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6304B1 - 수동 취합 계량장치 - Google Patents

수동 취합 계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6304B1
KR910006304B1 KR1019870014164A KR870014164A KR910006304B1 KR 910006304 B1 KR910006304 B1 KR 910006304B1 KR 1019870014164 A KR1019870014164 A KR 1019870014164A KR 870014164 A KR870014164 A KR 870014164A KR 910006304 B1 KR910006304 B1 KR 910006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ighing
combination
meter
weight
control mea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41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8005A (ko
Inventor
히로까즈 사또
야스히로 고또
가즈후미 호리우찌
야스오 미찌바야시
히데오 노브쓰구
다꾸미 가와무라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이시다 고오끼세이사꾸쇼
이시다 류우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941598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48129A/ja
Priority claimed from JP294158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25689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4893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7893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489287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78933B2/ja
Priority claimed from JP6489487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31228A/ja
Priority claimed from JP62095679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261115A/ja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이시다 고오끼세이사꾸쇼, 이시다 류우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이시다 고오끼세이사꾸쇼
Publication of KR8800080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80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6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6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1/00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 G01G11/14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using totalising or integrating devices
    • G01G11/16Apparatus for weighing a continuous stream of material during flow; Conveyor belt weighers using totalising or integrating devices being electrical or electronic mea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9/00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 G01G19/387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combinatorial weighing, i.e. selecting a combination of articles whose total weight or number is closest to a desired value
    • G01G19/393Weighing apparatus or methods adapted for special purposes not provided for in the preceding groups for combinatorial weighing, i.e. selecting a combination of articles whose total weight or number is closest to a desired value using two or more weighing uni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GWEIGHING
    • G01G13/00Weighing apparatus with automatic feed or discharge for weighing-out batches of material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asic Packing Technique (AREA)
  • Weight Measurement For Supplying Or Discharging Of Specified Amounts Of Material (AREA)
  • Cash Registers Or Receiving Machin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수동 취합 계량장치
제1도는 수동 취합 계량장치의 계량접시에 상품을 얹어 놓았을 때의 계량 데이터의 시간적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도.
제2a~c도는 본 발명의 구성 부품을 나타낸 외관 사시도.
제3도는 본 발명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4a, b도는 본 발명의 계량 유닛의 배치도.
제5a, b도는 본 발명의 전기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
제6도는 표시등 b의 홀드제어의 수동에 의한 기본적인 처리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7도는 수동 모우드에 의한 본 발명의 다른 처리수단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8도는 메인 스케일이 강제적으로 조합계량에 첨가할 때 표시등 b의 자동 표시 홀드의 트리거를 메인 스테일에 의하여 행하는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9도는 자동 모우드에 의한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10도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의 처리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11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12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13a, b도는 이 오동작 방지의 실시예의 처리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제14도는 수동 취합 계량장치의 표시장치 h에 형성되는 표시부의 상세를 나타낸 설명도.
제15도는 또다른 실시예의 처리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
본 발명은 복수의 계량접시에 계량되는 상품을 수작업에 의하여 얹어 놓고, 그들중에서 몇 개를 조합하여 소망의 중량과 동일 중량 또는 가장 가까운 중량으로 된 것을 선택하는 수동 취합 계량장치에 관한 것이다.
대형 슈퍼마아켓의 상품팩 공장등에 있어서, 한 마리의 어물을 수마리 또는 토막 어물이나 육편을 복수매씩 소정 범위내의 중량으로 하여 포장할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통상, 육편이나 어물의 토막 등을 이송공급하는 벨트 콘베이어의 한쪽 또는 양쪽에 형성한 랙에 계량접시를 포함한 계량기를 복수개 배설하고, 또한, 이들 복수의 계량기에 의하여 계량된 어물 등의 상품의 계량치를 조합하여 소정의 중량과 동일하든지 가장 그에 가까운 중량이 된 것의 조합을 선택하고, 그 선택된 계량접시를 표시하고, 표시된 계량접시상의 상품만을 꺼내도록 한 제어장치를 형성한 수동 취합 계량장치가 알려져 있으며, 이와 같은 장치는 일본 실 공소 61-35932호 공보 또는 동 실개소 56-170728호 공보에 기재되어서 공지되었다.
상술과 같은 취합 계량장치는 모드 세장대형의 랙 상에 5~10개 또는 그 이상의 계량접시와 계량기를 형성하고, 그리고 상품을 이송공급하기 위한 벨트 콘베이어가 이 랙에 장착되어 있으므로, 수동 취합 계량장치가 세장 그리고 대형화하므로, 공장내에 있어서 수동 취합 계량장치의 설치에 대한 자유도가 감소될 뿐 아니라, 설치에 큰 제약을 받는 문제가 있다. 또, 각 저울마다 수평도를 유지하지 않으면 안되어 조정이 번잡해지는 문제도 있었다.
또, 계량기가 조합에 선택되었다는 것을 통지하는 표시 등은 계량접시로부터 상품을 제거하면 소등하도록 구성되어 있으나, 이 소등시키는 타이밍이 문제가 된다. 계량접시로부터 상품을 완전히 제거하기 전에, 예를 들면, 조작자가 상품을 잡은 직후에 표시등이 소등되었을 경우, 조작자가 잘못하여 재차 상품을 계량접시에 얹어 놓는 등의 오동작을 하고 마는데, 종래의 장치에서는 이와 같은 표시등의 제어가 충분히 행해지지 못한 문제가 있었다.
이와 같은 수동 취합 계량장치는 조합이 완료하고, 조합에 선택된 계량기의 표시 등에는 지령신호가 출력되어 점등은 일정시간 홀드된다. 그리하여, 홀드의 해제는 각 계량접시로부터 상품이 모두 제거되며 중량이 영 또는 마이너스로 되돌아갔음을 조건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상품중에서 반찬이나 소프트치이즈와 같이 점착성이 있는 것으로서 소량의 잔존물이 계량접시에 얹어 놓여진 채로이면 홀드상태가 해제되지 않게 되어 다음 처리가 실행되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또한 이와 같은 수동 취합 계량장치로 계량되는 상품의 형상 점성등의 성질은 상술과 같이 여러 가지로 나누어져 있으며, 예를 들면, 유연성이 있는 장척상의 상품(어물등)의 경우에는 조작자가 상품을 손에 들고 계량접시에 그 일부를 얹어 놓고, 조금씩 계량접시의 중앙부에 상품을 이동시켜가서 최후에 손을 상품으로부터 떼는 이와 같은 계량작업이 행해진다. 또, 상품이 점착물인 경우, 취합기로부터 점착물이 계량접시에 낙하하여 취합되기까지에는 상당한 시간이 걸릴 때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에, 수동 취합 계량장치는 상품(피계량물)이 정량으로 취합되지 않은 상태에서 조합 계량동작을 몇회 행하여, 저울로 얻어진 계량 데이터는, 제1도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시적인 안정점 X에 달한 후, 재차 상승하여 Y점의 본래의 안정치에 달하는 형식으로 변화할 경우가 있다. 따라서, 일시적인 안정점 X에서 조합연산을 실행하면, 조합 선택이 정확히 행해지지 못하며, 오선택이 행해지는 문제가 있었다.
