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O2017192024A1 - 피부보습 및 재생 촉진활성을 갖는 녹차유래의 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피부보습 및 재생 촉진활성을 갖는 녹차유래의 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WO2017192024A1
WO2017192024A1 PCT/KR2017/004729 KR2017004729W WO2017192024A1 WO 2017192024 A1 WO2017192024 A1 WO 2017192024A1 KR 2017004729 W KR2017004729 W KR 2017004729W WO 2017192024 A1 WO2017192024 A1 WO 2017192024A1
Authority
WO
WIPO (PCT)
Prior art keywords
green tea
derived
enzyme
skin
mo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PCT/KR2017/004729
Other languages
English (en)
French (fr)
Inventor
주영운
이동선
송영근
Original Assignee
다당앤(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당앤(주) filed Critical 다당앤(주)
Priority claimed from KR1020170057082A external-priority patent/KR101850648B1/ko
Publication of WO2017192024A1 publication Critical patent/WO2017192024A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61K8/66Enzym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Definitions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method for preparing green tea-derived oligosaccharides having skin moisturizing and regenerative stimulating activity, and a cosmetic composition containing the same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skin is the primary organ that protects or defends the human body, and is the widest organ covering the entire body surface, consisting of the epidermis, dermis and subcutaneous tissue.
  • the stratum corneum located at the outermost layer of the epidermis, is composed of keratin and lipids, inhibits the penetration of harmful substances, evaporates moisture, and protects the human body from bacteria and external stimuli.
  • the stratum corneum is stripped every two weeks (14 days) to form a new.
  • skin damage is often caused by various stressors or stimuli such as ultraviolet rays.
  • Green tea (Camellia sinensis L.) is one of the most widely drinked beverages in the world. It is known to contain various nutrients such as polyphenols, polysaccharides and vitamins, and to reduce the risk of various diseases.
  • polyphenols present in green tea are attracting attention as the main active ingredients of green tea, and among them, catechins are known to have various physiological activities such as antioxidant and anti-arteriosclerosis activity.
  • catechins can protect skin from UV radiation and further inhibit skin cancer (Mini Rev Med Chem. (2001) 11 (13): 1200-15).
  • As research on the skin efficacy of green tea has been revealed, attempts have been made to industrialize cosmetics and medicines using green tea. However, catechins are vulnerable to oxidation and thus cannot be directly applied to industrialization.
  • Another major component of green tea is the sugar component.
  • the sugar content is about 25% in green tea, and occupies the second largest amount after catechin.
  • studies using polysaccharides of green tea are actively underway and anti-sugar (Chinese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013) 29 (1) anti-obesity (Food & function, 6 (1), 2014)) and immunization (Korea) R-Development for patent 10-1168381 is being made.
  • plant cell walls contain a wide variety of enzymes that are involved in cell wall synthesis and degradation, and 3 to 20 oligosaccharins that participate in natural development and defense reactions when the cell wall is degraded by pathogen attack.
  • Biologically active substances are made up of carbohydrate moieties.
  • Oligosaccharin refers to oligosaccharides having the properties of cell regulators by binding to surface proteins of plant cells.
  • plant pathogens release enzymes that break down the plant cell walls in order to penetrate the plant cells, which break down part of the cell walls into oligosaccharides.
  • the oligosaccharide acts as an elicitor for plant cells to produce a phytoalexin against pathogens, enabling the plant to defend against pathogen invasion.
  • oligosaccharides are expected to have oxidation stability, simple structure, easy skin absorption, and skin efficacy.
  • these substances are also present in green tea. Very high.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2-0049459 is known as a prior art of the present invention, but it relates to a composition for improving and preventing skin wrinkles containing acetone-treated products derived from crushed tea stems as an active ingredient.
  • Korean Patent Laid-Open Publication No. 10-2010-0026835 discloses a water-soluble acidic polysaccharide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40,000 to 300,000 Dalton in molecular weight for preventing and treating skin inflammation by extracting hot water residue obtained after extraction of ethanol solvent on green tea leaves at 30 to 40 ° C.
  • a method of preparing is disclosed. Therefore, there is no known composition containing green tea-derived oligosaccharides having a skin moisturizing and skin regeneration promoting activity and a method for producing the same.
  • an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method for producing low molecular oligosaccharides derived from green tea using supercritical fluid treatment and enzyme treatment derived from microorganisms. Another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to provide a cosmetic composition for promoting skin moisturizing and skin regeneration as an active ingredient oligosaccharide derived from green tea.
  • the object of the present invention comprises the steps of extracting two or more times at 40 ⁇ 80 °C using a mixture of purified water and ethanol of 10 to 25 times its extract on the green tea leaves to produce a low molecular oligosaccharide derived from green tea; Removing the catechin / caffeine from the green tea extract residue obtained in the above step using a supercritical extractor;
  • the present invention relates to a composition containing low molecular oligosaccharides derived from green tea using enzymes derived from microorganisms.
  • the low molecular weight oligosaccharides derived from green tea have an excellent effect of promoting skin moisturizing and skin regeneration.
  • FIG. 1 is a schematic diagram showing a method for preparing low molecular oligosaccharides derived from green tea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2 is a graph showing the sugar level of the green tea enzyme reaction according to the reaction time of various enzymes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3 is a photograph showing the GPC analysis chromatograph of green tea enzyme re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4 is a graph showing the evaluation of the proliferative capacity for human keratinocytes of the green tea enzyme re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5 is a photograph showing a GPC analysis chromatograph of the Fr2 fraction of the green tea enzyme re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6 is a graph showing the evaluation of proliferative capacity for human keratinocytes of the green tea enzyme reactant f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ure 7 is a photograph and graph showing the skin regeneration promoting proliferation evaluation of the green tea enzyme reactant f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 FIG. 8 is a view showing a time-dependent change in the moisture content of the skin after applying the cream prepared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to normal skin.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comprising the enzyme reaction of the catechin / caffeine removed green tea extract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green tea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be purified water, ethanol and a mixture of purified water and ethanol.
  • Extraction solvent of the green tea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preferably uses 10 to 25 times the solvent of green tea leaves.
  • Extraction temperature of the green tea extract of the present invention is preferably carried out at a temperature of 40 ⁇ 80 °C.
  • the present invention also provides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 skin moisturizing and skin regeneration promoting activity comprising a low molecular weight oligosaccharide derived from green tea having a molecular weight of 3,500 Da or less as an active ingredient.
