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321380B1 - 댐퍼장치 - Google Patents

댐퍼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321380B1
KR100321380B1 KR1019990037074A KR19990037074A KR100321380B1 KR 100321380 B1 KR100321380 B1 KR 100321380B1 KR 1019990037074 A KR1019990037074 A KR 1019990037074A KR 19990037074 A KR19990037074 A KR 19990037074A KR 100321380 B1 KR100321380 B1 KR 1003213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case
damper device
spring
d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900370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00028637A (ko
Inventor
하라다아키노리
Original Assignee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filed Critical 가부시키가이샤 니프코
Publication of KR200000286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000286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3213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321380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1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using liquid only; using a fluid of which the nature is immaterial
    • F16F9/12Devices with one or more rotary vanes turning in the fluid any throttling effect being immaterial, i.e. damping by viscous shear effect only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16F7/1005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characterised by active control of the mass
    • F16F7/1017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characterised by active control of the mass by fluid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7/0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 F16F7/10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 F16F7/104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using inertia effect the inertia member being resiliently moun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9/00Springs, vibration-dampers, shock-absorbers, or similarly-constructed movement-dampers using a fluid or the equivalent as damping medium
    • F16F9/32Details
    • F16F9/3207Constructional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2238/00Type of springs or dampers
    • F16F2238/02Springs
    • F16F2238/026Springs wound- or coil-lik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ing And Opening Devices For Wings, And Checks For Wings (AREA)
  • Springs (AREA)
  • Fluid-Damping Devices (AREA)

Abstract

(과제) 스프링의 탄력을 조정할 수 있는 댐퍼장치를 제공한다.
(해결수단) 댐퍼장치(10)는 케이스(40)와 샤프트(50)와 스프링(60,70)과 점성유체(80)를 구비한다. 케이스(40)와 샤프트(50) 사이에는 적어도 2개의 돌기부 (140,150)(160,160)중 어느 일측을 각각에 형성하고 있다. 2개의 돌기부(140,150) (160,160)는 일방향과 반대가 되는 타방향으로의 샤프트(50)의 회전을 허용하며, 샤프트(5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서로 맞물림으로써 소정각도(예, 180도)마다 스프링(60)의 회전력을 받아내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댐퍼장치 {DAMPER DEVICE}
본 발명은 댐퍼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특히 스프링의 탄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종래의 댐퍼장치는, 예를 들면 일본국 공개특허 평7-238971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다음과 같은 부품으로 구성되어 있다.
1) 케이싱
2) 댐퍼축
3) 비틀림 코일 스프링
4) 실리콘 오일
5) 캡
6) O링
상기 댐퍼축과 캡에는 서로 대향하는 걸어맞춤 볼록부가 각각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댐퍼축을 회전시키면, 양 걸어맞춤 볼록부끼리가 서로 타고 넘어서 걸어맞춰짐으로써 비틀림 코일 스프링이 예비 권취상태로 유지된다.
또한, 예비 권취상태로 유지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서는 일본국 실용신안등록 제2521059호 공보에 「케이스 본체와 덮개의 걸어맞춤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그러나, 상기한 종래의 댐퍼장치에서는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예비 권취가 가능하지만, 비틀림 코일 스프링의 탄력을 조정할 수 없다는 제 1의 문제점이 있었다.
또, 종래의 댐퍼장치는 부품수가 많아 부품값이나 조립비용이 비싸게 먹힌다는 제 2의 문제점이 있었다.
여기서, 본원의 각 청구항에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제 1, 제 2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그 목적으로 하는 바는 다음과 같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제 1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스프링의 탄력을 조정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제 2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캡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종래기술이 가지는 제 2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상기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실리콘 오일 대신에 그리스를 사용함으로써 O링을 생략할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도어의 자체 중량이 가벼운 경우에도 댐퍼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목적에 부가하여 도어의 자체 중량이 무거운 경우에도 댐퍼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한 것이다.
