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40073819A -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 Google Patents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40073819A
KR20240073819A KR1020237045215A KR20237045215A KR20240073819A KR 20240073819 A KR20240073819 A KR 20240073819A KR 1020237045215 A KR1020237045215 A KR 1020237045215A KR 20237045215 A KR20237045215 A KR 20237045215A KR 20240073819 A KR20240073819 A KR 2024007381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lorant
laminated glass
less
interlayer
interlayer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70452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가즈히코 나카야마
모유루 오카지마
가즈마 시라이시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4007381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4007381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05Type of plastic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5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colorants, e.g. dyes or pi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51/00Optical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Landscapes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Glass Compositions (AREA)

Abstract

1종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상기 착색제가 특정의 구조를 갖는 착색제 (Y)를 포함하고, 상기 착색제 (Y)는,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측정된 D50이 160nm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Description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본 발명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갖는 접합 유리에 관한 것이다.
접합 유리는, 외부 충격을 받아 파손되어도 유리의 파편이 비산하는 경우가 적어 안전하기 때문에, 자동차 등의 각종 탈것의 창유리나, 건축물 등의 창유리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접합 유리로서는, 한 쌍의 유리 사이에,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등의 수지 성분을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개재시켜, 일체화시킨 것이 널리 알려져 있다.
접합 유리는, 의장성을 높이는 것 등을 목적으로 하여, 중간막에 착색제를 첨가하여 착색 접합 유리로 하는 것이 알려져 있다. 접합 유리에는 여러 가지 색을 나타내는 착색제가 사용되고 있으며, 황색의 착색제로서는 아조 화합물, 이소인돌린 화합물 등이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특허 문헌 1에서는, 접합 구조체에 있어서의 중간막이, 열선 차폐 기능을 갖는 미립자에 더하여, 파장 550nm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율이 90% 이상, 또한 파장 400nm에 있어서의 광의 투과율이 40% 이하인 선택 파장 흡수 재료를 함유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 여기서, 선택 파장 흡수 재료로서는, 피그먼트 옐로나 솔벤트 옐로 등의 황색의 착색제가 사용되어도 되는 것이 나타내어져 있다. 특허 문헌 1에 개시되는 접합 구조체는, 선택 파장 흡수 재료가 사용됨으로써, 소정의 색조로 조정되어 의장성을 높일 수 있다.
일본국 특허공개 2012-218972호 공보
그러나, 황색의 착색제는, 일반적으로 내구성이 충분하지 않기 때문에, 황색의 착색제를 중간막에 포함하는 접합 유리는, 태양광의 조사나 고온 하에서의 방치가 장기간 계속되면 열화하여, 색조가 변화하고 의장성이 저하하는 경우가 있다. 또, 황색 안료는, 일반적으로 입경이 크기 때문에, 광 확산이 발생하여 헤이즈가 커져, 색이 선명하지 않다는 문제도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헤이즈가 낮고, 또한 내후성이 높아, 태양광 조사 하나 고온 하에서 장기간 사용되어도, 높은 의장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예의 검토의 결과, 특정의 구조를 갖는 착색제를 사용하고, 또한 착색제의 D50을 일정값 이하로 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찾아내어, 이하의 본 발명을 완성시켰다. 즉, 본 발명은, 이하의 [1]~[31]을 제공한다.
[1] 1종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상기 착색제가 이하의 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착색제 (Y)를 포함하고,
상기 착색제 (Y)는,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측정된 D50이 160nm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식 (1)에 있어서, M은 2가의 금속 원소, R11~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2] 1종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상기 착색제가 이하의 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착색제 (Y)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의 착색제 전체의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측정된 D50이 180nm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식 (1)에 있어서, M은 2가의 금속 원소, R11~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3] 상기 [1] 또는 [2]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 (Y)는,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측정된 D90이 160nm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4] 상기 [1] 내지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의 상기 착색제 전체의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측정된 D90이 180nm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5] 상기 [1] 내지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장의 클리어 유리판이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개재하여 접착됨으로써 제작된 접합 유리에 대해, 온도 63℃ 및 습도 50%RH의 조건 하에서, 300~400nm의 적산 광량이 60W/m2인 크세논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2000시간 조사했을 때의 ΔE가 5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6]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장의 클리어 유리판이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개재하여 접착됨으로써 제작된 접합 유리에 대해 측정된 L*가 85 이상 94 이하이며, 또한 헤이즈가 1.2%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7] 상기 [1] 내지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장의 클리어 유리판이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개재하여 접착됨으로써 제작된 접합 유리에 대해 측정된 L*가 85 미만이며, 또한 헤이즈가 2.5%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8] 상기 [1] 내지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는, 또한 480nm 이상 580nm 미만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는 착색제 (R), 및 580nm 이상 780nm 이하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는 착색제 (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9] 상기 [1] 내지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는 탄소 재료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10] 상기 [1] 내지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장의 클리어 유리판이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개재하여 접착됨으로써 제작된 접합 유리에 있어서, 380nm 이상 4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480nm 이상 5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 및 580nm 이상 780nm 이하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보다 낮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
[11] 상기 [1] 내지 [1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색제 (Y)의 함유율이 0.0001질량% 이상 0.5질량%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12] 상기 [1] 내지 [1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를 함유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13] 상기 [12]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로서 안료를 포함하고, 당해 안료의 D50이 180nm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14] 상기 [12] 또는 [13]에 있어서,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로서 안료를 포함하고, 당해 안료의 D90이 360nm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15] 상기 [1] 내지 [1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의 함유율이 0.3질량%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16] 상기 [1] 내지 [1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막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합계 함유율이 0.0001질량% 이상 0.7질량%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17] 상기 [1] 내지 [16]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18] 상기 [1] 내지 [1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아크릴 수지, 아크릴-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및 폴리스티렌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19] 상기 [17] 또는 [18]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20] 상기 [17] 내지 [1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추가로 가소제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1] 상기 [1] 내지 [20]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및 광안정화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2] 상기 [1] 내지 [21]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접착력 조정제를 함유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3] 상기 [1] 내지 [22]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차열제를 함유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4] 상기 [1] 내지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층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단층 구조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5] 상기 [1] 내지 [2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복수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상기 수지층 중, 적어도 1개의 수지층이 착색제 (Y)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6] 상기 [25]에 있어서,
제1, 제2, 및 제3의 수지층을 갖고, 상기 제2의 수지층이 상기 제1의 수지층의 한쪽의 면측에 설치되고, 상기 제3의 수지층이 상기 제1의 수지층의 다른 쪽의 면측에 설치되며, 적어도 상기 제1의 수지층이 착색제 (Y)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7] 상기 [25] 또는 [26]에 있어서,
복수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복수의 수지층 중 착색제 (Y)를 포함하는 착색 수지층이 중간막의 일부의 영역에 설치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8] 상기 [1] 내지 [2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단면이 쐐기 형상을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29] 상기 [1] 내지 [2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막의 두께가 0.2mm 이상 2.0mm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30] 상기 [1] 내지 [2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 (Y)를 포함하는 착색 수지층을 갖고, 당해 착색 수지층의 두께가 중간막의 전체 두께에 대해, 두께 비(착색 수지층/전체 두께)로 0.01 이상 1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31] 상기 [1] 내지 [3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과, 한 쌍의 유리판을 구비하고,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상기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는, 접합 유리.
본 발명에 의하면, 헤이즈가 낮고, 또한 내후성이 높아, 태양광 조사 하나 고온 하에서 장기간 사용되어도, 높은 의장성을 유지할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제1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단면도이다.
도 2는, 제2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단면도이다.
도 3은, 제3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단면도이다.
도 4는, 제4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단면도이다.
도 5는, 제5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단면도이다.
도 6은, 제6의 실시 형태에 따른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단면도이다.
도 7은, 쐐기 형상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8은, 쐐기 형상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9는, 쐐기 형상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은, 다층 구조를 갖는 쐐기 형상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일례를 나타내는 모식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착색제 (Y)]
본 발명의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하, 간단히 「중간막」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은, 1종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하고, 또한 착색제가 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착색제(이하, 「착색제 (Y)」라고도 한다)를 포함한다. 중간막은, 이하의 구조를 갖는 착색제 (Y)를 함유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착색제 (Y)의 입경을 작게 해도, 내후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어, 태양광 조사 하나 고온 하에서 장기간 사용해도, 변색 등이 발생하기 어려워져, 높은 의장성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식 (1)에 있어서, M은 2가의 금속 원소, R11~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M에 있어서의 2가의 금속 원소는, Ni, Co, Fe, Cu, Mn, Zn, 또는 V이며, Ni가 가장 바람직하다.
R11~R14에 있어서의 알킬기는, 탄소수 1~18의 알킬기이며,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8, 보다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4, 더욱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2, 가장 바람직하게는 탄소수 1의 알킬기이다. 또, R11~R14는, 적어도 1개가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용이하게 제조할 수 있는 관점에서, 전부가 수소 원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R11~R14에 있어서의 알킬기는, 직쇄여도 되고, 분기여도 되며, 환상 구조를 가져도 된다. 알킬기로서는, 메틸기, 에틸기, 각종 프로필기, 각종 부틸기, 각종 펜틸기, 각종 헥실기, 각종 헵틸기, 각종 옥틸기, 각종 노닐기, 각종 데실기, 각종 운데실기, 각종 도데실기, 각종 트리데실기, 각종 테트라데실기, 각종 펜타데실기, 각종 헥사데실기, 각종 헵타데실기, 및 각종 옥타데실기를 들 수 있다. 또한, 「각종」이란, 직쇄상 외에, 모든 분기쇄상이나 환상 구조를 갖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나타낸다.
착색제 (Y)의 구체예로서는, 피그먼트 옐로 150을 들 수 있다. 또한, 피그먼트 옐로 150은, 식 (1)에 있어서, M이 Ni(니켈)이고, R11~R14의 전부가 수소 원자인 화합물이다.
착색제 (Y)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착색제 (Y)는 안료이며, 중간막에 있어서 입자로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착색제 (Y)는,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측정된 D50이 160nm 이하이다. 착색제 (Y)의 D50이 160nm보다 커지면, 중간막을 이용하여 제작된 접합 유리의 헤이즈가 높아져, 착색제 (Y)에 의한 착색을 선명하게 할 수 없는 등의 문제도 발생하기 쉬워진다.
착색제 (Y)의 D50은, 헤이즈를 낮게 하여 착색제에 의한 착색을 보다 선명하게 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25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10nm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90n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50nm 이하이다. 또, 착색제 (Y)의 D50은, 헤이즈를 낮게 하기 위해서는 작으면 작을수록 좋은데, 내후성을 양호하게 하고, 또한 착색제 (Y)의 입경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n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nm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0nm 이상이다.
또, 착색제 (Y)는,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측정된 D90이 16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제 (Y)의 D90을 160nm 이하로 하면, 착색제 (Y)에 조대 입자가 함유되기 어려워져, 중간막으로부터 제작되는 접합 유리의 헤이즈를 보다 한층 더 낮게 하기 쉬워진다.
착색제 (Y)의 D90은, 헤이즈를 낮게 하여 착색제에 의한 착색을 보다 선명하게 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nm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15n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90nm 이하이다. 또, 착색제 (Y)의 D90은, 헤이즈를 낮게 하기 위해서는 작으면 작을수록 좋은데, 내후성의 관점, 및 착색제 (Y)의 입경의 조정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n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nm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0nm 이상이다.
또한, 착색제 (Y)의 D50, D90의 측정에 있어서는, 우선, 중간막을 잘라내고, 잘라낸 면을 투과 전자 현미경(TEM)으로 촬영하여, 100개 이상의 착색제 (Y) 각각의 장경을 입자경으로서 측정하여 입자경 분포를 구한다. 그리고, 입자경 분포에 있어서, 개수의 빈도 누적이 50%가 되는 입경을 D50으로 하고, 개수의 빈도 누적이 90%가 되는 입경을 D90으로 한다.
착색제 (Y)는, 380nm 이상 480nm 미만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380nm 이상 4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은, 400nm 이상 460nm 이하의 파장역에 적어도 1개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 착색제 (Y)는, 통상, 황색의 착색제이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각 착색제의 극대 흡수 파장은, 예를 들면 이하의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즉, 각 착색제를 트리에틸렌글리콜비스(2-에틸헥사노에이트 중에 분산시킨 후,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아세탈화도 69몰%, 수산기량 30몰%, 아세틸화도 1몰%, 합성에 이용한 PVA의 평균 중합도 1700) 100질량부에 대해,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40질량부, 측정하는 착색제 0.0002~0.1질량부가 되도록 혼합하고, 압출기를 이용하여 압출하여, 두께 760μm의 중간막을 얻는다. 얻어진 중간막과 2장의 두께 2.5mm의 명세서 기재의 기준 클리어 유리 사이에 협지(挾持)하여, 적층체로 한다. 얻어진 적층체를 가(假)압착 및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접합 유리를 제작한다. 접합 유리의 제작은, 실시예와 동일한 순서로 행하면 된다. 제작한 접합 유리에 대해 분광 광도계(예를 들면, 히타치제작소사 제조 「U4100」)를 이용하여, 300~2500nm의 투과율을 측정하여, 극대 흡수 파장을 구한다. 또한, 극대 흡수 파장은, 투과율이 극소값을 나타내는 파장이며, 복수 존재하는 경우가 있다.
중간막에 있어서의 착색제 (Y)의 함유율은, 접합 유리를 원하는 색으로 적절히 착색할 수 있도록 적절히 선택되면 되는데, 의장성이 높은 접합 유리를 얻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0.0001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1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2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3질량% 이상이다.
