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35336A -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35336A
KR20220135336A KR1020210040847A KR20210040847A KR20220135336A KR 20220135336 A KR20220135336 A KR 20220135336A KR 1020210040847 A KR1020210040847 A KR 1020210040847A KR 20210040847 A KR20210040847 A KR 20210040847A KR 20220135336 A KR20220135336 A KR 2022013533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 conditioning
battery cooling
evaporator
air
rear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408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홍규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408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35336A/ko
Priority to US17/514,972 priority patent/US11724560B2/en
Priority to DE102021212434.8A priority patent/DE102021212434A1/de
Priority to CN202111396845.3A priority patent/CN115139732A/zh
Publication of KR2022013533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3533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particular algorithms or computational models, e.g. fuzzy logic or dynam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357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 B60H1/00385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 B60H1/00392Air-conditioning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s for vehicles having an electrical drive, e.g. hybrid or fuel cell for electric vehicles having only electric drive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1/00278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for the batte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421Driving arrangements for parts of a vehicle air-condition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7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solar radia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735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 B60H1/00807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input, i.e. by the detection, measurement or calculation of particular conditions, e.g. signal treatment, dynamic models the input being a specific way of measuring or calculating an air or coolant temperatur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28Ventilators, e.g. speed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21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ventilating, air admitting or air distributing devices
    • B60H1/00835Damper doors, e.g. position contro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642Control systems or circuits; Control members or indication devices for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devices
    • B60H1/00814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 B60H1/00878Control systems or circuits characterised by their output, for controlling particular components of the 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installation the components being temperature regulating devices
    • B60H1/0089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avoiding uncomfortable feeling, e.g. sudden temperature chang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05Control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1/3204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 B60H1/3227Cooling devices using compression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or the type of heat exchanger, e.g. condenser, evaporat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2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 B60H1/14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 B60H1/143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the heat being derived from the propulsion plant otherwise than from cooling liquid of the plant, e.g. heat from the grease oil, the brakes, the transmission unit the heat being derived from cooling an electric component, e.g. electric motors, electric circuits, fuel cells or batter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00271HVAC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vehicle parts or components and being connected to the vehicle HVAC unit
    • B60H2001/003Component temperature regulation using an air flow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HARRANGEMENTS OF HEATING, COOLING, VENTILATING OR OTHER AIR-TREA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SSENGER OR GOODS SPACES OF VEHICLES
    • B60H1/00Heating, cooling or ventilating [HVAC] devices
    • B60H1/32Cooling devices
    • B60H2001/3236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 B60H2001/3255Cooling devices information from a variable is obtained related to tempera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Fuzzy System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Sustainable Energy (AREA)
  • Air-Conditioning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차량에서 공조 제어와 배터리 냉각이 동시에 실시될 때 배터리를 냉각한 냉각풍이 후석으로 역류하여 후석 온도를 상승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주된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제어기가 차량에서 수집된 환경 정보로부터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의 정해진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정해진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기가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가 시작되면, 제어기가 현재의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해당하는 보상값을 결정하는 단계; 제어기가 공조 장치 부품의 현재 제어변수 값을 상기 결정된 보상값을 이용하여 보상하는 단계; 및 제어기가 상기 보상된 제어변수 값에 따라 공조 장치 부품의 상태를 제어하여, 배터리를 냉각한 배터리 냉각풍의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이 개시된다.

Description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ing of vehicle}
본 발명은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차량에서 공조 제어와 배터리 냉각이 동시에 실시될 때 배터리를 냉각한 냉각풍이 후석으로 역류하여 후석 온도를 상승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알려진 바와 같이 자동차에는 실내온도를 조절하고 쾌적한 실내환경을 조성하기 위한 공조 장치(HVAC:Heating, Ventilation, and Air Conditioning system)가 장착되어 있다.
최근에는 운전자나 승객이 설정한 온도에 따라 실내온도를 자동으로 조절하여 쾌적한 실내환경을 유지해주는 FATC(Full Automatic Temperature Control) 시스템이 대부분의 차량에 적용되고 있다.
FATC 시스템에서는 사용자가 공조 목표온도를 설정하면, 차량 실내온도를 사용자가 설정해놓은 공조 목표온도로 제어하기 위해, 제어기가 센서에 의해 검출된 일사량, 외기온도, 실내온도 등의 정보들을 이용하여 실내 열부하를 계산한 뒤, 그에 상응하는 공조부하를 기초로 토출모드, 토출온도, 토출방향 및 토출풍량 등을 결정한다.
이어 제어기는 상기 결정된 토출모드, 토출온도, 토출방향 및 토출풍량으로 공조용 공기의 공급이 제어되도록 에어 인테이크 도어(내외기전환도어), 템프 도어(온도조절도어), 풍향조절도어(모드도어) 등의 각 도어 액츄에이터와 공조블로워, 에어컨 압축기, 전기히터 등의 작동요소를 제어한다.