도 1은 케이스와 샤프트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댐퍼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3은 댐퍼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댐퍼장치의 분해단면도
도 5는 댐퍼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댐퍼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댐퍼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케이스와 샤프트의 일부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샤프트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0은 제 1 스프링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댐퍼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도 10에 나타낸 댐퍼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도 10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스프링의 임시 권취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0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댐퍼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도 13에 나타낸 댐퍼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5는 제 2 스프링의 사용예를 나타낸 도면으로서, 스프링의 권취상태를 나타내는 댐퍼장치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댐퍼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도 15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스프링의 탄력이 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도 16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도 17에 나타낸 댐퍼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는 도 15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댐퍼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도 16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도 19에 나타낸 댐퍼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면중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 - 댐퍼장치 20 - 하우징
21 - 개방면 30 - 도어
40 - 케이스 50 - 샤프트
60,70 - 스프링 61,62,71,72 - 단부
80 - 점성유체 90 - 통형상부
91 - 바닥부 92 - 개구부
93 - 걸림편 100 - 부착부
101 - 암 110 - 샤프트 본체
111 - 중공부 112 - 슬릿
113,114 - 관통구멍 120 - 턱부
121 - 네킹부 122 - 기단부
123 - 돌출부 130 - 돌기축
140,150,160 - 돌기부 141,151,161 - 경사면
142,152,162 - 걸림면
본원의 각 청구항에 기재된 각 발명은 상기한 각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각 발명의 특징점을 도면에 나타낸 발명의 실시형태를 이용하여 이하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괄호내의 도면부호는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또, 도면부호도 발명의 실시형태에서 사용한 도면부호를 나타내며,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은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케이스(40)와 샤프트(50) 사이에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돌기부(140,150)(160,160) 중 어느 일측을 각각에 형성하고 있다.
상기 2개의 돌기부(140,150)(160,160)는, 예를 들면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방향과 반대가 되는 타방향으로의 샤프트(50)의 회전을 허용하며, 샤프트(50)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에, 예를 들면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소정각도(예, 180도)마다 스프링(60)의 회전력을 받아내기 위한 것이다.
또한, 상기 소정각도는 180도에 한정하지 않고, 0도를 넘는 180도 미만으로 하여도 된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3가지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로, 케이스(40)는 예를 들면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케이스(40)는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를 폐색하는 바닥부(91)와 타단부를 개방시킨 개방부(92)를 가진다.
둘째로, 샤프트(50)에는 예를 들면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40)의 개방부(92)를 폐색하는 턱부(120)를 가진다.
셋째로, 2개의 돌기부(140,150)(160,160)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40)의 개방부(92)와 샤프트(50)의 턱부(120) 사이에 각각 위치한다. 그리고, 2개의 돌기부(140,150)(160,160)는 예를 들면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2개의 걸림면(142,152)(162,162) 중 어느 일측을 각각에 형성하고 있다. 2개의 걸림면(142,152)(162,162)은 샤프트(50)의 축방향에 대향하고, 예를 들면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맞물림으로써 턱부(120)가 개방부(92)에서 빠지는 것을 저지하기 위한 것이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점을 특징으로 한다.
즉, 점성유체(80)로서는 그리스를 사용하고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3가지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로, 케이스(40)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면(21)을 가지는 하우징(20)에 고정되어 있다.
둘째로, 샤프트(50)는 예를 들면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체 중량에 의하여 하측으로 개방되어 하우징(20)의 개방면(21)을 개방하는 도어(30)에 고정되어 있다.
셋째로, 스프링(60)은 예를 들면 도 1 내지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성유체(80)에 의한 토크가 도어(30)의 자체 중량에 의한 토크를 넘는 경우에는 도어(30)가 자체 중량에 의하여 하측으로 개방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하도록하고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은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특징점에 부가하여 다음의 3가지 점을 특징으로 한다.
첫째로, 케이스(40)는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면(21)을 가지는 하우징(20)에 고정되어 있다.
둘째로, 샤프트(50)는 예를 들면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자체 중량에 의하여 하측으로 개방되어 하우징(20)의 개방면(21)을 개방하는 도어(30)에 고정되어 있다.
셋째로, 스프링(70)은 예를 들면 도 15 내지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점성유체(80)에 의한 토크가 도어(30)의 자체 중량에 의한 토크 미만인 경우에는 도어(3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회전력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다.
(발명의 실시형태)
도 1 내지 도 20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일례를 나타낸 것이다.