또, 중간막에 있어서의 착색제 (Y)의 함유율은, 예를 들면 0.5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3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하이다. 중간막에 있어서의 착색제 (Y)의 함유율을 상기 상한값 이하로 하면, 내후성을 양호하게 하면서, 적합한 착색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또한, 중간막에 있어서의 착색제 (Y)의 함유율이란, 중간막이 단층 구조 및 다층 구조 중 어느 경우에 있어서도, 그 단층 구조 또는 다층 구조 전체에 대한(즉, 착색제 (Y)를 함유하지 않는 수지층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 수지층도 포함하는 전체 두께에 있어서의) 착색제 (Y)의 함유율을 의미한다. 또, 후술하는 바와 같이 비(非)착색 영역과 착색 영역을 갖는 경우에는, 착색 영역에 있어서의 착색제 (Y)의 함유율을 의미한다. 또한, 착색 영역이 그라데이션 영역을 갖는 경우 등, 위치별로 착색제 (Y)의 함유율이 바뀌는 경우에는, 가장 착색제 (Y)의 함유율이 많은 위치에 있어서의 착색제 (Y)의 함유율이다.
후술하는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의 함유율이나, 중간막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합계 함유율에 대해서도 동일하며, 예를 들면, 비착색 영역과 착색 영역을 갖는 경우에는, 착색 영역에 있어서의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의 함유율이나, 착색제의 합계 함유율을 의미한다. 또한, 착색 영역이 그라데이션 영역을 갖는 경우 등, 위치별로 착색제 (Y)의 함유율이 바뀌는 경우에는, 가장 착색제 (Y)의 함유율이 많은 위치에 있어서의,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의 함유율이나, 착색제의 합계 함유율을 의미한다. 후술하는 차열제의 함유율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
본 발명의 중간막에 있어서, 착색제는, 착색제 (Y)로 이루어져도 되지만,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를 함유해도 된다.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는, 염료여도 되고, 안료여도 되며, 이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또한,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는, 중간막의 일부의 영역에만 착색제 (Y)가 함유되는 경우에는, 착색제 (Y)가 함유되는 영역(착색 영역)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로서는, 480nm 이상 580nm 미만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는 착색제(이하, 착색제 (R)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580nm 이상 780nm 이하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는 착색제(이하, 착색제 (B)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탄소 재료, 착색제 (Y) 이외의 380nm 이상 480nm 미만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는 착색제(이하, 착색제 (y)라고 하는 경우가 있다)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는, 380nm 이상 780nm 이하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지 않아도 된다. 또한, 그러한 극대 흡수 파장을 갖지 않는 착색제여도, 예를 들면, 피그먼트 옐로 154, 피그먼트 옐로 151, 피그먼트 옐로 180 등의 옐로의 컬러 인덱스의 착색제는,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착색제 (y)에 포함하는 것으로 한다.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착색제 (R)은, 480nm 이상 580nm 미만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가지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적색 또는 마젠타계의 착색제이다. 480nm 이상 5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은, 500nm 이상 560nm 이하의 파장역에 적어도 1개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착색제 (B)는, 580nm 이상 780nm 이하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가지면 되고, 바람직하게는 청색 또는 시안계의 착색제이다. 580nm 이상 780nm 이하의 극대 흡수 파장은, 590nm 이상 730nm 이하의 파장역에 적어도 1개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막은, 착색제 (Y)에 더하여, 착색제 (R) 및 착색제 (B) 중 적어도 한쪽, 또는 양쪽을 함유해도 된다. 착색제 (Y)에 더하여, 착색제 (R), 착색제 (B), 또는 이들 양쪽을 중간막에 추가로 함유시키면, 접합 유리는, 황색과 다른 색이 혼색되어, 여러 가지 색으로 착색시키는 것이 가능해진다.
착색제 (R)은, 염료, 및 안료 중 어느 쪽이어도 되는데, 염료로서는 솔벤트 레드 146 등의 안트라퀴논계 염료, 솔벤트 레드 197 등의 이미다졸계 염료, 솔벤트 레드 1 등의 아조계 염료를 들 수 있다.
또, 착색제 (R)의 안료로서는, 피그먼트 레드 149 등의 페릴렌계 안료, 피그먼트 바이올렛 254 등의 디케토 피롤로 피롤계 안료, 스렌계 안료, 피그먼트 레드 202 등의 퀴나크리돈 안료, 산화 금속계 안료, 복합 금속 산화물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퀴나크리돈계 안료가 바람직하다.
퀴나크리돈계 안료로서는, 퀴나크리돈, 퀴나크리돈 골격의 수소 원자가 염소 원자로 치환된 염소화 퀴나크리돈, 퀴나크리돈 골격의 수소 원자가 메틸기 등의 알킬기로 치환된 알킬 치환 퀴나크리돈 등을 들 수 있다. 또, 퀴나크리돈 안료로서는, 컬러 인덱스명으로 나타내면, 피그먼트 레드 122, 피그먼트 레드 202, 피그먼트 레드 207, 피그먼트 레드 209, 피그먼트 바이올렛 19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 (B)로서는, 염료, 안료 중 어느 쪽이어도 되고, 염료로서는, 안트라퀴논계 염료, 안스라퀴논계 염료, 아조벤젠계 염료, 프탈로시아닌계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또, 안료로서는, 피그먼트 블루 15-1, 피그먼트 블루 15-3 등의 구리 프탈로시아닌 안료, 코발트 프탈로시아닌 안료 등의 프탈로시아닌계 안료, 인디고계 안료, 안트라퀴논계 안료, 인단트렌계 안료, 복합 금속 산화물계 안료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 (y)는, 상기한 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착색제 이외이며, 또한 380nm 이상 480nm 미만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가지면 된다. 착색제 (y)의 380nm 이상 4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은, 400nm 이상 460nm 이하의 파장역에 적어도 1개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제 (y)로서는, 염료, 안료 중 어느 쪽이어도 되고, 염료로서는 안트라퀴논계 염료, 솔벤트 옐로 16 등의 아조계 염료, 쿠마린계 염료, 벤조트리아졸계 염료를 들 수 있다. 안료로서는, 피그먼트 옐로 110 등의 이소인돌린계 안료, 모노아조계, 디아조계 등의 아조계 안료, 벤조이미다졸론계를 들 수 있다. 아조계 안료로서는, 피그먼트 옐로 93 등을 들 수 있다.
탄소 재료는, 흑색의 착색제로서 사용되고, 예를 들면, 그래핀, 그래파이트, 카본 블랙, 카본나노튜브 등을 들 수 있다. 또,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로서 사용되는 흑색의 착색제는, 아닐린 블랙 안료, 복합 금속 산화물계 안료 등이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는, 카본 블랙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탄소 재료는, 안료의 일종으로 한다.
탄소 재료는, 착색제 (Y)와 병용하고, 또는, 착색제 (Y)와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와 병용함으로써, 접합 유리를 거무스름한 착색 유리로 할 수 있으며, 접합 유리에 고급감을 부여하기 쉬워진다. 또, 차열성, 차광성도 부여하기 쉬워진다.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는, 안료인 경우에는, 중간막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접합 유리의 헤이즈를 낮게 하는 관점에서, D50은 작은 쪽이 좋다.
구체적으로는,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안료)의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측정된 D50은, 바람직하게는 18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65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nm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nm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n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0nm 이하이다. 또,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안료)의 D50은, 내후성을 양호하게 하고, 또한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의 입경의 조정을 용이하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n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nm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0nm 이상이다.
또한,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로서, 안료를 2종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안료의 D50이 상기 범위 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는, 안료인 경우, 조대 입자가 함유되기 어려워지고, 중간막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접합 유리의 헤이즈를 낮게 하는 관점에서, D90은 작은 쪽이 좋다. 구체적으로는,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안료)의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측정된 D90은, 바람직하게는 36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80nm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65nm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nm 이하이다. 또,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안료)의 D90은, 헤이즈를 낮게 하기 위해서는 작으면 작을수록 좋은데, 내후성의 관점, 및 착색제의 입경의 조정의 용이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5n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5nm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60nm 이상이다.
또한,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로서, 안료를 2종 이상 사용하는 경우에는, 각 안료의 D90이 상기 범위 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에 있어서의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의 함유율은, 접합 유리를 원하는 색으로 적절히 착색할 수 있도록 적절히 선택되면 되는데, 의장성이 높은 접합 유리를 얻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0.00001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01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1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3질량% 이상이다.
또, 중간막에 있어서의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의 함유율은, 예를 들면 0.3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2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1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질량% 이하이다. 중간막에 있어서의 착색제 (Y)의 함유율을 상기 상한값 이하로 하면, 함유량에 알맞은 착색제의 양으로, 적절한 착색을 확보할 수 있게 된다.
또, 중간막에 있어서의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의 함유율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착색제 (Y)의 함유율보다 낮아도 되고, 높아도 되며, 같아도 되는데, 착색제 (Y)의 함유율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착색제 (Y)의 함유율보다 낮게 함으로써, 접합 유리를 황색 또는 황색미를 갖는 색으로 착색하기 쉬워진다.
또한,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의 함유율이란,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의 합계 함유율이다.
[착색제 전체의 D50 (T), D90 (T)]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있어서, 중간막에 있어서의 착색제는,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측정된 D50(이하, D50 (T)라고도 한다)이 180nm 이하이다. 또한, 중간막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D50 (T)란, 착색제 (Y)에 더하여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도 포함하는 착색제 전체의 D50을 의미한다. 후술하는 D90 (T)도 동일하다.
중간막에 사용되는 착색제 전체의 D50 (T)가 180nm보다 커지면, 중간막을 이용하여 제작되는 접합 유리의 헤이즈가 높아져, 착색제에 의한 착색을 선명하게 할 수 없는 등의 문제도 발생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중간막은, D50 (T)가 180nm 이하이고, 또한 착색제 (Y)의 D50이 160n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반드시 D50 (T)가 180nm 이하이고, 또한 D50이 160nm 이하일 필요는 없으며, 적어도 어느 한쪽의 요건이 만족되면 된다.
중간막에 있어서의 착색제 전체의 D50 (T)는, 헤이즈를 낮게 하여 착색제에 의한 착색을 선명하게 하기 쉽게 하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65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50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30nm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n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0nm 이하이다.
또, 착색제 전체의 D50 (T)는, 헤이즈를 낮게 하기 위해서는 작으면 작을수록 좋은데, 내후성의 관점, 및 착색제의 입경을 조정하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5n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nm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30nm 이상이다.
또, 착색제는,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측정된 D90이 작으면 작을수록, 조대 입자가 함유되기 어려워져, 중간막으로부터 제작되는 접합 유리의 헤이즈를 보다 한층 더 낮게 하기 쉬워진다. 그러한 관점에서, 중간막에 있어서의 착색제 전체의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측정된 D90(이하, 「D90 (T)」라고도 한다)이, 예를 들면 250nm 이하, 바람직하게는 180n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160n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40nm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20nm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90nm 이하이다. 또, 착색제 전체의 D90 (T)는, 헤이즈를 낮게 하기 위해서는 작으면 작을수록 좋은데, 내후성의 관점, 및 착색제의 입경이 조정되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바람직하게는 10n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n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nm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40nm 이상이다.
또한, 착색제 전체의 D50 (T), D90 (T)의 측정에 있어서는, 우선, 중간막을 잘라내고, 잘라낸 면을 투과 전자 현미경(TEM)으로 촬영하고, 중간막에 함유되는 착색제 100개 이상의 각 장경을 입자경으로서 측정하여 입자경 분포를 구한다. 그리고, 입자경 분포에 있어서, 개수의 빈도 누적이 50%가 되는 입경을 D50 (T)로 하고, 개수의 빈도 누적이 90%가 되는 입경을 D90 (T)로 한다. 또한, 중간막에 있어서의 착색제가 착색제 (Y)로 이루어지는 경우, D50 (T)는, 착색제 (Y)의 D50과 동일한데, D50 (T)는,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도 함유하는 경우에는, 착색제 (Y)와,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의 혼합물의 D50을 의미한다. D90에 대해서도 동일하다.
중간막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합계 함유율은, 접합 유리를 원하는 색으로 적절히 착색할 수 있도록 적절히 선택되면 되는데, 의장성이 높은 접합 유리를 얻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0.0001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0.001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2질량%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003질량% 이상이다.
또, 중간막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합계 함유율은, 예를 들면 0.7질량% 이하, 바람직하게는 0.5질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3질량%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15질량% 이하이다. 중간막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함유율을 상기 상한값 이하로 하면, 적합한 착색을 확보하면서, 내후성을 향상시키기 쉬워진다.
[수지층]
본 발명의 중간막은, 수지를 함유하고, 수지로서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중간막은, 1 또는 2 이상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것이며, 각 수지층은 수지를 함유한다. 각 수지층에서 사용되는 수지는, 열가소성 수지가 바람직하다. 중간막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함으로써, 접착층으로서의 기능을 완수하기 쉬워져, 유리판과의 접착성이 양호해진다.
본 발명의 중간막에서는, 복수의 수지층 중 적어도 1개는, 수지에 더하여, 상기한 착색제 (Y)를 포함한다. 또한, 명세서에서는, 착색제 (Y)를 함유하는 수지층을 「착색 수지층」으로 부르고, 「착색제 (Y)」 이외의 재료만에 의해 착색된 수지층은, 「착색 수지층」이라고 하지 않는다. 착색 수지층에 있어서, 착색제 (Y)는 수지 중에 분산되어 있다.
중간막이,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를 함유하는 경우, 착색 수지층은, 착색제 (Y)에 더하여,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복수의 수지층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착색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가 함유되어도 된다.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는, 착색 수지층에 함유되는 경우, 착색제 (Y)와 함께 수지 중에 분산되어 있다. 또,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는, 착색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 함유되는 경우도, 착색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 중에 분산되면 된다.
