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2102B1 - 공기분사식직기의 위입장치 - Google Patents

공기분사식직기의 위입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2102B1
KR860002102B1 KR1019830003599A KR830003599A KR860002102B1 KR 860002102 B1 KR860002102 B1 KR 860002102B1 KR 1019830003599 A KR1019830003599 A KR 1019830003599A KR 830003599 A KR830003599 A KR 830003599A KR 860002102 B1 KR860002102 B1 KR 86000210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weft
air guide
guide member
auxiliary nozz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3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5757A (ko
Inventor
기미마사 오오니시
다까오 다까하시
마사유끼 코오리야마
Original Assignee
닛산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이시하라 다까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13509582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26552A/ja
Priority claimed from JP58051463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79847A/ja
Priority claimed from JP58051464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179848A/ja
Priority claimed from JP9117383A external-priority patent/JPS59216947A/ja
Application filed by 닛산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이시하라 다까시 filed Critical 닛산지도오샤 가부시기가이샤
Publication of KR84000575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575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21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21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03D47/3026Air supply systems
    • D03D47/306Construction or details of parts, e.g. valves, duct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7Drive or guide mechanisms for weft inserting
    • D03D47/277Guide mechanisms
    • D03D47/278Guide mechanisms for pneumatic loom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03D47/3006Construction of the nozzles
    • D03D47/302Auxiliary nozzles
    • DTEXTILES; PAPER
    • D03WEAVING
    • D03DWOVEN FABRICS; METHODS OF WEAVING; LOOMS
    • D03D47/0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 D03D47/28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 D03D47/30Looms in which bulk supply of weft does not pass through shed, e.g. shuttleless looms, gripper shuttle looms, dummy shuttle looms wherein the weft itself is projected into the shed by gas jet
    • D03D47/3026Air supply systems
    • D03D47/3053Arrangements or lay out of air supply system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oom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공기분사식직기의 위입장치
제1도는 공기분사식 직기에 연결된 본 발명에 의한 위사위입장치의 제1실시예의 단면도.
제2도는 제1실시예에 사용된 에어가이드부재의 측면도.
제3도는 제2도의 필수부분의 확대분해측면도로서 제2도에 대해 반대방향에서 취한 도면.
제4도는 제2도에 도시된 형식의 에어가이드중 일렬로 구성된 에어가이드부재의 수평단면도.
제5도는 제2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사용된 에어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도면
제6도는 제2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3실시예에 사용된 에어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도면.
제7(a)도와 제7(b)도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사용된 에어가이드부재의 정면도 및 측면도.
제8도는 제7(b)도의 필수분의 확대분해 측면도.
제9도는 제8도의 선 IX-IX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0도는 제7(a)도와 제7(b)도의 에어가이드부재의 수평단면도.
제11도는 제9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제4실시예에 사용된 에어가이드부재를 다소 확대한 도면.
제12도는 제8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사용된 에어가이드부재를 도시한 도면.
제13도는 제12도의 선 XIII-XIII을 따라 취한 단면도.
제14도는 본 발명의 위사위입장치의 제6실시예의 단면도로서 공기분사식 직기에 연결된 도면.
제15도는 제14도의 필수부분의 확대분해도.
제16도는 제14도의 제6실시예에 사용된 일렬로 구성된 에어가이드부재의 수평단면도.
제17도는 제15도와 유사한 도면으로서 본 발명의 제7실시예를 도시한 도면.
제18도와 제19도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사용된 두 개의 에어가이드부재의 측면도.
제20도는 제8실시예에 사용된 일렬로 구성된 에어가이드부재의 수평단면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A)(10B)(10C)(10D)(10E)(10F)(10G)(10H)(10I)(11)(11') : 에어가이드부재
(12) : 고정부 (14)(14') : 보조노즐
(15) : 에어가이드채널 (16) : 리이드(reed)
(18) : 리이드호울더 (20) : 웨지(Wedge)
(22) : 슬레이소오드(Slay Sword) (24) : 슬레이소오드샤프트
(26) : 잉아(heddle) (30) : 직물
(32) : 펠(fell) (34) : 평정부
(38) : 에어가이드구멍 (38a) : 공기유도부
(38b) : 위사유도부 (40) : 슬릿
(42) : 적재부 (44)(44') : 노즐구멍
(50) : 압축공기공급원 (52) : 분배용홈
(54)(60)(62) : 통로 (56)(64) : 튜우브
(58)(66) : 밸브 (68) : 캠(cam)
(70) : 공기공급선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공기분사식 직기의 위사위입장치(picking device)에 관한 것으로, 특히 일렬로 구성된 에어가이드(air guide)부재, 주노즐(main nozzle) 및 위사위입 작동을 도와주는 에어가이드부재에 연결된 보조노즐로 되어 있는 형식의 위사위입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은 이러한 형식의 위사위입장치에 있어서 보조노즐에 설치된 에어가이드부재의 개선점에 관한 것이다.
공기분사식 직기에 있어서, 공지의 위사위입장치는 위사를 운반하는 에어가이드 채널을 형성하는 밀폐된 형식의 일렬로 구성된 에어가이드부재와, 위사를 에어가이드채널 속으로 분출시키는 주노즐과, 에어가이드부재에 연결되어 에어가이드채널 속으로 보조공기를 분출하므로서 주노즐에 의한 위사위입 동작을 보조하는 보조노즐로 구성되어 있다. 이러한 장치에 사용된 각각의 에어가이드부재에는 에어가이드채널의 일부를 형성하는 에어가이드 구멍과 에어가이드부재로 된 열속에 형성된 축방향으로 연장되는 슬롯(solt)의 일부를 형성하는 슬릿(slit)이 있다. 비이팅(beating)이 되면 에어가이드채널 중에 있는 위입된 위사는 슬롯을 통해 에어 가이드채널에서 나온다.
