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70000493B1 - 점성유체를 이용한 플랩도어용 댐퍼 - Google Patents

점성유체를 이용한 플랩도어용 댐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70000493B1
KR970000493B1 KR1019900006203A KR900006203A KR970000493B1 KR 970000493 B1 KR970000493 B1 KR 970000493B1 KR 1019900006203 A KR1019900006203 A KR 1019900006203A KR 900006203 A KR900006203 A KR 900006203A KR 970000493 B1 KR970000493 B1 KR 97000049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vable member
case
coil spring
movable shaft
movab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000062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00018493A (ko
Inventor
가즈요시 오지마
Original Assignee
스가쓰네고요교 가부시끼가이샤
스가사와라 히로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가쓰네고요교 가부시끼가이샤, 스가사와라 히로시 filed Critical 스가쓰네고요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000184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000184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70000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70000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3/00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 E05F3/14Closers or openers with braking devices, e.g. checks; Construction of pneumatic or liquid braking devices with fluid brakes of the rotary ty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2Devices with one or more rotary vanes turning in the fluid any throttling effect being immaterial, i.e. damping by viscous shear effect onl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1Brake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52Type of friction
    • E05Y2201/254Fluid or viscous friction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0Brakes; Disengaging means; Holders; Stops; Valve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262Type of motion, e.g. braking
    • E05Y2201/266Type of motion, e.g. braking rotary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1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buildings or parts thereof
    • E05Y2900/13Type of wing
    • E05Y2900/132Do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Pivots And Pivotal Connection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점성유체를 이용한 플랩도어용 댐퍼
제1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점성유체를 사용한 플랩도어용 댐퍼의 제1실시예에 대한 종단측면도.
제2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점성유체를 사용한 플랩도어용 댐퍼의 제2실시예에 대한 종단측면도.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점성유체를 사용한 플랩도어용 댐퍼의 제3실시예에 대한 종단측면도.
제4도는 본 발명에 관한 점성유체를 사용한 플랩도어용 댐퍼의 제4실시예에 대한 종단측면도.
제5도는 본 발명에 관한 댐퍼의 도어 열림각도와 도어 개페시에 있어서 도어의 하중 토크에 대한 점성전단 저항작용 영역과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의 직선을 나타낸 그래프.
제6도 (a), (b)는 종래의 점성유체를 사용한 댐퍼의 각 종단측면도와 횡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케이스 3 : 가동축
3b : 가동축의 대직경부(大直徑部) 4 : 가동부재
4a :가동부재의 소직경부(小直徑部) 4b′: 가동부재 외경의 대직경부
4d : 원통부 7 : 코일스프링
7′ : 단방향클러치부(one-way cluutch) 7″ :스프링의 복원력 발생부
본 발명은, 폴리이소브틴과 같은 고분자 점성유체, 기타의 점성유체의 코일스프링을 사용하고, 그 점성전단 저항력과 코일스프링이 감겨진 복원력을 이용하므로서 저항력을 얻을 수 있도록 하고, 이 저항력에 의하여 도어가 한쪽방향으로 회동할 때 도어의 하중 토크에 대한 환충작용, 즉 제동력을 발휘하도록 함과 동시에, 도어가 다른쪽 방향으로 회동할 때에는, 상기한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도어를 가볍게 회동할 수 있도록한 점성 유체를 사용한 플랩도어용 댐퍼, 더 상세하게 설명하면, 그 단방향클러치(one way clutch)와 복원력 발생을 겸용한 코일스프링이 있는 구성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 점성유체를 이용한 댐퍼로는 제6(a)(b)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같이, 케이스(a)내에 외부의 힘에 의해 회전하도록한 회전축(b)과 같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 회전축(b)과 직교상태로 고정시킨 소정개수의 가동디스크(c-c)…와, 이 가동디스크(c-c″)…와의 교호로 배치하여 케이스와의 걸어맞춤으로 회전축(b)의 회전에 연동되지 아니하지만, 판자두께 방향으로는 변동할 수 있는 소정개수의 고정디스크(d-d″)…를 배설하고, 이들의 가동디스크(c-c″)…와 고정디스크(d-d″)…의 판자면 사이에, 케이스(a)내에 충전된 점성유체(e)를 개재시키도록한 것, 또한,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회전축에 가동디스크를 고정하는 일이 없이, 그 판자두께 방향으로 변동할 수 있도록 한 것도 있다.
따라서, 상기 양 댐퍼에 의할 경우에는, 회전축(b)에 회전력으로서의 외부의 힘이 가해지므로써, 이 회전축(b)과 같이 회전하는 가동디스크(c-c″)…와, 케이스(a)에 걸려있는 고정디스크(d-d″)…를 상대적으로 운동시켜서, 이때 양 디스크(c-c′)…, (d-d′)…, 사이의 점성유체에 의한 점성전단 저항을 이용해서, 이 외부의 힘에 대한 완충작용을 발휘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댐퍼는 회전축(b)의 회전방향(정회전과 역회전)에 상응하여, 그 저항력을 가변하고저할 경우에도, 저항력의 결정용인이 되는 가동디스크(c-c′)…와 고정디스크(d-d′)…와의 상대적인 운동에 기인한 양 디스크에 있어서 점성전단저항이 불변하므로, 저항력, 즉제동력을 회전방향에 의하여 변경할 수 없게 된다.
따라서, 양변기의 좌판이나 변기뚜껑, 안에 선반을 단 장롱의 개폐뚜껑과 같은 플랩도어에 있어서, 그 플랩도어의 개폐시에 축(軸)토크, 즉 도어하중토크 곡선이 코사인(cos) 하중곡선으로 되는 것에 대하여, 상기 각 댐퍼의 회전축을 도어에 고정해서 사용한 경우에는 도어에 개폐동작, 특히 도어가 0°위치에서 90°위치로 여는(또는 닫는)동작이 매우 버거워지게 되므로, 도어가 잘 여리도록, 게다가 도어가 서서히 닫히도록 하는 것은, 복잡한 기구를 사용하지 아니하면 아니된다.
