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205501B1 -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 Google Patents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205501B1
KR100205501B1 KR1019950017739A KR19950017739A KR100205501B1 KR 100205501 B1 KR100205501 B1 KR 100205501B1 KR 1019950017739 A KR1019950017739 A KR 1019950017739A KR 19950017739 A KR19950017739 A KR 19950017739A KR 100205501 B1 KR100205501 B1 KR 10020550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er
connector
connection
plating layer
outer conduc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77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02959A (ko
Inventor
다카요시 간다
노부요시 마츠다
히로미 오쿠조노
다쿠미 야마모토
아키오 구스이
Original Assignee
후지 하루노스케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후지 하루노스케, 미츠비시 덴센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후지 하루노스케
Publication of KR9600029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29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20550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205501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24Connection to outer conductor by action of a clamping member, e.g. screw fasten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specially adapted to a specific shape of cables, e.g. corrugated cables, twisted pair cables, cables with two screens or hollow cables
    • H01R24/566Hollow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103/00Two po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24/0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 H01R24/38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 H01R24/40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 H01R24/56Two-part coupling devices, or either of their cooperating parts, characterised by their overall structure having concentrically or coaxially arranged contacts specially adapted for high frequency specially adapted to a specific shape of cables, e.g. corrugated cables, twisted pair cables, cables with two screens or hollow cables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Mutual Connection Of Rods And Tubes (AREA)

Abstract

제1접속통은 한쪽 통의 단측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억압부와, 상기 한쪽 통의 단을 전방으로 돌출하고 있는 고리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접속통은 다른쪽 통의 단측으로부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삽입된다. 제2접속통은 상기 제1접속통의 한쪽 통의 단에 연결되는 동시에, 그 내부에는 상기 제1접속통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억압부에 대향하는 도전성의 피억압부를 구비하고 있다. 분할 클램프는 그 한쪽의 단면이 상기 억압부에 축방향에 대향하고 있으며, 또한 다른쪽의 단면이 상기 피억압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외부 도체의 단부를 끼운 상태로 상기 고리형부에 지지되어 있다. 분할 클램프는 상기 제1, 제2의 양접속통의 연결 동작에 관련하여 상기 한쪽의 단면이 상기 억압부에서 억압되며, 상기 다른쪽의 단면에서 상기 외부 도체의 단부를 상기 피억압부에 맞닿게 하고 있다. 그리고, 커넥터 구조에 있어서, 제1접속통에 설치한 고리형부에 의해서 분할 클램프가 유지되므로, 분할 클램프를 유지하는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다.

Description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제1도는 본 발명이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일부 절결 정면도.
제2도는 제1도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제2접속통의 확대 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분할 클램프의 구성을 도시하는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콘택트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의 일부 절결 정면도.
제6도는 종래의 커넥터의 일부 절결 정면도.
제7도는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분할 클램프의 구성을 도시한 사시도.
제8도는 종래의 커넥터에 있어서의 콘택트의 주요부의 확대 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커넥터 2 : 제1접속통
3 : 제2접속통 4 : 분할 클램프
5 : 점착 테이프 6 : 고리형부
7 : 콘택트 8 : 절연 인슐레이터
100 : 동축 케이블 101 : 외부 도체
102 : 내부 도체 103 : 절연체
본 발명은 커넥터 및 그 부품에 관한 것으로, 특히 동축 케이블과 같이 외부 도체를 구비한 케이블에 부착이 적합한 커넥터 및 그 부품에 관한 것이다.
제6도를 참조하여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화 제59-17386호 : 공개일 1985년 8월 29일 및 일본 실용신안 공개 소화 제59-166251호 : 공개일 1986년 5월 29일에 공개된 종래의 커넥터(50)는 접속통(51,52)과, 분할 클램프(53)와, 지지체(54)와, 콘택트(57)와, 절연 인슐레이터(58)로 구성되어 있다. 이 커넥터(50)에 부착되는 동축 케이블(100)은 주름진 파도형상 도체관으로 된 외부 도체(101)와, 도체관으로 된 내부 도체(102)와, 절연체(103)로 구성되어 있다.
접속통(51)내에는 동축 케이블(100)의 접속단부(100a)가 끼워 넣어진다. 접속통(51)과 접속통(52)은 각각 플랜지(51a,51b)를 갖추고 있다.
양접속통(52,52)간에 분할 클램프(53)와 지지체(54)가 배설되어 있다. 분할 클램프(53)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쌍의 반원호형의 분할부재(53a,53a)로 구성되며, 이들 분할부재(53a,53a) 각각의 한쪽의 단부가 나이론띠(55)와 버스(56)에 의해 연결되어 구성되고 있다. 지지체(54)의 도면에서 우측의 내면에는 받침대(54a)가 배치되어 있고, 그 받침대(54a)가 있는 내면에 분할 클램프(53)가 그 단면을 향하여 끼워 넣어져 있다. 동축 케이블(100)의 외부 도체(101)는 주름형상으로, 그 접속단부(101a)는 접속통(51)에 삽통된 상태에서 지름방향 외측에 넓혀져 있으며, 분할 클램프(53)의 단면과 지지체(54)의 받침대(54a)와의 사이에서 끼워진 상태로 되어 있다.
