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16322B1 - 자립성 봉지,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 Google Patents

자립성 봉지,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16322B1
KR960016322B1 KR1019930700261A KR930700261A KR960016322B1 KR 960016322 B1 KR960016322 B1 KR 960016322B1 KR 1019930700261 A KR1019930700261 A KR 1019930700261A KR 930700261 A KR930700261 A KR 930700261A KR 960016322 B1 KR960016322 B1 KR 9600163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stic film
linear
self
bag
multilayer plastic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026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타다오 타카가키
시즈오 히로세
이쿠오 토노우찌
Original Assignee
스미도모베크라이트 가부시기가이샤
엔다 나오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071298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5142U/ja
Priority claimed from JP05120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5143U/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도모베크라이트 가부시기가이샤, 엔다 나오또 filed Critical 스미도모베크라이트 가부시기가이샤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163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16322B1/ko

Link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61Spouts
    • B65D75/5872Non-integral spouts
    • B65D75/5883Non-integral spouts connected to the package at the sealed junction of two package wal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70/00Making flexible containers, e.g. envelopes or bags
    • B31B70/008Stiffening or reinforc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55/00Flexible containers made from web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MAKING CONTAINER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B2160/0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 B31B2160/20Shape of flexible containers with structural provision for thickness of cont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Bag Frames (AREA)
  • Making Paper Articles (AREA)

Abstract

요약 없음

Description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공정(1)에 사용하는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의 제조장치를 표시한 개략도.
제2도는, 본 발명의 공정(1)에 의해 제조된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을 표시한 평면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공정(1)에 의해 제조된 다른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을 표시한 평면도.
제4도는, 본 발명의 공정(1)에 의해 제조된 다른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을 표시한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공정(1)의 일실시예인 선형상의 돌기를 가진 압압틀을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눌러댔을 때의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6도는, 본 발명의 공정(1)의 일실시예인 선형상의 돌기를 가진 압압틀을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눌러댔을 때의 상태를 표시한 확대단면도.
제7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압압틀의 다른 예를 표시한 단면도.
제8도는, 제7도에 의해 성형된 선형상 리브를 가진 다층플라스틱필름의 단면도.
제9도는, 본 발명의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장치의 개략도.
제10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자립봉지 제조용 필름이고, 2매의 긴 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몸통구성부를 겹치고, 그 몸통구성부의 폭방향의 양단부에 긴 플라스틱필름제의 바닥구성부를 형성한 상태의 단면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의 자립봉지를 제조하기 위한 바닥구성부를 W자 형상으로 절곡해서 포개고, 2매의 긴 몸통구성부를 맞포갠 상태를 표시한 단면도.
제12도는, 제6도의 히이트시일부에 있어서, 맞포갠 2매의 몸통구성부를 그 폭방향으로 자립성 봉지를 2개 형성하기 위해 히이트시일한 상태를 표시한 평면도.
제1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자립성 봉지의 평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자립성 봉지의 평면도.
제15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자립성 봉지의 평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자립성 봉지의 평면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자립성 봉지의 평면도.
제18도는, 제15도에 표시된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자립성 봉지에 액상충전물을 넣었을때의 사시도.
제19도는, 제18도의 자립성 봉지의 측면도.
제20도는, 종래의 자립성 봉지인 도이팩에 액상충전물을 넣었을때의 사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다층플라스틱필름 원단로울2 : 다층플라스틱필름
3 : 댄서로울4 : 압압틀
5 : 압압틀 구동장치6 : 냉각틀
7 : 냉각틀 구동장치8 : 압압기구
9 : 압압기구 구동장치10 : 클램프
11 : 클램프 구동장치12 : 클램프
13 : 클램프14 : 클램프 구동장치
15 : 클램프16 : 클램프축
17 : 클램프피지이송장치18 : 받침대
19 : 댄서로울20 : 권취로울
21 : 선형상 리브22 : 선형상의 돌기
23 : 선형상의 돌기24 : 선형상 부풀어오른 부분
25 : 선형상 홈26 : 방향변경로울
27 : 커터28 : 방향변경로울
29 : 바닥구성부30 : 로울
31 : 고무로울32 : 히이트시일바아
33 : 히이트시일바아 구동장치34 : 히이트시일받침대
35 : 냉각틀36 : 펀칭칼날
37 : 봉지38 : 로울
39 : 로울40 : 로울
41 : 몸통구성부42 : 바닥구성부
43 : 히이트시일선44 : 히이트시일선
45 : 절곡부46 : 사이드시일선
47 : 잘룩한 부48 : 캡
49 : 마개50 : 액면
51 : 가압판52 : 단열재
53 : 내용물 유도용 선형상 리브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강성(剛性)이 있고, 자립했을때의 안정성 및 형태보전성에 뛰어나고, 취급하기 쉬운 자립성 봉지, 및 그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종래, 내용물을 넣었을때 쓰러지지 않고 자립할 수 있는 필름제의 자립성 봉지가 알려져 있다. 이들의 자립성 봉지로서는, 도이팩으로 호칭되는 몸통부 필름과 바닥부를 구성하는 필름을 2중으로 접어서 포개고, 맞포개진 바닥부를 곡선형상(원형상)으로 시일해서 이루어진 것이나, 2매의 대향하는 몸통부 필름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부분으로 졸곡시킨 바닥부 필름을 각도를 가지게 하여 일체화되도록 시일해서 바닥면이 각(角) 형성으로 되도록 한 것(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57-46750호 공보 등)이나, 1매의 필름으로부터 바닥부가 되는 부분을 W 형상으로 접어 각도를 가지게 하고 측면을 시일해서 바닥면이 각 형상이 되도록 해서 자립성을 가지게 한 것(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56-123255호 공보), 혹은 봉지의 옆벽면이 되는 부분을 가젯접기로 해서 자립성을 가지게 한 것(예를 들면 일본국 특개소 54-8072호 공보, 동 60-172656호 공보 등)등이 알려져 있다.
이들 중에서, 내용물로서 액상물을 충전해서 자립성을 가지게 할려면 도이팩형식, 또는 바닥부를 각 형상으로 한 것이 통상 사용되고 있고, 측벽부를 가젯접기한 것은 주로 종이상자와 조합해서 사용되거나, 혹은 분말상태의 충전용으로 주로 사용되어 왔다.
그러나, 종래의 자립성 봉지는, 내용물을 넣는 상태에서는 상부로 갈수록 강성이 부족하고 있기때문에, 그다지 안정성 및 형태보전성에 뛰어나다고 할 수 없고, 또 내용물을 배출할때에 몸통부 필름이 내용물의 중량으로 절곡되고, 배출량의 조정이 어려운 등 취급이 곤란하다고 하는 결점이 있었다.
이들의 결점을 해결하는 데는 몸통부를 구성하는 필름을 두껍게 해서 강성을 유지하는 방법이 있으나, 단지 필름을 두껍게 하면 봉지 몸체로서 취급이 어렵고, 봉지체로서 보다 용기가 되어, 유연성이 떨어지는 등의 봉지의 특성이 상실되는데 부가해서 제조코스트가 높아진다고 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필름을 두껍게 하는 이외에는, 봉지체의 시일부를 효과적으로 이용하는 방법도 있으나, 이 방법은 봉지체의 구조에 제한되어버리고, 문제점의 해결에는 이르지 못한 것이 현실이다. 이것 이외로서는 자립성 봉지의 형상 그 자체를 변경해서, 봉지의 몸통부에 조리개를 형성하고, 자립안정성을 부여하는 구조의 것도 제안되고 있으나(일본국 특개소 62-16345호 공보), 이 제안에 있어서도 내용물 배출시의 문제는 여전히 그대로 남아 있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자립성 봉지를 구성하고 있는 몸통구성부와 바닥구성부를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 하고, 이 다층플라스틱필름을 내층에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을 가진 것으로 하고, 몸통구성부의 다층플라스틱필름의 내층 또는 외층에, 단면형상이 오목부와 볼록부가 인접한 형상으로서, 또한 평면형상이 세로줄, 경사줄, 가로줄, 곡선줄 또는 이들을 조합한 형상의 선형상 리브를 형하므로서, 강성에 뛰어나고, 자립안정성, 형태보전성에 뛰어난 자립성 봉지를 얻게 될 수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그런데, 두께가 얇은 플라스틱필름에 선형상 리브를 효율좋게 형성하는 일은, 어렵고, 현재까지 개발되어 있지 않았다.
따라서, 선형상 리브부착 플라스틱필름을 제조하고, 또 그 선형상 리브부착 플라스틱필름으로부터 자립성 봉지를 제조하는 효율적인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도 개발되어 있지 않았다.
본 발명자 등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연구를 거듭한 결과, 선단에 선형상의 돌기를 가진 압압틀을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눌러대고, 그 눌러댄 다층플라스틱필름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선형상의 홈을 형성시키면, 그 홈의 상단부에 플라스틱의 부풀어오른 부분을 형성할 수 있고, 그리고 그 부풀어오른 부분을 고정하므로서 선형상 리브를 형성할 수 있음을 발견하고, 또 그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부터 자립성 봉지를 효율적으로 제조하는 것을 발견하였다.
즉, 본 발명은, 강성을 가지고, 내용물, 특히 액상물 내지 유동성을 가진 물질을 넣었을때 안정적으로 자립할 수 있고, 봉지의 형태를 유지할 수 있고, 또한 취급하기 쉬운 자립성 봉지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이 자립성 봉지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는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것이다.
(발명의 개시)
본 발명은,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몸통구성부와 바닥구성부로 구성되어 있는 자립성 봉지로서, 상기 다층플라스틱필름이 내층에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을 가지고, 상기 몸통구성부의 다층플라스틱필름의 내층 또는 외층에 단면형상이 오목부와 볼록부가 인접한 형상으로서, 또한 평면형상이 세로줄, 가로줄, 경사줄, 곡선줄 또는 이들을 조합한 형상의 선형상 리브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봉지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선단부에 선형상의 돌기를 가진 압압틀을 표면층에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을 가진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눌러대므로서, 상기 선형상의 돌기를 눌러댄 다층플라스틱필름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선형상의 홈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그 홈의 상단부에 부풀어오른 부분을 형성시키고, 그 부풀어오른 부분을 고정시키므로서, 선형상 리브를 다층플라스틱필름에 형성하는 공정 ①과, 상기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끼리 또는 이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과 다른 다층플라스틱필름을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이 내면이 되도록 해서 겹치는 공정 ②과, 이 겹쳐진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봉지의 형상을 형성하는 히이트시일을 실시하는 공정 ③과, 상기 히이트시일된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부터 봉지를 절단하는 공정 ④의 각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본 발명은, 선단부에 선형상의 돌기를 가진 압압틀을 가진 압압틀수단, 이 압압틀수단에 표면층에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을 가진 다층플라스틱필름을 보내넣는 보내넣기 수단, 및 상기 선형상의 돌기를 눌러대므로서 형성된 부풀어오른 부분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의 제조수단 ①과, 상기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끼리 또는 이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과 다른 다층플라스틱필름을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이 내면이 되도록 해서 겹치는 수단 ②과, 상기 겹쳐진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봉지의 형상을 형성하는 히이트시일을 실시하는 수단 ③과, 상기 히이트시일된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부터 봉지를 절단하는 수단 ④의 각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의 몸체구성부에 실시된 선형상 리브는, 선형상 홈을 따라서 선형상 돌기부를 가진 구조임으로, 선형상 홈을 따라서 절곡이 용이하고, 선형상 돌기부에 의해 뛰어난 강성을 가진다. 이때문에, 이 선형상 리브는, 강성과 형태보전성을 동시에 만족시키는 뛰어난 효과를 발휘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하면, 자립성 봉지의 몸통부 필름에 강성을 부여하기 위한 선형상 리브를 가지므로, 내용물의 인출시 또는 그 취급시에 있어서, 종래의 자립성 봉지에서 보는 바와 같이 허리꺽어짐 현상은 전연 볼 수 없고, 매우 뛰어난 자립성, 형태보전성을 가진 자립성 봉지를 얻을 수 있고, 또 선형상 리브를 자립성 봉지의 외층에 형성한 경우는 활성효과도 얻을 수 있다. 이때문에,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는, 매우 취급하기 용이한 것이다.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는, 액상 내용물에 한정되지 않고 분말체 내용물, 또는 액상과 고체상의 혼재한 내용물의 것에도 마찬가지의 뛰어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 및 그 제조장치에 의하면, 선형상 리브의 형성도 매우 간단하고, 봉지제작라인속에도 용이하게 짜넣을 수 있고, 상기 자립성 봉지를 효율적으로 제조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량의 태양)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는,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몸통구성부와 바닥구성부로 구성되어 있는 자립성 봉지이고, 이 다층플라스틱필름은, 내층이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을 가진 것이다.
