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60601A - 파우치 - Google Patents

파우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60601A
KR20220160601A KR1020227034706A KR20227034706A KR20220160601A KR 20220160601 A KR20220160601 A KR 20220160601A KR 1020227034706 A KR1020227034706 A KR 1020227034706A KR 20227034706 A KR20227034706 A KR 20227034706A KR 20220160601 A KR20220160601 A KR 2022016060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eal
seal portion
sheet
pouch
side se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347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사호 모리타
다카히로 시모노
Original Assignee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70005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1165170A/ja
Priority claimed from JP2020071559A external-priority patent/JP2021167214A/ja
Application filed by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도판 인사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6060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6060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008Standing pouches, i.e. "Standbeut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33/00Details of, or accessories for, sacks or bags
    • B65D33/01Ventilation or drainage of b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75/00Packages comprising articles or materials partially or wholly enclosed in strips, sheets, blanks, tubes, or webs of flexible sheet material, e.g. in folded wrappers
    • B65D75/52Details
    • B65D75/58Opening or contents-removing devices added or incorporated during package manufacture
    • B65D75/5827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 B65D75/5833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 B65D75/5844Tear-lines provided in a wall portion for tearing out a portion of the wall the portion of the wall being a narrow strip, e.g. between lines of wea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DCONTAINERS FOR STORAGE OR TRANSPORT OF ARTICLES OR MATERIALS, e.g. BAGS, BARRELS, BOTTLES, BOXES, CANS, CARTONS, CRATES, DRUMS, JARS, TANKS, HOPPERS, FORWARDING CONTAINERS; ACCESSORIES, CLOSURES, OR FITTINGS THEREFOR; PACKAGING ELEMENTS; PACKAGES
    • B65D81/00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 B65D81/34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 B65D81/3446Containers, packaging elements, or packages, for contents presenting particular transport or storage problems, or adapted to be used for non-packaging purposes after removal of contents for packaging foodstuffs or other articles intended to be cooked or heated within the package specially adapted to be heated by microwaves
    • B65D81/3461Flexible containers, e.g. bags, pouches, envelop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ackage Specialized In Special Use (AREA)
  • Bag Frames (AREA)

Abstract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우치는,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는 파우치로서, 1 쌍의 시트와, 1 쌍의 시트가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시일된 1 쌍의 사이드 시일부를 구비하고,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중 적어도 1 개의 사이드 시일부는, 정상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제 1 시일부와, 바닥부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제 1 시일부와 이간된 제 2 시일부와, 제 1 및 제 2 시일부를 연결함과 함께 수용 공간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 배출 시일부를 갖고, 제 1 및 제 2 시일부 사이의 제 1 영역과 제 1 영역과 증기 배출 시일부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제 2 영역으로 형성되는 부분은 미시일 영역이고, 적어도 1 개의 시트에 있어서의 미시일 영역에는, 적어도 1 개의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파우치
본 발명은 파우치에 관한 것이다.
내용물 (예를 들어 식품) 을 수용하고, 내용물을 가열하기 위한 파우치로서,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파우치가 알려져 있다.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파우치는, 내용물을 가열했을 때에 발생되는 증기를 빠져 나가게 하기 위한 구조를 갖는다. 구체적으로는, 파우치에 있어서의 측부 시일부 (사이드 시일부) 가 수용 공간측으로 돌출된 돌출 부분을 갖는다. 돌출 부분의 내측은 미시일 영역이다. 내용물이 가열되어 증기가 발생되면, 돌출 부분의 시일이 박리된다. 이로써, 내용물을 수용하고 있는 공간과 미시일 영역이 연결되고, 미시일 영역을 증기 배출구로 하여 증기가 미시일 영역으로부터 배출된다. 증기를 배출하는 것이 가능한 파우치로는, 예를 들어, 특허문헌 2 에 기재된 전자 레인지용 파우치도 알려져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9-1453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8-127257호
편의점 등에 있어서 파우치를 가열할 경우, 예를 들어, 업무용의 전자 레인지를 사용하여 고출력 (예를 들어 1000 W 이상) 의 마이크로파로 파우치가 가열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파우치가 고출력 하에서 가열되면, 내용물이 급격하게 가열되는 점에서, 수용 공간의 내압의 상승 스피드가 빨라진다. 그 때문에, 특허문헌 1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돌출 부분이 형성되어 있어도, 내압의 급격한 상승에 수반하여 파우치도 급격하게 팽창되는 점에서, 미시일 영역이 폐색될 우려가 있다. 미시일 영역이 폐색되면, 증기를 배출할 수 없기 때문에, 파우치가 파열되거나, 증기 배출을 위한 시일부 이외의 시일이 박리되어, 내용물이 파우치로부터 튀어나올 우려가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은 고출력 (예를 들어 1000 W 이상) 하에서도, 안전하게 내용물을 가열 가능한 파우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파우치는,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와 반대측의 정상부 (頂上部) 사이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는 파우치로서, 중첩된 1 쌍의 시트와, 상기 1 쌍의 시트에 있어서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1 쌍의 시트가,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시일된 1 쌍의 사이드 시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중의 적어도 1 개의 사이드 시일부는, 상기 정상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제 1 시일부와, 상기 제 1 시일부보다 상기 바닥부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제 1 시일부와 이간된 제 2 시일부와, 상기 제 1 시일부와 상기 제 2 시일부를 연결함과 함께 상기 수용 공간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 배출 시일부를 갖고, 상기 제 1 시일부와 상기 제 2 시일부 사이의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증기 배출 시일부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제 2 영역으로 형성되는 부분은 미시일 영역이고, 상기 1 쌍의 시트 중 적어도 1 개의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미시일 영역에는, 상기 적어도 1 개의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파우치에서는, 미시일 영역에 관통부를 갖는다. 이 경우, 예를 들어 파우치가 고출력으로 가열됨으로써 파우치의 내압이 급격하게 높아져도, 관통부가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 배출구로서 기능한다. 따라서, 고출력 하에 있어서도 안전하게 파우치를 가열할 수 있다.
상기 1 쌍의 시트의 양방에 상기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고출력 하에서 파우치가 가열되어도, 증기가 배출되기 쉽다.
상기 관통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시일부 및 상기 제 2 시일부 중 가장 상기 수용 공간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를 가상적으로 연장한 제 1 가상선보다 상기 수용 공간측에 위치해도 된다. 이 경우, 제 1 시일부, 제 2 시일부 등의 절곡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두께 방향에서 본 상기 관통부의 형상은, 상기 수용 공간의 중심을 향하여 만곡된 호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관통부로부터 증기를 배출하기 쉽다.
상기 증기 배출 시일부는, 상기 증기 배출 시일부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의 중심측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선단부를 갖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중심과, 상기 선단부를 연결하는 제 2 가상선 상에 위치해도 된다. 이 경우, 관통부로부터 증기를 배출하기 쉽다.
상기 관통부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의 중심측에 가장 가까운 부분은, 상기 제 2 가상선 상에 위치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우치는, 제 1 바닥 시일부와, 제 2 바닥 시일부를 가져도 된다. 상기 바닥부는, 상기 1 쌍의 시트 사이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V 자상으로 접어 넣어 개재된 바닥 시트를 가져도 된다. 상기 1 쌍의 사이드 시일부의 일방은,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이고, 타방은,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이며, 상기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및 상기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는, 대략 직선상이고, 상기 1 쌍의 시트를 접합하는 부분과, 접어 넣어진 상기 바닥 시트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하는 부분을 포함해도 된다. 상기 제 1 바닥 시일부는, 상기 1 쌍의 시트 중의 제 1 시트와 상기 바닥 시트를 접합하는 부분이고, 상기 제 1 바닥 시일부는, 제 1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와, 제 1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와, 상기 제 1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및 상기 제 1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사이에서, 상기 제 1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및 상기 제 1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에 연접하는 대략 직선상의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제 2 바닥 시일부는, 상기 1 쌍의 시트 중의 제 2 시트와 상기 바닥 시트를 접합하는 부분이고, 상기 제 2 바닥 시일부는, 제 2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와, 제 2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와, 상기 제 2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및 상기 제 2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사이에서 상기 제 2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및 상기 제 2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에 연접하는 대략 직선상의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를 포함해도 된다.
상기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의, 접어 넣어진 상기 바닥 시트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하는 부분의 내연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연접하는 제 1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또는 제 2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의 내연과 상기 제 1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또는 상기 제 2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에 연접하는 상기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 또는 상기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의 내연이 교차하는 부분을 포함시킨, 상기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 또는 상기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의 외연에 대한 가상 수직선까지의 폭 방향의 길이를 A1 [㎜] 로 하고,
상기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의, 접어 넣어진 상기 바닥 시트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하는 부분의 내연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연접하는 상기 제 1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또는 상기 제 2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의 내연과 상기 제 1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또는 상기 제 2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에 연접하는 상기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 또는 상기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의 내연이 교차하는 부분을 포함시킨, 상기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 또는 상기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의 외연에 대한 가상 수직선까지의 폭 방향의 길이를 A2 [㎜] 로 했을 경우,
상기 A1 및 상기 A2 는 동등해도 된다.
상기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 또는 상기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의 내연의 폭 방향의 길이를 B 로 했을 경우, 상기 A1 과, 상기 B 와, 상기 A2 의 비가, 1 : 1 : 1 ∼ 1 : 3 : 1 이어도 된다.
상기 구성에서는, 바닥 벌어짐성을 향상시킴으로써 개구성이 양호하다. 그 때문에, 전자 레인지 등에 의한 가열 처리 후의 개봉 후에, 그 증기 배출 파우치로부터 그대로 내용물인 식품을 섭식하기 쉽다.
상기 바닥 시트의 접어 넣음부로부터 상기 바닥 시트의 하단까지의 높이 방향의 길이를 C [㎜], 대략 직선상의 상기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 또는 상기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의 높이 방향의 길이를 D [㎜] 로 했을 경우, 상기 A1, 상기 B, 상기 A2, 상기 C 및 상기 D 가, 식 (1) 을 만족해도 된다.
Figure pct00001
상기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의 폭 방향의 길이와, 상기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의 폭 방향의 길이가 동등해도 된다.
상기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또는 상기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의 일부에 개봉 유도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개봉 유도부는, 상기 증기 배출 시일부와 상기 바닥 시트의 접어 넣음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또는 상기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의 일부에 개봉 유도부가 형성되어 있는 형태에서는, 상기 개봉 유도부로부터 상기 바닥 시트의 하단까지의 높이 방향의 길이를 F [㎜] 로 했을 때, 상기 C 와 상기 F 가, 식 (2) 를 만족해도 된다.
Figure pct00002
상기 증기 배출 영역은, 미시일 영역이어도 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고출력 하에 있어서도, 안전하게 내용물을 가열 가능한 파우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 은, 정상부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우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정상부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의 도 1 에 나타낸 파우치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도 2 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 는, 증기 배출 시일부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6 은, 실험에 사용한 기본 구성의 파우치의 평면도이다.
도 7 은, 도 6 에 나타낸 파우치에 있어서의 증기 배출 시일부 근방의 확대도이다.
도 8 은, 실험에 있어서 변경한 관통부의 위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는, 관통부의 변형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은, 관통부가 적용되어 있지 않은 파우치로서 개구부가 닫히기 전의 파우치의 정면도이다.
도 11 은, 관통부가 적용되어 있지 않은 파우치로서 개구부가 닫힌 후의 파우치의 정면도이다.
도 12 는, 도 10 에 나타낸 파우치에 대해서 관통부를 적용한 경우의 파우치의 정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실시형태를 설명한다. 동일한 요소에는 동일 부호를 붙인다.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한다. 도면의 치수비율은, 설명한 것과 반드시 일치하지 않는다.
(제 1 실시형태)
도 1 은, 정상부가 개방된 상태에 있어서의 일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우치 (10) 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정상부를 닫은 상태에 있어서의 도 1 에 나타낸 파우치 (10) 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은, 도 2 의 III-III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2 의 IV-IV 선을 따른 단면도이다.
파우치 (10) 는, 바닥부 (12) 와 바닥부 (12) 의 반대측에 위치하는 정상부 (14) 사이에 내용물 (200) 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 (S) (도 3 및 도 4 참조) 을 갖는다. 파우치 (10) 는, 스탠딩 파우치로서 알려진 자립 가능한 포장 봉지이다. 이하, 내용물 (200) 을 수용하기 위해서 정상부 (14) 가 개방된 상태를 개방 상태라고 칭하고, 정상부 (14) 가 닫힌 상태를 폐색 상태라고 칭한다. 폐색 상태의 파우치 (10) 는, 최종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파우치 (10) 이다.
내용물 (200) 은 예를 들어 식품이다. 내용물 (200) 은, 예를 들어 유동성을 갖는 식품 (예를 들어 카레, 햄버거, 스튜, 스프 등) 이다. 파우치 (10) 는, 내용물 (200) 을 예를 들어 전자 레인지 등으로 가열함으로써 조리하기 위한 포장 봉지이다. 파우치 (10) 는, 예를 들어 1000 W 이상의 고출력대에 의해서 파우치 (10) 를 가열하는 경우에 바람직하게 사용된다.
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파우치 (10) 의 바닥부 (12) 의 외연 (바닥변) 또는 정상부 (14) 의 외연 (정상변) 과 직교하는 방향을 y 방향이라고 칭하고, y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x 방향 (또는 폭 방향) 이라고도 칭하는 경우가 있다. 파우치 (10) 에 있어서, 바닥부 (12) 측을 하측이라고 칭하고, 정상부 (14) 측을 상측이라고 칭하는 경우도 있다.
파우치 (10) 의 x 방향의 길이 L1 의 예는 100 ㎜ ∼ 180 ㎜ 이고, y 방향의 길이 L2 의 예는 100 ㎜ ∼ 200 ㎜ 이다. 파우치 (10) 는, 중첩된 1 쌍의 시트 (16, 18) (도 3 및 도 4 참조) 와 시트 (20) (도 1 참조) 를 갖는다.
1 쌍의 시트 (16, 18) 는, 파우치 (10) 의 전면 시트 (혹은 제 1 측면 시트) 및 후면 시트 (혹은 제 2 측면 시트) 이다. 1 쌍의 시트 (16, 18) 의 평면에서 보았을 때 형상 (두께 방향에서 본 형상) 은, 예를 들어 직사각형이어도 되고, 정방형이어도 된다. 시트 (16, 18) 각각은 일방의 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적층체 (혹은 적층 필름) 이다. 1 쌍의 시트 (16, 18) 는 실란트층이 서로 마주 보도록 중첩되어 배치되어 있다.
시트 (20) 는, 파우치 (10) 의 바닥부 (12) 를 구성하기 위한 시트이다. 시트 (20) 도 일방의 면에 실란트층을 갖는 적층체 (혹은 적층 필름) 이다.
시트 (16, 18, 20) 의 재료의 예는, 폴리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PET : Polyethylene terephthalate), 나일론 (NY) 및 올레핀계 수지를 함유한다. 시트 (16, 18, 20) 는, 예를 들어, 라미네이트 가공에 의해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 (16, 18, 20) 가 갖는 실란트층의 재료의 예는, 무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CPP : Cast Polypropylene), 리니어 폴리에틸렌 (LLDPE : Linear Low Density Polyethylene) 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실란트층은, 내열성을 갖는 재료로 형성되어 있다.
시트 (16, 18, 20) 는, 예를 들어, 최외층, 중간층, 및, 최내층을 포함한다. 최외층은, 중간층에 대해서 최내층과 반대측에 위치하는 층이다.