각 수지층에 있어서의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아크릴 수지, 아크릴-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및 폴리스티렌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수지를 사용함으로써, 유리판과의 접착성을 확보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중간막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또한, 2종 이상 병용하는 경우, 중간막에 있어서는, 1개의 수지층에 2종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시켜도 되고, 상이한 수지층 각각에 상이한 종류의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시켜도 된다.
이들 중에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고, 특히, 가소제와 병용했을 경우에, 유리에 대해 뛰어난 접착성을 발휘하는 점에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상기 착색 수지층에 있어서의 수지도,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고,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복수의 수지층을 갖는 경우, 각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상기에서 열거한 수지로부터 적절히 선택되면 된다. 또, 각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서로 상이한 수지여도 되지만, 서로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복수의 수지층을 갖는 경우, 각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는 전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또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PVA)을 알데히드로 아세탈화하여 얻어지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탄소수가 1~10의 알데히드가 적합하게 이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1~10의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알데히드는 단독으로 이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상기한 것 중에서도, n-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가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가 보다 바람직하다. 따라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부티랄 수지가 적합하다.
폴리비닐알코올(PVA)은, 예를 들면, 폴리아세트산비닐 등의 폴리비닐에스테르를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70~99.9몰%이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PVA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000 이상,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이다. 평균 중합도를 상기 하한 이상으로 하면, 접합 유리의 내(耐)관통성이 높아진다. 또, PVA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500 이하이다.
또한,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15몰% 이상이며, 또, 바람직하게는 38몰% 이하이다. 수산기량을 15몰% 이상으로 함으로써, 접착성이 양호해지기 쉽고, 또,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 등을 양호하게 하기 쉬워진다. 또, 수산기량을 38몰% 이하로 함으로써, 접합 유리가 너무 단단해지거나 하는 것을 방지한다. 상기 수산기량은 유리판과의 접착성 등의 관점에서,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5몰% 이상이다. 또, 상기 수산기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35%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3몰% 이하이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로서 폴리비닐부티랄 수지를 이용하는 경우도, 동일한 관점에서, 수산기량은 15몰%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38몰% 이하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5몰% 이상이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3몰% 이하이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량은, 수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사슬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눗셈하여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탈화도는, 바람직하게는 47몰% 이상, 또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이며,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이다.
또한, 아세탈화도란, 아세탈기가 부티랄기이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A)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를 의미한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주사슬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부터, 수산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과, 아세틸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을 뺀 값을, 주사슬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눗셈하여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는, 예를 들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부터 산출하면 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아세틸화도는,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몰%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2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또, 상기 아세틸화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이다.
상기 아세틸화도는, 아세틸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사슬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나눗셈하여 구한 몰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틸기가 결합되어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로서는, 비(非)가교형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여도 되고, 또, 고온 가교형의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여도 된다. 또,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로서는,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비누화물, 에틸렌-아세트산비닐의 가수분해물 등과 같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변성체 수지도 이용할 수 있다.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는, JIS K 6730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수지 시험 방법」 또는 JIS K 6924-2:1997에 준거하여 측정되는 아세트산비닐 함량이 바람직하게는 10~50질량%, 보다 바람직하게는 20~40질량%이다. 아세트산비닐 함량을 이들 하한값 이상으로 함으로써, 유리로의 접착성이 높아지고, 또,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양호해지기 쉬워진다. 또, 아세트산비닐 함량을 이들 상한값 이하로 함으로써, 중간막의 파단 강도가 높아져, 접합 유리의 내(耐)충격성이 양호해진다.
(아이오노머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여러 가지 아이오노머 수지를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계 아이오노머, 스티렌계 아이오노머, 퍼플루오로카본계 아이오노머, 텔레켈릭 아이오노머, 폴리우레탄 아이오노머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접합 유리의 기계 강도, 내구성, 투명성 등이 양호해지는 점, 유리로의 접착성이 뛰어난 점에서, 에틸렌계 아이오노머가 바람직하다.
에틸렌계 아이오노머로서는, 에틸렌·불포화 카복실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가 투명성과 강인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적합하게 이용된다. 에틸렌·불포화 카복실산 공중합체는, 적어도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 및 불포화 카복실산 유래의 구성 단위를 갖는 공중합체이며, 다른 모노머 유래의 구성 단위를 갖고 있어도 된다.
불포화 카복실산으로서는,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등을 들 수 있으며, 아크릴산, 메타크릴산이 바람직하고, 메타크릴산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 다른 모노머로서는, 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에스테르, 1-부텐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불포화 카복실산 공중합체로서는, 당해 공중합체가 갖는 전체 구성 단위를 100몰%로 하면, 에틸렌 유래의 구성 단위를 75~99몰%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불포화 카복실산 유래의 구성 단위를 1~25몰%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틸렌·불포화 카복실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는, 에틸렌·불포화 카복실산 공중합체가 갖는 카르복실기의 적어도 일부를 금속 이온으로 중화 또는 가교함으로써 얻어지는 아이오노머 수지인데, 당해 카르복실기의 중화도는, 통상은 1~90%이며, 바람직하게는 5~85%이다.
아이오노머 수지에 있어서의 이온원으로서는, 리튬, 나트륨, 칼륨, 루비듐, 세슘 등의 알칼리 금속, 마그네슘, 칼슘, 아연 등의 다가 금속을 들 수 있으며, 나트륨, 아연이 바람직하다.
아이오노머 수지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은 없으며, 종래 공지의 제조 방법에 의해, 제조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면 아이오노머 수지로서, 에틸렌·불포화 카복실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를 이용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에틸렌과 불포화 카복실산을, 고온, 고압 하에서 라디칼 공중합을 행하여, 에틸렌·불포화 카복실산 공중합체를 제조한다. 그리고, 그 에틸렌·불포화 카복실산 공중합체와, 상기의 이온원을 포함하는 금속 화합물을 반응시킴으로써, 에틸렌·불포화 카복실산 공중합체의 아이오노머를 제조할 수 있다.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로서는,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디올 화합물을 반응하여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디올 화합물, 추가로, 폴리아민 등의 사슬길이 연장제를 반응시킴으로써 얻어지는 폴리우레탄 등을 들 수 있다. 또, 폴리우레탄 수지는, 황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어도 된다. 그 경우에는, 상기 디올의 일부 또는 전부를, 폴리티올 및 황 함유 폴리올로부터 선택되는 것으로 하면 된다. 폴리우레탄 수지는, 유기 유리와의 접착성을 양호하게 할 수 있다. 그 때문에, 유리판이 유기 유리인 경우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지방족 폴리올레핀을 들 수 있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공지의 것을 이용할 수 있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는, 일반적으로, 하드 세그먼트가 되는 스티렌 모노머 중합체 블록과, 소프트 세그먼트가 되는 공역디엔 화합물 중합체 블록 또는 그 수소첨가 블록을 갖는다. 스티렌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의 구체예로서는, 스티렌-이소프렌 디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 디블록 공중합체, 스티렌-이소프렌-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이소프렌-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 스티렌-부타디엔-스티렌 트리블록 공중합체, 그리고 그 수소첨가체를 들 수 있다.
상기 지방족 폴리올레핀은, 포화 지방족 폴리올레핀이어도 되고, 불포화 지방족 폴리올레핀이어도 된다. 상기 지방족 폴리올레핀은, 쇄상 올레핀을 모노머로 하는 폴리올레핀이어도 되고, 환상 올레핀을 모노머로 하는 폴리올레핀이어도 된다. 중간막의 보존 안정성, 및, 차음성을 효과적으로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지방족 폴리올레핀은, 포화 지방족 폴리올레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지방족 폴리올레핀의 재료로서는, 에틸렌, 프로필렌, 1-부텐, trans-2-부텐, cis-2-부텐, 1-펜텐, trans-2-펜텐, cis-2-펜텐, 1-헥센, trans-2-헥센, cis-2-헥센, trans-3-헥센, cis-3-헥센, 1-헵텐, trans-2-헵텐, cis-2-헵텐, trans-3-헵텐, cis-3-헵텐, 1-옥텐, trans-2-옥텐, cis-2-옥텐, trans-3-옥텐, cis-3-옥텐, trans-4-옥텐, cis-4-옥텐, 1-노넨, trans-2-노넨, cis-2-노넨, trans-3-노넨, cis-3-노넨, trans-4-노넨, cis-4-노넨, 1-데센, trans-2-데센, cis-2-데센, trans-3-데센, cis-3-데센, trans-4-데센, cis-4-데센, trans-5-데센, cis-5-데센, 4-메틸-1-펜텐, 및 비닐시클로헥산 등을 들 수 있다.
(가소제)
중간막은,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추가로 가소제를 함유해도 된다. 즉, 중간막은, 상기와 같이, 1 또는 2 이상의 수지층을 갖는데, 열가소성 수지를 함유하는 각 수지층은, 추가로 가소제를 함유해도 된다.
중간막은, 가소제를 함유함으로써 유연해지고, 그 결과, 접합 유리의 유연성을 향상시키고, 내관통성도 향상시킨다. 나아가서는, 유리판에 대한 높은 접착성을 발휘하는 것도 가능해진다. 가소제는, 열가소성 수지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사용하는 경우에 함유시키면 특히 효과적이다. 따라서, 착색 수지층 등의 각 수지층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가소제로서는, 예를 들면, 일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 및 다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 그리고 유기 인산에스테르계 가소제 및 유기 아인산에스테르계 가소제 등의 인계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가 바람직하다.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는, 예를 들면,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아젤레이트,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1,2-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펜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틸레이트, 아디프산디헥실,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헥실시클로헥실, 아디프산디이소노닐, 아디프산헵틸노닐, 세바스산디부틸, 기름 변성 세바스산알키드, 인산에스테르와 아디프산에스테르의 혼합물, 혼합형 아디프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혼합형 아디프산에스테르로서는, 탄소수 4~9의 알킬알코올 및 탄소수 4~9의 환상 알코올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알코올로 제작된 아디프산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 중에서도,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가 특히 적합하게 이용된다.
중간막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열가소성 수지 100질량부에 대해, 바람직하게는 10질량부 이상이고, 또, 바람직하게는 100질량부 이하이다. 가소제의 함유량을 10질량부 이상으로 하면, 접합 유리가 적합하게 유연해져, 내관통성 등이 양호해진다. 또, 가소제의 함유량을 100질량부 이하로 하면, 중간막으로부터 가소제가 분리되는 것이 방지된다. 가소제의 함유량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20질량부 이상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질량부 이상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질량부 이상이고, 또, 보다 바람직하게는 70질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63질량부 이하이다.
또, 중간막은, 1 이상의 수지층을 함유하는데, 각 수지층은 가소제를 함유하는 경우, 각 수지층에 있어서의 가소제의 함유량의 적합한 값도, 상기에서 설명한 가소제의 함유량의 적합한 값과 같다.
중간막은, 수지, 또는 수지 및 가소제가 주성분이 되는 것이며, 중간막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및 가소제의 합계량은, 중간막 전량 기준으로, 통상 7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100질량% 미만이다. 상기 합계량을 100질량% 미만으로 함으로써, 중간막은, 착색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할 수 있다.
또한, 각 수지층도, 수지, 또는 수지 및 가소제가 주성분이 되는 것이며, 각 수지층에 있어서 열가소성 수지 및 가소제의 합계량은, 각 수지층 전량 기준으로, 통상 70질량% 이상, 바람직하게는 80질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질량% 이상 100질량% 미만이다.
[그 외의 첨가제]
본 발명의 중간막은,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및 광안정화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첨가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은, 이들 첨가제를 함유함으로써, 내후성, 내열성 등을 높일 수 있다. 그 때문에, 태양광 등이 조사되는 환경 하나 고온 환경 하에서 장기간 사용한 후에 있어서도, 착색제 (Y) 등의 착색제의 열화가 억제되어, 높은 의장성을 유지하기 쉬워진다.
내후성을 보다 높이는 관점에서, 중간막은, 자외선 흡수제 및 산화 방지제를 적어도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및 광안정화제 전부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중간막은, 1 이상의 수지층을 함유하는데, 상기 첨가제는 적어도 1개의 수지층에 함유시키면 되지만, 적어도 착색 수지층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첨가제는, 중간막이 다층 구조인 경우에는, 착색 수지층에만 함유시켜도 되고, 착색 수지층에 더하여, 다른 수지층에도 함유시켜도 된다.
착색 수지층은, 상기 중에서도 자외선 흡수제 및 산화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및 광안정화제 전부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 착색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도, 자외선 흡수제 및 산화 방지제를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및 광안정화제 전부를 함유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
자외선 흡수제로서는, 예를 들면, 말론산에스테르 골격을 갖는 화합물, 옥살산아닐리드 골격을 갖는 화합물, 벤조트리아졸 골격을 갖는 화합물, 벤조페논 골격을 갖는 화합물, 트리아진 골격을 갖는 화합물, 벤조에이트 골격을 갖는 화합물, 힌더드 아민 골격을 갖는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벤조트리아졸 골격을 갖는 화합물(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흡수제는, 태양광 등에 포함되는 자외선을 흡수하고, 태양광 등의 조사에 의해 중간막이나 착색제가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후성을 향상시킨다.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의 바람직한 구체예로서는, 이하의 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식 (2)에 있어서, R1은, 수소 원자, 탄소수가 1~8의 알킬기, 또는 탄소수 4~20의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를 나타내고, R2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가 1~8의 알킬기를 나타낸다. X는 할로겐 원자 또는 수소 원자이다. Y1 및 Y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산기 또는 수소 원자이며, Y1 및 Y2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수산기이다.)
식 (2)에 있어서, R1, R2의 알킬기는, 직쇄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되고, 분기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알콕시카르보닐알킬기는, 직쇄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되고, 분기 구조를 갖는 것이어도 된다. R1, R2로서 예를 들면, 수소 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so-프로필기, n-부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헥실기, 옥틸기를 들 수 있다. R1은, 이들에 더하여, 메톡시카르보닐프로필기, 옥틸옥시카르보닐프로필기 등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R1은,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 특히, 수소 원자, 메틸기, tert-부틸기, 펜틸기, 옥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R1과 R2는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된다.
