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910001289B1 - 광파이버 융착접속용 축 맞춤장치 - Google Patents

광파이버 융착접속용 축 맞춤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910001289B1
KR910001289B1 KR1019870011962A KR870011962A KR910001289B1 KR 910001289 B1 KR910001289 B1 KR 910001289B1 KR 1019870011962 A KR1019870011962 A KR 1019870011962A KR 870011962 A KR870011962 A KR 870011962A KR 910001289 B1 KR910001289 B1 KR 910001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lignment
optical fiber
guide
indicator
cen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700119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80005472A (ko
Inventor
요시오 쮸찌다
토모끼 타카하시
슈지 카지다니
Original Assignee
후루까와 덴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쿠사카베 에쭈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54960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97291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5495986A external-priority patent/JPH0697290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5495886A external-priority patent/JPS63108307A/ja
Application filed by 후루까와 덴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쿠사카베 에쭈지 filed Critical 후루까와 덴끼 고오교오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8800054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800054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910001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9100012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5Alignment or adjustment devices for aligning prior to splicing
    • G02B6/2557Alignment or adjustment devices for aligning prior to splicing using deformable flexure members, flexible hinges or pivotal ar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36Mechanical coupling means
    • G02B6/38Mechanical coupling means having fibre to fibre mating mea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24Coupling light guides
    • G02B6/255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 G02B6/2551Splicing of light guides, e.g. by fusion or bonding using thermal methods, e.g. fusion welding by arc discharge, laser beam, plasma torch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S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S269/00Work holders
    • Y10S269/903Work holder for electrical circuit assemblages or wiring system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10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 Y10T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 CLASSIFICATION
    • Y10T29/00Metal working
    • Y10T29/53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 Y10T29/53961Means to assemble or disassemble with work-holder for assemb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lasma & Fusion (AREA)
  • Mechanical Coupling Of Light Guide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광파이버 융착접속용 축 맞춤장치
제1도, 제2도, 제3도는 본발명장치에 따른 열융착접속용 축맞춤장치의 일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평면도 및 분해사시도,
제4도와 제5도는 일실시예의 축맞춤스탠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6도, 제7도, 제8도 및 제9도는 본 발명의 장치의 축맞춤스탠드의 다른 예를 보여주는 평면도와 측면도.
제10도와 제11도는 축맞춤 지표읽기장치가 있는 본발명의 장치의 측면도와 분해사시도,
제12도와 제13도는 축맞춤과 지표읽기장치의 표지판을 나타내는 정면도 및 부분도,
제14도는 축맞춤하는 광파이버 예를 보여주는 분해사시도,
제15도와 제16도는 통상의 축맞춤스탠드를 나타내는 측면도,
제17도는 통상의 축맞춤스탠드의 사용예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제18도는 통상의 부하분리 메커니즘을 나타내는 측면 개략도이다.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A : 1B :스탠드 2A, 2B 기대부(基台部)
3A, 3B : 받침부 4A,4B : V자형홈부
5A,5B :가이드부 11 : 스탠드부착용기판
12 : 요소 13,14 : 대향부착부
21A,21B : 스프링 22A,22B : 스프링
23A,23B : 지지구 32A,32B : 하중부여기구부
33A,33B : 전동기구부 34A,34B : 조정기구부
35A,35B : 하중부여기구부의 출력단부 36A : 36B : 조정기구부의 출력단부
37A,37B : 조정기구부의 마이크로미터 38A,38B : 축 맞춤다이알
39A,39B : 하중기구부의 마이크로미터 50A,50B : 이동체
53A,53B : 지표부 60 : 지표판
62A,62B : 지표투시부 63A : 63B : 지표읽기부
AO1, BO1: 받침부의 중심 AO2, BO2: 긴홈의 중심
AL1, BL1:선분 AL1, BL2: 수선
α, β : 교차각도 F11, F21: 광파이버
F12, F22: 광파이버단부
본발명은 광파이버 상호간을 용착접속하는 경우의 중심맞춤(Centering)에 이용되는 축맞춤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지하듯이, 쌍을 이루는 광파이버를 상호 용착접속할때 그 접속부의 전송로스 증가를 억제하기 위하여, 이같은 광파이버 단부의 축중심을 정밀하게 일치시킨후 이각 단부를 상호 돌출되게 맞추어서 용착하고 있다.
이같은 광파이버의 축심을 일치시키는 조작 즉, 축맞춤조작에서는 제14도에서와 같이 쌍을 이루는 피복 광파이버 (F11) (F21)의 단부에서 피복층을 제거하고 이것에 의하여 노출되어진 광파이버 단부(F12) (F22)를 잘라 맞춘다음 이 각각의 광파이버 단부(F12) (F22)를 소정의 단면간격으로 대향시켜 X축방향, Y축방향으로 미조정한다.
이같은 축맞춤에 이용되는 축중심맞춤스탠드로서 이미 각종의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 현상태에서는 일본특허 공개소 59-111120호 공보에 개시된 것이 일반적으로서, 이하 그 종래예에 따라 제15도-제17도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5도에 나타나는 X축방향미조정용의 중심맞춤스탠드(100A)에 있어서는 상면에 광파이버 감아넣기용의 긴홈(101A)을 지니는 가이드부(102A)가 판상의 형을 갖는 기대부(103A)위에 설치된 받침부(104A)를 매개로 지지되며, 긴홈(101A)의 중심(X1)과 받침부(104A)의 중심(X2)이 동일수직선상에 나란히 있게 된다.
제16도에 나타나는 축방향 미조정용의 축맞춤스탠드(100B)에서는 상면에 광파이버 감아넣기용의 긴홈(101B)을 갖고 있는 가이드부(102B)가 앵글형기대부(103B)의 상부 내측면에 설치된 받침부(104B)를 매개로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상기한 긴홈(101B)의 중심(Y1)과 상기한 받침부(104B)의 중심 (Y2)이 동일수평선상에 나란히 있다.
상기한 양쪽의 중심맞춤스탠드(100A) (100B)는 제17도와 같이 이들 긴홈(101A) (101B)이 일직선상으로 병렬상태로 상대 배치되어 고정된다.
제17도에 있어서, Fx방향의 외력(하중)이 가이드부(102A)에 더해진 때에 그 외력에 따라서 받침부(104A)가 동일방향으로 탄성변형하고, 가이드부(102A)가 X축방향으로 미소이동하여서 해당하는 가이드부(102A)의 긴홈(101A)내에 감아 넣어진 광파이버 단부(F12)는 X축방향으로 미조정된다.
