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14761B1 - 시트경사조절장치 - Google Patents

시트경사조절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14761B1
KR950014761B1 KR1019920701392A KR920701392A KR950014761B1 KR 950014761 B1 KR950014761 B1 KR 950014761B1 KR 1019920701392 A KR1019920701392 A KR 1019920701392A KR 920701392 A KR920701392 A KR 920701392A KR 950014761 B1 KR950014761 B1 KR 95001476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t
pair
base plate
teeth
a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7013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20702960A (ko
Inventor
이사오 이께가야
미쮸지 야마무라
Original Assignee
푸지끼꼬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베 미찌히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990113432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71552U/ja
Priority claimed from JP1990113433U external-priority patent/JPH0471553U/ja
Priority claimed from JP11343190U external-priority patent/JP2535566Y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2591U external-priority patent/JP2539521Y2/ja
Application filed by 푸지끼꼬 가부시끼가이샤, 야마베 미찌히꼬 filed Critical 푸지끼꼬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92070296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2070296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1476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1476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CCHAIRS; SOFAS; BEDS
    • A47C1/00Chair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 A47C1/02Reclining or easy chairs
    • A47C1/022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 A47C1/024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 A47C1/025Reclining or easy chairs having independently-adjustable supporting parts the parts, being the back-rest, or the back-rest and seat unit, having adjustable and lockable inclination by means of a rack-and-pinion or like gearing mechanis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N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VEHICLE PASSENGER ACCOMMODATION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N2/00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 B60N2/0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 B60N2/2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 B60N2/235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 B60N2/2352Sea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rrangement or mounting of seats in vehicles the seat or part thereof being movable, e.g. adjustable the back-rest being adjustable by gear-pawl type mechanisms with external paw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airs For Special Purposes, Such As Reclining Chairs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발명의 명칭]
시트경사조절장치
[도면의 간단한 설명]
제1도는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경사조절장치를 위한 개략적인 사시도.
제2도는 제1실시예중에 외측 시트경사조절장치의 설명을 위한 정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화살표 Ⅲ에서 보여지는 설명을 위한 측면도.
제4도는 제3도의 화살표 Ⅳ에서 보여지는 설명을 위한 측면도.
제5도는 제1실시예의 아암과 상부톱니사이의 관계를 보이는 설명을 위한 도면.
제6도는 제5도상의 Ⅳ-Ⅳ선에 따라 취해진 설명을 위한 단면도.
제7도는 제1실시예의 보강재의 설명을 위한 평면도.
제8도는 상부톱니와 하부톱니와 캠부재가 제7도에 설명되어진 보강부재에 장착되어진 상황을 보이는 설명을 위한 도면.
제9도는 제1실시예의 내측 시트경사조절장치를 설명하는 정면도.
제10도는 제9도상의 화살표 X에서 보여진 설명을 위한 측면도.
제11도는 제1실시예의 외측 시트경사조절장치의 조작설명을 위한 도면.
제12도는 제1실시예의 외측 시트경사조절장치의 조작설명을 위한 도면.
제13도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으로 댐퍼를 구비한 아암과 상부톱니사이의 관계를 보이는 도면.
제14도는 제13도의 XⅣ-XⅣ선에 따라 취해진 설명을 위한 단면도.
제15도는 제14도와 동일하며, 댐퍼 고정핀들의 코킹에 앞선 상황을 보이는 단면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댐퍼의 설명을 위한 평면도.
제17도는 제16도의 XⅦ-XⅦ선에 따라 취해진 설명을 위한 단면도.
제18도는 본 발명에 따른 제3실시예의 상부톱니와 댐퍼를 가진 아암사이의 관계를 보이는 설명을 위한 도면.
제19도는 제18도상의 XIX-XIX선에 따라 취해진 설명을 위한 단면도.
제20도는 제19도와 동일하며 댐퍼 고정핀들의 코킹에 앞선 상황을 보이는 단면도.
제21도는 제4실시예의 댐퍼의 설명을 위한 투시도.
제22도는 제4실시예의 상부톱니와 댐퍼를 가진 아암사이의 관계를 보이면서 설명을 위한 도면.
제23도는 제22도의 XXII-XXII선의 따라 취해진 설명을 위한 단면도.
제24도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따른 시트경사조절장치를 보이는 정면도.
제25도는 제24도의 XXV-XXV선을 따라 취해지고 제5실시예의 보강재와 베이스 프레이트사이의 관계를 보이는 단면도.
제26도는 제24도의 XXVI-XXVI선에 따라 취해지고 제5실시예의 보강재와 베이스 프레이트사이의 관계를 보이는 단면도.
제27도는 제5실시예의 보강재에 장착된 상부톱니와 하부톱니 작동부재의 상황을 보이면서 설명을 하는 도면.
제28도는 제5실시예의 로킹시에 로킹장치의 상황을 보이는 설명을 위한 도면.
제29도는 제5의 실시예의 로킹해제시에 로킹장치의 상황을 보이는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발명의 상세한 설명]
[기술분야]
본 발명은 자동차의 시트경사조절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한쌍의 래치형 시트경사조절장치가 시트의 좌ㆍ우측에 장착되는 시트경사조절장치에 관한 것이다.
[배경기술]
이러한 유형의 시트경사조절장치는 시트쿠션의 좌ㆍ우양측에 고정된 한쌍의 내외측의 베이스 프레이트와, 시트백의 좌ㆍ우양측에 고착되어지면서 베이스 프레이트에 장착되는 한쌍의 아암으로 구성되어 있다. 이들 시트경사조절장치는 또한 한쌍의 로킹장치를 구성하는데 이 장치는 아암에 장착되는 한쌍의 상부톱니와, 상부톱니에서 맞물려지고 이탈되는 한쌍의 하부톱니와, 하부톱니를 조작하는 한쌍의 캠부재로 구성된다. 이들 장치에서 캠부재는 베이스 프레이터 하나에 장착된 작동레버를 조작함으로 작동될 수가 있다. 이 장치는 실예로, 외측상의 베이스 프레이트에 장착된 작동레버를 조작하므로써, 내측면의 시트경사조절장치의 로킹장치가 외측의 시트경사조절장치의 로킹장치에 대하여 상호로킹되어지므로, 상부톱니에 대해 하부톱니의 로킹 및 로킹해제를 행하도록 이루어져 있다.
이 장치는 외측상의 베이스 프레이트에 장착된 조절레버의 조작을 함으로써, 내측의 시트경사조절장치의 로킹장치는 상호로킹에 의해서 외측의 시트경사조절장치의 로킹이 이루어져서 상부톱니에 대한 하부톱니의 로킹과 로킹해제를 수행한다. 이 상호로킹장치에 있어서, 외측의 작동레버는 외측의 베이스 프레이트의 배면부에 배치되고 조절레버와 함께 상호로킹되며, 내측의 작동레버는 내측의 베이스 프레이트 배면부에 배열되고 시트 전면부에 권착되어지도록 장착되어진 와이어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진다.
