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53868B1 - 벽돌블럭 자동적재기의 벽돌블럭 방향전환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벽돌블럭 자동적재기의 벽돌블럭 방향전환장치 및 방법

Info

Publication number
KR0153868B1
KR0153868B1 KR1019950014839A KR19950014839A KR0153868B1 KR 0153868 B1 KR0153868 B1 KR 0153868B1 KR 1019950014839 A KR1019950014839 A KR 1019950014839A KR 19950014839 A KR19950014839 A KR 19950014839A KR 0153868 B1 KR0153868 B1 KR 01538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cks
block
plate
rows
pushing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5001483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70001175A (ko
Inventor
김삼호
김종복
박주백
Original Assignee
박주백
주식회사세풍기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백, 주식회사세풍기계 filed Critical 박주백
Priority to KR1019950014839A priority Critical patent/KR0153868B1/ko
Publication of KR97000117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117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53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53868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22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 B65G47/2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 B65G47/244Devices influencing the relative position or the attitude of articles during transit by conveyors orientating the articles by turning them about an axis substantially perpendicular to the conveying pl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02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 B65G47/0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 B65G47/0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 B65G47/08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 B65G47/084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grouping articles in a predetermined 2-dimensional pattern
    • B65G47/086Devices for feeding articles or materials to conveyors for feeding articles from a single group of articles arranged in orderly pattern, e.g. workpieces in magazines spacing or grouping the articles during feeding grouping articles in a predetermined 2-dimensional pattern cubiform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52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 B65G47/53Devices for transferring articles or materials between conveyors i.e. discharging or feeding devices between conveyors which cross one anoth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pecial Conveying (AREA)
  • Attitude Control For Articles On Convey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벽돌을 전용으로 적재하는 자동적재기에서 벽돌의 크기에 알맞게 제작된 팔레트상에 벽돌블럭(이하 블럭 이라함)을 자동으로 적재하기 위해 2줄로 이송되는 블럭의 일측으로 1열 또는 2열의 블럭을 90°위상차를 갖도록 자동으로 방향을 전환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으로써, 제2 푸싱판(6)이 2줄의 블럭(3)을 수평이송 컨베어(7)측으로 동시에 전진시킬때 일측면에 위치되는 1열 또는 2열의 블럭(3a)은 제2 푸상판(6)에 의해 전진된 상태에서 대기하고 나머지 블럭(3)만 수평이송 컨베어(7)에 얹혀지도록 하는 단계와, 감지수단에 의해 수평이송 컨베어(7)에 얹혀진 2줄의 블럭중 선단의 블럭이 감지되어 수평이송 컨베어(7)가 일시정지하면 제2 푸싱판(6)에 의해 전진된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던 블럭(3a)을 수평이송 컨베어(7)에 얹혀진 2줄의 블럭(3)일측면으로 90° 위상차를 갖도록 동시에 회동시켜 밀착시키는 단계와, 수평이송 컨베어(7)에 얹혀진 2줄의 블럭(3)일측면으로 90°위상차를 갖도록 1열의 블럭(3a)이 밀착됨에 따라 수평이송 컨베어(7)가 다시 구동하여 블럭(3)(3a)을 동시에 제3 푸싱판(8)의 일직선상으로 이송시키고 수평이송 컨베어(7)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단계를 차례로 수행하도록 수평이송 컨베어(7)의 일측으로 설치되어 제2푸싱판(6)에 의해 2줄의 블럭(3)이 이송될때 일측에 위치된 1열 또는 2열의 블럭(3a)이 얹혀지는 대기판(19)과, 상기 대기판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2줄의 블럭(3a)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0)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대기판에 얹혀진 1열 또는 2열의 블럭(3a)을 수평이송 컨베어(7)상에 얹혀진 블럭(3)의 일측면으로 90°의 위상차를 갖도록 밀착시키는 회동레버(25)와, 상기 회동레버를 동작시키는 회동레버 구동수단으로 구성하여서 된 것이다.

Description

벽돌블럭 자동적재기의 벽돌블럭 방향전환장치 및 방법
제1도는 팔레트상에 1줄의 벽돌이 얹혀진 상태의 사시도.
제2도는 팔레트상에 1줄의 벽돌블럭이 얹혀진 상태를 규격에 따라 나타낸 평면도.
제3도는 종래의 벽돌블럭 자동적재기를 나타낸 사시도.
제4도는 제1도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로써,
(a) 는 건조된 벽돌블럭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와 제1 안착판상에 얹혀진 상태도.
(b)는 제1 안착판상에 얹혀진 5장의 벽돌블럭이 1차이송된 상태도.
(c)는 제1 안착판상에 얹혀진 2줄의 벽돌블럭이 2차이송되어 수평이송 컨베어상에 얹혀진 상태도.
(d)는 수평이송 컨베어상에 얹혀진 벽돌블럭을 턴테이블의 상부로 이송시킨 상태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
제6도는 제5도의 결합상태 측면도.
제7 도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로써,
(a) 는 건조된 벽돌블럭이 순차적으로 이송되어와 제1 안착판상에 얹혀진 상태도.