마찬가지로 제17도에 있어서, Fy방향의 외력이 가이드부(102)에 가해질때 그 외력에 따라서 받침부(104B)가 동일방향으로 탄성변형하고, 가이드부(102B)가 Y축방향으로 미소이동하므로서 해당하는 가이드부(101B)의 긴홈(101B)에 감아넣어진 광파이버 단부(F22)는 Y축방향으로 미조정된다.
역으로, 양쪽의 광파이버단부(F12)(F22)가 상호 축맞춤되게 된다.
상기한 축맞춤스탠드에 하중을 가하는 경우 제18도에 도시한 수단이 일반적으로 이용되고 있다.
제18도에 횡형(橫型)의 하중부여기구(200)은 모터축(201)에 톱니바퀴(202)가 부착된 모터(203), 톱니바퀴(202)와 서로 맞물린 톱니바퀴(204)가 부착된 회전축(205), 회전축(205)의 정역회전에 따르지 않는 그 회전축선방향으로 전진 후퇴하는 이동블록(206), 이동블록(206)의 선단축에 구비된 압축(207), 이동블록(206)을 후퇴시키도록 하고, 그 이동블록(206)과 지지판(208)의 사이에서 압축(207)에 외장된 스프링(206)으로 되며, 이동블록(206)의 선단측에 있는 압축(207)이 중심맞춤스탠드(100A)의 가이드부(102A)에 맞닿아진다. 이동블록(206)의 외부면에는 도전체로 되는 복수의 돌기(210)(211)가 그 축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설치되어 있는 동시에 이들 돌기(210), (211)와 접촉이 자유롭게 대응하며 원점검출핀(212), 오버린검출핀(213) (214) 이 소정의 간격으로 배치되어, 각 핀(212) (213) (214)이 절연성 유지구를 매개로 유지되어 있다.
각각의 돌기 (210) (211), 각각의 핀(212) (213) (214)의 간격은 경험에 의하여 설정되어 있고 이것들중에서 오버런검출핀(213) (214)의 간격은 후술하는 이동블록(206)의 이동범위와 대응한다.
각각의 돌기 (210) (211), 각각의 핀(212) (213) (214)는 각각 전기접점으로 되며, 도시하지 않은 경보구기, 표시기구등과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18도의 하중부여기구(200)에 있어서 모터(203)를 정회전 또는 역회전시킨때 그 모터(203)의 회전이 모터축(201), 톱니바퀴(202) (204)를 매개로 회전축(205)에 전달되며, 해당하는 회전축(205)을 매개로 이동블록(206)이 전진 또는 후퇴하므로서 축맞춤스탠드(100A)의 가이드부(102A)에는 그 이동블록선단의 압축(207)을 매개로 상기한 Fx방향의 하중이 가해지며, 또한 그 하중을 감소시키거나 그 하중이 소거되도록 되며 해당하는 가이드부(102A)는 하중이 가해진 분량만큼 소정방향으로 미동한다.
이때에 이동블록(206)의 돌기(210) (211)가 원점검출핀(203), 오버런 검출핀(213) (214)의 각각에 접촉하며, 이들 각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된 경보기구, 표시기구에 의하여 가이드부(102A)의 미동상황이 유지되면서 표시되어서 가이드부(102A)가 조정범위에서 이탈하는 것이 회피되며, 효율이 좋은 조정조작이 가능하게 되는 동시에 가이드부(102A)의 원위치도 판명한다.
설명이 생략된 축맞춤스탠드(100B)도 제18도의 하중부여기구(200)가 종형으로 조합되어 해당하는 하중부여기구(200)가 상기한 대로 이용된다.
상기한 종래의 축맞춤장치에서는 그 축맞춤스탠드(100A)(100B)의 가이드부(102A)(102B)에 제17도의 Fx방향, Fy방향의 외력을 가하는 것에 의하여 간단하게 X축방향과 Y축방향의 미조정이 행해질 수 있고, 각각의 조정계통이 독립하여 있어서 조정밀도도 높은 것이 얻어진다.
그러나 이같은 축맞춤스탠드(100A) (100B)의 구성이 서로 다르므로 2종류의 축맞춤스탠드를 필요로 하는 구성상의 불경제성이 있다.
더구나 각각의 축맞춤스탠드(100A)(100B)에 조립부착한 하중부여기구도 상기한 Fx, Fy방향에 따라 달라져서 조작성이 나쁘고, 이들 하중부여기구가 상하좌우로 부피가 늘어나서 장치전체가 소형화될 수 없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감안하여 장치의 경제성, 장치의 소형화, 조작성등을 만족시키도록 할 수 있는 광파이버용착접속용 축맞춤장치를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발명은 소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상면에 광파이버 감아넣기용의 긴홈을 지니는 가이드부, 그 가이드부의 긴홈과 서로 평행하여 해당하는 가이드부를 지지하고 있는 받침부, 그 받침부를 지지하고 있는 기대부로 되는 축맞춤스탠드를 1쌍 구비하여, 더우기 전진이 자유로운 출력단부를 지니는 하중부여기구부, 그 출력단부의 진퇴양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기구부, 이들 하중부여기구부, 조정기구부 상호의 진동(傳動)기구보로 되는 축맞춤조작기구를 1쌍 구비하여 상기한 각각의 축맞춤스탠드의 긴홈이 일직선상으로 놓여지도록 이들 축맞춤스탠드가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한 각각의 축맞춤 조작기구가 각각의 축맞춤스탠드에 각각 조합되어서 이들 축맞춤조작기구의 출력단부가 해당하는 각 축맞춤스탠드의 가이드부에 각각 맞대어져 있는 광파이버용착접속용 축맞춤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한쪽의 축맞춤스탠드는 그 긴홈과 직교하는 평면으로부터 바라본 받침부의 중심을 AO1, 긴홈의 중심을 AO2, 이들 중심(AO1)(AO2)를 통과하는 선분을 AL1, 긴홈의 중심(AO2)을 통과하는 수선을 AL2로 한 경우, 그 선분(AL1)과 수선(AL2)의 교차각도 α가 45°로 되는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고 동일하게 상기한 다른쪽의 축맞춤스탠드는 그 긴홈과 직교하는 평면으로부터 본 받침부의 중심을 BO1, 긴 홈의 중심을 BO2, 이들 중심(BO1) (BO2)을 통과하는 BL1, 긴홈의 중심 (BO2)을 통과하는 수선을 BL2로 한 경우 그 선분(BL1)과 수선(BL2)의 교차각도 β가 45°로 되는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으며 상호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한 1쌍의 축맞춤스탠드는 양선분(AL1) (AL2)이 서로 직교하고 있고, 상기한 1쌍의 축맞춤조작기구에 있는 각 출력단부가 동일면에 배치되어 각각의 축맞춤스탠드의 가이드부에 맞대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한다.