최외층은 주로 가스 차단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최외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예는 투명한 재료이다. 투명한 재료의 예는 PET, 투명 증착 필름 등을 포함한다. 투명 증착 필름의 예는, 2 축 연신 폴리프로필렌 필름 (OPP : Oriented Poly Propylene) 이다. 최외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일례는 무기 박막이 증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이하에서는,「투명 증착 PET」라고 한다) 이다. 중간층은 주로 내열성 및 방습성이 우수하다. 최외층의 내면 (최내층측) 에 인쇄가 실시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최외층의 내면에 도안 및 상품 설명의 텍스트 등이 인쇄되어도 된다. 이 경우, 최외층은 인쇄 적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층은 주로 내열성 및 방습성이 우수하다. 중간층은, 예를 들어 수지의 흐름 방향의 인열성이 우수한 재료에 의해서 구성된다. 중간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일례는 나일론이다. 보다 바람직한 예에서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수지의 흐름 방향의 인열성이 우수한 나일론 (이하에서는,「직선 컷성 NY」라고 한다) 이다. 중간층은, 예를 들어, 제 1 접착층, 본체층, 및, 제 2 접착층을 추가로 함유해도 된다. 본체층은, 중간층의 본체로서, 예를 들어, 상기 직선 컷성 NY 로 형성된 층이다. 본체층은, 연신 나일론층이어도 된다. 본체층은, PET 필름과 나일론 필름의 적층체여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PET 필름이 최내층측에 위치하고, 나일론 필름이 최외층측에 위치하도록, PET 필름 및 나일론 필름은 배치될 수 있다. 제 1 접착층은, 최외층과 본체층을 접착하도록 최외층과 본체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접착층은 본체층과 최내층을 접착하도록 본체층과 최내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각 접착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일례는 드라이 라미네이트 접착제이다. 최내층은 중간층에 대해서 최외층과 반대측에 형성된다. 최내층은, 내열성, 히트 시일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최내층은, 예를 들어, 상기 특성을 구비한 실란트층이다. 실란트층은, 수지의 흐름 방향의 인열성이 우수한 재료에 의해서 구성된다. 실란트층은, 수지의 흐름 방향의 인열성이 우수한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이하에서는,「직선 컷성 CPP」라고 한다) 에 의해서 형성된 층이다. 이하에서는, 내열성에 주목한 경우에 있어서, 내열성을 갖는 무연신 프로필렌을 내열 CPP 라고도 칭한다. 예를 들어, 상기 인쇄는, 중간층의 최외층측의 면에 실시되어도 된다.
1 쌍의 시트 (16, 18) 는 실란트층이 서로 마주 보도록 중첩되어 있다. 시트 (20) 는, 1 쌍의 시트 (16, 18) 중 파우치 (10) 의 바닥부 (12) 측에 배치되어 있다. 시트 (20) 는, 실란트층이 외측이 되도록, 자립 가능한 형상 (예를 들어 가재트상) 으로 접힌 상태에서, 중첩된 시트 (16, 18) 사이에 끼워 넣어져 있다. 예를 들어, 시트 (20) 는, 실란트층이 외측이 되도록, 둘로 접힌 상태에서, 시트 (16, 18) 사이에 삽입되어 있다.
파우치 (10) 의 주위는 히트 시일되어 있다. 이로써, 폐색 상태의 파우치 (10) 는, 바닥 시일부 (22), 정상 시일부 (24) 및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26, 28) 를 갖는다. 도 1 및 도 2 에서는, 시일 지점을 명시하기 위해서, 시일 지점에 해칭을 표시하였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정상 시일부 (24) 는, 개방 상태의 파우치 (10) 에 내용물 (200) 을 수용한 후에 형성되는 시일부이다.
바닥 시일부 (22) 는, 1 쌍의 시트 (16, 18) 사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삽입된 시트 (20) 와, 시트 (16, 18) 가 히트 시일된 부분이다. 도 1 및 도 2 에서는, 바닥 시일부 (22) (또는 바닥부 (12)) 는, x 방향에 있어서의 중앙부로부터 양 사이드를 향하여 약간 만곡된 형상을 갖지만, 바닥 시일부 (22) 의 외연은 직선상이어도 된다.
정상 시일부 (24) 는, 1 쌍의 시트 (16, 18) 에 있어서 바닥 시일부 (22) 와 반대측 (정상부 (14) 측) 인 가장자리부가 히트 시일된 부분이다. 정상 시일부 (24) 는, 개방 상태의 파우치 (10) 에 내용물 (200) 을 수용한 후에, 정상부 (14) 측이 히트 시일됨으로써 형성된다.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26, 28) 는, 중첩된 1 쌍의 시트 (16, 18) 에 있어서, x 방향에 있어서의 양 사이드에, 수용 공간 (S) 을 형성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26, 28) 는, 바닥 시일부 (22) 와 정상 시일부 (24) 를 접속하고 있다.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26, 28) 중 일방의 사이드 시일부 (26) 는, x 방향에 있어서, 파우치 (10) 의 일방의 단측에 위치하는 시일부이다. 사이드 시일부 (26) 는, 시트 (16) (또는 시트 (18)) 의 외연을 따라서 1 쌍의 시트 (16, 18) 가 히트 시일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사이드 시일부 (26) 의 시일 폭 W1 (연장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폭) 의 예는 3 ㎜ ∼ 15 ㎜ 이다.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26, 28) 중 타방의 사이드 시일부 (28) 는, x 방향에 있어서 파우치 (10) 의 타방의 단측에 위치하는 시일부이다. 사이드 시일부 (28) 는, 파우치 (10) 를 가열했을 때에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빠져 나가게 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사이드 시일부 (28) 는, 상측 시일부(제 1 시일부) (30) 와, 하측 시일부(제 2 시일부) (32) 와, 증기 배출 시일부 (34) 를 갖는다.
상측 시일부 (30) 는, 사이드 시일부 (28) 에 있어서 정상부 (14) 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부분이다. 상측 시일부 (30) 는, 시트 (16) (또는 시트 (18)) 의 외연을 따라서 1 쌍의 시트 (16, 18) 가 히트 시일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상측 시일부 (30) 의 시일 폭 W2 의 예는, 사이드 시일부 (26) 의 시일 폭 W1 의 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시일 폭 W2 는 시일 폭 W1 과 동일하지만, 시일 폭 W2 는 시일 폭 W1 과 상이해도 된다.
하측 시일부 (32) 는, 사이드 시일부 (28) 에 있어서 상측 시일부 (30) 보다 바닥부 (12) 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부분이다. 하측 시일부 (32) 는, y 방향에 있어서, 상측 시일부 (30) 와 이간되어 있다. 따라서, 시트 (16, 18) 중 y 방향을 따라서 하측 시일부 (32) 와 상측 시일부 (30) 사이의 영역은 시일되어 있지 않은 영역이다. 하측 시일부 (32) 는, 시트 (16) (또는 시트 (18)) 의 외연을 따라서 1 쌍의 시트 (16, 18) 가 히트 시일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하측 시일부 (32) 의 시일 폭 W3 의 예는, 사이드 시일부 (26) 의 시일 폭 W1 의 예와 동일하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측 시일부 (32) 의 시일 폭 W3 은 상측 시일부 (30) 의 시일 폭 W2 와 동일하지만, 시일 폭 W3 은 시일 폭 W2 와 상이해도 된다. 예를 들어, 시일 폭 W3 은, 시일 폭 W2 보다 좁아도 된다.
증기 배출 시일부 (34) 는, 사이드 시일부 (28) 에 있어서 파우치 (10) 를 가열했을 때에 발생되는 증기를 외부로 빠져 나가게 하기 위해서 형성된 부분이다. 증기 배출 시일부 (34) 는, 수용 공간 (S) 중 내용물 (200) 로 채워지는 영역보다 정상부 (14) 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증기 배출 시일부 (34) 는, 상측 시일부 (30) 와 하측 시일부 (32) 를 연결하는 부분이다. 증기 배출 시일부 (34) 는, 수용 공간 (S) 측으로 돌출되어 있는 부분이기도 하다. 따라서, 사이드 시일부 (28) 는, 증기 배출 시일부 (34) 의 부분에서 수용 공간 (S) 측으로 패인 형상을 갖는다. 증기 배출 시일부 (34) 는, 증기 배출 시일부 (34) 의 형상으로 시트 (16, 18) 를 히트 시일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증기 배출 시일부 (34) 로부터 증기가 빠지기 쉽도록, 증기 배출 시일부 (34) 의 시일 강도는, 상측 시일부 (30), 하측 시일부 (32) 및 사이드 시일부 (26) 의 시일 강도보다 작다. 예를 들어, 증기 배출 시일부 (34) 의 시일 폭은, 상측 시일부 (30) 의 시일 폭 W2 및 하측 시일부 (32) 의 시일 폭 W3 보다 좁아도 된다.
도 5 를 주로 참조하여, 증기 배출 시일부 (34) 를 추가로 설명한다. 도 5 는, 증기 배출 시일부 (34) 의 확대도이다. 증기 배출 시일부 (34) 는, 선단부 (36) 와, 제 1 접속부 (38) 와, 제 2 접속부 (40) 를 갖는다. 도 5 에 나타낸 예에서는, 증기 배출 시일부 (34) 의 형상은 대략 V 자상이다. 도 5 에 있어서도, 시일 지점에 해칭을 표시하여 시일 지점을 명시하고 있다.
선단부 (36) 는, 예를 들어, 내용물 (200) 을 가열에 수반하여 수용 공간 (S) 내의 압력이 상승했을 경우에 있어서, 시트 (16, 18) 에 있어서 강한 응력 집중이 발생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선단부 (36) 는, 예를 들어, 수용 공간 (S) 의 중심 (O) (도 2 및 도 5 참조) 에 가장 가까운 부분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증기 배출 시일부 (34) 는, 선단부 (36) 가 중심 (O) 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선단부 (36) 는, 통상적으로, y 방향에 있어서 중심 (O) 보다 정상부 (14) 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중심 (O) 은 파우치 (10) 를 평면에서 보았을 경우 (x 방향 및 y 방향에서 보았을 경우) 에 있어서의 수용 공간 (S) 의 중심이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중심 (O) 은, 사이드 시일부 (26) 의 수용 공간 (S) 측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y 방향의 중점을 통과하여 x 방향과 평행한 선과, 정상 시일부 (24) 의 수용 공간 (S) 측의 가장자리부에 있어서의 x 방향의 중점을 통과하여 y 방향과 평행한 선의 교점이다. 중심 (O) 은 예를 들어, 폐색 상태의 파우치 (10) 에 있어서의 수용 공간 (S) 에 들어가는 최대 반경의 구의 중심이어도 된다. 중심 (O) 은, 통상적으로, 시트 (16) (또는 시트 (18)) 의 중심과 일치한다.
선단부 (36) 는, 제 1 접속부 (38) 와 제 2 접속부 (40) 를 연결하는 모서리부이기도 하다. 선단부 (36) 는, 예를 들어, 증기 배출 시일부 (34) 에 있어서 바닥 시일부 (22) 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선단부 (36) 는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수용 공간 (S) 측으로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제 1 접속부 (38) 는, 선단부 (36) 와 하측 시일부 (32) 를 접속하는 부분이다. 제 1 접속부 (38) 는, 증기 배출 시일부 (34) 에 있어서의 하측의 시일 부분이다. 제 1 접속부 (38) 에 있어서의 선단부 (36) 와 반대의 단 (端) 은, 하측 시일부 (32) 의 단부 (32a) 에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1 접속부 (38) 는, x 방향을 따르고 있다. 제 1 접속부 (38) 의 시일 폭 W4 는, 예를 들어 일정하다. 시일 폭 W4 의 예는, 3 ㎜ ∼ 10 ㎜ 이다. 도 5 에 나타낸 예에서는, 시일 폭 W4 는, 시일 폭 W2 및 시일 폭 W3 보다 좁다.
제 1 접속부 (38) 와 하측 시일부 (32) 의 접속 부분은, 하측 시일부 (32) 의 단부 (32a) 보다 바닥부 (12) 에 근접하여 위치해도 된다. 제 1 접속부 (38) 는, 선단부 (36) 를 향하여 바닥부 (12) 측으로 경사져 있어도 된다. 즉, y 방향에 있어서, 선단부 (36) 는, 제 1 접속부 (38) 와 하측 시일부 (32) 의 접속 지점보다 바닥부 (12) 측에 위치해도 된다. 시일 폭 W4 는, x 방향에 있어서 변화해도 된다. 예를 들어, 선단부 (36) 를 향하여 시일 폭 W4 는 좁아져도 된다.
제 2 접속부 (40) 는, 선단부 (36) 와 상측 시일부 (30) 를 접속하는 부분이다. 도 5 에 나타낸 예에서는, 제 2 접속부 (40) 는, 선단부 (36) 로부터 상측 시일부 (30) 를 향하여 연장되어 있고, y 방향에 대해서 경사져 있다. 제 2 접속부 (40) 에 있어서의 선단부 (36) 와 반대의 단은, 상측 시일부 (30) 의 단부 (30a) 에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제 2 접속부 (40) 는, y 방향에 대한 경사 각도가 상이한 제 1 부분 (42) 과 제 2 부분 (44) 을 갖는다.
제 1 부분 (42) 은, 제 2 접속부 (40) 중 선단부 (36) 측의 부분이다. 제 1 부분 (42) 의 시일 폭 W5 의 예는, 3 ㎜ ∼ 10 ㎜ 이다. 도 5 에 나타낸 예에서는, 시일 폭 W5 는, 시일 폭 W2 및 시일 폭 W3 보다 좁다. 시일 폭 W5 는, 선단부 (36) 보다 제 2 부분 (44) 측에서 넓어지도록 변화해도 된다. 그러나, 시일 폭 W5 는, 시일 폭 W2 및 시일 폭 W3 과 동일해도 된다. 시일 폭 W5 는 일정해도 된다.
제 2 부분 (44) 은, 제 2 접속부 (40) 중 제 1 부분 (42) 과 상측 시일부 (30) 사이의 부분이다. 제 2 부분 (44) 은, y 방향에 대한 제 1 부분 (42) 의 경사 각도보다 큰 경사 각도로 경사져 있다. 따라서, 제 2 접속부 (40) 는, 제 1 부분 (42) 과 제 2 부분 (44) 의 접속 지점에서 굴곡되어 있다. 통상적으로, 제 1 부분 (42) 과 제 2 부분 (44) 의 접속 지점 (굴곡 부분) 은, 제 2 접속부 (40) 에 있어서 상측 시일부 (30) 에 근접하여 위치한다. 제 2 부분 (44) 의 시일 폭 W6 의 예는, 3 ㎜ ∼ 15 ㎜ 이다. 도 5 에 나타낸 예에서는, 시일 폭 W6 은, 제 1 부분 (42) 의 시일 폭 W5 보다 넓지만, 동일해도 된다.
y 방향에 있어서의 상측 시일부 (30) 와 하측 시일부 (32) 사이의 제 1 영역 (46a), 및, 증기 배출 시일부 (34) 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제 2 영역 (46b) (상세하게는 제 1 영역 (46a) 과 증기 배출 시일부 (34) 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영역) 은, 1 쌍의 시트 (16, 18) 가 시일되어 있지 않은 미시일 영역 (증기 배출 영역) (46) 이다. 즉, 1 쌍의 시트 (16, 18) 에 있어서, x 방향에 있어서 사이드 시일부 (26) 와 반대측은, 미시일 영역 (46) 이 형성되도록 시일되어 있다.
도 4 및 도 5 에 나타내고 있는 바와 같이, 미시일 영역 (46) 에는, 시트 (16) 및 시트 (18) 각각을 두께 방향 (x 방향 및 y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 으로 관통하는 관통부 (48) 가 형성되어 있다. 관통부 (48) 는, 예를 들어 절개선부, 랜싱부, 절단선부 등이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관통부 (48) 의 일부는, 도 5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측 시일부 (30) 또는 하측 시일부 (32) 중 가장 수용 공간 (S) 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를 연장한 가상선 (제 1 가상선) (50a) 보다 수용 공간 (S) 측에 위치한다. 관통부 (48) 는, 예를 들어,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중심 (O) 과 선단부 (36) 를 가상적으로 접속하는 가상선 (50b) (제 2 가상선) 상에 위치한다. 예를 들어, 관통부 (48) 중 가장 중심 (O) 에 가까운 부분이 가상선 (50b) 상에 위치해도 된다.
