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60001234B1 - 모터 구동장치 - Google Patents

모터 구동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60001234B1
KR860001234B1 KR1019830002333A KR830002333A KR860001234B1 KR 860001234 B1 KR860001234 B1 KR 860001234B1 KR 1019830002333 A KR1019830002333 A KR 1019830002333A KR 830002333 A KR830002333 A KR 830002333A KR 860001234 B1 KR860001234 B1 KR 8600012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pickup
polarity
coupled
transist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300023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840004979A (ko
Inventor
도시오 다나까
Original Assignee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사바 쇼오이찌 filed Critical 가부시기가이샤 도시바
Publication of KR8400049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400049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600012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600012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11B17/02Details
    • G11B17/04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 G11B17/041Feeding or guiding single record carrier to or from transducer unit specially adapted for discs contained within cartridges
    • G11B17/049Insertion of discs having to be extracted from the cartridge prior to recording or reproducing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17/00Guiding record carriers not specifically of filamentary or web form, or of supports therefor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1/00Head arrangements not specific to the method of recording or reproducing
    • G11B21/02Driving or moving of heads

Landscapes

  • Moving Of The Head For Recording And Reproducing By Optical Means (AREA)
  • Moving Of Heads (AREA)
  • Optical Recording Or Reproduction (AREA)
  • Control Of Direct Current Motors (AREA)
  • Feeding And Guiding Record Carri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모터 구동장치
제1도는 비데오 디스크 재생장치의 외양을 보인 사시도.
제2도 및 제3도는 제1도에 보인 비데오 디스크 재생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
제4도는 아암이송 기구부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제5도 및 제6도는 각각 자동 로딩 기구부의 일예를 나타낸 사시도 및 평면도.
제7도는 터언레이블 승강기구부의 일예를 보인 사시도.
제8도는 제7도의 전체기구를 도시한 측면도.
제9도 및 제10도, 제10a도는 각각 아암 이송기구와 자동 로딩기구를 위한 1개 모터배열의 일예를 보인 측면도 및 사시도.
제11도는 본 발명의 기본구성을 도시한 블록 다이어그램.
제12도는 제11도의 수정을 가한 블록 다이어그램.
제13도는 제11도의 또다른 수정된 블록다이어그램.
제14도는 역시 제11도의 또다른 수정된 블록다이어그램.
제15도는 제11도-제14도에 보인 작동지시 발생기의 회로도.
제16도는 본 발명에 따른 모터 구동장치의 회로도.
제17(a)도-제17(d)도는 제16도의 모터 구동장치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타이밍 차아트.
제18도는 제16도의 수정을 가한 회로도.
* 도면의 주요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10X : 픽엽 12X : 픽업이동기구
14X : 자동 로딩기구 18X : 트랙킹 서어보 제어회로
20X : 쟈켓 위치센서 22X : 모터 기동제어기
24X : 작동지시 발생기 30X : 픽업 이송수단
32X : 극성 변환회로 103 : 트랙킹 위치센서
75 : 모터
본 발명은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VDP)와 같은 디스크 재생장치를 위한 모터 구동장치에 관한 것이며, 여기서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는 픽업아암을 이송시키기 위한 아암 이송기구와 비데오 디스크 쟈켓을 플레이어 자체내로 자동적으로 삽입하거나 꺼내기 위한 자동 로딩기구를 가지며, 모터 구동장치는 각아암 이송기구 및 자동 로딩기구의 구동원이 되어 동작한다.
근래 비데오 디스크나 PCM 기록디스크를 사용하는 재생장치에 대한 급진적인 발전이 계속되어 왔다. 비데오 디스크나 PCM 디스크에서 신호는 디지탈 레코딩 시스템에 의해서 미소한 피트(pit)의 형태로 레코딩 된다. 그러나, 이러한 형태의 비데오 디스크나 PCM 디스크에 먼지의 가라앉음이나 사용자의 손에서 물은 때가 신호의 감퇴를 야기하여 재생신호를 심각하게 저하시키게 된다. 더우기 신호는 디지탈적으로 레코딩 되없기 때문에 레코딩된 신호를 취출하는 픽업는 매우 정확해야만 한다. 그러나 이 픽업장치 역시 먼지나 사용자의 손에서 물은 때로 손상되기가 쉽다.
이러한 문제점에서 보면, 비데오 디스크 재생장치는 비데오 디스크를 사용자가 접촉하거나 만지는 일이 없이 플레이어 자체에서 부하되거나 무부하되게 하는 것이 필요하다.
또, 종래의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에서는 아암 이송기구와 자동 로딩기구를 구동하는데 각각 다른 모터가 요구되었다.
이것은 모터에 대한 분리된 구동회로가 필요함을 말한다. 여기서, 분리된 모터의 설비와 구동회로는 생산단가와 설치면적을 증가시키고 또한 플레이어 자체의 크기를 감소하게 만들 수 없게 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 아암 이송기구(픽업 이동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와 자동로딩 기구를 구동하기 위한 구동모터로서 작용하는 단일 모터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술한 목적과 또다른 목적을 이루기 위해, 픽업아암의 이송 동작동안에 모터의 구동전압을 서어보 제어하기 위한 수단과, 디스크 쟈켓의 부하/무부하 동작동안에 플레이어 자체내의 자켓의 위치를 탐지하여 상기 구동전압의 극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을 포함하는 모터 구동장치가 설치된다.
다시 말하면, 본 발명에 따른 디스크 플레이어를 위한 모터 구동장치는 픽업과, 픽업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픽업 이동기구와, 디스크 플레이어 내로 디스크 쟈켓을 로딩시키기 위한 자동 로딩기구를 포함한다. 모터 구동장치는 픽업 이동기구과 자동 로딩기구를 기동하기 위한 모터와 픽업에 대한 트랙킹서어보 제어를 할 수 있도록 픽업의 위치에 따라 모터의 회전을 서어보 제어하는 서어보제어기와 : 디스크 쟈켓의 위치를 감지하는 위치센서와 : 디스크 쟈켓의 자동로딩이 이루어지도록 쟈켓의 위치에 따라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한 기동제어기와 : 서오보 제어기와 기동제어기 중의 하나를 선별적으로 모터에 연결시키기 위한 작동지시기를 포함한다.
트랙킹 서어보 제어는 작동지시기가 서어보 제어기를 선택했을때 유효하고, 디스크 쟈켓의 자동로딩은 작동지시기가 기동 제어기를 선택했을때 유효하다.
본 발명의 모터 구동장치에 따를것 같으면, 하나의 모터가 아암 이송기구 또는 픽업 이동기구를 위한 구동모터와 자동 로딩기구를 위한 구동모터로서의 2가지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우선적인 실시예를 다음의 첨부된 도면을 참조로 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제1도를 참조하면, 비데오 디스크(11)는 쟈켓(12)내에 싸여져 있다. 쟈켓(12)의 한쪽편을 따라서 개구(13)가 형성되어서, 디스크(11)가 쟈켓(12)내로 넣어진다. 쟈켓(12)내부에 디스크(11)가 고리모양의 척주안에 싸여져 있다. 척주(14)의 커버(15)는 개구(13)를 봉해준다.
쟈켓(12)을 수용하기 위한 쟈켓삽입구(17)는 플레이어 몸체(16)의 한쪽편에 형성된다. 플레이어의 기동을 지휘하는 다양한 작동키(18)는 쟈켓 삽입구의 상부에 배치되었다.
제2도는 플레이어몸체(16)의 내부를 도시하는 측단면도이다. 디스크(11)는 쟈켓(12)내에 쌓여져서 삽입구(17)을 통해 플레이어몸체(16)내로 삽입된다. 쟈켓(12)은 화살표 b로 표시한 방향으로 삽입되며, 쟈켓(12)이 몸체(16)내부로 삽입될때 쟈켓커버(15)가 몸체(16)내부에 있는 고정기구(19)에 의해 고정된다. 그러면, 디스크(11)와 척주(14)가 몸체(16)내에 남아있도록 쟈켓(12)이 뽑아내어질 수 있다. 디스크(11)와 척주(14)는 몸체(16)내부에 배열된 지지대(20)에 의해서 고정된다.
디스크(11)의 삽입동작 동안에, 턴테이블(21)은 제2도에 보인 바와같이 낮은 위치에 놓여진다. 디스크(11)가 지지대(20)위에 놓여지면 샤시(22)의 저부 표면위에 배치된 슬라이더(23)가 화살표 B방향으로 미끄러진다. 그러면, 턴테이블(21)회전축(24)의 저부단부(241)가 슬라이더(23)의 낮은 위치(231)에서 그의 상부위치(233)로 그 비스듬한 부분(232)을 통하여 이동하여서 턴테이블(21)이 상승된다.
