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30084773A -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용기 - Google Patents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30084773A
KR20230084773A KR1020210172815A KR20210172815A KR20230084773A KR 20230084773 A KR20230084773 A KR 20230084773A KR 1020210172815 A KR1020210172815 A KR 1020210172815A KR 20210172815 A KR20210172815 A KR 20210172815A KR 20230084773 A KR20230084773 A KR 2023008477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le
discharge
rotation
plate
op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728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혜정
Original Assignee
이혜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혜정 filed Critical 이혜정
Priority to KR10202101728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30084773A/ko
Publication of KR2023008477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08477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05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 B65D83/0811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 B65D83/0823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shed and slid through the aperture
    • B65D83/0829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rough an aperture in a wall with means for assisting dispensing the articles being pushed and slid through the aperture by means of an actu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83/08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 B65D83/0894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for dispensing thin flat articles in succession the articles being positioned relative to one another or to the container in a special way, e.g. for facilitating dispensing, without additional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5/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 B65D85/6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rticles or materials for sweets or like confectionery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2583/00Containers or packages with special means for dispensing contents
    • B65D2583/04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 B65D2583/0472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dispensing action
    • B65D2583/0477For dispensing annular, disc-shaped or spherical or like small articles or tablets characterised by the dispensing action the container is maintained in the same position during the dispensing of several successive articles or doses
    • B65D2583/0481One reciprocating action, e.g. to or from
    • B65D2583/0486Linear action transformed in a rotational movement of the dispensing elemen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losures For Containers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센싱부를 통해 획득된 센싱 정보에 응답하여, 저장된 펠릿형 내용물을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용기를 개시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용기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며 하부 일측에 상기 내용물이 통과하는 오픈홀이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내용물이 통과하는 배출홀 및 상기 배출홀과 연통되며 외부를 향하여 개방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서 상하 방향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내용물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회전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홀과 상기 배출홀은 상기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오픈홀 및 상기 배출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용기{RECEPTACLE FOR DISCHARGING CONTENTS}
본 발명은 센싱부를 통해 획득된 센싱 정보에 응답하여 저장된 펠릿형 내용물을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키는 배출용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껌은 치아 건강과 입 냄새 예방 및 졸음 예방에 도움이 되는 것으로, 최근에는 펠릿형의 껌이 출시되고 있다. 이러한 펠릿형 껌은 여러 개가 하나의 수납용기에 담겨져 판매되기 때문에, 손을 자유롭게 사용할 수 없는 환경 예를 들어, 운전 중인 경우 수납용기에 담겨진 껌을 꺼내어 먹기는 쉽지 않다.
아울러, 수납용기에 담긴 껌을 꺼낼때 마다, 수납용기에 저장된 껌들은 사람의 손에 지속적으로 접촉되거나, 외부 환경에 쉽게 노출될 수 있기 때문에, 세균에 손쉽게 오염될 수 있는 단점이 있다.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1362648호, 2014.02.12. 한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065938호, 2017.06.14.