그밖에 상술과 같은, 수동 취합 계량장치를 장시간 사용했을 경우, 온도 드리프트나 먼지들의 부착에 의하여 영점이 시프트 해버리는 일이 있다. 이 영점의 오차가 중량증가 방향이면, 계량접시에 상품이 얹어 놓여져 있지 않음에도 불구하고, 그 계량기가 조합계량에 참가해 버리게 되어, 정확한 중량을 갖지 않은 팩이 될 뿐 아니라, 빈채로 선택된 계량 접시 부분의 표시등이 점등하여, 홀드된 채로의 상태로 되는 결함이 있다. 그리하여, 이와 같은 수동 취합 계량장치에 있어서, 예를 들면, 설정 중량이 500g, 상한중량이 504g, 하한 중량이 498g인 경우에, 정량 조합이 얻어지지 못하며, 연산장치가 기억하고 있는 조합의 조합중량이 516g으로 조합에 선택되는 계량기가 A, B, C라면, 편차로서는 (516-500)=16g이 표시되어, 작업자는 편차의 표시가 -2g~+4g의 범위내에 들어오도록 계량기 A, B, C의 상품을 바꾸지 않으면 안되는데, 한번의 상품의 바꿈에 의하여, -2g~+4g의 범위내에 넣음은 곤란하며, 몇번의 바꿈작업이 필요하게 되므로, 작업성이 악화되는 문제도 있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술한 바와 같은 종래의 결점을 개선하는 신규한 발명으로서, 그 목적은 조합 계량에 필요한 복수대의 계량기를 복수대 씩 광체내에 분할 수용하고, 이 광체를 적당히 조합함으로써, 공장내의 설치 공간의 자유도를 증대시킴과 동시에, 계량 동작을 신속정확, 그리고 용이하게 실행할 수 있고, 조합 선택을 통지하는 표시등을 정확하게 동작시키는 수동 취합식의 계량 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의 수동 취합 계량장치는 수동에 의하여 피계량 상품이 얹어 놓여진 복수의 계량기를 갖고, 이들 계량기를 소정수씩 분할하여 복수의 광체에 수용한다. 그리하여, 이들 복수의 광체에는 각각 계량기에 대응하여, 최적 조합에 선택되었음을 표시하는 표시기가 형성된다.
제어장치에는 목표 중량을 설정하는 수단과, 각 계량기의 계량 데이터를 기억하는 수단과, 이 계량 데이터에 의해 조합계산하여 목표 중량에 대하여 소정의 허용오차의 범위내에서 최적한 조합이 되는 계량기를 선택하는 제어부를 형성함과 동시에, 홀드키이가 조작되는 타이밍 또는 최적 조합에 선택된 계량기로부터 상품이 제거되는 타이밍에서 전기 표시기의 표시를 홀드시키는 홀드수단과, 해당 계량기의 계량 데이터가 영 또는 마이너스로 되었음을 검출하여 대응하는 표시기의 표시를 소등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한다.
또, 본 발명에 관한 수동 취합 계량장치는 상기의 표시홀드를 일정시간 유지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에 있어서, 최적의 조합이 되는 계량기를 선택하는 동작을 실행할 때, 이 제1회의 선택동작에 계속하여, 재차 각 계량기로부터의 계량데이터를 사용하여 조합연산을 실행하고, 제2회째의 조합 중량이 제1회째의 조합 중량보다 목표중량에 가까운 경우에는 이 조합에 의하여 표시기의 표시를 정정하는 제어수단을 유지시킬 수도 있으며, 각 계량기로부터의 계량 데이터를 사용하여 조합 계량을 행할 때, 이들 계량데이터를 체크하여 이들이 어떤 값보다도 작을 때에는 계량접시에 상품이 놓여 있지 않은 것으로 판단하여 이들 계량데이터를 조합계량에 참가시키지 않도록 할 수도 있으며, 소정 범위내의 조합 중량이 얻어지지 못할 때 그 소정 범위의 외측에서 그 소정 범위에 가장 가까운 조합을 표시하는지의 여부를 선택하는 수단을 형성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수동 취합 계량장치를 구성하는 복수의 계량기를 선택하는 양기를 분할하여 광체에 수용하고 있으므로, 설치의 자유도가 크고, 수평도를 취하는 작업도 간단하게 된다. 또, 최적 조합에 선택된 계량기로부터 상품을 제거할 때, 표시기의 점등을 홀드하고, 이 계량기로부터 모든 상품이 제거되면 자동적으로 표시기를 소등하므로, 새로운 상품을 해당 계량기에 얹어 놓는 시기가 명료하게 되어 작업능률이 향상된다.
또한, 구동기구가 없는 소형의 계량기에 의하여 수동 취합 계량장치를 구성하여 있으므로 설치시 공간이 작고, 손상되기 쉬운 상품이나 소량의 상품의 조합계량에 사용할 수 있다.
다음에,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에 관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제2a~c도는 본 발명의 구성 부품을 나타낸 외관도이다. 동도(a)는 본 발명의 기본적인 계량유닛(AM)의 구성을 나타낸 것으로서, 1개의 계량접시(a)와, 도시하지 않으나, 계량접시(a)에 연결된 계량기와, 계량접시(a)의 양쪽에 형성된 한쌍의 피선택 통보등(b)에 의하여 계량유닛(AM)이 구성되어 있다.
계량유닛(AS)은 제2도(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계량접시(a)와 이에 연결되는 계량기 및 한쌍의 표시등(b)이 복수조, 예를 들면 3조가 형성된다.
동도(c)는 제어장치(B)의 일예를 나타낸 것으로서, 제어용 CPU를 내장하여, 각 계량 유닛에서 얻어지는 중량에 의하여 조합연산을 실행하고, 미리 메모리에 설정해 있는 목표중량과의 비교를 행하여, 최적 조합선택된 계량유닛이 표시등(b)에의 점등신호를 발생한다. 이 제어장치(B)에는 필요 정보를 입력하는 키이 입력부, 조합 중량등을 표시하는 표시장치(h), 각 계량접시(a)의 번지를 설정하는 텐키이, 계량을 종료하여 포장된 상품의 포장팩에 부착되는 라벨에 날짜나 중량등을 인자하는 프린터 등이 형성되어 있다.
계량유닛(AM 및 AS)와 제어장치(B) 사이에는 계량신호를 제어장치(B)에 전송하는 신호선과, 제어장치(B)로부터의 표시등(b)을 점등하는 제어신호가 입력되는 신호선이 형성되어 있으나, 이들은 후에 설명된다.
이 계량유닛(AM 및 AS)의 계량접시(a)에 대향한 양쪽에 조작자가 배치되며, 한쪽의 조작자는 상품을 계량접시(a)에 얹어 놓고, 다른 쪽 조작자는 계량접시(a)로부터 상품을 꺼내어 포장팩의 처리를 행한다.
제3도는 본 발명에 관한 수동 취합 계량장치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의 예에서는 10대의 계량기에 의하여 수동 취합 계량장치를 구성하고 있다.
#2~#10의 계량기는 각각 3대의 계량기 유닛(AS)에 각각 3대씩 모아서 광채(g)내에 설치되어 있다.
#1의 계량기는 계량기 유닛(AM)내의 광체 내에 1대만 수용된다. 참고부호 pa는 계량기 기판으로사, 각 계량기의 A/D 변환기나 인터페이스 등의 회로부품이 배치되어 있다. 각 계량기에 의하여 얻어진 계량 데이터는 신호선(버스라인)(e)를 통하여 제어장치(B)에 송출된다. 제어장치(B)내의 제어용 CPU는 포울링에 의하여 각 계량기에 의해 얻어지는 계량 데이터를 항상 모니터하는 기능을 갖고 있다. 참고부호 h는 표시장치이다.
본 발명의 수동 취합 계량장치는 제2도 및 제3도에 나타낸 바와 같은 구성을 갖고, 각 계량기의 양쪽에 조작자가 위치하여, 한쪽 조작자는 피계량 상품을 계량기에 얹어 놓고 다른 조작자는 최적 조합에 선정된 계량기로부터 상품을 꺼내어 포대 포장등의 조작을 행한다.
또, 계량기는 3 : 3 : 3 : 1로 나누어 광체에 수용하고 있는데, 이는 전체를 하나의 광체에 수용하면 운반에 불편하고 레이아웃에도 제약을 받기 때문이며, 또한 1대씩의 배치로하면 계량기 부분의 수평을 취하는 조작이 번잡하게 되므로, 적당 댓수를 모아서 계량기를 광체에 수용한 것이다. 여기서, 1대의 메인 스케일은 강제적으로 조합에 참가시키기 위한 계량기로서, 예를 들면 2종류의 상품을 혼합하여 하나의 포대에 포장할 때 필요하게 되는 것으로서, #1의 계량기뿐 아니라, 메인 스케일을 어느 계량기에 선정하여도 무방하여, 또한 복수대의 계량기를 선정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강제 참가(參加)가 필요한 메인스케일은 조작자가 가장 조작하기 쉬운 위치에 배치되는데, 계량되는 상품에 그 필요가 없을 때에는 생략하여 전체 계량기를 통상 계량기로 할 수도 있다.