X의 할로겐 원자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를 들 수 있는데, 염소 원자가 바람직하다.
Y1 및 Y2는 어느 한쪽만이 수산기여도 되고, 양쪽이 수산기여도 된다. 또, Y2가 적어도 수산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5-클로로-2-「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2-(3,5-디-t-부틸-2-히드록시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3-[3-tert-부틸-5-(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옥틸, 3-(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5-(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메틸, 2-(3,5-디-tert-아밀-2-히드록시페닐)벤조트리아졸, 2-(2,4-디히드록시페닐)-2H-벤조트리아졸 등을 들 수 있다.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로서는,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화합물 이외여도 되고, 예를 들면 2-[2-히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2-(2H-벤조트리아졸-2-일)-6-(1-메틸-1-페닐에틸)-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등이어도 된다.
자외선 흡수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중간막에 있어서, 0.005질량% 이상 2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0.005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태양광에 포함되는 자외선에 의해 착색제 (Y) 등이 열화하는 것을 적절히 방지할 수 있어, 내후성을 높일 수 있다. 또, 2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자외선 흡수제에 의해, 수지층이 착색되거나 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또한, 함유량에 알맞은 효과도 발휘하기 쉬워진다.
중간막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은, 0.01질량% 이상 1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질량% 이상 0.5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중간막은, 1 이상의 수지층을 함유하는데, 자외선 흡수제를 함유하는 각 수지층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의 적합한 값은, 상기한 중간막에 있어서의 자외선 흡수제의 함유량의 적합한 값과 동일하다.
(산화 방지제)
산화 방지제로서는, 페놀계 화합물, 인산계 화합물, 황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는, 중간막, 착색제가 산화 열화하는 것을 방지하여, 내후성을 향상시킨다. 상기 중에서는, 내후성을 향상시키는 관점에서, 페놀계 화합물이 적합하다.
상기 페놀계 화합물은, 예를 들면, 2,6-디-t-부틸-p-크레졸(BHT), 부틸화히드록시아니솔(BHA), 2,6-디-t-부틸-4-에틸페놀, 스테아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테트라키스[메틸렌-3-(3',5'-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놀)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및 비스(3,3'-t-부틸페놀)부티릭에시드글리콜에스테르 및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인산계 화합물은, 예를 들면, 트리스노닐페닐포스파이트, 트리데실포스파이트, 2-에틸-2-부틸프로필렌-4,6-트리제삼부틸페놀포스파이트, 9,10-디하이드로-9-옥사-10-포스파페난트렌, 테트라(트리데실)이소프로필리덴디페놀디포스파이트, 트리스[2-제삼부틸-4-(3-제삼히드록시-5-메틸페닐티오)-5-메틸페닐]포스파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황계 화합물은, 예를 들면, 티오디프로피온산디라우릴, 티오디프로피온산디미리스틸, 티오디프로피온산디스테아릴 등의 디알킬티오디프로피오네이트류나, 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β-도데실메르캅토프로피오네이트) 등의 폴리올의 β-알킬메르캅토프로피온산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산화 방지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중간막에 있어서의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0.005질량% 이상 2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0.005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수지, 착색제 등의 산화 열화를 적절히 방지할 수 있어, 내후성을 높일 수 있다. 또, 2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함유량에 알맞은 효과도 발휘하기 쉬워진다.
중간막에 있어서의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0.01질량% 이상 1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5질량% 이상 0.5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중간막은, 1 이상의 수지층을 함유하는데, 산화 방지제를 함유하는 각 수지층에 있어서의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의 적합한 값은, 상기한 중간막에 있어서의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의 적합한 값과 동일하다.
(광안정제)
광안정제는,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광안정제는, 태양광 등에 포함되는 자외선 등의 조사에 의해 중간막이나 착색제가 열화하는 것을 방지한다.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로서는, 피페리딘 구조의 질소 원자에 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수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 등을 들 수 있다. 열화를 보다 한층 더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피페리딘 구조의 질소 원자에 알킬기 또는 알콕시기가 결합되어 있는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가 바람직하다. 상기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는, 피페리딘 구조의 질소 원자에 알킬기가 결합되어 있는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피페리딘 구조의 질소 원자에 알콕시기가 결합되어 있는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인 것도 바람직하다.
광안정제는 1종만이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피페리딘 구조의 질소 원자에 알킬기가 결합되어 있는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로서는, 세바스산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부탄-1,2,3,4-테트라카복실산테트라키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 등을 들 수 있다. 또, 시판품도 사용 가능하고, BASF사 제조 「Tinuvin765」 및 「Tinuvin622SF」, 그리고 ADEKA사 제조 「아데카스타브 LA-52」 등을 들 수 있다.
또, 상기 피페리딘 구조의 질소 원자에 알콕시기가 결합되어 있는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로서는, BASF사 제조 「TinuvinXT-850FF」 및 「TinuvinXT-855FF」, 그리고 ADEKA사 제조 「아데카스타브 LA-81」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피페리딘 구조의 질소 원자에 수소 원자가 결합되어 있는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로서는, BASF사 제조 「Tinuvin770DF」, 및 클라리언트사 제조 「Hostavin N24」 등을 들 수 있다.
중간막에 있어서의 광안정제의 함유량은, 0.001질량% 이상 0.5질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0.001질량% 이상으로 함으로써, 중간막, 착색제의 자외선 등에 의한 열화를 적절히 방지할 수 있어, 내후성을 높일 수 있다. 또, 0.5질량% 이하로 함으로써, 함유량에 알맞은 효과도 발휘하기 쉬워진다.
중간막에 있어서의 광안정제의 함유량은, 0.005질량% 이상 0.4질량%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01질량% 이상 0.2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또, 중간막은, 1 이상의 수지층을 함유하는데, 광안정제를 함유하는 각 수지층에 있어서의 광안정제의 함유량의 적합한 값은, 상기한 중간막에 있어서의 광안정제의 함유량의 적합한 값과 동일하다.
(접착력 조정제)
중간막은, 접착력 조정제를 함유해도 된다. 중간막은, 접착력 조정제에 의해, 중간막과 유리판의 접착성이 제어되어, 내관통성이 뛰어난 접합 유리를 얻기 쉬워진다. 접착력 조정제는, 유리판에 접촉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수지층에 함유되면 된다. 따라서, 단층 구조인 경우에는, 단층 구조의 수지층에 함유되면 되는데, 후술하는 도 2~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1~제3의 수지층을 함유하는 중간막인 경우에는, 제2 및 제3의 수지층에 접착력 조정제를 함유시키면 된다.
상기 접착력 조정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금속염인 것이 바람직하고, 알칼리 금속염, 알칼리 토류 금속염 및 Mg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금속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염은, K 및 Mg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금속염은, 탄소수 2~16의 유기산의 알칼리 금속염 또는 탄소수 2~16의 유기산의 알칼리 토류 금속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탄소수 2~16의 카복실산마그네슘염 또는 탄소수 2~16의 카복실산칼륨염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탄소수 2~16의 카복실산마그네슘염 및 상기 탄소수 2~16의 카복실산칼륨염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아세트산마그네슘, 아세트산칼륨, 프로피온산마그네슘, 프로피온산칼륨, 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 2-에틸부티르산칼륨, 2-에틸헥산산마그네슘 및 2-에틸헥산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접착력 조정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2종 이상을 병용하는 경우, 아세트산마그네슘과 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제 조정제가 함유되는 수지층에 있어서, 접착력 조정제의 함유량은, 금속염 유래의 금속 원소량 기준으로, 5질량ppm 이상 1000질량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질량ppm 이상 500질량ppm 이하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며, 20질량ppm 이상 200질량ppm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접착력 조정제의 함유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내후성 등을 저하시키지 않고, 적절히 유리판과의 접착력을 조정할 수 있다.
(차열제)
중간막은, 차열제를 함유해도 된다. 차열제를 함유함으로써 중간막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차열제로서는, 전형적으로는, 파장이 780nm 이상의 적외선, 즉 열선을 흡수할 수 있는 재료이다. 차열제는, 무기 재료로 이루어지고, 전형적으로는 차열 입자가 사용된다. 그 구체예로서는, 금속 산화물 입자, 육붕소화란탄(LaB6) 입자 등의 금속 산화물 입자 이외의 입자를 들 수 있다. 금속 산화물 입자로서는, 알루미늄 도프 산화주석 입자, 인듐 도프 산화주석 입자,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입자(ATO 입자) 등의 산화주석 입자, 갈륨 도프 산화아연 입자(GZO 입자), 인듐 도프 산화아연 입자(IZO 입자), 알루미늄 도프 산화아연 입자(AZO 입자), 주석 도프 산화아연 입자 및 규소 도프 산화아연 입자 등의 산화아연 입자, 니오브 도프 산화티타늄 입자 등의 산화티타늄 입자, 주석 도프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 등의 산화인듐 입자, 나트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CWO 입자), 탈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루비듐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등의 산화텅스텐 입자를 들 수 있다. 또, 이들 이외의 차열 입자를 이용해도 된다. 차열제는, 1종 단독으로 사용해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해도 된다.
이들 중에서는,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기 때문에, 금속 산화물 입자가 바람직하고, ATO 입자, GZO 입자, ITO 입자 및 CWO 입자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사용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ITO 입자 또는 CWO 입자를 사용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차열 입자의 평균 입자경의 바람직한 하한은 10nm, 보다 바람직한 하한은 20nm, 바람직한 상한은 100nm, 보다 바람직한 상한은 80nm, 더욱 바람직한 상한은 50nm이다. 평균 입자경이 상기 바람직한 하한 이상이 되면, 열선의 차폐성을 충분히 높일 수 있다. 또, 평균 입자경이 상기 바람직한 상한 이하이면, 차열제에 의해 가시광선을 필요 이상으로 차폐하기 어려워진다. 또한, 「평균 입자경」은, 체적 평균 입자경을 나타낸다. 평균 입자경은, 입도 분포 측정 장치(닛키소사 제조 「UPA-EX150」) 등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중간막에 있어서의 차열제의 함유율은, 0.005질량% 이상 2.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고, 0.01질량% 이상 1.5질량%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0.04질량% 이상 1.0질량%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차열 입자의 함유율을 이들 범위 내로 함으로써, 가시광 투과율 등을 저하시키지 않고, 중간막의 차열성을 높일 수 있다.
또한, 다층 구조에 있어서, 차열제는, 착색제가 함유되는 착색 수지층에 배합되어도 되고, 착색 수지층 이외에 배합되어도 된다.
또, 중간막은, 필요에 따라, 상기 이외에도, 형광 증백제, 결정핵제 등의 첨가제를 함유해도 된다.
<층 구성>
이하, 본 발명의 중간막의 층 구성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층 구조)
본 발명에서는, 중간막은, 단층의 수지층(「제1의 수지층」이라고도 한다)으로 이루어지는 것이어도 된다. 중간막은, 단층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경우, 그 수지층이 착색제 (Y)를 함유하는 착색 수지층이 된다. 또, 중간막이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를 함유하는 경우, 제1의 수지층이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도 함유하면 된다.
또한, 단층의 수지층은, 그 수지층의 양면 각각이 접합 유리를 구성하는 유리판에 접착되면 된다. 단층 구조의 중간막은, 중간막의 전체 영역이 착색제 (Y)를 함유하는 영역(착색 영역)이 되면 된다. 또한, 착색제 (Y)에 의해 착색된 영역은, 본 명세서에서는, 편의상, 「착색 영역」으로 부르고, 「착색제 (Y)」 이외의 재료만에 의해 착색된 영역은, 「착색 영역」으로는 부르지 않는 것으로 한다.
(다층 구조)
중간막은, 상기한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지층을 포함하는 다층 구조를 가져도 된다. 복수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다층 구조는, 두께 방향으로 2개의 수지층이 적층된 2층 구조여도 되고, 3개의 수지층이 적층된 3층 구조여도 되며, 4개 이상의 수지층이 적층된 것이어도 된다. 이들 중에서는 2층~5층 구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고, 3층 구조를 갖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다층 구조인 경우에는, 적어도 1개의 수지층이, 착색제 (Y)를 포함하는 착색 수지층이 된다.
이하, 중간막이 다층 구조를 갖는 경우의 구체예를 도 1~6에 나타내는 제1~제6의 실시 형태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내는 제1의 실시 형태의 중간막(10)은, 2층 구조의 중간막이며, 제1의 수지층(11)과, 제2의 수지층(12)을 갖고, 제2의 수지층(12)이 제1의 수지층(11)의 한쪽의 면측에 설치된다.
2층 구조의 중간막(10)은, 접합 유리에 있어서는, 제1의 수지층(11)이 한쪽의 유리판, 제2의 수지층이 다른 쪽의 유리판에 접착하면 된다. 제1의 수지층(11) 및 제2의 수지층(11)은, 어느 한쪽이 착색제 (Y)를 갖는 착색 수지층이 되면 되는데, 양쪽이 착색제 (Y)를 갖는 착색 수지층이어도 된다. 또한, 2층 구조의 중간막(10)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그 전체 영역이 2층 구조로 이루어지고, 전체 영역이 착색 영역이 되면 된다.
또, 중간막이,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를 함유하는 경우,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는, 착색 수지층에 함유되어도 되고, 착색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 함유되어도 되는데, 착색 수지층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2에 나타내는 제2의 실시 형태의 중간막(10)은, 3층 구조의 중간막이며, 제1~제3의 수지층(11, 12, 13)을 갖고, 제2의 수지층(12)이 제1의 수지층(11)의 한쪽의 면측에 설치되고, 제3의 수지층(13)이 제1의 수지층(11)의 다른 쪽의 면측에 설치된다. 제3의 실시 형태의 중간막(10)은, 접합 유리에 있어서, 제2의 수지층(11)이 한쪽의 유리판, 제3의 수지층(13)이 다른 쪽의 유리판에 접착하면 된다.