  • the present invention provides a method for producing a cosmetic composition having a skin regeneration promoting activity comprising an enzyme reaction step selected from polygalacturonase, pectin lyase, beta-glucanase, Xylanase, cellulase, hemicellulase, arabinase.
  • 300 g of green tea powder was suspended in 4500 mL of 60% ethanol aqueous solution and extracted at a reflux extractor at 70 ° C. for 1 hour. After extracting the extract and the green tea extract of the above step using a chak, the green tea extract was dehydrated and dried for 24 hours at 60 °C to remove impurities such as catechin, caffeine and wax. 150 g of the green tea extract foil from which the impurities were removed in the above step or again, 300 g of the green tea powder was added to the supercritical extractor, and the supercritical carbon dioxide 70 mL / min and the 80% ethanol aqueous solution at 80 bar and 70 ° C. flow rate of 9.9 mL / min. After extracting for 3 hours and hot air dried at 60 °C for 24 hours to obtain 135g and 140g green tea extract from which the impurities were removed.
  • the detection flow rate 1mL / min, injection amount 10uL, eluent acetonitrile and 0.1% acetic acid using a silicael filling column (C18) in which Kromasil octadecylylated the content of EGCG, EGC, EC and ECG with HPCL acetic acid) and the detection wavelength of 280nm.
  • C18 silicael filling column
  • the sum of the measured values was calculated as the total catechin content.
  • Total polyphenol was added to D.W and dissolved in a 60 ° C. constant temperature water bath for 10 minutes to prepare a 1% sample solution.
  • the test solution was prepared by diluting the supernatant obtained by centrifuging the sample solution obtained in the above step at 1600 rpm for 10 minutes using D.W. 100uL of the test sapmle prepared in the above step and 50uL of Folin-Denis reagent were added to 750uL of D.W, vortexed, and then 100uL of 30% (w / w) sodium carbonate solution was added and reacted in the dark for 1 hour. The supernatant obtained by separating the sample obtained in the above step was measured at 760 nm absorbance. Quantification was performed using tannic acid as a standard.
  • the green tea extract residue extracted using only 60% ethanol was confirmed to remain in the final product green tea polysaccharides due to low chlorophyll and low molecular polyphenol removal efficiency.
  • the skin moisturizing and skin regeneration effect of the final cosmetic composition was considered to be a deterioration factor such as color tack, odor.
  • Example 2 Preparation of enzyme reactions containing oligosaccharides derived from green tea.
  • Pectinex® Ultra SP-L Pectinex screening enzymes that can decompose the green tea extract foil of the present invention, and to the green tea extract foil enzyme reaction by the method of Example 2 to identify oligosaccharides derived from green tea from the reaction of the selected enzyme Ultra MASH, Termamyl 120L Type L, Multifect PR6L, Rohament CL, Viscozyme L and Celluclast TM 1.5L were reacted.
  • Pectinex® Ultra SP-L, Pectinex® Ultra MASH and Viscozyme L derived from fungi have excellent enzymatic activity, and polygluactase (polygalacturonase) and pectinase ( It was confirmed that pectin lyase, beta-glucanase, xylanase, cellulase, hemicellulase and arabinase had enzymatic activity.
  • the molecular size distribution of the green tea extract foil enzyme reactant of Example 2 was measured using a GPC column.
  • the sample was dissolved in distilled water at a concentration of 25 mg / mL, and HPLC was performed using the columns and conditions shown in Table 4 below.
  • a control an untreated group not treated with enzyme was used.
  • green tea extract enzyme enzyme reactant 5 kinds of the neutral sugar (Neutral sugar), acidic sugar (Uronic acid), total polyphenols, free amino acids, peptides of the green tea extract enzyme enzyme reaction of Example 2 was analyzed.
  • Neutral sugar content of Pectinex® Ultra SP-L, Pectinex® Ultra MASH, and Viscozyme L enzyme reactions was measured by phenol-sulfuric acid method using glucose as a standard, and the content of acidic groups was determined using m- with galacturonic acid as standard. It was measured by the hydroxybiphenyl method.
  • the green tea extract foil enzyme reactant of Example 2 was analyzed using MTT assay.
  • KGM-2 bullet kit (Bullet kit: BP) (BPE: Bovine pituitary extract: 2 mL),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hEGF: 0.5 mL), insulin (Insulin: 0.5 mL), Hydrocortisone (0.5 mL), transferrin (0.5 mL), Epinephrine (0.5 mL), gentamycin sulfate + ampofericin-B (Gentamycin Suflate + Amphofericin-B: GA-1000, 0.5 mL) was added to the culture medium. After exchange with a medium containing 0, 250, 500, 1000 and 5000ppm, the reaction was carried out for 24 hours, and MTT assay was performed.
  • BPE Bovine pituitary extract: 2 mL
  • hEGF 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 insulin Insulin: 0.5 mL
  • Hydrocortisone 0.5 mL
  • transferrin 0.5 mL
  • Epinephrine 0.5 m
  • the control group has no cell proliferation activity, but the enzyme reaction showed the proliferation activity of keratinocytes at the treatment concentration of 250 ⁇ 1000ppm.
  • the enzyme-treated reactant of green tea extract showed skin regeneration promoting activity through cell proliferation.
  • the Pectinex® Ultra SP-L enzyme reactant was dissolved in purified water at a concentration of 20% (w / w) in the enzyme reaction carried out in Experiment 4 and 9% ethanol was 9 Precipitation was carried out with addition of the volume (v / v) while stirring for 1 hour. The precipitate generated at this time was centrifuged at 3500 rpm for 10 minutes to separate the precipitate and the supernatant.
  • Example 3 In order to evaluate the level of purification of oligosaccharides, the fraction of Example 3 was measured for molecular size distribution using a GPC column.
  • the F1 fraction showed a high ratio of neutral sugars
  • the F2 fraction showed a high ratio of acidic sugars.
  • the green tea-derived oligosaccharides produced by the enzymatic reaction using the supercritical extract foil of green tea leaf powder were confirmed to mainly consist of acidic sugars.
  • composition of the constituent sugars of the Fr2 fraction according to the present invention has the characteristics as shown in Table 7 below.
  • Fr3 fraction did not show cell proliferation according to the concentration in the treatment range of 100 ⁇ 1000ppm, Fr2 fraction and Fr1.
  • Fractions show the proliferative activity of human keratinocytes at different concentrations.
  • Fr2 showed cell proliferation activity at low concentration.
