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60000576B1 -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 Google Patents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60000576B1
KR960000576B1 KR1019930701538A KR930701538A KR960000576B1 KR 960000576 B1 KR960000576 B1 KR 960000576B1 KR 1019930701538 A KR1019930701538 A KR 1019930701538A KR 930701538 A KR930701538 A KR 930701538A KR 960000576 B1 KR960000576 B1 KR 96000057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essure
control valve
actuator
hydraulic
hydraulic pum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307015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703542A (ko
Inventor
도오이찌 히라다
겐로꾸 스기야마
마사미 오찌아이
Original Assignee
히다찌 겐끼 가부시기가이샤
오까다 하지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히다찌 겐끼 가부시기가이샤, 오까다 하지메 filed Critical 히다찌 겐끼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7035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7035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6000057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60000576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5FLUID-PRESSURE ACTUATORS; HYDRAULICS OR PNEUMATICS IN GENERAL
    • F15BSYSTEMS ACTING BY MEANS OF FLUIDS IN GENERAL; FLUID-PRESSURE ACTUATORS, e.g. SERVOMOTORS; DETAILS OF FLUID-PRESSURE SYSTEM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15B11/00Servomotor systems without provision for follow-up action; Circuits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21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 E02F9/2239Control of flow rate; Load sensing arrangements using two or more pumps with cross-assistance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3/00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 E02F3/04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 E02F3/28Dredgers; Soil-shifting machines mechanically-driven with digging tools mounted on a dipper- or bucket-arm, i.e. there is either one arm or a pair of arms, e.g. dippers, buckets
    • E02F3/36Component parts
    • E02F3/42Drives for dippers, buckets, dipper-arms or bucket-arms
    • E02F3/43Control of dipper or bucket position; Control of sequence of drive oper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FIXED CONSTRUCTIONS
    • E02HYDRAULIC ENGINEERING; FOUNDATIONS; SOIL SHIFTING
    • E02FDREDGING; SOIL-SHIFTING
    • E02F9/00Component parts of dredgers or soil-shifting machines, not restricted to one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E02F3/00 - E02F7/00
    • E02F9/20Drives; Control devices
    • E02F9/22Hydraulic or pneumatic drives
    • E02F9/2278Hydraulic circuits
    • E02F9/2292Systems with two or more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ning & Mineral Resources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Fluid-Pressure Circuits (AREA)
  • Operation Control Of Excavato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제2도는 제1도에 도시한 토출량제어수단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제3도는 제2도에 도시한 토출량제어수단을 구비한 펌프의 압력-유량 특성도이다.
제4도는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제5도는 본 발명의 제3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제6도는 상기 제3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구동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회로도이며, 제5도와 조합하여 유압구동장치의 전체를 나타낸다.
제7도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유압구동장치를 탑재한 유압쇼벨의 측면도이다.
제8도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유압구동장치를 탑재한 유압쇼벨의 상면도이다.
제9도는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제5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회로도이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에 의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구성의 일부를 도시한 회로도이다.
제12도는 상기 제6의 실시예에 의한 유압구동장치의 일부를 도시한 회로도이며, 제11도와 조합하여 유압구동장치의 전체를 나타낸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
본 발명은 유압쇼벨등의 건설기계에 구비되는 유압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며, 특히 복수의 액튜에이터의 복합구동이 가능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
복수의 액튜에이터의 복합구동이 가능한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의 종래기술로서, 일본국 특개평2(1990) -248705호 공보에 기재된 것이 있다. 이 유압구동장치는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와, 이들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으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와,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와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1 및 제2의 밸브장치를 구비하고, 제1의 밸브장치는 서로 연동하는 제1의 유량제어밸브 및 제1의 방향제어밸브와, 이들 제1의 유량제어밸브와 제1의 방향제어밸브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1의 압력 제어밸브를 가지며, 제2의 밸브장치는 서로 연동하는 제2 및 제3의 유량제어밸브 및 제2의 방향제어밸브와, 이들 제2 및 제3의 유량제어밸브와 제2의 방향제어밸브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2의 압력제어밸브를 가지고 있다. 제1의 유압펌프는, 제1의 유량제어밸브, 제1의 압력제어밸브 및 제1의 방향제어수단을 통해 제1의 액튜에이터에 접속되는 동시에, 제2의 유량제어밸브, 제2의 압력제어밸브 및 제2의 방향제어밸브를 통해 제2의 액튜에이터에 제1의 액튜에이터와 병렬로 접속되고, 제2의 유압펌프는 제3의 유량제어밸브, 제2의 압력제어밸브 및 제2의 방향제어밸브를 통해 제2의 액튜에이터에 단독으로 접속되어 있다. 이 구성에 의해, 제1의 액튜에이터에는 제1의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만이 공급되고, 제2의 액튜에이터에는 제1의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와 제2의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가 합류하여 공급된다. 제l 및 제2의 유압펌프로부터의 압유의 합류는 제2 및 제3의 유량제어밸브와 제2의 압력제어밸브와의 사이에서 행해진다.
또, 상기 유압구동장치는 제1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부하압중 높은 쪽의 압력을 압력신호로서 제1 및 제2의 압력제어밸브의 구동부에 도입하는 압력신호전달라인을 구비하고, 제1 및 제2의 압력제어밸브는 그 압력신호에 따라 폐쇄방향으로 작동하고, 제1의 압력제어밸브는 제1의 유량제어밸브의 하류압을 제어하고, 제2의 압력제어밸브는 제2 및 제3의 유량제어밸브의 하류압을 제어한다.
또한, 상기 유압구동장치는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의 토출량을 각각 제어하는 제1 및 제2의 펌프레귤레이터를 구비하고 있다. 이 제1 및 제2의 펌프레귤레이터에는 상기 압력신호전달라인을 통해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부하압중 높은 쪽의 압력이 압력신호로서 부여되고, 제l 및 제2의 유압펌프의 토출압이 각각의 압력신호보다 높아지도록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의 토출량이 제어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유압구동장치에서는,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부하압이 다른 경우라도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복합구동을 확실히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의 액튜에이터가 고부하압측에서 200bar, 제2의 액튜에이터가 저부하압측에서 100bar로 구동되도록 되어 있는 경우, 압력신호전달라인에는 높은 쪽의 부하압 200bar이 도입된다. 이에 따라서, 제1 및 제2의 펌프레귤레이터를 통해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의 토출압이 200bar 보다 일정치 높은 압력으로, 예를 들면 220bar로 유지된다. 이때, 제1 및 제2의 압력제어밸브의 구동부에도 압력신호전달 라인을 통해 200bar의 압력이 도입되어서, 제1 및 제2의 압력 제어밸브의 상류압, 즉 제1의 유량제어밸브와 제2 및 제3의 유량제어밸브의 하류압은 200bar로 유지된다. 따라서, 제1의 유량제어밸브와 제2 및 제3의 유량제어밸브의 상류압은 펌프토출압이 같고, 하류압도200bar로 같아서, 이들 유량제어밸브의 전후차압은 서로 같아진다. 제1의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된 압유의 유량은 제1 및 제2의 유량제어밸브의 개도비(開度比)로 분류(分流)되고, 제2의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의 유량은 제3의 유량제어밸브의 개구량에 따라 제2의 액튜에이터에 부여된다. 이로써, 제1의 방향 제어밸브를 통해 제1의 액튜에이터에 제1의 유압펌프로부터의 분류된 유량이 공급되고, 제2의 방향제어 밸브를 통해 제2의 액튜에이터에 제1의 유압펌프로부터의 분류된 유량과 제2의 유압펌프로부터의 유량이 합류하여 공급되어서,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복합구동이 가능하게 된다.
[발명의 개시]
그런데, 상기한 종래 기술에 있어서는, 예를 들면 저압측의 제2의 액튜에이터의 단독구동으로부터 전술한 바와 같이 부하압의 차가 큰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복합구동으로 이행할 때, 고압측의 제1의 액튜에이터의 부하압이 신호압력으로서 저압측의 제2의 액튜에이터에 관한 제2의 압력제어밸브의 구동부에 작용하여 제2의 압력제어밸브가 급격히 스로틀된다. 한편, 이때 고압측의 제1의 액튜에이터의 부하압이 신호압력으로서 제1 및 제2의 펌프레귤레이터에도 도입되고, 제1 및 제2의 펌프레귤레이터는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의 토출압이 각각 그 압력신호보다 높아지도록 그들의 토출량을 제어한다. 그러나, 이 유압펌프의 제어에는 응답지연이 있으며, 이 응답지연에 의해 제2의 액튜에이터에 공급되는 유량은 과도적으로 급격히 저하하여, 그 작동속도가 매우 늦어지는 수가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가 각각 유압쇼벨을 구성하는 버킷을 구동하는 버킷실린더, 붐을 구동하는 붐실린더이고, 붐을 단독으로 조작하고 있는 상태에서 붐을 조작하면서 버킷으로 중량물을 움직이게 하는 붐실린더와 버킷실린더의 복합구동으로 이행할 때, 버킷실린더가 고부하압측으로 되어서, 붐의 동작이 과도적으로 느리게 되는 수가 있다.
또,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가 각각 붐을 구동하는 붐실린더 및 브레이커를 구동하는 실린더이고, 브레이커를 타격하는 브레이커실린더의 단독구동으로부터 붐으로 브레이커를 압착하면서 브레이커를 타격하는 브레이커실린더와 붐실린더의 복합구동으로 이행할 때, 붐실린더가 고압측으로 되어 브레이커실린더의 작동속도가 과도적으로 극도로 저하하여, 브레이커의 타격수가 감소되어 버린다.