이하 본 발명을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발명의 한 실시예를 나타낸 제1도-제3도에 있어서 1쌍의 축맞춤스탠드(1A)(1B)는 서로 동등한 구조, 형상을 갖는다. 즉, 1쌍의 축맞춤스탠드(1A)(1B)는 판상의 기대부(2A) (2B)상하양면이 요형으로 만곡한 받침부(3A) (3B)상면에 광파이버 감아넣기용의 V형 긴홈(4A) (4B)을 지녔고, 하부가 크랭크형상으로 구부러진 가이드부(5A) (5B)로 되어 있다.
이들 각부의 상대관계에서는 기대부(2A)(2B)의 전면양측 또는 후면양측에 걸쳐 받침부(3A)(3B)가 각기 설치되고, 각 받침부(3A)(3B)를 매개로 각 가이드부(5A)(5B)가 지지되어 있는 동시에 각기 받침부(3A)와 긴홈(4A), 받침부(3B)와 긴홈(4B)이 서로 평행하여 있다.
상기 한쪽의 축맞춤스탠드(1A)는 제4도의 후측면에 나타나듯이 긴홈(4A)과 직교하는 평면 또는 단면에 있어서 받침부(3A)의 중심을 AO1, 긴홈(4A)의 중심을 AO2로 하여, 양 중심 (AO1) (AO2)을 이어주는 선분을 AL1, 긴홈(4A)의 중심(AO2)을 통과하는 수선을 AL2로 한 경우 이들 선분(AL1)과 수선(AL2)의 교차 각도 α가 45°로 되도록 받침부(3A)와 김홈(4A)이 상대적으로 위치결정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상기한 다른쪽의 축맞춤스탠드(1B)도 제5도의 우측면에 나타나듯이 긴홈(4B)과 직교하는 평면 또는 단면에 있어서 받침부(3B)의 중심을 BO1, 긴홈(4B)의 중심을 BO2로하여 양 중심 (BO1) (BO2)을 이어주는 선분을 BL1, 긴홈(4B)의 중심(BO1)을 통과하는 수선을 BL2로 한 경우 이들 선분(BL2)과 수선 (BL2)의 교차각도 β가 45°로 되도록 하여 받침부(3B)와 긴홈(4B)이 상대적으로 위치 결정되어져 있다.
축맞춤스탠드(1A) (1B)는 예를 들면 강철제로 되는 금속블록을 절삭가공, 연마가공하는 것에 의하여 각부가 일체로 형성되는 것도 있지만, 통상 가이드부(5A)(5B)에 대해서는 제4도, 제5도를 참조하여 명백하듯이 각각 긴홈(4A)(4B)를 지니는 일부(5A1) (5B1)를 세라믹제, 기타부(5A2) (5B2)를 상기한 금속제로 하여 각 세라믹부(5A1) (5B1)를 금속부(5A2) (5B2)에 첨착한다.
전술한 제1도-제3도에 있어서 축맞춤스탠드부착용기판(11)에는 요소(12)와 그 요소(12)를 좁혀서 대향하는 2개의 부착부(13)(14)가 형성되어 있어 이 부착부(13)(14)상에 2개의 축맞춤스탠드(1A)(1B)가 대칭으로 배치되어 고정된다. 즉 한쪽의 축맞춤스탠드(1A)는 기대부(2A)가 기판(11)의 부착부(13)에 위치하고, 가이드부(5A)가 기관(11)의 요소(12)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그 기대부(2A)가 기판(11)의 부착부(13)위에 비스로 고정된다.
마찬가지로 다른쪽의 축맞춤스탠드(1B)는 그 기대부(2B)가 기관(11)의 부착부(14)에 위치하고, 그 가이드부(5B)가 기판(11)의 요소(12)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어 그 기대부(2B)가 기판(11)의 부착부(14)에 비스로 고정된다.
이러한 부착상태에 있어서, 양축맞춤스탠드(1A)(1B)의 긴홈(4A) (4B)이 서로 일직선상으로 놓여지고 더구나 제6도와 같이 축맞춤스탠드(1A)의 선분(AL1)과 축맞춤스탠드(1B)의 선분(BL1)이 직각을 이룬다.
상기한 바와 같이 기판(11)상에 부착된 양축맞춤스탠드(1A) (1B)에는 그 가이드부(5A) (5B)의 하면과 기판(11)의 요소(12)에 걸쳐서 장착된 인장형의 스프링 (21A) (21B)을 매개로 각기 하향의 인장력이 부여된다.
각 축막춤스탠드(1A)(1B)에는 하중부여 기구부(32A)(32B), 전동기구부(33A)(33B), 조정기구부(34A)(34B)로 되는 축맞춤조작기구(31A)(31B)가 각각 부착되어 있다.
각 축맞춤조작기구(31A)(31B)의 하중부여기구부(32A)(32B)는 마이크로 작동구성 즉, 스핀들, 슬립, 싱블등을 구비한 주지의 마이크로미터(39A)(39B)로 되며, 그 축방향으로 진퇴가 자유로운 스핀들에 의한 출력단부(35A) (35B)가 각 축맞춤스탠드(1A) (1B)에는 있는 가이드부(5A) (5B)의 하면에 맞닿아진다.
각 축맞춤조작기구(31A) (31B)의 각 전동기구부(33A) (33B)는 전동레버로 되며, 이 각 전동기구부(33A) (33B)는 이들의 선단이 상기한 각 하중부여기구부(32A) (32B)의 기단에 각기 부착된다.
각 축맞춤조작기구(31A) (31B)의 각 조정기구부(34A) (34B)는 전술한 바와 같이 스핀들에 의한 출력단부(36A) (36B)를 구비한 마이크로미터(37A) (37B)와 그 마이크로미터(37A) (37B)의 조작단부에 각기 부착된 축맞춤 다이알(38A) (38B)로 되어 있다.
