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84044B1 - 감쇠력 조절형 유압 댐퍼 - Google Patents

감쇠력 조절형 유압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84044B1
KR0184044B1 KR1019950012771A KR19950012771A KR0184044B1 KR 0184044 B1 KR0184044 B1 KR 0184044B1 KR 1019950012771 A KR1019950012771 A KR 1019950012771A KR 19950012771 A KR19950012771 A KR 19950012771A KR 0184044 B1 KR0184044 B1 KR 01840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alve
compression
damping force
chamber
expans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277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50033174A (ko
Inventor
다까오 나까다떼
아끼라 가시와기
다까시 네즈
시가야 세끼네
Original Assignee
이시다 아쯔미
도끼꼬 가부시끼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4115594A external-priority patent/JP329782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8760095A external-priority patent/JP3360156B2/ja
Application filed by 이시다 아쯔미, 도끼꼬 가부시끼가이샤 filed Critical 이시다 아쯔미
Publication of KR9500331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331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840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8404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4Special valve constructions; Shape or construction of throttling passag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44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 F16F9/46Means on or in the damper for manual or non-automatic adjustment; such means combined with temperature correction allowing control from a distance, i.e. location of means for control input being remote from site of valves, e.g. on damper external wall
    • F16F9/466Throttling control, i.e. regulation of flow passage geometry
    • F16F9/467Throttling control, i.e. regulation of flow passage geometry using rotary valv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피스톤로드에 연결된 피스톤이 실린더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고 하부실린더챔버가 저장기에 연결된다. 상부실린더챔버를 하부실린더챔버와 연통시키는 신장측 통로와 상기 실린더챔버를 저장기와 연통시키는 압축측 통로는 신장측 및 압축측 배압챔버들이 형성되는 곳에 배면에 각각 디스크밸브들을 구비한다. 신장측 배압챔버는 고정오리피스 및 포트들을 통해 상부 및 하부실린더챔버들과 연통된다. 압축 배압챔버는 고정오리피스 및 포트들을 통해 하부실린더챔버 및 저장기와 연통된다. 셔터를 회전시킴으로써, 포트들의 유동면적들은 오리피스 특성을 조절하도록 변화되고 신장측 및 압축측 배압챔버들내의 압력들은 밸브특성들을 조절하도록 변화된다.

Description

감쇠력 조절형 유압 댐퍼(HYDRAULIC DAMPER OF DAMPING FORCE ADJUSTING TYPE)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의 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의 주요부로서의 감쇠력발생기구의 종단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의 주요부로서의 감쇠력발생기구의 종단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의 주요부로서의 감쇠력발생기구의 종단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의 주요부로서의 감쇠력발생기구의 종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제6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의 주요부로서의 감쇠력조절기구의 종단면도.
제7도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에서의 감쇠력특성에 따른 온도변화의 영향을 나타내는 그래프.
제8도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장치의 감쇠력발생기구의 스풀에서의 안내부와 유체통로를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제10도는 제9도의 일 대안을 나타내는 확대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의 종단면도.
제12도는 제11도와 유사도로서, 감쇠력발생기구의 동작기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을 때의 스풀의 일부도.
제13도는 제11도의 장치의 감쇠력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제14도는 제8실시예의 일 대안의 감쇠력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제15도는 제8실시예의 다른 대안의 감쇠력특성을 나타내는 그래프.
제16도는 본 발명의 제9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의 감쇠력발생기구의 종단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팽창측 디스크밸브의 확대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의 제10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의 주요부를 나타내는 종단면도.
제19도는 제18도의 일부의 확대단면도.
제20도는 본 발명의 제11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를 나타내는 회로도.
제21도는 제20도의 장치의 감쇠력조절기구의 종단면도.
본 발명은 자동차와 같은 차량용 현가장치와 함께 사용되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와 같은 차량용 현가장치에 장착되는 유압댐퍼들 중에는, 노면상태 및 차량주행상태에 의존하여 승차감 및/또는 운전안전성을 향상시키도록 감쇠력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들이 있다.
일반적으로, 이러한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에서, 유압액체를 포함한 실린더는 실린더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되고 피스톤로드에 연결된 피스톤에 의해 두개의 실린더챔버로 나누어지고, 이 피스톤내에는 두개의 실린더챔버를 상호 연통시키기 위한 주액체통로 및 바이패스통로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에, 오리피스 및 디스크밸브를 포함한 감쇠력발생기구는 주액체통로와 관련하여 설치되고, 바이패스통로의 유통면적을 조절하는 감쇠력조절밸브는 바이패스통로와 관련하여 설치된다. 저장기는 실린더챔버중 하나의 실린더챔버에 연결되어 가스의 압축/팽창에 의한 피스톤로드의 신장 및 수축으로 인한 챔버들의 부피변화를 보상한다.
바이패스통로가 감쇠력조절밸브를 통해 개방될 때, 두개의 실린더들 사이를 흐르는 유압유체의 유체저항이 감소됨으로써, 감쇠력을 증가시킨다. 이러한 식으로, 감쇠력은 감쇠력조절밸브를 개폐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그러나, 바이패스통로의 유동면적을 조절함으로써 감쇠력이 조절되는 유압댐퍼에서, 피스톤이 저속으로 이동될 때, 감쇠력은 액체통로내의 오리피스의 특성에 의존하기 때문에 큰 비율로 변화될 수 있지만, 피스톤이 중간속도 또는 고속으로 이동될 때, 감쇠력은 주액체통로의 감쇠력발생기구(디스크 밸브)에 따라 좌우되기 때문에 큰 비율로 변화될 수 없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서, 일본국 실용신안 공개공보 제62-155242(1987)호에 개시된 바와 같이, 주액체통로를 위해 감쇠력발생기구를 구성한 디스크밸브 배후에 압력챔버가 형성되고 이 압력챔버가 고정오리피스를 통해 디스크밸브의 상류측에서 실린더챔버와 연통되며 가변오리피스를 통해 디스크밸브의 하류측에서 실린더챔버와 연통되는 유압댐퍼가 제안되어 있다.
이러한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에 따르면, 가변오리피스를 개폐함으로써, 두개의 실린더챔버 사이의 유동면적이 조절되고 압력챔버내의 압력이 변화되어 디스크밸브를 개방하는 초기압력을 변화시킨다. 이러한 식으로, 오리피스특성 및 밸브특성이 조절됨으로써, 감쇠력특성의 조절범위를 넓힌다.
그러나, 감쇠력조절기구 및 감쇠력조절밸브가 피스톤과 관련하여 설치되는 상기한 종래의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에서는 다음의 문제점들이 발생한다. 즉, 실린더챔버와 저항기 사이에 배치된 베이스밸브에서 피스톤의 유체저항이 증가되는 경우에, 실린더챔버들중 하나의 실린더챔버내에 네가티브압력을 발생시키는 압축행정동안 저장기내로 흐르는 유압유체의 양이 과다하게 증가하기 때문에, 안정한 감쇠력이 얻어질 수 없다. 이러한 식으로, 압축측의 감쇠력의 특성이 베이스밸브의 유체저항에 의존하기 때문에, 압축측의 감쇠력특성의 조절범위가 더욱 좁아진다.
또, 피스톤의 크기가 증가되기 때문에, 이에 따라 피스톤로드의 행정은 감소된다. 또, 감쇠력조절밸브는 피스톤로드내에 삽입된 동작로드를 통해 평상시 동작되기 때문에, 피스톤의 부착부에 대한 설계자 유도가 제한된다.
디스크밸브의 개방도를 조절하도록 디스크밸브의 배면에 압력챔버가 형성된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에서, 압력챔버의 밀폐성능이 약한 경우에, 유압액체는 챔버내의 압력을 감소시키도록 압력챔버로부터 유출되고, 그 결과 안정한 감쇠력이 얻어질 수 없다. 특히, 높은 감쇠력이 설정된 경우에, 피스톤이 저속으로 이동할 때는, 유압유체가 유출되기 쉽고, 따라서 감쇠력이 감소된다.
본 발명은 상기한 종래의 단점들을 해소하는 것을 지향하고, 본 발명의 목적은 감쇠력특성을 조절하는 조절범위를 넓힐 수 있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네가티브압력챔버의 밀폐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들을 달성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일 형태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는 유압유체를 수용한 내부를 갖는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두개의 실린더챔버들로 분할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일 단부와 상기 실린더 외부로 신장된 타단부를 갖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고 가스의 압축 또는 팽창에 의한 상기 피스톤로드의 신장 및 수축으로 인한 상기 실린더의 부피변화를 보상한다. 감쇠력발생기구는 실린더 외부에 배치된다. 이 감쇠력발생기구는 피스톤로드의 신장행정동안 유압유체가 실린더챔버들중 하나의 실린더챔버로부터 다른 하나의 실린더챔버로 흐르도록 하는 신장측 통로와, 피스톤로드의 압축행정동안 유압유체가 실린더챔버로부터 저장기로 흐르도록 하는 압축측 통로와, 신장측 통로의 유동면적을 조절하는 신장측 감쇠밸브와, 신장측 감쇠밸브의 밸브체로 압력을 가하여 밸브를 폐쇄시키는 신장측 배압챔버와, 유체저항을 갖는 신장측 감쇠밸브의 상류측에서 실린더챔버와 신장측 배압챔버를 연통시키는 상류측 통로와, 신장측 감쇠밸브의 하류측에서 신장측 배압챔버와 실린더챔버를 연통시키는 하류측 통로와, 하류측 통로의 유동면적을 조절하는 신장측 가변오리피스와, 압축측 통로의 유동면적을 조절하는 압축측 감쇠밸브와, 압축측 감쇠밸브의 밸브체로 압력을 가하여 밸브를 폐쇄시키는 압축측 배압챔버와, 유체저항을 갖는 압축측 감쇠밸브의 상류측에서 압축측 배압챔버를 실린더챔버와 연통시키는 상류측 통로와, 압축측 감쇠밸브의 하류측에서 압축측 배압챔버를 저장기와 연통시키는 하류측 통로, 및 하류측 통로의 유동면적을 조절하는 가변오리피스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피스톤로드의 신장행정동안, 유압유체는 신장측통로와 신장측 배압챔버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서의 통로를 통해 두개의 실린더챔버 사이를 흐르고, 그 결과 신장측 가변오리피스 및 신장측 감쇠밸브에 의해 감쇠력이 발생된다. 이렇게, 신장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오리피스특성이 변화될 수 있고, 신장측 배압챔버내의 내압이 변화되어 신장측 감쇠밸브의 밸브개방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음으로써, 밸브특성을 변화시킨다. 한편, 피스톤로드의 압축행정동안, 유압유체는 실린더챔버로부터 저장기로 압축측 통로와 압축 배압챔버의 상류측 및 하류측에서의 통로를 통해 흐르고, 그 결과 압축측 가변오리피스 및 압축측 감쇠밸브에 의해 감쇠력이 발생된다. 이렇게, 압축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압축측 배압챔버내의 내압이 변화되어 압축측 감쇠밸브의 밸브개방특성을 변화시킬 수 있음으로써, 밸브특성을 변화시킨다. 이 경우에, 압축행정동안 실린더챔버와 저장기 사이의 액체유동면적을 제어함으로써 감쇠력이 발생되기 때문에, 감쇠밸브와 가변오리피스의 유체저항으로 인해 실린더챔버들내에서 배압이 발생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실린더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된 피스톤의 슬라이딩운동에 의해 유압유체를 수용한 실린더의 두개의 실린더챔버들내의 유압유체의 유동을 제어함으로써 감쇠력이 발생되고 두개의 실린더챔버 사이의 연통통로영역을 조절함으로써 감쇠력특성이 조절될 수 있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가 제공된다. 댐퍼는 두개의 실린더챔버내의 압력에 의해 디스크밸브를 개방함으로써 두개의 실린더챔버 사이의 연통통로영역을 조절하는 디스크밸브와, 디스크밸브의 배면에 맞대어져 접촉하는 내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가 설치된 하나의 내단부를 갖는 거의 원통형인 밀폐부재와, 밀폐부재의 타단부가 슬라이딩가능하게 맞춰지는 외주를 갖는 밀페안내부재와, 액체디스크밸브에 맞대어 밀폐부재를 가세하도록 액밀방식으로 내측으로부터 시밀부재의 플랜지부에 맞대어져 접촉하고 밀폐부재내에 배압챔버를 형성하는 디스크상 리프스프링과, 디스크밸브의 상류측에서 배압챔버를 실린더챔버와 연통시키는 상류측 통로와, 디스크밸브의 하류측에서 배압챔버를 실린더챔버와 연통시키는 하류측 통로, 및 하류측 통로의 유동면적을 조절하는 가변오리피스를 포함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 감쇠력은 실린더내의 피스톤의 슬라이딩운동으로 초래된 두개의 실린더챔버 사이의 유압유체의 유동을 디스크밸브와 가변오리피스에 의해 제어하고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발생되고, 오리피스특성은 직접적으로 조절될 수 있고 배압챔버내의 압력은 변화되어 디스크밸브의 개방특성을 변화시킴으로써, 밸브특성을 조절한다. 또, 배압챔버내의 압력에 의해 리프스프링이 밀폐부재의 플랜지부에 맞대어져 가세되기 때문에, 리프스프링과 밀폐부재 사이의 밀폐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이하,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한다. 또, 제1도 내지 제6도에 나타낸 감쇠력발생기구에서는, 좌측 절반부에 나타낸 요소의 조건에 의해 신장행정이 수행되고, 우측 절반부에 나타낸 요소의 조건에 의해 압축행정이 수행된다.
무엇보다도 먼저, 제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에서, 피스톤(2)은 유압액체(예를 들어, 오일)를 수용한 실린더(1)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고, 실린더의 내부는 피스톤(2)에 의해 상부실린더챔버(1a)와 하부실린더챔버(1b)로 분할된다. 피스톤로드(3)의 일단부는 피스톤(2)에 연결되고 피스톤로드(3)의 타단부는 실린더의 일단부에 부착된 안내밀폐부(4)를 통해 실린더(1)의 외부로 연장된다. 유압액체 및 가스를 수용한 저장기(5)는, 실린더(1)의 저부상에 배치된 베이스밸브(6)를 통해 저장기가 하부실린더챔버(1b)와 연통되는 것과 같은 식으로 실린더(1) 주변에 배치된다.
피스톤(2)은 하부실린더챔버(1b)로부터 상부실린더챔버(1a)로만의 오일유동을 허용하는 체크밸브(7)를 구비하고, 베이스밸브(6)는 저장기(5)로부터 하부실린더챔버(1b)로만의 오일유동만을 허용하는 체크밸브(8)를 구비한다. 또, 감쇠력발생기구(9)는 실린더(1)와 관련하여 설치된다.
감쇠력발생기구(9)에서는, 베이스벽을 갖는 거의 원통형인 케이스(10)내에 환형 밸브부재(11)가 배치되고, 밸브부재(11)(제1도) 아래에 디스크밸브(12), 스페이서(13) 및 하우징(14)이 삽입되어 환형 밸브부재(15)가 배치된다. 밸브부재(15) 아래에는, 디스크밸브(16), 스페이서(17) 및 하우징(18)이 순서대로 배치되어 있다. 이들 요소들(11-18)은 너트(20)를 안내부재(19)에 맞대어 아래로부터 죔으로써 케이스(10)의 베이스벽을 통해 기구내로 삽입된 베이스를 구비한 거의 원통형인 안내부재(19) 주변에 고정된다.