도 1은 케이스와 샤프트의 일부 분해사시도, 도 2는 댐퍼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일부 단면도, 도 3은 댐퍼장치의 분해사시도, 도 4는 댐퍼장치의 분해단면도, 도 5는 댐퍼장치의 단면도, 도 6은 댐퍼장치의 측면도, 도 7은 댐퍼장치의 단면도, 도 8은 도 1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케이스와 샤프트의 일부 사시도, 도 9는 도 7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샤프트를 회전시킨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0 내지 도 14는 제 1 스프링의 사용예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0은댐퍼장치의 사시도, 도 11은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도 10에 나타낸 댐퍼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2는 도 10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스프링의 임시 권취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3은 도 10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댐퍼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4는 도 2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도 13에 나타낸 댐퍼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5 내지 도 20은 제 2 스프링의 사용예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도 15는 스프링의 권취상태를 나타내는 댐퍼장치의 사시도, 도 16은 도 15에 나타낸 댐퍼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7은 도 15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스프링의 탄력이 프리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18은 도 16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도 17에 나타낸 댐퍼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19는 도 15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댐퍼장치의 작동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20은 도 16에 대응하는 도면으로서 도 19에 나타낸 댐퍼장치의 부착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를 각각 나타낸 것이다.
〈댐퍼장치(10)〉
도면에 있어서, 도면부호 10은 댐퍼장치를 나타낸다.
상기 댐퍼장치(1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텔레비전등의 스위치류가 수납된 하우징(20)과 그 개방면(21)를 개폐하는 도어(30) 사이에 부착되어 있다. 그리고, 도어(30)가 그 자체 중량에 의하여 하측으로 쓰러지면서 개방될 때에 댐퍼장치를 작동시켜 도어(30)가 세차게 열리는 것을 방지하고 있다.
상기 댐퍼장치(10)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부품으로구성되어 있다.
1) 케이스(40)
2) 샤프트(50)
3) 스프링(60,70)
4) 점성유체(80)(도 5 참조)
〈케이스(40)〉
케이스(40)는 하우징(20)에 고정되며, 적당한 정도의 탄성과 강성을 가지는 예를 들면 ABS등의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케이스(4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각부를 가진다.
1) 통형상부(90)
통형상부(9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상을 이루며, 그 일단부를 폐색하는 바닥부(91)와 타단부를 개방시킨 개방부(92)를 가진다.
상기 바닥부(91)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60,70)의 일단부 (61,71)가 삽입되는 간격을 두고서 1쌍의 걸림편(93,93)이 돌출되어 있다. 그리고, 상기 1쌍의 걸림편(93,93)간의 간격내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60,70)의 일단부(61,71)를 삽입함으로써 스프링(60,70)을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한다.
2) 부착부(100)
부착부(10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상부(90)의 외측둘레에서 돌출된 1쌍의 암(101,101)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상기 1쌍의 암(101,101)을 수지의 탄성을 이용하여 하우징(20)의 부착구멍에 끼워넣음으로써 하우징(20)에 대하여 케이스(40)를 고정한다.
〈샤프트(50)〉
샤프트(50)는 도어(30)에 고정되며, 적당한 정도의 탄성과 강성을 가지는 예를 들면 ABS등의 합성수지로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샤프트(5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음의 각부를 가진다.
1) 샤프트 본체(110)
샤프트 본체(11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통형상을 이루며, 케이스(40)의 통형상부(90)의 내경보다 작은 외형을 가진다.
샤프트 본체(110)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단부가 개방된 중공부(111)를 가진다.
상기 중공부(111)의 폐색된 바닥부에는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 (60,70)의 타단부(62,72)가 삽입가능한 슬릿(112)을 형성하고 있다. 그리고, 슬릿 (112)내에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스프링(60,70)의 타단부(62,72)를 삽입함으로써 스프링(60,70)을 회전 불가능하게 유지한다.
또, 샤프트 본체(110)의 주위에는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내외로 관통하는 복수의 관통구멍(113,114)을 형성하고 있다.
상기 관통구멍(113,114) 중 일측의 관통구멍(113)은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 본체(110)의 전체 길이에 있어서의 대략 중앙에 위치하고 있다. 그리고, 관통구멍(113,114) 중 타측의 관통구멍(114)은 후술하는 턱부(120)측에 위치하고 있다. 각 관통구멍(113,114)은 샤프트 본체(110)의 직경방향에 대향하고 있다.