관통부 (48) 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의 형상은, 예를 들어, 파우치 (10) 의 내측 (예를 들어, 수용 공간 (S) 의 중심 (O) 측) 으로 만곡된 호상 (예를 들어, 원호, 초승달상 등) 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관통부 (48) 중 가장 수용 공간 (S) 의 중심 (O) 측에 위치하는 부분은, 가상선 (50b) 상에 위치한다. 호상인 관통부 (48) 를 평면에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 관통부 (48) 의 제 1 단 (48a) 과 제 2 단 (48b) (제 1 단 (48a) 과 반대측의 단) 사이의 길이 L3 의 예는, 5 ㎜ ∼ 15 ㎜ 이고, 7.5 ㎜ 이상이 바람직하다.
관통부 (48) 는, 예를 들어, 관통부 (48) 의 형상을 갖는 날로 시트 (16) 및 시트 (18) 에 절개선 (또는 절단선) 을 내거나, 시트 (16) 및 시트 (18) 를 랜싱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26, 28) 에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적어도 1 개의 1 쌍의 노치 (n)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적어도 1 개의 1 쌍의 노치 (n) 는, 내용물 (200) 을 가열한 후, 파우치 (10) 를 개봉하기 위한 절결이다. 도 1 및 도 2 에서는, 파우치 (10) 가, 2 개의 1 쌍의 노치 (n1, n2) 를 갖는 예를 나타내고 있다. 도 2 를 참조하여 2 개의 1 쌍의 노치 (n1, n2) 를 설명한다.
1 쌍의 노치 (n1) 는, 정상 시일부 (24) 에 근접하여 형성되어 있다. 도 2 에 나타낸 예에서는, 1 쌍의 노치 (n1) 의 일방이 상측 시일부 (30) 에 위치하도록, 1 쌍의 노치 (n1) 가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노치 (n1) 는, 가열된 내용물 (200) 을 파우치 (10) 로부터 예를 들어 다른 용기 (예를 들어 접시 등) 로 꺼내기 위해서, 최종 사용자가 파우치 (10) 를 열기 위한 절결이다. 1 쌍의 노치 (n1) 는, 1 쌍의 노치 (n1) 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하여 파우치 (10) 를 파단했을 때에, 파우치 (10) 가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면 된다.
1 쌍의 노치 (n2) 는, 파우치 (10) 의 수용 공간 (S) 중 내용물 (200) 이 수용되는 영역과, 1 쌍의 노치 (n1)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1 쌍의 노치 (n2) 는, 증기 배출 시일부 (34) 의 하부에 위치한다. 도 2 에 나타낸 예에서는, 1 쌍의 노치 (n2) 의 일방이 하측 시일부 (32) 에 위치하도록, 1 쌍의 노치 (n2) 가 형성되어 있다. 1 쌍의 노치 (n2) 는, 예를 들어, 1 쌍의 제 2 노치의 일방으로부터 타방을 향하여 파우치 (10) 를 파단했을 때에, 파우치 (10) 에 있어서의 1 개의 노치 (n2) 로부터 바닥 시일부 (22) 측을 내용물 (200) 의 용기로서 최종 사용자가 사용 가능하도록 형성된 노치이다. 도 2 에 나타낸 예와 같이, 1 쌍의 노치 (n2) 중 사이드 시일부 (26) 측에 위치하는 노치 (n2) 에 대해서 y 방향에 있어서의 양측에는 융기부 (혹은 탭) 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로써, 1 쌍의 노치 (n2) 중 사이드 시일부 (26) 측의 노치 (n2) 로부터 타방의 노치 (n2) 를 향하여 파우치 (10) 를 파단하기 쉽다. 이와 같은 융기부는, 예를 들어, 1 쌍의 노치 (n1) 의 일방에 대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1 쌍의 시트 (16, 18) 각각에는, 파우치 (10) 의 개봉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서, 1 쌍의 노치 (n2) 를 연결하도록 개봉 예정선 (절취선) 이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개봉 예정선은, 예를 들어, 점선의 집합이다. 개봉 예정선은, 수평 방향 (도 1 의 x 방향) 을 따라서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 경우, 파우치 (10) 를 개봉했을 때에, 수평인 절단면을 유지할 수 있다. 동일한 개봉 예정선은, 1 쌍의 노치 (n1) 에 대해서도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와 같이, 파우치 (10) 를 개봉할 때에는, 파우치 (10) 를 파단하기 위해서, 전술한 바와 같이, 예를 들어, 1 쌍의 시트 (16, 18) 를 구성하는 층이, 인열성이 우수한 재료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파우치 (10) 는, 예를 들어 다음과 같이 제조될 수 있다.
1 쌍의 시트 (16, 18) 를, 실란트층이 마주보도록 중첩한다. 중첩된 1 쌍의 시트 (16, 18) 사이에, 전술한 바와 같이, 실란트층이 외측에 위치하며 또한 자립 가능한 형상으로 접힌 시트 (20) 를 사이에 둔다. 이 상태에서, 시트 (16, 18, 20) 를 히트 시일함으로써, 바닥 시일부 (22) 및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26, 28) 를 형성한다. 그 후, 사이드 시일부 (28) 측에 형성된 미시일 영역 (46) 에 관통부 (48) 를 형성한다. 이로써, 개방 상태의 파우치 (10) 가 얻어진다.
개방 상태의 파우치 (10) 에서는, 정상부 (14) 가 개구된다. 그 때문에, 그 개구로부터 내용물 (200) 을 수용 공간 (S) 에 수용한다. 그 후, 정상부 (14) 를 히트 시일함으로써, 정상 시일부 (24) 를 형성한다. 이로써, 폐색 상태의 파우치 (10) 가 얻어진다.
관통부 (48) 를 형성하는 공정은,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바닥 시일부 (22) 및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26, 28) 를 형성한 후에 한정되지 않는다. 관통부 (48) 는, 내용물 (200) 을 수용 공간 (S) 에 수용할 때까지의 어느 단계에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미리 관통부 (48) 가 형성된 시트 (16, 18) 를 준비해도 된다.
파우치 (10) 가 적어도 1 개의 1 쌍의 노치 (n) 을 갖는 경우에는, 예를 들어, 미리 적어도 1 개의 1 쌍의 노치 (n) 가 형성된 시트 (16, 18) 를 준비하여 파우치 (10) 를 제조해도 되고, 내용물 (200) 을 수용 공간 (S) 에 수용할 때까지의 어느 단계에서, 적어도 1 개의 1 쌍의 노치 (n) 를 형성하면 된다.
다음으로, 파우치 (10) 의 작용 효과를 설명한다. 먼저, 예를 들어, 가정용 전자 레인지 등에 있어서의 출력 (예를 들어 600 W 정도) 으로 파우치 (10) 가열하는 경우를 설명한다.
이 경우, 내용물 (200) 이 가열됨으로써 증기가 발생되고, 수용 공간 (S) 내의 압력이 증대된다. 파우치 (10) 는 증기 배출 시일부 (34) 를 갖는다. 증기 배출 시일부 (34) 는, 수용 공간 (S) 측으로 돌출되어 있다. 또한, 증기 배출 시일부 (34) 의 선단부 (36) 는 수용 공간 (S) 의 중심 (O) 에 가까운 점에서, 수용 공간 (S) 의 압력 상승시에, 강한 응력 집중이 일어난다. 그 때문에, 통상적으로, 선단부 (36) 로부터 증기 배출 시일부 (34) 의 박리가 개시되고, 증기 배출 시일부 (34) 의 형상을 따라서 박리가 진행된다. 이 박리에 의해서, 증기 배출 시일부 (34) 에 개구가 형성되는 점에서, 수용 공간 (S) 과 미시일 영역 (46) 이 연결된다. 그 결과, 미시일 영역 (46) 이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 배출구로서 기능하고, 수용 공간 (S) 내의 증기가 미시일 영역 (46) 을 개재하여 파우치 (10) 의 외부로 빠져 나간다.
다음으로, 고출력 하 (예를 들어 1000 W 이상의 마이크로파) 에서 파우치 (10) 를 가열하는 경우를, 미시일 영역 (46) 에 관통부 (48)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와 비교하여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서, 관통부 (48)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경우의 설명에 있어서도, 지금까지 설명한 파우치 (10) 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인다. 고출력 하에서의 파우치 (10) 의 가열은, 예를 들어, 편의점에 있어서의 업무용 레인지에서의 가열에 대응한다.
파우치 (10) 를 고출력 (예를 들어 1000 W 이상의 출력) 의 마이크로파로 파우치 (10) 를 가열하는 경우, 예를 들어 가정용의 전자 레인지의 출력 (600 W 등) 으로 내용물 (200) 을 가열하는 경우에 비해서, 내용물 (200) 이 급격하게 가열되기 쉽다. 그 결과, 증기가 급격하게 발생되기 때문에, 수용 공간 (S) 의 내압의 상승 스피드도 올라간다. 이 경우, 미시일 영역 (46) 에 관통부 (48)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을 경우, 증기 배출 시일부 (34) 의 박리가 단번에 진행됨과 함께, 중심 (O) 근방이 급격하게 팽창하는 점에서, 미시일 영역 (46) (특히, 미시일 영역 (46) 에 있어서의 시트 (16, 18) 의 외연측) 이 막히는 것을, 본 발명자는 알아내었다. 이와 같이, 미시일 영역 (46) 이 막히면 증기가 배출되지 못하여 파우치 (10) 가 파열될 우려, 다른 시일부의 박리가 발생되거나 하여, 내용물 (200) 이 파우치 (10) 로부터 튀어나올 우려 등이 있다.
이에 비해서,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파우치 (10) 는, 미시일 영역 (46) 에 관통부 (48) 를 갖는다. 이 경우, 고출력으로 가열된 파우치 (10) 의 내압이 급격하게 높아져도, 관통부 (48) 가,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 배출구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관통부 (48) 를 갖지 않는 경우의 상기 서술한 문제를 해소할 수 있어, 고출력 하에 있어서도 안전하게 파우치 (10) (구체적으로는 파우치 (10) 내의 내용물) 를 가열할 수 있다.
관통부 (48) 중의 적어도 일부가, 가상선 (50a) 보다 수용 공간 (S) 측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상측 시일부 (30), 하측 시일부 (32) 등의 절곡 등의 변형을 방지 가능하다.
또한, 관통부 (48) 중의 적어도 일부가, 가상선 (50a) 보다 수용 공간 (S) 측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관통부 (48) 중 가상선 (50a) 보다 수용 공간 (S) 측에 위치하고 있는 부분이, 고출력 하에 있어서, 적어도 상기 서술한 증기 배출구로서 기능하기 쉽기 때문에, 고출력 하에서도 보다 안전하게 파우치 (10) 를 가열할 수 있다.
또, 증기를 보다 확실하게 배출한다. 관통부 (48) 중의 적어도 일부가, 가상선 (50a) 보다 수용 공간 (S) 측에 위치하고 있을 경우, 적어도 증기 배출 시일부 (34) 이외의 시일부 (예를 들어, 상측 시일부 (30), 하측 시일부 (32) 등) 에 박리가 발생되기 전에, 관통부 (48) 로부터 증기를 배출하기 쉽다.
증기가 발생했을 경우, 증기는 중심 (O) 으로부터 외측을 향하여 전파되는 경향이 있기 때문에, 가상선 (50b) 상에 관통부 (48) 가 위치하면, 관통부 (48) 로부터 보다 증기를 빠져 나가게 하기 쉽다. 관통부 (48) 에 있어서, 가장 중심 (O) 에 가까운 부분이, 가상선 (50b) 상에 위치할 경우, 관통부 (48) 로부터 더욱 증기를 빠져 나가게 하기 쉽다.
관통부 (48) 가 수용 공간 (S) 측으로 만곡된 호상인 경우, 관통부 (48) 의 양측 (예를 들어, x 방향 또는 가상선 (50b) 을 따르는 방향의 양측) 에 단차가 만들어져, 시트 (16) 및 시트 (18) 에 의해서 큰 개구가 형성되기 쉽다. 예를 들어, 수용 공간 (S) 내의 압력이 급격하게 높아지면, 수용 공간 (S) 의 중심 (O) 측은 팽창되는 한편, 미시일 영역 (46) 에 있어서 시트 (16, 18) 근방은 전술한 바와 같이 닫힌다. 그 때문에, 상기 서술한 단차가 만들어져, 보다 큰 개구가 형성되기 쉽다. 그 결과, 증기가 배출되기 쉬운 점에서, 파우치 (10) 를 고출력 하에서 더욱 안전하게 가열할 수 있다.
시트 (16, 18) 의 중간층이 예를 들어 나일론으로 형성되어 있을 경우, 파우치 (10) 의 내낙하 적성이 향상된다. 또한, 일정한 탄력성이 확보되어, 사용자가 파우치 (10) 를 취급하기 쉽다. 중간층이 PET 필름과 나일론 필름의 적층체인 경우, 상기 내낙하 적성이 보다 향상되기 쉽고, 일정한 탄력성도 확보하기 쉽다. 예를 들어, 중간층이 PET 필름과 나일론 필름의 적층체인 경우, 시트 (16, 18) 는, 내열 CPP (실란트층), PET 필름, 나일론 필름 및 투명 증착 필름 (최외층) 이 이 순서대로 적층된 층일 수 있다.
다음으로, 실험예를 설명한다.
실험예에서는, 도 6 에 나타낸 파우치 (10A) 를 기본 구성으로 하여, 관통부 (48) 의 크기, 위치 등을 변경하여 복수의 실험을 행하였다. 기본 구성으로서의 파우치 (10A) 는, 도 1 및 도 2 에 나타낸 파우치 (10) 의 구성과 동일하다. 도 6 에 나타낸 파우치 (10A) 는, 개방 상태의 파우치이다. 파우치 (10A) 를, 파우치 (10) 의 구성 요소에 대응하는 요소에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한다. 파우치 (10A) 의 설명에 있어서, 파우치 (10) 의 설명과 중복되는 설명은 적절히 생략한다.
파우치 (10A) 가 갖는 시트 (16, 18, 20) 의 층 구성은 다음과 같다.
투명 증착 PET 필름/PET 필름/내열 CPP 필름
투명 증착 PET 필름의 두께는 12 ㎛ 였다. PET 필름의 두께는 12 ㎛ 였다. 내열 CPP 필름의 두께는 60 ㎛ 였다. 상기 층 구성에 있어서, 내열 CPP 가 실란트층이었다.
사이드 시일부 (26) 는, 일정한 시일 폭 W1 을 갖는 시일부였다. 사이드 시일부 (28) 는, 상측 시일부 (30) 와 하측 시일부 (32) 와 증기 배출 시일부 (34) 를 갖는 시일부였다. 상측 시일부 (30) 의 시일 폭 W2 는 일정하였다. 하측 시일부 (32) 의 시일 폭 W3 은 일정하였다.
증기 배출 시일부 (34) 가 갖는 제 1 접속부 (38) 에 있어서 선단부 (36) 와 반대의 단은 하측 시일부 (32) 의 단부 (32a) 에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있었다. 증기 배출 시일부 (34) 가 갖는 제 2 접속부 (40) 에 있어서 선단부 (36) 와 반대의 단은 상측 시일부 (30) 의 단부 (34a) 에 연속적으로 접속되어 있었다. 제 2 접속부 (40) 는, 제 1 부분 (42) 과 제 2 부분 (44) 을 갖고 있었다.
미시일 영역 (46) 에 있어서의 시트 (16, 18) 에는, 관통부 (48) 를 형성하였다. 관통부 (48) 는, 수용 공간 (S) 의 중심 (O) 을 향하여 만곡된 호상이었다.
파우치 (10A) 를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상기 서술한 층 구성을 갖는 1 쌍의 시트 (16, 18) 를 중첩한 후, 그 사이에, 내열 CPP 필름이 외측을 향하도록 둘로 접은 시트 (20) 를 삽입하였다. 그 후, 바닥 시일부 (22) 및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26, 28) 를 형성하도록, 시트 (16, 18, 20) 를 히트 시일하였다. 이어서, 사이드 시일부 (28) 에 의해서 형성되는 미시일 영역 (46) 에 관통부 (48) 를 형성하였다. 관통부 (48) 는, 관통부 (48) 의 형상을 갖는 날을 시트 (16, 18) 에 밀어넣음으로써 형성하였다.