(b)는 제1 안착판상에 얹혀진 6장의 벽돌블럭이 1차이송된 상태도.
(c)는 제1 안착판상에 얹혀진 2줄의 벽돌블럭이 2차이송되어 5열의 벽돌블럭은 수평이송 컨베어상에 얹혀지고 1열의 벽돌블럭은 대기판에 얹혀진 상태도.
(d)는 대기판에 얹혀진 1열의 벽돌블럭을 회동레버가 회동되어 수평이송 컨베어상에 얹혀진 5열의 벽돌블럭의 일측면으로 90°위상차를 갖도록 회동시킨 상태도.
(e)는 수평이송 컨베어에 얹혀진 벽돌블럭을 턴테이블의 상부로 이송시킨 상태도.
제8도는 회동레버의 회동범위를 제어하기 위한 구성을 나타낸 횡단면도로써,
(a) 는 초기상태도.
(b)는 회동레버가 90°회동된 상태도.
제9도는 제7도 (a)의 A-A선 단면도.
제10도는 제2푸싱판에 의해 블럭이 대기판측으로 이송될때 가이드레일에서 벗어나는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5 : 제1 안착판 6 : 제2 푸싱판
7 : 수평이송 컨베어 8 : 제3 푸싱판
10 : 턴 테이블 18 : 프레임
19 : 대기판 20 : 가이드레일
24 : 축 25 : 회동레버
26 : 실린더 27 : 실린더로드
28 : 연결구 29 : 링크
30 : 감지판 31a, 31b : 센서
32 : 스토퍼
본 발명은 벽돌을 전용으로 적재하는 자동적재기에서 벽돌의 크기에 알맞게 제작된 팔레트상에 벽돌블럭(이하 블럭 이라함)을 차례로 적재하기 위해 2줄로 이송되는 블럭의 일측으로 1열 또는 2열의 블럭을 90°위상차를 갖도록 자동으로 방향을 전환시키는 장치 및 그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돌 및 블럭을 성형하는 공장에서는 벽돌 및 블럭의 생산비율을 7:3으로 하기 때문에 건조완료된 벽돌 및 블럭을 적재시키는 팔레트도 주로 적재되는 벽돌의 크기에 따라 적절한 크기로 제작하여 사용하게 된다.
이때 벽돌 1장의 크기는 190cm × 90cm × 57cm이므로 팔레트를 1750cm × 1000cm의 크기로 제작할 경우 팔레트의 바닥면에 적재되는 1줄의 벽돌은 144장이 되고, 제1도와 같이 적재된다.
이에 따라, 팔레트에 블럭을 적재할 경우에는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블럭의 크기에 따라 종방향으로 된 2줄의 블럭 일측으로 90°의 위상차를 갖도록 1열의 블럭을 위치시켜야만 벽돌전용 팔레트에 보다 많은 블럭을 적재시킬 수 있게 된다.
이는 블럭을 팔레트상에 적재한 상태에서 야적장에 보관될 때 점유면적을 줄이게 됨은 물론 건설현장으로의 운반에 따른 비용을 줄이게 된다.
첨부도면 제3도는 종래의 벽돌블럭 자동적재기를 나타낸 사시도이고 제4도는 제3도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로써, 성형기(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압축, 성형되어 건조실에서 일정강도를 갖도록 양생된 블럭이 얹혀진 금속재의 판넬을 순차이송시키는 체인콘베어(1)와, 상기 체인콘베어에 얹혀져 이송되어 온 판넬(2) 상부의 블럭(3)을 90°방향전환시키는 제1 푸싱판(4)과, 상기 제1푸싱판에 의해 이송된 블럭이 대기하는 제1 안착판(5)과, 상기 제1 안착판상에 일정 갯수의 블럭이 위치되면 동시에 이를 1, 2차 전진시키는 제2 푸싱판(6)과, 상기 제2 푸싱판에 의해 2줄의 블럭이 동시에 전진됨에 따라 이를 수평이송시키는 수평이송 컨베어(7)와, 상기 수평이송 컨베어에 얹혀져 이송되어 온 블럭을 직각방향으로 방향전환하여 이송시키는 제3 푸싱판(8)과, 상기 제3 푸싱판에 의해 이송되어온 블럭을 팔레트(9)의 적재위치에 따라 180°위상차를 갖도록 회전시킴과 동시에 상부로 상승시키는 턴테이블(10)과, 상기 턴테이블이 상사점에 위치된 상태에서 턴테이블에 얹혀진 블럭을 제2 안착판(17)으로 이송시키는 제 4푸싱판(11)과, 상기 제 4푸싱판에 의해 제2 안착판의 상면으로 이송된 블럭을 팔레트의 상부로 이송시키는 제5 푸싱판(도시는 생략함)과, 상기 팔레트의 상면으로 1층의 블럭이 얹혀짐에 따라 팔레트를 1스탭(블랙 1개의 높이만큼) 하강시키는 팔레트하강수단등으로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건조실에서 양생된 블럭이 금속재의 판넬(2)에 얹혀진 상태로 대차에 적재되어 이송수단(도시는 생략함)에 의해 체인컨베어(1)의 일직선상으로 이송되어 대기하게 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블럭(3)이 얹혀진 판넬(2)을 불리수단이 대차에서 분리하여 체인컨베어(1)상에 얹어 놓은 상태 즉, 제4도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은 상태에서 체인컨베어(1)가 구동하면 상기 블럭(3)이 제1 푸싱판(4)의 일측으로 이송되어 오는데, 이송되는 블럭(3)을 감지수단(포토센서등)이 감지하면 제1 푸싱판(4)을 전진시키는 실린더가 작동하여 판넬(2)에 얹혀진 블럭(3)을 밀게 되므로 판넬(2)상의 블럭(3)이 90°방향전환되어 제1 안착판(5)의 상면에 얹혀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제1 푸싱판(4)이 판넬(2)의 상면에 얹혀진 블럭(3)을 제1 안착판(5)의 상면으로 이송시킬 때는 체인컨베어(1)의 구동은 중단된다.