또,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의 토출량을 제어하는 제1 및 제2의 펌프레귤레이터에는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의 출력이 이것을 구동하는 원동기의 출력을 초과하지 않도록, 펌프토출압이 높을 때에는 유압펌프의 최대배기량을 감소시키고, 펌프토출량을 감소시키는 입력로크제한제어기구가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와 같은 경우에는,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의 토출량은 고압측의 제1의 액튜에이터의 부하압에 따라 제어되고, 그 부하압이 커지면 핌프토출량은 극도로 감소한다. 한편, 부하압의 차가 큰 2개의 액튜에이터의 복합구동시에는 저압측의 액튜에이터의 동작속도는 빠르게, 고압측의 액튜에이터의 동작속도는 느리게하여 작업을 하고 싶은 경우가 많다. 따라서,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복합구동시에 펌프토출량이 극도로 감소하면, 저부하압의 제2의 액튜에이터에 공급되는 유량은 적어지고, 동작속도가 느리게 되는 것이 우려된다.
예를 들면, 상기와 같이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가 각각 유압쇼벨을 구성하는 버킷을 구동하는 버킷실린더. 붐을 구동하는 붐실린더이고, 버킷실린더를 릴리프시키면서 붐을 조작하는 복합구동시에 붐의 동작이 느리게 되는 수가 있다.
또,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가 각각 붐을 구동하는 붐실린더 및 브레이커를 구동하는 실린더이고, 브레이커를 붐으로 압착하면서 브레이커를 타격하는 브레이커작업을 하는 경우, 복합구동에 의해 저압측의 브레이커실린더의 작동속노가 극도로 저하하여, 브레이커의 타격수가 감소되어 버린다.
상기한 바와 같은 단독구동에서 복합구동에의 이행시 및 복합구동시의 저압측의 제2의 액튜에이터에의 공급유량의 저하는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부하압의 차가 클수록 현저하게 되고, 결국 전술한 종래기술에서는 저압측의 제2의 액튜에이터의 작동속도가 느리게 됨에 따라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를 통해 행해지는 전체의 작업능률이 저하하는 문제가 있다.
또,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복합구동시에는 저압측의 제2의 액튜에이터에 관한 제2의 압력제어밸브가 극도로 스로틀됨으로써 압력손실이 커지고, 열이 발생하여 회로의 히트밸런스가 열화되고, 작동유의 승온에 의해 당해 작동유가 열화되고, 유압펌프의 작업에 활용되지 않는 에너지의 손실이 커지며, 이에 수반하여 유압펌프를 구동하는 원동기의 연비(然費)가 높아지는 문제도 있다.
그리고, 상기에서는 설명을 간단히 하기 위해, 제1 및 제2의 2개의 액튜에이터의 관계로 설명하였으나, 3개 이상의 액튜에이터를 구비한 유압구동장치라도 부하압이 다른 2개 이상의 액튜에이터의 복합구동을 실시하려고 하는 경우에는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또, 상기에서는 펌프레귤레이터로서, 액튜에이터의 부하압을 펌프레귤레이터에 도입하고, 유압펌프의 토출압이 액튜에이터의 부하압보다 높아지도록 펌프토출량을 제어하는 것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다른 타입의 펌프레귤레이터라도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예를 들면, 액튜에이터의 부하압을 펌프토출관로에 접속한 언로드밸브에 도입하고, 이 언로드밸브로 유압펌프의 토출압이 액튜에이터의 부하압보다 높아지도록 펌프토출압을 제어하는 시스템이 있다. 또, 조작레버의 조작량을 입력하고, 그 조작량이 커지면 펌프토출량을 증대시키는 시스템이 있다. 이들 시스템에 있어서도 상기와 같이 제어의 응답지연이 있고, 단독구동에서 복합구동에의 이행시에 상기와 같은 문제가 발생한다. 또, 유압펌프의 입력토크제한기구를 부가했을 때는 복합구동시에 저부하압 액튜에이터에 공급되는 유량 저하의 문제가 발생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압액튜에이터의 단독구동에서 복합구동에의 이행시에 저압측의 액튜에이터에 공급되는 유량의 과도적인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압액튜에이터의 복합구동시에 저압측의 액튜에이터에 공급되는 유량의 극단적인 저하를 방지할 수 있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유압액튜에이터의 복합구동시에 압력제어밸브에 의한 압력손실을 억제하여 열의 발생을 억제하고, 회로의 히트밸런스를 향상시킬 수 있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의하면, 최소한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와, 이들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최소한 제1 및 제 2의 액튜에이터와, 상기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와 상기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작동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1 및 제2의 밸브장치와, 상기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의 토출압이 상기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부하압중 높은 쪽의 압력보다 높아지도록 각각 제어하는 제1 및 제2의 펌프제어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밸브장치는 각각 제1 및 제2의 유량제어수단, 제1 및 제2의 압력제어수단, 제1 및 제2의 방향제어수단이 이 순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부하압 중 높은 쪽의 압력을 압력신호로서 상기 제1 및 제2의 압력제어수단에 도입하는 압력신호전달라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압력제어수단은 상기 압력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각각 제1 및 제2의 유량제어밸브수단의 하류압을 제어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유량제어수단은 제1 및 제2의 유량제어밸브와, 이 제1 및 제2의 유량제어밸브를 상기 제1의 방향제어수단에 연동시키는 제1의 연동 수단을 가지며, 상기 제2의 유량제어밸브는 제3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와, 이 제3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를 상기 제2의 방향제어수단에 연동시키는 제2의 연동수단을 가지고, 상기 제1의 압력제어수단은 상기 압력신호에 따라 폐쇄방향으로 작동하는 최소한 제1의 압력제어밸브를 가지며, 상기 제2의 압력제어수단은 상기 압력신호에 따라 폐쇄방향으로 작동하는 제2의 압력제어밸브만을 가지고, 상기 제1의 유압펌프는 상기 제1의 유량제어밸브, 상기 제1의 압력제어밸브 및 상기 제1의 방향제어수단을 통해 제1의 액튜에이터에 접속되고, 상지 제2의 유압펌프는 상기 제2의 유량제어밸브 및 상기 제1의 방향제어수단를 통해 상기 제1의 액튜에이터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1의 유압펌프는 상기 제3의 유량제어밸브 및 상기 제2의 방향제어수단을 통해서, 압력제어밸브를 통하지 않고 상기 제2의 액튜에이터에 상기 제1의 액튜에이터와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2의 유압핌프는 상기 제4의 유량제어밸브, 상기 제2의 압력제어밸브 및 상기 제2의 방향제어수단을 통해 상기 제2의 액튜에이터에 상기 제1의 액튜에이터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와 유압구동장치가 제공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본 발명의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는 제1의 유압펌프에 연락되는 제3의 유량제어밸브와 제2의 방향제어수단의 사이에는 압력제어밸브를 배설하지 않았으므로, 제1의 액튜에이터가 고부하압의 액튜에이터이고 제2의 액튜에이터가 저부하압의 액튜에이터일 때,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복합구동시에는 제1의 유압펌프의 압유의 거의 대부분은 제3의 유량제어밸브 및 제2의 방향제어수단을 통해 제2의 액튜에이터에 공급된다. 또, 제1의 유압펌프의 토출압은 저압측의 제2의 액튜에이터의 부하압에 지배되므로, 제1의 유압펌프의 토출압은 상승하지 않고, 제1 및 제2의 펌프제어수단이 입력토크제한제어기구를 구비하고 있다고 해도 제1의 유압펌프에는 충분한 토출량이 확보된다. 그러므로, 저부하압의 제2의 액튜에이터에는 충분한 유량이 공급되어서, 복합구동시의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또, 제1의 유압펌프에 연락되는 제3의 유량제어밸브와 제2의 방향제어수단의 사이에는 압력제어밸브를 배설하지 않았으므로, 저부하압의 제2의 액튜에이터의 단독구동으로부터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복합 구동으로 이동할 때의 저부하압의 제2의 액튜에이터에 공급되는 유량의 과도적인 저하가 방지되고, 이 점에서도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상기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압력제어수단은 상기 압력신호에 따라 폐쇄방향으로 작동하는 제3의 압력제어밸브를 더 가지고 있어도 되며, 이 경우 상기 제2의 유압펌프는 상기 제2의 유량제어밸브, 상기 제3의 압력제어밸브 및 상기 제1의 방향제어수단을 통해 상기 제1의 액튜에이터에 접속된다.
또, 상기 제1의 압력제어수단은 상기 제1의 압력제어밸브만을 가지고, 상기 제2의 유압펌프는 상기 제2의 유량제어밸브 및 상기 제1의 방향제어수단을 통해서, 압력제어밸브를 통하지 않고 상기 제1의 액튜에이터에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부하압의 크기가 역전한 경우에도, 복합구동시 및 저부하압의 액튜에이터로부터 복합구동에의 이동시에 상기의 작용이 얻어진다.
또,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 및 제2의 유량제어밸브의 하류측은 상기 제1의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와 상기 제2의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가 상기 제1의 압력제어밸브와 상기 제1의 방향제어수단과의 사이에서 합류하도록 접속되고, 상기 제3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의 하류측은 상기 제1의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와 상기 제2의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가 상기 제2의 압력제어밸브와 상기 제2의 방향제어수단과의 사이에서 합류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상기 제1 및 제2의 유량제어밸브의 하류측은 상기 제1의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와 상기 제2의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가 상기 제1의 방향제어수단과 상기 제1의 액튜엑이터와의 사이에서 합류하도록 접속되고, 상기 제3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의 하류측은 상기 제1의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와 상기 제2의 유압펌프로부터 토출되는 압유가 상기 제2의 방향제어수단과 상기 제2의 액튜에이터의 사이에서 합류하도록 접속되어 있어도 된다.
