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830000422B1 - 박리 가능한 패킹을 구비한 용기뚜껑 - Google Patents

박리 가능한 패킹을 구비한 용기뚜껑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830000422B1
KR830000422B1 KR1019800000599A KR800000599A KR830000422B1 KR 830000422 B1 KR830000422 B1 KR 830000422B1 KR 1019800000599 A KR1019800000599 A KR 1019800000599A KR 800000599 A KR800000599 A KR 800000599A KR 830000422 B1 KR830000422 B1 KR 83000042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acking
coating
acid
peel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198000005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모도 고오 구니
이사오 이찌노세
노보루 스즈끼
후미오 모리
Original Assignee
닛본 크라운 콜크 가부시기 가이샤
후지에 산지로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닛본 크라운 콜크 가부시기 가이샤, 후지에 산지로오 filed Critical 닛본 크라운 콜크 가부시기 가이샤
Priority to KR10198000005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83000042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83000042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830000422B1/ko

Links

Images

Landscapes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내용 없음.

Description

박리 가능한 패킹을 구비한 용기뚜껑
제1도는 본 발명의 용기뚜껑의 1예의 요부단면도.
제2도는 본 발명의 용기뚜껑의 다른 예의 요부단면도.
제3도는 제1도의 용기뚜껑의 패킹의 박리 진행상태의 설명도.
제4도는 제1도의 용기뚜껑의 평면도.
제5도는 본 발명의 용기뚜껑에 있어서의 도료층의 다른 배치를 표시하는 단면도.
제6도는 제5도의 용기뚜껑의 패킹의 박리진행 상태의 설명도.
본 발명은 박리가능한 패킹을 구비한 용기뚜껑에 관하여, 보다 상세하게는 용기뚜껑 껍질체에서, 패킹과 함께 도막(塗膜)이 박리되고, 그 결과 현상 마이크를 표시하는 인쇄층이 패킹쪽에 완전한 형태로 옮겨가도록한 구성의 용기뚜껑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용기뚜껑 껍질체와 라이너가 박리될 수 있을 정도로 밀착된 용기뚜껑은, 병에 넣은 제품등의 현상판매의 경우에 필요하게 된다. 즉, 왕관, 기타의 용기뚜껑 등의 밀봉 재료로서는, 금속 시이트에 표면 보호 도료를 도포한 것을, 왕관셀, 캡셀 등의 형태로 성형시키고, 이 성형물의 내면에 패킹을 접합시킨 것이 널리 사용되고 있으나, 병에 넣은 음료등의 현상부 판매에 있어서는, 병 제품의 구입자등이 소정매수의 패킹 혹은 당첨된 것이 명백한 패킹을 우송하고 혹은 판매점으로 지참하였을 경우에, 이것과 인환하여 상품을 발송하고 혹은 수교하는 시스템이 일반적으로 채용되고 있다.
이와 같은 현상부 판매용의 왕관 혹은 캡등의 제조에는, 패킹이 왕관셀 혹은 캡등으로부터 용이하게 박리될 수 있는 것이 필요한 조건으로 되나, 이와 동시에 왕관 혹은 캡등의 제조공정, 수송시 혹은 병제품의 타전(打栓) 공정에 있어서 패킹이 왕관셀 혹은 캡셀에서 이탈하지 않을 정도로 접착되어 있을 것, 및 왕관셀 혹은 캡등이 부식 경향이 강한 내용 음료등에 대하여 충분한 내부식성을 가지고, 또한 크림핑(Crimping) 로올온(roll on)등의 가공에 견디어낼 수 있는 것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내용 음료등이 직접 접촉하는 패킹 표면에 인쇄하는 것은 위생적인 견지에서 보아, 도저히 불가능함과 동시에, 패킹 그 자체가 일반적으로 유동성이 있는 상태로 왕관셀 혹은 캡등의 내면에 베풀어지는 점으로 보아서, 왕관셀 혹은 캡의 내면에 베풀어진 잉크층이 패킹을 벗길때에, 패킹에 부착된 상태로 옮겨지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종래 이와 같은 현상부 판매용의 왕관등으로서는, 용기뚜껑 껍질체와 패킹을, 박리가능한 도막-도막계면을 사이에 두고 접합된 것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와 같은 종래의 왕관은 어느 것이나 뚜껑체의 수송내지 타전 조작중의 진동등에 의한 라이너의 탈락방지나 불충분한 밀봉성을 피한다고 하는 이유에서 어느정도의 접착력으로 접착되어 있는 것 및 상기한 도막-도막계면에서의 박리를 행하기 위하여는, 먼저 한편쪽의 도막의 파단을 행할 필요가 있고, 또한 이 도막의 파단에 상당히 큰 힘을 요한다고 하는 것과 관련하여, 한편의 도막이 패킹쪽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로 박리를 행하는 것, 즉 현상 마이크를 표시하는 인쇄잉크층을 완전한 형태로 패킹쪽에 옮기는 것이 종종 곤란하게 된다고 하는 결점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용기뚜껑 껍질체와 패킹이 박리가능한 도막-도막계면을 사이에 두고 접합된 용기 뚜껑에 있어서, 패킹의 박리개시 부분에서 한편의 도막의 파단이 용이하게 진행되고, 그 결과 현상 마이크를 표시하는 잉크층이 그것을 피복하는 도료층과 함께 완전한 형태로 패킹쪽에 옮겨지는 용기뚜껑을 제공하는데에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용기뚜껑 껍질체와 패킹과의 우발적인 박리가 방지되고, 또한 필요할때에는 패킹의 용기뚜껑 껍질체로부터의 박리가, 별다른 기구를 사용할 필요없이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는 패킹부 용기뚜껑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용기뚜껑 껍질체와, 상기 껍질체의 정판부(頂板部)에 마련된 다수 종류의 도막층을 사이에 두고 접착된 패킹으로된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패킹은 박리 개시 부분을 가지고 상기 다수 종류의 도막층간에는, 패킹과 최상층 도막과의 박리강도 보다도 작은 박리강도를 나타내는 박리성 계면이 형성되고, 상기 박리성 도막층간 계면은, 박리개시부분에 대응하는 구역내지는 여기에 근접된 구역의 박리 강도가 그 이외의 구역의 박리강도보다도 적게 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하는 박리가능한 패킹을 구비한 용기뚜껑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특히 가장 적합한 용기뚜껑에 있어서는, 상기 박리성 도막층간 계면은, 탄화수소 수지 내지는 탄화수소 수지 조성물로서 된 제1의 도료층과 에폭시계 수지를 함유하는 제2의 도료층과의 사이에 형성되고, 상기 박리 개시부분 대응구역의 제1의 도료층은 실질상으로 미변성의 탄화수소수지 내지는 탄화수소 수지 조성물로서 형성되고, 그 이외의 구역의 제1의 도료층은 0.1 내지 20의 산가(酸價)를 가지는 변성 탄화수소 수지 내지는 변성 탄화수소 수지 조성물로서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을 첨부한 도면에 표시하는 구체예에 의거하여 다음에 상세하게 설명한다.