즉, 감지수단이 블럭(3)의 이송을 감지하여 제1 푸싱판(4)을 전진시키는 실린더를 구동시킬 때 체인컨베어(1)의 이송을 중단하도록 콘트롤부의 회로가 구성되어 있고, 판넬(2)의 상면에 얹혀진 블럭(3)을 제1 푸싱판(4)이 제1 안착판(5)의 상부로 이송시키고 나면 또 다른 감지수단이 제1 푸싱판(4)의 전진을 감지하여 제1 푸싱판을 복원시킴과 동시에 체인컨베어(1)를 다시 이송시키도록 회로가 구성되어 있으므로 동작이 연속적으로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제1 안착판(5)의 상면에 블럭의 크기가 제2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150cm × 390cm인 5개의 블럭(3)이 위치되면 도면상 좌우측에 위치된 블럭을 감지수단이 감지하여 제2 푸싱판(6)을 전진시키는 실린더를 동작시키게 되므로 상기 제2 푸싱판(6)이 (b)와 같이 1줄의 블럭을 1차 전진시키게 된다.
상기 제2 푸싱판의 전진은 제1 센서(12)가 블럭(3)의 선단을 감지할 때가지이고 상기 제1 센서가 블럭의 선단을 감지하면 제2 푸싱판(6)은 초기상태로 복원된다.
상기 동작으로 1차 전진된 블럭(3)은 수평이송 컨베어(7)상에 얹혀지지 않고 제1안착판(5)의 끝단부에 위치하여 다음 1줄의 블럭이 이송될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푸싱판(6)이 1줄의 블럭(3)을 1차 전진시키고 복원하면 진술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체인컨베어(1)에 얹혀져 이송되는 판넬(2)상의 블럭(3)을 제1 푸싱판(4)이 연속적으로 동작하여 제1 안착판(5)의 상면(1차 전진된 블럭의 후단)으로 이송시키게 되므로 감지수단에 의해 제2 푸싱판(6)이 1차 전진시의 스트로크보다 크게 2차 동작하게 된다.
즉, 수평이송 컨베어(7)의 일측에 설치된 제2 센서(13)가 제2 푸싱판(6)에 의해 전진되는 블럭(3)의 선단을 감지할 때까지 제2 푸싱판이 전진하고, 상기 제2 센서(13)가 블럭(3)의 선단을 감지하면 제2 푸싱판(6)은 초기상태로 복원된다.
이에 따라 제2 푸싱판(6)의 1차 전진시 제1 안착판(5)의 끝단부에 위치되어 있던 블럭(3)이 함께 수평이송 컨베어(7)의 상면에 얹혀지게 되므로 2줄의 블럭이 제3 푸싱판(8)의 일측으로 이송된다.
한편, 수평이송 컨베어(7)에 얹혀져 이송되어 오는 블럭(3)은 (d)와 같이 제3 푸싱판(8)의 일측에 고정된 스토퍼(14)에 의해 이송이 제어됨과 동시에 블럭(3)의 후단부가 제3 센서(15)를 통과함에 따라 수평이송 컨베어(7)의 구동은 중단된다.
상기한 바와 같이 5장으로 된 2줄의 블럭(3)이 제3 푸싱판(8)의 일측에 위치되고 나면 작업자가 별도의 판넬에 얹혀진 2장 또는 4장의 블럭(3a)을 수평이송 컨베어(7)상에 얹혀진 2줄의 블럭(3)과 90°위상차를 갖도록 수작업으로 올려 놓게 된다.
이는 블럭 (3)(3a)이 적재되는 벽돌전용 팔레트(9)상에 보다 많은 블럭을 적재하기 위함이다.