공기분사식 직기에 있어서, 고품질의 흠이 없는 직물을 제조하기 위해 직기의 제직동작에서 완전한 위사위입을 계속하도록 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어려운 일이다. 그러나 이제까지 사용된 몇가지 종래의 위사위입장치는 위사위입시에 소위 위사탈출 현상이 간혹 일어나는데, 에어가이드채널 속에서 이동하고 있는 위사는 슬롯을 통과하여 누설되는 공기의 연신작용에 의해 에어가이드부재의 슬롯을 통해서 채널을 통과하도록 해야 한다.
이러한 불필요한 현상을 해결코자 여러가지 시도가 있었으나 만족스런 결과를 얻지 못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종래의 위사위입장치에서 제거된 위와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거나 최소한 감소시킬 수 있는 위사위입장치를 제공함에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공기분사식 직기의 위사위입장치는 다수의 에어가이드부재가 위사위입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각각의 가이드부재는 직기동작시에 위사가 구멍을 빠져나가는 슬릿과 에어가이드 구멍을 가지고 있으며 에어가이드 구멍은 슬릿에 직접 연결된 공기유도부와 이 공기유도부를 통해 슬릿으로 연결된 위사유도부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주변부가 있는 안쪽으로 돌출한 적재부를 가지고 있으며 적재부의 제1주변부를 부분적으로 공기유도부에 결속시키는 한편 적재부의 제2주변부를 부분적으로 위사유도부에 결속시키며, 보조노즐은 에어가이드부재중의 하나와 연결되었으며 노즐은 방향에 대해 주어진 각도만큼 위사위입 방향쪽으로 경사진 구멍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공기유도부를 통과한 후 위사유도부쪽으로 전진하도록 공기유도부에 직접 노출된 공기분사구멍을 가지며, 안쪽으로 돌출한 적재부의 제2주변부가 있는 가상평면이 슬릿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는 위사유도부의 둘레를 교차하도록 한 것이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을 따라 설명한다.
제1도에서부터 제4도까지에 있어서, 특히 제1도에서는 본 발명에 의한 위사위입장치의 제1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도에서 일렬로 구성된 에어가이드부재(G)들은 그들의 다리부분에서 고정부(12)에 결합되어 있다. 제4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정렬된 에어가이드부재들 중 약간(10A)에는 각각 보조노즐(14)이 있는데 제1도에서는 이들 중 하나만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타 가이드부재(11)들에는 이러한 노즐이 구성되어 있지 않다. 다음에 상세히 설명되겠지만 직기의 위사위입 조건하에서는 정렬된 가이드부재(G)에 의해 형성된 에어가이드채널(15)쪽으로 보조노즐(14)이 보조공기를 분출시키므로서 주공기분사노즐(도시하지 않음)에 의해 주로 일어나는 위사운반 작용을 도와주게 된다. 각각의 보조노즐(14)의 다리부분은 관련된 가이드부재(10A)에 인접한 고정부(12)에 결합되어 있다. 웨지(wedge)(20)를 이용하여 고정부(12)와 리이드(reed)(16)를 리이드호울더(18) 위에 견고히 고정시킨다. 리이드호울더(18)를 슬레이소오드(22) 위에다 분리할 수 있도록 설치하여 슬레이소오드 사프트(24)의 축 주위에서 함께 피벗 회전하도록 한다. 리이드(16)의 윗부분에 잉아(26)를 구성하여 이것에의 경사(28)를 지지하므로서 개구(開口 : shed)를 형성한다. 표기한 (30)은 직물이고, 이것의 가장 뒷부분에는 펠(32)가 있다. 제1도에서 도시하지 않았지만 제1도의 앞면에 대해 옆쪽에 주공기분사노즐을 구성하여 여기서 분사된 공기분사에 의해 위사를 에어가이드채널(15) 속으로 위입한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명세서와 청구범위에서 "앞방향"과 "뒷방향"이란 용어를 사용한 것은 직물(30)이동방향에서 "하향" 및 "상향"이라고 생각하면 된다.
제2도에 있는 보조노즐이 설치된 에어가이드부재(10A)는 대기 가이드요소와 보조노즐(14)로 되어 있다. 가이드부재에는 확대된 평정부(34)와 길이가 긴 다리부분(36)이 서로간에 일체로 구성되어 있다. 평정부(34)에는 에어가이드구멍(38)과 슬릿(40)이 있고 이 슬릿을 통해 직기동작시에 위사(도시하지 않음)가 구멍(38)에서 나온다. 에어가이드구멍(38)을 위사위입 방향으로 경사지게 하고 안쪽으로 돌출한 적재부(42)를 구성하여 에어가이드구멍(38)이 6개의 경사면(a)(b)(c)(d)(e)(f)으로 형성된 6각형이 되게 한다. 에어가이드구멍(38)은 적재부(42) 위에 위치하면서 직접 슬릿(40)에 연결된 공기유도부(38a)와, 적재부(42) 곁에 위치하면서 공기유도부(38a)를 통해 슬릿(40)에 연결된 위사유도부(38b)로 구성되어 있다. 위사유도부(38b)는 최소한 직기가 위사위입 조건하에 있을 때 주공기분사노즐(도시하지 않음)쪽을 향한다(현재 사용되고 있는 공기분사식 직기중 어떤 것은 리이드호울더(18)의 한쪽 측단에 주공기분사노즐이 설치되어 있다). 위사유도부(38b)의 크기는 공기유도부(38a)의 크기보다 크다. 제시된 예에 있어서 공기유도부(38a)는 만곡된 경사부(a)와 경사부(b)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한편 위사유도부(38b)는 경사부(c)(d)(e)(f)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필요에 따라서는 경사부(f)를 그 중간부분에서 다소 위쪽으로 만곡되게 할 수도 있다. 일부가 공기유도부(38a)에 노출되어 있는 가이드부재의 평정부(34) 속의 윗부분에다 보조노즐(14)을 설치한다. 제4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노즐(14)의 노출된 부분에 노즐구멍(44)을 형성하여 위사위입 방향으로 어떤 일정한 각도로 경사지게 한다. 화살표(N)는 소위 공기분사 방향선으로서 이것을 따라 노즐구멍(44)에서 나온 주분사공기가 진행한다.
