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50009974B1 -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 - Google Patents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50009974B1
KR950009974B1 KR1019920010942A KR920010942A KR950009974B1 KR 950009974 B1 KR950009974 B1 KR 950009974B1 KR 1019920010942 A KR1019920010942 A KR 1019920010942A KR 920010942 A KR920010942 A KR 920010942A KR 950009974 B1 KR950009974 B1 KR 95000997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erence position
signal
correction
correction reference
internal combus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9200109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930000816A (ko
Inventor
마쓰고 하시모도
도시오 이와다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시키모리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3156723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654A/ja
Priority claimed from JP3156724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655A/ja
Priority claimed from JP3164491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0233A/ja
Priority claimed from JP3164490A external-priority patent/JPH0510232A/ja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시키모리야 filed Critical 미쓰비시덴키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9300008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300008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5000997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50009974B1/ko

Link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DCONTROLLING COMBUSTION ENGINES
    • F02D41/00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 F02D41/009Electrical control of supply of combustible mixture or its constituents using means for generating position or synchronisation signal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F02P5/15Digital data process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5/00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 F02P5/04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 F02P5/145Advancing or retarding ignition; Control therefor automatically, as a function of the working conditions of the engine or vehicle or of the atmospheric conditions using electrical means
    • F02P5/15Digital data processing
    • F02P5/1502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 F02P5/1506Digital data processing using one central computing unit with particular means during start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7/00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 F02P7/06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of circuit-makers or -breakers, or pick-up devices adapted to sense particular points of the timing cycle
    • F02P7/061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of circuit-makers or -breakers, or pick-up devices adapted to sense particular points of the timing cycle pick-up devices without mechanical contac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2COMBUSTION ENGINES; HOT-GAS OR COMBUSTION-PRODUCT ENGINE PLANTS
    • F02PIGNITION, OTHER THAN COMPRESSION IGNITION, FOR INTERNAL-COMBUSTION ENGINES; TESTING OF IGNITION TIMING IN COMPRESSION-IGNITION ENGINES
    • F02P7/00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 F02P7/06Arrangements of distributors, circuit-makers or -breakers, e.g. of distributor and circuit-breaker combinations or pick-up devices of circuit-makers or -breakers, or pick-up devices adapted to sense particular points of the timing cycle
    • F02P7/077Circuits therefor, e.g. pulse generators
    • F02P7/0775Electronical verni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DMEASURING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ARRANGEMENTS FOR MEASURING TWO OR MORE VARIABLES NOT COVERED IN A SINGLE OTHER SUBCLASS; TARIFF METERING APPARATUS; MEASURING OR TEST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1D5/00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 G01D5/12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 G01D5/244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 G01D5/247Mechanical means for transferr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Means for converting the output of a sensing member to another variable where the form or nature of the sensing member does not constrain the means for converting; Transducers not specially adapted for a specific variable using electric or magnetic means influencing characteristics of pulses or pulse trains; generating pulses or pulse trains using time shifts of puls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10Internal combustion engine [ICE] based vehicles
    • Y02T10/40Engine management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bined Controls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s (AREA)
  • Electrical Control Of Ignition Timing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
제1도는 이 발명의 한 실시예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2도는 제1도의 기본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3도는 이 발명의 보정기준위치 신호의 각 기준위치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4도는 이 발명의 오차 보정동작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5도는 이 발명의 오차 보정동작의 다른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6도는 이 발명의 오차 보정동작에 사용되는 점화주기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7도는 제2도내의 보정기준위치에 포함되는 오차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
제8도는 제2도내의 보정기준위치 변화량 및 그 원인 설명을 위한 파형도.
제9도는 이 발명의 보정기준위치 갱신동작을 표시하는 플로차트.
제10도는 이 발명의 제4실시예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11도는 제10도의 장치의 동작설명을 위한 파형도.
제12도는 종래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를 표시하는 블록도.
제13도는 제12도의 장치의 동작설명을 위한 파형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 : 기통식별 신호발생기 2 : 기준위치 신호발생기
5A : 마이컴 6,12 : 펄스 신호발생기
8 : 카운터 11 : 캠축 신호발생기
15 : 기준위치 카운터 17 : 앤드게이트
18 : 기통식별 카운터
이 발명은 크랭크축의 회전에 동기한 기준위치 신호에 기준하여 각 기통의 점화시기(점화코일의 통전 및 차단)를 제어하는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에 관한 것으로 특히 기준 위치 신호의 고정도화 및 비용절감을 실현한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복수의 기통에 의하여 구동되는 크랭크축 및 이 크랭크축에 연동하는 캠축이 있는 내연기관에서는 각 기통의 점화시기 및 연료분사 등을 제어하기 위하여 내연기관의 회전에 동기한 기준위치 신호가 사용된다. 기준위치 신호는 크랭크축의 회전각도(이후 크랭크각이라 함)에 대응한 기준위치를 나타내고 있으며, 기준위치 신호발생기는 통상 크랭크축에 연동하는 캠축에 설치되어 있다.
제12도는 종래의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를 표시하는 블록도이며, 도면에서, 1은 캠축(도시생략)에 설치되어서 기통식별 신호 SC를 생성하는 기통식별 신호발생기, 2는 캠축에 설치되어서 소정의 크랭크각에 대응한 기준위치를 표시하는 기준위치 신호 ST를 생성하는 기준위치 신호발생기, 3 및 4는 기통식별 신호 SC 및 기준위치 신호 ST를 각각 처리하여 송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5는 기통식별 신호 SC 및 기준위치신호 ST에 기준하여서 각 기통에 대한 점화시기를 연산제어하는 마이크로 컴퓨터(이후 마이컴이라 함)이다. 통상적으로 기통식별 신호발생기(1) 및 기준위치 신호발생기(2)는 크랭크축의 2회전에 대하여 1회전하는 캠축에 설치되어 있으며, 각 기통별 기준위치에 대응한 기통식별 신호 SC 및 기준위치 신호 ST를 발생하게 되어 있다. 예를들면, 캠축과 일체로 회전하는 원판에 소정 크랭크각에 대응한 원호상의 슬릿(slit)을 기준위치로 하여 기통수만큼 설치하는 동시에 특정기토에 대응한 슬릿을 따로 설치하고 각 슬릿을 포토커플러(photo coupler)등에서 검출한 후에 파형 정형처리 하면 된다.
제13도는 기통식별 신호 SC 및 기준위치 신호 ST의 한 예를 표시하는 파형도이며, 예를들면 #1-#4로 된 4기통에 대하여 생성된 경우를 표시하고 있다.
여기서는 기통식별 신호 SC는 #1기통 및 #4기통에 대응하여 생성되어 있으며, 기준 위치 신호 ST의 상승 및 하강으로 표시되는 각 기준위치는 각각 크랭크각의 B(상사점 TDC이전) 5° 및 75°로 되어 있다. 다음은 제13도를 참조하면서 제12도에 표시한 종래의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의 동작을 설명한다.
마이컴(5)은 기통식별 신호발생기(1) 및 기준위치 신호발생기(2)로부터 각 인터페이스(3) 및 (4)를 통하여 기통식별 신호 SC 및 기준위치 신호 ST를 채취하여 각 기통마다의 기준위치 B5° 및 75°를 검출한다. 그리고 기준위치 B5° 또는 75°를 기준으로 하여 그 시점의 운전상태(내연기관의 회전수나 부하 등)에 대응하여 최적이 되도록 타이머제어에 의하여 점화시기 및 연료분사 등의 제어위치를 결정한다.
