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87468B1 - 반도체 집적 회로 - Google Patents

반도체 집적 회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87468B1
KR100287468B1 KR1019970061129A KR19970061129A KR100287468B1 KR 100287468 B1 KR100287468 B1 KR 100287468B1 KR 1019970061129 A KR1019970061129 A KR 1019970061129A KR 19970061129 A KR19970061129 A KR 19970061129A KR 100287468 B1 KR100287468 B1 KR 1002874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ing
gate
wirings
layer
diffusio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700611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9980086430A (ko
Inventor
타까히로 사와무라
토시야 우찌다
히로미 깐다
Original Assignee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끼구사 나오유끼,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아끼구사 나오유끼
Publication of KR19980086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9980086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874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874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7/00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 H01L27/02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 H01L27/04Devic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state components formed in or on a common substrate including semiconductor component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oscillating, amplify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including integrated passive circuit elements having potential barriers the substrate being a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01L23/5222Capacitive arrangements or effects of, or between wiring lay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3/00Details of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H01L23/5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 H01L23/522Arrangements for conducting electric current within the device in operation from one component to another, i.e. interconnections, e.g. wires, lead frames including external interconnections consisting of a multilayer structure of conductive and insulating layers inseparably formed on the semiconductor bod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24/00Indexing scheme for arrangements or methods for connecting or disconnecting semiconductor or solid-state bodies as covered by H01L24/00
    • H01L2924/0001Technical content checked by a classifier
    • H01L2924/0002Not covered by any one of groups H01L24/00, H01L24/00 and H01L2224/00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57/00Active solid-state devices, e.g. transistors, solid-state diodes
    • Y10S257/92Conductor layers on different levels connected in parallel, e.g. to reduce resistan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Design And Manufacture Of Integrated Circuits (AREA)
  • Internal Circuitry I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s (AREA)
  • Metal-Oxide And Bipolar Metal-Oxid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 Semiconductor Memories (AREA)
  •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도체소자의 배접(backing wiring)을 할 경우에, 배선의 자유도를 손상하지 않도록 하는 배접의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반도체 집적회로는 제1 방향으로 뻗는 게이트와, 게이트에 대응해서 형성된 확산층과, 제1 배선층 내에서 제1 방향과 거의 직교한 제2 방향으로 뻗는 확산층과 접속된 복수의 배접배선과, 복수의 배접배선을 서로 접속한 제2 배선층에 형성된 접속배선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반도체 집적회로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반도체 집적회로에 관한 것이며, 보다 상세하게는 반도체 집적회로의 소자의 배선에 관한 것이다.
반도체 메모리 등의 반도체장치에서는 용량의 증대나 동작의 고속화를 도모하기 위해서 회로의 집적도를 크게 할 것이 요구된다. 회로 집적도를 증대시켜서 칩 크기를 축소한 경우에는 불필요한 공간이 생기지 않도록 개개의 집적회로를 효율적으로 배치하고, 회로간을 접속하는 배선을 여분의 저항이나 용량이 생기지 않도록 최소한의 길이로 결선할 필요가 있다.
예를 들어 반도체 메모리의 주변회로에서는 반도체장치상에 형성된 제1 배선층 내에서, 반도체소자의 소스· 드레인영역상에 저항이 적은 금속배선을 게이트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치하고, 복수 개소에서 금속배선과 확산층간을 접촉시킨다. 이것은 배접이라 부르는 방법이며, 이 방법에 의해 확산층의 저항이 비교적 크더라도 충분히 넓은 원하는 게이트 폭을 실현할 수가 있다.
도 6a 및 도 6b는 금속배선을 소스· 드레인영역에 배접한 모양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a 및 도 6b에서 폴리실리콘으로 된 게이트92010의 양측에 소스 및 드레인을 구성하는 확산층(202, 203)이 배치된다. N형의 확산층은 P형의 기판(210) 표면 가까이에 형성된다. 기판(210) 상방에 형성된 배선층 내에서, 확산층(202,203)상에 금속배선(204, 205)이 게이츠(201)에 평행하게 배선된다. 금속배선(204, 205)과 확산층(202, 203)은 복수의 접점(206, 207)을 통해서 접속된다.여기서 가령 접점(206, 207)이 도 6a의 가장 밑에 나타낸 1개씩 밖에 설치되어 있지 않으면, 이들 접점이 설치된 부근의 확산층영역 간에서는 전류가 흐르나, 도 6a의 상부에서는 전류가 흐르지 않는다. 이것은 확산층(202, 203)의 저항이 크기 때문이다.