제1~제3의 수지층(11, 12, 13)은, 적어도 어느 1개가 착색제 (Y)를 함유하여 착색 수지층이 된다. 구체적으로는, 제1~제3의 수지층(11, 12, 13) 중, 제1의 수지층(11)만이 착색 수지층이 되어도 되고, 제2 및 제3의 수지층(12, 13) 중 한쪽만, 또는 이들 양쪽이 착색 수지층이 되어도 된다. 또한, 제1의 수지층(11)과, 제2 및 제3의 수지층(12, 13) 중 어느 한쪽이 착색 수지층이 되어도 된다. 또, 제1~제3의 수지층(11, 12, 13) 전부가 착색 수지층이 되어도 된다.
또, 상기 중에서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제1의 수지층(11)이 착색 수지층이 된다. 또한,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막의 전체 영역이 착색 영역이 되는 경우에는, 제1의 수지층(11)이 착색 수지층이 되는 양태도 바람직하지만, 제2 및 제3의 수지층(12, 13)이 착색 수지층이 되는 양태도 바람직하다.
또, 중간막이,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를 함유하는 경우,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는, 착색 수지층에 함유되어도 되고, 착색 수지층 이외의 수지층에 함유되어도 되는데, 착색 수지층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고, 따라서, 제1의 수지층(11)은, 착색제 (Y)와,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은, 다층 구조를 갖는 경우, 도 1,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중간막의 전체 영역이 착색 영역이 되어도 되지만, 일부의 영역이 착색 영역이 되어도 된다. 구체적으로는, 도 3에 나타내는 제3의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중간막(10)과 같이, 제1~제3의 수지층(11, 12, 13)을 갖고 3층 구조를 갖는 경우, 그 일부의 영역(21)(제1의 영역(21))에 있어서, 제1의 수지층(11)이, 제2 및 제3의 수지층(12, 13)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 수지층(12, 13) 사이에 매입(埋入)되는 구조를 가져도 된다. 여기서, 제1의 영역(21)에서는, 제1의 수지층(11)의 두께가, 중간막(10)의 단부에 있는 최후부(最厚部)(21A)보다,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즉, 면방향의 일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영역(그라데이션 영역)이며,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끝이 가늘어진 형상이 된다. 그리고, 그 끝이 가늘어진 형상의 선단보다 앞의 영역(즉, 제1의 영역(21)에 인접하는 제2의 영역(22))에서는, 제2 및 제3의 수지층(12, 13)이 직접 적층되고, 이들이 일체적으로 되어, 1개의 수지층(25)을 구성하면 된다.
여기에서도 상기와 같이, 제1~제3의 수지층(11, 12, 13) 중 적어도 1개가 착색 수지층이면 되는데, 그 중에서도 제1의 수지층(11)이 착색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제1의 수지층(11)이 착색 수지층이면, 최후부(21A)로부터 제2의 영역(22)을 향함에 따라, 색미가 서서히 바뀌어, 의장성이 뛰어난 중간막을 제공할 수 있다.
또, 제1의 수지층(11)이 착색 수지층의 경우, 제2 및 제3의 수지층(12, 13) 각각은, 착색제 (Y)를 함유해도 되지만, 착색제 (Y)를 함유하지 않는 쪽이 바람직하다. 이에 의해, 제1의 영역(21)을 착색 영역, 제2의 영역(22)을 비착색 영역으로 할 수 있다. 여기서, 비착색 영역은, 착색제 (Y)를 함유하지 않고, 착색제 (Y)에 의해 착색되지 않는 영역을 의미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착색제 (Y)의 함유율은, 제2의 영역(22)에 있어서, 제1의 영역(21)보다 낮게 하면 된다.
또, 중간막이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를 함유하는 경우, 본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의 수지층(11)은, 착색제 (Y)에 더하여,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제2 및 제3의 수지층(12, 13)의 한쪽 또는 양쪽이,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를 함유해도 된다.
또한, 상기한 제3의 실시 형태의 중간막(10)으로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의 영역(21)에 있어서, 제1의 수지층(11)이, 제2 및 제3의 수지층(12, 13) 사이에 배치되고, 이들 수지층(12, 13) 사이에 매입되는 구조를 갖는 경우, 제1의 영역(21)의 구성은, 상기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내는 제4의 실시 형태의 중간막(10)과 같이, 제1의 영역(21)은, 두께가 일정해지는 영역(21X)과, 그 영역(21X)에 접속하고, 두께가,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영역(그라데이션 영역)(21Y)으로 이루어져도 된다.
이 경우, 제4의 실시 형태의 구성은, 영역(21X)을 갖는 이외는, 제3의 실시 형태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 상기 제3 및 제4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의 영역(21)은, 1개 밖에 설치되지 않았지만, 도 5의 제5의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 설치되어도 된다. 즉, 상기에서는, 제1의 영역(21)은,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한쪽의 단부에만 설치되어 있었지만, 제5의 실시 형태의 중간막과 같이, 양단에 설치되어도 된다.
또한, 제1의 수지층(11)이 제1 및 제2의 수지층(12, 13) 사이에 매입되는 제1의 영역(21)은, 단부 이외의 위치에 설치되어도 되고, 예를 들면, 도 6에 나타내는 제6의 실시 형태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양단부의 사이(중앙 부분)에 설치되어도 된다.
여기서, 제1의 영역(21)은, 두께가 일정해지는 영역(21X)과, 그 영역(21X)의 양단에 접속하고, 두께가,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연속적으로 감소하는 영역(그라데이션 영역)(21Y, 21Y)으로 이루어지는데, 영역(21X)은 생략되어도 된다.
또, 각 영역(21Y)의 끝이 가늘어진 형상의 선단 측에, 상기 제3~제5의 실시 형태와 동일하게, 제2의 영역(22)이 설치된다. 제2의 영역(22)에서는, 제2의 수지층(12), 제3의 수지층(13)이 직접 적층되고, 이들이 일체적으로 되어, 수지층(25)이 된다.
제5 및 6의 실시 형태에서도, 이상 설명한 구성 이외는, 제3의 실시 형태의 중간막과 동일하므로, 그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상기 제3~제6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제1의 영역(21)에 있어서, 두께 방향에 인접하는 수지층(예를 들면, 제3 및 제1의 수지층(13, 11), 및 제1 및 제2의 수지층(11, 12))은 서로 조성이 상이하면 된다. 한편, 제2의 수지층(12), 및 제3의 수지층(13)은, 전부 조성이 동일하고, 제2의 영역(22)에 있어서, 이들 2개의 수지층(12, 13)은 일체적으로 되어, 1개의 층(제1의 층(25))이 되는 양태를 전제로 설명했다. 단, 2개의 수지층(12, 13)은, 서로 조성이 상이하여, 제2의 영역(22)에 있어서 1개의 층이 되지 않고, 2개의 수지층(12, 13)에 의한 다층 구조를 형성해도 된다.
마찬가지로, 제2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전체 영역에 있어서 두께 방향에 인접하는 수지층(예를 들면, 제3 및 제1의 수지층(13, 11), 및 제1 및 제2의 수지층(11, 12))은 서로 조성이 상이하면 된다. 한편, 제3의 수지층(13)과 제2의 수지층(12)은, 서로 조성이 상이해도 되고, 서로 동일해도 된다.
물론, 수지층은, 4층 이상이어도 되고, 중간막에 있어서는, 상기 제2~제6의 실시 형태(도 2~도 6)를 이용하여 설명한 제1~제3의 수지층에 더하여, 제4의 수지층이나 제4 및 제5의 수지층이 설치되어도 된다. 이 경우, 중간막은, 예를 들면, 제3, 제1, 제2, 및 제4의 수지층의 순서로 설치된 적층 구조를 가져도 된다. 동일하게, 제4 및 제5의 수지층이 설치되는 경우에는, 예를 들면, 제3, 제1, 제2, 제4, 및 제5의 수지층의 순서로 설치된 적층 구조를 가지면 된다.
또, 이상 설명한 적층 구조는, 본 발명의 중간막의 적층 구조의 일례이며, 이들 구조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각 적층 구조에 있어서, 각 수지층에 있어서의, 수지 및 가소제의 상세는, 상기와 같으며, 각 수지층에 관하여 적절히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구성으로 하면 된다.
예를 들면, 제2~제6의 실시 형태와 같이, 제1~제3의 수지층(11~13)을 갖는 다층 구조이며, 또한 제1~제3의 수지층(11~13)이 각 수지층을 구성하는 수지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함유하는 경우, 제1~제3의 수지층(11, 12, 13)을 구성하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상세, 및 가소제의 상세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 중간막은, 도 1~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단면 직사각형이어도 되는데, 단면 직사각형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쐐기 형상을 갖고 있으면 된다. 쐐기 형상을 갖는 중간막(30)은, 도 7~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단(30A)과, 그 일단(30A)의 반대 측에 타단(30B)을 갖고, 타단(30B)의 두께가, 일단(30A)의 두께보다 커져, 중간막(30) 전체적으로 쐐기 형상을 갖는 것이다.
예를 들면 헤드 업 디스플레이 시스템에 있어서, 접합 유리에 프로젝터에 의해 화상을 투영하는 경우, 2장의 유리판에 있어서의 광의 굴절에 의해 화상이 2중으로 보이는 경우가 있는데, 상기와 같이 쐐기형 형상하여 광의 굴절을 제어함으로써 화상이 2중으로 보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쐐기 형상의 중간막(30)은, 예를 들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사다리꼴 형상을 가져도 되지만, 삼각 형상을 가져도 된다. 또, 쐐기 형상의 중간막(30)은, 타단(30A)으로부터 일단(30B)을 향하여 두께가 변화하는 것인데, 모든 부분에서 두께가 변화할 필요는 없으며,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가 일정한 부분(30C)을 갖고 있으며, 두께가 변화하는 부분이 일부분이어도 된다.
또한, 도 7, 8에서는, 두께가 변화하는 부분에 있어서, 일단(30A)으로부터 타단(30B)을 향하여, 두께의 증가량이 일정했지만, 두께의 증가량은 일정할 필요는 없으며,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점차 변화하여, 단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곡선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쐐기각(θ)은, 도 7,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의 증가량이 일정한 경우에는, 쐐기 각도도 일정하다. 따라서, 중간막(30) 한쪽의 표면(30X)에 대한, 다른 쪽의 표면(30Y)의 경사 각도가 쐐기각(θ)이 된다.
한편, 도 9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두께의 증가량이 변화하는 경우에는, 쐐기각(θ)은, 이하와 같다. 즉, 쐐기각(θ)은, 중간막(30)의 한쪽의 표면(30X)에 있어서, 중간막(30)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 부분(30M)과 최소 두께 부분(30S)의 최근접 부위를 이은 직선(L1)과, 다른 쪽의 표면(30Y)에 있어서, 최대 두께 부분(30M)과 최소 두께 부분(30S)의 최근접 부위를 이은 직선(L2)의 교점에 있어서의 내각이다.
쐐기각(θ)은, 0.1mrad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0.2mrad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mrad 이상이며, 또, 1mrad 이하가 바람직하고, 0.9mrad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다. 쐐기각(θ)을 이들 범위 내로 함으로써, 접합 유리에 의해 반사된 적외선을 촬영 장치 등의 수광 수단에 있어서 1점에 결상하기 쉬워진다.
중간막이, 쐐기 형상이고 또한 단층 구조인 경우에는, 착색제 (Y)를 갖는 단층의 수지층을 쐐기 형상으로 하면 된다.
또, 중간막이 쐐기 형상이고 또한 다층 구조인 경우, 중간막의 단면이 쐐기 형상이 되도록, 각 층의 단면 형상을 적절히 조정하면 되고, 예를 들면, 도 1,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복수의 수지층이 전체 영역에서 설치되는 경우에는, 복수의 수지층 중 적어도 1개의 수지층의 두께를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두께가 증가하도록 조정하면 된다. 물론, 쐐기 형상인 경우에도, 도 3~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부의 영역에 있어서, 다층으로 해도 되는데, 그 경우에는, 중간막의 단면이 쐐기 형상이 되도록 각 층의 두께를 적절히 조정하면 된다.
쐐기 형상의 중간막이 다층 구조를 갖는 경우의 일례를 도 10에 나타낸다.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쐐기 형상의 중간막(30)은, 중간막(30)이 일단(30A)으로부터 타단(30B)을 향하여 두께가 증가하는데 맞추어, 제1의 수지층(31)의 두께도 일단(30A)으로부터 타단(30B)을 향하여 증가시키면 된다. 제1의 수지층(31)의 두께가 일단(30A)으로부터 타단(30B)을 향하여 변화하는 경우, 예를 들면 제1의 수지층(31)을 착색 수지층으로 하면, 중간막에 그라데이션을 붙일 수 있다.
또, 제1 및 제3의 수지층(31, 33)도, 중간막(30)이 일단(30A)으로부터 타단(30B)을 향하여 두께가 증가하는데 맞추어, 일단(30A)으로부터 타단(30B)을 향하여 증가시켜도 된다. 도 10에서는, 각 수지층의 두께의 증가량이 일정했지만, 두께의 증가량은 일정할 필요는 없으며, 점차 변화하여, 단면에 있어서 예를 들면 곡선적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또, 쐐기 형상의 중간막(30)에 있어서, 제1~제3의 수지층(31, 32, 33) 중 적어도 어느 1개는 두께가 일정해도 된다.
