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0147689B1 - 격벽형 동축 케이블 연결기 - Google Patents

격벽형 동축 케이블 연결기

Info

Publication number
KR0147689B1
KR0147689B1 KR1019910701788A KR910701788A KR0147689B1 KR 0147689 B1 KR0147689 B1 KR 0147689B1 KR 1019910701788 A KR1019910701788 A KR 1019910701788A KR 910701788 A KR910701788 A KR 910701788A KR 0147689 B1 KR0147689 B1 KR 01476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ble
connector
coaxial cable
jack
mandrel bod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107017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2043A (ko
Inventor
맥밀즈 코리
에스. 매티스 죤
아더 로즈 죤
샘프슨 제프
Original Assignee
하버트 지. 버카드
레이켐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US07/509,669 external-priority patent/US5127853A/en
Application filed by 하버트 지. 버카드, 레이켐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하버트 지. 버카드
Publication of KR92070204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204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01476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0147689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9/00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e.g. terminal strips or terminal blocks; Terminals or binding posts mounted upon a base or in a case; Bases therefor
    • H01R9/0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 H01R9/05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 H01R9/053Connectors arranged to contact a plurality of the conductors of a multiconductor cable, e.g. tapping connections for coaxial cables using contact members penetrating insulation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 Insulated Conductors (AREA)
  • Communication Cables (AREA)
  • Multi-Conductor Connections (AREA)

Abstract

격벽형 동축 케이블 연결기는 케이블 단부의 포일-결합식 절연 코어와 기타 외부 도체 요소사이에 가압되도록 치수가공되는 튜브형 맨드릴 바디를 포함한다. 상기 바디는 케이블 결합면을 가지며, 상기 결합면은 상기 외부 도체를 전단시키지 않을 정도의 전단 응력을 생성시켜 상기 외부 도체를 결합시키는 칼날형 돌출부를 규정한다. 튜브형 생크부는 상기 케이블 결합 표면부로부터 방사상 벽 부분까지 연장되며, 잭 결합부는 상기 노출된 중앙 도선과 동축 관계를 갖는다. 잭 결합부는 잭과 억지 끼워맞춤 되도록 내측 압축 콜릿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방사상 압축력을 제공하는 구조물은 외부 도체의 내면이 칼날부에 직접 지지되어 구부러지도록 한다. 미끄럼가능한 쉘은 잭의 외면과 대면하는 연결기 단부로부터 이격되어 미끄럼 가능하게 위치되어 연결기의 잭 결합부가 잭의 외면위에서 미끄럼될 수 있도록 하여, 연결기 단부를 향해 미끄럼 가능하게 위치되도록 함으로써 방사상으로 벌어지는 잭 결합부가 잭의 외면에 대해 방사상으로 가압되어 연결기를 고정시키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1회용 설치공구를 포함하는 부품키트는 특별한 기술이나 공구 없이도 케이블 연결기를 적절하게 조립할 수 있도록 한다.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격벽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
[관련출원]
본 특허출원은 1989. 11. 8 일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07/434,068 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며, 상기 제 07/434,068 호는 1989. 6. 9 일에 출원된 미합중국 특허출원 제 07/364,917 호의 일부 계속 출원이다.
[발명의 분야]
본 발명은 동축 케니블의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예를들면 광대역 RF 신호 배선용으로 실내에서 사용되는 형태의 격벽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로서, 저가이며 장착하기 용이한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발명의 배경]
동축 케이블은 TV 나 라디오 신호와 같은 광대역 무선 주파수(RF) 정보를 분배하는데 폭넓게 사용된다. 동축 케이블은 통상 두개의 도체, 즉 중앙의 축방향 도체와 외부 도체를 구비하며, 상기 외부 도체는 내부의 중앙 도체와 거의 동심 관계로 위치된다. 중앙 도체는 외부 도체에 의해 완전히 둘러싸여지는 것이 일반적이며, 플라스틱 발포물질과 같은 저 손실, 고 유전성 절연재가 상기 두개의 도체를 분리시키게 된다. 필수 요소는 아니지만, 외부 절연 재킷이 외부 도체 전체에 걸쳐 제공되어 케이블의 절연 및 물리적 보호 수단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한다. 외부 도체는 단일 요소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전도성 박막, 편조선등의 몇가지 단층 요소들의 복합체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복합적인 외부 도체의 구성물중 한가지 요소는 저손실, 고유전성 절연체의 외면에 도포되는 전도성 필름 또는 피복물일 수도 있다.
상대적으로 큰 직경의 반-강성 동축 케이블은 옥외의 케이블 TV 배선 네트워크에서 케이블 네트워크 신호를 가입자 건물 근처의 단자함으로 전송하기 위한 전송 도관으로써 널리 사용된다. 외부 절연 재킷을 갖는 보다 가요성인 작은 직경의 동축 케이블이 상기 단자함으로부터의 신호를 가입자 건물로 전달하기 위해 사용된다.
커넥터는 옥외에서 케이블을 연결시키는데 사용된다. 이러한 커넥터는 확실한 신호손실 방지성 전기접속을 제공해야 할 뿐만 아니라, 습기가 케이블로 침입되지 못하도로 하는 확실한 누출-방지성 물리적 밀봉 접속을 제공해야만 한다. 이러한 커넥터를 설치하려면, 먼저 케이블 단부의 절연체 유전 코어를 어떤 길이만큼 제거하는 것과 같은 케이블 단부 준비작업을 행한 후에, 숙련공이 도체 조립체를 설치 및 체결하게 되는 바, 이때 도체/케이블의 디자인에 따라 특정 공구를 사용할 수도 있고 안할 수도 있다. 일반적으로, 옥외용 커넥터는 중앙 도체 요소를 구비하며, 상기 요소는 중앙 도체의 노출 단부 전체에 걸쳐 동축 배열 관계로 고정된다. 따라서, 중앙 도체 요소는 커넥터 구조체를 준비된 케이블 단부에 고정시키는데 중요한 역할을 한다.
일반적으로, 배선 네트워크 조작자는 가입자가 자의적으로 커넥터를 케이블에 설치하여 불법 설비 배선함, 케이블 등등으로 사용하기를 원하지 않으므로; 숙련된 배선공은 특수한 키이 공구를 사용하여 비승인자가 시스템 배전함, 단자함 등등에 접근할 수 없도록 한다.
가입자의 경우에는, 이와 반대되는 상황이 존재하게 된다. 가입자는 일반적으로 인입 케이블 출구 잭에 상호 접속 및 연결될 수 있는 제품을 여러 개 가지고 있으며, 상기 출구 잭은 가정이나 기타 내부 공간의 벽에 장착되거나 그로부터 외향 연장된다. 인입잭과 예를들면 TV 세트, 비디오 카세트 레코더(VCR), 스테레오 FM 리시버의 잭사이에 접속이 필요할 수도 있다.
작은 직경(대략 ¼인치 이하)의 가요성 동축 케이블이 필요한 접속을 이루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이 통례이다. 이러한 동축 케이블은 일반적으로 고형의 와이어 중앙 도체와, 발포 코어와, 상기 발포 코어위의 내부 알루미늄 피복물로 형성되는 외부 복합 도체와, 하나 또는 그이상의 그물형 알루미늄 편조선 층 및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알루미늄 박막층을 포함한다. 외부 복합 도체는 통상 플라스틱 외부 절연 재킷으로 피복되며, 상기 재킷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절연 물질층으로 이루어져 동축 케이블 구조물을 완성시키게 된다. 이러한 동축 케이블의 치수는 그 형태 및 근원에 따라 다양하다. 케이블의 특성 또한 그 형태 및 근원에 따라 다양하며, 주위 온도와 같은 인자에 의해서도 변화될 수 있다. 주위 온도가 낮은 경우, 중합체로 된 케이블 재료는 경화되므로, 커넥터 설치 작업시 취급상의 어려움이 발생된다. 박막으로 피복된 내부 절연 코어의 직경은 대략 0.140인치 ~0.200인치 까지 다양하게 될 수 있다.
이러한 작은 직경의 케이블은 커넥터가 설치된 상태의 표준 길이로 소비자에게 공급되어 왔다. 커넥터 또한 설치용으로 제공되어 왔으나, 이러한 커넥터를 케이블 단부에 설치하려면 고정 페룰을 오그라뜨리는 주름잡기 공구나, 고정 슬립 링을 벌리는 공구, 또는 커넥터를 케이블 단부에 고정시키는 압축 너트 체결기 등등이 필요하다. 실내 인입용 커넥터 중 몇가지는 나선 잭의 표면과 커넥터 몸체 사이에서 압축적 상호 작용을 필요로 하며, 실제의 경우에, 이러한 상호 작용은 잭의 외측 나선 전체에 커넥터의 나선 너트를 체결시킴으로써 수행된다.
실내 인입용 커넥터는 연결용으로 제공되는 커넥터의 중앙 커넥터 요소가 분리식인 경우는 없으며 케이블의 중아 도체가 연결 메카니즘의 요소로서 제공된다는 점에서 격벽형 커넥터로서 공지되어 있다. 중앙 도체는 통상 잭의 수용 요소에 의해 결합된다. 이러한 요소(중앙 포착 메카니즘이라 불리기도 함)는 커넥터 동축 케이블의 중앙 도체 사이에 확실한 기계적 접속부를 제공한다.
격벽형 커넥터의 경우, 동축 케이블의 금속성 중앙 도체의 노출 단부는 격벽형 커넥터가 장착되는 때에 잭의 중앙 포착 메카니즘에 의해 직접 결합된다. 동축 케이블의 중앙 도체가 격벽형 커넥터와 기계적 결합 상태로 유지되지 않으며, 이러한 커넥터들이 외부 도체를 잭에 공급 즉 연결시키는 기능만 수행하므로써 노출된 중앙 도체를 잭의 중앙 포착 메카니즘에 결합되도록 위치시키므로, 커넥터를 케이블에 고정시키는 종래의 방법은 설치시에 문제점이 있는 것으로 나타났으며, 설치된 이후에 실내에서 사용되는 경우에도 전체적으로 만족스럽지 못한 것으로 나타났다.
종래기술에서 어떠한 방법이 사용되었던, 현재까지는, 사용자가 특별한 공구나 기술을 사용하지 않고 간단한 조작만으로도 쉽게 조립 및 부착할 수 있으며,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재킷과의 확실한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저가의 격벽형 동축 케이블이 개발되지 못했다.
동축 케이블 커넥터 분야에 있어서, 격벽형 커넥터를 케이블 단부에 부착시키는 방법은 여러가지가 공지되어 있다. 그 대표적인 일예가 미합중국 특허 제 3,781,762 호에 개시도어 있다. '762 특허의 관상 커넥터 본체는 환형 플레어(flare)를 포함한다. 상기 본체는 절연 코어와 케이블 단부의 외부 도체 사이에 끼워 맞춤되도록 치수 가공되며, 중앙 도체의 노출 단부를 정렬 상태로 위치시킨다. 관상 본체의 환형 플레어는, 설치 도중에 몸체가 코어와 외부 도체 사이로 가압됨에 따라 외부 도체 전체가 확장되도록 한다. 빗살형 링이나 주름형 링과 같은 원통형 페룰은 환형 플레어의 본체 내측 전체에 걸쳐 설치된다. '762 특허의 장치는 케이블 외부 도체와 커넥터 본체 사이에 양호한 전기적 및 기계적 접속부를 제공하는 것으로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762 특허의 커넥터는 고정 페룰을 설치하는데 필요한 특수 공구를 사용하지 않고는 케이블 단부에 쉽게 설치될 수 없다.