턱부(12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50)의 전 길이에 있어서의 도중에 위치하며, 샤프트 본체(110)의 외측둘레에서 환형상으로 돌출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턱부(120)는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 본체(110)에 인접하여 환형상으로 잘록해진 네킹부(121)와, 네킹부(121)보다 굵게 된 기단부(122)와, 기단부(122)에서 환형상으로 돌출된 환형상 돌출부(123)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기단부(122)의 외경은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상부 (90)의 개방부(92)의 내경과 거의 같게 설정되어 있다. 또, 환형상 돌출부(123)의 외경은 도 3 내지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통형상부(90)의 외경과 거의 같게 설정되어 있다.
3) 돌기축(130)
돌기축(130)은 도 3 및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환형상 돌출부(123)의 중앙에서 돌출되어 있으며, 단면 비원형상을 이루고 있다. 그리고, 돌기축(130)은 도어(30)에 고정되며, 도어(30)는 하우징(20)에 고정된 케이스(40)에 대하여 샤프트 (50)와 일체적으로 회전한다.
〈스프링(60,70)〉
스프링(60,7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권취방향이 다른 2종류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양 스프링(60,70) 중 일측의 제 1 스프링(60)은 레프트 핸드 코일이고, 양 단부(61,62)를 평행하게 위치시키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타측의 제 2 스프링(70)은 라이트 핸드 코일이고, 양 단부(71,72)를 직교하는 방향으로 위치시키고 있다.
제 1, 제 2 스프링(60,70)의 각 단부(61,62,71,72)는 도 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40)의 1쌍의 걸림편(93)간의 간격내와 샤프트(50)의 슬릿(112)에 각각 삽입된다.
〈점성유체(80)〉
점성유체(80)로서는, 예를 들면 그리스를 사용한다.
〈돌기부(140,150,160,160)〉
케이스(40)와 샤프트(50) 사이에는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140, 150,160,160)를 각각에 형성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케이스(40)의 개방부(92)에는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서로 대향되게 반경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는 2개의 돌기부(140,150)를 형성하고 있다.
2개의 돌기부(140,150)는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부(92)측에서 볼 때 그 단면이 대략 사다리꼴형상을 이루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2개의 돌기부(140,150)는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원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41,151)과, 이들 각 경사면(141,151)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각 경사면(141,151)과 역방향으로 약간 경사진 걸림면(142,152)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2개의 돌기부(140,150)는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180도 떨어져서 서로 다른 형상을 이루고 있다.
즉, 2개의 돌기부(140,150) 중 도 1에 있어서 앞측에 위치한 돌기부(140)의 걸림면(142)은 상기 통형상부(90)의 길이방향에 대하여 역테이퍼형상을 이루며, 샤프트(50)가 케이스(40)의 개방부(92)에서 빠지는 것을 저지하고 있다.
이것에 대하여, 샤프트(50)의 기단부(122)에는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반경방향 외측으로 돌출되는 2개의 돌기부(160,160)를 형성하고 있으며, 양 돌기부(160,160)는 180도 떨어져서 대칭형상을 이루고 있다.
상기 각 돌기부(160,160)는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개방부(92)측에서 볼 때 그 단면이 대략 평행사변형을 이루고 있으며, 원주방향으로 경사진 경사면(161)과, 이들 각 경사면(161)의 반대측에 위치하며 각 경사면(161)과는 역방향으로 약간 경사진 걸림면(162)을 각각 구비하고 있다.
상기 걸림면(162)은 도 1 및 도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돌기부(140)의 걸림면(142)과 대향하고, 샤프트(50)의 축방향에 대하여 역테이퍼형상을 이루고 있다.
〈제 1 스프링(60)의 사용예〉
제 1 스프링(60)의 사용예를 도 2, 도 10 내지 도 14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0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50)를 케이스(40)에 대하여 180도 회전시켜 제 1 스프링(60)을 180도 임시 권취한다.
