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194319B1 - 스테레오 카메라 - Google Patents

스테레오 카메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194319B1
KR100194319B1 KR1019960011842A KR19960011842A KR100194319B1 KR 100194319 B1 KR100194319 B1 KR 100194319B1 KR 1019960011842 A KR1019960011842 A KR 1019960011842A KR 19960011842 A KR19960011842 A KR 19960011842A KR 100194319 B1 KR100194319 B1 KR 1001943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sm
stereo camera
lens
leprex
lens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600118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71118A (ko
Inventor
미노루 이나바
Original Assignee
미노루 이나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노루 이나바 filed Critical 미노루 이나바
Priority to KR10199600118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194319B1/ko
Publication of KR97007111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7111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1943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194319B1/ko

Links

Landscapes

  • Stereoscopic And Panoramic Photography (AREA)

Abstract

[과제]
레프렉스형 스테레오 카메라에 있어서, 좌우의 화상을 하나의 화인더로 볼 수 있도록 하여 시인성과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함.
[해결수단]
스테레오 카메라(1)의 초첨판(9. 10) 위쪽에 설치된 프리즘(11)은 좌우 2계통의 좌우 반전프리즘을 일체로 형성한 복합형프리즘이다. 초첨판(9, 10)상의 좌우 반전화면의 각기 내측 1/2를 프리즘(11)에 의해 좌우 반전하고, 프리즘(11)의 중앙 투사면의 좌측에 좌 렌즈(5)의 촬영범위의 외측 1/2의 바로선 정상이 투사되고, 우측에 우 렌즈(4)의 촬영범위의 외측 1/2의 바로 선 정상이 투사되어 하나의 화면으로 합성된다.

Description

스테레오 카메라
제1도는 청구범위 제1항 기재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정면도.
제2도는 프리즘을 표시하는 것으로 (a)는 배면도, (b)는 평면도, (c)는 정면도, (d)는 저면도, (e)는 (b)의 A-A선도, (f)는 측면도.
제3도는 프리즘의 크기와 촛점판 피치와의 관계를 표시하는 해설도.
제4도는 제2도에 표시한 프리즘의 사시도.
제5도는 프리즘의 다른 실시예를 표시하며,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저면도, (d)는 배면도, (e)는 (b)의 A-A선도, (f)는 측면도.
제6도는 제5도 표시한 프리즘의 사시도.
제7도는 청구범의 제1항 기재의 다른 실시 형태를 도시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저면도.
제8도는 제7도에 도시한 스테레오 카메라의 프리즘을 도시하며, (a)는 평면도, (b)는 정면도, (c)는 저면도, (d)는 배면도, (e)는 (b)의 A-A선도, (f)는 측면도이다.
제9도는 제7도에 도시한 스테레오 카메라의 프리즘 및 레프렉스 미러의 배치를 표시하는 해설도.
제10도는 제7도에 도시한 스테레오 카메라의 프리즘 및 레프렉스 미러의 배치를 도시하는 사시도.
제11도는 제7도에 도시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프리즘 및 레프렉스 미러의 배치를 도시하는 해설도.
제12도는 제1도에 도시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촬영범위 및 파인더시야의 해설도.
제13도는 청구범위 제2항기재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정면도.
제14도는 청구범위 제2항기재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초점 조절기구 및 렌즈의 중심간 거리조절의 관계를 표시하는 해설도.
제15도는 청구범위 제2항기재의 스테레오 카메라의 초점조절 및 렌즈의 중심간 거리조절의 관계를 표시하는 해설도.
제16도(a)는 피사체, (b)(c)(d)는 각기 피사체의 파인더화상을 표시하는 해설도.
제17도(a)(b)(c)는 각기 피사체의 파인더화상을 표시하는 해설도.
제18도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노광 화면배치를 표시하는 필름의 정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스테레오 카메라 3 : 스라이드 프레임
4, 5 : 렌즈 6 : 초점조절 다이얼
9, 10 : 촛점판 11, 21 : 프리즘
12 : 접안렌즈 31 : 스테레오 카메라
32, 33 : 레프렉스 미러 34 : 프리즘
51 : 스테레오 카메라 54, 55 : 렌즈보드
56 : 이송나사 57 : 캠 샤프트
58 : 캠 61 : 조절노브를 의미한다.