그리하여, 점성유체를 사용한 댐퍼에 있어서, 케이스내에, 도어의 개폐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는 가동축과 같이 한쪽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단방향클러치를 개재하여 가동부재를 배설하고, 상기 케이스와 가동부재 사이에 개재하여 있는 점성유체에 의한 점성전단 저항력과, 상기 케이스내에, 어느정도 까지 감겨진 상태로 배설한 스프링의 그 복원력에 의하여 가동축에 대한 제동력을 발휘시키도록한 것은 이건 출원인이 제안한 바에 의하여 알려져 있다.
이와같이 구성된 댐퍼는, 도어를 예를들면 0°에서 90°까지 회동할 때 댐퍼의 효과가 없고, 90°에서 0°까지 회동하여 복귀시킬 때, 댐퍼의 효과가 작용하도록 한 것이고, 따라서, 도어를 가볍고 또한 완만하면서 부드럽게 회동할 수 있게 되고, 또한 도어의 개폐동작을 하나의 축으로 제어할 수 있는 잇점이 있어서 효과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 댐퍼에 있어서 단방향 클러치와 복원력 발생원으로 되어 있는 스프링을 한 개의 코일스프링으로 일체로 구성하므로서 이 댐퍼의 기능을 유지하면서, 그 기구의 간소화를 도모하고, 소형화와 원가를 절감 할 수 있는 점성유체를 사용한 플랩도어용 댐퍼를 제공하려는 것이 그 목적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에서는 케이스 내에, 도어의 개폐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는 가동축과 같이 한쪽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단방향클러치를 개재하여 가동부재가 배설되고, 상기 케이스와 가동부재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점서유체에 의한 점성전단 저항력과, 적어도 일단이 케이스쪽에 고정되고, 케이스내에 배설되어 있는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동축에 대한 제동력이 발휘되도록한 점성유체를 사용한 플랩도어용 댐퍼로서, 한 개의 코일스프링의 일부를 가동부재가, 이 가동부재와 가동축에 강제적으로 끼워맞춤하고, 이 경제적으로 끼워맞춤한 부분에 의하여 단방향클러치부가, 강제적으로 끼워맞춤한 부분이외 부분으로 코일스프링의 복원력발생부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유체를 사용한 플랩도어용 댐퍼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2항 내지 동제4항은, 상기한 특허청구의 범위 제1항의 각종 실시상태를 나타내고 있으며, 특허청구 범위 제2항에서는 케이스내에, 도어의 개폐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는 가동축과 같이 한쪽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단방향클러치를 개재시켜서 가동부재가 배설되고, 상기 케이스와 가동부재와의 사이에 배설하여 있는 점성유체에 의한 점성전단 저항력과, 일단이 케이스쪽에, 타단은 가동축 쪽에 각각 고정되고 또한, 케이스내에 배설되어 있는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동축에 대한 제동력이 발휘되도록한 점성유체를 사용한 프랩도어용 댐퍼로서, 한 개의 코일스프링의 일부를 원통형으로 형성한 가동부재의 내경에 있어서 소직경부 내에 강제적으로 아쪽끼움하고, 강제적으로 안쪽끼움이된 부분에 의하여 단방향클러치부가, 강제적으로 안쪽끼우기 한부분이 외의 부분에서 코일스프링의 복원력발생부가, 각각 형성되도록 한 것을 내용으로 하고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3항에서는 케이스 내에, 도어의 개폐에 의해 회전하도록한 가동축과 같이 한쪽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단방향클러치를 개재하여서 가동부재가 배설되고, 상기 케이스와 가동부재와의 사이에 기재되어 있는 점성유체에 의한 점성전단 저항력과, 한쪽 단부가 케이스쪽에 다른 단부가 가동축쪽에 고정되고, 또한, 케이스내에 배설되어 있는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동축에 대한 제동력이 발휘되도록한 점성유체를 사용한 플랩도어용 댐퍼로서, 한 개의 코일스프링의 일부를 원통 형상으로한 가동부재의 외경에 있어서, 대직경부에 강제적으로 밖에서 끼움하고, 그 강제끼움 부분에 의하여 단방향클러치부가 그 강재 끼움부분이외의 부분에서 스프링의 복원력 발생부가 각각 형성되도록 하는 것을 그 내용으로 하고 있다.
특허청구의 범위 제4항에서 케이스내에, 도어의 개폐에 의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한 가동축과 같이 한쪽 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단방향클러치를 개재하여 가동부재가 배설되고, 상기 케이스와 가동부재의 사이에 배설되어 있는 점성유체에 의한 점성전단 저항력과, 일단부가 케이스쪽에 고정하고 타단부는 자유단으로 형성되고, 또한, 케이스내에 배설되어 있는 코일 스프링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동축에 대한 제동력이 발휘되도록한 점성유체를 사용한 플랩도어용 댐퍼로서, 한 개의 코일스프링의 상기한 자유단쪽에 있어서, 일부를 운통 형상으로 형성한 가동부재의 원통부에 강제적으로 밖에서 끼움한 강제끼움부분과, 이 원통부에 인접되어있고, 또한, 이것과 같은 직경이 이루어지도록 형성한 가동축에 설치하여 있는 대직경부에 강제적으로 밖에서 끼움한 강제 끼움부분에 의하여 단방향클러치부가, 이 강제 끼움부분 이외에 부분에서 스프링의 복원력 발생부가 각각 형성되도록하여 있다.
외부의 힘이 가동축에 한쪽 방향으로 회전하는 회전력으로 해서 가해지는 것이므로, 이 가동축은 한쪽방향으로 회전되지만, 가동축의 회전에 의하여 코일스프링이 그 직경이 변경되고 이로 인하여 그 단방향클러치와 가동부재와의 달라붙는 것이 해재되어서 이 가동축만이 회전하게되고, 이로 인하여 점성유체에 의한 점성전단 저항은 발생하지 아니한다.