용기뚜껑의 단면구조를 표시하는 제1도에 있어서, 석도금강판, 틴플리스틸(전해크롬산 처리 강판), 알루미늄과 같은 금속기체(1)의 적어도 안표면에는, 소망에 의하여, 그 자체가 공지의 보호도료층(2)이 베풀어진다. 이 도장 금속판의 라이너가 베풀어지게 될 면에는, 베풀어지는 라이너에 대략 동등한 지수 및 형상으로 박리성 계면을 형성하는 제1의 도막층(3a), (3b)가 부분적으로 베풀어진다. 이 제1의 도료층(3a)(3b) 위에는, 박리성 계면을 형성하는 제2의 도막층(4)이 전면에 걸쳐서 베풀어져 있고, 이 제2의 도막층(4) 위에는, 상기 부분 피복층(3a), (3b)에 대응하는 위치에, 현상등의 마아크를 표시하는 인쇄잉크층(5)이 마련되고, 그 위에 점착성 도료층(6)이 마련되어 있다.
이 도장 금속판은 도시되어 있지 않으나, 그 자체 공지하는 바와 같이, 예를들면 원형의 정판부와 스커어트부에 펀칭성형 혹은 죄임성형되어 있다.
이 용기뚜껑 껍질체의 정판부(7)에는 합성 수지제의 패킹(9)이 베풀어지고, 이 패킹(9)은 접착성 도료층(6)을 사이에 두고 껍질체에 접착되어 있다. 패킹(9)은, 용기(병) 구부(도시하지 않음)에의 밀봉에 바람직한 두꺼운 부분 내지는 외주부분(10)을 가지고 있을 수가 있다.
제4도에 표시하는 바와 같이, 이 패킹(9)의 중앙부분(13)에는 완전 절단선 내지는 파단 가능한 약화선(11)을 사이에 두고 구획되고 또한 두꺼운 외주분(10)에 연결되는 박리용 태브(tab)(12)를 마련한다.
이 명세서에 있어서, 완전 절단성이란 태브(12)와 기타의 중앙부분(13)을 구획하는 선이 접착성 도료층(6)에 이르도록 완전하게 끊겨진 선을 의미하고, 약화선이란, 이 구획선에 따라서 용이하게 파단이 생기도록, 스코어 혹은 바늘구멍 내기 내지는 이들의 짜맞춤등에 의하여, 구획선이 약화된 선을 의미한다.
박리태브(12)는, 라이너 중앙부분에 비하여 비교적 짧은 폭에서의 박리가 가능하고 또한 라이너 전체의 박리에 있어서 손가락으로 집는데에 충분한 크기를 가지는 것이면 된다. 이렇게 하여서 박리태브(12)를 구획하는 선(11)은, V자형, U자형, ㄷ자형, S자형, Z자형 등의 임의의 형태를 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기뚜껑에 있어서, 태브(12)의 최초의 박리개시를 유효하게 행하기 위하여 태브(12)의 선단부에 정판에 대하여 직각방향으로 돌출한 노브(nob)(14)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이 노브(14)를 손끝내지는 손톱으로 태브(12)를 벗기는 방향(제4도에 있어서의 화살표 방향)으로 밀면, 이 노브(14)가 일종의 지렛대가 되어서 후기하는 접착계면에서의 박리가 용이하게 진행하게 된다. 노브(14)의 형상은, 원주형, 반원주형, 각주형 등의 임의의 형상이라도 좋으나, 성형 작업성(이형성(離型性))의 점에서는 절두원추형의 형상을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태브(12)가 끊어지는 일없이, 그 박리를 유효하게 행할 수 있도록, 상기 구획선(11)의 안쪽에는, 두꺼운 외주부분(10)쪽으로 연장되어 있는 비교적 두꺼운 보강 리브(15)를 마련할 수가 있다. 또 도면에 표시하는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노브(14)도 보강 리브로서의 역할을 가진다. 또한 구획선(11)이 약화선일 경우, 상기 보강리브(15)를 마련하면, 태브(12)를 벗기는데에 수반하는 라이너의 파단이 약화선 부분에만 생기고, 이 약화선 부분을 벗어난 태브의 부분에서 파단이 생기지 않도록 할 수가 있고, 이 안쪽 리브(15)와 협동하여서 우발적인 파단으로부터 약화선을 보호하고 또한 박리시에 있어서 약화선 부분에서의 파단을 확실하게 하도록 약화선의 바깥쪽에도, 여기에 따라서 두꺼운 보강리브(15)를 마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중요한 특징은 패킹(9)에 박리개시부분, 즉 태브(12)의 선단부를 형성시킴과 동시에, 다수종류의 도막층을, 상기 패킹(9)에 최상층도막(6)과의 박리 강도보다도 작은 박리강도를 나타내는 박리성 도막층간계면(3), (4)를 가지도록 형성하고, 상기 박리성 도막층간 계면을, 상기 박리개시 부분에 대응하는 구역(3a) 내지는 여기에 근접된 구역이 그 이외의 구역(3b)에 비하여 박리강도가 작게되도록 구성하는 것에 있다.
이와 같은 접착구조를 사용하면, 제3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패킹(9)의 박리에 있어서, 먼저 노브(14)를 쓰러뜨리는 것에 의하여 도막(3a)와 도막(4)와의 사이에서 용이하게 박리가 생기고, 이어서 노브(14)를 잡아당기면 도막(3a)와 패킹(9)과의 사이에서 도막(6) 및 (4) 및 패킹 약화선(11)의 파단이 용이하게 행하여지고, 최후에 도막(4)와 도막(3b)와의 사이에서 박리가 행하여 지게 된다.
이렇게 하여서 도막(6) 및 (4)는 패킹(9)에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 박리가 행하여지고, 이들 도막사이에 있는 인쇄잉크층(5)도 완전한 형태로 패킹(9)에 옮겨지게 된다.
박리성 계면을 구성하는 제1의 도막(3)과 제2의 도막(4)와의 사이에 강접착구역(3b)만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패킹(9)의 박리개시부분에서만 도막(6) 및 (4)의 파단을 행하는 것이 곤란하게 되고, 이들 도막의 파단은 패킹의 박리진행에 따라서 랜덤한 위치에서 생기게 되고, 그 결과로서 인쇄잉크층(5)을 완전항 형태로 패킹(9)에 옮기는 것이 곤란하게 된다.
한편, 박리성 계면을 구성하는 도막(3)과 (4) 사이에 비접착내지는 약 접착구역(3a)만이 형성되어 있을 경우에는, 패킹 9의 압압성형 내지는 접착조작시, 혹은 용기뚜껑의 취급시에, 패킹(9)이 용기뚜껑 껍질체에서 우발적으로 탈락하는 경향이 크게 된다고하는 치명적인 결함이 생긴다. 또한 패킹층(9)과 최상층 도막(6)과의 박리강도를, 도막(3a), (3b)와 도막(4)와의 박리강도보다도 크게하여 놓는 것은 현상 마이크를 보다 넓은 면적에 인쇄하여 전사 가능하게 하고, 또 박리를 할때에 인쇄 잉크층을 완전히 패킹층(9)에 옮기게 하고, 또한 패킹 박리후의 러시일(reseal) 용기뚜껑에 있어서의 더스팅의 문제를 해소하는데에 효과를 가져온다.