도 6a 및 도 6b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접점(206, 207)을 사용하여 확산층(202, 203)을 금속배선(204, 205)으로 배접하면, 도 6a에 나타낸 확산층(202, 203)의 전체에 걸쳐서 확산층(202,203) 사이에 전류가 흐르게 된다. 이와 같이해서 충분히 넓은 원하는 게이트 폭을 얻을 수가 있다.
도 7은 NAND회로를 반도체소자로 실현한 경우의 레이아웃의 일례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NAND회로와 등가인 회로도이다. 도 7 및 도8에서 등가인 요소는 동일한 번호롤 표시하였다.
도 8의 NAND회로는 PMOS 트랜지스터(221, 222)와 NMOS 트랜지스터(223, 224)를 구비하며, 입력(In1, In2)의 NAND 연산의 결과가 Out으로 출력된다.
도 7에서 P형 기판상에 N웰(231)을 만들고, P형 확산층(232)과 N형 확산층(233) 및 폴리실리콘 게이트(234 또는 241)에 의해 C-MOS 트랜지스터를 형성한다. 폴리시리콘 게이트(234 또는 241)가 트랜지스터(221 또는 224)의 어느 쪽에 대응하느냐는 도 8에 게이트(234 또는 241)를 나타낸 바에 따라 표시된다.
입력(In1)은 게이트(236, 237)와 게이트(239, 240)에 접속된다. 입력(In2)은 게이트(234, 235)와 게이트(238, 241)에 접속된다. 접지전압배선(252)은 NMOS 트랜지스터(224)의 소스에 대응한 배선(253)에 접속된다. 또 전원전압배선(250)은 PMOS 트랜지스터(221, 222)의 소스에 대응한 배선(251)에 접속된다. 출력 Out는 PMOS 트랜지스터(221, 222)의 드레인에 대응한 배선(254)과, NMOS 트랜지스터(223)의 드레인에 대응한 배선(255)에 접속된다.
도 7의 예에서 배접용의 배선(251, 253, 254, 255)은 P형 기판상의 제1 배선층에 형성된다. 또 입력배선(In2)과 통과배선(300)도 제1 배선층에 형성된다. 이에 대해 전원전압배선(2500, 접지전압배선(252), 입력배선(In1) 및 통과배선(40)은 제1 배선층 상부에 형성된 제2 배선층에 형성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된 레이아웃에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제1 배선층에는 게이트에 평행한 방향으로 뻗는 배선을 배치하고, 제2 배선층에는 게이트에 수직한 방향으로 뻗는 배선을 형성한다. 이것은 서로 직교한 배선은 당연히 다른 배선층에 형성할 필요성이 있기 때문이다. 즉 배접용의 금속배선이 제1 배선층에서 게이트에 평행한 방향으로 뻗기 때문에, 원하는 레이아웃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게이트에 수직한 방향으로 뻗는 배선은 배접용의 금속배선과는 다른 제2 배선층에 형성하게 된다.
이와 같이 종래에 일반적으로 사용된 배선층의 모양을 도 9에 나타낸다. 도 9에서 도 6b와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번호로 표시하고, 그 설명은 생략한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접용의 급속배선(204, 205)은 제1 배선층에서 지면과 직교한 방향, 즉 게이트(201)에 평행한 방향으로 뻗는다. 금속배선(205)에 접점(208)을 통해서 접속된 배선(209)은 제1 배선층의 상부에 형성된 제2 배선층 내에서 게이트(201)에 직교한 방향으로 뻗는다.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레이아웃에서는, 입력배선(In2)이나 통과배선(300)은 회로소자상을 통과하여 배선을 할 수가 없다. 왜냐 하면 회로소자상에서는 배접된 금속배선(251, 253, 254 255)이 조밀하게 배선되어 있어서, 다른 배선을 통과시킬 공간이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도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입력배선(In2)이나 통과배선(300)은 회로소자상을 우회하여 배선할 필요가 있어서, 배선의 자유도가 현저히 제약되기 때문이다. 또 이와 같이 우회시킨 경우에는, 배선저항 및 배선용량이 증대하여 신호전달 속도의 저하를 초래하므로 바람직하지 못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반도채소자를 배접할 경우에, 배선의 자유도를 손상하지 않도록 하는 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제1a도 및 제1b도는 본 발명의 원리에 의한 반도체소자의 배접 레이아웃을 나타낸 도면.
제2도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접 레이아웃으로 2 입력 NAND회로를 구성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
제3도는 제2도의 NAND회로와 등가인 회로를 나타낸 회로도.
제4도는 제2 실시예의 변형례를 나타낸 도면.
제5도는 제3 배선층을 형성한 경우의 각 층의 배선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
제6a도 및 제6b도는 금속배선을 소스· 드레인영역에 배접하는 종래기술의 레이아웃을 나타낸 도면.