그러나, 상술한 종래 시트경사조절장치에서는, 시트프레임의 뒤틀림과 자동차 자체 바닥의 뒤틀림등의 원인들에 의해서 내ㆍ외측의 시트경사 조절장치사이에서 로킹시에 위상의 변동이 되는 경우가 있으며, 그래서 비록 외측의 시트경사조절장치가 로킹이 되었더라도, 내측상의 시트경사조절장치는 불완전 로킹 소위, 반 로킹이 되어진다. 이 반 로킹의 원인으로 상부톱니와, 하부톱니등의 어긋물림이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종래의 시트경사조절장치는 상부톱니와 하부톱니등의 두께를 강도를 위해서 두껍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런 이유로 무게의 증가와 가격상승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내ㆍ외측의 시트경사조절장치의 여러 부분들의 치수변화등으로 인해서, 로킹해제시에 내ㆍ외측의 시트경사조절장치사이에 위상의 변동이 생기는 경우가 있어서 장치 상호간의 동기가 이루어지지 않는다. 이런 이유로 조절레버의 조작감각을 둔화시켰다.
또한, 와이어는 외측의 베이스 프레이트의 배면부에서 시트의 정면부를 통해서 내측의 베이스 프레이트의 배면부로 뻗쳐져 있다. 그러한 와이어의 장착방식으로는 불가피하게 길이는 길어질 수 없다. 이런 까닭으로, 와이어의 당김이나 인장효율의 감퇴는 조절레버의 조작성을 둔화시키고 가격의 상승을 가져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근년에는, 자동차의 무게감소가 강력히 요구되어서 베이스 프레이트등과 같은 프레이트는 가능한 얇은 프레이트를 사용되기를 요구한다. 그렇지만, 아암에서 시트백으로 통하는 상당한 부하는 시트경사조절장치의 각 피봇들 특히, 상부톱니에 대한 이들 피봇들은 베이스 크레이트상에 견고히 장착되기를 요구한다. 이런 이유로, 각각의 베이스 프레이트의 두께는 종래의 두께보다 동일하거나 보다 동일하거나 보다 얇게 할 수가 없었다.
또한, 상부톱니를 위한 피봇들은 시트쿠션을 지지하는데 중요한데, 이 피봇들은 용접에 의해 견고히 장착되어진다. 왜냐하면, 베이스 프레이트는 얇은 두께로 되어있으며, 피봇고정부에 코킹되어 있기 때문이며 와셔들은 피봇의 두께를 증가시키도록 용접을 한다. 용접작업이 이런 방법으로 수행되는 한, 조립작업상에 용접이 첨가되어진다. 이런 이유로, 조립의 불가능하고 제조가격의 상승의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기술의 상술된 문제들을 해결하기 위해서 행해지며 시트의 좌ㆍ우양측에 장착된 한쌍의 시트경사조절장치를 로킹과 로킹해제시의 위상변동을 보정하도록 고안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내ㆍ외측의 한쌍의 시트경사조절장치의 상호로킹작용시에, 와이어가 가능한 짧게 되도록 한 시트경사조절장치를 고안한 것이다.
본 발명의 또다른 목적은 시트경사조절장치가 가능한 각 베이스 프레이트의 두께를 감소할 수가 있으며 그리고, 용접공정을 제거하도록 제안된 것이다.
[발명의 개시]
상기의 목적은 성취하기 위해,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시트 쿠션에 대해 시트백의 경사각을 조절하는 시트경사조절장치에 있어서 : 각 시트쿠션의 좌ㆍ우측상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한쌍의 베이스 프레이트와 ; 각 시트백의 좌ㆍ우측상에 견고하게 장착되고 각 베이스 프레이트에 지지되어 각이동하는 한쌍의 아암과 ; 각 아암에 의해 지지되고, 최소한 대응하는 어느 아암 하나에 소정의 각(角)만을 따라서 움직일 수가 있도록 설치된 한쌍의 상부톱니와 ; 각 베이스 프레이트에 의해 지지되어 각이동을하고 각 하부톱니에 맞물리고 이탈되는 한쌍의 하부톱니와 ; 각각의 베이스 프레이트에 지지되어 각이동하고, 각 하부톱니가 작동되도록 각 상부톱니와 맞물려지고 각 하부톱니를 이탈되도록 하는 한쌍의 캠부재와 ; 한쌍의 캠부재를 작동하는 조절레버로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라, 시트경사조절장치의 로킹시에 아암에 대해서 상부 톱니를 옮길수가 있다. 그렇게 함으로, 시트경사조절장치의 로킹시에 위상의 변동을 교정함으로 반로킹이 배제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의하면, 시트경사조절장치는 시트쿠션에 의해 시트백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시트경사조절장치에 있어서 ; 각 시트쿠션의 좌ㆍ우양측 각각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한쌍의 베이스 프레이트와 ; 각 시트백의 좌ㆍ우양측에 장착되면서 각이동되도록 각 베이스 프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한쌍의 아암과 ; 각 아암들에 의해 지지되는 한쌍의 상부톱니와 ; 각 베이스 프레이트에 의해 지지되고, 각 상부톱니에 맞물려지고 이탈하는 한쌍의 하부톱니와 ; 각이동하도록 각각의 베이스 프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며, 개별적으로 하부톱니를 작동시키기 위해 하부톱니를 상부톱니에서 맞물림과 이탈시키는 한쌍의 캠부재와 ; 좌ㆍ우양측의 캠부재의 상호로킹을 위한 연결부재와 ; 좌ㆍ우양측 캠부재의 상호동기 작동을 위한 동기구조와 ; 한쌍의 캠부재의 조작을 위한 조절레버로 구성이 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르면, 시트경사조절장치의 로킹해제시에, 위상의 변동은 시트경사조절장치의 이탈과 시트경사조절장치의 이탈의 상호동기를 위해서 교정할 수가 있다. 그렇게 함으로, 조절레버의 작동감각을 개선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서, 시트쿠션에 대해 시트백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시트경사조절장치에 있어서 ; 각 시트쿠션의 개별적으로 좌ㆍ우양측에 견고하게 장착되고, 개별적으로 안내구를 가지는 한쌍의 베이스 프레이트와 ; 각 시트백의 좌ㆍ우양측에 견과하게 장착되고 베이스 프레이트에 지지되어 각이동하는 한쌍의 아암과 ; 각 아암에 의해 지지되는 한쌍의 상부톱니와 ; 각 베이스 프레이트에 지지되어 각이동하며, 개별적으로 상부톱니에서 맞물림과 이탈되는 한쌍의 하부톱니와 ; 각 베이스 프레이트에 지지되어 각이동하고, 개별적으로 하부톱니를 작동하기 위해 상부톱니와 하부톱니가 이탈되는 한쌍의 캠부재와 ; 좌측 캠부재의 작동과 우측 캠부재의 작동에서 상호로킹시키고 안내공을 통하여 연장되는 연결부재와 ; 한쌍의 캠부재를 작동하기 위한 조절레버를 구성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가능한 시트경사조절장치를 상호 연결하기 위해서 와이어는 짧게 할 수가 있다. 그렇게 함으로, 와이어의 인장효율을 증강시켜서 조절레버의 조작성을 더 높일수가 있고, 가격을 절감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따르면, 시트쿠션에 관해서 시트백의 경사각을 조작하도록 시트경사조절장치에 있어서 ; 시트쿠션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베이스 프레이트와 ; 시트백에 견고히 장착되고 각이동하도록 베이스 프레이트에 의해 지지되는 아암과 ; 아암에 의해 지지되는 상부톱니와 ; 베이스 프레이트에 의해 지지되어 각이동하고 하부톱니와 맞물려지고 상부톱니와 이탈이 되도록 하부톱니를 조작하는 캠부재 ; 베이스 프레이트의 보강을 위해서 아암과 하부톱니와 캠부재를 지지하는 보강부재와 ; 캠부재의 작동을 위한 조절레버로 구성이 된다.