따라서, 예를들면 도어가 0°위치에서 닫히고 90°위치에서 열리도록 설치되어 있는 경우에 있어서는, 도어를 닫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상기한 코일스프링은, 그 감긴방향 또는 풀리는 방향으로 비틀어지게됨으로, 이때 코일스프링에 의한 복원력이 가동축에 작용하게 된다.
한편, 코일스프링은, 그 비틀림으로 인하여 직경이 변경되어서 가동부재와 달라붙는 단방향클러치로서의 기능을 하게 되고, 가동축과 가동부재가 연결됨으로, 이 가동부재는 가동축과 같이 회전되어, 점성유체에 의한 점성전단 저항을 더욱 발생시킨다.
따라서, 상기 코일스프링에 의한 저항력과, 점성전단저항력에 의하여, 도어는 완만하게 또한, 원활하게 닫히게되고, 도어에는, 열릴때와 닫힐때에 있어서, 어느 정도의 일정화된 개폐속도를 보유할 수 있게 되고, 이로 인하여 얻어진 코일스프링의 복원력이, 도어를 여는 조작을 용이하게 한다.
[실시예 1]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실시예를 나타낸다.
제1도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향한 원통형상의 케이스(1)는, 그 길이방향에 있어 말단벽(1a)의 중심부에, 축공(1b)이 관통되어 있고, 이 말단벽(1a)과는 반대쪽에 개설되어 있는 개구부에는 덮개판(2)이 액밀(液密)상태로 끼워 붙임하여 있다.
가동축(3)은, 케이스(1)의 축공(1b)에 회전이 가능하도록하고, 또한 액밀 상태가 되도록 관통되어 있으며, 그 가동축의 일단부(3a)가 상기 덮개판(2)의 중심 안쪽면에 오목하게 요설하여있는 축이음홈(2a)에 끼워 맞춤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가동축(3)의 회전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케이스(1)의 내측 중심선상에 지지되어 있다.
상기 가동축(3)에 있어서, 축공(1b)으로부터 외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가동축의 타단부(3b)에는, 외부의 힘으로서 회전력이 작용하도록 도시되어 있지 아니한 플랩도어의 회전축이 연결하게 된다.
가동축(3)에는, 그 케이스(1)내부에 있어서, 케이스(1)의 말단벽(1a)에 내접한 플랜지(3c)가 설치되고, 이로 인하여 가동축(3)이 케이스(1)에서 빠져나가지 않도록되어 있다.
상기 케이스(1)에 있어서, 회전할 수 있도록 내장되어 있는 원통형상의 가동부재(4)는, 그 축방향으로의 길이가 케이스(1)에 있어 내부의 축방향의 유효길이와 동등하거나, 그것보다는 약간 짧게 형성되어 있고, 그 외경은 상기 케이스(1)의 내경보다는 소요 치수만큼 작게 형성되어 있다.
또한, 가동부재(4)의 내경은, 상기 가동축(3)의 외경보다도 충분히 크게 형성되어 있고, 케이스(1)의 말단벽(1a) 쪽은 소직경부(4a)에, 덮개판(2)쪽은 대직경부(4b′)로 형성되어, 그 소직경부(4a)는 가동축(3)의 플랜지(3c)에 바깥 끼워맞춤이 되어 있으므로, 이 가동부재(4)는 가동축(3)에 대해서 축회전 방향으로의 회전을 가능하게 해서 또한, 케이스(1)의 내주면과 같은 중심의 원 형상으로 배설되어 있다.
상기 가동부재(4)에 있어서 축방향으로의 양쪽단부와, 케이스(1)의 말단벽(1a) 및 덮개판(2) 사이는“0”링(Ring) (5) (6) 등에 의하여, 액밀상태가 되도록 밀폐되어 있고, 이로인하여 케이스(1)내부는, 중심부쪽의 중심부실(室)(A)과, 외주부쪽인 외주부실(B)로 구획되어, 케이스(1)와 가동부재(4)와의 사이인 상기 외주부실(B)에는, 예를들면 폴리이소브틴과 같은 고분자 점성유체라든지, 피치(Pitch) 내지는 규산소다용액(Water Glass) 등에 의한 점성유체(c)가 수용되어 있다.
다음에, 한 개의 코일스프링(7)은, 가동축(3)의 회전방향에 의하여, 이 가동축(3)과 가동부재(4)를 끊여졌다 이어졌다 하는 단속(斷續)으로 변환할 수 있도록하기 위한 단방향클러치부(7′)로 작용할 뿐만 아니라, 스프링의 복원력발생부(7″)로서의 역할도 다하도록 되어 있다.
즉, 코일스프링(7)은, 횡단면이 원형 또는 정방형등으로 되어서 횡단면이 다각형상의 스프링 강선을 두루감기를 하므로서, 그 일단부에서 타단부에 이르기까지가 일정한 외경으로 형성되고, 각 단부의 혹(7a)(7b)을 상기 가동축(3)의 플랜지(3c)와, 그 가동축(3)에 대하여 고정하는 쪽, 도시되어 있는 예에서는 덮개판(2)에 오목하게 요설되어 있는 스프링 걸어두기홈(3d)(2b)에, 각각 걸어끼움이 되어 있는 것으로, 이 코일스프링(7)은, 코일스프링(7)의 몇회 두루 감겨진 일단부가 상기 가동부재(4)의 소직경부(4a)에 밀어끼운 상태로, 가동축(3)의 외주부에 배설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상기 코일스프링(7)의 소직경부(4a)에 강제적으로 끼워진 부분에서 단방향클러치부(7′)가 형성되고, 가동부재(4)의 대직경부(4b)내에 있어서, 코일스프링(7)의 밀어끼움이 되어 있지 아니한 부분에서, 복원력발생부(7″)가 형성하도록 되어 있다.