제7도는 종래기술의 배접 레이아웃을 사용하여 NAND회로를 실현한 경우의 레이아웃의 일례를 나타낸 도면.
제8도는 제7도의 NAND회로와 등가인 회로도.
제9도는 종래기술에 의한 배선층의 구성을 나타낸 도면.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반도체 집적회로에 있어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서 제1 방향으로 뻗는 게이트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의 하나를 획정하는 확산층과, 상기 확산층에 공통으로 접속되며 제1 배선층 내에서 그리고 상기 제1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배접배선과, 상기 복수의 배접배선간을 서로 접속하며 제2 배선층에 형성되는 접속배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제2 배선층에 게이트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선을 끌 경우에. 회로소자상을 통과하여 배선할 수가 있는 동시에, 제1 배선층에 게이트에 직교한 방향으로 배선을 끌 경우에도, 복수의 배접배선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회로소자상을 통과하여 배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통과배선 등을 회로소자를 우회하여 배선 할 필요가 없어져서 자유롭게 배선을 끌 수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 기재의 반도체 집적회로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은 소스에 대응하는 제1 확산층과 드레인에 대응하는 제2 확산층을 포함하고,상기 복수의 배접배선은 상기 제1 확산층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1 배접배선과 상기 제2 확산층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2 배접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배선은 상기 복수의 제1 배접배선을 서로 접속하는 제1 접속배선과 상기 복수 제2 배접배선을 서로 접속하는 제2 접속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통과배선 등을 트랜지스터소자를 우회하여 배선할 필요가 없어져서, 자유롭게 배선을 끌 수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 기재의 반도체 집적회로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접배선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접점 중 대응하는 1개를 통해서 상기 확산층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제1 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접점에 의해 배접함으로써, 충분히 폭이 넓은 원하는 게이트 폭을 실현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1 기재의 반도체 집적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층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배접배선과는 다른 제1 배선과, 상기 제2 배선층에 형성되는 상기 접속배선과는 다른 제2 배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배선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뻗고 상기 제2 배선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뻗은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제1 배선층 내의 배선과 제2 배선층 내의 배선을 서로 직교시킴으로써, 제1 배선층 및 제2 배선층을 사용하여 효율적인 레이아웃을 실현할 수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4 기재의 발명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선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확산층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제2 배선층에 게이트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선을 끌 경우에, 회로소자를 우회하지 않고 회로소자상을 통과하여 배선하므로, 여분의 배선저항이나 배선용량을 초래하지 않고, 배선의 폭 만큼 필요한 배선의 점유면적을 작게 할수가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4 기재의 반도체 집적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 1 배선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복수의 배접배선간을 지나서 상기 확산층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제1 배선층에 게이트에 직교한 방향으로 배선을 끌 경우에, 회로소자를 우회하지 않고, 회로소자상을 통과하여 배선하므로, 여분의 배선저항이나 배선용량을 초래하지 않고, 배선의 폭 만큼 필요한 배선의 점유면적을 작게 할 수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4 기재의 반도체 집적회로에 있어서, 상기 제 2 방향으로 뻗는 다른 게이트와, 상기 다른 게이트에 대응해서 형성되는 제2의 확산층과, 제1 배선층 내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제3 확산층과 복수 부위에서 접속되는 다른 배접배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제1 방향으로 게이트가 뻗는 회로소자에 부가해서, 동일한 기판상에서 제2 방향으로 게이트가 뻗는 트랜지스터 등의 회로소자를 형성할 경우에, 게이트에 평행해서 배접배선을 배치한다. 따라서 제2 방향의 배선은 제1 배선층에 형성하고 제1 방향의 배선은 제2 배선층에 형성하는 기본적인 레이아웃에 배치하지 않고, 배선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배선 전체의 레이아웃을 효율적으로 할수가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서는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상기 게이트의 연장선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하나의 단일 영역에 공통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배접용 배선과, 상기 복수의 배접용 배선간을 서로 접속하는 접속배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게이트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선을 끌 경우에, 배접용 배선상을 통과하여 배선할 수 있는 동시에, 게이트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선을 끌 경우에, 배접용 배선상을 통과하여 배선할 수 있는 동시에 게이트에 직교한 방향으로 배선을 끌 경우에도, 복수의 배접용 배선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배접용 배선간을 통해서 배선할 수가 있다. 