예를들면 저속(저부하) 운전시에는 점화시기를 지각측으로 제어하고 고속(고부하) 운전시에는 점화시기를 진각측으로 제어(전자 진각)한다. 또 내연기관의 기동초기 등의 제어불안정 운전영역에서는 각 기통에 대하여 기준위치 B75°를 강제통전개시 시기로 하고 기준위치 B5°를 강제점화 시기로 한다. 이에 따라 기통내에서 폭발연소를 일으킬 만큼의 방전에너지를 얻기 위한 통전시간이 확보되고 또 운전영역에 따라서 소정토크를 발생시키는 타이밍으로 폭발이 일어나고 최소한의 내연기관 동작이 보증된다. 그러나, 크랭크축 및 캠축이 타이밍벨트 등으로 결합되어 있으므로 각 신호발생기(1) 및 (2)가 설치되어 있는 캠축이 크랭크축의 회전에 확실하게 동기한다고는 말할 수 없으며, 기준위치 신호 ST에 오차가 생기게 된다.
그래서, 기준위치 신호발생기(2)를 크랭크축에 설치하는 것도 고려될 수 있으나, 구조상의 이유로 제한이 있는 동시에 크랭크축이 각 기통이 1사이클에 대하여 2회전하므로 하나의 기준위치 신호펄스가 2기통에 동시에 대응하게 되어 기통식별수단을 별도로 설치할 필요가 생긴다. 종래의 내연기관 점화장치는 이상과 같이 캠축에 설치된 기통식별 신호발생기(1) 및 기준위치 신호발생기(2)로부터의 기통식별 신호 SC 및 기준위치 신호 ST에 기준하여서 기준위치 B5° 및 75°를 검출하고 있으므로 오차가 생기게 되어 고정도의 제어를 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 기통식별 및 기준위치를 검출하기 위하여 기통식별 신호발생기(1) 및 기준위치 신호발생기(2)를 개별 설치할 필요가 있으며 비용절감을 실현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정확한 보정기준 위치를 검출함으로써 고정도의 주기계측 전자 직각제어가 가능한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를 얻는 것을 제1목적으로 한다. 또 이 발명은 정확한 보정기준위치를 검출하는 동시에 보정기준 위치신호와 실제의 크랭크각과의 오차를 반영시킴으로써 고정도의 주기계측 전자직각제어가 가능한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를 얻는 것을 제2목적으로 한다.
또한, 이 발명은 크랭크축의 회전에 대응한 정확한 보정기준위치를 검출함으로써 고정도의 주기계측 전자 직각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단일캠축 신호발생기를 사용하여서 기통식별 및 기준위치를 검출함으로써 비용절감을 실현한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를 얻는 것을 제3목적으로 한다. 이 발명에 의한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는 크랭크축에 설치되어서 일정 크랭크각의 피치로된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신호발생기와, 제1기준위치에 대응한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펄스신호를 계수하여서 보정기준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카운터와, 기통식별 신호, 기준위치 신호 및 보정기준위치 신호에 기준하여 각 기통에 대한 점화시기를 연산제어하는 마이컴을 구비한 것이다.
또, 이 발명에 의한 다른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는 캠축에 설치되어서 소정의 크랭크각에 대응한 기준위치를 표시하는 기준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위치 신호발생기와, 크랭크축에 설치되어서 일정 크랭크각의 피치로된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신호발생기와, 기분위치에 대응한 보정기준 위치를 기점으로 펄스신호를 계수하여서 보정기준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카운터와, 기준위치 신호 및 보정기준위치 신호에 기준하여 각 기통에 대한 점화시기를 연산 제어하는 마이컴을 구비하고, 마이컴이 크랭크각에 대한 보정기준위치 신호의 오차를 점화시기의 제어에 반영시키기 위한 보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일 발명에 의한 또 다른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는 캠축에 설치되어서 소정의 크랭크각에 대응한 기준위치를 표시하는 기준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위치 신호발생기와, 크랭크축에 설치되어서 일정크랭크각의 피치로된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신호 발생기와, 기준위치에 대응한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펄스신호를 계수하여서 보정기준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카운터와, 기준위치신호 및 보정기준위치 신호에 기준하여 각 기통에 대한 점화시기를 연산제어하는 마이컴을 구비하고, 마이컴에 기준위치와 보정기준위치의 오차를 기억하는 수단과, 오차를 점화시기에 제어에 반영시키기 위한 보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이다.
이 발명에 의한 또 하나의 다른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는 캠축에 설치되어서 기통식별 정보 및 제1기준 위치를 표시하는 캠축신호를 생성하는 캠축신호발생기와 크랭크축에 설치되어서 일정크랭크각 피치로된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신호발생기와, 제1기준위치에 대응한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펄스신호를 계수하여서 보정기준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위치 카운터와, 캠축 신호로부터 기통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기통식별 수단과, 캠축신호, 기통식별정보 및 보정기준위치 신호에 기준하여 각 기통에 대한 점화시기를 연산제어하는 마이컴을 구비한 것이다.
이 발명에서는 캠축에 설치된 각 신호발생기로부터의 기통식별 신호 및 기준위치 신호와, 크랭크축에 설치된 펄스 신호발생기로부터 펄스신호에 의하여 고정도의 보정기준위치를 구하고, 이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한 보정기준위치 신호에 기준하여 점화시기를 제어한다. 또 이 발명에서는 캠축 및 크랭크축의 각 회전에 대응한 기준위치 신호및 펄스신호에 의하여 고정도의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한 보정기준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동시에 크랭크축의 1회전에 대한 펄스신호수에 의하여 보정기준위치 신호에 포함되는 오차를 점화시기의 제어에 반영시켜서 보정함으로써 고정도의 점화시기 제어를 행한다. 또한 이 발명에서는 캠축 및 크랭크축의 각 회전에 대응한 기준위치 신호 및 펄스신호에 의하여 고정도의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한 보정기준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동시에 기준위치와 보정기준위치의 오차를 점화시기제어에 반영시켜 보정함으로써 고정도의 점화시기 제어를 행하고, 기억된 보정기준위치와 신규로 얻게되는 보정기준위치의 차가 소정치 이상의 경우에 보정기준위치를 갱신한다.
그리고, 또한 이 발명에 의하면 기통식별 정보 및 제1기준위치를 표시하는 캠축신호와 크랭크축의 회전에 대응한 펄스신호에 의하여 고정도의 보정기준위치를 구하고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한 보정기준위치 신호에 기준하여 점화시기를 제어한다.
또, 신호발생기를 단일 캠축 신호발생기 만으로 하여 비용절감을 실현하며, 마이컴이 안전 운전영역에서의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보정된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를 구하고 이들에 대응하는 계수치를 기준위치 카운터에 프리세트하여 보정기준위치 신호를 취득하고 보정기준위치 신호의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에 기준하여서 각 기통의 점화시기를 연산제어한다. 다음은 이 발명의 실시에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제1도는 이 발명의 제1실시예를 표시하는 블록도이며, 5A는 마이컴(5)에 대응하며, 1-4는 상술과 같은 것이다. 6은 크랭크축에 설치되어서 일정크랭크각의 피치로된 펄스신호 P를 생성하는 펄스 신호발생기, 7은 펄스신호 P를 처리하여 송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펄스 신호발생기(6)는 예를들면 크랭크축과 일체로 된 링 기어의 톱니에 대향배치된 전자픽업으로 되어 있다.