도 6 및 도 7 을 참조하여 파우치 (10A) 의 치수를 설명한다. 파우치 (10A) 의 치수는 다음과 같다.
· 파우치 (10A) 의 x 방향의 길이 L1 (도 6 참조) 은 150 ㎜ 였다.
· 파우치 (10A) 의 y 방향의 길이 L2 는 158 ㎜ 였다.
· 개방 상태의 파우치 (10A) 를 평면에서 보았을 때에 있어서의 둘로 접은 시트 (20) 의 길이 L4 는 45 ㎜ 였다.
· 사이드 시일부 (26) 의 시일 폭 W1, 상측 시일부 (30) 의 시일 폭 W2 및 하측 시일부 (32) 의 시일 폭 W3 은 모두 8 ㎜ 였다.
· 정상부 (14) 의 외연으로부터 제 1 접속부 (38) 의 하측 가장자리까지의 길이 L5 (도 7 참조) 는 58 ㎜ 였다.
· 정상부 (14) 의 외연으로부터, 제 2 접속부 (40) 및 상측 시일부 (30) 의 제 1 교점 (정상부 (14) 측의 교점) 까지의 길이 L6 은 33.65 ㎜ 였다.
· y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교점과, 제 1 부분 (42) 및 제 2 부분 (44) 의 제 2 교점 (정상부 (14) 측의 교점) 까지의 길이 L7 은 0.65 ㎜ 였다.
· x 방향에 있어서, 상측 시일부 (30) 에 있어서의 수용 공간 (S) 측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상기 제 2 교점까지의 길이 L8 은 3.37 ㎜ 였다.
· x 방향에 있어서, 시트 (16) (또는 시트 (18)) 의 외연으로부터 제 1 부분 (42) 및 제 2 부분 (44) 의 제 3 교점 (바닥부 (12) 측의 교점) 까지의 길이 L9 는 10.18 ㎜ 였다.
· x 방향에 있어서, 하측 시일부 (32) 의 수용 공간 (S) 측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선단부 (36) 중 가장 떨어진 지점과 하측 시일부 (32) 의 수용 공간 (S) 측의 가장자리부 사이의 길이 L10 은 10 ㎜ 였다.
· x 방향에 있어서, 하측 시일부 (32) 의 수용 공간 (S) 측의 가장자리부로부터, 제 1 접속부 (38) 에 있어서의 미시일 영역 (46) 측의 가장자리부와 제 2 접속부 (40) 에 있어서의 미시일 영역 (46) 측의 가장자리부의 접속 지점까지의 길이 L11 은 7 ㎜ 였다.
· 제 1 접속부 (38) 의 시일 폭 W4 는 3 ㎜ 였다.
· 제 2 접속부 (40) 가 갖는 제 2 부분 (44) 의 시일 폭 W6 은 7.5 ㎜ 였다.
· 선단부 (36) 는 만곡되어 있고, 선단부 (36) 의 수용 공간 (S) 측의 가장자리부의 곡률 반경은 4.5 ㎜ 였다.
· x 방향에 있어서, 관통부 (48) 의 제 1 단 (48a) 과 제 2 단 (48b) 사이의 길이 L12 는, 5.3 ㎜ 였다.
· y 방향에 있어서, 제 1 단 (48a) 과, 제 2 단 (48b) 사이의 길이 L13 은, 5.3 ㎜ 였다.
· y 방향에 있어서, 제 2 단 (48b) 과 하측 시일부 (32) 의 상단 사이의 길이 L14 는 2.5 ㎜ 였다.
· x 방향에 있어서, 제 2 단 (48b) 과, 시트 (16) (또는 시트 (18)) 사이의 길이 L15 는, 4.58 ㎜ 였다.
· 관통부 (48) 에 있어서 수용 공간 (S) 의 중심 (O) 에 가장 가까운 부분의 곡률 반경은 4 ㎜ 였다.
· 관통부 (48) 의 제 1 단 (48a) 및 제 2 단 (48b) 사이의 길이 L3 은 7.5 ㎜ 였다.
상기 치수로 제작된 관통부 (48) 의 제 1 단 (48a) 측은, 상측 시일부 (30) 및 하측 시일부 (32) 의 수용 공간 (S) 측의 가장자리부를 연장한 가상선 (50a) (도 5 참조) 보다 수용 공간 (S) 측에 위치하고 있었다. 또한, 관통부 (48) 는, 가상선 (50b) (도 5 참조) 상에 위치하고 있었다.
(실험예 1)
실험예 1 에서는, 기본 구성의 파우치 (10A) 의 수용 공간 (S) 에 물 180 g 을 수용한 후, 정상부 (14) 를 폐색하여 정상 시일부 (24) 를 형성하였다. 물 180 g 이 수용된 폐색 상태의 파우치 (10A) 를 전자 레인지로 가열하였다. 가열시의 출력은 1600 W 이고, 가열 시간은 30 초였다. 이 레인지 조리시에 있어서의 미시일 영역 (46) 의 폐색의 유무를 확인하였다.
상기 실험을 동일한 구성의 5 개의 파우치 (10A) 에서 행하였다. 5 개의 파우치 (10A) 모두에 있어서, 미시일 영역 (46) 의 폐색이 모두 발생되지 않은 경우를「A 평가」로 하고, 그 이외를「B 평가」로 하였다. 실험예 1 의 결과는 A 평가였다.
(실험예 2)
실험예 2 에서는, 표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기본 구성의 파우치 (10A) 를 사용한 실험 2-1 외에, 기본 구성의 파우치 (10A) 에 있어서의 관통부 (48) 의 길이 및 위치를 변경한 실험 2-2, 실험 2-3, 실험 2-4 를 행하였다.
Figure pct00003
표 1 에 있어서의「기준 위치」는, 기본 구성의 파우치 (10A) 에서 설명한 관통부 (48) 의 위치였다. 관통부 (48) 의 위치가「+3 ㎜」란,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부 (48) 의 기준 위치 (실선으로 나타낸 관통부 (48) 의 위치) 로부터 가상선 (50b) 을 따라서 3 ㎜ 의 길이분, 외측 (중심 (O) 과 반대측) 으로 관통부 (48) 를 평행 이동시킨 위치에 관통부 (48) 를 형성한 것을 의미한다. 반대로, 관통부의 위치가「-3 ㎜」란, 도 8 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부 (48) 의 기준 위치로부터 가상선 (50b) 을 따라서 3 ㎜ 의 길이분, 내측 (중심 (O) 측) 으로 관통부 (48) 를 평행 이동시킨 위치에 관통부 (48) 를 형성한 것을 의미한다. 관통부 (48) 의 위치가「+3 ㎜」및「-3 ㎜」중 어느 것에 있어서도, 관통부 (48) 의 제 1 단 (48a) 측은, 상측 시일부 (30) 및 하측 시일부 (32) 의 수용 공간 (S) 측의 가장자리부를 연장한 가상선 (50a) (도 5 참조) 보다 수용 공간 (S) 측에 위치하고 있었다.
실험 2-1 ∼ 실험예 2-4 에서는, 물 180 g 대신에 카레 180 g 을 수용한 점 이외에는 실험예 1 과 동일한 실험을 행하였다. 실험 2-1 ∼ 실험예 2-4 에서는, 실험예 1 에 있어서의 미시일 영역 (46) 의 폐색 상태의 평가 외에, 레인지 조리시에 있어서의 증기 배출 시일부 (34) 이외의 시일부의 박리 상태를 평가하였다. 이 시일부의 박리 상태의 평가에서는, 실험 2-1 ∼ 실험예 2-4 각각에 있어서의 5 개의 파우치를 사용한 실험 모두에 있어서, 증기 배출 시일부 (34) 이외의 시일부에 박리가 발생되지 않은 경우를「A 평가」로 하고, 그 이외를「B 평가」로 하였다. 실험 2-1 ∼ 실험예 2-4 에 있어서의 미시일 영역 (46) 의 폐색 상태의 평가 방법은, 실험예 1 의 경우와 동일하였다.
실험예 2 에서는, 비교 실험으로서, 파우치 (10A) 에 있어서 관통부 (48) 를 형성하기 전의 상태의 파우치를 사용한 실험 2-5 를 행하였다. 실험 2-5 의 실험 방법 및 평가 방법은, 실험예 2-1 ∼ 실험예 2-4 와 동일하였다.
실험 2-1 ∼ 실험 2-5 의 실험 결과는, 표 2 와 같았다. 표 2 의 「박리 상태 평가」는, 증기 배출 시일부 (34) 이외의 시일부의 박리 상태의 평가이다. 표 2 의 「폐색 상태 평가」는, 미시일 영역 (46) 의 폐색 상태의 평가이다.
Figure pct00004
실험 2-5 의 결과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통부 (48) 가 형성되어 있지 않은 파우치 (10A) 를 1600 W 라는 고출력으로 가열한 경우에서는 미시일 영역 (46) 의 폐색이 발생되었다. 한편, 관통부 (48) 를 갖는 파우치 (10A) 를 사용한 실험에서는, 미시일 영역 (46) 의 폐색은 발생되지 않았다. 그 결과, 관통부 (48) 를 미시일 영역 (46) 에 갖는 파우치를 사용함으로써, 고출력 하에서도 안전하게 파우치를 가열할 수 있는 것이 검증되었다.
시트 (16, 18, 20) 의 층 구성은, 파우치로서 사용 가능한 층 구성을 갖고 있으면, 상기 실험예에서 나타낸 구체적인 층 구성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트 (16, 18, 20) 의 층 구성의 다른 예는 다음의 구성을 가져도 된다.
투명 증착 PET 필름/NY 필름/내열 CPP 필름
이상, 본 발명의 제 1 실시형태를 설명했지만, 본 발명은 상기 제 1 실시형태에 한정되지 않는다.
관통부의 형상 및 크기는, 고출력 하에 있어서의 파우치의 가열에 있어서 관통부가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개구로서 기능하는 형상 및 크기이면 한정되지 않는다. 관통부의 형상 및 크기는,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증기 배출 시일부 및 미시일 영역의 크기 등에 따라서 적절히 설계되면 된다.
예를 들어, 관통부는, 도 9(a) 에 나타낸 직선상의 관통부 (52) 여도 된다. 관통부 (52) 는, 예를 들어, 관통부 (52) 의 제 1 단 (52a) 이 y 방향에 있어서 상측 시일부 (30) 측에 위치하고, 제 2 단 (52b) (제 1 단 (52a) 과 반대의 단) 이 하측 시일부 (32) 측에 위치하도록 형성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 1 단 (52a) 이, 제 2 단 (52b) 보다, x 방향에 있어서 상측 시일부 (30) (또는 하측 시일부 (32)) 의 가장자리부로부터 먼 위치가 되도록 관통부 (52) 는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는, 도 9(b) 에 나타낸 U 자상의 관통부 (54) 여도 된다. 관통부 (54) 는, 제 1 부분 (54a) 과, 제 1 부분 (54a) 의 양단에 각각 일단이 접속된 제 2 부분 (54b) 및 제 3 부분 (54c) 을 갖는다. 이 경우, 제 1 부분 (54a) 이 선단부 (36) 를 향하도록 관통부 (54) 는 형성될 수 있다. 제 1 부분 (54a), 제 2 부분 (54b) 및 제 3 부분 (54c) 중 적어도 1 개는 만곡되어 있어도 된다.
관통부는, 도 9(c) 에 나타낸 V 자상의 관통부 (56) 여도 된다. 관통부 (56) 는, 제 1 변부 (56a) 와, 제 2 변부 (56b) 를 갖고, 제 1 변부 (56a) 와 제 2 변부 (56b) 가 대략 예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제 1 변부 (56a) 와 제 2 변부 (56b) 로 형성되는 모서리부 (혹은 정부 (頂部)) 가 선단부 (36) 를 향하도록, 관통부 (56) 는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부의 형상은 S 자상이어도 된다. 관통부는, 파우치를 가열 전의 상태에서 개구된 상태의 관통부여도 된다. 미시일 영역 (46) 에는, 관통부가 복수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미시일 영역 (46) 에 복수의 관통부가 형성되는 경우, 복수의 관통부는 동일한 형상이어도 되고, 상이한 형상이어도 된다.
증기 배출 시일부 (34) 의 형상은, 예시한 대략 V 자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U 자상의 증기 배출 시일부여도 된다. 동일하게, 미시일 영역 (46) 의 형상도 도 5 에 나타낸 것과 같은 사다리꼴 형상에 한정되지 않는다.
증기 배출 시일부는, 도 1 및 도 2 에 예시한 사이드 시일부 (26) 에도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 경우, 사이드 시일부 (26) 측에 형성된 미시일 영역 (46) 에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관통부는, 시트 (16) 및 시트 (18) 의 일방에 형성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시트 (16, 18) 등을 시일 가능하면, 시트 (16, 18) 등의 시일 방법은, 히트 시일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시트 (16, 18) 등은, 초음파 시일, 고주파 시일 등에 의해서 시일되어도 된다. 시트 (16, 18) 등의 층 구성 및 재료 등은, 시일 방법에 따라서 적절히 변경될 수 있다.
파우치는, 시트 (20) 를 갖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예를 들어, 중첩된 1 쌍의 시트의 주위를 시일하고, 바닥 시일부를 접어 넣어 자립형의 파우치로 하면 된다.
(제 2 실시형태)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 설명한 관통부가 적용되는 파우치는, 다음과 같은 증기 배출 파우치여도 된다.
즉, 상기 증기 배출 파우치는, 대향하는 제 1 시트 및 제 2 시트와, 상기 제 1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 사이에 측면에서 보았을 때 V 자상으로 접어 넣어 개재시킨 바닥 시트를 포함하고, 내용물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 배출부를 구비하는 증기 배출 파우치로서, 좌우의 사이드 시일부와, 제 1 바닥 시일부와, 제 2 바닥 시일부가 형성되고, 상기 좌우의 사이드 시일부는, 대략 직선상이고, 상기 제 1 시트와 상기 제 2 시트를 접합하는 부분과, 접어 넣어진 바닥 시트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바닥 시일부는, 상기 제 1 시트와 상기 바닥 시트를 접합하는 부분에서, 제 1 좌우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와, 그 제 1 좌우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사이에서 그 제 1 좌우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에 연접하는 대략 직선상의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닥 시일부는, 상기 제 2 시트와 상기 바닥 시트를 접합하는 부분에서, 제 2 좌우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와, 그 제 2 좌우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사이에서 그 제 2 좌우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에 연접하는 대략 직선상의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의, 상기 접어 넣어진 바닥 시트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하는 부분의 내연의 하단으로부터, 그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연접하는 제 1 또는 제 2 바닥 사이드 시일부의 내연과 그 제 1 또는 제 2 바닥 사이드 시일부에 연접하는 제 1 또는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의 내연이 교차하는 부분을 포함시킨, 그 제 1 또는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의 외연에 대한 가상 수직선까지의 폭 방향의 길이 (A1) 와, 상기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의, 상기 접어 넣어진 바닥 시트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하는 부분의 내연의 하단으로부터, 그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연접하는 제 1 또는 제 2 바닥 사이드 시일부의 내연과 그 제 1 또는 제 2 바닥 사이드 시일부에 연접하는 제 1 또는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의 내연이 교차하는 부분을 포함시킨, 그 제 1 또는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의 외연에 대한 가상 수직선까지의 폭 방향의 길이 (A2) 가 동등하고, 상기 A1 의 길이와, 제 1 또는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의 내연의 폭 방향의 길이 (B) 와, 상기 A2 의 길이의 비가, 1 : 1 : 1 ∼ 1 : 3 : 1 이다.
상기 A1 과, 상기 B 와, 상기 A2 와, 상기 바닥 시트의 접어 넣음부로부터 상기 바닥 시트의 하단까지의 높이 방향의 길이 (C) 와, 대략 직선상의 제 1 또는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의 높이 방향의 길이 (D) 의 관계는, 예를 들어, 아래의 식을 만족해도 된다.