전술된 바와같은 이유로 인해, 또 다른 격벽형 커넥터는 나선너트를 잭에 체결시키는 압축 결합 방식을 사용한다. 커넥터의 체결 너트는 외부 도체를 커넥터 본체에 대해 가압하여 커넥터를 케이블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방법의 결점은 너트가 나선 잭에 단단히 체결되지 않은 경우나, 커넥터 단부가 잭에 결합되지 않은 경우, 커넥터의 터그(tug)나 저크(jerk)가 케이블의 단부로부터 바람직하지 못한 정도로 이격될 수 있다는 점이다.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관한 또 다른 통상적인 방법은 중앙 도체의 노출 단부를 결합시키는 수단을 포함한다. 예를들면, 영국 특허 명세서 제 621,459 호에는 동축 케이블의 절연 코어와 외부 도체 사이에 삽입되는 관상 커넥터 본체가 개시되어 있다. 환형 플레어 즉 확장부는 케이블의 외부 도체를 팽창시키며,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빗살형페룰 튜브는 동축 케이블 단부 전체에 걸쳐 가압되어 확장부에서 몸체를 둘러싸게 됨으로써 케이블을 확장부에 대해 가압하여 전기적 연결 및 기계적 부착 상태를 향상시킨다. 페룰은 핑거를 포함하며, 핑거는 그가 제자리에 위치된 후 커넥터 본체에 고정될 수 있을 것이다.
환상 배열의 빗살형 링은 미합중국 특허 제 2,805,399 호에 개시되어 있다. '399 특허의 링은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를 본체의 확장된 환형 절두 원추체 클립에 바로 인접한 협소 링 위치를 따라 고정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기 절두 원추체 클립은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밑으로 미끄럼되어 케이블이 커넥터에 기계적으로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399 특허에서도 슬립 링을 위치 및 설치하는데 특수한 공구를 필요로 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 4,053,200 호의 커넥터 본체는 두개의 반경 방향 돌기부를 갖는다. 복수개의 핑거를 갖는 길다란 형상의 황동 페룰은 케이블과 외부 반경방향 돌기부위로 미끄럼 되어 몸체의 두 돌기부사이에 안착하며, 케이블의 외부 도체를 커넥터 몸체에 대해 가압한다. 길다란 형상의 황동 페룰이 원주 방향의 압축력을 갖는 반경방향 밴드를 구비하여 케이블의 외부 도체를 관상 본체에 대해 가압하더라도, 전술된 '762 특허에 개시된 방법과 마찬가지로, 길다란 형상의 페룰 또는 키타 커넥터 구조물과 커넥터 본체의 외측 돌기부 뒤의 케이블 사이에는 어떠한 결합부도 제공되지 않는다. 케이블을 커넥터에 고정시키는데 확실한 도움을 주기 위해, '200 특허에서는 케이블의 중앙 도체의 노출 단부에 고정되는 중앙 커넥터 구조물을 제시하고 있다.
또 다른 유지 수단을 사용하지 않고도, '200 특허에 도시된 중앙 커넥터 구조물을 사용함으로써, 커넥터가 잭에 나사결합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에 작용되는 예인 및 당김 응력이 '200 특허에 개시된 바와같이 케이블을 커넥터로부터 분리시킬 것이다. 또한, 가정과 같은 실내의 경우에, 케이블이 구부러짐으로써 외부 도체가 신장되어 외측 돌기부의 리지와의 효과적인 전기적 접촉을 수행하지 못하게 될 수도 있으며, 커넥터에 원치 않는 신호 누출 경로를 제공할 수도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3,264,602 호는 동축 케이블용 커넥터 본체를 제공한다. '602 특허의 커넥터 본체는 후방으로 테이퍼진 고리 모양의 절두 원추형 표면을 가지며, 상기 표면은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밑으로 미끄럼 결합된다. 외측 부재는 케이블 위에 체결되는 바, 그 체결 방식은 외부 도체를 절두 원추형 표면에 대해 가압하여 케이블을 커넥터에 똑딱이 식으로 체결시킴으로써 케이블의 외부 도체의 내면과 전도성 커넥터 본체의 대면 절두 원추 고리형 표면사이에 확실한 전기적 접속부를 제공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 4,789,355 호에는 타인 (tine) 또는 핑거를 갖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플러그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타인 또는 핑거는 잭의 나선 단부위에 미끄럼 결합된다. 외측 환형 슬리브는 타인 위에서 전방으로 가압되어 상기 타인을 나선 잭에 대해 가압하므로써, 플러그의 나선이 잭의 나선과 정합되지 않더라도 압축 콜릿을 사용하여 커넥터 플러그를 잭에 체결시킬 수도 있다.
미합중국 특허 제 4,834,675 호에는 소위 snap-n-seal이라고 하는 동축 케이블 단부용 커넥터가 개시되어 있다. 이는 4 개의 부분으로 된 커넥터 조립체로서, 맨드릴 모체(30)를 포함하며, 상기 몸체(30)는 그 후단부로부터 벌어져 나오는 만곡형상부를 가짐으로써, 상기 몸체(30)는 절연 코어와 차폐 편조선사이에서 억지 끼워 맞춤될 수도 있다. 제2b도 및 4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만곡 형상부(39)는 점차 평평하게 되어 그 평탄부와 직각을 형성하게 되는 내향 계단부에서 종결된다. 플라스틱 압축 슬리브(60)는 몸체(30) 및 케이블 단부 위로 가압된다. 압축 슬리브가 금속성의 칼라 부재(20)내에 똑딱이 식으로 체결됨으로써, 케이블 단부는 커넥터 조립체에 체결된다. 만곡 형상부(39)가 평탄부에서 종결되므로, 몸체(30)는 동출 케이블의 외부 도체를 형성하는 편조선 또는 알루미늄 시이트를 효과적으로 절단할 수 있는 칼날을 제공할 수 없다.
미합중국 특허 제 4,249,790 호에는 동축 케이블 단부용의 푸쉬-온(push - on)형 커넥터 플러그가 개시되어 있다. 적절한 부분에서, 커넥터 플러그는 복수개의 탄성 핑거를 형성하는 슬로트식 차폐 케이싱을 포함하며, 상기 탄성 핑거는 커넥터 플러그가 커넥터 수용체위로 가압됨에 따라 상기 수용체의 외측 원통형 표면과 결합한다. 상기 핑거는 외측 밴드 구조물과 협동 작용되는 형상으로 제조되어 핑거를 수용체의 외측 원통형 표면에 대해 가압하는 스프링 가압력을 제공함으로써 양호한 전기적 및 기계적 푸쉬-온(push-on), 풀-오프(pull-off) 부착부를 제공한다.
미합중국 특허 제 3,196,382 호에는 주름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12)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커넥터(12)는 맨드릴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맨드릴 몸체는 수신 커넥터 (14)와 정합되는 일체식 나선 정합 캡을 갖는다. '382 특허의 장치는 푸쉬-온 격벽형 커넥터가 아니다.
종래의 방법들이 케이블 단부와 케이블 커넥터사이에 효과적인 접점 및 확실한 기계적 부착부를 제공하는데 있어서 문제점을 인식하고는 있었으나, 종래의 방법들 중 어떤 것도 비숙련자 또는 소비자 또는 기술자에 의해 쉽게 설치되며, 오랜 기간이 경과하더라도 실내에서 신뢰성있게 사용될 수 있는 단순하며, 설치가 용이하며, 확실하게 작동되는 격벽형 동축 케이블을 완성시키지 못했다.
[발명의 목적 및 요약]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한계 및 결점을 극복하는 격벽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비자가 특별한 공구나 기술이 없이 약간의 손가락 힘만 가지고도 설치할 수 있는 격벽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후방 인력(rearward pulling force)에 대해 향상된 가요성 변형능력을 갖는 격벽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함으로써, 커넥터가 잭으로 부터 자유롭게 끌어당겨지든 말든 케이블이 그 당겨지는 힘에 의해 커넥터로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하는데 있다. 즉,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커넥터와 동축 케이블 단부가 분리 됨으로써 손상 및 작동 불능이 되지 않고, 케이블 커넥터가 정합되는 잭으로 부터 우선적으로 해제되도록 하는 격벽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소비자가 특별한 공구없이 그리고 특별한 훈련을 받거나 기술을 갖지 않고도 커넥터를 실내용 동축 케이블의 준비된 단부에 손으로 쉽게 조립 및 설치할 수 있도록 몇가지의 상호작용 부품만으로 이루어지는 키트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탄성 중합체성 물질로 된 탄성 변형부를 갖는 지지 링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기 탄성 변형부는 외부 도체에 가로로 배치되는 맨드릴 몸체의 환형 또는 나선형 바브(barb)를 형성하는 환형 또는 나선형 블레이드 에지와 상호 작용함으로써, 제자리에 한번 고정되고 나면, 지지 링의 탄성 변형부는 케이블을 커넥터에 효과적으로 체결시켜, 케이블이 뒤로 당겨지더라도 케이블 단부가 커넥터로 부터 분리되지 못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거의 관상의 맨드릴 몸체로 부터 외향 돌출되는 날카로운 표면을 형성하는 환형 또는 나선형 블레이드 에지를 갖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용 맨드릴 몸체를 제공하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의 알루미늄 박막 및 브래디드와이 어(braded wire)가 블레이드 에지에 의해 접촉되지만, 절연산화물을 형성시키지 않고, 외부 도체의 가느다란 편조선을 전단시키지 않고도 박막과 브래디드 와이어의 도체 요소와의 연결관계를 오랜 기간동안 지속시킬 수 있도록 하는 탄성중합 지지링을 사용함으로써, 주위의 폭넓은 온도 변화에도 불구하고 신뢰성 있게 작동될 것이며, 케이블이 우연히 이동되더라도 손상을 입지 않을 커텍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관상 부분으로 부터 외향 돌출되는 날카로운 표면을 형성하는 환형 또는 나선형 블레이드 에지를 규정하는 상기 관상 부분을 포함하는 맨드릴 몸체(다이캐스팅으로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를 제공하는데 있다. 관상 부분은 콜릿으로서의 작용을 하도록 형성되어 소정 범위내의 각기 다른 치수의 동축 케이블과 결합될 수도 있다. 이러한 목적을 효과적으로 수행하기 의해 각기 다른 케이블 직경사이에 램프(ramp)를 제공하는 원추형상의 1 회용 가이드가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격벽형 케이블 커넥터의 요소들을 포함하는 부품 키트를 동축 케이블의 단부에 적절하며간편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설치공구를 제공하는데 있다.
