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8267B1 -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8267B1
KR0148267B1 KR1019900010548A KR900010548A KR0148267B1 KR 0148267 B1 KR0148267 B1 KR 0148267B1 KR 1019900010548 A KR1019900010548 A KR 1019900010548A KR 900010548 A KR900010548 A KR 900010548A KR 0148267 B1 KR0148267 B1 KR 01482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ntrol
fuel
amount
control valve
control amou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105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10003245A (ko
Inventor
다까시 시라이시
Original Assignee
미다 가쓰시게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다 가쓰시게, 가부시기가이샤 히다찌 세이사꾸쇼 filed Critical 미다 가쓰시게
Publication of KR91000324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324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82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82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MSUPPLYING COMBUSTION ENGINES IN GENERAL WITH COMBUSTIBLE MIXTURES OR CONSTITUENTS THEREOF
    • F02M25/00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 F02M25/08Engine-pertinent apparatus for adding non-fuel substances or small quantities of secondary fuel to combustion-air, main fuel or fuel-air mixture adding fuel vapours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25Controlling engines characterised by use of non-liquid fuels, pluralities of fuels, or non-fuel substances added to the combustible mixtures
    • F02D41/003Adding fuel vapours, e.g. drawn from engine fuel reservoir
    • F02D41/0032Controlling the purging of the canister as a function of the engine operating conditions
    • F02D41/004Control of the valve or purge actuator, e.g. duty cycle, closed loop control of posi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upplying Secondary Fuel Or The Like To Fuel, Air Or Fuel-Air Mixtur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Air Or Fuel Supplied To Internal-Combustion Engin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연료탱크 내에서 발생하는 증발연료를 신속하게 연소처리할 수 있음과 동시에, 증발연료의 공연비 제어에의 영향을 억제할 수 있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연료탱크와 이 연료탱크의 증발연료를 흡기통로에 인도하는 적어도 제1, 제2의 연료 공급통로와, 이 연료공급통로에 설치되어 증발연료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1, 제2의 제어밸브와, 엔진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제1의 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제1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제1의 제어량 결정수단과, 상기 제1의 제어량에 의거하여 상기 제2의 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제2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제2의 제어량 결정수단을 제공한다.

Description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제1도는 본 발명의 시스템 구성도.
제2도는 제어 유닛의 상세를 나타낸 블럭도.
제3도 및 제4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낸 타임챠트도.
제6도 및 제7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도이다.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에어 클리너 3 : 드로틀 밸브
4 : 흡기량 센서 5,6 : 제어 밸브
7 : 흡기관(드로틀밸브) 8 : 실린더
9 : 배기 센서 10 : 제어 유닛
11 : 배기관 12 : 연로 분사 밸브
13 : 연료 탱크 14 : 통(canister)
15 : 증발 연료 공급 통로 16 : 증기 연료 공급 통로
18 : 터보 챠저 21 : 배터리 전압센서
22 : 엔진수온센서 23 : 대기온 센서
24 : 아이들링 설정치 센서 25 : 드로틀 개방도 센서
26 : 크랭크각 센서 27 : ROM
28 : CPU 29 : RAM
30 : 입력회로 32 : 필스 정형회로
33 : 인젝터 레지스터 34 : 밸브 1 레지스터
35 : 밸브 2 레지스터 36 : I/O
301 : 멀티플랙서 302 : AD 변환기
303, 312 : 레지스터
본 발명은 복수의 증발연료 공급 통로를 구비한 내연기관의 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자동차에는 연료를 보존하기 위한 연료탱크가 구비되어 있으나, 이 연료탱크 속에서는 연료가 증발하여 증발연료가 발생한다. 이 연료 탱크중에 발생하는 증발연료는 대기중에 방출하면 유해하므로, 증발연료 공급통로를 거쳐, 흡기 통로에 인도하도록 한다. 증발연료는 다시 내연기관의 실린더 내에 도입되어 연소처리 된다.
그런데, 내연기관의 제어에 있어서는 인젝터 등의 주로 연료를 공급하는 장치로 부터의 연료공급량을 조정하여 공연비를 목표 공연비의 근방으로 유지하고 있다.
그러나, 흡기통로에 인도되는 증발연료가 엔진의 운전상태와의 관계로 제어되지 않으면 공연비가 목표치로부터 크게 벗어나 버리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연료탱크내에서 발생하는 증발연료를 신속하게 연소처리할수 있음과 동시에, 증발연료의 공연비 제어에의 영향을 억제할 수가 있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서는, 연료탱크와, 상기 연료탱크의 증발연료를 흡기통로에 인도하는 적어도 제1, 제2의 연료공급통로와, 상기 제1, 제2의 연료공급통로에 설치되어 증발연료의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1, 제2의 제어밸브와, 엔진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제1의 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제1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제1의 제어량 결정수단과, 상기 제1의 제어량에 의거하여 상기 제2의 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제2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제2의 제어량 결정수단을 구비하였다.
상기 구성에 의하여, 엔진의 운전 상태에 관련시켜 증발연료를 공급하고 있으므로, 배기가스의 상태의 악화를 적게하고, 또 증발연료를 신속하게 처리할 수가 있다.