Figure pct00005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의 폭 방향의 길이 (E1) 와, 상기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의 폭 방향의 길이 (E2) 는 동등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상기 좌측 또는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의 일부에 개봉 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봉 유도부는, 상기 증기 배출부와 상기 바닥 시트의 접어 넣음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C 와, 상기 개봉 유도부로부터 상기 바닥 시트의 하단까지의 높이 방향의 길이 (F) 의 관계가, 아래의 식을 만족해도 된다.
Figure pct00006
도면을 참조하여 상기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배출 파우치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아래의 설명에 있어서,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관통부 (48) 가 적용되기 전의 증기 배출 파우치를,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라고 칭하고, 관통부 (48) 가 적용된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파우치 (10B) 라고 칭한다. 도 10 및 도 11 은, 관통부 (48) 가 적용되기 전의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구체적으로는, 도 10 은, 개구부 (130) 가 닫히기 전의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의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1 은, 개구부 (130) 가 닫힌 후의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의 정면도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0 은, 내용물 (200) 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이고, 도 11 은, 내용물 (200) 이 수용된 후에 개구부 (130) 가 닫힌 후의 상태를 나타낸다. 도 12 는, 파우치 (10B) (관통부 (48) 가 적용된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 는, 도 10 의 경우와 동일하게, 내용물 (200) 이 수용되어 있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 등에서는 시일부에 해칭을 표시하고 있었지만, 도 10 ∼ 도 12 에 있어서는, 시일부에 있어서의 해칭은 생략되어 있다.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는, 대향하는 제 1 시트 (111) 및 제 2 시트 (112) (1 쌍의 시트) 와,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사이에 측면에서 보았을 때 V 자상으로 접어 넣어 개재시킨 바닥 시트 (113) 를 포함한다. 바닥 시트 (113) 는,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의 바닥부를 형성하는 시트이다. 도 10 이나 도 11 에 나타내는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는, 1 장의 시트에 의해서 구성된다. 1 장의 시트가 절곡됨으로써, 대향하는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가 형성됨과 함께,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의 바닥부 (111A, 112A) 에 배치된 바닥 시트 (113) 가 형성된다. 도 10 이나 도 11 에 나타내는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와 달리,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와 바닥 시트 (113) 가 개별적으로 형성되어, 3 장의 시트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내용물 (200) 의 예는, 제 1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내용물 (200) 과 동일하다. 내용물 (200) 로는, 예를 들어, 스튜 및 스프 등과 같이 유동성을 갖는 식품을 들 수 있다.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곽 형상은 임의로 선택 가능하고, 도 10 에 나타내는 장방형 이외에, 역사다리꼴형이나 정방형 등을 들 수 있다.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전체의 폭 방향의 길이 및 높이 방향의 길이는, 예를 들어, 수용되는 내용물 (200) 의 양, 및, 운반 용이와의 관계로부터 결정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여기에서, 폭 방향이란, 후술하는 대략 직선상의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 (123C) 의 외연 (123Cb) (또는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 (24C) 의 외연 124Cb) 과 대략 평행한 방향이다. 높이 방향이란, 폭 방향과 수직인 방향이다.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는, 좌우의 사이드 시일부 (121, 122)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와, 제 1 바닥 시일부 (123) 와, 제 2 바닥 시일부 (124) 가 형성된다. 이 각 시일부 (121 ∼ 124) 와 개구부 (130) 를 폐쇄하는 폐쇄 시일부 (125) (정상 시일부, 정상부) 에 둘러싸인 부분이 수용부 (수용 공간) (140) 이다. 상기 좌우의 사이드 시일부 (121, 122) 는,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를 접합하는 부분 (121A, 122A) 과, 접어 넣어진 바닥 시트 (113) 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하는 부분 (121B, 122B) 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좌우의 사이드 시일부 (121, 122) 의 좌우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시트 (111) 를 정면으로 한 경우의 제 1 시트 (111) 에 대한 좌우를 가리킨다.
좌우의 사이드 시일부 (121, 122) 에 있어서의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를 접합하는 부분 (121A, 122A) 은,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개구부 (130) 로부터 바닥 시트 (113) 의 접어 넣음부 (150) 까지,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의 각각의 좌우 단을 따르도록 대략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좌우의 사이드 시일부 (121, 122) 에 있어서의, 접어 넣어진 바닥 시트 (113) 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하는 부분 (121B, 122B) 은,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접어 넣어진 바닥 시트 (113) 의 좌우 단을 따르도록, 또 상기한 좌우의 사이드 시일부 (121, 122) 에 있어서의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를 접합하는 부분 (121A, 122A) 으로 이어지도록, 대략 직선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여기에서, 바닥 시트 (113) 의 접어 넣음부 (150) 는, 좌측 또는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21, 122) 에 있어서의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가 접합하는 부분 (121A, 122A) 의 내연 (121Aa, 122Aa) 과, 그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가 접합하는 부분 (121A, 122A) 에 연접하는 제 1 또는 제 2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3A, 124A, 123B, 124B) 의 내연 (123Aa, 124Aa, 123Ba, 124Ba) 이 교차하는 부분을 포함한다. 여기에서, 내연이란,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의 내방부측의 가장자리이다.
상기 제 1 바닥 시일부 (123) 는, 제 1 시트 (111) 와 바닥 시트 (113) 를 접합하는 부분에서, 제 1 좌우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3A, 123B) 와, 그 제 1 좌우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3A, 123B) 사이에서 그 제 1 좌우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3A, 123B) 에 연접하는 대략 직선상의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 (123C) 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 1 좌우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3A, 123B) 의 좌우는,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시트 (111) 를 정면으로 했을 경우의 제 1 시트 (111) 에 대한 좌우를 가리킨다.
제 1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3A) 는,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121) 로부터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 (123C) 에 걸쳐서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제 1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3B) 는,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22) 로부터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 (123C) 에 걸쳐서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제 1 좌우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3A, 123B) 는, 예를 들어,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의 사이드 시일부 (121, 122) 에 있어서의,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를 접합하는 부분 (121A, 122A) 의 하단으로 이어지도록, 좌우의 사이드 시일부 (121, 122) 의 각각으로부터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 (123C) 에 걸쳐서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121) 에 있어서의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를 접합하는 부분 (121A) 의 내연 (121Aa) 의 하단과 제 1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3A) 의 내연 (123Aa) 의 상단은 연접하고,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22) 에 있어서의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를 접합하는 부분 (122A) 의 내연 (122Aa) 의 하단과 제 1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3B) 의 내연 (123Ba) 의 상단은 연접한다. 상기 좌우의 사이드 시일부 (121, 122) 에 있어서의, 제 1 시트 (111) 및 제 2 시트 (112) 를 접합하는 부분 (121A, 122A) 의 내연 (121Aa, 122Aa) 과 제 1 바닥 시일부 (123) 에 있어서의 내연 (123Aa, 123Ca, 123Ba) 은,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의 개봉 전의 내방부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곽을 규정하고 있다.
제 2 바닥 시일부 (124) 도 상기 제 1 바닥 시일부 (123) 와 동일하게, 아래의 구조가 된다. 제 2 바닥 시일부 (124) 는, 제 1 시트 (111) 와 바닥 시트 (113) 를 접합하는 부분에서, 제 2 좌우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4A, 124B) 와, 그 제 2 좌우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4A, 124B) 사이에서 그 제 2 좌우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4A, 124B) 에 연접하는 대략 직선상의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 (124C) 를 포함한다. 여기에서, 제 2 좌우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4A, 124B) 의 좌우는,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2 시트 (112) 를 정면으로 했을 경우의 제 2 시트 (112) 에 대한 좌우를 가리킨다.
제 2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4A) 는,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22) 로부터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 (124C) 에 걸쳐서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제 2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4B) 는,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121) 로부터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 (124C) 에 걸쳐서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제 2 좌우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4A, 124B) 는,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기 좌우의 사이드 시일부 (122, 121) 에 있어서의,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를 접합하는 부분 (122A, 121A) 의 하단으로 이어지도록, 좌우의 사이드 시일부 (122, 121) 의 각각으로부터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 (124C) 에 걸쳐서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22) 에 있어서의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를 접합하는 부분 (122A) 의 내연 (122Aa) 의 하단과 제 2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4A) 의 내연 (124Aa) 의 상단은 연접하고,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121) 에 있어서의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를 접합하는 부분 (121A) 의 내연 (121Aa) 의 하단과 제 2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4B) 의 내연 (124Ba) 의 상단은 연접한다. 상기 좌우의 사이드 시일부 (122, 121) 에 있어서의, 제 1 시트 (111) 및 제 2 시트 (112) 를 접합하는 부분 (122A, 121A) 의 내연 (122Aa, 121Aa) 과 제 2 바닥 시일부 (124) 에 있어서의 내연 (124Aa, 124Ca, 124Ba) 은,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의 개봉 전의 내방부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곽을 규정하고 있다.
도 10 및 도 11 에 나타내는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는,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의 형상이 동일하고, 제 1 시트 (111) 와 바닥 시트 (113) 를 접합하는 바닥 시일부 (123) 의 형상과 제 2 시트 (112) 와 바닥 시트 (113) 를 접합하는 바닥 시일부 (124) 의 형상은 동일하다. 제 1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3A) 와 제 1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3B) 의 형상은 좌우 대칭이고, 제 2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4A) 와 제 2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4B) 의 형상도 좌우 대칭이다.
도 11 에 나타내는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는, 내용물 (200) 이 수용되어 수용부 (140) 가 팽창되고, 바닥 시트 (113) 의 접어 넣음부 (150) 의 접어 넣음이 풀린다.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121) 와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22) 는,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 바닥 시트 (113) 로부터 개구부 (130) 를 향함에 따라서 이간되어 있다. 다른 예로서,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121) 와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22) 는, 높이 방향에 있어서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10 에 있어서의 A1 [㎜] 은,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121) 에 있어서의, 접어 넣어진 바닥 시트 (113) 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하는 부분 (121B) 의 내연 (121Ba) 의 하단 (도 10 에 있어서의 h) 으로부터, 그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121) 에 연접하는 제 1 또는 제 2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3A, 124B) 의 내연 (123Aa, 124Ba) 과 그 제 1 또는 제 2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3A, 124B) 에 연접하는 제 1 또는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 (123C, 124C) 의 내연 (123Ca, 124Ca) 이 교차하는 부분 (도 10 에 있어서의 i) 을 포함시킨, 그 제 1 또는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 (123C, 124C) 의 외연 (123Cb, 124Cb) 에 대한 가상 수직선 (126) 까지의 폭 방향의 길이를 나타낸다. 여기에서, 외연이란,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의 외방부측의 가장자리이다.
한편, 도 10 에 있어서의 A2 [㎜] 는,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22) 에 있어서의, 접어 넣어진 바닥 시트 (113) 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하는 부분 122B) 의 내연 (122Ba) 의 하단 (도 10 에 있어서의 j) 으로부터, 그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22) 에 연접하는 제 1 또는 제 2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3B, 124A) 의 내연 (123Ba, 124Aa) 과 그 제 1 또는 제 2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3B, 124A) 에 연접하는 제 1 또는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 (123C, 124C) 의 내연 (123Ca, 124Ca) 이 교차하는 부분 (도 10 에 있어서의 k) 을 포함시킨, 그 제 1 또는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 (123C, 124C) 의 외연 (123Cb, 124Cb) 에 대한 가상 수직선 (126) 까지의 폭 방향의 길이를 나타낸다. 상기 길이 A1 과 길이 A2 는 동등하다.
상기 길이 A1 [㎜] 과, 제 1 또는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 (123C, 124C) 의 내연 (123Ca, 124Ca) 의 폭 방향의 길이 (B [㎜]) 와, 길이 A2 [㎜] 의 비는, 1 : 1 : 1 ∼ 1 : 3 : 1 이다. A1 과 B 와 A2 의 비를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전자 레인지 등에 의한 가열 처리시에 제 1 또는 제 2 좌우의 바닥 시일부 (123A, 124B, 123B, 124A) 의 후퇴가 없으며, 또한, 보다 크게 바닥을 벌어지게 할 수 있다.
길이 A1 [㎜] 과, 길이 B [㎜] 와, 길이 A2 [㎜] 와, 바닥 시트 (113) 의 접어 넣음부 (50) 로부터 바닥 시트 (113) 의 하단까지의 높이 방향의 길이 (C [㎜]) 와, 대략 직선상의 제 1 또는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 (123C, 124C) 의 높이 방향의 길이 (D [㎜]) 의 관계는, (A1 + B + A2) × 2 ≥ (C - D) × 3.14 × 2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수용부 (140) 의 바닥부의 최대 외주가 바닥 시트 (113) 의 벌어짐 이상이 아니면, 제 1 또는 제 2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3A, 124B) 의 내연 (123Aa, 124Ba) 과 그 제 1 또는 제 2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3A, 124B) 에 연접하는 제 1 또는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 (123C, 124C) 의 내연 (123Ca, 124Ca) 이 교차하는 부분 (도 10 에 있어서의 i) 이 후퇴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바닥 시트 (113) 의 하단이란, 바닥 시트 (113) 중, 높이 방향에 있어서 가장 낮은 부분이다. 도 10 에서는, 바닥 시트 (113) 의 하단은, 제 1 또는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 (123C, 124C) 의 하단이 된다.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121) 의 폭 방향의 길이 (E1 [㎜]) 와,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22) 의 폭 방향의 길이 (E2 [㎜]) 가 동등하다. 적어도,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가열 처리하여 개봉 후에 용기로서 사용할 때에, 개구가 좌우 대칭이 되어, 섭식하기 쉬워진다.
또한,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는, 내용물 (200)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증기를 배출하는 증기 배출부 (증기 배출 시일부) (160) 를 구비한다. 이 증기 배출부 (160) 는, 폐쇄 시일부 (125) 가 형성된 상태에 있어서의 수용부 (140) 의 압력의 상승에 수반하여 개구되고, 내용물 (200) 등의 증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증기 배출부 (160) 의 형상은 다양한 형상을 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증기 배출부 (160) 는, 좌우 어느 쪽 또는 양방의 사이드 시일부 (121, 122) 의 일부를 구성하고 있다. 좌측 또는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21, 122) 와 독립적으로, 제 1 시트 (111) 또는 제 2 시트 (112) 의 내방부여도 된다. 도 10 에 나타내는 증기 배출부 (160) 는,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22) 에 있어서의,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를 접합하는 부분 (121A, 122A) 의 일부에,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패인 형상의 시일 부분을 갖는다. 이 폭 방향의 외측으로부터 내측으로 패인 형상의 시일 부분의 시일 강도는, 이 시일부에 연접하는 사이드 시일부보다 약하여, 증기 배출 영역으로서 기능한다. 증기 배출 영역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증기를 배출하는 경우에 있어서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통로가 되는 영역이고,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미시일 영역이어도 된다. 이 증기 배출부 (160) 에 있어서의 폭 방향의 가장 내측의 부분인 선단부는,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의 각 시트에 있어서, 수용부 (140) 의 압력이 상승했을 경우에 강한 응용 집중이 발생되는 장소에 형성되어 있다. 수용부 (140) 의 압력이 소정의 압력 범위 내의 압력까지 상승했을 경우, 증기 배출부 (160) 가 개구된다. 구체적으로는, 수용부 (140) 의 압력의 상승에 수반하여, 증기 배출부 (160) 의 선단부에 있어서 접합되어 있는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가 박리되고, 수용부 (140) 와 외부를 연통하는 증기 배출 통로가 증기 배출부 (160) 에 형성된다. 전자 레인지 등에 의한 가열에 의해서 증기가 배출되고, 수용부 (140) 의 압력 상승이 억제되어,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의 파열이 회피된다.