제1~제3의 수지층(31, 32, 33)은, 적어도 어느 1개가 착색제 (Y)를 함유하여 착색 수지층이 되면 되고, 그 상세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지만, 그 중에서도 제2 및 제3의 수지층(32, 33)이 착색 수지층이 되는 양태가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막의 두께]
중간막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2mm 이상 2.0mm 이하이다. 중간막은, 착색제 (Y)의 함유율을 상기한 바와 같이 조정한 다음, 두께를 이들 범위 내로 함으로써, 의장성이 높은 착색 유리로 하기 쉬워진다. 중간막의 두께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mm 이상 1.0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3mm 이상 0.9mm 이하이다. 또한, 중간막의 두께는, 상기한 쐐기 형상의 중간막과 같이 두께가 변화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 경우에는, 가장 얇아지는 부분(최박부(最薄部))을 의미한다.
다층 구조에서는, 착색 수지층의 두께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중간막의 전체 두께에 대해, 두께 비(착색 수지층/전체 두께)로 예를 들면 0.01 이상 1 이하, 바람직하게는 0.03 이상 0.7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0.45 이하이다.
또, 다층 구조에 있어서의 착색 수지층의 구체적인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02mm 이상 1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03mm 이상 0.8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mm 이상 0.5mm 이하이다. 착색 수지층의 두께를 0.02mm 이상 1mm 이하로 함으로써, 중간막을 필요 이상으로 크게 하지 않고, 중간막의 의장성을 양호하게 하기 쉬워진다.
또한, 착색 수지층의 두께란, 착색 수지층이 2층 이상 있는 경우에는, 그 합계 두께를 의미한다. 또, 착색 수지층의 두께는, 착색 수지층이 가장 두꺼워지는 부분(최후부)에 있어서의 착색 수지층의 두께이다.
상기와 같이, 다층 구조에 있어서 제1~제3의 수지층을 함유하는 경우, 제1의 수지층이 착색 수지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한 경우, 제1의 수지층(착색 수지층)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0.02mm 이상 1mm 이하, 바람직하게는 0.03mm 이상 0.8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4mm 이상 0.5mm 이하이다. 또, 제2 및 제3의 수지층 각각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1mm 이상 0.7m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5mm 이상 0.6m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mm 이상 0.5mm 이하이다.
[중간막의 광학 특성]
본 발명의 중간막은, 2장의 클리어 유리판이 중간막을 개재하여 접착됨으로써 제작된 접합 유리에 대해, 온도 63℃ 및 습도 50%RH의 조건 하에서, 300~400nm의 적산 광량이 60W/m2인 크세논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2000시간 조사했을 때의 ΔE가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ΔE란, 조사 전의 접합 유리와 조사 후의 접합 유리의 색차를 의미한다.
ΔE를 5 이하로 함으로써, 태양광 조사 하 및 고온 하에서 장기간 사용해도, 접합 유리의 변색을 방지할 수 있어, 높은 의장성을 유지할 수 있다. ΔE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이하이다. 또, ΔE는, 낮으면 낮을수록 좋고, 0 이상이면 된다.
본 발명의 중간막은, 2장의 클리어 유리판을 중간막을 개재하여 접착됨으로써 제작된 접합 유리에 대해 측정된 헤이즈가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헤이즈가 2.5% 이하이면, 중간막에 함유되는 착색제에 의한 광 확산이 적절히 방지되어, 착색제에 의한 착색을 선명하게 하기 쉬워진다. 이상의 관점에서, 상기 헤이즈는, 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1.0%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또, 당해 헤이즈는, 낮으면 낮을수록 좋고, 0% 이상이면 된다.
본 발명의 중간막은, 2장의 클리어 유리판을 중간막을 개재하여 접착됨으로써 제작된 접합 유리에 대해 측정된 L*가 예를 들면 15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다. L*를 높게 함으로써, 가시광선 투과율도 높아져, 투명성이 높은 접합 유리를 얻기 쉬워진다. 또, L*는 100 이하이면 되는데, 96 이하가 바람직하고, 9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L*를 일정값 이하로 함으로써, 착색제에 의해 적절히 착색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의 중간막은, 2장의 클리어 유리판을 중간막을 개재하여 접착됨으로써 제작된 접합 유리에 대해 측정된 L*가 85 이상 94 이하이며, 또한 헤이즈가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L*가 상기 범위 내인 접합 유리는, 일정한 광투과성을 가지면서도 착색제에 의해 적절히 착색되어 있는 것을 나타내고, 이러한 접합 유리에 있어서 헤이즈가 1.2% 이하이면, 착색제에 의해 착색된 색이 선명해져, 의장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또한, 자동차의 프런트 글래스와 같이 보다 시인성이 중요한 접합 유리에도 이용할 수 있다. 당해 헤이즈는, 의장성의 관점에서, 1%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7%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0.5%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또, 당해 헤이즈는, 낮으면 낮을수록 좋고, 0% 이상이면 된다.
본 발명의 중간막은, 2장의 클리어 유리판이 중간막을 개재하여 접착됨으로써 제작된 접합 유리에 대해 측정된 L*가 85 미만이며, 또한 헤이즈가 2.5% 이하인 양태인 것도 바람직하다.
L*가 85 미만인 접합 유리는, 착색제에 의해 비교적 짙은 색으로 착색되면서도 일정한 투과성을 갖는 접합 유리라고 할 수 있고, 이러한 접합 유리에 있어서는 헤이즈가 2.5% 이하이면, 착색제에 의해 착색된 색이 선명해져, 의장성이 뛰어난 것이 된다. 당해 헤이즈는, 의장성의 관점에서, 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1.0%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또, 당해 헤이즈는, 낮으면 낮을수록 좋고, 0% 이상이면 된다.
또, 본 발명의 중간막은, 2장의 클리어 유리판이 중간막을 개재하여 접착됨으로써 제작된 접합 유리에 있어서, 380nm 이상 480nm 미만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은, 380nm 이상 480nm 미만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가짐으로써, 접합 유리가 황색으로 착색되거나, 또는 후술과 같이 다른 파장역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는 경우에는 황색과 다른 색이 혼색되어 여러 가지 색으로 착색되어, 의장성이 높은 접합 유리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380nm 이상 4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은, 바람직하게는 400nm 이상 460nm 이하의 파장역에 적어도 1개 있다.
중간막은, 상기 접합 유리에 있어서, 480nm 이상 780nm 이하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지 않아도 되는데, 480nm 이상 5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 580nm 이상 780nm 이하의 극대 흡수 파장, 또는 이들 양쪽을 가져도 된다. 접합 유리는, 이들 극대 흡수 파장을 가짐으로써, 황색과 다른 색이 혼색되어 여러 가지 색으로 착색된다.
또한, 480nm 이상 5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은, 바람직하게는 500nm 이상 560nm 이하의 파장역에 적어도 1개 있다. 또, 580nm 이상 780nm 이하의 극대 흡수 파장은, 바람직하게는 590nm 이상 730nm 이하의 파장역에 적어도 1개 있다.
또한, 중간막은, 상기 접합 유리에 있어서, 380nm 이상 4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480nm 이상 5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 및 580nm 이상 780nm 이하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양태에 의하면, 접합 유리는, 황색에 의한 착색이 지배적으로 되어, 황색 또는 황색미를 띤 색으로 착색되기 쉬워진다.
또한, 380nm 이상 4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480nm 이상 5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보다 낮다란, 380nm 이상 480nm 미만에 극대 흡수 파장이 있고, 또한 480nm 이상 580nm 미만에 극대 흡수 파장이 없는 경우도 포함한다. 마찬가지로, 380nm 이상 4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580nm 이상 780mm 이하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보다 낮다란, 380nm 이상 480nm 미만에 극대 흡수 파장이 있고, 또한 580nm 이상 780mm 이하에 극대 흡수 파장이 없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이상의 ΔE, L*, 헤이즈, 극대 흡수 파장, 및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측정에서 사용되는 클리어 유리판은, 두께 2.5mm로 JIS R 3106:1998에 준거하여 측정한 가시광 투과율이 90.5%이다. 또, 당해 클리어 유리판은, JIS Z 8781-1(2012), JIS Z 8781-2(2012), 및 JIS Z 8781-4(2013)에서 규정되는, CIE 표준 일루미넌트 D65, 및 10°시야 등색 함수를 이용하여, a*=-0.6, b*=0.2, 헤이즈가 0.2% 이하이며, 이상의 클리어 유리판은, 기준 클리어 유리라고도 한다.
또, 중간막은, 착색제 (Y)를 함유하는 착색 영역과, 착색제 (Y)를 함유하지 않는 비착색 영역을 갖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 ΔE, L*, 헤이즈, 극대 흡수 파장, 및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의 측정은, 특별히 언급이 없는 한, 착색 영역에 있어서의 ΔE, L* 및 헤이즈를 의미한다. 또, 착색 영역은, 예를 들면 그라데이션 영역을 갖고, 중간막 전체 두께에 있어서의 착색제 (Y)의 함유율이 변화하여, 가시광 투과율 등도 변화하는 경우가 있지만, 그 경우, 착색제 (Y)의 함유율이 가장 높은 착색 영역에 있어서 ΔE, L*, 헤이즈, 극대 흡수 파장, 및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을 측정하면 된다. 또, 이들 광학 특성은, 쐐기형의 중간막과 같이, 중간막이 착색제 (Y)의 함유율이 가장 높은 착색 영역에 있어서 두께가 변화하는 경우에는, 임의의 어느 하나의 위치에서 측정하여 상기 각 규정을 만족하면 되는데, 예를 들면, 중간막이 가장 얇아지는 부분에서 측정된 각 측정값이, 상기 각 규정을 만족하면 된다.
(중간막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중간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단층 구조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수지, 착색제 (Y), 필요에 따라 배합되는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 착색제 이외의 첨가제 등의 중간막을 구성하는 성분을 혼합하고, 얻어진 수지 조성물을 압출 성형, 프레스 성형 등 하여 성형하면 된다.
여기서, 착색제 (Y)는,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분산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가소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착색제 (Y)를 가소제에 배합하여 가소제에 충분히 분산시킨 다음, 수지와 혼합하면 된다. 이 때, 가소제에는 적절히 분산제 등을 더해도 된다.
착색제 (Y)는, 수지 조성물에 배합할 때에, 가소제 등에 충분히 분산시켜 둠으로써, 중간막에 있어서 응집하는 것을 방지하여, 착색제 (Y)의 D50, D90, 나아가서는 D50 (T)나 D90 (T) 등도 작게 할 수 있다.
또,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를 사용하는 경우,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도 가소제에 배합하여 가소제에 충분히 분산시킨 다음, 수지와 혼합하면 된다.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도 충분히 분산시켜 둠으로써,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의 D50이나 D90, 나아가서는, D50 (T)나 D90 (T)를 낮게 하기 쉬워진다.
이 때,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는, 착색제 (Y)가 배합되는 가소제에 배합하고, 착색제 (Y)와 함께 가소제 중에 분산시켜도 된다. 또,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는, 착색제 (Y)가 배합되는 가소제와는 별도로 준비된 가소제에 배합하고, 착색제 (Y)가 분산된 가소제에 더하여,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가 분산된 가소제도 준비해도 된다.
착색제를 가소제에 분산시키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비드밀, 샌드밀, 롤밀, 볼밀, 제트밀, 페인트 셰이커, 마이크로플루이다이저, 고속 임펠러, 샌드 그라인더, 플로우 제트 믹서, 고압 습식 미립화 장치, 초음파 분산 장치 등의 분산 장치를 이용하여 분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 분산 장치에 있어서의 분산에 있어서는, 착색제의 분쇄를 수반해도 된다. 그 중에서도 입자경을 보다 작게 하는 관점에서, 안료 입자를 유기용제, 가소제 등에 분산한 상태로 습식 분쇄기에 의해 분쇄하는 방법이 바람직하고, 제트밀, 비드밀, 볼밀, 고압 습식 미립화 장치 등을 들 수 있다.
착색제는, 분산 처리 방법을 적절히 조정함으로써, D50, D90을 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분산 처리 시의 각종 장치에 있어서의 회전 속도, 분산 처리하는 시간 등을 길게 함으로써, 착색제를 가소제 중에 고분산으로 하여, D50, D90 등을 낮게 하기 쉬워진다.
또, 분산 처리 시에, 계면활성제를 첨가함으로써, 분산을 용이하게 하여, D50, D90의 조정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의 종류는 분산하는 용매에 용해되면 특별히 문제 삼지 않지만, 가소제 중에 분산시키는 경우, 가소제에 용해되기 쉬운 비이온계 계면활성제가 보다 적합하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폴리옥시알킬렌글리콜계, 지방산알코올계, 및, 수산기, 카르복실기, 아미노기, 인산에스테르기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복수 종의 관능기를 갖는 공중합체계 등을 들 수 있다.
중간막은, 다층 구조인 경우에도, 단층 구조인 경우와 동일하게, 압출 성형, 프레스 성형 등으로 성형하면 된다. 예를 들면, 2개 이상의 압출기를 준비하고, 복수의 압출기의 선단에 다층용 피드 블록을 장착하여 공압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압출기를 복수 준비하고, 각 수지층을 구성하는 성분을 각 압출기에 공급하고, 이들 각 압출기의 선단에 다층용 피드 블록을 장착하여 공압출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또, 복수의 수지층을 설치하고, 또한, 같은 조성을 갖는 수지층이 2 이상 있는 경우(예를 들면, 제2 및 제3의 수지층)에는, 1개의 압출기로부터 2 이상의 같은 조성을 갖는 수지층을 압출해도 된다. 또한, 각 수지층은, 두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을 따라 두께가 변화하는 경우가 있는데, 그 경우에는, 예를 들면, 수지의 공급량 등을 조정하여, 두께를 변화시키면 된다.
<접합 유리>
본 발명은, 추가로 접합 유리를 제공한다. 접합 유리는, 2장의 유리판과, 이들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는 중간막을 구비한다. 2장의 유리판은 중간막을 개재하여 접착된다. 중간막은, 한쪽의 면이 한쪽의 유리판에 접착하고, 다른 쪽의 면이 다른 쪽의 유리판에 접착한다.
