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51517A -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 Google Patents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51517A
KR20220151517A KR1020210068403A KR20210068403A KR20220151517A KR 20220151517 A KR20220151517 A KR 20220151517A KR 1020210068403 A KR1020210068403 A KR 1020210068403A KR 20210068403 A KR20210068403 A KR 20210068403A KR 20220151517 A KR20220151517 A KR 202201515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bot
voice
call
robots
service provid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684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6113B1 (ko
Inventor
존 정우 하
Original Assignee
베어 로보틱스, 인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어 로보틱스, 인크. filed Critical 베어 로보틱스, 인크.
Publication of KR202201515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515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61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61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3/00Controls for manipulators
    • B25J13/003Controls for manipulators by means of an audio-responsive inpu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60Intended control result
    • G05D1/69Coordinated control of the position or course of two or more vehicle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55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using acoustic signals, e.g. ultra-sonic sing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11/00Manipulator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5J11/008Manipulators for service tas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5HAND TOOLS; PORTABLE POWER-DRIVEN TOOLS; MANIPULATORS
    • B25JMANIPULATORS; CHAMBERS PROVIDED WITH MANIPULATION DEVICES
    • B25J9/00Programme-controlled manipulators
    • B25J9/0003Home robots, i.e. small robots for domestic use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18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S5/20Position of source determined by a plurality of spaced direction-finder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5/18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using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 G01S5/30Determining absolute distances from a plurality of spaced points of known location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011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 G05D1/0027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associated with a remote control arrangement involving a plurality of vehicles, e.g. fleet or convoy travelling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0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 G05D1/0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 G05D1/0212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 G05D1/0221Control of position or course in two dimensions specially adapted to land vehicles with means for defining a desired trajectory involving a learning process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DSYSTEMS FOR CONTROLLING OR REGULATING NON-ELECTRIC VARIABLES
    • G05D1/00Control of position, course, altitude or attitude of land, water, air or space vehicles, e.g. using automatic pilots
    • G05D1/20Control system inputs
    • G05D1/24Arrangements for 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 G05D1/247Arrangements for determining position or orientation using signals provided by artificial sources external to the vehicle, e.g. navigation beacons
    • GPHYSICS
    • G10MUSICAL INSTRUMENTS; ACOUSTICS
    • G10LSPEECH ANALYSIS TECHNIQUES OR SPEECH SYNTHESIS; SPEECH RECOGNITION; SPEECH OR VOICE PROCESSING TECHNIQUES; SPEECH OR AUDIO CODING OR DECODING
    • G10L25/00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 G10L25/48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 G10L25/51Speech or voice analysis techniques not restricted to a single one of groups G10L15/00 - G10L21/00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 for comparison or discrimin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3/00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3/005Circuits for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for combining the signals of two or more microphon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2205/00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 G01S2205/01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rection or position line determinations; Position-fixing by co-ordinating two or more distance determinations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3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 H04R1/4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 H04R1/406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directional characteristic only by combining a number of identical transducers microphon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Remote Sensing (AREA)
  • Radar, Positioning & Navigatio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tolaryngology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obotics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ational Linguistics (AREA)
  • Manipulator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로봇의 호출과 연관되는 음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복수의 로봇 중 상기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 대상 로봇에 의해 상기 음성과 연관되는 피드백이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A ROBOT}
본 발명은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에 관한 것이다.
로봇은 어려운 작업이나 반복적인 조작 등을 자동화하여 수행할 수 있기 때문에, 다양한 분야에서 인간을 대신하거나 보조하는데 활용되고 있다. 근래에 들어, 이러한 로봇을 호출하기 위한 기술에 대하여 다양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에 관한 종래 기술의 일 예로서,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0641113호에 개시된 기술을 예로 들 수 있는데, 이에 따르면, 리모콘에서 호출 명령을 위한 RF(Radio Frequency) 신호 및 적외선 신호가 발신되면, 이동 로봇이 그 RF 신호 및 적외선 신호를 수신하여 호출 모드로 전환하고 그 리모콘이 위치한 곳으로 이동하도록 하는 이동 로봇의 이동 제어 방법이 소개된 바 있다.
하지만, 위와 같은 종래 기술을 비롯하여 지금까지 소개된 기술에 의하면, RF 신호, 적외선 신호 등과 같은 다양한 신호를 이용하여 그 신호에 응답할 수 있는 로봇을 호출하는 것에 관해서만 다루었을 뿐이고, 그 신호에 응답할 수 있는 로봇이 복수인 경우에 모든 로봇이 아닌 특정 로봇만을 호출하는 것에 대하여는 구체적으로 다루어진 바가 없었다. 한편, RF 신호, 적외선 신호 등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그에 대응되는 특정 종류의 통신 모듈이 포함된 디바이스를 사용자가 소지하고 있어야만 로봇을 호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 경험적인 측면에서 불편함을 야기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발생되는 로봇의 호출과 연관되는 음성에 기초하여 복수의 로봇 중 호출 대상 로봇을 특정하고, 그 호출 대상 로봇에 의해 해당 음성과 연관되는 피드백이 제공되도록 하는 신규하고도 진보된 기술을 제안하는 바이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모두 해결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장소에 존재하는 복수의 로봇 중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을 동적으로 결정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복수의 로봇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용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호출 대상 로봇에 의해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피드백을 제공하여 호출자가 호출 대상 로봇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지원하는 것을 또 다른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대표적인 구성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의 일 태양에 따르면,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로봇의 호출과 연관되는 음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복수의 로봇 중 상기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 대상 로봇에 의해 상기 음성과 연관되는 피드백이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다른 태양에 따르면,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로봇의 호출과 연관되는 음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복수의 로봇 중 상기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을 결정하는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 및 상기 호출 대상 로봇에 의해 상기 음성과 연관되는 피드백이 제공되도록 하는 피드백 제공부를 포함하는 시스템이 제공된다.