따라서 통과배선 등을 회로소자를 우회하여 배선할 필요가 없어져서, 자유롭게 배선을 끌 수가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8 기재의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ㅂ고수의 배접용 배선을 제 1 배선층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배선은 제 2 배선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2개의 배선층을 사용함으로써, 통과배선 등을 회로소자를 우회하여 배선할 필요가 없어져서, 자유롭게 배선을 끌 수가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서는 청구항 9 기재의 반도체 장치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배선은 상기 제 1 배선층에 배치하고, 상기 게이트에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뻗는 상기 제 2 배선층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제 1 배선층 내의 배선과 제 2 배선층 내의 배선을 서로 직교시킴으로써, 제 1 배선층 및 제 2 배선층을 사용해서 효율적인 레이아웃을 실현할 수가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서는 확산층에 배접을 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게이트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금속배선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금속배선 각각을 상기 확산층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금속배선 끼리를 접속하는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발명에서는 서로 접속된 복수의 금속배선을 배접함으로써, 충분히 폭이 넓은 원하는 게이트 폭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게이트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선을 끌 경우에는 복수의 금속배선상을 통과하여 배선할 수가 있고, 게이트에 직교한 방향으로 배선을 끌 경우에는 복수의 금속배선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금속배선간을 통해서 배선할 수가 있다. 따라서 통과배선 등을 회로소자를 우회하여 배선할 필요가 없어져서, 자유롭게 배선을 끌 수가 있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별첨의 도면을 이용해서 설명한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의 원리에 의한 반도체 소자의 배접 레이아웃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폴리실리콘으로 된 게이트(11)의 양측에 소스 및 드레인을 구성하는 확산층(12, 13)이 배치된다.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N형의 확산층(12 ,13)은 P형의 기판(10)의 표면 가까이에 형성된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기판(10) 상방에 형성된 제 1 배선층 내에서 배접용의 복수의 금속배선(14, 15)이 게이트(11)에 직교한 방향으로 배선된다. 복수의 금속배선(14, 15)의 일단은 접점(16, 17)을 통해서 확산층(12, 13)에 접속된다. 금속배선(14, 15)의 타단에는 접점 (20, 21)이 설치된다. 금속배선(14, 15)과 직교하여, 즉 게이트(11)와 평행하게 금속배선(18, 19)이 제 2 배선층에 형성된다. 이 제 2 배선층을 제 1 배선층의 상방에 형성된다. 제 2 배선층의 금속배선(18, 19)은 각각 접점(20, 21)을 통해서 배접용의 금속배선(14, 15)에 접속된다. 그리고 여기서 접점이라 함은 접점구멍 또는 접점층을 통해서 다른 배선층간을 접속하는 접속부재를 의미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서로 직교한 배선은 당연히 다른 배선층에 형성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기본적으로 게이트(11)에 직교한 방향으로 뻗는 모든 배선은 제 1배선층에 형성하고, 게이트(11)에 평행한 방향으로 뻗는 모든 배선은 제 2 배선층에 형성하게 된다.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구성하면, 종래와 마찬가지로 저항이 비교적 낮은 금속배선에 의해 저항이 비교적 높은 확산층에 배접함으로써, 충분히 폭이 넓은 원하는 게이트 폭을 실현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확산층(12, 13)에 접속된 배접용 금속배선(14 ,15)은 제 1 배선층 내에서 게이트(11)에 평행한 방향으로 형성된다. 그 때문에 도 1a에 나타낸 레이아웃에서는 게이트(11)에 직교한 방향으로 뻗는 통과배선(도시하지 않음) 등을 회로소자상을 통과하여 제 2배선층에 배선할 수가 있다. 따라서 통과배선 등을 회로소자를 우회하여 배선할 필요가 없어져서, 자유롭게 배선을 끌 수가 있다.
도 6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게이트(201)에 평행한 방향의 제 1 배선층의 배선을, 회로소자상을 통과시켜 배치하는 것을 불가능하였다. 그러나 종래의 구성에서는, 게이트(201)에 직교한 방향으로 뻗는 제 2 배선층이 배선은 회로소자상을 통과시킬 수가 있다. 이에 대해 도 1a 및 도 1b에 나타낸 본 발명의 구성에서는 게이트(11)에 평행한 제 2 배선층의 배선은 회로소자상을 통과시킬 수는 있으나. 게이트에 직교한 제 1 배선층의 배선은 배접용 금속배선(14, 15)이 존재하기 때문에, 회로소자상을 통과하여 배치하는 것이 불가능하게 보인다.
그러나 확산층(12, 13)에 배접하기 위한 접점(16, 17)의 간격은 확산층(12, 13)의 저항의 영향을 그다지 고려할 필요가 없으며, 어느 정도 넓은 간격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예를 들어 도 1a의 예에서 접점(16, 17)을 1개 건너 설치하고, 점접(16, 17)과 금속배선(14, 15)의 간격을 2배로 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접점(16, 17)의 간격을 넓히면, 게이트(11)에 직교한 제 1 배선층의 배선도 회로소자상을 통과시켜 배치할 수가 있다.
