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73505B1 - 운행기록계 및 이 운행기록계에 사용되는 기록매체 장착장치 - Google Patents

운행기록계 및 이 운행기록계에 사용되는 기록매체 장착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0173505B1
KR0173505B1 KR1019950047002A KR19950047002A KR0173505B1 KR 0173505 B1 KR0173505 B1 KR 0173505B1 KR 1019950047002 A KR1019950047002 A KR 1019950047002A KR 19950047002 A KR19950047002 A KR 19950047002A KR 0173505 B1 KR0173505 B1 KR 01735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cording
cartridge
chart paper
main body
vehicle inform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470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60024370A (ko
Inventor
유이치 고바야시
요시오 무라마츠
Original Assignee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자키 야스히코, 야자키 소교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자키 야스히코
Publication of KR9600243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243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735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735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07C5/08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 G07C5/12Registering or indicating performance data other than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with or without registering driving, working, idle or waiting time in graphical form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5/00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vehic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5/00Component parts of recorde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5/16Recording elements transferring recording material, e.g. ink, to the recording surfac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5/00Component parts of recorde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5/24Drives for recording elements and surfaces not covered by G01D5/00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15/00Component parts of recorders for measuring arrangement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15/28Holding means for recording surfaces; Guiding means for recording surfaces; Exchanging means for recording surfaces
    • G01D15/32Holding means for recording surfaces; Guiding means for recording surfaces; Exchanging means for recording surfaces for circular char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PMEASURING LINEAR OR ANGULAR SPEED,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SHOCK; INDICATING PRESENCE, ABSENCE, OR DIRECTION, OF MOVEMENT
    • G01P1/00Details of instruments
    • G01P1/12Recording devices
    • G01P1/122Speed recorders
    • G01P1/125Speed recorders with recording disc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ime Recorders, Dirve Recorders, Access Control (AREA)
  • Recording Measured Values (AREA)

Abstract

본체(1)은 카트리지 착탈기구를 포함하고 있고, 이 카트리지 착탈기구에는 챠트지(50)가 수납되어 있는 카트리지(4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다. 상기 본체(1)는 상기 카트리지내의 챠트지를 회전시키는 시계기구와 상기 챠트지에 차량정보를 기계적으로 기록하는 기록기구(18c)를 더 포함하고 있다. 상기 카트리지는 챠트지 수납부를 포함하고 있고, 이 챠트지 수납부를 통해 챠트지가 상기 본체에 장착되게 착탈가능하게 수납되고, 또 기록기구가 챠트지에 대해 기계적으로 행한 기록에 대응하는 차량정보를 전기적으로 내부에 기록하기 위한 카트리지측 기억수단(160)을 포함하고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운행기록계와 기록매체 장착장치가 제공됨으로써, 챠트지상의 기록내용과 데이터 메모리의 데이터 기록에 차이가 없게 된다.

Description

운행기록계 및 이 운행기록계에 사용되는 기록매체 장착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행기록계 및 기록매체 장착장치의 기본구성을 나타낸 설명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운행기록계의 사시도.
제3a도 내지 제3d도는 각각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카트리지의 평면도, 측면도, 정면도 및 저면도.
제4도는 카트리지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제2도의 운행기록계의 본체의 측면도.
제5도는 카트리지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제2도의 운행기록계의 본체의 평면도.
제6도는 카트리지가 장착되지 않은 상태에서의 제2도의 운행기록계의 본체의 저면도.
제7도는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제2도의 운행기록계의 본체의 측면도.
제8도는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제2도의 운행기록계의 본체의 평면도.
제9도는 카트리지가 장착된 상태에서의 제2도의 운행기록계의 본체의 저면도,
제10도는 제2도의 운행기록계에 사용되는 기록기구의 사시도.
제11도는 제2도의 운행기록계의 전기회로 구성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12도는 제2도의 운행기록계의 본체의 PROM내의 각종 영역을 나타낸 설명도.
제13도는 제3a도 내지 제3d도 카트리지의 PROM의 각종 영역을 나타낸 설명도.
제14도는 제2도의 운행기록계의 본체의 CPU가 수행하는 속도기록 동작을 위한 기능을 나타낸 설명도.
제15도는 본체의 CPU가 수행하는 거리기록 동작을 위한 기능을 나타내는 설명도.
제16도는 본체의 CPU가 수행하는 시계구동 동작을 위한 기능을 나타내는 설명도.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차량의 주행속도 및 주행거리(달린거리)에 관한 정보를 기록지상에 기록하는 운행기록계 및 이 운행기록계에 사용되는 기록매체 장착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기술]
대형트럭, 버스 및 택시 등은 규칙에 따라 주행속도 및 주행거리 등의 차량정보를 기록하는 운행기록계를 설치하도록 되어 있다. 이것은 운전자, 운전관리나 노무관리를 행하는 사업자나 감독청이 필요로 하는 데이터를 기술적인 어려움 없이 그리고 작업내용이나 작업시간의 증거자료로서 제공하기 위함이다.
상기 사업자는 차량의 경제적인 보수관리를 수행하는데 이들 데이터를 이용하고 있고, 감독청은 차량운행이나 작업시간 기준의 준수를 체크하는데에 이용하고 있다.
현재 사용되고 있는 이러한 종류의 운행기록계는 통상, 정면에 속도계 및 주행거리계가 구비된 원통형상으로 구성되어 있고, 내부에는 원형 챠트지가 속도계 등의 문자판과 평행하게 장착될 수 있다. 회로기판 등이 수납되어 있는 운행기록계의 본체에는 힌지에 의해 회전가능하게 리드부(lid portion)가 설치되어 있다. 리드부를 열면 챠트지의 착탈이 가능해진다.
이와 같은 운행기록계에 의해서 기록이 행해지는 챠트지에는 주행속도, 주행거리 및 차량 운행 상황등이 아날로그적으로 대량 기록된다. 이에 따라 운전자는 손쉽게 운행일지를 작성할 수 있다. 이 챠트지는 취급이 용이하고 다량의 정보를 기록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정보는 언제라도 판독이 가능하고 필요한 장비를 설치한다면 자동판독도 가능하다. 따라서 차량의 전송시스템에 적합하다.
그러나, 챠트지상의 아날로그 기록의 경우에, 이러한 기록으로부터 수치를 정확하게 얻을 수 없을 때 문제가 생긴다. 오차를 피하기 위해, 어느 정도의 시간경과가 필요하고, 평가에 많은 경험을 요한다. 또, 1회전의 동작시간이 24시간이므로, 속도기록의 분해능은 매우 낮으며, 이에 따라 충분한 평가경험과 고가의 계측수단을 필요로 한다.
이러한 상황하에서, 메모리가 내장된 데이터카드를 지니고, 이 카드를 운행기록계의 삽입구에 삽입하면 운행데이타를 디지털적으로 기록에 가능한 디지털식 운행기록계가 제안되어있다. 이 디지털식 운행기록계는 사용자 사무소에서의 후처리에 의한 노무, 보수등의 관리에의 활용을 중심으로 개발되어 왔다.