본 발명은 스테레오 카메라에 관한 것으로 특히, 화인더(finder)를 개량한 레프렉스(reflex)형의 스테레오 카메라에 관한 것이다.
종래 1대의 카메라보디에 2계통의 1안(眼) 레프렉스 카메라의 광학계를 탑재한 레프렉스형 스테레오 카메라가 알려져 있다. 이런 레프렉스형 스테레오 카메라의 화인더는 1안 레프렉스 카메라의 펜더프리즘을 유용하고 있으나 주지하는 바와 같이 펜더프리즘은 정밀가공하기 때문에 제조 코스트가 극히 높고, 2개의 펜더프리즘(fentaprisms)을 사용하는 스테레오 카메라가 높은 가격으로 되는 원인으로 되어 있다.
또 2개의 화인더를 병렬로 배치하여 화인더상(像)을 두 눈으로 보는 구조는 반듯이 보기 쉬운 것이라 말할 수 없고, 특히 렌즈의 바깥지름의 크기나 렌즈 마운드기구의 크기에 대한 제약으로 2계통의 광학계의 핏치가 인간의 두 눈간의 간격(대강 63.5㎜)이상으로 되어 있는 스테레오 카메라에 있어서는 2개의 화인더를 동시에 본다는 것은 곤란하다.
따라서 어느 것인가 한쪽의 화인더를 보면서 촬영하는 경우가 많고, 다른 쪽 화인더의 화면확인이 소홀하게 되어 늦어져서 한쪽 화면에 장애물이 촬영되거나 한쪽 렌즈의 부착한 빗방울이나 먼지 등에 의해 촬영에 실패하는 일도 있다.
여기서 좌우의 초점판 화상을 하나의 화인더로 볼 수 있도록 하여 시인성(視認性)및 조작성을 향상함과 동시에 화인더의 구성을 간소화하여 코스트를 절감하기 위해 해결해야 할 기술적 과제가 발생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이러한 과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안하는 것이며, 한 대의 카메라보디에 렌즈, 레프렉스 미러 및 프리즘으로 되는 일안(一眼) 레프렉스 카메라의 광학계를 좌우 두계통으로 탑재하고, 레프렉스 미러 및 프리즘을 통해 좌우의 렌즈의 입사상(入射像)을 관찰 하도록한 레프렉스형 스테레오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한 좌우 렌즈의 촬영범위의 각기 외측 1/2의 화면을 대칭적으로 좌우 반전하여 하나의 바로 선 정상(正像)을 합성하는 복합형의 프리즘을 설치하여 좌우 렌즈의 촬영범위의 각기 외측 1/2를 한 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상기한 좌우 렌즈의 중심간 거리를 조절할 수 있도록 형성하며 초점조절기구와 렌즈의 중심거리 조절기구와에 연동기구를 장치하여, 합초(合蕉)거리에 있어서의 좌우렌즈의 촬영범위를 항상 합치시키도록 형성한 스테레오 카메라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도면에 따라 상술한다. 제1도는 청구항 1기재의 스테레오 카메라(1)을 도시하며, 카메라보디(2)에 스라이드 프레임(3)이 전 후 습동이 자유롭게 맛붙여지고, 스라이드 프레임(3)의 앞면에 2개의 렌즈(4, 5)가 장착되어 있다. 스라이드 프레임(3)은 초점조절 다이얼(6)을 회전함으로서 이송 나사기구 또는 캠기구 등의 조절기구(도시하지 않음)를 통해 앞뒤로 움직여 렌즈(4, 5)의 초점을 조절할 수가 있다.
렌즈(4, 5)를 통해 들어오는 광선은 레프렉스 미러(7, 8)에 의해 위쪽으로 반사되어 초점판(9, 10)에 결상(結像)한다. 초점판(9, 10)의 위쪽에는 복합형의 프리즘(11)이 배설되어 접안렌즈(12)를 통해 좌우의 초점판상의 화상을 볼 수가 있다.