본 명세서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손의 접촉 등 간단한 동작만으로 미리 저장된 내용물을 손쉽게 꺼내 먹을 수 있도록 함으로써 사용 편의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배출용기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은 센싱부를 통해 획득된 센싱 정보에 응답하여, 저장된 펠릿형 내용물을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는 배출용기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용기는, 내용물을 저장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며 하부 일측에 상기 내용물이 통과하는 오픈홀이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내용물이 통과하는 배출홀 및 상기 배출홀과 연통되며 외부를 향하여 개방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서 상하 방향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내용물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회전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홀과 상기 배출홀은 상기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오픈홀 및 상기 배출홀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수용되는 상부 공간과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배출홀 및 중심을 관통하는 축홀이 각각 형성되는 섹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축홀을 관통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구동축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바디의 지지부의 두께는, 상기 오픈홀이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두꺼워질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에 따른 배출용기는 상기 제1 바디의 개방된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며, 상기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벤트홀을 갖는 보조 플레이트; 상기 제1 바디의 상부를 개폐하며, 상기 보조 플레이트를 커버하는 뚜껑; 및 상기 보조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는 습기 제거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관통홀은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들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1 바디는 제1 내용물이 수용되는 제1 공간과 제2 내용물이 수용되는 제2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배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홀은 상기 제1 공간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오픈홀 및 상기 제2 공간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2 오픈홀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은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기 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모드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기 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의 역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오픈홀 및 상기 배출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고,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배출홀과 연통되지 않으며,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오픈홀 및 상기 배출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고,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배출홀과 연통되지 않을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배출용기는 센싱부를 통해 획득된 센싱 정보에 응답하여 저장된 펠릿형 내용물을 배출구를 통해 배출시킬 수 있기 때문에, 손의 접촉 등의 간단한 동작만으로 미리 저장된 내용물을 손쉽게 꺼내 먹을 수 있다. 이에 따라, 배출 용기의 사용 편의성을 현저히 개선할 수 있는 이점을 갖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에 첨부되는 다음의 도면들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예시하는 것이며,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구체적인 내용과 함께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더욱 이해시키는 역할을 하는 것이므로, 본 발명은 그러한 도면에 기재된 사항에만 한정되어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용기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용기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사시도 및 개념도이다. 도 2 및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배출용기의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배출용기(10)는 센싱부(30)로부터 센싱된 정보를 바탕으로 구동부(40)를 제어하는 제어부(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용기(10)는 적어도 하나의 센싱부(30)로부터 제공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구동부(40)를 제어함으로써, 저장된 펠릿형 내용물을 일정량 배출하는 일련의 동작을 수행하는 장치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펠릿(pellet)형은, 구형, 원반형, 계란형, 사각원반형, 원주형, 사각막대형, 다면체형 등의 형상을 지칭할 수 있고, 펠릿형 내용물은 껌, 사탕, 알약 등을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펠릿형 내용물은, 음식물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출용기(10) 내에 일정 기간 보관 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적당량 배출이 필요한 성질의 것이라면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출용기(10)는 손이 자유롭지 않은 사용 공간 특히, 차량 등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고, 차량 내부 등 특정 공간에 설치가 가능하도록 부착재, 거치 부재 등과 같은 고정(체결) 수단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배출용기(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센싱부(30)를 통해 입력되는 신호, 데이터, 정보 등을 처리하고 구동부(40)를 제어함으로써, 사용자에게 적절한 기능을 제공 또는 처리할 수 있다.