이렇게 해서, 동축 케이블(100)은 외부 도체(101)의 단부(101a)가 분할 클램프(53)와 지지체(54)로 끼워진 상태로 양접속통(52,52) 각각의 플랜지(51a,52a)가 도시 생략한 나사로 연결됨으로써, 커넥터(50)에 기계적으로 부착되어 있으며, 그 외부 도체(101)와 단부(101a)가 지지체(54)를 통하여 접속통(52)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커넥터(50)의 콘택트(57)는 원호형으로 2개 분할된 구조의 절연 인슐레이터(58)를 통하여 지지체(54)의 도면에서 좌측의 내면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체(54)의 좌측의 내면에는 절연 인슐레이터(58)를 지지하는 받침대(54b)가 설치되어 있다. 절연 인슐레이터(58)는 콘택트(57)를 끼운 상태로 지지체(54)의 좌측 내면에 끼워 넣어져서 콘택트(57)를 지지하고 있다.
콘택트(57)는 동축 케이블측 단부의 외주면에 숫나사부(57a)를 갖추고 있으며, 이 숫나사부(57a)가 동축 케이블(100)의 내부 도체(102)의 내주면에 설치된 암나사부(102a)에 결합되는 것으로서 내부 도체(102)에 기계적으로 또는 전기적으로 고정되어 있다.
상기 구조인 종래의 커넥터(50)의 구조에 관해서 설명하면, 미리 접속통(51)내에 그 한쪽을 개구측에서 동축 케이블(100)을 끼워 넣는다. 접속통(51)의 다른쪽의 개구측으로부터 나와 있는 동축 케이블(100)의 외부 도체(101)의 접속단부(101a)를 외측으로 벌려 유지시킨다. 동축 케이블(100)의 내부 도체(102)의 접속단부(101a)의 내주면에 탭을 잘라 암나사부(102a)를 형성해 둔다. 이어서, 분할 클램프(53)를 동축 케이블(100)의 외부 도체(101)의 접속단부(101a)의 외주면에 부착한다. 외부 도체(101)의 접속단부(101a)를 분할 클램프(53)의 단면과 지지체(54)의 받침대(54a)가 있는 한쪽의 내면과의 사이에서 끼워진다.
절연 인슐레이터(58)를 콘택트(57)에 장착하고, 콘택트(57)의 숫나사부(57a)를 내부 도체(102)의 암나사부(102a)에 결합시킴으로써, 콘택트(57)를 동축 케이블(100)의 내부 도체(102)에 접속 고정시킨다. 이 경우, 지지체(54)의 다른쪽의 내면에 있는 받침대(54b)에 의해서 절연 인슐레이터(58)가 지지된다. 이렇게 해서, 콘택트(57)가 접속된 후, 접속통(52)의 플랜지(52a)를 접속통(51)의 플랜지(51a)에 접속시켜 나사에 의해서 양접속통(51,52)을 에 의해 동축 케이블(100)의 외부 도체(101)의 접속단부(101a)는 분할 클램프(53)로부터의 억압력을 받아 지지체(54)의 한쪽의 내면에 압착됨에 따라서, 동축 케이블(100)의 외부 도체(101)는 지지체(54)를 통하여 접속통 52에 전기적으로 접속되게 된다. 이렇게 해서, 접속통(51)측의 동축 케이블(100)의 외부 도체(101)가 도시생략한 접속통(52)측의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전기적으로 접속되기 위한 전기 통으로가 형성된다.
접속통(52)의 표면은 동축 케이블(100)의 외부 도체(101)측의 전기 통로의 도통성 확보를 위해 은도금층(도시생략)에 의해서 피복되어 있다. 또, 은도금층은 내식 방지를 위해 외부 도체(101)측의 전기 통로가 되는 내주면을 제외하고 니켈 도금층(도시생략)으로 피복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 종래의 커넥터(50)에 있어서는 분할 클램프(53)와 절연 인슐레이터(58)를 커넥터 구조속에 지지해 두기 위함일 뿐으로, 지지체(54)가 필요한 구조이므로, 커넥터 부품점수의 감소, 조립의 작업 비용의 감소, 커넥터의 제조 비용의 감소 및 커넥터 중량의 경량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지지체(54)를 삭제할 수 있으면 바람직하다. 특히, 지지체(54)는 양접속통(52,52)의 사이에 배치되는 구조이므로, 커넥터(50)의 축방향 치수를 길게 하고, 커넥터(50)의 소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라도 지지체(54)의 삭제가 요망된다.
또한, 분할 클램프(53)를 구성하는 분할부재(53a,53a)의 연결에 이용되는 나이론띠(55)는 시판 가격이 비싸며, 분할부재(53a,53a)의 연결 작업도 수고를 요한다.
또한, 콘택트(57)를 내부 도체(102)에 접속 고정하는 숫나사부(57a)의 나사산(57b)은 제8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삼각형상으로 되어 있다. 이러한 숫나사부(57a)에 대응하는 내부 도체(102)의 내주면상의 암나사부(102a)는 단면이 삼각형상이 되므로, 암나사부(102a)를 형성하는 탭절단 작업을 복수회에 나누어 행하지 않으면 안된다. 그 이유는 암나사부(102a)는 조각이 깊은 삼각형상이므로, 일회의 탭작업만으로 형성하면 내부 도체(102)가 작업중에 파손되기 쉽다. 이러한 파손을 회피하기 위해서 전술한 탭작업을 복수회로 나눌 필요가 있다. 복수회의 탭절단 작업은 커넥터의 구조 시간을 길게 한다. 복수개의 탭을 준비하지 않으면 안되므로, 구조 비용을 상승시킨다. 삼각형상의 조각이 깊은 암나사부(102a)는 내부 도체(102)의 기계적 강도를 약하게 한다.