제4a, b도는 본 발명에 의한, 계량유닛의 배치예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동도면(a)는 각각 3조의 계량접시(a)와, 이에 연결된 계량기, 표시등(b)의 쌍으로 된 계량유닛(AS) 및 1조의 계량접시(a)와, 이에 연결된 계량기, 한쌍의 표시등(b)으로써 된 계량유닛(AM)을 조합하여 합계 10개의 계량접시(a)에 의하여 계량하는 수동 취합 계량장치를 구성한 예이다.
또, 동도면(b)는 계량접시(a)와, 계량기 및 한쌍의 표시등(b)으로써 된 조를 3조 갖는 계량유닛(SM), 2조 갖는 계량유닛(AS), 1조 갖는 계량유닛(AM)에 의하여 합계 14개의 계량접시에 의하여 계량하는 수동 취합 계량장치를 구성한 예이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있이서는 계량접시와, 이에 연결된 계량기, 한쌍의 표시 등의 조를 1조 또는 소정조의 복수조로 형성한 계량 유닛을 준비해 놓고, 공장의 공간이나 필요로 하는 조합의 정도 등을 고려하여, 합계의 계량 접시의 개수를 정하며, 즉, 계량 유닛의 대수를 정하여 작업자의 작업위치 등에 의하여 계량유닛의 설치 형태를 자유로이 설정할 수 있으므로, 계량 장치 이용의 자유도가 증대한다.
제5a, b도는 본 발명의 전기회로의 개략 구성을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각 계량 유닛(AS 및 AM)에는 소정조의 계량 접시(a)와, 이와 연결된 로우드 셀 등을 사용한 계량기(c), 표시등(b)이 형성되어 있으며, 각 계량기(c)에서 얻어진 계량 데이터는 멀티 플렉서(d)에 입력된다. CPU나 메모리를 내장한 제어장치(B)로부터의 전환신호에 의하여 멀티 플렉서(d)로부터 각 계량 데이터를 순차로 판독하고, 전치 증폭기(e), A/D변환기(f)를 통하여 디지털치에 의하여 제어장치(B)에 입력한다. 또 제어장치(B)에는 제2c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기(CRT)(h), 텐키이(k), 프린터(m), 키이 입력부(n)가 형성되며, 또한 병렬-직렬 변환기(p)를 통하여 상위 시스템과 접속되어 데이터의 해석등을 행한다.
제5a도의 예에서는 각 계량 유닛과 제어장치는 별개로 형성하고 있으나, 어느 하나의 계량유닛에 제어장치를 형성하여, 각 계량 유닛에 의하여 공용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제5b도는 그 1예를 나타낸 블록도이다. 도면에 있어서, 소정수의 계량유닛(AS)……을 신호선(e)을 통하여 제어장치로 형성한 계량유닛(AM1)과 접속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제어장치(B)는 제5a도의 예와 같은 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LED로써 된 조합 참가용의 표시등(b)은 계량후 상품을 계량기로부터 꺼내기 시작했을 때에는 홀드해 놓을 필요가 있다. 이는, 가령, 조합에 선택된 계량기에 부설된 표시등(b)이 소등해버리면, 조작자가 새로이 상품을 추가하여 계량접시에 얹어 놓고, 조합연산이 재차 실행되어 조합중량의 표시가 변화될 염려가 있기 때문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시등(b)의 홀드 개시를 수동 또는 자동에 의하여 설정하면, 계량접시(a)로부터 상품이 모두 제거되었음을 자동적으로 검출하여 홀드를 자동적으로 해제하여 표시등(b)을 소등하고, 다음회의 조합 계량을 행하도록 구성하고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전제로 되는 표시등(b)의 홀드제어의 수동에 의한 기본적인 처리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다음에 이 플로우챠트를 사용하여 표시등의 홀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1) 제어장치(B)의 키이입력부(n)의 키이를 사용하여 수동모우드로 설정하고, 계량기로부터의 중량 데이터가 전호기(全號機)로부터 입력되었음을 확인하여(스텝 P1), 조합계산을 실행한다(스텝 P2). 다음에 표시등(b)의 홀드 플래그를 체크하여(스텝 P3), 이 플래그가 온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조합의 유무를 체크한다(스텝 P4). 조합이 있으면, 계산중 플래그를 세트하고(스텝 P5), 조합이 없으면, 계산중 플래그를 리세트하다(스텝 P6).
(2) 표시등(b)의 온 또는 오프 지령을 송신하고(스텝 P7), 전호기에 대하여 송신완료를 확인한다(스텝 P8). 다음에, 표시등(b)의 홀드 키이가 ON되어 있으면(스텝 P8), 계산중 플래그의 온을 체크하여(스텝 P10), 판정이 Yes이면, 홀드 프래그를 세트하여(스텝 P11), 스텝 P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스텝 P9에서 홀드 키이가 오프이면, 스텝 P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스텝 P9에서 홀드 키이가 오프이면, 스텝 P1이 처리로 되돌아가서, 다음 회의 계량처리를 이행한다.
(3) 스텝 P3의 처리에 있어서, 홀드 플래그가 온이면, 홀드키이가 온일때(스텝 P21), 계산중 플래그를 리세트하여(스텝 P22), 홀드 프래그를 리세트한다(스텝 P23).
이상과 같이, 홀드키이에 의한 홀드 개시, 홀드 해제의 조작과 홀드 플래그의 이용에 의하여, 조합 계산중인지의 여부가 조작자에게는 판정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은 홀드 킹에 의한 홀드해제의 조작을 불필요로 하는 점에 특징을 갖는 것이다.
제7도는 수동모우드에 의한 본 발명의 다른 처리 수단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다음에 이 플로우챠트를 사용하여, 표시등의 홀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플로우챠트는 스텝 P1~P11의 처리가 제6도의 예와 같으므로, 설명을 생략하고, 제6도와 다른 처리에 대하여서만 설명한다.
(1) 스텝 P3에 있어서, 홀드 플래그가 온이면, 이 계량기는 조합에 선택된 스테일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스텝 P31), 판정이 Yes이면, 데이터가 영 또는 마이너스로 이행했음을 확인, 즉 해당 계량접시로부터 상품이 완전히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여(스텝 P32), 표시등(b)을 오프로하는 지령을 송신한다(스텝 P33). 스텝 P31~P33의 처리를 전호기에 대항 체크한다(스텝 P34).
(2) 다음에, 전호기의 표시등(b)이 오프되어 있음을 확인하여 (스텝 P35), 판정이 NO이면, 홀드 키이의 온을 체크하여(스텝 P36) 계량중 플래그를 리세트하여(스텝 P37), 홀드 프래그를 리세트한다(스텝 P38). 스텝 P36의 판정이 NO, 즉, 어느 하나의 계량기의 표시등(b)이 점등해 있고, 그리고 홀드 키이가 온이 아닌 경우에는, 스텝 P1으로 되돌아가서 계량처리를 속행한다.
제8도는 메인 스케일이 강제적으로 조합계량에 참가하는 경우에는 표시등(b)의 자동 표시 홀드의 트리거를 메인 스케일에 의하여 행하는 처리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다음에, 이 플로우챠트를 사용하여 표시등의 홀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1) 계량기의 데이터가 전호기 입력된 후에(스텝 S1), 메인 스케일로부터 입력된 데이터에 의하여 메인 스케일에 상품이 얹어 놓여지고 그리고 그 중량이 안정해 있음을(이하 네트 안정이라 한다) 확인하고(스텝 S2), 계량필 프래그가 온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S3), 판정이 No이면 조합계량을 실행하고(스텝 S4), 다음에 조합의 유무를 체크하는(스텝 S5), 조합이 있으면, 계량중 플래그를 세트하고(스텝 S6), 조합이 없으면, 계산중 플래그를 리세트한다(스텝 S7). 이어서, 표시등(b)의 온 또는 오프의 지령을 송신하고(스텝 S8), 전호기의 송신이 완료하면(스텝 S9), 스텝 S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2) 스텝 S2의 처리에 있어서, 메인 스케일의 네트 안정이 확인될 수 없을 때, 즉 조합계량이 종료하여 상품을 계량 접시로부터 꺼낼 때는 계산중 플래그가 온 인지의 여부를 체크하여(스텝 S10), 판정이 Yes이면, 계산필 플래그를 세트한다(스텝 S11). 다음에 선택된 스케일 임을 확인하여(스텝 S12), 데이터가 영 또는 마이너스치인 즉, 계량접시로부터 상품이 제거되었음을 확인하여(스텝 S13), 표시등(b)의 오프지령을 송신한다(스텝 S14).