밸브부재들(11,15)는 케이스(10)의 내부를 세 개의 오일챔버들(10a,10b,10c)로 분할한다. 이 케이스(10)는 오일챔버(10a)를 상부실린더챔버(1a)와 연통시키는 오일통로(21)와, 오일챔버(10b)를 하부실린더챔버(1b)와 연통시키는 오일통로(22), 및 오일챔버(10c)를 저장기(5)와 연통시키는 오일통로(23)를 구비한다.
밸브부재(11)는 오일챔버(10a)를 오일챔버(10b)와 연통시키는(즉, 오일통로들(21,22)를 통해 상부 및 하부실린더챔버들(1a,1b)을 상호 연통시키는) 신장측 통로(24)를 구비한다. 환형 밸브시트(25)는 이들 시크들 사이에 배치된 신장측 통로(24)의 개구부를 갖는 밸브부재(11)의 (오일챔버(10b)에 대면되는) 일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신장측감쇠밸브로서 역할하는 디스크밸브(12)는 밸브시트(25)와 대면관계로 배치된다. 디스크밸브(12)는 그 외부가 오일챔버(10a)와 연통된 압축측 통로(29)내의 오일압력에 의해 고정될 때 개방되고, 그 결과 디스크 밸브의 개방도에 따라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동안 오일은 오일챔버(10b)로부터 오일챔버(10c)로 흐를 수 있다.
저부를 갖는 하우징(14)내에서, 환형 밀폐 부재(26)는 디스크 밸브(12)와 액밀 맞물림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고 스프링(27)에 의해 바이어스되어 밀폐 부재의 일 단부가 디스크 밸브(12)에 의해 항상 맞물리게 된다. 신장측의 배압 챔버(28)는 하우징(14)과 밀폐 부재(26)에 의해 디스크 밸브 뒤에 형성된다.
밸브 부재(15)는 오일챔버(10b)와 오일챔버(10c)를 연통시키는 압축측 통로(29)를 구비한다(즉, 오일통로(22,23)를 통해 하부실린더챔버(1b)와 저장기(5)를 연통시킨다). 환형 밸브 시트(30)는 이들 시트 사이에 배치된 압축측 통로(29)의 개구를 구비한 밸브 부재(15)의 단부면(이것은 오일챔버(10c)와 대면한다)으로부터 돌출하고, 압축측의 감쇠밸브 역할을 하는 디스크 밸브(16)는 밸브 시트(30)와 정면 관계로 배치된다. 상기 디스크 밸브(16)는 외부부가 오일챔버(10b)와 연통하여 압축측 통로(29)내의 오일 압력에 의해 휘어질 때 개방되어, 결과적으로 디스크 밸브의 개방 정도에 따라 감쇠력을 발생시키는 동안 오일챔버(10b)로부터 오일챔버(10c)로 오일이 유동할 수 있다.
저부를 갖는 하우징(18)내에서, 환형 밀폐부재(31)는 디스크밸브(16)와 액밀 맞물림으로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고 디스크밸브(16)는 스프링(32)에 의해 바이어스 되어 밀폐부재의 일단부가 항상 디스크밸브(16)에 의해 맞물린다. 압축측 배압챔버(33)는 하우징(18)과 밀폐부재(31)에 의해 디스크밸브(16) 배면에 형성된다.
디스크밸브(12)는 신장측 배압챔버(28)를 오일챔버와 연통시키는 상류측 통로로서 역할하는 고정오리피스(34)를 구비하여 이에 따라 상부실린더챔버(1a)는 유체저항을 갖고, 디스크밸브(1b)는 압축측 배압챔버(33)를 오일챔버(10b)와 연통시키는 상류측 통로로서 역할하는 고정오리피스(35)를 구비하여 하부실린더챔버(1b)가 유체저항을 갖는다.
신장측 배압챔버(28)와 연통된 안내포트(36)와, 오일챔버(10b)와 연통된 안내포트(37) 및 압축측 배압챔버(33)와 연통된 안내포트(38)는 안내부재(19)의 측벽내에 형성된다.
원통형 셔터(39)는 안내부재(19)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동작로드(40)는 셔터(39)에 연결되고 댐퍼 외부로 연장된 일 단부를 구비하여 이 셔터(39)가 외측으로부터 동작로드(40)를 거쳐 회전될 수 있다. 안내포트(36,37,38)과 각각 정렬된 셔터포트들(41,42,43)은 셔터(39)의 측벽내에 형성된다.
셔터포트(41)는 셔터(39)내에 형성된 셔터챔버(39a)를 통해 셔터포트(42)와 연통되고, 신장측 배압챔버(28)의 하류측통로는 셔터챔버(39a), 셔터포트(42) 및 안내포트(37)로 구성된다. 셔터포트(43)는 안내부재(19)의 개구부(압축측 배압챔버(33)의 하류측 통로)를 통해 오일챔버(10c)와 연통된다.
신장측 가변오리피스는 안내포트(36) 및 셔터포트(41)로 구성되고, 압축측 가변오리피스는 안내포트(38) 및 셔터포트(43)로 구성되어, 이들 오리피스들의 유동면적들이 셔터(39)를 회전시킴으로써 자유롭게 변화할 수 있다. 즉, 안내포트(37) 및 셔터포트(42)는 셔터(39)의 각(角) 위치와 관계없이 항상 일정한 유동면적으로 상호 연통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유압댐퍼의 동작을 설명한다.
피스톤로드(3)의 신장행정동안, 체크밸브(7)는 피스톤(2)의 시프팅 이동에 의해 폐쇄되어 상부실린더챔버(1a)내의 유압액체를 가압하고, 그 결과 이 액체는 상부실린더챔버로부터 하부실린더챔버(1b)내로 오일통로(21), 오일챔버(10a), 신장측 통로(24), 고정측 오리피스(34), 신장측 배압챔버(28), 안내포트(36), 셔터포트(41), 셔터챔버(39a), 셔터포트(42), 안내포트(37), 오일챔버(10b) 및 오일통로(22)를 통해 흐른다. 상부실린더챔버(1a)내의 압력이 디스크밸브(12)의 밸브개방압력에 도달할 때, 디스크밸브(12)는 개방되어 오일이 신장측 통로(24)로부터 오일챔버(10b)로 직접 흐르게 만든다. 한편, 피스톤로드(3)가 신장됨에 따라, 실린더로부터 피스톤로드의 수축에 의해 얻어진 부피에 대응하는 유압유체량은 가스의 신장으로 인해 저장기(5)로부터 체크밸브(8)를 통해 하부실린더챔버(1b)로 공급된다.
디스크밸브가 개방되기 전에, 피스톤속도가 작을 때는, 오리피스 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안내포트(36) 및 셔터포트(41)로 구성된 신장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에 따라 발생된다. 피스톤속도가 증가되고 상부실린더챔버(1a)내의 압력도 증가되어 디스크밸브(12)를 개방할 때, 밸브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디스크밸브의 개방도에 따라 발생된다. 셔터(39)를 동작로드(40)를 거쳐 회전시켜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감쇠력이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신장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더 작아지기 때문에, 오리피스를 가로지르는 압력손실은 더 커지고, 신장측 상류배압챔버(28)내의 압력이 증가되고 디스크밸브(12)의 상류측에서 이 배압챔버와 오일챔버(10a) 사이의 압력차가 최소화된다. 그 결과, 디스크밸브(12)의 밸브폐쇄방향을 향한 바이어스력이 증가되기 때문에, 디스크밸브(12)의 밸브개방압력이 증가된다. 한편, 신장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더 작아지기 때문에 신장측 배압챔버(28)내의 압력이 작아지게 되고, 디스크밸브(12)의 상류측에서 이 배압챔버와 오일챔버(10a) 사이의 압력차가 증가되고, 이에 의해 이 디스크밸브(40)를 거쳐 밸브개방압력을 감소시킨다. 따라서, 셔터(39)를 동작로드(40)를 거쳐 회전시킴으로써 신장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변화될 때, 오리피스특성 및 밸브특성이 동시에 변화되기 때문에, 낮은 피스톤속도로부터 높은 피스톤속도에 걸쳐 큰 범위의 감쇠력변화가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감쇠력을 조절하는 조절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피스톤로드(3)의 압축행정동안, 체크밸브(7)가 피스톤(2)의 시프팅 이동에 의해 개방되어 유압유체가 하부실린더챔버(1b)로부터 상부실린더챔버(1a)로 직접 흐르도록 만들기 때문에, 상부실린더챔버(1a)의 압력이 하부실린더챔버(1b)의 압력과 동일하게 되고, 그 결과 감쇠력발생기구(9)의 오일통로들(21 및 22) 사이에 오일이 흐르지 않게 된다.
한편, 베이스밸브(6)의 체크밸브(8)가 폐쇄된다. 피스톤로드(3)가 수축됨에 따라, 실린더(1)내로 피스톤로드의 삽입에 의해 유압유체가 가압되기 때문에, 유압유체는 하부실린더챔버(1b)로부터 저장기(5)내로 오일통로(22), 오일챔버(10b), 압축측 통로(29), 고정오리피스(35), 압축측 배압챔버(33), 안내포트(38), 셔터포트(43), 오일챔버(10c) 및 오일통로(23)를 통해 흐르고, 이에 의해 가스를 압축한다. 실린더(1)내의 압력이 디스크밸브(16)의 밸브개방압력에 도달할 때, 디스크밸브(16)는 개방되어 유압유체가 압축측 통로(29)로부터 오일챔버(10c)로 직접 흐르게 만든다.
디스크밸브가 개방되기 전, 피스톤속도가 작을 때, 오리피스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안내포트(38) 및 셔터포트(43)로 구성된 압축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에 따라 발생된다. 피스톤속도가 증가되고 실린더(1)내의 압력도 증가되어 디스크밸브(16)를 개방할 때, 밸브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디스크밸브의 개방도에 따라 발생된다. 동작로드(40)를 거쳐 셔터(39)를 회전시켜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감쇠력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신장행정과 유사하게, 압축측 배압챔버(33)내의 압력이 압축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디스크밸브(16)의 밸브개방압력도 변화된다. 이렇게, 동작로드(40)를 거쳐 셔터(39)를 회전시킴으로써 압축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변화할 때, 오리피스특성 및 밸브특성이 동시에 변화하기 때문에, 낮은 피스톤속도로부터 높은 피스톤속도에 걸쳐 큰 범위의 감쇠력변화가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감쇠력특성을 조절하는 조절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또, 셔터(39)를 회전시켜, 안내포트(36) 및 셔터포트(41)로 구성된 신장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과 안내포트(38) 및 셔터포트(43)로 구성된 압축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을 각각 변화시킴으로써, 신장측 감쇠력특성 및 압축측 감쇠력특성이 독립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셔터의 각 위치에 따라, 안내포트들 및 셔터포트들을 선택하여 신장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더욱 커지게 되는 한편 압축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더욱 작아지게 되고 그 역도 가능함으로써, 신장측 및 수축측에서 서로 다른 감쇠력특성이 조합(예를 들어, 신장하드와 압축소프트의 조합, 또는 신장소프트와 압축하드)이 설정될 수 있다.
압축행정동안, 하부실린더챔버(1b)와 연통된 오일통로(22)와 저장기(5)와 연통된 오일통로(23) 사이에 설치된 디스크밸브(16)와 압축측 가변오리피스(안내포트(38) 및 셔터포트(43))의 유체저항에 의해 감쇠력이 발생되어 상부 및 하부실린더챔버(1a,1b) 사이에서 유체저항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유체저항으로 인한 네가티브압력은 실린더실(1)내에서 발생되지 않고, 그 결과 안정한 감쇠력이 얻어질 수 있고 감쇠력특성의 설정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이하, 제2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가 감쇠력조절기구의 배압챔버와 연통된 고정오리피스들 및 가변오리피스들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에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와 유사하기 때문에, 제1실시예에서의 요소와 동일한 요소들을 동일한 참조번호들로 지시하고, 단지 차이점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2도는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감쇠력발생기구(44)에서, 케이스(10)내로 삽입된 안내부재(45)는 그 측벽에 밸브부재(11)내에 형성된 고정오리피스(46)를 통해 오일챔버(10a)와 연통된 안내포트(47), 신장측 배압챔버(28)와 연통된 안내포트(48), 오일챔버(10b)와 연통된 안내포트(49), 밸브부재(15)내에 형성된 고정오리피스(50)를 통해 오일챔버(10b)와 연통된 안내포트(51), 압축측 배압챔버(33)와 연통된 안내포트(52), 및 오일챔버(10c)와 연통된 안내포트(53)를 구비한다.
동작로드(40)에 연결된 셔터(54)는 안내부재(45)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셔터(54)는 안내포트들(47,48,49,51,52,53)에 각각 할당될 수 있는 셔터포트들(55,56,57,58,59,60)을 구비한다. 두개의 셔터챔버들(54a,54b)은 셔터(54)내에 형성되어 셔터포트들(55,56,57)이 셔터챔버(54a)를 통해 상호 연통되고 셔터포트들(58,59,60)이 셔터챔버(54b)를 통해 상호 연통된다.
안내포트(49) 및 셔터포트(57)는 신장측 가변오리피스로 구성되고 안내포트(53) 및 셔터포트(60)는 압축측 가변오리피스로 구성되어 가변오리피스들의 유동면적들이 셔터(54)의 회전에 의해 자유롭게 변화될 수 있다. 안내포트들(47,48,51,52)은 셔터(54)의 각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유동면적들을 갖는 대응 셔터포트(55,56,58,59)와 항상 연통되어 있다.
디스크밸브(12)의 고정오리피스와 디스크밸브(16)의 고정오리피스가 생략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 피스톤로드(3)의 신장행정동안, 오일챔버(10a)내의 유압유체는 고정오리피스(46), 안내포트(47) 및 셔터포트(55)를 통해 셔터챔버(54a)내로 흐른 다음에 셔터포트(56) 및 안내포트(48)를 통해 신장측 배압챔버(28)내로 도입되어 셔터포트(57) 및 안내포트(49)(신장측 가변오리피스)를 통해 오일챔버(10b)내로 유입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신장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셔터(54)의 회전에 의해 변화될 때, 신장측 오리피스의 특성이 조절될 수 있고 밸브특성이 신장측 배압챔버(28)내의 압력변화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한편, 피스톤로드의 압축행정동안, 오일챔버(10b)내의 유압유체는 고정오리피스(50), 안내포트(51) 및 셔터포트(58)를 통해 셔터챔버(54b)내로 흐른 다음에 셔터포트(59) 및 안내포트(52)를 통해 압축측 배압챔버(33)내로 도입되고 셔터포트(60) 및 안내포트(53)(압축측 가변오리피스)를 통해 오일챔버(10c)내로도 도입된다.
따라서,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압축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셔터(54)의 회전에 의해 변화될 때, 압축측 오리피스의 특성이 조절될 수 있고 밸브특성이 압축측 배압챔버(33)내의 압력변화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하, 제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설명한다. 제3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는 감쇠력발생기구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와 유사하기 때문에, 제1실시예의 요소들과 동일한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들로 지시하고, 단지 차이점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감쇠력발생기구(61)에서, 회전가능한 셔터를 대신하여 스풀(62)이 안내부재(19)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된다. 안내부재(19)는 그 측벽에서 오일챔버(10c)와 연통된 추가 안내포트(63)를 더 구비한다. 안내포트들(36,37)은 압축측 가변오리피스를 구성하도록 스풀(62)내에 형성된 유동통로(65)를 통해 상호 연통되고, 이들 가변오리피스들의 유동면적들이 스풀(62)의 시프팅에 의해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압축스프링(66)은 스풀(62)의 일단부에 맞대어져 접촉하고 동작기(나타나지 않음)의 동작로드(67)는 스풀의 타단부에 맞대어져 접촉하고, 스풀(62)이 스프링(66)의 탄성력에 대향하여 동작기에 의해 소정위치로 시프트되고, 신장측 및 압축측 가변오리피스들의 유동면적들이 변화된다. 제3도에서, 참조번호 68은 스풀(62)의 양 단부들상에서 작용하는 압력들을 균형을 이루도록 오일챔버(10c)내의 오일을 스풀(62)의 타단부에서의 공간으로 도입하는 통로를 지시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 신장측 및 압축측 가변오리피스들의 유동면적들은 동작기에 의한 스풀(62)을 시프팅함으로써 조절될 때,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신장측 오리피스 및 압축측 오리피스의 특성들이 조절될 수 있고, 밸브특성들이 신장측 및 압축측 배압챔버들(28,33)내의 압력변화에 의해 조절될 수 있다.
