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9356A - 흡수성 물품 - Google Patents

흡수성 물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9356A
KR20220159356A KR1020227027049A KR20227027049A KR20220159356A KR 20220159356 A KR20220159356 A KR 20220159356A KR 1020227027049 A KR1020227027049 A KR 1020227027049A KR 20227027049 A KR20227027049 A KR 20227027049A KR 20220159356 A KR20220159356 A KR 20220159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et
absorbent
polymer particles
nonwoven fabric
superabsorbent polym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70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요시타케 이시카와
Original Assignee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filed Critical 다이오 페이퍼 코퍼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159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9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 A61F13/5374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the layer is facing the top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e.g. core absorbent layers being of different siz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 A61F13/532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 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inhomogeneous in the plane of the pad having absorbent material located in discrete regions, e.g. pock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13/5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 A61F13/5374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 A61F13/53756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characterised by a layer facilitating or inhibiting flow in one direction or plane, e.g. a wicking layer characterised by the position of the layer relative to the other layers the layer facing the back-shee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203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 A61F2013/15284Properties of the article, e.g. stiffness or absorbency characterized by quantifiable properties
    • A61F2013/15406Basis weight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821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 A61F2013/15934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making non-woven
    • A61F2013/15943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characterized by the apparatus for manufacturing for making non-woven by air-laid techniqu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5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being only in particular parts or specially arranged
    • A61F2013/53054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being only in particular parts or specially arranged positioned in a separate layer or layers
    • A61F2013/530562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being only in particular parts or specially arranged positioned in a separate layer or layers being arranged in discontinuous patter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56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particle siz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absorbency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absorbency properties
    • A61F2013/5307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absorbency properties by the absorbent capacit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4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 A61F2013/534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an inhomogeneous composition through the thickness of the pad from several shee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13/539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 A61F2013/539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characterised by the connection of the absorbent layers with each other or with the outer layers with adhesiv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과제] 점성액의 흡수성 및 비점성액의 흡수 성능의 양립을 도모한다.
[해결 수단] 상기 과제는, 흡수체(70)의 상 보조층(71)은, 표면이 흡수체(70)의 최상면에 노출되는, 클렘 흡수도가 100㎜ 이상인 고흡수 부직포(42)와, 이 고흡수 부직포(42)의 이면과 인접한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를 갖고, 흡수체(70)의 주흡수층(72)은 간격을 두고 배열된 셀(55) 내에 수용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갖는 셀 흡수 시트(50)이고,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는, 주흡수층(72)의 상 시트(51)의 상면에 접착제(43h)를 통해 고정되어 있으며, 상 시트(51)는, 상면에 하면보다 많은 보풀(51f)을 갖는 단섬유 부직포이고, 접착제(43h)는 간헐적 패턴으로 4∼10g/㎡의 비율로 도포되어 있음으로 인해 해결된다.

Description

흡수성 물품
본 발명은, 점성을 갖는 액(이하, 점성액이라고도 함), 예를 들면, 이상(泥狀)변이나 수성변에서 점성 액분의 흡수성을 향상시킨 흡수성 물품에 관한 것이다.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와, 이 흡수체의 표측을 피복하는 액 투과성 탑 시트를 구비하고 있으며, 오줌이나 경혈 등의 배설액은 탑 시트를 투과하여 흡수체에 의해 흡수되고 유지되도록 되어 있다. 흡수체로서는, 분쇄 펄프 등의 친수성 단섬유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SAP)를 혼합하여 면상으로 적섬한 것이 널리 채택되고 있지만, 충분한 흡수 가능량을 확보하면서, 새로운 박형화, 경량화, 저비용화 등의 요청에 응하는 것으로서, 액 투과성을 갖는 상 시트 및 하 시트의 접합부에 의해 주위를 둘러싸이며, 또한, 상 시트 및 하 시트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다수의 셀(세포)과, 이 셀 내에 포함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한 분립체를 갖는 흡수 시트(이하, 셀 흡수 시트라고도 함)가 각종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6 참조).
그렇지만, 종래의 일반적인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수 대상이 이상변이나 수성변, 연변에서 액분과 같은 점성액의 경우, 흡수 속도가 느려, 기저귀 표면에 어느 정도 길게 잔존하기 때문에, 흡수성 물품의 표면 위를 흘러서 이동하여, 주위로부터 새기 쉽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특히, 상술한 셀 흡수 시트는, 흡수 성능이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에 의존하는 것이기 때문에, 오줌 등의 비점성액의 대량 흡수에 적합한 반면, 흡수 속도가 느려, 점성액 흡수에는 부적합하였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8-1511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특개2016-199831호
따라서, 본 발명의 주요 과제는 점성액의 흡수성 및 비점성액의 흡수 성능의 양립을 도모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한 흡수성 물품은 이하와 같다.
<제1 양태>
흡수체와, 이 흡수체의 표측에 배치된 액 투과성 탑 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체는, 최상부에 마련된 상 보조층과, 이 상 보조층의 이측에 마련된 주흡수층을 갖고 있고,
상기 상 보조층은, 표면이 상기 흡수체의 최상면에 노출되는, 클렘 흡수도가 100㎜ 이상인 고흡수 부직포와, 이 고흡수 부직포의 이면과 인접한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갖는 것이며,
상기 주흡수층은, 액 투과성을 갖는 상 시트 및 하 시트와, 상기 상 시트 및 상기 하 시트의 접합부에 의해 주위를 둘러싸인, 상기 상 시트 및 상기 하 시트가 비접합 부분인 셀과, 이 셀 내에 수용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한 분립체를 갖는 셀 흡수 시트이고,
상기 셀 흡수 시트에는, 상기 셀이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상기 주흡수층의 상기 상 시트의 상면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상 시트는, 상기 상면에 하면보다 많은 보풀을 갖는 단섬유 부직포이며,
상기 접착제는 간헐적 패턴으로 4∼10g/㎡의 비율로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흡수체의 표측을 덮는 층에서 점성액의 투과성을 개선시키는 것이 종래의 일반적인 접근이며, 그것이 중요한 것은 변함이 없지만, 점성액의 신속한 투과는 흡수체에 의한 신속한 흡입에 의해 촉진되는 것이다. 즉, 점성액의 흡수에는, 흡수체의 최상부에서의 초기 흡수 속도가 극히 중요하다. 본 흡수성 물품은 이러한 지견에 근거한 것이다. 본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의 최상면에 점성액의 흡수에 특화된 상 보조층을 마련한 것에 특징을 갖는 것이다. 즉, 이 상 보조층은, 표면이 상기 흡수체의 최상면에 노출되는, 클렘 흡수도가 100㎜ 이상인 고흡수 부직포와, 이 고흡수 부직포의 이면과 인접한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갖기 때문에, 점성액이더라도, 고흡수 부직포가 신속하게 흡수 및 확산되면서, 그 이면과 인접한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에게 전달되어,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에 의해 흡수 유지할 수 있다. 따라서, 점성액의 흡수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품 반송 시나 사용 시에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이동하면, 제품을 접한 사용자에게 사각거리는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상 보조층의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대부분이, 상 시트의 상면에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접착제의 도포량을 늘리면, 흡수체가 딱딱해질 뿐만 아니라,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흡수 팽창할 때에 팽창이 저해되어,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본래의 흡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오줌 등의 비점성액을 흡수할 경우, 접착제가 비점성액의 투과를 저해하여, 상 보조층으로부터 주흡수층으로 비점성액이 공급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즉, 접착제가 주흡수층에 의한 흡수를 저해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하여,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 시트의 상면에 대해서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고정시키기 위한 접착제에 대해서는, 도포량을 억제하여 간헐적 패턴으로 도포되어 있기 때문에, 주흡수층에 대한 비점성액의 투과성을 저해받기 어려운 것이다. 또한, 이것만으로는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이동하기 쉬워지지만,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 시트가 상면에 하면보다 많은 보풀을 갖는 단섬유 부직포이기 때문에, 보풀(돌출 섬유) 사이에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포착되어,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이동이 억제되는 동시에,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간에 존재하는 보풀에 의해 점성액의 흡수성 및 비점성액의 투과성을 저해받기 어려워진다.
<제2 양태>
상기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500㎛ 초과인 입자의 비율이 30중량% 이하이고, 500㎛ 이하 및 180㎛ 초과인 입자의 비율이 60중량% 이상이고, 106㎛ 초과 및 180㎛ 이하인 입자의 비율이 10중량% 이하이고, 또한, 106㎛ 이하인 입자의 비율이 10중량% 이하이며,
상기 상 시트의 상기 상면에서의 상기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량은 40∼100g/㎡인,
제1 양태의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자 지름 및 평량은 적절히 정할 수 있다. 그러나,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부착량이 너무 많으면, 접착제로 고정되지 않는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많아져, 이동하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우선적으로 흡수 팽창하여, 팽창한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밀착되어, 난액 투과성 층을 형성하는 겔 블로킹이 발생하기 쉬워진다. 이에 대해서,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입자 지름 및 평량이 본 양태의 범위 내이면, 접착제를 전술한 도포량으로, 또한, 간헐적 패턴으로 도포해도 충분히 고정시킬 수 있다. 또한, 상 보조층의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가 충분히 흡수하여, 팽창한 후에도, 겔 블로킹이 생기지 않는 부분이 남아, 주흡수층에 대한 비점성액의 공급이 확보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3 양태>
상기 주흡수층에서의 상기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량이 150∼350g/㎡인,
제2 양태의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본 흡수성 물품에서는, 상 보조층에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함유하기 때문에, 주흡수층에서의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량을, 본 양태와 같이 적게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흡수성 물품의 외면을 손으로 만졌을 때에,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사각거리는 촉감(위화감)이 손에 전달되기 어려워진다.
<제4 양태>
상기 상 시트는 평량 17∼40g/㎡, 두께 0.2∼0.7㎜인 에어스루 부직포이며, 이 에어스루 부직포의 에어면이 상기 상 시트의 상기 상면이 되는,
제1 내지 제3 중 어느 한 양태의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상면에 하면보다 많은 보풀을 갖는 단섬유 부직포로서는, 기모 가공으로 보풀을 형성한 것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가공비가 커지기 때문에, 본 양태와 같이, 에어스루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어스루 부직포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단섬유를 네트 상에 집적하여 웹을 형성한 후에, 이 웹에 가열 에어(열풍)를 통과시켜, 섬유끼리를 융착 결합한 것이며, 에어면(가열 에어의 분사면)이 네트면보다 보풀이 이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에어스루 부직포의 에어면을 상면으로 하여 상 시트에 사용함으로써, 기모 가공 없이도, 상 시트 상면에 본래 구비되는 보풀에 의해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이동을 억제 가능해진다.
<제5 양태>
상기 에어스루 부직포의 상기 에어면은 섬도 2.0∼7.0dtex의 중공 섬유를 포함하는,
제4 양태의 흡수성 물품.
(작용 효과)
에어면에 충분히 가는 중공 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에어스루 부직포는, 에어면의 보풀이 특히 많이 일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르면, 점성액의 흡수성 및 비점성액의 흡수 성능의 양립을 도모할 수 있는 등의 이점이 초래된다.
도 1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내면을 도시하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2는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외면을 도시하는, 기저귀를 전개한 상태에서의 평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6-6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7-7 단면도이다.
도 5의 (a)는 도 1의 8-8 단면도, (b)는 도 1의 9-9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5-5 단면도이다.
도 7의 (a)는 흡수체의 주요부 파단 저면도, (b)는 그 1-1 단면도이다.
도 8은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9는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10은 도 8 및 도 9의 2-2 단면도이다.