또, 이하에 설명하는 구체적인 제1의 실시예(제3도 및 제4도) 및 제2의 실시예(제5도 및 제6도)에 있어서는 다음의 효과가 있다. 즉 제1의 연료공급통로로 부터의 증발연료의 공급은, 엔진상태에 따라 가장 효율이 좋게 할 수가 있다. 이를 위하여 제1의 연료공급통로로 부터의 증발 연료의 공급에 의한 공연비에의 영향을 제2의 연료공급통로로 부터의 증발 연료를 제어함으로서 억제할 수가 있게 된다.
이하 본 발명의 일실시예를 도면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1도에는 시스템 구성도가 도시되어 있다.도면에 있어서 흡입공기는 에어 클리너(1)로부터 터어보챠저(18)로 흡입되고 흡기관(7)을 통하여 실린더(8)에 공급된다. 흡입공기량은 드로틀 밸브(3)에 의하여 제어된다. 흡입공기량은 흡기량센서(4)에 의하여 검출되고, 그 출력은 제어유닛(10)에 입력된다.
한편, 연료는 연료탱크(13)로부터 인도되어, 인젝터(12)에 의하여 흡기관(7)에 공급된다. 또, 연료탱크(13)에 발생한 증발연료는 증발 연료 공급통로(15)에 설치된 제어밸브(5)를 통하여 터어보챠저의 상류에 공급된다. 또 캐니스터(canister)에 일시적으로 유지된 증발연료는 증기연료 공급통로(16)에 설치된 제어밸브(6)를 통하여 마찬가지로 터어보챠저의 상류에 공급된다.
한편 터어보챠저를 가지고 있지 않은 시스템에서는 점선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드로틀 밸브(7)의 하류에 공급된다.
연료 분사 밸브(12)로부터 흡기관(7)에 공급된 연료는 흡입공기와 혼합되어 혼합기가 되어 실린더(8)에 공급된다. 혼합기는 압축되어 폭발한 후에 배기관(11)으로부터 대기중에 방출된다. 배기관(11)에는 공연비를 검출하기 위한 배기센서(9)가 설치되어 있고, 그 출력은 제어 유닛(10)에 입력된다.
제2도는 제어유닛(10)의 상세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제어유닛(10)은 ROM(27), CPU(28), RAM(29), I/O(36)로 구성되어 있다.
배터리 전압을 검출하는 배터리 전압 센서(21), 엔진수온을 검출하는 엔진 수온센서(22), 대기온을 검출하는 대기온 센서(23),아이들링 회전수의 설정치를 결정하는 가변저항의 저항치를 검출하는 설정치 검출센서(24), 드로틀 밸브(3)의 개방도를 검출하는 드로틀 개방도센서(25), 배기센서(9)의 출력은 입력회로(30), 입력회로(31)를 거쳐 CPU(28)에 입력된다.
여기서, 센서(21∼25, 9)의 출력은 멀티 플랙서(301)에 의하여 선택되고, AD 변환기(302)에서 디지탈 값으로 변환되어 레지스터(303)에 유지된다. 또, 흡기량센서(4)의 출력은, AD변환기(310)에 의하여 디지탈 값으로 변환되어 레지스터(312)에 유지된다. 크랭크각센서(26)는, 기통신호(REF) 및 각도신호(POS)의 2개의 신호를 발생한다. 크랭크각센서(26)의 출력은 펄스파 정형회로(32)를 거쳐 CPU에 입력된다. CPU(28) ROM(27) 에 격납되어 있는 프로그램에 따라, I/O(36)로 부터의 정보를 거두어 들여 연산처리 한다. 또한 연산을 위한 일시적인 데이터는 RAM(29)에 유지된다.
CPU(28)의 연산치는 인젝터 레지스터(33), 밸브1 레지스터(34) 및 밸브2 레지스터(35)에 세트되고, 이 연산치에 의거하여 인젝터(12), 제어밸브(5) 및 제어밸브(6)가 제어된다.
밸브 1 레지스터(34) 및 밸브 2 레지스터(35)는, 모두 밸브의 개폐주기를 보유하는 레지스터(321, 322) 및 밸브의 개폐듀티치(개방시간)을 보유하는 레지스터(331, 332)를 구비하고 있다.
또, CPU(28)는 배기센서(9)의 출력에 의거하여, 인젝터(12)로 부터의 연료공급량을 피이드백 제어하여, 공연비를 목표치로 유지한다.
다음에 CPU(28)가 행하는 제어밸브(5) 및 제어밸브(6)의 처리 내용을 제3도 및 제4도의 플로우 챠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제어밸브(5)는 듀티제어밸브이고, 제어밸브(6)는 온-오프 제어밸브를 사용하고 있다.