또, 바람직하기로는, 상기 제1 및 제2의 펌프제어수단은 각각 상기 제1의 유압펌프의 토출압이 상기 압력신호보다 높아지도록 그 토출량을 제어하는 제1의 토출량제어수단과, 상기 제2의 유압펌프의 토출압이 상기 압력신호보다 높아지도록 그 토출량을 제어하는 제2의 토출량제어수단을 포함한다.
그리고, 펌프제어수단은 펌프토출압이 상기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부하압중 높은 쪽의 압력보다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이면, 상기 이외의 것이라도 되며, 그 예로서 전술한 언로드밸브를 사용하여 펌프토출압을 직접 제어하는 것, 조작레버의 조작량을 입력하여 펌프토출량을 제어하는 것이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최선의 형태]
[실시예 1]
본 발명의 제1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1도~제3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는 원동기(25c)와, 이 원동기(25c)에 의해 구동하는 복수의 유압펌프, 예를 들면 제1의 가변용량유압펌프(25a ) 및 제2의 가변용량유압펌프(25b)와, 이들 유압펌프(25a,25b)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하는 복수의 액튜에이터, 예를 들면 제1의 액튜에이터 (19) 및 제2의 액튜에이터 (21)와, 유압펌프(25a,25b)와 액튜에이터(19)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1의 밸브 장치 (50) 및 유압펌프(25a,25b)와 액튜에이터(21)와의 사이에 배치된 제2의 밸브장치(51)와, 유압펌프(25a,25b)의 토출량을 각각 제어하는 제1의 토출량제어장치(30a) 및 제2의 토출량제어장치(30b)를 구비하고 있다.
전술한 제1의 밸브장치(50)는 제1의 연동수단을 구성하는 로드(54,55)를 통해 연곁한 제1의 유량제어 밸브(11a) 및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 및 제1의 방향제어밸브(7)와, 제1의 압력제어밸브(13a) 및 제2의 압력제어밸브(13b)를 내포하고 있다. 제1의 유량제어밸브(11a)는 제1의 유압펌프(25a)에 연락되고, 이 제1의 유량제어밸브(11a)의 하류에 제1의 압력제어밸브(13a)가 연락되고, 이 제1의 압력제어밸브(13 a)의 하류에 제1의 방향제어밸브(7)가 연락되고, 이 제1의 방향제어밸브(7)는 제1의 액튜에이터(19)에 접속되어 있다. 제2의 유량제어밸브(l1b)는 제2의 유압펌프(25b)에 연락되고, 이 제2의 유량제어밸브 (11b)의 하류에 제2의 압력제어밸브(13b)에 연락되고, 이 제2의 압력제어밸브(13a)의 하류에 제1의 방향제어밸브(7)가 연락되어 있다.
즉, 제1의 유압펌프(25a)는 제1의 유량제어밸브(11a), 제1의 압력제어밸브(1 3a) 및 제1의 방향제어 밸브(7)를 통해 제1의 액튜에이터(19)에 접속되고, 제2의 유압펌프(25b)는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 제2의 압력제어밸브(13b) 및 제1의 방향제어밸브(7)를 통해 제1의 액튜에이터(19)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의 유량제어밸브(11a,11b)의 하류측은 제1의 유압펌프(25a)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와 제2의 유압펌프(25b)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의 합류점(61)이 제1 및 제2의 압력제어밸브(13a,13b)와 제1의 방향제어밸브(7)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또, 제2의 밸브장치(51)는 제2의 연동수단을 구성하는 로드(56,57)를 통해 연결한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 밋 제4의 유량제어밸브(12b) 및 제2의 방향제어밸브( 9)와, 제3의 압력제어밸브(15b)를 내포하고 있다. 제3의 제어밸브(12a)는 제1의 유압펌프(25a)에 연락되고, 이 제3의 유량제어밸브(11a)의 하류에 제2의 방향제어밸브(9 )가 연락되고, 이 제2의 방향제어벨브(7)는 제2의 액튜에이터(21)에 접속되어 있다. 제4의 유량제어밸브(12b)는 제2의 유압펌프(25b)에 연락되고, 이 제4의 유량제어밸브(12b)의 하류에 제3의 압력제어밸브(15b)가 연락되고, 이 제3의 압력제어밸브(15 b)의 하류에 제2의 방향제어밸브(9)가 연락되어 있다.
즉, 제1의 유압펌프 (25a)는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및 제2의 방향제어밸브( 9)를 통해 제3의 유량 제어밸브(2a)의 하류에 압력제어밸브를 배설하지 않고,제2의 액튜에이터(21)에 접속되고, 또한 제1의 액튜에이터(19)와 병릴로 접속되어 있다. 제2의 유압펌프(25b)는 제4의 유량제어밸브(12b), 제3의 압력 제어밸브(15b) 및 제2의 방향제어밸브(9)를 통해 제2의 액튜에이터(21)에 접속되고, 또한 제1의 액튜에이터(1 9)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다. 또, 제3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12a, 12b)의 하류측은 제1의 유압펌프(25a)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와 제2의 유압펌프(25b)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의 합류점(52)의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및 제3의 압력제어밸브(15b)와 제2의 방향제어밸브(9)와의 사이에 위치하도록 접속되어 있다.
합류점(61)과 제1의 방향제어밸브(7)와의 사이에는 제1의 액튜에이터(19)로부터의 압유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1의 로드체크밸브(33)가 배치되고, 합류점(62)과 제2의 방향제어밸브(9)와의 사이에는 제2의 액튜에이터(21)로부터의 압유의 역류를 방지하는 제2의 로드체크밸브(34)가 배치되어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는 압력신호전달라인(52)을 가지고 있다. 압력신호전달라인(52)은 체크밸브(35,36)를 통해 제1의 압력제어밸브(13a)의 하류측 및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의 하류측에 접속되고 체크밸브(35,36)를 통해 제1의 액튜에이터(19)의 부하압과 제2의 액튜에이터 (21)의 부하압중 높은 쪽의 압력이 압력신호로서 압력신호전달라인(52)에 취출된다.
제1의 압력제어밸브(13a)의 구동부는 압력신호전달라인(52)에 접속되고, 제1의 압력제어밸브(13a)는 그 상류압, 즉 제1의 유량제어밸브(11a)의 하류압이 압력신호전달라인(52)의 신호압력인 상기 높은 쪽의 부하압과 같아지도록 제어된다. 제2 및 제3의 압력제어밸브(13b,15b)의 각각의 구동부도 역시 압력신호전달라인(52)에 접속되고, 제2 및 제3의 압력제어밸브(13b, 15b)는 각각 제2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l1b, l2b)의 하유압이 압력신호전달라인(52)의 신호압력인 상기 높은 쪽의 부하압과 같아지도록 제어된다.
또, 제1의 토출량제어장치(30a) 및 제2의 토출량제어장치(30b)는 관로(31a, 31b)를 통해 압력신호전달라인(52)에, 또 관로(32a,32b)를 통해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25a,25b)의 토출관로에 각각 접속되어 있으며, 유압펌프(25a,25b)의 토출압이 압력신호전달라인(52)의 신호압력인 상기 높은 쪽의 부하압보다 일정압력 높아지도록 그들의 토출량을 제어한다.
제1의 토출량제어장치(30a)는, 예를 들면 제2도에 도시한 바와 같이 관로(32a )를 통해 도입되는 유압펌프(25a)의 토출압과 관로(31a)를 통해 도입되는 제1의 액튜에이터(19)의 부하압과의 차압이 설정치를 초과하면 작동하여 유압펌프(25a)이 토출압을 출력하는 압력제어밸브(60a)와, 압력제어밸브(60a)를 통해 도입된 유압펌프(25 a)의 토출압에 응동하여 토출량을 변화시키도록 작동하는 로드센싱제어용의 서보밸브 (58)와, 관로(32a)를 통해 도입되는 유압펌프(25a)의 토출압에 응동하여 토출량을 변화시키도록 작동하는 입력토크제한제어용의 서보밸브(59)와, 유압펌프(25a)의 경전각 (배기량)을 제이하는 제어용 액튜에이터 (60)와, 서보밸브(58,59)와 제어용 액튜에이터(60)를 연동시키는 링크기구(60c)와, 서보밸브(58,59)를 통해 제어용 액튜에이터( 60)를 구동하기 위한 압유를 공급하는 유압원(60b)을 구비하고 있다. 제2의 토출량제어장치(30b)도, 예를 들면 제1의 토출량제어장치(30a)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제1의 실시예에 있어서의 동작은 다음과 같다.