운전이나 운행상태의 연속적인 기록에 관한 수많은 데이터를 압축등의 가공을 하여 데이터 카드상에 기록하고 있다. 결과적으로 이러한 디지털식은 운행상태의 연속적인 기록의 신뢰성과, 일반체크능력, 즉 전체 데이터를 언제, 어디서든지 한눈에 확인할 수 있는 능력의 측면에서 아날로그식 보다 유리하지 않다.
이들 두 운행기록계의 장점만을 조합하면, 보다 양호한 운행기록계 및 이 활용 시스템의 구축이 가능하다. 그러나, 이를 실현하기 위해서는 챠트지 기록내용과 메모리 데이터 내용에 차이가 없다는 것을 보장할 필요가 있다.
[발명의 요약]
따라서 본 발명은 아날로그 챠트지 기록의 장점이 유지되어 있고, 관리에 필요한 데이터를 데이터 후처리에 편리하도록 추출, 수집하여 디지털 데이터 메모리에 기록하며, 챠트지 기록내용과 메모리 데이터 기록내용에 차이가 없음을 보장할 수 있는 아날로그·디지탈식 운행기록계를 제공함에 주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또, 아날로그·디지탈식 운행기록계에 유리하게 적용되며, 챠트지와 메모리로 이루어진 기록매체를 기록부에 장착하기 위한 기록매체 장착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이러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운행기록계는 챠트지가 수용되는 카트리지; 이 카트리지가 착탈가능하게 수납되는 카트리지 착탈기구를 가지고 있음과 동시에, 상기 카트리지내의 챠트지를 회전시키는 시계기구 및 상기 챠트지에 차량정보를 기계적으로 기록하는 기록기구를 더 가지고 있는 본체로 이루어져 있고, 상기 카트리지는 상기 기록기구(18C)가 상기 챠트지에 대해서 기계적으로 행한 기록에 대응하는 차량정보를 내부에 전기적으로 기록하는 카트리지측 기억수단을 포함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제1도의 구성에 있어서, 본체(1)의 카트리지 착탈기구에 장착되어 있는 카트리지(40)내의 챠트지(50)를 시계기구로 회전시키고, 그리고 기록기구에 의해 챠트지에 차량정보를 기계적으로 기록함과 함께, 상기 카트리지에 내장된 카트리지측 기억수단(160)에 기록기구가 챠트지에 대해 기계적으로 행한 상기 기록에 대응하는 차량정보가 전기적으로 기억되게 된다. 따라서, 챠트지상의 아날로그 기록과 상기 기억수단내의 디지털 기록과는 단일의 카트리지로 확실하게 일체적으로 취급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량정보가 카트리지내의 처리수단(163)에서 처리된 후, 카트리지측 기억수단에 기록되므로 상기 처리수단에서의 처리를 변화시킴으로써, 다른 디지털 기록을 얻을 수도 있고 이를 본체에서 보유할 수 있게 된다.
리드(43)를 개폐시키면, 챠트지의 착탈이 가능하다. 검출수단(166)으로 상기 리드의 개폐를 검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이는 카트리지측 기억수단에 기록되어 있으므로, 이 기록을 체크하여 리드의 개폐상태를 알수 있다.
이상 검출수단(120C)에 의해서 검출된 시계기구와 기록기구의 이상은 실시간 데이터와 함께 본체측의 기억수단(127)에 기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카트리지 배출시 이 기록이 카트리지 배출전에 카트리지측 기억수단에 기록되므로, 이 기록을 체크하면 아날로그 기록의 신뢰성을 알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라, 기록매체 장착장치가 설치되며, 이 장치는 챠트지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본체에 사용되는 기록매체 장착장치로 이루어지며, 이 본체에는 챠트지를 회전시키는 시계기구와 이 시계기구로 챠트지가 회전하는 동안 상기 챠트지상에 차량 정보를 기계적으로 기록하는 기록기구가 설치되어 있고, 상기 기록매체 장착장치는 착탈가능하게 챠트지가 수용되는 챠트지 수용부; 이 챠트지 수용부에 인접해서 기록매체 장착장치에 수납되어, 기록기구(18C)가 챠트지에 대해 기계적으로 행한 기록에 대응하는 차량정보를 내부에 전기적으로 기록하는 카트리지측 기억수단으로 구성되어 있다.
기록기구가 챠트지에 대해 기계적으로 행한 기록에 대응하는 차량정보는 기록매체 장착장치의 챠트지 수용부에 인접한 위치에 있는 카트리지측 기억수단(160)에 기계적으로 기록되며, 아날로그 기록을 가지고 있는 챠트지와 디지털 기록을 가지고 있는 기억수단(160)은 단일 유니트로 취급 가능하다.
기록매체 장착장치는 본체측의 차량정보를 처리한 후, 카트리지측 기록수단에 기록하는 처리수단(163)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처리수단에서의 처리를 변화시킴으로써, 수집될 정보는 본체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또 비교적 자유롭게 결정가능하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 및 다른 목적, 특징 및 장점은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고 있는 다음의 설명 및 특허청구의 범위로부터 명백해진다.
[바람직한 실시예의 설명]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따른 아날로그·디지탈 운행기록계의 사시도이다. 이 도면에서, 1은 운행기록계의 대체로 박스형인 본체이고, 40은 챠트지(50)가 제거가능하게 수용되어 있고 데이터 메모리(160)(도면에서, 카트리지(40)로부터 분리되어 확대도시 됨)가 내장되어 있는 기록매체 장착장치로서의 카트리지이다. 상기 데이터 메모리(160)는 PROM과 같은 비휘발성 메모리로 되어 있고, 본체(1) 내의 도시되지 않은 단자와 전기접촉되는 전극(161a)을 가지고 있는 커넥터(161), 기설정된 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마이크로컴퓨터(CPU)(163)등과 함께 인쇄회로기판(164) 상에 설치되어 있으며, 동시에 커넥터(161)의 전극(161a)이 카트리지(40)의 상면에 노출되도록 카트리지(40)내에 설치되어 있다. CPU(163)를 동작시키기 위한 전원으로서 미도시된 배터리가 카트리지(40)의 하면측에 교환가능하게 수납되어 있다.
도시된 바와같이, 본체(1)는 정면패널(2)을 가지고 있고, 이 정면패널(2) 에는 리드(3)를 개폐시키기 위한 로크(4)와, 운전자의 교대를 전환시키는 전환스위치(5) 및 카트리지(40)를 배출하기 위한 이젝터 버튼(6)이 설치되어 있다. 리드(3)가 열리면, 노출된 카트리지 착탈구(7)를 통해서 카트리지(40)가 착탈되게 된다. 본체(1)의 크기는 폭이 180mm, 높이가 50mm 그리고 길이가 170mm이고, 카 라디오 등과 크기가 같다.
제3a도 내지 제3d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카트리지(40)는 얇은 박스형의 몸체(41)를 가지고 있고, 이 몸체(41)의 중심부에는 축(42)이 설치되어 있다. 박스형의 몸체(41)의 상면에는 커버(43)가 설치되어 있는데, 이 커버(43)는 박스형의 몸체의 대향면상에 설치되어 있는 힌지(41a)를 통해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있다. 제3b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커버(43)는 박스형 몸체(41)의 표면에 대체로 직각으로 열리도록 회전가능하다.