도 11은 접합부를 간략하게 도시한 흡수체의 평면도이다.
도 12는 셀의 각종 배치예를 도시하는 개략 평면도이다.
도 13은 각종 셀 흡수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14는 각종 셀 흡수 시트의 단면도이다.
도 15의 (a)는 흡수체의 요부를 도시하는 단면도, 그리고, (b)는 상 시트 상에 고정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은 흡수체 및 포장 시트의 층 구조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은 흡수 시의 변화를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은 고흡수 부직포의 층 구조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흡수성 물품의 일례로서,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 대해서 첨부 도면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도 6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의 일례를 도시하고 있으며, 도면 중, 부호 X는 패스닝 테이프를 제외한 기저귀의 전체 폭을 나타내고, 부호 L은 기저귀의 전체 길이를 나타낸다. 또한, 두께 방향으로 인접한 각 구성 부재는, 이하에 서술하는 고정 또는 접합 부분 이외에도, 필요에 따라, 공지의 기저귀와 동일하게 고정 또는 접합된다. 단면도에서 점 모양 부분은, 이 고정 또는 접합 수단으로서의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를 나타낸다. 핫멜트 접착제는 슬롯 도포, 연속선형 또는 점선형의 비드 도포, 스파이럴형, Z형, 파형 등의 스프레이 도포, 또는 패턴 코팅(철판 방식에서의 핫멜트 접착제 전사) 등, 공지의 수법으로 도포할 수 있다. 이것 대신 또는 이와 함께, 탄성 부재의 고정 부분에서는, 핫멜트 접착제를 탄성 부재의 외주면에 도포하여, 탄성 부재를 인접 부재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핫멜트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EVA계, 점착 고무계(엘라스토머계),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폴리아미드계 등의 종류의 것이 존재하지만,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 가능하다. 각 구성 부재를 접합하는 고정 또는 접합 수단으로서는, 히트 실링이나 초음파 실링 등의 소재 용착에 따른 수단을 이용할 수도 있다. 두께 방향의 액 투과성이 요구되는 부분에서는, 두께 방향으로 인접한 구성 부재는 간헐적 패턴으로 고정 또는 접합된다. 예를 들면,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이러한 간헐적 고정 또는 접합을 실시할 경우, 스파이럴형, Z형, 파형 등의 간헐 패턴 도포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하나의 노즐에 의한 도포 폭 이상의 범위에 도포할 경우에는, 폭 방향으로 간격을 두고 또는 두지 않고, 스파이럴형, Z형, 파형 등의 간헐 패턴 도포를 실시할 수 있다.
이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액 투과성을 갖는 탑 시트와, 이측에 위치하는 액 불투과성 시트의 사이에 흡수체(70)가 개재된 기본 구조를 갖고 있다. 또한, 이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는, 흡수체(70)의 앞쪽 및 뒤쪽으로 각각 연장되는 부분이고, 또한, 흡수체(70)를 갖지 않는 부분인 엔드 플랩(EF)을 갖는 동시에, 흡수체(70)의 옆 테두리보다 옆쪽으로 연장되는 한 쌍의 사이드 플랩(SF)을 갖고 있다. 사이드 플랩(SF)의 양 옆 테두리는, 다리 둘레를 따르도록 잘록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직선형으로 되어 있어도 된다. 등측 부분(B)에서의 사이드 플랩(SF)에는 패스닝 테이프(13)가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기저귀 장착 시에는, 등측 부분(B)의 사이드 플랩(SF)을 배측 부분(F)의 사이드 플랩(SF)의 외측과 겹친 상태에서, 패스닝 테이프(13)를 배측 부분(F) 외면의 적소에 계지한다.
또한, 이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에서는, 패스닝 테이프(13) 이외의 외면 전체가 외장 부직포(12)로 형성되어 있다. 특히, 흡수체(70)를 포함한 영역에 있어서는, 외장 부직포(12)의 내면 측에 액 불투과성 시트(11)가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로 고정되고, 나아가, 이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내면 측에 흡수체(70), 중간 시트(40) 및 탑 시트(30)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탑 시트(30) 및 액 불투과성 시트(11)는 도시한 예에서는 직사각형이며, 흡수체(70)보다 전후 방향(LD) 및 폭 방향(WD)에 있어서 약간 큰 치수를 갖고 있고, 탑 시트(30)에서 흡수체(70)의 옆 테두리로부터 비어져나오는 둘레 테두리부와, 액 불투과성 시트(11)에서 흡수체(70)의 옆 테두리로부터 비어져나오는 둘레 테두리부가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접합되어 있다. 또한, 액 불투과성 시트(11)는 탑 시트(30)보다 약간 광폭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한, 이 흡수성 본체부(10)의 양측에는, 장착자의 피부 측으로 기립하는 기립 개더(60)가 마련되어 있으며, 이 기립 개더(60)를 형성하는 개더 시트(62)가, 탑 시트(30)의 양 측부 상부터 각 사이드 플랩(SF)의 내면까지의 범위에 고착되어 있다.
이하, 각 부의 상세에 대해서 순서대로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부직포로서는, 부위나 목적에 따라 공지의 부직포를 적절히 사용할 수 있다. 부직포의 구성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단성분 섬유 외에, 심초 등의 복합 섬유도 포함함) 외에, 레이온이나 큐프라 등의 재생 섬유, 면 등의 천연 섬유 등, 특별히 한정 없이 선택할 수 있으며, 이것들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부직포의 유연성을 높이기 위해, 구성 섬유를 권축 섬유로 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또한, 부직포의 구성 섬유는, 친수성 섬유(친수화제에 의해 친수성이 된 섬유를 포함함)여도, 소수성 섬유 혹은 발수성 섬유(발수제에 의해 발수성이 된 섬유를 포함함)여도 된다. 또한, 부직포는 일반적으로 섬유의 길이나 시트 형성 방법, 섬유 결합 방법, 적층 구조에 따라, 단섬유 부직포, 장섬유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멜트 블로운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써멀 본드(에어스루) 부직포, 니들 펀치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적층 부직포(스펀 본드층 사이에 멜트 블로운층을 개재한 SMS 부직포, SMMS 부직포 등) 등으로 분류되지만, 이들의 어느 부직포도 사용할 수 있다.
(외장 부직포)
외장 부직포(12)는 제품 외면을 구성하는 것으로서, 제품 외면을 옷감과 같은 외관 및 촉감으로 만들기 위한 것이다. 외장 부직포의 섬유 평량은 10∼50g/㎡, 특히, 15∼30g/㎡인 것이 바람직하다. 외장 부직포(12)는 생략할 수도 있으며, 그 경우에는, 액 불투과성 시트(11)를 외장 부직포(12)와 동일 형상으로 하여, 제품 외면을 구성할 수 있다.
(액 불투과성 시트)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소재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나, 폴리에틸렌 시트 등에 부직포를 적층한 라미네이트 부직포, 방수 필름을 개재하여 실질적으로 액 불투과성을 확보한 부직포(이 경우에는, 방수 필름과 부직포로 액 불투과성 시트가 구성됨)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물론, 이 밖에도, 최근, 땀이 차는 것을 방지하는 관점에서 선호되어 사용되고 있는 액 불투과성 및 투습성을 갖는 소재도 예시할 수 있다. 이 액 불투과성 및 투습성을 갖는 소재의 시트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이나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수지 중에 무기 충전제를 혼련하여, 시트를 성형한 후, 1축 또는 2축 방향으로 연신하여 얻어진 미다공성 시트를 예시할 수 있다. 또한, 마이크로 데니어 섬유를 사용한 부직포, 열이나 압력을 가함으로써, 섬유의 공극을 작게 함에 따른 방루성 강화, 고흡수성 수지 또는 소수성 수지나 발수제의 도공과 같은 방법으로, 방수 필름을 사용하지 않고, 액 불투과성으로 한 시트도 액 불투과성 시트(11)로서 사용할 수 있다.
(탑 시트)
탑 시트(30)는 액을 투과하는 성질을 갖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유공 또는 무공 부직포나, 다공성 플라스틱 시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탑 시트(30)의 양 측부는 흡수체(70)의 이측으로 되접어 꺽어도 좋고, 또한, 도시한 예와 같이, 되접어 꺽지 않고, 흡수체(70)의 옆 테두리로부터 옆쪽으로 비어져나오게 해도 좋다.
탑 시트(30)는, 이측 부재에 대한 위치 틀어짐을 방지하는 등의 목적으로, 히트 실링, 초음파 실링과 같은 소재 용착에 따른 접합 수단이나, 핫멜트 접착제로 이측과 인접한 부재에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시한 예에서는, 탑 시트(30)는 그 이면에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에 의해, 중간 시트(40)의 표면 및 포장 시트(45) 중, 흡수체(70)의 표측에 위치하는 부분의 표면에 고정되어 있다.
(중간 시트)
중간 시트(40)는, 탑 시트(30)를 투과한 배설액을 흡수체(70) 측으로 신속하게 이동시키기 위해, 그리고, 역행을 방지하기 위해, 탑 시트(30)의 이면에 접합되어 있는 것이다. 중간 시트(40) 및 탑 시트(30) 사이의 접합은 핫멜트 접착제를 사용하는 것 외에, 히트 엠보싱이나 초음파 용착을 이용할 수도 있다.
중간 시트(40)로서는, 부직포를 사용하는 것 외에, 다수의 투과 구멍을 갖는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도 있다. 부직포로서는, 탑 시트(30)와 동일한 소재를 사용할 수 있지만, 탑 시트(30)보다 친수성이 높은 것이나, 섬유 밀도가 높은 것이, 탑 시트(30)로부터 중간 시트(40)로의 액 이동 특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중간 시트(40)로서는, 에어스루 부직포를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다. 에어스루 부직포로는, 심초 구조의 복합 섬유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 경우, 심지로 사용하는 수지는 폴리프로필렌(PP)이어도 좋지만, 강성이 높은 폴리에스테르(PET)가 바람직하다. 평량은 17∼80g/㎡이 바람직하고, 25∼60g/㎡이 보다 바람직하다. 부직포의 원료 섬유의 굵기는 2.0∼10dtex인 것이 바람직하다. 부직포를 큰 부피로 만들기 위해, 원료 섬유의 전부 또는 일부의 혼합 섬유로서, 심지가 중앙에 없는 편심 섬유나 중공 섬유, 편심 및 중공인 섬유를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도시한 예의 중간 시트(40)는, 흡수체(70)의 폭보다 짧게 중앙에 배치되어 있지만, 전체 폭에 걸쳐 마련해도 된다. 중간 시트(40)의 전후 방향(LD) 치수는, 기저귀의 전체 길이와 동일해도 되고, 흡수체(70)의 치수와 동일해도 되며, 액을 받아들이는 영역을 중심으로 한 짧은 길이 범위 내일 수 있다.
(기립 개더)
탑 시트(30) 상에서 배설물의 가로 방향 이동을 저지하여, 옆으로 새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폭 방향(WD)에 있어서의 제품의 양측 내면으로부터 돌출(기립)되는 기립 개더(60)를 마련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이 기립 개더(60)는 개더 시트(62)와, 이 개더 시트(62)에 전후 방향(LD)을 따라 신장 상태로 고정된 세장형 개더 탄성 부재(63)로 구성되어 있다. 이 개더 시트(62)로서는 발수성 부직포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탄성 부재(63)로서는 실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탄성 부재는 도 1 및 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각 측에서 여러 개 마련하는 것 외에, 각 측에 1개만 마련할 수 있다.