이하, 제4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4실시예를 설명한다. 제4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는 감쇠력발생기구의 스풀이 파일롯트압력에 의해 시프트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3실시예의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와 유사하기 때문에, 제3실시예의 요소들과 동일한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들로 지시하고, 단지 차이점들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감쇠력발생기구(69)에서, 파이롯트챔버(70) 및 압력제어밸브(71)는 안내부재(19)내의 스풀(62)의 일단부에 설치된다. 파일롯트챔버(70)는 파일롯트통로(오리피스)(72)를 통해 오일챔버(10a)와 연통된다.
압력제어밸브(71)는 연통통로(73)를 통해 파일롯트챔버(70)와 연통된 릴리프챔버(74)내에 수축적으로 수용된 니들(75)을 구비하여, 파일롯트챔버(70)내의 오일압력이 소정압력에 도달할 때, 니들(75)의 수축에 의한 연통통로(73)의 개방에 의해, 파일롯트챔버(70)내의 오일은 릴리프챔버(74)내로 방출된다. 니들(75)은 비례솔레노이드(나타내지 않음)의 플런저에 연결되어 제어밸브(71)의 밸브개방압력 즉, 제어밸브의 릴리프압력은 솔레노이드로 공급된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자유롭게 조절될 수 있다. 릴리프챔버(74)는 통로(드레인)(68)를 통해 오일챔버(10c)와 연통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 피스톤로드(2)의 신장행정동안, 피스톤(2)의 시프팅이동에 의해 가압된 상부실린더챔버(1a)내의 오일은 파일롯트통로(72)를 통해 오일챔버(10a)로부터 파일롯트챔버(70)로 도입되고, 그 결과 스풀(62)은 파일롯트챔버(70)(파일롯트압력)내의 오일압력이 스프링(66)의 바이어스력과 균형을 이룰 때가지 시프트됨으로써,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을 조절한다.
이 경우에, 파일롯트압력이 제어밸브(71)의 릴리프압력에 도달할때까지, 니들(75)이 수축되고 파일롯트챔버(70)내의 오일을 릴리프챔버(74)내로 방출하기 때문에, 솔레노이드에 공급된 전류를 제어하여 파이롯트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스풀의 이동이 조절될 수 있고, 그 결과 제3실시예에서와 같이, 신장측 오리피스의 특성이 조절될 수 있고 밸브특성은 신장측 배압챔버(28)내의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한편, 피스톤로드의 압축행정동안, 상부 및 하부실린더챔버들(1a,1b)내의 액체는 피스톤로드(3)의 수축에 의해 실린더(1)내로 가압되고, 그 결과 실린더(1)내의 오일은 파일롯트통로(72)를 통해 오일챔버(10a)로부터 파일롯트챔버(70)내로 도입된다. 따라서, 상기한 신장행정에서와 같이, 솔레노이드로 공급된 전류를 제어함으로써, 압축측 오리피스특성이 조절될 수 있고, 밸브특성은 압축측 배압챔버(33)내의 압력을 조절함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이하, 제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5실시예를 설명한다. 제5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는 감쇠력발생기구의 배압챔버와 연통된 가변오리피스의 하류측에 서브밸브가 설치되는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1실시예의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오 유사하기 때문에, 제1실시예의 요소들과 동일한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들로 지시되고, 단지 차이점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5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감쇠력발생기구에서, 서브밸브부재(77)는 케이싱(10)내의 하우징(14)과 밸브부재(15) 사이에 설치되고 서브밸브부재(78)는 하우징(18)과 밸브 부재(15)의 맞물림상태로 배치된다.
서브밸브부재(77)는 안내포트(37)와 연통된 통로(79)를 구비한다. 또, 감쇠력을 발생시키도록 통로내에 흐르는 유압액체를 조절하는 서브디스크밸브(80)와 서브밸브부재(77)의 밸브시트와 연관된 오리피스(80a)를 구비한다. 서브밸브디스크(80)는 밸브부재(11)의 디스크밸브(12)보다 더욱 가요성있고, 오리피스(80a)는 디스크밸브(12)의 고정오리피스(34)의 유동면적보다 작은 유동면적을 갖는다.
안내부재(19)는 그 측벽에 서브밸브부재(78)내에 형성된 통로(82)를 통해 오일챔버(10c)와 연통되는 추가 안내포트(81)를 구비한다. 안내포트(81)는 셔터(39)내에 형성된 추가셔터포트(83)와 항상 연통되고 셔터(39)의 셔터챔버(39b)를 통해 셔터포트(43)와 연통된다. 서브밸브부재(78)는 감쇠력을 발생시키도록 통로(82)내에 흐르는 유압액체를 발생시키는 서브디스크밸브(84) 및 오리피스(84a)를 구비한다. 서브밸브디스크(84)는 밸브부재(15)의 디스크밸브(16)보다 더욱 가요성있고 오리피스(84a)는 디스크밸브(16)의 고정오리피스(35)의 유동면적보다 작은 유동면적을 갖는다.
이 구성에 의해서, 피스톤로드의 신장행정동안, 셔터포트(36) 및 셔터포트(41)(가변오리피스)를 통해 셔터챔버(39a)내로 도입된 유압유체는 셔터포트(42), 안내포트(37) 및 서브밸브부재(77)의 통로(79)를 통해 오일챔버(10b)내로 흐른다. 그 결과, 서브디스크밸브(80)가 개방되기 전에, 피스톤속도가 매우 느린 경우에, 오리피스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오리피스(80a)에 의해 발생되고, 서브디스크밸브(80)가 개방된 후에 피스톤속도가 낮을 때, 밸브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서브디스크밸브(80)의 개방도에 따라 발생된다. 피스톤속도가 더 증가되어 디스크벨브(12)를 개방할 때, 밸브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디스크밸브(12)의 개방도에 따라 발생된다.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가변오리피스(안내포트(36) 및 셔터포트(41))의 유동면적이 셔터(39)의 회전에 따라 변화될 때, 서브디스크밸브(80)에 의해 발생된 밸브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이 직접적으로 조절될 수 있고, 디스크밸브(12)에 의해 발생된 밸브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신장측 배압챔버(28)내의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신장측 배압챔버(28)내의 압력은 서브디스크밸브(80)의 밸브력특성(유체저항)에 의존하기 때문에, 배압챔버내의 압력이 가변오리피스에 의해서만 제어되는 경우와 비교하여, 감쇠력조절이 하드해져서 온도변화로 인해 유압유체의 점성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음으로써, 안정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배압챔버내의 압력이 가변오리피스에 의해서만 제어되는 경우에, 액체의 점성이 고온으로 인해 감소될 때, 가변오리피스의 유체저항이 크게 감소되기 때문에, 제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주)디스크밸브의 밸브개방압력이 감소됨으로서 감쇠력을 크게 감소시킨다.
한편, 피스톤로드의 압축행정동안, 안내포트(38) 및 셔터포트(43)(가변오리피스)를 통해 셔터챔버(39b)내로 도입된 유압유체는 셔터포트(83), 안내포트(81) 및 서브밸브부재(78)의 통로(82)를 통해 오일챔버(10c)내로 흐른다. 그 결과, 서브디스크밸브(84)가 개방되기 전에 피스톤속도가 매우 낮을 때, 오리피스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오리피스(84a)에 의해 발생되고, 서브디스크밸브(84)가 개방된 후에 피스톤속도가 낮을 때, 밸브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서브디스크밸브(84)의 개방도에 따라 발생된다. 피스톤속도가 더 증가되어 디스크밸브(16)를 개방시킬 때, 밸브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디스크밸브(16)의 개방도에 따라 발생된다.
제1실시예에서와 같이, 가변오리피스(안내포트(38)및 셔터포트(43))의 유동면적이 셔터(39)회전에 의해 변화될 때, 서브디스크밸브(84)에 의해 발생된 밸브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이 직접적으로 조절될 수 있고, 디스크밸브(16)에 의해 발생된 밸브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압축측 배압챔버(33)내의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신장행정과 유사하게, 압축측 배압챔버(33)내의 압력이 서브디스크밸브(84)의 밸브력특성에 의존하기 때문에, 감쇠력조절이 하드해져서 온도의 변화에 의해 영향을 받음으로써, 안정한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즉, 나타낸 실시예에서, 오리피스들(80a,84a)이 서브디스크밸브들(80,84)와 관련하여 설치되어 오리피스특성이 매우 낮은 피스톤속도로 설정될 수 있는 예가 설명되었지만, 오리피스들(80a,84a)이 생략될 수 있다.
이하, 제6도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제 6실시예를 설명한다. 제6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는 감쇠력발생기구의 배압챔버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2실시예의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와 유사하기 때문에, 제2실시예의 요소들과 동일한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들을 지시하고, 단지 차이점만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6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6실시예에 따른 감쇠력발생기구(85)에서, 케이스(10)내에 장착된 안내부재(45)는 하우징을 대신하여 원통형 고정부재들(86,87)을 구비하고, 환형밀폐부재들(88,89)은 고정부재들(86,87)의 외주면에 각각 슬라이딩가능하게 맞춰진다. 밀폐부재들(88,89)은, 환형접촉부들(90,91)이 형성된 외부(상부)표면들과 환형밀폐부들(92,93)이 형성된 내부(저부)표면들상의 반경방향내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들을 그 일단부에 구비한다. 디스크밸브들(12,16)은 접촉부들(90,91)에 각각 맞대어져 접촉한다.
디스크상 리프스프링들(94,95)은 안내부재(45)에 부착되고 스프링들(94,95)의 둘레부들이 액밀식으로 밀폐부재들(88,89)의 밀폐부들(92,93)에 의해 맞물려서 밀폐부재들(88,89)을 디스크밸브들(12,16)에 각각 맞대어 가세한다. 고정부재(86), 밀페부재(88) 및 리프스프링(94)은 신장측 배압챔버(28)를 형성하고, 고정부재(87), 밀폐부재(89) 및 리프스프링(95)은 압축측 배압챔버(33)를 형성한다.
이 구성에 의해서, 디스크밸브들(12,16)의 개방도들은 신장측 배압챔버(28) 및 압축측 배압챔버(33)내의 압력 작용하에 디스크밸브들(12,16)의 배면(저부)표면들에 맞대어져 밀폐부재들(88,89)의 접촉부(90,91)를 가세하도록 조절한다. 제2실시예에서와 같이, 신장측 가변오리피스(안내포트(49) 및 셔터포트(57)) 및 압축측 가변오리피스(안내포트(53) 및 셔터포트(60))의 유동면적들이 셔터(54)의 회전에 의해 변화될 때, 신장측 오리피스특성 및 압축측 오리피스특성이 조절될 수 있고, 밸브특성은 신장측 배압챔버(28)내의 압력과 압축측 배압챔버(33)내의 압력을 변화시킴으로써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리프스프링들(94,95)은 신장 및 압축 배압챔버들(28,33)에서의 압력들을 작용시켜 밀폐부재들(88,89)의 밀폐부들(92,93)에 맞대어져 가세되기 때문에, 밀폐성능이 향상된다. 따라서 피스톤이 저속으로 이동되는 경우(이 상태에서, 신장 및 압축측 배압챔버들(28,33)내의 압력들이 비교적 작다)에도, 신장 및 압축측 배압챔버들(28,33)을 밀폐시키는 밀폐성능은 저하되는 것이 명확하게 방지될 수 있다.
이하, 제8도 내지 제10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설명한다. 제7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의 유압댐퍼는 스풀구조와 배압챔버의 밀폐구조를 제외하고는 제3실시예에서의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와 유사한 감쇠력발생기구의 내부구조를 갖으며 제6실시예의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와 유사한 배압챔버들의 밀폐구조를 갖기 때문에, 제3 및 제6실시예들의 요소들과 동일한 요소들은 간략히 설명하고 단지 차이점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8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7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101)에서, 내부 및 외부실린더들(102,103) 사이에 환형 저장챔버(104)가 형성되는 이중실린더 구조를 제공하도록 외부실린더(103)가 내부실린더(102) 둘레에 배치된다. 실린더(102)는 그 내부에 유압유체를 수용하고, 저장챔버(104)는 그 내부에 유압유체 및 가스를 수용한다.
피스톤(105)은 실린더(102)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고, 실린더(102)의 내부는 피스톤(105)에 의해 두개의 실린더챔버들 즉, 상부실린더챔버(102a)와 하부실린더챔버(102b)로 분할된다. 실린더(102)내로 삽입된 피스톤로드(106)의 일단부는 너트(107)에 의해 피스톤(105)으로 연결되고, 피스톤로드(106)의 타단부는 실린더들(102,103)상에 장착된 로드안내부 및 오일밀폐부(둘다 나타내지 않음)를 통해 실린더(102) 외부로 연장된다. 하부실린더챔버(102b)와 저장챔버(104)의 저부들을 형성하고 베이스밸브(109)는 실린더(102)의 저단부상에 장착된다.
피스톤(105)은 상부 및 하부실린더챔버들(102a,102b)을 상호 연통시키는 액체통로(110)와, 하부실린더챔버(102b)로부터 상부실린더챔버(102a)로 액체통로(110)를 통한 오일유동만을 허용하는 체크밸브(111)를 구비한다. 베이스밸브(109)는 하부실린더챔버(102b)를 저장챔버(104)와 연통시키는 액체통로(112)와, 저장챔버(104)로부터 하부실린더챔버(102b)로 액체통로(112)를 통한 오일유동만을 허용하는 체크밸브(113)를 구비한다.
상부 원통형 통로부재(114), 하부실린더통로부재(115) 및 중심 원통형 연결부재(116)는 실린더(102)상에 맞춰진다. 실린더(102)와 통로부재들(114,115)의 자유단부들은 O링(117,118)에 의해 상호 밀폐되고 통로부재들의 근단부들은 연결부재(116)내로 맞춰지며 환형통로들(119,120)은 통로부재와 실린더(102) 사이에 형성된다. 연결부재(116)는 환형통로들(119,120)을 상호 절연시키도록 실린더(102)상에 맞춰지는 소직경부(116a)를 그 내부중심부에 구비한다. 환형통로(119)는 그 상부에서 실린더(102)의 측벽내에 형성된 통로(121)를 통해 상부실린더챔버(102a)와 연통되고, 환형통로(120)는 그 저부에서 실린더(102)의 측벽내에 형성된 통로(122)를 통해 하부실린더챔버(102b)와 연통된다.
감쇠력발생기구(A)는 연결부재(116)와 대면관계로 외부실린더(103)의 측벽에 부착된다. 감쇠력발생기구(A)는 세개의 거의 원통형인 실린더부재들(123,124,125)로 구성된 케이스(126)를 갖는다. 케이스(126)는 외부실린더(103)에 연결된 개구부를 갖고, 리테이너(127)를 갖는 비례솔레노이드동작기(128)는 케이스내의 챔버들 및 통로들을 형성하는 케이스(126)의 다른 개구부내로 맞춰진다.