접속통(52)에 은도금층, 니켈 도금층이라는 2층의 도금층을 형성하는 것은 매우 수고를 요한다. 그 이유는 접속통(52)의 표면 전체에 먼저 은도금층이 형성된다. 다음에, 상술한 전기 통로의 형성상 니켈 도금층을 형성하면 안되는 부분인 접속통(52)의 내주면을 마스킹하여 접속통(52) 표면에 니켈도금층을 형성한다. 이와 같이, 각 도금 공정사이에 번잡한 마스킹 공정이 필요하게 되어 양도금 공정을 일련에 행할 수 없으며, 매우 수고를 요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부품 점수의 삭제, 소형 경량, 비용 절감 및 용이한 조립이 가능한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으로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접속통에 대한 도금 작업을 간략하게 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클램프의 구조를 간략화하여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콘택트의 접속 구조를 작성할 때의 수고의 생략화와 강도 증대를 도모할 수 있는 커넥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바람직한 제1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상기한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것으로서 제1접속통, 제2접속통 및 분할 클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접속통은 한쪽 통의 단측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되는 억압부와, 상기 한쪽 통의 단을 전방으로 돌출시켜 구성되는 고리형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접속통은 다른쪽의 통의 단측으로부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2접속통은 상기 제1접속통의 한쪽의 통의 단에 연결되는 동시에, 그 내부에는 상기 제1접속통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억압부에 대향하는 도전성의 피억압부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분할 클램프는 서로 분리할 수 있는 적어도 한쌍의 분할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한쪽의 단면이 상기 억압부에 축방향에 대향하고, 또한 다른쪽의 단면이 상기 피억압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외부 도체의 단부를 끼운 상태로 상기 고리형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분할 클램프는 상기 제1, 제2 양접속통의 연결동작에 관련하여 상기 한쪽 단면이 상기 억압부에서 억압되어 상기 다른쪽의 단면에서 상기 외부 도체의 단부를 상기 피억압부에 맞닿게 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의 실시예는 제1접속통, 제2접속통 및 분할 클램프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제1접속통은 한쪽 통의 단측에서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삽입되는 것이다. 상기 제2접속통은 상기 제1접속통의 다른쪽 통의 단에 연결되는 것이다. 상기 분할 클램프는 제1, 제2의 양접속통의 사이에 끼워져서 양접속통의 연결 동작에 관련하여 상기 외부 도체 단부를 제2접속통의 통의 단측에 억압하고 있고, 또한, 상기 분할 클램프는 서로 분리할 수 있는 적어도 한쌍의 분할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분할부재의 분할 단부끼리는 한곳을 제외하고는 직포로 된 점착테이프로 연결되어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제3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의 외부도체 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통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접속통은 그 표면 전체를 덮는 내식도금층과, 상기 내식도금층의 표면 전체를 덮는 전기 통로형성용 도금층을 구비하고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4의 실시예에 따른 커넥터는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에 연결되는 콘택트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콘택트는 상기 내부 도체에 나합하는 나사부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나사부가 단면 사다리꼴형의 나사 형상을 구비하고 있다.
상기 바람직한 제1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이 커넥터의 조립에 있어서, 제1접속통에 설치한 고리형부에 의해서 분할 클램프가 유지되므로, 분할 클램프를 유지하는 부재를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없어진다.
상기 바람직한 제2의 실시예에 의하면, 분할 클램프를 구성하는 분할부재를 연결하는 부재가 직포로 된 점착테이프라는 염가인 부재만으로 충분하므로, 부품 수가 감소하여 제조 비용이 감소된다. 또, 분할 클램프를 연결하는 작업이 직포로 된 점착테이프를 점착하는 것뿐이므로, 그 작업이 용이하다.
상기 바람직한 제3의 실시예의 구성에 의하면, 도금층의 형성 도중에 마스킹 공정을 개재시키지 않고, 일련의 도금 형성 라인에서 연속하여 행할 수 있다.
상기 바림직한 제4의 실시예에 의하면, 콘택트에 단면 사다리꼴형으로 설치한 나사부에 대응하여 내부 도체에 설치되는 나사부의 형상은 조각이 얕은 형상으로 된다. 때문에, 내부 도체 단부의 두께가 증가하여 강도가 향상된다. 더욱이, 이러한 나사 형상을 내부 도체에 형성할 때에 1회의 탭절단 작업등으로 내부 도체에 나사를 형성하더라도 내부 도체가 파손하는 일은 없어진다.
이하, 본 발명에 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를 참조하여 동축 케이블(100)에 부착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는 주름진 파도형상 도체관으로 된 외부 도체(101)와, 도체관으로 된 내부 도체(102)와, 절연체(103)로 구성되는 동축 케이블(100)에 부착된다. 커넥터(1)는 각각 황동으로 만들어진 제1접속통(2)과 제2접속통(3)을 구비하고 있다. 양접속통(2),(3) 사이에는 분할 클램프(4)가 배설되어 있다. 분할 클램프(4)는 바람직하게는 황동으로 되어 그 표면이 니켈 도금되어 있다. 또한, 분할 클램프(4)는 제3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외부 도체(101)의 외주 형상에 합치하는 내면 형상을 구비하며, 한쌍의 반원호형의 분할부재(4a,4a)로 구성된다. 이들 분할부재(4a,4a) 각각의 단부가 접촉되고, 각각의 한쪽 접촉 단부는 염가인 면으로 된 점착테이프(5)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면으로 된 점착테이프(5)만의 연결은 종래의 나이론띠와 나사에 의한 연결에 비하여 저가로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동축 케이블(100)의 접속단(100a)은 양접속통(2,3)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분할 클램프(4)의 일단면(4c)은 미리 외측에 확장되어 있는 외부 도체(101)의 접속단부(101a)에 맞닿아 있다.