또한, 자동차의 공조 장치에서 공조모드는 공기유입방식과 공기토출방식에 따라 여러 모드로 분류되고 있는데, 공기유입방식에 따라서는 외기 모드와 내기 모드로 구분되고, 내기 모드와 외기 모드의 선택과 그 제어를 위해 에어 인테이크 도어 및 도어 액츄에이터가 설치되고 있다.
공기토출방식에 따라서는 페이스 모드(Face)(또는 벤트(Vent) 모드라 함), 플로어 모드(FLR), 디프로스트 모드(DEF), 바이-레벨(Bi-level) 모드 등으로 구분되며, 이를 위해 공조 장치는 각 모드에 따라 공기 유동 경로를 변화시키는 풍향조절도어와, 각 벤트의 입구부에 설치되어 벤트를 개폐하는 벤트 도어를 포함하고 있다.
공조 장치의 벤트는 얼굴 및 가슴 등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페이스 벤트, 차량 플로어 및 운전자 발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플로어 벤트, 차량의 윈드실드 글라스 방향으로 공기를 토출하는 디프로스트 벤트 등으로 구분되고, 각 벤트의 입구부에 벤트 도어가 설치되어 공조모드에 따라 해당 벤트를 개폐시키고 있다.
최근의 차량에는 실내공간을 복수 개의 존(Zone)으로 구분하여 각 존에 대한 공조를 수행할 수 있는 공조 장치가 적용되기도 하며, 일례로 전석(前席)인 운전석과 조수석, 그리고 2열 후석(後席)에 대한 개별 공조를 수행하는 3-존(Zone) 타입의 공조 장치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공조 장치에서는 운전석 및 조수석의 경우 대시 패널(Dash Panel) 등에 구비된 벤트를 통해 공조용 공기가 토출되도록 하고 있으며, 후석의 경우 콘솔박스 후면에 형성된 콘솔 벤트 등을 통해 공조용 공기가 토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최근 고급 차량에서는 후석 공간에 대한 냉난방 성능을 더 향상시키기 위해 콘솔 벤트에 외에 센터 필러 벤트와 리어 플로어 토출구를 추가로 구비하기도 한다.
한편, 모터로 주행하는 자동차,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자동차(HEV:Hybrid Electric Vehicle, PHEV:Plug-in HEV)나 배터리 전기자동차(BEV:Battery Electric Vehicle)와 같은 전동화 차량에는 모터에 작동 전력을 공급하는 고전압 배터리가 탑재된다.
통상의 전동화 차량에서 고전압 배터리는 차량 내 한정된 공간 및 사이즈 등의 문제로 인해 몇 개의 셀(cell) 단위의 배터리를 모아서 모듈(module)로 제작하여 사용한다.
또한, 다수개의 배터리 모듈로 배터리 팩을 구성한 뒤 차량 내부 바닥 부분에 설치한 배터리 트레이를 이용하여 배터리 팩을 차량에 탑재하고 있다.
또한, 차량에서 배터리는 충, 방전 동안 다량의 열을 방출하기 때문에 배터리 온도를 관리하고 배터리 과열 등의 문제를 예방하기 위해 냉각팬으로 공기를 송출하여 배터리를 냉각하는 배터리 냉각 시스템이 구비된다.
종래의 배터리 냉각 시스템에서는 배터리를 냉각한 공기(이하 '배터리 냉각풍'이라 함)를 후석 주변이나 후석의 시트벨트 버클 주변, 패키지 트레이 주변 등을 통해 외부로 배출하였다.
그러나 여름철 실내 냉방과 배터리 냉각이 동시에 수행될 때 배터리 냉각풍이 후석 주변으로 배출되도록 할 경우 배터리 냉각풍이 후석으로 유입 및 역류되면서 전석에 비해 후석이 계속해서 더워지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특히, 내기의 실외 배출 및 실내 환기가 이루어지지 않는 내기 모드 시에는 다량의 배터리 냉각풍이 후석으로 유입되면서 전석과 후석의 온도차가 더욱 커질 수밖에 없고, 그로 인해 후석의 쾌적성이 크게 저하되는 문제가 있었다.