턴테이블(21)가 상승되면, 디스크(11)가 제3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상태로 되어 턴테이블(21)위에 위치된다. 이 상태에서 턴테이블(21)이 회전하며, 픽업장치(도시되지아 않았음)가 디스크(11)로부터 레코딩된 신호를 취출한다. 그 신호가 재생된 후에 슬라이더(23)가 화살표 A의 방향으로 미끄러지며, 턴테이블(21)은 다시 제2도에 보인 상태로 하강된다. 턴테이블(21)이 하강되면, 디스크(11)는 지지대(20)에 의해 지지되며, 디스크(11)가 플레이어로부터 무부하 상태로 될수 있다. 이를 위하여 속이 빈 쟈켓12)이 삽입구 (17)를 통해 삽입되어져서 쟈켓(12) 내부에 디스크 (11)와 척주(14)를 포함하게 한다.
디스크(11)와 척주(14)가 쟈켓(12)내로 완전히 삽입되어지면, 커버(15)가 고정기구(19)로부터 해지된다. 쟈켓(12)을 끌어당기면 디스크(11)와 척주(14)가 쟈켓(12)내에 고정되어 플레이어몸체(16)로부터 언로드(unload)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구조의 장치에서, 디스크(11)는 플레이어 몸체(16)내부로 사용자의 접촉을 요하지 않으면서 착탈자재로 된다. 따라서 아무런 먼지나 손때가 비데오 디스크(11)위에 쌓여지지 않게 된다.
이러한 형태의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에서, 스타일러스를 가진 픽업장치는 픽업아암 위에 장착되며 디스크(11)의 방사상의 방향으로 이송된다. 고로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는 디스크(11)의 방사상 방향으로 픽업아암을 이송시키기 위한 아암 이송기구와 쟈켓(12)을 플레이어 몸체내로 착탈 가능하게 하는 자동 로딩기구를 가지고 있어야만 한다.
아암 이송기구 및 자동 로딩기구의 일예를 이하 설명하면, 아암 이송기구의 일례는 제4도를 참고한다. 제4도는 플레이어 몸체(16)의 내부를 도식적으로 나타낸다.
제4도에서, 서브샤시(25)와 가이드레일(26)이 도시된다. 쟈켓(12)은 가이드레일(26)의 안내에 따라서 플레이어 몸체(16)내부로 삽입되거나 꺼내진다.
픽업(10X)은 픽업아암(27)에 장착된다. 픽업아암(27)의 일단부는 가이드폴(29)위에서 미끄러지는 캐리지(28)에 고정되어 있다. 고로, 픽업아암(27)이 디스크(11)의 방사상으로 이송되며, 픽업(10X)의 재생스타일러스가 디스크(11)의 방사상으로 움직이게 된다. 이송기구(30)는 캐리지(28)를 이송시킨다. 이송기구(30)는 모터(75A)와, 벨트(33)를 거쳐 모터(75A)의 회전축에 결합된(웜기어(34)와, 웜기어(34)와 맞물린 제1기어(35), 제1기어(35)와 동축인 소직경의 제2기어(36), 제2기어와 맞물린 제3기어(37), 그 하나는 제3기어(37)와 동축인 한쌍의 활차(38) 및 (39), 활차 (38)과 (39)사이를 이은 와이어(40)[와이어(40)의 일부는 캐리지(28)의 핀(41)으로 고정되었다. [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포터(75A)의 회전 토오크는 와이어(40)로 전달되며, 캐리지(28)는 가이드폴(29)을 따라 이동된다.
이리하여 픽업아암(27)은 디스크(11)의 방사상으로 이동하고, 레코딩된 신호는 픽업(10X)의 재생 스타일러스를 통해 취출되어 진다.
자동 로딩기구의 일예가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여 이하 상술된다. 제5도는 플레이어 몸체(16)의 내부를 도식적으로 보인 사시도이며, 제6도는 동작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제5도 및 제6도를 참조하면, 웜기어(43) 및 (44), 활대(45)와 베어링(46) 및 (47)은 로딩샤프트(42)와 그축을 같이하며 굴대받이 까치발(48) 및 (49)은 로딩샤프트(42)를 지지한다. 활차(51)는 모터(75B)의 회전축에 장착되고, 벨트(52)는 활차(51)과 (45)둘레에 감겨져 있다. 기어(53) 및 (54)는 웜기어(43) 및 (44)에 맞물려져 있고, 롤러(55) 및 (56)는 기어(53) 및 (54)와 축을 같이한다. 롤러(55) 및 (56)는 고무와 같은 탄성계수가 큰 물질로 구성된다. 기어(54)와 롤러(56)는 서브샤시(25)위에 축으로 장착된 레버(57)위에 장치된다. 스프링(58)은 레버(57)와 서브샤시(25)사이에 개재되어 있다. 롤러(56)가 장착된 레버(57) 표면은 스프링(58)에 의해서 통상 안쪽으로(턴테이블(21)을 향한 방향)기울어져 있다.
제6도를 참조하면, 스위치(59)(SW1)는 모터(75B)를 전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고, 스위치(60)(SW2)는 모터를 역방향으로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상술한 바와같은 기구의 동작모우드를 이하 설명한다. 쟈켓(12)이 삽입구(17)를 통해 삽입되어질때, 쟈켓(12)의 2측면은 가이드레일(26)을 따라 내부로 안내된다. 그러면 전방향 회전스위치(59)가 쟈켓(12)의 측면에 의해서 턴온된다. 모터(75B)가 전방향으로 회전되고, 그 회전토오크가 로딩샤프트(44)로 전달된다.
롤러(55)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하며 롤러(56)는 쟈켓(12)을 끌어당기도록 시계방향으로 회전한다. 롤러(55) 및 (56)가 큰 탄성계수를 가지고 또 롤러(56)가 스프링(58)에 의해서 쟈켓(12)에 대해 기울어져 있기 때문에, 쟈켓(12)은 삽입동작의 반쯤에서 사용자의 손이 놓여졌다해도 유연하게 내부로 끌려 들어갈 수 있다. 롤러(55) 및 (56)과 접촉하게 되는 쟈켓(12)의 위치는 다음의 로딩시작 위치에서 상세히 설명된다.
쟈켓(12)이 고정기구(19)의 위치에 도달할때, 척주의 커버(15)는 고정기구(19)에 의해 단단히 잡혀진다. 커버(15)는, 예를들어, 고정기구(19)의 포올(191) 및 (192)를 받아들이는 노치(151)를 구비하여, 커버(15)가 단단히 고정되게 한다. 동시에, 고정기구(19)는 쟈켓(12)에 의해서 역회전 스위치(60)를 턴온시킨다. 그에때 모터(75B)는 역방향으로 회전한다.
다음의 설명에서, 쟈켓(12)의 특정한 위치는 커버(15)가 고정기구(19)에 의해 고정되고 쟈켓(12)이 거기서부터 빠져나올때 예정된 삽입위치로서 간주된다. 모터(75B)가 역방향으로 회전할때 롤러(55)는 시계방향으로 회전하고, 롤러(56)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그래서 쟈켓(12)은 언로드 되도록 한 방향으로 이송되어진다. 쟈켓(12)의 단부가 롤러(55) 및 (56)을 지나게 될때 쟈켓(12)의 이송동작은 종결된다.
이 상태는 자동 로딩기구에 의한 쟈켓(12)의 이송동작이 해지된 상태로서 정의된다. 이 상태가 이루어지면, 쟈켓(12)은 손에 의해 끌어내어지게될 수 있다. 디스크(11)의 재생이 끝나서 디스크(11)가 언로드되어야 할때, 쟈켓(12)은 자동적으로 안쪽으로 이송되어서 끄집어 내어지게 된다.
제7도는 턴테이블(21)을 들어올리기 위한 승강기구를 보이는 사이도이다. 제7도를 참조하면, 모터(71), 웜기어(72), 캠(73), 캠(73)을 슬라이더(23)와 결합시키기 위한 레버(74)가 도시되었다.
제8도는 턴테이블(21)을 들어올리기 위한 승강기구의 전체구성을 보인 측면도이며, 상술한 구조를 갖는 승강기구에서 모터(71)의 회전력은 웜기어(72)를 거쳐 캠(73)으로 전달된다.
캠(73)의 회전은 레버(74)에 의해서 선형운동으로 변환되고 그 선형운동은 슬라이더(23)로 전달된다. 그때에, 슬라이더(23)는 제2도와 제3도를 참고한 설명에서와 같이 화살표 A와 B로 표시한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이 경우 슬라이더(23)는 캠(73)이 첫번째 반회전할때 화살표 A로 표시한 방향으로 미끄러지며 나머지 반회전에서 화살표 B로 표시한 방향으로 미끄러진다.