두개의 밸브부재들(129,130)은 케이스(126)의 부재(125)내로 맞춰지고 케이스(126)의 내부는 밸브부재들(129,130)에 의해 세개의 오일챔버들(126a,126b,126c)로 분할된다. 거의 원통형인 안내부재(137)는 밸브부재들(129,130), 디스크밸브들(131,132)(아래에 설명함), 디스크상 리프스프링(133,134) 및 환형고정부재(135,136)를 통해 연장된다. 안내부재(137)의 자유단부를 비례솔레노이드동작기(128)내로 삽입함으로써, 소자들(129-136)은 상호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오일챔버(126a)는 환형통로(119)와 연통되고, 따라서 연통부재(116)를 통해 지나가는 통로부재(138)의 개구부를 통해 상부실린더챔버(102a)와 연통된다. 오일챔버(126b)는 환형통로(120)와 연통되고, 따라서 부재(125)의 측벽내에 형성된 통로를 통한 하부실린더챔버(102b)와, 부재들(124,125) 사이에 형성된 환형통로(139)와, 리테이너(140)내에 형성된 통로(141) 및 연결부재(116)내에 형성된 통로(142)와 연통된다. 오일챔버(126c)는 부재(124)의 측벽내에 형성된 통로(124a)와 부재들(123,124) 사이에 형성된 환형통로(143)를 통해 저장챔버(104)와 연통된다.
밸브부재(129)는 오일챔버(126a)를 오일챔버(126b)와 연통시키는 신장측 액체통로(144)를 구비한다. 오일챔버(126a)와 연통된 신장측 액체통로(144)내의 유압유체의 압력을 작용시켜 오일챔버(126b)의 측에서 밸브부재(129)의 일단부상에 장착된 디스크밸브(신장측 감쇠밸브)(131)가 플렉스(flex) 및 개방될 때, 감쇠력은 디스크밸브의 개방도에 따라 발생된다. 고정부재(135)상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맞춰진 환형밀폐부재(145)는 리프스프링(133)에 의해 디스크밸브(131)의 배면에 맞대어져 가세되고, 신장측 배압챔버(146)는 디스크밸브(131), 고정부재(135) 및 밀폐부재(145)로 구성된다.
밸브부재(130)은 오일챔버(126b)를 오일챔버(126c)와 연통시키는 압축측 액체통로(147)을 구비한다. 오일챔버(126b)와 연통된 압축측 액체통로내의 유압유체의 압력을 작용시켜 오일챔버(126c)의 측에서 밸브부재(130)의 일단부상에 장착된 디스크밸브(압축측 감쇠밸브)(132)가 플렉스 및 개방될 때, 감쇠력은 디스크밸브의 개방도에 따라 발생된다. 고정부재(136)상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맞춰진 환형 밀폐부재(148)는 스프링(134)에 의해 디스크밸브(132)의 배면에 맞대어져 가세되고, 압축측 압력챔버(149)는 디스크밸브(132), 고정부재(136) 및 밀폐부재(148)로 구성된다.
신장측 배압챔버(146)는 고정오리피스(신장측 상류통로)(150)을 통해 오일챔버(126a)와 연통되고, 안내부재(137)의 측벽내에 형성된 안내포트들(신장측 하류통로)(151,152)을 통해 오일챔버(126b)와도 연통된다. 압축측 배압챔버(149)는 고정오리피스(압축측 상류통로)(153)를 통해 오일챔버(126b)와 연통되고 안내부재(137)의 측벽내에 형성된 안내포트들(압축측 하류통로)(154,155)를 통해 오일챔버(126b)와도 연통된다. 리프스프링들(133,134)은 고정오리피스(150)를 안내포트(151)와 연통시키고 고정오리피스(153)을 안내포트(154)에 연통시키는 복수의 통로를 구비한다.
스풀(156)은 안내부재(137)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된다. 스풀(156)은 신장측 안내포트들(151,152)을 상호 연통시키는 액체통로(157)와, 압축측 안내포트들(154,155)를 상호 연통시키는 액체통로(158)를 구비한다. 제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체통로(157)는 스풀(156)의 시프팅이동에 관계없이 일정한 유동면적을 갖는 상류안내포트(151)와 항상 연통되지만, 하류안내포트(신장측 가변오리피스)(152)의 유동면적은 스풀(156)의 시프팅이동에 의해 조절된다. 액체통로(158)는 이 통로와 상류안내포트(압축측 가변오리피스)(154) 사이의 유동면적을 조절할 수 있고 일정한 유동면적을 갖는 하류안내포트(155)와 항상 연통된다. 따라서, 스풀(156)의 위치에 따라 안내포트(신장측 가변오리피스)(151)의 유동면적이 더욱 커지는 한편 안내포트(압축측 가변오리피스)(155)의 유동면적이 더 작아지고 그 반대도 가능하다.
상기한 구성을 대신하여, 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액체통로들(157,158)은, 액체통로(147)가 상류안내포트(신장측 가변오리피스)(151)의 유동면적을 조절할 수 있고 일정한 유동면적을 갖는 하류안내포트(152)와 항상 연통되며 액체통로(158)가 일정한 유동면적을 갖는 상류안내포트(154)와 항상 연통되고 하류안내포트(압축측 가변오리피스)(155)의 유동면적을 조절할 수 있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 이 경우에, 신장측 및 압축측 가변오리피스들의 유동면적들이 조절될 수 있다.
스풀(156)은 스프링(159)에 의해 일방향을 향해 항상 바이어스되고 비례솔레노이드동작기(128)의 동작로드(160)에 의해 스프링(159)의 바이어스력에 대향되게 동작로드의 트러스트력에 따라 스풀의 위치로 시프트된다. 이러한 식으로, 안내포트들(152,154)(제1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에서, 안내포트들(151,152))의 유동면적들이 조절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유압댐퍼의 동작을 설명한다.
피스론로드(106)의 신장행정동안, 피스톤(105)의 시프팅이동에 의해 체크밸브(11)가 폐쇄되어 상부실린더챔버(102a)내의 유압액체를 가압하고, 그 결과 이 액체는 상부실린더챔버로부터 감쇠력발생기구(A)의 통로부재(138)의 내부로 통로(121) 및 환형통로(119)를 통해 흐른 다음에, 환형통로(120)내로 오일챔버(126a), 신장측 통로(144), 디스크밸브(131)의 고정오리피스(150), 신장측 배압챔버(146), 안내포트들(151,152), 오일챔버(126b), 통로들(125a,139,141 및 142)을 통해 흐른 후에, 하부실린더챔버(102b)내로 통로(122)를 통해 흐른다. 상부실린더챔버(102a)내의 압력이 밸브개방압력에 도달하여 디스크밸브(131)를 개방할 때, 유압액체는 신장측 통로(144)로부터 오일챔버(126b)로 직접적으로 흐른다. 이 경우에, 피스톤로드(106)이 신장됨에 따라, 베이스밸브(109)의 체크밸브(113)가 가스의 신장에 의해 개방될 수 있기 때문에 실린더(102)로부터 피스톤로드(106)의 수축에 대응한 유압유체의 양은 저장챔버(104)로부터 하부실린더챔버(102b)내로 액체통로(112)를 통해 재충전된다.
따라서, 디스크밸브(131)가 개방되기 전에 피스톤속도가 낮을 때는, 오리피스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이 안내포트(152)(또는 151)의 유동면적에 따라 발생된다. 피스톤속도가 증가되고 상부실린더챔버(102a)내의 압력도 증가되어 디스크밸브(131)를 개방할 때, 밸브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이 디스크밸브의 개방도에 따라 발생된다. 스풀(156)을 시프트하여 안내포트(152)(또는 151)의 유동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감쇠력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안내포트(152)(또는 151)의 유동면적이 더 작아지기 때문에, 안내포트를 가로지르는 압력손실이 커지게 되고, 따라서 신장측 배압챔버(146)내의 (디스크밸브(131)의 밸브폐쇄방향을 행해 작용하는)압력이 커지게 되며, 디스크밸브(131)의 밸브개방압력도 증가된다. 따라서, 스풀(156)을 시프트시켜 안내포트(152)(또는 151)의 유동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오리피스특성 및 밸브특성이 동시에 변화되기 때문에, 낮은 피스톤속도로부터 높은 피스톤속도에 걸쳐 큰 범위의 감쇠력 변화가 달성되고, 따라서, 감쇠력특성을 조절하는 조절범위가 넓어질수 있다.
피스톤로드의 압축행정동안, 피스톤(105)의 시프트이동에 의해 체크밸브(11)가 개방되어 유압유체를 하부실린더챔버(102b)로부터 상부실린더챔버(102a)로 액체통로(110)를 통해 직접 흐르도록 만들기 때문에, 상부실린더챔버(102a)내의 압력은 하부실린더챔버(102b)내의 압력과 거의 동일하게 되고, 그 결과 감쇠력발생기구(A)의 오일챔버들(126a,126b) 사이에 오일이 흐르지 않게 된다.
한편, 베이스밸브(109)의 체크밸브(113)가 개방된다. 피스톤로드(106)이 수축됨에 따라, 유압유체는 실린더(102)내로 피스톤로드(106)의 삽입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유압유체는 하부실린더챔버(102b)로부터 감쇠력발생기구(A)의 통로(141)내로 통로(122), 환형통로(120) 및 통로(142)를 통해 흐른 다음에, 저장챔버(104)내로 통로(139), 통로(125a), 오일챔버(126b), 압축측 통로(147), 디스크밸브(132)의 고정오리피스(153), 압축측 배압챔버(149), 안내포트들(154,155), 오일챔버(126c), 통로들(124a,143)을 통해 흐른다. 상부 및 하부실린더챔버들(102a,102b)내의 압력들이 디스크밸브(132)의 밸브개방압력에 도달할 때, 디스크밸브는 개방되어 유압유체를 압축측 통로(147)로부터 오일챔버(126c)로 직접 흐르도록 만든다.
신장행정에서와 같이, 디스크밸브가 개방되기 전에, 피스톤속도가 낮을 때, 오리피스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가변오리피스로서 역할하는 안내포트(154)(또는 155)의 유동면적에 따라 발생된다. 피스톤속도가 증가되고 상부 및 하부실린더챔버들(102a,102b)내의 압력들도 증가되어 디스크밸브(132)를 개방시킬 때, 밸브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디스크밸브의 개방도에 따라 발생된다. 동작기(128)을 거쳐 스풀(156)을 시프트시켜 안내포트(154)(또는 155)의 유동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감쇠력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안내포트(154)(또는 155)의 유동면적이 작아지게 되기 때문에, 안내포트를 가로지르는 압력손실이 커지게 되고 이에 의해 압축측 배압챔버(149)내의 압력을 증가시키며, 이 압력은 디스크밸브(132)의 밸브폐쇄방향을 향해 작용한다. 따라서, 디스크밸브(132)의 밸브개방압력도 변화된다. 따라서, 안내포트(154)(또는 155)의 유동면적이 스풀(156)의 시프팅에 의해 변화될 때, 오리피스특성 및 밸브특성이 동시에 변화되기 때문에, 낮은 피스톤속도로부터 높은 피스톤속도에 걸쳐 큰 범위의 감쇠력변화가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감쇠력특성을 조절하는 조절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또, 스풀(156)을 시프팅시켜 가변오리피스들로 작용하는 안내포트들(152,154)(또는 151,155)의 유동면적들을 변화시킴으로써, 신장측 감쇠력특성 및 압축측 감쇠력특성이 독립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나타낸 실시예에서, 스풀(156)의 스프트위치에 따라, 신장측 가변오리피스로서 역할하는 안내포트(152)(또는 151)의 유동면적이 커지게 되기 때문에, 압축측 가변오리피스로서 역할하는 안내포트(154)(또는 155)의 유동면적이 더 작아지게 되고 그 역도 가능하며, 신장측 및 압축측에서 서로 다른 감쇠력특성의 조합(예를 들어, 신장하드와 압축소프트의 조합, 또는 신장소프트와 압축하드의 조합)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피스톤로드(106)의 압축행정동안, 상부 및 하부실린더챔버들(102a,102b) 사이에서 유체저항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상부실린더챔버(102a)내에서 네가티브압력이 발생되지 않고, 그 결과 안정한 감쇠력이 얻어질 수 있고 감쇠력특성을 조절하는 설정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이하, 제11도 내지 제15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8실시예를 설명한다. 제8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는 스풀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제7실시예의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와 유사하기 때문에, 제1실시예의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의 요소들과 동일한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들로 지시하고, 단지 차이점을 상세히 설명한다.
제1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8실시예에 따른 감쇠력발생기구에 따르면, 감쇠력발생기구(B)에서, 두개의 밸브부재들(201,202)은 베이스를 구비한 케이스(200)내에 맞춰지고, 리테이너(203)를 갖는 비례솔레노이드동작기(204)(이하 동작기(204)로 언급됨)는 케이스(200)의 개구부내로 맞춰지며, 케이스(200)의 내부는 밸브부재들(201,202)에 의해 세개의 오일챔버들(200a,200b,200c)로 분할된다. 거의 원통형인 안내부재(209)는 밸브부재(201,202), 디스크밸브(205,206)(이후에 설명함) 및 고정부재들(207,208)을 통해 연장된다. 안내부재(209)의 자유단부를 동작기(204)내로 삽입함으로써, 요소들(201,202,205-208)은 상호 일체형으로 고정된다. 세개의 오일챔버들(200a,200b,200c)은 오일통로들 (21,22,23)을 각각 통해서 상부실린더챔버(1a), 하부실린더챔버(1b) 및 저장챔버(5)와 연통된다.
밸브부재(201)는 오일챔버(200a)를 오일챔버(200b) 및 디스크밸브(205)와 연통시키는 신장층 통로(210)를 구비한다. 오일챔버들(200a)과 연통된 신장측 통로(210)내의 유압액체의 통로를 작용시켜 디스크밸브(205)가 플렉스 및 개방될 때, 유압유체는 오일챔버(200b)를 향해 흐름으로써, 디스크밸브의 개방도에 따라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고정부재(207)상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맞춰진 환형 밀폐부재(211)는 연통통로를 갖는 리프스프링(212)에 의해 디스크밸브(205)의 배면에 맞대어 가세되고, 신장측 배압챔버(213)는 디스크밸브(205), 고정부재(207) 및 밀폐부재(211)로 구성된다.
밸브부재(202)는 오일챔버(200b)를 오일챔버(200c) 및 디스크밸브(206)와 연통시키는 압축측 통로(214)를 구비한다. 오일챔버(200b)와 연통된 압축측 통로(214)내의 유압유체의 압력을 작용시켜 디스크밸브(206)가 플렉스 및 개방될 때, 유압유체는 오일챔버(200c)를 향해 흐를수 있고, 이에 의해 디스크밸브의 개방도에 따라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고정부재(208)상에 슬라이딩가능하게 맞춰진 환형 밀폐부재(215)는 연통통로를 구비한 리프스프링(216)에 의해 디스크밸브(296)의 배면에 맞대어 가세되고, 압축측 배면챔버(217)는 디스크밸브(205), 고정부재(208) 및 밀페부재(215)로 구성된다.