8은 안전운전영역(후술)에서의 제1기준위치 B5°에 대응한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펄스신호 P를 계수하여 보정기준위치 신호 ST'를 생성하는 카운터이며, 펄스신호 P가 클럭입력단자 C에 인가되어 있다. 또 카운터(8)은 가능입력단자 PE에 기준위치 검출신호 D 인가되면 펄스신호 P의 계수를 개시하고 그후 프레세트 입력단자 PS에 입력된 계수치의 달할 때마다 캐리(carry) 신호를 반전하여서 보정기준위치 신호 ST'로서 출력한다. 9는 마이컴(5A)의 입력단자 및 카운터(8)의 가능입력단자 PE에 접속된 절환회로이며 불안전운전영역(시동시 등)에서는 기준위치 신호 ST를 마이컴(5A)에 입력하는 동시에 안전운전영역(아이들링이나 통상운전시)에서는 기통식별 신호 SC 및 기준위치 신호 ST에 기준하여서 특정기통의 제1기준위치 B5°에 대응한 기준위치 검출신호 D를 카운터(8)의 가능입력단자 PE에 입력한다.
절환회로(9)는 기능적으로 마이컴(5A)에 포함되어도 된다.
이 경우 마이컴(5A)는 카운터(8)의 프리세트입력단자 PS에 소정의 계수치를 입력하는 기능과, 운전영역에 따라서 절환회로(9)를 절환하는 기능이 있으며, 각 기통에 대한 점화 시기를 불안정 운전영역에서는 기통식별 신호 SC 및 기준위치신호 ST에 기준하여서 바이 패스 제어하고, 안전운전영역에서는 기통식별 신호 SC 및 보정기준위치 신호 ST'에 기준하여 연산제어한다. 제2도는 제1도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다. 여기서는 링기어의 톱니수를 120으로 하고 펄스신호 P의 피치 Δθ를 3°, 보정기준위치 신호 ST'의 제3기준위치 B5°'에서 다음 기통의 제4기준위치 7°'까지(크랭크각 110°에 대응)의 계수치를 37, 제4기준위치 B75°'에서 제3기준위치 B5°'까지(크랭크각 70°에 대응)의 계수치를 23으로 한다.
보정기준위치 신호 ST'는 초기설정된 보정기준위치 θ0를 기점으로 하여 계수한 펄스신호 P에 계수치에 기준하여서 생성된다. 그리고 보정기준위치 θ0는 안전운전 영역에서 특정기통(예컨데 #1)의 제1기준위치 B5°를 검출한 후 최초의 펄스신호 P의 하강타이밍에 의하여 초기 설정된다. 다음에 제2도를 참조하면서 제1도에 표시한 이 발명의 제1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엔진 시동시 등의 불안전 운전영역에서는 회전 변동이 크고 크랭크각에 정확하게 대응한 펄스신호 P를 얻지 못하므로 카운터(8)는 작동하지 않으면 절환회로(9)는 기준위치 신호 ST를 마이컴(5A)에 입력한다. 따라서, 마이컴(5A)은 종래와 같이 기통식별 신호 SC 및 기준위치신호 ST에 기준하여서 점화를 제어한다. 다음은 아이들링 운전상태에 돌입하여 회전변동이 극소인 안전 운전영역이 되면은 펄스신호 P가 안전되므로 펄스신호 P의 계수치를 크랭크각에 대응시키기 위하여 보정기준위치 θ0를 초기 설정한다.
즉, 안전 운전영역인 것을 판정하면은 마이컴(5A)은 절환회로(9)를 카운터(8)측으로 절환하는 동시에 카운터(8)의 계수치를 1에 프리세트하고 카운터(8)에 기준위치 검출신호 D가 입력되는 것을 기다린다. 절환회로(9)는 특정기통에 대한 제1기준위치 B5°를 검출한 시점에서 기준위치 검출신호 D를 생성하고 카운터(8)의 기능입력단자 PE에 인가한다. 이에따라 카운터(8)는 클럭입력단자 C에 인가되는 펄스신호 P의 계수를 개시하는데, 계수치 1이 프리세트되어 있으므로, 펄스신호 P의 최초하강타이밍(보정기준위치 θ0)에서 보정기준위치 신호 ST'를 하강시킨다.
이와동시에 마이컴(5A)은 카운터(8)를 리세트하는 동시에 다음 기통의 제4기준 B75°'에 대응하는 계수치 37을 카운터(8)의 프레세트 입력단자 PS에 인가한다.
따라서 카운터(8)은 기준위치 검출신호 D가 입력된 보정기준위치 θ0(즉 제3기준위치 B5°')로부터 펄스신호 P의 계수치가 37에 달한 시점에서 보정기준위치 신호 ST'를 상승시켜 제4기준위치 B75°'로 한다. 또 마찬가지로, 마이컴(5A)는 카운터(8)를 리세트하는 동시에 제3기준위치 B5°'에 대응하는 계수치 23을 카운터(8)의 프레세트 입력단자 PS에 인가한다. 따라서 카운터(8)는 제4기준위치 B75°'에서 펄스신호 P의 계수치가 23에 달한 시점에서 보정기준위치 신호 ST'를 하강시켜 제3기준위치 B5°'로 한다. 이하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 B5°' 및 75°'에서 교대로 반전하는 보정기준위치 신호 ST'가 생성되고 통상적인 운전영역에 돌입하여도 연속적으로 생성된다. 이렇게하여 얻은 보정기준위치 신호 ST'는 보정기준위치 θ0를 기준으로 하여 크랭크축의 회전과 완전히 동기하고 있으므로 노이즈 등을 무시하면,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 B5°' 및 75°'의 검출오차는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마이컴(5A)은 보정기준위치 θ0이후의 펄스신호 P의 하강타이밍이 각 3°의 크랭크각에 대응하는 것에 기준하여 계수치의 정보를 마이컴(5A)내의 메모리에 기억시키고 교대로 프리세트 입력단자 PS에 출력한다. 그리고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 B5°' 및 75°'에 기준하여 각 기통의 점화를 제어한다. 이와같이 마이컴(5A)은 캠축에 설치된 각 신호발생기(1) 및 (2)로부터의 기통식별 신호 SC 및 기준위치 신호 ST와, 크랭크축에 설치된 펄스 신호발생기(6)로부터의 펄스신호 P에 기준하여 보정기준위치 θ0를 기점으로 하여 보정된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 B5°' 및 75°'를 구하고 이들을 기준하여 고정도의 점화제어 및 기타 제어를 할 수 있다.
또 마이컴(5A)에 입력되는 보정기준위치 신호 ST'의 파형은 종래의 기준위치신호 ST와 동일형태이므로 마이컴(5A)내에서의 연산처리를 변화시킬 필요가 없으며 종래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겸용할 수 있어 특히 비용증가를 초래하지도 않는다.