또 13은 셔터 보턴이며, 레프렉스 미러(7, 8)의 배후에 포칼플렌 셔터(도시하지 않음)가 배설되어 있다. 또 렌즈(4, 5)의 중심피치는 인간의 두 눈 간격인 63.5㎜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프리즘(11)은 광학수지 혹은 광학유리를 소재로 하여 2계통의 전반사프리즘을 좌우 대칭으로 일체로 형성한 것이며 제2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병열로 접합된 2개의 180도 반사프리즘부(14L, 14R)의 입사면의 각기 외측 1/2에 아래쪽으로부터의 광선을 입사시키는 90도 반사프리즘부(15L, 15R)를 접합한 형상이다. 그리고 180도 반사프리즘부(14L, 14R)의 각기 1/2의 입사면은 연속된 하나의 투사면(16)을 구성하고 있다.
제3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즘(11)의 180도 반사프리즘부(14L, 14R)의 꼭지점피치(P2)는 좌우의 노광(露光)화면의 중심피치(P1)의 1/2이며 단체 너비(W)는 화면피치(P1)보다 약간 넓게되어 있다.
제4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즘(11)은, 좌우의 90도 반사 프리즘부(15L, 15R)의 입사면을 초점판(9, 10)의 내측 1/2영역을 향해 좌우의 초점판 상에 배치되어, 아래쪽으로부터 90도 반사프리즘부(15L, 15R)로 입사한 광선은 3회 전(全)반사하여 투사면(16)으로부터 수평방향으로 나온다.
렌즈(4, 5)를 통과한 거꾸로 선 좌우의 반전화상은 레프렉스 미러(7, 8)에 의해 상하가 반전하여 초점판(9, 10)의 화상은 바로선 좌우 반전상이며, 좌우의 초점판(9, 10)의 각기 1/2의 화면, 즉 좌우 렌즈(4, 5)의 촬영범위의 각기 1/2가 프리즘(11)에 의해 대칭적으로 좌우 반전된다. 따라서 프리즘(11)의 투사면(16)의 좌측 1/2에 좌측렌즈(5)의 촬영범위의 외측 1/2의 바로선 정상(正像)이 투사되고, 투사면(16)의 우측 1/2에 우측렌즈(4)의 촬영범위의 외측 1/2의 바로선 정상이 투사되어 하나의 화면이 합성된다. 또 초점판(9, 10)은 화면과 동일한 치수일 필요는 없고, 화면치수의 대강 1/2인 프리즘(11)의 입사면과 동일 혹은 약간 큰 치수면 좋다.
제5도 및 제6도는 프리즘의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이 프리즘(21)은 제2도에 도시한 프리즘(11)과는 역으로 중앙의 90도 반사프리즘부(22)의 좌우 1/2에 각기 180도 반사 프리즘부(23L, 23R)의 투사면의 내측 1/2를 접합한 형상으로 되어있으나, 제2도에 도시하는 프리즘(11)과 똑같이 광선을 3회 전 반사시키는 광학기구이며, 180도 반사 프리즘부(23L, 23R)의 꼭지점 피치 및 전 너비도 프리즘(11)과 동일하다.
제6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초점판(9, 10)상에 설치된 프리즘(21)의 180도 프리즘부(23L, 23R)의 각기 외측 1/2입사면으로 좌우의 초점판(9, 10)의 각기 내측 1/2의 화상이 입사하여 반사면(RP1, RP2, RP3)에 의해 3회 전 반사하고, 중앙의 투사면(24)에 좌우 1/2 씩의 화면에 의해 하나의 화면으로 합성된 바로선 정상이 투사된다.
또 프리즘(11, 21)의 레프렉스 미러(7, 8)로 대향하는 입사면에 매트 가공하여 젖빛유리상의 초점면으로 하여 초점판(9, 10)을 생략할 수 도 있다. 또 프리즘(11, 21, 34)의 반사면(RP1, RP2, RP3)에 알루미늄 등을 증착하여 거울면을 형성해도 좋다.