신장측 배압부재(213)는 디스크밸브(205)내에 형성된 고정오리피스(신장측 상류통로)(218)를 통해 오일챔버(200a)와 연통되고 안내부재(209)내에 형성된 안내포트(219) 및 안내포트(가변오리피스)(220)를 통해 오일챔버(200b)와도 연통된다. 압축측 배압챔버(217)는 디스크밸브(206)내에 형성된 고정오리피스(압축측 상류통로)(221)를 통해 오일챔버(200b)와 연통되고 안내부재(209)내에 형성된 안내포트(가변오리피스)(222) 및 안내포트(223)를 통해 오일챔버(200c)와도 연통된다.
스풀(224)은 안내부재(209)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된다. 제7실시예에서와 같이, 스풀(224)은 신장측 안내포트들(219,220)을 상호 연통시키는 액체통로(225)와 압축측 안내포트들(222,223)을 상호 연통시키는 액체통로(226)를 구비한다. 스풀(224)의 일반 동작범위내에서, 액체통로(225)는 하류안내포트(220)의 유동면적보다 큰 유동면적을 갖는 상류안내포트(219)와 항상 연통됨으로써, 하류안내포트(신장측 가변오리피스)(220)의 유동면적을 조절한다. 액체통로(226)는 이 통로와 상류안내포트(압축측 가변오리피스)(222) 사이의 유동면적을 조절할 수 있고 상류측 안내포트(222)의 유동면적보다 큰 유동면적을 갖는 하류 안내포트(223)와 항상 연통된다.
따라서, 스풀(224)의 위치에 따라, 안내포트(신장측 가변오리피스)(220)의 유동면적이 더 커지면 한편 안내포트(압축측 가변오리피스)(222)의 유동면적이 더 작아지고 그 역도 가능하다. 제11도에서, 감쇠력발생기구(B)의 상부절반은 신장측 안내포트(220)의 유동면적이 압축측 안내포트(222)의 유동면적보다 더 작아지는 스풀(224)의 위치를 나타내고, 감쇠력발생기구(B)의 저부절반은 신장측 안내포트(220)의 유동면적이 압축측 안내포트(222)의 유동면적보다 더 커지는 스풀(224)의 위치를 나타낸다.
스풀(224)은 스프링(227)에 의해 일방향을 향해 항상 바이어스된다. 동작기(204)의 동작로드(228)에 의해 발생된 트러스트력을 작용시켜 스프링(227)의 바이어스력에 대향되게 스풀(224)을 시프팅 및 배치함으로써, 안내포트들(220,222)의 유동면적들이 조절될 수 있다.
동작기(204)에 전류가 공급될 때 즉, 동작로드(228)의 트러스트력이 존재하지 않을 때, 스풀(224)은 스프링(227)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제12도의 최우측위치로 시프트되고, 그 결과 신장측 안내포트(219) 및 압축측 안내포트(222)는 스풀(224)의 랜드부들(224a,224b)에 의해 각각 폐쇄된다.
이하, 상기 구조를 갖는 제8실시예에 따른 댐퍼의 동작을 나타낸다.
피스톤로드(3)의 신장행정동안, 체크밸브(7)는 피스톤(2)의 시프팅 이동에 의해 폐쇄되어 상부실린더챔버(1a)내의 유압유체를 가압하고, 그 결과 액체는 상부실린더챔버로부터 감쇠력발생기구(B)의 오일챔버(200a)로 오일통로(21)를 통해 흐르고 다음에 신장측 통로(210), 고정오리피스(218), 신장측 배압챔버(213), 안내포트(219,220), 오일챔버(200b) 및 오일통로(22)를 통해 하부실린더챔버(1b)내로 흐른다. 상부실린더챔버(1a)내의 압력이 디스크밸브(205)의 밸브개방압력에 도달할 때, 디스크밸브는 개방되어 유체를 신장측 통로(210)로부터 오일챔버(200b)로 직접 흐르게 만든다. 이 경우에, 피스톤로드(3)가 신장됨에 따라, 실린더(1)로부터 피스톤로드(3)의 수축에 의해 얻어진 양에 대응하는 유압유체의 양은 저장기(5)로부터 가스의 팽창으로 인한 개방된 체크밸브(8)를 통해 하부실린더챔버(1b)로 공급된다.
제7실시예에서와 같이, 디스크밸브(205)가 개방되기 전에, 피스톤속도가 낮을 때, 오리피스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안내포트(가변오리피스)(220)에 따라 발생된다. 피스톤속도가 증가되어 디스크밸브(205)를 개방시킬 때, 디스크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디스크밸브의 개방도에 따라 발생된다. 동작기(204)의 동작에 의해 스풀(224)을 시프트시켜 안내포트(220)의 유동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감쇠력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안내포트(220)의 유동면적이 더 작아지기 때문에, 안내포트를 가로지르는 압력손실이 커지게 되고, 신장측 배압챔버(213)내의 압력이 증가된다. 이 압력이 디스크밸브(205)의 밸브폐쇄방향을 향해 작용하기 때문에, 디스크밸브(205)의 밸브개방압력도 증가된다. 따라서, 안내포트(220)의 유동면적이 스풀(224)의 시프트에 의해 변화될 때, 오리피스특성 및 밸브특성이 동시에 변화하기 때문에, 낮은 피스톤속도로부터 높은 피스톤속도에 걸쳐 큰 범위의 감쇠력변화가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감쇠력특성을 조절하는 조절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피스톤로드의 압축행정동안, 체크밸브(7)가 피스톤(2)의 시프팅이동에 의해 개방되어 유압유체를 하부실린더챔버(1b)로부터 상부실린더챔버(1a)로 직접 흐르도록 만들 수 있기 때문에, 상부실린더챔버(1a)내의 압력이 하부실린더챔버(1b)내의 압력과 동일하게 되고, 그 결과 오일통로들(21 및 22) 사이에 오일이 흐르지 않게 된다.
한편, 베이스밸브(6)의 체크밸브(8)가 폐쇄된다. 피스톤로드(3)가 수축됨에 따라, 유압유체 실린더(1)내의 피스톤로드(3)의 삽입에 의해 개방되기 때문에, 유압유체는 오일통로(22)를 통해 하부실린더챔버(1b)로부터 오일챔버(200b)내로 흐르고 다음에 압축측 통로(214), 고정오리피스(221), 압축측 배압챔버(217), 안내포트들(222,223), 오일챔버(200c) 및 오일통로(23)을 통해 저장기(5)내로 흐른다. 실린더(1)내의 압력이 디스크밸브(206)의 밸브개방압력에 도달할 때, 디스크밸브는 개방되어 유압유체를 압축측 통로(214)로부터 오일챔버(200c)로 직접 흐르도록 만든다.
신장행정에서와 같이, 디스크밸브(206)이 개방되기 전에, 피스톤 속도가 낮을 때, 오리피스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안내포트(가변오리피스)(222)의 유동면적에 따라 발생된다. 피스톤속도가 증가되고 실린더(1)내의 압력도 증가되어 디스크밸브(206)를 개방시킬 때, 밸브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디스크밸브의 개방도에 따라 발생된다. 동작기(204)의 동작에 의해 스풀(224)을 시프트시켜 안내포트(222)의 유동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감쇠력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안내포트(222)의 유동면적이 더 작아지기 때문에, 안내포트를 가로지르는 압력손실이 커지게 되고, 압축측 배압챔버(217)내의 압력이 증가된다. 이 압력은 디스크밸브(206)의 밸브폐쇄방향을 향해 작용하기 때문에, 디스크밸브(206)의 밸브개방압력도 증가된다. 따라서, 안내포트(222)의 유동면적이 스풀(224)의 시프트에 의해 변화될 때, 오리피스특성 및 밸브특성이 동시에 변화하기 때문에, 낮은 피스톤속도로부터 높은 피스톤속도에 걸쳐 큰 범위가 감쇠력변화가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감쇠력특성을 조절하는 조절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또, 스풀(224)의 시프트에 의해 안내포트들(가변오리피스들)(220,222)의 유동면적들을 변화시킴으로써, 신장측 감쇠력특성 및 압축측 감쇠력특성이 독립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나타낸 실시예에서, 스풀의 위치에 따라, 안내포트(신장측 가변오리피스)(220)의 유동면적이 더 커지는 한편 안내포트(압축측 가변오리피스)(222)의 유동면적이 더 작아지고 그 역도 가능하며, 신장측 및 압축측에서 상호 다른 감쇠력특성의 조합(예를 들어, 신장하드와 압축소프트의 조합, 또는 신장소프트와 압축하드의 조합)이 설정될 수 있다.
상기한 실시예에서와 같이, 압축행정동안, 상부 및 하부실린더챔버(1a,1b) 사이에서 유체저항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상부실린더챔버(1a)내에 네카티브압력이 발생되지 않고, 그 결과 안정한 감쇠력이 얻어질 수 있고 감쇠력특성의 설정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전선의 파괴와 같은 이유로 동작기(204)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 스풀(224)이 스프링(227)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제12도에 나타낸 위치로 시프트된다. 그 결과, 신장측 안내포트(219) 및 압축측 안내포트(222)가 폐쇄(또는 수축)되기 때문에, 감쇠력특성이 신장하드 및 압축하드해지고, 이에 의해 차량의 운전안정성을 적절한 상태로 유지하고 고장-안정성(fail-safe)을 달성한다.
제13도는 동작기(204)에 공급된 전류와 신장 및 압축측들의 감쇠력들 사이의 관계를 나타낸다. 제1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기한 실시예에서, 동작기에 전류가 공급되지 않을 때, 감쇠력특성이 신장하드 및 압축하드해진다. 스풀(224)의 평시 동작범위에 대응하는 Imin으로부터 Imax까지의 소정 전류범위내에서, 전류가 증가됨에 따라, 신장측이 하드로부터 소프트로 변화하고 압축측이 소프트로부터 하드로 변환된다.
나타낸 실시예에서, 감쇠력을 조절하도록 인가된 전류에 따라 발생된 푸시형 동작기(204)의 동작로드(228)의 트러스트력의 동작에 의해 스프링(227)의 바이어스력에 대응하여 스풀(224)이 가세되는 예가 설명되었지만, 스프링(227)은, 스풀(224)의 외측에서 풀형 동작기의 동작로드로 연결된 스풀(224)의 스프링의 바이어스력에 대향되게 인가된 전류에 따라 당겨져서 감쇠력을 조절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풀(224)이 스프링(227)의 바이어스력에 의해 동작기로부터 멀리(즉, 제11도에서의 좌측) 시프트될 때, 신장측 안내포트(220) 및 압축측 안내포트(223)은 스풀(224)의 랜드부들(224b,224c)에 의해 폐쇄됨으로써, 제8실시예에서와 같은 폴세이프를 달성한다.
이러한 경우에, 제14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동작기에 전류가 인가되지 않을 때, 감쇠력특성이 신장하드 및 압축하드하게 된다. 그리고, Imin으로부터 Imax까지의 소정 전류범위내에서, 전류(동작기(204)의 트러스트력)가 증가됨에 따라, 신장측이 소프트로부터 하드로 변화되고 압축측이 하드로부터 소프트로 변화된다.
대안으로서, 스프링들은 스풀을 중간위치로 바이어스하도록 스풀(224)의 양 측면들에 배치될 수 있고 푸시/풀형 동작기는 인가된 전류의 크기 및 방향에 따라 스풀을 푸시 또는 풀하는데 사용됨으로써, 감쇠력을 조절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스풀이 좌측단부위치 또는 우측단부위치로 시프트될 때, 신장측 안내포트(219 또는 220) 및 압축측 안내포트(222 또는 223)은 스풀(224)의 랜드부들(224a,224b,224c)에 의해 폐쇄되고, 동작기의 제어시스템의 폴세이프동작에 따라 동작기의 최대 전류를 공급하여 스풀을 단부위치로 시프트시킴으로써, 동작기의 제어시스템의 폴세이프동작에 의해 신장측 감쇠력 및 압축측 감쇠력이 하드로 고정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차량의 운전안정성을 우량상태로 유지할 수 있다(제15도 참조).
이하, 제16도 및 제17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9실시예를 설명한다. 제9실시예에 따른 유압댐퍼는 감쇠력발생기구의 감쇠밸브로서 역할하는 디스크밸브의 구성을 제외하고는 제9실시예의 감쇠력발생기구와 유사하기 때문에, 제9실시예의 감쇠력발생기구만이 도시되었고, 제9실시예의 요소들과 동일한 요소들은 동일한 참조번호들로 지시하고 오직 차이점만을 설명한다.
제16도 및 제1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9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의 감쇠력발생기구(C)에서, 밸브부재들(201,202)상에 장착된 디스크밸브들(300,301)은 복수(나타낸 실시예에서는 4개)의 환형 적층리프스프링을 포함하고, 디스크밸브들 각각의 외주부에서 일측면은 밸브부재들(201,202)중 연관된 하나상에 환형 밸브시트에 맞대어 가세되고 디스크밸브의 내주부는 안내부재(209)상에 맞춰진 환형 리테이너들(302,303)의 스텝부들(302a,302b)(제17도에서는 302a만이 나타내짐)중 연관된 하나에 맞대어져 가압되어 디스크밸브들이 밸브부재(201,202)상에 유지된다. 이 경우에, 밸브부재(201,202)의 밸브시트들 및 스텝부들(302a,303b)에 의해 디스크밸브들(300,301)을 고정상태로 유지함으로써, 초기부하들은 디스크밸브들(300,301)에 공급된다. 시트부재들(211,215)의 플랜지부들이 디스크밸브들(300,301)의 외주부들의(제16도에 우측을 면하는) 상부표면에 맞대어 접촉한다.
리테이너들(302,303)은 스텝부들(302a,303a)을 따라 배치된 노치들(304,305)을 구비하고, 신장측 및 압축측 배압챔버들(213,217)를 오일챔버들(200a,200b)와 연통시키는 신장측 및 압축측 고정오리피스들이 디스크밸브들의 내부엣지들과 노치(304,305) 사이에 형성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 디스크밸브들(300,301)은 오일챔버들(200a,200b)내의 압력의 작용에 의해 플렉스 및 개방된다. 스풀(224)을 시프트시켜 안내포트들(219,223)의 유동면적들을 변화시킴으로써, 배압챔버들(213,217)내의 압력들이 변화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밸브특성을 조절할 수 있다. 이런 식으로, 제9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는 제9실시에의 유압댐퍼의 기술적 효과와 동일한 기술적 효과를 달성할 수 있다. 제16도에서, 점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는 신장행정내의 오일유동을 지시하고, 점선으로 나타낸 화살표는 압축행정내의 오일유동을 지시한다.
디스크밸브들(300,301)의 내부부들은 리테이너들(302,303)의 스텝부들(302a,303b)에 맞대어져 단순히 가압되고 스페이스 등에 의해 클래핑(또는 핀치)되지 않기 때문에, 디스크밸브들의 외주부들은 플렉스 및 개방된다. 따라서, 저밸브개방압력이 쉽게 설정되고, 감쇠력특성을 설정하는 설정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오리피스들이 리테이너들(302,303)의 노치들(304,305)에 의해 형성되고 디스크밸브들(300,301)내에 형성되지 않기 때문에, 디스크밸브들(300,301)은 적층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밸브특성은 쉽게 설정될 수 있다. 적층구조로서 디스크밸브들(300,301)을 형성함으로써, 디스크밸브들 사이의 마찰에 의해 자체여기진동이 억제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잡음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또, 오리피스를 갖는 디스크밸브가 적층구조로 형성되는 경우에, 적층요소들은 오리피스를 정확하게 형성하기 위해서 정확하게 배치되야만 하고, 이에 의해 디스크밸브의 조립을 어렵게 만든다. 반대로, 나타낸 실시예들에 따르면, 이러한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는다.