센싱부(30)는 배출용기(10) 내 정보, 배출용기(10)를 둘러싼 주변 환경 정보 및 사용자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센싱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센싱부(30)는 , 터치 센서(touch sensor), 근접 센서(proximity sensor), 모션 센서(motion sensor), 지문인식 센서(finger scan sensor), 음성인식 센서(voice recognition sensor), 광 센서(optical sensor), 환경 센서(예를 들어, 기압계, 습도계, 온도계, 방사능 감지 센서, 열감지 센서, 가스 감지 센서 등), 화학 센서(예를 들어, 전자 코, 헬스케어 센서, 생체 인식 센서 등)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 명세서에 개시된 전자 장치는, 이러한 센서들 중 적어도 둘 이상의 센서에서 센싱되는 정보들을 조합하여 활용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배출용기(10)는 배터리에 의한 자체 전원으로 동작될 수도 있고, 차량에 거치되는 경우 차량의 시거잭(cigar jack)으로부터 공급된 전력으로 동작될 수도 있으며, 또는, 양자 선택적으로 이용되도록 구비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용기(10)는 제1 바디(110), 제2 바디(120) 및 회전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10)는 도시된 바와 같이,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바디(110)에는 펠릿형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바디(110)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마련된 투입구, 및 펠릿형 내용물이 안착되는 지지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개방된 제1 바디(110)의 투입구를 통해 펠릿형 내용물을 투입할 수 있고, 내부 공간에 이를 저장할 수 있다. 지지부(111)는 펠릿형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측에 마련된 오픈홀(113)을 포함할 수 있다. 도면에서는, 오픈홀(113)이 한개 형성된 경우를 예로 들어 도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오픈홀(113)이 복수 개로 마련된 경우, 오픈홀(113)들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오픈홀(113)의 형상 및 크기는 투입되는 펠릿형 내용물의 크기, 회당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 적정량 등 미리 설정된 조건들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지지부(111)는, 저장된 펠릿형 내용물이 오픈홀(113)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도록 유도하기 위해, 소정의 경사를 가질 수 있다. 즉, 지지부(111)의 두께는 위치에 따라 상이할 수 있다. 일 예로, 지지부(111)는 오픈홀(113)이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배출용기(10)는 제1 바디(110)의 투입구를 개폐하는 뚜껑(140)을 포함할 수 있다. 뚜껑(140)과 제1 바디(110)는 끼움 결합되거나, 힌지 결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2 바디(120)는 제1 바디(1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디(120)는 펠릿형 내용물이 통과하는 배출홀(125) 및 배출홀(125)과 연통되며 외부를 향하여 개방되는 배출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바디(120)는 상부 공간(122a) 및 하부 공간(122b)을 구획하는 섹션 플레이트(121)를 포함할 수 있다. 섹션 플레이트(121)는 일측에 마련되어 배출구(123)와 연통되는 배출홀(125), 및 중심이 관통되어 마련된 축홀(127)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10)의 오픈홀(113)과 제2 바디(120)의 배출홀(125)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23)의 하면은 저장된 펠릿형 내용물이 배출될 때 의도치 않게 배출용기(10) 외부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소정의 경사를 갖거나, 단턱을 가질 수 있다. 일 예로, 배출구(123)의 하면은 외부를 향할수록 점진적으로 두껍게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유닛(130)은 회전 플레이트(131) 및 회전 플레이트(13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131)는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 사이에서 상하 방향의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13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 플레이트(131)는 섹션 플레이트(121)에 의해 구획된 상부 공간(122a)에 수용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131)는 일측에 마련되어 펠릿형 내용물이 통과하는 관통홀(133)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회전 플레이트(131)의 관통홀(133)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이 경우 관통홀(133)들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33)의 형상 및 크기는 투입되는 펠릿형 내용물의 크기, 회당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 적정량 등 미리 설정된 조건들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관통홀(133)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펠릿형 내용물의 최종 배출량이 결정될 수 있다.
관통홀(133)은 회전 플레이트(131)의 회전에 대응하여, 오픈홀(113) 및 배출홀(125)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오픈홀(113)과 배출홀(125)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 플레이트(131)의 회전 동작에 대응하여, 관통홀(133)과 오픈홀(113)이 서로 연통되는 경우 관통홀(133)과 배출홀(125)은 연통되지 않고, 관통홀(133)과 배출홀(125)이 연통되는 경우 관통홀(133)과 오픈홀(113)은 연통되지 않는다. 이러한 구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배출용기(10)는 제어부의 제어하에 다음과 같은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 최초 오픈홀(113)과 관통홀(133)이 연통된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적당량의 펠릿형 내용물들이 관통홀(133)에 수용되는 단계,
(단계 2) 제어부(20)가 센싱부(30)로부터 획득된 신호에 응답하여, 회전 플레이트(131)를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시키는 단계,
(단계 3) 회전 플레이트(131)의 회전 동작에 대응하여, 관통홀(133)과 배출홀(125)이 연통된 상태에서 관통홀(133)에 수용된 펠릿형 내용물들이 배출홀(125)을 통해 배출구(123)로 배출되는 단계,
(단계 4) 제어부(20)가 회전 플레이트(131)를 오픈홀(113)과 관통홀(133)이 연통되는 최초 상태로 복원시키는 단계.