덕트 구조를 후석에 추가로 적용하여 배터리 냉각풍이 트렁크 쪽으로 배출되도록 할 경우 상기한 문제가 일부 개선될 수 있으나, 이는 패키지 증대 및 원가 증대 등으로 인해 실제 적용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현재 적용된 실내온 센서(Incar Sensor)가 전석 크래쉬 패드(Crash Pad) 측에 장착되므로 배터리 냉각풍에 의해 후석이 더워지는 상태를 실내온 센서로 검출할 수 없으므로 후석 온도 상승의 문제를 개선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한 것으로서, 차량에서 공조 제어와 배터리 냉각이 동시에 실시될 때 배터리를 냉각한 냉각풍이 후석으로 역류하여 후석 온도를 상승시키는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을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목적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기가 차량에서 수집된 환경 정보로부터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의 정해진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정해진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기가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가 시작되면, 제어기가 현재의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해당하는 보상값을 결정하는 단계; 제어기가 공조 장치 부품의 현재 제어변수 값을 상기 결정된 보상값을 이용하여 보상하는 단계; 및 제어기가 상기 보상된 제어변수 값에 따라 공조 장치 부품의 상태를 제어하여, 배터리를 냉각한 배터리 냉각풍의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여기서, 상기 환경 정보는 외기온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외기온도, 및 일사량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일사량 중 하나 또는 둘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 진입 조건은, 상기 외기온 센서에 의해 검출된 외기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1 설정온도보다 높은 조건, 및 상기 일사량 센서에 의해 검출된 일사량이 미리 정해진 설정값보다 큰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를 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 상태에서, 현재 에어컨 온(on) 및 공조 자동 제어가 선택된 상태이고, 배터리 냉각팬이 작동 중인 상태인 경우, 상기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를 시작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 장치 부품의 현재 제어변수 값을 보상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공조 장치 부품의 현재 작동 상태 정보를 기초로 정해진 보상 실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보상 실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해당 공조 장치 부품의 현재 제어변수 값을 보상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 장치 부품은 공조블로워,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 및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 장치 부품의 작동 상태 정보는 공조블로워의 작동 전압,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의 작동 전압, 및 증발기 온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상 실시 조건은, 상기 공조블로워의 현재 작동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제1 설정전압 미만인 조건; 상기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의 현재 작동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제2 설정전압을 초과하는 조건; 및 상기 증발기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현재의 증발기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2 설정온도를 초과하는 조건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 장치 부품의 현재 제어변수 값을 보상하는 단계에서, 상기 현재 제어변수 값은 공조블로워의 작동 목표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보상을 위한 공조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해당하는 보상값만큼 상기 공조블로워의 작동 목표전압을 증가시켜 공조블로워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도록 설정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보상값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높을수록, 상기 공기블로워의 회전속도가 더 증가하도록, 상기 공조블로워의 작동 목표전압을 보상하기 위한 상기 보상값이 더 큰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 장치 부품의 현재 제어변수 값을 보상하는 단계에서, 상기 현재 제어변수 값은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의 작동 목표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보상을 위한 공조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해당하는 보상값만큼 상기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의 작동 목표전압을 감소시켜 후석 템프 도어에 의해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량이 증가되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상값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높을수록,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량이 더 증가하도록, 상기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의 작동 목표전압을 보상하기 위한 상기 보상값이 더 큰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공조 장치 부품의 현재 제어변수 값을 보상하는 단계에서, 상기 현재 제어변수 값은 증발기 목표온도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을 위한 공조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해당하는 보상값만큼 상기 증발기 목표온도를 낮춰 증발기를 통과한 냉각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상값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높을수록,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각 공기의 온도가 더 낮아지도록, 상기 증발기 목표온도를 보상하기 위한 상기 보상값이 더 큰 값으로 결정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어기는 증발기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현재의 증발기 온도가 상기 보상값에 의해 보상된 증발기 목표온도를 추종하도록 압축기의 작동을 제어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이로써,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에 의하면, 차량에서 공조 제어와 배터리 냉각이 동시에 실시될 때 배터리를 냉각한 냉각풍이 후석으로 역류하여 후석 온도를 상승시키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조 제어 과정을 수행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조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조 제어 과정에서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별 설정된 보상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시되는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다양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 설명된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제1 및/또는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 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들과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예컨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권리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제1구성요소는 제2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구성요소는 제1구성요소로도 명명될 수 있다.