그후, 제3 푸싱판(8)을 전진시키는 실린더가 구동하면 수평이송 컨베어(7)에 얹혀진 블럭(3)(3a)이 (d)와 같이 동시에 턴테이블(10)의 상면에 얹혀지게 되므로 턴테이블(10)이 구동실린더의 구동으로 지지봉(16)에 안내된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턴테이블(10)이 상승하여 상사점에 도달하면 제4 푸싱판(11)이 전진하여 턴테이블(10)에 얹혀져 있던 블럭(3)(3a)을 제2 안착판(17)의 상면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시 제3 푸싱판(8)의 전진으로 블럭이 턴테이블(10)의 상면으로 얹혀지고 나면 1번은 턴테이블이 그대로 상승하여 턴테이블에 얹혀진 블럭을 제4 푸싱판(11)이 제2안착판(17)의 상면으로 이송시키고, 다음의 1번은 턴테이블(10)이 구동수단에 의해 180°방향전환한 다음 상승하여 제4 푸싱판(11)이 블럭(3)(3a)을 제2 안착판(17)의 상면으로 이송시킨다. 이는 팔레트(9)의 상면에 한층의 블럭이 적재되고 나면 그 다음에 적재되는 블럭의 위치를 180°회전시켜 적재하여 적재의 안정성을 기여하기 위함이다.
상기 턴테이블(10)이 2번 상승하여 제2 안착판(17)의 상면에 팔레트(9)의 면적과 거의 동일한 면적을 갖는 14장의 블럭(3)(3a)이 이송되어 오면 제5 푸싱판이 전진하여 제2 안착판(17)의 상면에 얹혀진 블럭(3)(3a)을 한꺼번에 팔레트(9)의 상면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 같이 팔레트(9)의 상면에 한층의 블럭(3)(3a)이 얹혀지고 나면 팔레트는 팔레트 하강수단에 의해 1스탭하강하여 새로운 한층의 블럭이 이송되어 오기를 대기하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계속되는 동작으로 팔레트의 상면에 6층의 블럭이 적재되고 나면 취출수단에 의해 팔레트가 적재기의 외부로 취출되므로 지게차가 블럭이 적재된 팔레트를 야적장으로 운반하여 보관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종래의 자동적재기는 벽돌을 적재하는 전용기로 제작되므로 인해 팔레트(9)의 상면에 블럭의 점유면적을 극대화시키기 위해서는 수평이송 컨베어(7)에 얹혀진 상태로 제3 푸싱판(8)의 일직선상으로 블럭(3)이 이송되어 오면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1열 또는 2열의 블럭(3a)을 이송되어 온 블럭(3)의 일측면으로 일일이 위치시켜 놓아야 되었으므로 생산성이 저하되었음은 물론 고가의 인건비가 추가로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종래의 이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한 것으로써, 벽돌 자동적재기를 이용하여 블럭을 적재시 수작업을 하지 않고도 제3 푸싱판의 일직선상으로 이송되어 온 2줄의 블럭일측면으로 90°위상차를 갖도록 또 다른 1열 또는 2열의 블럭을 위치시킬 수 있도록 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형태에 따르면, 수평이송 컨베어의 일측으로 설치되어 제2 푸싱판에 의해 2줄의 블럭이 동시에 이송될 때 일측에 위치된 1열 또는 2열의 블럭이 얹혀져 대기하는 대기판과, 상기 대기판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일측의 블럭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레일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대기판에 얹혀진 1열 또는 2열의 블럭을 수평이송 컨베어상에 얹혀진 블럭의 일측면으로 90°의 위상차를 갖도록 회동시켜 밀착시키는 회동레버와, 상기 회동레버를 동작시키는 회동레버의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벽돌블럭 자동적재기의 벽돌블럭 방향전환장치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형태에 따르면, 제2 푸싱판이 2줄의 블럭을 수평이송 컨베어측으로 동시에 전진시킬 때 일측면에 위치되는 1열 또는 2열의 블럭은 제2 푸싱판에 의해 전진된 상태에서 대기하고 나머지 블럭만 수평이송 컨베어에 얹혀지도록 하는 단계와, 감지수단에 의해 수평이송 컨베어에 얹혀진 2줄의 블럭중 후단의 블럭이 감지되어 수평이송 컨베어가 일시정지하면 제2 푸싱판에 의해 전진된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던 블럭을 수평이송 컨베어에 얹혀진 2줄의 블럭일측면으로 90°위상차를 갖도록 동시에 회동시켜 밀착시키는 단계와, 수평이송 컨베어에 얹혀진 2줄의 블럭일측면으로 90°위상차를 갖도록 1열의 블럭이 밀착됨에 따라 수평이송 컨베어가 다시 구동하여 블럭을 동시에 제3 푸싱판의 일직선상으로 이송시키고 수평이송 컨베어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단계가 차례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블럭 자동적재기의 벽돌블럭 방향전환방법이 제공된다.
이하, 본 발명을 일 실시예로 도시한 첨부된 도면 제5도 내지 제10도를 참고로 하여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첨부도면 제5도는 본 발명의 요부를 나타낸 분해사시도이고 제6도는 제5도의 결합상태 측면도이며 제7도는 본 발명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평면도로써, 본 발명의 구성중 종래의 구성과 동일한 부분은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부호를 부여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제1 안착판(5)의 상면에 얹혀진 1열의 블럭(3)을 제2 푸싱판(6)이 수평이송 컨베어(7)의 상면으로 밀 때 일측에 위치된 1열 또는 2열의 블럭(3a)이 얹혀지도록 수평이송 컨베어(7)의 일측에 위치되는 프레임(18)상에 대기판(19)이 고정되어 있고 상기 대기판(19)에는 제1 푸싱판(4)에 의해 이송되어 오는 블럭(3)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0)이 설치되어 있다.