제9도는 아암 이송기구와 자동 로딩기구에 대한 단일모터 배열의 부분측면도이다. 제10도는 제9도의 사시도이며, 모터(75)의 회전축은 벨트(33)를 통해 활자(88)로 결합되고, 활자(88)는 웜기어(34)와 동축으로 설치되었다. 웜기어(34)는 기어(90)와 맞물린다. 기어(90)는 활차(38)과 같은 축으로 설치되고, 활자(38)는 루우프 와이어(40)를 거쳐서 또다른 활차(39)로 연결된다. 제4도의 핀(41)은 와이어(40)의 주어진 위치에 고정된다.
활차(39)는 축레버(94)위에서 지지된다. 레버(94)는 링크(95)를 통해서 제8도의 레버(74)로 결합된다. 모터(75)의 회전축에는 웜기어(76)가 설치되었다. 웜기어(76)는 제5도의 로딩샤프트(72)와 동축으로 고정된 기어(78)와 맞물려져 있다.
샤프트(42)는 굴대받이 까치발(48) 및 (49)로 지지된다. 샤프트(42)의 양쪽부분, 즉 까치발(48)및 (49)의 양 외측에 위치한 부분에는 웜기어(43) 및 (44)가 설치된다 웜기어(43)는 제5도의 롤러(55)와 같은 축으로 결합되어 있는 기어(53)와 맞물려 있고, 웜기어(44)는 제5도의 롤러(56)와 같은 축인기어(54)와 맞물려져 있다.
상술한 바와같은 배열을 가진 기구의 동작을 이하 설명하면, 모터(75)의 회전은 웜기어(76)를 통해 기어(78)로 전달되며, 로딩샤프트(42)가 회전한다. 그러면, 기어(53) 및 (54)는 각각 웜기어(43) 및 (44)를 통해 회전된다. 또 롤러(55)와 (56)은 서로 반대방향 시계방향과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롤러(55)와 (56)의 회전방향은 모터(75)의 회전방향으로 제어된다. 롤러(55)와 (56)의 회전은 각각 로딩이나 언로딩 방향으로 이송되는 쟈켓(12)(제10도에는 도시되지 않음)으로 전달된다.
모터(75)의 회전은 벨트(33)를 거쳐 활차(88)로 전달되어 웜기어(34)가 회전한다. 웜기어(34)의 회전은 기어(90)를 거쳐 활차(38)로 전달된다.
여기서, 턴테이블(21)이 하부 위치에 있고, 레버(95)의 일단부가 화살표 A로 표시한 방향으로 이동한다고 가정하면, 레버(94)는 반시계 방향으로 축운동하며, 제9도와 같이 와이어(40)가 느슨해지면 활차(38)의 회전은 와이어(40)로 전달되어 지지 않는다.
반면에, 턴테이블(21)이 상부 위치로 들려지고, 레버(95)가 화살표 B의 방향으로 이동하면, 레버(94)는 시계방향으로 축운동한다. 그러면, 와이어(40)가 팽팽히되고, 활차(38)의 회전력이 와이어(40)로 전달된다. 제4도의 캐리지(28)가 이송되어서 픽업아암(27)이 비디오 디스크(11)의 방사상으로 이송되게 된다.
제9도와 제10도에 도시한 배열로, 하나의 모터로 아암 이송기구 및 자동 로딩기구를 구동시킬 수 있음을 명백히 알 수 있다.
따라서, 모터(75)는 모터(75B)[제5도]의 기능뿐만 아니라 모터(75A)[제4도]의 기능을 갖는다. 그러한 단일모터(75)를 사용하는 본 발명의 전체적인 기계구조는 제9도와 제10도의 배열이 제10a도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것 같이 제4도 및 제5도의 모터(75A) 및 (75B)배열을 대체시킴으로써 완성될 수 있다.
제11도는 본 발명의 모터 구동회로의 기본구성을 도시하고 있다. 픽업(10X)는 픽업아암(27)(제4도, 제10a도)의 예정된 위치에 설치된다. 픽업(10X)은 픽업이동기구(12X)에 의해서 턴테이블(21)의 방사상을 따라 평행으로 이동한다. 제11도의 기구(12X)는 제10a도의 요소(27)~(29)에 해당한다.
기구(12X)는 제10a도의 요소(41), (40), (38), (90), (34), (88)과 (33)을 거쳐 레버(94)가 벨트(40)를 팽팽히 하였을때 모터(75)로 결합되어 진다. 벨트(75)가 느슨해지면, 기구(12X)는 모터(75)로부터 해지된다. 또한 모터(75)는 제10a도의 요소(76), (78), (42)~(44)와 (53)~(56)을 겨쳐 자동 로딩기구(14X)로 결합된다. 제11도의 기구(14X)는 제5도 및 제6도의 구조와 같다. 기구(12X)에 장치된 픽업(10X)은 트랙킹 서어보 제어회로(18X)로 결합된다. 회로(18X)의 구성은 일반적인 것이며, 다음의 책자에 기술되어있다.
"CED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 VP 100"이가와 겐지등저술.
"도시바 리뷰" 134호(1981년 7-8월호) : 페이지 26- 30, 제4도
"RCA 리뷰" 39권, 제1호(1978) : "비데오 디스크"
상기 인용한 내용들은 여기에서 조합되어 사용된다.
회로(18X)는 픽업(10X)의 트랙킹 서어보 제어에 사용하기 위한 검출된 제어출력(E18X)을 제공한다.
출력(E18X)은 상기한 "CED 비데오 디스크 플레이어, VP 100"의 제4도에 도시한 동기 검출기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출력(E18X)은 스위치(26X)를 통해 모터(75)로 공급된다. 모터(75)의 회전방향 및 회전속도는 출력(E18X)의 크기와 극성에 의존한다.
요소(75), (10X+12X), (18X)는 픽업(10X)의 트랙킹 위치를 서어보 제어하기 위한 폐쇄루트를 형성한다. 자동 로딩기구(14X)에 의해 이송되는 쟈켓(12)의 위치설정은 쟈켓 위치센서(20X)에 의해 감지된다. 센서(20X)는 제5도, 제6도, 제16도, 제18도에 도시한 스위치 SW1, SW2, SW3에 해당된다. 센서(20X)는 감지된 데이타(E20X)로써 모터 기동제어기(22X)를 제공해 준다. 제어기(22X)는 제어출력(E22X)을 발생한다. 제어기(22X)의 상세한 설명은 이후의 제16도와 제18도를 참조로 한 설명에서 기술되어질 것이다. 출력(E22X)은 스위치(26X)를 거쳐 모터 (75)로 그 기동을 위해 공급된다.
모터(75)의 회전방향은 출력(E22X)의 극성에 따른다. 스위치(26X)의 신호선택은 작동지시 발생기(24X)로부터 얻어진 제1지시 S1으로 결정된다. 작동지시 발생기(24X)의 회로구성은 이후에 제15도를 참고한 설명에서 상술되어질 것이다.
요소(75), (14X), (20X), (22X)는 디스크(11)의 로딩/언로딩 기동을 감독하는 기동제어 루우프를 구성한다. 기동제어 루우트가 인에이블되면, 와이어(40)는 상기 서어보제어 루우트가 디스인에이블 되도록 느슨해진다.
제11도의 구성에 따르면, 하나의 모터(75)가 자동로딩의 기동제어와 픽업트랙킹 서어보제어를 수행하기에 충분함을 알 수 있다.
제12도는 제11도를 개선한 수정된 도면을 보여준다. 제12도의 구성은 요소(27X)와 (30X)에 대비하여 제11도의 구성과 다르다. 여기서, 모터(75)는 스위치(27X)가 트랙킹 서어보 동작을 선택했을때 스위치(26X) 및 (27X)를 거쳐 서어보 제어회로(18X)로 결합된다.
스위치(27X)가 비트랙킹 서어보 동작모우드를 선택하면 모트(75)는 스위치(26X) 및 (27X)를 통해 픽업이송 소오스(30X)로 결합된다. 스위치(27X)의 선택은 작동지시 발생기(24X)로부터의 제2지시 S2로 결정된다. 픽업 이송소오스(30X)가 작동지시 S2로 선택되면, 모터(75)는 소오스(30X)의 출력(E30X)에 의해서 회전된다. 모터(75)의 회전방향은 출력(E30X)의 극성에 의존한다. 비서어보 동작은 픽업의 패스트 포워드 이동 또는 패스트 리버스 이동에 이용된다.
제12도의 구성에 따르면, 단일 모터가 자동로딩과, 픽업서어보 트랙킹과 픽업서어보 이송을 위해 사용되어 진다.
제18도는 제11도의 또다른 수정된 도면이며, 제13도의 구성은 요소(28X) 및 (32X)에 대해서는 제11도의 구성과 다르다. 거기서, 모터(75)는 스위치(26X) 및 (28X)를 거쳐 직류극성 변환회로(32AX)로 결합되거나, 스위치(26X) 및 (28BX)를 거쳐 교류극성 변환회로(32BX)로 결합된다. 회로(32AX) 및 (32BX)는 극성변환회로(32X)를 구성하며, 서어보 제어회로(18X)로 결합되어 진다. 스위치(28AX) 및 (28BX)는 그 극형스위치(28X)로써 구성된다.