먼저, 제3도의 프로우 챠트를 사용하여, 연료탱크(13)로 부터 인도되는 연료를 제어하는 제어밸브(5)의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플로우 챠트에 표시되는 제어는 100ms마다 실행된다. 먼저, 스탭(102)에서 엔진 회전중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엔진 회전중이 아닐때에 연료를 공급하면, 연소하지 않고 남는 연료가 실린더 내에 괴어버려 재시동시에 시동하기 어렵게 된다. 그러므로 회전중이 아니면, 스탭(124)에서 제어밸브(5)의 듀티를 0으로 하여 제어밸브(5)를 폐쇄한 상태로 한다. 듀티를 0으로 하면 연료탱크(13)로 부터의 증발연료가 흡기관(7)에 도입되지 않는다. 엔진회전중이면 스탭(104)으로 진행한다. 스탭(104)에서 배기 가스 센서(9)의 출력에 의거하여 공연비를 목표치에 유지하도록, 연료 공급량을 피이드백 제어한다(이하 O2피이드백이라 함). O2피이드백중이 아니면, 공급연료는 오픈 루우프에 의하여 결정된다. 오픈 루우프에서는, 연료탱크(13)로 부터의 증발연료를 실린더에 공급하면, 공연비가 제어되지 않는다. O₂피이드 백중이 아니면 스탭(124)에서 제어밸브(5)의 듀티를 영으로한다. 즉, 제어밸브(5)를 폐쇄하여 버린다. 스탭(104)에서 O2피이드백 중이면 스탭(106)으로 진행한다.
스탭(106)에서, O2피이드 백 개시후 소정시간(a초) 경과 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O₂피이드 백 개시부터 소정시간 경과하고 있지 않으면 O2피이드 백에 의한 공연비 제어가 충분히 기능하고 있지 않을 가능성이 있고, 이와 같은 상태에서 연료탱크의 증발연료를 공급하면 더욱 공연비가 치우쳐 버린다. O2피이드 백 개시로부터 소정시간 경과하고 있지 않으면 스탭(124)에서 제어밸브(5)의 듀티를 영으로 한다. 또 소정시간 경과하고 있으면 스탭(108)으로 진행한다.
스탭(108)에서, 연료커트 중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연료 커트는 감속 상태 일때에 행해지는 것이다. 그러므로 연료 커트시에는 연료를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탭(124)에서 제어밸브(5)의 듀티를 영으로 한다. 연료커트 중이 아니면 스탭(110)으로 진행한다.
스탭(110)에서 배기센서의 출력에 의거하여 공연비를 목표의 공연비로 유지하는 O2피이드백 제어에 관한 공급 연료량의 보정계수인 λ제어량이 소정범위로부터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소정범위를 벗어나 있는 경우는 연료탱크로 부터의 증발 연료가 과다하여 O2피이드 백 제어가 정상으로 행해지고 있지 않은 가능성이 있으므로, 스탭(122)에서 제어밸브(5)의 듀티를 전회의 듀티 보다도 소정량 β만큼 감소시켜, 제어밸브(5)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제어한다.
λ제어치가 소정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지 않으면 스탭(112)으로 진행한다.
스탭(112)에서, 출력 듀티가 MAP치 보다 큰가 여부가 판단을 한다. 이 MAP치는 후술하겠으나, 엔진 회전수 및 엔진 부하와 같은 엔진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량을 상태량을 나타내는 것에 의거하여 결정되며, 각각의 엔진상태에 따른 제어밸브(5)의 듀티를 나타내고 있다. 또한 후술하겠으나, 스탭(132)에서는, 제어밸브(6)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을때에, 공연비가 희박이되지 않도록, 출력 듀티를 MAP치 보다 소정치(γ)만큼 커지도록 처리한다. 출력 듀티가 MAP치 보다 크면, 듀티를 서서히 MAP치에 복귀하도록 스탭(118)에서 전회의 출력 듀티 보다도 소정치(α)만큼 감소시켜, 제어밸브(5)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제어한다. 출력듀티가 MAP치보다 크지 않으면 스탭(114)에 진행한다.
스탭(114)에서 제어밸브(5)의 듀티가 MAP치에 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또한, 제어밸브(5)의 듀티는 스탭(124) 및 후술하는 스탭(132)에서 영으로 된다. 제어밸브(5)의 듀티가 MAP치에 달하고 있지 않으면, 서서히 듀티를 MAP치에 복귀시키기 위하여 스탭(120)에서, 전회 듀티에 소정치(α)만큼 증가시켜, 제어밸브(5)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제어한다. 출력 듀티가 MAP치에 달하고 있으면 스탭(116)에서 제어밸브(5)의 듀티를 MAP치로하여 스탭(126)으로 진행한다. 또한, 이 MAP치는, 미리 ROM(27)내에 엔진회전수 및 부하에 따라 기억되어 있다.
여기서, 이 플로우 챠트의 실행에 의한 듀티의 증감에 관련되는 소정치(α,β)는, 다음과 같이 설정된다. 즉, 증발연료의 공급이 가장 커졌을때도, 이 듀티의 증감에 의한 공연비의 변동이,O2피이드백에 의한 공연비의 변동보다 작아지도록 한다. 이와 같이 소정치(α,β)를 설정함으로, 증발 연료의 공급상태가 어떠한 경우에도 O2피이드 백에 의한 공연비 제어를 가능하게 하고 있다.