위에서 설명한 에어가이드요소(10A)에 있어서, 에어가이드구멍(38)과 슬릿(40)에 대해 안쪽으로 돌출한 적재부(42)의 형상과 위치는 위에서 설명한 불필요한 위사탈출 현상을 방지하는데 있어서 중요하다. 즉 위사유도보(38b)의 경사부(c)의 경사진 평면을 가진 가상평면(p)이 위에서 설명한 위사유도부의 경사부(f)와 슬릿(40)에서 떨어진 지점에서 교차하도록 적재부(42)의 형상을 취하도록 구성한다. 다시 말하자면 가상평면(p)은 슬릿(40)과 교차하지 않고 또한 공기유도부(38a)의 만곡된 경사부(a)와도 교차하지 않는다.
제4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소위 "보노노즐이 없는 에어가이드부재"인 기타 에어가이드부재(11)는 보조노즐(14)을 제외한 위에서 말한 에어가이드부재(10A)와 동일한 구성을 하고 있다. 물론 보조노즐이 설치된 에어가이드부재(10A)의 가이드부재에 적용되는 위에서 말한 구조적인 특징을 하고 있는 것이다.
고정부(12)에다 에어가이드부재(10A)(11)를 설치함에 있어서, 제4도에서처럼 에어가이드부재(10A)(11)로 된 열(G) 속에 일정한 위치에다 보조노즐이 있는 가이드부재(10A)를 구성한다. 각 에어가이드부재는 경사진 에어가이드구멍(38)의 축소된 부분이 위사위입 방향쪽을 향하도록 자리를 잡아준다.
다음에는 제3도와 제4도를 참조하여 제1실시예의 작동에 관해 설명한다.
제4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직기가 위사위입 조건하에 있으면 가이드부재(10A)(11)의 위상유도부(38b)에 의해 형성된 에어가이드채널(15) 속으로 주노즐(M)이 공기를 분사함과 동시에 보조노즐(14)은 위사위입 방향에 대해 주어진 각도에서 아래쪽으로 보조공기를 분사한다. 이들 공기가 분사됨에 따라 에어가이드채널(15) 속에서 이동하는 공기흐름에 의해 위사유도부(38b)와 공기유도부(38a) 사이의 경제부(A) 주변에서 속도는 최대가 되는데, 그 이유는 가해진 각각의 보조노즐(14)로부터 나온 공기분사에 의해 속도를 가속시키는 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확인된 바에 의하면 경계부(A)에서 최대속도 부분이 형성되므로서 위입상태에있는 위사가 공기유도부(38a) 속으로 들어가지 않게 된다는 것이다. 따라서 주공기분사노즐(M)에서 분사된 위사(W)는 위사유도부(38b)가 직기작동 중 모든 방향으로 오락가락 하더라도 위사유도부에 의해 형성된 에어가이드채널(15)속에서 움직이게 되어 있다. 실제로 채널(15)속에서 이동도중 위사(W)를 이동시키는 공기흐름의 축 주위에서 위사(W)가 진동하고 나선형으로 선회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에 있어서 슬릿(40)에서 떨어진 경사부(f)쪽으로 경사부(c)의 경사진 표면이 방향을 잡고 있기 때문에 위입작용도중 간혹 일어나는 위사(W)와 경사부(c)와의 접촉에 의해 위사(W)를 슬릿(40)쪽으로 이동시키지는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있어서 불필요한 위사탈출 현상은 일어나치 않거나 적어도 줄어들게 된다.
제5도에는 본 발명의 제2실시예에 사용된 보조노즐이 설치된 에어가이드부재(10B)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2실시예에 있어서 (b)쪽과 (c)쪽은 서로간에 수직으로 교차하므로서 (c)쪽의 가상평면(p)이 슬릿(40)에서 멀리 떨어져 있는 위치에서 (f)쪽과 교차한다. 물론 이 제2실시예에서 사용된 보조노즐이 없는 에어가이드부재(도시하지 않음)는 보조노즐(14)을 제외하고는 가이드부재(10B)와 거의 동일한 구조를 하고 있다.
제6도는 본 발명의 제3실시예를 나타내고 에어가이드부재(10C)와 보조노즐(14)이 별체의 것이다. 에어가이드부재(10C)의 보조노즐(14)측의 아암을 생략하고, 그 부분에 보조노즐(14)을 배설하여 아암대신에 한것이다.
제7(a)도, 제7(b)도, 제8도, 제9도 및 제10도, 특히 제7(b)도에는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 사용된 보조노즐이 설치된 에어가이드부재(10D)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4실시예의 에어가이드부재(10D)는 안쪽으로 돌출한 적재부(42)의 구조를 제외하고는 위에 나온 제1 또는 제2실시예의 가이드부재(10A) 또는 (10B)와 동일한 구조를 하고 있다. 제8도와 제9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적재부(42)의 윗부분(46)은 위사위입 방향에 대해 상향측에서 모서리가 깎여져 있다. 제11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필요에 따라서는 모를 깎은 면을 넓게 해도 되고, 더우기 평편하거나 만곡되게 할 수도 있다.