개더 시트(62)의 내면은, 탑 시트(30)의 측부 상에 폭 방향(WD)의 고착 시단을 가지며, 이 고착 시단으로부터 폭 방향(WD)의 외측 부분은,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측부 및 해당 부분에 위치하는 외장 부직포(12)의 측부에 핫멜트 접착제 등으로 고착되어 있다.
다리 둘레에서는, 기립 개더(60)의 고착 시단으로부터 폭 방향(WD)의 내측은, 제품 전후 방향(LD)의 양 단부에서는 탑 시트(30) 상에 고정되어 있되, 그 사이 부분은 비고정 자유 부분이며, 이 자유 부분이 탄성 부재(63)의 수축력에 의해 기립하게 된다. 기저귀 장착 시에는, 기저귀가 보트형으로 몸에 장착되므로, 그리고, 탄성 부재(63)의 수축력이 작용하므로, 탄성 부재(63)의 수축력에 의해 기립 개더(60)가 기립하여 다리 둘레에 밀착된다. 그 결과, 다리 둘레로부터 이른바 옆으로 새는 것이 방지된다.
도시한 예와 달리, 개더 시트(62)의 폭 방향(WD) 내측 부분에서 전후 방향(LD)의 양 단부를, 폭 방향(WD)의 외측 부분으로부터 내측으로 연장되는 기단 측 부분과, 이 기단 측 부분의 폭 방향(WD)의 중앙 측 끝 테두리로부터 신체 측으로 되접어 꺾이고, 폭 방향(WD)의 외측으로 연장되는 선단 측 부분을 갖는, 둘로 접은 상태로 고정시켜서, 그 사이 부분을 비고정 자유 부분으로 할 수도 있다.
(평면 개더)
각 사이드 플랩(SF)에는 도 1∼도 3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개더 시트(62)의 고착 부분 중, 고착 시단 근방의 폭 방향(WD) 외측에 있어서, 개더 시트(62)와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사이에, 실고무 등의 세장형 탄성 부재로 구성되는 다리 둘레 탄성 부재(64)가 전후 방향(LD)을 따라 신장된 상태로 고정되어 있으며, 이로써, 각 사이드 플랩(SF)의 다리 둘레 부분이 평면 개더로서 구성되어 있다. 다리 둘레 탄성 부재(64)는 사이드 플랩(SF)에 있어서의 액 불투과성 시트(11)와, 외장 부직포(12)의 사이에 배치할 수도 있다. 다리 둘레 탄성 부재(64)는 도시한 예와 같이, 각 측에서 여러 개 마련하는 것 외에, 각 측에 1개만 마련할 수도 있다.
(패스닝 테이프)
도 1, 도 2 및 도 6에 도시되는 바와 같이, 패스닝 테이프(13)는 기저귀의 측부에 고정된 테이프 장착부(13C) 및 이 테이프 장착부(13C)로부터 돌출된 테이프 본체부(13B)를 구성하는 시트 기재와, 이 시트 기재에서 테이프 본체부(13B)의 폭 방향(WD) 중간부에 마련된, 등측에 대한 계지부(13A)를 갖고, 이 계지부(13A)로부터 선단 측 부분이 손잡이가 되는 것이다. 패스닝 테이프(13)의 테이프 장착부(13C)는, 사이드 플랩(SF)에 있어서의 내측층을 구성하는 개더 시트(62) 및 외측층을 구성하는 외장 부직포(12) 사이에 개재되며, 또한, 핫멜트 접착제로 그들 시트에 접착되어 있다. 또한, 계지부(13A)는 시트 기재에 접착제로 고정되어 있다.
계지부(13A)로서는, 메커니컬 패스너(면 패스너)의 훅재(웅재(雄材))가 적합하다. 훅재는 그 외면 측에 다수의 계합 돌기를 갖는다. 계합 돌기의 형상으로서는, レ자형, J자형, 버섯형, T자형, 더블 J자형(J자형의 것을 맞대서 결합한 형상의 것) 등이 존재하지만, 어느 형상이어도 좋다. 물론, 패스닝 테이프(13)의 계지부로서 점착재층을 마련할 수도 있다.
또한, 테이프 장착부(13C)부터 테이프 본체부(13B)까지를 형성하는 시트 기재로서는, 스펀 본드 부직포, 에어스루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등의 각종 부직포 외에, 플라스틱 필름, 폴리라미 부직포, 종이나 이들의 복합 소재를 사용할 수 있다.
(타겟 시트)
배측 부분(F)에서 패스닝 테이프(13)의 계지 개소에는, 쉽게 계지하기 위한 타겟을 갖는 타겟 시트(12T)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타겟 시트(12T)는 계지부(13A)가 훅재인 경우, 훅재의 계합 돌기가 얽히는 루프사가 플라스틱 필름이나 부직포로 구성되는 시트 기재의 표면에 다수 마련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또한, 계지부(13A)가 점착재층인 경우에는, 점착성이 풍부하고 표면이 평활한 플라스틱 필름으로 구성되는 시트 기재의 표면에 박리 처리를 한 것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배측 부분(F)에서 패스닝 테이프(13)의 계지 개소가 부직포로 구성될 경우, 예를 들면, 도시한 예의 외장 부직포(12)가 부직포로 구성되는 경우이며, 패스닝 테이프(13)의 계지부(13A)가 훅재인 경우에는, 타겟 시트(12T)를 생략하고, 훅재를 외장 부직포(12)의 부직포에 얽히게 하여, 계지할 수도 있다. 이 경우, 타겟 시트(12T)를 외장 부직포(12)와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사이에 마련해도 된다.
(흡수체)
흡수체(70)는 도 1, 도 3, 도 5, 도 15의 (a) 및 도 16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설물의 액분을 흡수 유지하는 부분이며, 최상부에 마련된 상 보조층(71)과, 그 이측에 마련된 주흡수층(72)을 갖고 있다. 도 16은 도 15의 (a)의 흡수체(70)의 층 구조를 분리하여 알기 쉽게 도시한 것이다. 흡수체(70)는, 그 표리 적어도 일방 측의 부재에 대해서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50h)를 통해 접착할 수 있다.
(상 보조층)
상 보조층(71)은, 표면이 흡수체(70)의 최상면에 노출되는, 클렘 흡수도가 100㎜ 이상인 고흡수 부직포(42)를 갖는 것이다. 이 고흡수 부직포(42)는 점성액이어도, 고흡수 부직포(42)가 신속하게 흡수 및 확산될 수 있다. 따라서, 흡수체(70)에 의한 점성액의 흡수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고흡수 부직포(42)는 클렘 흡수도가 130㎜ 이상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고흡수 부직포(42)의 클렘 흡수도의 상한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180㎜ 정도가 바람직하고, 160㎜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상 보조층(71)의 고흡수 부직포(42)의 하중하 보수량은, 0g보다 크고 0.15g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0g보다 크고 0.12g 이하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상 보조층(71)의 고흡수 부직포(42)의 무하중하 보수량은, 0g보다 크고 0.7g 이하이면 바람직하고, 0g보다 크고 0.3g 이하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고흡수 부직포(42)는 소재 및 제법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펄프 섬유 또는 레이온 섬유를 50% 이상 포함하고, 평량 25∼50g/㎡인 습식 부직포이면 바람직하다. 펄프 섬유 또는 레이온 섬유 이외의 섬유는, 폴리에틸렌 또는 폴리프로필렌 등의 올레핀계, 폴리에스테르계, 폴리아미드계 등의 합성 섬유(단성분 섬유 외에, 심초 등의 복합 섬유도 포함함)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습식 부직포를 사용하면, 미소한 섬유 간극에 의한 모세관 현상에 의해, 점성액을 신속하게 흡수·확산시킬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이러한 습식 부직포는 클렘 흡수도가 높을 뿐만 아니라, 매우 얇고 유연하기 때문에, 흡수체(70) 전체로서의 유연성 저하 및 두께 증가를 억제할 수 있다. 고흡수 부직포(42)의 두께는 한정되는 것은 아니지만, 상기 평량의 경우, 0.13∼0.48㎜ 정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고흡수 부직포(42)로서는, 도 1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합성 수지의 장섬유를 포함한 지지층(42b)과, 가장 표측에 위치하고, 펄프 섬유로만 구성되는 펄프층(42a)을 갖는 2층 또는 3층 이상의 부직포가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고흡수 부직포(42)는 펄프층(42a)에 의해 클렘 흡수도를 높이면서, 지지층(42b)의 존재에 의해 강도를 높일 수 있기 때문에, 흡수체(70)의 최상부에 마련한 경우에, 내구성이 뛰어나게 된다.
상 보조층(71)은, 고흡수 부직포(42)의 이면과 인접한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를 가지면, 도 17의 (a)에 화살표로 도시하는 바와 같이, 고흡수 부직포(42)에 의해 흡수 및 확산된 점성액(N)을, 서서히 고흡수 부직포(42)의 이측과 인접한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로 흡수 유지할 수 있다. 이로써, 점성액(N)의 흡수성을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특히, 상 보조층(71)의 고흡수 부직포(42)가 전술한 습식 부직포이면, 이면과 인접한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로의 점성액(N) 전달이 원활해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상 보조층(71)의 고흡수 부직포(42)의 치수, 배치는 적절히 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한 예와 같이, 고흡수 부직포(42)는 주흡수층(72)의 표면 전체를 덮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주흡수층(72)의 표면 일부, 예를 들면, 전단부, 후단부, 중앙부 또는 이들 중 복수 개소만을 덮도록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고흡수 부직포(42)는, 주흡수층(72)의 둘레 테두리로부터 비어져나오는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되고, 고흡수 부직포(42)의 둘레 테두리의 일부 또는 전부가 주흡수층(72)의 둘레 테두리보다 중앙 측으로 이간되어 있어도 된다. 통상의 경우, 상 보조층(71)의 고흡수 부직포(42)는, 주흡수층(72) 면적의 90% 이상을 덮으면 바람직하다.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를 갖는 영역의 치수, 배치는 적절히 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도시한 예와 같이,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는, 고흡수 부직포(42)와 주흡수층(72)이 겹치는 영역 전체에 배치되어 있어도 되고, 고흡수 부직포(42)와 주흡수층(72)이 겹치는 영역의 일부, 예를 들면, 전단부, 후단부, 중앙부 또는 이들 중 복수 개소에만 배치되어 있어도 된다. 통상의 경우,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를 갖는 영역은, 주흡수층(72) 면적의 83% 이상을 차지하고 있으면 바람직하다.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는, 고흡수 부직포(42)에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되지만,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는 예를 들면, 고흡수 부직포(42)의 이면에 간헐적 패턴으로 도포된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42h)로 고흡수 부직포(42)에 접착시킬 수 있다.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는 주흡수층(72)의 표면에 접할 뿐, 고정되어 있지 않아도 되지만, 고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주흡수층(72)의 표면(후술하는 상 시트(51)의 상면)에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43h)를 간헐적 패턴으로 도포한 후, 그 도포 부분 위에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를 산포하고, 나아가, 그 위에 접착제(42h)를 통해 또는 통하지 않고 고흡수 부직포(42)를 배치할 수 있다. 다만, 접착제(43h)의 도포량을 증가시키면, 흡수체(70)가 딱딱해질 뿐만 아니라,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가 흡수 팽창할 때에 팽창이 저해되어,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가 본래의 흡수 성능을 발휘하지 못하게 될 우려가 있다. 또한, 오줌 등의 비점성액을 흡수할 경우, 접착제(43h)가 비점성액의 투과를 저해하여, 상 보조층(71)으로부터 주흡수층(72)에 비점성액이 공급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접착제(43h)는 흡수층(72)의 표면(후술하는 상 시트(51)의 상면)에 간헐적 패턴으로 도포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4∼10g/㎡의 비율로 도포되어 있으면, 주흡수층(72)에 대한 비점성액의 투과성을 저해받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의 평량은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이상변이나 수성변, 연변에 있어서의 액분과 같이, 한 번에 필요시되는 흡수량이 적은 점성액을 상정하면, 50∼150g/㎡이면 바람직하고, 40∼100g/㎡이면 특히 바람직하다.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의 평량이 50g/㎡ 미만에서는, 소량의 점성액이라도 충분한 흡수가 곤란해질 우려가 있다. 또한,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의 평량이 150g/㎡를 초과하면, 오줌 등 다량의 비점성액을 흡수할 때,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가 충분히 흡수되어, 팽창한 후에 겔 블로킹이 생겨, 주흡수층(72)에 대한 비점성액의 공급이 저해될 우려가 높아진다. 이에 비하여, 상기 범위 내이면,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가 충분히 흡수되어, 팽창한 후에도, 겔 블로킹이 생기지 않는 부분이 남아, 주흡수층(72)에 대한 비점성액의 공급이 확보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주흡수층)
주흡수층(72)으로서는, 일반적으로는 분쇄 펄프 등의 친수성 단섬유에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SAP)를 혼합하여 면상으로 적섬한 흡수체(70)가 사용되지만, 도시한 예에서는, 액 투과성을 갖는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의 접합부(54)에 의해 주위를 둘러싸이며, 또한,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다수의 셀(55)(세포)과, 이 셀(55) 내에 포함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포함한 분립체를 갖는 셀 흡수 시트(50)가 사용되고 있다. 셀 흡수 시트(50)의 흡수 성능은,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에 의존하는 것이기 때문에, 필연적으로 흡수 속도가 느려, 점성액(N)의 흡수성이 낮은 것이 된다. 따라서, 전술한 상 보조층(71)은, 이러한 셀 흡수 시트(50)을 주흡수층(72)으로 할 경우에, 특히 의의를 갖는 것이다.