구동부(40)는 회전 플레이트(131)에 연결되어 회전 플레이트(131)에 회전력을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40)는 모터(137) 및 모터(137)의 회전력을 회전 플레이트(131)에 전달하는 구동축(139)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139)은 회전축(X)을 형성하며, 구동축(139)에 연결된 회전 플레이트(131)는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모터(137)는 섹션 플레이트(121)에 의해 구획된 하부 공간(122b)에 수용될 수 있다. 구동축(139)은 섹션 플레이트(121)의 축홀(127)에 삽입되어, 상부 공간(122a)에 수용된 회전 플레이트(131) 및 하부 공간(122b)에 수용된 모터(137)를 연결할 수 있다. 제어부(20)는 센싱부(3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모터(137)를 제어하여 회전 플레이트(131)를 회전 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에에 따른 배출용기(10)는 보조 플레이트(141)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플레이트(141)는 제1 바디(110)의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될 수 있다. 보조 플레이트(141)는 제1 바디(110)와 뚜껑(140) 사이에 위치하며, 뚜껑(140)에 의해 커버될 수 있다. 보조 플레이트(141)는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벤트홀(143)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 플레이트(141) 상에는 습기 제거제가 위치할 수 있다. 습기 제거제는 제1 바디(110)의 내부 공간의 습기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 실리카겔(silica gel)일 수 있다. 습기 제거제는 펠릿형 내용물이 저장된 제1 바디(110)의 내부 공기와 복수의 벤트홀(143)을 통해 접촉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용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전술한 내용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구성에 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용기(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배출용기(10)는 제1 바디(110), 제2 바디(120) 및 회전 유닛(1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10)는 원통 형상의 외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바디(110)에는 펠릿형 내용물을 저장할 수 있는 내부 공간이 마련될 수 있다. 제1 바디(110)는 적어도 일부가 개방되어 마련된 투입구, 내부 공간을 구획하는 배리어(150), 및 펠릿형 내용물이 안착되는 지지부(111)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개방된 제1 바디(110)의 투입구를 통해 펠릿형 내용물을 투입할 수 있고, 내부 공간에 이를 저장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배출용기(10)는 제1 바디(110)를 복수의 공간으로 구획하는 배리어(150)를 포함할 수 있다. 배리어(150)는 지지부(111)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바디(110)는 제1 공간(151a)(예를 들어, 좌측 공간) 및 제2 공간(151b)(예를 들어, 우측 공간)을 구획하는 배리어(15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공간(151a)에는 제1 펠릿형 내용물이 수용되고, 제2 공간(151b)에는 제1 펠릿형 내용물과 상이한 제2 펠릿형 내용물이 수용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내부 공간이 배리어(150)에 의해 2개의 공간으로 구획되는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지지부(111)는 펠릿형 내용물이 통과할 수 있도록 일측에 마련된 오픈홀(113)을 포함할 수 있다. 오픈홀(113)은 제1 공간(151a)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오픈홀(113a) 및 제2 공간(151b)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2 오픈홀(11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오픈홀(113a)은 제1 공간(151a)에서 제1 펠릿형 내용물이 배출되는 홀을 지칭하고, 제2 오픈홀(113b)은 제2 공간(151b)에서 제2 펠릿형 내용물이 배출되는 홀을 지칭할 수 있다.
제2 바디(120)는 제1 바디(110)의 하부에 결합될 수 있다. 제2 바디(120)는 펠릿형 내용물이 통과하는 배출홀(125) 및 배출홀(125)과 연통되며 외부를 향하여 개방되는 배출구(12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10)의 제1 및 제2 오픈홀들(113a, 113b)과 제2 바디(120)의 배출홀(125)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될 수 있다.