다음은 이 발명의 제2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구성은 제1도와 같으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마이컴(5A)은 크랭크각에 대한 보정기준위치 ST'의 오차를 점화시기의 제어에 반영시키기 위한 보정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제2실시예의 기본동작은 제2도에 의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그러나 제2도에서 계수치 37에 의한 제4기준위치 B75°'는 실제에는 B74°'에 상당하기 때문에 마이컴(5A)내의 보정수단은 크랭크각 B75°를 기준위치로 한 경우와는 다른 전자 직각에 의한 점화시기 제어를 하고 있다. 또 톱니수가 120의 경우 계수치 23에 의한 제3기준위치 B5°'에는 오차가 생기지 않지만 링기어의 톱니수가 기수 등의 임의치를 취할 수 있으므로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와 제1 및 제2의 기준위치간에는 여러가지 오차가 발생한다. 따라서 보정수단은 링기어의 톱니수에 대응한 기준위치 오차를 연산하고 점화시기의 연산보정을 하고 있다. 다음은 점화시기의 보정연산동작에 관하여 제3 및 제4도를 참조하면서 상세히 설명한다. 제3도는 이상적인 기준위치 신호에 대한 보정기준위치 신호 ST'의 오차를 표시하는 파형도이며 j, k 및 m은 보정기준위치 θ0로부터 펄스신호 P의 계수치, θj및 θm은 B75°에 대응하는 제4기준위치, θk는 B5°에 대응하는 제3기준위치, T(n) 및 T(n+1)은 연속한 제4기준위치간의 점화주기이다. 그리고 #1기통에 대한 제3기준위치 θ0는 B5°에 일치하는 것으로 한다. Δθj는 θj와 B75°의 오차, Δθk는 θk와 B5°의 오차, Δθm은 θm와 B75°의 오차이며, 링기어의 톱니수로부터 미리 연산 가능한 값이다.
보정위치신호 ST'의 각 기준위치 θO, θj, θk및 θm간의 각각의 크랭크각 거리는 펄스 신호 P의 피치거리는 펄스신호 P의 피치 Δθ와 계수치 j, k 및 m을 사용하여 도시한 바와 같이 표시된다. 또 점화주기 T(n) 및 T(n+1)에 대응하는 크랭크각은 진각측을 정으로 하면 각 오차 ΔθjΔθk및 Δθm을 사용하여 각각 180°+(Δθj-Δθm), 180°+(Δθm-Δθj)로 표시된다.
제4도는 오차 Δθj, Δθk및 Δθm를 포함하는 기준위치 θj, θk및 θm에 기준하여 마이컴(5A)이 행하는 점화시기 연산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며, TF(n-1)및 TF(n)는 각각 전회까지에 계측된 점화주기에 기준하여 연산된 이번회의 예측주기, θA(n-1) 및 θA(n)은 #3기통 및 #4기통에 대한 코일전류의 목표차단위치, 즉 목표점화시기이다.
Ta1(n-1) 및 Ta2(n-1)은 각각 기준위치 θj및 θk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목표점화시기 θA(n-1) 까지의 제어시간 Ta1(n) 및 Ta2(n)는 각각 기준위치 θm및 θo를 기준으로 하였을 때의 목표점화시기 θA(n) 까지의 제어시간이다.
각 기준위치 θj및 θk간의 크랭크각 거리(k-j) Δθ는 70°+(Δθj-Δθk)로 표시되고, θm및 θo간의 크랭크각거리(180°-m.Δθ)는 70°+Δθm로 표시된다.
이 경우, 목표점화시기 θA(n-1)에서 #3기통(또는 #2기통)을 점화시키기 때문에 아래와 같이 제어시간 Ta1(n-1) 또는 Ta2(n-1)을 연산한다.
Ta1(n-1)=(θjA)TF(n-1)/180°
=(B75°+θjA)TF(n-1)/180°
Ta2(n-1)=(θkA)TF(n-1)/180°
=[B75°-θA-{70°+(θjk)}](TF(n-1)/180°
즉 각 기준위치 θj또는 θk에서 목표점화시기 θA(n-1)까지의 크랭크각 거리를 180°의 예측주기 TF(n-1)에 의하여 각각 시간으로 환산한다.
또 목표점화시기 θA(n)에서 #4기통(또는 #1기통)을 점화시키기 위하여 아래와 같이 제어시간 Ta1(n) 또는 Ta2(n)을 연산한다.
Ta1(n-1)=(θmA)TF(n)/180°
=(B75°+ΔθmA)TF(n)/180°
Ta2(n-1)=(θoA)TF(n)/180°
=[B75°-θA-(70°+Δθm)](TF(n)/180°
즉, 각 기준위치 θm또는 θo에서 목표점화시기 θA(n)까지의 크랭크각 거리를 180°의 예측주기 TF(n)에 의하여 각각 시간으로 환산한다. 이와같이 각 기통별로 목표 점화시기 θA(n-1) 및 θA(n) 까지의 제어시간 Ta1(n-1) 또는 Ta2(n-1) 및 Ta1(n) 또는 Ta2(n)을 구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각 식에 포함되는 오차 Δθj, Δθk및 Δθm는 링기어의 톱니수에 기준하여 미리 연산에 의하여 구한다. 그리고 상기 실시예에서는 보정기준위치 신호 ST'의 각 기준위치 θo, θj, θk및 θm을 기준위치 신호 ST의 파형에 대응시켰으나 펄스신호 P의 계수치를 임의로 설정함으로서 임의의 크랭크각에 대응한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를 설정할 수 있다. 제5도는 톱니수 N가 125개(기수)의 경우의 구체예를 표시하는 파형도이다. 이 경우 펄스신호 P의 피치 Δθ는 2.88°이며, 계수치를 각각 42, 20, 43 및 20이라하면 제3기준위치 θod) 및 θb는 B5° 및 B6.44°로 되고, 제4기준위치 θa및 θc는 B64.04° 및 626°가 된다. 그러므로, θc(B62.6o)를 오차 0의 기준크랭크 각으로 하면 θA+1.44o로 표시되고 또 θb는 θd(B5°)+1.44°로 표시된다. 여기서 1.44°는 오차에 상당한다.
다음에 제어시간의 연산을 위하여 상술과 같이 예측주기를 사용하여도 되나 예를들면 제6도와 같이 전회와 점화주기 T에 기준하여서 목표점화시기 θA에 대한 제어시간 TA를 구하여도 된다. #1기통 및 #4기통에 대하여는 전회의 점화주기(θac)가 181.44°이므로 제어시간 TA
TA=[(θCA)/180°]×[180°/181.44°)T]
=(θCA)T/181.44°
가 된다. 또 #2기통 및 #3기통에 대하여는 전회의 점화주기(θCa)가 178.56°이고 θAC+1.44°이므로
Ta=[(θC+1.44°)-θA/180°]×[180°/178.56°)T]
=(θC+1.44°)-θA]T/178.56°
가 된다. 이와같이 톱니수 N 및 기준위치 θad에 의하지 않고 소망의 목표점화시기 θA에 대하여 제어시간 TA를 연산할 수 있다.