여기에서, 코일스프링(7)은, 미리 그 감겨진 반대방향으로 어느정도까지 감겨진 상태로, 상술한 바와같이 배설하여도 좋고, 이 경우에는 감겨진 방향으로 복원하려는 복원력에 의하여 가동축(3)은 도시된 화살표(D) 방향으로만 회전력이 발생하게 된다.
상기 댐퍼를 플랩도어 등에 사용할때에는, 가동축(3)은 도어에 연결고정하고, 케이스(1)는 도어의 체결부재에 고정되지만, 예를들면 도어의 개폐각도가 약 90°이고, 수평상태의 0°에서는 닫는 위치, 수직상태의 90°에서는, 열리는 위치가 되도록 그 도어가 체결되어 있는 경우에는, 도어가 열리는 방향에 대해서 가동축(3)이 도시된 화살표(D)방향으로 회전되도록 가동축(3)을 도어에 연결한다.
도어가 열리는 방향으로 회동되어, 가동축(3)이 상기와 같이 도시된 화살표(D)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코일스프링(7)은 두루감긴 방향으로 복원에 의하여 회전하게 되어서 그 직경이 좁아지게 되므로, 그 단방향클러치부(7′)와, 가동부재(4)에 있어서 소직경부(4a)의 내부면과의 달라붙는 것이 해소되고, 클러치로는 단의 상태가 되고, 이로인하여 가동축(3)만이 화살표(D)방향으로 회전될 뿐, 가동부재(4)는 회전하지 아니하므로, 당연한 것이지만 점성전단저항은 작용하지 아니한다.
이때, 가동축(3)은, 코일스프링(7)에 대한 상기한 예에 의하여 감긴방향으로의 복원력에 의하여 회전이 가세되므로 말미암아 도어는 가볍게 열리는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다음은, 도어가 닫히는 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면, 가동축(3)은 도시된 화살표(E)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코일스프링(7)은 그 두루감긴 반대방향으로 회전되어서 그 직경이 확대된 상태가 되고, 단방향클러치부(7′)의 외주가, 가동부재(4)의 소직경부(4a)의 내주면에 달라붙어서, 클러치로서 속(續)의 상태로 되고, 가동축(3)에 가동부재(4)가 연동해서 회전되어서, 점성유체(c)에 의한 점성 전단저항이 작용한다.
이때 코일스프링(7)의 복원력발생부(7″)는, 두루감긴 반대방향으로의 스프링의 힘을 가지고 있으므로, 코일스프링(7)에 의한 복원력과 점성단저항력이 동시에 가동축(3)에 제동력으로서 작용하여, 도어는 완만하고 서서히 그리고 원활하게 닫히는 작용을 한다.
제2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를 나타낸다.
이 경우는, 가동축(3)이 케이스(1)의 축공(1b)에 회전할 수 있도록 끼우고 통하도록 지지되고, 이 가동축(3)의 내측단부(3e)가, 가동부재(4)의 단부 벽면 중심에 오목하게 요설하여 있는 축이음홈(4c)에 끼워맞춤되고, 이 가동부재(4)의 타단부에 형성하여 있는 개구부에서 그 내부 축심에는, 덮개판(2)의 내측면 중심에서 돌설하여 있는 원주형부(2c)가 헐겁게 끼움이 되어 있고, 이 원주형부(2c)의 기부 바깥둘레와, 가동부재(4)의 개구부 주벽과의 사이를 0링(8)으로 액밀상태가 되도록 밀폐되어 있는 것으로, 이 가동부재(4)가 회전할 수 있도록 배설되어 있고, 케이스(1)의 내부는, 그 중심부에 형성하여 있는 중심부실(A)과 외주부실(B)로 구획되어, 그 한쪽인 중심부실(A), 즉, 상기 원주형부(2c)와 가동부재(4)와의 사이에는 상기한 점성유체(C)가 수용되어 있다.
가동부재(4)에는 가동축(3)과 연접되어 있는 쪽의 외경에는 대직경부(4b′)로, 이것과 반대쪽의 외경에는 소직경부(4a′)로 형성하여 있다.
코일스프링(7)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 의한 경우와 같이 소정의 내경과 외경의 치수로 형성되어 있어서, 상기 가동부재(4)의 대직경부(4b′)에 있어서 그 외주면에 강제적으로 끼워진 상태로 바깥끼움이 되어 있고, 코일스프링(7)의 단부에 형성한 혹(7a)(7b)을, 가동축(3)의 플랜지(3c)와, 덮개판(2)에 각각 오목하게 요설하여 있는 스프링걸어두기홈(3d)(2b)에 걸어끼움이 되어 있고, 이로 인하여, 이 코일스프링(7)에 있어서 가동부재(4)의 대직경부(4a′)에 강제적으로 끼워넣은 부분이, 단방향클러치부(7′)를 형성하게 되고, 강제적으로 끼워지지 아니한 부분이 복원력발생부(7″)로 되어 있다.
여기에는, 코일스프링(7)은, 미리 감긴방향으로 어느정도 까지 비트러진 상태로 배설하여도 좋고, 이 경우에는, 그 두루감겨진 반대방향으로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동축(3)은 도시된 화살표(D)방향으로의 회전력이 가세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축(3)을 도시된 화살표(D)방향, 즉 스프링의 감긴 반대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코일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하여 이 가동축(3)은 화살표(D)방향으로의 회전력을 받음과 동시에, 이 코일스프링(7)은 감겨진 상태에서 풀어짐으로 인하여 그 직경은 확대되고, 그 단방향클러치부(7′)와 가동부재(4)의 대직경부(4a)에 달라붙음이 해소되고, 클러치로서의 단 : (斷)의 상태가 되고, 가동부재(4)는 회전되지 아니하므로 점성전단 저항은 작용하지 아니한다.
다음에, 가동축(3)이 도시된 화살표(E)방향, 결국 코일스프링(7)의 감긴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코일스프링(7)은 감긴방향으로 회전되어서 그 직경이 좁아지고, 이것에 의하여, 단방향클러치(7′)가, 가동부재(4)에 있어서 대직경부(4a)의 외주면에 달라붙고, 클러치로서의 속(續)의 상태가 되므로, 가동부재(4)는 가동축(3)과 연동해서 회전되고, 점성유체(C)에 의한 점성전단저항이 발생한다.