셀 흡수 시트(50)에 대하여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도 7 및 도 15의 (a)에 확대하여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 셀 흡수 시트(50)는, 상 시트(51)와, 그 이측에 배치된 하 시트(52)와,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의 접합부(54)에 의해 주위를 둘러싸이며, 또한,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가 접합되어 있지 않은 셀(세포)(55)과, 이 셀(55) 내에 포함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갖는다. 셀(55)은 접합부(54) 만큼의 간격을 두고 다수 배열된다. 이와 같이, 접합부(54)에 의해 주위 전체를 둘러싸인 다수의 셀(55)에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분배 유지시킴으로써, 셀 흡수 시트(50)에 있어서의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편재를 방지할 수 있다.
제조 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용이하게 배치하기 위해, 그리고, 흡수 팽창 후의 용적 확보를 위해, 셀(55)에 있어서의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 중 적어도 한쪽이, 전개 상태에서 셀(55)의 외측에 패이는 오목부(50c)로 되어 있으면 바람직하지만, 오목부(50c)를 갖지 않고, 단지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의 사이에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개재되어 있기만 해도 된다. 오목부(50c)는, 상 시트(51)에서 각 셀(55)을 구성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지만, 이와 함께 또는 이것 대신, 도 13의 (c)에 도시하는 예 및 도 14의 (c)에 도시하는 예와 같이, 하 시트(52)에서 각 셀(55)을 구성하는 부분에 형성해도 된다. 오목부(50c)의 깊이(50d)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1.0∼7.0㎜, 특히, 1.0∼5.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오목부(50c)는, 대상 시트에 엠보싱 가공을 함으로써 형성 가능한 것이다. 또한, 이 엠보싱 가공에 의해, 대상 시트에서 각 셀(55)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외측으로 부풀어오르는 볼록부(50p)가 형성되게 된다. 즉, 엠보싱 가공으로 상 시트(51)에 오목부(50c)를 형성하면, 상 시트(51)에서 각 셀(55)에 위치하는 부분에는, 위쪽에 부풀어오르는 볼록부(50p)가 형성된다.
여기서, 오줌 등의 비점성액(U)을 흡수할 경우, 상 보조층(71)의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가 똑같이 마련되어 있으면,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가 우선적으로 흡수 팽창하고, 팽창한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가 밀착되어 난액 투과성 층을 형성하는 겔 블로킹이 발생되기 쉬워져, 주흡수층(72)에 비점성액(U)이 공급되기 어려워질 우려가 있다. 즉, 상 보조층(71)이 주흡수층(72)에 의한 흡수를 저해할 우려가 있다. 이에 대해서, 도 15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 시트(51)의 상면에 있어서의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의 부착량은, 볼록부(50p)의 정상부로부터 인접한 볼록부(50p)의 사이에 위치하는 골짜기부의 바닥부를 향함에 따라 많게 되어 있으면, 도 17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 시트(51)의 상면에 고정된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를 점성액(N)의 흡수에 유효하게 이용할 수 있는 것이면서, 동일한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사용량과 비교한 경우, 도 17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비점성액(U) 흡수 시에,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가 충분히 흡수 팽창한 후에도,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의 부착량이 적은 부분일수록 겔 블로킹이 생기기 어려워져, 주흡수층(72)에 대한 비점성액(U)의 공급을 저해받기 어려워진다. 또한, 상 시트(51)의 볼록부(50p)를 이용함으로써, 상 시트(51)의 상면에서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의 부착량에 규칙적인 변화를 주는(부착량이 많은 부분과 적은 부분을 교대로 마련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즉, 전술한 바와 같이, 주흡수층(72)의 표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간헐 패턴으로 도포한 후, 그 도포 부분 위에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를 산포하면, 그 산포가 균일해도, 중력에 의해 골짜기부의 바닥부를 향하여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가 굴러떨어지기 쉽기 때문에, 자연스럽게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의 부착량은, 볼록부(50p)의 정상부로부터 인접한 볼록부(50p)의 사이에 위치하는 골짜기부의 바닥부를 향함에 따라 많아지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의 불균일한 부착 구조는, 언뜻 보면 복잡한 구조이면서 제조는 비교적 용이하다. 또한, 이 경우에도,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의 평량은, 전술한 범위 내이면 바람직한 것은 말할 필요도 없다.
이 경우, 상 시트(51)의 상면에서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의 부착량은, 볼록부(50p)의 정상부로부터 인접한 볼록부(50p)의 사이에 위치하는 골짜기부의 바닥부를 향함에 따라 많아지는 한, 볼록부(50p)의 정상부를 포함한 일부에는,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가 부착되지 않고, 그 이외 부분에만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가 부착되어 있어도 되고, 도시한 예와 같이, 볼록부(50p)의 꼭대기부 및 그 이외 부분을 포함한 거의 전체에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가 부착되어 있는 동시에, 그 부착량이 골짜기부의 바닥부를 향하여 연속적(또는 단계적이어도 됨)으로 증가해도 된다.
볼록부(50p)의 치수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이러한 관점에서, 상 시트(51)의 볼록부(50p)의 전후 방향(LD) 치수(55L)는 6∼30㎜이고, 상 시트(51)의 볼록부(50p)의 폭 방향(WD) 치수(55W)는 7∼50㎜이며, 접합부(54)의 폭(54W)은 1.0∼1.8㎜이며, 상 시트(51)의 골짜기부의 깊이(50d)(볼록부(50p)의 높이)는 1.0∼7.0㎜이면 바람직하다.
한편, 도 7의 (b) 및 도 13의 (a)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의 사이에는, 부직포로 구성되는 중 시트(80)가 개재되어 있으면 바람직하지만, 도 14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 시트(80)를 마련하지 않아도 된다. 중 시트(80)를 마련할 경우, 접합부(54)에서는 상 시트(51), 중 시트(80) 및 하 시트(52)의 3층이 접합된다. 또한, 중 시트(80)는 접합부(54)에서는, 두께 방향으로 압축되는 동시에, 셀(55) 내에 위치하는 부분에서는, 오목부(50c) 내까지 부풀어 있으면(바꾸어 말하면, 섬유 밀도가 접합부(54)로부터 멀어질수록 저하되면) 바람직하다. 이로써, 제품의 포장 상태에서 가해지는 압력이나 장착 시에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오목부(50c)가(따라서, 볼록부도) 무너지기 어렵고, 또 무너졌다 해도, 중 시트(80)의 탄력성에 의해 적어도 중 시트(80)가 들어가 있던 부분 또는 그와 가까운 용적까지 형상 복원이 촉진된다. 그리고, 배설액 흡수 시에는, 고흡수성 폴리머가 중 시트(80)의 섬유 간극을 확대하여, 그 사이에 들어가면서, 혹은 중 시트(80)를 용이하게 압축하면서, 혹은 그 양방에 의해 팽창할 수 있기 때문에, 중 시트(80)의 존재는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팽창을 저해하기 어렵다. 또한, 오목부(50c) 내로 퍼지는 중 시트(80)의 섬유가 개개의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로의 통액로를 확보하기 때문에,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팽창을 개시한 후에도 확산성 저하가 억제되어, 겔 블로킹이 생기기 어렵다. 따라서, 이러한 상승 작용에 의해, 본 셀 흡수 시트(50)를 구비한 일회용 기저귀의 흡수 속도(특히, 흡수 초기)가 개선된다.
상 시트(51)는, 탑 시트(30)와 마찬가지로, 액 투과성 소재이면 특별히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가, 상 시트(51)의 상면에 간헐적 패턴으로 도포된 비교적 적은 도포량의 접착제(43h)로 고정될 경우,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가 이동하기 쉬워져, 제품을 접한 사용자에게 사각거리는 위화감을 줄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러한 문제 발생을 방지하기 위해, 도 1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 시트(51)는 상면에 하면보다 많은 보풀(51f)을 갖는 단섬유 부직포이면 바람직하다. 이로써, 보풀(51f)(돌출 섬유) 사이에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가 포착되어,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의 이동이 억제되는 동시에,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 사이에 존재하는 보풀(51f)에 의해 점성액(N)의 흡수성 및 비점성액(U)의 투과성을 저해받기 어려워진다. 또한, 보풀(51f)은 특허문헌 2의 단락 [0050]에 기재된 방법으로 계측할 수 있다.
상면에 하면보다 많은 보풀(51f)을 갖는 단섬유 부직포로서는, 기모 가공으로 보풀(51f)을 형성한 것을 사용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만, 가공비가 커진다. 따라서, 상 시트(51)로서, 평량 17∼40g/㎡(특히, 20∼30g/㎡), 두께 0.2∼0.7㎜(특히, 0.3∼0.5㎜)인 에어스루 부직포를 사용하여, 이 에어스루 부직포의 에어면이 상 시트의 상면이 되도록 구성하는 것은 바람직하다. 에어스루 부직포는 주지하는 바와 같이, 단섬유를 네트 상에 집적하여 웹을 형성한 후에, 이 웹에 가열 에어(열풍)를 통과시켜, 섬유끼리를 융착 결합한 써멀 본드 부직포이며, 에어면(가열 에어의 분사면)이 네트면보다 보풀이 이는 것이다. 따라서, 이 에어스루 부직포의 에어면을 상면으로 하여 상 시트(51)에 사용함으로써, 기모 가공 없이도, 도 15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 시트(51) 상면에 본래 구비되는 보풀(51f)에 의해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의 이동을 억제 가능해진다.