  • the enzyme-treated reactant of green tea extract was the main substance showing skin regeneration promoting activity through cell proliferation.
  • the Fr2 fraction was evaluated for gene level on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promoting activity of human keratinocytes.
  • RNA total RNA
  • cDNA was synthesized using a reverse transcriptase kit (Superscript Reverse Transcriptase (RT) II kit, Invitrogen), and the expression of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markers was quantitatively analyzed by qRT-PCR method.
  • RT Superscript Reverse Transcriptase
  •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marker expression was evaluated using the TaqMan gene expression assay kit (Applied Biosystems) of Applied Biosystems, and the probes for marker expression analysis were Hs00196158_m1 (K1), Hs00361185_m1 * (K5), Hs00166289_m1 (K10) and Hs00856927_g1 (fillagrin) were used.
  • the oligosaccharide of 1000 ⁇ 1500Da size which is the main substance of Fr2 fraction, promotes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human keratinocytes and has a very good skin regeneration promoting activity that can quickly restore the epidermal layer damaged by external stimulation.
  • the enzyme reactants containing the low-molecular oligosaccharides derived from the green tea of the present invention were improved by 22.87% and control by 13.93% as compared to before application.
  • the long lasting was increased from 120 minutes after the application was significantly maintained for more than 1 hour (Fig. 8), the lasting moisturizing strength was maintained at a significant level (p ⁇ 0.05) compared to the control (Fig. 9) .
  • the composition containing the oligosaccharide derived from the green tea of the present invention may promote the proliferation and differentiation of human keratinocytes and thus have an excellent effect of rapidly restoring the epidermal layer damaged by external stimulation. .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 유래의 저분자 중성 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녹차 유래 올리고당 분획물은 피부보습 및 인간각질형성세포의 증식과 분화를 촉진하여 외부자극에 의해 손상된 표피층을 빠르게 회복시키는 효과를 확인함으로써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피부보습 및 재생 촉진활성을 갖는 녹차유래의 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본 발명은 피부보습 및 재생 촉친활성을 갖는 녹차유래의 올리고당의 제조방법 및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화장품 산업은 소득수준의 향상과 인구 고형화에 따른 미에 대한 관심 증가와 젊고 탄력 있는 피부를 갈구하는 시대적인 욕구 증가로 그 수유가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피부는 인체를 보호하거나 방어하는 1차적 기관이면서, 신체표면을 전체에 걸쳐 덮고 있는 가장 넓은 기관으로서, 표피, 진피 및 피하조직으로 구성된다. 이 중에서도 표피 부분의 가장 바깥층에 위치하는 각질층은 각질과 지질로 구성되어 있으면서 유해물질 침투나, 수분증발을 억제하고, 박테리아나 외부 자극으로부터 인체를 보호한다. 각질층은 2주(14일)를 주기로 탈피되어 새로 형성된다. 한편, 다양한 스트레스 요인이나 자외선과 같은 자극에 의해 피부손상이 종종 일어나는데, 이러한 피부손상 유도인자들에 의해 각질층과 지질층이 손상되고 경피 수분손실이 급격하게 증가하고, 피부건조, 주름생성, 가려움증, 세균감염에 따른 염증이 발생되기도 한다. 사람의 각질형성 세포는 외부의 자극에 의해 IL-1a를 시작으로 IL-6, IL-8, TNF-a등 다양한 사이토카인을 만들어 방출할 수 있는데, 이러한 사이토카인은 피부의 자극유발이나 국소적인 염증반응을 매개한다. 특히 자외선과 같은 외부자극에 의한 각질층의 손상이 반복되거나, 정상적인 각질층의 복원이 지연되면 피부노화가 가속화되거나 피부질환으로 진행될 수 있다. 외부손상 의한 각질층의 신속한 복원은 피부건조, 피부노화, 가려움 등을 경감시킬 수 있으며, 이는 사람의 각질형성세포의 정상적인 분화 및 증식을 유도하는 피부재생을 촉진함으로써 예방할 수 있다.
최근 국민들의 생활수준이 향상되면서 피부와 관련된 기능성 화장품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급증하고 있지만, 합성소재 기능성 화장품과 관련된 부작용이 지속적으로 제기되면서 효과적이면서도 독성이 없는 천연물을 이용한 화장품 개발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천연물을 이용한 화장품 개발연구는 안전함과 동시에 피부노화를 지연시키는 효과적인 화장품 소재 발굴의 일환으로 기능성 천연물에 대한 지속적인 개발이 필요하다.
녹차(Camellia sinensis L.)는 전 세계적으로 가장 널리 음용되고 있는 음료수 중하나로, polyphenol류, 다당류, vitamin 등 다양한 영양 성분들을 함유하고 있을 뿐 아니라 여러 질병의 위험을 경감시키는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예컨대, 녹차 중에 존재하는 polyphenol은 녹차의 주요 활성성분으로 주목받고 있으며, 특히 이 중 카테킨류는 항산화, 항동맥경화 활성 등 여러 생리활성을 갖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최근 연구에 의하면 카테킨 성분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고 나아가 피부암을 억제할 수 있으며,(Mini Rev Med Chem. (2001) 11(13):1200-15) 활성산소로부터 피부세포를 보호할 수 있다. 녹차의 피부효능에 대한 연구가 밝혀지면서 녹차를 이용한 화장품 및 의학용으로 산업화하는 시도들이 생기고 있지만, 카테킨류는 산화에 취약하여 제품 적용성이 떨어져 산업화에 바로 적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녹차를 구성하는 또 다른 주요성분으로 당성분이 있다. 당성분은 녹차에서 25% 내외이며, 카테킨 성분 다음으로 많은 양을 차지하고 있다. 최근 녹차의 다당체(polysaccharide)를 활용하는 연구가 활발히 진행중이며 항당료(Chinese journal of applied physiology. (2013) 29(1) 항비만(Food & function, 6(1), 2014)및 면역증강(대한민국 등록특허 10-1168381)에 대한 연구개발이 이루어지고 있다.