이때 코일스프링(7)의 복원력발생부(7″)가 감겨지게 되므로, 스프링의 탄발력이 발생하기 때문에, 스프링에 의한 복원력과 점성단저항이 동시에 작용하게 된다.
제3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낸다.
도시된 바와같이, 가동축(3)은, 상술한 제1실시예에 의한 경우와 같이, 케이스(1)의 중심선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어 있지만, 그 케이스(1) 내부에 위치하는 부위에는, 대직경부(3f)가 축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로 형성되어 있다.
가동부재(4)에는, 그 축방향의 일단부에 있어서, 원통부(4d)가 일체로 형성되고, 또한 그 외경은 상기 가동축(3)에 있어서 대직경부(3f)의 외경과 동일하고, 그 중심에 관설하여 있는 축공(4e)에, 상기 가동축(3)을 관통시킨 것으로, 원통부(4d)가, 대직경부(3f)와 케이스(1)의 말단벽(1a) 사이에 배치되고, 이로인하여 가동부재(4)는 케이스(1)내에 있어서 가동축(3)에 회전할 수 있도록 끼워진 상태로 배설되어 있다.
가동부재(4)의 축방향으로 양쪽단부의 외주면과 케이스(1)의 안쪽주벽과의 상이에는 0링(5)(6) 등에 의해 액밀상태로 밀폐시키므로서, 상기한 제1실시예에 의한 경우와 같이 케이스(1)내부는 두 개의 중심부실(A)와 외주부실(B)로 구획되어서, 케이스(1)와 가동부재(4) 사이에 구획된 외주부실(B)에, 점성유체(C)가 수용되어 있다.
코일스프링(7)은, 소정의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어서, 그 일단부의 훅(7b)이 덮개판(2)에 요설하여 있는 스프링걸어두기홈(2b)에 걸어끼움이 되어 있지만, 그 타단부는 어떠한 부재에도 걸어끼움이 되어 있지 아니한 자유의 상태로, 몇바퀴 감겨진 감긴분(卷回分)을 상기한 대직경부(3f)와 원통부(4d)와의 외주부에 강제적으로 기워져 있으며, 이 강제적으로 끼워진 부분에서 단방향클러치부(7′)가 형성되어 있으며, 강제적으로 끼워진 부분 이외의 부분에서, 복원력발생부(7″)가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가동축(3)이, 0°위치에 있는 도어가 닫힌상태에서 열리는 동작을 받게 됨으로서, 도시된 화살표(D)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코일스프링(7)에 있어서 단방향클러치부(7′)의 S1부분이, 가동축(3)에 있어서 대직경부(3f)의 “F점”쪽에서 감긴반대방향으로 돌려지게 되고, 코일스프링(7)의 S2부분이 휘게되고, 원통부(4d)에 대해서는 미끄럼이 생기게 되므로, 가동부재(4)는 연동됨이 없이 점성전단저항은 생기지 아니하므로, 도어는 가볍게 열릴 수가 있다.
다음에, 도어가 예를들면 90°에서 열려져 있는 위치에서 닫는 동작이 되면, 가동축(3)이 도시된 화살표(E) 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므로, 코일스프링(7)의 단방향 클러치부(7′)의 도시부분에 있어서, S1, S2부분이 대직경부(4d)의 외주면에 감겨져서 달라붙게 되므로, 가동부재(4)는 가동축(3)과 같이 회전되고, 점성전단저항이 생긴다.
이때, 코일스프링(7)의 복원력발생부(7″)가 겸겨지게 되는 저항력으로 복원력이 발생하고, 이로 인하여 가동축(3)에 제동력이 작용하기 때문에, 도어는 완만하고 원활하게 단히게 된다.
제4도는 다판식(多板式)댐퍼를 채용한 제4의 실시예를 나타내고 있다.
제4도에 나타내는 바와같이, 가동축(3)은 상술한 제1과 제3의 실시예에 의한 경우와 같이, 케이스(1)의 중심 선상으로 회전하도록 지지되어 있고, 그 케이스(1)내에 위치한 부분에는 대직경부(3f)가, 상술한 제3실시예에 있어서의 직경보다도 큰 직경으로 형성하여 있다.
케이스(1)에 있어서 말단벽(1a)과, 대직경부(3f)에는, 그 대향면에 있어서, 각각 동일한 직경의 원형돌출부(1c)(3g)가 대설되어 있고, 이 두 개의 원형돌출부(1c)(3g)에는, 0링(5)(6) 등을 사용해서 액밀상태로 밀폐하므로서, 원통형상의 가동부재(4)가 회전할 수 있도록 외측에 설치되어서, 이로 인하여 케이스(1) 내부가, 중심부실(A)와 외주부실(B) 두 개로 구획되어 있다.
상기 외주부실(B)내에는, 가동부재(4)와 같이 회전이 가능하도록 이 가동부재(4)와 직교상으로 걸어져 있고, 또한 판두꺼방향으로 변동할 수 있는 필요한 여러개의 가동디스크(4f)와, 이들 가동디스크(4f)와 교호로 배치하여, 케이스(1)와의 걸어맞춤으로 가동부재(4)의 회전에 연동되지 아니하지만, 판두께방향으로는 변동할 수 있는 필요한 여러장의 고정 디스크(7)가 배설되어 있고, 이들 가동디스크(4f)와 고정디스크(7)…의 판면(板面)과의 사이에, 케이스(1)의 외주부실(B)내에 충전된 점성유체(C)가 개재되어 있다.
코일스프링(7)은 소정의 내경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일단에 형성하여 있는 훅(7b)이, 덮개판(2)의 스프링걸어두기홈(2b)에 걸려있는 상태에서, 타단부측의 몇회 감긴분을 대직경부(3f)와 가동부재(4)의 바깥둘레에 강제적으로 끼워맞춤으로 배설되어 있다.