이 외에도, 본 발명을 구현하기 위한 다른 방법, 다른 시스템 및 상기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가 더 제공된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 제공 장소에 존재하는 복수의 로봇 중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을 동적으로 결정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복수의 로봇을 효율적이고 안정적으로 운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호출 대상 로봇에 의해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피드백을 제공하여 호출자가 호출 대상 로봇을 쉽게 식별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제어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로봇이 제어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구조를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러한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일 실시예로부터 다른 실시예로 변경되어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도 본 발명의 정신과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행하여지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특허청구범위의 청구항들이 청구하는 범위 및 그와 균등한 모든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받아들여져야 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여러 바람직한 실시예에 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전체 시스템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전체 시스템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전체 시스템은 통신망(100), 로봇 제어 시스템(200) 및 로봇(300)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망(100)은 유선 통신이나 무선 통신과 같은 통신 양태를 가리지 않고 구성될 수 있으며, 근거리 통신망(LAN; Local Area Network), 도시권 통신망(MAN; Metropolitan Area Network), 광역 통신망(WAN; Wide Area Network) 등 다양한 통신망으로 구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본 명세서에서 말하는 통신망(100)은 공지의 인터넷 또는 월드와이드웹(WWW; World Wide Web)일 수 있다. 그러나, 통신망(100)은, 굳이 이에 국한될 필요 없이, 공지의 유무선 데이터 통신망, 공지의 전화망, 또는 공지의 유무선 텔레비전 통신망을 그 적어도 일부에 있어서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통신망(100)은 무선 데이터 통신망으로서, 와이파이(WiFi) 통신, 와이파이 다이렉트(WiFi-Direct) 통신, 롱텀 에볼루션(LTE; Long Term Evolution) 통신, 블루투스 통신(더 구체적으로는, 저전력 블루투스(BLE; Bluetooth Low Energy) 통신), 적외선 통신, 초음파 통신 등과 같은 종래의 통신 방법을 적어도 그 일부분에 있어서 구현하는 것일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제어 시스템(200)은 통신망(100)을 통해 후술할 로봇(들)(300)과 통신을 수행할 수 있고,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로봇의 호출과 연관되는 음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복수의 로봇(300) 중 해당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300)을 결정하며, 그 호출 대상 로봇(300)에 의해 해당 음성과 연관되는 피드백이 제공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로봇 제어 시스템(200)에 관하여 위와 같이 설명하였으나, 이러한 설명은 예시적인 것이고, 로봇 제어 시스템(200)에 요구되는 기능이나 구성요소의 적어도 일부가 필요에 따라 후술할 로봇(300) 또는 외부 시스템(미도시됨) 내에서 실현되거나 로봇(300) 또는 외부 시스템 내에 포함될 수도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또한, 경우에 따라서는, 로봇 제어 시스템(200)의 모든 기능과 모든 구성요소가 로봇(300) 내에서 전부 실현되거나 로봇(300) 내에 전부 포함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300)은 통신망(100)을 통해 로봇 제어 시스템(200)과 통신할 수 있고, 사용자에 의한 조작 없이도 소정의 기능이나 부여된 작업(예를 들어, 음식 서빙, 용기 회수 등)을 자율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기기로서, 객체(예를 들어, 음식 트레이)의 로딩 및 언로딩을 위한 모듈(예를 들어, 그랩, 로봇 팔 모듈 등), 주변 영상을 획득하기 위한 영상 모듈(예를 들어, 가시광선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등), 주변 음성을 획득하기 위한 마이크 모듈, 영상 및 음성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및 스피커 모듈, 및 로봇(300)의 이동을 위한 구동 모듈(예를 들어, 모터 등) 중 적어도 하나의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로봇(300)은 안내 로봇, 운반 로봇, 청소 로봇, 의료 로봇, 엔터테인먼트 로봇, 펫 로봇 및 무인 비행 로봇 중 적어도 하나와 유사한 특성이나 기능을 가지는 로봇일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로봇(300)에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제어가 수행되도록 하기 위한 애플리케이션이 포함되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애플리케이션은 로봇 제어 시스템(200) 또는 외부의 애플리케이션 배포 서버(미도시됨)로부터 다운로드된 것일 수 있다.