접합 유리는, 2장의 유리판 사이에, 상기한 중간막을 배치하고, 이들을 압착 등 함으로써 일체화함으로써 제조하면 된다.
(유리판)
접합 유리에서 사용하는 유리판으로서는, 무기 유리, 유기 유리 중 어느 쪽이어도 되는데, 무기 유리가 바람직하다. 무기 유리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클리어 유리, 플로트 판유리, 마판 유리, 형판 유리, 망입 판유리, 선입 판유리, 그린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또, 유기 유리로서는, 일반적으로 수지 유리로 불리는 것이 사용되고,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폴리카보네이트, 아크릴 수지, 아크릴 공중합체 수지, 폴리에스테르 등의 수지로 구성되는 유기 유리를 들 수 있다.
2장의 유리판은, 서로 동종의 재질로 구성되어도 되고, 다른 재질로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면, 한쪽이 무기 유리이고, 다른 쪽이 유기 유리여도 되는데, 2장의 유리판 양쪽이 무기 유리이거나, 또는 유기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각 유리판의 두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0.1~15mm 정도, 바람직하게는 0.5~5mm이다. 각 유리판의 두께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상이해도 되는데, 동일한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광학 특성]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중간막으로 설명한 광학 특성과 동일한 광학 특성을 가지면 된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온도 63℃ 및 습도 50%RH의 조건 하에서, 300~400nm의 적산 광량이 60W/m2인 크세논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2000시간 조사했을 때의 ΔE가 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 이하, 보다 더욱 바람직하게는 0.9 이하이다. 또, ΔE는, 낮으면 낮을수록 좋고, 0 이상이면 된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헤이즈가 2.5%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1.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고, 1.0%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다. 또, 당해 헤이즈는, 낮으면 낮을수록 좋고, 0% 이상이면 된다.
또, 접합 유리의 L*는, 예를 들면 15 이상이고,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0 이상이며, 또, L*는 100 이하이면 되는데, 96 이하가 바람직하고, 94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L*가 85 이상 94 이하이며, 또한 헤이즈가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때, 헤이즈는 1%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0.7%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0.5%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또, 당해 헤이즈는, 0% 이상이면 된다.
또,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L*가 85 미만이며, 또한 헤이즈가 2.5% 이하인 양태인 것도 바람직하다. 이 때 헤이즈는, 2%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고, 1.5% 이하가 더욱 바람직하며, 1.0% 이하가 보다 더욱 바람직하고, 또, 0% 이상이면 된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380nm 이상 480nm 미만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접합 유리는, 480nm 이상 780nm 이하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지 않아도 되는데, 480nm 이상 5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 580nm 이상 780nm 이하의 극대 흡수 파장, 또는 이들 양쪽을 가져도 된다.
또한, 접합 유리는, 380nm 이상 4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480nm 이상 5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 및 580nm 이상 780nm 이하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보다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380nm 이상 4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 480nm 이상 5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 및 580nm 이상 780nm 이하의 극대 흡수 파장의 적합한 값은, 중간막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접합 유리는, 자동차 등의 각종 차량, 항공기, 선박, 건축물 등의 창유리 등으로 하여 사용 가능한데, 자동차용 접합 유리로서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차용 접합 유리는, 윈도우 실드 글래스(프런트 글래스), 사이드 글래스, 리어 글래스, 루프 글래스 중 어느 쪽이어도 된다.
실시예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는데,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조금도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있어서의 측정 방법 및 평가 방법은, 이하와 같다.
[중간막의 두께]
중간막을 마이크로미터(미쓰도요사 제조 「OMV-50 MX」)로 측정했다.
[착색제의 입경]
얻어진 중간막을, 크라이오마이크로톰(EM FC7 LEICA 제조)을 이용하여 면방향에 평행하게 잘라내고, 잘라낸 면을 투과 전자 현미경(TEM)으로 촬영했다. 또한,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서는 「JEM-2100」(JEOL 제조)을 이용하여, 가속 전압을 200kV, 촬영 배율을 1만배로 설정하여 촬영했다. 촬영한 화상은, 화소수를 2048pixel×2048pixel, 또한 1pixel을 0.96nm로 설정하여 취득했다.
착색제 (Y)의 입자를 무작위로 100개 이상 촬영하고, 각 입자의 장경을 입자경으로서 측정하여 입자경 분포를 구했다. 화상으로부터의 입자경 계측에는, 오픈 소스의 화상 해석 소프트 Fiji(ImageJ)를 사용했다. 순서는 Polygon selections 툴로 화상 중의 각 입자 영역을 선택하고, 2치화한 후, 선택 영역에 대해 Analyze Particles를 실행하여, 각 입자의 근사 타원의 장경을 취득했다. 또한, 입자는, 1차 입자가 응집하여 2차 입자로서 존재하고 있는 경우에는, 2차 입자의 장경을 측정했다. 그리고, 입자경 분포에 있어서, 개수의 빈도 누적이 50%가 되는 입경을 착색제 (Y)의 D50으로 하고, 개수의 빈도 누적이 90%가 되는 입경을 착색제 (Y)의 D90으로 했다.
또, 착색제 (Y) 이외의 착색제를 함유하는 중간막에 대해서는, 착색제 (Y) 이외의 각 착색제에 대해서도 입자를 동일하게 100개 이상 촬영하여, D50, D90을 구하고, 착색제 (Y) 이외의 각 착색제의 D50, D90으로 했다.
또한, 각 중간막에 있어서, 착색제 전체에 대한 입자를 100개 이상 촬영하여, 동일하게, D50, D90을 구하고, 착색제 전체의 D50 (T), D90 (T)로 했다.
[L*, a*, b*]
접합 유리에 대해, JIS R3212(2015)에 준거하여, 분광 광도계(히타치하이테크놀로지사 제조 「U-4100」)를 이용하여, 분광 스펙트럼을 측정했다. 측정 시, 접합 유리를 투과한 평행광만이 적분구로 수광하도록, 광원과 적분구의 광로 상에서 또한 광축의 법선에 평행하게 되도록 적분구로부터 13cm 떨어진 위치에 접합 유리를 설치하고, 분광 투과율을 측정했다. 또 측정 조건은, 스캔 스피드를 300nm/min, 슬릿폭을 8nm로 하고, 그 이외의 측정 조건은 JIS Z 8781-1(2012), JIS Z 8781-2(2012), 및 JIS Z 8781-4(2013)로 규정되는, CIE 표준 일루미넌트 D65, 및 10°시야 등색 함수를 이용하여, L*, a*, b*를 측정했다.
또, 분광 스펙트럼에 있어서, 380nm 이상 480nm 미만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는지 여부를 확인했다. 또한, 380nm 이상 4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480nm 이상 5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 및 580nm 이상 780nm 이하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보다 낮은지 여부도 확인했다.
[헤이즈]
헤이즈는, 얻어진 접합 유리를 JIS K6714에 준거하여 측정했다.
[내후성]
스가시험기주식회사 제조 「SX-75」를 이용하여, 이하의 조건 하에서 1000시간 방치하고 방치 전후의 L*, a*, b*를 측정했다. 방치 전후의 L*, a*, b*의 차 ΔL, Δa*, Δb*로부터 이하의 식에 의해 1000시간 방치 후의 ΔE를 산출했다. 또한, ΔE가 낮을수록, 고온 환경 하에서 자외선을 조사했을 때의 열화가 적어 내후성이 높은 것을 나타낸다.
ΔE=(ΔL*^2+Δa*^2+Δb*^2)^0.5로서 산출했다.
또, 방치 시간을 2000시간으로 변경한 이외는 동일하게 하여, 2000시간 방치 후의 ΔE도 구했다.
(조건)
크세논 램프의 이너 필터로서 석영, 아우터 필터로서 #275를 이용하여, 300~400nm의 적산 광량이 60w/m2가 되도록 접합 유리에 크세논 램프를 조사했다. 또, 블랙 패널 온도를 63℃, 상대 습도를 50%RH, 샘플 셀 회전 속도를 2rpm으로 했다.
또한, 실시예, 비교예에서 사용한 각 성분은, 이하와 같다.
(1) 수지
PVB1:폴리비닐부티랄 수지, 아세탈화도 69몰%, 수산기량 30몰%, 아세틸화도 1몰%, 합성에 이용한 PVA의 평균 중합도 1700
(2) 가소제
3GO: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3) 자외선 흡수제
티누빈326:5-클로로-2-「3-(tert-부틸)-2-히드록시-5-메틸페닐」-2H-벤조트리아졸, 상품명 「Tinuvin 326」, BASF사 제조
UV234:2-[2-히드록시-3,5-비스(α,α-디메틸벤질)페닐]-2H-벤조트리아졸, 상품명 「RIASORB 234」, 랸론재팬사 제조
티누빈640:2-(2H-벤조트리아졸-2-일)-6-(1-메틸-1-페닐에틸)-4-(1,1,3,3-테트라메틸부틸)페놀, 상품명 「Tinuvin 640」, BASF사 제조
EV88:3-(5-클로로-2H-벤조트리아졸-2-일)-5-(1,1-디메틸에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온산메틸, 상품명 「Eversorb88」, 영광화학사 제조
(4) 산화 방지제
BHT:2,6-디-tert-부틸-p-크레졸
1010:펜타에리스리톨테트라키스[3-(3,5-디-ter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5) 광안정제
HALS:세바스산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 상품명 「Tinuvin765」, BASF사 제조, CAS 번호:41556-26-7
(6) 접착력 조정제
Mg염: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과 아세트산마그네슘의 50:50(질량비) 혼합물
K염:아세트산칼륨
(7) 착색제 (Y)
PY150 (1):피그먼트 옐로 150(CAS No.68511-62-6), 니켈 착체 아조계 안료, 피그먼트 옐로 150을 농도 2.5질량%로, 또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적당량으로 가소제(3GO)에 배합하고 고압 습식 미립화 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입경이 될 때까지 분산시킨 것.
폴리비닐부티랄 수지(PVB)에 대해, 가소제를 PVB에 대해 40질량부, 가소제의 일부에 착색제를 분산시킨 분산액(PY150 (1))을 안료 농도가 0.03질량%가 되도록 첨가하고, 압출기로 혼련 압출함으로써 중간막 시트를 성형하고, D50 및 D90을 측정했다. 그 결과, D50이 73μm, D90이 111μm였다. 또, 극대 흡수 파장은 435nm, 455nm였다.
PY150 (2):피그먼트 옐로 150(CAS No.68511-62-6), 니켈 착체 아조계 안료, 피그먼트 옐로 150을 농도 2.5질량%로, 또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적당량으로 가소제(3GO)에 배합하고, 고압 습식 미립화 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입경이 될 때까지, 분산 시간을 길게 함으로써 PY150 (1)보다 고분산으로 한 것. PY150 (1)과 동일하게 D50과 D90을 측정했다. 그 결과, D50은 47μm, D90은 75μm였다. 극대 흡수 파장은 435nm, 455nm였다.
PY150 (3):피그먼트 옐로 150(CAS No.68511-62-6), 니켈 착체 아조계 안료, 피그먼트 옐로 150을 농도 2.5질량%로, 또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적당량으로 가소제(3GO)에 배합하고, 고압 습식 미립화 장치를 이용하여, PY150 (1)보다 분산 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PY150 (1)보다 저분산으로 한 것. PY150 (1)과 동일하게 D50과 D90을 측정했다. 그 결과, D50은 120μm, D90은 150μm였다. 극대 흡수 파장은 435nm, 455nm였다.
(8) 착색제 (y)
PY110:피그먼트 옐로 110(CAS No.5590-18-1), 이소인돌린계 안료, 피그먼트 옐로 110을 농도 2.5질량%로, 또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적당량으로 가소제(3GO)에 배합하고 고압 습식 미립화 장치를 이용하여, 원하는 입경이 될 때까지 분산시킨 것. PY150 (1)과 동일하게 D50과 D90을 측정했다. 그 결과, D50은 211μm, D90은 312μm였다. 극대 흡수 파장은 435nm였다.
SY16:솔벤트 옐로 16(CAS No.4314-14-1), 모노아조계 염료, 솔벤트 옐로 16을 농도 2.5질량%로, 또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적당량으로 가소제(3GO)에 배합하여 분산시킨 것. 솔벤트 옐로 16의 입자는, 중간막에 있어서 확인할 수 없었다. 극대 흡수 파장은, 480nm에서 400nm까지 단조롭게 감소하고 있으며, 극대점(즉, 극대 흡수 파장)은 확인할 수 없었다.
PY93:피그먼트 옐로 93(CAS No.5580-57-4), 디아조계 안료, 피그먼트 옐로 93을 농도 2.5질량%로, 또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적당량으로 가소제(3GO)에 배합하여 분산시킨 것. PY150 (1)과 동일한 수법으로 중간막을 작성하여 입경을 관찰한 그 결과, D50은 145μm, D90은 189μm였다.
하지만, 입경은 확인할 수 없었다. 극대 흡수 파장은 420nm였다.
(9) 탄소 재료
PBk-7:피그먼트 블랙 7(CAS No.1333-86-4), 카본 블랙 안료, 피그먼트 블랙 7을 농도 1.5질량%로, 또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적당량으로 가소제(3GO)에 배합하여 분산시킨 것. PY150 (1)과 동일하게 D50과 D90을 측정했다. 그 결과, D50은 57μm, D90은 89μm였다.
(10) 착색제 (B)
PB15-1:피그먼트 블루 15-1(CAS No.147-14-8), 구리 프탈로시아닌의 α형 결정 안료, 피그먼트 블루 15-1을 농도 3질량%로, 또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적당량으로 가소제(3GO)에 배합하여 분산시킨 것. PY150 (1)과 동일하게 D50과 D90을 측정했다. 그 결과, D50은 81μm, D90은 107μm였다. 극대 흡수 파장은, 585nm, 670nm였다.