다음은 이 발명의 제3실시예를 도면에 의하여 설명한다. 이 실시예의 구성도는 제1도와 같으며 그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마이컴(5A)는 제1기준위치 B5°와 보정기준위치 θ°의 오차 Δθ°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이 오차 Δθo를 점화시기의 제어에 반영시키기 위한 보정수단과, 기억된 보정기준위치 Δθo와 신규로 얻은 보정기준위치 θoA의 차가 소정치 이상의 경우에 신규의 보정기준위치 θo'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기 위한 갱신수단을 포함하고 있다. 이 제3실시예의 기본동작도 제2도에 의하여 설명한 바와 같다. 그러나 제2도에서 초기설정된 보정기준위치 θo는 실제 3° 미만의 지각측 오차 Δθo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마이컴(5A)내의 기억수단은 오차 Δθo를 기억하고 마이컴(5A)내의 보정수단은 Δθo를 반영시킨 전자직각에 의하여 점화시기를 제어한다. 또한 마이컴(5A)는 안전운전영역에서 보정기준위치를 신규로 검출하고, 기억된 보정기준위치 θo와 신규로 얻은 보정기준위치 θo'의 차가 소정치 이상의 경우에 갱신수단에 의하여 신규의 보정기준위치 θo'를 기억시킨다. 다음은 제7도 및 제8도를 참조하면서 보정기준위치 θo의 오차 Δθo에 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7도의 #1기통의 제1기준위치 B5°에 대한 보정기준위치 θo의 오차 Δθo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며, Δt는 펄스신호 P의 피치 Δθ에 상당하는 피치시간, Δto는 오차 Δθo에 상당하는 오차 시간이다.
피치시간 Δt는 피치 Δθ와 마찬가지로 링기어의 톱니수로부터 미리 연산가능한 값이다.
제8도는 펄스신호 p에 노이즈 PN이 중첩할 때 또는 검출미스(miss) PM이 발생한 보정기준위치 θo'와 초기의 보정기준위치 θo의 차를 설명하기 위한 파형도이며, PN이 중첩한 경우에는 보정기준위치 θo가 진각하고 검출미스가 발생한 경우에는 보정기준위치 θo가 지각하는 것을 나타내고 있다. 통상적으로 링기어의 톱니위치가 무조정이므로, 보정기준위치 θo는 제7도와 같이 초기설정시에 실제의 기준위치 B5°에 대하여 피치 Δθ 이내의 지각오차 Δθo를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점화시기의 제어성에 영향을 끼치지 않도록 보정기준위치 θo를 절대기준위치에 대응시킬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마이컴(5A)은 제1기준위치 B5°를 검출하고 나서부터 펄스신호 P가 하강하기 까지의 오차시간 Δto를 측정하고 피치시간 Δt를 사용하여서 크랭크각으로 변환하여 다음식에 의하여 오차 Δθo를 구한다.
Δθo=Δθ(Δto/Δt)
이렇게 구한 오차 Δθo는 마이컴(5A)내의 기억수단에 기억되고, 보정기준위치 θo를 절대크랭크각 위치에 대응시키는데 사용되어서 이후의 점화제어에 반영된다.
또, 그 후도 안전운전영역(아이들링)에 돌입시마다 신규의 보정기준위치 θo'를 구하게 되나 제8도와 같이 노이즈 PN의 중첩 또는 검출미스 PM에 의하여 초기에 기억된 보정기준위치 θo는 절대기준위치에서 시프트(shift)될 가능성이 있다.
그래서, 마이컴(5A)내의 갱신수단은 신규의 보정기준위치 θo'와 먼저 기억된 보정기준위치 θo와 비교하고 이들이 소정치 이상 상이한 경우에는 기억치를 신규의 보정기준위치 θo'로 갱신한다. 다음은 제9도의 플로차트를 참조하면서 보정기준위치 θo의 갱신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운전영역이 학습영역, 즉 아이들링 여부를 판정하고 (스텝 S1) 학습영역의 경우면 신규의 보정기준위치 θo'를 구하여 먼저 기억된 보정기준위치 θo와의 차를 구하고 소정치 θG와 비교한다(스텝 S2). 만약 각 보정기준위치 θo'와 θo의 차가 소정치 θG이상이면은 기억되는 보정기준위치 θo의 값을 θo'로 갱신한다(스텝 S3). 소정치 θG는 예를들면 펄스신호 P의 1피치 Δθ에 상당하는 값에 설정된다. 이 결과 노이즈 PN또는 검출미스 PM의 발생에 의하여 보정기준위치 θo가 제1기준위치 B5°에서 시프트되어도 자동적으로 정확한 보정기준위치 θo'로 갱신된다. 또 보정기준위치 θo의 시프트 판정스텝(S2)는 제8도에 표시된 오차 Δθo에 기준하여 행할 수 있다. 예를들면 기준위치 B5°보다도 지각측에 있어야 할 보증기준위치 θo의 오차 Δθo가 기준위치 B5°보다도 진각인 것을 나타낸 경우에는 노이즈 PN이 중첩된 것을 판정하고, 또 신규의 오차 Δθo'와 초기의 오차 Δθo의 차(Δθo'-Δθo)가 1피치 Δθ 이상의 경우는 검출미스 PM가 존재한 것을 판정한다. 따라서, 갱신수단은 보정기준위치 θo및 오차 Δθo를 신규의 값 θo' 및 Δθo'로 각각 갱신하여 기억수단에 기억시킨다.
제10도는 이 발명의 제4실시예를 표시하는 블록도이며, 5A는 마이컴(5)에 대응하고 있다. 11은 캠축에 설치되어서 기통식별정보(후술하는 펄스폭) 및 제1기준위치(소정 크랭크각 B5°)를 표시하는 캠축신호 SCT를 생성하는 캠축 신호발생기이며, 캠축신호 SCT는 기통마다 다른 펄스폭을 가진 복수의 펄스로 되어 있다.
12는 크랭크축에 설치되어서 일정크랭크각(예를들면 3°)의 피치를 가진 펄스신호 P를 생성하는 펄스신호 발생기이며, 예를들면 크랭크축과 일체로된 링기어의 톱니에 대향배치된 전자픽업으로 되어 있다. 13은 캡축신호 SCT를 처리하여 송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 14는 펄스신호 P를 처리하여서 송출하기 위한 인터페이스이다.
15는 안전운전영역(후술)에서는 제1기준위치 B5°에 대응한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펄스신호 P를 계수하여서 보정기준위치 신호 ST'를 생성하는 기준위치 카운터이며, 펄스신호 P가 클럭입력단지 C에 인가되어 있다. 또 기준위치 카운터(15)는 가능입력단자 PE에 기준위치 검출신호 D가 인가되면 펄스신호 P의 계수를 개시하고, 그 후 프리세트 입력단자 PS에 입력된 계수치에 달할 때마다 캐리신호를 반전하여서 보정기준위치 신호 ST'로서 출력한다. 16은 마이컴(5A)의 입력단자 및 기준위치 카운터(15)의 가능입력단자 PE에 접속된 절환회로이며 불안전운전영역(시동시 등)에서는 캠축신호 SCT를 마이컴(5A)으로 입력하고 안전운전영역(아이들링 또는 통상운전시)에서는 캠축신호 SCT에 기준하여 임의기통에 제1기준위치 B5°에 대응한 기준위치 검출신호 D를 기준위치 카운터(15)의 가능입력단자 PE에 입력한다.
절환회로(16)는 기능적으로 마이컴(5A)에 포함시켜도 된다. 17은 캠축신호 SCT 및 펄스신호 P의 논리적을 연산하는 앤드게이트, 18은 앤드게이트(17)를 통과한 펄스신호 P(캠축신호 SCT의 각 펄스폭에 대응)을 계수하여서 기통식별계수 신호 T를 생성하는 기통식별 카운터이며, 이들은 캠축신호 SCT로부터 기통식별정보를 판독하는 기통식별수단을 구성하고 있다. 기통식별 카운터(18)는 캠축신호 SCT의 하강(B5°)마다 기통식별 계수신호 T를 마이컴(5A)에 입력하고 입력과 동시에 마이컴(5A)에 의하여 리세트된다. 이 경우 마이컴(5A)은 기준위치 카운터(15)의 프리세트 입력단자 PS에 소정의 계수치를 입력하는 기능과, 운전영역에 따라서 절환회로(16)를 절환하는 기능을 가지고 있으며, 각 기통에 대한 점화시기를 불안정 운전영역에서 캠축신호 SCT 및 기통식별 계수신호 T에 기준하여서 제어하고 안전운전영역에서는 기통식별 계수신호 T 및 보정기준위치 신호 ST'에 기준하여서 연산제어한다.