다층플라스틱필름로서는, 내층에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을 가진 것이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여러가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내층의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의 재질로서는, 여러가지의 플라스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염화비닐 등의 염소함유폴리올레핀, 폴리스티렌 등의 방향족 비닐폴리머, 폴리우레탄,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나일론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카보네이트,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에테르,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에틸렌-아클릴산 공중합체 등의 에틸렌과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와의 공중합체, 이오노머(ionomer) 등을 들 수 있으나, 이들 물질은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해서 사용해도 좋다. 또한, 봉지의 몸통구성부와 바닥구성부가 다른 경우는, 각각의 내층플라스틱층이 동일 종류의 플라스틱이라도 좋고, 다른 플라스틱이라도 좋으나, 동일 종류의 것이 접착하기 용이하므로 바람직하다.
또, 내층플라스틱은, 1층이라도 좋고, 2층 이상의 다층 구조라도 좋다.
다층플라스틱필름로서는, 내층의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에 상기 플라스틱 및 기타의 여러가지의 플라스틱으로 이루어진 필름을 적층한 적층필름을 사용할 수 있으나, 융점에 차이가 있는 플라스틱필름을 적층한 다층플라스틱필름이 바람직하다. 융점에 차이가 있는 플라스틱필름의 다층플라스틱필름은, 융점이 낮은 플라스틱필름의 융점 가까운 온도에서 선형상의 돌기를 융점이 낮은 플라스틱필름에 눌러댔을 경우, 융점이 높은 플라스틱필름은 용융하지 않으므로, 융점이 낮은 플라스틱필름층에만 선형상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이 융점에 차이가 있는 다층플라스틱필름을 사용하는 경우는, 선형상의 돌기를 과도하게 눌러댔을 때에도 플라스틱필름을 절단하는 일이 일어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3층 이상의 다층플라스틱필름의 경우 중간층보다 내층 및 외층에 융점이 낮은 플라스틱필름을 적층하고 있는 것을 사용하면, 양쪽으로부터 동시에 선형상의 돌기를 눌러대고, 동시에 선형상 홈 및 부풀어오른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융점의 차이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10℃ 이상의 차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20℃ 이상의 차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 30℃ 이상의 차이가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융점이 낮은 플라스틱필름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등의 폴리올레핀필름 등을 들 수 있고, 융점이 높은 플라스틱필름로서는, 예를 들면 연신나일론 6-6, 연신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등의 엔지니어링 플라스틱필름등을 들 수 있다.
또,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배리어성을 부여하기 위하여, 중간층에 알루미늄박, 에틸렌과 아세트산비닐과의 공중합체를 비누화한 것(EVOH), 염화비닐리덴 등을 사용한 플라스틱필름도 사용할 수가 있다.
또, 다층플라스틱필름로서는, 내층의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에 알루미늄이나 종이 등의 플라스틱 이외의 재질의 필름을 적층한 유연한 적층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또, 다층플라스틱필름에 인쇄를 실시한 것도 사용할 수가 있다.
다층플라스틱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통상 10㎛∼1000㎛의 것이 사용되고, 바람직하게는 30㎛∼50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30㎛∼300㎛이다. 또, 내층의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의 두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바람직하게는 20∼30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50∼250㎛이다.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는, 몸통구성부의 다층플라스틱의 내층 또는 외층에, 단면형상이 오목부와 볼록부가 인접된 형상으로서, 또한 평면형상이 세로줄, 가로줄, 경사줄, 곡선줄 또는 이들을 조합한 형상의 선형상 리브를 형성하는 것이 필요하다.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에 형성되는 선형상 리브는, 단면형상이 오목부의 선형상 홈과 단면형상이 볼록부의 선형상 돌부가 인접한 형상이면 좋지만, 특히, 2개의 선형상 돌부의 사이에 1개의 선형상 홈을 가진 구조가 바람직하다.
단면형상이 오목부인 선형상 홈의 폭은, 통상 100∼5000㎛이고, 바람직하게는 500∼3000㎛이다. 또, 선형상 홈의 길이는, 특히 다층플라스틱필름의 내층 또는 외층의 두께 범위내가 바람직하나, 자립성 봉지로서의 필요성능을 손상하지 않는 범위에서 내층인 열접착성 플라스틱층 또는 외층의 두께를 초과해서 선형상 홈을 형성하는 일도 가능하다.
형성되는 선형상 리브의 선형상 돌부의 높이나 폭은, 요구되는 강성에 따라서 적당히 선정해서 정하면 좋으나, 돌기부의 높이는 통상 20~500㎛이고, 바람직하게는 50~300㎛이다. 또한, 여기서 돌기부의 높이란, 선형상 리브를 가진 플라스틱필름 표면의 선형상 리브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부분의 표면으로부터 돌기부의 정점까지의 높이를 말한다.
또, 선형상 리브의 평면형상은, 세로줄, 가로줄, 경사줄, 곡선줄 또는 이들을 조합한 형상이다. 또, 선형상 리브의 개수는 요구되는 성능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하면 좋고, 자립성 봉지의 몸통구성부 한쪽면당 1개라도 좋고, 2개 이상이라도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2~10개이다. 또한, 선형상 리브가 2개 이상 있는 경우는, 각각 떨어져 있어도 좋고, 연결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선형상 리브의 효과를 효율좋게 꺼내기 위해서는, 선형상 리브의 평면형상은 통상 세로방향(자립성 봉지를 자립시켰을때의 수직방향)이 바람직하나, 더 효과를 높이기 위해 비스듬한 방향과 세로방향의 선형상 리브를 조합해도 좋고, 또는 그 리브효과를 가로방향으로 필요로 하는 경우에는, 가로방향의 선형상 리브를 실시해도 하등 지장없다. 이와 같이, 선형상 리브의 방향은, 그 목적에 따라서 적당히 선택된다.
상기 선형상 리브는, 자립성 봉지의 내층 또는 외층의 어느 한쪽에 실시되어 있으면 좋고, 양쪽에 실시되어 있어도 좋다. 또, 선형상 리브는, 자립성 봉지의 몸통구성부의 한쪽면에만 실시해도 좋으나, 양쪽면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는,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몸통구성부와 바닥구성부로 구성되어 있는 자립성 봉지이면, 몸통구성부와 바닥구성부의 형상은, 하등 제한받지 않고, 예를 들면 도이팩형상, 가젯형상 등의 것이라도 좋고, 또 봉지의 바닥부와 상부의 폭이 동일한 것, 봉지의 바닥부의 폭에 비해서 상기부가 좁아져 있는 것 등 여러가지의 형상을 적응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는, 상기 바닥구성부가 절곡되어 몸통구성부와 바닥구성부에 의해 대략 W자 형상으로 맞포개져 있을 것이 바람직하다. 이 구조를 가지면 내용물을 담는 경우에 바닥구성부가 넓어지고 자립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는, 상기 바닥구성부의 절곡부의 봉지의 폭에 대해서 봉지의 상부의 폭이 좁아지도록 봉지옆쪽부를 형성하는 사이드시일선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서, 봉지의 폭이란, 자립성 봉지를 평면상으로 접갰을때의 자립성 봉지의 옆부분을 형성하는 2개의 사이드시일선의 안쪽단부 사이의 길이로서, 바닥단부에 대해서 평행방향의 길이를 의미한다.
상부의 폭이 좁아져 있는 자립성 봉지에 있어서는, 자립성 봉지의 상부의 폭은, 바닥구성부의 절곡부의 봉지의 폭에 대해 좁아져 있으면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90% 이하이고, 40∼90%의 범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5∼80%가 바람직하고, 최적치는 60∼75%이다.
또, 사이드시일선은, 봉지폭이 연속적으로 좁아지는 경사부분을 가질것이 바람직하다.
이 봉지의 폭이 연속적으로 좁아지는 경사부분은, 봉지의 옆부분을 구성하는 사이드시일선의 전체라도 좋고, 전체가 아니라도 사이드시일선의 일부에 있어서도 좋으나, 통상 자립성 봉지의 높이의 30% 이상의 위의 부분에 있을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40% 이상의 상부에 있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봉지의 바닥부로부터 그 경사부분이 개시하는 높이까지의 부분은, 봉지의 폭이 대략 동일할 것이 바람직하나, 봉지의 폭이 확대하는 경사부분을 가져도 좋다.
또, 여기서 연속적이란, 좁은 의미에서의 연속적이란 의미뿐 아니라, 단속적인 의미도 있으나, 좁은 의미의 연속적이 바람직하다. 또, 경사부분은, 직선형상, 대략 직선형상, 꺾인 선형상, 곡선형상 등이라도 좋고, 이들의 조합이라도 좋다.
사이드시일선의 폭은, 사이드시일선의 전장에 걸쳐서 반드시 균일할 필요는 없고, 예를 들면 봉지의 상부의 부분이 커도 좋다. 사이드시일선의 폭은, 강성을 가지게 하기 위해 통상 최소폭이 2mm∼10mm의 범위에서 선택되나, 3∼7mm가 바람직하다.
이 봉지의 폭이 연속적으로 좁아지는 경사부분을 형성하므로서 자립성 봉지의 강성을 한층 높일 수 있다. 또한, 각 사이드시일선의 바깥쪽 가장자리의 폭은 봉지의 바닥부와 상부에서 동일해도 좋다.
사이드시일선은, 여러가지의 접착방법에 의해 형성할 수 있으나, 히이트시일에 의해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는, 상기 사이드시일선이 자립시의 봉지의 높이의 중간부에 잘룩한 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잘룩한 부분이란 자립성 봉지에 내용물을 충전했을때에 그 잘룩한 부분이 봉지의 안쪽에 파고들어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는 것이고, 잘룩한 부분에 있어서의 봉지의 폭이 잘룩한 부분의 상하에 접속하고 있는 사이드시일선부의 적어도 한쪽의 사이드시일선부에 있어서의 봉지의 폭보다 짧아져 있고, 또한 잘록한 부분의 사이드시일선의 안쪽단부가 잘룩한 부분의 상하에 접속되고 있는 사이드시일선부의 안쪽단부를 잇는 직선보다 봉지의 안쪽으로 어긋나 있는 것을 말한다. 이 어긋난 것의 크기는, 그 직선에 수직방향의 그 직선과 사이드시일선부의 안쪽단부의 사이의 길이를 말하나,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통상은 잘룩한 부분이 위치하는 봉지의 폭의 2∼15%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4∼12%의 범위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6∼10%의 범위이다. 이 잘룩한 부분은, 적어도 사이드시일선 1개당 1개 형성하면 되나, 2개 이상 형성해도 좋다. 또, 2개의 사이드시일선의 양쪽에 대칭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잘룩한 부분을 형성하는 위치는, 자립성 봉지의 높이의 중간부이다. 여기서 중간부란, 자립봉지의 높이의 30%∼80%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40%∼70%의 범위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40%∼60%의 범위이다. 또, 잘룩한 부분은, 상기 경사부분이 개시되는 위치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나, 그 이외의 위치에 형성해도 좋다.
잘룩한 부분의 형상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예를 들면 직선을 절곡시킨 형상, 원호 등의 곡선형상 등의 여러가지 형상으로 할 수 있으나, L자 형상이 바람직하다.
이 잘룩한 부분은, 봉지에 내용물을 충전했을때 그 잘룩한 부분이 봉지의 안쪽에 파고들어 오목부를 형성할 수 있다. 이 잘룩한 부분을 형성하므로서 자립성 봉지의 강성을 한층 높일 수 있고, 자립성 봉지의 형태 보전성을 높일 수 있고, 또 잘룩한 부분을 손으로 잡게 되므로서 자립성 봉지를 잡기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는, 상기 잘룩한 부분과 대략 동일정도의 높이, 또한 사이드시일선으로부터 안쪽에 봉지폭의 10% 이상 떨어진 위치의 몸통구성부에 안쪽방향으로 돌기형상의 대략 원호상 곡선부를 가진 선형상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선형상 리브는, 그 선형상 홈의 부분에서 절곡이 용이하기 때문에, 봉지에 내용물을 충전했을때에, 잘룩한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의 끝부분이 절곡된 선형상 홈에 의해 형성된다. 이때문에, 상기 잘룩한 부분에 의해 형성되는 오목부의 형상을 소정의 형상으로 확실하게 유지할 수 있고, 뛰어난 자립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선형상 리브와 사이드시일선의 사이 또는 각 선형상 리브의 사이에는 표면에 의한 팽팽한 힘을 얻을 수 있어, 찌부러짐에 대한 저항강도를 크게 할 수 있다.