로봇 제어 시스템의 구성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구현을 위하여 중요한 기능을 수행하는 로봇 제어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 및 각 구성요소의 기능에 대하여 살펴보기로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제어 시스템(200)의 내부 구성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 제어 시스템(200)은 정보 획득부(210),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 피드백 제공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정보 획득부(210),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 피드백 제공부(230), 통신부(240) 및 제어부(250)는 그 중 적어도 일부가 외부 시스템(미도시됨)과 통신하는 프로그램 모듈들일 수 있다.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운영 시스템, 응용 프로그램 모듈 및 기타 프로그램 모듈의 형태로 로봇 제어 시스템(200)에 포함될 수 있으며, 물리적으로는 여러 가지 공지의 기억 장치 상에 저장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로봇 제어 시스템(200)과 통신 가능한 원격 기억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한편, 이러한 프로그램 모듈들은 본 발명에 따라 후술할 특정 업무를 수행하거나 특정 추상 데이터 유형을 실행하는 루틴, 서브루틴, 프로그램, 오브젝트, 컴포넌트, 데이터 구조 등을 포괄하지만,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획득부(210)는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로봇의 호출과 연관되는 음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의 호출과 연관되는 음성(이하, "호출 음성")은 특정 로봇을 지칭하거나 부르기 위한 호칭, 문구, 용어, 명령어 등에 관한 음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호출 음성은 특정 로봇을 지칭하거나 부르기 위한 복수의 문구, 용어, 명령어 등에 관한 룩업 테이블(lookup table)을 참조하거나,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획득되는 호출 음성 또는 그 호출 음성에 기반하여 특정되는 패턴을 학습한 결과를 참조하여 특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호출 음성에 관한 정보에는 호출 음성의 파형, 강도(또는 진폭), 음도(또는 피치) 등과 같은 호출 음성의 물리적인 특성에 관한 정보, 호출 음성의 의미, 해석, 문맥 등과 같은 호출 음성의 언어학적인 특성에 관한 정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복수의 로봇(300)(또는 소정 수의 로봇(300)으로 구성된 특정 그룹에 포함되는 로봇(300))을 호출하기 위하여 이용되는 호칭, 문구, 용어, 명령어 등은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소가 레스토랑인 경우에, 그 레스토랑의 고객 또는 종업원이 제1 로봇(300)을 부르는 호칭과 제2 로봇(300)을 부르는 호칭이 서로 동일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소가 레스토랑이고, 그 레스토랑의 고객 또는 종업원에 의해 로봇(300)을 부르기 위한 호칭이 포함된 호출 음성이 발화되면(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로봇(300)을 부르는 호칭이 서비(Servi)로 설정되어 있는 경우에 "서비야!"라는 호출 음성이 발화되면), 정보 획득부(210)는 그 호칭이 포함된 호출 음성의 파형, 강도, 음도, 의미 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또한, 정보 획득부(210)는 서비스 제공 장소 또는 로봇(300)에 설치된 영상 또는 음성 획득 모듈(예를 들어, CCTV)을 이용하여 서비스 제공 장소의 상황 정보를 획득하고, 그 상황 정보를 참조하여 호출 음성의 획득이 트리거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황 정보는 음성이 발화된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되는 전후 맥락, 행위 의도 등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상황 정보는 적어도 하나의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획득되는 복수의 영상 또는 복수의 음성에 대응되는 복수의 상황 정보에 관한 룩업 테이블을 참조하여 특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획득부(210)는, 서비스 제공 장소가 레스토랑이고 그 레스토랑의 고객 또는 종업원에 의해 음성이 발화되는 경우에, 그 음성의 발화가 이루어진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되는 상황 정보를 이용하여 해당 음성이 호출 음성인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고, 해당 음성이 호출 음성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해당 음성에 관한 정보가 획득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는 정보 획득부(210)에 의해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복수의 로봇(300) 중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300)을 결정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는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복수의 로봇(300) 각각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방향 및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300)을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음성의 방향은 각각의 로봇(300)에 포함될 수 있는 복수의 마이크 각각에서 획득되는 호출 음성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 특정되거나, 복수의 로봇(300) 각각에 포함되는 적어도 하나의 마이크에서 획득되는 호출 음성에 관한 정보를 분석하여(예를 들어, 복수의 로봇(300) 각각의 마이크에서 획득되는 호출 음성에 관한 정보를 통합하여 분석함) 특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는 복수의 로봇(300) 각각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강도를 참조하여 호출 후보 로봇(300)을 결정하고(예를 들어, 호출 음성의 강도가 크게 특정되는 로봇(300)일수록 서비스 제공 장소 내에서 다른 로봇(300)에 비해 상대적으로 호출 음성이 발화된 위치와 가까울 수 있으므로, 호출 음성의 강도가 큰 순서대로 소정 수의 로봇(300)을 호출 후보 로봇(300)으로 결정할 수 있음), 호출 후보 로봇(300) 각각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방향을 참조하여 호출 대상 로봇(300)을 결정할 수 있다(예를 들어, 호출 후보 로봇(300) 중 호출 음성의 방향이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호출 음성의 실제(또는 추정) 발화 위치와 소정 수준 이상으로 일치하는 로봇(300)으로 결정될 수 있으며, 여기서 호출 음성의 실제(또는 추정) 발화 위치는 복수의 로봇(300) 또는 소정 수 이상의 로봇(300)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방향에 기초하여 특정될 수 있음). 또한,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는 복수의 로봇(300) 각각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방향을 참조하여 호출 후보 로봇(300)을 결정하고, 그 호출 후보 로봇(300) 각각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강도를 참조하여 호출 대상 로봇(300)을 결정할 수도 있다.