회전 유닛(130)은 회전 플레이트(131) 및 회전 플레이트(131)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구동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131)는 제1 바디(110)와 제2 바디(120) 사이에서 상하 방향의 회전축(X)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131)는 제1 방향(R1)(예를 들어, 반시계 방향), 및 제2 방향(R2)(예를 들어, 시계 방향)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13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회전 플레이트(131)는 섹션 플레이트(121)에 의해 구획된 상부 공간(122a)에 수용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131)는 일측에 마련되어 펠릿형 내용물이 통과하는 관통홀(133)을 포함할 수 있다. 회전 플레이트(131)의 관통홀(133)은 복수 개로 마련될 수 있고, 이 경우 관통홀(133)들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다. 관통홀(133)의 형상 및 크기는 투입되는 펠릿형 내용물의 크기, 회당 내용물이 배출되는 배출 적정량 등 미리 설정된 조건들을 고려하여 선택될 수 있다. 관통홀(133)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펠릿형 내용물의 최종 배출량이 결정될 수 있다.
관통홀(133)의 개수는 오픈홀(113)의 개수에 대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관통홀(133a) 및 제2 관통홀(133b)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관통홀(133a)은 회전 플레이트(131)의 제1 방향(R1)으로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1 오픈홀(113a) 및 배출홀(125)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즉, 제1 오픈홀(113a)과 배출홀(125)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1 관통홀(133a)과 제1 오픈홀(113a)이 서로 연통되는 경우 제1 관통홀(133a)과 배출홀(125)은 연통되지 않고, 회전 플레이트(131)의 제1 방향(R1)으로의 회전 동작에 대응하여 제1 관통홀(133a)과 배출홀(125)이 연통되는 경우 제1 관통홀(133a)과 제1 오픈홀(113a)은 연통되지 않는다. 이때, 제2 관통홀(133b)은 제1 오픈홀(113a) 및 배출홀(125)과 연통되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회전 플레이트(131)는 기 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관통홀(133b)은 회전 플레이트(131)의 제2 방향(R2)으로의 회전에 대응하여, 제2 오픈홀(113b) 및 배출홀(125)과 선택적으로 연통될 수 있다. 즉, 제2 오픈홀(113b)과 배출홀(125)은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도록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제2 관통홀(133b)과 제2 오픈홀(113b)이 서로 연통되는 경우 제2 관통홀(133b)과 배출홀(125)은 연통되지 않고, 회전 플레이트(131)의 제2 방향(R2)으로의 회전 동작에 대응하여 제2 관통홀(133b)과 배출홀(125)이 연통되는 경우 제2 관통홀(133b)과 제2 오픈홀(113b)은 연통되지 않는다. 이때, 제1 관통홀(133a)은 제2 오픈홀(113b) 및 배출홀(125)과 연통되지 않는다. 이를 위하여, 회전 플레이트(131)는 기 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에서, 본 발명에 따른 배출용기(10)는 제어부(20)의 제어하에 다음과 같은 단계를 수행할 수 있다.
(단계 1) 최초, 제1 오픈홀(113a)과 제1 관통홀(133a)이 연통된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적당량의 제1 펠릿형 내용물들이 제1 관통홀(133a)에 수용되고, 제2 오픈홀(113b)과 제2 관통홀(133b)이 연통된 상태에서 미리 결정된 적당량의 제2 펠릿형 내용물들이 제2 관통홀(133b)에 수용되는 단계,
(단계 2) 제어부(20)가, ① 센싱부(30)로부터 획득된 제1 신호에 응답하여 회전 플레이트(131)를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제1 방향(R1)으로 회전시키거나, ② 센싱부(30)로부터 획득된 제2 신호에 응답하여 회전 플레이트(131)를 기 설정된 각도 범위 내에서 제2 방향(R2)으로 회전시키는 단계,
(단계 3) ① 회전 플레이트(131)의 제1 방향(R1)으로의 회전 동작에 대응하여 제1 관통홀(133a)과 배출홀(125)이 연통된 상태에서 제1 관통홀(133a)에 수용된 제1 펠릿형 내용물들이 배출홀(125)을 통해 배출구(123)로 배출되거나, ② 회전 플레이트(131)의 제2 방향(R2)으로의 회전 동작에 대응하여 제2 관통홀(133b)과 배출홀(125)이 연통된 상태에서 제2 관통홀(133b)에 수용된 제2 펠릿형 내용물들이 배출홀(125)을 통해 배출구(123)로 배출되는 단계,
(단계 4) 제어부(20)가 회전 플레이트(131)를 제1 오픈홀(113a)과 제1 관통홀(133a)이 연통되고 제2 오픈홀(113b)과 제2 관통홀(133b)이 연통되는 최초 상태로 원복시키는 단계.