이하, 제18도 및 제19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0실시예를 설명한다. 제18도 및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0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에서, 피스톤(403)은 유압유체를 수용한 실린더(402)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고, 실린더(402)의 내부는 피스톤(403)에 의해 상부실린더(402a) 및 하부실린더(402)로 분할된다. 피스톤로드(404)의 일단부는 피스톤(403)에 연결되고, 피스톤로드(404)의 타단부는 로드안내부(나타내지 않음)을 통해 실린더(402)의 외부로 연장된다. 가스의 압축 및 팽창에 의한 피스톤로드(404)의 신장 및 수축으로 인해서 발생한 실린더(402)의 체적변화를 보상하기 위한 저장기(나타내지 않음)는 실린더(402)에 연결된다.
피스톤로드(404)는 피스톤로드(404)의 슬라이딩부의 직경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원통형 안내부(405)를 그 일단부에 구비하고, 스텝은 이들 부분들 사이에 형성된다. 리테이너(406), 밀폐안내부재(407), 피스톤(403), 밀폐안내부재(408) 및 리테이너(409)는 스텝부로부터 시작하는 순서에 의해 안내부(405)상에 맞춰진다. 안내부(405)의 자유단부상에 너트(410)를 삽입함으로써, 이들 요소들(406-409 및 403)은 피스톤로드(404)상에 유지된다.
피스톤(403)은 상부 및 하부실린더챔버들(402a,403a)을 상호 연통시키는 복수의 신장측 통로(411) 및 압축측 통로(412)(한개의 통로(411) 및 한개의 통로(412)만이 나타내짐)을 구비한다. 이 통로들은 피스톤의 원주방향으로 분산되어 있다. 신장측 통로(411)는 피스톤(403)의 외주부 부근에서 상부실린더챔버(402a)로 개방되고 피스톤(403)의 내주부 부근에서 하부실린더챔버(402b)로 개방된다. 압축측 통로들(412)은 피스톤(403)의 내주부 부근에서 상부실린더챔버(402a)로 개방되고 피스톤(403)의 외주부 부근에서 하부실린더챔버(403a)로 개방된다.
환형 밸브시트들(414)는 이들 시트들 사이에 배치된 신장측 통로들(411)의 개구들을 갖는 피스톤(403)의 (하부실린더챔버(402b)에 면하는) 저부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신장측 디스크밸브(415)는 밸브시트들(414)에 대면관계로 배치된다. 디스크밸브(415)는 피스톤(403)과 밀폐안내부재(408) 사이에 핀치 및 유지된 내주부를 갖고 상부실린더챔버(402a)와 연통된 신장측 통로(411)내의 압력에 의해 플렉스되어 디스크밸브의 개방도에 따라 오일유동을 제어함으로써,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디스크밸브(415)는 하부실린더챔버로부터 상부실린더챔버로의 오일유동을 방지한다.
환형 밸브시트들(416)은 이들 시트들 사이에 배치된 압축측 통로(412)의 개구부들을 갖는 피스톤(403)의 (상부실린더챔버(402a)에 면하는) 상부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압축측 디스크밸브(417)는 밸브시트들(416)과 대면관계로 배치된다. 디스크밸브(417)는 피스톤(403)과 밀폐안내부재(407) 사이에 핀치 및 유지된 내주부를 구비하고 하부실린더챔버(412)내의 압력에 의해 플렉스되어 디스크밸브의 개방도에 따라 오일유동을 제어함으로써, 감쇠력을 발생시킨다. 그러나, 디스크밸브(417)는 상부실린더챔버로부터 하부실린더챔버로의 오일유동을 방지한다.
밀폐안내부재들(407,408)는 그 형상이 환형이고 피스톤로드(404)가 신장되는 개구들을 갖으며, 거의 원형인 밀폐부재들(418,419)은 밀폐안내부재들(408,407)상에 각각 슬라이딩가능하게 맞춰진다. 밀폐부재들(418,419)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들(420,421)를 그 일단부들에 구비한다. 플랜지들(420,421)은 신장측 디스크밸브(415) 및 압축측 디스크밸브(417)이 각각 가세되는 환형 접촉부들(422,423)을 그 외표면에 구비한다. 또, 플랜지들(420,421)은 환형 밀폐부들(424,425)을 그 내표면에 구비한다.
피스톤로드(404)의 안내부(405) 둘레는, 디스크밸브(415)와 밀폐안내부재(408) 사이에 핀치 또는 유지된 내주부와 리퀴드타이식으로 밀폐부재(418)의 밀폐부(424)에 맞대어 가세된 외주부를 구비한 디스크상 리프스프링(426)을 구비하여, 초기부하를 디스크밸브에 공급한다. 또, 디스크밸브(417)와 밀폐안내부재(407) 사이에 핀치 및 유지된 내주부와 압축측 디스크밸브(417)에 맞대어 밀폐부재(419)를 가세하도록 액밀식으로 밀폐부재(419)의 밀폐부(425)에 맞대어 가세된 외주부를 구비한 디스크상 리프스프링(427)을 구비하여, 초기부하를 디스크밸브에 공급한다. 이러한 식으로, 밀폐부재들(418,419)의 양 단부들은 밀폐안내부들(407,408) 및 리프스프링들(426,427)에 의해 폐쇄되기 때문에, 배압챔버들(428,429)은 밀폐안내부들(407,408)과 리프스프링(426,427) 사이의 밀폐부재들(418,419)내에 형성된다.
제19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접촉부(422)의 직경(D2)이 밀폐부재(418)의 내직경보다 크기 때문에(즉, 하부실린더챔버(402b)내의 압력에 관하여, 리테이너(409)의 측면에서 밀폐부재의 압력수용영역이 디스크밸브(415)의 측면에서 밀폐부재의 압력수용영역보다 크기 때문에), 밀폐부재(418)은 디스크밸브(415)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하부실린더챔버(402b)내의 압력의 작용에 의해 디스크밸브(415)을 향해 항상 바이어스된다. 이와 유사하게, 밀폐부재(419)는 디스크밸브(417)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상부실린더챔버(402a)내의 압력의 작용에 의해 디스크밸브(417)를 향해 항상 바이어스된다. 이 구성에 의해서, 피스톤로드(404)의 행정방향의 변화에 대해 밸브개방압력의 조절에 대응한 지연이 방지될 수 있다.
피스톤(404)의 안내부(405)는 밀폐안내부재(407)내에 형성된 통로(430)을 통해 상부실린더챔버(402a)와 연통된 안내포트(431)와, 배압챔버(429)와 연통된 안내포트(432), 압축측 통로(412)와 피스톤(403)내에 형성된 통로(433)을 통해 하부실린더챔버(402b)와 연통된 안내포트(434), 신장측 통로(411)와 피스톤(403)내에 형성된 통로(435)를 통해 상부실린더챔버(402a)와 연통된 안내포트(436), 배압챔버(428)와 연통된 안내포트(437), 및 밀폐안내부재(408)내에 형성된 통로(438)을 통해 저부를 그 측벽에 설치된다. 리테이너(406)는 통로(430)로부터 상부실린더(402a)로의 오일유동만을 허용하는 체크밸브(440)를 구비하고, 리테이너(409)는 통로(438)로부터 하부실린더챔버(402b)로의 오일유동만을 허용하는 체크밸브(441)를 구비한다.
원통형 셔터(442)는 안내부(405)내부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동작로드(443)의 일단부는 너트(444)에 의해 셔터(442)에 연결되고, 동작로드(443)의 타단부는 피스톤로드(404)를 통과하고 댐퍼의 외부로 신장되어 셔터(442)가 동작로드(443)를 거쳐 외부로부터 회전될 수 있다.
안내포트들(431,432,434,436,437,439)에 각각 할당될 수 있는 셔터포트들(445,446,447,448,449,450)은 셔터(442)의 측벽내에 형성된다. 셔터(442)의 내부는 셔터챔버(442a)와 셔터챔버(442b)로 분할된다. 셔터포트들(445,446,447)은 셔터챔버들(442a)을 통해 상호 연통되고, 셔터포트들(448,449,450)은 셔터챔버(442b)를 통해 상호 연통된다.
압축측 가변오리피스는 안내포트(431)와 셔터포트(445)로 구성되고, 신장측 가변오리피스는 안내포트(439)와 셔터포트(450)로 구성되어, 이들 오리피스들의 유동면적들이 셔터(442)의 회전에 의해 자유롭게 변화될 수 있다. 즉, 안내포트들(432,434,436,437)은 셔터(442)의 각 위치와 관계없이 거의 일정한 영역을 각각 갖는 셔터포트들(446,447,448,449)와 항상 연통된다.
신장측 배압챔버(428)는 안내포트(437) 및 셔터포트(449)를 통해 셔터챔버(442b)와 연통되고, 셔터포트(상류통로)(448), 안내포트(가변오리피스)(436), 피스톤(403)의 통로(435) 및 신장측 통로(411)을 통해 상부실린더(402a)(신장행정내의 상류측)와 연통되고, 또 셔터포트(하류통로)(450), 안내포트(가변오리피스)(439) 및 통로(438)를 통해 하부실린더(402b)(신장행정내의 하류측)와 연통된다.
압축측 배압챔버(429)는 안내포트(432) 및 셔터포트(446)를 통해 셔터챔버(442a)와 연통되고, 셔터포트(상류통로)(447), 안내포트(가변오리피스)(434), 피스톤(403)의 통로(433) 및 압축측 통로(412)를 통해 하부실린더(402b)(압축행정내의 상류측)와 연통되고, 또 셔터포트(하류통로)(445), 안내포트(가변오리피스)(431) 및 통로(430)을 통해 상부실린더(402a)와 연통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제10실시예에 따른 유압댐퍼의 동작을 설명한다.
피스톤로드(404)의 신장행정동안, 상부실린더챔버(402a)내의 유압유체는 피스톤(403)의 시프팅이동에 의해 가압되고, 그 결과 액체는 체크밸브(441)를 개방하고 신장측 통로(411), 통로(435), 안내포트(436), 셔터포트(448), 셔터챔버(442b), 셔터포트(450), 안내포트(439) 및 통로(438)을 통해 상부실린더챔버(402a)로부터 하부실린더챔버(402b)로 흐른다. 상부실린더챔버(402a)내의 압력이 디스크밸브(415)의 밸브개방압력에 도달할 때, 디스크밸브(415)는 개방되어 액체를 신장측 통로(411)로부터 하부실린더챔버(402b)로 직접 흐르도록 만든다.
디스크밸브(415)가 개방되기 전에, 피스톤속도가 낮을 때, 오리피스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안내포트(439) 및 셔터포트(450)로 구성된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에 따라 발생된다. 피스톤속도가 증가되고 상부실린더챔버(402a)내의 압력도 증가되어 디스크밸브(415)를 개방시킬 때, 밸브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디스크밸브의 개방도에 따라 발생된다. 동작로드(443)를 거쳐 셔터(442)를 회전시켜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감쇠력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에,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작아지기 때문에, 오리피스를 가로지르는 압력손실을 더 커지게 되고, 상류셔터챔버(442b)내의 압력 즉, 배압챔버(428)는 증가되어 디스크밸브(415)의 배면을 맞대어 밀폐부재(418)을 가세하도록 한다. 그 결과, 디스크밸브(415)의 밸브개방압력이 증가된다. 한편,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더 커지기 전에, 배압챔버(428)내의 압력이 작게 되고, 디스크밸브(415)의 밸브개방압력이 감소된다. 따라서,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셔터(442)의 회전에 의해 변화할 때, 오리피스특성 및 밸브특성이 동시에 변화하기 때문에, 낮은 피스톤속도로부터 높은 피스톤속도에 걸쳐 큰 범위의 감쇠력변화가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감쇠력특성을 조절하는 조절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피스톤로드의 압축행정동안, 하부실린더챔버(402b)내의 유압유체는 피스톤(403)의 시프팅이동에 의해 가압되어 하부실린더챔버(402b)로 부터 상부실린더챔버(402a)내로 압축측 통로(412), 통로(433), 안내포트(43), 셔터포트(447), 셔터챔버(442a), 셔터포트(445), 안내포트(447), 셔터챔버(442a), 셔터포트(445), 안내포트(431), 통로(430) 및 개방된 체크밸브(440)를 통해 유압유체를 흐르도록 만든다. 하부실린더챔버(402b)내의 압력이 디스크밸브(417)의 밸브개방압력에 도달할 때, 디스크밸브는 개방되어 유체를 압축측 통로(412)로부터 상부실린더챔버(402a)로 직접 흐르도록 만든다.
디스크밸브가 개방되기 전에, 피스톤속도가 작아질 때, 오리피스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안내포트(431) 및 셔터포트(445)로 구성된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에 따라 발생된다. 피스톤속도가 증가되고 하부실린더챔버(402b)내의 압력도 증가되어 디스크밸브(417)을 개방시킬 때, 밸브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디스크밸브의 개방도에 따라 발생된다. 동작로드(443)를 거쳐 셔터(442)를 회전시켜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감쇠력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신장행정과 유사하게, 압축측 배압챔버(429)내의 압력이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에 따라 변화되기 때문에, 디스크밸브(417)의 밸브개방압력도 변화된다. 따라서,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셔터(442)의 회전에 의해 변화될 때, 오리피스특성 및 밸브특성이 동시에 변화하기 때문에, 낮은 피스톤속도로부터 높은 피스톤속도에 걸쳐 큰 범위의 감쇠력변화가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감쇠력특성을 조절하는 조절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또, 셔터(442)의 회전에 의해, 안내포트(439) 및 셔터포트(450)로 구성된 신장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과 안내포트(431) 및 셔터포트(445)로 구성된 압축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을 각각 변화시킴으로써, 신장측 감쇠력특성 및 압축측 감쇠력특성이 독립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셔터의 각 위치에 따라, 안내포트들 및 셔터포트들을 선택하여 신장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더 커지는 한편 압축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더 작아지게 하고 그 역도 가능함으로써, 신장측 및 압축측에서 서로 다른 감쇠력특성들의 조합(예를 들어, 신장하드와 압축소프트의 조합, 또는 신장소프트와 압축하드의 조합)이 설정될 수 있다.
배압챔버들(428,429)내의 압력들이 작용에 의해 디스크밸브들(415,417)의 배면에 맞대어 밀폐부재들(418,419)의 접촉부들(422,423)을 가세함으로써 디스크밸브들(415,417)이 제어된다는 사실과 관련하여, 리프스프링들(426,427)이 사용되기 때문에, 다음의 장점들이 얻어질 수 있다. 다시 말해서, 배압챔버들(428,429)내의 압력들의 작용에 의해 밀폐부재(418,419)의 밀폐부들(424,425)에 맞대어 가세된 부재들이 사전에 하중된 리프스프링이기 때문에, 안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피스톤속도가 작을 때에도(즉, 배압챔버들(428,429)내의 압력이 낮을 때에도) 배압챔버들(428,429)의 밀폐성능의 감소가 확실히 방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안정한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이하, 제20도 및 제21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제11실시예를 설명한다.
제20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1실시예에 따른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451)에서, 피스톤(453)은 유압유체를 내부에 수용한 실린더(452)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고, 실린더(452)의 내부는 피스톤(453)에 의해 상부실린더챔버(452a)와 하부실린더챔버(452b)로 분할된다. 피스톤로드(454)이 일단부는 피스톤(453)에 연결되고 피스톤로드(454)의 일단부는 실린더(452)의 일단부상에 장착된 안내밀폐(455)내로 삽입되고 실린더의 외부로 신장된다. 가스와 유압유체를 수용한 저장기(456)는 실린더(452) 주변에 형성되고 실린더의 저부에 설치된 베이스밸브(457)를 통해 하부실린더챔버(452b)를 연통시킨다.