격벽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는 노출된 금속성의 도체를 갖는 동축 케이블 단부를 연결시키는데 사용된다. 본 발명의 원리에 따라, 상기 커넥터는 황동과 같은 전도성 물질로 된 관상 맨드릴 몸체를 포함하며, 상기 맨드릴 몸체는 주석과 같은 적절한 금속이나 합금으로 판재가공되어 쉽게 미끄러질 수 있도록 한다. 관상 맨드릴 몸체는 박막 결합식 절연 코어와 케이블 단부의 외부 도체의 기타 요소들 사이에서 가압되도록 치수가공된다.
바람직한 실시예에 있어서, 맨드릴 몸체는 케이블에 대하여 미소 각도를 규정하는 후방 수렴식 절두원추형 표면부와, 상기 절두 원추형 표면부와 함께 칼날부를 규정하는 제 1 방사상 벽부분과, 상기 제 1 방사상 벽부분으로 부터 제 2 방사상 벽부분까지 연장되는 관상 생크부와, 노출된 중앙 도체를 중심으로 동축 관계를 가지며 커넥터가 정합되어 사용되는 잭의 외면과 접합 및 접촉되도록 치수가공되는 잭 결합부를 포함한다. 잭 결합부는 제 2 방사상 벽부분으로 부터 반경방향으로 벌어지도록 사용됨으로써 잭의 외면에 우선적으로 슬라이드-온(slide-on)결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 다. 잭 결합부와 잭의 외면과의 사이는 마찰식 억지 끼워 맞춤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한 형태에 있어서, 잭 결합부는 내부 압축 콜릿 구조물을 규정한다. 맨드릴 몸체는 기계 가공되는 것 보다는 다이캐스팅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맨드릴 몸체는 나선형 바브(barb)가 형성된 나선을 포함하며, 상기 나선의 바브는 적절한 첨예도를 가지며 서로 이격되는 연속형 나선의 형태로서 반경방향 외향으로 연장되어 맨드릴 몸체가 외부 도체의 아래쪽으로 나사결합됨으로써 케이블 단부에 회전 삽입되도록 하여, 적어도 외부 도체의 일부를 형성하는 가느다란 도체를 절단시키지 않고도 확실한 기계적 접속부 뿐만 아니라 확실한 전기적 접속부를 제공할 수 있도록 한다.
반경 방향의 압축력을 제공하는 구조물(플랜지형 또는 스플라인형 스냅-링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도 있음)은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 중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탄성 중합부는 외부 도체의 내면부가 칼날형 바브에 대해 직접 지지되어 굽어질 수 있는 형상으로 치수가공되며, 상기 바브는 제 1 방사상 벽부분에 의해서 맨드릴 몸체의 절두 원추형 부분의 내측 단부에 형성된다.
미끄럼 가능한 쉘은 적어도 맨드릴 몸체의 잭 결합부 위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쉘은 잭의 외면과 대면되는 커넥터 단부로 부터 이격되어 미끄럼 가능하게 위치되어 커넥터의 잭 결합부가 잭의 외면위에 미끄럼 결합될 수 있도록 하며, 커넥터 단부를 향해 미끄럼 가능하게 위치되어 방사상으로 벌어진 잭 결합부를 잭의 외면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가압하여 상기 커넥터가 견고한 마찰 끼워맞춤 방식으로 연결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미끄럼 가능한 쉘은 그가 커넥터 단부를 향해 미끄럼가능하게 위치되는 경우 동축 케이블 외부 도체의 일부를 맨드릴 몸체의 절두 원추형 표면에 가압할 수 있는 방사상부를 더 규정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잭 결합부에는 길이 방향의 슬로트가 가공되어 잭의 외면위에 미끄럼 결합되는 슬립 링을 형성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잭 결합부는 복수개의 슬로트를 포함하며, 압축 콜릿으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여 미끄럼가능한 쉘이 잭과 대면하는 커넥터 단부를 향해 위치됨에 따라 상기 잭 결합부가 플러그의 외면위에 체결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라, 스냅 링은 맨드릴 몸체의 젝결합부에 헐겁게 끼워맞춤되는 캡부를 포함함으로써 후프 응력에 저항하는 추가적인 초기 강도를 제공하게 된다. 상기 후프 응력은 미끄럼 가능한 쉘이 잭과 대면하는 커넥터 단부를 향해 위치되기 전에 잭 결합부에서 발생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미끄럼 가능한 쉘은 커넥터를 동축 케이블의 단부에 설치하는 동안, 스냅링을 동축 케이블위와 맨드릴 몸체의 제 1 방사상 벽부분에 인접한 위치로 안내하도록 사용된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의 단부에서 부품 키트의 격벽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이 제공되는 바, 이 방법은: 외부 절연 피복물의 제 1 원통부를 제 1 길이만큼 뒤로 벗겨서 외부 도체 편조선/박막 층을 노출시키는 것과 , 상기 외부 도체 편조선/ 박막층 및 그와 동축 관계로 배치된 유전성 물질을 상기 제 1 길이보다 짧은 제 2 길이만큼 뒤로 벗겨서 중앙의 고형 도체 와이어 단부를 노출시키는 것에 의해 케이블의 단부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케이블의 준비된 단부의 유전성 코어와 외부 도체 사이로 가압되도록 치수 가공되는 전도성 물질로 된 관상 맨드릴 몸체를 예비 형성하되, 상기 예비 형성된 맨드릴 몸체는 둘레에 형성된 돌출형 칼날부를 규정하는 케이블 결합 표면부와, 상기 케이블 결합 표면부로부터 방사상 벽부분까지 연장되는 관상 섕크부와, 상기 방사상 벽부분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동축 연장되며 상기 노출된 중앙 도체를 중심으로 동축 관계로 배치되며 상기 조립된 커넥터가 정합되는 잭의 외면 위로 미끄러져 억지 끼워맞춤 마찰 결합식으로 접촉되도록 치수가공되는 잭 결합부를 포함하는 맨드릴 몸체 예비성형 단계와, 상기 케이블의 외부 도체의 내면을 상기 관상 맨드릴 몸체의 칼날부위에서 압축하기 위한 방사상 압축 수단을 예비형성하는 단계에 의해서 부품키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방사상 압축 수단을 상기 준비된 케이블 단부위에서 그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하는 단계와, 상기 맨드릴 몸체를 상기 케이블의 준비된 단부위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방사상 압축 수단을 상기 맨드릴 몸체위에 설치된 케이블 단부위로 미끄럼 이동시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의 내면을 상기 관상 맨드릴 몸체의 칼날부위에서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방사상 압축 부재는 고정부 또는 스냅-링으로서 예비 형성될 수도 있으며, 부품 키트는 외부 쉘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상기 외부 쉘은 상기 스냅-링과 협동 및 상호 작용하여 위치를 설정한 후, 조립 및 설치 도중에, 조립된 커넥터가 소정의 방식으로 사용되는 경우, 잭 결합부를 잭에 대해 가압하게 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로서, 1회용 설치공구가 사용될 수도 있다. 1 회용 공구는 부품 키트를 사용자가 포장상태로 공급 받을 수 있도록 하며, 커넥터를 동축 케이블 단부에 간편하며 용이하게 조립 및 설치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공구에는 가시적인 장착용 게이지가 제공될 수도 있고, 커넥터 요소가 케이블 단부에 적절하게 설치된 후에, 자가-해제용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 특징 및 효과들이 첨부된 도면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 부터 명료하게 나타나게 될 것이다.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에 따른 동축 케이블 커넥터 중 일부의 중앙 축선상의 종방향 단면도를 확대 도시한 도면.
제2a도는 제1도의 커넥터 중 탄성 중합체성 스냅 링 요소의 일부의 종방향 단면도를 확대 도시한 도면.
제2b도는 제1도의 커넥터중 맨드릴 몸체의 내측 콜릿 구조물의 측면도.
제2c도는 제1도의 커넥터중 콜릿 구조물의 내부에 나선형 나사선을 규정하도록 변형된 맨드릴 몸체의 부분단면도.
제2d도는 평행 톱니에 의해 형성된 핑거가 위치되는 내측 콜릿 구조물의 측면도.
제2e도는 제 2d도의 부분 단면도.
제2f도는 제1도의 커넥터중 외부 쉘의 정면도.
제2g도는 제2f도의 외부 쉘의 부분 단면 측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커넥터의 종방향 분해도로서, 상기 커넥터가 일형태의 1회용 플라스틱 조립 공구 또는 지그(jig)의 도움으로 동축케이블의 준비된 케이블 단부에 설치되기 직전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4도는 제1도의 커넥터를 동축 케이블 단부에 설치시킴에 따라 조립체 지그내에 끼워진 제3도의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
제5도는 동축 케이블이 설치된 상태의 제4도의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
제6도는 설치된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하는 것으로서, 커넥터를 수용체 즉 잭위에 설치할 수 있는 위치까지 외부 쉘 요소가 뒤로 미끄럼된 상태의 도면.
제7도는 설치된 커넥터 조립체가 수용체 즉 잭위에 장착되고 외부 쉘은 전방으로 가압되어 커넥터를 수용체위의 제위치에 체결시킨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8a도는 본발명에 따른 스냅-링의 타인(tine)식 탄성 중합부의 축방향단면 정면도.
제8b도는 제8a도의 타인식 스냅-링의 배면도.
제9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선택적 실시예의 분해도.
제10도는 제9도의 맨드릴 요소가 준비된 케이블 단부에 위치된 상태의 도면.
제11도는 제9도의 실시예가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도면.
제12도는 제9도의 실시예가 접속부 수용체에 결합된 상태의 도면.
제13도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실시예의 미조립 상태의 축방향 분해도.
제14도는 제13도의 커넥터의 맨드릴이 동축 케이블의 준비된 단부에 장착된 상태의 도면.
제15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13도의 커넥터가 동축 케이블의 단부에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도면.
제16도는 제13도의 커넥터가 접속부 수용체에 결합된 상태의 도면.
제17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미조립상태의 축방향 분해도.
제18도는 제17도의 맨드릴이 동축 케이블의 준비된 단부에 장착된 상태의 도면.
제19도는 제17도의 맨드릴이 준비된 케이블 단부위에 완전히 조립되어 정한 접속부 수용체위에 장착된 상태의 도면.
제20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미조립 상태의 축방향 분해도.
제21도는 제20도의 맨드릴이 동축 케이블의 준비된 단부에 장착되어 부분 조립된 상태의 도면.
제22도는 제20도의 맨드릴 위에 위치된 탄성 중합체 밴드를 도시하는 도면.
제23도는 제20도의 실시예가 접속부 수용체와 결합하여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도면.
제24도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의 미조립 상태의 축방향 분해도.
제25도는 제24도의 맨드릴이 동축 케이블의 준비된 단부에 위치된 상태의 도면.
제26도는 제25도의 맨드릴-케이블 조립체위에 똑딱이 부재(snap member)가 위치된 상태의 도면.
제27도는 제24도의 실시예가 접속부 수용체 즉 잭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완전히 조립된 상태의 도면.
제2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미조립 상태의 축방향 분해도로서 부분적으로 단면 표시되었음.