본 발명에 의해서, 작동부재의 고정부뿐만 아니라 상부톱니와 하부톱니의 각 강도는 보강재에 의해 보강되어지기 때문에, 가능한 베이스 프레이트의 두께를 감소할 수가 있다. 또한, 각각의 고정부의 두께가 증가되고 피봇에 관해서 각각의 고정부의 표면압력이 증가함으로, 여러 피봇들은 코킹작업으로 장착이 되어진다.
[발명의 최적실시 형태]
본 발명의 제1실시예에 따른 시트경사조절장치는 관련된 도면들을 참조하면서 설명할 것이다.
제1도 및 제2도상에서, 참조문자 S는 자동차 시트경사조절장치를 표시한다. 한쌍의 아암 90은 각각 베이스 프레이트 10A, 10B에 장착되고 이 베이스 프레이트는 시트의 좌ㆍ우양측에 부착된다. 베이스 프레이트 10A, 10B와 아암 90사이에 배치된 한쌍의 로킹장치는 각각 상부톱니 20와, 상기 상부톱니 20에 맞물리거나 이탈되는 하부톱니 30와, 상기 하부 톱니 30를 작동시키는 캠부재 50으로 구성된다. 반면에, 외측 베이스 프레이트 S1에 장착된 조절레버 40의 조작에 의해, 캠부재 50은 상부톱니 20에 대해서 하부톱니 30의 로킹과 로킹해제 또는 로킹이완을 수행하도록 작동한다.
외측 시트경사조절 장치 S1은 제2 내지 제8도 그리고 제11도를 참조하여 우선 설명할 것이다.
외측 베이스 프레이트 10A는 외측 시트쿠션(도시않음)의 측면부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베이스 프레이트 10A의 외면 중앙부에 보강재 80가 베이스 프레이트 10A와 중첩되어 배열된다. 제1피봇 21은 베이스 프레이트 10A와 보강재 80에 장착된다. 제1피봇 21에는 그의 끝단부에 활형톱니 20a가 형성된 상부톱니 20가 장착되어진다. 외측 시트백(도시않음)의 측면부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아암 90은 상부톱니 20와 중첩되어 배치된다. 아암 90의 하부에는 삽입공 90a이 형성된다. 이 삽입공 90a을 제1피봇 21에 끼운다. 또한, 아암 90은 삽입공 90a의 근방에 버링가공된 플랜지 90b를 끼우면 양측에 고정공 90c, 90d가 형성된 플랜지부 90b을 상부톱니 20에 형성된 관통공 20b에 소정의 갭 a를 유지하면서 삽입한다.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등으로 형성된 댐퍼 22로 갭 a를 메운다. 또한, 고정공 90c, 90d에는 아암상의 상부톱니 20을 고정시키기 위해서 플랜지가 형성된 한 쌍의 고정핀 23가 견고하게 장착된다. 고정핀 23은 갭 b를 가지면서 상부톱니 20에 형성된 한쌍의 관통공 20c, 20d에 각각 삽입된다. 그렇게 함으로 상부톱니 20은 아암 90에 대해 실질적으로 1/2의 톱니간격만큼 각이동 하도록 장착되어 상부톱니 20은 댐퍼 22에 의해 중립적 위치에 유지될 수가 있다.
하부톱니 30의 톱니 30a은 상부톱니 20의 톱니 20a와 맞물려진다. 하부톱니 30은 베이스 프레이트 10A와 보강재 80에 장착된 제2피봇 31에 장착된다. 또한, 하부톱니 30은 톱니 30a와 마주하는 하부톱니 30의 끝단부 상에 있는 한쌍의 돌출부 30c, 30d와, 한쌍의 돌출부 30c, 30d사이에 위치한 오목부 30b로 이루어진다. 오목부 30b와 돌출부 30c, 30d에서 결합되고 분리되는 캠부재 50은 베이스 프레이트 10A와 보강재 80에 장착된 제3피봇 51으로 고정된다. 또한, 캠부재 50은 인장스프링 52에 의해 제2와 제11도상에 화살표 A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그리고, 연결핀 53은 캠부재 50의 자유단 측면에 장착된다. 외측 작동레버 60A은 제3피봇 51에 장착된다. 이 작동레버 60A의 하나의 자유단측에 형성된 제3피봇 51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활형슬롯 60a에 캠부재 50이 장착된 연결핀 53이 끼워진다. 또한, 작동레버 60A는 추후 설명될 인당스프링 43의 힘에 의해 제2도와 제11도의 화살표 A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연결핀 61A의 한쪽 자유단에 장착된다.
제1, 제2 및 제3의 피봇 21,31,51에는 상부톱니 20, 하부톱니 30 및 작동레버 60A를 끼우기 위하여 외측지지대 100A가 고정되어 있고, 이 지지대 100A에는 작동레버 60A의 연결핀 61이 삽입된 제3피봇 51의 축심을 중심으로 하는 활형슬롯 110a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나선형 스프링 91은 지지대 100A에서 돌출된 제1피봇 21에 권착된다. 나선형 스프링 91의 일측단은 제1피봇 21에 맞물리고 타단은 아암에 장착된 고정핀 92에 장착된다. 아암 90은 나선형 스프링 91에 의해 제2도의 화살표 C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상기와 관련하여, 제1, 2와 제3피봇 21, 31, 51은 각각 단부를 구비한다. 제1, 제2와 제3피봇 21, 31, 51은 보강재 80과 베이스 프레이트 10A에 대향하도록 형성된 구멍들에 끼운후 실질적으로 베이스 프레이트 10A에서 뻗어나온 부분은 코킹한다. 또한, 보강재 80과 베이스 프레이트 10A에 끼워진 제1피봇 21는 제4도에 보이는 것같이 상호 마주대하는 한쌍의 절단면 21a를 형성한다. 그렇게 함으로, 제1피봇 21은 보강재 80과 베이스 프레이트 10A에 확고하면서 안정되게 장착된다.
작동레버 60A를 통한 캠부재 50를 조작하기 위해 조절레버 40는 제2피봇 31에 장착되고, 제2도에 나타난 바와 같이 상측연장부 40a에는 연결링크 41의 일단이 핀 42에 연결피봇되고, 이 연결링크 41의 타단은 작동레버 60A의 연결핀 61A에 연결피봇되어 있다. 또한, 조절레버 40은 인장 스프링 43에 의해서 회동하도록 제2도의 화살표 D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기울어진다. 이 회동은 지지대 100A의 본체에서 절단하여 세워서 형성된 정지대 100b에 기대어진 측연장부 40b의 받침대에 의해 제한된다. 그렇게 함으로, 조절레버 40은 로킹시에 소정의 위치에 머문다.
외측 시트경사조절장치 S1과 내측 시트경사조절장치 S2를 연결하기 위한 와이어 70는 그 외측케이스 70b를 관통한 내측와이어 70a의 일단을 작동레버 60A의 타측 자유단측에 형성된 절곡부 60b에 걸어, 지지대 100A에 형성된 안내면 100C에 외측케이스 70b의 일단을 고정하며 베이스 프레이트 10A에 버링가공에 의해 형성된 안내공 10a에 삽입되는 것이다.
내측 시트경사조절장치 S2는 다음 제9, 제10과 제12도를 참조하여 아래에 설명할 것이다. 외측과 동일 또는 동등부품에는 동일부호를 부여하여 그 설명을 생략한다.