각 스위치(28AX) 및 (28BX)의 선택상태는 작동지시 발생기(24X)로부터의 제3의 지시 S3에 따라 결정된다.
직류회로(32AX)의 정(正)극성과 교류회로(32BX)의 표준위상 극성이 지시 S3로 선택되면, 모터(75)는 정출력(DC32+)에 따라전방으로 회전되고, 픽업(10X)의 전방 트랙킹서어보 제어가 수행되도록 표분 위상 출력(AC32)에 따라 모터(72)가 서어보 제어된다. 직류회로(32AX)의 부(負)극성과 교류회로(32BX)의 역위상 극성이 지시 S3에 의해 선택되면, 모터(75)는 부출력(DC32-)에 따라 역으로 회전하며, 픽업(10X)의 역방향 트랙킹 서어보 제어를 위하여 역위상출력(AC32-)에 따라서 서어보 제어된다.
제13도의 구성에 의하면, 단일 모터(75)가 자동로딩과 전방향/역방향 트래킹 서어보 제어에 사용된다.
제14도는 역시 제11도의 또다른 수정된 도면이며, 제12도 및 제13도의 구성과 유사하다. 여기서, 모터(75)는 스위치(26X) 및 (28AX)를 거쳐 제1지시 S1에 따라 직류극성 변환회로(32AX)로 결합된다. 회로(32AX)는 제2지시 S2가 비서어보 픽업이송을 지시할때에 스위치(27X)를 통해 픽업 이송소오스(30X)로 결합된다.
픽업 이송의 방향 또는 모터(75)의 회전방향은 제3지시 S3에 따라 결정된다. 즉, 지시 S3가 빠른 전방이동을 지시할때 그 크기가 출력(E30X)의 전압에 해당하는 정출력(DC32+)이 모터(75)로 인가된다. 이때에 픽업(10X)의 빠른 전방이동이 수행된다. 또 지시 S3가 빠른 역방향 이동을 지시하면, 출력(E30X)의 전압에 해당하는 크기의 부출력(DC32-)이 모터(75)로 인가된다. 이때에 픽업(10X)의 빠른 역방향 이동이 이루어진다.
지시 S2가 트랙킹 서어보 동작을 지시하면, 회로(32AX)가 스위치(27X) 및 (28BX)를 거쳐 교류극성 변환회로(32BX)로 결합된다. 그래서 지시 S1 및 S2가 회로(32AX) 및 (32BX)를 선택하면, 요소(75), (10X+12X), (18X), (32BX) 및 (32AX)를 포함하는 트랙킹 서오보 루우프가 이루어진다.
지시 S3가 전방트랙킹 서어보 제어를 지시하면, 표준위상출력 9(AC32+)을 포함하는 정출력(DC32+)은 모터(75)로 인가되어서 픽업(10X)의 전방 트랙킹 서어보 제어가 수행된다. 또, 지시 S3가 역방향 트랙킹 서어보 제어를 지시하면, 역위상 출력(AC32-)을 포함하는 부출력(DC32-)이 모터(75) 인가되어 픽업(10X)의 역방향 트랙킹 서어보 제어가 수행된다.
제14도의 구성에 따르면, 단일 모터(75)가 자동로딩과 전방/역방향 비서어보 이송 및 전방/역방향 서어보 트랙킹을 위해 사용되어 진다.
제15도를 참조하면, 작동지시 발생기(24)의 회로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각각의 키(180-188)의 일단은 논리레벨이 "1"인 전원 +Vcc이 공급된다. 키(180-188)는 제1도의 동작키(18)에 해당된다. 키(180-186)의 다른 일단은 각각 RS 플립플롭(RS FF)(250-256)의 각 세트단자로 연결되어 있다.
키(188)의 다른 일단은 각각 다이오드 D12, D22, D32 및 D 42를 통해서 RS FF(250-256)의 리세트단자에 결합되어 있다. FF(250)의 출력 Q은 각각 다이오드 D24, D34 및 D44를 통해서 FF(252), (254) 및 (256)의 리세트단자로 결합된다. FF(252)의 출력 Q는 각각 다이오드 D14, D36 및 D46을 통해서 FF(250), (254) 및 (256)의 리세트 단자로 결합된다. 또한 FF(254)의 출력 Q는 각각 다이오드 D16, D26 및 D48을 통해서 FF(250), (252) 및 (256)의 리세트 단자로 결합되며, FF(256)의 출력 Q는 각각 다이오드 D18, D28 및 D38을 통하여 FF(250), (252) 및 (254)의 리세트 단자에 결합된다.
FF(250)의 출력
Figure kpo00001
은 각 다이오드 D52, D70의 캐소오드에 연결된다. FF(252)의 출력
Figure kpo00002
은 다이오드 D72의 캐소오드에 연결된다. 또한 FF(254)의 출력
Figure kpo00003
은 각 다이오드 D54, D62 및 D74의 캐소오드에 연결되며, FF(256)의 출력
Figure kpo00004
은 각 다이오드 D64, D76의 캐소오드로 연결된다. 다이오드 D52와 D54의 에노우드는 저항 R52을 통해 전원 Vcc의 선로로 결합되고, 또 다이오드 D56를 통해 NPN 트랜지스터 Q52의 베이스로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52의 콜렉터는 저항 R54을 통해 전원 Vcc선으로 결합되고, 그 에미터는 접지되었다.
다이오드 D62 및 D64의 애노우드는 저항 R62을 통해 전원 Vcc선에 결합된다. 이들 애노우드는 다이오드 D68를 통해 NPN 트랜지스터 Q62의 베이스로 결합되고 역시 다이오드 D66를 통해 NPN 트랜지스터 Q72의 콜렉터로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62의 콜렉터는 저항 R64을 통해 전원 Vcc선으로 결합되고, 그 에미터는 접지되었다.
다이오드 D70~D76의 애노우드는 저항 R72을 통해 전원선으로 결합되고, 또 다이오드 D78를 거쳐 트랜지스터 Q72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72의 콜렉터는 저항 R74을 통해 전원선으로 결합되고, 그 에미터는 접지된다. 트랜지스터 Q72의 콜렉터는 트랜지스터 Q74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Q74의 콜렉터는 저항 R76을 통해 전원선으로 결합되고, 그 에미터는 접지된다.
제1, 제2, 제3지시 S1, S2, S3는 각각 트랜지스터 Q74, Q62 및 Q52의 콜렉터에서 얻어진다. 다음 [표 Ⅰ]에서 제15도의 작동지시 발생기의 진리치표가 도시된다.
[표 Ⅰ]
Figure kpo00005
제16도는 제11도~제13도의 요소(18X~22X) 및 (26X~32X)의 회로 구성도이다. 제16도를 참조하면, 단자(100), (101) 및 (102)는 각각 지시 S1, S2, S3를 수신한다. 단자(100)는 저항 R1과 R2의 직렬회로를 통하여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단자(101)는 저항 R3을 통해 트랜지스터 Q1의 베이스로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는 저항 RL을 통해 그 전위가 논리 "1"레벨인 +B1선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1의 에미터는 접지되었다.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는 저항 R4와 R5의 직렬회로를 통하여 접지로 연결된다. 저항 R4와 R5의 접합점을 트랜지스터 Q2의 베이스로 연결되고, 트랜지스터 Q2의 에미터에는 +B2의 전위가 인가되었다.
단자(102)는 저항 R7과 R8의 직렬회로를 통해 트랜지스터 Q3의 베이스로 결합된다. 저항 R7과 R8의 접속점은 저항 R6을 통해 단자(100)로 결합되었다. 트랜지스터 Q3의 에미터는 접지되고, 그 콜렉터는 저항 R9을 통해 +B1선에 결합된다.
저항 R1과 R2의 접속점은 저항 R14와 R15의 직렬회로를 거쳐 트랜지스터 Q4의 베이스로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4의 베이스는 저항 R16을 통해 트랜지스터 Q3의 콜렉터로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4의 에미터는 접지되고, 그 콜렉터는 저항 R13을 통해 트랜지스터 Q2의 콜렉터로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2의 콜렉터는 저항 R11과 R12의 직렬회로를 거쳐 연산증폭기(104)의 출력단자로 결합된다. 증폭기(105)의 출력단자는 캐패시터 C20를 통해 그의 비반전 입력단자로 결합된다. 이 비반전 입력단자는캐패시터 C10과 저항 R10의 직렬회로를 거쳐 저항 R11과 R12의 접속점으로 연결된다.