제29도는 제28도의 실시예가 준비된 동축 케이블 단부에 조립되지 않은 상태의 도면으로서, 1회용 삽입 공구는 제28도의 커넥터 조립체의 구성 부품들을 축방향 정렬상태로 짖 및 정렬시키는 네스트(nest) 즉 콘네이너를 제공하여 조립체가 용이하게 동축 케이블의 준비된 단부에 조립되도록 함.
제30도는 제28도의 콘테이너가 회전됨으로써 준비된 동축 케이블 단부위에 끼워진 커넥터 조립체의 설치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31도는 제30도의 설치 작업이 완결된 후의 제28도의 커넥터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
제32도는 조립된 제28도의 커넥터 조립체가 수용체 즉 잭과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접속된 상태의 도면.
제33도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 조립체의 또 다른 실시예의 분해도로서, 종방향 축선을 따라 부분적으로 단면 표시되었음.
제34도는 제33도의 커넥터 조립체의 맨드릴 부분이 준비된 케이블 단부에 장착된 상태의 도면.
제35도는 탄성 중합 밴드가 제33도의 맨드릴 위에 조립된 후의 제33도의 커텍터 조립체를 도시하는 도면.
제36도는 제33도의 커넥터 조립체가 수용체 즉 잭에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부착된 상태의 도면.
제37도는 콜릿 맨드릴 몸체(colleting mandrel body)의 일실시 예의 케이블 단부와 도면으로서, 상기 맨드릴 몸체는 반경방향으로 확장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소정의 영역내의 여러가지 직경의 절연 코어를 갖는 동축 케이블에 적합하게 사용될 수 있음.
제38도는 제37도의 맨드릴 몸체의 38-38 선 단면도.
제39도는 제38도의 맨드릴 몸체와 상기 맨드릴 몸체를 각기 다른 직경의 내부 코어를 갖는 두개의 케이블 위에 설치할 수 있도록 하는 1회용 원추형 램프 형상의 콜릿 가이드 부재(expendable conical, ramp-shaped colleting guide member)를 도시하는 도면.
제40도는 변형된 콘테이너-네스팅 공구를 도시하는 제28도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 실시예의 부분 단면 축방향 분해도.
제41도는 콘테이너 공구내의 동축 케이블 커넥터 요소의 배치와 준비된 동축 케이블 단부위의 조립체와 공구의 나사결합을 도시하는 도면.
제42도는 케이블의 절연 코어와 콘테이너 공구의 플러그 단부와의 결합 상태를 도시하는 도면.
제43도는 케이블의 절연 코어가 콘테이너 공구를 치형부재와 맨드릴 캡의 슬로트사이의 해제 위치까지 가압하는 경우 제40도의 조립체의 최종 위치를 도시하는 도면.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
제 1 도를 참조하면, 동축 케이블(10)은 중앙의 길이방향 도체(12)를 포함하며, 상기 도체(12)는 예를들면 플라스틱 발포재와 같은 고유전성 절연물질(14)에 의해 동심관계로 둘러싸여진다. 얇은 금속으로된 전도성 박막 또는 피복물(16)(전형적으로는 알루미늄 합금)은 외면에 부착되어서, 내부에 발포 코어(14) 및 그 내에 삽입된 중앙 도체(12)를 수용한다. 개방 그물형 편조선 또는 랩(18)은 외부 금속 피복물(16)의 바로 외측을 둘러싸서 케이블에 기계적 강도를 제공하며, 케이블(10)이 손상되지 않고도 어느 정도 자유롭게 구부러질 수 있도록 한다. 또 다른 알루미늄 박막 및 편조선 층이 복합 외부 도체의 일부로서 포함될 수도 있다. 이러한 구성 요소(16)(18)들은 외부 도체 및 차폐재를 형성하며, 상기 도체 및 차폐재는 거의 동심관계로 위치되고 (절연 코어(14)에 의해) 중앙 도체 (12)으로 부터 이격된다.
적절한 열가소성 수지 물질로 된 외부 절연체 피복물(20)은 외부 전도체를 덮어서 케이블을 주변으로부터 밀봉시키며, 외부도체를 주변으로부터 전기적으로 격리시키며, 케이블(10)에 어느 정도의 추가적인 강성 및 기계적 보호를 제공한다.
케이블(10)은 대략 0.275인치의 전체 공칭 직경을 갖는 RG-6형일 수도 있고, 대략 0.240인치의 전체 공칭 직경을 갖는 RG-59 형일 수도 있다. RG-6형 케이블의 내부 코어 물질의 직경은 대략 0.185인치 정도인 반면,RG-59 형 케이블의 내부 코어 물질의 직경은 대략 0.145인치 정도이므로, 두개의 대표적인 실내용 케이블 사이의 직경 변화 범위는 대략 0.040인치 정도가 된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블(10) 단부을 외부 도체(20),외부 편조선(18), 외부 박막 재킷(16) 및 유전성 코어(14)는 제 1 도에 참조번호(22)로 도시된 인입선 위치 까지의 짧은 거리만큼 절단되어 중앙 도체(12)의 단편을 노출시킨다. 도체(12)의 노출 부분은 외부 원통형 나선면을 갖는 통상의 잭 내의 중앙 도체 수용부와 결합된다. 상기 잭은 대략 0.375인치의 공칭 외경을 갖는 표준 나선식 F 포트 커넥터일 수도 있으나, 실제의 경우에는 어느 정도 다른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제 1 도 및 제 2a도 내지 2g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본 발명의 원리를 채용한 커넥터의 바람직한 실시예(24)는 예를들면 황동과 같은 적절한 전도성 물질로 형성되는 맨드릴 몸체(26)를 포함한다. 맨드릴 몸체(26)는 그의 길이방향 축선을 따라 분리되는 2-부분 모울드로 다이 캐스팅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이 캐스팅으로 형성됨에 따라, 맨드릴 몸체(26)는 적절한 여유 및 에지 형상을 가지게 되므로 긁히거나 충돌되는 일없이 커넥터의 기타 구조적 요소들과 의도된 바대로 협동 작용할 수 있다. 기계가공 방법이 아닌 다이 캐스팅 가공방법을 채용함에 따라, 각각의 맨드릴 몸체(26)는 1 초이내에 형성될 수도 있으므로 제조 비용도 현저하게 감소된다. 맨드릴 몸체는 주석과 같은 적절한 금속 및 합금으로 도금되어 그 미끄럼 특성을 향상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전도성 맨드릴 몸체(26)는 그 단부에 작은 축방향 수렴 챔퍼(29)를 구비하는 얇은 관상 부분(28)을 포함한다. 절두 원추형 부분(30)은 절두 원추형 외면부(31)를 형성한다. 절두 원추형 외면부(31)는 맨드릴 몸체(24)의 중앙의 길이방향 축선(동축 케이블(10)의 중앙 도체(12)와 거의 정렬된 선)에 대해 예각(90미만)을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길이방향 축선과 외면부(31)가 이루는 각도는 대략 5°~20° 정도가 바람직하며, 10± 1°정도면 더욱 바람직하다.
제 1 방사상 연장 환형 벽(32)은 외향 연장되어 절두 원추형 표면(31)의 내측 단부를 수렴시킴으로써 환형의 칼날 돌출부 즉 바브(33)를 형성한다. 바브 에지(33)는 외부 금속 편조선 및 박막층(18)의 내측 링부를 완전히 절단하지는 않고 약간만 절단된 절단면이 되로록 설계되어, 금속 박막(16)의 내면위로 어떠한 산화물 또는 기타 절연형성물이나 적층물이 통과되지 못하도록 함으로써 맨드릴 몸체(26)와 외부도체 박막 및 편조선(18)사이에 신뢰성 있는 저 저항의 전기적 접속부를 제공한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절두 원추형 표면(31)은 환형벽(32)과 예각을 형성하는 바, 대략 30° 정도가 가장 바람직하다.
얇은 관상 부분(34)은 제 1 방사상 벽부분(32)의 베이스로부터 연장되어, 두꺼은 제 2방사상 벽부분(36)과 만나게 된다. 제 2 벽부분(36)은 콜릿 구조물(37)의 위치까지 방사상 외향으로 연장되며, 핑거(38)는 상기 콜릿 구조물(37)의 위치에서 연장된다. 핑거(38)는 내측 콜릿 구조물(37)을 규정하며, 커넥터(10)와 함께 사용하고자 하는 잭, 예를들면 F 형 잭의 외부 나사면과 결합하기에 적합한 내측 원통형 결합면을 제공한다. 콜릿 구조물(37)의 내면은,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매끈한 면일 수도 있고, 제 2C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얕게 절삭된 나선형 홈 즉 나사선(39)을 구비할 수도 있다. 핑거(38)의 콜릿 구조물의 입구에서 방사상으로 벌어지는 챔퍼 즉 경사 에지(40)는 핑거(38)가 잭의 나사면위에 쉽게 미끄럼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홈(39)의 피치는 잭의 나사선 피치와 대응하도록 설정된다. 홈(39)이 존재하는 경우가 없는 경우보다 나사잭에 보다 확실하게 부착될 것이므로, 그러한 특성이 소망되는 경우에는 홈(39)을 형성하는 것이 좋을 것이다.
각각의 핑거(38) 중 챔퍼(40)에 인접한 부분(42)은 두껍게 형성 되어 제 2 의 두꺼운 방사상 벽 부분(36)에 인접한 부분(44)으로 가면서 점차 얇아진다. 커넥터 (24)의 내부 구조는 그가 응력 및 압축을 받지 않은 상태에서는 대체로 원통형의 형상을 갖는다. 커넥터(24)가 잭의 외면위에 미끄럼될 수 있는 이러한 이완 상태에 있어서, 핑거(38)의 외면이 약간 곡면형의 또는 절두 원추형의 구조를 규정한다. 4 개의 핑거(38)가 맨드릴 몸체(26)에 의해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더 많거나 적은 수의 핑거가 제공될 수도 있으나, 후프, 밴드, 슬립 링(slip ring), 또는 기타의 원주방향 압축부재가 핑거(38)의 두꺼운 부분(42)위에 미끄럼 가능하게 위치되는 경우, 원통형상체의 사분원을 각기 규정하며 길이 방향 슬로트(46)에 의해 인접 핑거로 부터 분리되는 4 개의 핑거(38)가 보다 효과적인 압축 콜릿 클로저 구조물을 제공함으로써 잭의 외면위에 확실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핑거(38)는 예를들면 제 2B 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직각으로 콜릿 구조물(37)을 가로질러 교차 톱질함으로써 형성될 수도 있다. 변형예로서, 바람직하게는 대량 생산을 위하여, 제 2d및 제 2e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핑거(38)가 콜릿 구조물(37)을 가로질러 한 방향으로 이동하는 두개의 평행 톱니의 단일 기계가공동작에 의하여 형성된다.