동축 케이블(100)의 접속단(100a)측에 위치하는 제1접속통(2)의 단부에는 고리형부(6)가 설치되어 있다. 고리형부(6)는 제1접속통(2)과 일체로 동축형에 설치되어 제2접속통(3)측에 돌출되어 있다. 고리형부(6)의 내주면(6a)은 분할 클램프(4)의 외주면(4b)과 동등한 지름을 가지고 있다. 외부 도체(101)의 단부에 밖에서 끼워진 분할 클램프(4)는 고리형부(6)에 안쪽에서 끼워져 고리형부(6)에 의해서 지지되고 있다. 고리형부(6)의 축방향 길이는 분할 클램프(4)의 축방향 길이보다 약간 짧게 되어 있다. 고리형부(6)의 속에는 분할 클램프(4)를 막아내는 억압부인 단부(6b)가 설치되어 있다. 따라서, 분할 클램프(4)는 단부(6b)에 의해서 막아내어지고, 그 끝단은 고리형부(6)보다 약간 돌출된 상태로 고리형부(6)에 지지되어 있다. 고리형부(6)는 제1접속통(2)의 외주 형상과 같은 외주형상을 갖추고 있다.
제2접속통(3)의 제1접속통측 단부의 내면에는 제1접속통(2)과 고리형부(6) 각각의 외주 형상에 합치하는 형상을 갖춘 받침대(3b)가 형성되어 있다. 양접속통(2,3)이 연결되면, 분할 클램프(4)는 고리형부(6)에 수납된 상태로 다시 받침대(3b)에 수납된다.
양접속통의 단부(2,3)는 플랜지(2a,3a) 끼리가 도시 생략한 나사로 연결되어 일체화된다. 이 때, 분할 클램프(4)는 단부(6b)에 의해서 제2접속통(3)측에 압압됨으로써, 분할 클램프(4)의 단면(4c)은 피억압부인 받침대(3b)의 저면에 압압됨에 따라, 확장된 외부 도체(101)의 단부(101a)는 받침대(3b)의 저면에 압착된다. 이것에 의해서, 외부 도체(101)는 커넥터(1)에 연결되는 동시에 제2접속통(3)에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이와 같이, 이 커넥터(1)에서는 외부 도체(101)를 직접 제2접속통(3)에 압착하는 것으로 외부 도체(101)와 제2접속통(3)을 직접 접속하고 있으므로, 양자간에 전기적 접속을 보조하는 부재는 존재하지 않게 되며, 외부 도체(101)와 제2접속통(3)과의 접속을 확실하게 할 수 있다.
제2접속통(3)은 베이스통(3a)과, 플랜지체(3B)로 구성된다. 플랜지체(3B)는 베이스통(3a)의 단부의 외주에 회전이 자유롭게 부착되어 있다. 베이스통(3a)의 표면 전체는 제2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니켈 도금층으로 된 내식도금층(30)에 의해서 씌워지고, 내식도금층(30) 전체는 은도금층으로 된 전기 통로형성용 도금층(31)에 의해서 씌워져 있다. 내식도금층(3)에 의해서 제2접속통(3)이 씌워지므로, 베이스통(3a)의 내식성이 확보된다. 최외층에 전기 통로 형성용 도금층(31)이 형성되므로, 외부 도체(101)측의 전기 통로의 도통성이 충분히 확보된다.
도금층(30,31)의 형성에 관해서 설명한다. 먼저, 베이스통(3a)을 니켈 도금조(도시생략)에 침지하여 베이스통(3a)표면 전체에 니켈 도금으로 된 내식도금층(30)을 형성한다. 이어서, 내식도금층(30)을 형성한 베이스통(3a)을 은도금조(도시생략)에 침지하여 내식도금층(30) 전체를 씌워 은도금으로 된 전기 통로형성용 도금층(31)을 형성한다. 이렇게 하여 도금층(30,31)의 형성을, 사이에 마스킹 공정 등의 별도 공정을 개재시키지 않고 일련의 도금형성 라인중에 있어서 연속하여 행하므로, 제조 비용의 감소에 유리한 수고를 요하지 않는 도금 작업이 된다.
제1접속통(2)은 외부 도체(101)의 전기적 접속에 직접 관계가 없기 때문에 그 표면에 제2접속통(3)과 동일한 니켈 도금으로 된 내식도금층(도시생략)이 설치되어 있는 것에 대하여 은도금층으로 된 전기 통로형성용 도금층은 설치되어 있지 않다.