커버(43)에는 손잡이(43a)가 형성되어 있고, 이를 손으로 당기면 커버(43)가 열리게 된다.
제3d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박스형 몸체의 저면에는 배터리 교환리드(40a)가 설치되어 있다.
커버(43)를 열고, 중심부의 축(42)에 챠트지(50)를 세트한다. 박스형 몸체(41)의 상면에는 개구부(41b)가 설치되어 있어 세트된 챠트지(50)의 일부가 노출되게 된다.
박스형 몸체(41)의 정면 좌측에는 기어(44)가 돌출상태로 배치되어 있고, 이 기어는 박스형 몸체(41)내부의 기어열을 통해 상기 축(42)에 연결되어 있다. 상기 기어(44)를 손으로 회전시킴으로써 축(42)을 회전시키면, 상기 축(42)에 세트된 챠트지(50)의 현재시각을 설정할 수 있다. 박스형 몸체(41)의 저면 좌우측에는 제3d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홈(41C)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홈(41C)의 하나에는 가동편(45)이 뻗어 있다.
이 가동편(45)이 관련 홈에 삽입되면, 연동하는 제3c도의 셔터(46)가 화살표 방향으로 열려 내장된 기어가 노출되게 된다. 카트리지(40)가 본체(1)에 장착된 후, 이 가동편(45)이 삽입되며, 이때 셔터(46)가 열리게 되어 내부기어가 본체(1) 내의 시계기구와 연결되게 된다.
이제, 운행기록계의 본체(1)의 내부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4도는 본체(1)의 측면도로서, 본체(1)의 상면과 측면과, 챠트지상에 차량정보를 기록하는 기록기구를 덮는 커버가 생략되어 있고, 카트리지(40)가 장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같이, 기판(90)이 본체(1)에 내장되어 있고, 이 기판은 정면패널(2)과 바닥판(8)에 의해서 지지 고정되어 있다. 이 기판(90) 아래에는 제1샤시(60), 제2샤시(70) 및 제3샤시(80)가 순서대로 배열되어 있다.
제1샤시(60)는 금속판으로 되어 있고, 제5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중심부에 U자형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정면 좌우측에 슬릿(61)이 형성되어 있다. 또, 제1샤시(60)의 배면 좌우측에는 열쇠구멍 형태의 구멍(62)이 형성되어 있다. 이 슬릿(61)과 구멍(62)을 이용하여 제1샤시(60)가 볼트(63)을 통해 미도시의 기판에 부착되어 있다.
상기 제1샤시(60)의 중심부 좌우측에는 스프링(64)의 일측이 설치되어 있고, 그 다른측은 미도시의 기판에 설치되어 있어, 상기 제1샤시(60)를 정면방향으로, 즉 정면패널(2)측으로 가압하게 된다. 제1샤시의 일측에는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측면으로 뻗어 있는 핀(65)이 설치되어 있고, 이 핀은 기판(90)에 고정되어 있는 유지기구(100)의 아암(101)에 의해 유지되게 된다.
유지기구(100)는 고정부(102)와, 이 고정부(102)의 축(103) 상에 회전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대체로 V자형의 아암(101)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 고정부(102)는 기판(90)에 고정되어 있고, 아암(101)은 가압될시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같이 상측방향으로 축(103)을 중심으로 회전한다. 상기 아암(101)의 일부분에는 구멍(104)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핀(65)이 유지기구9100)의 아암(101)에 의해 유지되어 있으므로, 제1샤시(60)는 전방으로 가압력을 받더라도 후부위치에 유지된 상태로 있게 된다. 이 상태는 내부에 장착된 카트리지(40)를 배출하기 위해 이젝터버튼(6)을 누를 때 생긴다. 이젝터버튼(6)을 누르기 전단계에서는 카트리지가 장착되어 있고, 제7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1샤시(60)의 핀(65)은 유지기구(100)의 아암(101)의 선단에 접촉된 상태이다.
이젝터 버튼(6)을 누르자 마자, 제1샤시(60)가 후방으로 이동하여 핀(65)이 아암(101)에 의해 지지되게 된다.
이제, 제2샤시(7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2샤시(70)는 철판으로 제조되며, 대략 트레이 형상이다.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2샤시(70)의 측면에는 돌기(71a, 71b, 71c)(71c는 미도시)가 평행하게 배열되어 있다. 중앙돌기(71b)는 기판(90)에 고정되어 있는 양분된 포크형 규제부재(95)로 유지되어 제2샤시(70)의 길이방향 이동으로 규제되어 진다.
제1샤시(60)의 각 측면에는 걸림수단으로서의 두 사각형 측판(66)(1개만 도시됨)이 설치되어 있다. 각 측판(66)에는 상당히 경사진 슬롯(67)이 형성되어 있고, 이 슬롯(67)에 상기 제2샤시(70)의 돌기(71a)가 걸리게 된다. 따라서, 이젝터버튼(6)이 눌려서 제1샤시(60)가 후방으로 눌리면, 제2샤시(70)의 길이방향 이동이 규제부재(95)에 의해 규제되므로, 돌기(71a)가 제1샤시(60)의 측판(66)의 슬롯(67)을 따라 안내되어 제2샤시가 하강하게 된다. 제1샤시(60)가 유지기구(100)에 의해 후방으로 유지된 때 상기 제2샤시(70)의 하강은 정지된다.
제5도는 기판(90)이 생략되어 있는 본체의 평면도이다. 제2샤시(70)의 후단부에 설치되어 있는 2개의 돌기(72)는 카트리지가 장착될 때에 사용되는 스토퍼이다.
이 도면에서 110으로 나타낸 시계기구는 카트리지(40)가 장착될 때에 카트리지의 셔터(46)내에 있는 기어와 맞물려 챠트지를 회전시키는 기어(111)를 가지고 있다.
이제, 제3샤시(80)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3샤시(80)도 금속판으로 형성되어 있고, 제2샤시(70)의 하측에 밀착되어 설치되어 있다. 제6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2샤시(70)에 형성되어 있는 돌출편(73)이 제3샤시(80)의 구멍(81)에 걸려 제2샤시(70)의 횡방향과 상하방향의 이동이 규제되게 된다. 제 3샤시(80)의 중앙부에는 스프링(82)의 일단이 취부되어 있고, 상기 스프링(82)의 타단은 제2샤시(70)에 설치되어 있어, 제3샤시(80)는 전방으로, 즉 정면패널(2)의 방향으로 가압되게 된다. 제3샤시(80)의 좌우 중앙에는 각각 카트리지 걸림핀(83)이 설치되어 있고, 이 카트리지 걸림핀(83)은 윗방향으로 수직하게 세워져 있다. 제3샤시(80)의 일측면에는 돌기부(84)가 형성되어 있고, 이 돌기부(84)의 선단에는 윗방향을 향한, 유지기구(100)에 걸리는 걸림돌기(85)가 형성되어 있다.
또, 제6도에 있어서, 제2샤시(70)는 실제로는 보이지만, 혼동을 막기 위해 가상선으로 표시하였다.
카트리지(40)를 정면패널(2)의 카트리지 착탈구(7)(제2도)를 통해 삽입하면, 카트리지(40)의 이면상에 있는 홈(41C)의 단면이 카트리지 걸림핀(83)에 접촉되게 되고, 카트리지(40)를 삽입하면, 제3샤시(80)는 스프링(82)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후방으로 이동한다.