본 발명의 제4실시예에는 위사(W)에 관련된 위에 나온 장점 외에도 새로운 장점을 가지고 있다. 추가적인 장점은 경사에 관련된 것으로서 제10도에 따라 직기작동에 대한 다음과 같은 설명에서 분명해진다.
리이드(16)에 의한 비이팅이 완료되면 에어가이드부재(10D)로 된 열(G)은 경사(S)를 통하여 개구속으로 들어간다. 이러한 동작도중 10개 정도의 경사(S)는 인접한 두 개의 에어가이드부재(10D) 사이에서 형성된 각각의 틈을 통과하게 된다. 그러나 이 틈은 대기 1mm 이하로 극히 좁기 때문에 이 틈새에 있는 경사(S)는 서로 접촉을 하게 되므로서 경사(S)중 얼마가 에어가이드부재(10D)의 상향측과 접촉하거나 맞물리게된다. 에어가이드채널(15) 속의 경사(S)가 노즐(M)로부터의 공기분사에 의해 위사위입 방향쪽으로 편산되기 때문에 주공기분사노즐(M)에 의해 예비분사 작용이 이루어질 경우 이러한 접촉현상은 보다 현저하게 된다(제10도). 더우기 직기동작중에 생긴 진동으로 인해 경사접촉 현상은 훨씬 현저해 진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그러므로 안쪽으로 돌출한 적재부(42)가 윗부분에서모서리가 깎아지 않으면 틈새에 있는 경사(S)중 얻마 또는 하나는 에어가이드부재의 진입과 출리(出離)동작 도중 적재부(42)의 윗부분에 의해 포착되거나 걸리게 된다. 이렇게 되면 경사(S)의 파단이 일어난다. 그러나 제4실시예에 있어서 적재부(42)에 윗부분(46)의 모서리가 깎여져 있기 때문에 불필요한 경사접촉 현상은 일어나지 않거나 최소한 감소된다. 실제로 모서리가 깎인 윗부분(46)은 경사(S)포착성이 불량하다.
제12도와 제13도에는 본 발명의 제5실시예에 사용된 보조노즐이 설치된 에어가이드부재(10E)가 도시되어 있다. 이 제5실시예에 있어서 적재부(42)의 윗부분(48)은 제13도에서처럼 동일한 적재부의 주요부분보다 기의 두께가 얇다. 물론 이 제5실시예에서도 위에 나온 제4실시예에서와 동일한 장점을 가지고 있다.
그런데 제1, 제2, 제3, 제4, 제5실시예에 대해 앞서 설명한 내용에 있어서 에어가이드구멍(38)을 경사지게 형성한다고 하였으나 이러한 경사부는 이들 실시예에서 꼭 필요한 것은 아니다.
제14도, 제15도 및 제16도, 특히 제14도에는 본 발명에 의한 위사위입장치의 제6실시예가 도시되어 있다. 제14도에서 에어가이드부재로 된 열(G)을 다리부분에서 고정부(12)에 연결한다. 제16도에서 처럼 정렬된 에어가이드부재중 얼마 정도(10F)에는 두 개의 보조노즐(14)(14')을 구성한다. 제14도에는 이들 중 하나만 도시되어 있다. 그러나 기타 가이드부재(11')에는 이러한 두 개의 노즐이 구성되어 있지 않다. 두 개의 노즐(14)(14') 다리부분을 관련된 에어가이드부재(10F)에 인접한 고정부(12)에 고정시킨다. 리이드호울더(18)에 형성된 홈(18a) 속에 고정부(12)와 리이드(16)를 배치하여 리이드호울더(18)에 보울트로 고정된 웨지(20)를 이용해서 견고히 고정시킨다. 리이드호울더(18)를 슬레이소오드(22)에다 분리가 가능토록 설치하여 슬레이소오드 샤프트(24)의 측 주위로 함께 피벗식으로 움직이게 한다. 리이드의 상향측부분에 잉아(26)를 구성하고 이것에 의해 경사(28)를 지지시켜 개구를 형성한다.
직물과 펠을 각각 (30)과 (32)로 표시했다. 제14도에는 없으나 제14도에 대해 주공기분사노즐을 구성하여 분사된 공기분사에 의해 에어가이드채널(15) 속으로 위사를 위입한다. 각 부분의 구성에 대해 상세한 점은 다음과 같이 설명할 수 있다.
제15도에서 가장 잘 알 수 있는 바와같이, 제6실시예에 사용된 보조노즐이 있는 에어가이드부재(10F)는 대개 가이드부재, 제1보조노즐(14) 및 제2보조노즐(14')로 되어 있다. 가이드부재는 확대된 평정부(34)과 길이가 긴 다리부분(36)으로 되어 있다. 평정부(34)에 에어가이드구멍(38)과 슬릿(40)을 구성하여 직기동작상태하에서 위사(도시하지 않음)가 구멍(38)을 통해 나가도록 한다. 위에 나온 실시예들과 마찬가지로 에어가이드구멍(38)에 안쪽으로 돌출한 적재부(42)를 구성하여 가이드구멍(38)이 6가지 부분 (a)(b)(c)(d)(e)(f)로 형성된 6각형을 이루도록 한다.
에어가이드구멍(38)은 적재부(42) 위에 위치하면서 슬릿(40)에 직결된 공기유도부(38a)와, 적재부(42) 곁에 위치하면서 공기유도부(38a)를 통해 슬릿(40)에 연결된 위사유도부(38b)로 되어 있다. 위사유도부(38b)는 최소한 직기가 위사위입 상태하에 있을 때 주공기분사노즐(도시하지 않음)쪽을 향한다. 위사유도부(38b)의 크기는 공기유도부(38a)의 크기보다 크다. 제시된 실시예에 있어서 공기유도부(38a)는 (a)(b)(f)부분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는 한편 위사유도부(38b)는 (c)(d)(e)(f)부분에 의해 부분적으로 결합되어 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b)부분과 (f)부분은 서로 평행하다는 점이다.