좌측 또는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21, 122) 의 일부에 개봉 유도부 (70) 가 형성된다. 개봉 유도부 (170) 는, 증기 배출부 (160) 와 바닥 시트 (113) 의 접어 넣음부 (150)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폐쇄된 증기 배출 파우치 (100) 가 가열되었을 경우, 내용물 (200) 등으로부터 발생된 증기에 의해서, 제 1 시트 (111) 또는 제 2 시트 (112) 의 높이 방향에 있어서의 증기 배출부 (160) 와 바닥 시트 (113) 사이의 부분이 크게 팽창된다. 이 제 1 시트 (111) 또는 제 2 시트 (112) 의 크게 팽창된 부분을 찢음으로써, 보다 넓은 개구 폭을 유지한 후에 내용물 (200) 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개봉 유도부 (170) 는, 높이 방향에 있어서 증기 배출부 (160) 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수용부 (140) 에 많은 내용물 (200) 을 수용할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0 에서는, 개봉 유도부 (170) 가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121) 에만 형성되어 있지만,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22) 만, 또는, 좌우의 사이드 시일부 (121, 122) 의 양방에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길이 C [㎜] 와, 개봉 유도부 (170) 로부터 바닥 시트 (113) 의 하단까지의 높이 방향의 길이 (F [㎜]) 의 관계는, 개구 폭과 내용물의 액면 높이의 밸런스를 고려하여, C × 2 ≤ F 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개봉 유도부 (170) 는 예를 들어,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121) 의 내연 (121Aa) 을 향함에 따라서 오므라드는 삼각 형상을 나타내는 절결이어도 된다. 도 10 에서는, 이 개봉 유도부 (170) 를 사이에 끼우고 파지부 (171) 도 형성되어 있다. 개봉 유도부 (170) 는, 도 10 에 나타내는 절결 이외에, 예를 들어, 노치, 절개선 등이어도 된다.
또한, 개봉 유도부 (170) 로부터 시작되는 점선 등의 개봉 유도선을 형성해도 된다. 개봉 유도선은 예를 들어, 일방의 사이드 시일부에 형성된 개봉 유도부 (170) 로부터 시작되고, 타방의 사이드 시일부에 이를 때까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개봉 유도선을 따라서, 제 1 시트 (111) 및 제 2 시트 (112) 의 크게 팽창된 부분을 용이하게 찢을 수 있어, 용이하게 내용물 (200) 을 꺼낼 수 있다.
증기 배출 파우치가 1 장의 시트로 구성되는 경우, 제 1 및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를 형성하지 않아도 된다. 이 경우, 아래와 같이 된다.
상기 제 1 바닥 시일부에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 (123C) 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제 1 좌우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만을 포함한다.
제 1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는,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121) 로부터 바닥 시트 (113) 의 하단에 걸쳐서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제 1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는,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22) 로부터 바닥 시트 (113) 의 하단에 걸쳐서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제 1 좌우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는, 예를 들어, 상기 좌우의 사이드 시일부 (121, 122) 에 있어서의,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를 접합하는 부분 (121A, 122A) 의 하단으로 이어지도록, 좌우의 사이드 시일부 (121, 122) 의 각각으로부터 바닥 시트 (113) 의 하단에 걸쳐서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좌우의 사이드 시일부 (121, 122) 에 있어서의, 제 1 시트 (111) 및 제 2 시트 (112) 를 접합하는 부분 (121A, 122A) 의 내연 (121Aa, 122Aa) 과, 제 1 바닥 시일부 (123) 에 있어서의 내연과 바닥 시트 (113) 의 하단은,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의 개봉 전의 내방부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곽을 규정하고 있다.
제 2 바닥 시일부 (124) 도 상기 제 1 바닥 시일부 (123) 와 동일하게, 아래의 구조가 된다. 상기 제 2 바닥 시일부에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 (124C) 는 형성되어 있지 않고, 제 2 좌우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만을 포함한다.
제 2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는,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22) 로부터 바닥 시트 (113) 의 하단에 걸쳐서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을 포함하고, 제 2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는,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121) 로부터 바닥 시트 (113) 의 하단에 걸쳐서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제 2 좌우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는, 예를 들어, 상기 좌우의 사이드 시일부 (122, 121) 에 있어서의,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를 접합하는 부분 (122A, 121A) 의 하단으로 이어지도록, 좌우의 사이드 시일부 (122, 121) 의 각각으로부터 바닥 시트 (113) 의 하단에 걸쳐서 경사지게 형성된 부분을 포함한다. 상기 좌우의 사이드 시일부 (122, 121) 에 있어서의, 제 1 시트 (111) 및 제 2 시트 (112) 를 접합하는 부분 (122A, 121A) 의 내연 (122Aa, 121Aa) 과, 제 2 바닥 시일부 (124) 에 있어서의 내연과 바닥 시트 (113) 의 하단은,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의 개봉 전의 내방부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외곽을 규정하고 있다.
상기와 같이 제 1 및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 (123C, 124C) 가 형성되어 있지 않는 경우도, 증기 배출 파우치는,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의 형상이 동일하고, 제 1 시트 (111) 와 바닥 시트 (113) 를 접합하는 바닥 시일부 (123) 의 형상과 제 2 시트 (112) 와 바닥 시트 (113) 를 접합하는 바닥 시일부 (124) 의 형상은 동일하다. 또, 제 1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와, 제 1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의 형상은 좌우 대칭이고, 제 2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와 제 2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의 형상도 좌우 대칭이다.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121) 에 있어서의, 접어 넣어진 바닥 시트 (113) 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하는 부분 (121B) 의 내연 (121Ba) 의 하단으로부터, 그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121) 에 연접하는 제 1 또는 제 2 바닥 사이드 시일부의 내연과 바닥 시트 (113) 의 하단이 교차하는 부분을 포함시킨, 그 바닥 시트 (113) 의 하단에 대한 가상 수직선까지의 폭 방향의 길이를 A3 [㎜] 으로 한다.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22) 에 있어서의, 접어 넣어진 바닥 시트 (113) 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하는 부분 122B) 의 내연 (122Ba) 의 하단으로부터, 그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22) 에 연접하는 제 1 또는 제 2 바닥 사이드 시일부의 내연과 바닥 시트 (113) 의 하단이 교차하는 부분을 포함시킨, 그 바닥 시트 (113) 의 하단에 대한 가상 수직선까지의 폭 방향의 길이를 A4 [㎜] 로 한다.
또한, 제 1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와 바닥 시트 (113) 의 하단이 교차하는 부분 및 제 1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와 바닥 시트 (113) 의 하단이 교차하는 부분, 또는, 제 2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와 바닥 시트 (113) 의 하단이 교차하는 부분 및 제 2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와 바닥 시트 (113) 의 하단이 교차하는 부분의 폭 방향의 길이를 B1 [㎜] 로 한다.
A3 [㎜] 과 B1 [㎜] 과 A4 [㎜] 의 비는, 1 : 1 : 1 ∼ 1 : 3 : 1 이다. A3 [㎜] 과 B1 [㎜] 과 A4 [㎜] 의 비를 상기와 같이 함으로써, 전자 레인지 등에 의한 가열 처리시에 제 1 또는 제 2 좌우의 바닥 시일부의 후퇴가 없으며, 또한, 보다 크게 바닥을 벌어지게 할 수 있다.
A3 [㎜] 과, B1 [㎜] 과, A4 [㎜] 와, 바닥 시트 (113) 의 접어 넣음부 (150) 로부터 바닥 시트 (113) 의 하단까지의 높이 방향의 길이 (C [㎜]) 의 관계는, (A1 + B + A2) × 2 ≥ C × 3.14 × 2 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 이유는, 수용부 (140) 의 바닥부의 최대 외주가 바닥 시트 (113) 의 벌어짐 이상이 아니면, 제 1 또는 제 2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와 바닥 시트 (113) 의 하단이 교차하는 부분, 또는 제 1 또는 제 2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와 바닥 시트 (113) 의 하단이 교차하는 부분이 후퇴할 우려가 있기 때문이다. 여기에서, 바닥 시트 (113) 의 하단이란, 바닥 시트 (113) 중, 높이 방향에 있어서 가장 낮은 부분이다.
제 1 시트 (111), 제 2 시트 (112), 및 바닥 시트 (113) 는 각각, 복수의 층이 적층된 층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상기 각 시트 (111 ∼ 113) 의 층 구조는 임의로 선택할 수 있다. 상기 각 시트 (111 ∼ 113) 는 모두 동일한 층 구조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고,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가 동일한 층 구조이고, 바닥 시트 (113) 가 제 1 시트 (111) 나 제 2 시트 (112) 와 상이한 층 구조를 구비하고 있어도 되며, 상기 각 시트 (111 ∼ 113) 가 모두 상이한 층 구조를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도 10 에 나타내는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의 각 시트 (111 ∼ 113) 는 모두 동일한 층 구조를 구비하고 있다.
각 시트 (111 ∼ 113) 는, 예를 들어, 최외층, 중간층, 실란트층,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을 포함한다. 각 시트 (111 ∼ 113) 는, 예를 들어, 드라이 라미네이트법, 익스트루더법, 열 라미네이트법 등에 의해서 제조할 수 있다. 제 1 접착층은 최외층과 중간층을 접착하도록 최외층과 중간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접착층은, 중간층과 실란트층을 접착하도록 중간층과 실란트층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제 1 접착층 및 제 2 접착층은, 중간층의 일부로 간주해도 된다.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에 있어서, 최외층은 주로 가스 차단성, 인쇄 적성, 및, 내열성이 우수하다. 최외층은 예를 들어 투명 증착층이다. 최외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일례는, 제 1 실시형태의 경우와 동일하게 투명 증착 PET 이다. 중간층은 주로 내열성 및 방습성이 우수하다. 중간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일례는 나일론이다. 보다 바람직한 예에서는, 중간층을 구성하는 재료는 수지의 흐름 방향의 인열성이 우수한 나일론 (이하에서는,「직선 컷성 NY」라고 한다) 이다. 이하에서는, 제 1 시트 (111) 및 제 2 시트 (112) 를 구성하는 재료의 수지의 흐름 방향을 MD (Machine Direction) 방향이라고 칭하고, MD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을 TD (Transverse Direction) 방향이라고 칭한다.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의 MD 방향은 폭 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다.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의 TD 방향은 높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이다. 제 1 접착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일례는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이다. 제 2 접착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일례는 폴리에스테르계 접착제이다.
실란트층은, 내열성, 히트 시일성, 및, 내충격성이 우수하다. 실란트층을 구성하는 재료의 일례는 MD 방향의 인열성이 우수한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이하에서는,「직선 컷성 CPP」라고 한다) 이다. MD 방향의 인열성이 우수하다는 것은, 예를 들어, JIS 규격의 K7128-1 에 규정되는 트라우저 인열법에 준거하는 인열력이 1.2 N 이하인 경우를 말한다. 트라우저 인열법에서는, TD 방향의 길이가 50 ㎜, MD 방향의 길이가 150 ㎜ 인 장방형의 시험편의 중앙에 75 ㎜ 의 절개선을 내고, 23 ℃ 의 항온 실내에 있어서, 속도 200 ㎜/분에 MD 방향으로의 인열력을 측정하였다. 직선 컷성 CPP 는 예를 들어, 100 중량부의 프로필렌·에틸렌 블록 공중합체에 대해서, 저결정성 에틸렌계 엘라스토머를 3 ∼ 10 중량부의 비율로 포함한다. 저결정성 에틸렌계 엘라스토머는 예를 들어, 밀도가 0.865 ∼ 0.890 g/㎤ 의 범위에 포함되며, 또한, JIS 규격의 K7122 에 규정되는 융해시의 흡열량이 5 ∼ 30 J/g 의 범위에 포함된다.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의 사용예로서, 예를 들어 하기를 들 수 있다.
내용물 (200) 인 식품이 수용된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는, 내용물 (200) 을 가열하기 위해서, 예를 들어 전자 레인지가 사용된다. 수용부 (140) 의 압력의 상승에 수반하여, 증기 배출부 (160) 에서 개구되고, 내용물 (200) 등으로부터 발생되는 증기가 증기 배출부 (160) 로부터 외부로 배출됨으로써 수용부 (140) 의 압력 상승이 억제되어,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의 파열이 회피된다. 가열 처리 후,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121) 에 형성된 개봉 유도부 (170) 를 사이에 끼운 파지부 (171) 를 갖고, 개봉 유도부 (170) 부터 개봉한다. 상기 바닥 시일부 (123, 124) 의 소정 치수에 의해서, 바닥 벌어짐성이 향상되기 때문에,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가 보다 이간된 상태에서 시트 (111, 112) 를 찢게 되어, 인열 강도를 강하게 할 필요가 있다. 그러나, 제 1 시트 (111) 및 제 2 시트 (112) 에, 상기와 같이, MD 방향의 인열성이 우수한 재료에 의해서 구성된 실란트층을 포함시킴으로써, 수용부 (140) 가 넓어진 상태에 있어서도 여전히 용이하게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를 찢을 수 있다.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를 찢는 점에서, 증기 배출 파우치 (100) 가 상하로 분리되어,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의 아랫 부분에서 바닥 시트 (113) 를 포함하는 부분을 용기로서 사용하고, 내용물 (200) 인 식품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닥 시일부 (123, 124) 의 소정 치수에 의해서, 바닥 벌어짐성이 향상됨으로써, 개봉시의 개구성도 향상되어, 개봉 후에 그대로 수용된 식품을 섭식하기 쉬워진다.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에, 제 1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관통부 (48) 가 형성된 파우치 (10B) (도 12) 는, 관통부 (48) 가 형성되어 있음으로써, 파우치 (10) 와 동일한 작용 효과를 추가로 갖는다.
다음으로,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에 관한 실험예를 설명한다.
1. 바닥 시일부의 형성에 관한 바닥 벌어짐성 등의 평가 시험
하기의 실험예 3A ∼ 5A 및 비교 실험예 1A ∼ 7A 모두, 도 10 에 나타내는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사용하였다.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에는, 내용물 (200) 로서 카레 100 g 이 수용되고, 전자 레인지에 의해서 600 W 로 1 분간 가열 처리하였다. 또, 하기의 실험예 3A ∼ 5A 및 비교 실험예 1A ∼ 7A 모두, 제 1 시트 (111), 제 2 시트 (112) 및 바닥 시트 (113) 는 모두 동일한 층 구조를 구비하고, 각 시트의 층 구성은, 최외층측으로부터, 투명 증착 PET (무기 박막이 증착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2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12 ㎛)/내열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직선 컷성 CPP) (60 ㎛) 의 층 구조를 구비한다. 또, 실험예 3A ∼ 5A 및 비교 실험예 1A ∼ 7A 모두,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높이 방향의 최대의 길이가 158 ㎜,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폭 방향의 최대의 길이가 150 ㎜ 인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3A>
B, A1, 및 A2 가 모두 동등하게 또한 44.66 ㎜ 이고, E1 및 E2 가 동등하게 또한 8 ㎜ 이고, C 와 D 의 차 (C - D) 가 85 ㎜ 인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4A>
B 가 67 ㎜, A1 및 A2 가 동등하게 또한 33.5 ㎜ 이고, E1 및 E2 는 동등하게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8 ㎜ 이고, C 와 D 의 차 (C - D) 도 실험예 3A 와 동일하게 85 ㎜ 인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5A>
B 가 80.4 ㎜, A1 및 A2 가 동등하게 또한 26.8 ㎜ 이고, E1 및 E2 는 동등하게 또한 실시예 1 과 동일하게 8 ㎜ 이고, C 와 D 의 차 (C - D) 도 실험예 3A 와 동일하게 85 ㎜ 인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사용하였다.
<비교 실험예 1A>
B, A1, 및 A2 가 모두 동등하게 또한 실험예 3A 와 동일하게 44.66 ㎜ 이고, E1 은 실험예 3A 와 동일하게 8 ㎜ 이고, E2 는 6 ㎜ 이며, C 와 D 의 차 (C - D) 도 실험예 3A 와 동일하게 85 ㎜ 인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사용하였다.