스탭(126) 내지 스탭(132)은 제어밸브(6)의 개폐에 따른 제어밸브(5)의 제어이다. 또한, 제어밸브(6)에 관해서는, 뒤에 제4도의 플로우 챠트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여기서 간단하게 그 동작에 대하여 설명하면, 제어밸브(6)는, 온-오프제어이고, 엔진 상태에 따라 온 또는 오프하는 것이다. 먼저, 스탭(126)에서 제어밸브(6)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밸브(6)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면, 제어밸브(6)에 의한 증발 연료의 공급이 있었던 것이 없어지고, 지금까지 균형을 이루고 있던 공연비가 무너져, 연료가 부족이 되어 공연비가 희박이 된다. 공연비가 희박이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탭(132)에서 제어밸브(5)의 듀티를 소정치(γ)만큼 증가시키고, 제어밸브(5)를 개방방향으로 제어하여, 제어밸브(5)로부터 공급하는 증발 연료를 증가시킨다. 스탭(132)의 조작을 하는 스탭(134)에 진행한다. 스탭(126)에서 제어밸브(6)가 온으로부터 오프로 전환되어 있지 않으면 스탭(128)으로 진행한다.
스탭(128)에서 제어밸브(6)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밸브(6)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면 제어밸브(6)에 의한 증발 연료의 공급이 없었던 것이 공급되게 되어, 지금까지 균형을 이루고 있던공연비가 무너져 연료가 과잉이 된다.
공연비가 농후가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스탭(130)에서 제어밸브(5)의 듀티를 영으로하여 제어밸브(5)를 폐쇄하고, 제어밸브(5)에 의한 증발 연료의 공급을 중지하는 스탭(130)의 조작후에 스탭(134)으로 진행한다. 또, 스탭(128)에서 제어밸브(6)가 오프로부터 온으로 전환되어 있지 않으면 스탭(134)으로 진행한다. 최후로, 스탭(134)에서 연산에 의하여 얻어진 듀티치를 밸브 1 레지스터(34)의 레지스터(321)에 세트하고, 이 플로우의 실행을 종료한다.
다음에 제어밸브(6)의 동작을 제4도의 플로우 챠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플로우 챠트에 표시되는 동작은 100msec마다 실행된다.
먼저 스탭(402)에서, 제어밸브(5)의 듀티가 영인지 여부가 판단된다. 제어밸브(5)의 듀티가 영이면 증발연료의 공급을 하지 아니해야될 상태이므로, 제어밸브(5)로 부터의 증발 연료의 공급을 행하지 않도록, 스탭(412)에서 제어밸브(6)를 폐쇄하여, 이 플로우를 종료한다. 제어밸브(5)의 듀티가 영이 아니면 스탭(404)으로 진행한다.
스탭(404)에서 엔진회전수가 소정치(X)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엔진회전수가 작은 경우에는, 적은 증발연료의 공급이더라도 공연비에 미치는 영향이 크므로 스탭(412)에서 제어밸브(6)를 폐쇄하여, 플로우를 종료한다. 엔진회전수가 소정치(X) 이상이면 스탭(406)으로 진행한다. 스탭(406)에서 부하가 소정치(z) 이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엔진부하가 작을때는 인젝터로부터 공급되는 연료량도 적으므로, 증발연료의 공급에 의한 공연비에의 영향이 크다. 그러므로 스탭(412)에서 제어밸브(6)를 폐쇄하여 플로우를 종료한다. 부하가 소정치(z)이상이면, 스탭(408)으로 진행한다.
스탭(408)에서 O2피이드백에 관한 공급연료의 보정계수인λ 제어량이 소정 범위로부터 벗어났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벗어나 있으면 O2피이드백을 적절하게 기능시키기 위하여 스탭(412)에서 제어밸브(6)를 폐쇄하고 이 플로우를 종료한다. 또 λ제어량이 소정범위로부터 벗어나 있지 않으면 제어밸브(6)를 개방하고 이 플로우의 실행을 종료한다.
또한, 제어밸브(6)를 온·오프 밸브로 했을 경우에는, 밸브 2레지스터(35)에 1 또는 0이 기입되었을때에, 제어밸브(6)가 온·오프 되도록 구성한다. 이 경우, 밸브 레지스터(35)의 레지스터(332)는 사용하지 않고, 레지스터(331)만을 사용하게 된다.
이상, 제어밸브(5) 및 제어밸브(6)의 동작을 플로우챠트도를 사용하여 설명하였다. 다시 이 동작에 대하여 타이밍 챠트도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제5도에 있어서, a점까지는 제어밸브(6)는 폐쇄한 상태이고, 제어밸브(5)는 엔진상태에 따른 MAP치로 점차 옮겨간다. 그후, a점에서 제어밸브(6)가 폐쇄된 상태로부터 개방된 상태로 변화하면, 제어밸브(5)는 듀티가 영 즉, 완전히 폐쇄된 상태가 된다. 그후, 제어밸브(5)는 α씩 듀티를 증가시켜, 서서히 MAP치에 가까워져 간다. 제어밸브(5)의 듀티가 MAP치에 달하고, 엔진상태에 따른 MAP치로 점차 옮겨간 후에, 점 b에서 제어밸브(6)가 개방된 상태로부터 폐쇄된 상태로 변화하면, 제어밸브(5)의 듀티를 MAP치 보다 γ만큼 증가시키고, 그후 α씩 감소시켜 서서히 MAP치에 근접시켜간다. 그리고, 제어밸브(5)의 듀티가 MAP치에 달하면, 엔진상태에 따른 MAP치로 점차 옮겨간다.