본 발명에 있어서, 도막층간 박리성의 제어는 상기한 탄화수소 수지도료와 에폭시 수지 도료와의 짜맞춤을 사용하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 가장 적합한 상태에 있어서는, 부분 피복층(3a)을 구성하는 수지로서는, 상기한 견지에서, 또 인쇄작업성등의 점에서, 연화점(환구법)이 180℃이하, 특히 120℃이하인 탄화수소수지 혹은 천연수지가 가장 적합하게 사용되고, 특히 석유수지, 크마론인덴수지, 테르펜수지, 로진, 로진에스테르, 로진변성 수지 등이 좋다.
석유수지로서는, 시클로펜타디엔 혹은 고급 올레핀계 탄화수소(일반적으로 C5내지 C11)등의 석유계 불포화 탄화수소를 주원료로하고 이들을 촉매의 존재하에 가열 중합하여서 얻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으나, 이들의 어느 것이라도 피복층(3a)용의 수지로서 가장 적합하게 사용할 수가 있다.
크마론인덴 수지로서는, 크마론 및 인덴등을 주체로하는 타르유분(溜分)(일반적으로 160-180℃)을 열 혹은 촉매의 존재하에 중합시킨 비교적 저중합도의 것이 알려져 있고, 동일하게 사용할 수 있다. 테르펜수지로서는 테르펜 탄화수소인 합성 혹은 천연의 중합체, 특히 테레핀유 혹은 노피넨류분을 촉매의 존재하에 중합시켜서 얻어지는 수지가 사용된다. 또 로진고무, 우드로진등의 소위 생로진외에, 로진중의 아비에틴산을 에스테르화 하여서 얻어지는 로진 에스테르, 예를들면 로진의 글리세린에스테르(에스테르고무), 아비에틴산 디에틸렌 글리콜, 2-히드로아비에틴산 디에틸렌 글리콜, 로진의 모노에틸렌 글리콜에스테르로진의 펜타 에리스리토르에스테르등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들 로진은 그 자체 공지의 열경화성 수지등으로 변성시켜서 사용하여도 된다.
강접착 구역을 형성하는 부분피복층(3b)로서는, 산가가 0.1-20 특히 1.0-10.0의 범위에 있는 산변성 탄화수소수지 혹은 산변성 탄화수소 수지 조성물을 사용한다.
산변성 탄화수소수지로서는, 상기한 탄화수소 수지를 불포화 카본산 내지는 그 무수물과 반응시켜서 얻은 산변성 탄화수소수지 내지는 산변성 탄화수소수지를 알코올과 부분적으로 반응시켜서 얻은 부분 에스테르 변성 탄화수소수지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이들 탄화수소수지와 반응시키는 에틸렌계 불포화 카본산 내지는 그 무수물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마레인산, 마레인산 모노메틸에스테르, 프말산, 프말산모노에틸에스테르, 크로톤산, 이타콘산, 시트라콘산, 5-노르보르넨-2,3-디카르본산 등의 산단량체나 무수말레인산, 무수시트라콘산, 무수이타콘산, 5-노르보르넨-2,3-디카본산무수물, 테트라히드로무수프탈산 등의 산무수물 단량체가 단독으로 혹은 2종류 이상의 짜맞춤으로 사용된다.
또한 산단량체로서, 불포화수지산, 예를들면 올레인산, 리놀산, 리놀렌산, 혹은 면실유, 아마인유, 홍화유, 대두유, 탈수피마자유, 토올유 등의 건성유에서의 지방산을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이들의 산내지는 산무수물 단량체는, 다른 단량체, 예를들면 아크릴산에틸, 메타크릴산메틸, 아크릴산2-에틸헥실, 말레인산모노 또는 디에틸, 초산비닐, 프로피온산비닐, 아크릴아미드, 메타크릴아미드, 말레이미드, 아크롤레인, 메타크롤레인, 비닐메틸케톤, 비닐부틸케톤, 아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γ-히드록시메타크릴산프로필, β-히드록시아크릴산에틸, 비닐메틸에테르, 비닐에틸에테르, 아릴에틸에테르, 글리시딜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글리시딜비닐에테르 등과의 짜맞춤으로 사용할 수도 있다.
사용하는 산 내지는 산무수물 단량체의 양은, 탄화수소수지중에 최종적으로 상기한 범위의 산가가 부여되는 것이면 된다.
이들 단량체와 탄화수소수지는, 용융계, 용액계 혹은 고기(固氣) 내지는 고액불균질계에 반응시킬 수가 있다.
양자의 부가반응 내지는 그래프트 반응은, 가열에 의하여 개시할 수도 있고, 예를들면 용융계의 반응에서는 무촉매라도 충분히 반응이 진행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물론, 래디칼(radical) 개시제나 기타의 래리칼개시 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개시제로서는, 디크밀퍼옥시드, t-부틸히드로퍼옥시드, 디벤죠일퍼옥시드, 디타우로일퍼옥시드 등의 유기 과산화물이나, 아조비스이소부틸로니트릴, 아조비스이소프로피오니트릴 등의 아조니트릴유등의 그 자체공지의 촉매량으로 사용된다. 래디칼 개시 수단으로서는, X-선, γ-선, 전자선 등의 이온화방사선, 자외선 혹은 자외선과 증감제와의 짜맞춤, 혼련(混練)이나 초음파조사 등의 기계적 래디칼 개시수단등이 사용된다.
예를들면, 균일 용액계의 반응에서는, 탄화수소수지, 단량체 및 개시제를 톨루엔, 키실렌, 테트라린 등의 방향족 용매에 용해시켜서 그래프트를 행하고, 생성되는 변성 탄화수소수지를 침전으로서 회수한다.
또 불균일계의 반응에서는 탄화수소수지의 분말과 단량체 혹은 단량체와 희석액을, 이온화 방사선의 조사하에 접촉시켜서 그래프트를 행한다. 또한 균일 용융계의 반응에서는, 탄화수소수지, 단량체 혹은 다시 소망에 의하여 개시제의 혼합물을, 교반용기, 압출기 혹은 니이더 등안에서 용융혼련하여, 변성 탄화수소수지로 한다. 이들 어느 경우에도, 생성되는 변성 탄화수소수지는, 미중합의 단량체, 호모 폴리머 혹은 개시제 잔사등을 제거하기 위하여, 세정, 추출 등에 붙일 수도 있다.
이와같이 해서 얻어진 산변성 탄화수소수지를 알코올류와 부분적으로 반응시켜서, 상기한 범위의 산가를 가지는 부분 에스테르 변성 탄화수소수지로하여, 본 발명 목적에 이 형태로 사용할 수도 있다.
이 경우, 알코올류로서는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등의 1가 알코올,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글리세린 등의 다가 알코올을 사용할 수도 있다. 에스테르화의 조건은 그 자체 공지의 것이며, 이와같은 공지의 수단으로 에스테르화를 행하면 된다.