제11도는 제10도의 동작설명을 위한 파형도이다. 여기서는 링기어의 톱니수를 120으로 하고 펄스신호 P의 피치 Δθ를 3°, 보정기준위치신호 ST'의 제3기준위치 B5°'에서 다음 제4기준위치 B75°'까지(크랭크각 110에 대응)의 계수치 37, 제4기준위치 B7°'에서 제3기준위치 B5°'까지(동 70°에 대응)의 계수치를 23으로 하고 있다. 보정기준위치 신호 ST'는 초기설정된 보정기준위치 θo를 기점으로 하여 계수된 펄스신호 P의 계수치에 기준하여 생성된다. 그리고 보정기준위치 θo는 안전운전영역에서 임의기통(예를들면 #1)의 제1기준위치 B5°를 검출한 다음 최초의 펄스신호 P의 하강타이밍에 의하여 초기 설정된다. 또 캠축신호 SCT의 각 기통에 대응한 펄스폭 T1-T4는 펄스신호 P의 계수치로 된 기통식별 계수신호 T에 의하여 각각(18), (23), (28) 및 (33)으로 표시된다. 이들의 펄스폭 T1-T4는 캠축신호발생기(11)의 슬릿정도나 노이즈 등의 영향에 의하여 기통식별 계수신호 T가 계수치에 ±1 정도의 오차가 생겨도 기통식별이 가능한 범위에 또한 불안전운전영역의 강제통전 점화제어로 점화가능한 통전에너지를 얻는 값에 설정되어 있다. 다음은 제11도를 참조하면서 제10도에 표시한 이 발명의 제4실시예의 동작을 설명한다. 먼저 엔진시동시 등의 불안전 운전영역에서는 회전벽동이 크며, 크랭크각에 정확히 대응한 펄스신호 P를 얻지 못하므로 기준위치 카운터(15)는 작동하지 않으며 절환회로(16)는 캠축신호 SCT를 마이컴(5A)에 입력한다. 또 기통식별 카운터(18)는 앤드게이트(17)를 통과한 펄스신호 P, 즉 캠축신호 SCT의 각 펄스폭 T1-T4(H 레벨 구간)에 대응한 펄스신호 P를 계수하고 기통식별 계수신호 T로서 마이컴(5A)에 입력한다. 따라서 마이컴(5A)은 캠축신호 SCT 및 기통식별 계수신호 T에 기준하여서 강제통전점화(바이패스)를 제어한다.
다음, 아이들링 운전상태에 돌입하여 회전변동이 극소인 안전운전영역이 되면 펄스신호 P가 안정되므로 펄스신호 P의 계수치를 크랭크각에 대응시키기 위하여 보정기준위치 θo를 초기설정한다. 즉 안전운전영역임을 판정하면은 마이컴(5A)은 절환회로(16)를 기준위치 카운터(15)측으로 절환하는 동시에 기준위치 카운터(15)의 계수치를 1에 프리세트하고 기준위치 카운터(15)에 기준위치 검출신호 D가 입력되는 것을 기다린다. 절환회로(16)는 임의기통의 제1기준위치 B5°를 검출한 시점에서 기준위치 검출신호 D를 생성하고 기준위치 카운터(15)의 기능입력단자 PE에 인가한다. 이에따라 기준위치 카운터(15)는 클럭입력단자 C에 인가되는 펄스신호 P의 계수치를 개시하는데, 계수치 1이 프리세트되어 있으므로 펄스신호 P의 최초 하강타이밍(보정기준위치 θo)에서 보정기준위치 신호 ST'를 하강시킨다.
이때 기통식별 신호 T가 마이컴(5A)에 기히 입력되어 있으므로, 예컨대, 기통식별 계수신호 T의 계수치(18)에 의하여 마이컴(5A)은 #1기통의 제1기준위치 B5°인 것이 식별된다. 이와동시에 마이컴(5A)은 기준위치 카운터(15)를 리세트하는 동시에 다음기통의 제4기준위치 B75°'에 대응하는 계수치 37을 기준위치 카운터(15)의 프리세트 입력단자 PS에 인가한다. 따라서 기준위치 카운터(15)는 기준위치 검출신호 D가 입력된 보정기준위치 θo(즉 제3기준위치 B5°')로부터 펄스신호 P의 계수치가 37에 달한 시점에서 보정기준위치 신호 ST'를 상승시켜 제4기준위치 B75°'로 한다. 마찬가지로 마이컴(5A)은 기준위치 카운터(15)를 리세트하는 동시에 제3기준위치 B5°G에 대응하는 계수치 23을 기준위치 카운터(15)의 프리세트 입력단자 PS에 인가한다. 따라서 기준위치 카운터(15)는 제4기준위치 B75°'로부터 펄스신호 P의 계수치가 23에 달한 시점에서 보정기준위치 신호 ST'를 하강시켜 제3기준위치 B5°'로 한다. 이후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 B5°' 및 제 B75°'에서 교대로 반전하는 보정기준위치 신호 ST'가 생성되고 통상의 운전영역에 돌입하여도 연속적으로 생성된다. 이렇게 얻은 보정기준위치 신호 ST'는 보정기준위치 θo기점으로 하여, 크랭크축의 회전과 완전히 동기하고 있으므로 노이즈 등을 무시하면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 B5°' 및 B75°'의 검출오차는 전혀 발생하지 않는다.
마이컴(5A)은 보정기준위치 θo이후의 펄스신호 P의 각 하강타이밍이 크랭크각의 3o에 대응하고 있으므로 계수치 37 및 23의 정보를 마이컴(5A)내의 메모리에 기억하여 교대로 프리세트 입력단자 PS로 출력하고 보정기준위치 신호 ST'의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 B5°' 및 B75°'에 기준하여 각 기통의 점화제어(전자 진각제어 등)를 수행한다. 이와같이 마이컴(5A)은 캠축신호 SCT 및 펄스신호 P에 기준하여 안전운전영역에서의 보정기준위치 θo를 기점으로 하여 보정된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 B5°' 및 B75°'를 구하고 이들에 대응하는 계수치 37 및 23을 기준위치 카운터(15)에 프리세트하여 보정기준위치 신호 ST'를 취득함으로써 각 기통의 점화시기를 고정도로 연산 제어할 수 있다. 또 마이컴(5A)에 입력되는 보정기준위치 신호 ST'의 파형은 종래의 기준위치 신호 ST와 동일형태이므로 마이컴(5A)내에서의 연산처리를 변화시킬 필요가 없고 종래와 같은 소프트웨어를 겸용할 수 있어 특히 비용증가를 초래하지도 않는다. 그리고 이 발명에서는 기준위치 카운터(15)의 프리세트 계수치를 1로하여 보정기준위치 θo를 초기 설정하였으나 기준위치 검출신호 D가 생성되면서 부터 최초의 펄스신호 P의 하강을 검출하는 별도의 하드웨어 수단을 사용하여도 된다.