또한,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는 서비스 제공 장소의 공간 정보를 참조하여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300)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소의 공간 정보는 서비스 제공 장소의 지형, 지리, 구조, 재질, 장애물 등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소의 벽, 천장, 테이블 등으로 인해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발화되는 음성이 반사 또는 굴절되는 패턴이 존재할 수 있는데,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는 그러한 패턴에 관한 정보를 더 참조하여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300)을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는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로봇(300)의 위치 또는 호출 음성의 발화 위치에 따라 각 로봇(300)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방향 및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학습하고, 그 학습의 결과를 더 참조하여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300)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는 복수의 로봇(300)에게 부여된 태스크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300)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태스크에 관한 정보는 로봇(300)이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수행하도록 부여되는 태스크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소가 레스토랑인 경우에, 음식 서빙, 음식 그릇 회수, 실내 청소 등에 관한 정보가 태스크에 관한 정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는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복수의 로봇(300) 중 태스크가 부여되지 않은 로봇(300) 중에서 호출 대상 로봇(300)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는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태스크가 부여되지 않은 복수의 로봇(300) 각각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방향 및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300)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는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복수의 로봇(300) 각각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방향 및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호출 후보 로봇(300)을 결정하고, 그 호출 후보 로봇(300) 중 태스크가 부여되지 않은 로봇(300)을 우선적으로 호출 대상 로봇(30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는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복수의 로봇(300) 중 소정 수준 이상의 우선 순위를 갖는 태스크(즉, 중요도가 높은 태스크)가 부여된 로봇(300)을 제외한 나머지 로봇(300) 중에서 호출 대상 로봇(300)을 결정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는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복수의 로봇(300) 중 소정 수준 이상의 우선 순위를 갖는 태스크가 부여된 로봇(300)을 제외한 나머지 로봇(300) 각각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방향 및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300)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는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복수의 로봇(300) 각각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방향 및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호출 후보 로봇(300)을 결정하고, 그 호출 후보 로봇(300) 중 소정 수준 이상의 우선 순위를 갖는 태스크가 부여된 로봇(300)을 제외한 나머지 로봇(300) 중에서 우선적으로 호출 대상 로봇(300)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는 제1 태스크를 수행 중인 제1 로봇(300)이 호출 대상 로봇(300)으로 결정되면, 그 제1 로봇(300)이 수행 중인 제1 태스크가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다른 로봇(300)에게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는 제1 태스크를 수행 중인 제1 로봇(300)이 호출 대상 로봇(300)으로 결정되는 경우에, 그 제1 로봇(300)과 가장 가까운 거리에 있는 로봇(300) 또는 제1 태스크보다 낮은 우선 순위를 갖는 제2 태스크를 수행하는 로봇(300)(또는 태스크를 수행하고 있지 않은 로봇(300))에게 제1 태스크가 부여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는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발화자의 시선 정보를 참조하여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300)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선 정보는,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호출 음성이 발화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호출 음성의 발화자가 주시하고 있는 방향에 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는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복수의 로봇(300) 중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호출 음성이 발화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발화자가 주시하고 있는 방향에 존재하는(예를 들어, 해당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로봇(300) 각각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방향 및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300)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는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복수의 로봇(300) 각각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방향 및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호출 후보 로봇(300)을 결정하고, 그 호출 후보 로봇(300) 중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호출 음성이 발화되는 시점을 기준으로 호출 음성의 발화자가 주시하고 있는 방향에 존재하는(예를 들어, 해당 방향을 기준으로 소정 범위 이내에 존재하는) 로봇(300)을 호출 대상 로봇(300)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음으로, 피드백 제공부(230)는 호출 대상 로봇(300)에 의해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피드백이 제공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피드백 제공부(230)는 호출 대상 로봇(300)이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위치(또는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사용자의 위치)로 이동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위치는 호출 음성의 의미 또는 문맥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로봇(300)의 호칭이 '서비(Servi)'인 경우에, "서비야, 주방으로 가."라는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위치는 주방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어, 피드백 제공부(230)는 호출 대상 로봇(300)에 의해 LED 램프가 점멸하는 것과 같은 시각적인 피드백이 제공되도록 하거나, "네, 지금 바로 가겠습니다."라는 음성이 출력되는 것과 같은 청각적인 피드백이 제공되도록 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신부(240)는 정보 획득부(210),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 및 피드백 제공부(230)로부터의/로의 데이터 송수신이 가능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250)는 정보 획득부(210),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 피드백 제공부(230) 및 통신부(240) 간의 데이터의 흐름을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250)는 로봇 제어 시스템(200)의 외부로부터의/로의 데이터 흐름 또는 로봇 제어 시스템(200)의 각 구성요소 간의 데이터 흐름을 제어함으로써, 정보 획득부(210),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 피드백 제공부(230) 및 통신부(240)에서 각각 고유 기능을 수행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도 3 및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로봇(300)이 제어되는 상황을 예시적으로 나타내는 도면이다.