상 시트(51)로서 특히 바람직한 에어스루 부직포는, 섬도 2.0∼7.0dtex의 중공 섬유를 에어면에 포함하는 것이다. 이 이유는, 에어면에 충분히 가는 중공 섬유가 포함되어 있는 에어스루 부직포는, 에어면의 보풀이 특히 많이 일기 때문이다. 중공 섬유가 편심 중공이면, 에어면의 보풀이 보다 많이 일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중공 섬유의 재질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강성이 높아 보풀이 쓰러지기 어렵다는 점에서 PET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 시트(51)로 사용하는 에어스루 부직포의 평량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17∼40g/㎡ 정도로 할 수 있다.
중공 섬유는, 에어스루 부직포의 에어면에 포함되는 한, 표층에만 포함되어 있어도 되고, 두께 방향 전체에 포함되어 있어도 된다. 전자의 에어스루 부직포로서는, 중공 섬유 및 비중공 섬유가 혼합된 표층을 갖는 2층 이상의 적층 부직포를 예시할 수 있다. 일례로서, 섬도 3.0∼7.0dtex인 비중공 섬유를 평량 6∼17g/㎡ 및 섬도 2.0∼7.0dtex인 중공 섬유를 평량 2∼9g/㎡ 혼합 함유하는 표층을 구비한 에어스루 부직포는, 상 시트(51)로서 적합하다.
하 시트(52)로서는, 상 시트(51)와 동일한 소재로 할 수도 있지만, 액 불투과성 소재를 채택할 수도 있다. 하 시트(52)에 사용할 수 있는 액 불투과성 소재로서는, 액 불투과성 시트(11)의 항에서 서술한 소재 중에서 적절히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다. 도시하지 않지만,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는, 1매의 소재가 둘로 겹쳐서 접힌 한쪽 층 및 다른 한쪽 층으로 할 수도 있다.
하 시트(52)는, 섬도 1.5∼6.0dtex, 평량 25∼50g/㎡, 두께 0.1∼1.0㎜인 비교적 성긴 부직포이면, 셀(55) 내의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하 시트(52) 상에 있을 때, 또는 하 시트(52) 상에 도달하였을 때, 하 시트(52)의 섬유 간에 유지되기 쉬워져, 셀(55) 내를 이동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중 시트(80)로서는 부직포이면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부직포의 구성 섬유의 섬도는 1.6∼7.0dtex 정도가 바람직하고, 5.6∼6.6dtex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중 시트(80)의 부직포의 공극율은 80∼98%이면 바람직하고, 90∼95%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중 시트(80)의 섬도 및 공극율이 이 범위이면, 중 시트(80)의 탄력성을 가능한 한 확보하면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배설액 흡수 전 및 배설액 흡수 시에 중 시트(80)의 섬유 간극에 용이하게 들어가는 것이 가능한 것이 된다. 따라서, 흡수 시에는 오목부(50c) 내로 퍼지는 중 시트(80)의 섬유가 개개의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로의 통액로를 확보하기 때문에,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팽창을 개시한 후에도 확산성 저하가 억제되어, 겔 블로킹이 생기기 어려운 것이 된다. 중 시트(80)의 두께는, 오목부(50c)의 깊이(50d)나 오목부(50c) 내로 들어가는 정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히 정하면 되지만, 두께가 오목부(50c) 깊이(50d)의 10%∼90%이면 바람직하고, 70%∼90%이면 보다 바람직하다. 중 시트(80)의 평량도 같은 이유에서 적절히 정하면 되지만, 상기 두께 범위에서는, 25∼40g/㎡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 시트(80)의 부직포의 공극율을 높게(섬유 간극을 넓게) 하기 위해서는, 구성 섬유를 권축 섬유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 시트(80)의 부직포의 구성 섬유가 친수성 섬유(친수화제에 의해 친수성이 된 섬유를 포함함)이면, 보수성이 높아지고, 소수성 섬유이면, 확산성이 향상한다. 부직포의 섬유 결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공극율을 높게(섬유 간극을 넓게) 하면서, 충분히 섬유를 결합하여 탄력성을 확보하기 위해, 열풍 가열에 의해 섬유를 결합한 에어스루 부직포가 중 시트(80)로는 바람직하다.
중 시트(80)에서 오목부(50c)와 대향하는 면은 오목부(50c) 내에 들어가 있는 한, 도 13의 (a)(c) 및 도 14의 (a)(c)에 각각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목부(50c)의 내면과 접해 있으면 바람직하지만, 도 13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간되어 있어도 된다. 중 시트(80)에서 오목부(50c)와 대향하는 면과 오목부(50c)의 내면을 이간시킬 경우, 그 이간 거리(80s)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오목부(50c) 깊이(50d)의 30% 이하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셀(55) 내에 간극이 생길 경우, 제품 상태에서 볼록부(50p)(오목부(50c))는 그 간극에 따라 무너져 있어도 된다.
중 시트(80)는 도 13의 (a)∼(c) 및 도 14의 (a)에 각각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55) 내 및 접합부(54) 양방에 있어서,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 중 적어도 한쪽에 대해서 핫멜트 접착제(80h)로 접착되어 있어도 되고, 도 14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 양방에 접착되어 있지 않아도 된다.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는 그 거의 전부(예를 들면, 95% 이상)를 상 시트(51), 하 시트(52) 및 중 시트(80)에 대해서 비고정으로 하여, 자유롭게 이동 가능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일부 또는 거의 전부(예를 들면, 95% 이상)를 상 시트(51), 하 시트(52) 및 중 시트(80) 중 적어도 하나에 접착 또는 점착시킬 수도 있다. 도 14의 (b)는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일부를 핫멜트 접착제 등의 접착제(53h)로 하 시트(52)에 접착한 예를 도시하고 있다. 또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는 어느 정도 덩어리화되어 있어도 좋다. 특히, 셀(55) 내에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자유롭게 이동 가능한 경우, 셀(55) 내에 중공 부분을 가지면, 사용 시에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셀(55) 내에서 이동함으로써, 소리가 나거나,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셀(55) 내에서 편재함에 따른 흡수 저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 따라서, 이것을 해결하기 위해, 전술한 바와 같이, 중 시트(80)에서 오목부(50c)와 대향하는 면을 오목부(50c)의 내면에 접촉시키는, 즉, 바꾸어 말하면, 오목부(50c)를 포함한 셀(55) 내의 거의 전체에 걸쳐 높은 공극율 중 시트(80)의 섬유를 가득 채우는 것은 하나의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로써,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는 중 시트(80)의 섬유에 의해 포착되거나, 또는, 상 시트(51) 혹은 하 시트(52)에 피트되거나, 또는 그 양방이 되기 때문에, 자유로운 이동이 일어나기 어려워진다. 따라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팽창 저해를 방지하면서도,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이동에 따른 소리 발생이나,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셀(55) 내에서 편재함에 따른 흡수 저해를 방지할 수 있다.
도 13의 (a)(b), 도 14의 (c)에 각각 도시하는 예와 같이,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중 시트(80)의 상면 상에 가장 많이 존재하고, 그곳으로부터 아래쪽을 향하여 감소하면, 사용자가 기저귀의 외면을 손으로 잡았을 때에, 중 시트(80)의 개재에 의해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사각거리는 촉감(위화감)이 손에 전달되기 어려워지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특히, 중 시트(80)가 공극율이 높고 부피가 큰 부직포의 경우,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는 배설액 흡수 전 및 배설액 흡수 시에, 중 시트(80)의 섬유 간극에 들어가는 것이 가능하기 때문에, 흡수 속도가 보다 한층 더 향상한다. 즉, 흡수 초기에 있어서는,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많이 분포하는 중 시트(80) 상면에서의 흡수가 진행하지만, 그 속도에는 한계가 있다. 따라서, 이 흡수 초기에는, 배설액은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적은 중 시트(80) 내로도 많이 들어가, 중 시트(80) 내의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에 의해 흡수되거나,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에 의해 흡수될 때까지 일시적으로 저장되거나, 또는 주위의 셀(55)로 확산된다. 주위로 확산된 배설액은, 그곳에 존재하는 중 시트(80) 내의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에 의해 흡수되거나, 그 위쪽에 많이 존재하는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에 의해 빨려 올라가게 된다. 그리고, 각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배설액을 흡수해가는 과정에서, 고흡수성 폴리머가 섬유 간극을 확대하고, 그 사이로 들어가면서, 혹은 중 시트(80)를 압축하면서 팽창하게 된다. 이러한 흡수 메커니즘에 의해, 배설액은 신속하게 셀 흡수 시트(50)가 광범위하게 확산되고, 또한, 셀 흡수 시트(50)의 내부에 받아들여진 상태가 되기 때문에, 흡수 속도 향상은 물론, 역행 방지성도 뛰어난 것이 된다. 또한, 이러한 흡수 메커니즘을 양호하게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오목부(50c)는 적어도 상 시트(51)에서 각 셀(55)을 구성하는 부분에 형성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셀(55) 내에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분포 정도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통상의 경우, 중 시트(80)의 상면 상에 존재하는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중량 비율은 전체량의 50% 이상이면 바람직하고, 중 시트(80) 내에 유지된(즉, 하 시트(52) 상이 아님) 고흡수성 폴리머의 중량 비율은 전체량의 45% 이상이면 바람직하다.
물론, 셀(55) 내에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분포는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도 13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하 시트(52)의 상면 상에 가장 많이 존재하고, 그곳으로부터 위쪽을 향하여 감소하는 분포로 할 수도 있다. 또한, 도 14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중 시트(80)의 상면 상 및 하 시트(52)의 상면 상에 존재하는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양이, 그들 사이의 부분보다 많이 분포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도시하지 않지만,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중 시트(80)의 두께 방향 중간에 가장 많이 존재하고, 그곳으로부터 위쪽 및 아래쪽을 향하여 감소하는 분포로 할 수도 있다. 이 형태는, 중 시트(80)를 2층 부직포로 하고, 층간에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개재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평량은 적절히 정할 수 있다. 본 예의 흡수체(70)에서는, 상 보조층(71)에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를 함유하기 때문에, 주흡수층(72)에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평량을 적게 억제할 수 있지만, 상 보조층(71)만으로 오줌과 같은 비교적 다량의 배설액 흡수를 조달하는 것은 적절하지 않다. 따라서, 일률적으로 말할 수는 없지만,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평량은,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의 평량보다 많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예를 들면, 150∼350g/㎡로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평량이 150g/㎡ 미만에서는, 흡수량을 확보하기 어렵고, 350g/㎡를 초과하면, 사용자가 제품의 외면을 손으로 잡았을 때에,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사각거리는 촉감(위화감)이 손에 전달되기 쉬워진다.
셀(55)의 평면 형상은 적절히 정할 수 있으며, 도 8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육각형, 사다리꼴, 정사각형, 직사각형, 원형, 타원형 등으로 할 수 있지만, 보다 조밀한 배치로 하기 위해서 다각형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도시한 예와 같이, 간극 없이 배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셀(55)은 동일 형상 및 동일 치수의 것을 배열하는 것 외에, 도시하지 않지만, 형상 및 치수 중 적어도 한쪽이 다른 여러 종류의 셀(55)을 조합하여 배열할 수도 있다.
셀(55)(즉,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집합부도 마찬가지)의 평면 배열은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평면 배열이 바람직하며, 도 12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사방 격자형이나, 도 12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육각 격자형(이것들은 지그재그형이라고도 함), 도 12의 (c)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정방 격자형, 도 12의 (d)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직사각형 격자형, 도 12의 (e)에 도시하는 바와 같은 평행체 격자형(도시한 바와 같이, 다수의 평행한 경사 방향의 열의 군이 서로 교차하도록 2군 마련되는 형태) 등(이것들이 신축 방향에 대해서 90도 미만의 각도로 경사진 것을 포함함)과 같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것 외에, 셀(55)의 군(군 단위 배열은 규칙적이어도 불규칙해도 되며, 모양이나 문자형 등이어도 됨)이 규칙적으로 반복되는 것으로 할 수도 있다.