내측 상부톱니 20의 한쌍의 관통구 20c, 20d와 한쌍의 고정핀 23사이의 갭 b는 0이라 가정한다.
연결핀 61B는 제3피봇 51에 장착된 내측면의 작동레버 60B의 일측단부에 있고 이 연결핀 61B는 내측지지대 100B내에서 제3피봇 51의 중심에 형성된 슬롯 100d에 끼워진다. 또한, 작동레버 60B는 인장스프링 52의 영향으로 제9도의 화살표 E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기울어지고, 그 스프링의 양 끝단은 작동레버 60B와 지지대 100B의 다른 자유단측에 각각 맞물려진다. 그렇게됨으로, 연결핀 16B는 항상 슬롯 100d의 끝에 걸린다.
내측 베이스 프레이트 10B는 외측 베이스 프레이트 10A상의 안내공 10a와 마주 대하는 위치에 버링가공으로 안내공 10b이 형성되며, 와이어 70는 외측케이스 70b의 다른 끝단은 안내구 10a, 10b를 통해서 지지대 100B에 형성된 안내절단면 100e에 장착되고, 내측 와이어 70a는 연결핀 61B에 맞물려 배열된다.
상기와 관련하여, 내ㆍ외측상의 상부톱니 20, 20와 하부톱니 30, 30과 캠부재 50, 50은 서로 개별적으로 로킹되도록 결합되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의 작동을 아래에 설명할 것이다.
제11과 제12도는 내ㆍ외측 각각의 시트경사조절장치 S1, S2의 로킹장치가 로킹되어 있는 것을 보여준다. 캠부재 50은 인장스프링 52의 탄력에 의해 하부톱니 30상의 돌출부 30c와 압착상태에 있다. 그렇게됨으로, 하부톱니 30의 톱니 30a는 상부톱니 20의 톱니 20a와 맞물려진다. 또한, 각기 작동레버 60A, 60B의 연결핀 61A, 61B는 각 인장스프링 43, 62의 탄력에 의해 지지대 100A(제2도), 100B(제9도)상의 슬롯 100a, 100b의 끝단부에서 압착되어 진다.
이 로킹상태에서, 시트백을 기울이기 위해 로킹을 해제함에 있어서, 조절레버 40은 회동하여 제11도의 화살표 F가 가리키는 방향으로 제2피봇 31의 주위를 회동하며 움직인다. 그렇게 되면, 캡부재 50은 회동하여 인장스프링 52이 탄력에 대항하며 제11도의 제3피봇 51에 대해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여서 하부톱니 30상의 오목부 30b에 마주보는 위치에 도달한다. 또한, 캠부재 50이 회동하며 동일한 방향으로 움직이고, 돌출부 30d에 대향해서 고정될 때, 하부톱니 30은 제11도의 제2피봇 31에 대해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렇게 움직여서, 상부톱니 20의 톱니 20a과 하부톱니 30a사이의 맞물림이 해제되어서 아암 90은 나선형스프링 91의 탄력에 의해서 제11도의 제1피봇 21의 주위를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이때에, 연결링크 41은 통해서 조절레버 40과 상호로킹을 하는 작동 레버 60A가 회동하며 반시계방향으로 제11도의 제3피봇 51의 주위를 움직이기 때문에, 제2도에서 작동레버 60A에 연결된 내측 와이어 70a가 당겨져서 내측상의 작동레버 60B(제9도, 제12도)가 회동하여 시계방향으로 움직인다. 그렇게 되면, 외측과 유사하게 캠부재 50은 인장스프링 62의 탄력에 대항하며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게 되는 것이다. 상부톱니 20의 톱니 20a와 하부톱니 30의 톱니 30a의 맞물림은 해제가 된다. 그래서, 로킹의 해제가 수행되는 것이다.
이런 방식에서, 내ㆍ외측의 시트경사조절장치 S1, S2의 로킹해서는 조절레버 40의 조각으로 수행되며 실질적으로, 시트백은 승차자가 원하는 위치에 놓여지고 조절레버 40은 이완된다. 그때, 조절레버 40은 인장스프링 43, 52의 탄력에 의해서 제11도에서 설명된 위치로 되돌아간다. 이때, 캠부재 50은 연결링크 41과 작동레버 60A를 통해서 제11도상의 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하부톱니 30상의 돌출부 30c를 밀어서, 하부톱니 3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따라서, 톱니 20a와 톱니 30a는 서로 맞물려서 외측의 시트경사조절장치의 로킹을 수행한다.
반면에, 내측의 시트경사조절장치 S2의 작동레버 60B는 제12도의 인장스프링 52, 62의 탄력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왜냐하면, 외측의 작동레버 60A가 제11도에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하고 내측 와이어 70a를 이완하기 때문이다. 외측과 유사하게 캠부재 5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여 외측의 시트경사조절장치 S2의 로킹이 이루어진다.
여기서, 시트프레임의 뒤틀림, 차체바닥의 뒤틀림등에 의해 내ㆍ외측에 위상변동이 생겨서, 시트경사조절장치 S1과 S2의 어느 하나가 반 로킹상태가 되는 일이 발생될 수가 있다. 본 실시예의 경우에서는, 갭이나 빈틈 b는 외측의 상부톱니 20의 관통공 29c, 20d와 두개의 고정핀 23들 사이에 각각 설정한다. 상부톱니 20이 아암 90에 대해 거의 1/2톱니만큼 각(角) 회동하므로써 반 로킹상태를 해결한다. 그래서, 시트경사조절장치 S1, S2의 어느 쪽이든 완전 로킹상태를 가져올 수가 있다.
또한, 상기 실시예에서, 갭 b는 각각 외측의 상부톱니 20에 관통공 20c, 20d와 두개의 고정핀 23사이에 설정된다. 그러나, 갭 b는 내측에서만 설정되어도 좋다. 갭 b가 내ㆍ외양쪽에 설정되는 경우, 상기 서술된 발명은 상부톱니 20이 각 아암 10에 대해 1/4톱니만큼 회동하면 적용이 가능하다.
또한, 외측 시트경사조절장치 S1에 대해서 조절레버 40이 제11도 상에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면 연결링크 41은 좌측방향으로 움직이면서 작동레버 60A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작동레버 60A의 슬롯 60a의 우측은 캠부재 50의 연결핀 53에 접한다. 여기에서, 캠부재 50은 반시계방향으로 움직이고 로킹해제가 이루어진다.
반면에, 내측 시트경사조절장치 S2에서, 작동레버 60B는 제12도에 보이는 것같이 조절레버 40에 대해 상호로킹 관계를 가지며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작동레버 60B의 슬롯 60a 좌측은 캠부재 50의 연결핀 53에 닿으면서, 외측의 시트경사조절장치 S1과 유사하게 로킹해제된다. 즉, 각 시트 경사조절장치 S1, S2상의 작동레버 60A, 60B내부에서 각각 슬롯 60a가 캠부재 50의 연결핀 53에 닿을때 캠부재 50이 회동하면서 로킹이 해제되기 시작한다.
따라서, 로킹해제시 제2, 제3피봇 31, 51의 취부위치의 변동과 하부톱니, 상부톱니의 여러부위의 치수의 변동으로 인해서, 내ㆍ외측에서 하부톱니 30의 돌출부 30c에 대해 캠부재 50과 맞물리는 위치의 위상어긋남을 일으키며, 이 어긋남은 각 작동레버 60a, 60B상이 슬롯 60a와 각 캠부재 50의 연결핀 53들 사이의 협력작동으로 로킹해제시에 있어서, 위상어긋남을 수정할 수가 있어, 로킹해제는 상호동기로 행할 수가 있다.