커넥터(24)는 탄성 변형가능한 탄성증합체 캡(50)을 더 포함한다. 상기 캡(50)은적절한 열가소성 수지 물질을 사출성형함에 의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캡(50)은 변형 가능한 플랜지부(52)를 포함하며, 상기 플랜지부(52)는 후방의 날카로운 칼날형 환형 에지(54)를 향해 얇아지면서 테이퍼진다. 캡(50)이 맨드릴 몸체(26) 및 케이블(10)위에 적절하게 위치되는 경우, 캡부분(56)은 핑거(38)위에 헐겁게 끼워맞춤되어, 추가적인 후프 강도 및, 핑거가 잭에 완전히 삽입됨으로 인한 과잉 굽힘에 대한 핑거의 보호를 제공한다.
제 2a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캡(50)은 플랜지부(52)가 맨드릴 몸체(26)의 제 1 방사상 벽(32)에 인접하여 형성된 요홈부에 똑딱이식으로 체결되도록 치수가공된다. 플랜지부(52)가 초기에는 날카롭게 외향돌출되어 있으므로, 얇은 환형 에지(54)는 외부 플라스틱 절연체(20)의 둘레로 말려 올라가면서 상기 절연체를 맨드릴 몸체(26)의 칼날부(33)위에서 하향 가압한다. 캡(50)의 날카로운 에지(54)는 케이블(10)의 외부 절연체(20)에 접촉하여 위치된 후, 케이블(10)을 제 1 방사상 벽부분(32)에 대해 실제로 가압하여, 외부 도체 편조선 및 박막층(18)이 칼날부(33)에서 주름잡히도록 한다. 이렇게 생성된 주름은 알루미늄 산화물이 외부 도체와 전도성 맨드릴 몸체(26)사이의 매우 낮은 저항, 고 전도성 접촉을 방해하지 못하도록 할 뿐만 아니라, 케이블(10)이 도체(24)에 대해 후방으로 변위되지 못하도록 한다. 실제의 경우, 케이블(10)에 당기는 힘이 가해지면 케이블 단부가 커넥터로부터 분리되는 것이 아니라 커넥터가 잭으로 부터 분리될 것인 바, 이는 맨들릴 몸체(26)의 칼날부(33)의 예각에 대해 탄성 중합체성 캡(50)의 날카로운 에지(54)가 압축작용되기 때문이다.
외부 쉘(58)은 커넥터(24)와 협동 작용하여 상기 커넥터(24)를 강화시키도록 제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쉘은 6/6 나일론과 같은 소성 경화 물질의 사출 성형에 의해 형성된다. 제 1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쉘(58)은 전방 원통부(60)를 가지며, 상기 원통부는 그가 화살표(61)로 도시된 축선 방향을 전방으로 미끄럼 이동되는 경우 맨드릴 핑거를 잭의 외면에 대해 압축하도록 치수 가공된다. 원통부(60)의 내측 에지부(62)는 캡부(56)를 압박하며, 캡부(56)는 내측으로 가압되여 핑거(38)를 잭의 외면을 향해 압축 콜릿 방식으로 압축한다.
동시에, 쉘(58)의 절두 원추형 후방부분(64)의 내면(66)은 맨드릴 몸체(26)의 절두 원추형 표면(31)에 인접한 외부 플라스틱 절연체(20)의 일부에 맞닿도록 위치된다. 상기 내면(66)이 절연체 및 외부 도체 재킷을 표면(31)에 대해 고정시킴으로써 케이블(10)이 커넥터(24)에 대해 특히 칼날부(33)에 대해 상대적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하며, 외부 도체재킷이 맨드릴의 칼날부 위에서 더욱 더 주름잡히도록 하여그가 커넥터(24)에 대해 후방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외부 쉘(58)은 충분히 높은 탄성 신장 계수를 가짐으로써 쉘(58)이 맨들릴 몸체(26)위에서 전방으로 미끄럼 이동됨에 따라 콜릿 구조물(37)의 핑거를 효과적으로 오므라뜨려야만 한다. F 형 잭의 직경이 대략 0.015 이상이므로, 에지부(62)의 내경의 크기는 외부 쉘부분(60)의 전방 에지가 콜릿 구조물(37)위에서 반정도 미끄럼되는 경우, 구조물(37)과 공칭 직경, 예를들면 0.375인치의 잭사이에 고정 그립이 형성 되도록 해야만 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 2C 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콜릿 구조물의 내면이 얕은 나선(39)을 구비하는 경우, 보다 크거나 작은 직경의 F 형 잭이 커넥터(24)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도 있다. 외부 쉘(58)은 적어도 100,000 1bs/인치²정도의 탄성 계수 및 대략 4% 이하의 공칭 신장 탄성율의 특성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겔(gel)화를 방지하는 산화-형성물이 칼날부(33)에 인접한 방사상 벽부분(32)위에서 또는 절두 원추형 표면(31)위에서, 또는 바람직하게는 두 군데 모두위에서 맨드릴 몸체(26)위에 피복될 수도 있다. 겔은 윤활 특성을 가질 수도 있으며, 맨드릴 몸체(26)를 절연코어(14)와 외부도체 박막 재킷(16)사이에 삽입시키는 것을 용이하게 할 수도 있다. 본 출원인에게 양도된 미합중국 특허 제 4,634,207 호: 4,643,924: 4,721,832; 4,701,574 호에 개시된 것과 같은 겔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본발명의 실시예와 함께 사용하기에 적합하다.
커넥터(24)에 있어서, 맨드릴 몸체(26)의 두꺼운 방사상부(36)와 변형가능한 탄성 중합체성 캡(58)의 날카로운 부분(52)사이에는 공간(53)이 제공된다. 이 공간(53)은 여분의 외부 케이블 물질이 말려 올라갈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여, 커넥터(24)에 설치하기 위하여 케이블 단부를 준비하는데 있어서 여유 공차를 제공한다.
제3도 내지 제7도를 참조하면, 최종적으로 커넥터(24)를 포함하게 될 부품 키트의 조립순서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도면에는 성형된 플라스틱 조립 공구 즉 지그(70)가 제1도 및 제2도와 관련하여 전술한 기타 구성요소들과 축방향을 따라 정렬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블(10)의 단부(11)의 발포 코어(14) 및 노출된 외부 피복물(16)은 외부 절연제(20)와, 편조선 및 알루미늄 박막층(18)을 지나 짧은 거리만큼 연장된다. 편조선 및 박막층(18)은 접혀 올려져서 케이블(10)의 길이방향 축선으로 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이격된다. 케이블 단부(11)는 특수한 공구 또는 단순히 날카로운 칼 또는 일 가장자리 면도날을 사용하여 준비될 수도 있다. 편조선 및 박막층(18)의 삐져나온 부분은 외부 절연체 피복물의 링이 제거된 후 설치자가 손가락으로 뒤쪽으로 접는다.
제4도에 있어서, 맨드릴 몸체(26)와 캡(50) 및 외부 쉘(58)은 도시한 바와 같이 케이블 단부(11)를 받아들이기 위한 준비로서 조립 공구(70)내에 끼워진다. 공구(70)의 환형 링 부분(71)은 사용자의 손가락이 잡기에 편리한 위치를 제공한다. 한쪽 손으로는 케이블을 잡고, 다른 손으로는 몸체(26)와 캡(50) 및 외부쉘(58)이 수용된 조립공구(70)를 잡은 다음, 케이블을 공구(70)쪽으로 가압하여 외부 쉘 및 캡(50)을 통과시킨다. 케이블이 맨드릴 몸체(26)에 결합되는 경우,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몸체를 전방으로 가압하여 캡(50) 및 외부 쉘(58)로부터 분리시킨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블 단부(11)는 공구(70)내로 삽입되며, 맨드릴 몸체(26)를 공구(70)의 전방단부로 가압하며, 상기 단부는 캡(70)및 쉘(58)을 통과한 후 그 뒤쪽에 남아 있게 된다. 공구(70)가 투명한 플라스틱 물질로 형성되는 경우, 설치자는 케이블 단부가 절두 원추형 부분(30) 및 얇은 관상 부분(34)을 지나가는 것과 제2방사상 벽부분의 외측에 부딪치는 것을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 투명공구(17)는 이런식으로 적절한 설치를 돕는 게이지로서 작용한다. 제5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블이 소정의 위치에 도달되는 경우, 설치자는 외부 쉘을 잡아서 케이블(10)을 당김으로써 공구(70)로부터 분리시킨다.
케이블(10) 및 맨드릴 몸체(26)가 후방으로 당겨짐에 따라 외부 쉘(58)은 캡(50)을 고정시켜 캡(50)이 케이블(10)을 지나 표면(31) 위에 배치된 외부 재킷 요소에 의해 형성된 환형 벌지부위로 미끄럼되도록 한다. 케이블(10)을 쉘(58)에 대해 계속해서 잡아 당기게 되면 캡은, 제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제1벽 부분(33)정면의 얇은 관상 부분(3) 위의 최종 체결위치까지 이동된다. 캡(50)은 방사상 벽(32)에 인접한 외부 절연체(20)에 대해 똑딱이 식으로 체결되어 케이블(10)이 맨드릴 몸체(26)의 칼날형 바브(33)와의 상호 작용에 의해 후방으로 이동되지 못하도록 한다.
공구, 즉, 지그(70)가 맨드릴 몸체(26)와, 똑딱이식 체결 캡(50) 및 외부 쉘(58)을 포함하는 부품키트를 수용하기 위한 편리한 패키지를 형성한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발포-팩 패키지가 공구 및 부품을 포함할 수도 있으며, 상자 형태로 형성되어 가정주부나 커넥터(24)의 기타 설치자/사용자들에게 편리하게 공급되도록 할 수도 있다. 상기 상자에는 커넥터(24)의 조립 및 사용을 설명하는 지침서 및 도면이 편리하게 제공될 수도 있다.
제6도에 있어서, 커넥터 조립체(24)는 공구(70: 사용후 버려질 수도 있고 또 다른 커넥터 조립체(24)를 설치하도록 남아있을 수도 있다)로 부터 퇴출된다. 그후, 외부 쉘은 제6도에 도시된 위치로 다시 미끄럼 이동되며, 커넥터(24)는 제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잭(72)위로 가압될 수도 있다. 예시한 잭(72), 대표적으로 F형 잭은 외부 나사면(74)을 규정할 수도 있으며, 상기 나사면(74)은 맨드릴 몸체(26)의 핑거(38)와 접촉하게 된다. 얕은 나선(39)은 (콜릿 구조물(37)의 내면에 존재하는 경우) 잭의 나사면과 정합하는 피치를 갖는다. 외부 쉘(58)은 제7도에 도시된 위치를 향해 전방으로 미끄럼이동되면, 상기 위치에서 핑거(38)가 나사면 (74)에 체결됨과 동시에 외부 잭 요소는 맨드릴 몸체(26)의 절두 원추형 표면(31)에 체결된다. 커넥터(24)는 케이블에 견고하지만 제거 가능하게 부착된다. 케이블(10)을 잡아당기게 되면, 커넥터(24)와 케이블 단부(11)가 바람직하지 않게 분리되기 전에 커넥터(24)가 잭(72)으로부터 분리될 것이다.