제1 실시예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소가 레스토랑이고, 그 서비스 제공 장소를 방문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복수의 로봇(300a, 300b, 300c, 300d)이 그 서비스 제공 장소와 연관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소가 레스토랑인 경우에, 그와 연관되는 서비스에는 주문 서비스, 서빙 서비스, 계산 서비스, 응대 서비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스토랑 내의 테이블(310, 320, 330, 340)에 위치한 고객에 의해 발화되는 로봇의 호출과 연관된 음성에 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스토랑의 제4 테이블(340)에 있는 남성 고객에 의해 발화되는 "서비야!"라는 호출 음성에 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스토랑 내의 복수의 로봇(300a, 300b, 300c, 300d) 각각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방향(예를 들어, 호출 음성의 방향은 각 로봇(300)을 기준으로 특정되는 상대 좌표계 또는 서비스 제공 장소를 기준으로 특정되는 절대 좌표계에 기초하여 각도로 특정될 수 있음) 및 강도(예를 들어, 호출 음성의 강도는 복수의 로봇(300)에서 획득된 소리의 상대적인 크기 차이에 기초하여 1 내지 10의 스코어를 부여함으로써 특정될 수 있으며, 보다 구체적으로 가장 큰 소리를 획득한 로봇(300)에서의 호출 음성의 강도는 10으로 특정될 수 있고, 가장 작은 소리를 획득한 로봇(300)에서의 호출 음성의 강도는 1로 특정될 수 있음)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복수의 로봇(300a, 300b, 300c, 300d) 중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300)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스토랑 내의 제4 테이블(340)에 있는 남성 고객에 의해 발화되는 "서비야!"라는 호출 음성에 관한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에, 각 로봇(300a, 300b, 300c, 300d)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예를 들어, 각 로봇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점을 기준으로) 우측을 0도, 상측을 90도, 좌측을 180도, 하측을 270도로 설정하면, 제1 로봇(300a)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강도는 1이고 그 방향은 60도이며, 제2 로봇(300b)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강도는 10이고 그 방향은 10도이며, 제3 로봇(300c)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강도는 2이고 그 방향은 40도이며, 제4 로봇(300d)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강도는 5이고 그 방향은 300도일 수 있다. 즉, 제1 로봇(300a), 제2 로봇(300b), 제3 로봇(300c) 및 제4 로봇(300d) 각각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방향이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동일한 위치(또는 지점)를 향하고, 제1 로봇(300a), 제2 로봇(300b), 제3 로봇(300c) 및 제4 로봇(300d) 중 제2 로봇(300b)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강도가 가장 크므로, 제2 로봇(300b)이 호출 대상 로봇(300)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레스토랑의 벽, 장애물 등으로 인해 호출 음성이 반사 또는 굴절되면서, 복수의 로봇(300a, 300b, 300c, 300d)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방향 또는 강도가 달라질 수 있는데, 이를 고려하여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300)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레스토랑 내의 제4 테이블(340)에 있는 남성 고객에 의해 발화되는 "서비야!"라는 호출 음성에 관한 정보가 획득되는 경우에, 각 로봇(300a, 300b, 300c, 300d)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예를 들어, 각 로봇이 현재 위치하고 있는 지점을 기준으로) 우측을 0도, 상측을 90도, 좌측을 180도, 하측을 270도로 설정하면, 제1 로봇(300a)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강도는 1이고 그 방향은 60도이며, 제2 로봇(300b)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강도는 9이고 그 방향은 10도이며, 제3 로봇(300c)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강도는 2이고 그 방향은 40도이며, 제4 로봇(300d)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강도는 10이고 그 방향은 160도일 수 있다. 즉, 제1 로봇(300a), 제2 로봇(300b) 및 제3 로봇(300c) 각각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방향은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동일한 위치(또는 지점)를 향하도록 특정되지만, 제4 로봇(300d)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방향은 호출 음성의 반사로 인해 다른 로봇(300a, 300b, 300c)과는 다른 위치(예를 들어, 벽)를 향하도록 특정될 수 있다. 이 경우에, 호출 음성의 방향이 다른 제4 로봇(300d)을 제외한 나머지 로봇, 즉 제1 로봇(300a), 제2 로봇(300b) 및 제3 로봇(300c) 각각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강도 중 그 크기가 가장 큰 제2 로봇(300b)이 호출 대상 로봇(300)으로 결정될 수 있다.
한편, 레스토랑의 공간 정보에 기초하여 특정되는 음성 패턴 정보(예를 들어, 반사 패턴, 굴절 패턴, 회절 패턴 등)를 학습한 결과를 더 참조하여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복수의 로봇(300a, 300b, 300c, 300d) 각각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방향 및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함으로써 복수의 로봇(300a, 300b, 300c, 300d) 중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300)이 결정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호출 대상 로봇(300)에 의해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피드백이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복수의 로봇(300a, 300b, 300c, 300d) 중 제2 로봇(300b)이 호출 대상 로봇(300)으로 결정되면, 그 제2 로봇(300b)이 "네, 지금 바로 가겠습니다."라는 음성을 제공하면서 레스토랑 내의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테이블(340)(또는 호출 음성을 발화한 고객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제2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3을 다시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로봇(300)이 제어되는 다른 상황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소가 레스토랑이고, 그 서비스 제공 장소를 방문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복수의 로봇(300a, 300b, 300c, 300d)이 그 서비스 제공 장소와 연관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레스토랑 내의 테이블(310, 320, 330, 340)에 위치한 고객에 의해 발화되는 호출과 연관된 음성에 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레스토랑 내의 제4 테이블(340)에 있는 남성 고객에 의해 발화되는 "서비야!"라는 호출 음성에 관한 정보가 획득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태스크가 부여되지 않은 로봇이 제2 로봇(300b) 및 제4 로봇(300d)인 경우에,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복수의 로봇(300a, 300b, 300c, 300d) 중 태스크가 부여되지 않은 로봇(300b, 300d) 각각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방향 및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제2 로봇(300b)이 호출 대상 로봇(300)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복수의 로봇(300a, 300b, 300c, 300d) 각각에서 특정되는 호출 음성의 방향 및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분석하여 호출 후보 로봇(300b, 300c)을 결정하고, 그 호출 후보 로봇(300b, 300c) 중 태스크가 부여되지 않은 로봇(300b)이 호출 대상 로봇(300)으로 결정될 수도 있다.
그 다음에, 호출 대상 로봇(300)(예를 들어, 제2 로봇(300b))이 "네, 지금 바로 가겠습니다."라는 음성을 제공(또는 LED 램프를 점멸)하면서 레스토랑 내의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테이블(340)로 이동될 수 있다.