선형상 리브의 형상은, 봉지의 안쪽을 향해서 돌기형상으로 되어 있는 대략 원호상 곡선부를 가진 것이나, 이 대략 원호상의 곡선부의 곡률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나, 통상 R5∼R100(반경 5mm∼반경 100mm)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R5∼R80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R10∼R50의 범위이다. 또, 이 대략 원호상의 곡선부의 곡률은, 이 원호상 곡선부 전체에 걸쳐서 균일할 필요는 없다.
대략 원호상 곡선부의 길이는, 상기 효과를 얻을 수 있도록 봉지의 크기에 따라 적당히 선정하면 좋으나, 통상 봉지높이의 1∼20%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5∼15%의 범위이다.
각 선형상 리브의 대략 원호상 곡선부가 형성되는 위치는, 상기 잘룩한 부분과 대략 동일 정도의 높이로서, 또한 사이드시일선으로부터 안쪽에 봉지 폭의 10% 이상 떨어진 위치의 몸통구성부이다. 여기서, 잘룩한 부분과 대략 동일 정도의 높이란, 통상 잘룩한 부분의 높이의 +20%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10%∼-20%의 범위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0∼-20%의 범위이다.
각 선형상 리브의 대략 원호상 곡선부가 형성되는 위치는, 사이드시일선으로부터 봉지폭의 10% 이상 떨어진 위치이면 좋으나, 바람직하게는 15∼40%의 범위이다.
이 선형상 리브는, 몸통구성부의 한쪽면에 1개라도 좋고, 2개 이상이라도 좋으나, 2개가 바람직하다. 또, 이 선형상 리브는, 적어도 몸통구성부의 한쪽면에 형성되어 있을 것이 필요하나, 포리양면의 몸통구성부에 각각 대칭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것이 바람직하다.
또, 이 선형상 리브의 하단은, 사이드시일선을 따라서 봉지바닥부 부근까지 뻗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사이드시일선을 따라서 뻗어 형성되어 있는 선형상 리브의 하부부분이 형성되는 위치는, 사이드시일선으로부터 안쪽에 15∼40% 떨어진 위치가 바람직하고, 특히 20∼30% 떨어진 위치가 바람직하다. 선형상 리브의 하단에 뻗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형상은, 직선 또는 곡선이 바람직하고, 특히 직선이 바람직하다.
또, 이 선형상 리브의 상단은, 봉지 상부의 사이드시일선 부근까지 뻗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선형상 리브의 상단에의 뻗어 형성된 말단위치는 사이드시일선으로부터 안쪽에 봉지의 15% 이내가 바람직하고, 또 봉지의 상단부로부터 20% 이내가 바람직하다. 이 선형상 리브의 상단에 뻗어 형성되어 있는 부분의 형상은, 직선 또는 곡선이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선형상 리브는, 선단부에 선형상의 돌기를 가진 압압틀을 플라스틱필름에 눌러대므로서, 상기 선형상의 돌기를 눌러댄 플라스틱필름부의 두께를 얇게하고 선형상의 홈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그 홈의 상단부에 부풀어오른 부분을 형성시키고, 그 부풀어오른 부분을 고정시키므로서 선형상 리브를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선형상 홈에 의해서 절곡이 쉽게 되고, 선형상 돌기부에 의해 봉지의 강도가 증대하고, 자립안정성이 매우 뛰어난 자립성 봉지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는, 자립했을때의 바닥부가 대략 6각형이 되도록 바닥구성부의 절곡부의 양단으로부터 바닥 단부를 향해서 안쪽단부가 경사선형상의 히이트시일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쪽단부가 경사선형상의 히이트시일부는, 상기 절곡부로부터 바닥끝부분을 향해서 행하여지나, 이 히이트시일부의 사선형상의 안쪽끝에 의해, 자립했을때의 바닥부가 대략 6각형이 된다. 즉, 이 히이트시일부의 사선형상의 안쪽끝부분은, 대략 6각형의 형상의 4변을 구성하도록 행하여진다. 히이트시일부의 안쪽끝부분을 형성하는 사선부의 형상은, 반드시 직선일 필요는 없고, 곡선이라도 좋으나, 직선이 바람직하다. 또, 그 사선부의 각도는, 여러가지의 각도를 적당히 선정해서 결정하면 좋으나, 30∼6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사선형상의 히이트시일부는, 바닥구성부를 절곡하지 않고 히이트시일을 행하여도 좋고, 바닥구성부를 절곡해서 히이트시일을 행하여도 좋다.
또,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는, 자립했을때의 바닥부가 대략 6각형이 되도록 바닥구성부의 절곡부의 양끝으로부터 바닥끝부분을 향해서, 안쪽끝이 사선형상의 히이트시일부를 가지고, 상기 사선형상의 히이트시일부의 하단부 사이에 안쪽끝이 곡률 R80 이상의 원호곡선형상의 히이트시일부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원호곡선형상의 히이트시일부에 의해, 봉지바닥부의 둘레가장자리에 바닥보강부가 형성되나, 안쪽끝이 곡률 R80 이상의 원호곡선형상이기 때문에 그 바닥보강부에 오목부가 생기기 어렵게 되고, 바닥보강부가 안쪽으로 절곡되기 어렵게 된다. 따라서, 뛰어난 자립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이 히이트시일부의 안쪽끝의 곡률은, R80 이상이면 되고, 바닥부의 봉지의 폭에 따라서 적당히 선정하면 되나, R80∼R500이 바람직하고, 특히 R100∼R300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의 높이 및 폭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구특성에 따라 여러가지의 크기를 선정할 수 있으나, 비교적 큰 자립성 봉지도 자립안정성 및 형태보전성에 뛰어난다. 또, 사선형상의 히이트시일부의 하단 사이에 안쪽끝이 곡률 R80 이상의 원호곡선형상의 히이트시일부를 가진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에 있어서는, 특히 봉지폭이 80∼200mm의 범위의 것이 효과적이다.
또,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는, 내용물의 배출구의 내면에 선형상 리브를 형성한 것이 바람직하다. 이 선형상 리브는, 상기 선형상 리브의 구조와 마찬가지의 구조를 가진 것이다.
이 선형상 리브를 형성하므로서, 배출구에 유도통로가 확보되기 때문에, 내용물의 배출구에 내용물을 유도하는 일이 매우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이 내용물 유도용 선형상 리브는, 내용물의 배출방향을 따라서 형성되면 좋고, 그 형상은 직선형상이라도 좋고, 곡선형상이라도 좋다.
이 내용물 유도용 선형상 리브 개수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1개라도 좋고, 2개 이상이라도 좋다.
이 내용물 유도용 선형상 리브는, 자립성 봉지의 내면의 한쪽면에 실시해도 좋으나, 내면의 양면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대칭적으로 양면에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자립성 봉지의 개구부는 반드시 자립봉지의 상단에 형성할 필요는 없고, 자립성 봉지의 측벽부에 형성해도 좋으나, 자립성 봉지의 상단에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자립성 봉지의 개구부에는, 히이트시일을 실시하거나, 캡부착마개를 장착해서 밀봉할 수도 있다.
또한 자립성 봉지의 개구부가 봉지의 상부에 있는 경우, 봉지의 상부를 절곡해서, 절곡한 그대로 봉지의 상부를 봉지에 장착된 필름조각 또는 클립등의 사이에 끼우는 등 방법에 의해 고정하고, 내용물이 새지않도록 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또,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에 있어서는, 정상부에 개구용의 노치를 형성해서 개구되기 쉽게하는 것도 가능하고, 또 개구부에 파아스너 형상의 것을 장착해서 재봉합타이프의 것으로 해도 하등 지장없다.
다음에, 본 발명의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선단에 선형상의 돌기를 가진 압압틀을 표면층에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을 가진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눌러대므로서, 상기 선형상의 돌기를 눌러댄 다층플라스틱필름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선형상의 홈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그 홈의 상단부에 부풀어오른 부분을 형성시키고, 그 부풀어오른 부분을 고정시키므로서 선형상 리브를 다층플라스틱필름에 형성하는 공정 ①을 행한다.
상기 공정 ①에 있어서는, 선단부에 선형상의 돌기를 가진 압압틀을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눌러대는 것이 필요하다.
공정 ①의 원료인 다층플라스틱필름은, 1개의 원단로울로부터 공급되는 긴 다층플라스틱필름을 긴쪽 방향으로 2매로 절단해서 공급되는 것이라도 된다. 이 긴쪽방향의 절단은, 제조하는 봉지의 형상에 따라서 행하면 되나, 통상 절단되지 않은 다층플라스틱필름의 긴쪽방향의 중심선에서 행하는 것이, 낭비가 없기때문에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공정 ①에 원료인 다층플라스틱필름이 공급되는 경우, 절단되어서 2매가 된 다층플라스틱필름의 공정 ③까지의 각각의 거리를 동일하게 하므로서 인쇄어긋남이 없이 봉지를 제조하기 용이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이 경우, 공정 ①의 선형상 리브부착은, 2매의 다층플라스틱필름의 어느 한쪽에 행하여도 되고, 또는 양쪽에 행하여도 된다.
공정 ①에 있어서 사용하는 압압틀은, 선단부에 선형상의 돌기를 가진 것이다. 선형상의 돌기는 그것을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눌러대므로서, 그 돌기를 눌러댄 플라스틱필름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선형상의 홈을 형성할 수 있고, 그리고 이 홈의 상단부에 부풀어오른 부분을 형성시킬 수 있다. 선형상의 돌기의 높이는, 적어도 선형상의 홈을 형성할 수 있고, 또한 홈의 상단부의 부풀어오른 부분의 형성을 방해하지 않을 것이 필요하고, 통상 0.3mm 이상, 바람직하게는 0.5∼3mm이다. 선형상의 돌기의 폭은 선형상의 홈을 형성할 수 있는 정도의 것이고, 통상 0.5∼5mm이고, 바람직하게는 0.5∼3mm이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1∼2mm이다. 선형상의 돌기의 폭방향의 단면형상은, 형성한 선형상의 홈으로부터 용이하게 선형상의 돌기를 빼낼 수 있도록, 통상 돌기의 선단부로부터 돌기의 기초부를 향해서 폭이 동일하게 되어 있거나, 또는 기초부를 향해서 폭이 넓게 되어 있다.
선형상의 돌기의 선단의 폭방향의 단면형상은, 원형, 원호 등의 곡선형상, 직선형상, 이들의 조합형상 등 여러가지의 형상으로 할 수 있다.
또, 선형상의 돌기는, 1개의 직선형상의 형상이라도 되고, 1개의 곡선형상의 형상이라도 되고, 또 이들의 2개 이상의 조합이라도 된다.
또, 선형상의 돌기의 배치는, 여러가지의 배치로 할 수가 있다. 예를 들면 2개 이상의 선형상의 돌기를 평행으로 접근시켜서 배치하는 것, 그들의 접근시켜서 배치한 선형상의 돌기끼리 간격을 비워서 배치하는 것, 2개 이상의 선형상의 돌기를 간격을 넓혀서 평행으로 배치하는 것, 각각의 선형상의 돌기를 교차시켜서 대략 마름모꼴 형상으로 배치하는 것, 이들의 형상을 조합한 배치 등의 여러가지의 배치를 들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선형상의 돌기를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눌러대는 방법은, 냉간압축, 눌러댈때의 초음파발진, 가열압압 등 여러가지의 방법으로 행할 수 있으나, 가열압압이 바람직하다.
다층플라스틱필름이 선형상의 돌기를 눌러댔을때 가열되는 경우는,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눌러댔을때 플라스틱필름의 융점 이상의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다층플라스틱필름이 융점이 높은 플라스틱필름층과 융점이 낮은 플라스틱필름층으로 이루어진 다층플라스틱필름인 경우는, 선형상의 돌기를 융점이 낮은 플라스틱필름층에 눌러댔을때에 융점이 낮은 플라스틱필름의 융점 이상에서, 또한 융점이 높은 플라스틱필름의 융점 이하의 온도로 가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압압틀을 눌러대고 있는 시간은, 부풀어오른 부분을 형성하는데 필요한 시간이면 되며, 적당히 선정해서 결정하면 되나, 제조효율의 관점에서는 될 수 있는 한 짧은 쪽이 바람직하다. 이 시간은, 통상 0.3∼3초간이고, 바람직하게는 0.5∼2초간이다.