원동기 (25c)를 구동하여 유압펌프(25a,25b)가 구동되고, 있는 것으로 한다. 또,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 (19,21)를 구동할 때, 제1의 액튜에이터가 고부하압측이고 그 부하압이 200bar, 제2의 액튜에이터(21)가 저부하압축이고 그 부하압이 100ba r라고 한다.이와 같은 전세에 있어서, 제1의 액튜에이터(19)와 제2의 액튜에이터(21)와의 복합구동을 의도하여, 이들 액튜에이터용의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를 조작하면, 로드(54,55)에 의해 제1의 방향제어밸브(7), 제1의 유량제어밸브(11a) 및 제2의 유량제어밸브(lIb)가 연동하여 전환되고, 로드(56,57)에 의해 제2의 방향제어밸브(9),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12b)가 연동하여 전환된다. 이때의 전환방향은 이들 유량제어밸브 및 방향전환밸브가 도시 좌측의 위치로 되는 방향으로 한다. 이와 같은 유량제어밸브 및 방향전환밸브의 전환에 따라 제1의 액튜에이터(19)의 부하압 200bar이 압력신호전달라인(52)에 도입되고, 다시 그 부하압 200bar이 관로(31a,31b)를 통해 제1의 토출량제어장치(30a) 및 제2의 토출량제어장치 (30b)에 도입된다. 이로써,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25a,25b)의 토출압은 200bar 보다 높은 일정압력, 예를 들면 220bar로 되도록 제어된다. 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제1의 유압펌프(25a)에 연락되는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와 제2의 방향전환밸브(9)와의 사이에는 압력제어밸브를 배설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의 조작량이 큰 경우에는 제 1의 유압펌프(25a)의 토출압은 저압측의 제2의 액튜에이터 (21)의 부하압에 지배되어 220bar까지 상승하지 않는다.
또, 전술한 바와 같이하여 압력신호전달라인(52)에 도입된 200bar의 부하압은 제1와 압력제어밸브(13a)의 구동부, 제2의 압력제어밸브(13b)의 구동부 및 제3의 압력제어밸브(15b)의 구동부의 각각에 부여된다. 이로써, 이들 제1의 압력제어밸브(13a ), 제2의 압력제어밸브(13b) 및 제3의 압력제어밸브(15b)가 작동하고, 제1의 압력제어밸브(13a), 제2의 압력제어밸브(13b) 및 제3의 압력제어밸브(15b)의 상류압, 즉 제1의 유량제어밸브(11a),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12b)의 하류압은 제1의 액튜에이터(19)의 부하압 200bar과 같아진다. 이때,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12b)의 상류압은 제2의 유압펌프(25b)의 토출압, 즉 220bar로 같다. 이로써,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12b)의 전후차압은 같아지고, 제1의 방향제어밸브(7)를 통해 제1의 액튜에이터(19)에, 또 제2의 방향제어밸브(9)를 통해 제2의 액튜에이터(21)에, 유압펌프(25b)로부터의 압유가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12b)의 개도비에 따라 분류(分流)되어 공급된다.
한편, 제1의 유압펌프(25a)에 연락되는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와 제2의 방향제어밸브(9)와의 사이에는 압력제어밸브를 배설하지 않았기 때문에,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이 조작량이 큰 경우에는 제1의 유압펌프(25a)의 압유의 거의는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 및 제2의 방향제어밸브(9)를 통해 제2의 액튜에이터(21)에 공급된다. 이 경우, 상기와 같이 제1의 토출량제어장치(30a)에 의해 제1의 유압펌프(25a)의 토출압도 220bar로 되도록 제어되려고 하나, 제1의 유압펌프(25a)의 압유의 거의가 제2의 액튜에이터(21)에 흐르기 때문에, 제2의 액튜에이터 (21)의 부하압이 지배적으로 되고, 제1의 유압펌프(25a)의 토출압은 220bar까지 상승하지 않고, 유량제어밸브(12 a)의 조작량에 상승한 그 이하의 압력, 이를 들면 140bar 정도로 된다. 즉,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의 하류압은 상기와 같이 제1의 액튜에이터(19)의 부하압 200bar과 같으므로, 제1의 유압펌프(25a)의 토출압은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의 하류압보다 낮아지고, 제1의 유압펌프(25a)의 압유는 제1의 액튜에이터(19)에는 공급되지 않는다.
따라서, 저압측의 제2의 액튜에이터(21)에 관한 제3의 압력제어밸브(15b)는 제1의 액튜에이터(19)의 부하압 200bar에 의해 폐쇄방향으로 강제적으로 구동되어서 이 제3의 압력제어밸브(15b)에 흐르는 유량은 적어지지만, 제1의 유압펌프(25a)의 압유의 거의는 제2의 액튜에이터(21)에 공급되므로. 제2의 액튜에이터(21)를 적절히 구동할 수 있다. 또, 제2의 유압펌프(25b)의 압유는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12b)의 개도비에 따라 분류되므로, 그 분류된 유량이 제1의 방향제어밸브(7)를 통해 제1의 액튜에이터(19)에 공급되고, 이로써 제1의 액튜에이터(19)를 구동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의 토출량제어장치(30a,30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입력토크제한제어용의 서보밸브(59)를 구비하고 있다. 그러므로, 만일 제1의 유압펌프(25a)의 토출압도 제2의 유압펌프(25b)의 토출압과 같은 220bar까지 상승했다고 하면, 서보밸브( 59)가 작동하여 제1의 유압펌프(25a)의 경전각(傾轉角)이 작아지도록 제어되어 토출량이 감소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서는 제1의 유압펌프(25a)의 토출압은 140bar 정도까지 밖에 상승하지 않으므로, 서보밸브(59)는 작동하지 않는가, 작동했다고 해도 그 작동량은 근소하며, 제1의 유압펌프(25a)는 충분한 토출량을 유지할 수 있다.
제3도에 압력토크제한제어용의 서보밸브(59)가 작동할 때의 압력-유량특성이 도시되어 있으며, 횡축이 펌프토출압 P, 종축이 펌프토출량 Q이다. 제1의 유압펌프(25 a)의 토출압을 P21,라 하고, 제2의 유압펌프(25b)의 토출압을 P19라 하면, 전술한 바와 같이 토출압 P21은 140bar 정도인데 대하여, 토출압 P19는 220bar이다. 140bar의 토출압 P21,에서는 서보밸브(59)는 작동하지 않고, 제1의 유압펌프(25a)에는 큰 토출량 QAC을 확보할 수 있다. 한편, 220bar의 토출압 P19에서는 서보밸브(59)는 작동하고, 제2의 유압펌프(25b)의 토출압은 QP로 감소한다.
따라서, 부하압이 100bar인 낮은 제2의 액튜에이터 (21)에는 제1의 유압펌프( 25a)의 토출압 QAC과, 제2의 유압펌프(25b)의 토출압 QP중 제4의 유량제어밸브의 개구량에 상응한 비율의 유량의 합계가 공급되고, 부하압이 200bar인 높은 제1의 액튜에이터(19)에는 제2의 유압펌프(25b)의 토출압 QP중 제2의 유량 제어밸브(11b)의 개구량에 상응한 비율의 유량이 공급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의 유압펌프(25a)의 토출량 자체의 감소도 억제되므로, 저압측의 제2의 액튜에이터 (21)에는 더욱 많은 압유가 공급되어 제2의 액튜에이터(21)를 적절히 구동할 수 있다.
다음에, 제2의 액튜에이터(21)의 단독 구동으로부터 상기한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19,21)의 복합구동으로 이행한 경우를 생각한다. 이 경우, 제2의 액튜에이터 (21)는 단독구동에 있어서도 그 부하압이 상기 100bar라고 한다.
제2의 액튜에이터 (21)의 단독구동시에는 제2의 액튜에이터 (21)의 부하압 100bar가 압력신호전달라인(52)에 도입되고, 다시 그 부하압 100bar가 관로(31a,3 1b)를 통해 제1의 토출량제어장치(30a) 및 제2의 토출량제어장치(30b)에 도입된다. 이로써,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25a,25b)의 토출압은 100bar 보다 높은 일정압력, 예를 들면 120bar로 되도록 제어된다.
또, 압력신호전달라인(52)에 도입된 100bar의 부하압은 제3의 압력제어밸브( 15b)의 구동부에 부여되어, 제3의 압력제어밸브(15b)가 작동하고, 제3의 압력제어밸브(15b)의 상류압, 즉 제4의 유량제어밸브(12b)의 하류압은 제2의 액튜에이터(21)의 부하압 100bar과 같아진다. 또, 압력제어밸브가 없는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의 하류압도 당연히 제2의 액튜에이터(21)의 부하압 100bar과 같아진다. 한편, 제2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12a,12b)의 상류압은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25a,25b)의 토출압, 즉 120bar로 같다. 이로써, 제3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12a,12b)의 전후차압은 같은 20bar로 되고,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25a,25b)로부터의 압유가 각각 제3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12a,12b)의 개구량에 상응한 유량으로 제2의 방향 제어밸브(9)를 통해 제2의 액튜에이터 (21)에 공급된다.
이상과 같이 제2의 액튜에이터(21)가 단독구동하고 있는 상태로부터 제1의 액튜에이터 (19)와 제2의 액튜에이터(21)와의 복합구동으로 이행하는 것을 의도하여 제1의 액튜에이터(19)에 관한 도시하지 않은 조작레버를 조작하여, 제1의 방향전환밸브(7), 제1의 유량제어밸브(11a) 및 제1의 유량제어밸브(11b)를 연동하여 전환하면, 제1의 액튜에이터 (19)의 부하압 200bar가 압력신호전달라인(52)에 도입되고, 이 200bar의 부하압이 제2의 토출량제어장치 (30a) 및 제2의 토출량제어장치 (30b)와, 제1의 압력제어밸브(13a)의 구동부, 제2의 압력제어밸브(13b)의 구동부 및 제3의 압력제어밸브(15b)의 구동부의 각각에 부여된다.