이 임시 권취시에는,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50)의 돌기부(160, 160)의 경사면(161,161)이 케이스(40)의 돌기부(140,150)의 경사면(141,151)에 맞닿게 된다. 여기서, 샤프트(50)를 더 강하게 회전시키면, 샤프트(50)의 돌기부 (160)가 케이스(40)의 돌기부(140,150)를 외측으로 밀어냄으로써 케이스(40)의 개방부(92)가 외측으로 탄성변형하게 된다. 따라서, 샤프트(50)의 돌기부(160,160)가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40)의 돌기부(140,150)를 타고 넘게 되고, 도 7 및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50)의 돌기부(160,160)의 걸림면(162,162)이 케이스(40)의 돌기부(140,150)의 걸림면(142,152)에 맞물리게 됨으로써, 제 1 스프링(60)은 180도 임시 권취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제 1 스프링(60)을 180도 임시 권취된 상태로 부착하면, 그 탄력이 도 11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3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이 상태에서 도어(30)를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닫으면, 샤프트(50)가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40)에 대하여 90도 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스프링(60)은 180도에 90도를 더한 270도 감겨진 상태가 되며, 그 탄력이 도 2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3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게 된다.
도어(30)는 도시하지 않은 래치등에 의하여 도 2에 나타낸 폐쇄위치에 로크된다. 그 후, 로크가 해제되면,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30)는 그 자체 중량과 제 1 스프링(60)의 탄력에 의하여 하측으로 쓰러지면서 개방되게 된다.
이 때, 점성유체(80)의 전단저항에 의하여 댐퍼효과가 발휘되어 도어(30)는정숙하게 또한 천천히 개방되게 된다. 동시에, 도어(30)가 개방됨에 따라서 샤프트(50)가 도 13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40)에 대하여 90도 역회전하게 된다. 따라서, 제 1 스프링(60)의 권취상태가 90도 해제되어 그 탄력이 90도만큼 방출된다.
제 1 스프링(60)의 탄력은 도어(30)를 개방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점성유체(80)에 의한 토크가 도어(30)의 자체 중량에 의한 토크를 넘는 경우, 즉 도어(30)가 가벼운 경우에 매우 적합하다.
〈제 2 스프링(70)의 사용예〉
제 2 스프링(70)의 사용예를 도 15 내지 도 20에 의거하여 설명한다.
우선, 도 15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샤프트(50)를 케이스(40)에 대하여 90도 회전시켜 제 2 스프링(70)을 90도 권취한다.
이와 같이 제 2 스프링(70)을 90도 권취한 상태로 부착하면, 그 탄력이 도 16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3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작용한다. 이 상태에서 도어(30)를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닫으면, 샤프트(50)가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40)에 대하여 90도 역회전하게 된다. 샤프트(50)가 역회전하게 되면, 제 2 스프링(70)의 권취상태가 해제되어 그 탄력이 프리한 상태가 된다.
도어(30)는 도시하지 않은 래치등에 의하여 도 18에 나타낸 폐쇄위치에 로크된다. 그 후, 로크가 해제되면,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도어(30)는 그 자체 중량에 의하여 하측으로 쓰러지면서 개방되게 된다.
이 때, 점성유체(80)의 전단저항에 의하여 댐퍼효과가 발휘되어 도어(30)는정숙하게 또한 천천히 개방되게 된다. 동시에, 도어(30)가 개방됨에 따라서 샤프트(50)가 도 19에 화살표로 나타낸 바와 같이 케이스(40)에 대하여 90도 회전하게 되고, 이것에 의하여 제 2 스프링(70)이 점차 감기면서 토크가 발생하기 때문에 도어(30)는 일층 정숙하게 또한 천천히 개방되게 된다.
제 2 스프링(70)의 탄력은 도어(30)를 폐쇄하는 방향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점성유체(80)에 의한 토크가 도어(30)의 자체중량에 의한 토크 미만인 경우, 즉 도어(30)가 무거운 경우에 매우 적합하다.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기 때문에, 다음에 기재되는 바와 같은 효과를 가진다.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탄력을 조정할 수 있다.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캡을 생략할 수 있다.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2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3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실리콘 오일 대신에 그리스를 사용함으로써 O링을 생략할 수 있다.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는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4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자체 중량이 가벼운 경우에도 댐퍼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상기한 청구항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발명의 효과에 부가하여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진다.