제3 실시예
이하에서는,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로봇(300)이 제어되는 다른 상황을 살펴보기로 한다. 제1 실시예 및 제2 실시예와 마찬가지로,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소가 레스토랑이고, 그 서비스 제공 장소를 방문하는 고객을 대상으로 복수의 로봇(300a, 300b, 300c, 300d, 300e)이 그 서비스 제공 장소와 연관되는 서비스를 제공하고 있는 상황을 가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소가 레스토랑인 경우에, 그와 연관되는 서비스에는 주문 서비스, 서빙 서비스, 계산 서비스, 응대 서비스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먼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레스토랑 내의 제4 테이블(340)에 위치한 고객에 의해 발화되는 "서비야!"라는 호출 음성에 관한 정보 및 레스토랑 내의 종업원(400)에 의해 발화되는 "서비야!"라는 호출 음성이 동시에 또는 소정 시간 내에 순차적으로 획득될 수 있다.
그 다음에,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복수의 로봇(300a, 300b, 300c, 300d, 300e) 중 소정 수준 이상의 우선 순위를 갖는 태스크가 부여된 로봇(300)을 제외한 나머지 로봇(300) 중에서 호출 대상 로봇(300)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종업원(400)에 의해 호출되어 해당 종업원(400)에게 이동하는 제1 태스크를 수행 중인 제1 로봇(300a)에게 제1 태스크보다 우선 순위가 높은 태스크, 즉 레스토랑 내의 테이블(310, 320, 330, 340)에 위치한 고객에 의해 호출되어 해당 테이블(310, 320, 330, 340)로 이동하는 제2 태스크가 부여된 경우에, 태스크가 부여되지 않았거나 제1 태스크보다 우선 순위가 낮은 태스크가 부여된 제2 로봇(300b), 제3 로봇(300c), 제4 로봇(300d) 및 제5 로봇(300e) 중 제1 로봇(300a)과 가장 거리가 가까운 제2 로봇(300b)에게 제1 태스크가 부여될 수 있다.
그 다음에, 제1 로봇(300a)은 "네 고객님, 지금 바로 가겠습니다."라는 음성을 제공하면서 레스토랑 내의 호출 음성과 연관되는 테이블(310, 320, 330, 340)로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제2 로봇(300b)은 "네 종업원님, 지금 바로 가겠습니다."라는 음성을 제공하면서 레스토랑 내의 호출 음성을 발화한 종업원(400)의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로봇의 구성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로봇(300)은 안내 로봇, 서빙 로봇, 운반 로봇, 청소 로봇, 의료 로봇, 엔터테인먼트 로봇, 펫 로봇 및 무인 비행 로봇 중 적어도 하나가 수행하는 작업과 유사한 작업을 수행하는 로봇일 수 있으며, 이를 위하여 각 작업에 부합하는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로봇(300)은 본체(510), 구동부(520) 및 프로세서(53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본체(510)에는 운송 대상 객체 또는 회수 대상 객체를 적재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적재 공간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러한 운송 대상 객체 및 회수 대상 객체는 이동될 수 있는 모든 유형물을 총칭하는 개념으로, 예를 들어, 사물, 동물, 사람 등을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운송 대상 객체는 음식물이고, 회수 대상 객체는 해당 음식물이 담긴 용기일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예를 들어 로봇(300)이 서빙 로봇인 경우에, 운송 대상 객체의 제공 및 회수 대상 객체의 수거를 위한 제1 공간(610) 및 제2 공간(620)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로봇(300)은 착탈식 기둥을 통해 제공되는 확장 공간인 제3 공간(630)을 더 포함할 수 있고, 필요에 따라 확장 공간을 더 추가함으로써 더 많은 적재 공간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로봇(300)은 운송 대상 객체 또는 회수 대상 객체 전용의 트레이(640)를 더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트레이(640)는 위에서 볼 때에 그 상면에 복수 개의 원형 홈이 형성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원형 홈은 음료가 담긴 컵의 하부가 안착되어 쉽게 어느 정도 고정되도록 형성되어 있을 수 있다. 이러한 원형 홈의 크기는 다양할 수 있다. 또한, 로봇(300)의 제1 공간(610)의 하부에는 로봇(300)의 측면을 통하여 꺼내어질 수 있는 제4 공간(650)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제4 공간(650)은 그 내부에 빈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측면은 막혀 있으며, 윗면은 열려 있고 아랫면은 닫혀 있는, 바구니와 유사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에 따른 로봇(300)의 적재 공간이 위의 열거된 내용에 한정되어 구현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다른 형태의 적재 공간 등으로 다양하게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다시 도 5를 참조하면, 본체(510)에는 주변 영상(예를 들어, 고객, 테이블, 종업원, 다른 로봇(300) 등) 및 장애물 정보를 획득하기 위한 촬영 모듈(예를 들어, 가시광선 카메라, 적외선 카메라 등)(미도시됨) 및 스캐너 모듈(예를 들어, 라이다(LIDAR) 센서 등)이 더 포함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부(520)는 본체(510)를 다른 지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듈 또는 운송 대상 객체 및 회수 대상 객체를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모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구동부(520)는 본체(510)를 다른 지점으로 이동시키기 위한 모듈로서, 전기식, 기계식, 또는 유압식으로 구동되는 바퀴, 프로펠러 등에 관한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고, 운송 대상 객체 및 회수 대상 객체를 로딩 및 언로딩하기 위한 모듈로서, 운송 대상 객체 및 회수 대상 객체를 장착하여 운반하기 위한 로봇 팔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프로세서(530)는 구동부(520)와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구동부(52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며(외부 시스템과의 통신을 위한 통신 모듈을 더 포함할 수도 있음), 예를 들어, 프로그램 내에 포함된 코드 또는 명령으로 표현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해 물리적으로 구조화된 회로를 갖는,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와 같이 하드웨어에 내장된 데이터 처리 장치는, 마이크로프로세서(microprocessor),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 프로세서 코어(processor core), 멀티프로세서(multiprocessor), ASIC(application-specific integrated circuit),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등의 처리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530)는 본 발명에 따른 로봇 제어 시스템(200)의 정보 획득부(210),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 및 피드백 제공부(230)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예를 들어, 해당 기능이 모듈화되어 프로세서(530)에 포함될 수 있음), 정보 획득부(210),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220) 및 피드백 제공부(230) 중 적어도 하나의 기능을 수행하는 외부 시스템(미도시됨)과의 통신을 통해 구동부(520)를 제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530)는 로봇(300)의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로봇의 호출과 연관되는 음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고, 그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복수의 로봇(300) 중 해당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300)을 결정하며, 호출 대상 로봇(300)에 의해 해당 음성과 연관되는 피드백이 제공되도록 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서비스 제공 장소가 레스토랑인 실시예에 대하여 주로 설명되어 있지만, 서비스 제공 장소가 반드시 레스토랑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카페, 술집, 바 등으로 얼마든지 변경될 수도 있음을 밝혀 둔다.