상기 선형상의 돌기를 눌러대므로서, 선형상의 홈을 형성하고, 그 홈의 상단부의 적어도 한쪽편, 통상은 양쪽에 부풀어오른 부분이 형성되게 된다.
또한, 선형상의 돌기는, 다층플라스틱필름이 절단될 정도로 밀어넣어서는 안되고 반드시 홈의 바닥부에서는 다층플라스틱필름이 접속되고 있을 것이 필요하고, 그 바닥부의 두께는 적당히 선정하면 되나,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을 절단하지 않도록 홈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공정 ①에 있어서는, 상기와 같이 형성된 부풀어오른 부분을 고정한다.
부풀어오른 부분의 고정은, 여러가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고, 방냉, 냉각형의 압압 또는 냉매에 의한 냉각 등의 강제냉각, 선형상 리브 형상의 돌부를 끼워 맞추기 위한 오목부를 가진 틀의 눌러대기, 혹은 이들의 조합 등의 방법을 들 수 있으나, 강제냉각이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의 제조효율이 좋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강제냉각의 시간은, 다층플라스틱필름의 종류 및 압압틀의 눌러대기 조건에 따라서 적당히 선정하면 좋다.
상기 부풀어오른 부분이 고정되므로서, 다층플라스틱필름에 선형상 리브를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선형상 리브의 배치는, 플라스틱필름에 눌러대는 선형상의 돌기의 배치에 의해, 결정되나, 선형상 리브가 특정의 간격을 비워놓고 평행으로 배치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각 선형상 리브 사이의 거리는,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구되는 강성 및 형성되는 선형상 리브형상에 따라서 적당히 선정해서 정하면 좋다.
공정 ①에 있어서, 평면형상의 틀에 다층플라스틱필름을 놓고, 그 다층플라스틱필름의 위로부터 선형상의 돌기를 눌러대면, 선형상 리브를 가지지 않는 필름면은 평탄하게 한 그대로 기타의 면에 선형상 리브를 형성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선형상 돌기를 표면과 뒷면의 양면에 가진 압압틀의 양면에, 다층플라스틱필름을 눌러대면, 2매의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동시에 선형상 리브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해서 선형상 리브를 다층플라스틱필름에 형성할 수 있으나, 본 발명에 있어서는, 선형상 리브를 다층플라스틱필름의 한쪽면에만 형성해도 되고, 다층플라스틱필름의 양면에 형성해도 된다.
또한, 공정 ①의 앞 또는 뒤에, 다층플라스틱필름에 인쇄하는 공정을 배설해도 된다.
본 발명의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공정 ①에서 얻게 된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끼리 또는 공정 ①에서 얻게 된 다층플라스틱필름와 다른 플라스틱필름을 겹치는 공정 ②을 행한다.
공정 ②에 있어서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이 내면이 되도록 해서 겹쳐지는 다층플라스틱필름은, 각각의 다층플라스틱필름이라도 되고, 접어서 2매로 겹칠 수 있는 1매의 다층플라스틱필름이라도 된다. 겹쳐진 다층플라스틱필름은, 적어도 어느 한쪽에는 공정 ①에 의해 형성된 선형상 리브가 형성되어 있을 것이 필요하고, 양쪽의 플라스틱필름에 선형상 리브가 형성되어 있을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형상 리브는, 각 다층플라스틱필름의 한쪽면에 형성되어도 되고, 양면에 형성되어도 된다. 또, 리브는, 겹쳐진 플라스틱필름의 바깥쪽에 형성되어도 되고, 겹쳐진 플라스틱필름의 안쪽에 형성되어 있어도 되고, 겹쳐진 플라스틱필름의 바깥쪽 및 안쪽의 양쪽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또, 공정 ②에 있어서는, 공정 ②의 앞 또는 뒤에, 겹쳐지는 또는 겹쳐진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의 각각의 끝부분에 봉지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바닥구성 다층플라스틱필름을 장착하는 공정을 형성할 수도 있다.
다층플라스틱필름의 겹치는 방법은, 제조하는 봉지의 형상에 따라서 적당히 선정하면 되며, 예를 들면 단지 2매의 다층플라스틱필름을 겹치는 방법, 끝부분을 W자 형상으로 접어넣어 겹치는 방법 등 여러가지의 방법이 적용된다.
또한, 공정 ②에 있어서 다층플라스틱필름을 겹치는 방법으로서는, 공정 ①에 있어서 제조된 선형상 리브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자립성 봉지의 몸통부를 구성하는 몸통구성부를 각각 가진 자립봉지 제조용 필름의 상기 바닥구성부를 긴쪽방향으로 삼각형으로 절곡했을때에 대략 W자 형상으로 할 수 있도록, 또한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을 내면으로 해서 바닥구성부에 몸통구성부를 각각 맞포개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공정 ②에서 겹쳐진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봉지의 형상을 형성하는 히이트시일을 실시하는 공정 ③을 행한다.
이 공정 ③에 있어서 형성하는 봉지의 형상은, 몸통구성부와 바닥구성부를 가진 자립성 봉지이면, 여러가지의 봉지형상으로 할 수 있다.
이 공정 ③에 있어서의 히이트시일은, 상기 봉지의 형상으로 하기 위해 행하는 것이고, 봉지의 형상에 따라서 히이트시일의 형상을 적당히 선정하면 된다.
본 발명의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공정 ③에서 얻게 된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부터 봉지를 절단하는 공정 ④을 행한다.
이 공정 ④에 있어서 행하여지는 봉지의 절단은, 절단칼, 용단칼(溶斷刀) 등 여러가지의 수단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절단하는 형상은, 다층플라스틱필름에 형성된 봉지의 형상에 따라서 행하면 되고, 직선형상의 절단, 곡선형상의 절단, 펀칭 등의 여러가지 절단형상으로 절단된다.
또한, 공정 ③과 공정 ④은, 동시에 행하여도 된다. 양쪽의 공정을 동시에 행하는 경우, 히이트시일칼에 의해 히이트시일과 용단을 동시에 행하는 일이나, 히이트시일칼을 따라서 절단칼 혹은 용단칼을 배설해 놓고, 히이트시일칼과 절단칼 혹은 용단칼을 동시에 또는 히이트시일칼에 약간 지연되어 절단칼 혹은 용단칼을 다층플라스틱필름에 압압해서 히이트시일 및 절단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공정 ①,②,③ 및 ④를 연속적으로 행하고,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것이, 효율적으로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 경우는, 다층플라스틱필름로서 긴 다층플라스틱필름을 사용, 그 긴 다층플라스틱필름을 리브형성장치에 연속적 또는 간헐적으로 보내넣어, 연속적으로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을 제조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층플라스틱필름의 보내넣기는, 여러가지 방법에의 할 수 있고, 예를 들면 권취로울을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권취하므로서 행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호적한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의 예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호적한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으로서는, 선단부에 선형상의 돌기를 가진 압압틀을 표면층에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을 가진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눌러대므로서, 상기 선형상의 돌기를 당접한 다층플라스틱필름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여 선형상의 홈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그 홈의 상단부에 부풀어오른 부분을 형성시키고, 그 부풀어오른 부분을 고정시키므로서 안쪽방향으로 돌기형상의 대략 원호상의 곡선부를 가진 선형상 홈 및 선형상 돌기부로 이루어진 선형형상리브를 다층플라스틱필름에 형성하는 공정 ①과,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자립봉지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바닥구성의 폭방향의 양끝부분에, 공정 ①에 있어서 제조된 선형상 리브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자립성 봉지의 몸통부를 구성하는 몸통구성부를 각각 가진 자립봉지제조용 필름의 상기 바닥구성부를 긴쪽방향으로 삼각형으로 절곡하였을때에 대략 W자 형상으로 할 수 있도록, 또한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을 내면으로 해서 바닥구성부에 몸통구성부를 각각 맞포개는 공정 ②과, 상기 바닥구성부를 대략 W자 형상으로 맞포갠 상태의 상기 자립성 봉지 제조용 필름에, 상기 절곡부의 자립성 봉지의 폭에 대해서 자립성 봉지의 상부의 폭이 90% 이하가 되도록, 또한 자립했을때의 봉지의 높이의 중간부에 잘룩한 부분을 가진 봉지옆부분을 형성하는 사이드시일선을 실시하는 공정 ③과, 상기 사이드시일선 부착의 봉지를 펀칭하는 공정 ④으로 이루어진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의 몸통구성부에 형성된 선형상 리브는, 공정 ①에서 형성된다.
상기 공정 ①에 있어서 선형상 리브를 형성하는 방법은, 상기한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의 공정 ①과 마찬가지이다.
상기 공정 ①에 의해, 안쪽방향으로 돌기형상의 대략 원호상의 곡선부를 가진 선형상 리브를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자립성 봉지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바닥구성부의 폭방향의 양끝부분에, 공정 ①에 있어서 제조된 선형상 홈 및 선형상돌부로 이루어진 선형상 리브를 소정의 위치에 배치한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자립성 봉지의 몸통부를 구성하는 몸통구성부를 각각 가진 자립성 봉지 제조용 필름의 상기 바닥구성부를 긴쪽방향으로 삼각형으로 절곡했을때에 대략 W자 형상으로 할 수 있도록, 또한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을 내면으로 해서 바닥구성부에 몸통구성부를 각각 맞포개는 공정 ②을 행한다.
자립성 봉지 제조용 필름은, 몸통구성부와 바닥구성부로 이루어진 필름이고, 그 자립성 봉지 제조용 필름은 몸통구성부의 필름과 바닥구성부의 필름의 각각의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 구성되어 있는 것이라도 되고, 그들을 접착한 것이라도 되고, 1매의 다층플라스틱필름을 접어개어서 2매로 겹친 것이라도 되고, 또 통형상 다층플라스틱필름을 눌러접어서 2매로 겹친 것이라도 된다.
또한, 선형상 홈 및 선형상 돌부로 이루어진 선형상 리브는, 자립성 봉지의 안쪽에 있거나, 바깥쪽에 있어도, 혹은 양쪽에 있어도 된다.
자립성 봉지 제조용 필름이 2매의 필름으로 이루어진 경우의 자립성 봉지 제조용 필름의 조제방법은, 여러가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긴 몸통구성부와 긴 바닥구성부가 각각의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경우는, 긴 바닥구성부의 폭방향의 양끝부분에 2매의 긴 몸통구성부의 폭방향의 끝부분을 각각 접착하는 방법, 또는 2매의 긴 다층플라스틱필름의 폭방향의 끝부분끼리를 접착하고, 접착한 부근을 바닥구성부로 하는 방법등이 있다.
또, 자립성 봉지 제조용 필름이 1매의 다층플라스틱필름을 접어개어서 2매로 겹친 것인 경우는, 접어갠 부분의 부근을 바닥구성부로 해도 되고, 연속하고 있지 않는 끝부분끼리를 접착해서 그 끝부분부근을 바닥구성부로 하는 방법, 또는 각각의 긴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몸통구성부의 폭방향의 끝부분에 따로 준비한 긴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바닥구성부를 접착하는 방법 등이 있다.
또, 자립성 봉지 제조용 필름이 통형상 다층플라스틱필름을 눌러접어서 2매로 겹친 것인 경우는, 눌러접은 부분의 부근을 바닥구성부로 할 수가 있다. 이 바닥구성부의 접착은, 여러가지의 접착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으나, 히이트시일에 의한 접착이 바람직하다. 또한, 이 바닥구성부의 몸통구성부로의 히이트시일은,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의 다음 공정의 히이트시일과 동시에 행하여도 좋다. 또한,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히이트시일이란, 좁은 의미의 히이트시일 뿐 아니라, 초음파에 의한 용착, 접착제의 가열에 의한 접착 등도 포함되나, 좁은 의미의 히이트시일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여러가지 방법에 의해, 자립성 봉지 제조용 필름을 조제할 수 있으나, 바닥구성부와 몸통구성부가 각각의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 조제된 것이 바람직하다.
그 자립성 봉지 제조용 필름은, 긴 바닥구성부의 폭방향의 양끝부분에 긴 몸통구성부의 폭방향의 끝부분을 적당한 폭으로 접착하므로서 조제하면, 그 접착부분이 자립성 봉지를 자립시킨때에 바닥면에 접촉하는 바닥부의 전체주위의 보강부가 될 수도 있고, 그 보강부에 의해 바닥부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또, 바닥구성부와 몸통구성부가 별도의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부터 조제하면, 각각의 플라스틱필름의 두께나 종류를 바꾼것을 얻게 되므로, 요구특성에 따라서 여러가지로 대응할 수 있다. 이 접착부분의 폭은, 통상 2mm∼10mm가 바람직하다.