각 셀(55)의 치수는 적절히 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전후 방향(LD) 치수(55L)(볼록부(50p)의 전후 방향 치수와 같다)는 6∼30㎜ 정도로 할 수 있고, 또한, 폭 방향(WD) 치수(55W)(볼록부(50p)의 폭 방향 치수와 같다)는 7∼50㎜ 정도로 할 수 있다. 각 셀(55)의 면적은 31∼1650㎟ 정도로 할 수 있다.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를 접합하는 접합부(54)는, 초음파 용착이나 히트 실링과 같이,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의 용착에 의해 접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접합되어 있어도 좋다.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의 접합부(54)는, 각 셀(55)을 둘러싸도록 배치되고, 인접한 셀간 경계가 되는 한, 도시한 예와 같이, 점선형(각 셀(55)을 둘러싸는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형성하는 것 외에, 연속선형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접합부(54)를 단속적으로 형성할 경우, 셀(55)을 둘러싸는 방향에 있어서의 접합부(54)의 사이에는,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존재하지 않거나 또는 존재한다 하더라도, 셀(55) 내보다 적은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접합부가 점선형(단속적)으로 마련되어 있으면, 중 시트의 섬유군이 서로 이웃한 접합부 사이를 통과하여 다수의 셀간에 걸쳐 연장되게 된다. 따라서, 서로 이웃한 접합부의 사이에는 액 확산 통로가 형성되기 때문에, 셀간에 걸친 액 확산성 향상에 의해, 흡수 속도 향상이 도모된다.
도 10에도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접합부(54)는, 인접한 셀(55) 내의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팽창력에 의해 박리 가능한 약접합부(54b)여도, 또한, 인접한 셀(55) 내의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팽창력에 의해 기본적으로 박리되지 않는 강접합부(54a)여도 된다. 개개의 셀(55) 용적 이상의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팽창에도 대응하기 위해서는, 접합부(54)의 일부 또는 전부는 약접합부(54b)인 것이 바람직하다. 약접합부(54b)를 가짐으로써, 약접합부(54b)를 개재하여 인접한 셀(55)끼리는, 해당 셀(55) 내의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흡수 팽창압에 의해 박리되고 합체하여, 하나의 큰 셀(55)이 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한편, 강접합부(54a)는 그 양측 셀(55)이 흡수 팽창해도 기본적으로 박리되지 않는 부분이기 때문에, 그것이 특정 방향으로 계속됨으로써 확산성을 향상시키거나,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겔화물의 유동을 방지하거나, 표면 측의 접촉 면적을 저감시키거나 하는 등의 효과를 갖는다. 따라서, 이것을 약접합부와 조합함으로써, 후술하는 바와 같이, 여러 특징을 갖는 셀 흡수 시트(50)를 구축할 수 있다. 또한, 폭 방향(WD)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접합부(54)는, 이것이 박리하면, 셀 흡수 시트(50)의 옆쪽으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 또는 그 겔화물이 새나올 우려가 있기 때문에, 강접합부(54a)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같은 관점에서,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는 셀(55) 형성 영역보다 폭 방향(WD) 외측으로 어느 정도 연장시켜, 이 연장 부분에 보강을 위해서 테두리부 접합부(54c)를 마련해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강도의 차이는, 접합부(54)의 면적을 변화시킴으로써 형성하는 것이 간단하고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접합부(54)를 핫멜트 접착제로 형성할 경우에는, 핫멜트 접착제의 종류를 부위에 따라 달리 한 수법을 채택할 수도 있다. 특히,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를 용착함으로써 접합부(54)를 형성할 경우, 약접합부(54b)는 접합부(54)를 점선형으로 하고, 점 간격(54D)을 넓게 하는 것만으로도 형성 가능하지만, 접합부(54)는 인접한 셀(55)끼리의 경계가 되는 부분이기 때문에, 점 간격(54D)이 너무 넓어지면, 인접한 셀(55)끼리의 경계에 간극이 많아져,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이동하기 쉬워진다. 따라서, 접합부(54) 폭(54W)의 넓이와, 점 간격(54D)의 넓이를 조합하여, 점선형의 약접합부(54b)를 형성하면, 그 약접합부(54b) 부분은 간극이 적어, 비교적 박리하기 쉬운 것이 된다.
상 시트(51) 및 하 시트(52)를 접합하는 접합부(54)의 치수는 적절히 정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폭(셀(55)을 둘러싼 방향과 직교하는 방향의 치수이며, 셀(55)의 간격과 같음)(54W)은 1.0∼1.8㎜ 정도로 할 수 있다. 또한, 점선형(셀(55)을 둘러싼 방향으로 단속적)으로 접합부(54)를 형성할 경우, 셀(55)을 둘러싼 방향에 있어서의 접합부(54)의 치수(54L)는 0.6∼1.5㎜ 정도, 점 간격(54D)은 0.8∼3.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강접합부(54a)의 경우에는, 폭(54W)은 1.3∼1.8㎜ 정도, 접합부(54)의 치수(54L)는 1.0∼1.5㎜ 정도, 점 간격(54D)은 0.8∼2.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약접합부(54b)의 경우에는, 폭(54W)은 1.0∼1.3㎜ 정도, 접합부(54)의 치수(54L)는 0.6∼1.0㎜ 정도, 점간격(54D)은 1.5∼3.0㎜ 정도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약접합부(54b)를 박리 가능하게 하기 위해, 약접합부(54b)와 인접한 셀(55)의 용적보다 해당 셀(55) 내의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포화 흡수 시의 체적이 충분히 커지도록, 각 셀(55) 내에 배치되는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종류 및 양을 정할 수 있다. 또한, 강접합부(54a)를 기본적으로 박리하지 않는 것으로 하기 위해, 약접합부(54b)의 박리에 의해 합체 가능한 셀(55) 합체 후의 용적보다, 해당 합체 가능한 셀(55)에 포함되는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포화 흡수 시의 체적이 작아지도록, 각 셀(55) 내에 배치되는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종류 및 양을 정할 수 있다.
접합부(54)를 연속선형으로 형성할 경우에의 접합부(54)의 폭과, 접합부(54)를 점선형으로 형성할 경우에의 폭(54W)은, 셀(55)을 둘러싼 방향으로 일정하게 하는 것 외에, 변화시킬 수도 있다. 또한, 접합부(54)를 점선형으로 형성할 경우에의 각 접합부(54)의 형상은 적절히 정할 수 있으며, 모두 동일하게 하는 것 외에, 부위에 따라 다른 형상으로 할 수도 있다. 특히, 각 셀(55)의 형상을 다각형으로 할 경우에는, 각 변의 중간 위치 및 각 정점 위치 중 적어도 한쪽에는 접합부(54)를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강접합부(54a)의 경우, 각 정점 위치에도 마련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약접합부(54b)의 경우, 각 정점 위치에는 마련하지 않는 편이 약접합부(54b)가 박리하기 쉬워져, 셀(55)의 합체가 원활하게 진행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도 8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 흡수 시트(50)의 폭 방향(WD) 중간 영역에, 강접합부(54a)가 전후 방향(LD)으로 계속되는 세로 강접합선(58) 및 그 양 옆에 인접한 저팽창 셀(55s)로 이루어지는 확산성 향상부(57)가 마련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이 확산성 향상부(57)의 저팽창 셀(55s)은, 확산성 향상부(57)의 양 옆에 인접한 셀(55)보다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단위면적당 내포량이 적으며, 또한, 해당 확산성 향상부(57)의 양 옆에 인접한 셀(55) 사이의 접합부(54)가 약접합부(54b)로 되어 있는 것이다. 이 경우,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배설액 흡수 당초, 확산성 향상부(57)와 그 주위 부분의 팽창량 차이에 의해, 확산성 향상부(57)를 바닥부로 하는 폭이 넓은 홈이 형성되고, 그 홈에 의해 액 확산이 촉진된다. 이 상태는, 확산성 향상부(57) 주위의 셀(55)에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팽창력에 의해, 확산성 향상부(57)의 저팽창 셀(55s)과, 그 양 옆의 셀(55) 사이의 약접합부(54b)가 빠질 때까지 계속 팽창되어, 해당 약접합부(54b)가 빠진 후에도 강접합부(54a)는 빠지지 않기 때문에, 홈의 폭은 좁아지지만, 강접합부(54a)를 바닥부로 하는 홈이 남아, 확산성은 유지된다. 즉, 다량의 배설액 확산이 중요시되는 흡수 초기에는 홈의 폭이 넓고, 그 후에는, 겔 블로킹 등의 문제가 생기지 않도록, 확산성 향상부(57)의 저팽창 셀(55s)로 주위 셀(55)과 합체하되, 강접합부(54a)에 의해 홈이 남아, 확산성 향상 작용이 유지된다.
저팽창 셀(55s)에서의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내포량은, 중량비로 인접한 셀(55)의 1/3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혀 내포하지 않으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도 8 및 도 11에서는, 강접합부(54a)가 굵은 점선으로 표현되고, 다른 약접합부(54b)는 가는 점선으로 표현되어 있으며,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함유하는 셀(55)(즉, 저팽창 셀(55s) 및 후술하는 빈 셀(56)을 제외한 셀(55))에는 도 11에서는, 사선 모양이 붙어 있다.
확산성 향상부(57)는,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셀 흡수 시트(50)의 전체 길이에 걸쳐 마련되어 있어도 되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전후 방향(LD)의 중간 부분(특히, 고간부를 포함하여, 그 전후 양측에 걸친 범위)에만 마련되어 있어도 된다. 또한, 확산성 향상부(57)는, 도 8 및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폭 방향(WD) 중앙의 한 곳에 마련하는 것 외에, 도시하지 않지만, 폭 방향(WD)으로 간격을 두고 여러 곳에 마련할 수도 있다.
셀 흡수 시트(50)의 전후 방향(LD) 전체에 걸쳐 셀(55)끼리가 합체 가능하면, 흡수 시에 팽창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겔화물이, 합체한 셀(55) 내를 전후 방향(LD)으로 크게 이동 가능해져, 해당 겔화물이 고간부 등의 낮은 곳에 집합되어 장착감을 악화시킬 우려가 있다. 따라서, 도 8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강접합부(54a)가 폭 방향(WD) 또는 경사 방향으로 연속적 또는 단속적으로 계속되는 부분인 가로 강접합선이, 전후 방향(LD)으로 간격을 두고 복수 마련되어 있는 것은 바람직한 형태이다. 이로써, 흡수 시에 기본적으로 박리하지 않는 강접합부(54a)에 의해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겔화물의 전후 방향(LD) 이동을 저지할 수 있고, 셀 흡수 시트(50)의 형상 붕괴를 방지할 수 있다. 물론, 도 11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이러한 가로 강접합선(59)을 갖지 않는 형태로 할 수도 있다.