커넥터(24)를 잭(72)으로부터 제거시키기 위해, 외부 쉘(58)은 핑거사이에 포착되어, 커넥터가 잭으로부터 헐거워지도록 회전될 수도 있다. 쉘(58)은 그 후 후방으로 미끄럼이동됨으로써 핑거를 해제시켜 커넥터 조립체(24)를 쉽게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쉘(58)위에 형성되는 외부 환형 링 또는 한쌍의 대향 플랜지(59: 제2f도 및 제2g도는 적절한 엄지손가락 포착 메카니즘을 제공하여 쉘(58)을 맨드릴(26)과 캡(50) 및 케이블(10)에 대해 회전 및 미끄럼 이동시킬 수 있도록 하여 커넥터(24)를 잭(72)에/으로부터 설치 및 제거시킬 수 있도록 한다.
제8도에는 연속형 탄성부(54) 대신 복수개의 스플라인(55)을 구비하는 캡(50a)이 도시되어 있다. 캡(50a)의 조작은 캡(50)에 대하여 설명된 것과 마찬가지이다. 그러나, 스플라인(55)은 케이블(10)의 외부 플라스틱 절연물(20)을 파고 들어서 일련의 응력 포인트 또는 바브를 생성시키며, 상기 바브는 견고하게 상호 작용하여 편조선 및 박막층(18)을 칼날형 바브(33)에 해 고정 체결시킨다. 실제의 경우, 스플라인(55)의 예리한 팁부분은 외부 플라스틱 피복물(20)을 파고들게 된다.
제9도 내지 제12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선택적 실시예(24a)가 도시되어 있다. 이들 도면에 있어서, 제1도 내지 제7도와 비교하여 동일한 부분에는 동일한 참조번호가 표시된다. 변형된 캡(50b)은 두꺼워진 방사상부(52a)를 포함하여, 변형가능한 환형 에지(54)는 상기 방사상부로부터 연장된다. 디스크(58a)는, 전술된 쉘(58)의 부분(60)과 같이 핑거를 오므라뜨리는 기능을 수행한다. 이 실시예(24a)의 잇점은 매우 편평하고 콤펙트(compact)한 커넥터 조립체를 제공하는 데 있다. 그러나, 두꺼운 디스크의 응력 완화와, 전술된 실시예의 얇은 외부 쉘(58)로 인해 때때로 부딪치는 문제로부터 미소한 결점이 존재하게 된다. 커넥터(24a)의 결점중 하나는 외부 쉘의 부분(64)이 없다는 것이며, 맨드릴 몸체(26)의 절두 원추형 부분(30)에 인접한 케이블 단부에는 어떠한 보강재 또는 지지체도 추가되지 않는다는 것이다.
제13도 내지 제16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또 다른 실시예(24b)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실시예(24b)에 있어서, 외부 쉘(58)은 분할 링(58b)으로 대체되었으며, 상기 분할링(58b)은 맨드릴 쉘(26a)의 핑거(38)의 외주 둘레에 형성되는 적절한 밴드 수용 구조물(39)에 안착한다. 캡은 탄성 중합체 에지(54)를 포함하는 디스크(50c)로서 형성된다. 디스크(50c)의 외부는 핑거가 커넥터를 포착하여 잭으로 부터 설치 및 제거될 수 있도록 한다. 디스크(50c)의 두께 때문에 아주 적은 응력 완화가 존재하게 되며, 맨드릴 몸체 전체에 끼워진 케이블 단부위에 설치되고 나면, 디스크(50c)는 케이블 단부를 맨드릴 몸체(26)에 견고하게 체결시키게 될 것이다. 이 실시예(24b) 역시 외부 쉘(58)에 의해 맨드릴 몸체의 절두원추형 부분에 제공되는 것과 같은 어떠한 케이블 고정 구조물도 제공되지 않는다는 문제점을 갖는다. 분할-링(58b) 역시 내측 압축 콜릿 구조물(37)이 잭에 가하는 만큼의 견고한 결합력을 제공하지 못한다.
제17도 내지 제19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또 다른 커넥터(24c)의 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단지 두개의 요소만이 존재한다. 즉 약간 변형된 맨드릴 몸체 (26b)와 길다란 형상의 탄성중합체 나사 캡(50c)이 바로 그것이다. 맨드릴 몸체(26b)의 핑거(38)는 보다 큰 후프 강도를 제공하도록 두꺼워진다. 나사 캡(50c)은 케이블(10)위에 끼워맞춤된다. 케이블 단부(11)가 맨드릴 몸체(26b)위에 설치된 후, 캡(50c)은 제19도에 도시된 바와같은 맨드릴-케이블 구조로 나사결합됨으로써, 케이블 단부(11)를 맨드릴 몸체(26b)에 고정시킨다.
제20도 내지 제23도에는 본 발명에 따른 커넥터의 또 다른 실시예(24d)가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3-부분 실시예(24d)에 있어서, 캡(50)은 탄성 중합체성 물질로 된 실린더(50d)로 대체된다. 실린더(50d) 및 외부 쉘(58b)은 케이블(10)위에 위치된 후 커넥터(24)와 마찬가지로 맨드릴 몸체(26)위로 가압된다. 쉘(58b)은, 제22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탄성중합체성 실린더(50d)를 맨드릴 몸체(26)의 칼날부(33)위의 위치로 가압하도록 사용된다. 그 후, 커넥터(24d)는 잭(72) 및 쉘(58b)위에 설치되며, 제2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전방으로 미끄럼되어 핑거(38)를 잭의 외부 나사면(74)위에 체결시킨다.
제24도 내지 제27도에 도시된 커넥터(24e)는 최초 기재된 맨드릴 몸체(26)와 함께 사용되는 캡(50e) 및 외부 쉘(58c)의 또다른 조합을 포함한다. 이러한 커넥터(24e)의 실시예에 있어서, 갭(50e)은 길다란 형상의 꼬리부(53)를 포함하며, 상기 꼬리부(53)는 맨드릴 몸체(26)의 칼날부(33)위에 놓일 수 있는 형상으로 치수가공된다. 잭(72)위에 조립 및 설치되는 경우, 외부 쉘(58)은 외부 플랜지(59)를 잡는 것에 의해서 그것의 전방 위치로 가압된다. 이러한 동작은 핑거(38)를 잭(72)의 외부 나사면(74)위에 체결시킨다. 테이퍼진 환형 에지(63)는 캡(50e)과 협동 작용하여 제27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칼날부(33)에 인접한 케이블 재킷에 대하여 추가의 압축력을 제공한다.
제28도 내지 제32도에 도시된 커넥터(24f)는,전술된 실시예의 절두 원추형 칼날부(33)가 얇은 관상 부분(28)으로부터 반경방향 외향으로 돌출되는 나선형 칼날부 또는 나사부(33a)로 대치된 맨드릴 몸체(26c)를 포함한다. 실제의 경우에 있어서, 얇은 관상 부분은 대략 0.180인치 정도의 평균 외경을 갖는 미소 각도의 절두 원추형상을 가질 수도 있다. 나선형 칼날부(33a)는 대략 0.210인치 정도의 정점을 가지며, 관상 부분으로부터 연장되는 예각 돌출부로서 형성된다. 나선형 칼날부(33a)는 외부 도체 편조선 또는 알루미늄 박막의 가느다란 알루미늄 선내에 충분히 물려질 수 있도록 형성되어 상기 박막과 전기적으로 확실하게 접촉되도록 하며, 상기 선을 절단하거나 파손함이 없이 확실한 기계적 고정부를 제공한다.
칼날부의 첨예도와 무딤도간의 절층은 대략 2 내지 3mil 정도의 편평함을 갖도록 하는 것이 효과적이다. 1mil 이면 너무 날카로워서 가르다란 편조선을 절단시킬 것인 반면, 에지부의 8mil의 반경은 너무 무뎌서 인장하의 편조선을 미끄러지게 할 것이다. 칼날부(33a)는 편조선이 실제로 절단되지 않을 정도의 전단 응력을 받도록 형성되는 것이 이상적이다. 실제로이러한 것들은 칼날부(33a)의 첨예도와 칼날부를 이루는 물질의 경도를 고려하여 결정된다.
공구(70a) 즉 지그는 톱니부(80)를 포함하는 것으로 변형되었다. 상기 톱니부(80)는 콜릿 구조물(37)의 핑거(38)사이에 규정되는 슬로트(82)와 결합하도록 치수가공 및 위치된다. 공구(70)의 외측단부(84)는 방사상 스포우크 즉 돌출부를 구비하여 공구(70)를 잡는 것과 그것에 회전 토오크를 전달하는 것이 용이하도록 함으로서 나사선이 있는 맨드릴(26c)을 케이블(10)의 준비된 단부에 삽입시킬 수 있도록 한다. 맨드릴(26c)을 준비된 케이블단부에 회전 설치하는 것은 제30도에 화살표(84)로 개략적으로 도시되어 있다. 맨드릴(26c)위에 나선형 칼날부(33a)를 사용하는 것은, 외부의 탄성 중합체성 재킷(20)을 사실상 경화시키는 주위의저온상태하에서도 조립체(24f)를 동축 케이블(10)에 용이하게 설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는 것이 발견되었다. 외부 재킷(20)이 주위의 저온 공기로 인해 경화하는 경우, 나선형 칼날부(33a)는 동축 케이블(10)의 외부 도체 편조선/박막내로 물려져서 확실하게 결합된다 나머지의 커넥터 조립체(24f) 조립과정은 전술된 조립체(24)와 마찬가지이다.
제33도 내지 제36도에 도시된 커넥터(24g)는 제28도의 나선형 나사선이 있는 맨드릴 몸체(26c)와 제20도의 커넥터 실시예(24d)의 탄성 중합체성 실린더(50d)를 조합한 것이다. 맨드릴(26c)은 제28도의 커넥터 몸체(24f)와 관련하여 전술된 바와같이 준비된 케이블 단부위에 나사결합되는 반면,탄성 중합체성 실린더(50d)는 제20도의 실시예에서설명된 바와같이 위치된다.
제37도 내지 제39도에 도시된 맨드릴 몸체(26d)는 소정의 치수 범위내의 각기 다른 직경을 갖는 발포 코어를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과 관련되는 문제점들을 해결한다. 예를들면, RG-59 케이블(10a)은 코어(16a)용으로 대략 0.145인치 정도의 직경을 가질 수도 있는 반면, RG-6 케이블(10b)은 코어(16b)용으로 대략 0.185인치 정도의 직경을 가질 수도 있다. 두 케이블 모두 맨드릴 몸체(26d)를 포함하는 커넥터 조립체에 의해 효과적으로 종단될 수도 있다. 몸체(26d)는 예를들면 네개의 길이방향 슬로트(86)를 규정하도록 형성되며, 나머지는 몸체(26)와 동일하다. 슬로트(86)는 대단히 협소(예를 들면 0.010인치)하며 ; 케이블 단부로부터 벽(36)까지 연장된다. 케이블 단부에 참조번호(88)로 표시된 내경은 조절될 치수 범위내에서 가장 작은 케이블 코어(16b)의 외경에 대체로 대응하는 반면, 맨드릴 몸체(26d)의 관상 부분(34)의 중앙 구멍의 내경(90)은 소정의 치수 범위내에서 가장 큰 케이블 코어(16d의 외경을 수용하도록 치수가공된다. 맨드릴 몸체(26d)의 절두 원추형 부분(30a)은 내측 및 외측위의 케이블 단부 직경(88)쪽을 향해 테어퍼진다.