이때, 제3샤시(80)의 걸림돌기(85)는 제1샤시(60)가 후방위치에 유지시킨 유지기구(100)의 아암(101)의 구멍(104)에 삽입되고, 이에 따라 아암(101)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회전한다.
따라서, 아암(101)으로부터 제 1샤시(60)의 핀(65)의 분리되고 제 7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샤시(60)는 전방으로 이동하여 핀(65)이 아암(101)의 선단에 접촉되게 된다.
제2샤시(70)의 측면에 설치된 돌기(71a)는 제1샤시(60)의 측판(66)의 슬롯(67)에 결합되어 있으므로, 제1샤시(60)가 전방으로 이동하면, 돌기(71a)는 스롯(67)을 따라 안내되어 제 2샤시(70)가 윗방향으로 이동하게 된다. 제2샤시(70)의 측면 중앙부의 돌기(71b)가 기판(90)에 설치되어 있는 규제부재(95)의 사이에 유지되어 있으므로, 제2샤시(70)는 전후방으로는 이동할 수 없다.
제2샤시(70)가 상승하면, 카트리지(40)도 일체로 상승하게 되며, 카트리지(40)내에 수납되어 있는 챠트지(50)는 본체(1) 내의 후술하는 기록기구의 기록침이 접촉되는 위치에 세트 되어진다. 챠트지(50)는 카트리지(40)의 케이스(41)의 개구부(41b)를 통해 노출되어 있고, 기록기구의 기록침은 기판(90)의 개구부 (미도시)와 제1샤시(60)의 U자형 오목부를 통해 챠트지(50)에 접촉하게 된다. 제8도와 제9도는 각각 카트리지(40)가 장착되어 있는 상태에서는 평면도와 저면도이고, 제7도는 측면도이다.
이 경우 기판(90), 바닥판(8) 및 카트리지(40)는 생략되어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카트리지(40)가 상승하면, 카트리지(40)의 상면으로 커텍터(161)의 전극(161a)에 노출되어 본체(1) 내에 설치되어 있는, 미도시의 전극과 접촉하게 된다.
이제, 기록기구에 대해서 설명한다.제10도에는 기록기구의 예가 도시되어 있다. 이 도면에서, 11은 모터를 나타내며, 축(11a)에 기어(12)가 설치되어 있다. 13은 기어(12)의 동력을 전달하는 기어열이고, 14는 기어열(13)의 최종기어와 맞물려있는 방향변환 기어이다. 15A와 15B는 방향변환기어(14)과 맞물려 있는 구동기어이며, 각각 기록침승강캠(16A)(16B)을 회전시킨다. 17A와 17B는 기록침 승강캠(16A)에 의해 지점(0)을 중심으로진동하는 L자형 진동막대이고, 17C는 기록침승강 캠(16B)에 의해서 지점(0)을 중심으로 진동하는 L자형 진동막대이다. 18A, 18B 및 18C는 대응하는 진동막대(17A, 17B, 17C)에 의해서 하강 (제10도에서는 상방향)하는 기록침을 나타낸다.
각 기록침(18A, 18B, 18C)은 중앙부에 걸림편(19A, 19B, 19C)에 의해서 걸려 있고, 프레임 몸체(20A, 20B, 20C)상에서 지지되어 있다. 코일스프링(30A, 30B, 30C)은 걸림편(19A, 19B, 19C)과 프레임 몸체(20A, 20B, 20C) 와의 사이에 설치되어 기록침(18A, 18B, 18C)을 하강위치(제10도에서는 상승방향)로 가압한다.
상기 진동막대(17A, 17B, 17C)의 돌기(17Aa, 17Bb, 17Cc)는 상기 걸림편(19A, 19B, 19C)의 상면에 위치하여 상기 코일스프링(30A, 30B, 30C)에 의해 윗쪽으로 가압되며, 이에 따라 기록침 승강캠(16A, 18B)의 면에 진동막대(17A, 17B, 17C)의단부가 접촉하게 된다.
기록침(18A)은 거리기록용이고, 기록침(18B)은 교대기록용이며, 기록침(18C)은 속도기록용이다. 이들 기록침(18A, 18B, 18C)을 기록지(C)의 반경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기록침 구동기구는 종래의 것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기록침(18A, 18B, 18C)이 상승위치에 있는 상태에서, 카트리지(40)가 장착됨을 검출하는 미도시의 로크검출기구의 출력에 기초하여 모터(11)가 제어되어 기록침 승강캠(16A, 16B)이 대략 180도로 회전한다. 따라서, 진동막대(17A, 17B, 17C)가 회전하여 돌기(17Aa, 17Bb, 17Cc)가 하강하기 때문에, 기록침(18A, 18B, 18C)은 코일스프링(30A, 30B, 30C)의 가압력에 의해 하강하여 (도면에서는 상승방향), 챠트지(50)면과 접촉하게 된다. 따라서 각종 정보를 기록침(18A, 18B, 18C)으로 기록지(C)에 기록할 수 있다.
카트리지(40)가 장착되어 있고, 기록침(18A, 18B, 18C)이 챠트지(50)의 면과 접촉하고 있는 상태에서, 열쇠를 본체(1)의 로크(4)에 삽입하여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 카트리지(40)가 언로크됨을 검출하는 로크검출기구의 출력에 기초하여 모터(11)가 제어된다.
결과적으로, 기록침 승강캠(16A)(16B)이 약 180도 더 회전하여 원래 위치로 복귀하게 된다. 따하서 코일스프링(30A, 30B, 30C)의 가압력에 의해서 하강하는 기록침(18A, 18B, 18C)은 코일스프링(30A, 30B, 30C)의 가압력에 대항하여 진동막대(17A, 17B, 17C)의 회전에 의해서 상승하여 챠트지(50)의 기록면으로부터 멀어지게 된다. 다음에, 이젝터버튼(6)이 눌리면, 제4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1샤시(60)가 눌려 측면핀(65)이 유지기구(100)에 의해 유지되며,이때 유지기구(100)의 아암(101)의 회전에 의해서 제3샤시(80)의 걸림돌기(85)가 분리되어, 제3샤시(80)는 전진하여 카트리지(40)를 카트리지착탈구(7)를 통해 외부로 1/2 정도 누르게 된다. 이어서, 손으로 카트리지(40)를 꺼내어 필요한 챠트지(50)를 세트시키고 시간설정 등을 한다. 또, 상술된 기록침 승강기구 및 기록기구는 하나의 예이며, 동일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다른구성도 이용가능하다. 따라서, 본 실시예의 운행기록계는 챠트지(50)를 카트리지에 공급하면, 챠트지(50)의 교환이나 챠트지(50)의 시각설정을 교환자가 손으로 수행할 수 있다.