한편, 식물의 세포벽에는 세포벽의 합성과 분해에 관여하는 매우 다양한 종류의 효소들이 있으며 병원체의 공격을 받아 세포벽이 분해되면 자연적인 발달과정과 방어반응에 참여하는 올리고사카린(oligosaccharin)이라는 3~20개의 탄수화물 잔기로 구성된 생물학적 활성을 띠는 물질이 만들어진다. 올리고사카린은 식물세포의 표면단백질과 결합하여 세포조절인자의 특성을 갖는 올리고당(oligosaccharide)을 말한다. 특히 식물병원체는 식물세포에 침투하기 위해 식물세포벽을 파괴하는 효소를 방출하는데, 이 효소에 의해 세포벽의 일부가 올리고당으로 분해된다. 이 올리고당은 식물세포가 병원균에 대한 방어물질(phytoalexin)을 생산하게 하는 촉진제(elicitor)로 작용하여 식물이 병원체의 침입을 방어할 수 있게 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식물에 함유된 물질 중 산화에 안정하며, 구조가 단순하여 피부흡수가 용이하고, 피부효능이 있을 것으로 기대되는 물질은 올리고당이다. 특히 식물에서의 올리고당은 식물의 성장과 분화, 외부의 자극에 의한 반응에 관여한다는 연구결과들을 바탕으로 녹차에도 이러한 물질이 존재하며, 녹차유래의 올리고당은 인체에 대한 생리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가능성이 매우 높다.
본 발명의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2-0049459호가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마쇄된 차나무 줄기 유래의 아세톤 처리물을 증류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개선 및 예방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0-0026835호에는 녹차잎에 에탄올 용매추출한 후 얻은 녹차잔사를 30~40℃에서 열수추출하여 피부염증 예방 및 치료용 분자량 4만~30만 Dalton 크기의 수용성 산성 다당체를 제조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따라서, 현재까지 피부보습 및 피부재생 촉진활성을 갖는 녹차유래의 올리고당을 함유하는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는 공지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초임계 유체처리 및 미생물 유래의 효소처리를 이용한 녹차유래의 저분자 올리고당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녹차유래의 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녹차유래의 저분자 올리고당을 제조하기 위하여 녹차잎에 그의 10~25배의 정제수와 에탄올의 혼합액을 추출용매로 사용하여 40~80℃에서 2회 이상 추출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녹차 추출잔사를 초임계추출장치를 사용하여 함유된 카테킨/카페인을 제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녹차 추출박에 그 15~20배의 물을 반응용매로 사용하여 반응시키는 단계와; 상기 반응물에 폴리글루카네이즈 또는 펙틴라이에즈를 사용하여 효소반응을 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의 효소반응 결과 얻은 가수분해물을 95℃에서 30분간 가열하여 효소를 불화성화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가수분해물을 35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상등액을 20~30°brix로 농축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농축물을 분무건조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농축물에 에탄올을 첨가하여 최종 에탄올 농도가 70~90%v/v가 되도록 4℃에서 60분간 정치 침전시키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침전물을 MW Cut-off 3500Da인 투석막을 이용하여 투과액을 회수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투과액을 농축하여 분무건조 또는 동결건조하는 단계를 통하여 녹차유래의 저분자 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미생물 유래의 효소를 이용한 녹차 유래의 저분자 올리고당을 함유하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상기 녹차 유래의 저분자 올리고당은 피부보습 및 피부재생을 촉진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1은 본 발명예 따른 녹차유래의 저분자 올리고당 제조방법을 나타낸 모식도이다.
도2는 본 발명예 따른 각종 효소의 반응시간에 따른 녹차 효소반응물의 당 수치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3은 본 발명예 따른 녹차 효소반응물의 GPC분석 크로마토그래프를 나타낸 사진도이다.
도4는 본 발명예 따른 녹차 효소반응물의 인간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증식능 평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5는 본 발명예 따른 녹차 효소반응물의 Fr2 분획물의 GPC분석 크로마토그래프를 나타낸 사진도이다.
도6은 본 발명예 따른 녹차 효소반응물 분획물의 인간 각질형성세포에 대한 증식능 평가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7은 본 발명예 따른 녹차 효소반응물 분획물의 피부재생 촉진 증식능 평가를 나타낸 사진도 및 그래프이다.
도8은 본 발명예 따라 제조된 크림을 정상 피부에 도포한 후 피부의 수분함량의 경시적 변화를 보인 그림이다.
도9는 본 발명예 따라 제조된 크림을 정상 피부에 도포한 후 24시간 지속력을 실험한 보습 지속력 시험 결과이다.
본 발명은 카테킨/카페인이 제거된 녹차추출박의 효소반응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녹차 추출물은 정제수, 에탄올 및 정제수와 에탄올의 혼합액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녹차 추출물의 추출용매는 바람직하게는 녹차잎의 10~25배의 용매를 사용한다.
본 발명의 상기 녹차 추출물의 추출온도는 바람직하게는 40~80℃의 온도에서 수행한다.
또한, 본 발명은 분자량 3,500Da이하의 녹차유래의 저분자 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재생촉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녹차추출박을 polygalacturonase, pectin lyase, beta-glucanase, Xylanase, cellulase, hemicellulase, arabinase 중에서 선택되는 효소반응 단계를 포함하는 피부재생촉진 활성을 갖는 화장료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하기의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되나,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실시예1. 녹차추출박의 제조
녹차 분말 300g을 60% 에탄올 수용액 4500mL에 현탁하고 70℃에서 1시간 동안 리플럭스 추출기에서 추출하였다. 상기 단계의 추출액과 녹차추출박을 채를 이용하여 분리한 후 녹차추출박을 탈수하고 60℃에서 24시간 동안 건조하여 카테킨, 카페인 및 왁스 등 불순물을 제거하였다. 상기 단계에서 불순물이 제거된 녹차추출박 150g을 다시 또는 이와 별도의 녹차분말 300g을 초임계추출기에 투입하고 80bar, 70℃ 조건에서 초임계이산화탄소 70mL/min, 80% 에탄올 수용액을 9.9mL/min 유속으로 3시간 추출한 후 60℃에서 24시간 열풍건조하여 상기 불순물을 제거시킨 녹차추출박 135g 및 140g을 각각 수득하였다.
비교예1. 초임계추출기를 이용한 녹차 추출박 제조
초임계추출기를 사용한 추출물과 유기용매 에탄올만을 이용한 녹차추출물의 엽록소 및 저분자 폴리페놀 제거 효율을 비교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1에서 얻은 본 발명 녹차추출박과 60% 에탄올만을 이용하여 추출한 녹차추출잔사 각 20g을 취하여 비교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본 발명 초임계 추출 녹차추출박을 정제수 1:20 중량비로 70℃에서 추출하여 얻은 상등액을 분석하여 잔류성분을 비교하였다. 실험 결과, 하기 표1에 나타난 바와 같았다. 실험 결과 초임계추출이 유기용매추출보다 효과적인 전처리 방법임이 확인되었다.