PB15-3:피그먼트 블루 15-3(CAS No.147-14-8), 구리 프탈로시아닌의 γ형 결정 안료, 피그먼트 블루 15-3을 농도 3질량%로, 또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적당량으로 가소제(3GO)에 배합하여 분산시킨 것. PY150 (1)과 동일하게 D50과 D90을 측정했다. 그 결과, D50은 86μm, D90은 92μm였다. 극대 흡수 파장은, 615nm, 715nm였다.
(11) 착색제 (R)
PR149:피그먼트 레드 149(CAS No.4948-15-6), 페릴렌계 안료, 피그먼트 레드 149를 농도 3질량%로, 또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적당량으로 가소제(3GO)에 배합하여 분산시킨 것. PY150 (1)과 동일하게 D50과 D90을 측정했다. 그 결과, D50은 110μm, D90은 145μm였다. 극대 흡수 파장은, 485nm, 505nm, 550nm였다.
PR209 (1):피그먼트 레드 209(CAS No.38720-66-0), 염소화퀴나크리돈계 안료, 피그먼트 레드 209를 농도 3질량%로, 또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적당량으로 가소제(3GO)에 배합하여 분산시킨 것. PY150 (1)과 동일하게 D50과 D90을 측정했다. 그 결과, D50은 78μm, D90은 160μm였다. 극대 흡수 파장은, 510nm, 540nm였다.
PR122 (2):피그먼트 레드 122(CAS No.16043-40-6), 메틸화퀴나크리돈계 안료, 피그먼트 레드 122를 농도 3질량%로, 또한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를 적당량으로 가소제(3GO)에 배합하여 분산시킨 것. PY150 (1)과 동일하게 D50과 D90을 측정했다. 그 결과, D50은 69μm, D90은 111μm였다. 극대 흡수 파장은 540nm, 560nm였다.
(12) 차열제
ITO:주석 도프 산화인듐 입자
[실시예 1]
(중간막의 제작)
폴리비닐부티랄 수지(PVB)에 대해, 표 1의 배합이 되도록, 가소제의 일부에 착색제를 분산시킨 분산액(PY150 (1)), 나머지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및 접착력 조정제를 압출기를 이용하여 혼련하고 압출하여, 두께 380μm의 중간막을 얻었다. 중간막은, 단층의 수지층으로 이루어지는 중간막이었다.
(접합 유리의 제작)
각각이 세로 100mm×가로 100mm×두께 2.5mm의 2장의 클리어 유리를 준비했다. 클리어 유리로서 명세서 기재의 기준 클리어 유리를 사용했다. 상기에서 얻어진 중간막을, 23℃, 28%RH의 항온 항습 조건으로 4시간 유지한 후, 2장의 클리어 유리 사이에 협지하고, 적층체로 했다. 얻어진 적층체를, 고무백에 넣고, 진공 펌프로 감압한 후에 유리 온도가 90℃가 될 때까지 오븐으로 가열하여 가압착시켰다. 가압착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를 이용하여 135℃, 압력 1.2MPa의 조건으로 20분간 압착하고, 접합 유리를 제작했다. 얻어진 접합 유리에 대해 각 광학 특성을 측정하고,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특성으로서 표 1에 나타낸다.
또한, 실시예 1에서는, 분광 스펙트럼에 있어서, 380nm 이상 480nm 미만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고 있었지만, 480nm 이상 780nm 이하의 파장역에 극대 흡수 파장은 볼 수 없었다.
[실시예 2~19, 비교예 1~6]
중간막의 두께, 배합하는 성분의 종류 및 첨가량이 표 1~3이 되도록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또한, 실시예 16~19, 및 비교예 4~6에서는, 가소제의 일부에 착색제를 분산시킨 분산액을 2종 이상 사용했다.
또한, 각 실시예에서는, 분광 스펙트럼에 있어서, 380nm 이상 480nm 미만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고 있었다. 또, 480nm 이상 780nm 이하에 극대 흡수 파장은 볼 수 없거나, 또는, 극대 흡수 파장을 볼 수 있었지만, 380nm 이상 4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480nm 이상 780nm 이하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보다 낮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시예 20]
압출기를 복수 갖는 공압출기에 있어서, 폴리비닐부티랄 수지(PVB)에 대해, 착색제 이외의 성분이 표 4의 배합이 되도록,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및 접착력 조정제를 혼련하고,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지 조성물을, 제1의 수지층용의 수지 조성물로서 얻었다.
또, 공압출기에 있어서, 중간막 전체의 배합이 표 4의 배합이 되도록, 가소제의 일부에 착색제를 분산시킨 분산액(PY150 (1)), 나머지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및 접착력 조정제를 혼련하고, 착색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2 및 제3의 수지층용의 수지 조성물로서 얻었다.
상기 공압출기에 있어서, 얻어진 제3, 제1, 제2의 수지층용의 수지 조성물을, 이 적층 순으로, 공압출함으로써, 도 2에 나타내는 제3의 수지층(두께:330μm)/제1의 수지층(두께:100μm)/제2의 수지층(두께:330μm)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중간막을 얻었다. 중간막 및 클리어 유리의 치수를, 1250mm×1250mm로 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실시예 21]
압출기를 복수 갖는 공압출기에 있어서, 폴리비닐부티랄 수지(PVB)에 대해, 착색제 이외의 성분이 표 4의 배합이 되도록,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및 접착력 조정제를 혼련하고,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제2, 3의 수지층용의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또, 공압출기에 있어서, 중간막의 최후부에 있어서의 두께 전체의 배합이 표 4의 배합이 되도록, 가소제의 일부에 착색제를 분산시킨 분산액, 나머지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산화 방지제, 및 접착력 조정제를 혼련하고, 착색제를 함유하는 제1의 수지층용의 수지 조성물을 얻었다.
상기 공압출기에 있어서, 제1의 수지층의 두께가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방향을 따라 점차 감소하고, 또한 일부의 영역에 설치되도록 조정하면서 공압출한 이외는, 실시예 20과 동일하게 실시했다. 또한, 실시예 21에 있어서는, 제3의 수지층(두께:570μm)/제1의 수지층(두께:130μm)/제2의 수지층(두께:60μm)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중간막을 얻었다. 또한, 두께는, 제1의 수지층이 최후부가 되는 부분에 있어서의 각 수지층의 두께이다.
[실시예 22]
상기 공압출기에 있어서, 실시예 20과 동일하게, 착색제를 함유하는 수지 조성물을, 제2 및 제3의 수지층용의 수지 조성물로 하고, 착색제를 함유하지 않는 수지 조성물을, 제1의 수지층용의 수지 조성물로 하며, 또한, 도 10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수지층의 두께가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점차 감소하도록 조정하면서 공압출한 이외는 실시예 20과 동일하게 실시하여, 쐐기형의 중간막을 얻었다. 또한, 실시예 22에 있어서, 제2 및 제3의 수지층이 가장 두꺼운 부분에 있어서의 각 수지층의 두께는, 제2의 수지층(두께:460μm)/제1의 수지층(두께:140μm)/제3의 수지층(두께:460μm)으로 이루어지는 3층 구조의 중간막을 얻었다.
[표 1]
[표 2]
[표 3]
[표 4]
※ phr은, PVB 100질량부에 대한 질량부이다.
※ wt%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각 성분의 함유율(질량%)이다. 또한, 착색제에 대해서는 착색제 자체의 함유율이다.
※ Mg(ppm)은, 중간막에 있어서의 접착력 조정제 유래의 마그네슘 원소의 함유량(질량ppm)이다.
※ 가소제의 배합량은, 착색제를 분산시키기 위해 사용한 가소제도 포함한 양이다.
※ 표 4에 있어서, 착색제의 함유율은, 명세서의 정의에 따른 함유율이며, 실시예 20, 22에서는 중간막 전체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함유율과 같고, 실시예 21에서는 제1의 수지층이 가장 두꺼운 부분에 있어서의 착색제의 함유율이다. 그 이외의 성분의 함유량, 함유율은, 어느 수지층에 있어서 같으며, 각 수지층 및 중간막 전체에 있어서의 함유율, 및 함유량 양쪽을 의미한다. 또, 실시예 21은 제1의 수지층이 가장 두꺼운 부분을 측정 부위로 했지만, 실시예 22에서는 표 1 기재의 두께 부분(중간막이 가장 얇아지는 부분)을 측정 부위로 했다.
표 1~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실시예에서는, 특정의 구조를 갖는 착색제 (Y)를 사용하고, 또한 착색제 (Y)의 D50, 또는 착색제 전체의 D50 (T)를 낮게 함으로써, 접합 유리의 헤이즈를 작게 하면서, 내후성을 높게 할 수 있었다. 그 때문에, 각 실시예의 중간막은, 착색제에 의한 착색이 선명해지고, 또한 태양광의 조사나 고온 하에서의 방치가 장기간 계속되어도 높은 의장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한편, 각 비교예에서는, 특정의 구조를 갖는 착색제 (Y)를 사용하지 않고, 또, 착색제 (Y)의 D50, 또는 착색제 전체의 D50 (T)가 높았기 때문에, 접합 유리의 헤이즈를 작게 하면서, 내후성을 높게 할 수 없었다.
10, 30 중간막
11, 31 제1의 층
12, 32 제2의 층
13, 33 제3의 층
21 제1의 영역
22 제2의 영역
21A 최후부
21X 두께가 일정해지는 영역
21Y 그라데이션 영역
30A 일단
30B 타단

Claims (11)

1종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상기 착색제가 이하의 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착색제 (Y)를 포함하고,
상기 착색제 (Y)는,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측정된 D50이 160nm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Figure pct00009

(식 (1)에 있어서, M은 2가의 금속 원소, R11~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1종 이상의 착색제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으로서,
상기 착색제가 이하의 식 (1)로 표시되는 구조를 갖는 착색제 (Y)를 포함하고,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의 착색제 전체의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측정된 D50이 180nm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Figure pct00010

(식 (1)에 있어서, M은 2가의 금속 원소, R11~R14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원자 또는 알킬기 중 어느 하나이다.)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 (Y)는,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측정된 D90이 160nm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있어서의 상기 착색제 전체의 투과 전자 현미경으로 측정된 D90이 180nm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장의 클리어 유리판이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개재하여 접착됨으로써 제작된 접합 유리에 대해, 온도 63℃ 및 습도 50%RH의 조건 하에서, 300~400nm의 적산 광량이 60W/m2인 크세논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2000시간 조사했을 때의 ΔE가 5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장의 클리어 유리판이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개재하여 접착됨으로써 제작된 접합 유리에 대해 측정된 L*가 85 이상 94 이하이며, 또한 헤이즈가 1.2%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5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장의 클리어 유리판이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개재하여 접착됨으로써 제작된 접합 유리에 대해 측정된 L*가 85 미만이며, 또한 헤이즈가 2.5% 이하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7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는, 또한 480nm 이상 580nm 미만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는 착색제 (R), 및 580nm 이상 780nm 이하에 극대 흡수 파장을 갖는 착색제 (B)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추가로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착색제는 탄소 재료를 포함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장의 클리어 유리판이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개재하여 접착됨으로써 제작된 접합 유리에 있어서, 380nm 이상 4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이, 480nm 이상 580nm 미만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 및 580nm 이상 780nm 이하의 극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투과율보다 낮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10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과, 한 쌍의 유리판을 구비하고,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상기 유리판 사이에 배치되는, 접합 유리.
KR1020237045215A 2021-09-30 2022-09-29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4007381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162321 2021-09-30
JP2021162321 2021-09-30
PCT/JP2022/036579 WO2023054640A1 (ja) 2021-09-30 2022-09-29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40073819A true KR20240073819A (ko) 2024-05-27

Family

ID=8578292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37045215A KR20240073819A (ko) 2021-09-30 2022-09-29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WO2023054640A1 (ko)
KR (1) KR20240073819A (ko)
CN (1) CN117715879A (ko)
TW (1) TW202330436A (ko)
WO (1) WO2023054640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8972A (ja) 2011-04-08 2012-11-12 Bridgestone Corp 熱線遮蔽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熱線遮蔽合わせガラス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123991B2 (ja) * 2013-02-28 2017-05-10 住友金属鉱山株式会社 熱線遮蔽用合わせ構造体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218972A (ja) 2011-04-08 2012-11-12 Bridgestone Corp 熱線遮蔽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熱線遮蔽合わせガラス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202330436A (zh) 2023-08-01
JPWO2023054640A1 (ko) 2023-04-06
CN117715879A (zh) 2024-03-15
WO2023054640A1 (ja) 2023-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04690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TW201726384A (zh) 層合玻璃用中間膜及層合玻璃
KR102609898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TW201718429A (zh) 層合玻璃用中間膜及層合玻璃
JP2020073423A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18225797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JP7381338B2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自動車ルーフ用合わせガラス
KR20240073819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TW201930079A (zh) 層合玻璃
WO2023054641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CN117425635A (zh) 树脂膜、夹层玻璃及屏幕
US20230065099A1 (en)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and laminated glass
JPWO2018182030A1 (ja) 熱可塑性樹脂膜及びガラス板含有積層体
TW201821277A (zh) 層合玻璃用中間膜及層合玻璃
TWI838366B (zh) 層合玻璃用中間膜、及車頂用層合玻璃
WO2024135685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23140297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23100928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21124948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24135684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WO2024135688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KR20240019122A (ko) 수지 필름, 접합 유리, 및 스크린
CN117396448A (zh) 树脂膜、夹层玻璃及屏幕
JPWO2018182031A1 (ja) 熱可塑性樹脂膜及びガラス板含有積層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