한편, 커넥터(1)의 내부에는 절연 인슐레이터(8)를 통하여 콘택트(7)가 지지 고정되어 있다. 콘택트(7)는 축방향으로 분리된 한쌍의 콘택트부재(7a,7b)를 구비하고 있다. 이들 콘택트부재(7a,7b)는 콘택트부재(7a)의 단부에 있는 암나사구멍(9)에 다른쪽의 콘택트부재(7b)의 단부에 있는 숫나사부(10)가 나합됨으로써 연결된다. 이들 콘택트부재(7a,7b)는 바람직하게는 표면에 전기 통로형성용의 은도금이 입혀진 황동으로 구성된다. 절연 인슐레이터(8)는 바람직하게는 폴리스틸렌으로 되어 링형으로 되어 있다. 절연 인슐레이터(8)는 콘택트부재(7b)에 밖에는 끼워져 있다. 콘택트부재(7b)가 콘택트부재(7a)에 연결되면, 절연 인슐레이터(8)는 콘택트부재(7a)의 단부와 콘택트부재(7b)의 플랜지부(11)와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콘택트(7)와 일체화된다.
제2접속통(3)의 내면에는 절연 인슐레이터(8)를 지지하는 받침대(12)가 형성되어 있다. 받침대(12)는 제1접속통(2)측에 개방되어 있다. 절연 인슐레이터(8)가 콘택트(7)와 일체화된 상태로 받침대(12)에 끼워 넣어져 있음으로써, 콘택트(8)는 제2접속통(3)의 내부에 지지 고정된다. 또, 절연 인슐레이터(8)의 제2접속통 지름 방향에 따른 단면에는 특성 임피던스 조정용의 오목 부분(8a)이 주방향에 따라서 형성되어 있다.
콘택트(7)는 그 동축 케이블측 단부의 외주면에 숫나사부(13)가 형성되어 있다. 숫나사부(13)는 제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단면 사다리꼴형의 나사산(13a)를 갖추고 있다. 이 숫나사부(13)가 내부 도체(102)의 내주면상의 암나사부(102a)에 결합되는 것으로 콘택트(7)는 내부 도체(102)에 접속 고정된다.
동축 케이블(100)은 외부 도체(101)와 내부 도체(102)와의 사이에 절연체(103)를 구비하며, 또한 커넥터(1)는 제1접속통(2) 및 제2접속통(3)의 각 연결 위치에 O 링(15)을 가지고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림직한 제1실시예에 따른 커넥터(1)의 구조 공정을 설명한다. 먼저, 제1접속통(2)를 동축 케이블(100)에 밖에서 끼운 상태로 외부 도체(101)의 단부(101a)를 외측에 확장한다. 한편, 내부 도체(102)의 접속단부 내주면에는 탭을 잘라 암나사부(102a)를 형성해 둔다. 암나사부(102a)에 대응하는 숫나사부(13)의 나사산(13a)이 사다리꼴형상을 하고 있기 때문에 나사산(13a)의 조각이 얕게 되어 있다. 때문에, 암나사부(102a)의 형성 작업에 있어서 행하는 암나사부(102a)의 탭절단 작업이 일회만으로 좋으며, 그 작업이 용이하다.
이 상태에서 분할 클램프(4)를 확장단부(101a) 부근의 외부 도체(101)에 밖에서 끼운다. 그리고, 제1접속통(2)을 외부 도체(101)의 단부(101a) 측으로 이동시킨다. 이것에 의해, 고리형부(6)내에 분할 클램프(4)를 수납한다. 분할 클램프(4)는 이와 같이 수납됨으로써, 고리형부(6)에 의해서 지지된 안정된 상태로 외부 도체(101)에 밖에서 끼움으로써, 탈락되는 일은 없다.
또, 절연 인슐레이터(8)를 장착한 콘택트(7)의 숫나사부(13)를 내부 도체(102)의 암나사부(102a)에 결합시키는 것을 콘택트(7)를 내부 도체(102)에 접속 고정한다. 이때, 절연 인슐레이터(8)는 양콘택트부재(7a,7b)에 의해서 끼워진 상태로 지지되어 있다. 때문에, 콘택트(7)의 결합 작업중 절연 인슐레이터(8)가 콘택트(7)로부터 탈락하지 않으며, 따라서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콘택트(7)의 접속 고정작업이 종료된 후, 제2접속통(3)의 받침대(3b)를 제1접속통(2)에 밖에서 끼운다. 그리고, 제2접속통(3)의 플랜지(3a)를 제1접속통(2)의 플랜지(2a)에 접촉시킨다. 또, 도시생략한 나사에 의해 양접속통(2,3)을 일체로 고정한다. 이 때, 분할 클램프(4)는 단부(6b)에 의해 막아내어져서 이동할 수 없다. 때문에, 분할 클램프(4)의 단면(4c)은 외부 도체(101)의 단부(101a)를 받침대(3b)의 저면에 압압하게 된다. 따라서, 외부 도체(101)는 제2접속통(3)에 연결되는 동시에, 제2접속통(3)에 확실하게 전기적으로 접속된다. 또한, 양접속통(2,3)의 연결에 의해 절연 인슐레이터(8)는 받침대 12로 막아내어진다.
구조 작업중 절연 인슐레이터(8)는 콘택트부재(7a,7b)에 의해서 끼워진 상태로 유지되며, 분할 클램프(4)도 고리형부(6)에 의해서 유지되어 있다. 때문에, 작업중에 이들 절연 인슐레이터(8)와 분할 클램프(4)를 지지하는 부재가 필요없다. 따라서, 종래, 지지체(54)로서 짜넣었던 부재를 1개 감소시킬 수 있으며, 그만큼 부품 점수가 감소되어 비용 절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내장되는 부품이 1개 감소되므로, 그만큼 커넥터(1)의 축방향 길이가 짧아지는 동시에 중량이 경감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콘택트(7)의 숫나사부(13)가 상술한 바와 같이 제4도에 도시된 사다리꼴형상의 나사산(13a)을 구비하고 있다. 이러한 숫나사부(13)를 구비한 콘택트(7)와 내부 도체(102)와의 사이의 연결 강도와, 삼각형상의 나사산의 숫나사부를 구비하는 종래의 콘택트와 내부 도체(102)와의 사이의 연결 강도를 각각 측정한 결과를 설명한다. 측정한 것은 나사산의 각도 r가 30°이고 M8.3의 사다리꼴형상의 나사산(13a)이 있는 황동제의 본 실시예품에 따른 콘택트(7)(제4도 참조)와, 나사산의 각도 r가 60°이고 본 실시예품과 동일 피치인 M8.7의 삼각형상의 나사산(57b)이 있는 황동제의 종래의 콘택트(57)(제8도 참조)이다.