피스톤(453)은 하부실린더챔버(452b)로부터 상부실린더챔버(452a)로의 오일유동만을 허용하는 체크밸브(458)를 구비하고, 베이스밸브(457)는 저장기(456)로부터 하부실린더챔버(452b)로의 오일유동만을 허용하는 체크밸브(459)를 구비한다. 감쇠력발생기구(460)는 실린더(452)에 연결된다.
제2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감쇠력발생기구(460)에서, 베이스벽을 갖는 거의 원통형인 케이스(461)내에는, 스페이서(462), 밸브부재(463), 디스크밸브(464), 밀폐안내부재(465), 스페이스(466), 밸브부재(467), 디스크밸브(468), 밀폐안내부재(469) 및 스페이서(470)를 순서대로 배치한다. 이들 요소들(462-470)은 너트를 안내부재(471)에 맞대어 아래로부터 죔으로써 케이스(461)의 베이스벽을 통해 기구내로 삽입된 베이스를 구비하는 거의 원통형인 안내부재(471) 둘레에 고정된다.
케이스(461)내에 맞춰진 밸브부재들(463,467)은 케이스(461)의 내부를 세개의 오일챔버들(461a,461b,461c)로 분할한다. 케이스(461)는 오일챔버(461a)를 상부실린더챔버(452a)와 연통시키는 통로(473)와, 오일챔버(461b)를 하부실린더챔버(452b)와 연통시키는 통로(474)와, 오일챔버(461c)를 저장기(456)와 연통시키는 통로(475)를 구비한다.
밸브부재(463)는 오일챔버(461a)를 오일챔버(461b)와 연통시키는(상부 및 하부실린더챔버들(452a,452b)을 오일챔버들(473,474)을 통해 상호 연통시키는) 신장측 통로(476)를 구비한다. 환형 밸브시트들(477)은 이들 시트들 사이에 배치된 신장측 통로(476)의 개구를 갖는 밸브부재(463)의 (오일챔버(461b)를 면하는) 일 단부표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신장측 감쇠밸브로서 역할하는 디스크밸브(464)는 밸브시트(477)와 대면관계로 배치된다. 디스크밸브(464)는, 오일챔버(461a)와 연통된 신장측통로(476)내의 오일압력에 의해 디스크밸브의 외부가 플렉스될 때 개방되고, 그 결과, 오일은 오일챔버(461a)로부터 오일챔버(461b)로 흐를 수 있는 한편 디스크밸브의 개방도에 따라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오일챔버(461a)로부터 오일챔버(461b)로의 오일유동은 방지된다.
밸브챔버(467)는 오일챔버(461b)를 오일챔버(461c)와 연통시키는 (즉, 하부실린더챔버(452b)를 오일통로들(474,475)을 통해 저장기(456)로 연통시키는) 압축측 통로(478)를 구비한다. 환형 밸브시트(479)는 이들 시트들 사이에 배치된 압축측 통로(478)의 개구를 갖는 밸브부재(467)의 (오일챔버(461c)에 면하는) 일 단부면으로부터 돌출되고, 압축측 감쇠밸브로서 역할하는 디스크밸브(468)는 밸브시트(479)와 대면관계로 배치된다. 디스크밸브(468)는, 오일챔버(461b)와 연통된 압축측 통로(478)내의 오일압력에 의해 디스크밸브의 외부가 플렉스될 때 개방되고, 그 결과 오일은 오일챔버(461b)로부터 오일챔버(461c)로 흐를 수 있는 한편 디스크밸브의 개방도에 따라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오일챔버(461c)로부터 오일챔버(461b)로의 오일유동은 방지된다.
밀폐안내부재들(465,469)은 그 형상이 환형이고 안내부재(471)가 신장되는 개구부들을 구비하고, 거의 원통형인 밀폐부재들(480,469)은 밀폐안내부재들(465,469)상으로 각각 슬라이딩가능하게 맞춰진다. 밀폐부재들(465,469)은 반경방향 내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들(482,483)을 그 일단부에 구비한다. 플랜지들(482,483)은 신장측 디스크밸브(464)와 압축측 디스크밸브(468)이 각각 맞대어져 가압되는 환형접촉부들(484,485)를 그 외표면에 구비한다. 또, 플랜지들(482,483)은 환형 밀폐부들(486,487)을 그 내표면에 구비한다.
안내부재(471) 둘레에는, 디스크밸브(464)와 밀폐안내부재(465) 사이에 가압 및 유지된 내주부와 액밀식으로 밀폐부재(480)의 밀폐부(486)에 맞대어 가압된 외주부를 구비하여 밀폐부재(480)를 신장측 디스크밸브(464)에 맞대어 가압되도록 하는 디스크상 리프스프링(488)을 구비한다. 또, 디스크밸브(468)와 밀폐안내부재(469) 사이에 핀치 및 유지된 내주부와 액밀식으로 밀폐부재(481)의 밀폐부재(487)에 맞대어 가압된 외주부를 구비하여 압축측 디스크밸브(468)에 맞대여 밀폐부재(481)를 가압하도록 하는 디스크상 리프스프링(489)도 구비한다. 이러한 식으로, 밀폐부재들(408,481)의 양 단부들이 밀폐안내부재들(465,469) 및 리프스프링(488,489)에 의해 폐쇄되기 때문에, 배압챔버들(490,491)은 밀폐안내부재들(465,469)와 리프스프링(488,489) 사이의 밀폐부재들(480,481)내에 형성된다.
제10실시예에서와 같이, 접촉부들(484,485) 각각의 직경이 밀폐부재들(480,481) 각각의 내부직경보다 크기 때문에, 밀폐부재들은 디스크밸브들(464,468)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오일챔버들(461B,461C)내의 압력의 작용에 의해 디스크밸브들(464,465)를 향해 항상 바이어스된다.
안내부재(471)는 오일챔버(461a)와 연통된 안내포트(492)와, 배압챔버(490)와 연통된 안내포트(493)와, 오일챔버(461b)와 연통된 안내포트들(494,495)과, 배압챔버(491)와 연통된 안내포트(496), 및 오일챔버(461c)와 연통된 안내포트(497)를 그 측벽에 구비한다.
원통형 셔터(498)는 안내부재(471)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다. 동작로드(499)의 일단부는 너트(500)에 의해 셔터(498)에 연결되고, 동작로드(499)의 타단부는 댐퍼의 외부로 연장되어 셔터(498)가 동작로드(499)를 거쳐 외부로부터 회전될 수 있다.
안내포트들(492,493,494,495,496,497)에 각각 할당될 수 있는 셔터포트들(501,502,503,504,505,506)은 셔터(498)의 측벽내에 형성된다. 셔터(498)의 내부는 셔터챔버(498a)와 셔터챔버(498b)로 분할된다. 셔터포트들(501,502,503)은 셔터챔버(498a)를 통해 상호 연통되고, 셔터포트들(504,505,506)은 셔터챔버(498b)를 통해 상호 연통된다.
신장측 배압챔버(490)는 안내포트(493) 및 셔터포트(502)를 통해 셔터(498a)와 연통되고, 셔터포트(상류통로)(492) 및 안내포트(고정오리피스)(501)를 통해 오일챔버(461a) 및 상부실린더챔버(452a)(신장행정에서의 상류측)와 연통되며, 또 셔터포트(하류측)(503) 및 안내포트(가변오리피스)(494)를 거쳐 오일챔버(461b) 및 하부실린더챔버(452b)(신장행정내의 상류측)와 연통된다.
압축측 배압챔버(491)는 안내포트(496) 및 셔터포트(505)를 통해 셔터챔버(498b)와 연통되고, 셔터포트(상류통로)(504) 및 안내포트(고정오리피스)(495)를 통해 오일챔버(461b) 및 하부실린더챔버(452b)와 연통되며, 또 셔터포트(하류통로)(506) 및 안내포트(가변오리피스)(497)를 통해 오일챔버(461c) 및 저장기(456)와 연통된다.
안내포트(494) 및 셔터포트(503)는 신장측 가변오리피스를 구성하고, 안내포트(497) 및 셔터포트(506)는 압축측 가변오리피스를 구성하여, 오리피스들의 유동면적들이 셔터(498)를 회전시킴으로써 자유롭게 변화될 수 있다. 안내포트들(492,493,495,496)은 셔터(498)의 각 위치에 관계없이 일정한 유동면적을 각각 갖는 셔터포트들(501,502,504,505)과 연통된다.
이하, 상기한 구조를 갖는 제11실시예에 따른 유압댐퍼의 동작을 설명한다.
피스톤로드(454)의 신장행정동안, 체크밸브(458)는 피스톤(453)의 시프팅이동에 의해 폐쇄되어 상부실린더챔버(452a)내의 유압유체를 가압하고, 그 결과 액체는 오일통로(473), 오일챔버(461a), 안내포트(492), 셔터포트(494), 오일챔버(461b) 및 오일통로(474)를 통해 상부실린더챔버로부터 하부실린더챔버로 흐른다. 상부실린더챔버(452a)내의 압력이 디스크밸브(464)의 밸브개방압력에 도달할 때, 디스크밸브는 개방되어 유체를 신장측 통로(476)으로부터 오일챔버(461b)로 직접 흐르도록 만든다. 한편, 피스톤로드(454)가 신장됨에 따라, 실린더(452)로부터 피스톤로드의 수축에 의해 필요한 양에 대응하는 유압유체량은 가스의 팽창으로 인한 체크밸브(459)를 통해 저장기(456)로부터 하부실린더챔버(452b)로 공급된다.
디스크밸브(464)가 개방되기 전에, 피스톤속도가 낮을 때, 오리피스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안내포트(494) 및 셔터포트(503)로 구성된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에 따라 발생된다. 피스톤속도가 증가되고 상부실린더챔버(452a)내의 압력도 증가되어 디스크밸브(464)를 개방시킬 때, 밸브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디스크밸브의 개방도에 따라 발생된다. 동작로드(499)를 거쳐 셔터(498)를 회전시켜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감쇠력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제10실시예에서와 같이, 신장측 배압챔버(490)내의 압력은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에 따라 변화되고 디스크밸브(464)의 밸브개방압력이 변화된다. 따라서,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셔터(498)를 동작로드(499)를 거쳐 회전시킴으로써 변화될 때, 오리피스특성 및 밸브특성이 동시에 변화되기 때문에, 낮은 피스톤 속도로부터 높은 피스톤 속도에 걸쳐 큰 범위의 감쇠력변화가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감쇠력특성을 조절하는 조절범위는 넓어질 수 있다.
피스톤로드의 압축행정동안, 체크밸브(458)는 피스톤(453)의 시프팅이동에 의해 개방되어 유체를 하부실린더챔버(452b)로부터 상부실린더챔버(452a)로 직접 흐르도록 만들기 때문에, 상부실린더챔버(452a)내의 압력은 하부실린더챔버(452b)내의 압력과 동일하게 하고, 그 결과 감쇠력발생기구(460)의 오일통로들(473,474) 사이에서 오일이 흐르지 않는다.
한편, 베이스밸브(457)의 체크밸브(459)가 폐쇄된다. 피스톤로드(454)가 수축됨에 따라, 유압유체는 실린더(452)내로의 피트톤로드의 삽입에 의해 가압되기 때문에, 유압유체는 오일통로(474), 오일챔버(461b), 안내포트(495), 셔터포트(504), 셔터챔버(498b), 셔터포트(506), 안내포트(497), 오일챔버(461c) 및 오일통로(475)를 통해 하부실린더챔버(452b)로부터 저장기(456)내로 흐르고, 이에 의해 가스를 압축한다. 실린더(452)내의 압력이 디스크밸브(468)의 밸브개방압력에 도달할 때, 디스크밸브는 개방되어 유체를 압축측 통로(478)로부터 오일챔버(461c)로 직접 흐르도록 만든다.
디스크밸브(468)가 개방되기 전에, 피스톤속도가 낮을 때, 오리피스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안내포트(497) 및 셔터포트(506)로 구성된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에 따라 발생된다. 피스톤속도가 증가되고 실린더(452)내의 압력도 증가되어 디스크밸브(468)를 개방시킬 때, 밸브특성에 의존한 감쇠력은 디스크밸브의 개방도에 따라 발생된다. 셔터(498)를 동작로드(499)를 거쳐 회전시켜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감쇠력특성이 조절될 수 있다.
이 경우에, 신장행정과 유사하게, 압축측 배압챔버(491)내의 압력이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에 따라 조절되기 때문에, 디스크밸브의 밸브개방압력도 변화된다. 따라서,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셔터(498)을 회전시킴으로써 변화될 때, 오리피스특성 및 밸브특성이 동시에 변화하기 때문에, 낮은 피스톤속도로부터 높은 피스톤속도에 걸쳐 큰 범위의 감쇠력변화가 달성될 수 있고, 따라서, 감쇠력특성을 조절하는 조절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또, 셔터(498)를 회전시켜, 안내포트(494) 및 셔터포트(503)로 구성된 신장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과 안내포트(497) 및 셔터포트(506)로 구성된 압축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을 각각 변화시킴으로써, 신장측 감쇠력특성 및 압축측 감쇠력특성이 독립적으로 얻어질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어, 셔터의 각 위치에 따라, 안내포트 및 셔터포트들을 선택하여 신장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더 커지게 되는 한편 압축측 가변오리피스의 유동면적이 더 작아지게 되고 그 역도 가능함으로써, 신장측 및 압축측에서 서로 다른 감쇠력특성들의 조합(예를 들어, 신장하드와 압축소프트의 조합, 또는 신장소프트와 압축하드의 조합)이 설정될 수 있다.
압축행정동안, 하부실린더챔버(452b)와 연통된 오일통로(474)와 저장기(456)와 연통된 오일통로(475) 사이에 설치된 디스크밸브(468) 가변오리피스(안내포트(497) 및 셔터포트(506))의 유체저항에 의해 감쇠력이 발생되어 상부 및 하부실린더챔버(452a,452b) 사이에 유체저항이 발생되지 않기 때문에, 상부 및 하부실린더챔버(452a,452b) 사이에서 유체저항이 발생되지 않고, 실린더(452)내에서 유체저항으로 인한 네가티브압력도 발생되지 않으며, 그 결과, 안정한 감쇠력이 얻어질 수 있고 감쇠력특성을 조절하는 설정범위가 넓어질 수 있다.
제10실시예에서와 같이, 배압챔버들(490,491)내의 압력이 작용에 의해 밀폐부재들(480,481)의 밀폐부들(486,487)에 맞대어 리프스프링들(488,489)이 가세되기 때문에, 밀폐성능이 향상될 수 있다. 따라서, 배압챔버들(490,491)내의 압력이 작은 낮은 피스톤속도지역에서도, 배압챔버들(490,491)의 밀폐성능의 감소가 확실히 방지될 수 있고, 이에 의해 안정한 감쇠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제10 및 제11실시예에서, 신장측 및 압축측의 밸브특성들의 조절을 허용하도록 신장측 디스크밸브 및 압축측 디스크밸브 배면에 배압챔버들이 설치되는 예가 설명되었지만, 배압챔버들중 하나가 생략되어 신장측 밸브특성 또는 압축측 밸브특성들 각각을 조절할 수 있다.