<비교 실험예 2A>
B, A1, 및 A2 는 실험예 4A 와 동일하고, B 가 67 ㎜, A1 및 A2 가 동등하게 33.5 ㎜ 이고, E1 은 실험예 3A 와 동일하게 8 ㎜ 이고, E2 는 6 ㎜ 이며, C 와 D 의 차 (C - D) 도 실험예 3A 와 동일하게 85 ㎜ 인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사용하였다.
<비교 실험예 3A>
B, A1, 및 A2 는 실험예 5A 와 동일하고, B 가 80.4 ㎜, A1 및 A2 가 동등하게 26.8 ㎜ 이고, E1 은 실험예 3A 와 동일하게 8 ㎜ 이고, E2 는 6 ㎜ 이며, C 와 D 의 차 (C - D) 도 실험예 3A 와 동일하게 85 ㎜ 인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사용하였다.
<비교 실험예 4A>
B 는 26.8 ㎜, A1 및 A2 는 동등하게 53.6 ㎜, E1 및 E2 는 동등하게 또한 실험예 3A 와 동일하게 8 ㎜ 이고, C 와 D 의 차 (C - D) 도 실험예 3A 와 동일하게 85 ㎜ 인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사용하였다.
<비교 실험예 5A>
B 는 89.33 ㎜, A1 및 A2 는 동등하게 또한 22.33 ㎜, E1 및 E2 는 동등하게 또한 실험예 3A 와 동일하게 8 ㎜ 이고, C 와 D 의 차 (C - D) 도 실험예 3A 와 동일하게 85 ㎜ 인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사용하였다.
<비교 실험예 6A>
B 는 134 ㎜, A1 및 A2 는 동등하게 0 ㎜, E1 및 E2 는 동등하게 또한 실험예 3A 와 동일하게 8 ㎜ 이고, C 와 D 의 차 (C - D) 도 실험예 3A 와 동일하게 85 ㎜ 인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사용하였다.
<비교 실험예 7A>
B 는 0 ㎜, A1 및 A2 는 동등하게 67 ㎜, E1 및 E2 는 동등하게 또한 실험예 3A 와 동일하게 8 ㎜ 이고, C 와 D 의 차 (C - D) 도 실험예 3A 와 동일하게 85 ㎜ 인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사용하였다.
<평가>
상기한 실험예 3A ∼ 5A 및 비교 실험예 1A ∼ 7A 를 사용하여,「가열 처리시의 제 1 또는 제 2 좌우의 바닥 시일부 (123A, 124B, 123B, 124A) 의 후퇴 유무」(표 3 에서는「좌우의 바닥 시일부의 후퇴의 유무」로 기재),「가열 처리 후의 바닥 벌어짐성」(표 3 에서는「바닥 벌어짐성」으로 기재), 및「개봉 후의 개구 폭」(표 1 에서는「개구 폭」으로 기재) 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3 에 나타내었다. 표 3 에 있어서,「좌우의 바닥 시일부의 후퇴 유무」에 있어서 제 1 또는 제 2 좌우의 바닥 시일부 (123A, 124B, 123B, 124A) 의 후퇴가 발생되지 않을 때에는「없음」으로, 제 1 또는 제 2 좌우의 바닥 시일부 (123A, 124B, 123B, 124A) 의 후퇴가 발생했을 때에는「있음」(약간 발생했을 때에는「약간 있음」) 으로 기재하였다. 또, 표 3 에 있어서, 바닥 벌어짐성이 양호할 때에는「+」, 바닥 벌어짐성은, 섭식 가능하지만 충분하지는 않을 정도일 때에는「-」, 바닥 벌어짐성이 불량일 때에는「-」로 기재하였다. 「개봉 후의 개구 폭」이란, 개봉 후의 개구시의 최대 개구 폭이다.
표 3 에 있어서의「종합 평가」에서는, 제 1 또는 제 2 좌우의 바닥 시일부 (123A, 124B, 123B, 124A) 의 후퇴가 발생되지 않으며, 또한, 바닥 벌어짐성이 양호할 때「+」로 하고, 제 1 또는 제 2 좌우의 바닥 시일부 (123A, 124B, 123B, 124A) 의 후퇴가 발생되거나, 또는, 바닥 벌어짐성이 불충분 (-) 하거나 불량 (-) 일 때에는「-」로 기재하였다.
Figure pct00007
평가의 결과, 실험예 3A ∼ 5A 에 대해서는, 전자 레인지 가열 처리시, 제 1 또는 제 2 좌우의 바닥 시일부 (123A, 124B, 123B, 124A) 의 후퇴가 발생되지 않고, 바닥 벌어짐성은 양호하였다. 실험예 3A 및 5A 의 개구 폭은 각각 90 ㎜ 이고, 실험예 4A 의 개구 폭은 100 ㎜ 였다. 한편, 비교 실험예 1A ∼ 3A 에 대해서는, 전자 레인지 가열 처리시, 제 1 또는 제 2 좌우의 바닥 시일부 (123A, 124B, 123B, 124A) 의 후퇴가 발생되지 않았지만, 바닥 벌어짐성은, 섭식 가능하지만 충분하지는 않을 정도였다. 비교 실험예 4A 에 대해서는, 전자 레인지 가열 처리시, 제 1 또는 제 2 좌우의 바닥 시일부 (123A, 124B, 123B, 124A) 의 후퇴가 약간 발생되고, 바닥 벌어짐성은 양호하였다. 비교 실험예 5A 에 대해서는, 전자 레인지 가열 처리시, 제 1 또는 제 2 좌우의 바닥 시일부 (123A, 124B, 123B, 124A) 의 후퇴가 발생되고, 바닥 벌어짐성은 양호하였다. 비교 실험예 6A 에 대해서는, 전자 레인지 가열 처리시, 제 1 또는 제 2 좌우의 바닥 시일부 (123A, 124B, 123B, 124A) 의 후퇴가 발생되고, 바닥 벌어짐성은, 섭식 가능하지만 충분하지는 않을 정도였다. 비교 실험예 7A 에 대해서는, 전자 레인지 가열 처리시, 제 1 또는 제 2 좌우의 바닥 시일부 (123A, 124B, 123B, 124A) 의 후퇴가 발생되고, 바닥 벌어짐성은 불량이었다. 비교 실험예 1A ∼ 7A 의 개구 폭은, 표 3 에 나타내는 바와 같다.
상기 평가 결과로부터, 종합 평가는, 실험예 3A ∼ 5A 의 모두에 대해서「+」이고, 비교 실험예 1A ∼ 7A 의 모두에 대해서「-」이었다.
바닥 시일부의 형성에 관해서,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실험예 3A ∼ 5A 및 비교 실험예 1A ∼ 3A 에 대해서는, A1 과 B 와 A2 의 비는, 1 : 1 : 1 ∼ 1 : 3 : 1 의 범위에 포함된다. 한편, 비교 실험예 4A ∼ 7A 에 대해서는, A1 과 B 와 A2 의 비는, 1 : 1 : 1 ∼ 1 : 3 : 1 의 범위에 포함되지 않는다. 실험예 3A ∼ 5A 및 비교 실험예 4A ∼ 7A 에 대해서는, E1 과 E2 가 동등했지만, 비교 실험예 1A ∼ 3A 에 대해서는, E1 과 E2 가 상이하다.
따라서, A1 과 B 와 A2 의 비가, 1 : 1 : 1 ∼ 1 : 3 : 1 의 범위에 포함되며, 또한, E1 과 E2 가 동등할 경우, 종합 평가는「+」, 요컨대, 전자 레인지 가열시에 제 1 또는 제 2 좌우의 바닥 시일부 (123A, 124B, 123B, 124A) 의 후퇴가 발생되지 않으며, 또한 보다 크게 바닥이 벌어지는 것을 알 수 있다. 개구 폭과 바닥 벌어짐성은 양립할 필요가 있다.
2. 개봉 유도부의 위치에 관한 컷성 등의 평가 시험
하기의 실험예 3B ∼ 5B 및 비교 실험예 1B, 2B 모두, 도 10 에 나타내는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의 개봉 유도부 (170) 로부터 시작되는 점선 등의 개봉 유도선이 형성되어 있는 증기 배출 파우치를 사용하였다. 이 개봉 유도선은,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121) 에 형성된 개봉 유도부 (170) 로부터 시작되어,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22) 에 이를 때까지 수평으로 형성되어 있다.
내용물 (200) 로서 물이 100 ㎖ 수용된 증기 배출 파우치를, 전자 레인지에 의해서 600 W 로 1 분 40 초 가열 처리하였다. 하기의 실험예 3B ∼ 5B 및 비교 실험예 1B, 2B 모두, 제 1 시트 (111), 제 2 시트 (112) 및 바닥 시트 (113) 는 모두 동일한 층 구조를 구비하고, 각 시트 (111 ∼ 113) 의 층 구성은, 최외층측으로부터, 가스 배리어성 알루미나 증착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톳판 인쇄 주식회사 제조의「GL-ARH」를 사용) (12 ㎛)/직선 컷성 NY (15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직선 컷성 CPP) (토레이 필름 가공 주식회사 제조의 (「ZK500R」을 사용) (60 ㎛) 의 층 구조를 구비한다.
실험예 3B ∼ 5B 및 비교 실험예 1B, 2B 모두,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높이 방향의 최대의 길이가 158 ㎜, 정면에서 보았을 때의 폭 방향의 최대의 길이가 140 ㎜,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22) 의 일부를 구성하는 증기 배출부 (160) 는,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22) 의 외연의 상단으로부터 높이 방향의 길이가 58 ㎜ 의 위치에 형성되고, 또한, 바닥 시트 (113) 의 접어 넣음부 (150) 로부터 바닥 시트의 하단까지의 높이 방향의 길이 (C) 가 45 ㎜ 인 증기 배출 파우치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3B ∼ 5B 및 비교 실험예 1B, 2B 모두,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121) 에 개봉 유도부 (70) 가 형성되어 있지만, 그 개봉 유도부 (170) 의 위치가 각각 상이하다. 표 4 에 있어서,「개봉 유도부의 위치」는, 개봉 유도부 (70) 로부터 바닥 시트 (113) 의 하단까지의 높이 방향의 길이 (F) 를 나타낸다.
<실험예 3B>
개봉 유도부 (170) 의 위치가 90 ㎜ 인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4B>
개봉 유도부 (170) 의 위치가 80 ㎜ 인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사용하였다.
<실험예 5B>
개봉 유도부 (170) 의 위치가 72 ㎜ 인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사용하였다.
<비교 실험예 1B>
개봉 유도부 (170) 의 위치가 70 ㎜ 인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사용하였다.
<비교 실험예 2B>
개봉 유도부 (170) 의 위치가 60 ㎜ 인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사용하였다.
<평가>
상기한 실험예 3B ∼ 5B 및 비교 실험예 1B, 2B 를 사용하여,「가열 처리 후의 개봉 직후의 정상면에서 보았을 때의 개구 폭 및 가열 처리 후에 개봉하고 나서 10 분 경과 후의 정상면에서 보았을 때의 개구 폭」,「가열 처리 후의 개봉시에 있어서의 컷성」(표 4 에서는「컷성」으로 기재),「내용물 (200) 의 꺼냄시의 화상의 리스크」(표 4 에서는「화상의 리스크」로 기재), 및「개봉 후에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용기로서 사용했을 경우의, 그 용기의 출입 용이성」(표 4 에서는「용기의 출입」으로 기재) 을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표 4 에 나타내었다. 상기「컷성」이란,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가 용이하게 찢어지는지의 여부를 나타낸다. 표 4 에 있어서,「컷성」에 대해서는,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를 용이하게 찢을 수 있었을 때를 「용이」로 하고,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를 용이하지는 않지만 찢을 수 있었을 때를 「가능」로 하며, 제 1 시트 (111) 와 제 2 시트 (112) 를 찢을 수 있었지만 곤란했을 때를 「어려움」으로 기재하였다. 표 4 의 「화상의 리스크」에 대해서는, 가열 처리 후의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로부터의 내용물 (200) 의 꺼냄시에 화상의 리스크가 낮았을 때를 「낮음」으로 하고, 가열 처리 후의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로부터의 내용물 (200) 의 꺼냄시에 화상의 리스크가 약간 있었을 때를 「약간 있음」으로 하며, 가열 처리 후의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로부터의 내용물 (200) 의 꺼냄시에 화상의 리스크가 높았을 때를 「높음」으로 기재하였다. 표 4 의 「용기의 출입」에 대해서는, 가열 처리 후의 개봉 후에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용기로서 사용한 경우의, 그 용기의 출입이 용이했을 때를 「용이」로 하고, 가열 처리 후의 개봉 후에 증기 배출 파우치 (100) 를 용기로서 사용했을 경우의, 그 용기의 출입이 용이하지는 않지만 가능했을 때를 「가능」으로 기재하였다.
표 4 에 있어서의「종합 평가」에서는, 컷성이 쉽고, 화상의 리스크가 낮으며, 또한, 용기의 출입이 가능하거나 또는 용이하기 때문에, 섭식하기 쉬울 때를「+」로 하고, 섭식은 불편하지만 가능할 때를「-」로 하고, 섭식 불가능할 때를「-」로 기재하였다.
Figure pct00008
평가의 결과, 실험예 4B 에 대해서는, 컷성이 용이하고, 화상의 리스크가 낮으며, 또한, 용기의 출입이 가능 내지 용이한 범위였다. 한편, 실험예 3B 는, 컷성이 용이하고, 화상의 리스크는 낮으며, 용기의 출입은 가능의 범위였다. 실험예 5B 는, 컷성이 가능 내지 쉬운 범위이고, 화상의 리스크는 약간 있으며, 용기의 출입은 용이하였다. 비교 실험예 1B 와 2B 는 모두, 컷성은 어렵고, 화상의 리스크는 높으며, 용기의 출입은 용이하였다.
상기 평가 결과로부터, 종합 평가는, 실험예 4B 에 대해서「+」이고, 실험예 3B 와 3B 에 대해서「-」이며, 비교 실험예 1B 와 2B 에 대해서「-」였다.
상기 및 표 4 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증기 배출부 (60) 와 바닥 시트 (113) 의 접어 넣음부 (150) 사이에 형성되는 개봉 유도부 (170) 의 위치가,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의 폭 방향의 길이에 대해서 사이드 시일부 (121) 의 상단에 가까워질수록, 제 1 시트 (111) 및 제 2 시트 (112) 의 컷성의 난이도가 낮아지며, 또한, 내용물 (200) 의 열이나 증기가, 내용물 (200) 의 꺼냄시에 손에 닿을 가능성이 낮아지기 때문에, 화상의 리스크가 낮아진다. 그러나, 개봉 유도부 (170) 의 위치가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의 폭 방향의 길이에 대해서 지나치게 높으면, 증기 배출 파우치 (100) 가 휘기 쉬워, 용기로는 적합하지 않다. 한편, 증기 배출부 (160) 와 바닥 시트 (113) 의 접어 넣음부 (50) 사이에 형성되는 개봉 유도부 (70) 의 위치가,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의 폭 방향의 길이에 대해서 낮은, 요컨대, 사이드 시일부 (121) 의 하단에 가까워질수록, 제 1 시트 (111) 및 제 2 시트 (112) 의 컷성의 난이도가 올라가며, 또한, 내용물 (200) 의 열이나 증기가, 내용물 (200) 의 꺼냄시에 손에 닿을 가능성이 높아지기 때문에 화상의 리스크가 높아진다. 개봉 유도부 (170) 의 위치가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의 폭 방향의 길이에 대해서 낮을수록 증기 배출 파우치 (100) 가 잘 휘지 않고 안정되어, 용기로서 적합하다. 따라서, 컷성과 용기로서의 사용감은 트레이드 오프의 관계에 있는 것을 확인하였다.
이상과 같이, 제 2 실시형태에서 설명한 증기 배출 파우치에 의해서, 좌우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의 폭 방향의 길이 (A1 과 A2) 를 동등하게 하며, 또한, 바닥 사이드 시일부의 폭 방향의 길이 (A1) 와, 바닥 중간 시일부의 내연의 폭 방향의 길이 (B) 와, 바닥 사이드 시일부의 폭 방향의 길이 (A2) 의 비를, 1 : 1 : 1 ∼ 1 : 3 : 1 로 함으로써, 바닥 벌어짐성이 향상된다.