이러한 조정기구부(34A) (34B)는 지지구(23A) (23B)를 매개로 각각 지지되며, 이들 출력단부(36A) (36B)가 각 전동기구부(33A) (33B)의 선단과 상호 맞닿아져 있는 외에 그 맞닿은 상태를 유지하기 위한 인장형스프링(22A) (22B)이 각 전동기구부(33A) (33B)의 선단과 각 지지구(23A) (23B)에 걸쳐서 장착되어 있다.
다음에 상술한 본 발명의 장치의 사용예에 관하여 설명한다.
제1도-제3도에 있어서, 축맞춤조작기구(31A)에 있는 조정기구부(34A)의 축맞춤다이알(38A)을 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마이크로미터(37A)의 출력단부(36A)를 소정방향으로 전진시킨 경우 해당하는 출력단부(36A)를 매개로 전동기구부(33A)가 시계방향으로 밀어져서 그 움직임이 하중부여기구부(32A)의 마이크로미터(39A)에 전달되므로 이 마이크로미터(39A)의 출력단부(35A)가 윗쪽으로 진출한다.
이러한 출력단부(35A)의 상방진출에 의하여 축맞춤스탠드(1A)의 가이드(5A)가 위로 밀어져 해당 가이드부(5A)가 받침부(3A)를 받침으로 하여 비스듬히 상방향으로 미소이동하므로 긴홈(4A)의 중심이 제2도의 선분(AL1)에 따라 비스듬이 위로 변위한다.
이상과는 반대로 조정기구부(34A)의 축맞춤다이알(38A)을 시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마이크로미터(37A)의 출력단부(36A)를 소정방향으로 후퇴시키면 인장형스프링(22A)을 매개로 전동기구부(33A)가 시계반대방향으로 복귀하고, 그 움직임이 하중부여기구부(32A)의 마이크로미터(39A)에 전달되어서 이 마이크로미터(39A)의 출력단부(35A)가 하방으로 움직인다. 이것은 동시에 축맞춤스탠드(1A)의 가이드부(5A)가 인장형의 스프링(21A)을 매개로 당겨 내려지고 해당 가이드부(5A)가 받침부(3A)를 받침으로 하여 비스듬히 하방으로 미소이동하므로 긴홈(4A)중심이 제2도의 선분(AL1)에 따라서 비스듬히 하방으로 변위한다.
축맞춤조작기구(31B)도 상기와 같이 그 조정기구부(34B)의 축맞춤 다이알(38B)를 시계회전방향, 시계회전반대방향으로 회전시킬때 이 조정기구부(34B)에 있는 마이크로미터(37B)의 출력단부(36B)가 소정방향으로 진퇴하고, 이것에 따르지 않고, 하중부여기구부(32B)가 상하움직이므로서 축맞춤스탠드(1B)의 가이드부(5B)가 그 출력단부(35B)를 매개로 위로 밀어지거나 또는 인장형의 스프링(21B)를 매개로 끌어내려진다.
그 결과, 가이드부(5B)가 받침부(3B)를 받침으로하여 비스듬히 상방 또는 비스듬히 하방으로 미소이동하여 긴홈(4B)의 중심이 제 2 도의 선분(BL)을 따라 변위한다.
상술하듯이, 각 축맞춤스탠드(1A)(1B)의 가이드부(5A)(5B)를 이들과 대응하는 각 축맞춤조작기구(31A)(31B)를 매개로 타성변형시키는 것에 의하여 각 가이드부(5A) (5B)의 긴홈(4A) (4B)의 중심이 서로 직교하는 선분(AL1) (BL1)을 따라서 미소변위한다.
이에 따라서, 상기한 각 가이드부(5A) (5B)의 긴홈(4A) (4B)내에 광파이버단부(F12) (F22)를 감아넣어 유지시키고, 축맞춤조작기구(31A) (31B)를 매개로 상기한 선분(AL1) (BL1)을 따라서 광파이버단부(F12) (F22)를 이동시키면, 양 광파이버의 코어상호를 일치시키기 위한 축맞춤이 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양 출력단부(35A) (36A)의 축거리가 55mm, 받침부중심(AO1)과 긴홈중심(AO2)의 거리가 20mm, 축맞춤다이알(38A)을 1회전시킨 경우의 출력단부(35A)의 이동량이 0,5mm, 하중부여기구부(32A)를 1회전시킨 경우의 출력단부(35A)의 이동량이 0.5mm인 경우, 가이드부(5A)의 긴홈(4A)내에 감아넣어진 광파이버단부(2A)는 축맞춤다이알(38A)를 26°회전시키는 것에 의해 0.1㎛ 이동한다.
양출력단부(35B) (36B)의 축거리가 35mm인 외에는 상기한 것과 동일한 가이드부(5B)축의 경우, 그 가이드부(5B)의 긴홈(4B)내에 감아 넣어진 광파이버 단부(2B)는 축맞춤다이알(38B)를 26° 회전시키는 것에 의하여 0.1㎛ 이동한다.
다음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 부수하는 구성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6도와 제7도, 제8도와 제9도에 도시하는 각 축맞춤스탠드(1A) (1B)도 상기한 실시예와 같이 기대부(2A) (2B), 받침부(3A) (3B), 긴홈(4A) (4B)를 갖고 있는 가이드부(5A) (5B)로 되어 있고, 이들 각부의 재질도 상기한 대로 이지만 이 실시 예에서는 받침부(3A) (3B)가 기대부(2A) (2B)의 상면에 설치되어 있는 것, 받침부(3A) (3B)의 전후양면이 요형으로 만곡하고 있는 것, 가이드부(5A) (5B)가 블록형상인 것등이 상기한 실시예와 다르다.
이들 실시예의 각 축맞춤스탠드(1A) (1B)는 앞에 기술한 양선분(AL1) (BL1)이 서로 직교하도록 기판(11)의 부착부(13) (14)에 부착되며, 각 하중부여기구부(32A) (32B)의 출력단부(35A) (35B)가 각 가이드부(5A) (5B)의 상면에 맞대어지도록 이들 축맞춤스탠드(1A) (1B)에 각 축맞춤조작기구(31A) (31B)가 조합된다.
각 축맞춤조작기구(31A) (31B)이 조정기구부(34A) (34B)는 전술한 수동형으로 변하고, 펄스모터, 스텝모터등의 모터를 주체로 한 구동형으로도 좋으며, 이 경우 해당 각 조정기구부(34A) (34B)의 모터축과 상기 한 각 하중부여기구부(33A) (33B)에 걸쳐진 전동기구부(33A) (33B)로서 톱니바퀴 전동계가 채용된다.