산변성 탄화수소수지의 다른 예로서는, 탄화수소수지를 산소 혹은 공기등의 산소함유가스로 산화시킨 것을 들 수가 있다. 탄화수소수지의 산화는, 이 수지의 용액 혹은 용액중에 상기한 가스를 불어 넣는 것에 의하여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최종 혼합물의 산가가 본 발명에서 규정한 범위내에 있는한, 상기한 방법으로 얻어지는 산변성 내지는 부분변성 탄화수소수지는, 소망에 의하여 미변성의 탄화수소수지와 혼합하여서 상기한 도막(3b)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형태에서는 비변성 탄화수소수지 내지는 천연수지에, 산변성 올레핀수지를, 최종혼합물의 산가가 상기한 범위가 되도록 혼합하여서, 제1의 도막형성에 사용한다.
산변성 올레핀수지로서는, 고밀도 폴레에틸렌, 아이소텍틱 폴리프로필렌과 같은 올레핀수지에, 상기한 산내지는 산무수물 단량체를 부가내지는 그래프트 반응시키는 것에 의하여 변성된 수지가 사용된다. 원료 올레핀수지로서는, 상기한 것이 적합하다. 소망에 따라서는, 중 내지 저밀도 폴리에틸렌이나 결정성의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사용할 수 있다. 부가내지 그래프트반응의 조건은, 변성 탄화수소수지의 경우와 동일하므로 여기에서는 특히 기술하지 않는다. 산 또는 산무수물로 변성시킨 올레핀수지를 사용하는 대신에 산화폴리에틸렌, 즉 폴리에틸렌을 용융상태 내지는 용액상태에서 분자형상 산소등에 의하여 산화시켜서 얻어지는 산소함유 폴리에틸렌을 사용할 수도 있다.
이들 산변성 올레핀수지 내지는 산화폴리에틸렌(B)는 탄화수소수지 내지는 천연수지(A)에 대하여,
A : B=99.5 : 0.5 내지 40 : 60
특히 98 : 2 내지 50 : 50의 중량비가 되도록 혼합시켜서 사용하는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한 변성 탄화수소수지 혹은 변성 탄화수소수지 조성물은, 이들 단독으로 충분히 도료층(3b)로서 사용할 수 있으나, 소망에 따라서는 전체당 20중량% 이하의 그 자체 주지의 도막형성성 베이스수지, 예를들면 페놀수지, 아미노수지, 에폭시수지, 알키드수지, 로진류, 올레오레진, 폴리아미드수지, 폴리에스테르수지, 비닐수지 등과의 짜맞춤으로 도료층(3b)으로 하여서 사용할 수가 있다.
또한 도료층(3a)로서, 미변성의 탄화수소수지 내지는 천연수지를 사용하는 대신에 도료층(3b)을 구성하는 산변성 탄화수소수지보다도 변성도가 낮은 산변성 탄화수소수지를 사용하고, 혹은 도료층(3b)를 구성하는 산변성 탄화수소수지 조성물보다도 산변성 올레핀수지나 산화폴리에틸렌 함유량이 적은 수지조성물을 사용할 수가 있다. 이 형태에서는 도료층(3a)와 도료층(4)와의 사이의 젖음 특성이 향상한다고 하는 이점이 있다. 물론 실질상 미변성의 탄화수소수지 조성물로서는, 미변성의 올레핀수지, 즉 왁스모양의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을 배합시킨 탄화수소수지를 사용할 수도 있다.
제2의 도료층(4)으로서는, 에폭시수지가 사용되고, 이것을 제1의 도료층(3a), (3b)와의 사이에 상기한 제어된 층간박리성을 부여함과 동시에, 이 도막은 가공성, 방식성 및 내더스트성에도 뛰어나 있다.
층(4)를 구성하는 에폭시계수지로서는, 분자내에 에폭시기를 2개이상 함유하는 고분자 화합물이나, 그 초기 반응생성물, 혹은 이들과 에폭시기에 대하여 반응성을 가지는 저분자내지는 고분자 화합물(경화제성분)과의 짜맞춤 등에 사용된다.
일반적으로는, 에피클로로히드린과 다가페놀과의 축합에 의하여 얻어진 에폭시수지가 적합하다. 이와같은 에폭시수지는, 하기식
Figure kpo00001
식중, n은 0 또는 정의 정수, 특히 12이하의 수이고, R은 다가페놀의 탄화수소 잔기이다. 로 표시되는 분자구조를 가지고 있다. 2가의 페놀(HO-R-OH)로서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 프로판[비스페놀], 2,2-비스-(4-히드록시페닐)부탄[비스페놀], 1,1'-비스(4-히드록시페닐)에탄, 비스(4-히드록시페닐)메탄[비스페놀]등의 다환페놀, 특히 비스페놀 A가 적합하나, 페놀과 포름알데히드와의 초기 축합물을 다가페놀로서 사용할 수가 있다. 에폭시 당량이 140-4000, 특히 200-2500의 범위에 있는 에폭시수지를 수지성분으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에폭시수지 성분과 짜맞추어서 사용하는 경화제로서는, 에폭시기에 대하여 반응성을 가지는 다관능성 화합물, 예를들면 다염기성산, 산무수물, 폴리아민, 폴리아마이드 등이 사용된다. 그 적당한 예는, 에틸렌디아민, 디에틸렌트리아민, 트리에틸렌트라민, 메타페닐렌디아민, 4,4'-디아미노디페닐메탄, 4,4'-디아미노디페닐설폰, 4,4'-디아미노디페닐에테르, 다이머산 폴리아미드, 아디핀산 히드라지드, 수산, 무수프탈산, 무수말레인산, 헥사이드로프탈산무수물, 피르멜리트산 2무수물, 시클로펜타디엔 메틸말레인산부가물, 도테실호박산 무수물, 디클로로말레인산 무수물, 클로렌딩산무수물 등이다.
이들 경화제는, 에폭시 수지성분 100중량부당 2 내지 150중량부(이하, % 및 부는 특기하지 않는한 중량기준으로 한다), 특히 20 내지 60중량부의 양으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적합하기는 상기한 에폭시수지 성분과 레졸형 페놀-포름알데히드수지, 요소-포름알데히드수지 및 멜라민-포름알데히드수지로서 된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열경화성수지를, 짜맞추어서 제2의 도막층(4)로서 사용한다.
양자의 비는, 넓은 범위내에서 변화시킬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5 : 95 내지 95 : 5, 특히 40 : 60 내지 90 : 10의 중량비로 짜맞추어서 사용하는 것이 좋다. 이 에폭시수지 성분과 상기 열경화성수지는 혼합시킨 상태로 도막(4)의 형성에 사용할 수 있고 혹은 예비축합시킨 상태로 도막(4)의 형성에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부분적 도막(3a) 및 (3b)의 시행은, 평판, 철판, 요판, 스크리인, 로울러 등에 의한 인쇄로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도막(3b)와 도막(4)와의 사이의 접착력을 나타내는데에 사용하는 강접착이란, 2개의 도막층이 통상 취급시에는 박리되지 않고, 한편 앙자사이의 계면에 박리개시용의 갈라진 곳이 형성될 때에는 별다른 기구를 사용하는 일없이 용이하게 박리가 진행될 정도의 접착정도를 의미하고, 일반적으로 이와같은 접착정도는 박리강도로 표시하여서 50 내지 2000g/cm의 범위에 있다.