상기 단계에서, 제어부(20)가 제1 신호에 응답하여 회전 플레이트(131)를 제1 방향(R1)으로 회전시키고 원복시키는 일련의 모드를 제1 모드라 지칭할 수 있고, 제어부(20)가 제2 신호에 응답하여 회전 플레이트(131)를 제2 방향(R2)으로 회전시키고 원복시키는 일련의 모드를 제2 모드라 지칭할 수 있다.
구동부(40)는 회전 플레이트(131)에 연결되어 회전 플레이트(131)에 제1 방향(R1) 및 제2 방향(R2)으로의 회전력을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구동부(40)는 모터(137) 및 모터(137)의 회전력을 회전 플레이트(131)에 전달하는 구동축(139)을 포함할 수 있다. 구동축(139)은 회전축(X)을 형성하며, 구동축(139)에 연결된 회전 플레이트(131)는 회전축(X)을 중심으로 제1 방향(R1) 또는 제2 방향(R2)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어부(20)는 센싱부(30)로부터 획득한 정보를 바탕으로 모터(137)를 제어하여, 회전 플레이트(131)를 회전 시키는 동작 및 최초 위치로 원복시키는 동작(제1 모드, 및 제2 모드)을 반복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명세서의 기술에 대한 바람직한 실시 예가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되었다. 여기서, 본 명세서 및 청구 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들로 한정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사상 및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범주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수정, 변경, 또는 개선될 수 있다.
10 : 배출용기 20 : 제어부
30 : 센싱부 40 : 구동부
110 : 제1 바디 111 : 지지부
113 : 오픈홀 120 : 제2 바디
121 : 섹션 플레이트 123 : 배출구
125 : 배출홀 127 : 축홀
130 : 회전 유닛 131 : 회전 플레이트
133 : 관통홀 137 : 모터
139 : 구동축 140 : 뚜껑
141 : 보조 플레이트 143 : 벤트홀
150 : 배리어

Claims (6)

  1. 내용물을 저장하는 내부 공간이 마련되며, 하부 일측에 상기 내용물이 통과하는 오픈홀이 형성되는 지지부를 포함하는 제1 바디;
    상기 제1 바디의 하부에 결합되고, 상기 내용물이 통과하는 배출홀 및 상기 배출홀과 연통되며 외부를 향하여 개방되는 배출구를 포함하는 제2 바디;
    상기 제1 바디와 상기 제2 바디 사이에서 상하 방향의 회전 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내용물이 통과하는 관통홀을 포함하는 회전 플레이트, 및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회전력을 제공하는 모터를 포함하는 회전 유닛; 및
    적어도 하나의 센서로부터 획득한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모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홀과 상기 배출홀은, 상기 상하 방향으로 중첩되지 않고,
    상기 관통홀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오픈홀 및 상기 배출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는, 배출용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바디는,
    상기 회전 플레이트가 수용되는 상부 공간과 상기 모터가 수용되는 하부 공간을 구획하며, 상기 배출홀 및 중심을 관통하는 축홀이 각각 형성되는 섹션 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 유닛은,
    상기 축홀을 관통하여, 상기 모터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 플레이트에 전달하는 구동축을 포함하는, 배출용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지지부의 두께는,
    상기 오픈홀이 형성된 영역으로부터 멀어질수록 점진적으로 두꺼워지는, 배출용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의 개방된 상부에 분리 가능하게 안착되며, 상기 상하 방향으로 관통되는 복수의 벤트홀을 갖는 보조 플레이트;
    상기 제1 바디의 상부를 개폐하며, 상기 보조 플레이트를 커버하는 뚜껑; 및
    상기 보조 플레이트 상에 위치하는 습기 제거제를 더 포함하는, 배출용기.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관통홀은 복수 개로 마련되며,
    상기 복수 개의 관통홀들은,
    원주 방향으로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배출용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바디는,
    제1 내용물이 수용되는 제1 공간과 제2 내용물이 수용되는 제2 공간을 구획하기 위해, 상기 지지부로부터 상부를 향하여 연장되는 배리어를 포함하고,
    상기 오픈홀은,
    상기 제1 공간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1 오픈홀 및 상기 제2 공간에 대응하여 형성된 제2 오픈홀을 포함하며,
    상기 관통홀은,