제7도 내지 제10도는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여, 제7도에 도시하는 스테레오 카메라(31)의 초점 조절기구는 제1도의 스테레오 카메라와 동일하나, 화인더기구는 수평방향으로 회동하는 세로형 레프렉스 미러(32, 33)와 좌우의 레프렉스 미러와의 사이에 삽입한 프리즘(34)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8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프리즘(34)은 입사광과 반사광의 광로(光路)를 상하평행으로 변위시키는 180도 반사 프리즘부(35)의 아래쪽 입사면의 좌우 1/2의 각각에 90도 반사 프리즘부(36L, 36R)의 입사면은 외측 가로방향을 향한 수직면이다. 또 제9도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프리즘(34)의 전 너비(W)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좌우 노광화면의 중심피치(P1)의 1/2이다.
프리즘(34)의 좌우에 배치된 세로형 레프렉스 미러(32, 33)는 제10도에 도시한 피봇트(32a, 33a)를 회전 중심으로 하여 수평방향으로 회동하고 촬영시에는 빛의 주축(主軸)에 대해 45도의 대기 위치로부터 프리즘(34)의 측면방향으로 회동하여 렌즈(4, 5)와 필름면을 잇는 광로(光路)로부터 물러난다.
세로형 레프렉스 미러(32, 33)가 대기위치에 있을 때에는 좌우의 렌즈(4, 5)의 촬영범위의 각기 외측 1/2의 화면이 레프렉스 미러(32, 33)에 의해 좌우반전되어 프리즘(34)의 90도 반사 프리즘부(36L, 36R)로 들어간다. 그리고 제10도에 도시와 같은 90도 반사 프리즘부(36L, 36R)의 반사면(RP1), 180도 반사 프리즘부(RP2, RP3)에 의해 3회 전 반사하여, 180도 반사 프리즘부(35)의 위측 투사면(37)에 좌측 렌즈(5)의 촬영범위의 외측 1/2의 바로선 정상과 우측 렌즈(4)의 촬영범위의 외측 1/2의 바로선 정상에 의해 합성된 공중상(空中像)이 나타난다.
이 스테레오 카메라(31)에 있어서 프리즘(34)가 좌우의 노광 화면사이에 삽입되어 있으므로 카메라의 높이 치수를 현저하게 낮출 수가 있다. 또 프리즘(34)의 90도 반사 프리즘부(36L, 36R)의 입사면에 매트 가공하여 초점면으로 하면 초점면에 결상된 실상을 관찰하여 초점 조절을 할 수 있고 초점 조절이 용이하게 된다.
제11도는 스테레오 카메라(31)의 또 다른 실시형태를 도시하며, 필름상의 좌우한쌍의 화면(P1L, P1R)사이에 다른 화면이 2코마(한 화면)배치되도록 노광하면을 배치한 것이다.
이 경우는 세로형 레프렉스 미러(32, 33)가 프리즘(34)의 측면에서 떨어진 위치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도시와 같이 레프렉스 미러(32, 33)와 프리즘(34)과의 사이에 초점판(38, 39)의 뒤쪽에 집광렌즈(40, 41)을 배치하면 화인더화상이 보다 밝게되어 보기가 쉬워진다.
또 제1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스테레오 카메라(1, 31)의 좌우의 렌즈(4, 5)는 무한으로 멀어서 촬영범위가 일치하도록 평행 되고 중심 축이 노광화면 영역의 중심에 위치되어 있고, 좌우의 렌즈(4, 5)의 시야의 각기 외측 1/2에 의해 합성된 화인더상을 봄으로 렌즈(4, 5) 및 좌우의 노광화면의 중심피치(P1)와 같은 너비로 촬영범위의 좌우 중심으로 향해 중앙영역은 시야 밖으로 된다. 그러나 눈으로 불 수 없는 범위는 좁은 선상(線狀)이며, 근접촬영시 이외는 이 범위내에 숨겨져서 보이지 않는 피사체는 거의 없다. 또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평방향으로 흔드는것이 되어 촬영범위의 모든 피사체를 볼 수 있으므로 촬영에 아무런 불편이 없다.