이에 대해 도 1a에 나타낸 바와 같은 종래의 구성에서는, 게이트(201)에 평행한 방향의 제 1 배선층의 배선을 회로소자상에 통과시키고자 하면, 배접용 금속배선의 간격을 넓혀서 공간을 만들 필요가 있으므로 게이트 길이가 증대하게 된다. 따라서 종래의 구성에서는 회로소자의 특성이 원하는 특성으로부터 어긋난 결과가 되므로, 제 1 배선층이 배선을 회로소자상에 통과시키는 것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다.
이과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접 레이아웃에 따르면, 게이트(11)에 평행한 방향으로 뻗는 제 2 배선층의 배선을 회로소자상을 통과하여 배치할 수 있음과 동시에, 게이트(11)에 직교한 방향으로 뻗는 제 1 배선층의 배선도 접점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호로소자상을 통과하여 배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통과배선 등을 회로소자를 우회하여 배선할 필요가 없어져서, 자유롭게 배선을 끌 수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별첨의 도면을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7과 마찬가지의 지 입력 NAND회로를 본 발명에 의한 배접 레이아웃으로 구성한 실시예를 나타낸다. 도 3은 도 2의 NAND회로와 등가인 회로도이다. 도 2 및 도 3에서 등가인 요소는 동일한 번호를 붙였다.
도 2에서 P형 기판상에 N웰(131)을 만들고, P형 확산층(132)과 N형 확산층(133) 및 폴리실리콘 게이트(134 또는 141)에 의해서 C-MOS 트랜지스터를 형성한다. 폴리실리콘 게이트(134 또는 141)가 트랜지스터(121 또는 124)의 어느 것에 대응하느냐는 도 3에 게이트(134 또는 141)를 나타낸 바에 따라 표시된다.
입력배선(In2)은 게이트(134, 137) 및 게이트(139,140)에 접속된다. 접진전압배선(152)은 NMOS 트랜지스터(124)의 소스에 대응하는 배선(152)에 접속된다. 또 전원 전압배선(150)은 PMOS 트랜지스터(121, 122)의 소스에 대응하는 배선(151)에 접속된다. 출력 Out는 PMOS 트랜지스터(121, 122)의 드레인에 대응하는 배선(154)과, NMOS 트랜지스터(123)에 대응하는 배선(155)에 접속된다.
도 2의 실시예에서 배접용 배선(151, 153, 154, 155)은 P형 기판상의 제 1 배선층에 형성된다. 또 입력배선(In1)과 통과배선(170)도 제 1 배선층에 형성된다. 이에 대해 전원전압배선(150), 접지전압배선(152), 입력배선(In2) 및 통과배선(160)은 제 1 배선층의 상부에 형성된 제 2 배선층에 형성된다.
도 2의 레이아웃에서는, 입력배선(In2)과 통과배선(160)은 확산영역(132)에 설치된 PMOS 트랜지스터(121, 122)(도 3)의 회로소자상을 통과하도록 배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도 7의 종래의 레이아웃과 비교해서 게이트에 평행한 방향의 배선의 자유도가 크다. 즉 도 2의 본 발명의 레이아웃에서는, 배선저항이나 배선용량이 최소한이 되도록 배선할 수가 있다. 또 도 2의 본 발명의 레이아웃에서는, 게이트에 평행한 배선(In2) 및 통과배선(160)을 회로소자의 회측으로 우회시키지 않고 끌 수가 있으므로, 도 7의 종래의 레이아웃과 비교해서 입력배선(In2) 및 통과배선(160)의 배선 폭 만큼 작은 면적으로 전체를 레이아웃할 수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배접 레이아웃에서는, 게이트에 평행한 배선뿐 아니라 게이트에 직교한 배선까지도 필요하다면 회로소자상을 통과하여 배치할 수가 있다. 그러나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C-MOS 트랜지스터의 경우에는, PMOS 트랜지스터를 작성하는 N웰영역(131)과, NMOS 트랜지스터를 작성하는 영역과는 어느정도 분리할 필요가 있으므로, PMOS 트랜지스터와 NMOS 트랜지스터 사이에 어느정도의 공간이 존재한다. 따라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은 C-MOS 트랜지스터 구성의 경우에는, 게이트에 직교한 방향(도면의 가로방향)으로 뻗는 배선을 끄는 공간이 충분하여, 예를 들면 통과배선(170)을 회로소자상을 통과시킬 필요가 없다.