증폭기(104)의 반전 입력단자는 기준전압 Er이 인가되었고, 그 비반전 입력단자는 전기한 검출된 제어출력(E18X)을 수신한다. 출력(E18X)은 트랙킹 서어보 제어회로(18X)의 일부인 트랙킹 위치센서(103)로부터 얻어질 수 있다. 센서(103)는 위치 데이타로서 제어출력(E18X)을 발생하여 픽업(10X)의 재생스타일러스가 정확히 예정된 레코딩 트랙위를 따라가는지를 분별한다.
트랜지스터 Q4의 콜렉터는 연산증폭기(105)의 비반전 입력단자로 연결된다. 연산증폭기(105)의 출력단자는 저항 R19를 통해 그 비반전 입력단자로 결합된다. 비반전 입력단자는 저항 R20을 통해 접지되며, 저항 R21을 통해 +B1 선으로 결합되고 또 다이오드 D2를 통해 트랜지스터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로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3이 콜렉터는 연산증폭기(106)의 비반전 입력단자로 연결된다. 연산증폭기(106)의 출력단자는 저항 R22을 통해 그 반전 입력단자로 결합된다. 이 반전 입력단자는 저항 R17과 R18의 직렬회로를 거쳐 트랜지스터 2의 콜렉터로 결합된다. 저항 R17과 R18의 접합점은 직렬다이오드 D3와 D4를 통해서 트랜지스터 Q1의 콜렉터로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3의 콜렉터는 다이오드 D5을 거쳐 트랜지스터 Q10의 콜렉터로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10의 콜렉터는 저항 R29을 통해 +B1선에 결합되며, 저항 R28을 통해 트랜지스터 Q9의 베이스로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9의 콜렉터는 저항 R26을 거쳐 +B1선에 저항 R27을 거쳐 트랜지스터 Q10의 베이스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9과 Q10의 에미터는 접지되었다.
트랜지스터 Q9의 베이스는 저항 R25을 거쳐 스위치 SW1의 한 접점 a2로 결합되고, 그 다른 접점 a3은 접지되었다. 스위치 SW1의 접점편 a1은 저항 R7과 R8의 접합점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Q10의 베이스는 저항 R30을 통해 스위치 SW2의 한 접점 b3은로 결합되고, 그 다른 접점 b2은 개방되었다. 스위치 SW2의 접점편 b1은 +B1선에 연결되었다. 트랜지스터 Q10의 콜렉터는 스위치 SW3의 한 접점 C3로 연결되고, 그 다른 접점 C2는 개방되었다. 스위치 SW3의 접점편 C1은 다이오드 D1를 통해 저항 R14과 R15의 접합점으로 결합된다.
증폭기(105)의 출력단자는 NPN 트랜지스터 Q5의 베이스와 PNP 트랜지스터 Q6의 베이스로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Q5의 콜렉터는 +B1선에 연결되며, 트랜지스터 Q6의 콜렉터는 접지되었다.
트랜지스터 Q5 및 Q6의 에미터는 저항 R23을 통해 모터(75)의 일단에 결합된다. 증폭기(106)의 출력단자는 NPN 트랜지스터 Q7의 콜렉터는 +B1선에 연결되고 트랜지스터 Q8의 콜렉터는 접지된다. 트랜지스터 Q7과 Q8의 에미터는 저항 R24을 통해 모터(75)의 다른 일단에 결합된다.
스위치 SW1, SW2, SW3는 각각 모터(75)의 전방회전, 역방향 회전과 정지를 위해서 설치되고, 또한 그들의 기능은 제5도 및 제6도의 스위치(59), (60), (68)와 동일한 것이다.
모터(75)의 전방 또는 역방향 회전은 증폭기(105)와 (106)의 출력전압 상태에 따라 변화된다. 증폭기(104)는 비데오 디스크(11)의 표준 또는 설정된 트랙킹 위치로부터의 재생스타일 러스의 편차의 정도를 표시하는 에러신호 E2를 발생한다.
픽업아암(27)의 자동 로딩동작이나 빠른 이송동작에서, 센서(103)는 아무런 제어신호(E18X)도 발생하지 않고, 또 증폭기(104)도 에러신호 E2를 제공하지 않는다.
반면에, 픽업(10X)의 재생스타일러스가 디스크(11)의 예정된 트랙을 정확하게 트레이스하게 될때, 센서(103)는 스타일러스의 실제트랙킹 위치를 나타내는 제어출력(E18X)을 발생하며, 증폭기(104)는 에러신호 E2를 제공한다. 그때, 모터(75)의 회전속도는 출력(E18X)의 전위에 따라 제어되며, 픽업아암(27)의 이송속도는 서어보 제어되어서 픽업(10X)의 재생스타일러스가 예정된 트랙에서 위치되어진다. 이러한 트랙킹제어는 비데오 디스크(11)가 재생되어 지거나 디스크(11)의 레코딩 속도와 같은 주어진 속도로 전방향(표준전방향)이나 역방향(표준전방향)으로 돌려질때에 필히 수행되어야 한다.
이 경우에, 에러신호 E2는 증폭기(105) 또는 (106)를 통해 모터(75)로 인가되며, 모터(75)의 회전 속도가 서어보 제어된다.
픽업아암(27)의 이송동작에서, 모터(75)의 회전은 제1, 제2, 제3지시신호 S1, S2, S3에 의해 조정된다. 스위치 SW1~SW3는 통상 예정된 상태로 유지된다. 반면에, 자동 로딩동작에 있어서, 모터 (75)의 회전은 스위치 SW1~SW3의 연결상태에 따라서 제어된다. 이송동작과 자동 로딩동작 동안에서의 각 신호 S1~S3의 논리레벨은 상기 [표 Ⅰ]에서와 같이 요약된다.
전기한 [표 Ⅰ]를 참조하면, 동작모우드 A~D는 픽업아암(27)의 이송동작에 연관된다. 이 동작 모우드로써, 픽업(10X)의 트랙킹 서어보 제어는 모우드 A와 B에서 수행되고, 모우드 C와 D에서는 수행되지 않는다. 트랙킹 서어보 제어를 수행하지 않는 모우드의 일예는 픽업(10X)의 재생스타일러스가 비데오 디스크(11)위에서 예정된 트랙위치로 매우 빠른속도로 이송되어질 때의 경우이다.
픽업(10X)의 재생 스타일러스는 모우드 A와 C에서 전방향으로 이송되고, 모우드 B와 D에서 역방향으로 이송된다. 모우드 E는 자동로딩 및 플레이어의 정지를 위해 사용되어 진다. [표 Ⅰ]에서의 "1"은 대응하는 지시신호 S1, S2 또는 S3가 고레벨인 것을 표시하고, 또 "0"는 각 지시신호가 저레벨인 것을 표시한다.
제16도에 도시한 회로의 동작모우드는 [표 Ⅰ]을 참고하여 이하 설명한다. 설명은 동작모우드 A~E에 대해 이루어 진다.
동작코우드 A와 B에서, 픽업(10X)의 실제트랙킹 위치를 나타내는 제어출력(E18X)은 트랙킹 위치센서(103)에서 발생된다. 출력(E18X)과 기준전위 Er는 증폭기(104)로 인가되어서 정의 에러신호 E2를 발생한다.
(1) 동작모우드 A
이 경우, 신호 S1~S3는 각각 레벨 "0", "0", "1"이다. 그때에 크랜지스터 Q1, Q2, Q4가 OFF되고 트랜지스터 Q3는 ON된다. 연산증폭기(105)는 증폭기(106)가 반전증폭기로서 동작하는 동안 비반전 증폭기로서 동작한다. 트랜지스터 Q4가 OFF되었으므로 증폭기(104)로부터의 에러신호 E2는 증폭기(105)의 비반전 입력단자로 인가된다. 트랜지스터 Q1이 OFF 되고, 다이오드 D2가 역방향 바이어스되어 불통되었기 때문에 +B1선에서의 정전압은 저항 R21을 통해 증폭기(105)의 반전 입력단자로 공급된다. 그러면, 증폭기(105)는 정전압을 발생하거나 또 에러신호 E2의 전위와 같은 전위의 모터 구동전압 E3을 발생한다.
또, 트랜지스터 Q5가 턴온되고 트랜지스터 Q6는 턴오프 된다.
증폭기(104)의 에러신호 E2는 또한 저항 R11, R12, R17 및 R18을 통해 증폭기(106)의 반전입력 단자로 인가된다. 그러나 트랜지스터 Q3가 ON되므로써, 증폭기(106)의 비반전 입력단자가 저레벨로 된다. 고로, 증폭기(106)의 출력신호 E4가 저레벨로 된다. 그때에 트랜지스터 Q7이 턴오프되고, 트랜지스터 Q8은 턴온 된다.