이로써, 앞에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25a,25b)는 토출압이 각각 140bar, 220bar로 되도록 토출량이 제어되는 동시에, 유량제어밸브(l1a, 11b, 12b)의 하류압이 제어되고,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19,21)의 복찹구동이 실시된다.
또, 제3의 압력제어밸브(15b)의 구동부에 작용하는 부하압은 제2의 액튜에이터 (21)의 단독구동시에는 100bar였던 것이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 (19,21)의 복합구동으로 이동할 때에 200bar로 증대하고, 제2의 압력제어밸브(13b)는 급격히 스로틀된다. 이때, 제4의 유량제어밸브(12b)가 접속되는 제2의 유압펌프 (25b)의 토출압은 상기와 같이 제2의 토출량제어장치 (30b)에 의해 120bar에서 220bar로 상승하도록 제어되지만, 이 제2의 토출량제어장치(30b)의 제어에는 응답지연이 있다. 이와 같은 제2의 압력제어밸브(13,1b)의 급격한 스로틀작용과 제2의 토줄량제어장치 (30b)의 제어의 응답지연에 의해 제2의 유압펌프(25b)로부터 제2의 액튜에이터(21)에 공급되는 압유의 유량은 일시적으로 감소한다. 한편, 제3의 유량제어밸브 (12a)의 하류에는 압력제어밸브가 배치되어 있지 않으므로, 제1의 유압펌프(25a)의 압유는 그대로 제2의 액튜에이터(21)에 공급된다. 그러므로, 제2의 액튜에이터 (21)에 공급되는 유량의 급격한 저하는 방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고부하압의 제1의 액튜에이터(19)와 저부하압의 제2의 액튜에이터(21)의 복합구동시에 저부하압의 제2의 액튜에이터(21)에 충분한 유량을 공급할 수 있고, 이들 액튜에이터(19,21)를 통해 행해지는 도시하지 않은 작업기의 작동효율의 향상, 즉 작업기에 의해 행해지는 작업의 능률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제1의 유압펌프(25a)의 압유를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 및 제2의 방향제어밸브(9)를 거쳐서, 압력제어밸브를 개재시키지 않고 제2의 액튜에이터 (21)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전술한 압력제어밸브를 배설하는 것에 의한 압력손실을 억제할 수 있고, 열의 발생을 억제하여 회로의 히트밸런스를 향상시킬 수 있고, 회로에 흐르는 작동유의 승온에 의한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의 유압펌프(25a)의 에너지손실을 언제할 수 있고, 원동기 (25c)의 연비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저부하압의 제2의 액튜에이터(21)의 단독구동에러 고부하압의 제1의 액튜에이터 (19)와 저부하압의 제2의 액튜에이터 (21)의 복합구동으로 이행할 때의 거부하압의 제2의 액튜에이터 (21)에 공급되는 유량의 과도적인 저하를 방지하여, 이 점에서도 작업능률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실시예 2]
본 발명의 제2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4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면중, 제1도에 도시한 부재와 동등의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인다.
제4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는 밸브장치(50A,51A)를 가지며, 이 밸브장치(50A,51A)가 제1의 실시예의 밸브장치(50,51)와 다른다.
즉, 밸브장치(50A)는 제1의 액튜에이터(19)의 구동방향을 제어하는 방향제어밸브로서, 로드(55b)를 통해 서로 연결된 제1 및 제2의 2개의 방향제어밸브(7a,7b)를 가지며, 제1의 방향제어밸브(7a)는 제1의 압력제어밸브(13a)의 하류에 배치되고, 제2의 방향제어밸브(7b)는 제2의 압력제어밸브(13b)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1 및 제2의 방향제어밸브(7a,7b)와 제1 및 제2의 유량제어밸브(11a. 11b)는 링크(55a)를 통해 서로 연결된다.
마찬가지로, 밸브장치 (51A)는 제2의 액튜에이터 (21)의 구동방향을 제어하는 방향제어밸브로서, 로드(57b)를 통해 서로 연결된 제3 및 제4의 2개의 방향제어밸브( 9a,9b)를 가지며, 제3의 방향제어밸브(9a)는 압력제어밸브를 개재시키지 않고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의 하류에 배치되고, 제 4의 방향제어밸브(9b)는 제3의 압력제어밸브(12b)의 하류에 배치되어 있다. 또, 제3 및 제4의 방향제어밸브(9a,9b)와 제3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12a,12b)는 링크(57a)를 통해 서로 연결되어 있다.
밸브장치(71)는 제1의 유압펌프(25a)에 접속된 유량제어밸브(83), 방향제어밸브(84) 및 압력제어밸브 (85)만을 가지며, 밸브장치(72)도 마찬가지로 제1의 유압펌프(25a)에 접속된 유량제어밸브(86), 방향제어밸브(87) 및 압력제어밸브(88)만을 가지고 있다. 밸브장치 (73)는 제2의 유압펌프(25b)에 접속된 유량제어밸브(89), 방향제어밸브(90) 및 압력제어밸브(91)만을 가지고 있다.
또, 본 실시예의 유량구동장치는 2개의 압력신호전달라인(52,53)을 가지고 있다. 제1의 압력신호전달라인(52)는 체크밸브(35a,36a,92a,93,94)를 통해 압력제어밸브(13a,82a,85,88)의 하류측 및 유량제어밸브(12a)의 하류측에 접속되고, 체크밸브( 35a,36a,92a,93,94)를 통해 복수의 액튜에이터(19,20,21,22,23)의 부하압중 가장 높은 압력, 즉 최대부하압을 제1의 압력신호전달라인(52)에 취출한다. 제2의 압력신호전달라인(53)은 체크밸브(35,36b,92b,95)를 통해 압력제어밸브(13b,15b,82b,91)의 하류측에 접속되고. 체크밸브(35b,36b,92b,95)를 통해 복수의 액튜에이터(19,20,21 ,24)의 부하합중 가장 높은 압력, 즉 최대부하압이 제2의 압력신호전달라인(53)에 취출된다.
압력제어밸브(13a,82a,85,88)의 각각 구동부는 제1의 압력신호 전달라인(52)에 접속되고, 압력제어밸브(13b,15b,82b,9I)의 각각의 구동부는 제2의 압력신호전달라인(53)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제1의 토출량제어장치(30a) 및 제2의 토출량제어장치(30b)는 관로(31a,31b)를 통해 제1의 압력신호전달라인(52) 및 제2의 압력신호 전달라인(53)에 각각 접속되어 있다.
본 실시예의 유압구동장치를 탑재한 유압쇼벨의 구성을 제7도 및 제8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버킷실린더(19), 암실린더 (20) 및 붐실린더(21)는 각각 버킷(100), 암(101) 및 붐(102)을 구동하고, 선회모터(22)는 선회체(103)를 구동하고, 우주행모터(23) 및 좌주행모터(24)는 이대(履帶) (104, 105)를 구동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제3의 실시예에서는 예를 들면 붐(102)과 버킷(100)의 복합조작에서, 액튜에이터 (19)(버킷실린더)를 릴리프시키면서 액튜에이터(21)(붐실린더)로 붐(102)을 구동할 때, 버킷실린더 (19)가 고압측, 붐실린더(21)가 저압측으로 되나, 제1 및 제2의 압력신호전달라인(52,53)에는 같은 고압측의 버킷 실린더( 19)의 부하압이 도입되고, 제1 및 제2의 토출량제어장치 (30a,30b) 및 압력제어 밸브 (13a,13b,15b) 는 제1의 실시예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작동한다.
또, 제1의 유압펌프(25a)에 연락되는 밸브장치(51B)의 유량제어밸브(12a)와 방향제어밸브(9)와의 사이에는 압력제어밸브가 배설되어 있지 않다. 그러므로, 제1의 유압펌프(25a)의 압유의 대부분은 유량제어밸브(12a) 및 제3의 방향제어밸브(9)를 통해 붐실린더(21)에 공급되는 동시에, 제1의 유압펌프(25a)의 토출압은 높아지지 않고, 입력 토크제한제어용의 서보밸브(59)는 거의 작동하지 않으므로, 충분한 토출량을 확보할 수 있고, 이리하여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저부하압의 붐실린더(21)에 충분한 유량을 공급할 수 있어서,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붐실린더(21)를 저부하압으로 단독구동하고 있는 상태에서 버킷실린더 (19)가 고부하압으로 되는 양 실린더 (19.21)의 복합구동으로 이행할 때는, 제1의 유압펌프(25a)에 연락되는 밸브장치 (51B)의 유량제어밸브(12a)와 방향제어밸브(9)와의 사이에는 압력제어밸브를 배치하지 않았으므로, 제1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붐실린더(21)에 공급되는 유량의 과동적인 저하가 방지되어,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1 및 제2의 압력신호전달라인(52,53)을 별개로 배설하였으며, 밸브장치 (71,72,73)를 그 한쪽의 압력신호 전달라인에만 접속하고 있으므로, 제1 및 제2의 압력신호전달라인(52,53)을 통해 제1 및 제2의 토출량제어장치 (30a,30b) 및 관련되는 압력 제어밸브에 상이한 부하압을 도입하여, 그들을 구동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액튜에이터(23) (우주행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대(104)가 평탄지를 주행하고, 액튜에이터 (24) (좌주행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이대(105)가 경사지를 주행함으로써 본체가 약간 기울어진 상태로 주행하면서, 토사의 굴삭을 위해 액튜에이터 (19) (버킷실린더)를 조작하는 주행과 버킷의 복합조작을 생각한다.