몇개의 너트를 이용해서 고정부(12)에다 제1 및 제2보조노즐(14)(14')을 설치한다. 일부가 공기유도부(38a)에 노출된 가이드부재의 평정부(34)의 윗부분에 제1보조노즐(14)을 설치하고 일부분이 위사유도부(38b)에 노출된 가이드 요소의 동일한 부분에 2차보조노즐(14)을 설치한다. 이들 보조노즐(14)(14')의 노출된 부분에 각각 노즐구멍(44)(44')을 구성한다. 제15도에 도시한 바와같이, 공기유도부(38a)와 슬릿(40) 사이의 경계부 가까이에 제1보조노즐(14)의 구멍(44)을 구성하여 공기유도부(38a) 쪽으로 향하게 한다.
제16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위사위입 방향쪽으로 어떤 일정한 각도로 구멍(44)을 경사지게 한다. 화살표(N1)은 구멍(44)에서 나온 주공기 분사가 진행하는 공기분사 방향선이다. 따라서 구멍(44)으로부터 나오는 분사공기는 제15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공기유도부(38a)를 통과한 후 위사유도부(38b)의 상부에 도달한다. 공기유도부(38a)와 위사유도부(38b) 사아의 경계부 가까이에 2차보조노즐(14')의 구멍(44')을 구성하고 위사유도부(38b)의 하부쪽을 향하게 한다. 제16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위사위입 방향쪽을 향한 구멍(44)의 경우와 동일한 각도로 구멍(44')을 경사지게 한다. 화살표(N2)는 구멍(44')에서 나온 주공기분사가 진행하는 공기분사 방향선이다. 따라서 구멍(44')에서 나온 분사공기는 위사유도부(38b)의 하부로 직접 진행한다.
제16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소위 "보조노즐이 없는 에어가이드부재"인 기타에어가이드부재(11')는 제1및 제2보조노즐(44)(44')을 제외하고는 위에 나온 에어가이드부재(10F)와 동일한 구조를 하고 있다.
고정부(12)에다 에어가이드부재(10F)(11')를 설치함에 있어서, 제16도에서와 같이 에어가이드부재로 구성된 열(G) 속에 일정한 간격으로 보조노즐이 있는 가이드부재(10F)를 배치한다.
제14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해당되는 선을 통해 제1 및 제2보조노즐(14)(14')을 압축공기공급원(50)에다 연결한다. 제1보조노즐(14)용 연결선은 고정부(12)에 형성한 분배용홈(52), 리이드호울더(18)에 형성한 통로(54), 튜우브(56) 및 밸브(58)로 되어 있다. 한편으로 제2보조노즐(14')용 연결선은 고정부(12)에 형성한 통로(60), 리이드호울더(18)에 형성한 통로(62), 튜우브(64) 및 밸브(66)로 되어 있다. 밸브(58)(66)는 직기작동에 응답해서 회전하는 공동캠(68)에 의해 작동된다.
다음에는 제16도를 참조하여 작동에 관해 설명한다.
직기의 위사위입 상태하에서 가이드요소(10F)(11')의 위사유도부(38b)에 의해 형성된 에어가이드채널(15) 속으로 주노즐(도시하지 않음)이 공기를 분사하고, 제1 및 제2보조노즐(14)(14')은 위사위입 방향에 대해 주어진 각도에서 시간에 맞추서 아래쪽으로 공기를 분사한다. 제1보조노즐(44)로부터 공기가 분사되면 에어가이드채널(15) 속에서 이동하는 공기흐름에 의해 위사유도부(38b)와 공기유도부(38a) 사이의 경계부(D)에 인접하여 최대속도가 나타나는데, 그 이유는 공기흐름에 가해진 각각의 제1보조노즐(14)로부터의 공기분사의 속도를 가속시키는 기능이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이제까지 설명한 바와 동일한 이유로 해서 위사(W)는 위사유도부(38b)에 의해 형성된 에어가이드채널(15) 속에서 이동하게 되므로서 불필요한 위사탈출현상이 방지되거나 최소한 감소된다. 더우기 에어가이드채널(15)의 하부로 분사된 제2보조노즐(44')로부터 나온 분사공기에 의해 제1보조노즐(44)에서 분사된 분사공기의 불필요한 나선형 이동이 생기지 않게 된다. 실제로 제2보조노즐(44')이 없다면 에어가이드채널(15)의 축 주위에서의 나선형 이동(제15도에서 시계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이 일어나는 경향이 있는데, 그 이유는 제1보조노즐(44)이 채널(15)의 상부쪽으로만 공기를 분사하므로서 나선형 이동이 제어가이드채널(15) 속에서 이동하는 주공기 흐름을 다소 혼란시키게 되기 때문이다. 따라서 제6실시예에 있어서 보조노즐(44')을 구성하여 주므로서 채널(15) 속에서 주공기흐름이 훨씬 평활하게 된다. 그러므로 위사탈출 현상은 훨씬 효과적으로 해결이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제1보조노즐(14)의 공기분사구멍(44)의 크기를 제2보조노즐(14')의 것보다 크게 해도된다.
제1보조노즐(44)의 공기분사가 제2보조노즐(44')의 공기분사 이전에 일어나도록 하여 이들 노즐(44)(44')로부터의 두 가지 공기분사가 동시에 에어가이드채널(15)에 도달하도록 압축공기 공급선을 구성하면 주공기의 이동은 보다 안정된다.