이상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실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하여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하여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하여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 변경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이 구체적인 구성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하여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이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과 변경을 꾀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또는 이로부터 등가적으로 변경된 모든 범위는 본 발명의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통신망
200: 로봇 제어 시스템
210: 정보 획득부
220: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
230: 피드백 제공부
240: 통신부
250: 제어부
300: 로봇

Claims (13)

  1.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로봇의 호출과 연관되는 음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복수의 로봇 중 상기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을 결정하는 단계, 및
    상기 호출 대상 로봇에 의해 상기 음성과 연관되는 피드백이 제공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로봇 각각에서 특정되는 상기 음성의 방향 및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호출 대상 로봇을 결정하는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로봇 각각에서 특정되는 상기 음성의 강도를 참조하여 제1 호출 후보 로봇을 결정하고, 상기 제1 호출 후보 로봇 각각에서 특정되는 상기 음성의 방향을 참조하여 상기 호출 대상 로봇을 결정하거나,
    상기 복수의 로봇 각각에서 특정되는 상기 음성의 방향을 참조하여 제2 호출 후보 로봇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호출 후보 로봇 각각에서 특정되는 상기 음성의 강도를 참조하여 상기 호출 대상 로봇을 결정하는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서비스 제공 장소의 공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호출 대상 로봇을 결정하는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 단계에서, 상기 복수의 로봇에게 부여된 태스크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호출 대상 로봇을 결정하는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공 단계에서, 상기 호출 대상 로봇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상기 음성과 연관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방법.
  7. 제1항에 따른 방법을 실행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기록한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8.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시스템으로서,
    서비스 제공 장소에서 로봇의 호출과 연관되는 음성에 관한 정보를 획득하는 정보 획득부,
    상기 획득되는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복수의 로봇 중 상기 음성과 연관되는 호출 대상 로봇을 결정하는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 및
    상기 호출 대상 로봇에 의해 상기 음성과 연관되는 피드백이 제공되도록 하는 피드백 제공부를 포함하는
    시스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로봇 각각에서 특정되는 상기 음성의 방향 및 강도 중 적어도 하나를 참조하여 상기 호출 대상 로봇을 결정하는
    시스템.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로봇 각각에서 특정되는 상기 음성의 강도를 참조하여 제1 호출 후보 로봇을 결정하고, 상기 제1 호출 후보 로봇 각각에서 특정되는 상기 음성의 방향을 참조하여 상기 호출 대상 로봇을 결정하거나, 상기 복수의 로봇 각각에서 특정되는 상기 음성의 방향을 참조하여 제2 호출 후보 로봇을 결정하고, 상기 제2 호출 후보 로봇 각각에서 특정되는 상기 음성의 강도를 참조하여 상기 호출 대상 로봇을 결정하는
    시스템.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는, 상기 서비스 제공 장소의 공간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호출 대상 로봇을 결정하는
    시스템.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호출 대상 로봇 결정부는, 상기 복수의 로봇에게 부여된 태스크에 관한 정보를 참조하여 상기 호출 대상 로봇을 결정하는
    시스템.
  13.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피드백 제공부는, 상기 호출 대상 로봇이 상기 서비스 제공 장소 내의 상기 음성과 연관되는 위치로 이동되도록 하는
    시스템.