표 1
추출방법 샘플명 수득량(g) 카테킨 함량(%) 총 카테킨양(g)
용매추출 녹차카테킨-60에탄올 31.4 29.9 9.4
초임계추출 녹차카테킨-SFE 36.7 31.1 11.4
또, EGCG, EGC, EC 및 ECG를 HPCL로 각각의 함량을 Kromasil 옥타데실릴화한 실리카렐 충진컬럼(C18)을 이용하여 검출 유속 1mL/min, 주입량 10uL, 용리액 아세토나이드릴과 0.1% 초산(acetic acid) 및 검출파장 280nm 조건으로 측정하였다. 측정한 값의 합을 총 카테킨의 함량으로 계산하였다. 총 폴리페놀을 D.W에 넣고 60℃ 항온수조에서 10분 동안 용해하여 1% 샘플용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단계에서 얻은 샘플용액을 1600rpm에서 10분 동안 원심분리하여 얻은 상등액을 D.W를 이용하여 희석하여 test sample을 제조하였다. D.W 750uL에 상기 단계에서 제조한 test sapmle 100uL 및 Folin-Denis reagent 50uL를 첨가한 후 vortexing한 후 30%(w/w) sodium carbonate 용액 100uL 첨가하고 암소에서 1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상기단계에서 얻은 샘플을 원리분리하여 얻은 상들액을 760nm 흡광도에서 측정하였다. 표준물질로 tannic acid를 사용하여 정량하였다.
실험결과, 하기 표2에서 알 수 있듯이 60% 에탄올만을 이용하여 추출한 녹차추출잔사는 엽록소 및 저분자 폴리페놀 제거 효율이 낮아 최종산물인 녹차다당체에 잔류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이는 최종 화장료 조성물의 피부보습 및 피부재생효능 외에 색택, 냄새 등 품질저하 요인이 된다고 사료되었다.
표 2
녹차박 추출액 초임계추출-녹차박 유래 60%EtOH-녹차추출잔사 유래
폴리페놀(%) 0.20 1.95
카테킨(%) EGC 0.000 0.000 0.040 0.020
EC 0.000 0.000
EGCG 0.000 0.020
ECG 0.000 0.000
카페인(%) 0.000 0.010
녹차조다당 수율(%) 7.4 7.7
실시예2. 녹차유래의 올리고당을 함유한 효소반응물의 제조.
녹차유래의 올리고당을 함유한 효소반응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1의 녹차추출박 20g을 정제수 400mL에 현탁하고 95℃에서 1시간 가열한다. 1시간 동안 가열한 후 상온으로 냉각한 후 Pectinex® Ultra SP-L, Pectinex® Ultra MASH, Termamyl 120L Type L, Multifect PR6L, Rohament C.L, Viscozyme L 및 Celluclast TM 1.5L를 각각 녹차추출박의 2%(w/w)를 첨가한 후, 하기 표3의 각 효소의 최적활성 조건에서 8시간 반응시킨다. 그 후 95℃에서 30분간 효소를 불활성화시킨 후 3500rpm에서 원심분리하여 분리한 상등액을 감압농축 및 건조하여 효소반응물을 수득하였다(도1).
표 3
효소명 주요활성 기원 최적 온도(℃) 최적 pH
Pectinex® Ultra SP-L polygalacturonase Aspergillus aculeatus 35 3.5~4.5
Pectinex® Ultra MASH pectin lyase Aspergillus aculeatus, Aspergillus niger 10~60 3.0~4.2
Termamyl 120L Type L a-amylase Bacillus lichniformis Heat stable 5.5~6.5
Multifect PR6L endogenous protease - 50~60 8.0
Spezyme LT300 a-amylase Bacillus subtilis 25 5.5~6.0
Viscozyme L beta-glucanase (endo-1,3(4)-), Xylanase, cellulase, hemicellulase, arabinase Aspergillus aculaeatus 25~55 3.3~5.5
Celluclast TM 1.5L endoglucanase Trichoderma reesei (fungus) 50~60 4.5~6.0
실험예1. 효소반응물에서 녹차유래의 올리고당 확인
본 발명 녹차추출박을 분해할 수 있는 효소를 선별하고, 선별된 효소의 반응물에서 녹차유래의 올리고당을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2의 방법으로 녹차추출박 효소반응물에 Pectinex® Ultra SP-L, Pectinex® Ultra MASH, Termamyl 120L Type L, Multifect PR6L, Rohament C.L, Viscozyme L 및 Celluclast TM 1.5L를 반응시켰다.
이를 위해 각 효소 반응시간에 따른 반응액의 당도를 측정하여 증가 정도를 통해 녹차추출박 가수분해 효율이 높은 효소를 선별하였다.
실험 결과, 도2에서 알 수 있듯이 곰팡이(Aspergillus ssp.) 유래의 Pectinex® Ultra SP-L, Pectinex® Ultra MASH 및 Viscozyme L이 효소 활성이 우수하며, 폴리글루카네이즈(polygalacturonase), 펙틴라이에즈(pectin lyase), 베타글루카네이즈(beta-glucanase), 자일라네이즈(Xylanase), 셀룰레이즈(cellulase), 헤미셀룰레이즈(hemicellulase) 및 아라비네이즈(arabinase)가 효소활성을 갖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험예2. 효소반응물의 분자크기 분포 측정
본 발명 녹차추출박의 효소반응물에 올리고당 생성확인을 위해 상기 실시예2의 녹차추출박 효소반응물을 GPC컬럼을 이용하여 분자크기 분포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시료는 25mg/mL의 농도로 증류수에 녹였고, 하기 표4의 컬럼 및 조건으로 HPLC를 수행하였다. 대조군으로는 효소를 처리하지 않은 무처리군을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도3에서 알 수 있듯이 대조군은 고분자 물질이 주로 분포하고 있으며, 효소처리군에서는 고분자가 효소에 의해 분해되었다. 또한, 분자량 1000~2000Da 크기의 올리고당 물질이 생성되었고, Pectinex® Ultra SP-L, Pectinex® Ultra MASH 및 Viscozyme L 효소 반응결과 GPC패턴이 유사하며 Pectinex® Ultra SP-L 효소처리군에서 올리고당 크기의 물질이 가장 많은 분포를 나타내었다.