도 4는 도 2의 실시예의 변형례를 나타낸다. 도 4에서 도 2와 동일한 요소는 동일한 번호를 붙이고, 그 설명은 생략된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접의 레이아웃과 종래의 배접의 레이아웃을 동일한 기판상에서 혼재하여 사용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 도면이다. 예를 들어 도 2의 레이아웃에서, 통과배선(170)의 우측 연장선상에 도면 좌우방향으로 뻗는 게이트를 갖는 트랜지스터를 배치할 필요가 있다고 한다. 이 때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종래의 레이아웃에 따라 폴리실리콘으로 구성된 게이트(171)와, 배접용 금속배선(172)을 N형 확산층(173)상에 형성하면, 통과배선(170)에 NMOS 트랜지스터를 접속할 수가 있다. 또한 도 4에서 게이트(171)에는 어떠한 배선도 접속되어 있지 않지만,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배접의 레이아웃과 종래의 배접의 레이아웃을 동일 기판상에 혼재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것을 개념적으로 나타내기 위한 것이며, 상세한 배선 등을 생략하고 있다.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레이아웃에 따르면, 예를 들어 통과배선(170) 등의 도면 좌우방향의 배선은 제 1 배선층에 형성되고, 통과배선(160) 등의 도면 상하방향의 배선은 제 2 배선층에 형성된다. 따라서 통과배선(170) 등의 도면 좌우방향의 배선에 좌우방향으로 게이트가 뻗는 트랜지스터 등의 회로소자를 접속할 경우에는, 본 발명의 배접 레이웃을 사용하기보다는 종래기술의 배접 레이아웃을 사용하는 편이 바람직하다. 이것은 종래기술의 배접 레이아웃 편이 좌우방향의 배선은 제 1 배선층에 형성하고 상하방향으 배선은 제 2 배선층에 형성한다는 기본적인 원리에 위배되지 않으면서 배선이 가능해지기 때문이며, 이에 따라 다른 배선을 고려할 경우의 전체의 레이아웃을 효율적으로 할 수가 있다.
상기와 같은 사항은 제 2 배선층의 상부에 다시 제 3 배선층을 형성한 경우를 생각하면 명백해진다.
도 5는 제 3 배선층을 형성한 경우의 배선 레이아웃을 모식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게이트(183)에 대한 본 발명의 레이아웃에서는, 좌우방향의 배선(182)이 제 1 배선층에, 상하방향의 배선(181)이 제 2 배선층에 형성된다. 따라서 제 3 배선층의 배선(180)이 좌우방향으로 뻗어 있을 경우에는 본 발명의 레이아웃과 제 3 배선층은 비교적 용이하게 접속할 수가 있다. 그러나 게이트(186)가 좌우방향으로 뻗는 회로소자를 형성할 필요가 있을 경우에는, 제 2 배선층의 배선(184)을 통해서 제 3 배선층의 배선(180)과 접속하는 것을 생각하면, 제 1 배선층이 배선(185)은 좌우방향으로 배선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제 1 배선층에 형성된 배접용 금속배선(185)은 게이트(186)에 평행한 방향으로 끄는 것이 바람직하게 된다. 즉 본 발명의 레이아웃과 종래기술의 레이아웃을 적당히 조합시킴으로써 효율적인 배선의 레이아웃이 가능해진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설명은 실시예에 의거해서 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의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의 범위의 기재의 범위내에서 변혀, 변경이 가능하다.
청구항 1의 발명에서는, 제 2 배선층에 게이트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선을 끌 경우에는 회로소자상을 통과하여 배선할 수 있는 동시에, 제 1 배선층에 게에트에 직교한 방향으로 배선을 끌 경우에도, 복수의 배접배선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회로소자상을 통과하여 배치할 수가 있다. 따라서 통과배선 등을 회로소자를 우회하여 배선할 필요가 없어져서, 자유롭게 배선을 끌수가 있다.
청구항 2의 발명에서는, 통과배선 등을 트랜지스터 소자를 우회하여 배선할 필요가 없어져서, 자유롭게 배선을 끌 수가 있다.
청구항 3의 발명에서는, 제 1 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접점에 의해 배접함으로써, 충분히 폭이 넓은 원하는 게이트 폭을 실현할 수가 있다.
청구항 4의 발명에서는, 제 1 배선층 내의 배선과 제 2 배선층 내의 배선을 서로 직교시킴으로써, 제 1 배선층 및 제 2 배선층을 사용하여 효율적인 레이아웃을 실현할 수가 있다.
청구항 5의 발명에서는, 제 2 배선층에 게이트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선을 끌 경우에 회로소자를 우회하지 않고, 회로소자상을 통과하여 배선하므로, 여분의 배선저항이나 배선용량을 초래하지 않고, 배선의 폭 만큼 필요한 배선의 점유면적을 작게 할 수가 있다.