즉, 코일스프링(7)의 대직경부(3f)와 가동부재(4)에 강제적으로 끼워진 부분에서 단방향클러치부(7′)가 형성하게 되고, 강제적으로 끼워진 부분에서 복원력발생부가 형성하게 된다.
가동축(3)이, 도어의 개폐동작에 의하여 도시된 화살표(D)(E)방향으로 회전되므로서 단방향클러치부(7′)의 작동은, 상술한 제3실시예에 의한 경우와 완전히 동일하게 된다.
상기의 구성으로부터 제4실시예에 있어서는, 가동축(3)과 같이 가동부재(4)가 도시된 화살표(E)방향, 즉 도어가 수직상태의 90°위치에서 수평상태의 0°위치로 회동하므로서, 가동부재(4)와 같이 회전하는 가동디스크(4f)와 고정디스크(8)가 상대적으로 운동한때의 양 디스크(4d)(8)간의 점성유체에 의한 점성전단저항과, 코일스프링(7)에 복원력 발생부(7″)에서의 복원력을 이용해서, 가동축, 즉 도어의 외부 힘에 대한 제동작용이 발휘하게 된다.
제5도는, 도어가 열리는 각도와, 도어의 개폐시에 있어서 도어의 하중토크에 대해 점성전단저항에 의한 댐퍼 효과영역(G)과, 코일스프링(7)에 있어서 복원력발생부(7″)의 복원력 직선(H)을 나타내고 있다.
제5도에 있어서 화살표(I)는, 코일스프링 복원력에 의한 댐퍼“ON”방향을, 화살표(J)는 코일스프링 복원력에 의한 댐퍼“OFF”방향을 각각 나타낸다.
본 발명은,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같이 도어를 개폐하므로서 회전할 수 있는 가동축이, 도어에 의하여 한쪽방향으로 회전될때에는 댐퍼의 효과가 없고, 다른 방향으로 회전될때만이 댐퍼의 효과가 작용하도록 되어 있는 댐퍼에 있어서, 가동축의 회전방향에 의하여 가동축과, 회전하므로서 점성전단저항을 발생시키기 위한 가동부재와의 연동, 또는 비연동으로 전환하는 단방향클러치부와, 스프링의 복원력발생부는 코일스프링에 의해 일체로 구성한 것이므로, 복원력 발생용 스프링과 단방향클러치가 별개체로 형성되어 있는 것에 비하여, 그 기구를 간소화할 수 있으므로 이 댐퍼의 소형화를 도모할 수 있음을 물론, 단방향클러치부는, 코일스프링을 특별히 가공하여서 형성하는 것이 아니고, 이 코일스프링의 일부를 가동부재 동에 강제로 끼워지도록 형성되고, 이 강제로 끼워진 부분이외의 부분을 복원력발생부로 하는 것이므로, 부재에 대한 가공 및 조립이 용이하고, 이점에 있어서도 단가를 저렴하게 할 수 있다.

Claims (4)

  1. 케이스(1)내에,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회전하는 가동축(3)과 같이 한쪽방향으로만 회전이 가능하도록 단방향 클러치(7′)를 개재하여 가동부재(4)가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1)와 가동부재(4)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점성유체(C)에 의한 점성전단저항력과, 적어도 일단부가 케이스(1)측에 고정되고, 또한 케이스(1)내에 탄설되어 있는 코일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동축(3)에 대한 제동력이 발생되도록한 점성유체(C)를 사용한 플랩도어용 댐퍼로서, 한 개의 코일스프링(7)의 일부를 가동부재(4)이거나, 이 가동부재(4)와 가동축(3)에 강제로 끼워맞춤하고, 이 끼워맞춤 부분에 의하여 단방향클러치부(7′)가, 이 끼워맞춤 부분이외의 부분에서 코일스프링(7)의 복원력발생부(7″)가, 각각 형성되도록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유체를 사용한 플랩도어용 댐퍼.
  2.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1)내에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회전하는 가동축(3)과 같이 한쪽방향으로만, 회전할 수 있도록 단방향클러치(7′)를 개재해서 가동부재(4)가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1)와 가동부재(4) 사이에 개재하여 있는 점성유체에 의한 점성전단저항력과, 일단부는 케이스(1)쪽에 타단부는 가동축(3)쪽에 각각 고정되어 있고, 또한 케이스(1)내에 탄설되어 있는 코일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동축(3)에 대한 제동력이 발휘되도록 한 점성유체를 사용한 플랩도어용 댐퍼로서, 한 개의 코일스프링(7)의 일부를 원통형으로 형성한 가동부재(4)의 내경에 있어서 소직경부(4a)에 강재적으로 안쪽 끼우기하고, 그 안쪽 끼우기한 부분에 의하여 단방향클러치부(7′)가, 이 아쪽끼우기 한부분이외의 부분에서 코일스프링(7)의 복원력발생부(7″)가 각각 형성되도록한 점성유체를 사용한 플랩도어용 댐퍼.
  3.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1)내에,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회전하는 가동축(3)과 같이 한쪽방향으로만 회전 할 수 있도록 단방향클러치(7′)를 개재하여서 가동부재(4)가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1)와 가동부재(4)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점성유체(C)에 의한 점성전단저항력과, 일단부가 케이스(1)쪽에, 타단부가 가동축(3)쪽에 고정되고, 또한 케이스(1)내에 탄설되어 있는 코일스프링(7)의 복원력에 의하여, 가동축(3)에 대한 제동력이 발휘되도록한 점성유체(C)를 사용한 플랩도어용 댐퍼로서, 한 개의 코일스프링(7)의 일부를 원통형으로 형성한 가동부재(4)의 외경에 있어서 대직경부(4b′)에 강제적으로 바깥끼움하고, 그 바깥끼움 부분에 의하여 단방향클러치부(7′)가 이 바깥끼움부분이외의 부분에서 코일스프링(7)의 복원력발생부(7″)가 각각 형성되도록한 점성유체를 사용한 플랩도어용 댐퍼.