보호피복층(2)로서는 가공성 및 내부식성의 점에서, 비닐수지, 특히(a) 염화비닐과, (b)초산비닐, 비닐알코올, 비닐아세탈,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인산, 프말산, 이타콘산, 아크릴산알킬에스테르, 메타크릴산 알킬에스테르, 염화비닐리덴 등외는 에틸렌계 불포화 단량체의 적어도 1종과의 공중합체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염화비닐(a)과 다른 메틸렌계 불포화 단량체(b)와의 조성은 여러가지로 변화시킬 수 있으나, 일반적으로 a/b=95/5=60/40, 특히 90/10-70/30의 몰비에 있는 것이 바람직하며, 또 이 비닐계수지의 분자량은 일반적으로 필름을 형성시킬 수 있는 분자량범위에 있으면 된다.
적당한 비닐계수지의 예는 염화비닐/초산비닐공중합체, 염화비닐/초산비닐공중합체 부분검화물, 염화비닐/초산비닐공중합체, 부분검화, 부분아세탈화물, 염화비닐/초산비닐/무수말레인산공중합체, 염화비닐/염화비닐리덴/아크릴산 공중합체 등이다.
기타, 에폭시수지, 아미노수지, 페놀수지, 아클릴수지, 비닐부티랄수지 등도 단독 내지는 짜맞춤으로, 혹은 다시 상기한 비닐수지와의 짜맞춤으로 사용된다.
또한 본 발명에 사용하는 모든 도료에는, 본 발명의 목적을 방해하지 않는 범위내에서 안료, 염료, 충전제, 보강제, 증점제, 감점제, 소포제(消泡劑), 레벨링(levelling)제, 활제, 가소제, 계면활성제, 산화방지제, 앤트블로킹(antiblocking)제 등의 그 자체주지의 배합제를 주지하는 처방에 따라서 배합할 수 있다.
패킹(9)로서는, 적당한 쿠션상과 밀봉성을 가지는 합성수지, 예를들면 폴리에틸렌, 에틸렌-초산비닐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올레핀계수지나 연질 염화비닐계수지등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접착도료층(6)으로서는, 올레핀계 수지라이너에 대하여서는, 산변성 올레핀수지 또는 산화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도료나 염화비닐계수지 라이너에 대하여서는 상기한 비닐수지 도료나 아크릴계수지도료가 사용된다.
패킹(9)의 성형은, 작업성의 점에서, 용기뚜껑 껍질체내에 열가소성수지를 압출하여서, 압형하는 것에 의하여 패킹형상으로서 성형과 열접착을 동시에 행하는 방법이나, 플라스티졸등의 유동성 조성물을 껍질체내에 공급하여서 원심력에 의하여 유전(流展)시켜서 원심성형하는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혹은 외부에서 열가소성수지의 디스크(disc)패킹을 형성시키고, 이것을 껍질체의 정판부에 접착시켜도 된다.
패킹(9)의 박리개시부분은, 첨부도면의 구체예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박리용 태브의 선단, 적합하기는 박리개시용 노브의 아래쪽에 마련하여도 좋고, 혹은 이와같은 태브를 가지지않는 패킹의 경우에는, 패킹의 외주부분에 마련하여도 된다.
본 발명의 용기뚜껑은, 소위 패킹부 캡의 형태로 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는, 제2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패킹(9)를 두꺼운 밀봉부(10)와 얇은 중앙부(13)로 구성하고, 이 경계에 완전절결선 내지는 파단가능한 약화선(17)을 마련하여서, 패킹 중앙부(13)만이 박리될 수 있도록하여, 패킹박리후도 캡에 리시일성을 유지시킬 수가 있다. 또 패킹 중앙부(13)가 디스크모양의 형태인채로 박리되도록, 약화선(17)의 안쪽에 보강 리브(18)을 마련할 수가 있다.
본 발명의 1개의 적합한 변형에서는, 제5도에 표시한 것과 같이 패킹(9)와 최상면 도막층, 즉 접착성 도막(6)사이의 계면에, 패킹의 박리개시부분, 즉 노브(14)에 대응하는 부분에 비접착내지 약접착구역(6a)과 그 이외의 부분에 강접착구역(6b)을 형성시키고 또한 상기 다수종류의 도막층(3) 및 (4)의 계면에, 패킹의 비접착내지 약접착구역(6a)의 패킹박리방향에 근접하여 비접착내지 약접착구역(3a)과 그 이외의 부분에 박리가능한 접착구역(3b)를 형성시킨다. 즉 이와같은 복합접착 구조를 사용하면, 제6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패킹(9)의 박리를 할때에, 먼저 노브(14)를 쓰러뜨리는 것에 의하여, 노브(14)와 도막(6)과의 사이에서 용이하게 박리가 생기고 이어서 노브(14)를 잡아당기면 패킹(9)와 도막(3a)과의 사이에서 도막(6) 및 (4)의 파단이 용이하게 행하여지고, 최후에 도막(4)와 도막(3b)와의 사이에서 박리가 행하여지게 된다. 이렇게 하여서, 도막(6) 및 (4)는 패킹(9)의 완전히 밀착된 상태에서 박리가 행하여지고, 이들 도막사이에 있는 인쇄잉크층 5도 완전한 형태로 패킹(9)에 옮겨지게 된다.
또한 이 예에서는, 박리성의 도막층간계면(3a),(3b)-(4)가 노브(14)에 대응하는 구역에는 마련돼 있지 않고, 도막(4)가 바닥칠 보호도막에 강접착되어 있기 때문에 용기뚜껑의 취급시 혹은 수송중에 있어서의 패킹(9)의 탈락을 한층 확실하게 억제할 수 있게 된다. 제5도에 표시하는 접착구조의 뚜껑을 제조하는 데에는, 패킹(9)에 대하여 접착성을 나타내지 않거나 혹은 약한 접착성을 나타내는 도료를, 패킹(9)의 박리개시부분에 마련하여서 비접착 내지는 약접착구역(6a)를 형성시킨다. 이들 접착구역(6a)와 (6b)는 각각 부분도막으로서 마련하여도, 혹은 접착구역(6b)를 강접착구역을 형성하는 도막위에 마스킹층의 형태로 마련하여도 된다.
강접착성 도료(6)가 상기한 산변성 올레핀수지나 산화폴리에틸렌을 함유하는 도료일 경우에는, 도료층 표면의 산변성 올레핀수지나 산화폴리에틸렌의 분포를 억제한 것에 의하여 강접착구역(6b)과 비접착내지 약접착구역(6a)을 형성시킬 수가 있다.