상기 가이드레일(20)에는 제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복수개의 장공(21)이 형성되어 있고 대기판(19)에는 체결공(22)이 형성되어 있어 체결부재(23)로 가이드레일(20)을 대기판(19)상에 고정하도록 되어 있다.
이는 이송되는 블럭(3)의 규격에 따라 가이드레일(20)의 위치를 적절히 가변시켜 호환성있게 사용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그리고 가이드레일(20)이 설치된 대기판(19)에 축(24)을 중심으로 회동가능하게 회동레버(25)가 설치되어 있어 회동레버 구동수단이 동작됨에 따라 상기 회동레버(25)가 축(24)을 중심으로 회동하게 된다.
상기 회동레버 구동수단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대기판(19)의 하부에 위치된 프레임(18)에 실린더(26)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있고 상기 실린더로드(27)의 선단에는 연결구(28)가 고정되어 있으며 상기 연결구에는 일단이 축(24)에 고정된 링크(29)가 힌지결합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따라서 실린더(26)가 동작하여 실린더로드(27)를 진퇴시킴에 따라 회동레버(25)가 일정구간(약 90°범위)내에서 회동운동하게 된다.
상기 회동레버(25)가 회동되는 범위를 제어하기 위해 링크(29)의 일단에 감지판(30)이 고정되어 있고 프레임(18)상에는 상기 감지판을 검출하는 한쌍의 센서(31a)(31b)가 고정되어 있어 상기 센서가 감지판(30)을 검출함에 따라 실린더(26)의 구동을 제어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26)의 동작에 따라 회동운동하는 회동레버(25)의 초기위치의 일측에는 프레임(18)에 고정되게 스토퍼(32)가 설치되어 있어 회동레버의 복원시 초기위치를 결정하여 주게 된다.
그리고 제1 안착판(5)과 대기판(19)의 높이는 제9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동일하게 되어 있고 블럭(3)을 제3 푸싱판(8)측으로 이송시키는 수평이송 컨베어(7)의 상면은 이들보다 낮게 위치되어 있다.
이는 제2 푸싱판(6)에 의해 2줄의 블럭을 동시에 전진시킬 때 대기판(19)에 얹혀지는 블럭(3a)과 수평이송컨베어(7)의 상면에 얹혀지는 블럭(3)이 용이하게 분리되도록 하기 위함이다.
또한, 제1 안착판(5)에 얹혀진 블럭을 수평이송 컨베어(7)와 대기판(19)으로 전진시키는 제2 푸싱판(6)의 길이는 제10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가이드레일(20)과 일정간격(S)을 갖도록 짧게 형성되어 있고 회동레버(25)는 가이드레일(20)의 외측으로 위치되게 설치되어 있다.
이는 2줄의 블럭(3)을 제2 푸싱판(6)이 동시에 밀때 최우측에 위치된 블럭(가이드레일과 접속되어 있던 블럭)(3a)이 가이드레일(20)을 벗어나는 시점에서 회동레버(25)측으로 벌어지도록 하여 나머지 5열의 블럭(3)이 수평이송 컨베어(7)에 얹혀진 상태로 이송될 때 대기판(19)에 얹혀진 블럭 (3a)과 마찰이 일어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작용, 효과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종래의 자동적재기와 마찬가지로 블럭(3)이 얹혀진 판넬(2)을 체인컨베어(1)상에 얹어 놓은 제7도의 (a)와 같은 상태에서 체인컨베어(1)가 구동하여 상기 블럭(3)이 제1 푸싱판(4)의 일측으로 이송되어 오면 감지수단(포토센서등)이 블럭의 이송을 감지하여 제1 푸상판(4)을 전진시키는 실린더가 작동되므로 판넬(2)상의 블럭(3)이 90°방향전환되어 제1 안착판(5)의 상면에 얹혀지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제1 푸싱판(4)이 판넬(2)의 상면에 얹혀진 블럭(3)을 제1 안착판(5)의 상면으로 이송시킬 때에는 체인컨베어(1)의 구동을 중단하여 체인컨베어상에 얹혀진 나머지 블럭이 대기상태에 있도록 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으로 제1 안착판(5)의 상면에 일정갯수의 블럭이 위치되면 도면상 최우측에 위치된 블럭을 감지수단이 감지하여 제2 푸싱판(6)을 전진시키는 실린더를 동작시키게 되므로 상기 제2 푸싱판(6)이 전진하여 (b)와 같이 1줄의 블럭을 1차 전진시킨 다음 초기상태로 복원하는데, 이는 제2 푸싱판(6)의 전진으로 1줄의 블럭이 전진할 때 제1 안착판(5)의 일측에 설치된 제1 센서(12)가 블럭의 선단을 감지하여 제2 푸싱판(6)을 초기상태로 복원시키므로 가능하게 된다.