각 축맞춤조작기구(31A) (31B)의 하중부여기구부(32A) (32B), 조정기구부(34A) (34B)에 있어서, 이들의 출력단부(35A) (35B), (36A) (36B)로 되는 스핀들의 선단면은 마찰저항이 적은 반구형상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며 더구나 이들 스핀들선단이 내마모성이 좋은 세라믹제인 것이 적당하다.
마이크로미터를 매개로 각 출력단부를 진퇴시키는 수단은 이것을 정밀한 나사이송수단에 대치될 수 있다.
각 축맞춤스탠드(1A) (1B)의 상면을 예를 들면 제1도, 제2도에 도시한 후드(14)에 의하여 덮힌 경우, 그 후드(41)는 힌지로 개폐자재하게 설치된다. 이러한 후드(41)에, 예를 들면 라이트가이드등의 조명구(42), 광파이버단부 검사용의 현미경(43)이 장비되는 경우, 이들 조명구(42), 현미경(43)은 양가이드부(5A) (5B)사이의 중앙(광파이버단부 상호의 돌출되어 맞추는 위치)과 대응하는 위치에 부착되며 더구나 현미경(43)의 광축은 선분(AL1)과 동일하게 넓게 배분되며, 즉 35o로 되도록 해당 후드(41)에 부착된다.
다음에 제10도-제13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장치에 장비된 축맞춤 표시수단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제10도-제13도의 경우, 축맞춤에 관한 각 기구에 대해서는 상기한 기술내용과 기본적으로 동일하지만 축맞춤표시수단과 대응하는 각 축맞춤 조작기구(31A) (31B)의 조정기구부(34A) (34B)에 대해서는 이하에 서술하듯이 상기한 기술내용과 다른 구성을 갖는다.
즉, 각 조정기구부(34A) (34B)는 스핀들에 의한 출력단부(36A) (36B)를 구비한 마이크로미터(37A) (37B), 그 마이크로미터(37A) (37B)의 조작단부에 각각 부착된 축맞춤다이알(38A) (38B). 그 마이크로미터(37A) (37B)를 매개로 진퇴운동하는 이동체(60A) (60B), 그 이동체(50A) (50B)를 소정방향으로 안내하기 위한 안내부재(51A1) (51B2), (51B1) (51B2), 상기한 각 마이크로미터(37A) (37B) 및 각 안내부재(51A1) (51A2), (51B1) (51B2)를 소정의 위치, 소킁의 상태로 지지하기 위한 지지부재(51A1) (51A2) (5lB1) (51B2)로 되어 있다.
이들 각 부재로 되는 양축맞춤조작기구(31A) (31B)는 제10도를 참조하여 명백하듯이 상호 대칭으로 되는 형태로 있어서 각각 전동기구부(33A) (33B)에 맞춰져 부착된다.
즉, 한쪽의 조정기구부(34A)의 경우는 이동체(50A)가 양 지지부재(52A1)(52A2)사이에 있어서 평행으로 가설된 하나의 안내부재(51A1) (51A2)에 의하여 관통되며, 그 안내부재 (51A1) (51A2)에 의하여 구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지부재(52A1)에 의하여 지지된 마이크로미터(37A)의 출릭단부(36A)와 상기한 이동체(50A)가 이들에 있어서 상대(相對)형성된 정밀한 암, 수나사를 매개로 상호 나사맞추어져 그 이동체(50A)의 일단(후단)이 상기한 전동기구부(33A)의 조작단부에 맞대어져 있는 동시에 그 전동기구(33A)에는 이것을 이동체(50A)에 항상 맞대어지도록 인장형스프링(22A)이 장착되어 있다.
마찬가지로, 다른 쪽의 조정기구부(34B)의 경우는 이동체(50B)가 양 지지부재(52B1) (52B2) 사이에 있어서 평행으로 가설된 하나의 안내부재 (51B1) (51B2)에 의해 구동이 자유롭게 지지되어 있으며 상기한 지지부재(525B1)에 의하여 지지된 마이크로미터(37B)의 출력단부(36B)와 상기 이동체(50B)가 이들에서 상대 형성된 정밀한 암, 수나사를 매개로 상호 나사맞춤되고, 그 이동체(50B)의 일단(후단)이 상기한 전동기구부(33B)의 조작단부에 맞대어져 있는 동시에 그 전동기구부(33B)에는 이것을 이동체(50B)측에 항상 맞대지기 위하여 인장스프링(22B)이 장착되어 있다.
상술한 각 이동체(50A) (50B)의 타단(전단)에는 후술한 표시판(70)과 대응되도록 각각 니들로 되는 지표부(53A) (53B)가 돌설되어 있다.
다음에 지표부(53A) (53B)를 읽어내기 위한 표시판(70)에 대해서 설명한다. 제10도-제13도에 있어서, 표시판(60)의 판면에는 1쌍의 조작공(61A) (61B)과 1쌍의 지표투시부(62A) (62B)가 개구수단에 의하여 형성되어 있는 동시에 눈금표시수단, 인자수단등을 매개로 1쌍의 지표읽기부(63A) (63B)가 형성되어 있다.
양 조직공(61A) (61B)의 간격은 양축맞춤다이알(38A) (38B)의 간격과 대응하고 있다.
양 지표투시부(62A) (62B)는 양 조작공(61A) (61B)의 사이에 있어서 각 지표부(53A) (53B)의 이동범위에 걸쳐진 길이를 지닌다.
양 지표읽기부(63A) (63B)는 각 지표투시부(62A) (62B)에 근접하여 이들 지표투시부(62A) (62B)의 길이 방향을 따라 표시되고 있다.
이러한 구성의 표시판(60)은 각 축맞춤조작기구(31A) (31B)의 조정기구부(34A) (34B)측에 배치되어 고정되며 역으로 표시판(60)이 고정된 경우, 각 조작공(61A) (61B)내에 각각 축맞춤다이알(38A) (38B)의 일부가 감아넣어지는 동시에 양 지표투시부(62A) (62B), 양 지표읽기부(63A) (63B)를 매개로 각각 지표부(53A) (53B)의 위치가 투시되며 판독가능하게 된다.