또한, 내.외측의 시트경사조절장치 S1, S2에 상호연결을 위한 와이어 70는 베이스 프레이트 10A, 10B의 배면부에 형성되어진 안내공 10a, 10b를 통해 거의 일직선상에 장착된다. 따라서, 와이어는 가능한 짧게 할수가 있다. 그렇게 됨으로, 와이어 70의 인장효율을 향상시키도록 조절레버 40의 조작성을 보다 개선할 수가 있다.
또한, 각 상부톱니 20, 하부톱니 30과 캠부재 50의 축고정부들은 보강재 80에 의해 그 강도가 보강되기 때문에 베이스 프레이트 10A, 10B의 두께는 가능하다면 감소될 수가 있다. 그렇게 함으로 모든 장치의 무게를 감소시킬수가 있다. 축고정부의 두께가 증가되고 각 피복 21, 31, 51에 대해 축고정부의 표면압력이 증가되기 때문에, 피봇 21, 31, 51이 코킹공정에 의해 취부되더라도 충분한 취부강도를 확보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종래의 용접단계가 배제될 수가 있고 조립과정을 자동화를 할 수가 있어서 제조원가를 절감할 수가 있다.
상기와 연관해서, 상술한 실시예의 피봇 21, 31, 51은 각각 베이스 프레이트 10A, 10B에 코킹이 되도록 구성할 수 있지만, 피봇 21, 31, 51을 각 보강재에 직접 코킹하고, 베이스 프레이트 10A, 10B를 보강재 80에 단지 장착하여도 좋다.
상기와 관련하여 상술한 제1실시예에서, 그 장치는 플랜지 90b가 아암 90에 형성되고, 플랜지 90b은 소정의 갭 a를 가지고, 상부톱니 20에 형성된 관통공 20b에 삽입되고,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를 형성된 댐퍼22는 갭 a에 끼워지고 상부톱니 20은 댐퍼 22에 의해서 중립위치에 유지하도록 배열한다. 그러나, 이 댐퍼 22로서 차후 설명될 제2실시예(제13 내지 23도)에서 설명되어지는 댐퍼를 사용하여도 좋다.
제13도 내지 제15도는 발명에 따른 제2실시예이다. 특히, 제13도는 댐퍼를 가진 아암과 상부톱니의 관계를 보여주는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제14도는 제13도의 XVI-XVI선을 따른 설명도이다. 제15도는 제14도와 동일하며, 댐퍼 고정핀이 코킹이 되기전에 상황을 나타낸 도면이다.
제2실시예에서는, 제1실시예에서 설명한 아암 90의 플랜지 90b를 대신하여 플랜지 25a와 대 구경부 25b와 소 구경부 25c로 이루어진 댐퍼 고정핀 25이 사용된다. 소 구경부 25c는 아암 90에 형성되어진 관통공 90e에 끼워진다. 반면에 대 구경부 25b는 관통공 90e과 동심을 이루며 상부톱니 20에 형성된 관통공 20e에 소정이 갭 d으로 끼워진다. 고경도의 고무와같은 탄성부재로 형성된 댐퍼 22A가 갬 d에 끼워진다. 댐퍼 22A의 외주면은 상부톱니 20의 관통공 20e 내부에, 댐퍼 22A의 내주면은 댐퍼 고정핀 25의 대 구경부 25b에 각각 끼워진다. 또한 댐퍼 22A의 높이는 상부톱니 20의 두께보다 e가량 더 높다. 반면에 댐퍼 고정핀 25의 대 구경부 25B의 길이는 상부톱니 20의 두께와 동일하게 설정한다.
댐퍼 고정핀 25의 소 구경부 25c는 댐퍼 고정핀 25을 코킹을 하기전의 상황인 제15도로부터 제14도에 보여지는 것같이 코킹이 되어질 때, 댐퍼 22A는 댐퍼 고정핀 25의 플랜지 25a에 의해 압축되어진다. 그렇게 함으로, 댐퍼 22A에 탄성력을 가해서 상부톱니 20을 헐거움이나 틈새가 없이 중립위치를 유지시킬 수 있다.
이처럼, 상기 제2실시예에 의하면, 댐퍼 22A를 상부톱니 20의 관통공 20e와 댐퍼고정핀 25의 대 구경부 25b에 끼울때, 댐퍼 22A에 어떠한 압축력도 작용하지 않기 때문에, 댐퍼 22A를 관통구 20e와 대 구경 25b 사이에 쉽게 끼울수가 있다. 따라서, 댐퍼 22A의 부착하는 작업성을 상당히 개선시킬 수가 있다.
제16도에서 제20도는 발명의 제3의 실시예를 보여준다. 특히, 제16도는 댐퍼의 설명을 위한 평면도이다. 제17도는 제16도의 XVII-XVII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제18도는 댐퍼를 갖는 아암과 상부톱니사이의 관계를 보여주는 설명을 위한 단면도이다. 제19도는 제18도의 XⅧ-XⅧ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그리고, 제20도는 제19도와 동일하며 댐퍼 고정핀을 코킹하기 전의 상황설명을 위한 단면도이다.
제3실시예에서, 제2실시예에서 보여준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로 만들어진 댐퍼 22A를 대신하여 판스프링으로 형성된 댐퍼 22B가 사용되어 진다. 댐퍼 22B는 원통형 모습으로 구성되어지고 댐퍼의 상부외주면은 동일한 간격을 복수, 예를들면 6개의 슬릿 22a이 상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댐퍼 22B의 하부외주면은 각 슬릿 22a의 중간부에 인접하여 여섯개의 절단부 22b가 하방으로 개구되어 형성된다. 또한, 절단부 22b를 포함하는 댐퍼 22B의 하부외주면은 외측으로 굽어진 활형국곡부 22c를 형성한다.
댐퍼 22B의 내주면은 댐퍼 고정핀 25의 대 구경부 22b에 삽입되어지도록 설치되며, 댐퍼 22B의 활형굴곡부 22c는 상부톱니 20의 관통공 20e에 삽입된다. 또한, 댐퍼 22B의 높이는 상부톱니 20의 두께보다 h만큼 높도록 만들어진다.
댐퍼 고정핀 25의 소 구경부 25c는 제20도에 보여진 댐퍼 고정핀 25의 코킹을 하기전의 상황에서 제19도에 보여진 것과 같이 코킹이 되어질때, 댐퍼 22B는 댐퍼 고정핀 25의 플랜지 25에 의해 압축되어진다. 제3실시예의 장점들은 제2실시예의 장점들과 유사하여 그들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제21도 내지 제23도는 발명의 제4실시예를 보여준다. 특히, 제21도는 댐퍼 설명을 위한 사시도이다. 제22도는 댐퍼를 가진 아암과 상부톱니사이의 관계를 보이는 설명을 위한 도면이다. 그리고, 제23도는 제22도의 XXII-XXII선을 따라 취해진 설명을 위한 단면도이다.
제4실시예에서, 판스프링을 형성한 댐퍼 22C는 제3실시예에서 보여준 배열과 동일하게, U자형으로 구성된 기저부 22d와 기저부 22d의 양끝단에서 역 U자형을 형성한 한쌍의 굴곡부 22e로 구성되어진다. 기저부 22d는 댐퍼 고정핀 25의 대 구경부 25b에 삽입되어지는 한편, 굴곡부 22e는 상부톱니 20의 관통공 20e에 탄력적으로 끼워진다. 또한, 댐퍼 22C의 높이는 상부톱니 20의 두께와 같거나 조금 적게 설정한다.