청구항 6의 발명에서는 제 1 배선층에 게이트에 직교한 방향으로 배선을 끌 경우에, 회로소자를 우회하지 않고, 회로소자상을 통과하여 배선하므로, 여분의 배선저항이나 배선용량을 초래하지 않고, 배선의 폭만큼 필요한 배선의 점유면적을 작게할 수가 있다.
청구항 7의 발명에서는, 제 1 방향으로 게이트가 뻗는 회로소자에 부가해서, 동일한 기판상에서 제 2방향으로 뻗는 트랜지스터 등의 회로소자를 형성할 경우에, 게이트에 평행하게 배접배선을 배치한다. 따라서 제 2 방향의 배선은 제 1 배선층에 형성하고 제 1 방향의 배선은 제 2 배선층에 형성하는 기본적인 레이아웃에 배치하지 않게 배선이 가능하며, 이에 따라 배선 전체의 레이아웃을 효율적으로 할 수가 있다.
청구항 8의 발명에서는 게이트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선을 끌 경우에, 배접용 배선상을 통과하여 배선할 수 있는 동시에 게이트에 직교한 방향으로 배선을 끄는 경우에도, 복수의 배접용 배선의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배접용 배선간을 통해서 배선할 수가 있다. 따라서 통과배선 등을 회로소자를 우회하여 배선할 필요가  어져서, 자유롭게 배선을 끌 수가 있다.
청구항 9의 발명에서는, 2개의 배선층을 사용함으로써, 통가배선 등을 회로소자를 우회하여 배선할 필요가 없어져서, 자유롭게 배선을 끌 수가 있다.
청구항 10의 발명에서는, 제 1 배선층 내의 배선과 제 2 배선층 내의 배선을 서로 직교시킴으로써 제 1 배선층 및 제 2 배선층을 사용해서 효율적인 레이아웃을 실현할 수가 있다.
청구항 11의 발명에서는, 서로 접속된 복수의 금속배선을 배접함으로써, 충분히 폭이 넓은 원하는 게이트 폭을 실현할 수 있는 동시에, 게이트에 평행한 방향으로 배선을 끌 경우에는 복수의 금속배선상을 통과하여 배선할 수가 있다, 게이트에 직교한 방향으로 배선을 끌 경우에는 복수의 금속배선을 간격을 조정함으로써, 금속배선간을 통해서 배선할 수가 있다. 따라서 통과배선 등을 회로소자를 우회하여 배선할 필요가 없어져서, 자유롭게 배선을 끌 수가 있다.

Claims (11)

  1. 트랜지스터의 게이트로서, 제1 방향으로 뻗는 게이트와,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의 하나를 획정하는 확산층과,
    상기 확산층에 공통으로 접속되며, 제1 배선층 내에서 그리고 상기 제 1 방향과 거의 직교하는 제2 방향으로 뻗는 복수의 배접배선과,
    상기 복수의 배접배선간을 서로 접속하며, 제2 배선층에 형성되는 접속배선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산층을 소스에 대응하는 제1 확산층과 드레인에 대응하는 제2 확산층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배접배선은 상기 제1 확산층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1 배접배선과 상기 제2 확산층에 접속되는 복수의 제2 배접배선을 포함하며,
    상기 접속배선은 상기 복수의 제1 배접배선을 서로 접속하는 제1 접속배선과 상기 복수 제2 배접배선을 서로 접속하는 제2 접속배선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접배선 각각은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설치된 복수의 접점 중 대응하는 적어도 1개를 통해서 상기 확산층에 접속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층에 형성되는 상기 복수의 배접배선과는 다른 제1 배선과,
    상기 제2 배선층에 형성되는 상기 접속배선과는 다른 제2 배선을 구비하며,
    상기 제1 배선은 상기 제2 방향으로 뻗고, 상기 제2 배선은 상기 제1 방향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배선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확산층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배선 중 적어도 1개는 상기 복수의 배접배선간을 지나서 상기 확산층의 상부를 통과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방향으로 뻗는 다른 게이트와,
    상기 다른 게이트에 대응해서 형성되는 제3 의 확산층과,
    제1 배선층 내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뻗어서 상기 제3 확산층과 복수 부위에서 접속되는 다른 배접배선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집적회로.
  8. 트랜지스터의 게이트와,
    상기 게이트의 연장선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고, 상기 트랜지스터의 소스 및 드레인 중 하나의 단일 영역에 공통으로 접속되는 복수의 배접용 배선과,
    상기 복수의 배접용 배선간을 서로 접속하는 접속배선을 구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배접용 배선은 제1 배선층에 형성되고, 상기 접속배선은 제2 배선층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게이트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뻗는 배선은 상기 제1 배선층에 배치하고, 상기 게이트에 거의 평행한 방향으로 뻗는 배선은 상기 제2 배선층에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반도체 장치.