이와같은 분포제어제로서는 예를들면, 유성수지 내지 유변성수지등이 사용되고, 예를들면 제5도에 표시하는 것과 같이 패킹(9)의 박리개시부분에 대응하여, 접착 도료층(6)밑에 분포제어제층(19)을 마련하고, 산변성 올레핀수지나 산화폴리에틸렌의 도료층 표면으로의 분포를 억제하여, 비접착 내지 약접착구역(6a)이 형성되도록 한다. 도료층(3)의 비접착 내지 약접착구역(3a)은, 이 박리개시 부분의 박리방향에 인접하도록 마련되어 있으면 되고, 첨부 도면에 표시하는 구체예에서는, 패킹(9)의 비접착내지 약접착구역(6a)보다 외경이 큰 원형내지는 고리 모양의 형태로 도료층간의 비접착 내지 약접착구역(3a)가 형성되도록 한다. 물론, 패킹(9)의 박리개시를 외주에서 행할 경우에는, 도료층간의 비접착 내지 약접착구역(3a)의 내경은, 패킹(9)의 비접착 내지 약접착구역의 내경보다도 작게되는 치수로 한다.
본 발명을 다음예에서 설명한다.
[실시예 1]
두께 0.25mm의 표면처리 강판의 한쪽면(왕관의 바깥면이 되는 면)에 베이스코우트층(에폭시-아미노계도료), 인쇄, 오우버 코우트층(에폭시 에스테르계 도료)를 형성시킨후 다른 쪽면(왕관의 내면이 되는 면)에 방청바닥칠 래커로서, 비닐계도료(염화비닐, 초산비닐 공중합체 VYHH(UCC) 메틸 에틸케톤 25%용액)를 건조피막으로 3μ의 막두께로 전면로울 코우트한 후 180℃-10분간의 가열을 행하여 양면 도장판을 작성하였다. 다음에 이 방청 바닥칠 래커층위에 제1의 도막층으로서 동심원형으로 직경 6mm의 원형부분에는 탄화수소수지(상품명 래커로울(Tacky roll) 1000스미도모 화학공업제)의 케로신용액(50wt%) 2μ의 두께로 도포하고, 그 바깥쪽의 내경 6mm 외경 25mm의 부분에는 무수말레인산 첨가 가열반응에 의하여 얻어진 산변성 탄화수소수지(연화점 105℃, 산가 4.6)의 케로신용액(50wt%)을 2μ의 두께로 도포한후 180℃-10분간의 가열을 행하였다. 다음에 제1의 도막층 위의 전면에, 에폭시계 잉크(에피코우트(Epikote)1004/에포메이트 BOO 1/카아본 블랙=80/20/5의 키실렌메틸 에틸케톤 등량 혼합용매 30wt%용액)를 사용하여서 현상 마아크를 스크리인 인쇄하고, 190℃-10분간의 가열을 행하였다. 다시 그위에 제2의 도막층으로서 에폭시수지(에피코우트 1007) 70중량부, 페놀수지(히타놀 #2080) 20중량부 산화폴리에틸렌(밀도 1.0, 연화점 135℃, 전산소농도 4.3%) 10중량부 및 유기용매(키실렌-부틸 셀로솔브등량혼합용매)로서된 도료 조성물(전고형분 30wt%)을 건조피막으로 2μ의 막두께로 전면로울코우트한후, 190℃-10분간의 가열을 행하여 양면인쇄도장판을 작성하였다.
이 도장판을 현상마아크 인쇄면이 왕관의 안쪽이 되고 또한 동심 원형으로 베푼 제1의 도막층의 중심과 왕관의 중심이 동일하게 되도록 왕관 성형용 프레스로 성형하고, 왕관 셸(내경 26mm)을 만들었다. 이 왕관셸의 예비가열한 상태의 내면에, 저밀도 폴리에틸렌(멜트 인덱스 7, 밀도 0.92)을 직경 5mm의 노즐을 가지는 직경 40mm 압출기에서 압출시킨 용융물을 노즐선단부에서 절단칼날로 약 250mg 잘라내어, 즉시 냉각된 펀치로 펀칭하여서, 외경이 24mm이고 또한, 직경 24mm의 곳에서 19mm까지의 곳에 밀봉용의 연속된 산형환상돌기(山形環狀突起)(높이 1.5mm)를 2개 가지고, 2개의 환상돌기 사이(홈)의 두께가 0.3mm이고, 직경 19mm에서 안쪽은 0.2mm의 두께의 얇은 두께부분이고, 이 얇은 두께부분의 중앙부에서 안쪽 환상돌기에 연결되도록 약화선(폭 0.5mm, 두께 0.01mm)으로 구획된 1개의 태브[얇은 두께부와 중심을 같이하는 절두 원추형의 노브(저면직경 3mm, 높이 4mm, 상면직경 2mm)를 가지고 이 노브의 저면 외주위에서 접선을 안쪽 환상돌기의 안쪽 원주위의 6mm간격의 양단에 연장되게 마련되어 있다.]를 가지고, 다시 이 약화선의 양쪽에는 폭 0.5mm 높이 1mm의 보강리브를 가지는 형상의 폴리에틸렌 라이너를 라이닝한 왕관을 작성하였다. 또 비교예로서 실시예와 같은 도막구성중 제1의 도막층이 상기 탄화수소수지의 케로신 용액만을 사용하여서 만들어진 왕관(비교예 1) 및 상기 산변성 탄화수소수지의 케르신 용액만을 사용하여서 만들어진 왕관(비교예 2)을 작성하였다. 얻어진 왕관에 대하여, 라이너 접착유지성(실온방치 1개월후의 호퍼링에 의한 라이너 탈락의 유무), 라이너 박리성(유리병에 타전한 후, 개전한 왕관으로부터의 라이너의 박리 용이도) 및 현상인쇄의 라이너로의 전사성(전사율로 표시한다)을 평가하고, 결과를 표 1에 표시하였다.
[표 1]
Figure kpo00002
*박리용이도 평가 ○ : 손가락으로 용이하게 박리시킬 수 있다.
× : 박리시킬 수 없다.
[실시예 2]
테르펜수지(상품명 YS 레진 PX 야스하라유지제, 연화점 100℃, 산가 0.01) 500g, 무수말레인산 6g, 디-t-부틸퍼옥시드 0.02g을 혼합시킨 후, 200℃의 조건에서 가열 교반을 행하고 산가가 4로 된 시점에서 반응을 종료시키고 과잉된 말레인산을 세정제거하여 변성테르펜수지(A)를 얻었다. 다음에 얻어진 변성 테르펜수지(A) 및 미변성 테르펜수지(B)를 각각 미네랄스피닛(Spirit)에 용해하여 인쇄가능한 점도의 용액으로 조제한다.
두께 0.24mm의 전기도금 브리키판의 양면에 실시예 1에서 사용한 비닐계 바닥 칠 도료를 건조피막이 3μ이 되도록 로울코우트하고, 180℃-15분간의 가열건조를 행한다. 다음에 2색 인쇄옵셋인쇄기를 사용하여, 상기 변성 테르펜수지용액(A)과 미변성 테르펜수지용액(B)을 표 2-1에 표시하는 형상으로 인쇄하고, 180℃-10분간의 가열건조에 의하여 한쪽면 링모양 인쇄를 베푼 도장판을 만들었다.
다음에 얻어진 도장판의 인쇄면쪽 전체에 에폭시-요소계도료(에피코우트 #1007/슈퍼 베카민 p-138=80/20솔베소(Solvesso) 100, 부틸셀로솔브등량 혼합용매 25wt%용액)를 건조피막이 4μ이 되도록 로울 코우트하고, 190℃-10분간의 가열처리를 행한다.