제23도에 보여지는 것과같이, 댐퍼 고정핀 25의 소 구경부 25c를 코킹하므로서 상부톱니 20은 댐퍼 22C의 탄성력에 의해서 틈새없이 중립위치에 유지된다.
상기 제4실시예를 따르면, 댐퍼 고정핀 25의 대 구경부 25b에 기저부 22d를 삽입한 댐퍼 22c의 굴곡부 22e를 상부톱니 20의 관통공 20e에 단지 삽입하므로서 댐퍼 22c를 상부톱니 20에 고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댐퍼 22c를 장착하는 작업성을 상당히 개선시킬 수가 있다.
발명의 제5실시예를 아래에 설명하겠다.
제24도 내지 제29도에서, 참조문자 E는 외측의 로킹장치가 장착된 시트경사조절장치를 나타낸다. 시트경사조절장치 E에 있어서, 상부톱니 110과, 상부톱니 110에 맞물림과 이탈이 가능한 하부톱니 120, 그리고, 하부톱니 120을 조작하기 위한 작동레버 130는 보강재 140에 장착되어지고 보강재 140은 베이스 프레이트 150에 장착되도록 배열된다.
본 실시예에는 보강재 140를 연장하며, 연장부 140a는 베이스 프레이트 150의 미끄럼장치 고정부 150a와 일체화되어지는 특성을 가진다.
이 실시예의 구조를 세부적으로 아래에 설명되어진다.
베이스 프레이트 150은 시트쿠션의 외측부에 확고하게 장착시키고, 보강재 140은 베이스 프레이트 150의 배면부에 중첩하는 방식으로 배치한다. 상부톱니 110은 보강재 140에 장착된 제1피봇 111에 장착되어지고 상부톱니 하단부는 활형톱니부 110a가 형성된다. 또한, 시트백의 외측면(보이지 않음)에 견고하게 장착되어진 아암 112는 중첩되는 방식으로 상부톱니 110에 일체로 설치한다.
하부톱니 120는 보강대 140에 장착된 제2피봇 121에 장착되고, 하부톱니 120의 상단부는 상부톱니 110의 톱니 110a와 맞물리는 톱니 120a가 형성된다. 한쌍의 돌출부 120c, 120d는 톱니 120a에 마주보는 하단부 양측에 각각 형성되고 동시에 돌출부 120c, 120d사이에 오목부 120b가 형성된다. 작동부재 130은 보강재 140에 장착된 제3피봇 131에 장착되어진다. 작동부재 130의 한 자유단부은 하부톱니 120의 돌출부 120c, 120d와 맞물려지는 결합부 130a가 형성된다. 또한, 인장스프링 132는 작동부재 130의 타방 자유단부와 베이스 프레이트 150사이에 장착된다. 인장스프링 132에 의해서, 작동부재 13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도록 힘을 받는다.
상부톱니 110, 하부톱니 120과 작동부재 130으로 로킹장치 R를 구성한다.
작동레버 133은 작동부재 130에 견고하게 장착되고 연결링크 134의 일단은 작동부재 130의 상부 자유단부에 핀 135에 의해 피봇된다. 또한, 내측 로킹장치와 외측 로킹장치 R를 상호연결하는 와이어 160은 작동레버 133의 하부 자유단부에 걸리게 된다. 와이어 160은 추후 설명될 지지대 170에 형성된 안내절단면 170a를 경유하여 베이스 프레이트 150 내부에 안내공 150b를 통해 내측 로킹장치에 연결된다.
제1, 제2와 제3피봇 111, 121, 131의 각 끝단에는 상부톱니 110, 하부톱니 120, 작동부재 130와 작동레버 133들을 끼울수 있는 지지대 170가 고정된다. 나선형스프링 113은 지지대 170에서 돌출된 제1피봇에 권착되어진다. 나선형스프링 113의 일단부는 제1피봇 111가 맞물려지고, 타단부는 아암 112에 장착된 걸림편 114에 걸린다. 나선형스프링 113에 의해서, 아암 112는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힘을 받는다. 또한, 제1, 제2와 제3의 피봇 111, 121, 131의 각 타단부는 베이스 프레이트 150에 형성된 구멍들에 삽입된 후 돌출부를 코킹하여 제1, 제2와 제3피봇 111, 121, 131들이 베이스 프레이트 150에 견고하게 장착되는 것이다.
보강재 140은 미끄럼장치 고정부인 베이스 프레이트 150의 하부플랜지 150a로 향한 연장부 140a에 연장시켜 배치된다. 연장부 140a 하단에 형성된 플랜지 140b는 베이스 프레이트 150의 하단플랜지부 150a에 일체로 고정된다. 또한 ,보강재 140은 보강재의 강성을 증가시키기 위해 비드 140c를 형성한다. 또한, 미끄럼장치의 상부레일(보이지 않음)을 견고히 장착되도록 하는 용접너트 141는 플랜지 140b에 부착되어진다.
작동레버 133을 통해서 작동부재 130을 조작하기 위해서 조절레버 180는 지지대 170에서 돌출된 제2피봇 21에 장착된다. 연결링크 134의 타단부는 핀 136에 의해 조절레버 180의 상부 연장부에 피봇된다. 또한, 조절레버 180은 인장스프링 132에 의해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하며 힘을 받는다. 조절레버 180의 회동은 측연장부 180a가 지지대 170에서 잘려지고 일으켜 세워서 형성된 정지대 170b에 걸리는 것으로 규제된다. 그 정지대 170b는 그렇게함으로, 로킹장치 R의 로킹시에 조절레버 180은 항상 소정의 위치를 유지하도록 설정된다.
제5의 실시예의 작용은 아래에 설명되어진다.
제24도 내지 29도는 외측 로킹장치 R이 로킹되어 지는 상황을 보인다. 작동레버 130의 결합부 130a는 하위톱니 120의 돌출부 120c와 인장스프링 132의 탄력에 의해서 압착되어진다. 그러므로 하위톱니 120의 톱니 120a는 상위톱니 110의 톱니 110a와 맞물린다.
로킹장치 R은 시트백을 기울여서 로킹상황에서 로킹해제시키기 위해서, 조절레버 180은 인장스프링 132의 탄력에 의해 시계방향으로 회동을 한다. 그때 작동부재 130은 연결링크 134와 작동레버 133을 통해서 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작동부재 130의 결합부 130a은 하위톱니 120의 돌출부 120d와 맞물려질때 하위톱니 120은 반시계방향으로 회동한다. 그러므로 상위톱니 110의 톱니 110a와 하위톱니 120의 톱니 120a사이에서 서로의 맞물림이 해제되는 로킹장치 R은 제29도에서 보여지는 것같이 로킹해제가 된다.
이때 연결링크 134를 통해서 조절레버 180과 함께 상호로킹을 하는 작동레버 133이 시계방향으로 회동할때 작동레버 133과 맞물린 와이어 160은 당겨지고, 거기서 내측 로킹장치(보이지 않음)의 작동부재가 작동되어 로킹장치가 해제상태로 된다.