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떠한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또는 "직접 접촉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구성요소들 간의 관계를 설명하기 위한 다른 표현들, 즉 "~사이에"와 "바로 ~사이에" 또는 "~에 인접하는"과 "~에 직접 인접하는" 등의 표현도 마찬가지로 해석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서 동일한 참조번호들은 동일한 구성요소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 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및/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에서는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차량에서 실내 냉방과 배터리 냉각이 동시에 수행될 때 배터리 냉각팬에 의해 송출되어 배터리를 냉각한 냉각풍이 차량 후석으로 역류하여 후석 온도를 계속해서 상승시키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을 제공하고자 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고전압 배터리가 탑재되고 고전압 배터리에 의해 공급되는 전력으로 모터를 구동하여 주행하는 전동화 차량, 예를 들어 하이브리드 자동차(HEV,PHEV)나 배터리 전기자동차(BEV)에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 전동화 차량에서 여름철 실내 냉방 시 배터리 냉각풍으로 인해 후석 온도가 상승하던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후석 온도 상승의 문제를 해결함에 있어 별도 하드웨어의 추가나 원가 상승, 중량 증대 등의 문제 없이 공조 제어 로직의 구현만으로 후석 온도 상승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배터리 냉각팬의 작동 상태와 연동하여 공조 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배터리 냉각팬 연동 공조 제어 방법을 제공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로 설명하면,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조 제어 과정을 수행하는 장치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조 제어 과정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차량의 공조 제어 과정에서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별 설정된 보상값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먼저, 도 1을 참조로 설명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제어 과정을 수행하는 장치는, 차량 실내 냉방과 배터리 냉각이 동시에 실시될 때 배터리 냉각풍에 의한 후석 온도 상승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외기온 센서(11), 일사량 센서(12), 증발기 온도 센서(13), 실내온 센서(Incar Sensor)(14), 토출온 센서(15), 인터페이스부(16), 제어기(20), 공조블로워(31), 후석 템프 도어(Temp. Door) 액추에이터(32), 및 에어컨 압축기(3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 중에서 외기온 센서(11), 일사량 센서(12), 증발기 온도 센서(13), 실내온 센서(14), 및 인터페이스부(16)는 제어기(20)에 공조 제어, 특히 후술하는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가 수행되는데 필요한 정보들을 검출 내지 입력하는 구성요소로서, 공조 자동 제어(Auto Control)가 실시되는 통상의 차량에 기설치되어 이용되고 있는 것들이다.
상기 센서들은 차량에서 공조 제어에 필요한 상태 데이터들을 실시간 검출하는 상태 검출기로서, 이 중에서 외기온 센서(11)는 외기온도를 검출하는 센서이고, 일사량 센서(12)는 일사량을 검출하는 센서이며, 증발기 온도 센서(13)는 증발기(Evaporator)의 현재 온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또한, 실내온 센서(14)는 차량 실내온도를 검출하는 센서이고, 토출온 센서(15)는 각 벤트를 통해 토출되는 토출 공기의 온도(토출온도)를 검출하는 센서이다.
이때, 차량에서 공조 제어에 필요한 정보들, 즉 센서들에 의해 검출되는 실시간 상태 데이터들은 외기온도, 일사량, 증발기 온도, 실내온도, 그리고 토출 공기의 온도가 된다. 이 중에서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 진입 조건을 판단하는데 이용되는 환경 정보는 외기온도와 일사량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한다.
상기 인터페이스부(16)는 운전자 등 사용자가 공조 장치를 조작하거나 공조 목표온도 설정 및 입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는 버튼이나 터치 스크린 등의 사용자 입력수단이다. 통상의 차량에서 공조용 인터페이스부(16)는 기본적으로 공조 자동 제어의 선택/해제 조작이나 에어컨 온(On)/오프(Off) 조작, 그리고 공조 목표온도 입력 등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되고, 외기 모드와 내기 모드 등의 순환모드 중 원하는 모드의 선택, 그리고 페이스(Face) 모드, 플로어(Floor) 모드, 디프로스트(Defrost) 모드, 바이-레벨(Bi-level) 모드 등의 토출모드 중 원하는 모드의 선택을 수행할 수 있도록 구비된다..
또한, 제어기(20)는 차량에서 실시간으로 수집되는 정보들, 즉 상기한 공조 제어용 상태 데이터들과 공조 목표온도를 기초로 실내 열부하를 계산한 뒤, 그에 상응하는 공조부하를 기초로 공조 장치의 토출모드와 토출온도, 토출방향, 토출풍량 등을 결정한다. 또한, 제어기(20)는 상기 결정된 토출모드, 토출온도, 토출방향 및 토출풍량 등 공조 장치의 작동 상태값 정보를 기초로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 등의 공조용 액추에이터, 공조블로워(31), 에어컨 압축기(33) 등의 작동요소를 제어한다.
예를 들면, 제어기(20)는 공조부하를 기초로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작동을 제어하여 후석으로 토출되는 공조용 공기 중 증발기(냉기 통로)를 통과하는 공기(실내 냉방용 냉각 공기)의 양을 조절하거나, 공조블로워(31)의 작동 전압을 제어하여 공조용 공기의 송출량을 조절할 수 있고, 증발기 온도 센서(13)에 의해 검출되는 증발기 온도를 기초로 에어컨 압축기(33)의 작동을 하여 증발기 온도를 증발기 목표온도로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기(20)는 차량에서 공조 제어를 위해 필요한 정보들 또는 그로부터 결정된 공조부하를 기초로 공조 장치의 부품별 제어변수 값을 결정하는데, 예로서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변수 값으로서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의 작동 목표전압(V)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20)는 공조블로워(31)의 작동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변수 값으로서 공조블로워의 작동 목표전압을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기(20)는 에어컨 압축기(33)의 작동 제어를 통해 제어되는 제어변수 값인 증발기 목표온도를 결정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기(20)는 배터리 냉각팬의 작동 단수에 따라 보상값을 결정하고, 상기 결정된 보상값을 이용하여 공조 장치의 부품별 제어변수 값을 보상한 뒤, 상기 보상된 제어변수 값을 기초로 공조 장치의 부품을 제어하는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를 실시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배터리 냉각풍은 배터리 냉각팬에 의해 송출되어 배터리를 냉각한 공기를 말하며, 배터리 냉각풍은 배터리로부터 열을 전달받은 상태이므로 온도가 높은 공기이다.