다음에 통상의 금속인쇄용 잉크를 사용하여서 상기 에폭시-요소수지도막위에 인쇄부가 상기 테르펜수지 인쇄부와 동일하게 되도록 현상인쇄를 베풀고, 150℃-15분간의 가열건조를 행하여 제1의 도막층의 형상이 표 2-1에서 표시한 4종류의 현상 인쇄판을 작성하였다. 얻어진 현상인쇄판 각각 위에 (1) 상기 바닥칠 도료로서 사용한 비닐계수지도료, (2) 아크릴계 수지도료(다이아날 LR-510의 키실렌, 메틸에틸케톤 등량 혼합용매 30중량%용액)을 각각 현상 인쇄면쪽 전체에 건조피막으로 5μ의 두께로 도장한 후 190℃-10분간의 가열건조를 행한다. 다음에 마스킹층으로서 알키드 수지계 잉크를 사용하여 상기 비닐수지층 및 아크릴수지층 위에 상기 미변성 테르펜수지 인쇄부와 동일 원심상의 내경 20mm 외경 24mm의 원형 링모양으로 인쇄하고, 150℃-10분간의 가열건조에 의하여 한쪽면에 다층의 잉크, 도막층을 구성한 양면도장 금속판을 작성하였다.
이 도장판을 현상 인쇄를 가지는 면이 왕관의 안쪽이 되고 또한, 최상층에 베푼 마스킹층의 중심과 왕관의 중심이 동일하게 되도록 왕관 성형용 프레스로 성형하고, 내면에 각종형태의 테르펜 수지 인쇄층을 가진 왕관셀(내경 26mm)을 만들었다. 이 왕관셀의 예비 가열한 상태의 내면에, 연질염화비닐수지(DOP가소제 40%함유)를 직경 5mm의 노즐을 가지는 직경 40mm압출기에서 압출한 용융물을 노즐 선단부에서 절단칼로 약 250mm잘라내어, 즉시 냉각된 펀치로 펀칭하여서, 외경이 24mm의 연실염화비닐 수지 라이너를 가지는 왕관을 만들었다. 얻어진 왕관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한 결과를 표 2-2에 표시하였다. 또 인쇄적성(옵셋트인쇄시의 제2의 도막층의 박리유무)도 평가하였다.
[표 2-1]
Figure kpo00003
[표 2-2]
Figure kpo00004
[실시예 3-6]
방향족성 탄화수소수지(상품명 페트로진 #120미쯔이 석유화학공업제, 연화점 120℃(환구법), 평균 분자량 870, 산가 0.10)를 솔베소 #100을 용매로 하여 50wt%의 농도로 용해하고 수지용액 C로서 준비한다. 다음에 첨가용액으로서 하기의 1-4의 용액을 조제한다.
(1) 산화폴리에틸렌(밀도 1.0, 연화점 135℃, 카아보닐 함유량 35meq/100g)을 120℃의 열키실렌에 용해하여 20wt%의 용액으로 한 것.
(2) 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에틸렌을 열키실렌에 용해하여 20wt%의 용액으로 한 것.
(3) 아미인유 500g을 탈수한 후 120℃에서 공기를 불어넣고 7시간 보일화를 행하여 아마인유형 보일유산가 2.9로 한 것.
(4) 염화비닐-초산비닐공중합체(VYHH) 100g을 시클로헥사논/키실렌(80/20)의 혼합용매 400g에 용해시킨 것.
용액 C중에 1-4의 용액을 고형분 비로 5부 각각 첨가하고 잘 교반하여 각종 수지첨가 탄화수소수지 조성물을 작성하였다.
두께 0.23mm의 표면처리 강판위에 바닥칠 도료층으로서 페놀변성알키드(상품명 프탈키드×41히다찌화성)를 막두께 2μ이 되도록 직경 25mm의 원형으로 도포하고 180℃-10분간으로 가열 건조한다. 다음에 이 바닥칠 도료층위에 제1의 도막층으로서 동심원형으로 직경 6mm의 부분에는 상기 시료용액 C를 2μ의 두께로 도포하고 그 바깥쪽의 내경 6mm 외경 25mm의 부분에는 상기 각종 수지 첨가 탄화수소수지 조성물을 2μ의 두께로 도포한 후, 180℃-10분간의 가열을 행하였다. (A그룹) 또 별도로 상기와 동일한 바닥칠 도료층 위에 제1의 도막층으로서 동심원형으로 내경 4mm, 외경 8mm의 부분에는 상기 시료용액 C를 2μ두께로 도포하고, 그 바깥쪽의 내경 8mm, 외경 25mm의 부분에는 상기 각종수지 첨가 탄화수소수지 조성물을 2μ의 두께로 도포한후 180℃-10분간에 가열을 행하였다. (B그룹) 이상의 조작으로 제1의 도막층의 형상이 다른 A, B 2분류의 판을 작성하였다. 이들 A, B 양그룹의 바닥칠 도료층 및 제1의 도막층위에 제2의 도막층으로서 실시예 2에서 사용한 에폭시 요소계 도료를 건조피막이 2μ이 되도록 로울코우트하고, 190℃-10분간의 가열처리를 행하였다.
다음에 통상의 금속인쇄용 잉크를 사용하여서 상기 에폭시요소계 도료막위에 상기 제1의 도막층에 대응하는 부분에 현상인쇄를 베풀고, 150℃, 10분간의 가열건조를 행하였다. 다음에 그 위에 A그룹의 판에는 실시예 1에서 제2의 도막층으로서 사용한 도료 조성물을 건조피막으로 2μ의 막 두께로 전면 로울 코우트하고 190℃-10분간의 가열처리를 행하고, 또 B그룹의 판에는, 제1의 도막층과 중심을 같이하는 직경 2.5mm의 원형 부분에 분포제어제층으로서, 아마인유변성 알키드 수지 80중량부, 나프텐산 망간 2중량부, 침강성 탄산 칼슘 10중량부 및 케토신 10중량부로 된 분포 제어제조성물을 2μ의 두께로 도포한 후, 즉시 실시예 1에서 제2의 도막층으로서 사용한 도료 조성물을 건조피막으로 2μ의 막두께로 전면 로울 코우트한 후, 190℃-10분간의 가열을 행하여 도막층 구성이 다른 인쇄도장판을 작성하였다. 이들 도장판에서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조작을 반복하는 것에 의하여, 정판부의 안쪽에 현상 인쇄를 가지고, 또한 노브가 붙은 폴리에틸렌라이너를 라이닝한 왕관을 작성하였다. 또 비교예로서, 본 실시예와 같은 도막구성중 제1의 도막층이 상기 수지용액 C만을 사용하여서 만들어진 왕관(비교예 3) 및 상기 각종 수지 첨가 탄화수소수지 조성물 각각을 사용하여서 만들어진 왕관(비교예 4-7)을 작성하였다. 얻어진 왕관에 대하여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평가한 결과를 표 3-2에 표시하였다. 또 참고예로서 상기 C용액에 표 3-1에 표시한 각종 왁스를 첨가한 조성물을 실시예 3의 제1의 도막층의 시료 용액 C 대신에 사용하여서 만든 왕관에 대한 결과로 3-2에 함께 표시하였다.