이런 방식에서 내ㆍ외측 로킹장치는 조절레버 180의 조작에 의해 로킹해제된 후, 시트백을 승객이나 승무원이 원하는 위치로 기울이고 조절레버 180을 놓는다. 그때 양측의 로킹장치는 다시 로킹되어서 시트백을 고정시킬 수가 있다. 그의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여기서 상부톱니 110의 고정부인 제1피봇 111에는 아암 112를 통한 시트백에서 부터 상당한 하중이 가해지고 그렇게 유지되면서 상당히 큰 하중이 고정부인 하부톱니 120와 작동부재 130의 고정부인 제2, 제3 피봇 121, 131에 각각 가해진다. 그러나 각 고정부의 강도가 보강재 140에 의하여 보강되기 때문에 베이스 프레이트 150의 두께는 상당히 감소할 수가 있다. 또한 보강재 40의 연장부 140a이 플랜지 140b가 베이스 프레이트 150의 미끄럼장치 고정부인 하단플랜지 150a와 견고하게 일체로 장착될 때 보강재 140은 베이스 프레이트 150의 측면 강도뿐만 아니라 역시 수직방향의 강도로 개선될 수가 있다. 결과적으로, 베이스 프레이트 150의 두께는 감소할 수가 있고, 시트경사조절장치의 경량을 도모할 수가 있다.
위와 관련하여 상기 실시예에서 시트경사조절장치가 묘사되며 로킹 장치들은 시트의 내ㆍ외측에 각각 구비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로킹장치를 내ㆍ외측의 단 한쪽에만 구비되어지는 시트경사조절장치에 적용할 수도 있다.
[산업상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상술한 바와같이 아암에 관해서 상위톱니 위치를 옮길 수 있기 때문에 시트경사조절장치의 로킹해제시에 위상의 변동을 수정할 수 있고, 반 로킹해제상태를 제거할 수가 있다. 결과적으로 상위톱니와 하위톱니의 강도가 저하되더라도 파손되지 않는다. 상위톱니와 하위톱니의 두께가 감소시킬 수가 있고, 가격을 절감할 수 있으며, 경량화를 도모할 수가 있게 된다.
또한 각 시트경사조절장치의 로킹해제시에 위상의 변동을 수정할 수가 있고 일측 시트경사조절장치와 타측 시트경사조절장치의 상호간의 로킹해제를 동시에 할 수가 있다. 그러므로 조절레버의 작동성을 개선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측과 외측의 시트경사조절장치를 상호 연결하는 와이어의 길이를 단축하거나 감소시킬 수가 있다. 그러므로 와이어, 인장효율을 증가시킬 수가 있고 조절레버의 조작성을 증가시킬 수가 있으며, 가격을 절감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보강재에 의한 각 상위톱니, 하위톱니와 작동부재의 각각의 고정부의 가동에 의해서 가능한 베이스 프레이트의 두께를 감소할 수가 있고 전체장치의 경량화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각 고정부의 피봇들은 코킹작업으로 장착되어서, 용접공정을 배제할 수 있어 조립라인을 자동화시킬 수 있고 제조원가를 상당히 절감시킬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연장부는 베이스 프레이트의 미끄럼장치의 고정부와 일체가 되기 때문에 베이스 프레이트의 강도 특히, 측면강도를 상당히 증가시킬 수가 있다. 그러므로 베이스 프레이트의 두께를 상당히 감소할 수 있어 시트경사조절장치의 경량화를 꾀할 수 있다.

Claims (13)

  1. 시트쿠션에 대하여 시트백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시트경사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이 좌ㆍ우양측에 각각 고정되는 한쌍의 베이스 프레이트(10A)(10B)와, 상기 시트백의 좌ㆍ우양측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베이스 프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각각 지지되는 한쌍의 아암(90)과, 상기 아암에 의해 각각 지지되고, 적어도 그 한쪽은 상기 아암에 관하여 소정의 각만큼 회동하도록 형성시킨 한쌍의 상부톱니(20)와, 상기 베이스 프레이트에 의해 개별적으로 이동하도록 지지되고, 상기 상부톱니에 개별적으로 맞물리고 이탈되게 할 수 있는 한쌍의 하부톱니(30)와, 상기 각각의 베이스 프레이트에 개별적으로 회전되도록 지지되고, 상기 하부톱니를 작동시켜서 상부톱니와 개별적으로 맞물리고 이탈되게 하는 한쌍의 캠부재(50)와, 상기 캠부재들을 작동시키는 작동레버(60A)를 구비한 시트경사조절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부톱니(20)가 회동가능하도록 한쌍의 아암(90)에 의해 지지되고, 상부톱니의 아암에 대하여 소정각도 회동을 허용하는 동시에 소정각도 회동상태를 유지가능한 회동허용구조로 이루어진 시트경사조절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허용구조는 아암(90)에 형성된 플랜지부(90b)와, 이 플랜지부에 끼워지는 댐퍼(22)와 상기 상부톱니에 형성되며 상기 댐퍼에 끼워지도록 하는 관통공(20b)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경사조절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회동허용구조는 아암(90)에 형성된 관통공(90a)과, 상부톱니(20)에 형성된 관통공(20c)(20d)과, 이들 관통공에 끼워진 고정핀(23)과, 상기 고정핀의 외주와 상기 상부톱니의 관통공 사이에 개재된 댐퍼(25)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경사조절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가 고무와 같은 탄성부재(22)(22A)로 형성된 시트경사조절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댐퍼가 판 스프링(22B)(22C)으로 형성된 시트경사조절장치.
  7. 시트쿠션에 대해 시트백이 경사각도를 조절하기 위한 시트경사조절장치에 있어서, 시트쿠션의 좌우양측에 고정시킨 베이스 프레이트(10A)(10B)와, 시트백의 좌우양측에 고정되어 베이스 프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아암(90)과, 각각의 아암에 지지되는 상부톱니(20)와, 각각의 베이스 프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상부톱니에 결합과 이탈이 자유로운 하부톱니(30)와, 각각의 베이스 프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어 하부톱니를 작동시키는 상부톱니에 결합 및 이탈되는 캠부재(50)와, 좌우캠부재의 동작을 연동시키는 연결부재(70)와, 좌우캠부재의 동작을 동기시키는 동기기구와, 캠부재를 작동시키는 조작레버(60A)(60B)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경사조절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동기기구는 캠부재(50)와 동축으로 회동가능하게 베이스 프레이트에 지지시킨 작동부재(60A)(60B)를 포함하고, 이 작동부재는 캠부재에 대해 소정각도 회동가능하게 캠부재와 연결되고, 조작레버에 의해 회동조작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시트경사조절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한쌍의 작동부재(60A)(60B)가 슬롯(60a)들을 가지며, 상기 캠부재(50)에 설치된 한쌍의 연결핀(53)이 상기 슬롯들을 헐겁게 끼워지는 구성의 시트경사조절장치.
  10. 시트쿠션에 대한 시트백의 경사각을 조정하기 위한 시트경사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각 시트쿠션의 좌ㆍ우양측에 고정되고 각각의 안내공(150b)을 갖는 한쌍의 베이스 프레이트(150)와, 상기 각 시트백의 좌ㆍ우양측에 고정되고, 상기 각 베이스 프레이트에 각이동하도록 지지되는 한쌍의 아암(150)과, 상기 각 아암에 지지되는 한쌍의 상부톱니(110)와, 상기 각 베이스 프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각 상부톱니에 맞물리고 떨어짐이 자유롭게 되는 한쌍의 하부톱니(120)와, 상기 각 베이스 프레이트에 각이동되도록 지지되고, 상기 하부톱니를 작동시켜서, 각기 상기 상부톱니와 맞물리고 떨어지는 한쌍의 캠부재(130)와, 상기 각각의 좌ㆍ우양측의 연동작동을 하고 상기 안내공을 통하여 연장되는 연결부재(160)와, 상기 한쌍의 캠부재를 작동시키는 작동레버(130)를 구비하는 시트경사조절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가 와이어(160)로 이루어지는 시트경사조절장치.