1회용 램핑 공구(expendable ramping tool)(92)는 맨들릴 몸체(26d)를 준비된 케이블 단부에 부착시키는데 사용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램핑 공구(92)는 그가 케이블(10)의 노출된 중앙 도체(12)위에 코어(16a)에 맞닿도록 축방향을 따라 위치되는 경우 맨드릴 몸체(26d)가 코어(16)를 향해 가압됨에 따라 슬로트(86)에 의해 형성된 핑거를 방사상으로 확장시킨다. 맨드릴 몸체(26d)의 케이블 단부의 이러한 방사상 확장은 케이블 코어가 코어(16a)와 같이 작은 직경을 갖든 또는 코어(16b)와 같이 큰 직경을 갖든 상기 케이블 단부가 케이블 코어에 적절하게 중첩 결합될 수 있도록 케이블 단부를 위치시킨다. 코어(16)의 외측이 결합된 후, 램핑 공구는 계속해서 축방향을 따라 가압되어 관상 부분을 통과한 후 설치자가 쉽게 버릴 수있도록 콜릿 구조물(37)로 둘러싸인 부분까지 이동된다.
절두 원추형 칼날부(33)가 제37도 내지 제39도의 실시예로서 도시되어 있으나, 나선형 칼날부(33a)도 또한 본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성공적으로 사용될 수도 있다는 것을 명백히 알 것이다.
제40도 내지 제43도를 참조하면, 제28도 내지 제32도에 도시된 커넥터(24f)가 이 도면과 관련하여 또다시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제40도 내지 제43도에 있어서는, 커넥터(24f)의 요소 및 케이블(10)과 함께 사용되는 공구(70b)가 변형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상기 공구(70b)는, 커넥터의 맨드릴(26c)이 준비된 케이블 단부에 과도하게 설치되는 것을 자동적으로 방지하는 장점을 갖는다.
어두운 곳에서는 커넥터의 맨드릴 몸체(26c)가 준비된 케이블 단부에 충분히 회전되어 결합되었는지를 판다니하기가 대단히 어려울 수도 있고 불가능할 수도 있다. 결과적으로, 맨들리 몸체(26c)는 케이블 단부위에 과도하게 나사결합되고, 그 결과, 외부 도체 편조선 및 차폐물은 위로 접혀져서 커넥터와 케이블 단부의 전기적 및 기계적 연결상태를 불량하게 만든다. 공구(70b)는 맨드릴 몸체(26c)가 준비된 케이블 단부위로 과도하게 회전되지 못하도록 형성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구(70)는 중공형의 원통형상 플러그 부분(83)을 구비하여 형성된다. 플러그 부분(83)은 커넥터 요소 및 준비된 케이블 단부와 동심관계를 갖는다. 플러그 부분(83)은 내부벽(85)을 규정하며, 상기 내부벽(85)은 제4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맨드릴 몸체와 맞닿는다. 중앙 개방공(87)은 내부벽(85)을 통해 규정된다. 중앙도체 와이어(12)의 직경이 32mil~40mil 사이의 범위에 해당되므로, 중앙 개방공(87)은 가장 큰 와이어 직경의 두배 정도로, 즉 약 80mil 정도의 직경을 갖도록 치수 가공된다. 개방공의 이러한 직경은 이하의 두가지 중요한 이유로 인해 선택된다. 첫째, 케이블(10)의 유전성 코어(16)의 직경보다 충분히 작으므로 단부백(17)은 내부멱(85)에 접촉하게 되고 그후 공구(70b)를 해제시킬 수 있을 것이다. 둘째, 작은 직경의 개방공(87)은 게이지로서의 기능을 수행하여 준비된 케이블 단부에서 노출되는 중앙 도체(12)가 구부러지지 않도록 한다(내부 도체(12)의 노출단부가 구부러지는 경우, 조립된 커넥터 및 케이블 단부가 사용될 수용체내의 중앙 접점에 계속적인 손상이 발생될 것이다).
제41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케이블(10)은 맨드릴 몸체(26c)에 확실하게 고정 결합되고 있다. 공구(70b)가 회전됨에 따라, 톱니부(80)는 맨드릴 몸체(26c)의 외부 캡부분(37)의 핑거들 (38)사이의 슬로트(82)와 결합하여 공구(70b) 의 회전에 따라 함께 회전되도록 한다. 제42도에는 맨드릴 몸체(26c)가 케이블 (10)의 준비된 단부위에 나사 결합되어 전체의 단부벽(17)이 공구의 내벽(85)에 맞닿은 위치까지 이동된 것으로 도시되어 있다.
제43도에 도시된 바와같이, 공구(70b)의 연속적인 회전은 맨드릴 몸체(26c)가 준비된 케이블 단부를 따라 후방으로 이동되도록 함으로써, 유전성 코어(26)가 맨드릴 몸체의 내벽의단부를 지나 약간 돌출되도록 한다. 이 위치에서, 공구(70b)의 내벽(85)은 맨드릴로부터 밀려 나와서 공구의 톱니부(80)가 캡 핑거들(38)사이의 슬로트(82)에서 해제되도록 한다. 제43도에 도시된 지점에서, 공구(70b)를 더 회전시키더라도 맨드릴 몸체(26c)는 더이상 회전되지 않으므로 상기 몸체가 준비된 케이블 단부를 따라 과도하게 설치되는 것이 방지된다. 따라서, 설치자는 맨드릴 몸체(26c)가 케이블 단부를 따라 정확한 길이로 적절하게 설치되는 위치에서 자동 해제될 때까지 공구(70b)를 케이블(10)에 대해 회전시킬 수도 있다. 동일한 개념을 전술된 푸쉬-온 공구(70) 및 환형 바브(33)에 사용할 수도 있지만, 그 개념을 나선형 나사 바브(33a)를 갖는 맨드릴 몸체(26c)에 사용한다는데 특히 잇점이 있다.
[산업분야의 응용]
본 발명은 동축 케이블용의 3-부분 격벽형 커넥터 조립체에도 적용될 수 있다. 상기 커넥터 조립체는 동축 케이블 준비된 단부에 쉽게 설치될 수도 있고, 준비된 케이블 단부에 효율적이며 효과적으로 고정되어 외부 도체에 대해 견고한 전기 및 기계적 고정부를 제공한다. 커넥터를 잭 또는 수용체에 체결시키는 체결 기구 및 설치공구는 본 발명의 주요 실시예로서 제공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이 상세히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의 정신을 이탈하지 않고 다양한 형태의 변형예가 실시가능하다는 것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들면, 내측 압축콜릿(37)의 외향으로 벌어지는 형상은 절두 원추형이 아닌 곡면 형상이 됨으로써 커넥터가 사용될 수도 있는 여러가지 잭의 직경 공차 범위에 적합하게 적용될수 있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외향으로 벌어지는 형상이 캡 부재에 제공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 및 첨부도면에 개시된 바람직한 실시예들은 이하의 청구범위에 기재될 본 발명의 범주를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Claims (12)

  1. 노출된 고형 와이어 중앙도체를 갖는 동축 케이블의 준비된 단부에 접속하기 위한 격벽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에 있어서 : 케이블의 준비된 단부의 유전성 코어와 외부 도체사이로 가압되도록 치수 가공된 전도성 물질로 된 관상 맨드릴 몸체로서,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결합되도록 둘레로 연장되는 돌출형 칼날부를 규정하는 케이블 결합 표면부와, 상기 케이블 결합 표면부로 부터 방사상 벽부분까지 연장되는 관상 섕크부와, 상기 방사상 벽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동축 연장되며 노출된 중앙 도체를 중심으로 동심관계로 배치되며 커넥터와 정합되어 사용되는 수용수단의 외면위로 미끄럼되어 억지 끼워맞춤 마찰 결합식으로 접촉되도록 치수가공되는 수용체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기 맨드릴 몸체와, 상기 맨드릴 몸체의 케이블 결합면의 칼날부위에서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의 내면을 압축하여 상기 외부 도체가 전단되지 않을 정도의 전단 응력을 상기 외부 도체에 가하는 방사상 압축 수단으로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중합체성 물질을 포함하는 상기 압축수단을 포함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맨드릴 몸체의 상기 케이블 결합면은 후방으로 수렴되는대체로 절두 원추형 표면부와, 거의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환형 에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절두 원추형 표면부는 상기 케이블의 길이 방향축선에 대해 미소 각도로 규정되며, 상기 환형 에지부는 상기 칼날부를 환형체로서 규정하기 위하여 상기 절두 원추형 표면부까지 외향연장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방사상 압축 수단은 상기 칼날부에 위치된 동축 케이블에 억지 끼워맞춤되도록 치수가공된 스냅-링(snap-ring)을 포함하며, 상기 스냅-링은 탄성 변형가능한 탄성 중합체성 물질로 이루어지는 부분을 포함하며, 상기 부분은 상기 절두 원추형 표면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동축 케이블을 상기 환형 에지부를 향해 똑딱이식으로 체결시킴으로써 상기 외부 도체가 상기 환형 칼날부위에 구부러져 지지되도록 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스냅 링은 상기 맨드릴 몸체의 상기 수용체 결합부위에 헐겁게 끼워맞춤되는 캡부를 포함하여 상기 수용체 결합부에 추가적인 후프 강도를 제공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체 결합부는 상기 방사상 벽부분으로터 방사상으로 벌어지도록 치수 가공되며 적어도 상기 스냅링의 캡부분 및 상기 맨드릴 몸체의 상기 수용체 결합부 전체에 걸쳐 배치되는 미끄럼 가능한 쉘 수단을 더 포함하며, 상기 미끄럼 가능한 쉘 수단은 상기 수용체의 외면과 대면하는 커넥터 단부로부터 미끄럼 가능하게 이격 위치되어 상기 커넥터의 상기 수용체 결합부가 상기 수용체의 외면위에서 자유롭게 미끄럼되도록 하며, 상기 미끄럼 가능한 쉘 수단은 상기 커넥터 단부를 향해 미끄럼 가능하게 위치되어 상기 방사상으로 벌어지는 잭 결합부를 상기 수용체의 외면에 대해 반경방향으로 압축함으로써 상기 커넥터를 그것에 체결시키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미끄럼 가능한 쉘 수단은 상기 커넥터를 상기 준비된 케이블 단부에 설치하는 동안 상기 스냅링을 상기 동축케이블 단부 및 맨드릴 몸체위의 위치로 안내하기에 적합한 동축 케이블 커넥터.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블 결합 표면부는 그 둘레로 연장된 돌출형 칼날부를 규정하며, 상기 칼날부는 나선부를 포함하는 관상 구조물을 포함하며, 상기 나선부는 상기 구조물로부터 상향 돌출되며, 상기 나선부는 예각을 규정하며 상기 돌출형 칼날부를 제공하는 동축 케이블 커넥터.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형 칼날부의 정점은 평면으로 형성되며, 상기 평면의 횡방향 치수는 대략 2~3mil 정도인 동축 케이블 커넥터.