각 콘택트(7,57)를 각 숫나사부(13,57a)에 일치하는 암나사부(102a)가 있는 외경 9.6mm, 외경 8.0mm의 동관제의 내부 도체(102)에 연결하고, 양쪽의 인장강도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종래의 제품은 340kgf의 인장강도를 얻었다. 이것에 대하여, 실시예에 따른 제품은 469 kgf의 인장 강도를 얻었다. 이와 같이, 실시예품에서는 종래예품에 비하여 현격하게 인장 강도가 향상되어 있음을 알 수 있다.
또, 측정한 것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의 하나로서 나사산의 피치 등을 다르게 한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또한, 본 실시예의 콘택트(7)에서는 종래예에 비하여 콘택트(7)의 나사산(13의 높이(h)가 낮아져 있다(제4도의 실시예품에서는 제8도의 종래예품에 비하여 0.2mm 낮아져 있다). 때문에, 그만큼 내부 도체(102)에 형성되는 암나사부(102a)의 골의 깊이가 얕아져 있다. 따라서, 암나사부(102a)의 골밑바닥 위치에서의 내부 도체 두께를 두껍게(제4도의 실시예품에서는 0.2mm 두껍게) 할 수 있으며, 그만큼 내부 도체(102)의 기계적 강도가 높아져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의 실시예를 제5도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이 커넥터(20)는 기본적으로는 제1실시예의 커넥터 1와 동일한 구성을 구비하고 있으며, 동일 내지 같은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그것에 따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이 커넥터(20)는 제1접속통(2)과 제2접속통(3)과의 연결 구조에 특징이 있다. 즉, 제1접속통(2)은 그 제2접속통측의 외주면 및 고리형부(6)의 외주면에 걸쳐서 숫나사부(21)가 형성되어 있다. 한편, 제2접속통(3)의 받침대(3b)의 측벽면에는 숫나사부(21)에 대응한 암나사부(22)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암나사부(22)를 숫나사부(21)에 결합시키는 것으로, 제2접속통(3)은 제1접속통(2)에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양접속통(2,3)의 연결에 의해 확개된 외부 도체(101)의 단부(101a)는 분할 클램프(4)와 받침대(3b)의 저면에 의해서 끼워진 상태로 있다. 그리고, 이것에 의해서 외부 도체(101)는 제2접속통(3)에 연결되어 있으며, 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2접속통(3)의 표면에는 도시는 하지 않지만, 제2도에 도시된 내식도금층(30)과 전기 통로형성용 도금층(31)이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커넥터(20)에서는 절연 인슐레이터(8)는 제2접속통(3)의 내주면에 맞닿는 것으로, 제2접속통(3)내에서 지지 고정되어 있다. 또, 절연 인슐레이터(8)에는 특성 임피던스 조정용 관통공(23)이 형성되어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당업자들에 의해 청구범위의 영역내에서 여러 가지의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의도한다.

Claims (24)

  1. 제1접속통, 제2접속통 및 분할 클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제1접속통은 한쪽 통의 단측 내부에 내측으로 돌출하는 억압부와, 상기 한쪽 통의 단을 전방으로 돌출하는 고리형부를 구비하며, 다른쪽 통의 단측에서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삽입된 것이며, 상기 제2접속통은 상기 제1접속통의 한쪽 통의 단에 연결되는 동시에, 그 내부에는 상기 제1접속통에 연결된 상태로 상기 억압부에 대향하는 도전성의 피억압부를 구비하며, 상기 분할 클램프는 서로 분리할 수 있는 적어도 한쌍의 분할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그 한쪽 단면이 상기 억압부에 축방향으로 대향하고, 또한 다른쪽 단면이 상기 피억압부와의 사이에서 상기 외부 도체의 단부를 끼운 상태로, 상기 고리형부에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 제1, 제2의 양접속통의 연결 동작에 관련하여 상기 한쪽 단면이 상기 억압부로부터 악압되고, 상기 다른쪽 단면에서 상기 외부 도체의 단부를 상기 피억압부에 맞닿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부재의 분할 단부끼리는 직포로 된 점착테이프로 서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직포로 된 점착테이프는 면으로 된 점착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클램프의 축방향 길이는 상기 고리형부의 축방향 길이보다 길게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접속통은 그 표면전체를 덮는 내식도금층과, 상기 내식도금층의 표면전체를 덮는 전기 통로 형성용 도금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내식도금층은 니켈 도금층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 통로 형성용 도금층은 은도금층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는 주름진 파도형상 도체관으로, 상기 분할 클램프는 상기 외부 도체의 외주형상에 합치되는 내주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의 내부에 설치되는 내부 도체에 접속되는 콘택트와, 상기 콘택트를 제2접속통의 내부에서 지지하는 절연체를 추가로 구비하며, 상기 콘택트는 상기 절연체를 끼워진 상태로 연결되는 한쌍의 콘택트 부재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콘택트는 상기 내부 도체에 결합하고 단면이 사다리꼴형의 나사형상인 나사부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가 숫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체의 내부 도체 지름 방향의 단면에는 임피던스 조정용의 오목부분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통과 상기 제2접속통은 플랜지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접속통과 상기 제2접속통은 나사 결합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4. 제1접속통, 제2접속통 및 분할 클램프를 구비하며, 상기 제1접속통은 한쪽 통의 단측으로부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삽입되는 것이며, 상기 제2접속통은 상기 제1접속통의 다른쪽의 통의 단에 연결되며, 상기 분할 클램프는 제1, 제2의 양접속통 사이에 끼워져서 양접속통의 연결 동작에 관련하여 상기 외부 도체 단부를 제2접속통의 통 단측에 억압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분할 클램프는 서로 분리할 수 있는 적어도 한쌍의 분할부재로 구성되어 있는 동시에, 분할부재의 분할 단부끼리는 한곳을 제외하고 직포로 된 점착테이프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외부 도체는 주름진 파도형상의 도체관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6.