결과, 비교예를 제외하고 본 실시예 및 참고예의 왕관은, A그룹의 것은 B그룹에 비하여 약간 저항은 있으나 어느 것이나 라이너를 손으로 용이하게 박리할 수가 있었다. 또한 박리한 라이너에는 어느 것이나 현상 인쇄가 선명하게 전이되어 있었다.
[표 3-1]
탄화수소수지 조성물
Figure kpo00005
[표 3-2]
Figure kpo00006
Figure kpo00007
[실시예 7]
두께 0.25mm의 알루미늄판 양면에 바닥칠 래커로서, 에폭시-페놀계도료(에피코우트 #1007/크레졸 포름알데히드축합물=75/20의 키셀렌 MIBK등량 혼합용매 30wt%용액)를 건조피막 3μ이 되도록 로울 코우트하고, 190℃-10분간의 가열건조를 각각 베푼다. 다음에 이 양면 바닥칠 도장판의 한쪽면 위에 분포제어제층으로서 실시예 3-6에서 사용한 분포제어제 조성물을 직경 8mm의 원형에 2μ의 두께로 도포하고, 다시 그 위에 제1의 도막층으로서 실시예 3 및 실시예 4에서 사용한 수지첨가 탄화수소 수지 조성물을 각각 동심원형으로 직경 30mm의 원형으로 2μ의 두께가 되도록 도포(단 반경 10mm의 원주위에 등 간격으로 위치하는 직경이 1mm의 8개의 원형부분에는 도포하지 않는다)하고, 180℃-10분간의 가열건조를 행하였다. 다시 그위에 제2의 도막층으로서, 상기 바닥칠 래커와 동일 조성의 도료를 건조피막으로 3μ이 되도록 로울 코우트하고 190℃-10분간의 가열건조를 행하였다.
다음에 제2의 도막층위에 제1의 도막층과 대응하는 부분에 통상의 금속 인쇄용 잉크로 현상 마크를 인쇄하여 건조시킨다. 다음에 무수 말레인산 변성폴리 에틸렌 첨가 에폭시 페놀계도료(에피코우트 #1004/크레졸 포름 알데히드 축합물/무수 말레인산 변성 폴리 에틸렌=80/10/10의 키실렌 MIBK등량 혼합 용매 30wt%용액)를 건조 피막 2μ이 되도록 전체에 로울 코우트하고 200℃-10분간의 가열건조를 행하여 현상마크를 가지는 인쇄도장판을 작성하였다. 이 인쇄도장판을 현상 인쇄면이 내면이 되고 제1의 도막층의 중심과 캡정부의 중심이 일치하도록 원통형으로 펀칭한 후, 절취선 절단 가공하여, 내경이 38mm 높이 30mm의 로울은 필퍼 프루우프캡셀을 작성하였다. 이 캡셀의 내면에 라이너제로서 용융시킨 저밀도 폴리에틸렌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압형 성형시켜서 외경이 35mm이고 또한 직경 35mm에서 30mm까지의 곳에 밀봉용의 환상돌기(높이 2mm)를 가지고 이 환상돌기의 안쪽에 제1약화선(폭 1mm 두께 0.01mm)으로 구획된 1개의 태브(얇은 부분과 중심을 같이하는 직경 4mm 높이 5mm의 원주형 노브를 가지고, 이 노브의 원주위에서 접선을 제1약화선의 원주위 7mm의 간격의 양단에 연장하고 또한 제1약화선의 안쪽 2mm의 곳까지 마련되어 있다.)를 가지고 또한 이 태브는 제2약화선의 안쪽이 폭 1mm 높이 1mm의 리브에 의하여 보강되어 있는 형상의 폴리에틸렌라이너를 가지는 캡을 작성하였다. 이 캡에서 노브를 잡고 라이너를 박리시킨 결과, 라이너는 밀봉용 환상 돌기를 남기고, 제1약화선의 안쪽만이 박리되었다. 박리한 라이너 쪽의 안쪽에는 현상 마크가 전이되어 있었다.

Claims (1)

  1. 용기뚜껑 껍질체와 상기 껍질체의 정판부(7)에 마련된 다수 종류의 도막층(3,4,5,6)을 사이에 두고 접착된 패킹(9)으로서 된 통상의 용기뚜껑에 있어서, 상기 패킹(9)은 박리 개시 부분을 가지고 상기 다수 종류의 도막층(3,4,5,6)사이에는, 패킹과 최상층 도막과의 박리강도보다도 작은 박리강도를 나타내는 박리성 계면(3,4)이 형성되고, 상기 박리성 도막층간 계면(3,4)은 박리 개시부분에 대응하는 구역내지는 여기에 근접한 구역의 박리강도가 그 이외의 구역의 박리강도보다 작게되도록 구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박리 가능한 패킹을 구비한 용기뚜겅.
KR1019800000599A 1980-02-15 1980-02-15 박리 가능한 패킹을 구비한 용기뚜껑 KR83000042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599A KR830000422B1 (ko) 1980-02-15 1980-02-15 박리 가능한 패킹을 구비한 용기뚜껑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19800000599A KR830000422B1 (ko) 1980-02-15 1980-02-15 박리 가능한 패킹을 구비한 용기뚜껑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830000422B1 true KR830000422B1 (ko) 1983-03-08

Family

ID=192155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19800000599A KR830000422B1 (ko) 1980-02-15 1980-02-15 박리 가능한 패킹을 구비한 용기뚜껑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830000422B1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253580A (en) Container cover with peelable liner
US4111323A (en) Crown closure
US4224379A (en) Peelable bonded structures and process for preparing same
US4372457A (en) Closure cap having prize markings and peelable liner
KR920007804B1 (ko) 스코어 절단 단연이 보호될 수 있는 개봉이 용이한 뚜껑 및 그 제조법
JPS58385B2 (ja) 剥離可能な接着構造物及びその製造方法
JPS5828990Y2 (ja) 剥離性ライナ−付容器蓋
EP0011498B1 (en) Peelable bonded structure
US4330353A (en) Method to improve wetting of peelable adhesive structures
US4270665A (en) Peelable adhesive structur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
KR830000422B1 (ko) 박리 가능한 패킹을 구비한 용기뚜껑
JPS6222867B2 (ko)
JPS6246421B2 (ko)
KR830001728B1 (ko) 박리 가능한 접착 구조물
KR850000830Y1 (ko) 박리성 라이너가 부착된 용기뚜껑
JPS5827104B2 (ja) 剥離可能な接着構造物及びその製造法
KR20220152388A (ko) 금속제 캡 및 그 제조 방법
KR840002212B1 (ko) 박리 가능한 라이너를 구비한 용기 뚜껑
JPS5926538B2 (ja) 容器蓋
KR820001754B1 (ko) 박리 가능한 접착 구조물
JPH0555391B2 (ko)
CA1130187A (en) Peelable adhesive structure and method for its manufactu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