또한,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는, 후석으로 유입될 수 있는 배터리 냉각풍의 양을 배터리 냉각팬의 작동 단수로 판단한 뒤, 배터리 냉각풍의 양(배터리 냉각팬의 작동 단수)에 따라 후석으로 공급되는 공조용 공기의 양, 공조용 공기 중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의 양, 또는 공조용 공기(또는 냉각 공기)의 온도가 적절히 조절될 수 있게 공조 장치 부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이라 할 수 있다. 즉,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는, 배터리를 냉각한 배터리 냉각풍의 차량 후석 유입에 따른 공조 보상 제어가 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것을 의미하고, 실내에 토출되는 냉각 공기를, 후석으로 유입되는 배터리 냉각풍의 양에 따라 제어하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는, 배터리 냉각팬의 작동 단수에 따라 공조 장치 부품의 제어변수 값을 감소시키는 하향 제어와, 배터리 냉각팬의 작동 단수에 따라 공조 장치 부품의 제어변수 값을 증가시키는 상향 제어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어변수 값은 해당 부품의 제어목표 값이라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 동안, 보상된 제어변수 값을 기초로 제어되는 공조 장치 부품은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와 공조블로워(31), 에어컨 압축기(33)를 포함한다. 또한, 제어변수 값은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작동 목표전압과 공조블로워(31)의 작동 목표전압, 그리고 증발기 목표온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어기(20)는 증발기 온도를 증발기 목표온도로 제어하기 위해 에어컨 압축기(33)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와 같이 제어기(20)는 배터리 냉각팬의 작동 단수에 따라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작동 목표전압과 공조블로워(31)의 작동 목표전압, 그리고 증발기 목표온도를 보상한다. 본 발명에서 제어목표 값, 즉 상기한 작동 목표전압과 목표온도를 보상한다는 것은 작동 전압과 온도를 상항 또는 하향된 목표 값을 추종하도록 공조 장치 부품을 제어하는 것을 의미하므로, 실제 공조 장치 부품의 작동 전압과 온도를 상향 또는 하향 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할 수 있다.
요컨대, 본 발명에서 제어기(20)는 배터리 냉각팬의 작동 단수에 따라 보상된 작동 목표전압 값을 기초로 후석 탬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작동 전압을 제어하고, 배터리 냉각팬의 작동 단수에 따라 보상된 작동 목표전압 값을 기초로 공조블로워(31)의 작동 전압을 제어한다. 또한, 제어기(20)는 증발기 온도 센서(13)에 의해 검출되는 증발기 온도가 배터리 냉각팬의 작동 단수에 따라 보상된 증발기 목표온도를 추종하도록 에어컨 압축기(33)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하에서는 도 2와 도 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공조 제어 과정에 대해 더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에서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의 정해진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기 위한 공조 제어용 상태 데이터는, 외기온 센서(11)에 의해 검출되는 외기온도, 및 일사량 센서(12)에 의해 검출되는 일사량 중 하나 또는 둘을 포함한다.
먼저, 제어기(20)는 외기온 센서(11)에 의해 검출된 외기온도가 제1 설정온도(예, 20℃)보다 높은 조건, 및 일사량 센서(12)에 의해 검출된 일사량이 설정값(예, 1000W, 500W)보다 큰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지를 판단한다(S11).
여기서, 외기온도가 제1 설정온도보다 높은 조건, 및 일사량이 설정값보다 큰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는 경우, 배터리 냉각팬이 작동하여 배터리 냉각이 수행될 때 배터리 냉각풍의 후석 역류로 인해 후석 승객이 불쾌감을 느낄 수 있는 상태라 할 수 있다.
이어 상기 두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만족하면, 제어기(20)는 인터페이스부(16)로부터 입력된 정보를 기초로 현재 에어컨 온(On) 상태 및 공조 자동 제어 선택 상태인지를 판단한다(S12).
이어 제어기(20)는 현재 에어컨 온 상태 및 공조 자동 제어 선택 상태라면 현재 배터리 냉각팬이 작동 중인지를 판단하고(S13), 배터리 냉각팬이 작동 중인 상태라면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를 시작한다(S14).