또한, 자립성 봉지 제조용 필름으로서 다른 필름을 사용한 경우에도 자립봉지의 바닥부의 전체주위에 상기 접착부분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립성 봉지 제조용 필름은, 긴 바닥구성부를 1개 가진 것이라도 되고, 긴 몸통구성부의 폭방향의 양단부에 긴 바닥구성부가 2개 있어도 되나, 2개 있는 쪽이 폭방향으로 2개의 자립성 봉지를 펀칭할 수 있어, 효율적으로 자립성 봉지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호적한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자립성 봉지 제조용 필름의 상기 바닥구성부를 긴 방향으로 삼각형으로 절곡했을때에 대략 W자 형상으로 할 수 있도록, 바닥구성부에 몸통구성부를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을 내면으로 하도록 각각 맞포갠다.
이 맞포갬은, 맞포갠 상태가 반드시 대략 W자 형상으로 되어 있을 필요는 없고, 바닥구성부를 긴쪽방향으로 삼각형으로 절곡했을때에 비로서 대략 W자 형상이 되면 된다. 즉, 바닥구성부를 절곡하지 않고 몸통구성부를 절곡해서 맞포개도 되고, 바닥구성부를 절곡한 상태에서 몸통구성부를 맞포개도 된다.
상기와 같이 긴 바닥구성부에 긴 몸통구성부를 각각 맞포개면, 긴 바닥구성부를 긴쪽방향으로 절곡했을때의 절곡부를 경계로 해서 각각 2매의 긴 몸통구성부가 이 바닥구성부에 맞포개진다.
또한, 이 경우, 바닥구성부와 몸통구성부가 각각의 필름으로 구성되어 있을때는, 바닥구성부와 몸통구성부는 접합되어 있지 않아도 되고, 접합되어 있어도 된다. 바닥구성부와 몸통구성부가 접합되어 있지 않는 경우는, 그 뒤의 공정에 있어서 히이트시일 등에 의해 접합하면 된다.
본 발명의 호적한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공정 ②에서 겹쳐진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봉지의 형상을 형성하는 히이트시일을 실시하는 공정 ③을 행한다.
이 공정 ③에 있어서의 히이트시일은, 선형상 리브를 소정의 위치로 배치하도록 해서 상기 봉지의 형상으로 하기 위해 행하는 것이고, 봉지의 형상에 따라서 히이트시일의 형상을 적당히 선정하면 된다. 따라서, 선형상 리브는 먼저 계산한 위치의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바닥구성부를 W자 형상으로 맞포갠 상태에서, 상기 히이트시일선을 형성하므로서 자립성 봉지의 옆부분형상을 형성할 수 있다.
바닥구성부는, 몸통구성부를 각각 포갠상태에서, 여러가지의 히이트시일을 행하고 여러가지의 바닥형상으로 할 수 있으나, 자립했을때의 바닥부가 대략 6각형이 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바닥구성부를 긴쪽방향으로 절곡했을때의 절곡부로부터 바닥끝부분을 향해서 안쪽끝이 사선형상의 히이트시일부 또는 상기 사선형상의 히이트시일부의 하단부 사이에 안쪽끝이 곡률 R80 이상의 원호곡선형상의 히이트시일부도 이 공정 ③에서 실시된다.
비스듬한 히이트시일부는, 바닥구성부를 절곡하지 않고 행하여도 되고, 바닥구성부를 절곡해서 행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호적한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공정 ③에서 얻게 된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부터 봉지를 절단하는 공정 ④을 행한다.
이 공정 ④은, 상기한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의 공정 ④과 마찬가지이다.
본 발명의 호적한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에 있어서는, 상기한 제조방법과 마찬가지로 공정 ①,②,③ 및 ④을 연속적으로 행하고, 자립성 봉지를 연속적으로 제조하는것이, 효율적으로 자립성 봉지를 제조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는, 상기 히이트시일선 부착의 자립성 봉지를 펀칭해서 자립성 봉지를 제조한다. 또, 펀칭은, 몸통구성부를 구성하는 긴 플라스틱필름의 폭방향으로 자립성 봉지를 2개 취하도록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겹쳐진 긴 2매의 플라스틱필름의 폭방향의 양단부가 자립성 봉지의 바닥구성부로 되어 있는 자립성 봉지 제조용 필름을 사용하면, 2개의 자립성 봉지가 대향하고 있는 형상으로 펀칭을 행할 수 있다.
또한, 자립성 봉지의 높이 및 폭은, 특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요구특성에 따라 여러가지 크기를 선정할 수 있으나, 비교적 큰 자립봉지에서도 자립안정성 및 형태보전성이 뛰어나다.
융점에 차이가 있는 플라스틱필름의 적층필름을 사용해서 자립성 봉지를 제조하는 경우는, 봉지의 형성에 필요한 히이트시일은, 한번에 행할 수 있으므로, 효율적으로 자립성 봉지를 제조할 수 있다.
다음에, 본 발명의 방법을 실시하는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를 제조하는 장치를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장치는, 선단부에 선형상의 돌기를 가진 압압틀을 가진 압압틀수단, 이 압압틀수단에 표면층에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을 가진 다층플라스틱필름을 보내넣는 보내넣기수단, 및 상기 선형상의 돌기를 눌러대므로서 형성된 부풀어오른 부분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의 제조수단 ①과, 상기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끼리 또는 이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과 다른 다층플라스틱필름을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이 내면이 되도록 해서 겹치는 수단 ②과, 상기 겹쳐진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봉지의 형상을 형성하는 히이트시일을 실시하는 수단 ③과, 상기 히이트시일된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부터 봉지를 절단하는 수단 ④의 각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장치이다.
본 발명의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을 제조하는 수단 ①은, 선단부에 선형상의 돌기를 가진 압압틀을 가진 압압틀수단, 이 압압틀수단에 표면층에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을 가진 다층플라스틱필름을 보내넣는 보내넣기수단, 및 상기 선형상의 돌기를 눌러대므로서 형성된 부풀어오른 부분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다.
이들 수단은, 상기의 본 발명의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장치의 공정 ①에 있어서 설명한 것과 마찬가지의 기능을 가진 것이므로, 상기 설명이외의 것을 설명한다.
선단부에 선형상의 돌기를 가진 압압틀을 가진 압압틀수단은, 여러가지의 구동방법에 의해 구동시킬 수 있다. 이들의 구동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압압틀을 상하로 움직여서 플라스틱필름에 눌러대거나, 플라스틱필름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 선형상의 돌기를 로울의 표면에 형성하고 그 로울을 회전시켜서 플라스틱필름에 눌러대는 방법 등이 있다.
또한, 압압틀이 판형상의 것이고, 그 표면과 뒷면의 양면에 선형상의 돌기를 형성해서, 압압틀의 양면에 각각 동시에 다층플라스틱필름을 눌러대고, 그 다층플라스틱필름의 위로부터 표면이 평탄한 가압판을 눌러대면, 2매의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동시에 선형상 리브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바람직하다. 이 방법에서 선형상 리브를 형성한 2매의 다층플라스틱필름을 포개서 봉지를 형성하면, 자립성 봉지가 대향하는 몸통구성부에 동시에 선형상 리브를 형성할 수 있으므로,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부터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형성이 연속적으로 효율좋게 행할 수 있다.
또, 부풀어오른 부분을 고정하는 수단은, 여러가지의 구동방법에 의해 구동시킬 수 있다. 이들의 구동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냉각틀을 상하로 이동시켜서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눌러대거나,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부터 분리하는 방법, 냉각로울을 회전시켜서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눌러대는 방법 등이 있다.
상기 선형상의 돌기를 눌러대는 압압틀수단은, 상기 부풀어오른 부분을 고정하는 수단을 장착한 것이라도 되고, 부풀어오른 부분을 고정하는 수단을 별도로 설치해도 된다. 선형상의 돌기를 눌러대는 압압틀수단과 부풀어오른 부분을 고정하는 수단을 별도로 설치하고 있는 경우는, 그 사이의 다층플라스틱필름의 이동은, 여러가지의 방법에 의해 행할 수 있고, 예를 들면 클램프로 다층플라스틱필름을 끼우고 그것을 간헐적으로 이동시키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수단 ①은, 제조된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의 권취수단을 설치할 수 있다. 이 귄취수단은,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 다층플라스틱필름을 권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장치는,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끼리 또는 상기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과 다른 다층플라스틱필름을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이 내면이 되도록 해서 겹치는 수단 ②를 가진다. 상기 다층플라스틱필름을 겹치는 수단은, 로울에 의해 다층플라스틱필름을 유도해서 겹치는 방법, 가이드에 의해 다층플라스틱필름을 유도해서 겹치는 방법 등의 여러가지 방법에 의한 수단이 적용된다.
또, 본 발명의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장치는, 겹쳐진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봉지의 형상을 형성하는 히이트시일을 실시하는 수단 ③을 가진다.
이 히이트시일은, 상기한 바와 같이, 히이트시일바아에 의한 융착, 초음파 발진에 의한 융착, 접착제의 가열에 의한 융착 등의 각종 융착수단을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시키므로서 행할 수 있다.
구동방법은, 예를 들면 가열수단을 상하동시켜서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눌러대거나,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부터 분리하는 것, 로울의 둘레면에 가열수단을 장착해서 그 로울을 회전시키므로서 히이트시일을 실시하는 것 등 여러가지의 방법에 의해 행하여진다.
또, 본 발명의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장치는, 히이트시일된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부터 봉지를 절단하는 수단 ④을 가진다.
이 절단은, 절단칼 또는 용단칼을 구동장치에 의해 구동시켜서 행할 수 있다. 절단칼은, 예를 들면 상하동하는 구동장치에 장착해도 좋고, 로울의 둘레면에 장착해서 회전시켜도 좋다.
(실시예)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의 도면에 의거해서 더 상세히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들의 예에 의해서 하등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도는,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에 형성하는 선형상 홈 및 선형상 리브의 성형장치의 개략도이다.
제1도에 있어서는, 긴 다층플라스틱필름(2)(구성 : 140㎛의 폴리에틸렌 필름과 15㎛의 연신나일론 6-6 필름을 적층한 2층 필름, 두께 : 160㎛, 폭 : 550㎛)은, 다층플라스틱필름 원단로울(1)로부터 댄서로울(3)을 개재해서 압압틀(4)에 보내넣어지고 있고, 그 압압틀부에서는 다층플라스틱필름(2)은, 연신나일론(6-6) 필름면을 아래로 해서, 평면형상의 금속으로 이루어진 받침대(18)(평면형상틀)의 위에 얹혀있다. 제4도와 같이 폭 600㎛, 길이 30mm, R15의 원호형상 곡선부를 가진 선형상의 돌기를 30mm 간격으로 배치되어 있는 압압틀(4)은, 압압틀(4)을 상하동할 수 있는 압압틀 구동장치(5)에 의해 하강시켜, 다층플라스틱필름(2)의 폴리에틸렌필름층에 눌러대게 된다. 그 압압틀(4)의 선단부에 형성되어 있는 대략 원호상의 곡선부를 가진 선형상의 돌기는, 120℃로 가열되어 있고, 그 플라스틱필름에 홈의 깊이가 130㎛, 홈의 바닥부의 두께가 30㎛이 될때까지 선형상의 돌기를 당접하고, 1초간 유지하였다.
이어서, 압압기구(8)를 상하동시킬 수 있는 압압기구 구동장치(9)에 의해 압압기구(8)를 하강시키고, 다층플라스틱필름(2)을 간헐적으로 압압한다. 그후, 압압틀(4)을 압압틀 구동장치(5)에 의해 압압틀(4)을 껄어올려서, 플라스틱필름으로부터 분리하였다. 또한, 압압틀(4)을 껄어올릴때는, 다층플라스틱필름(2)이 그 압압틀(4)과 함께 껄어올려지지 않도록, 압압기구(8)와 냉각틀(6)에 의해서 다층플라스틱필름(2)이 압압되어 있다. 이에 의해, 홈폭 600㎛, 홈 깊이 130㎛의 선형상의 홈 및 그 홈의 상단부의 양단에 높이 80㎛의 선형상의 부풀어오른 부분을 형성할 수 있다.
다음에, 압압기구(8) 및 냉각틀(6)을 인상하고, 다층플라스틱필름(2)을 클램프 구동장치(11) 및 (14)에서 클램프(10) 및 (13)을 구동시켜서 클램프(10),(12) 및 (13),(15)에 의해 각각 끼우고, 이들의 클램프를 클램프 피치이송장치에 의해, 클램프축(16)을 따라서 1피치분 수평방향으로 이동시켜서, 다음 냉각장치로 보낸다. 다층플라스틱필름(2)을 1피치붐 이동시킨 후, 각 클램프는, 다시 원래의 위치로 복귀한다.