또 4기통의 경우를 예를 들었으나, 6기통 이상의 임의의 복수기통에 대하여 적용할 수 있음은 말할 것도 없다. 또 제4기준위치는 B75°'에 한정되지 않고 프리세트 계수치에 의하여 임의의 기준위치에 설정할 수 있다. 또한 펄스신호 발생기(6)로서 링기어를 사용하였으나 같은 펄스신호 P를 발생하는 것이면 다른 수단을 사용할 수 있으며 크랭크축의 1회전 사이의 발생하는 펄스수도 120펄스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상과 같이 이 발명에 의하면, 크랭크축에 설치되어서 일정 크랭크각의 피치로 된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신호 발생기와, 제1기준위치에 대응한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펄스신호를 계수하여서 보정기준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카운터와, 기통식별 신호, 기준위치 신호 및 보정기준위치 신호에 기준하여서 각 기통에 대한 점화시기를 연산 제어하는 마이컴을 구비하고, 캠축에 동기한 기통식별 신호 및 기준위치신호와 크랭크축에 동기한 펄스신호에 기준하여 고정도의 보정기준 위치를 구하고, 이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한 보정기준위치 신호에 기준하여서 점화시기를 제어하도록 하였으므로, 고정도의 주기계측 전자진각제어가 가능한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를 얻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안전운전 영역에서의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제1 및 제2기준위치에 대응하여 보정된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를 구하고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에 대응하는 계수치를 카운터에 프리세트하고 보정기준위치 신호에 의하여 표시되는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에 기준하여서 각 기통의 점화시기를 연산 제어하도록 하였으므로 고정도의 주기계측 전자진각 제어가 가능한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를 얻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이 발명에 의하면, 캠축에 설치되어서 소정의 크랭크각에 대응한 기준위치를 표시하는 기준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위치 신호발생기와, 크랭크축에 설치되어서 일정 크랭크각의 피치로 된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신호 발생기와, 기준위치에 대응한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펄스신호를 계수하여서 보정위치신호를 생성하는 카운터와, 기준위치 신호 및 보정기준위치 신호에 기준하여 각 기통에 대한 점화시기를 연산제어하는 마이컴을 구비하고, 마이컴이 크랭크각에 대한 보정기준위치 신호의 오차를 점화시기의 제어에 반영시키기 위한 보정수단을 포함하며, 고정도의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한 보정기준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동시에 크랭크축의 1회전에 대한 펄스신호수에 의하여 보정기준위치 신호에 포함되는 오차를 점화시기 제어에 반영시키도록 하였으므로, 고정도의 주기계측 전자진각 제어가 가능한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를 얻게되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이 발명에 의하면, 캠축에 설치된 소정의 크랭크각에 대응한 기준위치를 표시하는 기준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위치신호 발생기와, 크랭크축에 설치되어서 일정 크랭크각의 피치로 된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신호 발생기와, 기준위치에 대응한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펄스신호를 계수하여서 보정기준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카운터와, 기준위치 신호 및 보정기준위치 신호에 기준하여서 각 기통에 대한 점화시기를 연산 제어하는 마이컴을 구비하고 마이컴이 기준위치와 보정기준위치의 오차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오차를 점화시기의 제어에 반영시키기 위한 보정수단을 포함하고, 기준위치 신호 및 펄스신호에 기준하여서 고정도의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한 보정기준위치 신호를 생성하고, 기준위치와 보정기준위치의 오차를 점화시기 제어에 반영시켜서 보정하도록 하였으므로, 고정도의 주기진각 전자제어에 의한 점화시기 제어가 가능한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를 얻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마이컴에 기억된 보정기준위치와 신규로 얻은 보정기준위치의 차가 소정치 이상의 경우에 신규의 보정기준위치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기 위한 갱신수단을 추가로, 포함시켜 노이즈 등에 의하여 펄스신호의 계수치가 시프트되어도 보정기준위치를 자동적으로 갱신하도록 하였으므로 정확한 보정기준 위치에 기준한 고정도의 주기계측 전자진각제어가 가능한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를 얻는 효과가 있다. 그리고 또한 이 발명에 의하면 캠축에 설치되어서 기통식별 정보 및 제1기준위치를 표시하는 캠축신호를 생성하는 캠축 신호발생기와, 크랭크축에 설치되어서 일정 크랭크각 피치의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신호 발생기와 제1기준위치에 대응한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펄스신호를 계수하여서 보정기준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위치 카운터와 캠축신호로부터 기통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기통식별 수단과, 캠축신호, 기통식별 정보 및 보정기준위치 신호에 기준하여서 각 기통에 대한 점화시기를 연산 제어하는 마이컴을 구비하고, 캠축신호 및 펄스신호에 기준하여서 크랭크축의 회전에 대응한 정확한 보정기준위치를 구하고,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한, 보정기준위치 신호에 의하여 점화시기 제어를 하도록 하였으므로 고정도의 주기계측 전자진각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단일 캠축 신호발생기에 의하여 비용저가를 실현한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를 얻게되는 효과가 있다.
또 이 발명에 의하면, 마이컴이 안전운전영역에서의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보정된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를 구하고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에 대응하는 계수치를 기준위치 카운터에 프리세트하여서 보정기준위치 신호를 취득하고 보정기준위치 신호의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에 기준하여서 각 기통의 점화시기를 연산 제어하도록 하였으므로 고정도의 전자진각 제어를 가능하게 하는 동시에 비용절감을 실현한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를 얻게되는 효과가 있다.