다시, 점 c에서 제어밸브(6)가 폐쇄된 상태로부터 개방된 상태로 변화하면, 점 a와 마찬가지로, 제어밸브(6)의 듀티를 영으로 한후에 서서히 증가시켜 간다. 여기서, c₁점에서 λ제어장치가 소정의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으면, 제어밸브(5) 듀티는 β씩 감소시킨다. 점 d에서 제어밸브(6)가 개방된 상태로부터 폐쇄된 상태로 변화하면, 점 b와 마찬가지로 MAP치 보다 γ만큼 증가시킨 듀티로 한다. 또한 이 실시예에서는, 제어밸브(5)를 온-오프 제어하여, 제어밸브(6)를 듀티제어로 해도 좋다.
다음에, 제2의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2의 실시예의 구성은, 제어밸브(5) 및 제어밸브(6)가 모두 듀티제어 밸브로 구성되어 있는 점을 제외하고는 제1의 실시예와 동일하다.
먼저, 제어밸브(5)의 동작에 대하여 제6도의 플로우 챠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이 플로우 챠트에 표시되는 동작은 100msec마다 기동된다.
스탭(602)에서 엔진 회전중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엔진회전중이 아니면, 엔진에 연료를 공급할 필요가 없으므로, 스탭(612)에서 듀티를 영으로하여 제어밸브(5)를 폐쇄한 상태로 하고, 플로우를 종료한다. 엔진회전중이면 스탭(604)으로 진행한다.
스탭(604)에서, O2피이드 백 중인가의 여부를 판단한다. O₂피이드백중이 아니면 오픈 루프이고, 증발 연료를 공급하면 공연비가 변화하므로, 스탭(614)에서 듀티를 영으로하여 제어밸브(5)를 폐쇄한 상태로하여 플로우를 종료한다. O₂피이드백중이면 스탭(606)으로 진행한다.
스탭(606)에서, O₂피이드 백 개시로부터 소정시간(a초) 경과했는가 여부를 판단한다.
O₂피이드백 개시부터 소정시간 경과하고 있지 않으면, 충분히 O2피이드백 제어가 기능하고 있지 않으므로, 스탭(614)에서 듀티를 영으로하여 제어밸브(5)를 폐쇄한 상태로 하여, 플로우를 종료한다. O2피이드백 개시부터 소정시간 경과하고 있으면 스탭(608)으로 진행한다.
스탭(608)에서, 연료 중단 중인가 여부의 판단을 한다. 연료 커트 중이면, 연료 공급의 필요가 없으므로 스탭(614)에서 듀티를 0으로하고 제어밸브(5)를 폐쇄한 상태로 하여, 플로우를 종료한다. 연료 커트중이 아니면 스탭(610)으로 진행한다.
스탭(610)에서 λ제어치가 소정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는지 여부의 판단이 행해진다. λ제어치가 소정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는, 증발연료의 공급을 감소 시키기 위하여, 스탭(616)에서 듀티를 소정치(β1)만큼 감소시켜, 제어밸브(5)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제어하여 플로우를 종료한다. λ제어치가 소정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으면 스탭(612)으로 진행한다.
스탭(612)에서 출력 듀티가 MAP1치에 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출력 듀티치가 MAP1치에 달하고 있지 않으면, 스탭(614)에서 듀티가 영이 된후 MAP1에 복귀하고 있지 않으므로, 스탭(618)에서 듀티를 MAP1으로 복귀시키기 위하여 소정치(α₁)만큼 증가시켜 서서히 제어밸브(5) 듀티를 MAP치에 근접시키도록 제어하여, 플로우를 종료한다. 출력 듀티가 MAP1치에 달하고 있으면 스탭(620)에서 듀티를 MAP1치로하여 플로우를 종료한다. 또한, 이 MAP1은 미리 ROM(27)내에, 엔진회전수 및 부하에 따라 기억되어 있다.
다음에, 제어밸브(6)의 동작에 대하여 제7도의 플로우 챠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먼저, 스탭(702)에서, 제어밸브(5)의 출력 듀티가 영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밸브(5)의 출력 듀티가 영일때는, 증발연료를 공급하지 않아야할 상태이므로, 스탭(710)에서 듀티를 영으로하여 제어밸브(6)를 폐쇄한 상태로하여 플로우를 종료한다.
스탭(704)에서, 제어밸브(5)의 듀티가 MAP1에 거의 같은지 여부를 판단한다. 제어밸브(5)의 듀티가 MAP1에 동등하지 않으면 과도상태이므로, 스탭(71)에서 듀티를 영으로 하여 제어밸브(6)를 폐쇄한 상태로 하여, 플로우를 종료한다. 제어밸브(5)의 듀티가 MAP1에 거의 같으면 스탭(706)으로 진행한다.