제11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아날로그·디지탈 운행기록계의 전기회로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운행기록계의 본체(1)내에는 주행센서(S)로부터 주행하는 차량속도에 대응하는 주기를 갖는 주행펄스를 입력받아 그 입력된 주행펄스의 주기를 측정하고 이 측정된 주기에 기초해서 주행속도를 연산하는 입력된 주행펄스를 계수함으로써 주행거리(달린 거리)를 연산하는 마이크로 컴퓨터(CPU)(120)가 설치되어있다. 상기 CPU(120)는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ROM(120a)과 각종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영역 및 처리작업에 사용되는 작업영역을 가지고 있는 RAM(120b)이 내장되어 있는 단일칩 마이크로 컴퓨터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CPU(120)에는 스태핑 모터구동기(121∼124)가 접속되어 있다. 스테핑 모터구동기(121)는 주행속도 기록침(18C)을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CPU(120)는 이 스태핑 모터 구동기(121)에, 계측된 주행속도에 대응하는 위치에 주행속도 기록침(18C)를 이동시키는데 필요한 수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스테핑 모터 구동기(121)는 스테핑 모터(121A)를 구동하여, 이 출력축을 구동펄스의 수에 대응하는 각도 만큼 회전시킨다.
이 출력축의 회전은 주행속도 기록침(18C)을 이송시키는 이동판(121C)에 형성된 래크(121D)와 맞물려 있는 피니언(121e)에 기어열(121f)을 통해 전달되어진다. 따라서, 스테핑 모터(121a)의 전회전 및 역회전에 따라 화살표의 방향으로 기록침(18C)이 왕복운동하게 되며, 기록침(18)의 이동량은 차량주행속도에 따라 변한다.
피니언(121e)의 회전과 함께 회전하는 엔코더(121a)가 설치되어 있고, 이 엔코더(12a)는 기록침(18C)의 위치를 코드화해서, 위치코드를 CPU(120)에 입력한다.
스테핑 모터구동기(122)(123)는 미도시된 거리 기록침 및 교대 기록침 또는 상태 기록침을 각각 이동시키는 미도시된 스테핑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며, 그리고 스테핑모터 구동기(124)는 이러한 기록침에 의해 기록이 행하여지는 챠트지를 시간경과와 함께 회전시키는 시계용 스테핑 모터를 구동하기 위한 것이다.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각각의 스테핑 모터가 대응하는 스테핑 모터 구동기에 의해서 회전가능하게 구동되는 때에 기록침을 이동시키고 챠트지를 회전시키는 구동기구도 설치되어 있다. 교대 기록침이 상태기록침으로 사용도는 경우에는 휴게, 하적작업 또는 그 반대의 작업등의 각종 상태가 챠트지상에 기록되게 된다.
상기 CPU(120)에는 또, 앞서 언급한 교대기록 또는 상태기록을 행하기 위한 정보를 입력하도록 동작하는 입력부(125)와, 날짜, 및 시간등의 실시간 데이터를 발생하는 카렌다·시계(126)와, 기설정된 데이터나 수집된 각종 데이터를 백업 전원 없이 유지되도록 그들이 저장되어 있는 비휘발성 기억수단으로서 PROM(127)이 접속되어 있다.
CPU(120)는 인터페이스(I/F) 회로(128)를 통해 외부데이타를 주고받고, 그리고 별도로설치된 속도계(130), 헤드업 디스플레이(HUD)용 인디케이터(131) 및 적산 거리계(132)에 이들을 구동하기 위한 수치데이타를 공급하고 있다.
비휘발성 기억수단으로서의 PROM (127)내에는 제1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운행기록계를 탑재하고 있는 차량의 차량번호, 챠트지의 종류에 따라 달라지는 각 기록침 기록의 종류, 예컨대 교대기록이나 상태기록, 차량등의 최대 운행속도의 설정치 등의 설정데이타가 저장되어있는 설정데이타 영역(127a)이 형성되어 있다. 이 설정데이타는 도시되지 않은 설정기에 의해서 I/F회로(128)를 통해 외부로부터 입력되어 기입된다.
또 PROM(127) 내에는 거리데이타 영역(127b)이 형성되어 있고, 차량의 주행에 따라 갱신된 주행거리데이타가 저장되게 된다. 또 PROM (127)내에는 속도,거리 및 시계구동계의 이상 상태가 카렌다·시계(126)가 발생하는 시간데이타와 함께 저장되는 수집데이타 영역(127C)이 형성되어 있다.
한편, 챠트지(50)가 탈착가능하게 수용되어 있음과 동시에, 비휘발 기억수단으로서의 PROM으로 이루어진 데이터 메모리(160)가 내장되어 있는 카트리지(40)내에는, 제어프로그램이 저장되어 있는 ROM(163a)과 각종의 데이터가 저장되는 데이터 영역을 가진 RAM(163b)이 내장되어있고, 기설정된 ROM(163a)내의 제어프로그램에 따라 동작하는 마이크로컴퓨터(CPU)(163)가 설치되어 있다. CPU(163)는 인터페이스(I/F)회로(165)를 통해 본체(1)의 I/F회로(128)에 접속되어, 본체(1)의 CPU(120)과 데이터를 주고 받는다. CPU(163)에는, 카트리지(40)의 상면에 있는 리드(43)가 챠트지(50)의 착탈을 위해 개폐됨에 따라 온·오프되는 개폐검출스위치(166)가 접속되어 있다. 이 개폐검출스위치(166)의 온·오프는 데이터 메모리(160)에 기록되어 진다. 167은 전원용 배터리로서, 본체(1)로부터 전원이 공급되는 경우에는 생략이 가능하다.
상기 카트리지(40)내의 비휘발성 기억수단으로서의 데이터 메모리(PROM()160) 내에는, 제1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 1, 제 2 및 제 3수집 데이터영역(160a)(160b)(160c)이 형성되어 있다. 제 1수집데이타 영역(160a)에는 카트리지(40)가 본체(1)에 장착될 때에 본체(1) 측의 PROM(127)에 저장되어 있는 설정데이타를 입력받아 저장하게 된다.
제 2수집데이타 영역(160b)에는 카트리지(40)가 본체(1)에 장착되어 있을 때 I/F회로(165)와 CPU(163)를 통해 메인본체(1) 측에서 연속적으로 발생되는 데이터를 수신하고, 그리고 CPU(163)에 의해서 그 프로그램에 따라 그 데이터가 선택, 처리된 후 저장되어 있다.제 3수집데이타 영역(160C)에는 카트리지(40)가 본체(1)로부터 배출될 때에 본체(1) 측의 PROM(127)에 저장되어 있는 수집데이타를 입력받아 저장하게 된다.
이제, 제11도의 전기회로 구성을 가지고 있는 아날로그·디지탈 운행계의 동작을설명한다. 본체(1) 내의 CPU(120)는 전원 투입으로 동작을 개시하고, 카트리지가 소정의 위치에 세트되면 속도, 거리 및 교대정보의 기록동작을 개시한다.
먼저, 속도기록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정지되어 있는 차량이 주행을 개시하면, 주행센서(S)가 발생하는 주행펄스가 CPU(120)에 입력되어진다. CPU(120)는 그 주행펄스의 주기를 측정하고, 이 측정된 주기에 기초하여 차량 주행속도를 계산한다.
따라서, 이 연산으로 구해진 속도에 대응하는 이치까지 스테핑 모터(121a)가 0km/h의 위치에 있는 주행속도 기록침(18C)을 이동시키기 위해 필요한 스텝수를 0km/h 위치를 기준으로 해서 ROM(120a)에 제공된 테이블에 의하여 또는 기설정된 계산식에 의해서 구한다.