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직포로 된 점착테이프가 면으로 된 점착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7.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 단부에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접속통을 구비하며, 상기 접속통은 그 표면전체를 덮는 내식도금층과, 상기 내식도금층의 표면전체를 덮는 전기 통로 형성용 도금층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내식도금층은 니켈 도금층으로 되어 있으며, 상기 전기 통로 형성용 도금층은 은도금층으로 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19.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에 연결되는 콘택트를 구비하며, 상기 콘택트는 상기 내부 도체에 결합하는 나사부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나사부가 단면 사다리꼴형의 나사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가 숫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
  21. 단부에 확장부가 형성된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에 한쪽 통의 단측에서 삽입되는 제1접속통과 상기 제1접속통의 다른쪽 통의 단에 연결되는 제2접속통과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양접속통의 연결 동작에 관련하여 상기 확장부를 제2접속통의 통 단에 억압하는데 사용되는 커넥터용 클램프로서, 상기 외부 도체에 장착 가능한 고리형으로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축방향을 따라서 분할된 적어도 한쌍의 분할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또한, 이들 분할부재의 분할 단부끼리는 한곳을 제외하고 직포로 된 점착테이프로 연결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클램프.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직포로 된 점착테이프는 면으로 된 점착테이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클램프.
  23. 동축 케이블의 내부 도체에 결합하는 나사부를 구비하고 있는 동시에, 상기 나사부가 단면 사다리꼴형의 나사 형상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콘택트.
  24.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나사부가 숫나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넥터용 콘택트.
KR1019950017739A 1994-06-28 1995-06-28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KR10020550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46333 1994-06-28
JP14633394 1994-06-28
JP6203280A JP2916665B2 (ja) 1994-06-28 1994-08-29 コネクタ
JP94-203280 1994-08-29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02959A KR960002959A (ko) 1996-01-26
KR100205501B1 true KR100205501B1 (ko) 1999-07-01

Family

ID=264772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7739A KR100205501B1 (ko) 1994-06-28 1995-06-28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5722855A (ko)
EP (1) EP0690529B1 (ko)
JP (1) JP2916665B2 (ko)
KR (1) KR100205501B1 (ko)
CN (1) CN1074183C (ko)
DE (1) DE69514159T2 (ko)
TW (1) TW296498B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277Y1 (ko) 2010-11-09 2012-09-04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점퍼케이블 구조체
KR102567274B1 (ko) 2023-05-25 2023-08-17 홍민기 케이블 외부 돌출을 방지하는 어댑터 구조체
KR102602442B1 (ko) 2023-05-24 2023-11-15 주식회사 코엔플랜트 배관 개구부 안전망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76862B2 (ja) * 1996-06-21 2001-06-18 三菱電線工業株式会社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
KR100507446B1 (ko) * 1997-10-15 2006-03-09 주식회사 효성생활산업 사원 공중합 폴리에스터 수지 및 이를 이용한 성형체
US6109964A (en) * 1998-04-06 2000-08-29 Andrew Corporation One piece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with an annularly corrugated outer conductor
US6332808B1 (en) 1999-09-22 2001-12-25 Mitsubishi Cable Industries, Ltd. Connector structure
KR20010084254A (ko) * 2000-02-24 2001-09-06 양갑석 고투명성 폴리에스터 수지의 제조방법
US6290538B1 (en) * 2000-03-14 2001-09-18 Alan L. Pocrass RJ type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visual indicator
KR100378778B1 (ko) * 2000-05-17 2003-04-07 에스케이케미칼주식회사 1,4-사이클로헥산디메탄올이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수지의 제조방법
KR100372184B1 (ko) * 2000-08-16 2003-02-14 최중소 투명성이 우수한 환경친화적 폴리에스테르 공중합체의제조방법
KR100354838B1 (ko) * 2000-09-06 2002-10-11 (주)신아정보통신 방사상 서포트비드 내장형 알에프커넥터
KR100389291B1 (ko) * 2000-12-30 2003-06-27 에쓰대시오일 주식회사 폴리에스테르계 중합체의 제조 방법
DE10259803B3 (de) * 2002-12-19 2004-05-13 Kathrein-Werke Kg Elektrische Anschlussverbindung, insbesondere für den Anschluss eines Außenleiters eines Koaxialkabels