스탭(706)에서 λ제어치가 소정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λ제어치가 소정범위로 부터 벗어나 있는 경우는, 증발연료의 공급을 감소시키기 위하여, 스탭(712)에서 듀티를 소정치(β2)만큼 감소시켜, 제어밸브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제어하여 플로우를 종료한다. λ제어치가 소정 범위로부터 벗어나 있으면, 스탭(708)으로 진행한다.
스탭(708)에서, 듀티가 MAP2치에 달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출력 듀티가 MAP2에 달하고 있지 않으면, 서서히 MAP2치에 복귀시키기 위하여 스탭(714)에서 듀티를 소정치(α2)만큼 증가시키고 플로우를 종료한다. 듀티가 MAP2치에 달하고 있으면, 스탭(716)에서 듀티를 MAP2치로하여 플로우를 종료한다.
또한, 이 MAP2는 엔진 회전수 및 부하에 따라 ROM(27)내에 기억되어 있다. 또, 상기한 MAP1과 MAP2와는 다른 값이 기억되어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서는, 제1의 연료공급 통로로부터 공급하는 증발연료량의 변동분을 제2의 연료공급 통로로부터 공급하는 증발연료량이 제어에 의하여 억제할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므로, 전체로서 공급되는 증발연료량의 변화가 작아져 공연비에의 영향을 작게할 수가 있다.

Claims (22)

  1. 연료탱크(13)와, 상기 연료탱크(13)의 증발연료를 흡기통로(7)에 인도하는 제1, 제2의 연료공급로(16, 15)와, 상기 제1, 제2의 연료공급통로(16, 15)에 설치되어 연료공급량을 제어하는 제1, 제2의 제어밸브(6,5)와, 엔진의 운전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제1의 제어밸브(6)를 제어하는 제1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제1의 제어량 결정수단(410, 412)과, 상기 제1의 제어량에 의거하여 상기 제2의 제어밸브(5)를 제어하는 제2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제2의 제어량 결정수단(126∼13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제어량 결정수단은, 상기 제1의 제어량이 증가했을때에 상기 제2의 제어량을 감소시키도록 결정하도록(128, 130)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제어량 결정수단은, 상기 제1의 제어량이 증가했을때(618)에 상기 제2의 제어량을 증가시키도록(714) 결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제어량 결정수단은, 상기 제1의 제어량이 감소했을 때 (616)에 상기 제2의 제어량을 감소시키도록(712) 결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5. 제1, 2, 3, 4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제어밸브(6)와 연료탱크(13)의 사이에 증발연료를 저장하는 캐니스터(14)를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제어량 결정수단은, 엔진이 회전하고 있지 않을 때에는 상기 제2의 제어밸브가 폐쇄한 상태가 되도록 제2의 제어량을 결정하도록 구성한(102,124)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제어량 결정수단은, 공연비가 목표치가 되도록 연료공급량을 피이드 백 제어하고 있지 않을때에는 상기 제2의 제어밸브가 폐쇄된 상태가 되는 제2의 제어량을 결정하도록 구성한것(104, 124)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제어량 결정수단은, 연료 커트 중에는 상기 제2의 제어밸브가 폐쇄된 상태가 되도록 제2의 제어량을 결정하도록(108, 124)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9. 연료탱크(13)와, 상기 연료탱크(13)의 증발 연료를 흡기통로에 인도하는 제1, 제2의 연료공급통로(16, 15)와, 상기 제1의 연료 공급통로에 설치되어 연료공급량을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제어밸브(6)와, 상기 제2의 통로에 설치된 통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밸브(5)와, 엔진의 운전 상태에 따라 상기 제1의 제어밸브의 상태를 개폐상태 중 어느 하나에 결정하는 밸브상태 결정수단(410, 412)과 상기 제1의 제어밸브의 개폐상태에 따라 제2의 제어 밸브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제어량 결정수단(126∼132)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량 결정수단은, 상기 제1의 제어밸브(6)가 폐쇄상태로부터 개방상태로 변했을때에 상기 제어량을 미리 결정된 소정량까지 감소시키도록(128-130)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소정량은 상기 제2의 제어밸브(5)가 폐쇄된 상태가 되는 값에 설정되도록(130)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량 결정수단은 상기 제어량을 이미 결정된 소정량까지 감소시킨 후에 서서히 증가시키도록 (130, 132)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량 결정수단은 상기 제1의 제어밸브가 개방상태로부터 폐쇄상태로 변했을때에 상기 제어량을 증가시키는(126, 132)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14.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량 결정수단은, 엔진회전수 또는 엔진부하에 의거하여 제2의 제어밸브의 제어량을 결정하도록 구성한(116)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15. 연료탱크(13)와, 상기 연료탱크의 증발연료를 흡기 통로에 인도하는 제1, 제2의 연료공급통로(16, 15)와, 상기 제1, 제2의 연료공급통로(16, 15)에 설치되어 연료 공급량을 제어하는 제1, 제2의 제어밸브(6,5)와, 엔진 상태에 의거하여 제1의 제어밸브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제1의 제어량 결정수단(620)과, 엔진 상태에 의거하여 제2의 제어밸브의 제어량을 결정하는 제2의 제어량 결정수단(176)을 구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16. 연료탱크(13)와, 상기 연료탱크의 증발연료를 흡기 통로에 인도하는 제1, 제2의 연료공급통로(16, 15)와, 상기 제1, 제2의 연료공급통로(16, 15)에 설치되어 연료공급량을 제어하는 제1, 제2의 제어밸브(6,5)와 상기 제1, 제2의 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장치(1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엔진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제1의 제어밸브의 제어량을 결정하고(410, 412), 상기 제1의 제어밸브의 제어량에 의거하여 상기 제2의 제어 밸브의 제어량을 결정하도록 구성한(126-132)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17. 