다음에 상술한 본 발명의 장치의 사용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제10도-제13도에 있어서, 축맞춤조작기구(21A)에 있는 조정기구부(34A)의 축맞춤다이알(38A)을 시계회전방향으로 회전시키고, 이것에 의하여 마이크로미터(37A)의 출력단부(36A)를 소정방향(제10도 좌측방향)으로 전진시킨 경우, 해당 출력단부(36A)를 매개로 이동체(50A)가 동일방향으로 압동되는 동시에 그 이동체(50A)를 매개로 전동기구부(33A)가 시계회전방향으로 밀어진다.
이렇게 하여 전동기구부(33A)가 시계회전방향으로 밀려지고, 그 운동이 하중부여기구부(32A)에 전달되면 이 하중부여기구부(32A)의 출력단부(35A)가 위로 진출한다.
상기한 바와 달리, 조정기구부(34A)의 축맞춤다이알(38A)을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면서 마이크로미터(37A)의 출력단부(36A)를 소정방향(제10도 우측방향)으로 후퇴시키면, 인장형스프링(22A)을 매개로 전동기구부(33A)가 반시계방향으로 복귀하는 동시에 그 운동이 하중부여기구부(32A)에 전달되므로 이 하중부여기구부(32A)의 출력단부(35A)가 아래쪽으로 퇴동한다. 축맞춤조작기구(21B)도 상기와 같이 그 조정기구부(34B)의 축맞춤다이알(38B)을 시계회전방향, 반시계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경우, 이 조정기구부(34B)의 출력단부(36B)가 소정방향(제10도 우측방향, 좌측방향)으로 진퇴시키는 동시에 그 운동이 이동체(50B), 전동기구부(33B)를 매개로 하중부여기구부(32B)에 전달되며 이것에 의하여 해당 하중부여기구부(32B)의 출력단부(35B)가 상하운동한다.
이같이 축맞춤다이알(38A) (38B)을 회전시켜서 소정의 출력단부(35A) (35B)를 상호운동시키는 것에 의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각 축맞춤스탠드(1A) (1B)의 가이드부(5A) (5B)가 탄성변형하며, 이 각 가이드부(5A) (5B)의 긴홈(4A) (4B)의 중심이 서로 직교하는 선분(AL1) (BL1)에 따라서 미소변위하므로 양 광파이버(F11) (F21)의 코어상호를 일치시키기 위하여 축맞춤이 행해질 수 있다.
상기와 같이하여 각 축맞춤조작기구(31A) (31B)의 가이드부(5A) (5B)를 조작하는 경우, 즉, 광파이버 상호를 축맞춤하는 경우, 각 이동체(50A) (50B)에 설치된 지표부(53A) (53B)를 표시판(60)의 각 지표투시부(62A) (62B)에 의해 투시하여 이들의 이동량을 각 지표읽기부(63A) (63B)에 의하여 읽을 수 있으므로 이것에 기준하여 각 광파이버 가이드부(5A) (5B)이 조정상태가 계수적으로 파악될 수 있고, 적절하고 합리적인 광파이버의 축맞춤상태가 얻어진다.
제10도-제13도의 실시예에서는 다음과 같은 기술적 사항도 채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며, 양 조정기구부(34A) (34B)에 관해서 그 지지부재(52A1) (52B2)를 생략하고, 각 2분의 안내부재(51A1) (51B1), (51A2) (51B2)를 일체(1본)화할 수 있다.
양 조정기구부(34A) (34B)상호는 이들 축맞춤다이알(38A) (38B)이 제일 떨어진 상태의 대칭형을 이루고 있지만, 이 각 조정기구부(34A) (34B)를 좌우로 반전하여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양 축맞춤다이알(38A) (38B)이 가장 접근한 대칭형으로 된다.
이 경우, 표시판(60)에 있어서 양 지표투시부(62A) (62B)사이에 각 조작공(61A) (61B)이 위치하도록 하는 모양으로 된다. 양 조정기구부(34A) (34B)는 이들 지지부재(50A1) (52A2), (52B1) (52B2)가 종형으로 되는 형태 즉, 지지부재(52A1) (52A2), (52B1) (52B2)가 표시판(60)의 판면과 평행하도록 하는 모양으로도 좋다. 각 조정기구부(34A) (34B)의 마이크로미터(37A) (37B)는 그 출력단부(36A) (365B)가 단순히 각 이동체 (50A) (50B)에 맞닿아진 경우도 있다.
기타, 각 조정기구부(34A) (34B)에 있어서, 각 이동체(50A) (50B)등이 생략되고, 각 마이크로미터(37A) (37B)의 출력단부(36A)(36B)가 각각 전동기구부(33A) (33B)의 조작단부에 직접 맞닿거나 나사맞추게 된 것이 있다. 이 경우, 각 전동기구부(33A) (33B)의 선단(레버의 선단)에 지표부(53A) (53B)가 설치된다. 지표부(53A) (53B)는 니들에 대신하여, 선상의 표시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있고, 각 지표투시부(42) (42B)는 유리, 플라스틱등이 투명체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 있다.
상술한 축맞춤표시수단은 축맞춤스탠드가 광파이버가이드부, 받침부, 기대부로 되며, 이것에 축맞춤조작 기구가 조합되는 것이라면 각종의 장치에 채용할 수 있고, 이러한 축맞춤표시수단은 제6도 제9도의 축맞춤스탠드(1A)(1B)를 이용하는 장치에도 물론 적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장치에 의한 경우는 서로 동형의 축맞춤스탠드가 1쌍이라면 좋으며, 이들 1쌍의 축맞춤스탠드를 대칭으로 배치하면 좋기때문에 종래와 같이 수직축용, 수평축용의 축맞춤스탠드를 이용하여 장치를 구성하지 않아도 쌍을 이루는 광파이버를 그 축선 직교하는 2축방향으로 조정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고, 1쌍의 축맞춤조작기구도 이들 출력단부가 동일면에 배치되기 때문에 각 축맞춤조작기구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부피가 늘어나는 것이 없고, 총체적으로 장치전체가 콤팩트하고 소형으로 조립할 수 있고, 더욱이 동일방향에서 각 가이드부에 하중을 걸 수 있어서 조작성도 좋다.
특히 본발명장치에 있어서 조정기구부에 입력한 회전동력을 직선동력으로서 출력하는 경우, 조정기구부에서 전동기구부에 이르는 입출력비가 크게 감소되며, 전동기구부에서 하중기구부에 이르는 압출력비도 해당 전동기구부의 전동비에 의해 감소되며, 더욱이 하중부여기구부에서 축맞춤스탠드에 이르는 입출력비도 상기와 같이 회전동력을 직선동력으로서 출력하는 것에 의하여 크게 감소된다.