이와 같은 복합조작의 실시중에는 좌주행모터(24)의 부하압은 우주행모터(23)의 부하압보다 높아진다. 또, 버킷 실린더 (19)의 부하압이 가장 낮다고 가정한다.
이와 같은 경우, 제1의 압력신호전달라인(52)에는 그것이 접속된 밸브장치에 관련된 액튜에이터의 부하압중 가장 높은 압력인 우주행모터(23)의 부하압이 도입되고, 제2의 압력신호전달라인(53)에는 그것이 접속된 밸브장치에 관한 액튜에이터의 부하압중 가장 높은 압력인 좌주행모터(24)의 부하압이 도입된다. 그러므로, 제1의 토출량제어장치 (30a)에는 좌주행모터(24)의 부하압보다 낮은 우주행모터(23)의 부하압이 도입되어 제1의 토출량제어장치(30a)는 그 부하압으로 구동되는 한편, 제2의 토출량제어장치 (30b)에는 좌 주행모터(24)의 부하압이 도입되어 제2의 토출량제어장치( 30b)는 그 부하압으로 구동된다. 또, 압력제어밸브(13a,88)와 압력제어밸브(91a)의 구동부에도 그 상이한 부하압이 도입되고, 이들 압력제어밸브는 그 상이한 압력으로 구동된다.
그 결과, 제1의 유압펌프(25a)의 토출압은 좌주행모터(24)의 부하압보다 낮은 우주행모터(23)의 부하압 보다 약간 높은 정도의 비교적 낮은 토출압으로 족하며, 제1의 유압펌프(25)의 효율이 향상되고, 당해 유압펌프를 구동하는 원동기(25c)의 연비를 저감시킬 수 있다.
또, 펌프토출압이 낮으므로, 제1의 실시예에서 제3도에 따라서 설명한 바와 같이, 입력토크제한제어용의 서보밸브(59)의 작동에 의한 펌프토출량의 저감이 적어져서,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25a,25b)의 토출압이 함께 높아지는 경우에 비해 큰 유량을 붐실린더(19)에 공급할 수 있다. 이로써, 봄실린더(19)의 작동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고,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봄실린더(19)의 유량을 제어하는 유량제어밸브(l1a)의 하류압을 제어하는 압력제어밸브(13a)는 우주행모터(23)의 부하압에 따라 구동하므로, 좌주행모터(24)의 부하압에 따라 구동되므로 경우에 비해 그 스로틀량이 적어진다. 그러므로, 압력제어밸브(13a)에 있어서의 압력손실을 적게 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열의 발생을 억제할 수 있고, 회로의 히트밸런드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회로에 흐르는 작동유의 승온에 의한 열화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예 4]
본 발명의 제4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9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도면중 제1도에 도시한 부재와 동등한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인다.
제9도에 있어서, 본 실시예의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는 밸브장치(50c,51)를 가지며, 밸브장치(50c)에 있어서, 제2의 유압펌프(25b)에 연락되는 제2의 유량제어밸브(1b)와 방향제어밸브(7)와의 사이에는 압력 제어밸브를 배설하지 않았다. 즉, 제2의 유압펌프(25b)는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 및 제1의 방향제어밸브(7)를 통해 제2의 유량 제어밸브(11b)의 하류에 압력제어밸브를 배설하지 않고, 제1의 액튜에이터( 19)에 접속되어 있다.
또, 제1의 액튜에이터(19)와 제2의 액튜에이터(21)는 작업형태의 변화에 따라 부하압의 크기의 관계가 변할 수 있는 액튜에이터이다.
기타의 구성은 전술한 제1의 실시예와 같다.
이와 같이 구성되어 있는 제4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의 액튜에이터(19)의 부하압이 제2의 액튜에이터(21)의 부하압보다 큰 경우의 동작은 제1의 실시예와 실질적으로 같다.
즉, 구동될 때의 제1의 액튜에이터(19)의 부하압 및 제2의 액튜에이터(21)의 부하압을 각각 200bar, 100bar로 하여, 이들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19,21)의 복합구동을 행한 경우에는, 제1의 토출량 제어장치(30a) 및 제2의 토출량제어장치(30b)에는 압력신호전달라인(52)를 통해 200bar의 부하압이 도입되어서,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25a,25b)의 토출압은 200bar 보다 높은 일정압력, 예를 들면 220bar로 되도록 제어된다. 단, 제1의 실시예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의 유압펌프(25a)에 연락되는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와 제2의 방향제어밸브(9)와의 사이에는 압력제어밸브를 배설하지 않았으므로,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의 조작량이 큰 경우에는, 제1의 유압펌프(25a)의 토출압은 220bar까지 상승하지 않고, 그 조작량에 따른, 에를 들면 140bar 정도의 압력으로 된다.
또, 제1의 압력제어밸브(13a)의 구동분 및 제3의 압력제어밸브(15b)의 구동부에도 각각 압력신호전달라인(52)을 통해 200bar의 부하압이 도입되고, 제1의 압력제어밸브(13a) 및 제3의 압력제어밸브(15b)의 싱류압, 즉 제1의 유량제어밸브(11a)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12b)의 하류압은 제1의 액튜에이터 (19)의 부하압 200bar과 같아진다. 또,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의 하류에는 압력제어밸브는 배설되어 있지 않으나,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의 하류압은 당연히 제1의 액튜에이터(19)의 부하압 200bar와 같아진다. 한편,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12b)의 상류압은 제2의 유압펌프(25b)의 토출압, 즉 220bar로 같다. 이로써,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12b)의 전후차압은 같아지고, 제1의 방향제어밸브 (7)를 통해 제1의 액튜에이터(19)에, 또 제2의 방향제어밸브(9)를 통해 제2의 액튜에이터 (21)에, 유압펌프(25b)로부터의 압유가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12b)의 개도비에 따라 분류되어 공급된다.
한편, 제1의 유압펌프(25a)에 연락되는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와 제2의 방향제어밸브(9)와의 사이에는 압력제어밸브를 배설하지 않았으므로,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의 조작량비 큰 경우에는 제1의 유압펌프(21a)의 압유의 대부분은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 및 제2의 방향제어밸브(9)를 통해 제2의 액튜에이터(21)에 공급된다.
또, 제1의 유압펌프(25a)의 토출압은 140bar 정도까지밖에 상승하지 않으므로, 제1의 토출량제어장치(30a)에 내장되는 입력토크제한 제어용의 서보밸브(59) (제2도 참조)는 작동하지 않든가, 작동했다고 해도 그 작동량은 근소하며, 제1의 유압펌프(25a)는 충분한 토출량을 유지할 수 있다. 즉, 저부하압의 제2의 액튜에이터(21)에 충분한 유량을 공급할 수 있다.
따라서, 복합구동시의 작업능률의 향상 등 제1의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상기 복합구동에 의한 작업중에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19,21) 사이의 부하압의 크기가 역전되어 서, 제2의 액튜에이터(21)의 부하압이 제1의 액튜에이터의 부하압보다 높아졌다고 해도, 상기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하여 저압측의 제1의 액튜에이터 (19)에 충분한 유량을 공급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19,21) 사이의 부하압의 크기가 역전된 후의 제1의 액튜에이터 (19)의 부하압 및 제2의 액튜에이터(21)의 부하압을 각각 100bar, 200bar라고 하면, 제1의 토출량제어장치(30a)및 제2의 토출량제어장치(30b)에는 압력신호전달라인(52)을 통해 200bar의 부하압이 도입되어서,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 25a,25b)의 토출압은 200bar 보다 높은 일정압력, 예를들면 220bar로 되도록 제어된다.
또, 이 경우에도 제2의 유압펌프(25b)에 연락되는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와 제1의 방향제어밸브(7)와의 사이에는 압력제어밸브를 배설하지 않았으므로,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의 조작량이 큰 경우에는 제2의 유압제어밸브(11b)의 조작량이 큰 경우에는 제2의 유압펌프(25b)의 토출입은 220bar까지 상승하지 않고, 그 조작량에 따른, 예를들면 140bar 정도의 압력으로 된다.
또 제1의 압력제어밸브(13a)의 구동부 및 제3의 압력제어밸브(15b)의 구동부에도 각각 압력신호전달라인(52)을 통해 200bar와 부하압이 도입되고, 제1의 압력제어밸브(13a) 및 제3의 압력제어밸브(15b)의 상류압, 즉 제1의 유량제어밸브(11a)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12b)의 하류압은 제1의 액튜에이터(19)의 부하압 200bar과 같아진다. 또,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의 하류에는 압력제어밸브는 배설되어 있지 않으나,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의 하류압은 당연히 제2의 액튜에이터(21)의 부하압 200bar와 같아진다. 한편, 제 1의 유량제어밸브(11a) 및 제3의 유량세어밸브(12a)의 상류압은 제1의 유압펌프(25a)의 토출압, 즉 220bar로 같다. 이로써, 제1의 유량제어밸브(11a) 및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의 전후차압은 같아지고, 제1의 방향제어밸브 (7)를 통해 제1의 액튜에이터 (19)에, 또 제2의 방향제어밸브(9)를 통헤 제2의 액튜에이터(21)에, 유압펌프(25b)로부터의 압유가 제1의 유량제어밸브(l1a) 및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의 개도비에 따라 분류되어 공급된다.
한편, 제2의 유압펌프(25b)에 연락되는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와 제1의 방향제어밸브(7)와의 사이에는 압력제어벨브를 배설하지 않았으므로,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의 조작량이 큰 경우에는 제2의 유압팜프(25b)의 압유의 대부분은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 및 제1의 방향제어밸브(7)를 통해 제1의 액튜에이터(19)에 공급된다.