  4. 제1항에 있어서, 케이스(1)내에, 도어가 개폐됨에 따라 회전하는 가동축(3)과 같이 한쪽방향으로만 회전 할 수 있도록 단방향클러치(7′)를 개재하여서 가동부재(4)가 설치되어 있고, 케이스(1)와 가동부재(4) 사이에 개재되어 있는 점성유체(C)에 의한 점성전단저항력과, 일단부가 케이스(1)쪽에 고정되어 있고 타단부는 자유단으로 형성되어 있고, 또한 케이스(1)내에 탄설되어 있는 코일스프링(7)의 복원력에 이하여 가동축(3)에 대한 제동력이 발생되도록한 점성유체(C)를 사용한 플랩도어용 댐퍼로서, 한 개의 코일스프링(7)의 자유단 쪽에 있어서 일부를 원통형으로 형성한 가동부재(4)의 원통부(4d)에 강제적으로 바깥끼움을 한 바깥끼움부분과, 이 원통부(4d)에 인접되어 있고, 또한 이것과 같은 직경으로 이루어진 가동축(3)에 형성한 대직경부(3f)에 강제적으로 바깥끼움한 그 바깥끼움 부분으로 이루어진 단방향클러치부(7′)가, 바깥끼움부분 이외의 부분에서 스프링(7)의 복원력발생부(7″)가, 각각 형성되도록 한 점성유체를 사용한 플랩도어용 댐퍼.
KR1019900006203A 1989-05-02 1990-05-01 점성유체를 이용한 플랩도어용 댐퍼 KR970000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113283 1989-05-02
JP1113283A JPH0678703B2 (ja) 1989-05-02 1989-05-02 粘性流体を用いたフラップ扉用ダンパー
JP?1-113283 1989-05-0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00018493A KR900018493A (ko) 1990-12-21
KR970000493B1 true KR970000493B1 (ko) 1997-01-13

Family

ID=146082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00006203A KR970000493B1 (ko) 1989-05-02 1990-05-01 점성유체를 이용한 플랩도어용 댐퍼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165507A (ko)
EP (1) EP0396354B1 (ko)
JP (1) JPH0678703B2 (ko)
KR (1) KR970000493B1 (ko)
AU (1) AU627022B2 (ko)
CA (1) CA2015449C (ko)
DE (1) DE69015425T2 (ko)
IE (1) IE62340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211269A (en) * 1989-05-02 1993-05-18 Sugatsune Industrial Co., Ltd. Damper for a flapdoor using viscous fluid
EP0442570A1 (en) * 1990-02-14 1991-08-21 VOLVO CAR SINT-TRUIDEN, naamloze vennootschap Damper for the steering gear of a car
DE4135216A1 (de) * 1991-10-25 1993-04-29 Fischer Artur Werke Gmbh Daempfungselement zur daempfung einer schubbewegung
ES2089405T3 (es) * 1992-07-08 1996-10-01 Sugatsune Kogyo Dispositivo amortiguador para butaca abatible automatica.
US5546632A (en) * 1994-02-04 1996-08-20 Orbital Sciences Corporation Shear viscous damped hinge
DE4413325C2 (de) * 1994-04-16 2001-03-15 Itw Ateco Gmbh Rotationsdämpfer
JP2739164B2 (ja) * 1994-12-27 1998-04-08 トックベアリング株式会社 回転ダンパにおける自立機構
US5816372A (en) * 1994-09-09 1998-10-06 Lord Corporation Magnetorheological fluid devices and process of controlling force in exercise equipment utilizing same
GB9421633D0 (en) * 1994-10-27 1994-12-14 Ashley & Rock Ltd Sprung damper
GB2303427B (en) * 1994-12-27 1997-04-09 Tok Bearing Co Ltd Rotary damper with self-standing mechanism
US5667204A (en) * 1995-06-26 1997-09-16 Aesop, Inc. Slit-tube replicated in-place constrained layer damper and method
DE19655100B4 (de) * 1996-07-19 2007-12-20 Kendrion Rsl Gmbh & Co. Kg Dämpfungseinrichtung für einen Haltegriff in einem Kraftfahrzeug
JPH10131943A (ja) * 1996-10-28 1998-05-22 Kato Electrical Mach Co Ltd 開閉体の開閉装置
US5996132A (en) * 1997-01-24 1999-12-07 Katoh Electrical Machinery Co., Ltd. Compound torque hinge
US5852831A (en) * 1997-06-23 1998-12-29 Naughton; Donald G. Self-closing toilet seat and lid
DE29802761U1 (de) * 1998-02-18 1998-04-23 Seeber AG & Co., 67547 Worms Dämpfungsvorrichtung
US6085384A (en) * 1999-04-08 2000-07-11 Illinois Tool Works Inc. One-way hinge damper
FI20001295A (fi) 2000-05-30 2001-12-01 Nokia Mobile Phones Ltd Kääntömekanismi kääntöliikkeen aikaansaamiseksi ja saranoitu elektroniikkalaite
US6431340B1 (en) * 2000-11-07 2002-08-13 Siemens Vdo Automotive Corporation Soft stop mechanism and method
US6637571B2 (en) 2001-08-31 2003-10-28 Reell Precision Manufacturing Corporation Input engaging clutch
US7111773B1 (en) 2001-09-07 2006-09-26 Sun Coast Merchandise Corporation Damped, mechanically driven lid for a handheld device
DE10242981B3 (de) * 2002-09-17 2004-06-17 Kendrion Rsl Gmbh & Co. Kg Vorrichtung zur Verlangsamung einer relativen Drehbewegung zwischen zwei zueinander drehbeweglichen Bauteilen
US8677562B2 (en) * 2003-05-02 2014-03-25 William Ernest Taylor Vallance Movements controlling means
EP1623869B1 (en) * 2003-05-12 2008-10-22 Oiles Corporation Damper for car seat and car seat mechanism having the damper
US7878315B2 (en) * 2006-04-14 2011-02-01 Ntn Corporation Spring clutch
US20090025181A1 (en) * 2007-07-26 2009-01-29 George Burger Slow Closing Hinge Apparatus
US7927375B2 (en) * 2008-09-12 2011-04-19 Doty Keith L Dynamic six-degrees-of-freedom intervertebral spinal disc prosthesis
EP2334885A4 (en) * 2008-09-15 2014-02-26 Sca Hygiene Prod Ab HINGE CONFIGURATION
ITTO20090523A1 (it) * 2009-07-13 2011-01-14 Antonino Cultraro Smorzatore rotativo a tubo sottile
ES2356216B1 (es) * 2009-07-29 2012-02-10 Figueras International Seating, S.L. Mecanismo amortiguador de asientos abatibles de butacas.