특히, 도 8에 도시하는 형태와 같이, 강접합부(54a)가 셀 흡수 시트(50) 전체 길이에 걸쳐 전후 방향(LD)으로 계속되는 부분인 세로 강접합선(58)이, 폭 방향(WD)의 가장 외측에 위치하는 셀(55)의 옆 테두리를 따라 폭 방향(WD) 양측에 각각 마련되는 동시에, 이들 폭 방향(WD)의 중간에도 마련되어 있고, 또한, 가로 강접합선(59)이 폭 방향(WD)으로 서로 이웃한 세로 강접합선(58) 사이에 걸치도록 폭 방향(WD) 또는 경사 방향으로 계속되는 부분이면, 강접합부(54a)에 의해 둘러싸인 최확대 구획(55G) 이상으로는 셀(55)이 합체하지 않기 때문에, 흡수 시에 팽창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겔화물은 최확대 구획(55G) 밖으로는 이동하지 않아, 흡수 시에 셀 흡수 시트(50)의 형상 붕괴를 효과적으로 방지 가능하다. 또한, 강접합부(54a)가 전후 방향(LD)으로 계속되는 부분인 세로 강접합선(58)에 의해 세로 방향의 액 확산성이 향상되고, 강접합부(54a)가 폭 방향(WD) 또는 경사 방향으로 계속되는 부분인 가로 강접합선(59)에 의해 가로 방향의 액 확산성이 향상한다. 예를 들면, 도 8에 도시하는 형태에 있어서, 부호 Z의 위치에 오줌이 배설되었다고 가정하면, 그곳을 중심으로 도 9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오줌이 주위로 확산되면서, 그 오줌을 각 위치의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흡수해간다. 이 때, 도 9 및 도 10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내부의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팽창압이 높아진 셀(55)에 대해서는, 그 주위의 약접합부(54b)가 팽창압을 버티지 못하고 박리되어, 인접한 셀(55)과 합체된다. 이 합체는,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흡수 팽창이 약접합부(54b)를 박리할 수 있는 한 계속되며, 주위에 강접합부(54a)를 갖는 셀(55)까지 진행 가능해진다.
최확대 구획(55G)의 크기나 형상, 배치(즉, 강접합부(54a)의 배치)는 적절히 정할 수 있지만, 최확대 구획(55G)을 너무 작게 하면, 강접합부(54a)를 마련하는 의의가 없어지고, 또한, 셀(55)수가 많아도, 가늘고 길게 형성하였을 때에는, 셀(55) 합체 후의 형상이 부풀기 어려운 형상이 된다.
도 8∼도 10에 도시하는 형태에서는, 세로 강접합선(58)이 셀 흡수 시트(50)의 폭 방향(WD) 중앙부 및 양 측부에 각각 마련되어 있으며, 가로 강접합선(59)은 상기 중앙의 세로 강접합선(58) 및 양 측부의 세로 강접합선(58)의 사이 각각에서, 좌우로 반복하여 절곡하면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지그재그형을 이루고 있다. 이 결과, 중앙의 세로 강접합선(58)의 위치에 정점을 갖는 거의 삼각형 형상의 최확대 구획(55G)과, 양 측부의 세로 강접합선(58)의 위치에 정점을 갖는 거의 삼각형 형상의 최확대 구획(55G)이 전후 방향으로 번갈아 반복 형성되어 있다. 가로 강접합선(59)이 이와 같이 지그재그형으로 형성되어 있으면, 적은 가로 강접합선(59)의 개수로 효율적으로 가로 방향의 액 확산을 촉진할 수 있고, 또한, 최확대 구획(55G)은 부풀기 쉬운 거의 삼각형이 되고, 셀(55) 합체수에 대한 셀 용적 증가량도 뛰어나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저팽창 셀(55s)을 마련하지 않고, 세로 강접합선(58)으로만 할 수도 있다. 이 경우, 배설액 흡수 시에, 강접합부(54a)는 벗어나지 않기 때문에, 강접합부(54a)를 바닥부로 하는 홈이 남는 것에 따른 확산성 향상은 도모된다.
한편, 도 8 등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단위면적당 내포량이 다른 셀보다 적은 빈 셀(56)을 마련할 수도 있다. 도 11에서는,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함유하는 셀(55)(즉, 저팽창 셀(55s) 및 후술하는 빈 셀(56)을 제외한 셀(55))에는 사선 모양이 붙어 있다. 이 중, 도 8에서 사선 모양을 붙인 영역은, 제조 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산포 영역(53A)을 상정하였기 때문에, 둘레 테두리의 셀(55)에는 사선 모양이 없는 부분이 있지만, 셀(55) 내에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이동 가능한 경우에는, 제품에서는, 셀(55) 내에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존재 위치가 고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른 도면의 것과 마찬가지로, 셀(55) 내 전체에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분포할 수 있는 것이다. 빈 셀(56)에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내포량은, 중량비로 다른 셀의 1/2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전혀 내포하지 않으면, 특히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셀 흡수 시트(50)의 전단 및 후단은, 제조 시에 개개의 셀 흡수 시트(50)에 절단함으로써 형성되기 때문에, 이 위치에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를 함유하면, 절단 장치 칼날의 수명이 짧아질 우려가 있다. 따라서, 적어도 셀 흡수 시트(50)의 전후 끝이 통과하는 위치의 셀(55)은 빈 셀(56)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셀 흡수 시트(50)의 전후 방향(LD) 중간에서 양 측부의 셀(55)을 빈 셀(56)로 함으로써, 해당 부분은 흡수 후에도 팽창이 적은 것이 되며, 따라서, 흡수 후에도, 셀 흡수 시트(50)가 다리 둘레에 피트되는 형상이 된다.
상기 예는, 셀(55) 내에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만 내포시키고 있지만,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와 함께 소취제 입자 등,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이외의 분립체를 내포시킬 수도 있다.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 및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로서는, 이 종류의 흡수성 물품에 사용되는 것을 그대로 사용 가능하다.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 및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입경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500㎛ 초과인 입자의 비율이 30중량% 이하이고, 500㎛ 이하 및 180㎛ 초과인 입자의 비율이 60중량% 이상이고, 106㎛ 초과 및 180㎛ 이하인 입자의 비율이 10중량% 이하이고, 또한, 106㎛ 이하인 입자의 비율이 10중량% 이하이면 바람직하다. 또한, 이들 입경의 측정은 이하와 같이 실시한다. 즉, 500㎛, 180㎛, 106㎛의 표준 체(JIS Z8801-1:2006) 및 받침 접시를 위에서부터 나란히 배치하고, 최상단의 500㎛의 체에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시료를 10g 투입하여, 체질(5분간 진탕)을 한 후, 각 체 위에 남는 입자의 중량을 계측한다. 이 진탕 결과, 500㎛, 180㎛, 106㎛의 각 체 위에 남은 시료와, 받침 접시 상에 남은 시료의 투입량에 대한 중량 비율을 각각 500㎛ 초과인 입자의 비율, 500㎛ 이하 및 180㎛ 초과인 입자의 비율, 106㎛ 초과 및 180㎛ 이하인 입자의 비율, 106㎛ 이하인 입자의 비율로 한다.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 및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로서는, 특별히 한정 없이 사용할 수 있지만, 흡수량이 40g/g 이상인 것이 적합하다.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 및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로서는, 전분계, 셀룰로오스계나 합성 폴리머계 등의 것이 있고, 전분-아크릴산(염) 그래프트 공중합체, 전분-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의 비누화물, 나트륨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오스의 가교물이나 아크릴산(염) 중합체 등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 및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의 형상으로서는, 통상 사용되는 분립체 형상의 것이 적합하지만, 다른 형상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 및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로서는, 흡수 속도가 70초 이하, 특히, 40초 이하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흡수 속도가 너무 느리면, 흡수체(70) 내에 공급된 액이 흡수체(70) 밖으로 돌아나와버리는, 이른바 역행을 일으키기 쉬워진다.
또한,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43) 및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로서는, 겔 강도가 1000Pa 이상인 것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로써, 액 흡수 후의 끈적거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포장 시트)
도 3 및 도 16의 (a)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체(70)는 포장 시트(45)로 포장할 수 있다. 이 경우, 1매의 포장 시트(45)를 흡수체(70)의 표리면 및 양 측면을 둘러싸도록 통 형상으로 감는 것 외에, 2매의 포장 시트(45)로 표리 양측으로부터 개재하도록 하여 포장할 수 있다. 포장 시트(45)로서는, 화장지, 특히, 크레이프지, 부직포, 폴리라미 부직포, 작은 구멍이 뚫린 시트 등을 사용할 수 있다. 다만,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53)가 빠져나오지 않는 시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장 시트(45)로 부직포를 사용할 경우, 친수성 SMS 부직포(SMS, SSMMS 등)가 특히 적합하며, 그 재질은 폴리프로필렌,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 복합재 등을 사용할 수 있다. 포장 시트(45)에 사용하는 부직포의 평량은 5∼40g/㎡, 특히, 10∼30g/㎡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1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흡수체(70)의 이면으로부터, 흡수체(70)의 폭 방향(WD) 양측을 거쳐 흡수체(70) 상면의 양 측부까지 포장 시트(45)를 감고, 흡수체(70) 상면의 폭 방향(WD) 중간부에 포장 시트(45)로 덮여 있지 않은 영역(45S)을 마련하는 동시에, 이 영역(45S) 전체를 포함하도록, 상 보조층(71)이 마련되어 있으면 바람직하다. 흡수체(70)는 제조 시, 사용 전 또는 흡수 후의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누출을 방지하기 위해, 포장 시트(45)로 피복하는 것이 일반적이지만, 전술한 후 보조층(71)을 갖는 흡수체(70)의 경우, 상 보조층(71)이 신속하게 점성액(N)에 접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도 16의 (b)에 도시하는 바와 같이, 포장 시트(45)의 피복 범위를 제한하여, 상 보조층(71)은 흡수체(70)의 상면에 노출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조로 해도, 흡수체(70)에서 포장 시트(45)로 덮여 있지 않은 부분은, 상 보조층(71)의 고흡수 부직포(42)로 덮여 있고, 상 보조층(71)은 클렘 흡수도가 높은(즉, 치밀한) 고흡수 부직포(42)를 기본으로 하기 때문에, 흡수체(70) 전체를 포장 시트(45)로 덮는 것과 거의 같은,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누출 방지 효과를 발휘하는 것이 된다.
<명세서 내의 용어 설명>
명세서 내에서 이하의 용어가 사용될 경우, 명세서 내에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이하의 의미를 갖는 것이다.
「MD 방향」 및 「CD 방향」이란, 제조 설비에 있어서의 흐름 방향(MD 방향) 및 이와 직교하는 가로 방향(CD 방향)을 의미하며, 어느 한쪽이 제품의 전후 방향이 되는 것이고, 다른 한쪽이 제품의 폭 방향이 되는 것이다. 부직포의 MD 방향은 부직포의 섬유 배향 방향이다. 섬유 배향이란, 부직포의 섬유가 따르는 방향이며, 예를 들면, TAPPI 표준법 T481의 영거리 인장 강도에 의한 섬유 배향성 시험법에 준한 측정 방법이나, 전후 방향 및 폭 방향의 인장 강도비로부터 섬유 배향 방향을 결정하는 간이적 측정 방법으로 판별할 수 있다.
·「전후 방향」이란, 도면 중에 부호 LD로 나타내는 방향(세로 방향)을 의미하고, 「폭 방향」이란, 도면 중에 WD로 나타내는 방향(좌우 방향)을 의미하며, 전후 방향과 폭 방향은 직교하는 것이다.
·「표측」이란, 착용하였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와 가까운 쪽을 의미하고, 「이측」이란, 착용하였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쪽을 의미한다.
·「표면」이란, 부재가, 착용하였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와 가까운 쪽의 면을 의미하고, 「이면」이란, 착용하였을 때에 착용자의 피부로부터 먼 쪽의 면을 의미한다.
「전개 상태」란, 수축이나 이완 없이 평탄하게 전개한 상태를 의미한다.
「신장율」은 자연 길이를 100%로 하였을 때의 값을 의미한다. 예를 들면, 신장율이 200%란, 신장 배율이 2배인 것과 같은 뜻이다.