제17도에는 본 발명의 제7실시예에 사용된 보조노즐이 있는 에어가이드부재(10G)가 도시되어 있는데, 이것은 위에서 설명한 제6실시예를 다소 보완한 것이다. 도면에서 잘 알 수 있는 것처럼 압축공기공급원(도시하지 않음)에 연결된 공통공기공급선(70)에 의해 공기를 노즐(44)(44')에 공급한다. 이러한 제7실시예에 있어서 제1 및 제2보조노즐(44)(44')의 공기분사는 제14도의 제6실시예와는 달리 동시에 일어난다.
제18도, 제19도 및 제20도, 특히 제18도와 제19도에는 본 발명의 제8실시예에 사용된 보조노즐이 있는 에어가이드부재(10H)(10I) 두 가지 형식이 나와 있다. 여기서 주목할 것은 가이드요소(10H)는 제1보조노즐(14)이 없다는 것외에는 제6실시예의 에어가이드부재(10F)와 동일한 구조를 하고 있는 반면 기타 가이드부재(10I)는 제2보조노즐(14')이 없다는 것 외에는 에어가이드부재(10F)와 동일한 구조를 하고 있다. 따라서 이들 에어가이드부재(10H)(10I)의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러나 가이드부재(10G)에 대응하는 부분과 부품에 대해서는 동일한 숫자로 표시되어 있다.
제20도에서 알 수 있는 것처럼 소위 보조노즐이 없는 에어가이드부재인 기타 에어가이드부재(11')는 보조노즐(14') 또는 (14)을 제외하고는 에어가에드부재(10H) 또는 (10I)와 동일한 구조를 하고 있다.
이들 에어가이드부재(10H)(10I) 및 (11")을 고정부(12)에 설치함에 있어서 제20도에서 처럼 가이드부재로 된 열(G) 속에 일정간격으로 가이드부재(10H)(10I)를 배열한다. 특히 제8실시예에 있어서 인접한 두개의 에어가이드부재(10I)(10H) 사이에 다음과 같은 위치관계가 성립된다. 즉, 배열된 가이드부재(10H)(10I)(11")의 위사유도부(38b)에 의해 형성된 에어가이드채널(15)에 상향측 에어가이드부재(10I)의 구멍(44)의 공기분사방향선(N1)이 도달하게 되는 위치(D) 가까이에 에어가이드부재(10H)의 자리를 잡는다. 도면에 있는 바와 같이 위사방향에 대해서(θ)인 각도를 이룬다. 또한 에어가이드부재(10H)의 구멍(44')도 (N1)와 마찬가지로 그 공기분사방향선(N2)이 에어가이드채널(15)의 위사방향에 대해서(θ)인 각도를 이루도록 방향에 자리잡는다. 여기서 주목해야 할 것은 지점 (A)와 (C)는 각각 에어가이드부재의 에어가이드채널(15)의 내부 앞방향 표면과(N1) 및 (N2)가 교차하는 지점이다.
본 발명의 제8실시예는 제6실시예 보다 유리한 기능을 가지고 있다. 이러한 제8실시예의 현저한 장점을 분명히 하기 위해 제8실시예에 의한 제20도에서 설명한 현상과 제6실시예에 의한 제16도에서 설명한 현상을 비교해 보므로서 다음과 같은 설명을 할 수 있다.
제6실시예(제16도)에 있어서, 수직으로 상이한 위치에 공기분사구멍(44)(44')이 위치한 공통 에어가이드부재(10F) 위에 제1 및 제2보조노즐(14)(14')을 설치한다. 따라서 위에 나온 제20도의 지점 (A)와 (C)에 대응하는 지점 (A')와 (C')는 제20도의 제8실시예의 경우와 비교해서 서로간에 상당한 거리가 있다. 그러므로 제6실시예에 있어서, 1차 보조노즐(14)의 구멍(44)의 공기분사방향선(N1)은 에어가이드채널(15)의 최소한 중심부분에 인접한 지점(I)에서 조2보조노즐(14')의 구멍(44')의 공기분사방향선(N2)중의 반사성분(N'2)과 교차한다. 이것이 뜻하는 바로서는 제1 및 제2보조노즐(14)(14')에서 나온 공기분사는 채널(15)의 중심부분에서 서로 충돌하므로서 채널(15)을 따라 이동하는 위사이동용 주공기 흐름을 이러한 보조공기분사에 의해 상당히 혼란시키게 된다. 그러나 제8실시예(제20도)에 있어서 지점(I)에 대응하는 지점을 채널(15)의 내부표면부분에 극히 인접한 지점, 즉 채널(15)의 중앙부분으로부터 떨어진 지점에 자리잡도록한다. 따라서 이러한 보조공기분사의 주공기 흐름에 대한 간섭은 제6실시예의 경우에 비해 극히 작거나 무시할 수 있을 정도로 된다.
그러므로 제8실시예에 있어서 불필요한 위사탈출 현상은 극히 효과적으로 해결이 된다.
필요에 따라서는 노즐(14)(14')에 대한 압축공기공급을 할때는 제1보조노즐(14)로부터의 공기분사력 보다 제2보조노즐(14')로 부터의 공기분사력이 훨씬 작도록 하거나 이들 두가지 보조노즐(14)(14')로부터의 공기분사가 동시에 에어가이드채널(15)의 중앙부분에 도달하도록 한다. 더우기 제1보조노즐(14)의 공기분사구멍(44)의 크기를 제2보조노즐(14')의 것보다 크게 한다. 이렇게 하므로서 불필요한 위사탈출현상은 분명히 방지된다.