  12. 시트쿠션에 대한 시트백의 경사각을 조절하기 위한 시트경사조절장치에 있어서, 상기 시트쿠션에 고정되는 베이스 프레이트(150)와, 상기 시트백에 고정되고, 상기 베이스 프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는 아암(112)과, 상기 아암에 지지되는 상부톱니(110)와, 상기 베이스 프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상부톱니에 맞물리고 떨어지게 되는 하부톱니(120)와, 상기 베이스 프레이트에 회동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하부톱니를 작동하여 상기 상부톱니와 맞물리고 떨어지는 캠부재(130)와, 상기 아암과 상기 하부톱니와 상기 캠부재를 지지하는 부분을 보강하는 보강부재(140)와, 상기 캠부재를 작동시키는 작동레버(133)를 구비한 시트경사조절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프레이트(150)가 미끄럼장치 고정부(150a)를 가지며, 또한 상기 보강부재(140)가 상기 베이스 프레이트의 미끄럼장치 고정부를 보강하도록 구성되는 시트경사조절장치.
KR1019920701392A 1990-03-29 1991-10-29 시트경사조절장치 KR950014761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0-20125 1990-03-29
JP90-292182 1990-10-31
JP90-113431 1990-10-31
JP1990113432U JPH0471552U (ko) 1990-10-31 1990-10-31
JP90??292181 1990-10-31
JP90-113433 1990-10-31
JP90-113432 1990-10-31
JP90??113431 1990-10-31
JP29218290 1990-10-31
JP90??113432 1990-10-31
JP90??113433 1990-10-31
JP1990113433U JPH0471553U (ko) 1990-10-31 1990-10-31
JP11343190U JP2535566Y2 (ja) 1990-10-31 1990-10-31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91??20125 1991-03-29
JP2012591U JP2539521Y2 (ja) 1991-03-29 1991-03-29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PCT/JP1991/001475 WO1992007491A1 (en) 1990-10-31 1991-10-29 Seat reclining devic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20702960A KR920702960A (ko) 1992-12-17
KR950014761B1 true KR950014761B1 (ko) 1995-12-14

Family

ID=275201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701392A KR950014761B1 (ko) 1990-03-29 1991-10-29 시트경사조절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5340196A (ko)
EP (1) EP0513365A4 (ko)
KR (1) KR950014761B1 (ko)
WO (1) WO19920074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858450B2 (ja) * 1993-12-27 1999-02-17 トヨタ車体株式会社 車両シートのリクライニング機構
FR2725167B1 (fr) * 1994-10-03 1996-12-13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Perfectionnements aux articulations des dossiers de sieges de vehicules
US5702156A (en) * 1995-02-17 1997-12-30 Tachi-S Co., Ltd. Reclining device
FR2734524B1 (fr) * 1995-05-23 1997-07-25 Faure Bertrand Equipements Sa Armature profilee pour siege d'automobile
DE19522854C2 (de) * 1995-06-23 1997-04-30 Faure Bertrand Sitztech Gmbh Neigungsverstellbeschlag für Rückenlehnen von Kraftfahrzeugsitzen
JP2960669B2 (ja) * 1995-10-31 1999-10-12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DE19650822C1 (de) * 1996-12-07 1998-04-30 Faure Bertrand Sitztech Gmbh Verriegelungsvorrichtung für Verstellvorrichtungen an Kraftfahrzeugsitzen
JP3612441B2 (ja) * 1999-05-17 2005-01-19 富士機工株式会社 両ロック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3550517B2 (ja) * 1999-11-10 2004-08-04 富士機工株式会社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のベースプレート補強構造
DE10052092B4 (de) 2000-10-20 2004-09-30 Keiper Gmbh & Co. Kg Einstellbeschlag für einen Fahrzeugsitz
KR20030037734A (ko) * 2001-11-05 2003-05-16 대원정밀공업 주식회사 자동차시트용 등받이 폴딩장치
KR100755650B1 (ko) 2006-10-20 2007-09-04 주식회사다스 자동차용 시트백의 리클라이닝장치
CN102114793B (zh) * 2011-02-22 2012-10-10 苏州忠明祥和精工有限公司 汽车座椅用万能式调角器
US10525852B2 (en) * 2016-09-21 2020-01-07 Lear Corporation Seat arrangement for a vehicle
JP6809161B2 (ja) * 2016-11-21 2021-01-06 トヨタ紡織株式会社 乗物用シート

Family Cites Families (1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427222Y1 (ko) * 1965-07-29 1969-11-14
JPS6130535Y2 (ko) * 1980-05-16 1986-09-06
JPS56168957A (en) * 1980-05-28 1981-12-25 Sukai Alum Kk Brazing sheet of forming aluminum and its manufacture
US4384744A (en) * 1981-03-16 1983-05-24 Uop Inc. Seat reclining mechanism
JPS5893254U (ja) * 1981-12-21 1983-06-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両側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S6226008A (ja) * 1985-07-27 1987-02-04 株式会社タチエス 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H0637869B2 (ja) * 1986-11-29 1994-05-18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内燃機関の点火時期制御装置
JPH0417062Y2 (ko) * 1987-03-03 1992-04-16
JP2602842B2 (ja) * 1987-08-19 1997-04-23 三菱電機株式会社 光学的波長多重記録再生装置
JPS6449141U (ko) * 1987-09-22 1989-03-27
US4874205A (en) * 1988-04-11 1989-10-17 Semec, Inc. Recliner assembly for vehicle seat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1992007491A1 (en) 1992-05-14
KR920702960A (ko) 1992-12-17
EP0513365A4 (en) 1993-04-28
EP0513365A1 (en) 1992-11-19
US5340196A (en) 1994-08-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14761B1 (ko) 시트경사조절장치
JP5055766B2 (ja) 車両用シート装置
US5106144A (en) Seat slide device with rail-disconnection inhibiting mechanism
US6325457B1 (en) Seat reclining system
KR100192623B1 (ko) 시트용 조정 가능 힌지 장착부
EP1963130A2 (en) Front latch assembly for vehicle seat cushion
US4285487A (en) Assembly for locking and unlocking an automobile seat in selected vertical positions
US10843589B2 (en) Locking device for vehicle seat
JP2644123B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548764Y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2535566Y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EP1310619B1 (en) Door latch and door latch installation method
JP2637641B2 (ja) 車両用シート
JP2539521Y2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H09267673A (ja) スライドレールの両ロック構造
JPH04200409A (ja) シートリクライニング装置
US20240181944A1 (en) Latch
KR102115335B1 (ko) 시트 레일의 록킹 장치
JPH072001A (ja) シートアジャスタ
JPH0644449U (ja) 車両用シート
KR20230046742A (ko) 차량용 시트의 힌지부 구조
JP2018134986A (ja) 乗物用シート用ロック装置
MX2008007912A (es) Ensamblaje de enganche frontal para cojin de asiento de vehiculo
JPH0742345Y2 (ja) 両ロックリクライニング装置
JPH11342772A (ja) シートスライ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