즉,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외기온도가 제1 설정온도보다 높거나 일사량이 설정값보다 큰 조건을 만족하고, 에어컨 온 상태 및 공조 자동 제어 선택 상태인 조건, 그리고 배터리 냉각팬 작동 중인 조건을 모두 만족할 때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가 시작된다.
상기 조건들을 모두 만족하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가 시작되면, 공조 장치 부품에 대해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따라 제어변수 값(제어목표 값임)을 감소시키는 하향 제어 또는 제어변수 값을 증가시키는 상향 제어를 실시한다.
이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면, 제어기(20)는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를 시작하고,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해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별 공조 장치 부품의 작동을 제어하는 공조 제어를 실시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 동안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별 상향 제어 또는 하향 제어의 대상이 되는 공조 장치 부품은, 전술한 바와 같이, 공조블로워(31)와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 그리고 증발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증발기의 작동 상태는 에어컨 압축기(33)의 작동 상태를 제어함에 따라 제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증발기의 작동 상태는 증발기 온도일 수 있고, 이 증발기 온도를 제어하는 것은 에어컨 압축기(33)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에 의해 실시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증발기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즉 증발기 온도를 제어변수 값인 증발기 목표온도로 제어하기 위해 제어기(20)가 에어컨 압축기(33)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별 상향 제어는 공조블로워(31)를 대상으로 실시되고,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와 증발기에 대해서는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별 하향 제어가 실시된다. 상기 상향 제어 또는 하향 제어 시에는 제어기(20)에서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별로 부품별 제어변수 값에 대한 보상값이 미리 설정된 설정 데이터가 이용될 수 있다.
또한, 제어기(20)가 상기 설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의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해당하는 보상값을 결정하고, 이어 해당 부품의 현재 제어변수 값을 상기 결정된 보상값으로 보상한 뒤, 상기 보상된 제어변수 값을 기초로 해당 부품의 작동을 제어한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증발기의 제어변수 값으로 증발기 목표온도가 이용되고, 이때 증발기 목표온도를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해당하는 보상값만큼 보상한 뒤, 상기 보상된 증발기 목표온도로 증발기 온도가 제어될 수 있도록 에어컨 압축기(33)의 작동을 제어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보상값은 부품별로 현재의 제어변수 값(제어목표 값임)을 증가시키는 보상을 하거나 현재의 제어변수 값을 감소시키는 보상을 하는데 이용된다. 이러한 보상에 의해 현재의 제어변수 값을 증가시키는 제어가 상향 제어, 현재의 제어변수 값을 감소시키는 제어가 하향 제어이다. 또한, 상기 보상값이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상응하는 값으로 결정되기 때문에, 결국 상기의 보상을 수반하는 공조 제어가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별 상향 제어 또는 하향 제어라 할 수 있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 과정이 시작되면, 제어기(20)는,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별 공조 장치 부품에 대한 상향 제어 또는 하향 제어를 시작하기 전에, 공조 장치 부품의 현재 작동 상태 정보를 기초로 상향 제어 또는 하향 제어의 실시 가능 여부를 먼저 판단하는 단계가 실시될 수 있다(S15,S17,S19).
즉, 부품의 현재 작동 상태 정보를 기초로 정해진 보상 실시 조건을 만족할 경우에만, 제어기(20)가 해당 부품에 대한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제어, 즉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별 상향 제어 또는 하향 제어를 실시하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부품의 현재 작동 상태 정보는 공조블로워(31)의 현재 작동 전압과 후석 탬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현재 작동 전압, 그리고 현재의 증발기 온도를 포함한다.
이와 같이 해당 부품에 대해 상향 제어 또는 하향 제어의 실시가 가능한지 여부를 판단하는 과정에서, 먼저 공조블로워(31)의 현재 작동 전압을 미리 설정된 제1 설정전압(예, 7V)과 비교하여(S15), 상기 현재 작동 전압이 제1 설정전압 미만이면, 공조블로워(31)에 대한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별 상향 제어를 실시한다(S16).
하지만, 공조블로워(31)의 현재 작동 전압이 제1 설정전압(예, 7V) 이상이라면, 이후 공조블로워(31)에 대한 상향 제어(작동 목표전압 값 증가 제어)를 실시할 때,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별 보상값을 이용하여 작동 목표전압 값(예, 9V)으로 공조블로워(31)의 작동 전압을 증가시키므로, 그 제어 결과로 인해 이질감이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설정전압이 7V이고, 보상 값이 2V인 경우, 보상 후 작동 목표전압 값이 9V이고, 이 작동 목표전압 값을 기초로 공조블로워(31)의 작동 전압을 목표전압인 9V로 제어한다면, 공조블로워(31)의 소음 등 작동 이질감이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보상 후 공조블로워(31)의 작동 목표전압이 실제 공조블로워 작동 상태에서 이질감을 나타낼 수 있는 전압을 넘지 않도록 공조블로워(31)의 현재 작동 전압이 상기 제1 설정전압 미만인 조건에서만 공조블로워(31)에 대한 상향 제어를 실시한다.