(3) 전호기에 대한 체크가 완료될 때까지, 스텝 S12~S14의 처리를 반복하고(스텝 S15), 전호기의 체크가 완료하면, 전 표시등(b)이 오프인, 즉 조합에 선택된 모든 계량기로부터 상품이 제거되었음을 확인하고(스텝 S16), 계산중 플래그를 리세트하여(스텝 S17), 계산 종료 플래그를 리세트한다(스텝 S18).
이상, 이 예에 있어서는 메인 스케일이 영점은 아니고, 정중량에 있으며, 안정해 있을 때만 조합계산과 표시를 함으로써 자동 표시홀드가 실현된다. 이 처리는 다음과 같이 요약할 수 있다.
(a) 최초에 메인스케일에 상품을 얹어 놓는다.
(b) 서브 스케링에 상품을 얹어 놓는다.
(c) 중량이 입력될 때마다, 행해지는 조합연산에 의하여, 소정 중량이 되는, 계량기가 선택되면 그때 마다 선택된 계량기의 표시등(b)이 점등된다.
(d) 메인 스케일로부터 상품을 꺼내기 시작하면, 이때 표시등(b) 표시의 변화는 정지한다. 즉, 표시가 홀드됨과 동시에 중량이 입력되어도 조합 계산은 행해지지 않는다.
(e) 선택된 계량기의 표시등(b)은 상품을 계량접시로부터 꺼내고, 중량이 영으로 되면, 순차로 소등해간다. 그리하여 모두 소등하고 인접 스케일에 다음 상품을 얹어 놓으면 재차 조합 계산이 개시된다.
따라서, 이 예의 경우에는 메인 스케일을 강제 참가로 하였을 때는 꼭 메인스케일에 상품을 얹어 놓지 않으면, 이후의 처리가 행해지지 않으므로 상품의 계량접시에 올려 놓고 잊는 일이 방지된다. 또 자동 표시 홀드의 트리거가 꼭 스케일에 의하여 행해지므로 상황을 파악하기 쉽다.
제9도는 자동 모우드에 의한 처리의 다른 예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다음에 이 플로우챠트를 사용하여 표시 등의 홀드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 예에 있어서는 계량기 전체의 합계 중량이 증가 경향에 있는 기간은 조합 계량중으로 판단하고 전체의 합계 중량이 감소하기 시작했을 때에는 계량접시로부터 상품을 꺼낸 타이밍으로 판단함으로써 표시이 자동홀드를 제어하는 것으로서, 어느 계량기라도 표시 홀드의 트리거로서 동작 가능하며, 강제 참가의 계량기는 필요로 하지 않을 경우에 유용한 것이다. 다음에 제8도의 처리와 다른 점에 대하여 설명한다.
맨먼저, 계량기의 데이터를 전호기에 입력하고(스텝 S50), 상기 중량을 가산한다(스텝 S51). 다음에, 중량이 증가하고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스텝 S52), 증가하고 있는 경우에는 제8도의 스텝 S3~S9의 처리와 같은 처리, 즉, 스텝 S53~S59를 실행하여 조합 계산을 행한다. 스텝 S52의 처리에 있어서 중량이 증가하고 있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S60이하의 처리로 이행한다. 이 스텝 S60~S68의 처리로 제8도의 스텝 S10~S18의 처리와 같으며, 전 표시등(b)의 오프를 확인하여 즉 전 계량기로부터 상품이 꺼내어졌음을 확인하여, 계산중 플래그와 계산 종료 플래그를 리세트한 후, 합계 중량 레지스터를 클리어하여(스텝 S69), 최초의 스텝 S50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이상 설정 목표 중량에 대하여 소정의 허용 오차 범위내에서 최적한 조합으로 되는 계량기를 선택하는 수동 취합 계량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하였는데, 다음에 설정목표 중량 및 설정목표 수량에 대하여 가장 적합한 조합을 갖는 계량기를 선택하는 수동 취합 계량계수 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기의 수동 취합 계량 장치에 또한 최적 조합에 선택되는 계량기의 댓수를 설정함과 동시에 설정된 댓수를 기억하는 수량 데이터 기억 수단을 형성한다.
설정된 댓수의 계량기를 포함한 조합만으로써 조합 중량 계산을 행하여, 이들 조합의 안에서 설정 목표중량에 대하여, 소정의 허용 오차의 범위에서 최적한 조합으로 되는 계량기를 선택한다. 따라서, 각 계량기에 상품을 1품씩 얹어 놓으면, 설정 댓수, 즉 설정상품 수량으로 그 중량이 최적한 조합을 얻게 된다.
다음에 복수의 종류의 상품을 포함한 조합에 의하여 조합 계산하여 설정 목표 중량에 대하여 최적한 조합을 갖는 계량기를 선택하는 수동 취합 계량장치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여기서, 1예로서 2종류의 상품 A, B를 처리하는 것으로 하여, 각 상품 A, B용으로 2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A, B 각각의 상품을 각 그룹의 각각의 계량기에 얹어 놓는다. 이 장치에는 각 상품 A, B을 각각의 계량기로 계량하여 얻어진 중량 데이터를 기억하는 2종류의 중량 데이터 기억 수단을 형성하여, 각 계량기로부터의 중량 데이터를 기억한다.
A그룹의 계량기로부터 적어도 1대와, B그룹의 계량기로부터 적어도 1대의 계량기를 포함한 조합, 즉 각 중량데이터 기억수단으로부터, 각각 적어도 하나의 중량 데이터를 포함한 조합에 의하여 조합 중량 계산을 행하여, 이들의 조합의 안에서 설정 목표 중량에 대하여 소정의 허용 오차의 범위에서 최적한 조합으로 되는 계량기를 선택한다. 또한, 상품 A, B 각각에 대응시켜서, 수량데이터 기억수단을 형성하고, 최적 조합에 선택되는 각 상품의 계량 댓수를 설정기억시키며, 예를 들면, 상품 A의 계량기에 대해서는 2대, 상품 B에 대하여는 3대를 설정하면, 합계 5대의 계량기를 포함한 조합의 안에서 최적 조합을 선택하도록 할 수도 있다.
본 실시예는 상품 A, B의 2종류의 예에 대하여 설명하였는데, 본 실시예에서는 임의의 종류의 상품을 처리할 수가 있다.
이와 같이, 소정 수량 그리고 소정 중량의 상품을 꺼내는 계수, 계량처리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어물 3마리를 300g의 팩으로 만들 때에는 조작자는 각 계량기에 어물을 한 마리씩 얹어 놓으면, 제어장치는 3대의 계량기가 포함되는 조합패턴에 따라서 조합연산을 행하여 중량이 300g이 조합, 또는 그 허용 범위 내의 조합을 선택하여 해당 계량기의 표시등을 점등한다. 소망의 조합이 얻어지지 않을 때에는, 조작자는 적당히 어물을 바꿔서 계량기에 얹어 놓아 소망 조합이 얻어지도록 한다.