연료탱크(13)와, 상기 연료탱크(13)의 증발연료를 직접 흡기통로에 인도하는 제1 연료공급통로(16)와, 상기 연료 탱크의 증발연료를 캐니스터를 거쳐 흡기통로에 인도하는 제2의 연료공급통로(15)와, 상기 제1, 제2의 연료공급통로에 설치된 제1, 제2의 제어밸브(16, 5)와, 상기 제1, 제2의 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장치(10)를 구비하고, 상기 제어장치는 엔진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제1의 제어밸브의 제어량을 결정하고(410, 412), 상기 제1의 제어밸브의 제어량에 의거하여 제2의 제어밸브의 제어량을 결정하도록(126∼132)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18. 연료탱크(13)와, 상기 연료탱크(13)의 증발연료를 흡기통로(7)에 인도하는 제1, 제2의 연료공급통로(16, 15)와, 상기 제1, 제2연료공급통로(16, 15)에 설치되어 연료공급량을 제어하는 제1, 제2의 제어밸브(6,5)와 상기 제1, 제2의 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유닛(10)을 설치한 것에 있어서, 엔진의 운전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제1의 제어밸브(6)을 제어하는 제어량을 구하는 스탭(410, 412)과, 상기 제1의 제어량에 의거하여 상기 제2의 제어밸브(5)를 제어하는 제어량을 구하는 스탭(126-13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방법.
  19. 연료탱크(13)와, 상기 연료탱크(13)의 증발연료를 흡기통로(7)에 인도하는 제1, 제2연료공급통로(16, 15)와, 상기 제1의 연료공급통로(16)에 설치되어 연료공급량을 연속적으로 제어하는 제어 밸브(6)와, 상기 제2의 연료통로(15)에 설치된 통로의 개폐를 제어하는 제어밸브(5)와, 상기 제1, 제2제어밸브를 제어하는 제어유닛(10)을 구비한 것에 있어서, 엔진의 운전 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제1의 제어밸브(6)의 개폐를 구하는 스탭(410), 412), 상기 제1의 제어밸브(6)의 제어상태에 의거하여 상기 제2의 제어밸브(5)의 제어량을 구하는 스탭(126∼132)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방법.
  20. 제3항에 있어서, 연료공급이 필요한 상태일때에, 상기 제2의 제어량을 증가하도록 (618, 708)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21. 제4항에 있어서, 공연비가 소정의 상태로부터 벗어났을때에는 상기 제2의 제어량을 감소도록(610, 706)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2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2의 제어량 결정수단은, 상기 제1의 제어량이 감소했을 때에 상기 제2의 제어량을 증가시키도록(126, 132) 결정하도록 구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KR1019900010548A 1989-07-14 1990-07-12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KR014826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80358A JPH0646017B2 (ja) 1989-07-14 1989-07-14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89-180358 1989-07-14
JP1-180358 1989-07-14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10003245A KR910003245A (ko) 1991-02-27
KR0148267B1 true KR0148267B1 (ko) 1998-11-02

Family

ID=160818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10548A KR0148267B1 (ko) 1989-07-14 1990-07-12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5103794A (ko)
EP (1) EP0408050B1 (ko)
JP (1) JPH0646017B2 (ko)
KR (1) KR0148267B1 (ko)
DE (1) DE6900110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4311664A (ja) * 1991-04-11 1992-11-04 Toyota Motor Corp 蒸発燃料回収装置
JP2935249B2 (ja) * 1991-05-31 1999-08-1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エンジンの始動燃料制御装置
JP2827668B2 (ja) * 1992-03-05 1998-11-25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DE4139946C1 (ko) * 1991-12-04 1993-02-04 Fa. Carl Freudenberg, 6940 Weinheim, De
JP2741700B2 (ja) * 1992-03-31 1998-04-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内燃エンジンの蒸発燃料制御装置
US5263460A (en) * 1992-04-30 1993-11-23 Chrysler Corporation Duty cycle purge control system
US5353770A (en) * 1992-05-21 1994-10-11 Toyota Jidosha Kabushiki Kaisha Apparatus for controlling flow of evaporated fuel from canister to intake passage of engine using purge control valves
DE4229105C1 (ko) * 1992-09-01 1993-09-09 Fa. Carl Freudenberg, 69469 Weinheim, De
DE4303309A1 (de) * 1993-02-05 1994-08-11 Bosch Gmbh Robert Tankentlüftungsanlage für eine Brennkraftmaschine
DE4312720A1 (de) * 1993-04-20 1994-10-27 Bosch Gmbh Robert Tankentlüftungsanlage für ein Kraftfahrzeug sowie Verfahren zu deren Betreiben
US5289811A (en) * 1993-05-10 1994-03-01 General Motors Corporation Purge control device
US5535725A (en) * 1994-09-19 1996-07-16 Hi-Stat Manufacturing Co., Inc. Flow control solenoid means
JP3265940B2 (ja) * 1995-09-08 2002-03-18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蒸発燃料処理装置
JP3679183B2 (ja) * 1996-01-31 2005-08-03 日本碍子株式会社 ガス流路