  11. 확산층에 배접을 행하는 방법에 있어서,
    게이트에 거의 직교하는 방향으로 복수의 금속배선을 배치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금속배선 각각을 상기 확산층에 접속하는 단계와,
    상기 복수의 금속배선 끼리를 접속하는 배선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확산층의 배접방법.
KR1019970061129A 1997-05-30 1997-11-19 반도체 집적 회로 KR100287468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42307 1997-05-30
JP14230797A JP3405508B2 (ja) 1997-05-30 1997-05-30 半導体集積回路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9980086430A KR19980086430A (ko) 1998-12-05
KR100287468B1 true KR100287468B1 (ko) 2001-04-16

Family

ID=1531232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70061129A KR100287468B1 (ko) 1997-05-30 1997-11-19 반도체 집적 회로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6020612A (ko)
JP (1) JP3405508B2 (ko)
KR (1) KR100287468B1 (ko)
TW (1) TW36419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70788A (ja) * 2001-03-14 2002-09-20 Fujitsu Ltd 半導体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DE10126566C1 (de) * 2001-05-31 2002-12-05 Infineon Technologies Ag Integrierte Schaltung
US6972464B2 (en) * 2002-10-08 2005-12-06 Great Wall Semiconductor Corporation Power MOSFET
JP2005302953A (ja) * 2004-04-09 2005-10-27 Toshiba Corp 半導体装置
JP2009054702A (ja) * 2007-08-24 2009-03-12 Panasonic Corp 半導体集積回路
US10978387B2 (en) * 2017-05-25 2021-04-13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WO2024057528A1 (ja) * 2022-09-16 2024-03-21 キオクシア株式会社 半導体装置、その設計方法、及びその製造方法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4867A (en) * 1993-12-27 1996-09-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memory cell transistor and a select transistor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69324637T2 (de) * 1992-07-31 1999-12-30 Hughes Electronics Corp Sicherheitssystem für integrierte Schaltung und Verfahren mit implantierten Leitungen
US5721144A (en) * 1995-04-27 1998-02-24 International Business Machines Corporation Method of making trimmable modular MOSFETs for high aspect ratio applications
ATE183335T1 (de) * 1995-05-23 1999-08-15 Siemens Ag Halbleiteranordnung mit selbstjustierten kontakten und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554867A (en) * 1993-12-27 1996-09-10 Mitsubishi Denki Kabushiki Kaisha Nonvolatile semiconductor memory device having a memory cell transistor and a select transisto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364192B (en) 1999-07-11
US6020612A (en) 2000-02-01
KR19980086430A (ko) 1998-12-05
JP3405508B2 (ja) 2003-05-12
JPH10335598A (ja) 1998-12-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191241A (en) Programmable interconnect architecture
EP0469728B1 (en) Programmable interconnect architecture
US7768768B2 (en) Semiconductor device including power switch and power reinforcement cell
US7224176B2 (en) Semiconductor device having test element groups
US6269466B1 (en) Method of constructing an integrated circuit utilizing multiple layers of interconnect
US6675361B1 (en) Method of constructing an integrated circuit comprising an embedded macro
TW201830638A (zh) 半導體裝置
KR100287468B1 (ko) 반도체 집적 회로
JP3026387B2 (ja) 半導体集積回路
KR840008540A (ko) 바이폴라트랜지스터와 mos 트랜지스터가 혼재하는 반도체 집적회로장치
JP3281234B2 (ja) 半導体集積回路装置及びその製造方法
US5434436A (en) Master-slice type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having multi-power supply voltage
WO2000005764A1 (fr) Circuit integre a semiconducteur avec integration sur la plaquette et procede de conception correspondant
JP2005197518A (ja) 半導体装置とセル
JP2000223575A (ja) 半導体装置の設計方法、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製造方法
USH512H (en) Automated universal array
JP7216231B2 (ja) 半導体装置
US7521962B2 (en)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apparatus
JP2001156178A (ja) 半導体装置および半導体装置の自動レイアウト方法
JP3980122B2 (ja) 半導体装置
US6275784B1 (en) Design method of routing signal lines between circuit blocks for equalizing characteristics of circuit blocks and semiconductor integrated circuit device designed therethrough
KR100203604B1 (ko) 판독된 선택 트랜지스터를 구비한 비휘발성 반도체 메모리
JP4732728B2 (ja) ゲートアレイ集積回路およびそのレイアウト方法
JPH0140499B2 (ko)
JPH1022817A (ja) 論理回路及び半導体集積回路配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11

Year of fee payment: 13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7

Year of fee payment: 1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0105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104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