    원주 방향으로 상호 이격되어 형성되는 제1 관통홀 및 제2 관통홀을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센싱 정보를 바탕으로,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기 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제1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모드와, 상기 회전 플레이트를 기 설정된 회전 각도 범위 내에서 상기 제1 방향의 역 방향인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2 모드 중 어느 하나로 상기 모터를 제어하고,
    상기 제1 모드에서,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상기 제1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1 오픈홀 및 상기 배출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고,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배출홀과 연통되지 않으며,
    상기 제2 모드에서, 상기 제2 관통홀은 상기 회전 플레이트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회전에 대응하여 상기 제2 오픈홀 및 상기 배출홀과 선택적으로 연통되고, 상기 제1 관통홀은 상기 배출홀과 연통되지 않는, 배출용기.
KR1020210172815A 2021-12-06 2021-12-06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용기 KR2023008477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815A KR20230084773A (ko) 2021-12-06 2021-12-06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용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72815A KR20230084773A (ko) 2021-12-06 2021-12-06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용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84773A true KR20230084773A (ko) 2023-06-13

Family

ID=867629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72815A KR20230084773A (ko) 2021-12-06 2021-12-06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용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30084773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648B1 (ko) 2013-03-28 2014-02-12 김광식 상부 토출용 식품 또는 약품 디스펜서
KR20170065938A (ko) 2015-12-04 2017-06-14 대명디스펜서 주식회사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62648B1 (ko) 2013-03-28 2014-02-12 김광식 상부 토출용 식품 또는 약품 디스펜서
KR20170065938A (ko) 2015-12-04 2017-06-14 대명디스펜서 주식회사 상부 개별 토출 디스펜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59765B2 (en) Electronic pill dispenser
US20210261319A1 (en) Single pill distributing cap for use on pill bottles
EP2099406B1 (en) Storage and dispensing devices for administration of oral transmucosal dosage forms
CA2912821C (en) Container for an electronic nicotine delivery system
KR102352704B1 (ko) 밸브의 작업자 피드백
JP7159961B2 (ja) 回転式ホルダ装置
AU2016224240B2 (en) Passing device, valve, containing apparatus having same, contents moving apparatus and contents apparatus
ATE485074T1 (de) Elektronisch gesteuerte tablette
KR20230084773A (ko) 내용물을 배출하는 배출용기
EP1964495B1 (en) Dry goods dispenser and dispensing mechanism
JP4980767B2 (ja) 錠剤容器の中栓
KR20170091524A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US10018969B2 (en) Timer based on chemical sensing
JPWO2018101113A1 (ja) ディスペンサ
CN115777119A (zh) 用于分配和跟踪补充剂和/或药物使用的分配器、容舱和方法
JP4653392B2 (ja) 錠剤計量容器
KR101920743B1 (ko) 펠릿형 내용물을 일정량씩 배출하는 상품용기
CN212573853U (zh) 一种可远程监控的仔猪精准喂奶装置
KR20170091503A (ko) 통과 장치, 밸브, 이를 구비하는 수용 기구, 내용물 이동 기구 및 내용물 기구
CN207824892U (zh) 餐厅机器人
JP6060207B2 (ja) 回転方向検出装置
US1208922A (en) Drenching-bottle.
WO2020184528A1 (ja) 電動調理器
KR101823835B1 (ko) 시리얼 정량 배출 장치
CN214910661U (zh) 一种口服药物器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