US7044785B2 (en) * 2004-01-16 2006-05-16 Andrew Corporation Connector and coaxial cable with outer conductor cylindrical section axial compression connection
US20070257160A1 (en) * 2006-05-08 2007-11-08 M/A-Com, Inc. Cable attaching clamp
US7351101B1 (en) * 2006-08-17 2008-04-01 John Mezzalingua Associates, Inc. Compact compression connector for annular corrugated coaxial cable
CN102313100A (zh) * 2010-07-08 2012-01-11 中国人民解放军总后勤部油料研究所 具有通信功能的软质输液管的快速连接单元
JP6940437B2 (ja) * 2018-03-13 2021-09-29 アズビル株式会社 電磁流量計
US11011875B1 (en) * 2019-12-10 2021-05-18 TE Connectivity Services Gmbh Electrical cable braid positioning clip
CA3162644A1 (en) * 2020-01-14 2021-07-22 Jeremy BENN Clamp assembly for rf compression connector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871397A (en) * 1929-07-29 1932-08-09 Gen Electric Electrical connecting apparatus
US3474391A (en) * 1966-08-22 1969-10-21 Amphenol Corp Coaxial connector
GB1421215A (ko) * 1972-05-04 1976-01-14
US4046451A (en) * 1976-07-08 1977-09-06 Andrew Corporation Connector for coaxial cable with annularly corrugated outer conductor
US4374606A (en) * 1980-11-26 1983-02-22 Amp Incorporated Dielectric plug for a coaxial connector
JPS5917386U (ja) 1982-07-26 1984-02-02 カルソニックカンセイ株式会社 管連結装置
JPS59166251U (ja) 1983-04-22 1984-11-07 シャープ株式会社 トナ−補給装置
FR2545659B1 (fr) * 1983-05-04 1985-07-05 Cables De Lyon Geoffroy Delore Prolongateur d'ame d'un cable coaxial, et connecteur muni d'un tel prolongateur
JPH0115083Y2 (ko) * 1984-10-31 1989-05-08
US4737601A (en) * 1986-08-18 1988-04-12 Dynawave Incorporated Hermetically sealed electrical feedthrough and method of making same
GB8709851D0 (en) * 1987-04-25 1987-05-28 Langston Machine Stacking boxes of corrugated board
JP2549523B2 (ja) * 1987-07-09 1996-10-30 株式会社 足立ライト工業所 パチンコ機
JPS6455586U (ko) * 1987-09-28 1989-04-06
US5217391A (en) * 1992-06-29 1993-06-08 Amp Incorporated Matable coaxial connector assembly having impedance compensation
DE4309775C2 (de) * 1993-03-25 1995-08-17 Spinner Gmbh Elektrotech Steckverbinder für Koaxialkabel mit Wellrohraußenleiter
DE4343229C2 (de) * 1993-06-01 1995-04-13 Spinner Gmbh Elektrotech Steckverbinder für Wellrohrkoaxialkabel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62277Y1 (ko) 2010-11-09 2012-09-04 대양전기공업 주식회사 철도차량용 점퍼케이블 구조체
KR102602442B1 (ko) 2023-05-24 2023-11-15 주식회사 코엔플랜트 배관 개구부 안전망 장치
KR102567274B1 (ko) 2023-05-25 2023-08-17 홍민기 케이블 외부 돌출을 방지하는 어댑터 구조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H0878105A (ja) 1996-03-22
DE69514159D1 (de) 2000-02-03
EP0690529A2 (en) 1996-01-03
DE69514159T2 (de) 2000-08-10
US5722855A (en) 1998-03-03
JP2916665B2 (ja) 1999-07-05
CN1130813A (zh) 1996-09-11
KR960002959A (ko) 1996-01-26
CN1074183C (zh) 2001-10-31
EP0690529A3 (en) 1996-08-14
EP0690529B1 (en) 1999-12-29
TW296498B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205501B1 (ko)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US4929195A (en) Shield connector
JP3292477B2 (ja) 波形外部導体を有する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及びその取り付け方法
US4921449A (en) Shield connections for electrical cable connector
JPH1022001A (ja) シールド線におけるシールド層の処理構造
US3200190A (en) Dual ferrule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having a flat braid
JPH11144776A (ja) 同軸ケーブル用コネクタの接続構造及びその接続方法
US6100467A (en) Water cooled kickless electrical cable
JPH0845575A (ja) シールド線の端末処理構造および端末処理方法
US4424410A (en) Splice connector with shield break
JP2020113474A (ja) 防水構造
US5980315A (en)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JP3231611B2 (ja) シールド構造
KR0139135B1 (ko) 동축 컨넥터
JP6537273B2 (ja) ケーブル被覆具、ケーブル端末部の被覆方法、及び、ケーブル接続部の被覆方法
JPH11176527A (ja) コネクタの接続構造
JPS639991Y2 (ko)
JPH08149679A (ja) 電力ケーブル用導体接続装置
JP2681430B2 (ja) 電気ケーブルの接続部構造
CN217087485U (zh) 一种高压电缆用变径中间接头
JP3144243U (ja) 同軸ケーブルコネクタ
JPS5911376Y2 (ja) 同軸ケ−ブル
JPS6056043B2 (ja) 電力ケ−ブルの波付外被の拡径方法
JP2523410Y2 (ja) 導電コード固定構造
CN118053617A (zh) 一种载流同轴电缆及配套的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319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