트랜지스터 Q5 및 Q8가 턴온될때, 모터구동전류 Ⅰ1는 모터(75)를 통해 Q5에서 Q8으로 흐른다. 제10a도의 아암 이송기구는 구동전류 Ⅰ1가 상기 방향으로 모터(75)내로 흐를때 픽업아암(27)이 전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구동전류 Ⅰ1의 총합이 구동전압 E3의 전위에 따라 변화하므로, 그것은 에러신호 E2에 따라 제어된다. 고로 모터(75)의 회전속도는 에러신호 E2에 따라서 제어되며, 픽업아암(27)의 이송속도는 픽업(10X)의 재생스타일러스가 일정하게 표준 또는 예정된 트랙킹 위치로 놓여지도록 제어된다.
(2) 동작모우드 B
동작모우드 A에서와 같이, 트랜지스터 Q1 및 Q2가 OFF 된다. 지시신호 S3가 저레벨이므로, 트랜지스터 Q3가 OFF 된다. 그때에 +B1선으로부터 정전압이 저항 R9와 R10을 통해 트랜지스터 Q4의 베이스로 인가되며, 트랜지스터 Q4는 턴온된다. 증폭기(105)의 비반전 입력단자가 저레벨로 떨어지고, 증폭기(105)의 출력단자 역시 저레벨로 떨어진다. 그래서, 트랜지스터 Q5가 턴오프되고 트랜지스터 Q6는 턴온된다.
트랜지스터 Q3가 턴오프되면 +B1선의 정전압이 저항 R9을 통해 증폭기(106)의 비반전 입력단자로 인가된다. 에러신호 E2에 해당하는 모터 구동전압 E4은 증폭기(106)의 출력단자에 나타난다. 이 경우에, 증폭기(106)가 반전증폭기로서 동작하므로, 모터 구동전압 E4는 정(正)이다. 그러면 트랜지스터 Q7이 턴온되고 트랜지스터 Q8이 턴오프된다.
트랜지스터 Q6 및 Q7이 턴온되면, 모터 구동전류 Ⅰ2는 모터(75)를 통해서 Q7에서 Q6로 흐른다. 제10a도의 아암 이송기구는 구동전류 Ⅰ2가 위와 같은 방향으로 흐를때 픽업아암(27)이 역방향으로 이송되는 것과 같이 구성된다. 모터 구동전류 Ⅰ2가 에러신호 E2의 크기에 의해 제어되므로 픽업(10X)의 재생 스타일러스는 일정하게 표준트랙킹 위치위에 놓여진다.
동작모우드 C와 D에 있어서, 재생스타일러스의 트래킹 위치는 제어될 필요가 없다. 고로, 트랙킹 위치센서(103)는 제어출력(E18X)을 발생하기 않으며 증폭기(104)의 출력레벨은 논리 "0"가 된다.
(3) 동작모우드 C
동작모우드 C에서, 신호 S1~S3는 각각 논리레벨 "0", "1", "1"이다. 고로 트랜지스터 Q1, Q2, Q3가 턴온되고 트랜지스터 Q4가 턴오프된다. +B2선의 정전압과 실제 같은 전압이 트랜지스터 Q2와 저항 R13을 통해 증폭기(105)의 비반전 입력단자에 나타난다.
트랜지스터 Q1이 턴온되면, 다이오드 D2가 통전된다. 고로 증폭기(105)의 반전 입력단자는 저레벨로 되고 실제 +B1선의 논리 "1" 레벨과 같은 일정 모터 구동전압 E3은 증폭기(105)의 반전 입력단자는 저레벨로 되고 실제 +B1선의 논리 "1" 레벨과 같은 일정 모터 구동전압 E3은 증폭기(105)의 출력단자에 나타난다. 그때에, 트랜지스터 Q5는 턴온되고, 트랜지스터 Q6는 턴오프 된다.
트랜지스터 Q3가 도통되므로 증폭기(106)의 비반전 입력단자는 저레벨로 되고 그 출력신호 E4가 저레벨로 된다. 그때에 트랜지스터 Q8가 턴온되고, 트랜지스터 Q7가 턴오프된다. 또 모터 구동전류 Ⅰ1가 모터(75)로 흐른다. 모터 구동전류 Ⅰ2가 일정하므로, 픽업아암(27)은 전방향으로 표준 속도로써 이송된다.
(4) 동작모우드 D
동작모우드 C에서와 같이 트랜지스터 Q1 및 Q2가 도통된다. 신호 S3가 저레벨에 있으므로 트랜지스터 Q3는 턴오프된다. 그러면 트랜지스터 Q4가 턴온되고, 증폭기(105)의 출력신호는 저레벨로 된다. 그때에 트랜지스터 Q5는 턴오프되고, 트랜지스터 Q6가 턴온된다.
트랜지스터 Q3가 턴오프되므로, +B1선의 정전압은 저항 R9을 통해서 증폭기(106)의 비반전 입력단자로 인가된다. 또 트랜지스터 Q1가 턴온되므로써 다이오드 D3 및 D4가 통전된다. 증폭기(106)의 반전 입력단자는 저레벨에 있다. 실제 +B1선의 전압과 동일한 일정 구동전압은 증폭기(106)의 출력단자에 나타난다. 그때에 트랜지스터 Q7가 턴온되고 트랜지스터 Q3는 턴오프된다.
트랜지스터 Q6와 Q7가 턴온될때 일정 모터 구동전류 Ⅰ2가 흐르고, 픽업아암(27)은 역방향으로 표준속도로써 이송된다.
(5) 동작모우드 E
동작모우드 E에서, 에러신호 E2는 발생되지 않는다. 제1도의 쟈켓(12)이 플레이어 몸체(16)로 삽입되지 않았을때, 스위치 SW1, SW2, SW3의 접점편 a1, b1, c1은 각각 접점 a2, b2, c2로 연결된다. 전원스위치(도시 안됨)가 턴온되었을때, 제1 및 제2신호 S1 및 S2는 고레벨로 상승한다.
이 동작모우드는 신호 S3의 고레벨이나 저레벨에 상관없이 설정된다.
전원스위치가 먼저 턴온되었을때, 제1 및 제2신호 S1 및 S2는 고레벨(논리 "1"레벨)로 상승하고, 트랜지스터 Q1, Q2, Q3와 Q4가 턴온된다. 증폭기(105)와 (106)의 출력신호는 저레벨로 되고, 따라서 모터(75)가 정지된다. 스위치 SW1의 접점편 a1이 접점 a2로 접속되므로, 신호 S1는 저항 R6 및 R25을 통해 트랜지스터 Q9의 베이스에 인가되고, 트랜지스터 Q9는 턴온된다. 또한 스위치 SW2의 접점편 b1이 접점 b2으로 접속되므로 트랜지스터 Q10가 턴오프된다.
상술한 상태에서 쟈켓(12)이 플레이어 몸체(16)로 삽입되어지면, 스위치 SW1의 접점편 a1은 먼저 접점 a2에서 a3로 변환된다(제17a도 : L10). 제17a도에서, 논리 "1"레벨은 접점편 a1이 접점 a2으로 접속되었을 때의 상태에 해당한다.
반면에 논리 "0"레벨은 접점편 a1이 접점 a3로 접속되었을때의 상태에 해당한다. 트랜지스터 Q3는 스위치 SW1의 변환동작에 의해 턴오프된다. +B1선의 정전압이 저항 R9을 통해 트랜지스터 Q9의 베이스에 인가되므로, 다이오드 D5와 저항 R28 트랜지스터 Q9가 도통상태를 유지한다.
트랜지스터 Q3가 턴오프될때, +B1선의 정정압은 저항 R9을 통해 증폭기(106)의 비반전 입력단자로 공급된다. 트랜지스터 Q1이 도통되고, 다이오드 D3 및 D4가 도통되므로, 증폭기(106)의 비반전 입력단자는 저레벨로 유지된다. 그때에, 실제 +B1선의 전압과 동일한 정전압이 증폭기(106)의 출력단자에 나타난다. 또 트랜지스터 Q7는 턴온되고, 트랜지스터 Q8가 턴오프 된다.
트랜지스터 Q4가 차단되었으므로 증폭기(105)의 출력신호 E3는 저레벨로 된다. 따라서 트랜지스터 Q6가 턴온되고, 트랜지스터 Q5는 턴오프되어서 모터 구동전류 Ⅰ2가 모터(75)로 흘러 들어가게 한다(제17b도 : t12-t14).
제10a도의 자동 로딩기구는 모터 구동전류는 Ⅰ2가 모터(75)로 흐를때 쟈켓(12)이 삽입되거나 또는 로드되게 하는것과 같이 구동된다. 모터(75)의 회전상태는 제17(b)도에 도시되었다.
제17(b)도에서, 정의 고레벨 Ⅰ2는 쟈켓(12)이 로드되었을때의 상태이고, 부의 고레벨 Ⅰ1은 쟈켓(12)이 언로드 되었을때의 상태이다.
쟈켓(12)이 이송되기 시작할때 스위치 SW3가 즉시 접점 C2에서 접점 C3로 변환된다. 스위치 SW3의 이러한 변환상태는 제17(d)도[t12]에서 레벨 "1"에서 레벨 "0"으로의 레벨변화로써 도시된다.