공조블로워(31)의 현재 작동 전압이 제1 설정전압 이상인 조건에서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별 보상값만큼 공조블로워 작동 목표전압 값을 더 높이게 되면, 이질감, 즉 작동 소음은 물론, 공조블로워(31)에 의해 송출 및 실내로 토출되는 공기의 흐름인 바람이 너무 세지면서 유동 소음이 크게 발생하는바, 운전자나 승객이 공조블로워(31)의 상향 제어로 인한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실내 쾌적성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공조블로워(31)의 현재 작동 전압이 제1 설정전압 미만인 조건에서만 공조블로워(31)에 대한 상향 제어가 실시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공조블로워(31)의 상향 제어는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증가함에 따라 공조블로워(31)의 회전속도를 단계적으로 증가시키는 제어를 의미한다. 이를 위해, 공조블로워(31)의 상향 제어 과정은, 현재의 공조부하에 따른 공조블로워 제어변수 값(제어목표 값)을 현재의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따라 결정된 보상값만큼 보상하여 증가시키는 제어변수 값 보상 과정을 포함한다. 여기서, 공조블로워(31)의 제어변수 값은 공조블로워 작동 목표전압이고, 결국 공조블로워의 제어변수 값 보상은 공조블로워의 작동 목표전압을 현재의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해당하는 보상값만큼 증가시키는 보상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해당하는 보상값은 제어기(20)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설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결정하며, 여기서 설정 데이터는 선행 연구와 평가 및 시험 과정을 통해 취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것으로서,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와 보상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맵이나 테이블, 또는 도 3과 같은 선도나 수식 등이 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공조블로워 상향 제어를 위한 보상값은 공조블로워 작동 목표전압에 대한 보상값으로서 전압 값이며, 이 보상값은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상응하는 값으로 차등화하여 설정될 수 있다. 즉,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달라짐에 따라 적어도 일부 작동 단수에서 상이한 전압 값으로 보상값이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공조블로워 상향 제어 시 제어변수 값을 보상함에 있어서,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높아질수록 공조블로워(31)에 의한 공기 송출량 및 실내 토출량을 증가시킬 필요가 있고, 이를 위해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높아질수록 공조블로워(31)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보상이 필요하다. 따라서,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조블로워 작동 목표전압이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높아짐에 따라 더 큰 전압 값으로 보상될 수 있도록 한다. 즉,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더 높은 단일수록 더 큰 보상값이 이용되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을 참조하면,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1단에서 8단까지 존재한다고 할 때, 4단에서부터 8단까지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더 높아질수록 보상값 또한 점차 증가됨을 예시하고 있다.
또한,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가 시작되면, 제어기(20)는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현재 작동 전압을 미리 설정된 제2 설정전압(예, 0.3V)과 비교하여(S17), 상기 현재 작동 전압이 제2 설정전압을 초과하면,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에 대한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별 하향 제어를 실시한다(S18). 하지만,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현재 작동 전압이 제2 설정전압(예, 0.3V) 이하라면,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에 대한 하향 제어는 실시하지 않는다.
상기 후석 템프 도어는 공조용 공기 중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와 증발기를 통과하지 않는 공기의 비율을 조절하는 도어이며, 궁극적으로 에어컨 작동 시 실내 냉방을 위한 공조용 공기의 온도를 조절하기 위한 도어이다. 여기서 공조용 공기는 후석으로 공급되는 실내 냉방용 공기이다. 통상의 공조 장치에서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의 양(냉각 공기량)을 조절하여 공조용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후석 템프 도어의 위치를 제어한다.
구체적으로는, 공조부하에 따라 냉각 공기량 및 공조용 공기의 온도를 제어하기 위해, 그리고 후석 템프 도어의 위치를 제어하기 위해, 제어기(20)는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작동을 제어한다. 이때, 제어기(20)는 현재의 공조부하에 따라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제어변수 값으로서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작동 목표전압을 결정한 뒤, 최종 결정된 작동 목표전압 값으로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작동 전압을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하항 제어 시, 제어기(20)는 현재의 공조부하에 따라 결정된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작동 목표전압을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따라 결정되는 보상값만큼 보상한 뒤, 상기 보상된 작동 목표전압 값을 이용하여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작동 전압을 제어한다. 제어기(20)가 상기 보상된 작동 목표전압을 추종하도록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작동 전압을 제어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제2 설정전압은,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의 작동 전압에 있어, 후석 템프 도어의 위치가 최대 냉각 공기량(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임)을 나타내는 위치로 제어될 수 있는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 작동 전압 값으로 설정된다. 즉, 제2 설정전압이 최대 냉각 공기량에 해당하는 전압 값을 의미하는 맥스 쿨(MAX. COOL) 전압으로 설정되는 것이다.