이와같이 구해진 스텝수와, 스테핑모터(121a)의 현재위치에 대응하는 스텝수를 나타내는 RAM(120b)내에 형성된 업다운 카운터 영역의 현재치가 비교되고, 이들 간의 차의 절대치가 구해진다. CPU(120)는 상기 현재치가 보다 작으면 스테핑 모터(121a)를 정회전시키고 현재치가 보다 크면 역회전시키기 위해, 상기 절대치에 대응하는 수의 구동펄스를 출력하고, 동시에 RAM(120b)내의 상기 업다운 카운터는 상기 구동 펄스의 출력에 따라 업다운 카운트한다. 이 때문에, 연산된 주행속도 위치까지 주행속도 기록침의 이동함과 동시에, 업다운 카운터내에는 CPU(120)측에서 본 스테핑 모터(121a)의 현재위치를 나타내는 스텝수가 유지되어진다.
엔코더(121g)는 기록침(18C)이 복수의 분할범위중 한 범위에 있음을 나타냄으로써, 스테핑 모터(121a)가 회전함에 따라 이동하는 주행속도 기록침(18C)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코드를 발생한다. 이 위치코드는 CPU(120)에 입력된다. CPU(120)는 입력받은 위치코드를 이에 대응하는 스텝수로 변환하고, 이를 RAM(120b)내의 업다운 카운터의 값과 비교한다. 비교결과, 소정의 조건하에서 양자 간에 소정의 차가 존재하면, 현실의 속도 기록침(18C)의 위치를 나타내는 위치코드에 대응하는 스텝수에 업다운 카운터의 내용이 재기록되어 현재 위치를 나타내는 값이 갱신된다.
이와같이 갱신된 스텝수는 주행속도 기록침(18C)의 실제치이고, 갱신될 때마다 실시간 데이터와 함께 I/F회로(128)를 통해 출력되고 그리고 카트리지(40)의 I/F회로(165)를 통해 CPU(163)에 입력된다. CPU(163)는 PROM(160)의 제 2수집데이타 영역(160b)에 저장되어 있는 이 입력 스텝수를 가지고있고, 이에 따라 챠트지에 기록된 주행속도와 일치하는 디지털 데이터가 수집되게 된다.
상술된 스텝수의 갱신에 의한 위치 보정은 어떤 종류의 이상으로부터 생긴다. 보정 실시횟수를 체크하고, 이 보정 실시 횟수가 소정횟수를 초과하면 이상이 있는 것으로 판단해서 이상의 발생을 그 발생 시각을 나타내는 실시간 데이터와 함께 PROM(127)내의 수집데이타 영역(127C)에 저장한다. 이 이상판단 방법에는 횟수의 상한치를 초과하였는지를 알아내는 제 1방법, 주행거리 보정횟수를 이용하는 제 2 방법, 단위시간 (예컨대, 1시간)당 보정횟수와 전체 보정횟수를 이용하는 제 3방법 및 각각 소정의 극한치보다 짧은 두 보정간의 간격의 개수를 이용하는 제 4방법이 포함되어 있다.
상술한 CPU(120)의 동작을 기능블록도로 나타내면 제14도와 같다. 주기측정부(120-1)는 주행센서(S)로 부터의 주행펄스의 주기를 측정하고, 주행속도 연산부(120-2)는 주기측정부(120-1)에서 측정된 주기에 기초를 둔 주행속도를 계산하며, 주행속도 스텝부 변환부(120-3)는 주행속도 연산부(120-2)에서 연산된 속도에 대응하는 스텝수를 구하고, 그리고 차분판정부(120-5)는 주행속도 스텝수 변환부(120-3)로 부터의 스텝수와 업다운 카운터(120-4)의 카운트치와의 차분을 결정하여, 이 차분에 대응하는 수의 구동펄스를, 대소의 나타내는 신호와 함께 출력한다. 차분판정부(120-5)로 부터의 구동펄스에 의해서, 스테핑 모터 구동기(121)는 상기 구동펄스에 상당하는 스텝수로 스테핑 모터(121a)를 정역회전 시킨다.
차분판정부(120-5)가 출력하는 구동펄스는 업다운 카운터(120-4)에 인가되며, 이에 대소를 나타내는 신호에 따라 구동펄스를 업 또는 다운 카운트하며, 따라서 스텝핑 모터의 스텝수는 업다운 카운터(120-4)의 카운트값으로 알수 있다. 구동측에서 본 스테핑모터의 현재 스텝수와 연산된 주행속도에 대응하는 스텝수와의 차분에 상당하는 수의 구동펄스가 스테핑 모터 구동기(121)에 공급되어, 스테핑 모터를 구동해서 주행속도에 대응하는 위치에 속도기록침(18C)을 구동할 수 있다.
그러나, 이 경우에 속도기록침(18C)이 실제로 연산된 주행속도에 대응하는 위치로이동하여 위치하는 것이 보장되지 않는다. 따라서 엔코더(121g)는 속도 기록침(18C)의 위치에 대응하는 위치코드를 발생시켜 이 위치코드를 위치 스텝수 변환부(120-6)에 있어서의 스텝수로 변환하고, 이 변환된 스텝수와 연산된 주행속도에 대응하는 스텝수를 비교부(120-7)에서 비교한다. 소정의 조건하에서 이들 스텝수가 서로 불일치하면, 속도 기록침(18C)의 실제위치를 나타내는 위치 스텝수 변환부(120-6)에서 변환된 스텝수로 업다운 카운터(120-4)의 내용을 치환 및 갱신하여, 구동측의 스테핑 모터의 위치와 실제의 위치를 일치시킨다.
이와같이 갱신된 스텝수는 카트리지(40)에 송출되고, 그대로 또는 PROM(160)의 제 2수집 데이터 영역(160b)에서의 처리후에 미도시의 카렌다·시계로 부터의 실시간 데이터와 함께 저장되며, 이에 따라 챠트지상에 기록된 주행속도와 일치하는 디지털 데이터를 수집할 수 있게 된다.
또, 이 스텝수의갱신에 기초하여 이상 판정부(120-8)에서 기결정된 판정조건하에서 이상발생여부를 판정하고, 이상으로 판정되면 PROM(127)의 수집데이타 영역(127C)에 실시간 데이터와 함께 이상발생이 저장된다. 이 수집된 데이터 영역의 데이터는 카트리지 배출시에 판독되고 카트리지에 송출되어, PROM(160)내의 제 3수집데이타 영역(160C)에 저장된다.
이제, 거리기록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차량이 주행을 개시하면, 주행센서(S)가 발생하는 주행펄스가 CPU(120)에 입력된다. CPU(120)는 그 수를 계수하고 이 계수치에 기초해서 연산을 수행한다. CPU(120)는 계수치가 소정치에 도달하면 차량이 단위거리, 예컨데 100m를 주행하였음을 나타내기 위하여 거리신호를 발생한다. 이 거리신호에 의해서 PROM(127)의 거리데이타 영역(127b)의 내용이 증가함에 함께 거리지시기가 이 거리데이타영역(127b)의 내용에 기초해서 거리를 나타낸다.