쟈켓(12)이 고정기구(19 : 제6도)의 위치에 도달하였을때, 스위치 SW2의 접점편 b1은 접점 b3로 접속된다(제17(C)도 : t14). 그때에 트랜지스터 Q10는 턴온되도록 트리거되고, 트랜지스터 Q9는 턴오프된다. 트랜지스터 Q10가 턴온되면, 증폭기(106)의 비반전 입력단자는 레벨 "0"으로 유지된다. 또한 그 출력신호 E4로 레벨 "0"으로 된다.
트랜지스터 Q10가 턴온되므로, 순방향 바이어스 전압이 다이오드 D1에 인가되어 턴온된다. 그때에 트랜지스터 Q4가 턴오프되고 +B2선의 정전압은 트랜지스터 Q2 및 저항 R13을 통해 증폭기(105)의 비반전 입력단자로 공급된다. 동시에, 트랜지스터 Q1가 도통되므로써 증폭기(105)의 반전 입력단자는 레벨 "0"으로 설정된다. 실제 +B1선의 전압과 동일한 모터 구동전압 E3은 증폭기(105)의 출력단자에 나타난다. 그때, 트랜지스터 Q5는 턴온되고 트랜지스터 Q6는 턴오프된다. 모터 구동전류 Ⅰ1가 모터(75)로 흐른다(제17(b)도: t14~t18).
자동 로딩기구는 모터 구동전류 Ⅰ1가 모터(75)로 흘러들어갈때 쟈켓(12)이 언로딩, 뽑아내는 방향으로 이송되도록 구성된다.
제17(C)도의 레벨 "1"은 스위치 SW2가 접점 b3의 한편에 연결되었을 때의 상태에 해당한다. 쟈켓(12)의 이송동작이 언로딩 방향으로 시작되면, 스위치 SW2는즉시 접점 b3에서 접점 b2로 변환된다(제17(C)도 : t16).
이 상태에서도 플립플롭 트랜지스터 Q9과 Q10의 쌍안정 작동에 따라서, 트랜지스터 Q10는 도통상태로 유지된다. 고로, 트랜지스터 Q9는 차단상태로 되고, 모터 구동전류 Ⅰ1가 계속 흐른다. 쟈켓(12)이 롤러(제6도의 54 및 55)에서 일탈되면 스위치 SW3는 접점 C2의 한편으로 변환된다(제17d도: t18). 그러면 다이오드 D1를 통한 바이패스 회로가 차단되고, 트랜지스터 Q4가 턴온된다. 증폭기(105)로 부터의 출력신호 E3는 레벨 "0"으로 하강되고, 모터(75)는 정지된다. 상기 상태가 이루어질때, 쟈켓(12)은 사용자의 손에 의해 빼내어 질수 있게 된다. 그러면 스위치 SW1는 접점 a3에서 a2로 변환된다(제17a도 : t20)또한 트랜지스터 Q9가 턴온되고, 트랜지스터 Q10는 턴오프되며, 회로의 다른 소자들도 쟈켓(12)의 삽입이전의 상태로 되돌아 간다.
제18도는 제16도의 수장된 회로를 도시한다. 제16도의 증폭기(104)로 부터의 에러신호 E2는 연산증폭기(120)의 비반전 입력단자로 인가된다. 증폭기(120)의 출력단자는 저항 R120을 통해 그 반전 입력단자로 결합된다. 반전 입력단자는 자항 R122을 통해 접지된다. 증폭기(120)의 출력단자는 저항 R124을 통해 NPN 트랜지스터 Q120의 콜렉터로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120의 에미터는 접지되고 그 콜렉터는 NPN 트랜지스터 Q122의 베이스에 연결된다. 트랜지스터 Q122의 에미터는 다이오드 D122의 애노우드-캐소우드를 통해, 또 다이오드 D124의 캐소우드-애노우드 통로를 통해 NPN 트랜지스터 Q124의 에미터로 결합된다. 제15도의 지시발생기(24)로 부터의 제1지시신호 S1는 저항 R126을 통해 트랜지스터 Q120의 베이스로, 또 저항 R128을 통해 트랜지스터 Q124의 베이스로 인가된다.
소자 Q120~Q124, R124~R128 및 D122~D124는 제11도의 스위치 26X를 구성한다.
다이오드 D122 및 D124의 접합점은 스위치 SW1를 통해 PNP 트랜지스터 Q130 및 Q140의 에미터로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130의 베이스는 저항 R130을 통해 트랜지스터 Q140의 콜렉터로, 저항 R132을 통해 그 에미터로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140의 베이스는 저항 R140을 통해 트랜지스터 Q130의 콜렉터에, 저항 R142을 통해 그 에미터에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130 및 Q140의 콜렉터는 저항 R134 및 R144을 통해 각각 NPN 트랜지스터 Q150 및 Q160의 콜렉터로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150 및 Q160의 에미터는 접지되었다. 트랜지스터 Q150의 베이스는 저항 R150을 통해 트랜지스터 Q160의 콜렉터로 결합되고, 저항 R152 및 커패시터 C150의 병렬회로로 통해 접지되었다. 트랜지스터 Q160의 베이스는 저항 R160을 통해 트랜지스터 Q150의 콜렉터에 결합되고, 저항 R162 및 커패시터 C160의 병렬회로를 통해 접지된다. 트랜지스터 Q160의 베이스는 스위치 SW2를 통해 접지로 결합된다.
트랜지스터 Q160의 콜렉터는 직류모터(75)의 한 단자로 저항 R175을 통해 결합된다. 다른 한 단자는 스위치 SW3를 통해 트랜지스터 Q150의 콜렉터로 결합된다. 다이오드 D175는 병렬로 스위치 SW3와 결합되고 다이오드 D175의 캐소우드가 모터(75)쪽으로 향하여 배치된다.
제18도의 회로는 다음과 같이 동작된다. 지시신호 S1의 논리레벨이 "0"이면, 트랜지스터 Q120와 Q124는 턴오프되고 트랜지스터 Q122는 인에이블된다. 그때에 트랜지스터 Q122는 그 베이스에서 증폭기(120)의 출력단자에서의 정서어보 제어신호 E120을 수신하고, 또 트랜지스터 Q122는 다이오드 D122의 캐소오드에서 모터(75)의 트랜지스터 브리지회로(모터 기동제어회로)22X를 동작시키기 위해 구동신호 E26X를 공급한다. 이 경우에, 트랜지스터 Q122는 에미터 폴로워로서 동작하며, 신호 E26X의 전위는 에러신호 E2의 전위에 해당한다. 스위치 SW1와 SW3가 ON이고 트랜지스터 Q130 및 Q160가 턴온될때, 모터(75)의 전방향 서어보 제어가 수행되어 진다(표 Ⅰ의 모우드 A)스위치 SW2가 임시로 턴온되고 트랜지스터 Q140 및 Q150의 역시 턴온되면 모터(75)의 역방향 서어보 제어가 수행된다(표 Ⅰ의 모우드 B).
지시 S1의 논리레벨이 "1"로 되면, 트랜지스터 Q120 및 Q124가 턴온되며, 트랜지스터 Q122는 디신 인에이블 된다.
이 경우 구동신호 E26X의 전위는 +B1선의 고정전위에 해당하며, 트랜지스터 브리지 회로는 신호 E26X의 고정전위에 의해서 활성화 된다. 그러면 회로(22X)의 동작은 제17도에 도시한 바와같은 스위치 SW1~SW3의 ON/OFF 동작에 의해 조정되며, 픽업(10X)의 전방향 또는 역방향 빠른 이송(표 Ⅰ의 모우드 C 또는 D)이 수행된다.
상술한 바와같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아암 이송기구와 자동 로딩기구를 구동하기 위해 오로지 하나의 모터(75)를 구비한 모터 구동장치를 제공한다.
본 실시예의 회로구성은 오로지 종래 회로에 약간의 소자들을 부가한 것으로 충분하다. 그래서 본 발명은 플레이어 몸체의 크기를 괄목할만큼 축소시킬 수 있고 본 장치의 생산가를 저감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은 상술한 실시예에 제한받지 않으며 본 발명의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경이나 수정이 가능하다. 더우기, 본 발명은 재생스타일러스의 트랙킹 위치가 모터(75)의 회전속도와는 다른 정보에 의해 제어되는 장치에 유사하게 적용시킬 수 있다. 더우기 본 발명은 스위치 SW3를 구비하지 않는 장치에서 적용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은 본 출원서에 발표된 것과 다른 어떠한 구성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그 예로써 다음의 출원서에 발표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다.
(1) 미국특허 출원번호 제304,886호(1981. 9. 23출원).