냉각장치에서는, 냉각틀(6)을 상하동 시킬 수 있는 냉각틀 구동장치(7)에 의해 냉각틀(6)을 하강시키고, 다층플라스틱필름(2)에 접근시킨다. 이 냉각틀(6)은, 다층플라스틱필름(2)면에 25℃의 공기를 1.5초간 내뿜는다. 그후 냉각틀(6)을 인상하고 권취로울(20)에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2)을 감는다. 또한, 냉각틀(6)에 의해 공기를 내뿜기 시작한 후, 압압틀(4)을 하강시켜 다층플라스틱필름(2)에 눌러댄다. 그리고 상기 수순에 의해 순차 조작이 반복되고 연속적으로 선형상 홈 및 선형상 리브부착 플라스틱필름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보내넣어지는 플라스틱필름(2)은 댄서로울에 의해 장력을 조정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플라스틱필름층에만 홈을 형성해서 리브를 플라스틱필름에 형성할 수 있었다.
제2도에 있어서, 다층플라스틱필름(2)의 한쪽면에는, 평행한 선형상 리브가 형성되어 있다.
제3도에 있어서는, 다층플라스틱필름(2)에 형성된 선형상 리브의 별도의 태양이 표시되어 있다. 선형상 리브는, 마름모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4도에 있어서, 다층플라스틱필름(2)의 한쪽면에는, 대략 원호상 곡선부를 가진 선형상 리브(21)가 형성되어 있다.
제5도는 압압틀(4)의 선단부에 있는 선형상의 돌기(22),(23)를 다층플라스틱필름(2)에 눌러대어서, 선형상 홈(25) 및 부풀어오른 부분(24)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한 확대단면도이다. 선형상 돌기(22) 및 (23)이 형성되어 있지 않는 압압틀(4)의 표면에는, 단열재(52)가 피복되어 있고, 선형상 돌기(22) 및 (23)으로부터 열이 다층플라스틱필름에 전달되고, 선형상 리브를 실시하지 않은 부분에는 열이 전달되기 어렵게 하고 있다. 이에 의해 선형상 리브를 효율적으로 형성할 수가 있다.
제6도는, 제5도의 선형상의 돌기(22) 및 (23)의 간격을 짧게 했을때의 홈(25) 및 부풀어오른 부분(24)을 형성하고 있는 상태를 표시한 확대단면도이다. 이때의 선형상 돌기(22) 및 (23)의 폭은, 500㎛이고, 그 간격은 2mm이다. 그때문에 부풀어오른 부분(24)이 3개소로 되어 있다.
제7도는 제1도에 있어서의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에 형성하는 선형상 리브의 성형장치의 압압틀(4)의 별도의 태양을 표시한 것이다.
이 압압틀(4)은, 판형상이고, 그 표면과 뒷면에 선형상 돌기(22),(23)을 가지고 있다. 이 압압틀(4)은, 고정되어 있고, 그 양면에는 다층플라스틱필름이 각각 눌러대어져 있다. 또, 그 다층플라스틱필름의 위로부터 상하가능하게 장착되어 있는 가압판(51)이 눌러대게 된다. 이에 의해, 2매의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동시에 선형상 리브를 장착할 수 있다.
제8도는, 제7도의 압압틀(4)에 의해서, 선형상 리브를 장착한 다층플라스틱필름의 단면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의 제조장치를 표시한 개략도이다. 도면중, 원단로울로부터 인출된 플라스틱필름은, 제1도에 있어서 사용된 다층플라스틱필름이고, 제1도에서 표시된 선형상 홈 및 선형상 리브부착장치(A부분)에 의해 선형상 리브를 부착한다.
다음에,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은, 방향변경가이드(26)에 의해 90°회전되고, 이어서 그 긴쪽 방향의 중심선을 커터(27)로 절단되고, 2매의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 구분된다. 구분된 2매의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은, 로울(28)에 의해 또 90°회전되어, 이어서 선형상 리브부착면을 안쪽으로 해서 로울(30)에 의해 맞포개짐과 동시에 그 양단부에 바닥구성부의 다층플라스틱필름(제1도의 다층플라스틱필름과 동일 필름)(29)을 절반으로 접어서 삽입시킨다. 이에 의해 양끝부분은, 4매의 다층플라스틱필름이 겹쳐져 있게 된다. 또한, 바닥구성부의 다층플라스틱필름은, 도시하지 않았으나 제9도의 수직방향의 측면에 있는 원단로울로부터 공급되고 있다.
이어서, 겹쳐진 다층플라스틱필름은, 히이트시일받침대(34)에 얹혀지고, 히이트시일바아(32)에 의해 봉지의 옆부분 및 바닥부가 히이트시일되어 봉지가 형성된다.
다음에, 히이트시일된 다층플라스틱필름은, 냉각틀(35)에 의해 냉각되어, 그후 펀칭칼(36)에 의해 봉지형 상으로 절단되어 봉지(37)가 제조되었다. 또한, 봉지(37)가 펀칭된 나머지의 다층플라스틱필름은, 도시되지 않은 권취로울에 의해 권취되었다.
또한, 제9도에 있어서는, 커터(27)를 선형상 리브부착장치(A)의 앞에 장치해서, 2매의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 해서, 그 다층플라스틱필름을 제7도의 압압틀에 당접해서 선형상 리브를 형성해도 된다.
제10도에 있어서는, 동일한 폴의 2매의 긴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구성 : 두께가 100㎛의 폴리프로필렌필름과 두께가 15㎛의 연신나일론(6-6)필름의 다층필름두께 : 120㎛)로 이루어진 몸통구성부(41)를 맞포개고, 그 폭방향의 양끝부분을 열어서, 양끝부분에 긴 다층플라스틱필름(구성 : 몸통구성부의 필름과 동일한 다층필름, 두께 : 120㎛)로 이루어진 바닥구성부(42)를 각각 히이트시일바아에 의해 폴리프로필렌을 히이트시일면으로 해서 180℃에서 히이트시일해서 폭 5mm의 히이트시일선(43)에 의해 접합하고 있다. 그 히이트시일선(43)은, 자립성 봉지가 자립했을때의 바닥부의 주변에 배치되므로, 자립성 봉지의 바닥부의 강성을 높일 수 있다.
제11도에 있어서는, 제10도의 히이트시일앞의 바닥구성부(42) 부착의 몸통구성부(41)로 이루어진 자립성 봉지 제조용 필름에 있어서 바닥구성부(42)를 절곡부(45)에 의해 절곡해서 겹치고, 2매의 몸통구성부(1)를 끝에서 끝까지 전부 맞포개어, 평면형성으로 하고 있다.
제12도에 있어서는, 평면형상의 몸통구성부(41)에 상하동식의 180℃의 히이트시일바아를 압압해서, 자립성 봉지의 옆부분을 구성하는 사이드시일선(46)을 실시하고 있다. 이 겹쳐진 몸통구성부는, 융점이 낮은 폴리프로필렌플름이 안쪽으로 되어 있으므로, 180℃의 히이트시일바아에 의해 용이하게 융착할 수 있다. 이 사이드시일선(46)은, 폭이 5mm이고, 자립성 봉지의 수직방향의 중간부에 잘룩한 부분을 가지고, 그 잘룩한 부분으로부터 자립성 봉지의 상부를 향해서 연속적으로 봉지의 폭이 짧게 되어 있다. 한편, W자 형상으로 접어갠 바닥구성부는, 폴리프로필렌필름끼리가 접촉하고 있는 면은 히이트시일되어 사이드시일선(46)이 형성되나, 최내층은, 융점이 높은 연신나일론(6-6)필름까지 접촉하고 있고, 180℃의 히이트시일바아에서는 히이트시일할 수 없으므로, 바닥구성부의 사이드시일선(46)의 위치에는, 히이트시일하기 전에 작은 구멍을 다수 뚫어놓고, 그후 히이트시일바아에 의해 히이트시일해서 그 구멍으로부터 용융시킨 폴리프로필렌을 그 연신나일론(6-6)필름끼리의 계면에 침투시켜 접합시킨다. 또한, 연신나일론(6-6)필름끼리가 접촉하고 있는 면의 히이트시일선은, 연속적으로 히이트시일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제12도에 있어서, 사이드시일선(46)을 형성할때에, 히이트시일선(46)이나 히이트시일선(44)도 동시에 형성하고 있으나, 이들의 히이트시일선은, 각각 형성해도 된다. 히이트시일선(43) 및 히이트시일선(44)을 각각 형성하는 경우는, 다층플라스틱필름의 위로부터 히이트시일바아를 압압하므로서, 행할 수 있다.
이들 히이트시일선을 동시에 형성하는 경우, 융점이 낮은 폴리프로필렌필름끼리가 접촉하고 있는 면은, 히이트시일되나, 융점이 높은 연신나일론(6-6)필름끼리가 접촉하고 있는 면은 히이트시일되지 않으므로, 효율적으로 히이트시일(43),(44) 및 사이드시일선(46)을 형성할 수 있다.
절곡부(45)와 바닥끝 부분과의 사이의 길이는, 자립성 봉지의 요구특성에 따라서 적당히 선정하면 좋으나, 자립성 봉지의 폭의 10∼40%가 바람직하다.
자립성 봉지의 상단에는, 개구부가 형성되어 있고, 그 개구부의 폭은 바닥부의 절곡부의 폭의 약 50%이다. 이 사이드시일선(46)을 형성한 플라스틱필름(41)은 그 사이드시일선(46)의 바깥쪽을 펀칭칼에 의해 펀칭하므로서 자립성 봉지를 제조할 수 있다. 이 사이드시일선(46)의 시공과 펀칭은, 동시에 행하여도 된다. 자립성 봉지가 펀칭된 나머지의 긴 다층플라스틱필름은, 도시하지 않은 로울에 권취된다.
제13도는 본 발명의 일실시예인 자립성 봉지의 평면도이다.
제13도는, 제9도의 자립성 봉지의 제조장치에 의해 펀칭된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에 캡부착 마개를 장착한 자립성 봉지이다. 그 자립성 봉지의 옆부분의 사이드시일선(46)에는, 그 중간부에 B점과 C점에 끼워진 잘룩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또, 비스듬한 히이트시일선(44)의 부분은, 그 히이트시일선(44)과 바닥부의 히이트시일선(43)에 둘러쌓인 부분이 긴 원 및 원을 남기고 히이트시일되어 있고, 바닥부의 강성이 한층 높아져 있다.
또한, 이 자립성 봉지의 크기는, 높이가 260mm이고, 자립성 봉지의 폭이 절곡부(5)에서 140mm이고, 자립성 봉지의 상단에 있는 개구부의 폭이 80이고, 절곡부(5)와 바닥단부와의 사이의 길이가 40mm이다.
제14도는, 제9도의 자립성 봉지의 제조장치에 의해 펀칭된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에 캡부착마개를 장착한 자립성 봉지이다. 그 자립성 봉지의 옆부분의 사이드시일선(46)에는, 그 중간부에 B점과 C점에 끼워진 잘룩한 부분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자립성 봉지는, 잘룩한 부분 A점으로부터 봉지높이의 10%의 길이만큼 낮은 높이이고, 또한 사이드시일선(46)으로부터 안쪽에 봉지폭의 30% 위치에, 안쪽방향으로 돌기형상으로 되어 있는 대략 원호형상의 곡선부를 가진 선형상 리브(21)를 좌우대칭적으로 1쌍 가지고 있다. 이 선형상 리브(21)은, 안쪽방향으로 돌기형상의 R15의 원호형상 곡선부를 가지고 있고, 그 원호형상 곡선부의 길이는 30이다. 또 선형상 리브(21)은, 그 상단이 R100의 원호형상 곡선으로 되어 있고, 그 말단은 봉지의 상단으로부터 15% 아래의 위치에서, 또한 사이드시일선으로부터 안쪽으로 봉지폭의 5%의 위치이다. 그 1쌍의 선용선형상 리브는, 각각 표면 및 뒤의 양쪽의 몸통부에 형성되어 있다. 이 선형상 리브(21)은 절곡하기 용이하므로, 자립성 봉지에 내용물을 충전했을때, 선형상 홈이 절곡되어 잘룩한 부로 기인되는 오목부의 끝부분을 형성하고, 잘룩한 부분에 기인되는 오목부를 소정의 형상으로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고, 매우 뛰어난 자립안정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오목부를 소정의 위치에서 소정의 형상으로 형성할 수 있으므로, 매우 뛰어난 형태보전성을 얻을 수 있다.