또, 주행펄스의 계수치가 소정치에 도달할 때, CPU(120)는 구동펄스를 발생해서 이를 거리기록침을 이동시키는 스테핑 모터를 구동하는 스테핑 모터구동기(122)에, 그리고 미도시된 적산거리계의 카운터를 회전시키는 스테핑 모터를 구동하는 스테핑 모터에 또 카트리지(40)에 각각 공급한다.
카트리지(40)내의 CPU(163)는 카트리지(40)에 공급된 상기 구동펄스를 독자적으로 처리하고, 이를 기초로거리 데이터를 수집한다.
CPU(120)는 구동펄스를 출력할 때, 이 구동펄스에 의해 구동되는 스테핑 모터가 작동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판단하여 이상의 유무를 판정한다. 이를 위해, 구동펄스에 의해 회전동작하는 스테핑 모터에 연동하는 포토인터럽터를 설치하고, 이 포토인터럽터가 발생하는 회전펄스수와 구동펄스수를 비교하여 이상의 유무를 판정한다.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되면, 이상 발생이 실시간 데이터와 함께 수집데이타 영역(127C)에 저장되며, 이 데이터를 카트리지의 배출시에 카트리지에 소출하여 카트리지내의 제 3수집데이타 영역에 저장한다.
상술한 CPU(120)의 거리기록 동작이 제15도에 기능블록도로 도시되어 있다. 펄스수 계수부(120-11)는 주행센서(S)로 부터의 주행펄스의 수를 게수하여 구동펄스를 발생한다. 이 펄스수 계수부(120-11)의 계수치에 기초하여 거리연산부(120-12)가 거리를 연산하고,소정의 거리마다거리신호를 출력함으로써, 거리데이타 영역(127b)이 증가한다.
이 거리 데이터 영역(127b)의 내용은 거리표시기에 거리를 표시하기 위해 이용되고, 또 카트리지가배출될 때에 카트리지(40)에 송출되어 제 3 수집영역(160C)에 저장되어 진다.
펄스수계수부(120-11)가 발생하는 구동펄스는 이상판정부(120-13)에 공급되고, 여기서 스테핑 모터로 부터의 작동상태 신호입력과 비교되어, 이 구동펄스에 의해 구동되는 스테핑 모터의 회전 이상이 판정되어 진다. 이상 판정부(129-13)에서 이상의 발생으로 판정되면, 수집데이타영역(160C)에 카렌다·시계(126)로 부터의 실시간 데이터와 함께 저장되어 진다.
이제, 챠트지를 회전시키는 시계구동 동작에 대해서 설명한다. CPU(120)는 카렌다·시계(126)의 틱(tick)을 계수하여, 소정치의 계수시마다 구동펄스를 발생하고, 이것을 챠트지를 회전시키는 스테핑 모터를 구동하는 스테핑 모터 구동기(124)에 공급한다.
CPU(120)는 이 구동펄스를 출력할 때의 구동펄스에 의해서 구동되는 스태핑 모터가 동작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여 이상의 유무를 판정한다. 이를 위해 구동펄스에 의해 회전동작하는 스테핑 모터와 연동하는 포토인터럽터를 설치하고, 이 포노인터럽터가 발생하는 회전펄스수와 구동펄스의 수를 비교하여 이상의 유무를 판정한다. 이상이 발생한 것으로 판정되면, 실시간 데이터와 함께 수집데이타 영역(127C)에 저장되고, 이 데이터를 카트리지의 배출시에 카트리지에 송출하여, 카트리지내의 제 3수집데이타 영역에 저장할 수 있다.
제 16도에는 상술한 시계 구동 동작을 나타내는 기능블록도가 도시되 있다. 펄스수 계수부(120-15)는 카렌다·시계(126)로 부터의 클럭펄스를 계수하여 구동펄스를 발생한다. 이 펄스수 계수부(120-15)가 발생하는 구동펄스를 스테핑 모터 구동기(124)에 공급하여 챠트지를 회전시키는 스테핑 모터를 구동한다. 구동펄스가 출력될 때, 구동되어진 스테핑 모터의 동작에서의 이상유무를 판단하기 위하여, 구동펄스에 의하여 회전동작을 하는 스테핑 모터와 연동하는 포토인터럽터가 설치되어 있다. 이 포토인 터럽터가 발생하는 회전펄스수와 구동펄스수를 이상판정부(120-16)에서 비교하여 이상의 유무를 판정한다. 이상이 발생된 것으로 판정되면, 수집데이타 영역(160C)에 카렌다·시계(126)로부터의 실시간 데이터와 함께 저장되고, 이 저장된 데이터를 카트리지의 배출시에 카트리지 내의 제 3수집데이타 영역(160C)에 저장한다.
상술한 바와같이 카운터는 주행속도에 대응하는 스텝수의 위치로스테핑 모터를 구동하는 구동펄스의 업다운 카운트로 스테핑 모터의 스텝위치를 인식한다. 카운터의 내용이 실제로 구동된 스테핑 모터의 위치와 다르면 소정의 조건하에서 카운터의 내용이 스테핑 모터와 연동하는 엔코더가발생하는 위치코드에 대응하는 스텝수로치환되어 갱신되고, 이갱신된 스텝수를 카트리지(40)내의 데이터메모리(160) 내에 저장한다.
따라서 실제의 주행속도기록침에 의한 기록에 대응하는 주행속도 데이터가수집될 수있다. 이 속도데이타의 수집을 시각데이타에 관련하여 행하면, 챠트지상의 주행속도의 기록을 판독할 때 기준으로서 이용가능하다. 또 갱신발생시의 주파수도 알수 있다.
본체(1)와 카트리지(40)에 각각 독립적으로 CPU가 내장되어 있으므로, 본체(1)의 기능을 변경하지 않고, 카트리지(40)측의 CPU의 기능을 여러 가지로 변화시킴으로써, 유저의 요구에 응하여 여러 종류의 디지털 데이터의 수집이 가능해진다. 챠트지가 수납된 카트리지(40)와 데이타 메모리(160)를 일체화함으로써, 기록후의 운반이 편리해진다.
또, 아날로그 기록과 디지털 기록의 일체화를 보장할 수 있다. 특히, 상술된 실시예에서와 같이 리드가열릴 때마다 기록함으로써, 리드의 열림을 알리는 기록이 없는 한, 챠트지의 내용은 디지털 기록내용과 동일함을 보장할 수 있다.