CA2770374C (en) 2011-03-02 2014-07-08 Enertec Consultants Inc. Damper roller system
JP5886693B2 (ja) * 2012-06-07 2016-03-16 オイレス工業株式会社 スライドコアガイドユニット
US9702176B2 (en) 2014-07-07 2017-07-11 Itt Manufacturing Enterprises Llc Spring loaded actuator assembly
JP2018012143A (ja) * 2016-07-19 2018-01-25 株式会社デンソー ロボット装置
US20180238202A1 (en) * 2017-02-20 2018-08-23 Maxitrol Company Beam Coupling
EP3903655A4 (en) * 2018-12-27 2022-09-28 Sugatsune Kogyo Co., Ltd. DAMPER DEVICE
US11564538B2 (en) 2019-10-21 2023-01-31 Bemis Manufacturing Company Hinge post for toilet seat
CN111075049B (zh) * 2020-01-03 2021-06-15 同济大学 一种带抗拉功能的耗能三维隔振支座
US12031587B2 (en) 2020-01-31 2024-07-09 Reell Precision Manufacturing Corporation Damper controlled wrap spring clutch
CN115380844B (zh) * 2022-07-11 2024-01-16 苏州佩德漫特工贸有限公司 抗爆冲牵引器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542160A (en) * 1968-11-29 1970-11-24 Marquette Metal Products Co Reverse rotation brake mechanism
JPS5256040Y2 (ko) * 1972-04-19 1977-12-17
US3860993A (en) * 1973-01-16 1975-01-21 Sealth Aero Marine Door control device
AU491835B2 (en) * 1976-11-08 1977-01-27 Stanley Works Pty. Ltd., The Controlled release door holder
JPS59123732U (ja) * 1983-02-09 1984-08-20 不二精器株式会社 方向性を有する回転ダンパ−
US4576252A (en) * 1983-04-15 1986-03-18 Nifco Inc. Rotation damper
JPS59222631A (ja) * 1983-06-01 1984-12-14 Nifco Inc 回転ダンパ−装置
US4618039A (en) * 1984-04-19 1986-10-21 Nifco Inc. One-way clutch
JPS6124850A (ja) * 1984-07-16 1986-02-03 Nifco Inc 一方向性ダンパ−
JP2660914B2 (ja) * 1986-07-05 1997-10-08 株式会社 ニフコ 回転ダンパー装置
JPS63171736U (ko) * 1987-04-30 1988-11-08
US4780916A (en) * 1987-05-11 1988-11-01 Sutton Bernard S Tub seat massager
US4938322A (en) * 1987-06-10 1990-07-03 Sugatsune Industrial Co., Ltd. Multi-disc damper using viscous fluid
JP2544628B2 (ja) * 1987-07-10 1996-10-16 株式会社 ニフコ 回転ダンパ−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5379990A (en) 1990-11-08
EP0396354B1 (en) 1994-12-28
EP0396354A2 (en) 1990-11-07
CA2015449C (en) 1995-01-10
DE69015425D1 (de) 1995-02-09
JPH02292482A (ja) 1990-12-03
EP0396354A3 (en) 1992-01-02
IE62340B1 (en) 1995-01-25
JPH0678703B2 (ja) 1994-10-05
CA2015449A1 (en) 1990-11-02
AU627022B2 (en) 1992-08-13
DE69015425T2 (de) 1995-05-04
KR900018493A (ko) 1990-12-21
US5165507A (en) 1992-11-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70000493B1 (ko) 점성유체를 이용한 플랩도어용 댐퍼
US5211269A (en) Damper for a flapdoor using viscous fluid
US4574423A (en) Rotary damper having a clutch spring and viscous fluid
KR910002335B1 (ko) 회전 댐퍼
KR960000116B1 (ko) 문짝용 힌지
JP3304188B2 (ja) 一方向回転ダンパー
JP2000170813A (ja) ロータリーダンパー
US20060131111A1 (en) Braking apparatus for closure members
JPS6124850A (ja) 一方向性ダンパ−
JPH0742999B2 (ja) オイル式ダンパ−
KR930008273A (ko) 직동 운동 댐핑용 댐핑요소
JP4627162B2 (ja) 容器
JPH0678705B2 (ja) 扉等用ダンパー
JP7336042B1 (ja) ロータリーダンパー及びロータリーダンパーとリンク機構との組み合わせ
JPH0723660B2 (ja) 粘性流体を用いたフラップ扉用ダンパー
JPH0517462Y2 (ko)
JPH0631941B2 (ja) 鍵盤楽器の鍵盤蓋開閉装置
JPH0678704B2 (ja) 扉等用ダンパー
KR860000368Y1 (ko) 디지탈 오디오 디스크플레이어의 도어댐퍼장치
JP3712915B2 (ja) 引戸装置
JPS61146985A (ja) 緩動装置
JPH0230619Y2 (ko)
JP4383798B2 (ja) 軸型ダンパー
JPS6344009Y2 (ko)
KR100321380B1 (ko) 댐퍼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40114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