「인공뇨」는 요소: 2wt%, 염화나트륨: 0.8wt%, 염화칼슘 2수화물: 0.03wt%, 황산마그네슘 7수화물: 0.08wt% 및 이온 교환수: 97.09wt%를 혼합한 것이며,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온도 37에서 사용된다.
「겔 강도」는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인공뇨 49.0g에 고흡수성 폴리머를 1.0g 더하여, 교반기로 교반시킨다. 생성한 겔을 40℃×60% RH의 항온 항습조 내에 3시간 방치한 뒤, 상온으로 되돌려서, 커드미터(I. techno Engineering사 제조: Curdmeter-MAX ME-500)로 겔 강도를 측정한다.
「평량」은 다음과 같이 하여 측정되는 것이다. 시료 또는 시험편을 예비 건조시킨 후, 표준 상태(시험 장소는 온도 23±1℃, 상대 습도 50±2%)의 시험실 또는 장치 내에 방치하여, 항량이 된 상태로 한다. 예비 건조는 시료 또는 시험편을 온도 100℃의 환경에서, 항량으로 하는 것을 말한다. 또한, 공정 수분율이 0.0%인 섬유에 대해서는, 예비 건조를 실시하지 않아도 된다. 항량이 된 상태의 시험편으로부터, 시료 채취용 형판(100㎜×100㎜)을 사용하여, 100㎜×100㎜ 치수의 시료를 잘라낸다. 시료의 중량을 측정하여, 100배하고, 1평방미터당의 무게를 산출하여, 평량으로 한다.
「두께」는 자동 두께 측정기(KES-G5 핸디 압축 시험기)를 이용하여, 하중: 0.098N/㎠ 및 가압 면적: 2㎠의 조건하에서 자동 측정한다.
「공극율」이란, 이하의 방법으로 계측하는 것이다. 즉, 중 시트에서 접합부 이외의 부분을 직사각형으로 잘라내어, 시료로 한다. 시료의 길이, 폭, 두께, 중량을 측정한다. 부직포의 원료 밀도를 이용하여, 시료와 같은 체적으로 공극율이 0%인 경우의 가상 중량을 산출한다. 시료 중량 및 가상 중량을 이하의 식에 대입하여, 공극율을 구한다.
공극율=〔(가상 중량-시료 중량)/가상 중량〕×100
「흡수량」은 JIS K7223-1996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량 시험 방법」에 따라 측정한다.
「흡수 속도」는, 2g의 고흡수성 폴리머 및 50g의 생리식염수를 사용하여, JIS K7224-1996 「고흡수성 수지의 흡수 속도 시험법」을 실시하였을 때의 「종점까지의 시간」으로 한다.
「클렘 흡수도」는, JIS P 8141:2004에 규정되는 「종이 및 판지-흡수도 시험 방법-클렘법」으로 측정되는 클렘 흡수도를 의미한다.
「보수량」은 이하의 방법으로 측정되는 것을 의미한다. MD 방향 10㎝×CD 방향 10㎝(면적 100㎠)의 시험편을 준비하여, 흡수 전 중량을 측정한다. 다음으로, 시험편을 인공뇨에 5초간 침지시킨 후, 어느 하나의 모서리부를 엄지와 집게 손가락으로 가볍게 집어서(가능한 한, 물을 짜내지 않도록 가볍고 집어서) 대향하는 모서리부가 아래를 향하도록 매달고, 30초간 방치하여, 물방울을 떨어뜨린다. 그 후, 「하중하 보수량」을 측정할 경우, 여과지(세로 150㎜×가로 150㎜)를 8매 겹쳐서 깐 위에 시험편을 놓고, 그 시험편의 상면 전체에 하중이 가해지도록 세로 100㎜×가로 100㎜의 바닥면을 갖는 사각 기둥형 추(중량 3㎏)를 실어, 5분 경과한 시점에서 추를 없애고, 시험편의 흡수 후 중량을 측정한다. 「무하중하 보수량」을 측정할 경우, 여과지를 8매 겹쳐서 깐 위에 시험편을 놓고, 그 위에 아무것도 싣지 않고, 5분 경과한 시점에서 시험편의 흡수 후 중량을 측정한다. 이러한 측정 결과에 근거하여, 흡수 후 중량과 흡수 전 중량의 차이를 면적 10㎠당으로 환산한 값을 「하중하 보수량」 및 「무하중하 보수량」이라고 한다.
각 부의 치수는 특별히 기재가 없는 한, 자연 길이 상태가 아니라, 전개 상태에서의 치수를 의미한다.
시험이나 측정에서 환경 조건에 대한 기재가 없는 경우, 그 시험이나 측정은 표준 상태(시험 장소는 온도 23±1℃, 상대 습도 50±2%)의 시험실 또는 장치 내에서 실시하는 것으로 한다.
본 발명은, 상기 예와 같은 테이프 타입 일회용 기저귀 외에, 팬티 타입 일회용 기저귀, 패드 타입 일회용 기저귀, 생리용 냅킨 등의 흡수성 물품 전반에 이용 가능한 것이다.
LD 전후 방향
N 점성액
U 비점성액
WD 폭 방향
11 액 불투과성 시트
12 외장 부직포
12T 타겟 시트
13 패스닝 테이프
13A 계지부
13B 테이프 본체부
13C 테이프 장착부
30 탑 시트
40 중간 시트
42 고흡수 부직포
42a 펄프층
42b 지지층
43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45 포장 시트
50 셀 흡수 시트
50c 오목부
50d 깊이
50p 볼록부
51 상 시트
51f 보풀
52 하 시트
53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
54 접합부
54a 강접합부
54b 약접합부
54c 테두리부 접합부
55 셀
55G 최확대 구획
55s 저팽창 셀
56 빈 셀
57 확산성 향상부
58 세로 강접합선
59 가로 접합선
60 기립 개더
62 개더 시트
70 흡수체
71 상 보조층
72 주흡수층
80 중 시트

Claims (5)

  1. 흡수체와, 상기 흡수체의 표측에 배치된 액 투과성 탑 시트를 구비하며,
    상기 흡수체는, 최상부에 마련된 상 보조층과, 상기 상 보조층의 이측에 마련된 주흡수층을 가지고 있으며,
    상기 상 보조층은, 표면이 상기 흡수체의 최상면에 노출되는, 클렘 흡수도가 100㎜ 이상인 고흡수 부직포와, 상기 고흡수 부직포의 이면과 인접한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갖는 것이며,
    상기 주흡수층은, 액 투과성을 갖는 상 시트 및 하 시트와, 상기 상 시트 및 상기 하 시트의 접합부에 의해 주위를 둘러싸인, 상기 상 시트 및 상기 하 시트가 비접합 부분인 셀과, 상기 셀 내에 수용된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를 포함한 분립체를 갖는 셀 흡수 시트이고,
    상기 셀 흡수 시트에는, 상기 셀이 간격을 두고 배열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상기 주흡수층의 상기 상 시트의 상면에 접착제를 통해 고정되어 있고,
    상기 상 시트는, 상기 상면에 하면보다 많은 보풀을 갖는 단섬유 부직포이며,
    상기 접착제는 간헐적 패턴으로 4∼10g/㎡의 비율로 도포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흡수성 물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는, 500㎛ 초과인 입자의 비율이 30중량% 이하이고, 500㎛ 이하 및 180㎛ 초과인 입자의 비율이 60중량% 이상이고, 106㎛ 초과 및 180㎛ 이하인 입자의 비율이 10중량% 이하이고, 또한, 106㎛ 이하인 입자의 비율이 10중량% 이하이며,
    상기 상 시트의 상기 상면에서 상기 제1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량은 40∼100g/㎡인,
    흡수성 물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주흡수층에서 상기 제2 고흡수성 폴리머 입자의 평량이 150∼350g/㎡인,
    흡수성 물품.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 시트는 평량 17∼40g/㎡, 두께 0.2∼0.7㎜인 에어스루 부직포이며, 상기 에어스루 부직포의 에어면이 상기 상 시트의 상기 상면이 되는,
    흡수성 물품.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스루 부직포의 상기 에어면은 섬도 2.0∼7.0dtex의 중공 섬유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KR1020227027049A 2020-03-25 2021-03-09 흡수성 물품 KR2022015935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0-054787 2020-03-25
JP2020054787A JP7475918B2 (ja) 2020-03-25 2020-03-25 吸収性物品
PCT/JP2021/009198 WO2021193002A1 (ja) 2020-03-25 2021-03-09 吸収性物品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9356A true KR20220159356A (ko) 2022-12-02

Family

ID=7789145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7049A KR20220159356A (ko) 2020-03-25 2021-03-09 흡수성 물품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20230110972A1 (ko)
EP (1) EP4129260A4 (ko)
JP (1) JP7475918B2 (ko)
KR (1) KR20220159356A (ko)
CN (1) CN115066222B (ko)
TW (1) TW202135760A (ko)
WO (1) WO2021193002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9831A (ja) 2015-04-14 2016-12-01 花王株式会社 不織布の製造方法
JP2018015113A (ja) 2016-07-26 2018-02-0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137600A (en) * 1990-11-01 1992-08-11 Kimberley-Clark Corporation Hydraulically needled nonwoven pulp fiber web
JP2001046435A (ja) 1999-05-28 2001-02-20 Oji Paper Co Ltd 吸収性物品
JP5001099B2 (ja) * 2007-09-10 2012-08-15 花王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5848084B2 (ja) * 2011-09-30 2016-01-2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116809B2 (ja) 2012-03-22 2017-04-19 大王製紙株式会社 使い捨て紙おむつ
JP2015226582A (ja) 2014-05-30 2015-12-17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219436B2 (ja) * 2016-03-30 2017-10-2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6379248B1 (ja) * 2017-03-21 2018-08-22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体
JP6382384B1 (ja) * 2017-03-29 2018-08-29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JP2019017466A (ja) 2017-07-12 2019-02-07 日本製紙クレシア株式会社 吸収体及び該吸収体を備えた吸収性物品
JP6492145B1 (ja) * 2017-09-29 2019-03-27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CN109953853B (zh) * 2017-12-26 2021-10-22 大王制纸株式会社 吸收性物品
JP6580171B2 (ja) * 2018-02-02 2019-09-25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体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99831A (ja) 2015-04-14 2016-12-01 花王株式会社 不織布の製造方法
JP2018015113A (ja) 2016-07-26 2018-02-01 大王製紙株式会社 吸収性物品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129260A4 (en) 2024-03-20
WO2021193002A1 (ja) 2021-09-30
JP2021153716A (ja) 2021-10-07
US20230110972A1 (en) 2023-04-13
CN115066222A (zh) 2022-09-16
EP4129260A1 (en) 2023-02-08
CN115066222B (zh) 2023-10-24
JP7475918B2 (ja) 2024-04-30
TW202135760A (zh)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51335B1 (ko) 흡수성 물품
TW200803802A (en) Absorbent product
EP3563818B1 (en) Method for manufacturing absorbent article and absorbent article
CN114599328A (zh) 一次性尿布
CN114206289B (zh) 吸收性物品
KR20220159356A (ko) 흡수성 물품
WO2021060130A1 (ja) 吸収性物品
WO2021059959A1 (ja) 吸収性物品
WO2021060131A1 (ja) 吸収性物品
WO2021060134A1 (ja) 吸収性物品
WO2021060132A1 (ja) 吸収性物品
TWI838582B (zh) 吸收性物品
JP2021052897A5 (ko)
JP2021153716A5 (ko)
JP2021052898A5 (ko)
JP2021052901A5 (ko)
JP2022049273A (ja) 吸収性物品
JP2022049273A5 (ko)
CN115038420A (zh) 一次性吸收性物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