또 본 발명의 계량장치는 예를 들면, 전체 중량이 600g으로서 전갱이와 꽁치와 같이 복수 종류의 어물을 혼합하여 계량하여 최적 조합의 것을 포장하는 처리에도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예를 들면, 계량기는 14대로 하고, 1대를 강제 참가의 메인 스케일로 하고, 다른 13대를 적당수씩 광체에 분리하여 수용해 놓는다. 메인 스케일에 의하여, 전갱이를 개량하고 다른 계량기에 꽁치를 한 마리씩 얹어 놓으며, 꽁치와 전갱이의 합계 중량이 600g이 되는 조합을 선택하여 표시등을 점등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2도 내지 제9도를 사용하여, 설명한 실시예에서는 복수의 계량기에 조작자가 상품을 얹어 놓고, 목표 중량에 적합한 계량기를 선택하는 수동 취합 계량장치에 있어서 계량기를 소정수씩 모아서 광체 내에 수용하므로, 배치의 자유도가 증가하고, 수평도를 취하기 쉽게 되어, 조합계량의 종료후에 자동 또는 수동에 의하여 최적 조합으로 선택된 계량기에 대응하여 형성된 표시등(b)을 점등하여, 계량기로부터 상품을 꺼내므로 해당 계량기의 중량데이터가 영 또는 마이너스로 되어, 모든 상품이, 해당 계량기로부터 제거되었음을 검출하면, 순차로 각 계량기의 표시등(b)을 자동적으로 오프로 하므로, 모든 계량기로부터 상품이 제거되지 않아도, 표시등(b)이 오프된 계량기에는 새로이 상품을 얹어 놓을 수 있게 되어 조작 효율이 향상한다. 또, 표시등(b)의 홀드 해제는 자동적으로 행해지므로 조작이 간단하게 된다. 또한 구동기구가 없는 소형의 계량기로 수동 취합 계량장치를 실현하고 있으므로, 설치영역이 적게 되고, 소량의 상품이나 손상하기 쉬운 상품의 계량에 이용할 수 있으므로, 수동 취합 계량장치의 적용 범위가 확대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표시등의 홀드 해제를 저울에 미리 설정하는 영 부근의 중량, 예를 들면, 5g으로 되었을 때 정함으로서, 잔존물이 저울에 놓여 있어도 표시등의 표시를 소거하여 다음의 처리가 가능하도록 구성한다. 이 홀드 해제를 가능하게 하는 범위는 키이 입력부(n)에 의하여 설정된다. 또 이 설정치는 가변할 수 있으며, 물품의 종류에 따라서 잔존물의 잔존 허용 범위를 임의로 설정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단가가 높은 것일수록 이 설정 범위를 좁게 하여, 계량에 의한 손실을 적게 하며, 또 단가가 낮은 것일수록 설정범위를 크게 하여 계량 작업의 속도 상승을 가할 수가 있다.
제10도는 본 발명의 상기 처리 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다음에 이 플로우 챠트를 사용하여 이 실시예를 설명한다.
(1) 홀드 해제 중량의 설정 등의 초기 설정을 행하고(스텝 A1), 모든 저울, 예를 들면, 10대의 저울로부터 계량데이터를 입력한다(스텝 A2). 다음에, 조합계산을 실행하고(스텝 A3), 목표중량에 대한 최적의 조합이 성립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A4). 조합이 성립하지 않을 때는, 조합이 성립할 때까지 재차 스텝 A1이하의 처리를 반복한다.
(2) 조합이 성립하면, 조합중량과 그 저울에 대응하는 표시등의 점등을 홀드하고(스텝 A5), 상품을 저울로부터 제거한다(스텝 A6).
(3) 조합에 참가한 저울로부터 계량 데이터를 입력하고(스텝 A7), 어떤 저울의 입력데이터가 설정된 지정중량 이하인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A8). 판정이 NO이면 조작자는 해당 저울로부터 잔존물을 제거하는 등의 처리를 행하고, 재차 스텝 A7, A8의 처리를 실행한다. 해당저울의 중량 데이터가 설정된 지정중량 이하로 되면, 순차로 조합에 참가한 저울의 중량이 설정된 지정중량 이하인지의 여부를 체크하고(스텝 A9), 판정이 Yes로 되면, 홀드를 해제한다(스텝 A10).
여기서, 홀드 해제의 지정중량은 입력장치, 예를 들면, 텐키이에 의하여 단가가 높은 것에 대하여는 폭을 좁게 하여 정도를 높이고, 단가가 낮은 것에 대하여는 폭은 넓게 하여 작업속도를 향상시키도록, 계량되는 상품에 따라서 임의의 값으로 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제10도에 나타낸 실시예에서는 목표 중량에 대하여 최적한 조합으로 선택된 저울에 대응하는 표시등의 표시 홀드를 저울로 얻어지는 중량이 미리 영부근의 임의로 설정된 지정중량 이하로 되었음을 조건으로 하여 해제하고 있으므로, 저울에 상품의 잔존물이 놓여져 홀드 상태가 계속되고, 이후의 처리가 실행되지 못하는 종래기술의 문제점이 해소되어 효율적인 개량이 행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조합연산에 의하여 일단 최적 조합의 저울이 선택된 후에, 재차 조합연산을 실행하여 제1도의 X점과 같은 일시적인 안정점에 의한 조합연산의 실행에 의하여 잘못된 최적 조합의 저울이 선택됨을 방지한 것으로서, 제11도, 제12도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의 처리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다음에, 이 플로우챠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이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1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1) 각 저울전부, 예를 들면, 10대의 저울로부터 계량 데이터를 입력하고(스텝 B1), 소정의 패턴에 의하여, 조합연산을 실행한다(스텝 B2). 다음에, 목표중량에 대하여 최적한 조합의 저울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하고(스텝 Bs), 판정이 NO이면, 스텝 B1으로부터의 처리를 반복한다. 조합이 성립하면, 일정시간, 예를 들면, 1초 정도 대기하여(스텝 B4), 각 저울로부터의 계량데이터를 재입력한다(스텝 B5). 이어서, 재입력된 계량 데이터에 의하여, 재차 조합연산을 실행하고(스텝 B6), 스텝 B3에 있어서, 얻어진 것과 동일한 저울이 최적조합에 선택되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B7). 선택된 저울이 일치하여 있지 않는 경우에는 일단 저울로부터 모든 상품을 제거하고, 새로이 상품을 얹어 놓고, 스텝 B1이후의 처리를 반복한다. 선택된 저울이 일치하여 있으면, 해당하는 저울에 형성한 표시등을 점등한다(스텝 B8).
(2) 작업자는 표시등이 점등한 저울로부터 상품을 용기 등에 패킹하는 처리를 실행하고, 선택된 저울의 계량 데이터를 입력한다(스텝 B11). 선택된 저울의 계량 데이터가 영으로 복귀하지 않을 때에는 스텝 B11의 처리로 되돌아가며 (스텝 B12), 영으로 복귀한 후에는 모든 저울에 상품을 얹어 놓고, 저울계량데이터를 입력하는 것이다(스텝 B1).
제12도는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 있어서의 제2의 동작을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이 실시예에서는 대기 시간을 형성함이 없이, 조합연산을 항상 실행하여, 최적 조합의 저울의 표시등을 점등해 가는 것이나, 일단, 점등한 표시등을 무제한으로 점등 수정하면, 조작자의 업무에 혼란이 생기므로, 보다 목표중량에 가까운 조합이 얻어졌을 때, 선택 조합의 표시등의 점등을 수정한다.
또, 조합 성립시의 모든 저울의 중량의 합계보다도, 금회의 저울의 중량의 합계가 감소해 있을 때에는 선택된 저울로부터 상품을 제거하기 시작하여 조합표시등을 소등하는 처리를 행하고 있다.
다음에, 제12도의 플로우챠트에 대하여 설명한다.
(1) 모든 저울에 대응하여 형성되어 있는 표시등을 소등하고(스텝 B51), 모든 저울, 예를 들면 10대분의 계량 데이터를 입력한다(스텝 B52). 이어서, 소정의 패턴에 의하여, 조합연산을 실행하고(스텝 B53), 목표중량에 대하여 최적조합의 저울이 얻어졌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B54). 최적 조합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재차 스텝 B52이하의 처리를 실행하여, 조합이 이루어지면 모든 저울의 합계중량을 기억하고(스텝 B55), 조합에 선택된 저울의 표시 등을 점등한다(스텝 B56).