또, 안쪽끝이 사선형상의 히이트시일선(44)의 부분은, 그 히이트시일선(44)과 바닥부의 히이트시일선(43)에 둘러쌓인 부분이 긴 원 및 원을 남기고 히이트시일되어 있고, 바닥부의 강성이 한층 높아져 있다.
또한, 이 자립성 봉지의 크기는, 높이가 26cm이고, 자립성 봉지의 폭이 절곡부(45)에서 14cm이고, 자립성 봉지의 상단에 있는 개구부의 폭이 8cm이고, 절곡부(45)와 바닥끝부분과의 사이의 길이가 4cm이다.
내용물을 충전하였던 바, 매우 자립안정성에 뛰어나고, 봉지의 하부의 양 옆으로부터 손가락으로 눌려도 봉지는 넘어지지 않았다.
그리고, 손가락을 봉지로부터 떼면, 원래의 형상으로 복귀하고, 복원력이 매우 뛰어난, 형태보전성이 우수한 자립성 봉지였다.
제15도, 제16도, 제17도는, 본 발명의 자립성 봉지의 별도 태양을 표시한 평면도이다.
제15도는, 선형상 리브(21)의 상단 및 하단이 뻗어 형성되어 있는 것으로, 상단은 봉지의 높이의 약 85%의 높이까지 신장되어 있다. 한편, 하단은 사이드시일선(46)을 따라서, 사이드시일선(46)으로부터 안쪽으로 봉지폭의 약 25% 위치에 뻗어 형성되어 있다. 이 선형상 리브(21)에 의해 면을 형성할 수 있고 자립안정성이 매우 뛰어난 자립성 봉지가 된다.
또, 자립성 봉지의 바닥부의 하단은, 봉지의 바닥부의 양쪽에 안쪽끝이, 사선형상의 히이트시일부(44)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그 각 사선형상의 히이트시일부(44)의 하단 사이에는, 안쪽끝이 R150의 원호곡선으로 되어 있는 히이트시일부(4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원호곡선을 가진 히이트시일부(43)는, 봉지의 바닥부의 둘레가장자리를 형성하는 보강부가 되나, 안쪽끝이 원호곡선으로 되어 있기때문에, 그 보강부가 안쪽으로 꺼지지 않고, 자립성이 매우 뛰어난 것이 된다.
또한, 제15도에 있어서는, 자립성 봉지의 상부에 몸통구성부의 내면에 내용물 유도용의 선형상 리브(53)가 형성되어 있다. 이 선형상 리브(53)은, 선형상 리브(21)와 마찬가지의 형상을 하고 있는 것이다. 이 선형상 리브가 몸통구성부의 내면에 있으면, 리브에 의해 내용물의 통로가 되고, 그 통로를 통하여 내용물을 용이하게 배출할 수가 있다.
제16도는, 사이드시일선(46)이, 중간부에 형성된 잘룩한 부의 상부가 직선으로 되어 있다. 또, 선형상 리브(21)는, 그 하단이 제15도와 마찬가지로 형성되어 있으나, 그 상단은 뻗어 형성되어 있지 않다.
제17도는, 사이드시일선(46)의 바깥쪽끝이 봉지의 바닥부와 같은 폭으로 되어 있고, 플라스틱필름으로부터 자립성 봉지를 펀칭할때, 스크랩 조각을 제거하지 않고 자립성 봉지를 펀칭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이와 같이 사이드시일선의 바깥쪽끝이 여분으로 형성되어 있어도, 자립안정성은 충분히 유지할 수 있다.
제18도는, 제15도의 자립성 봉지에 액체의 내용물을 충전했을때의 사시도이다. 또, 제19도는, 제18도의 자립성 봉지에 내용물을 충전했을때의 측면도이다.
또한, 제20도는 종래의 자립성 봉지인 도이팩을 표시하고 있고, 바닥부는 그 안쪽끝이 R65의 원호형상의 히이트시일부가 형성되어 있다. 바닥부보강부에는 오목부가 되어 있고, 자립성이 나쁘다.
본 발명에 의하면, 자립안정성 및 형태보전성에 뛰어나고, 또한 취급하기 용이한 자립성 봉지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다층플라스틱필름에 용이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선형상 리브를 부착할 수 있고, 다층플라스틱필름의 강성을 높일 수 있고, 또한 그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부터 용이하게 또한 효율적으로 강성이 높은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를 제조할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자립했을때의 안정성 및 형태보전성에 뛰어나고, 취급하기 용이한 자립성 봉지에 관한 것이다.

Claims (20)

  1.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 이루어진 몸통구성부과 바닥구성부로 구성되어 있는 자립성 봉지로서, 상기 다층플라스틱필름이 내층에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을 가지고, 몸통구성부의 다층플라스틱필름의 내층 또는 외층에, 단면형상이 요철형상이고, 또한 평면형상이 세로줄, 경사줄, 가로줄, 곡선줄, 또는 이들을 조합한 형상의 선형상 리브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봉지.
  2. 제1항에 있어서, 봉지 옆부분을 형성하는 사이드시일선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봉지.
  3. 제2항에 있어서, 사이드시일선이 자립했을때의 봉지높이의 중간부에 잘룩한 부분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봉지.
  4. 제3항에 있어서, 바닥구성부가 절곡되어서 몸통구성부와 바닥구성부에 의해 대략 W자 형상으로 맞포개져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봉지.
  5. 제4항에 있어서, 사이드시일선이 상기 바닥구성부의 절곡부의 봉지의 폭에 대해 봉지의 상부폭이 좁아지도록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봉지.
  6. 제5항에 있어서, 잘룩한 부분과 대략 동일한 정도의 높이, 또한 사이드시일선으로부터 안쪽에 봉지폭의 10% 이상 떨어진 위치의 몸통구성부에 안쪽방향으로 돌기형상의 대략 원호형상 곡선부를 가진 선형상 리브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봉지.
  7. 제6항에 있어서, 선형상 리브의 하단이, 사이드시일선을 따라서 봉지바닥부 부근까지 뻗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봉지.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선형상 리브의 상단이, 봉지상부의 사이드시일선 부근에 뻗어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봉지.
  9. 제8항에 있어서, 선형상 리브가, 선단부에 선형상의 돌기를 가진 압압틀을 플라스틱필름에 눌러대므로서, 상기 선형상의 돌기를 눌러댄 플라스틱필름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선형상의 홈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그 홈의 상단부에 부풀어오른 부분을 형성시키고, 그 부풀어오른 부분을 고정시키므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봉지.
  10. 제1항에 있어서, 바닥구성부가 절곡되어서 몸통구성부와 바닥구성부에 의해 대략 W자 형상으로 맞포개져 있고, 자립했을때의 바닥부가 대략 6각형이 되도록 바닥구성부의 절곡부의 양 끝으로부터 바닥끝부분을 향해서 안쪽끝이 사선형상의 히이트시일부를 가지고, 상기 사선형상의 히이트시일부의 하단부 사이에 안쪽끝이 곡률 R80 이상의 원호곡선 형상의 히이트시일부를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봉지.
  11. 제8항에 있어서, 내용물의 배출구의 내면에 내용물 유도용 선형상 리브를 형성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립성 봉지.
  12. 선단부에 선형상의 돌기를 가진 압압틀에 표면층에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을 가진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눌러대므로서, 상기 선형상의 돌기를 눌러댄 플라스틱필름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선형상의 홈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그 홈의 상단부에 부풀어오른 부분을 형성시키고, 그 부풀어오른 부분을 고정시키므로서, 선형상 리브를 다층플라스틱필름에 형성하는 공정과, 상기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끼리 또는 이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과 다른 다층플라스틱필름을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이 내면이 되도록 해서 겹치는 공정과, 이 겹쳐진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봉지의 형상을 형성하는 히이트시일을 실시하는 공정과, 이 히이트시일된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부터 봉지를 절단하는 공정의 각 공정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다층플라스틱필름이 융점에 차이가 있는 플라스틱필름을 적층한 다층플라스틱필름이고, 또한 압압틀의 선형상의 돌기가 융점이 낮은 플라스틱필름층에 눌러대어지고, 그때에 융점이 낮은 플라스틱필름의 융점 이상이고, 융점이 높은 플라스틱필름의 융점 이하의 온도로 가열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
  14. 제12항에 있어서, 부풀어오른 부분의 고정이, 냉각에 의해 행하여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끼리 또는 이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과 다른 다층플라스틱필름을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이 내면이 되도록 해서 겹치는 공정의 앞 또는 뒤에, 2매의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의 각각의 끝부분에 봉지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바닥구성 플라스틱필름을 장착하는 공정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
  16. 제12항에 있어서, 선단부에 선형상의 돌기를 가진 압압틀을 표면층에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을 가진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눌러대므로서, 상기 선형상의 돌기를 눌러댄 플라스틱필름부의 두께를 얇게 하여 선형상의 홈을 형성시킴과 동시에 그 홈의 상단부에 부풀어오른 부분을 형성시키고, 그 부풀어오른 부분을 고정시키므로서, 선형상 리브를 다층플라스틱필름에 형성하는 공정의 원료인 다층플라스틱필름이 1개의 원단로울로부터 공급된 긴 다층플라스틱필름을 긴쪽방향으로 2매로 절단되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
  17. 선단부에 선형상의 돌기를 가진 압압틀을 가진 압압틀수단, 이 압압틀수단에 표면층에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을 가진 다층플라스틱필름을 보내넣는 보내넣기 수단 및 상기 선형상의 돌기를 눌러대므로서 형성된 부풀어오른 부분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의 제조수단과 상기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끼리 또는 상기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과 다른 다층플라스틱필름을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이 내면이 되도록 해서 겹치는 수단과, 상기 겹쳐진 다층플라스틱필름에 봉지의 형상을 형성하는 히이트시일을 실시하는 수단과, 상기 히이트시일된 다층플라스틱필름으로부터 봉지를 절단하는 수단의 각 수단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장치.
  18. 제17항에 있어서, 부풀어오른 부분의 고정수단이, 냉각에 의해 행하여지는 수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장치.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끼리 또는 상기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과 다른 다층플라스틱필름을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이 내면이 되도록 해서 겹치는 수단의 앞 또는 뒤에, 2매의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의 각각의 끝부분에 봉지의 바닥부를 구성하는 바닥구성 플라스틱필름을 장착하는 수단을 설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장치.
  20. 제17항에 있어서, 선단부에 선형상의 돌기를 가진 압압틀을 가진 압압틀수단, 이 압압틀수단에 표면층에 열접착성 플라스틱층을 가진 다층플라스틱필름을 보내넣는 보내넣기 수단 및 상기 선형상의 돌기를 눌러대므로서 형성된 부풀어오른 부분을 고정하는 수단으로 이루어진 선형상 리브부착 다층플라스틱필름의 제조수단이, 원료인 다층플라스틱필름이, 1개의 원단로울로부터 공급된 긴 다층플라스틱필름을 긴쪽방향으로 2매로 절단되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형상 리브부착 자립성 봉지의 제조장치.