따라서, 이들 복수의 동력전달계를 경유하는 것에 의하여 조정기구부에서의 조작량을 극소로 하여 축맞춤스탠드에 전달할 수 있다.
그외에 단일 기구부에서 큰 입출력비를 일거에 얻는 것이 아니고 조정기구부, 전동기구부, 하중부여기구부의 조합에 의하여 입출력비를 크게하므로 이들 각 기구부에 무리가 생기지 않고, 회전동력을 직선동력으로서 출력하기 위한 조정기구부, 하중부여기구부로서 마이크로미터등의 기존의 정밀기기를 전동기구부로서 단순한 전동레버를 채용하는 것에 의하여 축맞춤조작기구로서 충분한 정밀도가 확보될 수 있고, 더불어서 기구성의 소형화, 간이화, 경제성등도 이룰 수 있다.
역으로 본발명장치에 의한 경우는 축맞춤스탠드에 있는 광파이버의 축맞춤조작을 행할 경우 높은 정밀도를 갖고 미소조정할 수 있다.
기타, 본 발명장치에 있어서, 그 축맞춤수단에 계수적인 축맞춤 표시수단이 조합된 경우 소망의 축맞춤을 행하는 경우의 광파이버 조정상태가 계수적으로 파악할 수 있고, 이에 따라서, 광파이버 상호의 축맞춤을 행할때 그 축맞춤상황을 정학하게 파악하면서 적절한 축맞춤상태를 얻을 수 있고 축맞춤에 관한 데이터 채취도 가능하게 된다.

Claims (9)

  1. 상면에 광파이버 감아넣기용의 긴홈을 갖는 가이드부, 그 가이드부의 긴홈과 서로 평행하여 해당 가이드부를 지지하고 있는 받침부, 그 받침부를 지지하고 있는 기대부로 이루어진 축맞춤스탠드를 1쌍 구비하고, 진퇴가 자유로운 출력단부를 갖는 하중부여기구부, 그 출력단부의 진퇴양을 조정하기 위한 조정기구부, 이들 하중부여기구부, 조정기구부 상호의 전동기구부로 되는 축맞춤조작기구를 1쌍 구비하고, 싱기한 축맞춤스탠드가 상호 인접하여 배치되며, 상기한 각 축맞춤조작기구가 각 축맞춤스탠드에 각각 조합도며, 이들 축맞춤조작기구의 출력단부가 해당하는 각 축맞춤스탠드의 가이드부에 각각 맞대어겨 잇는 광파이버용 접속용 축맞춤장치에 있어서, 상기한 한쪽의 축맞춤스탠드는 그 긴홈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본 받침부의 중심을 AO1, 긴홈의 중심을 AO2, 이들 중심(AO1) (AO2)을 통과하는 선분을 AL1, 긴홈의 중심(AO2)을 통과하는 수선을 AL2로 한 경우 그 선분(AL1)과 수선(AL2)의 교차각도 α가 45°로 되는 조건을 만족시키고 있고, 동일하게 상기한 다른쪽의 축맞춤스탠드가 그 긴홈과 직교하는 평면에서 본 받침부의 중심을 BO1, 긴홈의 중심을 BO2, 이들 중심(BO1)(BO2)을 통과하는 선분을 BL1, 긴홈의 중심(BO2)을 통과하는 수선을 BL1로 한 경우, 그 선분(BL1)과 수선(BL2)의 교차각도 β가 45°로 되는 조건을 만족시켜 놓고 있으며 상호 인접하여 배치된 상기한 1쌍의 축맞춤스탠드가 양선분(AL1) (AL2)이 서로 직교하고 있고, 상기한 1쌍의 축맞춤 조작기구에 있는 각 출력단부가 동일면에 배치되어 각 축맞춤스탠드의 가이드부에 맞대어져 있음을 특징으로 하는 광파이버용착접속용 축맞춤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축맞춤스탠드에 있어서, 받침부가 기대부의 상면에 설치되어 그 받침부를 매개로 가이드부가 지지되어 있는 광파이버용착접속용 축맞춤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축맞춤스탠드에 있어서, 받침붇가 기대부의 전면, 후면의 어느곳에 설치되며, 그 받침부를 매개로 가이드부가 지지되어 있는 광파이버용착접속용 축맞춤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의 어느 것에 있어서, 축맞춤스탠드에 있어서, 가이드부의 긴홈을 지니는 부분이 세라믹으로 되며, 그 가이드부의 잔부, 받침부, 기대부가 금속으로 되는 광파이버용착접속용 축맞춤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축맞춤조작기구가 회전동력을 직선동력으로서 출력하기 위한 조정기구부, 조정기구부의 직선동력을 회전동력으로 변환하여 그 회전동력을 하중부여기구부에 전달하기 위한 전동기구부를 구비하여 있고, 하중부여기구부의 출력축이 축맞춤스탠드의 가이드부에 맞대어져 있는 광파이버용착접속용 축맞춤장치.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하중부여기구부의 출력단부가 축방향으로 진퇴가 자유로운 스핀들로 되는 광파이버용착접속용 축맞춤장치.
  7.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조정기구부의 출력단부가 축방향으로 진퇴가 자유로운 스핀들로 되는 광파이버용착접속용 축맞춤장치.
  8.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전동기구부가 전동레버로 되는 광파이버용착접속용 축맞춤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축맞춤조작기구의 전동기구부 또는 조정기구부의 이동하는 부분에 지표부가 설치되며, 지표읽기용의 표시판에는 그 지표부이동범위에 걸쳐진 지표투시부, 그 지표부 이동방향을 따르는 지표읽기부가 서로 근접하여 설치되며, 상기한 지표투시부와 상기한 지표부가 서로 대응하도록 표시판이 배치되어 있는 광파이버용착접속용 축맞춤장치.