(2) 이어서, 모든 저울의 계량데이터를 입력하고(스텝 B61), 합계중량이 조합 성립시의 합계중량보다도, 감소해 있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B61), 판정이 NO, 즉, 합계중량이 증가해 있을 경우에는, 조합연산을 실행하고(스텝 B63), 최적조합이 얻어지는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B64). 조합이 성립하지 않을 경우에는 스텝 B51이하의 처리를 반복한다. 조합이 성립했을 경우에는 전회(前回)의 조합보다도 설정된 목표치에 가까운지의 여부를 체크한다(스텝 B65). 판정이 NO이면, 스텝 B61의 처리로 되돌아가서 모든 저울의 계량데이터를 입력한다. 판정이 Yes이면, 조합 램프를 수정점등하고(스텝 B66), 스텝 B61의 처리로 되돌아간다.
(3) 스텝 B62의 처리에 있어 금회의 계량 중량이 전회의 조합 성립시의 합계중량보다도 감소되어 있는 경우에는 조합에 선택된 저울로부터 상품을 제거하기 시작함으로서, 조합용의 표시등을 소등하기 위한 복귀처리를 이행한다. 이 처리에서는 선택된 저울의 계량 데이터를 입력하고(스텝 B71), 이 계량데이터가 영(제로)으로 복귀되어 있는가 아닌가를 체크한다(스텝 B72). 계량데이터가 영으로 복귀되어 있지 않은 경우에는 스텝 B71의 처리로 되돌아가고, 영으로 복귀되어 있으면 조합용의 표시등을 소등한다(스텝 B51).
또한 이 예에 있어서 조합이 성립된 후에 설정된 목표 중량과 상한치와의 사이에서 중량이 변화된 경우에는 표시등의 점등 수정은 행하지 않고 조합 성립시의 선택된 저울의 중량의 합계치보다도 금회의 합계 중량치가 상한치를 초과하여 크게 변동한 경우에는 과량의 상태라고 하여 램프의 소등처리를 행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또 조합이 성립된 저울의 조합을 중량에 변화가 있으면 중량 표시를 새로운 값으로 치환하여 가는 구성도 가능하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이 예에서는 일단 최적 조합이 얻어진 후 재차 조합연산을 실행하여 금회의 조합중량이 전회의 조합 중량과 일치 또는 보다 목표 중량에 가까운 값이 얻어진 경우에 조합에 선택된 저울에 대응하는 표시등의 표시를 하므로 일반적인 안정점에 의해 조합이 행해지고, 계량처리에 오차가 생기지 않도록 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저울로 상품의 중량을 구하고, 조합연산 할 때에 미리 하한중량을 설정해 놓고 하한중량 이상의 중량이 얻어진 저울만을 사용하여 조합연산을 행하고, 조합연산의 오동작을 방지할 수가 있다.
이하에서 이 실시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3a, b도는 이 오동작 방지의 실시예의 처리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다음에 이 플로우챠트를 사용하여 상기 동작을 설명한다.
제13a도는 저울로 얻어진 계량데이터에 하한치를 설정하여 계량처리를 행하는 예의 플로우챠트이다. 이 처리에 있어서는 중량센서에 의해 저울 데이터를 독입하고(스텝 C1), 저울이 안정되었는지 아닌지를 체크한다(스텝 C2). 저울이 안정된 것을 확인하면 다음에 계량데이터가 정량인지 아닌지를 확인하고(스텝 C3), 판정이 Yes이면 중량이 하한치 이상인지 아닌지를 체크한다(스텝 C4). 이 하한치는 키이 입력부에 의해 설정되는 가변의 값이며 예를 들면 5g등으로 설정할 수가 있다.
저울의 중량이 하한치 이상이면 이 저울의 조합 참가 플래그를 세트하고(스텝 C5), 계량데이터를 기억한다(스텝 C7).
스텝(C4)의 처리에서, 저울에서 얻어진 계량데이터가 하한치 이상이 아닌 경우에는 조합 참가 플래그를 재세트한다(스텝 C6).
스텝(C7)에 있어서 계량데이타를 기억하면 이어서 모든 저울에 대하여 입력이 완료되었는지 아닌지를 체크하고 스텝(C8), 전 저울의 입력이 완료할 때까지 스텝(C1) 이하의 처리를 반복한다.
제13b도의 계산 루우틴에 있어서는 저울에서 얻어진 계량데이터가 하한치 이상이며(제13도(a), 스텝 C4), 조합 첨가 플래그가 온(on)으로 된 저울에 대해서만 조합연산을 실행하고 (스텝 C11), 최적조합의 저울을 선정한다.
이 실시예에 있어서는 저울에서 검출되는 계량데이터에 하한치를 설정하고, 하한치를 초과하는 계량데이터가 얻어진 저울만으로 조합연산을 실행하므로 저울에 상품이 얹어 놓여 있지 않은 상태에서 이 저울이 조합연산에 참가하는 것같은 오동작이 방지된다.
본 발명과 같은 수동 취합 계량장치에 있어서, 계량 접시에 대한 상품의 얹어 놓는 방법에 따라서는 소정범위의 계량치 이내로 계량치가 수습되지 않는 경우도 생긴다. 이와 같은 경우에 그 소정범위의 외측에서 그의 소정범위로 가장 가까운 조합을 표시할 것인가 아닌가의 선택을 하는 수단을 설정할 수가 있다.
제14도는 상술과 같은 수동 취합 계량장치의 표시 장치(h)에 설치되는 표시부의 상세한 것을 나타낸 설명도이며, 조합 중량 표시기(aa), 목표 중량표시기(bb), 과량램프(cc), 정량램프(dd), 경량램프(ee), 계량기 번호표시(ff), 표시용램프(gg)가 설치되어 있다.
다음에 상기와 같은 조합 계량장치의 실시예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작업자가 메인 스케일, 각 서브 스케일에 각각 상품을 얹어 놓으면 디지털치로 변환된 계량데이터가 제어장치의 제어용 CPU에 입력되고 메모리에 기억된다. 제어용 CPU는 메모리에 기억된 계량데이터로부터 소정의 패턴으로 조합연산을 실행하고, 목표 중량에 대한 최적 조합패턴과 함께 목표 중량 이하의 중량, 상한 중량에 대한 경량측, 과량측의 쌍방에 있어서도 목표 중량(정량)에 가장 가까운 조합패턴도 구해둔다.
조합연산에 의해 정량조합이 얻어지면 대응하는 계량기에 설치한 표시등(b)과 표시부에 설치한 계량기 번호에 대응하는 표시용 램프(99)를 점등시켜 조작자는 해당하는 계량기로부터 상품을 꺼내서 봉지에 담는 등의 처리를 한다.
조합연산에 의해 정량조합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가장 정량범위에 가까운 계량기의 패턴을 선정하여 그의 중량, 경량과 과량별, 해당하는 계량기의 표시등을 플래싱 시킨다. 이것에 의해 조작자는 해당하는 계량기에 대한 상품의 증감처리를 하고, 정량 범위의 조합이 얻어지도록 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키이 입력부에 홀드 키이가 설치되어 있으며 조합연산의 실행중에 정량조합이 얻어지지 않으며 목표 중량 이하에서 그것에 가장 가까운 조합 또는 상한 중량 이상에서 그것에 가장 가까운 조합중 어느 것인가의 조합과 그 조합중량이 표시되었을 때에 이 홀드 키이를 누르면 상기 조합의 패턴 표시가 홀드된다. 이때 조작자는 홀드되어 있는 패턴에 해당하는 계량기의 어느 하나에 상품의 추가, 감소, 교환을 하고, 홀드되어 있는 패턴에 해당하는 계량기의 계량데이터만을 가산하여 그의 합계 중량을 표시한다.
즉 종래예에 있이서는 정량조합이 얻어지지 않았을 경우에 가감산되는 계량기가 고정되고, 더욱이 상품의 교환이 필요하게 되는 것에 대하여 본 발명에 있어서는 홀드 키이를 눌렀을 때만 계량기가 고정되는 것이며, 정량조합이 얻어지지 않았을 경우의 가산 계량기의 고정은 홀드 키이에 의한 선택이 가능케되고 더욱이 상품의 추가, 감소, 교환의 어느 것인가의 수단으로 대응할 수 있으므로, 상품의 형상, 크기 등의 특성에 따라 작업자가 신속하게 처리할 수 있다.