상기 동작으로 1차 전진된 블럭은 수평이송 컨베어(7)상에 얹혀지지 않고 제1 안착판(5)의 끝단부에 위치하여 다음 1줄의 블럭이 이송될 때까지 대기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제2 푸싱판(6)이 1줄의 블럭을 1차 전진시키고 복원하면 전술한 바와같은 동작으로 체인컨베어(1)에 얹혀져 이송되는 판넬(2)상의 블럭(3)을 제1 푸싱판(4)이 전진하여 제1 안착판(5)의 상면(1차 전진된 블럭의 후단)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 블럭의 이송을 감지수단이 감지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푸싱판(6)이 전진하여 2줄의 블럭을 동시에 전진시키게 되는데, 이와 같이 제2 푸싱판(6)이 2차 전진할 때에는 제1 센서(12)가 1차 전진된 블럭에 의해 가려져 제2 푸싱판(6)의 전진을 감지하지 못하게 되므로 제2 푸싱판(6)은 제2 센서(13)가 선단의 블럭(3)을 감지할 때까지 전진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2 푸싱판(6)의 1차 전진시 제1 안착판(5)의 끝단부에 위치되어 있던 블럭이 함께 수평이송 컨베어(7)의 상면에 얹혀지게 되므로 2줄의 블럭중 5열의 블럭(3)은 제3 푸싱판(8)측으로 이송되지만, 최우측에 위치된 1열의 블럭(3a)은 (c)와 같이 회동레버(25)의 일측에 위치되는 대기판(19)에 얹혀져 대기상태에 있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이 제2 푸싱판(6)이 제1 안착판(5)에 얹혀진 2줄의 블럭(3)을 동시에 전진시킬 때 제9도 및 제10도에 나타낸 바와같이 제2 푸싱판(6)의 길이가 가이드레일(20)과 일전간격(S) 유지되게 짧게 형성되어 있고 제1 안착판(5)과 대기판(19)은 수평이송 컨베어(7)의 높이보다 높게 형성되어 있으므로 수평이송 컨베어(7)에 얹혀진 5열의 블럭(3)은 대기판(19)측으로 전진되는 1열의 블럭(3a)과 분리되어 용이하게 이송된다.
또한, 최우측에 위치되어 대기판(19)을 따라 전진하는 블럭(3a)은 제2 푸싱판(6)의 길이가 짧아 일측면을 밀더라도 가이드레일(20)과 접속된 상태로 전진시에는 나머지 블럭(3)과 수평되게 나란히 전진되지만, 가이드레일(20)을 벗어나는 시점에서는 제2 푸싱판(6)이 일측면을 밀기 때문에 회동레버(25)측으로 벌어지게 되므로 수평이송 컨베어(7)에 얹혀져 이송되는 블럭과 마찰등의 간섭을 일으키지 않게 된다.
그후, 제2 푸싱판(6)의 전진으로 수평이송 컨베어(7)에 얹혀져 이송되는 블럭(3)이 일측에 고정된 제3 센서(15)를 통과함을 상기 제3 센서가 감지하면 수평이송 컨베어(7)의 구동을 일시정지시킴과 동시에 회동레버(25)의 구동수단인 실린더(26)를 동작시키게 된다.
제8도의 (a)에 도시한 바와같이 위치되어 있던 실린더(26)가 구동하여 실린더로드(27)를 잡아 당기면 상기 연결구(28)에 결합된 링크(29)가 축(24)을 중심으로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축에 고정된 회동레버(25)도 시계방향으로 회전하면서 대기판(19)상에 위치된 1열의 블럭(3a)을 (d)와 같이 수평이송 컨베어(7)상에 얹혀져 이송을 일단중지하고 있는 블럭(3)의 일측면으로 접속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같은 동작시 회동레버(25)가 90°회전하여 대기판(19)에 얹혀져 있던 블럭(3a)을 수평이송 컨베어(7)상에 얹혀져 있던 블럭(3)측으로 회동시키면 링크(29)의 일단에 고정된 감지판(30)을 프레임(18)에 고정된 센서(31b)가 감지하여 실린더로드(27)의 당김동작을 중단함과 동시에 실린더로드(27)을 다시 전진시켜 회동레버(25)를 초기상태로 환원시키는데, 상기 회동레버를 초기위치로 환원시키는 것은 프레임(18)에 고정된 또 다른 센서(31a)가 감지판(30)을 검출하므로써 가능하게 된다.
상기 실린더로드(27)의 전진으로 회동레버(25)가 초기상태로 환원될 때에는 프레임(18)상에 고정된 스토퍼(32)에 회동레버(25)의 일측이 접속되므로 복원위치가 제어된다.