표 4
컬럼 Shodex사, Asahipak. GS 520HQ + GS 320HQ + GS 220HQ (7.5mm ID X 300mm)
온도 30℃
유속 0.5ml/min
유속 100mM Sodium nitrate (isocratic)
주입량 20㎕
검출기 Waters 410W, RI detector
실험예3. 효소반응물의 구성성분 분석
본 발명 녹차추출박 효소반응물의 구성성분을 분석하기 위해 상기 실시예2의 녹차추출박 효소반응물의 중성당(Neutral sugar), 산성당(Uronic acid), 총 폴리페놀, 유리 아미노산, 펩타이드인 5종을 분석하였다. Pectinex® Ultra SP-L, Pectinex® Ultra MASH 및 Viscozyme L 효소반응물의 중성당의 함량은 glucose를 표준물질로 하여 phenol-sulfuric acid법으로 측정하였으며, 산성단의 함량은 galacturonic acid를 표준물질로 하여 m-hydroxybiphenyl법으로 측정하였다. 또한, 총 폴리페놀 함량은 tannic acid를 표준물질로 하여 Falin dennis법으로 측정하고, 유리 아미노산은 L-leucrine을 표준물질로 하여 Ninhydrin 반응을 통해 측정하였고, 펩타이드의 함량은 bovine serum albumin을 표준물질로 하여 Lawry법으로 정량분석하였다.
실험 결과, 하기 표5에서 알 수 있듯이 총 폴리페놀의 함량이 적은 것으로 보아 녹차추출박 제조시 불순물이 제거되었고, 대조군과 비교했을 때 효소처리군에서 중성당의 비율이 현저히 높게 증가하였다.
표 5
산성당(%) 중성당(%) 아미노산(%) 펩타이드(%) 폴리페놀(%)
대조군 46.2 39.2 1.9 10.8 1.8
Pectinex® Ultra SP-L 처리군 36.3 51.4 1.9 9.0 1.4
Viscozyme L 처리군  31.7 55.0 1.9 9.8 1.6
Pectinex® Ultra MASH 처리군  34.0 52.5 1.9 10.5 1.2
실험예4. 효소반응물의 각질형성세포의 증식능 분석
본 발명 녹차추출박 효소반응물의 각질형성세포의 증식능 분석을 위해 상기 실시예2의 녹차추출박 효소반응물을 MTT assay를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이를 위해 인간 각질형성 세포를 CO2 배양기에서 37℃, 5% CO2 조건으로 세포를 배양하였고 KMB-2(KBM-2(Clonetics CC-3103)배지 500mL에 KGM-2 불렛 키트(Bullet kit: 비피이(BPE:Bovine pituitary extract: 2mL), 휴먼 이지에프(hEGF:human epidermal growth factor: 0.5mL), 인슐린(Insulin: 0.5mL), 하이드로코르티손(Hydrocortisone: 0.5mL), 트랜스페린(Transferrin: 0.5mL), 에피네프린(Epinephrine: 0.5mL), 젠타마이신 설페이트+암포페리신-B(Gentamycin Suflate + Amphofericin-B: GA-1000, 0.5mL)를 첨가한 배지를 사용하였다. 48well plate에 배양한 후, 효소반응물이 0, 250, 500, 1000 및 5000ppm 들어 있는 배지로 교환한 후 24시간 동안 반응시키고 MTT assay를 실시하였다. 세포증식능은 하기 수학식1의 방법으로 계산하였다.
실험 결과, 도4에서 알 수 있듯이 대조군은 세포증식활성이 없으나 효소반응물은 처리농도 250~1000ppm에서 각질형성세포의 증식활성을 나타냈다. 결론적으로 녹차추출박의 효소처리 반응물이 세포증식을 통한 피부재생촉진 활성을 나타냈다.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08.06.2017] 
수학식 1
Figure WO-DOC-MATHS-1
실시예3. 본 발명 녹차유래의 저분자 올리고당의 분리 및 정제
본 발명에 따른 녹차유래의 올리고당의 분리 및 정제하기 위하여 상기 실험예4에서 실시한 효소반응물 중 Pectinex® Ultra SP-L 효소반응물을 20%(w/w) 농도로 정제수에 용해하고 95% 에탄올을 9배(v/v) 부피로 첨가하여 1시간 교반하면서 침전반응을 진행하였다. 이때 발생한 침전물을 3500rpm에서 10분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과 상등액을 분리하였다. 상등액을 농축건조하여 Fr1 분획하였고, 침전물을 회수하여 20%(w/w)농도로 정제수에 용해시킨 후, 투석막(MW cut-off 3500Da)을 이용하여 12시간 2회 투석하였다. 투석막 여과액과 잔류액을 회수 및 건조하여 각각 Fr2, Fr3 분획으로 제조하였다(도1).
실험예5. 본 발명 Fr2 분획물의 분자크기 분포 측정
올리고당의 정제 수준을 평가하기 위해서 상기 실시예3의 분획물을 GPC 컬럼을 이용하여 분자크기 분포를 측정하였다.
이를 위해, 분획물을 각각 25mg/mL의 농도로 증류수에 녹이고 상기 표4의 컬럼 및 조건으로 HPLC를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 도5에서 알 수 있듯이 분획물 Fr2에서 고순도의 올리고당 크기의 물질이 약 70% 순도로 정제된것을 확인하였고, 다당체의 분자량은 약 1,000~3,500Da의 크기의 저분자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6. 본 발명 Fr2 분획물의 구성성분 분석
상기 실시예3의 분획물의 구성성분을 분석하기 위하여 중성당(Neutral sugar), 산성당(Uronic acid), 총 폴리페놀, 유리 아미노산, 펩타이드인 5종을 분석하였다. 실험 방법은 상기 실험예3의 방법과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하기 표6에서 알 수 있듯이 F1 분획물은 중성당의 비율이 높고, F2분획물은 산성당의 비율이 높은 특징을 나타냈다.
아울러, 결과적으로 녹차잎 분말의 초임계 추출박을 사용하여 효소반응에 의해 생성되는 녹차유래의 올리고당은 주로 산성당으로 이루어진 것을 확인하였다.
표 6
산성당(%) 중성당(%) 아미노산(%) 펩타이드(%) 폴리페놀(%)
효소반응물 36.3 51.4 1.9 9.0 1.4
F1 분획 11.2 76.9 0.0 10.5 1.3
F2 분획 86.5 7.4 0.0 5.7 0.4
F3 분획 28.5 59.5 0.0 11.0 0.9
아울러, 본 발명에 따른 Fr2 분획물의 구성당의 조성은 하기 표7과 같은 특징을 갖는다.