즉, 청구항 5에 기재된 발명에 의하면, 도어의 자체 중량이 무거운 경우에도 댐퍼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5)

  1. 케이스와; 상기 케이스내에 회전가능하게 유지되는 샤프트와; 일단부가 상기 케이스에 고정되고 타단부가 상기 샤프트에 고정되며, 감겨졌던 스프링이 풀리는 복원력에 의하여 상기 케이스에 대하여 상기 샤프트에 일방향의 회전력을 부여하는 스프링과; 상기 케이스내에 봉입되며, 상기 케이스에 대한 상기 샤프트의 회전에 의하여 회전저항을 발생시키기 위한 점성유체를 구비하는 댐퍼장치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와 상기 샤프트 사이에는, 어느 일방향으로의 샤프트 회전을 허용하며, 이 샤프트를 타방향으로 회전시켰을 때는 서로 맞물림으로써 소정각도마다 스프링의 회전력을 받아내는 2개의 돌기부를 케이스와 샤프트 각각에 형성함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원통형상을 이루며, 일단부를 폐색하는 바닥부와 타단부를 개방시킨 개방부를 가지며,
    상기 샤프트에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방부를 폐색하는 턱부를 가지며,
    상기 2개의 돌기부는 상기 케이스의 상기 개방부와 상기 샤프트의 상기 턱부 사이에 각각 위치함과 아울러, 상기 샤프트의 축방향에 대향하고 서로 맞물림으로써 상기 턱부가 상기 개방부에서 빠지는 것을 저지하는 적어도 2개의 걸림면을 케이스와 샤프트에 각각 형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점성유체로서는 그리스를 사용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개방면을 가지는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는 자체 중량에 의하여 하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 개방면을 개방하는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점성유체에 의한 토크가 상기 도어의 자체 중량에 의한 토크를 넘는 경우에는 상기 도어가 자체 중량에 의하여 하측으로 개방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력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는 개방면을 가지는 하우징에 고정되고,
    상기 샤프트는 자체 중량에 의하여 하측으로 개방되어 상기 하우징의 상기개방면을 개방하는 도어에 고정되고,
    상기 스프링은, 상기 점성유체에 의한 토크가 상기 도어의 자체 중량에 의한 토크 미만인 경우에는 상기 도어가 폐쇄되는 방향으로 상기 회전력을 부여하도록 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댐퍼장치.
KR1019990037074A 1998-10-20 1999-09-02 댐퍼장치 KR10032138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748698A JP4005718B2 (ja) 1998-10-20 1998-10-20 ダンパー装置
JP297486 1998-10-2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00028637A KR20000028637A (ko) 2000-05-25
KR100321380B1 true KR100321380B1 (ko) 2002-01-24

Family

ID=178471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90037074A KR100321380B1 (ko) 1998-10-20 1999-09-02 댐퍼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4005718B2 (ko)
KR (1) KR100321380B1 (ko)
TW (1) TW496485U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00120746A (ja) 2000-04-25
KR20000028637A (ko) 2000-05-25
TW496485U (en) 2002-07-21
JP4005718B2 (ja) 2007-1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739164B2 (ja) 回転ダンパにおける自立機構
KR100649794B1 (ko) 회전 댐퍼
US7100240B2 (en) Hinge device having temporary angle set function
US4702726A (en) Tension providing device
JPS6343039A (ja) オイル式ダンパ−
EP1331343B1 (en) Damper apparatus
SG92661A1 (en) Door hinge device
KR100625929B1 (ko) 댐퍼
JP2873608B2 (ja) 開閉装置
KR100321380B1 (ko) 댐퍼장치
JP4473419B2 (ja) 回転ダンパおよびアシストグリップ装置
JP2707053B2 (ja) ダンパ内蔵ヒンジ
KR200275886Y1 (ko) 마찰 힌지장치
JPH10294572A (ja) 開閉体の開閉装置
JP3286072B2 (ja) ダンパ装置
JP3689874B2 (ja) ロータリーダンパー
JP2558204Y2 (ja) ディスプレー体の開閉保持装置
JPH0571263A (ja) 回転ダンパー装置
JPH0571264A (ja) 回転ダンパー装置
JP2521059Y2 (ja) ケース本体と蓋の係合構造
JPH0517462Y2 (ko)
KR200343021Y1 (ko) 양방향성 커어링 힌지클립
JP4383798B2 (ja) 軸型ダンパー
JP2813945B2 (ja) 便座のスローダウン機構
KR960013302A (ko) 변기의 앉은자리나 뚜껑의 개폐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30107

Year of fee payment: 12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40108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