이와같은 동작으로 이송이 일시중단된 수평이송 컨베어(7)상에 얹혀져 있던 2줄로된 5열의 블럭(3)일측면으로 1열의 블럭(3a)을 90°위상차를 갖도록 회동시키고 나면 정지되었던 수평이송 컨베어(7)가 다시 이송되므로 상면에 얹혀져 있던 블럭(3)(3a)이 동시에 제3 푸싱판(8)의 일직선상으로 이송되고 상기 블럭이 제3 푸싱판(8)의 일측에 고정된 스토퍼(14)에 의해 이송이 제어되면 수평이송 컨베어(7)의 구동은 중단된다.
그후, 종래의 자동적재기와 마찬가지로 제3 푸싱판(8)을 전진시키는 실린더가 구동하면 수평이송 컨베어(7)에 얹혀진 블럭(3)(3a)이 (e)와 같이 동시에 턴테이블(10)의 상면에 얹혀지게 되므로 턴테이블(10)이 구동실린더의 구동으로 지지봉(16)에 안내된 상태로 상승하게 된다. 이와 같이 턴테이블(10)이 상승하여 상사점에 도달하면 제4 푸싱판(11)이 전진하여 턴테이블(10)에 얹혀져 있던 블럭(3)(3a)을 제2 안착판(17)의 상면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상기한 바와 같은 동작시 제3 푸싱판(8)의 전진으로 블럭이 턴테이블(10)의 상면으로 얹혀짐에 따라 1번은 턴테이블이 그대로 상승하여 턴테이블에 얹혀진 블럭을 제4 푸싱판(11)이 제2 안착판(17)의 상면으로 이송시키고, 다음의 1번은 턴테이블(10)이 구동수단에 의해 180°방향전환 한 다음 상승하여 제4 푸싱판(11)이 블럭(3)(3a)을 제2 안착판(17)의 상면으로 이송시킨다. 상기 턴테이블(10)이 2번 상승하여 제2 안착판(17)의 상면에 팔레트(9)의 면적과 거의 동일한 면적을 갖는 14장의 블럭(3)(3a)이 이송되어 오고 나면 제5 푸싱판이 전진하여 제2 안착판(17)의 상면에 얹혀진 블럭(3)(3a)을 한꺼번에 팔레트(9)의 상면으로 이송시키게 된다.
이와같은 팔레트(9)의 상면에 한층의 블럭(3)(3a)이 얹혀지고 나면 팔레트는 팔레트하강수단에 의해 1스탭하강하여 새로운 한층의 블럭이 이송되어 오기를 대기하게 된다.
상기와 바와같은 계속되는 동작으로 팔레트의 상면에 6층의 블럭이 적재되고 나면 취출수단에 의해 팔레트가 적재기의 외부로 취출되므로 지게차가 블럭이 적재된 팔레트를 야적장으로 운반하여 보관하게 되는 것이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은 벽돌전용 팔레트상에 블럭을 자동으로 적재시킬 때 블럭의 진행방향과 90°위상차를 갖도록 1열의 블럭을 회동시키도록 되어 있으므로 블럭이 제3 푸싱판의 일직선상에 위치된 상태에서 별도의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블럭을 채워 넣을 필요가 없게 되므로 고가의 인건비를 줄이게 됨은 물론 거기의 완전자동화실현이 가능해지게 되므로 생산성을 극대화시키게 되는 효과를 얻게 된다.
또한, 가이드레일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있도록 되어 있으므로 블럭의 규격에 구애받지 않고 호환성있게 적용가능하게 된다.

Claims (7)

  1. 수평이송 컨베어(7)의 일측으로 설치되어 제2 푸싱판(6)에 의해 2줄의 블럭(3)이 이송될 때 일측에 위치된 1열 또는 2열의 블럭(3a)이 얹혀지는 대기판(19)과, 상기 대기판에 설치되어 이송되는 2줄의 블럭을 가이드하는 가이드레일(20)과, 상기 가이드레일의 일측으로 회동가능하게 설치되어 대기판에 얹혀진 1열 또는 2열의 블럭(3a)을 수평이송 컨베어(7)상에 얹혀진 블럭(3)의 일측면으로 90°의 위상차를 갖도록 밀착시키는 회동레버(25)와, 상기 회동레버를 동작시키는 회동레버 구동수단으로 구성된 벽돌블럭 자동적제기의 벽돌블럭 방향전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프레임(18)에 회동레버(25)의 복원위치를 제어하는 스토퍼(32)를 설치하여서 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블럭 자동적재기의 벽돌블럭 방향전환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회동레버 구동수단은 대기판(19)의 하부에 위치된 프레임(18)상에 회동가능하게 설치된 실린더(26)와, 상기 실린더로드(27)의 선단에 고정된 연결구(28)와, 상기 연결구에 일단이 체결부재로 결합되고 다른 일단을 회동레버(25)의 축(24)에 고정된 링크(29)로 구성되어 실린더(26)가 동작하여 로드를 진퇴시킴에 따라 축(24)과 고정된 회동레버(25)가 회동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블럭 자동적재기의 벽돌블럭 방향전환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링크(29)의 일단에 감지판(30)을 고정하고 프레임(18)에는 한쌍의 센서(31a)(31b)를 고정하여 상기 센서가 감지판(30)을 검출함에 따라 실린더(26)의 동작이 제어되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블럭 자동적재기의 벽돌블럭 방향전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제1 안착판(5)과 대기판(19)의 높이는 동일하게 하고 블럭(3)을 이송시키는 수평이송 컨베어(7)는 상기 제1 안착판(5)과 대기판(19)의 높이보다 약간 낮게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블럭 자동적재기의 벽돌블럭 방향전환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제2 푸싱판(6)의 길이를 가이드레일(20)과 일정간격(S)을 갖도록 짧게 형성하고 회동레버(25)는 상기 가이드레일의 외측으로 위치되게 설치하여 상기 제2 푸싱판(6)이 대기판(19)으로 이송되는 블럭(3a)의 일측면을 밀 때 대기판(19)으로 이송되는 블럭(3a0)이 회동레버(25)측으로 벌어지도록 함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블럭 자동적재기의 벽돌블럭 방향전환장치.