표 7
구성당 GT polysaccharide (mole %)
Rhamnose 6.4
Fucose 1.1
Arabinose 21.9
Xylose 5.4
Mannose 2.3
Galactose 17.8
Glucose 45.2
소계 100.0
실험예7. 본 발명 Fr2 분획물의 각질형성세포의 증식능 분석
본 발명에 따른 분획물의 각질형성세포의 증식능 분석을 위하여 상기 실시예3의 분획물을 MTT assay를 이용하여 인간 각질형성세포(Normal human keratinocyte)의 증식을 통한 피부재생 촉진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방법은 상기 실험예4와 동일하게 실시하였다.
실험 결과, 도6에서 알 수 있듯이 Fr3 분획물은 100~1000ppm 처리 범위에서 농도에 따른 세포증식할성은 나타내지 않았으나, Fr2 분획물과 Fr1. 분획물은 농도에 따른 인간 각질형성세포의 증식활성을 나타낸다. 특히 Fr2는 낮은 농도에서 세포증식활성을 나타내었다.
결과적으로 녹차추출박의 효소처리 반응물은 세포증식을 통한 피부재생촉진 활성을 나타내는 주요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8. 본 발명 Fr2 분획물의 피부재생촉진 활성 평가
상기 실시예3의 분획물의 피부재생촉진 활성 평가를 위해 Fr2 분획물을 인간 각질형성세포의 증식 및 분화 촉진활성에 대한 유전자 수준 평가를 하였다.
이를 위해 상기 실험예4와 동일한 배지를 이용하였고 Fr2 분획물이 500rpm 함유된 배지로 교환하였다. 분획물 처리 48시간 후 10mL 인산염 완충액(Phosphate Buffered Saline, PBS)으로 세포를 두 번 세척하고, 트라이졸(Trizol reagent, Invitrogen)을 이용하여 세포 내의 전체 RNA(total RNA)를 분리하였다. RNA를 정량한 후 역전사키트(Superscript Reverse Transcriptase(RT)II kit, Invitrogen)를 이용하여 cDNA를 합성하였고, 이를 qRT-PCR 방법으로 증식 및 분화 마커의 발현을 정량적으로 분석하였다. 증식 및 분화 마커발현은 어플라이드 바이오시스템사의 택맨 유전자 발현 시스템(TaqMan gene expression assay kit, Applied Biosystems)을 이용하여 평가하였으며, 마커 발현분석을 위한 프르브는 각각 Hs00196158_m1(K1), Hs00361185_m1*(K5), Hs00166289_m1(K10) 및 Hs00856927_g1(fillagrin)를 사용하였다.
실험 결과, 도7에서 알 수 있듯이 Fr2 분획물을 처리한 실험군에서 세포의 세포의 분화가 촉진되는 모습을 현미경으로 관찰할 수 있었다. 또한, 인간 각질형성세포의 정상적인 분화마커인 keratin1, keratin10 및 Fillagrin이 대조군에 비해 현저히 증가하는 것을 유전자 발현수준에서 확인하였다. 또한, 인간 각질형성세포의 증식마커인 PCNA와 keratin 5가 대조군에 비해 증가하는 것을 유전자 발현수준에서 확인하였다.
결론적으로 Fr2 분획물의 주요물질인 1000~1500Da 크기의 올리고당은 인간 각질형성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촉진하여 외부자극에 의해 손상된 표피층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피부재생촉진 활성이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실험예9. 본 발명 녹차유래의 저분자 올리고당을 함유한 효소반응물의 피부 보습력 개선효과
본 발명 상기 실시예3에서 얻은 녹차유래의 저분자 올리고당을 함유한 효소반응물의 피부 보습력과 지속력의 개선효과를 확인하기 위해 20~50세의 성인 여성 22명을 대상으로 피부 보습실험을 실시하고 그 결과를 관찰하였다. 이를 위해 시료를 하기 표8의 조성비로 크림 형태로 제조하였다. 실험 수행시에는 매일 아침, 저녁 2회 안면부에 도포하였다. 도포 시작 전 세안한 후 항온항습 조건(온도 20~24℃ 및 상대습도 40~60%RH)에서 30분간 대기 후 Corneometer CM 825(Qcorage & Khazaka, Germanty)로 수분함량을 측정하였다. 또, 조성물 도포 2주 및 4주 후 피부 수분함량을 측정하여 하기 수학식2로 보습력 개선율을 계산하였다. 수분함량은 5회 반복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 하기 표9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 녹차유래의 저분자 올리고당이 함유된 효소반응물은 도포 전과 비교했을 때 22.87%, 대조군은 13.93% 개선되었다. 또, 보습력(long lasting)은 도포 120분 후부터 증가되어 1시간 이상 현저히 유지되었으며(도8), 보습 지속력은 대조구에 비해 유의한 수준(p<0.05)으로 높은 수분함량을 유지하였다(도9).
표 8
원료(INCI name) 시험시료(단위: 중량%) 대조시료(단위: 중량%)
Water 73.93 74.43
Disodium EDTA 0.02 0.02
Carbomer (2%) 15.00 15.00
본 발명 녹차유래 올리고당 조성물 0.50 0.00
Cetearyl Alcohol 2.00 2.00
Paraffinum Liquidum 5.00 5.00
Glyceryl Stearate (and) PEG-100 Stearate 1.00 1.00
Glyceryl Stearate 0.50 0.50
Dimethicone 0.20 0.20
Ethylhexylglycerin 0.20 0.20
Water 1.00 1.00
Triethanolamine 0.35 0.35
Phenoxyethanol 0.30 0.30
합계 100 100
[규칙 제91조에 의한 정정 08.06.2017] 
수학식 2
Figure WO-DOC-MATHS-2
표 9 보습력 개선율(%)
시험 전 2주 후 4주 후
대조군 0.0 5.8 13.9
본 발명 녹차유래올리고당 조성물 0.0 8.6 22.9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 녹차 유래의 올리고당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인간각질형성세포의 증식 및 분화를 촉진하여 외부자극에 의해 손상된 표피층을 빠르게 회복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화장료 산업상 매우 유용한 발명일 것이다.