KR1020210068403A 2021-05-06 2021-05-27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50611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313,215 US11934203B2 (en) 2021-05-06 2021-05-06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a robot
US17/313,215 2021-05-06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51517A true KR20220151517A (ko) 2022-11-15
KR102506113B1 KR102506113B1 (ko) 2023-03-03

Family

ID=839015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68403A KR102506113B1 (ko) 2021-05-06 2021-05-27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934203B2 (ko)
JP (1) JP7209768B2 (ko)
KR (1) KR102506113B1 (ko)
WO (1) WO2022236002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233318A (zh) * 2022-12-15 2023-06-06 深圳市普渡科技有限公司 基于lora的机器人呼叫***、方法、设备和存储介质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1196A (ja) * 2002-03-18 2003-09-25 Sony Corp ロボッ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125457A (ja) * 2003-10-24 2005-05-19 Yaskawa Electric Corp 作業用移動ロボット
JP2006181651A (ja) * 2004-12-24 2006-07-13 Toshiba Corp 対話型ロボット、対話型ロボットの音声認識方法および対話型ロボットの音声認識プログラム
JP2017205855A (ja) * 2016-05-20 2017-11-24 富泰華工業(深▲セン▼)有限公司 音声強度による位置決めガイド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KR20190092337A (ko) * 2019-06-07 2019-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빙 로봇 및 그를 이용한 고객 접대 방법
JP2020046478A (ja) * 2018-09-14 2020-03-26 株式会社フュートレック ロボットシステム
JP2020521997A (ja) * 2017-05-08 2020-07-27 深▲せん▼前海達闥雲端智能科技有限公司Cloudminds (Shenzhen) Robotics Systems Co., Ltd. ロボットのウェイクアップ方法、装置及びロボット
KR20200110143A (ko) * 2019-03-12 2020-09-23 주식회사 베어로보틱스코리아 음식 및/또는 음료의 서빙을 위한 로봇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41113B1 (ko) 2004-07-30 2006-11-02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로봇 및 그의 이동제어방법
US9440356B2 (en) * 2012-12-21 2016-09-13 Crosswing Inc. Customizable robotic system
US20150202770A1 (en) * 2014-01-17 2015-07-23 Anthony Patron Sidewalk messaging of an autonomous robot
JP6452420B2 (ja) * 2014-12-08 2019-01-16 シャープ株式会社 電子機器、発話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656806B2 (en) 2015-02-13 2017-05-23 Amazon Technologies, Inc. Modular, multi-function smart storage containers
JP2017182261A (ja) * 2016-03-29 2017-10-05 大日本印刷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7218234A1 (en) * 2016-06-15 2017-12-21 Irobot Corporation Systems and methods to control an autonomous mobile robot
JP6934623B2 (ja) * 2017-01-20 2021-09-15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通信制御方法、テレプレゼンスロボット、及び通信制御プログラム
JP2019010710A (ja) * 2017-06-30 2019-01-24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ロボット展示装置、ロボット展示システム、ロボット展示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11475291B2 (en) * 2017-12-27 2022-10-18 X Development Llc Sharing learned information among robots
JP7147167B2 (ja) * 2017-12-28 2022-10-05 富士通株式会社 制御プログラム、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装置
EP3803736A1 (en) * 2018-06-07 2021-04-14 DEKA Products Limited Partnership System and method for distributed utility service execution
CN112309402A (zh) * 2020-09-30 2021-02-02 深圳优地科技有限公司 机器人服务的呼叫方法、装置、设备及存储介质
JP7494748B2 (ja) * 2021-02-01 2024-06-0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ロボット制御システム、ロボット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71196A (ja) * 2002-03-18 2003-09-25 Sony Corp ロボット装置及びその制御方法
JP2005125457A (ja) * 2003-10-24 2005-05-19 Yaskawa Electric Corp 作業用移動ロボット
JP2006181651A (ja) * 2004-12-24 2006-07-13 Toshiba Corp 対話型ロボット、対話型ロボットの音声認識方法および対話型ロボットの音声認識プログラム
JP2017205855A (ja) * 2016-05-20 2017-11-24 富泰華工業(深▲セン▼)有限公司 音声強度による位置決めガイドシステム及びその方法
JP2020521997A (ja) * 2017-05-08 2020-07-27 深▲せん▼前海達闥雲端智能科技有限公司Cloudminds (Shenzhen) Robotics Systems Co., Ltd. ロボットのウェイクアップ方法、装置及びロボット
JP2020046478A (ja) * 2018-09-14 2020-03-26 株式会社フュートレック ロボットシステム
KR20200110143A (ko) * 2019-03-12 2020-09-23 주식회사 베어로보틱스코리아 음식 및/또는 음료의 서빙을 위한 로봇
KR20190092337A (ko) * 2019-06-07 2019-08-07 엘지전자 주식회사 서빙 로봇 및 그를 이용한 고객 접대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2172997A (ja) 2022-11-17
US20220357752A1 (en) 2022-11-10
JP7209768B2 (ja) 2023-01-20
KR102506113B1 (ko) 2023-03-03
WO2022236002A1 (en) 2022-11-10
US11934203B2 (en) 2024-03-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321853B2 (en) Speech recognition apparatus and speech recognition method
US11429113B2 (en) Serving system using robot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JP4539600B2 (ja) 案内ロボット
KR102490916B1 (ko) 전자 장치, 이의 제어 방법 및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가능 기록매체
US11474499B2 (en) Communication robot and control program of communication robot
US20220059090A1 (en) Communication with user presence
JP6716630B2 (ja) 情報を提供する装置、方法、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および記録媒体
KR102506113B1 (ko)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20200074680A (ko) 단말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US11433546B1 (en) Non-verbal cuing by autonomous mobile device
US20190236976A1 (en) Intelligent personal assistant device
US11867791B2 (en) Artificial intelligence apparatus for determining path of user and method for the same
KR102567241B1 (ko) 서빙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637589B1 (ko) 로봇을 이용하여 광고 콘텐츠를 제공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JP2019144612A (ja) 走行装置
US11368497B1 (en) System for autonomous mobile device assisted communication
US10945072B1 (en) Method for extracting voice signals of plurality of users, and terminal device and robot implementing same
KR20230095585A (ko) 안내 로봇 및 그것의 동작 방법
US11468354B1 (en) Adaptive target presence probability estimation
KR102663041B1 (ko)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
KR102560467B1 (ko) 패트롤링 로봇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시스템 및 비일시성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US20220357721A1 (en) Method, system, and 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recording medium for controlling a robot
Azevedo et al. Cambada@ home 2011 team description paper
Cunha et al. From an autonomous soccer robot to a robotic platform for elderly car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