제13도는 청구항 2기재의 스테레오 카메라(51)를 도시하며, 전술한 스테레오 카메라(1)와 똑같이 카메라보디(52)에 대해 앞 뒤 스라이드가 자유로운 스라이드 프레임(53)이 장착되어 있다. 스라이드 프레임(53)의 앞면에는 한 쌍의 렌즈보드(54, 55)가 좌우 대칭으로 장착되어 렌즈보드(54, 55)에 렌즈(4, 5)가 장착되어 있다. 또 초점판(9, 10)의 위쪽에는 제1도의 스테레오 카메라(1)과 똑같이 프리즘(11)또는 (21)과 접안렌즈(12)가 배치되어 있다. 좌우의 렌즈보드(54, 55)는 스라이드 프레임(53)으로 좌우 스라이드가 자유롭게 장착되고 이송나사기구에 의해 렌즈보드(54, 55) 상호간의 간격을 좌우 대칭으로 확축(擴縮)되는 구조로 되어 있다.
제14도는 초점 조절기구 및 렌즈의 중심간 거리 조절기구를 도시하며, 스라이드 프레임(53)의 앞에 수평방향으로 설치된 이송나사(56)는 좌측에 좌나사(56a)가 형성되고, 우측에 우나사(56b)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좌나사(56a)에 좌측 렌즈보드(54)의 암나사(54a)가 몰리고, 우나사(56b)에 우측 렌즈보드(55)의 암나사부(55a)가 몰려서, 렌즈보드(54, 55)의 좌우 렌즈(4, 5)의 중심피치가 좌우의 노광면피치(P1)와 같게 되는 위치에서 렌즈가 접근하는 방향의 일정 범위내에서 이동시킬 수 가 있다.
또 스라이드 프레임(53)의 뒤쪽에는 캠샤프트(57)가 축지되고 캠샤프트(57)의 양단에 초점 조절용 캠(58)이 끼워져 있다. 스라이드 프레임(53)은 스프링(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후방(제14도에 있어서 위쪽)으로 힘을 부여받고 카메라보디(52)의 캠받이면에 캠(58)이 압접되어 있어 캠샤프트(57)의 회전에 따라 스라이드 프레임(53)이 앞뒤로 스라이드 한다.
이송나사(56)와 캠샤프트(57)는 평치차(59, 60)에 의해 연결되어, 이송나사(56)의 일단에 설치한 조절노브(61)를 회전하면 렌즈보드(54, 55) 및 스라이드 프레임(53)이 연동하여 초점 및 렌즈의 중심간 거리가 조절된다.
제15도는 렌즈의 초점과 중심간 거리의 관계를 표시한 것이며, 렌즈를 1매의 얇은 렌즈로 가정하여,
렌즈의 초점거리 ················f
피사체로부터 렌즈의 주 점(点)까지의 거리····L
렌즈의 초점거리로부터 결상위치까지의 거리···△if
로하면, △if = f2/ (L-f) 이므로 렌즈의 주 점과 필름면과의 거리는 f + △if로 된다.
또 촬영범위를 좌우로 일치시키기 위한 좌우 렌즈의 각각의 시프트량(S1)은 스테레오 카메라의 좌우 노광면의 피치(P1)로 하면,
S1 = (P1/2) × ( f + △if ) / ( L + f + △if)
로 되어, 피사체로부터 렌즈의 주 점까지의 거리(L)가 감소하는데 따라 위 식으로 산출되는 시프트량(S1)만큼 좌우의 렌즈를 각기 접근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면 된다.
따라서 이송나사(56)의 피치와 캠(58)의 형상을 상기한 식을 만족하는 관계를 형성함으로서 조절노브(61)의 회전각도에 비례하여 이동하는 렌즈보드(54, 55)에 대해, 캠(58)을 이동수단으로 하는 스라이드 프레임(53)은 촬영거리가 근거리가 되는 만큼 내보내는 량이 지수(指數) 관수적으로 증대하여 촬영거리에 관계없이 좌우의 촬영범위가 일치한다.
따라서 촬영거리에 관계없이 피사체의 시차(視差)가 자동적으로 보정되어 합초(合焦) 위치에 있는 피사체가 좌우의 화면에 있어서 거의 동일위치에 촬영되는 것이 되어 스테레오 스라이드 마운드에 필름에 장착할 때 필름 피치를 조정하여 시차를 보정할 필요가 거의 없게 된다. 또 스라이드 마운드의 창에 의해 차폐할 좌우화면의 중복되지 않은 부분이 감소함으로 화면손실이 적은 스테레오 스라이드를 만들 수가 있다.