  7. 제2 푸싱판(6)이 2줄의 블럭(3)을 수평이송 컨베어(7)측으로 동시에 전진시킬 때 일측면에 위치되는 1열 또는 2열의 블럭(3a)은 제2 푸싱판(6)에 의해 전진된 상태에서 대기하고 나머지 블럭(3)만 수평이송 컨베어(7)에 얹혀지도록 하는 단계와, 감지수단에 의해 수평이송 컨베어(7)에 얹혀진 2줄의 블럭(3)중 선단의 블럭이 감지되어 수평이송 컨베어(7)가 일시정지하면 제2 푸싱판(6)에 의해 전진된 상태에서 대기하고 있던 블럭(3a)을 수평이송 컨베어(7)에 얹혀진 2줄의 블럭(3)일측면으로 90° 위상차를 갖도록 동시에 회동시켜 밀착시키는 단계와, 수평이송 컨베어(7)에 얹혀진 2줄의 블럭(3)일측면으로 90°위상차를 갖도록 1열의 블럭(3a)이 밀착됨에 따라 수평이송 컨베어(7)가 다시 구동하여 블럭(3)(3a)을 동시에 제3 푸싱판(8)의 일직선상으로 이송시키고 수평이송 컨베어(7)의 구동을 중단시키는 단계가 차례로 수행됨을 특징으로 하는 벽돌블럭 자동적재기의 벽돌블럭 방향전환방법.
KR1019950014839A 1995-06-05 1995-06-05 벽돌블럭 자동적재기의 벽돌블럭 방향전환장치 및 방법 KR0153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4839A KR0153868B1 (ko) 1995-06-05 1995-06-05 벽돌블럭 자동적재기의 벽돌블럭 방향전환장치 및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950014839A KR0153868B1 (ko) 1995-06-05 1995-06-05 벽돌블럭 자동적재기의 벽돌블럭 방향전환장치 및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175A KR970001175A (ko) 1997-01-21
KR0153868B1 true KR0153868B1 (ko) 1998-11-16

Family

ID=194165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50014839A KR0153868B1 (ko) 1995-06-05 1995-06-05 벽돌블럭 자동적재기의 벽돌블럭 방향전환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015386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596A (ko) 2017-03-22 2018-10-02 신동수 블록 조적위치 전환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06201B2 (ja) * 1997-09-30 2003-05-12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JP3411211B2 (ja) * 1998-03-27 2003-05-26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使い捨ておむつ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07596A (ko) 2017-03-22 2018-10-02 신동수 블록 조적위치 전환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70001175A (ko) 1997-01-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3895443B2 (ja) 自動倉庫
US5360306A (en) Delivering apparatus using parallel conveyor system and shipping apparatus employed by the delivering apparatus
US5042862A (en) Gripping device
JP3546217B2 (ja) 物品移載装置
EP2468662B1 (en) Article transfer device and stacker crane with same
US3986620A (en) Palletizing apparatus for piece goods
EP0960843A2 (en) Depalletizer collector belt assembly
JPH10212030A (ja) パレットの積み重ね装置
KR0153868B1 (ko) 벽돌블럭 자동적재기의 벽돌블럭 방향전환장치 및 방법
GB2276874A (en) System for storage,retrieval and supply of steel plates
JP2017030884A (ja) パレット分離設備
JPH1045210A (ja) スタッカクレーン
JP2603444Y2 (ja) パレットコンベヤ装置
JP3568020B2 (ja) スラットコンベヤ
KR920006660B1 (ko) 프레스의 소재 자동공급 장치
JP2727911B2 (ja) パレット搬送装置
JP3830406B2 (ja) スタッカクレーンの停止制御装置
JP3292287B2 (ja) 物品移載装置
JPH0617763Y2 (ja) 回転式物品収納庫
KR930009893A (ko) 벽돌 적재장치
JP3319570B2 (ja) 物品移載装置
KR920006571Y1 (ko) 벽돌자동적재기의 벽돌전복방지장치
JP3528227B2 (ja) トンネル炉用処理品引離装置
JPS61178305A (ja) 板材の供給システム
JPH04341409A (ja) 搬送物の位置修正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20507

Year of fee payment: 1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613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