Claims (5)

  1. 챠트지(50)를 수용하는 카트리지(40); 및 상기 카트리지(40)가 착탈 가능하게 수납되는 카트리지 착탈기구(18b)를 구비함과 동시에, 상기 카트리지(40)의 내부에 있는 상기 챠트지(50)를 회전시키는 시계 기구(18a) 및 상기 챠트지(50)에 차량정보를 기계적으로 기록하는 기록기구(18c)를 더 구비하는 본체(1)를 포함하는 운행기록계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40)는 상기 기록기구(18c)에 의하여 상기 챠트지(50)에 기계적으로 행해진 기록에 대응하는 차량정보를 그 내부에 전기적으로 기록하는 카트리지측 기억수단(160); 및 본체(1)측으로부터 입력된 차량정보가 상기 카트리지측 기억수단(160)에 기록되기 전에, 상기 차량정보를 처리하는 처리수단(163);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기록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40)는, 그 상면에, 챠트지(50)가 착탈될 때 개폐되는 리드(43)와, 상기리드의 개폐를 검출하는 리드 개폐 검출수단(166)을 더 포함하며, 상기 리드 개폐검출수단(166)이 상기 리드(43)의 개방을 검출함에 따라 상기 리드의 개폐정보가 상기 카트리지측 기억수단(160)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기록계.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1)는, 상기 시계기구(18a) 및 상기 기록기구(18c)의 이상을 검출하는 이상검출수단(120c)과, 상기 이상검출수단(120c)이 이상을 검출함에 따라 실시간 데이터와 함께 이상 검출에 대한 정보를 그 내부에 기록하는 본체측 기억수단(127)을 더 포함하고 있고, 상기 본체(1)로부터 상기 카트리지(40)가 배출될 때에, 상기 카트리지의 배출전에, 상기 본체측 기억수단(127)에 기록되어 있는 정보가 판독되어 상기 카트리지측 기억 수단(18b)에 기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운행기록계.
  4. 챠트지(50)가 착탈가능하게 장착되어 있으며; 그리고 상기 챠트지를 회전시키는 시계 기구(18a)와, 이 시계기구(18a)에 의해 상기 챠트지가 회전하고 있는 동안에 상기 챠트지(50)에 차량정보를 기계적으로 기록하는 기록기구(18c)가 설치되어 있는 본체(1)에 사용되는 기록매체 장착장치(40)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 장착장치(40)는 상기 챠트지(50)가 착탈가능하게 수용되어 있는 챠트지 수용부; 및 상기기록기구(18c)에 의하여 상기 챠트지(50)에 대해 기계적으로 행해진 기록에 대응하는 차량정보를 그 내부에 전기적으로 기록하기 위해, 상기 챠트지 수납부와 인접해서 상기 기록매체 장착장치(40)에 내장되어 있는 카트리지측 기억수단(16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장착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기록매체 장착장치(40)는 본체(1)측으로부터 입력된 차량정보가상기 카트리지측 기억수단(160)에 기록되기 전에, 상기 차량정보를 처리하는 처리수단(163)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기록매체 장착장치.
KR1019950047002A 1994-12-07 1995-12-06 운행기록계 및 이 운행기록계에 사용되는 기록매체 장착장치 KR017350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4-303419 1994-12-07
JP30341994A JP3189935B2 (ja) 1994-12-07 1994-12-07 運行記録計および該記録計に使用する記録媒体装着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24370A KR960024370A (ko) 1996-07-20
KR0173505B1 true KR0173505B1 (ko) 1999-04-01

Family

ID=179207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47002A KR0173505B1 (ko) 1994-12-07 1995-12-06 운행기록계 및 이 운행기록계에 사용되는 기록매체 장착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3189935B2 (ko)
KR (1) KR0173505B1 (ko)
DE (1) DE19545537B4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550268B2 (ja) * 1997-02-25 2004-08-04 矢崎総業株式会社 運行記録計における記録用時刻の修正方法及びその装置
JP3506353B2 (ja) * 1997-02-25 2004-03-15 矢崎総業株式会社 運行記録計の記録紙保持体移送方法及びその装置
JP3334851B2 (ja) * 1997-02-25 2002-10-15 矢崎総業株式会社 運行記録計の記録紙保持体移動方法及び運行記録計
FR2791427B1 (fr) * 1999-03-22 2001-05-11 Jules Richard Instr Sa Appareil d'enregistrement des variations temporelles d'une grandeur physique
DE10321250A1 (de) 2003-05-12 2004-12-23 Siemens Ag Gehäuse
DE102011015264A1 (de) * 2010-12-20 2012-06-21 Continental Automotive Gmbh Bordinformationssystem für Fahrzeuge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266036B (de) * 1963-04-26 1968-04-11 Kienzle Apparate Gmbh Fahrtschreiber fuer Kraftfahrzeuge
BE871690R (fr) * 1978-10-27 1979-02-15 Staar Sa Dispositif de memorisation de la position instantanee d'une bande magnetique contenue dans une cassette
DE4021199A1 (de) * 1990-06-11 1991-12-19 Smartdiskette Gmbh In edv-einrichtungen einsteckbares element
DE4121023C2 (de) * 1991-06-26 1994-06-01 Smartdiskette Gmbh In eine EDV-Einrichtung einsteckbares Element
DE4130080A1 (de) * 1991-09-06 1993-03-18 Mannesmann Ag Verfahren und einrichtung zum speichern von daten der fahrdynamik und von fahrzustaenden, physikalischen messgroessen u. dgl. eines fahrzeugs, insbesondere eines lastkraftwagens oder omnibusses
DE4224828A1 (de) * 1992-07-27 1994-02-03 Thomson Brandt Gmbh Kassette mit einem Aufzeichnungsträger für ein Aufzeichnungsgerät
DE4202583C1 (ko) * 1992-01-30 1993-04-15 Mannesmann Kienzle Gmbh, 7730 Villingen-Schwenningen, De
DE4315833A1 (de) * 1993-05-12 1994-11-17 Mannesmann Kienzle Gmbh Fahrtschreiber für Kraftfahrzeug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9545537A1 (de) 1996-06-13
DE19545537B4 (de) 2009-02-12
JP3189935B2 (ja) 2001-07-16
JPH08161565A (ja) 1996-06-21
KR960024370A (ko) 1996-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267159A (en) Mileage recording and display apparatus
US4638289A (en) Accident data recorder
JP3442397B2 (ja) 自動車用走行データ記録装置
KR0173505B1 (ko) 운행기록계 및 이 운행기록계에 사용되는 기록매체 장착장치
JPH0830644B2 (ja) ディジタル式線形測定装置
US4875167A (en) Odometer data computing apparatus
CA2408979A1 (en) Tamper-evident use-indicating odometer and engine-timer
US3434152A (en) Tachographs for automobiles
DE3123879A1 (de) Digitaler fahrtschreiber
GB2055469A (en)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trip recorders for vehicles
JP3191902B2 (ja) 運行記録計の異常判定表示装置
JPH08161563A (ja) 運行記録計の記録紙出し入れ情報記録方法及び運行記録計
JPH0542602B2 (ko)
JPS6190289A (ja) 除雪車施工記録装置
US4782691A (en) Tachograph including means for recording engine speed
KR0171683B1 (ko) 운행기록계기용 주행정보 기록침의 이동량 보정방법 및 운행기록 계기
US4677446A (en) Watchman's clock
JP3384541B2 (ja) 運行記録計用記録紙カートリッジ
JPS592071B2 (ja) 運行記録装置
JPH04442Y2 (ko)
JP3194461B2 (ja) 車両運行情報収集方法及び車両運行情報収集用車載装置
JP2600372Y2 (ja) 車両運行記録解析装置
JPS61286992A (ja) 作業デ−タ管理システム
JPH11250391A (ja) 車両運行情報収集装置
FR2542474A1 (fr) Dispositif d'analyse de la conduite d'un vehicu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1002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1001

Year of fee payment: 16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1007

Year of fee payment: 17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51002

Year of fee payment: 18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