제15도는 상술과 같은 실시예의 처리순서를 나타낸 플로우챠트이다. 다음에 이 플로우챠트를 사용하여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1) 모든 저울에 물건을 올려 놓고(스텝 D1), 전체 저울에 중량데이터의 출력을 요구하여(스텝 D2), 저울의 안정을 확인한다(스텝 D3). 다음에 소정의 패턴으로 조합계산을 실행하여(스텝 D4), 정량조합의 유무를 체크한다(스텝 D5). 정량조합이 얻어지면 정량조합의 표시와 조합중량의 표시를 하고, 정량램프를 점등하고(스텝 D6), 해당하는 저울로부터 상품을 꺼내고(스텝 D7), 다른 상품을 해당하는 저울에 올려 놓는다(스텝 D8).
(2) 스텝 D5의 처리에 있어서 정량의 조합이 없는 경우에는 스텝 D9의 처리로 이행하고, 목표 중량(target)보다도 하측의 조합이 있는지 없는지를 체크한다. 판정이 Yes이면 다음 타게트보다 상측의 조합의 유무를 체크하고(스텝 D10), 판정이 아니오(NO)이면 타게트보다도 하측에서 가장 타게트에 가까운 조합의 표시와 그 중량을 플래싱으로 표시하고, 경량램프(ee)를 점등한다(스텝 D11). 계속해서 홀드 키이가 눌려져 있지 않은 것이 확인된 경우에는(스텝 D12), 해당하는 저울에 부족분의 상품을 추가하여 올려 놓지만(스텝 D13), 이때에 해당 이외의 저울에 대하여 상품의 추가, 감소, 교환의 처리를 할 수도 있다.
(3) 스텝 D10의 처리에 있어서 타게트의 상한보다도 상측의 조합이 있는 것이 확인되면,
Wu=(타게트)-(타게트보다 하측에서 가장 타게트에 가까운 조합중량)
Wo=(타게트+상한보다도 상측에서 가장 상한치에 가까운 조합중량)-(타게트+상한중량)
을 연산하여 Wu와 Wo를 구한다(스텝 D14). 다음에 Wu와 Wo를 비교하고(스텝 D15), Wu<Wc이면 스텝 D11이하의 처리를 하고, 이 조건이 충족되지 않는 경우에는 스텝 D17의 처리로 이행한다.
(4) 스텝 D9의 처리에 있어서, 타게트보다 하측의 조합이 없다는 것이 확인되면, 타게트+상한보다 상측의 조합 유무를 체크하여(스텝 D16), 판정이 Yes이면, 타게트+상한보다 상측에서 상측에 가장 가까운 조합을 표시함과 동시에 그 중량을 플래싱 표시하고, 과량 램프를 점드한다(스텝 D17). 이어서, 홀드 키이가 눌려 있지 않다는 것을 확인하고(스텝 D18), 해당하는 저울로부터 초과분의 상품을 제거하는데(스텝 D19), 이때, 해당 이외의 저울에 추가, 감소, 교환처리를 할 수도 있다.
(5) 스텝 D16의 처리에 있어서 판정이 NO라면, 중량표시를 0g으로 하여 경량램프(ee)를 점등하고(스텝 D20), 상품을 저울에 담는다(스텝 D21).
(6) 스텝 D12, D18의 처리에 있어서, 홀드 키이가 눌려졌음이 확인되면, 다음과 같은 처리를 한다. 즉, 해당하는 저울에만 계량데이터 출력을 요구하고(스텝 D51), 해당하는 계량데이터만을 합계한다(스텝 D52). 정량을 얻으면, 스텝 D6이하의 처리로 이행하며(스텝 D53), 얻어지지 않으면, 다음에 경량인가 여부를 체크하고(스텝 D54), 경량인 경우에는 경량램프를 점등하고, 합계중량을 플래싱 표시함과 동시에, 해당하는 조합패턴을 표시한다(스텝 D55). 이어서 해당하는 저울에 부족분의 상품을 추가해서 담고(스텝 D56), 홀드 해제 키이가 눌려졌는가를 확인하면(스텝 D57), 스텝 D2이하의 처리로 돌아가서 모든 저울로부터의 계량데이터를 요구한다.
스텝 D54의 처리에 있어서, 경량은 아니라는 것이 확인되면, 과량램프(cc)를 점등하고, 합계중량을 플래싱 표시함과 동시에 해당하는 조합패턴을 표시한다(스텝 D58). 다음에 해당하는 저울로부터 초과분의 상품을 제거한다(스텝 D59).
본 발명의 처리에 있어서는 생선 토막처럼 계량되는 상품의 단일 중량이 크고 형상을 바꿀 수 없는 것에 대하여는 상품을 바꾸어 재차 조합연산하는 편이 값을 얻기 쉽고, 또 단량이 적고 증감이 용이한 것(과자류 등)에 대해서는 재차 조합계산을 하지 않고 해당하는 저울에 한해서만 계량데이터를 체크해서 상품을 가감하여도 정량을 얻을 수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경량 또는 과량의 저울을 고정하고, 그 저울에 대해서만 눈금을 맞추는 것이 부주의하게 경량 또는 과량의 패턴이 변화하는 일없이 확실하게 정량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과 같이, 이 예에 따르면 목표 중량에 대하여 정량조합을 얻지 못하는 경우에, 상품을 가감산하는 계량기를 고정할 것인가 그리고 상품의 제거, 추가, 교환 어느 것을 채용할 것인가 여부는 상품의 특질에 따라 선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으므로, 조작자는 용이하게 정량조합을 얻을 수 있는 처리를 취할 수가 있다. 또, 정량조합을 얻을 수 없을 때에는, 정량범위에 가까운 저울을 선정하여 그 계량데이터와 조합패턴을 플래싱 표시시키므로, 조작자의 대응이 원활하게 이루어진다.
이상, 본 발명의 주요 요지를 그 특정된 실시예에 따라서 설명하였거니와, 이미 설명한 바에 의거하는 본 발명에 관한 변형 혹은 수정은 여러 가지로 가능하다는 것이 분명하다.

Claims (13)

  1. 피계량물을 손으로 자유로이 담을 수 있는 계량접시를 가지는 복수의 계량기를 배설하고, 이들 계량기로부터 얻어지는 계량데이터를 조합시켜서, 초기 설정된 목표 중량의 가장 적합한 조합을 얻을 수 있는 수동 취합 계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량기를 소정 수만큼씩 분할해서 수용하는 복수의 케이싱과, 상기 각 케이싱에 설치된 각 계량기에 대응해서 배설되고 최적 조합으로 선택되었음을 표시하는 표시장치와, 상기 복수의 계량기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계량데이터를 조합시켜 이들의 합계 계량치가 목표 중량과 같거나 가장 목표 중량에 가까운 중량조합을 선택하는 연산 수단과; 그리고 그 조합에 해당하는 표시 장치를 점등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수단을 표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취합 계량 장치.