Claims (22)

  1. 다수의 에어가이드부재는 위사위입 방향으로 배열되어 있고 각각의 가이드부재는 직기동작시에 위사(W)가 구멍(38)을 빠져나가는 슬릿(40)과 에어가이드구멍(38)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에어가이드 구멍은 상기 슬릿에 직접 연결된 공기유도부(38a)와 이 공기유도부를 통해 슬릿에 연결된 위사유도부(38b)를 포함하며 제1 및 제2주변부(a)(b)가 있는 안쪽으로 돌출한 적재부(42)를 가지고 있으며 상기 적재부의 제1주변부를 부분적으로 공기유도부에 결속시키는 한편 적재부(42)의 제2주변부를 부분적으로 위사유도부에 결속시키며, 보조노즐(14)은 에어가이드부재 중의 하나와 연결되었으며 상기 노즐은 방향에 대해 주어진 각도만큼 위사위입 방향쪽으로 경사진 구멍에서 분사되는 공기가 공기유도부를 통과한 후 위사유도부쪽으로 전진하도록 공기유도부에 향하는 공기분사구멍(44)을 가지며, 안쪽으로 돌출한 적재부(42)의 제2주변부(c)가 있는 가상평면(p)이 슬릿(40)에서 떨어진 위치에 있는 위사유도부의 둘레(perimeter)(f)를 교차하도록 한 공기분사식 직기의 위사위입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에어가이드구멍의 위사유도부를 공기유도부 보다 크게 한 위사위입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제1 및 제2주변부(b)(c)가 서로 수직으로 교차하도록 하므로서 가상평면(p)이 슬릿(40)에서 멀리 떨어진 위치에서 위사유도부(38b)의 둘레와 교차하도록 한 위사위입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공기분사구멍이 공기유도부에 노출된 에어가이드부재의 윗부분에 보조노즐을 매설한 위사위입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공기분사구멍이 공기유도부쪽을 향해 있는 관련된 에어가이드부재 곁에 보조노즐의 위치를 잡은 위사위입장치.
  6. 제2항에 있어서, 위사위입 방향에 대해 위쪽에서 안쪽으로 돌출한 적재부(42)의 상부(46)의 모서리를 깎은 위사위입장치.
  7. 제7항에 있어서, 모서 리를 깎은 부분의 표면을 평탄하게 하거나 만곡되게 한 위사위입장치.
  8. 제2항에 있어서, 안쪽으로 돌출한 적재부(42)의 윗부분(48)을 적재부의 주요부보다 거의 얇게 한 위사위입장치.
  9. 제5항에 있어서, 에어가이드구멍의 위사유도부쪽으로 직접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구가 있는 다른 보조노즐로 구성된 위사위입장치.
  10. 제6항에 있어서, 에어가이드구멍의 위사유도부쪽으로 직접 공기를 분사하는 공기분사구가 있는 다른 보조노즐로 구성된 위사위입장치.
  11. 제19항에 있어서, 일부가 에어가이드구멍(38)의 위사유도부(38b)에 노출되어 있는 에어가이드부재 중의 상부에 설치된 상기의 다른 보조노즐(14')에서, 노출된 부분에 공기분사구 (44')를 구성하여 이 분사구로부터 위사유도부쪽으로 공기를 분사토록 하고 이 공기분사구를 분사방향에 대하여 주어진 각도 만큼 위사위입 방향쪽으로 경사지게한 보조노즐(14)로 구성된 위사위입장치.
  12. 제19항에 있어서, 전술한 1차보조노즐의 경우와 동일한 각도 만큼 다른 보조노즐의 공기분사구를 경사지게 구성한 위사위입장치.
  13. 제20항에 있어서, 일부가 위사유도부에 노출된 에어가이드부재의 상부에 다른 보조노즐을 함입시키고, 다른 보조노즐의 공기분사구에 의해 노출부를 형성하고, 다른 보조노즐의 공기분사구를 위사위입 방향에 대해 주어진 각도에서 위사위입 방향쪽으로 경사지게 하여서 된 위사위입장치.
  14. 제20항에 있어서, 다른 보조노즐의 공기분사구를 전술한 1차보조노즐의 것과 거의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게 해서된 위사위입장치.
  15. 제20항에 있어서, 다른 에어가이드부재의 위사유도부에 일부가 노출된 다른 에어가이드부재의 상부에 다른 보조노즐을 함입시키고, 다른 보조노즐의 공기분사구에 의해 노출부를 형성하고 위사위입 방향에 대해 전술한 1차 에어가이드부재의 아래쪽으로 다른 에어가이드부재를 구성해서 된 위사위입장치.
  16. 제22항에 있어서, 1차보조노즐의 공기분사구를 다른 보조노즐의 공기분사구보다 크게 한 위사위입장치.
  17. 제22항에 있어서, 다른 보조노즐의 공기분사 직전에 제1보조노즐의 공기분사가 되게 하여 이들 두 개의 보조노즐의 두 개의 공기분사구에서 나오는 공기분사가 상기 공기분사구의 위사가이드부에 도달하게끔 구성한 압축공기 공급수단으로 구성된 위사위입장치.
  18. 제22항에 있어서, 두 개의 보조노즐에 동시에 압축공기를 공급하는 압축공기 공급수단으로 구성한 위사위입장치.
  19. 제19항에 있어서, 일부가 다른 에어가이드부재의 위사유도부에 노출된 다른 에어가이드부재의 윗부분에 설치한 다른 보조노즐(14')에서 노출된 부분에 상기 다른 보조노즐의 공기분사구를 구성하여, 위사위입 방향에 대해 전술한 제1에어가이드부재의 하방향쪽에 다른 에어가이드부재를 구성한 보조노즐(14')로 구성된 위사위입장치.
  20. 제29항에 있어서, 제1보조노즐(14)의 공기분사구(44)의 공기분사 방향성을 정렬된 에어가이드부재의 위사유도부에 의해 형성된 에어가이드채널(15)에 도달하도록 한 위치 가까이 또는 그 위치에서 다른 에어가이드부재의 에어분사구를 설치함에 있어, 제1보조노즐로부터의 주공기분사가 진행하는 선을 공기분사방향으로 한 에어가이드부재(10H)로 된 위사위입장치.