Claims (8)

  1. 복수의 기통에 의하여 구동되는 크랭크축 및 이 크랭크축의 1/2의 속도의 상기 크랭크축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축을 가지는 내연기관의 점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에 설치되어서 기통식별 신호를 생성하는 기통식별 신호발생기와, 상기 축에 설치되어서 소정의 크랭크각에 대응하여 제1 및 제2의 기준위치를 표시하는 기준위치신호를 생성하는 기준위치 신호발생기와, 상기 크랭크축에 설치되어서 일정 크랭크각의 피치로 된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신호 발생기와, 상기 내연기관의 회전이 안정된 후에, 상기 제1기준위치에 대응한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상기 펄스신호를 계수하여서 보정기준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카운터와, 상기 보정기준위치 신호가 생성되기 전은 상기 기준위치신호를 선택하는 동시에, 상기 보정기준위치 신호가 생성된 후는 상기 보정기준위치 신호를 선택하는 절환회로와, 상기 절환회로에 의해 선택된 상기 기준위치 신호 또는 상기 보정기준위치 신호를 선택하는 절환회로와, 상기 절환회로에 의해 선택된 상기 기준위치 신호 또는 상기 보정기준위치 신호의 어느 한쪽과, 상기 기통식별 식별신호에 기준하여서 상기 기통의 각각에 대한 점화시기를 연산하는 마이컴과를 구비한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마이컴은 안정운전 영역에서의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제1 및 제2의 기준위치에 대응하여서 보정된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를 구하고, 상기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에 대응하는 계수치를 카운터에 프리세트하며, 보정기준위치 신호에 의하여 표시되는 상기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에 기준하여서 각 기통의 점화시기를 연산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크랭크각에 대한 상기 보정기준위치 신호의 오차를 상기 점화시기의 제어에 반영시키기 위한 보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마이컴은 상기 기준위치와 상기 보정기준위치의 오차를 기억하는 기억수단과, 상기 오차를 상기 점화시기의 제어에 반영시키기 위한 보정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마이컴은 기억된 보정기준위치와 신규로 얻은 보정기준위치의 차가 소정치 이상의 경우에 상기 신규의 보정기준위치를 기억수단에 기억시키기 위한 갱신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
  6. 복수의 기통에 의하여 구동되는 크랭크축 및 이 크랭크축의 1/2의 속도로 상기 크랭크축에 동기하여 회전하는 축을 가지는 내연기관의 점화장치에 있어서, 상기 축에 설치되어서 기통식별 정보 및 제1기준위치를 표시하는 신호를 생성하는 신호발생기와, 상기 크랭크축에 설치되어서 일정 크랭크 각의 피치로 된 펄스신호를 생성하는 펄스신호 발생기와, 상기 내연기관의 회전이 안정된 후에, 상기 제1기준위치에 대응한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상기 펄스신호를 계수하여서 보정기준위치 신호를 생성하는 카운터와, 상기 보정기준위치 신호가 생성되기 전은 상기 신호발생기의 신호를 선택하는 동시에, 상기 보정기준위치 신호가 생성된 후는 상기 보정기준 신호를 선택하는 절환회로와, 상기 신호발생기의 신호로부터 상기 기통식별 정보를 판독하는 기통식별 수단과, 상기 절환회로에 의해 선택된 상기 신호발생기의 신호 또는 상기 보정기준위치신호의 어느 한쪽과, 상기 기통 식별수단에 판독된 상기 기통식별 정보에 기준하여서 상기 기통의 각각에 대한 점화시기를 연산하는 마이컴과를 구비한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마이컴은 안정운전 영역에서의 보정기준위치를 기점으로 하여 보정된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를 구하고, 상기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에 대응하는 계수치를 기준위치 카운터에 프리세트하며, 보정기준위치 신호에 의하여 표시되는 상기 제3 및 제4의 기준위치에 기준하여서 각 기통의 점화시기를 연산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신호발생기의 신호는 기통마다 다른 펄스폭을 가진 복수의 펄스로 되어 있고, 기통식별수단은 상기 각 펄스신호로 계수하여서 기통식별 계수신호를 생성하는 기통식별 카운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
KR1019920010942A 1991-06-27 1992-06-23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 KR95000997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91-156723 1991-06-27
JP91-156724 1991-06-27
JP3156723A JPH051654A (ja) 1991-06-27 1991-06-27 内燃機関点火制御装置
JP3156724A JPH051655A (ja) 1991-06-27 1991-06-27 内燃機関点火制御装置
JP3164491A JPH0510233A (ja) 1991-07-04 1991-07-04 内燃機関点火制御装置
JP91-164491 1991-07-04
JP91-164490 1991-07-04
JP3164490A JPH0510232A (ja) 1991-07-04 1991-07-04 内燃機関点火制御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930000816A KR930000816A (ko) 1993-01-15
KR950009974B1 true KR950009974B1 (ko) 1995-09-04

Family

ID=274734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920010942A KR950009974B1 (ko) 1991-06-27 1992-06-23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5263450A (ko)
KR (1) KR950009974B1 (ko)
DE (1) DE4221308C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4230616A1 (de) * 1992-09-12 1994-03-17 Bosch Gmbh Robert Einrichtung zur Erkennung der Stellung wenigstens einer, eine Referenzmarke aufweisenden Welle
DE4242419A1 (de) * 1992-12-16 1994-06-23 Bosch Gmbh Robert Verfahren zur Zylindererkennung im Leerlauf von Brennkraftmaschinen
US5463898A (en) * 1994-09-30 1995-11-07 Chrysler Corporation Method of detecting timing apparatus malfunction in an engine
US5621644A (en) * 1995-02-08 1997-04-15 Chrysler Corporation Method for determining camshaft and crankshaft timing diagnostics
KR100335927B1 (ko) * 1999-07-21 2002-05-09 이계안 크랭크 각도 신호 처리장치 및 그 처리 방법
JP3766244B2 (ja) * 1999-11-02 2006-04-12 株式会社日立製作所 エンジンの気筒判別装置
JP3853586B2 (ja) * 2000-10-18 2006-12-06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気筒判別装置
JP3768927B2 (ja) * 2002-07-10 2006-04-19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気筒判別装置
JP4449029B2 (ja) * 2003-05-14 2010-04-14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自動車用電子制御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出力ドライバ回路
JP5852914B2 (ja) * 2012-03-30 2016-02-03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電子制御装置
JP5948230B2 (ja) * 2012-11-26 2016-07-06 日立オートモティブシステムズ株式会社 車載制御装置
WO2015196253A1 (en) * 2014-06-27 2015-12-30 Orbital Australia Pty Ltd Redundancy in uav engine timing position systems
FR3108676B1 (fr) * 2020-03-24 2022-02-25 Vitesco Technologies Procédé et dispositif de contrôle moteur avec signal vilebrequin reconstitué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014913B2 (ja) * 1979-04-11 1985-04-16 日産自動車株式会社 エンジンの電子制御点火装置
JPS585469A (ja) * 1981-06-30 1983-01-12 Nec Home Electronics Ltd エンジン点火装置
JP2648928B2 (ja) * 1988-04-28 1997-09-03 富士重工業株式会社 自動車用エンジンの気筒判別装置および気筒別制御方法
JP2825509B2 (ja) * 1988-10-05 1998-11-18 三菱電機株式会社 内燃機関の気筒識別装置
JPH07117036B2 (ja) * 1989-04-14 1995-12-18 株式会社日立製作所 点火制御装置
US5182943A (en) * 1989-11-24 1993-02-02 Mitsubishi Denki K.K. Cylinder identification apparatu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4221308C2 (de) 1994-06-09
KR930000816A (ko) 1993-01-15
US5263450A (en) 1993-11-23
DE4221308A1 (de) 1993-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50009974B1 (ko) 내연기관 점화제어장치
JP2648929B2 (ja) エンジンの気筒判別装置
KR940008275B1 (ko) 내연기관의 제어장치
US5671714A (en) Apparatus for controlling operation timing of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S61164055A (ja) デイ−ゼル機関用燃料噴射時期制御装置
US4959996A (en) Control signal generator for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US5284114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controlling an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833935B2 (ja) 内燃機関制御装置
JP2002130037A (ja) 内燃機関の気筒判別装置
US5429093A (en) Apparatus for controller internal combustion engine
JP2002130036A (ja) 内燃機関の気筒判別装置
KR950010462B1 (ko) 내연기관용 점화제어장치 및 방법
US4966116A (en) Electronic control ignition system for internal combustion engines
JPH0510233A (ja) 内燃機関点火制御装置
KR100707222B1 (ko) 회전 각도 검출 장치의 각도 보정 방법
JPH0510232A (ja) 内燃機関点火制御装置
JPS6270646A (ja) 内燃機関の点火装置
JP2834371B2 (ja) 内燃機関制御装置
KR100432606B1 (ko) 크랭크 신호의 호환 장치
JPH051654A (ja) 内燃機関点火制御装置
US5711278A (en) Circuit and method for synchronizing a fuel pump or the like
JPH051655A (ja) 内燃機関点火制御装置
JP2878028B2 (ja) 内燃機関制御装置
JP2501934B2 (ja) 内燃機関用気筒識別方法
JP2878025B2 (ja) 内燃機関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00825

Year of fee payment: 16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