KR1019930700261A 1991-05-29 1992-05-28 자립성 봉지,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KR96001632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071298U JPH0625142U (ja) 1991-05-29 1991-05-29 包装袋
JP91-71298 1991-05-29
JP051203U JPH0625143U (ja) 1991-07-03 1991-07-03 包装袋
JP91-51203 1991-07-03
JP31327191 1991-11-01
JP91-313271 1991-11-01
JP92-114117 1992-04-07
JP11411792 1992-04-07
PCT/JP1992/000700 WO1992021581A1 (en) 1991-05-29 1992-05-28 Self-standing bag and method and device for making said bag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60016322B1 true KR960016322B1 (ko) 1996-12-09

Family

ID=27462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0261A KR960016322B1 (ko) 1991-05-29 1992-05-28 자립성 봉지,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5352043A (ko)
EP (1) EP0541821B1 (ko)
KR (1) KR960016322B1 (ko)
AU (1) AU653606B2 (ko)
CA (1) CA2088249C (ko)
DE (1) DE69223743T2 (ko)
ES (1) ES2112903T3 (ko)
WO (1) WO199202158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7079A2 (ko) * 2010-12-24 2012-06-28 주식회사 뉴팩코리아 자립형 파우치의 바닥부 접합장치 및 접합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81752B2 (ja) * 1993-03-04 2001-07-03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プラスチックフイルム製包装体用注出栓及び該注出栓付き自立性包装体
JP3098675B2 (ja) * 1993-07-06 2000-10-16 住友ベークライト株式会社 線状リブ付き袋の製造方法
EP0654418A1 (en) * 1993-11-15 1995-05-24 The Procter & Gamble Company Inflated, self standing flexible pouch
US5606844A (en) * 1993-12-27 1997-03-04 Sumitomo Bakelite Company, Limited Process for producing a self-supporting package having an outlet stopper and an apparatus for producing said package
WO1995031329A1 (de) * 1994-05-17 1995-11-23 Cellpack Ag Vorrichtung und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beuteln
US5772332A (en) * 1994-09-30 1998-06-30 Atifon Ltd. Container having a rectangular base and its manufacturing
US5897017A (en) * 1996-04-16 1999-04-27 Lantz; Gary W. Insulated shipping container
USD409481S (en) * 1996-08-19 1999-05-11 The Coca-Cola Company Container
US6076968A (en) * 1996-11-26 2000-06-20 The Coca-Cola Company Easy open flexible pouch
US6164825A (en) * 1996-11-26 2000-12-26 The Coca-Cola Company Stable, flexible, easy open pouch
US5971613A (en) * 1997-04-11 1999-10-26 Kapak Corp. Bag constructions having inwardly directed side seal portions
TW374070B (en) 1997-09-01 1999-11-11 Sumitomo Bakelite Co Self-supporting bag and self-supporting package and method for producing them
USD425409S (en) * 1998-05-22 2000-05-23 Kraft Foods, Inc. Container
EP1003678A4 (en) * 1998-06-09 2004-12-08 Scient Packaging FLAT BOTTOM PLASTIC BAG
JP2002205746A (ja) * 1998-07-08 2002-07-23 Mita Rika Kogyo Kk 広口パウチ
US6244747B1 (en) * 1999-09-30 2001-06-12 Cryovac, Inc. Contoured pouch with pourable spout, and apparatus and process for producing same
USD455645S1 (en) 2000-05-26 2002-04-16 Kapak Corporation Pouch for holding liquids
JP2002128092A (ja) * 2000-10-20 2002-05-09 Dainippon Printing Co Ltd 自立袋
JP4736178B2 (ja) * 2000-11-17 2011-07-27 大日本印刷株式会社 自立袋
JP2002154551A (ja) * 2000-11-17 2002-05-28 Dainippon Printing Co Ltd 自立袋
USD448988S1 (en) 2001-02-08 2001-10-09 Kapak Corporation Stand-up pouch for holding liquids
DE10140425C2 (de) * 2001-08-17 2003-08-07 Mars Inc Folienbeutel
US6767601B2 (en) * 2001-10-09 2004-07-27 Honeywell International Inc. Multilayer laminate for use in chemical barrier packaging
US6796996B2 (en) 2001-12-20 2004-09-28 Barbara A. Antinoro Shape-retaining fill container
US6652144B2 (en) * 2002-02-19 2003-11-25 Super Chill Beverage Group Inc. Beverage container pouch
US20040005100A1 (en) * 2002-07-03 2004-01-08 Versluys Robert Thor Flexible pouch with expandable polymer skeleton
JP2004059132A (ja) * 2002-07-31 2004-02-26 Yoshino Kogyosho Co Ltd 積層チューブ及び積層チューブから成るチューブ成形品
US20040136620A1 (en) * 2003-01-14 2004-07-15 Derek Wilson Stand-up pouch
JP2005022741A (ja) * 2003-07-03 2005-01-27 Toppan Printing Co Ltd 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SE526951C2 (sv) * 2003-10-02 2005-11-22 Eco Lean Res & Dev As Förpackning
DE202004016420U1 (de) * 2004-05-17 2005-03-24 Huhtamaki Ronsberg, Zweigniederlassung Der Huhtamaki Deutschland Gmbh & Co. Kg Standbeutel mit optimiertem Aufreißverhalten
US20060021293A1 (en) * 2004-07-30 2006-02-02 Arpac. L.P. Movable U-bar sealing device and a method for shrink wrapping a load with a flexible material
US9751661B2 (en) 2004-08-03 2017-09-05 Pouch Pac Innovations, Llc Flexible pouch and method of forming flexible pouch
US20070297701A1 (en) * 2006-01-19 2007-12-27 Tiger Medical Products (Us), Inc. Pill crusher pouch for use with a pill crusher
ITTO20060076U1 (it) * 2006-05-22 2007-11-23 Produzioni Editoriali Aprile Spa Bicchiere flessibile e relativo supporto
EP1862189B1 (en) * 2006-06-02 2011-08-10 Fresenius Medical Care Deutschland GmbH Container filled with a liquid concentrate for making dialysate
US20120008884A1 (en) * 2007-04-03 2012-01-12 Pouch Pac Innovations, Llc Stand-up flexible pouch and method of forming
WO2009051758A1 (en) * 2007-10-16 2009-04-23 Shurflo, Llc Accumulator bladder apparatus and method of manufacture
SE531982C2 (sv) * 2008-01-21 2009-09-22 Vilho Eriksson Stabiliserad förpackning för ett flytbart material och förfarande för framställning därav
WO2009114797A1 (en) * 2008-03-13 2009-09-17 Alcan Packaging Flexible France Multilayer package with ultrasonic seal and sealing method
JP5333038B2 (ja) * 2008-09-10 2013-11-06 パナソニック株式会社 真空断熱材とその製造方法
JP6051696B2 (ja) * 2012-09-04 2016-12-27 東洋製罐株式会社 積層フィルムの立体成形方法
JP6089574B2 (ja) * 2012-10-18 2017-03-08 東洋製罐株式会社 ノズル付き包装用パウチ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20140199002A1 (en) * 2013-01-11 2014-07-17 Pouch Pac Innovations. LLC Pouch anti-sag measures
CN105883195B (zh) 2013-01-25 2021-04-16 凸版印刷株式会社 柔性包装体
EP3003883B1 (en) * 2013-06-04 2021-11-24 Maverick International (Pty) Ltd Flexible container sleeve structure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JP6252033B2 (ja) * 2013-08-19 2017-12-27 東洋製罐株式会社 合成樹脂フィルムの接着方法、その装置および包装用パウチ
US20150129609A1 (en) * 2013-11-14 2015-05-14 Csm Bakery Products Na, Inc. Handheld confectionary dispenser
US9694945B2 (en) 2013-11-14 2017-07-04 Csm Bakery Products Na, Inc. Fitment coupler with cap
US9487334B2 (en) 2015-03-17 2016-11-08 Poly-America, L.P. Method of forming polymeric bags
JP7024409B2 (ja) * 2015-12-15 2022-02-24 東洋製罐株式会社 包装体
US11299333B2 (en) 2017-04-04 2022-04-12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packages with flat panels
AR111719A1 (es) * 2017-04-24 2019-08-14 Dow Global Technologies Llc Contenedor flexible
IT201700052473A1 (it) * 2017-05-15 2018-11-15 Egidio Galbani S R L Confezione per prodotti caseari e relativo procedimento di realizzazione
WO2018217974A1 (en) 2017-05-24 2018-1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packages with flat panels
WO2018217979A1 (en) 2017-05-26 2018-11-29 The Procter & Gamble Company Flexible packages with self-folding
CN110603201B (zh) 2017-05-26 2021-12-03 宝洁公司 自折叠柔性包装的方法

Family Cites Families (2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BE542429A (ko) * 1955-01-13
US3746607A (en) * 1966-11-17 1973-07-17 Johnson & Johnson Sheet material
US3984047A (en) * 1973-07-26 1976-10-05 Mobil Oil Corporation Reinforced thin wall plastic bag
US4076121A (en) * 1973-10-15 1978-02-28 Mobil Oil Corporation Reinforced thin wall plastic bag, and method and apparatus to make material for such bags
JPS5182178A (en) * 1974-12-25 1976-07-19 Dainippon Printing Co Ltd Jiritsuseifukuro oyobi sonoseizohoho
US4055109A (en) * 1975-08-04 1977-10-25 Dai Nippon Insatsu Kabushiki Kaisha Method and apparatus for producing self-standing bags
JPS57110039A (en) * 1980-12-26 1982-07-08 Tokyo Shibaura Electric Co Remote monitor control device for power system
JPS57110039U (ko) * 1980-12-26 1982-07-07
JPS58171845A (ja) * 1982-04-01 1983-10-08 Seiko Epson Corp 電気光学装置
JPS58171845U (ja) * 1982-05-14 1983-11-16 藤森工業株式会社 自立性包装袋
DE3222017A1 (de) * 1982-06-11 1983-12-15 Renkel, geb. Lutz, Hiltrud, 6107 Reinheim Behaelter aus packstoff-verbundmaterial fuer eine pasteuse, insbesondere fluessige masse sowi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 seiner herstellung
US4526565A (en) * 1983-02-23 1985-07-02 Linear Films, Inc. Method of making flat bottom plastic bag
JPS59162440A (ja) * 1983-03-07 1984-09-13 Hitachi Ltd 物品検査装置
JPS59162440U (ja) * 1983-04-15 1984-10-31 藤森工業株式会社 自立性包装袋
US4848931A (en) * 1985-11-20 1989-07-18 Toyo Aluminium Kabushiki Kaisha Packaging sheet and containers and pouches using the sheet
US5048977A (en) * 1987-02-11 1991-09-17 Robbins Edward S Iii Ribbed free-standing enclosure
DE3725878A1 (de) * 1987-08-05 1989-02-16 Stiegler Maschf Gmbh Tragebeutel aus thermoplastischer kunststoffoli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von tragebeuteln
US4997416A (en) * 1988-03-21 1991-03-05 Dow Brands Inc. Method of making a stand-up plastic bag
US4837849A (en) * 1988-03-21 1989-06-06 The Dow Chemical Company Stand-up plastic bag and method of making same
DE3904847A1 (de) * 1989-02-17 1990-08-23 Henkel Kgaa Standbodenbeutel
DE3925871A1 (de) * 1989-08-04 1991-02-07 Hoechst Ag Folienstandbeutel mit prismatischem rumpf
AU640487B2 (en) * 1990-06-01 1993-08-26 S.C. Johnson & Son, Inc. Stand-up pouch having cross-seal feature and method of making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87079A2 (ko) * 2010-12-24 2012-06-28 주식회사 뉴팩코리아 자립형 파우치의 바닥부 접합장치 및 접합방법
WO2012087079A3 (ko) * 2010-12-24 2012-09-27 주식회사 뉴팩코리아 자립형 파우치의 바닥부 접합장치 및 접합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A2088249A1 (en) 1992-11-30
DE69223743T2 (de) 1998-04-16
AU653606B2 (en) 1994-10-06
AU1885392A (en) 1993-01-08
CA2088249C (en) 2002-12-24
US5352043A (en) 1994-10-04
EP0541821A4 (ko) 1995-02-15
EP0541821B1 (en) 1997-12-29
WO1992021581A1 (en) 1992-12-10
EP0541821A1 (en) 1993-05-19
DE69223743D1 (de) 1998-02-05
ES2112903T3 (es) 1998-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16322B1 (ko) 자립성 봉지, 자립성 봉지의 제조방법 및 제조장치
US6986920B2 (en) Composite web for making gusseted packages
AU2002305062B2 (en) Gusseted packages
CN101891034A (zh) 具有最佳撕开特性的竖立袋及其制造方法
EP2119558B1 (en) Method for producing pouch container with spout
JPWO2006038700A1 (ja) 充填包装体
KR20100099709A (ko) 적층 필름의 단면구조 및 단면처리방법, 및 그 단면처리한 액체 주출 노즐 및 그것의 제조방법
CA1250172A (en) Method for preparing flat-bottom thermoplastic sack
JP3098675B2 (ja) 線状リブ付き袋の製造方法
US20230256698A1 (en) Bag making method
JP4316368B2 (ja) 自立袋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2867702B2 (ja) 自立性袋、自立性袋の製造方法及び製造装置
JP4074001B2 (ja) 自立性パウチ
JP6178636B2 (ja) 袋体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7506307B2 (ja) 包装袋
JP4970666B2 (ja) プラスチック製袋
US20240109707A1 (en) Packaging bag, method for manufacturing packaging bag, and pressing member
JP4287252B2 (ja) チャックテープ付き包装体の製造方法
JP4287251B2 (ja) チャックテープ付きガセット袋の製造方法
WO2021241569A1 (ja) 包装袋
JP4244302B2 (ja) 易開封包装袋
JP2572499B2 (ja) 自立袋の製造方法
JP2593565Y2 (ja) 商品包装袋中間体
JP3370515B2 (ja) 缶用内袋の製造方法
JP2021095165A (ja) チャック付き紙容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11118

Year of fee payment: 16

EXPY Expiration of term