또 제14도에서 도시하는 카메라보디(52) 이외의 렌즈(4, 5), 렌즈보드(54, 55) 및 스라이드 프레임(53)을 포함한 가동부분 전체를 유니트화하여 렌즈유니트 교환 가능하게 형성함으로서 각각 렌즈의 초점거리에 마추어 이송나사의 피치 및 캠의 형상을 설계한 각종 초점거리의 렌즈유니트를 사용할 수가 있다.
상술한 스테레오 카메라(51)에 있어서 시차 보정의 상태는 접안렌즈(12)를 보고 확인할 수가 있다. 제16도(a)는 피사체, (b)(c)(d)는 화인더상을 도시하고 ,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평방향으로 회동하여 (a)에 도시하는 피사체를 화면 중앙에 위치시킨 경우에 피사체에 초점이 맞추어 있으면, 피사체가 좌우의 프리즘시야의 교차점에 위치하여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피사체가 실제의 형상으로 보인다. 피사체가 마추어진 초점위치 즉 좌우의 프리즘시야의 교차점으로부터 원거리에 있는 경우는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너비가 넓개 보이고, 더욱 피사체가 먼쪽의 경우는 좌우로 나누어진 이중상으로 된다. 한편, 피사체가 좌우의 프리즘시야의 교차점으로부터 근거리에 있는 경우는 전술한 바와 같이 중앙의 사각(死角)에 들어간 부분이 마스크되어 (d)에 도시와 같이 너비가 좁게 보인다. 이와같이 화인더 화상중의 근경(近景) 피사체가 실제의 형상으로 보이도록 조절노브(61)를 회전시킴으로서 적절하게 시차가 보정돈 상태로 촬영할 수가 있다.
또 피사체에 따라서는 시차보정 및 조첨조절이 용이치 않은 경우가 있고 특히 피사체가 세로선이나 가로선상의 것인 경우는 합초 및 시차의 상태판단이 곤란하나 이와 같은 경우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평 자세로부터 좌우 어느것인가에 경사시키면 용이하게 초점 조절상태를 눈으로 보아 확인할 수가 있다.
제17도는 스테레오 카메라를 수평자세로부터 좌우 어느쪽으로 경사시킨 경우의 화인더상을 도시하며, 합초상태에서는 선상(線狀) 피사체는 제17도(a)와 같이 연속하여 보이지만 합초 위치로부터 먼쪽의 경우는 (b)와 같이 좌우의 화상이 반대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이동하여 선상피사체는 중앙에서 분단된다. 또 합초위치로 부터 근거리에 있는 경우는 좌우의 피사체가 접근함으로서 이 경우도 선상피사체가 중앙에서 분담됨을 초점조절 및 시차보정의 적부를 용이하게 판단 할 수가 있다.
또 전술한 청구항 1기재의 스테레오 카메라(1)에 있어서는 좌우의 촬영화면의 각각 외측에 시야가 중복하지 않는 부분이 있고, 이 비 중복부분은 종래 행해지고 있는 바와 같이 스테레오 스라이드 마운드의 창틀에 의해 마스크하는 것이 된다. 또, 청구항 2기재의 스테레오 카메라(51)는 초점조절에 연동하여 시차가 보정됨으로 좌우의 화면에 비중복부분은 거의 발생하지 않으나, 초점을 맞춘 주요 피사체가 원경(遠景)에 있어서 근경피사체에 대한 시차보정이 부족한 상태로 촬영한 경우는 종래와 똑같이 마운드시에 좌우의 촬영필름의 각기 외측을 마스크하여 시차를 보정할 필요가 발생되는 일이 있다.
제18도는 상술한 마운드시의 시차보정을 요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특성에 감안하여 제안하는 스테레오 카메라의 화면배치를 도시하는 것이며, 마운드시에 필름(F)화면의 가장자리부를 마스크함으로서 필름상의 각 화면(P)사이에 갭(Gap)을 형성하지 않고 인정하는 화면이 접촉한 상태로 촬영하도록 노광화면을 배치한 것이다. 이에 따라 한정된 화면 피치로 유효 화면면적이 최대한으로 확대된다. 또 본 발명은 상기한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이 아니라, 예를 들어, 제7도내지 제11도에 도시한 스테레오 카메라의 화인더 구성을 제13도의 스테레오 카메라(51)에 적용하는 등,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내에 있어서 여러 가지로 개량변경하는것이 가능하고, 본 발명이 이들 개량 변경된 것에 미치는 것임은 당연하다.