폐쇄된 증기 배출 파우치가 전자 레인지 등에서 가열 처리된 경우, 내용물로부터 발생된 증기에 의해서 내압이 올라가고, 수용부가 크게 팽창되지만, 증기 배출부로부터의 증기 배출에 의해서, 증기 배출 파우치의 파열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바닥 벌어짐성이 향상됨으로써, 가열 처리 후에 개봉했을 때의 개구성도 향상되기 때문에, 내용물을 용이하게 꺼낼 수 있고, 식기에 옮기지 않고 그 증기 배출 파우치를 용기로 하여, 그 증기 배출 파우치로부터 그대로 내용물인 식품을 섭식하기 쉬워진다.
본 발명은 상기 제 1 및 제 2 실시형태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나타내는 범위가 포함되는 것,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의 의미 및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이 포함되는 것을 의도로 한다.
예를 들어, 제 1 실시형태의 파우치 (10) 에 있어서, 시트 (16, 18) 는 폴리아미드를 함유하지 않는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고, 바닥부를 구성하는 시트 (20) 는, 폴리아미드를 함유하는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어도 된다. 예를 들어, 파우치 (10) 의 바닥부 (12) 를 구성하는 시트 (20) 에 있어서의 중간층 (본체) 및 최내층 (실란트층) 의 재료는, 시트 (16, 18) 와 상이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 (20) 가 갖는 중간층 (본체층) 은, 도 1 에 나타낸 1 쌍의 노치 (n2) 를 사용하여 파우치 (10) 를 개봉했을 경우에, 개구부가 넓게 벌어지기 쉽도록, 무연신의 나일론에 의해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시트 (20) 가 갖는 중간층 (본체) 은, 인열 용이성 (역컷성) 은 갖지 않아도 된다. 시트 (20) 가 갖는 최내층 (실란트층) 은, 내열성과, 바닥 벌어짐성이 우수한 재료에 의해서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 (20) 가 갖는 최내층 (실란트층) 은, 내열성, 히트 시일성, 및 유연성이 우수하다. 일 실시형태에 있어서, 시트 (20) 가 갖는 최내층 (실란트층) 은 무연신 필름 (예를 들어 무연신 폴리프로필렌) 이고, 잡아 당기면 신장되는 특성을 갖지만, 인열 용이성 (역컷성) 은 갖지 않아도 된다. 증기와 같이, 시트 (16, 18) 와 시트 (20) 의 재료가 상이한 경우, 파우치 (10) 는, 예를 들어, 서로 별체의 시트 (16, 18, 20) 에 의해서 형성해도 된다. 제 1 실시형태의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했지만,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의 바닥 시트 (13) 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제 1 실시형태의 일례에서는, 증기 배출 시일부 (34) 에 있어서, 사이드 시일부 (28) 보다 파우치 (10) 의 내측으로 돌출된 부분의 길이 (도 7 의 길이 L10 에 상당) 는, 사이드 시일부 (28) (특히 하측 시일부 (32)) 의 폭 (도 7 의 시일 폭 W3 에 상당) 보다 짧아도 된다. 이 경우, 파우치 (10) 의 가열 조리가 종료된 시점에서, 증기 배출 시일부 (34) 가 폐색되기 쉽다. 제 1 실시형태의 경우를 예로 하여 설명했지만, 제 2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증기 배출 파우치 (100) 의 증기 배출부 (160) 에 있어서도 동일하다.
파우치를 구성하는 시트 (특히, 파우치의 동체부를 구성하는 시트) 는, 최내층이 되는 실란트층과, 실란트층에 인접하고, 실란트층과 반대측의 면에 인쇄용층을 갖는 폴리에스테르층, 무기 안료를 함유하는 유색 폴리에스테르층, 최외층이 되는 인쇄 기재가, 이 순으로 적층된 적층체여도 된다. 이 경우, 양면 인쇄가 가능하고, 파우치의 미장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취지를 일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예시된 다양한 실시형태, 변형예 등은, 서로 조합될 수 있다.
10, 10B : 파우치
12 : 바닥부
14 : 정상부
16, 18 : 1 쌍의 시트
26, 28 :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30 : 상측 시일부
32 : 하측 시일부
34 : 증기 배출 시일부
36 : 선단부,
46 : 미시일 영역
46a : 제 1 영역
46b : 제 2 영역
48 : 관통부
50a : 가상선 (제 1 가상선)
50b : 가상선 (제 2 가상선)
52, 54, 56 : 관통부
100 : 증기 배출 파우치
111 : 제 1 시트 (1 쌍의 시트의 일방)
111A : 제 1 시트의 바닥부
112 : 제 2 시트 (1 쌍의 시트의 타방)
112A : 제 2 시트의 바닥부
113 : 바닥 시트
121 :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1 쌍의 사이드 시일부의 일방)
121A :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의, 제 1 시트와 제 2 시트를 접합하는 부분
121Aa :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의, 제 1 시트와 제 2 시트를 접합하는 부분의 내연
121B :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의, 접어 넣어진 바닥 시트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하는 부분
121Ba :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의, 접어 넣어진 바닥 시트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하는 부분의 내연
121Bb :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의, 접어 넣어진 바닥 시트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하는 부분의 외연
122 :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 (1 쌍의 사이드 시일부의 타방)
122A :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의, 제 1 시트와 제 2 시트를 접합하는 부분
122Aa :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의, 제 1 시트와 제 2 시트를 접합하는 부분의 내연
122B :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의, 접어 넣어진 바닥 시트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하는 부분
122Ba :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의, 접어 넣어진 바닥 시트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하는 부분의 내연
122Bb :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의, 접어 넣어진 바닥 시트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하는 부분의 외연
123 : 제 1 바닥 시일부
123A : 제 1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3Aa : 제 1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의 내연
123B : 제 1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3Ba : 제 1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의 내연
123C :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
123Ca :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의 내연
123Cb :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의 외연
124 : 제 2 바닥 시일부
124A : 제 2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4Aa : 제 2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4B : 제 2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124Ba : 제 2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의 내연
124C :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
124Ca :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의 내연
124Cb :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의 외연
125 : 폐쇄 시일부
126 : 제 1 또는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의 외연에 대한 가상 수직선
130 : 개구부
140 : 수용부
150 : 바닥 시트의 접어 넣음부
160 : 증기 배출부
170 : 개봉 유도부
171 : 파지부
200 : 내용물
C : 중심
S : 수용 공간.

Claims (12)

  1. 바닥부와, 상기 바닥부와 반대측의 정상부 사이에, 내용물을 수용하는 수용 공간을 갖는 파우치로서,
    중첩된 1 쌍의 시트와,
    상기 1 쌍의 시트에 있어서의 양측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1 쌍의 시트가, 상기 수용 공간을 형성하도록 시일된 1 쌍의 사이드 시일부를 구비하고,
    상기 1 쌍의 사이드 시일부 중의 적어도 1 개의 사이드 시일부는,
    상기 정상부에 근접하여 위치하는 제 1 시일부와,
    상기 제 1 시일부보다 상기 바닥부에 근접하여 위치하고 있으며 또한 상기 제 1 시일부와 이간된 제 2 시일부와,
    상기 제 1 시일부와 상기 제 2 시일부를 연결함과 함께 상기 수용 공간측으로 돌출되어 있고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 배출 시일부를 갖고,
    상기 제 1 시일부와 상기 제 2 시일부 사이의 제 1 영역 및 상기 제 1 영역과 상기 증기 배출 시일부에 의해서 둘러싸이는 제 2 영역으로 형성되는 부분은 증기를 통과시키기 위한 증기 배출 영역이고,
    상기 1 쌍의 시트 중 적어도 1 개의 시트에 있어서의 상기 증기 배출 영역에는, 상기 적어도 1 개의 시트를 두께 방향으로 관통하는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파우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1 쌍의 시트의 양방에 상기 관통부가 형성되어 있는, 파우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제 1 시일부 및 상기 제 2 시일부 중 가장 상기 수용 공간측에 위치하는 가장자리부를 가상적으로 연장한 제 1 가상선보다 상기 수용 공간측에 위치하는, 파우치.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두께 방향에서 본 상기 관통부의 형상은, 상기 수용 공간의 중심을 향하여 만곡된 호상인, 파우치.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 시일부는, 상기 증기 배출 시일부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의 중심측에 가장 가까운 위치에 선단부를 갖고,
    상기 관통부는, 상기 수용 공간의 중심과, 상기 선단부를 연결하는 제 2 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파우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부에 있어서 상기 수용 공간의 중심측에 가장 가까운 부분은, 상기 제 2 가상선 상에 위치하는, 파우치.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제 1 바닥 시일부와,
    제 2 바닥 시일부를 갖고,
    상기 바닥부는, 상기 1 쌍의 시트 사이의 측면에서 보았을 때 V 자상으로 접어 넣어 개재된 바닥 시트를 갖고,
    상기 1 쌍의 사이드 시일부의 일방은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이고, 타방은,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이며,
    상기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및 상기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는, 대략 직선상이고, 상기 1 쌍의 시트를 접합하는 부분과, 접어 넣어진 상기 바닥 시트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바닥 시일부는, 상기 1 쌍의 시트 중의 제 1 시트와 상기 바닥 시트를 접합하는 부분이고,
    상기 제 1 바닥 시일부는, 제 1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와, 제 1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와, 상기 제 1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및 상기 제 1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사이에서, 상기 제 1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및 상기 제 1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에 연접하는 대략 직선상의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바닥 시일부는, 상기 1 쌍의 시트 중의 제 2 시트와 상기 바닥 시트를 접합하는 부분이고,
    상기 제 2 바닥 시일부는, 제 2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와, 제 2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와, 상기 제 2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및 상기 제 2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사이에서 상기 제 2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및 상기 제 2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에 연접하는 대략 직선상의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의, 접어 넣어진 상기 바닥 시트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하는 부분의 내연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연접하는 제 1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또는 제 2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의 내연과 상기 제 1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또는 상기 제 2 좌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에 연접하는 상기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 또는 상기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의 내연이 교차하는 부분을 포함시킨, 상기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 또는 상기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의 외연에 대한 가상 수직선까지의 폭 방향의 길이를 A1 [㎜] 로 하고,
    상기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있어서의, 접어 넣어진 상기 바닥 시트의 대향하는 면끼리를 접합하는 부분의 내연의 하단으로부터, 상기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에 연접하는 상기 제 1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또는 상기 제 2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의 내연과 상기 제 1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 또는 상기 제 2 우측의 바닥 사이드 시일부에 연접하는 상기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 또는 상기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의 내연이 교차하는 부분을 포함시킨, 상기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 또는 상기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의 외연에 대한 가상 수직선까지의 폭 방향의 길이를 A2 [㎜] 로 했을 경우,
    상기 A1 및 상기 A2 는 동등하고,
    상기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 또는 상기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의 내연의 폭 방향의 길이를 B 로 했을 경우,
    상기 A1 과, 상기 B 와, 상기 A2 의 비가, 1 : 1 : 1 ∼ 1 : 3 : 1 인, 파우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바닥 시트의 접어 넣음부로부터 상기 바닥 시트의 하단까지의 높이 방향의 길이를 C [㎜], 대략 직선상의 상기 제 1 바닥 중간 시일부 또는 상기 제 2 바닥 중간 시일부의 높이 방향의 길이를 D [㎜] 로 했을 경우,
    상기 A1, 상기 B, 상기 A2, 상기 C 및 상기 D 가, 식 (1) 을 만족하는, 파우치.
    Figure pct00009
  9. 제 7 항 또는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의 폭 방향의 길이와, 상기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의 폭 방향의 길이가 동등한, 파우치.
  10.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또는 상기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의 일부에 개봉 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봉 유도부는, 상기 증기 배출 시일부와 상기 바닥 시트의 접어 넣음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는, 파우치.
  11.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좌측의 사이드 시일부 또는 상기 우측의 사이드 시일부의 일부에 개봉 유도부가 형성되고,
    상기 개봉 유도부는, 상기 증기 배출 시일부와 상기 바닥 시트의 접어 넣음부 사이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개봉 유도부로부터 상기 바닥 시트의 하단까지의 높이 방향의 길이를 F [㎜] 로 했을 때, 상기 C 와 상기 F 가, 식 (2) 를 만족하는, 파우치.
    Figure pct00010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증기 배출 영역은, 미시일 영역인, 파우치.
KR1020227034706A 2020-04-08 2021-04-08 파우치 KR2022016060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70005 2020-04-08
JP2020070005A JP2021165170A (ja) 2020-04-08 2020-04-08 パウチ
JP2020071559A JP2021167214A (ja) 2020-04-13 2020-04-13 蒸気抜きパウチ
JPJP-P-2020-071559 2020-04-13
PCT/JP2021/014934 WO2021206150A1 (ja) 2020-04-08 2021-04-08 パウ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60601A true KR20220160601A (ko) 2022-12-06

Family

ID=780232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34706A KR20220160601A (ko) 2020-04-08 2021-04-08 파우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30166900A1 (ko)
EP (1) EP4119463A1 (ko)
KR (1) KR20220160601A (ko)
CN (1) CN115397745A (ko)
WO (1) WO202120615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23074721A (ja) * 2021-11-18 2023-05-30 出光ユニテック株式会社 ジッパーテープ付き容器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27257A (ja) 2017-02-09 2018-08-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パウチ
JP2019014539A (ja) 2018-10-25 2019-01-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パウチ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191056A (ja) * 1998-12-29 2000-07-11 Toppan Printing Co Ltd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容器およびこれに包装された食品
JP2006327590A (ja) * 2005-05-23 2006-12-07 Dainippon Printing Co Ltd 自立性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6026747B2 (ja) * 2011-12-28 2016-11-16 キョーラク株式会社 包装袋
US9352893B2 (en) * 2012-02-17 2016-05-31 Amcor Flexibles Transpac N.V. Self-venting package
JP6065420B2 (ja) * 2012-06-13 2017-01-25 凸版印刷株式会社 蒸気抜きスタンディングパウチ
KR101708875B1 (ko) * 2014-09-29 2017-02-28 장안하이텍주식회사 이유식 팩의 제조 방법
US11535426B2 (en) * 2017-08-31 2022-12-27 Dai Nippon Printing Co., Ltd. Bag
KR102085913B1 (ko) * 2019-07-29 2020-03-06 주식회사 아워홈 안전한 개봉이 가능한 식품 포장용 자립형 파우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27257A (ja) 2017-02-09 2018-08-16 大日本印刷株式会社 電子レンジ用パウチ
JP2019014539A (ja) 2018-10-25 2019-01-31 大日本印刷株式会社 パウ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19463A1 (en) 2023-01-18
US20230166900A1 (en) 2023-06-01
CN115397745A (zh) 2022-11-25
WO2021206150A1 (ja) 2021-10-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18933B1 (ko) 전자레인지 가열용 포장 주머니
JP6245490B1 (ja) 電子レンジ用パウチ
JP2018127257A (ja) 電子レンジ用パウチ
KR20220160601A (ko) 파우치
JP2009067446A (ja) 包装袋
JP2019059523A (ja)
JP3872603B2 (ja) 包装袋
JP2000025850A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3923645B2 (ja) 包装袋
JP6521412B2 (ja) パウチ
JP6425123B2 (ja) パウチ
US20200180843A1 (en) Steam-releasing flat pouch
JP4826279B2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4498828B2 (ja) 電子レンジ加熱用包装袋
JP6938111B2 (ja)
JP2021165170A (ja) パウチ
JP2003182778A (ja) 電子レンジ用包装袋
JP4710378B2 (ja) 易引き裂き性を有する包装袋
JP4202535B2 (ja) 包装袋
JP7176251B2 (ja) パウチ
JP3769283B2 (ja) 包装袋
JP2024098118A (ja) 電子レンジ用通蒸型パウチ
JP3851636B2 (ja) ピロータイプの包装袋
JP6965958B2 (ja)
JP6886633B2 (ja) 袋体及び包装体