또, 제2의 유압펌프(25b)의 토출압은 140bar 정도까지 밖에 상승하지 않으므로, 제2의 토출량제어장치(30b)에 내장되는 입력토크제한 제어용의 서보밸브(59) (제2도 참조)는 작동하지 않든가, 작동했다고 해도 그 작동량은 근소하며, 제2의 유압펌프(25b)는 충분한 토출량을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의 액튜에티어(19,21)의 부하의 크기가 역전된 경우에도, 저부하압의 제1의 액튜에이터(19)에 충분한 유량을 공급할 수 있고, 이들 액튜에이터(1 9,21)를 통해 행해지는 도시하지 않은 작업기의 작동효율의 향상, 즉 작업기의 의해 행해지는 작업의 능률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 제2의 유압펌프(25b)의 압류를 압력제어밸브를 개재시키지 않고 제1의 액튜에이터(19)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압력제어밸브를 배설하는 것에 의한 압력손실을 억제할 수 있고, 열의 발생을 억제하여 회로의 히트밸런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2의 유압펌프(25b)의 에너지손실을 억제할 수 있어서, 원동기 (25c)의 연비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제2의 액튜에이터(21)가 저부하측의 액튜에이터인 경우에 있어서, 제2의 액튜에이터(21)의 단독 구동으로부터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복합구동으로, 이행할때에는, 제1의 유압펌프(25a)에 연락되는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와 제3의 방향제어밸브(9a)와의 사이에는 압력제어밸브를 배설하고 있지 않으므로, 저부하압의 제2의 액튜에이터(21)에 공급되는 유량의 과도적인 저하가 방지되고, 제2의 액튜에이터( 21)의 작동속도의 저하가 방지된다.
또, 제1의 액튜에이터(19)가 저부하측의 액튜에이터인 경우에 있어서, 제1의 액튜에이터(19)의 단독구동에서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복합구동으로 이행할때에는, 제2의 유압펌프(25b)에 연락되는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와 방향제어밸브(7)와의 사이에는 압력제어밸브를 배설하고 있지 않으므로, 자부하압의 제1의 액튜에이터( 19)에 공급되는 유량의 과도적인 저하가 방지되고, 제1의 액튜에이터(19)의 작동속도의 저하가 방지된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의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동시에,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 (19,21)의 부하의 크기가 역전된 경우에도, 복합구동시 및 저부하압의 액튜에이터의 단독구동에서 복합구동에의 이행시에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기타의 실시예]
본 발명의 제5도의 실시예에 대하여 제10도에 따라서, 제6의 실시예에 대해서 제11도 및 제12도에 따라서 설명한다. 제10도에 있어서, 제1도 및 제4도에 도시한 부재와 동등한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인다.
또, 제11도 및 제12도에 있어서, 제1도,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부재와 동등한 부재에는 같은 부호를 붙인다.
제10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5도의 실시예는 제4도에 도시한 제2의 실비예에 제9도에 도시한 제4의 실시예의 생각을 적용한 것이며, 제1의 액튜에이터(19)에 관련된 밸브장치(50D)에 있어서, 제2의 유압펌프(25b)에 연락되는 제2의 유량제어밸브( 11b)와 방향제어밸브(7b)와의 사이에는 제4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압력제어밸브를 배설하지 않는다. 즉, 제2의 유압펌프(25b)는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 및 제1의 방향제어밸브(7b)를 통해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의 하류에 압력제어밸브를 배설하지 않고, 제1의 액튜에이터(19)에 접속되어 있다. 기타의 구성은 제2의 실시예와 같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19,21)의 부하의 크기가 역전된 역우에도, 복합구동시 및 저부하압의 액튜에이터의 단독구동에서 복합구동에의 이행시에 제2의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또, 제11도 및 제12도에 도시한 본 발명의 제6의 실시예는 제5도 및 제6도에 도시한 제3의 실시예에 제4의 실시예의 생각을 적용한 것이며, 붐시린더인 액튜에이터(1 9)에 관한 밸브장치 (50E)에 있어서, 제2의 유압펌프(25b)에 연락되는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와 방향제어밸브(7)와의 사이에는 제4의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압력제어밸브를 배설하지 않는다. 즉, 제2의 유압펌프(25b)는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 및 제1의 방향제어밸브(7)를 통해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의 하류에 압력제어밸브를 배설하지 않고, 제1의 액튜에이터(19)에 접속되어 있다. 기타의 구성은 제3의 실시예와 같다.
본 실시예에 의하면, 버킷실린더 (19)와 붐실린더(21)의 부하의 크기가 역전된 경우에도, 복합구동시 및 저부하압의 액튜에이터의 단독 구동에서 복합구동으로 이행할때에 제3의 실시예와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펌프제어수단으로서 핌프토출압력이 부하압보다 일정압력 높아지도록 펌프토출량을 제어하는 퍼프토출량장치(30a) 또는 (30b)에 대하여 설명하였으나, 펌프제어수단은 펌프토출압이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19,21)의 부하압중 높은 쪽의 압력보다 높아지도록 제어하는 것이면, 그 이외의 것이라도 된다. 예를들면, 그 이외의 펌프제어수단으로서, 언로드밸브를 사용하여 펌프토출압을 직접 제어 하는 것, 조작레버의 조작량을 입력하여 펌프토출량을 제어하는 것이 있다. 이와 같은 펌프제어수단을 사용한 경우에도, 본 발명을 적용하여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은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저부하압의 제2의 액튜에이터의 단독구동에서 고부하압의 제 1의 액튜에이터의 저부하압의 제2의 액튜에이터의 복합구동으로 이행할때의 저부하압의 제2의 액튜에이터에 공급되는 유량의 과도적인 저하를 방지하여, 작업능률의 향상을 실현할 수 있다.
또, 복합구동시에 저압측의 액튜에이터에 충분한 유량의 압유를 공급할 수 있으며, 이로써 당해 복합구동시의 작업능률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1의 유압펌프의 압유를 압력제어밸브를 개재시키지 않고 제2의 액튜에이터에 공급하도록 되어 있으므로, 이와 같은 압력제어밸브를 배설하는 것에 의한 압력손실을 억제할 수 있고 열의 발생을 억제하여 회로의 히트밸런스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 제1의 유압펌프의 에너지손실을 억제할 수 있고, 이 제1의 유압펌프를 구동하는 원동기의 연비저감을 도모할 수 있다.
또,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부하의 크기가 역전된 경우에도, 복합구동시 및 저부하압의 액튜에이터에서 복합구동으로 이행할때에 상기의 효과를 얻을 수 있다.

Claims (6)

  1. 최소한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25a,25b)와, 이들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로부터 공급되는 압유에 의해 구동되는 최소한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19,21)와, 상기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와 상기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사이에 각각 배치되고,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작도을 선택적으로 제어하는 제1 및 제2의 밸브장치(50,51)와, 상기 제1 및 제2의 유압펌프의 토출압이 상기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부하압중 높은 쪽의 압력보다 높아지도록 각각 제어하는 제1 및 제2의 펌프제어수단(30a,30b)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밸브장치는 각각 제1 및 제2의 유량제어수단(l1a, l1b,12a,12b), 제1 및 제2의 압력 제어수단(13a,13b,15b), 제1 및 제2의 방향제어수단이 이 순으로 배치되어 있으며, 또한 상기 제1 및 제2의 액튜에이터의 부하압중 높은 쪽의 압력을 압력신호로서 상기 제1 및 제2의 압력제어수단에 도입하는 압력 신호전달라인(52)을 구비하고, 상기 제1 및 제2의 압력제어수단은 상기 압력신호에 따라 작동하여 각각 제1 및 제2의 유량제어밸브수단의 하류압을 제어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유량제어수단은 제1 및 제2의 유량제어밸브(l1a, l1b)와, 이 제1 및 제2의 유량제어밸브를 상기 제1의 방향제어수단(7)에 연동시키는 제1의 연동수단(54,55)을 가지며, 상기 제2의 유량제어밸브는 제3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12a, 12b)와, 이 제3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를 상기 제2의 방향제어수단(9)에 연동시키는 제2의 연동수단(56,57)을 가지고, 상기 제1의 압력제어수단은 상기 압력신호에 따라 폐쇄방향으로 작동하는 최소한 제1의 압력제어밸브(13a)를 가지며, 상기 제2의 압력제어수단은 상기 압력신호에 따라 폐쇄방향으로 작동하는 제2의 압력제어밸브(15b)만을 가지고, 상기 제1의 유압펌프(25a)는 상기 제1의 유량제어밸브(11a), 상기 제1의 압력제어밸브(13a) 및 상기 제1의 방향제어수단(7)을 통해 제1의 액튜에이터 (19)에 접속되고, 상기 제2의 유압펌프(25b)는 상기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 및 상기 제1의 방향제어수단(7)을 통해 상기 제1의 액튜에이터(19)에 접속되는 동시에, 상기 제1의 유압펌프(25a)는 상기 제3의 유량제어밸브(12a) 및 상기 제2의 방향제어수단(9)을 통해서, 압력제어밸브를 통하지 않고 상기 제2의 액튜에이터(21)에 상기 제1의 액튜에이터 (19)와 병렬로 접속되고, 상기 제2의 유압펌프(25b)는 상기 제4의 유량제어밸브(12 b), 상기 제2의 압력제어밸브(15b) 및 상기 제2의 방향제어수단(9)을 통해 상기 제2의 액튜에이터(21)에 상기 제1의 액튜에이터(19)와 병렬로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압력제어수단은 상기 압력신호에 따라 폐쇄방향으로 작동하는 제3의 압력제어밸브(13b)를 더 가지고, 상기 제2의 유압펌프(25b)는 상기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 상기 제3의 압력제어밸브(13b) 및 상기 제1의 방향제어수단(7)을 통해 상기 제1의 액튜에이터 (19)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의 압력제어수단은 상기 제1의 압력 제어밸브(13a)만을 가지고, 상기 제2의 유압펌프(25b)는 상기 제2의 유량제어밸브(11b) 및 상기 제1의 방향제어수단(7)을 통해서, 압력제어밸브를 통하지 않고 상기 제1의 액튜에이터 (19)에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유량제어밸브(11a, 11b)의 하류측은 상기 제1의 유압펌프(25a)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와 상기 제2의 유압펌프(25b)로부터 토출되는 압유가 상기 제1의 압력제어 밸브(13a)와 상기 제1의 방향제어수단(7)과의 시이에서 합류하도록 접속되고, 상기 제3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 (12a,12b)의 하류측은 상기 제1의 유압펌프(25a)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와 상기 제2의 유압펌프(25b)로부터 토출되는 압유가 상기 제2의 압력제어밸브(15b)와 상기 제2의 방향제어수단(9)과의 사이에서 합류하도록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유량제어밸브(11a, 11b)의 하류측은 상기 제1의 유압펌프(25a)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와 상기 제2의 유압펌프(25b)로부터 토출되는 압유가 상기 제1의 방향제어수단(7a.7b)과 상기 제1의 액튜에이터(19)와의 사이에서 합류하도록 접속되고, 상기 제3 및 제4의 유량제어밸브 (12a,12b)의 하류측은 상기 제1의 유압펌프(25a)로부터 토출되는 압유와 상기 제2의 유압펌프(25b)로부터 토출되는 압유가 상기 제2의 방향제어수단(9a,9b)가 상기 제2의 액튜에이터(21)와의 사이에서 합류하도록 접속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의 펌프제어수단은 각각 상기 제1의 유압펌프( 25)의 토출압이 상기 압력신호보다 높아지도록 그 토출량을 제어하는 제1의 토출량제어수단(30a)과, 상기 제2의 유압펌프(25b)의 토출압이 상기 압력신호보다 높아지도록 그 토출량을 제어하는 제2의 토출량제어수단(30b)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KR1019930701538A 1991-12-24 1992-12-22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KR96000057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34136791 1991-12-24