이상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스테레오 카메라는 좌우 화면의 각기 1/2를 접속하여 합성한 화면을 하나의 화인더로 관찰 할 수 있으므로, 하나의 화인더를 통해 보는 형식의 것보다도 보고 확인함이 향상되고 조작성이 우수하다. 또 종래의 펜더프리즘을 2개 탑재한 스테레오 카메라보다도 화인더 제조코스트가 삭감되어 레프렉스형 스테레오 카메라의 저가격화에 기여한다.
또, 청구항 2기재의 스테레오 카메라에 있어서는 시차보정 및 초점조절의 가부를 화인더화상에 의해 판단할 수 있어, 미리 화면손실을 억제하여 최적의 스테레오 효과를 발휘할 수 있는 상태로 촬영할 수가 있다.

Claims (2)

  1. 한대의 카메라보디에 렌즈, 레프렉스 미러 및 프리즘으로 되는 한 눈 레프렉스 카메라의 광학계를 좌우로 2계통 탑재하고, 레프렉스 미러 및 프리즘을 통해 좌우 렌즈의 입사상을 관찰하도록 한 레프렉스형 스테레오 카메라에 있어서, 상기한 좌우 렌즈의 촬영범위의 각기 외측 1/2의 화면을 대칭적으로 좌우 반전하여 하나의 바로 선 정상을 합성하는 복합형 프리즘을 설치하여, 좌우 렌즈의 촬영범위의 각기 외측 1/2를 한 눈으로 관찰할 수 있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좌우 렌즈의 중심간 거리를 자유롭게 조절할 수 있도록 하고, 초점조절기구와 렌즈의 중심간 거리 조절기구와에 연동기구를 설치하며, 합초거리에 있어 좌우렌즈 촬영범위를 항시 합치시키도록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레오 카메라.
KR1019960011842A 1996-04-19 1996-04-19 스테레오 카메라 KR10019431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842A KR100194319B1 (ko) 1996-04-19 1996-04-19 스테레오 카메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60011842A KR100194319B1 (ko) 1996-04-19 1996-04-19 스테레오 카메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118A KR970071118A (ko) 1997-11-07
KR100194319B1 true KR100194319B1 (ko) 1999-06-15

Family

ID=6622352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60011842A KR100194319B1 (ko) 1996-04-19 1996-04-19 스테레오 카메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194319B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71118A (ko) 1997-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880131B2 (ja) ステレオカメラ
US5892994A (en) Stereo camera with prism finder
KR0174324B1 (ko) 스테레오 카메라
US5130855A (en) Viewfinder optical system
US5715489A (en) Stereo camera
US4912500A (en) Single lens reflex camera
JPH041336B2 (ko)
US4188102A (en) Mirror reflex camera with electronic rangefinder
US6122455A (en) Lensless viewfinder and lensless viewfinder camera
KR100194319B1 (ko) 스테레오 카메라
JP2857363B2 (ja) ステレオカメラ
JP2980862B2 (ja) ステレオカメラ
KR0182095B1 (ko) 스테레오 카메라
CA2173782C (en) Stereo camera
KR100228831B1 (ko) 스테레오 카메라
JP2951317B1 (ja) ステレオカメラ
JP3170540B2 (ja) ファインダ装置
US6141504A (en) Finder optical system
JPH0721605B2 (ja) 電子スチルカメラ
JP2880132B2 (ja) ステレオカメラ
JP3243020B2 (ja) 光学ファインダー
ITTO960362A1 (it) Macchina fotografica per stereoscopia.
JPH0579547U (ja) カメラのファインダー光学系
JPS5911089B2 (ja) アイレベル・ウエストレベル併用フアインダ−
JPH09298760A (ja) 立体撮影アダプ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50202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