  2. 피계량물을 손으로 자유로이 담을 수 있는 계량접시를 가지고 복수의 계량기를 배설하고, 이들 계량기로부터 얻어지는 계량데이터를 조합시켜서, 초기 설정된 목표 중량의 최적 조합을 얻을 수 있는 수동 취합 계량장치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량기를 소정수 만큼씩 분할해서 수용하는 복수의 케이싱과, 상기 각 케이싱에 설치된 각 계량기에 대응해서 배설되고 최적 조합으로 선택되었음을 표시하는 표시 장치와, 상기 복수의 계량기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계량데이터를 조합시켜서 이들의 합계 계량치가 목표 중량과 같거나 가장 목표 중량에 가까운 중량조합을 선택하는 연산 수단과, 그 조합에 해당하는 표시 장치를 점등시키는 신호를 발생시키는 제어수단과, 홀드 키이가 조작되는 타이밍 또는 최적 조합으로 선택된 계량기로부터 상품이 제거되는 타이밍으로서 상기 표시 장치의 표시를 홀드시키는 홀드수단과, 그리고 해당 계량기의 중량 데이터가 제로 또는 마이너스로 되었음을 검출하여, 대응하는 표시장치의 표시를 소등하는 제어수단을 포함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취합 계량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 및 제어수단을 계량기를 수용한 케이싱과는 별개로 설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취합 계량 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최적 조합 계량기의 선택에 이어 재차 각 계량기의 계량데이터에 의해서 조합연산을 하고, 이번의 조합계산치가 전회의 조합계산치보다도 목표 중량에 보다 가까운 근사치를 얻게 되면, 상기 지시 수단의 표시를 수정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취합 계량 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 및 제어수단을 소정의 계량기를 가지는 케이싱 내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취합 계량 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계량기로부터 상품이 제거되어 계량기의 계량데이터가 미리 설정된 값보다도 적은 수치일 때, 상기 홀드를 해제하는 신호를 보내는 제어수단에 있어서, 상기 미리 설정된 값은 가변적임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취합 계량 장치.
  7. 제2항에 있어서, 각 계량기의 검출 중량의 하한치를 설정하는 수단과, 하한치를 초과하는 계량데이터가 얻어진 계량기만을 조합계량에 참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취합 계량 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량기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계량데이터를 조합시켜서 이들의 합계계량치가 목표 중량의 최적 조합을 선택하는 연산을 실행할 때, 목표 중량 이상으로 상한 중량 이하의 정량조합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1) 목표 중량 이하에서 이에 가장 가까운 제1의 조합과, 또한 상한중량 이상에서 이에 가장 가까운 제2의 조합과, 그 중량을 자동적으로 표시하는 수단과, 2) 상기 1)의 처리중에 제1의 조합 또는 제2의 조합 중 어느 한 조합패턴 표시를 선택하여 홀드시키는 수단과, 그리고 3) 상기 1), 2) 중 어느 한 처리를 실행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취합 계량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 및 제어수단을 계량기를 수용한 케이싱과는 별개로 설비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취합 계량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최적 조합 계량기의 선택에 이어 재차 각 계량기의 계량데이터에 의해서 조합연산을 하고, 이번의 조합 계산치가 전회의 조합 계산치보다도 목표 중량에 보다 가까운 근사치를 얻게 되면, 상기 지시 수단의 표시를 수정하는 제어수단을 구비하게 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취합 계량 장치.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산수단 및 제어수단을 소정의 계량기를 가지는 케이싱 내에 설치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취합 계량 장치.
  12. 제1항에 있어서, 각 계량기의 검출중량의 하한치를 설정하는 수단과, 하한치를 초과하는 계량데이터가 얻어진 계량기만을 조합계량에 참가시키는 제어수단을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취합 계량 장치.
  1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계량기로부터 출력되는 각각의 계량데이터를 조합시켜서 이들의 합계계량치가 목표 중량의 최적 조합을 선택하는 연산을 실행할 때, 목표 중량 이상으로 상한 중량 이하의 정량(正量)조합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에는, 1) 목표 중량 이하에서 이에 가장 가까운 제1의 조합과 또는 상한 중량 이상에서 이에 가장 가까운 제2의 조합과, 그 중량을 자동적으로 표시하는 수단과, 2) 상기 1)의 처리중에 제1의 조합 또는 제2의 조합 중에 어느 한 조합패턴 표시를 선택하여 홀드시키는 수단과, 그리고 3) 상기 1), 2) 중 어느 한 처리를 실행할 것인가를 선택하는 수단을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수동 취합 계량 장치.
KR1019870014164A 1986-12-10 1987-12-10 수동 취합 계량장치 KR91000630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9415986A JPS63148129A (ja) 1986-12-10 1986-12-10 手動盛合せ計量装置
JP29415886A JPH0625689B2 (ja) 1986-12-10 1986-12-10 手動盛合せ計量装置
JP86-294159 1986-12-10
JP86-294158 1986-12-10
JP6489387A JPH0678932B2 (ja) 1987-03-19 1987-03-19 定量盛り合わせ計量器
JP87-64893 1987-03-19
JP6489287A JPH0678933B2 (ja) 1987-03-19 1987-03-19 定量盛り合わせ計量器
JP87-64894 1987-03-19
JP87-64892 1987-03-19
JP6489487A JPS63231228A (ja) 1987-03-19 1987-03-19 定量盛り合わせ計量器
JP87-95679 1987-04-18
JP62095679A JPS63261115A (ja) 1987-04-18 1987-04-18 組合せ計量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8005A KR880008005A (ko) 1988-08-30
KR910006304B1 true KR910006304B1 (ko) 1991-08-19

Family

ID=275509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4164A KR910006304B1 (ko) 1986-12-10 1987-12-10 수동 취합 계량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838368A (ko)
EP (1) EP0271352B1 (ko)
KR (1) KR910006304B1 (ko)
AU (1) AU609436B2 (ko)
DE (1) DE3777109D1 (ko)
NZ (1) NZ222863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8243A (ko) * 2010-09-22 2013-10-02 야마도세이고오가부시기가이샤 계량 시스템 및 계량 작업 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761933B2 (ja) * 1989-08-15 1998-06-04 大和製衡株式会社 パック用秤
JP3719625B2 (ja) * 1997-07-25 2005-11-24 株式会社イシダ 組合せ計量装置
US10036664B2 (en) * 2015-04-03 2018-07-31 Bot Llc Method and apparatus for sorting and combining fragile and varying density pieces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836010C2 (de) * 1978-08-17 1984-02-16 Bizerba-Werke Wilhelm Kraut Kg, 7460 Balingen Elektrisch preisrechnende Waage, insbesondere Ladentischwaage
AU543670B2 (en) * 1981-04-21 1985-04-26 K.K. Ishida Koki Seisakusho Combination weigher
JPS5954822U (ja) * 1982-10-01 1984-04-10 株式会社石田衡器製作所 組合せ計量装置
AU552939B2 (en) * 1983-07-11 1986-06-26 Ishida Koki Seisakusho K.K. Combination weigher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08243A (ko) * 2010-09-22 2013-10-02 야마도세이고오가부시기가이샤 계량 시스템 및 계량 작업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AU609436B2 (en) 1991-05-02
KR880008005A (ko) 1988-08-30
DE3777109D1 (de) 1992-04-09
EP0271352B1 (en) 1992-03-04
EP0271352A2 (en) 1988-06-15
EP0271352A3 (en) 1989-02-22
US4838368A (en) 1989-06-13
NZ222863A (en) 1991-05-28
AU8248687A (en) 1988-06-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3038614B (zh) 计量***及计量作业方法
GB2212622A (en) Electronic weighing machine
CN112118689B (zh) 一种pcb用半固化基片叠错拦截设备及拦截方法
KR910006304B1 (ko) 수동 취합 계량장치
CN212567622U (zh) 称重结算***
JPH11153474A (ja) 組合せ秤
JPH1144571A (ja) 定量計量方法および定量計量システム
JPH01304325A (ja) 組合せ秤
JPH0979892A (ja) 組み合わせ秤
JP5154380B2 (ja) 半自動式組合せ秤
JP2008195482A (ja) ピッキング設備
JP4698955B2 (ja) 組合せ秤における追加重量決定装置
JPH03144318A (ja) 組合せ計量機
JPS6395324A (ja) 組合せ秤の計量方法
JPH0535813B2 (ko)
CN216349076U (zh) 一种组合称重设备
JPH0719941A (ja) 組合せ秤におけるチェックコンベアの零点補正装置
JP5203997B2 (ja) 組合せ秤及びそれを用いた被計量物の計量方法
JP6203615B2 (ja) 組合せ計数装置
JPH0610627B2 (ja) 組合せ秤
JPS63148128A (ja) 手動盛合せ計量装置
JPS62113030A (ja) 計数装置
JP2581791Y2 (ja) 混合計量用半自動式秤
JP2975092B2 (ja) マルチターゲット重量計量機能付き組合せ秤
JPH0658245B2 (ja) 手動式組合せ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030807

Year of fee payment: 13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