Claims (7)

  1. 녹차잎분말에서 카테킨, 카페인 및 왁스성분을 제거한 녹차추출박 제조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녹차추출박에 폴리글루카네이(polygalacturonase), 펙틴라이에즈(pectin lyase), 베타글루카네이즈(beta-glucanase), 자일라네이즈(Xylanase), 셀룰레이즈(cellulase), 헤미셀룰레이즈(hemicellulase) 및 아라비네이즈(arabinase) 효소활성을 갖는 효소군 중에서 선택되어 효소를 처리하여 반응시킨 후 효소반응물을 수득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효소반응물을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상등액을 농축한 후 70~90%의 에탄올 수용액으로 침전 반응시켜 침전물을 투석하여 투과액을 회수하는 단계로 이루어진 녹차유래의 중성다당체를 분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녹차잎 유래의 저분자 올리고당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효소반응물은 분자량이 1,000~3,500Da 범위의 올리고당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에탄올 수용액의 침전반응은 에탄올 함량 70%~90%용액에서 침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조방법.
  4. 제1항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녹차초임계추출박의 효소반응물.
  5. 제4항의 녹차추출박 효소반응물 유래의 올리고당 분획물을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6. 람노오스 6.4mole%, 푸코오스 1.1mole%, 아라비노오스 21.9mole%, 자일로스 5.4mole%, 만노즈 2.3moel%, 갈락토즈 17.8mole% 및 글루코즈 45.2mole%로 이루어진 녹차유래의 저분자 올리고당 분획물.
  7. 제6항의 녹차유래의 올리고당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보습 및 피부재생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PCT/KR2017/004729 2016-05-03 2017-05-04 피부보습 및 재생 촉진활성을 갖는 녹차유래의 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WO2017192024A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54830 2016-05-03
KR20160054830 2016-05-03
KR1020170057082A KR101850648B1 (ko) 2016-05-03 2017-05-04 피부보습 및 재생 촉진활성을 갖는 녹차유래의 다당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017-0057082 2017-05-04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7192024A1 true WO2017192024A1 (ko) 2017-11-09

Family

ID=602030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PCT/KR2017/004729 WO2017192024A1 (ko) 2016-05-03 2017-05-04 피부보습 및 재생 촉진활성을 갖는 녹차유래의 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WO (1) WO2017192024A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5401A (ko) * 2006-11-20 2008-05-23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녹차로부터의 카테킨의 추출방법
KR20090022595A (ko) * 2007-08-31 2009-03-04 (주)아모레퍼시픽 항노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녹차 유래의 PPARs활성 물질
KR20140141883A (ko) * 2013-05-31 2014-12-11 다당앤(주) 초임계유체기술을 이용한 녹차 다당체 및 그 제조방법
JP5756753B2 (ja) * 2008-07-22 2015-07-29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緑茶多糖体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皮膚美白、保湿及びしわ改善用化粧料組成物
KR20160135101A (ko) * 2015-05-14 2016-11-24 다당앤(주) 초임계유체기술과 생물전환을 통해 제조된 녹차다당체를 함유하는 항염 및 보습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45401A (ko) * 2006-11-20 2008-05-23 재단법인 제주하이테크산업진흥원 녹차로부터의 카테킨의 추출방법
KR20090022595A (ko) * 2007-08-31 2009-03-04 (주)아모레퍼시픽 항노화 및 보습 효과를 나타내는 녹차 유래의 PPARs활성 물질
JP5756753B2 (ja) * 2008-07-22 2015-07-29 株式会社アモーレパシフィックAmorepacific Corporation 緑茶多糖体の製造方法並びにこれを含有する皮膚美白、保湿及びしわ改善用化粧料組成物
KR20140141883A (ko) * 2013-05-31 2014-12-11 다당앤(주) 초임계유체기술을 이용한 녹차 다당체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35101A (ko) * 2015-05-14 2016-11-24 다당앤(주) 초임계유체기술과 생물전환을 통해 제조된 녹차다당체를 함유하는 항염 및 보습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PARK, HYE-RYUNG ET AL.: "Chemical Properties and Immuno-Stimulating Activities of Crude Polysaccharides from Enzyme Digests of Tea Leaves", JOURNAL OF THE KOREAN SOCIETY OF FOOD SCIENCE AND NUTRITION, vol. 44, no. 5, 2015, pages 664 - 672, XP053034088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850648B1 (ko) 피부보습 및 재생 촉진활성을 갖는 녹차유래의 다당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908678B1 (ko) 천연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개선용 발효 조성물
WO2019143055A1 (ko) 아스페르길루스 크리스타투스 균주로 발효시킨 발효 콩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미용 개선용 조성물
CN106236676B (zh) 一种具有抗衰老功效的植物组合物及其应用
KR100994987B1 (ko) 피부 진정 효과를 가지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42541B1 (ko) 효소처리를 이용한 혼합생약재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주름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추출방법
KR101814498B1 (ko) 유칼립투스 잎과 붉은토끼풀 잎의 혼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WO2011065799A2 (ko) 차수 제조 방법 및 그에 의해 수득된 차수
WO2017192024A1 (ko) 피부보습 및 재생 촉진활성을 갖는 녹차유래의 올리고당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508717B1 (ko) 누에 유래 혈림프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477052B1 (ko) 선복화 단백다당체 또는 선복화 올리고당/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77053B1 (ko) 자감초, 향부자 및 강황의 혼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50624A (ko) 식물 추출물로부터 엽록소 또는 색소를 제거하는 방법
KR20200041667A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20082744A (ko)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20180124443A (ko) 흰목이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장벽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829718B1 (ko) 먼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화장료 조성물
KR101501554B1 (ko) 누에 혈림프 유래 70kDa 단백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997231B1 (ko) 효소반응을 이용하여 제조된 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114499B1 (ko) 풍류과 및 야관문으로부터 수득된 피부 미백 및 노화 방지용 혼합 생약재 추출물 및 이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0864852B1 (ko) 소수성이 개선된 상엽 추출물의 제조방법
JPH1171292A (ja) 皮膚外用剤
WO2019059527A1 (ko) 매화꽃 추출물을 포함하는 미세먼지에 의한 피부 세포 손상 케어용 조성물
KR102515074B1 (ko) 차즈기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40114921A (ko) 피부 보습용 알로에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NENP Non-entry into the national phase

Ref country code: DE

121 Ep: the epo has been informed by wipo that ep was designated in this application

Ref document number: 177929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

122 Ep: pct application non-entry in european phase

Ref document number: 17792926

Country of ref document: EP

Kind code of ref document: A1