010-11-10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多層絶縁電線及びそれを用いた変圧器
CN101652911A (zh) * 2007-02-15 2010-02-17 巴斯夫欧洲公司 生产组件的方法和组件
JP5405729B2 (ja) 2007-03-12 2014-02-05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便座装置
EP2317524B1 (en) * 2008-07-29 2014-06-25 The Furukawa Electric Co., Ltd. Insulated wire
JP5306742B2 (ja) * 2008-08-28 2013-10-02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絶縁ワイヤ
JP5520493B2 (ja) 2008-10-20 2014-06-11 古河電気工業株式会社 多層絶縁電線及びそれを用いた変圧器
US9149220B2 (en) 2011-04-15 2015-10-06 Dexcom, Inc. Advanced analyte sensor calibration and error detection
CN102498526A (zh) * 2009-09-02 2012-06-13 古河电气工业株式会社 多层绝缘电线和使用其的变压器
DE102011052520A1 (de) 2011-08-09 2013-02-14 Aumann Gmbh Vorrichtung zur Beschichtung von elektrisch leitenden Drähten
KR101727377B1 (ko) 2012-11-30 2017-04-14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절연 전선 및 전기·전자기기
CA2890015A1 (en) * 2012-12-28 2014-07-03 Furukawa Electric Co., Ltd. Insulated wire, electrical equipment, and method of producing insulated wire
CN105990011B (zh) * 2015-02-11 2017-11-21 中达电子(江苏)有限公司 变压器、变压器绕组及其制作方法
CN117690724B (zh) * 2024-02-02 2024-04-19 深圳市萝卜智造机器人有限公司 一种无线充电线圈定位缠绕装置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4723A (en) * 1986-06-02 1989-04-25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sistant electrical insulating material
JPH0422008A (ja) * 1990-05-15 1992-01-27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線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576508A (en) * 1978-12-01 1980-06-09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Method of fabricating crosslinked polyethylene cable
JPS575214A (en) * 1980-06-11 1982-01-12 Showa Electric Wire & Cable Co Method of manufacturing self-adhesive insulated wire
US4346136A (en) * 1980-07-14 1982-08-24 General Electric Company Bondable magnet wire comprising polyamide-imide coating containing residual solvent
US4420535A (en) * 1981-10-14 1983-12-13 Schenectady Chemicals, Inc. Bondable polyamide
US4390590A (en) * 1981-10-19 1983-06-28 Essex Group, Inc. Power insertable polyamide-imide coated magnet wire
US4410592A (en) * 1981-10-19 1983-10-18 Essex Group, Inc. Power insertable nylon coated magnet wire
US4420536A (en) * 1981-11-23 1983-12-13 Essex Group, Inc. Self-bonding magnet wire
JPS62293705A (ja) * 1986-06-13 1987-12-21 Hitachi Metals Ltd 小型トランス
JPS6358709A (ja) * 1986-08-28 1988-03-14 カ−リスル コ−ポレ−シヨン 多層耐高温絶縁体で絶縁された導体
US4801501A (en) * 1986-08-28 1989-01-31 Carlisle Corporation Insulated conductor with multi-layer, high temperature insulation
JPS64765A (en) * 1987-06-23 1989-01-05 Seiko Epson Corp Semiconductor device
FR2618078B1 (fr) * 1987-07-15 1994-04-01 Salomon Sa Ski a face superieure divergente
JPH02165516A (ja) * 1988-12-16 1990-06-26 Sumitomo Electric Ind Ltd 直流用高圧電線
DE69019176T2 (de) * 1989-01-21 1995-12-07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supraleitenden Wismutoxid-Drahtes.
EP0416133B1 (en) * 1989-03-28 1995-01-25 Nippon Steel Corporation Resin-coated bonding wire, method of producing the same and semiconductor device
JPH0320421A (ja) * 1989-06-16 1991-01-29 Nkk Corp 焼結鉱の製造方法
JPH0356112A (ja) * 1989-07-26 1991-03-11 Hitachi Ltd フィルタおよびそれを用いたクリーンルーム
JP2670363B2 (ja) * 1989-09-20 1997-10-29 株式会社東芝 プラスチック成形型のゲート切断装置
JP2593101B2 (ja) * 1990-06-08 1997-03-26 サンケン電気株式会社 コイル装置
US5310128A (en) * 1993-02-08 1994-05-10 Pitney Bowes Inc. Tape storage apparatus for mailing machin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824723A (en) * 1986-06-02 1989-04-25 General Electric Company Flame resistant electrical insulating material
JPH0422008A (ja) * 1990-05-15 1992-01-27 Sumitomo Electric Ind Ltd 電線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088287B1 (ko) 2006-03-31 2011-11-30 후루카와 덴키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다층 절연 전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40010129A (ko) 1994-05-24
US5606152A (en) 1997-02-25
DE4336385A1 (de) 1994-05-05
MY111255A (en) 1999-10-30
CA2109336C (en) 2002-01-01
DE4336385B4 (de) 2011-04-07
CA2109336A1 (en) 1994-04-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94518B1 (ko) 다층절연전선및그의제조방법,그리고그에관한변압기
JP5739810B2 (ja) 多層絶縁電線及びそれを用いた変圧器
EP1950769B1 (en) Multilayered electric insulated wire and transformer using the same
EP1394818B1 (en) Multilayer insulated wire and transformer using the same
JP4762474B2 (ja) 多層絶縁電線及びそれを用いた変圧器
JP3485950B2 (ja) 多層絶縁電線とその製造方法
KR100508490B1 (ko) 다층절연전선 및 그것을 사용한 변압기
EP2003655A9 (en) Multilayer insulated electric wire
TWI440051B (zh) Multilayer insulated wires and transformers using them
JP3307434B2 (ja) 3層絶縁電線
JP3464257B2 (ja) 自己融着性多層絶縁電線およびこれを用いた変圧器
JP3369607B2 (ja) 3層絶縁電線とその製造方法、その3層絶縁電線を用いた変圧器
JP4028034B2 (ja) 多層絶縁電線及びそれを用いた変圧器
JP3307435B2 (ja) 3層絶縁電線とその製造方法
JP3956415B2 (ja) 多層絶縁電線およびそれを用いた変圧器
JP3349257B2 (ja) 多層絶縁電線、それを用いたトランス
JPH07153320A (ja) 多層絶縁電線およびこれを用いた変圧器
JP2009231025A (ja) 多層絶縁電線及びそれを用いた変圧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0318

Year of fee payment: 11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