명칭 : "자동 로딩장치"
발명자 : 후쿠미쓰
(2) 미국특허 출원 제341,626호(1982. 1. 22출원)
명칭 : "모터 구동장치"
발명자 : 다나까
(3) 미국특허 출원 제401,712호(1982. 7. 26출원)
명칭 : "디스크 재생장치"
발명자 : 후꾸미쓰
(4) 미국특허 출원 제423,724호(1982. 9. 27출원)
명칭 : "디스크 재생장치"
발명자 : 후꾸미쓰
상기 출원서의 발표 내용들은 본 출원서에서 결합되었다.

Claims (5)

  1. 픽업과 픽업의 위치를 이동시키기 위한 픽업 이동기구와 포장된 디스크를 디스크 플레이어 내로 로딩시키기 위한 자동로딩 기구를 포함하는 디스크 플레이어를 위한 모터 구동장치에 있어서, 상기 모터 구동장치는 상기 픽업 이동기구와 자동 로딩기구를 기동하기 위한 모터와, 픽업의 트랙킹 서어보 제어가 상기 픽업 이동기구에 의해 이루어지도록 상기 픽업의 위치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을 서오보 제어하기 위하여 상기 픽업 이상기구와 상기 모터에 결합된 트랙킹 서어보 제어회로와 : 상기 디스크 쟈켓의 위치를 감지하도록 상기 자동 로딩기구로 결합된 쟈켓위치 센서와 : 상기 쟈켓의 자동로딩이 수행되도록 쟈켓의 위치에 따라 상기 모터의 회전을 제어하기 위해 상기 위치센서와 상기 모터로 결합된 모터 기동제어기와 : 상기 서어보 제어회로와 기동 제어기중의 하나를 선택적으로 상기 모터로 연결시키기 위해 상기 서어보 제어회로와 상기 기동제어기로 결합된 작동지시기를 포함하고, 상기 트랙킹 서어보 제어는 상기 작동 지시기가 상기 서어보 제어회로를 상기 모터로 연결시킬때에 유효하고, 쟈켓의 자동로딩은 상기 작동지시기가 상기 모터 기동제어기를 상기 모터로 연결시킬 때에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모터 구동장치는 상기 픽업의 위치가 변화되도록 상기 모터의 회전을 비서어보 제어하기 위해 상기 모터에 결합된 픽업 이송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작동지시기는 상기 서어보 제어회로와 픽업 이송수단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픽업 이송수단과 상기 서어보 제어회로에 결합된 서어보 선택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픽업의 비서어보 이동을 오직 상기 픽업 이송수단이 상기 서어보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만이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모터 구동장치는 상기 트랙킹 서어보 제어의 제어신호 극성을 변환하기 위해 상기 서어보 제어회로와 상기 모터와 결합된 극성 변환회로를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극성 변환회로의 제1의 극성은 상기 모터의 시계방향 회전제어에 사용되고, 제2의 극성은 상기 모터의 반시계 방향의 회전제어에 사용되며, 상기 작동지시기는 시계방향 회전제어와 반시계방향 회전제어의 극성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극성 변환회로에 결합된 극성 선택수단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극성 변환회로는 상기 모터로 인가된 전원의 직류극성을 변환하기 위해 상기 서어보 제어회로와 상기 모터로 결합된 직류 극성 변환회로와 :
    상기 트랙킹 서어보 제어에 사용되는 전원의 교류위상 극성을 변환하기 위해 상기 서어보 제어회로와 상기 모터에 결합된 교류 극성 변환회로를 포함하고,
    상기 극성 선택수단은 상기 시계방향 회전제어가 수행될 때 직류전원의 제1의 극성과 교류전원의 제1의 위상 극성을 선택하며,
    상기 반시계방향 회전 제어가 수행될 때 직류전원의 제2의 극성과 교류전원의 제2의 위상 극성을 선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모터 구동장치는 상기 트랙킹 서어보 제어에 사용되는 전원의 교류 위상 극성을 변환하기 위해 상기 서어보 제어회로에 결합된 교류 극성 변환회로와 :
    상기 모터에 인가된 전원의 직류 극성을 변환하기 위해 상기 교류 극성 변환회로와 상기 모터에 결합된 직류 극성 변환회로와 :
    상기 픽업의 위치가 변화하도록 상기 모터 회전의 비서어보 저어를 위해 상기 직류 극성 변환회로와 결합된 픽업 이송수단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작동지시기는 상기 서어보 제어회로와 픽업 이송수단 중의 하나를 선택하기 위해 상기 픽업 이송수단과 상기 서오보 제어회로에 결합된 서오보 선택수단을 포함하며, 픽업의 비서어보 이송은 단지 상기 픽업 이송수단이 상기 서오보 선택수단에 의해 선택되었을 때만이 유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모터 구동장치.
KR1019830002333A 1982-05-27 1983-05-27 모터 구동장치 KR86000123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57090071A JPS58205952A (ja) 1982-05-27 1982-05-27 モ−タ駆動装置
JP90071 1982-05-27
JP57-90071 1982-05-27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40004979A KR840004979A (ko) 1984-10-31
KR860001234B1 true KR860001234B1 (ko) 1986-08-30

Family

ID=1398829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30002333A KR860001234B1 (ko) 1982-05-27 1983-05-27 모터 구동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4507771A (ko)
JP (1) JPS58205952A (ko)
KR (1) KR860001234B1 (ko)
DE (1) DE3319126A1 (ko)
GB (1) GB2121989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9112356U (ja) * 1983-01-18 1984-07-28 日本ビクター株式会社 回転記録媒体再生装置
US4723185A (en) * 1983-09-17 1988-02-02 Canon Kabushiki Kaisha Recording and/or reproducing apparatus
JPS6089654U (ja) * 1983-11-24 1985-06-19 パイオニア株式会社 フロントロ−デイングデイスクプレ−ヤ
US4679182A (en) * 1984-09-14 1987-07-07 Nippon Gakki Seizo Kabushiki Kaisha Disc playback device
JPS6182366A (ja) * 1984-09-29 1986-04-25 Sony Corp デイスク自動着脱装置
KR900002980B1 (en) * 1985-01-23 1990-05-03 Sanyo Electric Co Disc player
NL8500594A (nl) * 1985-03-04 1986-10-01 Philips Nv Platenspeler met een laadmechanisme voor het laden van een plaat.
EP0951020B1 (en) * 1985-07-03 2003-04-02 Pioneer Electronic Corporation Record information reproducing method with content identifiers
JPS62158680U (ko) * 1986-03-25 1987-10-08
GB2251116B (en) * 1990-12-21 1994-09-07 Tanashin Denki Co Reproducing and driving unit of a device for reproducing the data recorded in a disk record
JP3609952B2 (ja) * 1999-02-01 2005-01-12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光ディスク装置
JP4054133B2 (ja) * 1999-05-25 2008-02-27 クラリオン株式会社 ディスクプレー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27697A (en) * 1971-05-03 1974-08-06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Automatic record player
JPS5744536Y2 (ko) * 1975-10-23 1982-10-01
JPS57186260A (en) * 1981-05-09 1982-11-16 Toshiba Corp Cartridge engaging devic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3319126C2 (ko) 1987-04-23
GB2121989B (en) 1985-12-24
DE3319126A1 (de) 1983-12-01
JPS58205952A (ja) 1983-12-01
KR840004979A (ko) 1984-10-31
GB8314224D0 (en) 1983-06-29
US4507771A (en) 1985-03-26
GB2121989A (en) 1984-01-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860001234B1 (ko) 모터 구동장치
KR890004760B1 (ko) 디스크 구동장치
KR920001128B1 (ko) 복합형 오디오 기기의 녹음회로
JPH06302096A (ja) ディスクプレーヤーの駆動装置
JP2733398B2 (ja) 光ディスク装置
JPS6211434B2 (ko)
JPH0316105Y2 (ko)
JP2872508B2 (ja) 光ディスクプレーヤの光ピックアップ送り装置
JPH0917106A (ja) ディスク判別装置
JPH11296946A (ja) 光ディスク装置
JPS5845657A (ja) 円盤状情報記録媒体の支持体の昇降制御回路
JPH0316108Y2 (ko)
JPH0415535B2 (ko)
JPS6220614B2 (ko)
KR900004309B1 (ko) 더블데크 카세트 테이프 레코더의 자동페이드 인 더빙 제어장치
JPH0722760Y2 (ja) 記録媒体の選択装置
JP2656809B2 (ja) ディスクプレーヤ
JP3849258B2 (ja) チェンジャ装置
KR920022956A (ko) 광 디스크 재생장치에 있어서 광 픽업위치 제어회로
JPH07130040A (ja) 記録及び/又は再生装置
JPS6232533B2 (ko)
JPS6144269Y2 (ko)
JPS6232363Y2 (ko)
JP2553878Y2 (ja) トレー開閉回路
JPH0451913B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60 Decision to publish patent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19871210

Year of fee payment: 5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