  21. 제30항에 있어서, 다른 보조노즐의 공기분사구의 방향을 잡을 때 공기주입 방향선이 에어가이드 채널에서 위사가 위입되는 주방향에 대해 1차보조노즐의 공기주입 방향선과 동일한 각도(θ)로 경사지도록 하여서 된 위사위입장치.
  22. 제31항에 있어서, 제1보조노즐의 공기분사구의 크기를 다른 보조노즐의 공기분사구 크기보다 크게한 위사위입장치.
KR1019830003599A 1982-08-04 1983-08-01 공기분사식직기의 위입장치 KR86000210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13509582A JPS5926552A (ja) 1982-08-04 1982-08-04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JP135095 1982-08-04
JP58051463A JPS59179847A (ja) 1983-03-29 1983-03-29 空気噴射式織機の案内子
JP58051464A JPS59179848A (ja) 1983-03-29 1983-03-29 空気噴射式織機の案内子
JP51463 1983-03-29
JP51464 1983-03-29
JP91173 1983-05-24
JP9117383A JPS59216947A (ja) 1983-05-24 1983-05-24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5757A KR840005757A (ko) 1984-11-15
KR860002102B1 true KR860002102B1 (ko) 1986-11-25

Family

ID=274626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3599A KR860002102B1 (ko) 1982-08-04 1983-08-01 공기분사식직기의 위입장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4516610A (ko)
EP (1) EP0100542B1 (ko)
KR (1) KR860002102B1 (ko)
DE (1) DE3373830D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668784A5 (de) * 1984-06-15 1989-01-31 V U Koncernova Ucelova Org Zvs Vorrichtung zur gewebebildung auf pneumatischen webmaschinen.
TW206265B (ko) * 1991-04-01 1993-05-21 Toyoda Automatic Loom Co Ltd
US20080271807A1 (en) * 2006-09-07 2008-11-06 Sultex Ag Method and a stretching device for the holding of a weft thread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H399353A (de) * 1961-08-01 1965-09-15 Sdruzeni Podniku Textilniho St Lamelle eines Lamellenkammes für Düsenwebstühle
CS165002B1 (ko) * 1970-09-18 1975-11-28
CH606560A5 (ko) * 1972-12-30 1978-11-15 Walter Scheffel
US4190067A (en) * 1975-09-27 1980-02-26 Vyzkumny A Vyvojovy Ustav Zavodu Vseobecneho Strojirenstvi Method and apparatus for insertion of weft threads in jet weaving machines
JPS5925889Y2 (ja) * 1978-09-15 1984-07-28 株式会社豊田自動織機製作所 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補助流体噴射装置
JPS55122048A (en) * 1979-03-15 1980-09-19 Toyoda Automatic Loom Works Auxiliary nozzle of jet loom
CH643610A5 (de) * 1979-03-17 1984-06-15 Toyoda Automatic Loom Works Vorrichtung zur fuehrung eines schussfadens an einer duesenwebmaschine.
IT1127038B (it) * 1979-05-18 1986-05-21 Nissan Motor Dispositivo di inserzione di trama per telai di tessitura a getto d'aria
NL184925C (nl) * 1980-06-19 1989-12-01 Philips Nv Losneembare optische stekerverbinding.
DE3067583D1 (en) * 1980-12-02 1984-05-24 Sulzer Ag Guiding blade for forming the guiding channel of a loom
EP0077787B1 (en) * 1981-05-02 1985-11-13 Sulzer Brothers Limited Weaving loom
JPS5854040A (ja) * 1981-09-22 1983-03-3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空気噴射式織機の案内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0100542A2 (en) 1984-02-15
DE3373830D1 (en) 1987-10-29
US4516610A (en) 1985-05-14
KR840005757A (ko) 1984-11-15
EP0100542B1 (en) 1987-09-23
EP0100542A3 (en) 1985-05-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2102B1 (ko) 공기분사식직기의 위입장치
US4838321A (en) Multiple-phase weaving fluid jet loom
US4487236A (en) Pneumatic weaving machine
JPS6071741A (ja) 織機におけるタックイン耳の形成装置
US4440198A (en) Apparatus for guiding weft yarns in a jet loom
KR940002383B1 (ko) 제트 직기의 위사 삽입 장치
JPS59617B2 (ja) 空気噴射式無杼織機の緯糸***装置
JPH07279002A (ja) エアジェットルームの緯入れ装置
EP0095167B1 (en) Weft picking device of air jet loom
JPS6017861B2 (ja) エアジエツトル−ムにおける緯入れ装置
JP2000034646A (ja) ウォータジェットルームの緯入れノズル
JPS6223824Y2 (ko)
JPS6119842A (ja) 流体噴射式織機における緯糸検知装置
JPH086061Y2 (ja) ジェットルームにおける緯糸絡み防止装置
KR830001309B1 (ko) 젯트룸에 있어서의 보조유체 분사장치
JPH0673642A (ja) 開口直列配置型の織機の織製ロータ
JPS5920015B2 (ja) 無杼織機の緯糸搬送手段の案内装置
JP2023156763A (ja) エアジェット織機の緯糸張力付与装置
KR940002445Y1 (ko) 직기에 있어서 직포의 위일스트리이크 방지구조
JPS5925893Y2 (ja) 空気噴射式織機の緯入れ装置
KR840000634B1 (ko) 유체분사식 직기에 있어서의 위입장치
JPH0133659Y2 (ko)
KR830000800B1 (ko) 제트직기의 보조노즐의 공기분사방법
JPH08113852A (ja) 織機の房耳規制装置
JPH0410228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921124

Year of fee payment: 7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