KR1019870011962A 1986-10-27 1987-10-28 광파이버 융착접속용 축 맞춤장치 KR91000128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5496086A JPH0697291B2 (ja) 1986-10-27 1986-10-27 光フアイバ軸合わせ用調心表示装置
JP25495986A JPH0697290B2 (ja) 1986-10-27 1986-10-27 光フアイバ融着接続用軸合わせ装置
JP25495886A JPS63108307A (ja) 1986-10-27 1986-10-27 光フアイバ融着接続用調心台
JP254960 1986-10-27
JP254959 1986-10-27
JP254958 1986-10-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80005472A KR880005472A (ko) 1988-06-29
KR910001289B1 true KR910001289B1 (ko) 1991-02-28

Family

ID=2733437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70011962A KR910001289B1 (ko) 1986-10-27 1987-10-28 광파이버 융착접속용 축 맞춤장치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4914797A (ko)
EP (1) EP0266095B1 (ko)
KR (1) KR910001289B1 (ko)
BR (1) BR8705724A (ko)
CA (1) CA1305852C (ko)
DE (1) DE3789751T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002351A (en) * 1988-07-05 1991-03-26 Preformed Line Products Company Fusion splicer for optical fibers
US5046813A (en) * 1988-09-07 1991-09-10 Fujikura Ltd. Method and apparatus for aligning a plurality of single-fiber cables, and method of simultaneously fusion-splicing such cables
US5170456A (en) * 1988-09-07 1992-12-08 Fujikura Ltd. Apparatus for aligning a plurality of single-fiber cables
FR2671409B1 (fr) * 1991-01-08 1994-06-10 Alcatel Fibres Optiques Microsoudeuse pour fibres optiques et procede de soudage a l'aide de cette microsoudeuse.
GB9117761D0 (en) * 1991-08-16 1991-10-02 Bicc Plc Optical fibre splicing
JP2795167B2 (ja) * 1994-03-29 1998-09-10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機
JP3070406B2 (ja) * 1994-08-18 2000-07-3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微小駆動部材
JP3168844B2 (ja) 1994-10-13 2001-05-21 住友電気工業株式会社 定偏波光ファイバの融着接続方法
US5524163A (en) * 1994-12-29 1996-06-04 Sumitomo Electric Industries, Ltd. Apparatus for splicing optical fibers and method for the same
SE511820C2 (sv) * 1997-05-23 1999-11-29 Ericsson Telefon Ab L M Anordning för hopsvetsning av optiska fibrer
US20030053070A1 (en) * 2001-06-28 2003-03-20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Quality review method for optical components using a fast system performance characterization
US6781698B2 (en) * 2001-06-28 2004-08-24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Quality review method for optical components using a fast system performance characterization
US6722033B2 (en) 2001-10-08 2004-04-20 Newport Corporation Pallet assembly for assembling a fiber optic module that includes a housing
US8231098B2 (en) 2004-12-07 2012-07-31 Newport Corporation Methods and devices for active vibration damping of an optical structure
DE102009025309B4 (de) * 2009-06-15 2016-12-22 Toptica Photonics Ag Kinematischer Halter
JP5771732B1 (ja) 2014-10-24 2015-09-02 株式会社フジクラ 光ファイバ融着接続器及びそれを備える光ファイバ融着接続装置

Family Cites Familie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34403A (en) * 1956-02-14 Timpner
GB856721A (en) * 1956-12-13 1960-12-21 British Thomson Houston Co Ltd Improvements relating to mechanical linkages
DE2029715C3 (de) * 1970-06-16 1980-07-10 7517 Waldbronn Verstelleinrichtung
FR2332545A1 (fr) * 1975-11-21 1977-06-17 Cit Alcatel Support de connexions pour fibres optiques et procede pour sa mise en oeuvre
DE3217298A1 (de) * 1982-05-07 1983-11-10 Siemens AG, 1000 Berlin und 8000 München Mikropositionier- und justiervorrichtung
JPS59111120A (ja) * 1982-12-15 1984-06-27 Furukawa Electric Co Ltd:The 光フアイバ用軸合装置
US4537466A (en) * 1983-02-15 1985-08-27 Raychem Corporation Optical fiber chuck including a cover comprising an idler wheel and a V-shaped insert
DE3321988A1 (de) * 1983-06-18 1984-12-20 Standard Elektrik Lorenz Ag, 7000 Stuttgart Vorrichtung zur spielfreien verschiebung von objekten in einem koordinatensystem
EP0216307A3 (de) * 1985-09-26 1989-08-02 Siemens Aktiengesellschaft Mechanische Vorrichtung zum Aufeinandereinjustieren der Enden zweier optischer Faserendabschnitt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266095B1 (en) 1994-05-04
US4914797A (en) 1990-04-10
DE3789751T2 (de) 1994-12-22
CA1305852C (en) 1992-08-04
BR8705724A (pt) 1988-05-31
EP0266095A2 (en) 1988-05-04
KR880005472A (ko) 1988-06-29
EP0266095A3 (en) 1990-07-18
DE3789751D1 (de) 1994-06-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910001289B1 (ko) 광파이버 융착접속용 축 맞춤장치
CA1113292A (en) Mechanical optical fiber switching device
EP0846965B1 (en) Optical fiber connector
KR970004472B1 (ko) 광코넥터결합장치 및 광코넥터결합방법
US5568578A (en) Gradient index rod collimation lens devices for enhancing optical fiber line performance where the beam thereof crosses a gap in the line
US5852519A (en) Positionable multi-optic holder
JP2747891B2 (ja) 光スイッチ
US5168617A (en) Axially centering apparatus for fusion-bonding optical fibers
JPH0282212A (ja) 光スイッチ
GB2315564A (en) Optical device having slant end surfaced optic fibre and GRIN lens
KR20030022010A (ko) 플라스틱 광화이버 단면의 가공방법, 그 가공장치, 그절삭도 및 플라스틱 광화이버의 접속방법
JP2000089141A (ja) 光ファイバスイッチ
EP0117112B1 (en) Optical element mounting structure
DE19720619A1 (de)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Multiplexen von übertragenen Lichtsignalen
JP3007828B2 (ja) 偏波面保存光ファイバの回転方法およびそれに用いる治具
JPH0697291B2 (ja) 光フアイバ軸合わせ用調心表示装置
JP2519233B2 (ja) 光フアイバ用多心一括切替スイツチ
CN209803378U (zh) 一种微距光纤切割机
JP5066038B2 (ja) 光路長の調節装置
JP3215925B2 (ja) 光ファイバ心線の線番対照装置
RU2091732C1 (ru) Перестраиваемый интерферометр фабри-перо
JPH0876037A (ja) 偏波面保存光ファイバスイッチの製造方法
SU1283688A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 соединени полоскового волновода с оптическим волокном
JP2002139684A (ja) 光スイッチ装置
JPH01232308A (ja) 光コネクタプラグの組立工具および組立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80217

Year of fee payment: 8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