Claims (20)

  1.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에 있어서, 유압유체를 내부에 수용한 실린더와, 상기 실린더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장착되고 상기 실린더의 내부를 두 개의 실린더챔버들로 분할하는 피스톤과, 상기 피스톤에 연결된 일 단부와 상기 실린더 외부로 연장된 타단부를 갖는 피스톤로드와, 상기 실린더에 연결되고 가스의 압축 및 팽창에 의한 상기 피스톤의 신장 및 수축으로 인한 상기 실린더의 부피변화를 보상하는 저장기와, 상기 실린더의 외측에 배치되는 감쇠력발생기구를 포함하며, 상기 감쇠력발생기구는, 상기 피스톤로드의 신장행정동안 유압유체가 상기 실린더챔버들 중 하나로부터 다른 실린더챔버로 흐르도록 하는 신장측 통로와, 상기 피스톤로드의 압축행정동안 유압유체가 상기 다른 실린더챔버로부터 상기 저장기로 흐르도록 하는 압축측 통로와, 상기 신장측 통로의 유동면적을 조절하는 신장측 감쇠밸브와, 상기 신장측 감쇠밸브의 밸브체로 압력을 가하여 상기 밸브를 폐쇄시키는 신장측 배압챔버와, 상기 신장측 감쇠밸브의 상류측에서 상기 신장측 배압챔버를 상기 실린더챔버와 연통시키며, 유체저항을 생성시키는 수단을 포함한 신장측 상류통로와, 상기 신장측 감쇠밸브의 하류측에서 상기 신장측 배압챔버와 상기 실린더챔버와 연통시키는 하류통로와, 상기 신장측 하류통로의 유동면적을 조절하는 신장측 가변오리피스와, 상기 압축측 통로의 유동면적을 조절하는 압축측 감쇠밸브와, 상기 압축측 감쇠밸브의 밸브체로 압력을 가하여 상기 밸브를 폐쇄시키는 압축측 배압챔버와, 상기 압축측 감쇠밸브의 상류측에서 상기 압축측 배압챔버를 상기 실린더챔버와 연통시키며, 유체저항을 생성시키는 수단을 포함한 상류통로와, 상기 압축측 감쇠밸브의 하류측에서 상기 압축측 배압챔버를 상기 저장기와 연통시키는 하류측 하류통로, 및 상기 압축측 하류통로의 유동면적을 조절하는 압축측 가변오리피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측 통로는 상기 일 실린더챔버로부터 상기 다른 실린더 챔버로의 유압유체의 유동만을 허용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하고, 상기 압축측통로는 상기 다른 실린더챔버로부터 상기 저장기로의 유압유체의 유동만을 허용하는 체크밸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각 감쇠밸브들은 디스크밸브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측 상류통로와 상기 압축측 상류통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크밸브내에 형성된 고정오리피스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측 상류통로와 상기 압축측 상류통로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크밸브의 내주부가 맞물리는 리테이너내에 설치된 노치에 의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측 배압챔버와 상기 압축측 배압챔버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디스크밸브의 배면상에 배치된 밀폐안내부재와, 밀폐안내부재와 슬라이딩가능하게 결합되고 상기 밀폐부재의 일단부에서 상기 디스크 밸브의 내면과 맞물리는 원통형 밀폐부재, 및 상기 디스크의 상기 배면에 상기 밀폐부재를 바이어스하는 수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밀폐안내부재의 외주부에 고정된 내주부와 밀폐부재의 상기 내주부의 직경보다 큰 디스크의 상기 배측면과 맞물리는 밀폐부재 부분의 직경(D2)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밀폐부재는 상기 밀폐부재의 일단부에서 상기 내주부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된 플랜지부를 구비하고 상기 바이어스수단은 상기 밀폐안내부재에 면하는 상기 플랜지의 표면과 맞물린 디스크상 스프링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측 및 압축측 가변오리피스들은 상기 오리피스들 중 하나의 유동면적이 증가할 때 상기 오리피스들 중 다른 하나의 유동면적이 감소되고 그 역도 가능한 방식으로 조절부재에 의해 변화되고, 상기 오리피스는 상기 오리피스들의 유동면적이 감소되었을 때 완전히 폐쇄된 상태들을 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측 및 압축측 가변오리피스들은 신장측 및 압축측 배압챔버들과 각각 연통된 원통형 안내부재내에 형성된 포트들과 상기 부분들의 유동면적을 변화시키는 상기 안내부재내에 회전가능하게 수용된 셔터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측 및 압축측 포트들은 상기 포트들중 하나의 유동면적이 증가될 때 상기 포트들 중 다른 하나의 유동면적이 감소되고 그 역도 가능한 방식으로 셔터의 회전부에 의존하여 변화되며, 상기 포트들은 상기 포트들의 유동면적이 감소되었을 때 완전히 폐쇄된 상태들을 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측 및 압축측 가변오리피스들은 상기 신장측 및 압축측 배압챔버들과 각각 연통된 원통형 안내부재내에 형성된 포트들과, 상기 포트들의 유동면적들을 변화시키는 축방향 왕복운동의 상기 안내부재내에 슬라이딩가능하게 수용된 스풀에 의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측 및 압축측 상기 포트들은 상기 포트들 중 하나의 유동면적이 증가될 때 상기 포트들 중 다른 하나의 유동면적이 감소하고 그 역도 가능한 식으로 상기 스풀의 축방향위치에 의존하여 변화되고, 상기 포트들은 상기 포트들의 유동면적이 감소되었을 때 완전히 폐쇄된 상태들을 취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그 축방향 슬라이딩운동의 한계내의 존재하고, 상기 신장측 및 압축측 상기 포트들 모두는 이들의 유동면적들이 작은 상태로서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포함한 상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은 스프링에 의해 일방향으로 바이어스되고 상기 스풀이 상기 스프링의 효과에 의해 그 축방향슬라딩운동의 한계내에 존재할 때, 상기 신장측 및 압축측 포트들은 상기 포트들의 유동면적들이 작은 상태로서 완전히 폐쇄된 상태를 포함한 상태를 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
  16.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스풀의 위치는 파일롯트챔버내의 압력을 제어하는 압력제어 밸브와 스풀의 일단부에 형성된 파일롯트챔버에 의해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
  1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신장측 가변오리피스의 위치하류에서 신장측 하류통로내에 신장측 서브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신장측 서브밸브는 상기 신장 감쇠밸브를 개방시키는 압력보다 낮은 압력으로 조절되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밸브는 상기 유체저항을 생성시키는 상기 신장측 상류통로의 일부보다 작은 유동면적의 오리피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
  1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압축측 가변오리피스의 위치하류에서 압축측 하류통로내에 압축측 서브밸브가 설치되고, 상기 압축측 서브밸브는 상기 압축측 감쇠밸브를 개방시키는 압력보다 낮은 압력으로 조절되어 개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서브밸브는 상기 유체저항을 생성시키는 상기 압축측 상류통로의 일부보다 작은 유동면적의 오리피스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감쇠력조절형 유압댐퍼.
KR1019950012771A 1994-05-20 1995-05-19 감쇠력 조절형 유압 댐퍼 KR018404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131028 1994-05-20
JP13102894 1994-05-20
JP94-141155 1994-05-31
JP14115594A JP3297829B2 (ja) 1994-05-31 1994-05-31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8760095A JP3360156B2 (ja) 1994-05-20 1995-03-20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95-087600 1995-03-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174A KR950033174A (ko) 1995-12-22
KR0184044B1 true KR0184044B1 (ko) 1999-04-01

Family

ID=2730555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2771A KR0184044B1 (ko) 1994-05-20 1995-05-19 감쇠력 조절형 유압 댐퍼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655633A (ko)
KR (1) KR0184044B1 (ko)
DE (1) DE19518560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204944B1 (ko) * 1995-12-20 1999-06-15 다가야 레이지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
JP4288430B2 (ja) * 1995-12-26 2009-07-0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H09264364A (ja) * 1996-01-25 1997-10-07 Tokico Ltd 油圧緩衝器
JP3829264B2 (ja) * 1996-03-19 2006-10-04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3887760B2 (ja) * 1996-08-09 2007-02-2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3733496B2 (ja) * 1996-11-12 2006-01-11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US5934422A (en) * 1997-03-17 1999-08-10 Tenneco Automotive Inc. Step motor actuated continuously variable shock absorber
JP4055023B2 (ja) * 1997-09-24 2008-03-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US6198369B1 (en) 1998-12-04 2001-03-06 Tlx Technologies Proportional actuator for proportional control devices
US6392516B1 (en) 1998-12-04 2002-05-21 Tlx Technologies Latching solenoid with improved pull force
JP4081589B2 (ja) * 1998-12-24 2008-04-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3972276B2 (ja) * 1998-12-28 2007-09-05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KR100333435B1 (ko) * 1999-04-28 2002-04-25 다가야 레이지 감쇠력 제어형식의 유압식 완충기
JP2001311448A (ja) * 2000-04-28 2001-11-09 Tokico Ltd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4587089B2 (ja) * 2000-05-31 2010-11-2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US6464048B1 (en) * 2000-07-24 2002-10-15 Tenneco Automotive Inc. Solenoid actuated continuously variable shock absorber
US6793048B1 (en) 2000-07-24 2004-09-21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Solenoid actuated continuously variable shock absorber
JP3978708B2 (ja) * 2001-11-29 2007-09-19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4038654B2 (ja) * 2001-12-12 2008-01-30 株式会社日立製作所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DE10260394B3 (de) * 2002-12-21 2004-06-09 Zf Sachs Ag Schwingungsdämpfer mit verstellbarer Dämpfkraft
DE10260395B3 (de) * 2002-12-21 2004-06-09 Zf Sachs Ag Schwingungsdämpfer mit verstellbarer Dämpfkraft
DE10307363B3 (de) * 2003-02-21 2004-09-09 Zf Sachs Ag Schwingungsdämpfer mit hubabhängiger Dämpfkraft
US7438164B2 (en) * 2003-12-08 2008-10-21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Solenoid actuated continuously variable servo valve for adjusting damping in shock absorbers and struts
JP2007010010A (ja) * 2005-06-29 2007-01-18 Showa Corp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DE102007005288B4 (de) * 2007-02-02 2013-09-12 Thyssenkrupp Bilstein Gmbh Hydraulischer Schwingungsdämpfer
US7654369B2 (en) * 2008-05-20 2010-02-02 Husco International, Inc. Hydraulic vibration damper piston with an integral electrically operated adjustment valve
DE102008054643B3 (de) * 2008-12-15 2010-09-09 Zf Friedrichshafen Ag Schwingungsdämpfer
US20110042173A1 (en) * 2009-08-18 2011-02-24 Magneti Marelli Cofap Companhia Fabricadora De Pecas Hydraulic Damper for a Vehicle Steering System
US8616351B2 (en) 2009-10-06 2013-12-31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amper with digital valve
EP2444688A1 (en) * 2010-10-22 2012-04-25 Öhlins Racing Ab Valve arrangement
JP5584110B2 (ja) 2010-12-28 2014-09-0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減衰力調整式緩衝器
WO2013156082A1 (en) * 2012-04-20 2013-10-24 öHLINS RACING AB Valve arrangement
BR112015020618A2 (pt) 2013-02-28 2017-07-18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 Inc amortecedor com eletrônica integrada
US9217483B2 (en) 2013-02-28 2015-12-22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Valve switching controls for adjustable damper
US9884533B2 (en) 2013-02-28 2018-02-06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Autonomous control damper
EP2971847A4 (en) 2013-03-15 2016-12-21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 Inc BAR GUIDE ASSEMBLY WITH MULTIPLE VALVE ASSEMBLY
US9879748B2 (en) 2013-03-15 2018-01-30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Two position valve with face seal and pressure relief port
US9163691B2 (en) 2013-03-15 2015-10-20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Rod guide arrangement for electronically controlled valve applications
US9879746B2 (en) 2013-03-15 2018-01-30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Rod guide system and method with multiple solenoid valve cartridges and multiple pressure regulated valve assemblies
DE102013107127A1 (de) * 2013-07-05 2015-01-08 Hilite Germany Gmbh Pleuel für eine zweistufige variable Verdichtung
KR102152027B1 (ko) * 2014-01-02 2020-09-04 주식회사 만도 쇽업소버
JP6378618B2 (ja) * 2014-11-25 2018-08-22 Kyb株式会社 減衰バルブ及び緩衝器
JP6277997B2 (ja) * 2015-05-15 2018-0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
KR102482569B1 (ko) 2015-09-17 2022-12-29 에이치엘만도 주식회사 쇽업소버
BE1024537B1 (nl) * 2017-01-31 2018-03-28 Shi Yan Schokdemper met externe frequentie afhankelijke klep
KR20180106202A (ko) * 2017-03-17 2018-10-01 주식회사 만도 차량용 쇽업소버
US10479160B2 (en) 2017-06-06 2019-11-19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amper with printed circuit board carrier
US10588233B2 (en) 2017-06-06 2020-03-10 Tenneco Automotive Operating Company Inc. Damper with printed circuit board carrier
US10753420B2 (en) 2018-04-16 2020-08-25 Beijingwest Industries Co., Ltd. Rotating three way valve for switchable air springs
CN113958639B (zh) * 2021-10-15 2023-02-03 北京京西重工有限公司 液压阻尼器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76353B2 (ja) * 1985-12-27 1994-09-28 三井石油化学工業株式会社 ビス(p−アミノクミル)ベンゼン類の製造方法
JPH0326338Y2 (ko) * 1986-03-24 1991-06-07
JPS6445443A (en) * 1987-08-13 1989-02-17 Kanebo Ltd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DE4101887C1 (en) * 1991-01-23 1992-05-27 Boge Ag, 5208 Eitorf, De Car shock absorber with hydraulic RAM - has duct(s) brought out from one cylinder work chamber for supply of damping valve
DE4125316C1 (ko) * 1991-07-31 1992-10-01 Boge Ag, 5208 Eitorf, De
DE4132262A1 (de) * 1991-09-27 1993-04-01 Teves Gmbh Alfred Hydraulischer regelbarer schwingungsdaempfer fuer kraftfahrzeuge
US5328004A (en) * 1992-08-21 1994-07-12 General Motors Corporation Bypass valve assembly for a hydraulic damp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50033174A (ko) 1995-12-22
DE19518560A1 (de) 1995-11-23
DE19518560C2 (de) 1997-07-10
US5655633A (en) 1997-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84044B1 (ko) 감쇠력 조절형 유압 댐퍼
KR101822764B1 (ko) 액압 완충기
JP4318080B2 (ja) 油圧緩衝器
KR101420441B1 (ko) 감쇠력 조정식 유체압 완충기
US8794405B2 (en) Damping force control type shock absorber
JP4055023B2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2020153521A (ja) 緩衝器
KR100347779B1 (ko)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
JPH10141416A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WO2007055402A1 (ja) 緩衝器
US20090294230A1 (en) Hydraulic vibration damper
KR20060108212A (ko) 감쇠력 조정식 유압 완충기
KR102159890B1 (ko) 완충기
CN111630295B (zh) 阻尼阀和缓冲器
JP2018091393A (ja) 減衰力調整機構
WO2012077452A1 (ja) 車両用液圧緩衝器
WO2017047499A1 (ja) 減衰弁及び緩衝器
JP2017082999A (ja) 減衰力調整機構
GB2269437A (en) Shock absorbers
JPH1073141A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2004257507A (ja) 油圧緩衝器
JPH11101292A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JP7485579B2 (ja) 減衰バルブおよび緩衝器
KR20010062123A (ko) 유압 완충기
JP3360156B2 (ja) 減衰力調整式油圧緩衝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71207

Year of fee payment: 10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