JP91-341,367 1991-12-24
JP91-341,369 1991-12-24
JP34136991 1991-12-24
PCT/JP1992/001676 WO1993013271A1 (en) 1991-12-24 1992-12-22 Hydraulic driving apparatus for construction machine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703542A KR930703542A (ko) 1993-11-30
KR960000576B1 true KR960000576B1 (ko) 1996-01-09

Family

ID=265769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30701538A KR960000576B1 (ko) 1991-12-24 1992-12-22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5392539A (ko)
EP (1) EP0572678B1 (ko)
JP (1) JP3126983B2 (ko)
KR (1) KR960000576B1 (ko)
DE (1) DE69218180T2 (ko)
WO (1) WO1993013271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784B1 (ko) * 2008-12-04 2013-08-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키드로더 유량 합류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638690B1 (en) * 1993-02-09 1999-09-0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Co., Ltd. Hydraulic driving device for a construction machine
KR100212646B1 (ko) * 1994-10-29 1999-08-02 토니헬샴 액츄에이터 조작신호 감지장치
JP3679848B2 (ja) * 1995-12-27 2005-08-03 日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作業範囲制限制御装置
US5722190A (en) * 1996-03-15 1998-03-03 The Gradall Company Priority biased load sense hydraulic system for hydraulic excavators
US6018895A (en) * 1996-03-28 2000-02-01 Clark Equipment Company Valve stack in a mini-excavator directing fluid under pressure from multiple pumps to actuable elements
JPH11166248A (ja) * 1997-12-05 1999-06-22 Komatsu Ltd 油圧駆動式作業車両
JP4111286B2 (ja) * 1998-06-30 2008-07-02 コベルコ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の走行制御方法及び同装置
US6356829B1 (en) 1999-08-02 2002-03-12 Case Corporation Unified control of a work implement
JP3622142B2 (ja) * 1999-08-04 2005-02-23 新キャタピラー三菱株式会社 作業機械の作業腕制御装置
JP4290861B2 (ja) * 2000-07-28 2009-07-08 コベルコクレーン株式会社 クレーンの油圧回路
JP5301601B2 (ja) * 2011-03-31 2013-09-25 住友建機株式会社 建設機械
WO2013146420A1 (ja) * 2012-03-29 2013-10-03 カヤバ工業株式会社 パワーショベルの制御弁装置
CN104405003B (zh) * 2014-10-28 2017-01-25 上海华兴数字科技有限公司 泵阀同步控制***
CN105065351A (zh) * 2015-07-15 2015-11-18 沙洲职业工学院 一种液压控制***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987624A (en) * 1973-06-18 1976-10-26 Cooke George H Hydraulic drive control system
US3981618A (en) * 1975-02-14 1976-09-21 Grumman Aerospace Corporation Method and apparatus for preventing pump cavitation
SE396239B (sv) * 1976-02-05 1977-09-12 Hytec Ab Metod och anordning for reglering av den effekt som tillfors ett hydrauliskt, ett pneumatiskt eller ett hydraulpneumatiskt system
US4330238A (en) * 1980-03-04 1982-05-18 The United States Of America As Represented By The Secretary Of The Navy Automatic actuator for variable speed pump
US4561824A (en) * 1981-03-03 1985-12-31 Hitachi, Ltd. Hydraulic drive system for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machinery
DE3321483A1 (de) * 1983-06-14 1984-12-20 Linde Ag, 6200 Wiesbaden Hydraulische einrichtung mit einer pumpe und mindestens zwei von dieser beaufschlagten verbrauchern hydraulischer energie
DE3321484A1 (de) * 1983-06-14 1984-12-20 Linde Ag, 6200 Wiesbaden Hydraulische anlage mit zwei verbrauchern hydraulischer energie
CA1246425A (en) * 1984-02-13 1988-12-13 Raud A. Wilke Post-pressure-compensated unitary hydraulic valve
US4534707A (en) * 1984-05-14 1985-08-13 Caterpillar Tractor Co. Hydrostatic vehicle control
US4742676A (en) * 1984-12-24 1988-05-10 Linde Aktiengesellschaft Reversible hydrostatic transmission pump with drive engine speed control
DE3716200C2 (de) * 1987-05-14 1997-08-28 Linde Ag Steuer- und Regeleinrichtung für ein hydrostatisches Antriebsaggregat und Verfahren zum Betreiben eines solchen
EP0681067A3 (en) * 1988-11-22 1996-02-14 Komatsu Mfg Co Ltd Method and device for automating a routine workflow of an electronically controlled hydraulic construction machine.
DE69004789T3 (de) * 1989-01-18 1997-12-18 Hitachi Construction Machinery Hydraulische antriebseinheit für baumaschinen.
JPH02248705A (ja) * 1989-03-22 1990-10-04 Komatsu Ltd 油圧回路
US5081838A (en) * 1989-03-28 1992-01-21 Kabushiki Kaisha Kobe Seiko Sho Hydraulic circuit with variable relief valves
US5065326A (en) * 1989-08-17 1991-11-12 Caterpillar, Inc. Automatic excavation control system and method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99784B1 (ko) * 2008-12-04 2013-08-23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스키드로더 유량 합류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3126983B2 (ja) 2001-01-22
EP0572678A1 (en) 1993-12-08
KR930703542A (ko) 1993-11-30
EP0572678B1 (en) 1997-03-12
DE69218180T2 (de) 1997-09-04
EP0572678A4 (ko) 1994-04-27
US5392539A (en) 1995-02-28
WO1993013271A1 (en) 1993-07-08
DE69218180D1 (de) 1997-04-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60000576B1 (ko)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US9080310B2 (en) Closed-loop hydraulic system having regeneration configuration
AU2003261824B2 (en) Hydraulic driving system of construction machinery
KR100225391B1 (ko) 유압셔블의 유압회로
US5940997A (en) Hydraulic circuit system for hydraulic working machine
US7305821B2 (en) Hydraulic control apparatus
JP6200498B2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JP3497947B2 (ja) 油圧駆動装置
EP1847654A2 (en) Straight traveling hydraulic circuit
US20060230752A1 (en) Hydraulic drive control device
US4476679A (en) Civil engineering and construction machinery with hydraulic drive system
JP3891893B2 (ja) 油圧駆動装置
JP2799045B2 (ja) クレーン用油圧回路
JP4732625B2 (ja) 建設機械の油圧制御装置
JP3898167B2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JP2866238B2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JP2716607B2 (ja) 建設機械の油圧回路
KR200257578Y1 (ko) 굴삭기의붐작동용유량제어장치
JPH02125034A (ja) 土木・建設機械の油圧駆動装置
JPH1018357A (ja) 油圧機械の油圧再生回路
JPH05287775A (ja) 土木・建設機械の油圧回路
JPH06221303A (ja) 建機の油圧回路構造
JP2011236971A (ja) 作業機械の油圧システム
KR920006661B1 (ko) 건설기계의 유압구동장치
JPH07190003A (ja) 建設機械の油圧駆動回路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80102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