  9. 격벽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용 관상 맨드릴 몸체에 있어서, 동축 케이블의 준비된 단부의 유전성 코어와 외부 도체사이에 손으로 위치되도록 치수가공되는 전도성 물질로 된 관상 맨드릴 몸체로서,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와 결합되도록 둘레로 연장되는 돌출형 칼날부를 규정하는 케이블 결합 표면부와, 상기 케이블 결합 표면부로부터 방사상 벽부분까지 연장되는 관상 섕크부와, 상기 방사상 벽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며 노출된 중앙 도체를 중심으로 동심관계로 배치되며 커넥터와 정합되어 사용되는 잭의 외면위로 미끄럼되어 억지 끼어맞춤 마찰 결합식으로 접촉되도록 치수가공되는 수용체 결합부를 포함하는 관상 밴드릴 몸체.
  10. 노출된 고형 와이어 중앙도체를 갖는 동축 케이블의 준비된 단부에서 격벽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내로 조립하기 위한 부품 키트에 있어서 : 케이블의 준비된 단부의 유전성 코어와 외부 도체사이로 가압되도록 치수가공되는 전도성 물질로 된 관상 맨드릴 몸체로서, 둘레에 연장되는 돌출형 칼날부를 규정하는 케이블 결합 표면부와, 상기 케이블 결합 표면부로 부터 방사상 벽부분까지 연장되는 관상 섕크부와, 상기 방사상 벽부분으로부터 전방으로 동축 연장되며 상기 노출된 중앙 도체를 중심으로 동심관계로 배치되며 커넥터와 정합되어 사용되는 잭의 외면위로 미끄럼되어 억지 끼워맞춤 마찰 결합식으로 접촉되도록 치수가공되는 잭 결합부를 포함하는 상기 맨드릴 몸체와, 상기 관상 맨드릴 몸체의 칼날부위에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의 내면을 압축하기 위한 방사상 압축 수단으로서, 탄성 변형 가능한 탄성중합체성 물질을 포함하는 부품 키트.
  11. 동축 케이블의 단부에서 부품 키트의 격벽형 동축 케이블 커넥터를 조립하는 방법에 있어서 : 외부 절연 피복물의 제1원통부를 제1 길이만큼 뒤로 벗겨서 외부 도체 편조선/박막 층을 노출시키는 것과, 상기 외부 도체 편조선/박막층 및 그와 동축 관계로 배치된 유전성 물질을 상기 제1길이보다 짧은 제2길이만큼 뒤로 벗겨서 중앙의 고형 도체 와이어 단부를 노출시키는 것에 의해 케이블의 단부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케이블의 단부의 유전성 코어와 외부도체 사이에 가압되도록 치수 가공되는 전도성 물질로 된 관상 맨드릴 몸체를 예비 형성하되, 상기 예비 형성된 맨드릴 몸체는 둘레에 연장된 돌출형 칼날부를 규정하는 케이블 결합 표면부와, 상기 케이블 결합 표면부로부터 방사상 벽부분까지 연장되는 관상 생크부와, 상기 방사상 벽부분으로부터 전방을 향해 동축 연장되며 상기 노출된 중앙 도체를 중심으로 동축 관계로 배치되며 상기 조립된 커넥터가 정합되는 잭의 외면 위로 미끄러져 억지 끼워맞춤 마찰 결합식으로 접촉되도록 치수가공되는 잭 결합부를 포함하는 맨드릴 몸체 예비성형 단계와, 상기 케이블의 외부 도체의 내면을 상기 관상 맨드릴 몸체의 칼날부위에서 압축하기 위한 방사상 압축 수단을 예비형성하는 단계에 의해서 부품키트를 제공하는 단계와, 상기 방사상 압축 수단을 상기 준비된 케이블 단부위에서 그로부터 이격되는 방향으로 미끄러지게 하는 단계와, 상기 맨드릴 몸체를 상기 케이블의 준비된 단부위에 설치하는 단계와, 상기 방사상 압축 수단을 상기 맨드릴 몸체에 설치되는 케이블 단부위로 미끄럼 이동시켜 상기 동축 케이블의 외부 도체의 내면을 상기 관상 맨드릴 몸체의 칼날부위에서 압축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12. 환형의 또는 나선형의 칼날부(33,33a)를 규정하는 관상부(28,34)를 구비하고, 상기 칼날부는 상기 관상부로부터 외향으로 돌출하는 날카로운 형상의 표면을 형성하는 맨드릴 몸체(26,26c).
KR1019910701788A 1989-06-09 1990-06-08 격벽형 동축 케이블 연결기 KR01476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0)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36491789A 1989-06-09 1989-06-09
US364,917 1989-06-09
US?364,917? 1989-06-09
US43406889A 1989-11-08 1989-11-08
US?434,068? 1989-11-08
US434,068 1989-11-08
US07/509,669 US5127853A (en) 1989-11-08 1990-04-19 Feedthrough coaxial cable connector
US?509,669? 1990-04-19
US509,669 1990-04-19
PCT/US1990/003267 WO1990015454A1 (en) 1989-06-09 1990-06-08 Feedthrough coaxial cable connector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2043A KR920702043A (ko) 1992-08-12
KR0147689B1 true KR0147689B1 (ko) 1998-09-15

Family

ID=27408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10701788A KR0147689B1 (ko) 1989-06-09 1990-06-08 격벽형 동축 케이블 연결기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EP (1) EP0476056B1 (ko)
JP (1) JPH04506278A (ko)
KR (1) KR0147689B1 (ko)
AT (1) ATE127623T1 (ko)
AU (2) AU656305B2 (ko)
CA (1) CA2058991A1 (ko)
DE (1) DE69022234T2 (ko)
ES (1) ES2078974T3 (ko)
WO (1) WO199001545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660B1 (ko) * 2011-08-24 2013-02-19 주식회사 텔콘 알에프 커넥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9101685D0 (en) * 1991-01-25 1991-03-06 Ramm Stephen G Outdoor lighting system
BR9205791A (pt) * 1991-03-22 1994-05-17 Raychem Corp Conector de cabo coaxial com espaçador de mandril, e método de preparaçáo de cabo coaxial
DE9203261U1 (de) * 1991-11-14 1992-05-07 Walter Rose Gmbh & Co Kg, 5800 Hagen Koaxialkabelstecker/-kupplung
DE4227531C2 (de) * 1992-08-20 1995-06-29 Thielmann Ag Kg Eckverbinder für ein Rahmengestell eines Schaltschrankes
GB2276773B (en) * 1993-03-30 1997-01-08 British Engines Ltd Improvements in cable glands
US5695363A (en) * 1994-12-23 1997-12-09 Raychem Corporation Locking coaxial cable connector and adaptor
WO1996020516A1 (en) * 1994-12-23 1996-07-04 Raychem Corporation Coaxial cable connector
CA2207287C (en) * 1997-06-09 2002-08-27 Cabletel Communications Corp.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integral cable gripping external bushing
DE19726005A1 (de) * 1997-06-19 1999-02-04 Itt Mfg Enterprises Inc Endgehäuse
US6261126B1 (en) 1998-02-26 2001-07-17 Cabletel Communications Corp.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retractable bushing that grips cable and seals to rotatable nut
DE19812383A1 (de) * 1998-03-20 1999-09-30 Spinner Gmbh Elektrotech Verfahren zum Montieren eines Steckverbinders auf das Ende eines Koaxialkabels und Steckverbinder zur Durchführung des Verfahrens
JP4279929B2 (ja) * 1999-02-12 2009-06-17 株式会社アドバンテスト ケーブルターミナル、同軸ケーブルユニット及びハイフィックス
DE10324430B4 (de) * 2003-05-28 2005-11-10 Dornier Medtech Laser Gmbh Universeller Lichtleiterstecker
US7976339B2 (en) 2007-01-11 2011-07-12 Ideal Industries, Inc. Cable connector with bushing that permits visual verification
JP5124208B2 (ja) * 2007-08-21 2013-01-23 哲雄 奥津 差込プラグ及びプラグ付電線ケーブル
US8657626B2 (en) 2010-12-02 2014-02-25 Thomas & Betts International, Inc. Cable connector with retaining element
CN106134004B (zh) 2013-12-24 2020-08-28 Ppc宽带股份有限公司 一种具有内部导体衔接器的连接器
DK3175512T3 (da) 2014-07-30 2020-03-23 Corning Optical Comm Rf Llc Coaksial kabelkonnektorer med lederfastholdelseselementer
CN108075338B (zh) * 2018-01-08 2024-05-14 中航富士达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可旋转定位的射频同轴旋转连接器
CN109779524A (zh) * 2019-03-08 2019-05-21 南阳市天达同兴石油技术有限公司 一种电缆式钻井定向装置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3263C (ko) *
US2805399A (en) * 1955-10-04 1957-09-03 William W Leeper Connector for uniting coaxial cables
US3781762A (en) * 1972-06-26 1973-12-25 Tidal Sales Corp Connector assembly
DE2343030C3 (de) * 1973-08-25 1980-11-06 Felten & Guilleaume Carlswerke Ag, 5000 Koeln AnschluBvorrichtung für Koaxialkabel
US4053200A (en) * 1975-11-13 1977-10-11 Bunker Ramo Corporation Cable connector
JPS5744731Y2 (ko) * 1978-01-26 1982-10-02
US4834675A (en) * 1988-10-13 1989-05-30 Lrc Electronics, Inc. Snap-n-seal coaxial connecto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660B1 (ko) * 2011-08-24 2013-02-19 주식회사 텔콘 알에프 커넥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2043A (ko) 1992-08-12
ES2078974T3 (es) 1996-01-01
DE69022234D1 (de) 1995-10-12
AU1789195A (en) 1995-07-06
CA2058991A1 (en) 1990-12-10
EP0476056A1 (en) 1992-03-25
JPH04506278A (ja) 1992-10-29
ATE127623T1 (de) 1995-09-15
WO1990015454A1 (en) 1990-12-13
AU656305B2 (en) 1995-02-02
EP0476056B1 (en) 1995-09-06
DE69022234T2 (de) 1996-06-13
AU5922890A (en) 1991-0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0147689B1 (ko) 격벽형 동축 케이블 연결기
US5127853A (en) Feedthrough coaxial cable connector
US5207602A (en) Feedthrough coaxial cable connector
US7252546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replaceable compression ring
US9768565B2 (en) Quick mount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EP2909891B1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a compressible ferrule
US7008263B2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deformable compression sleeve
CA2628652C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inner sleeve ring
CA2628726C (en) Coaxial cable connector with gripping ferrule
US7261581B2 (en) Coaxial connector and method
US20080184553A1 (en) Coaxial connector and coaxial cable connector assembly
US20060040552A1 (en) Coaxial connector with center conductor seizure
EP2912724A1 (en) Quick mount connector for a coaxial cable
JPH05275144A (ja) コネクタ組立体
JPH07118348B2 (ja) ケーブルの抜け止め装置
AU700334B2 (en) Feedthrough coaxial cable connector
JP2761630B2 (ja) 引下線用端末キャップ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