JP3512998B2 (ja) * 1997-12-16 2004-03-31 株式会社日立ユニシアオートモティブ 過給機付内燃機関の蒸発燃料処理装置
US6253744B1 (en) 1999-03-19 2001-07-03 Unisia Jecs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fuel vapor, method and apparatus for diagnosing fuel vapor control apparatus, and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ir-fuel ratio
JP4242180B2 (ja) * 2003-03-04 2009-03-18 株式会社デンソー 蒸発燃料処理装置のリークチェック装置
US6880534B2 (en) * 2003-07-08 2005-04-19 Honda Motor Co., Ltd. Evaporative fuel processing system
US8113181B2 (en) * 2005-03-09 2012-02-14 Rem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capturing and controlling fugitive gases
US8235029B2 (en) * 2005-03-09 2012-08-07 Rem Technology Inc. Method and apparatus for processing diluted fugitive gases
US7607420B2 (en) 2005-08-12 2009-10-27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Fuel-evaporated gas processing system and electromagnetic valve device
JP5014269B2 (ja) * 2008-06-20 2012-08-29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作業機における蒸発燃料処理装置
US7810475B2 (en) * 2009-03-06 2010-10-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Fuel vapor purging diagnostics
US8751139B2 (en) * 2009-09-25 2014-06-10 Cummins Power Generation Ip, Inc. System, method, and apparatus for gas engine enhanced starting
JP5839817B2 (ja) * 2011-03-31 2016-01-0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蒸発燃料処理装置
DE102012220777A1 (de) * 2012-11-14 2014-05-15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Tankentlüftung ohne Ventil
US9388746B2 (en) * 2012-11-19 2016-07-12 Ford Global Technologies, Llc Vacuum generation with a peripheral venturi
JP6397440B2 (ja) * 2016-03-24 2018-09-26 株式会社Subaru エンジン制御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028563B1 (ko) * 1969-12-29 1975-09-17
JPS5374620A (en) * 1976-12-15 1978-07-03 Toyota Motor Corp Inhibition device for discharge of fuel vaporized gas
JPS5556191Y2 (ko) * 1978-01-30 1980-12-26
JPS58110853A (ja) * 1981-12-25 1983-07-01 Honda Motor Co Ltd 過給機付内燃機関における蒸発燃料制御装置
JPS59213941A (ja) * 1983-05-19 1984-12-03 Fuji Heavy Ind Ltd 燃料蒸発ガス排出抑止装置
JPS61151064U (ko) * 1985-03-12 1986-09-18
JPH0654104B2 (ja) * 1985-12-03 1994-07-20 マツダ株式会社 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JPH0726599B2 (ja) * 1986-12-05 1995-03-29 日本電装株式会社 内燃機関用蒸発燃料制御装置
US4951643A (en) * 1987-09-16 1990-08-28 Nippondenso Co., Ltd. Fuel vapor treatment apparatus
JPH01136667U (ko) * 1988-03-14 1989-09-19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408050A1 (en) 1991-01-16
KR910003245A (ko) 1991-02-27
JPH0646017B2 (ja) 1994-06-15
DE69001101T2 (de) 1993-10-21
EP0408050B1 (en) 1993-03-17
JPH0347454A (ja) 1991-02-28
US5103794A (en) 1992-04-14
DE69001101D1 (de) 1993-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8267B1 (ko)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US4836164A (en) Engine speed control system for an automotive engine
JP4365553B2 (ja) エンジンの燃料制御装置及びアイドリング時の空燃比制御方法
GB2049037A (en) System and method for controlling exhaust gas recirculation
JP4246431B2 (ja) エンジンの燃料制御装置
JPH05187295A (ja) 内燃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JPH0219631A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H03225044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JPH0932537A (ja) 内燃機関の制御装置
US5193509A (en) Fuel control system for automotive power plant
JPH03488B2 (ko)
JPS6360217B2 (ko)
JP2596999B2 (ja) 気化器の空燃比制御装置
JPH0710444U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装置
JPH0350368A (ja) Lpg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JPH06257491A (ja) エンジンの空燃比制御装置
JPH02104961A (ja) 内燃エンジンの排気還流制御方法
JPH029923A (ja) エンジンの燃料制御装置
JPH0586933A (ja) 内燃機関の燃料噴射制御装置
JPH07189833A (ja)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JPH0678732B2 (ja) 内燃機関の吸気制御装置
JPH0577865B2 (ko)
JPH0942059A (ja) フィードバックキャブレタの始動後空燃比制御方法
JPH04166639A (ja) 内燃機関の空燃比制御方法
JPH0953493A (ja) フィードバックキャブレタの空燃比制御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429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