이 맥스 쿨 전압은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작동 전압 값 중 제어 가능한 최소값이며,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작동 전압 값이 맥스 쿨 전압에 가까울수록 증발기측 냉기 통로를 더 많이 열어주어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을 더 증가시킬 수 있게 된다.
즉, 후석 템프 도어의 작동 전압과 그 목표 전압이 작은 값일수록 후석 템프 도어의 위치가, 증발기측 냉기 통기를 최대로 열어주어 증발기를 통과하는 공기의 양(냉각 공기량)이 최대가 되는 맥스 쿨 위치에 더 가까워지는 것을 의미한다. 또한,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작동 전압에 대한 하향 제어는 현재의 작동 목표전압에서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해당하는 보상값을 빼주어 보상 후 작동 목표전압 값을 보상 전에 비해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보상값이 클수록, 그리고 작동 목표전압이 낮을수록 후석 템프 도어의 개도 상태에서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량이 증가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냉각팬의 작동 단수가 높을수록 더 많은 냉각풍이 후석으로 역류할 수 있으므로 증발기를 통과한 더 많은 냉각 공기가 후석으로 공급될 수 있도록 제어기(20)가 후석 템프 도어의 위치를 맥스 쿨 위치에 더 가까운 위치로 제어한다.
이를 위해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현재 작동 전압이 맥스 쿨 위치에 해당하는 제2 설정전압(예, 0.3V)을 초과하는 조건에서,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높은 단일수록 작동 목표전압이 작아지도록 하향 보상하는 것이며,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높은 단일수록 보상값을 크게 하여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작동 전압을 맥스 쿨 위치의 작동 전압인 제2 설정전압에 더 가까워지도록 제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하향 제어를 위한 보상값이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높은 단일수록 더 큰 값으로 설정됨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하향 제어를 위한 보상값은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상응하는 값으로 미리 설정되며, 제어기(20)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설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의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해당하는 보상값을 결정한다.
여기서, 설정 데이터는 선행 연구와 평가 및 시험 과정을 통해 취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것으로서,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와 보상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맵이나 테이블, 또는 도 3과 같은 선도나 수식 등이 될 수 있다.
도 3의 설정 데이터를 참조하면, 배터리 냉각팬의 작동 단수가 6 ~ 8단인 경우 보상값이 1.0V로 설정되어 있으나, 배터리 냉각팬의 작동 단수가 그보다 낮은 단수일 경우 보상값이 비례적으로 감소하도록 설정되어 있다. 예를 들어, 배터리 냉각팬의 작동 단수가 3단일 경우 보상값은 0.5V로 설정되어 있다. 이에 6 ~ 8단인 경우 현재의 작동 목표전압에서 1.0V를 뺀 값으로 보상하고, 3단인 경우 현재의 작동 목표전압에서 0.5V를 뺀 값으로 보상하여, 보상된 작동 목표전압 값으로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32)의 작동 전압을 하향 제어한다.
다음으로,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가 시작되면, 제어기(20)는 증발기 온도 센서(13)에 의해 검출된 현재의 증발기 온도를 미리 설정된 제2 설정온도(예, 2℃)와 비교하여(S19), 상기 현재의 증발기 온도가 제2 설정온도를 초과하면, 증발기 온도에 대한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별 하향 제어를 실시한다(S20). 하지만, 현재 증발기 온도가 제2 설정온도 이하이면, 증발기 온도에 대한 하향 제어는 실시하지 않는다.
증발기 온도 제어는 에어컨 압축기(33)의 작동을 제어하여 냉매량을 조절하는 것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즉, 제어기(20)가 에어컨 압축기(33)의 작동을 제어함으로써 현재의 증발기 온도를 증발기 목표온도로 제어할 수 있는 것이다. 여기서, 에어컨 압축기(33)는 제어기(20)의 제어신호에 따라 구동이 제어될 수 있는 전동식 압축기(33)일 수 있고, 또한 제어기(20)의 제어신호에 따라 냉매량 조절이 가능한 가변 용량 압축기일 수 있다.
통상의 공조 장치에서 공조부하에 따라 증발기 목표온도가 결정되면, 제어기(20)가 실시간 증발기 온도를 증발기 목표온도가 되도록 압축기(33)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제어기(20)가 증발기 목표온도를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해당하는 보상값만큼 보상한 뒤, 상기 보상된 증발기 목표온도를 기초로 압축기(33)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이때, 제어기(20)는 증발기 온도 센서(13)에 의해 검출된 실시간 증발기 온도가 상기 보상된 증발기 목표온도를 추종할 수 있도록 압축기(33)의 작동을 제어하게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증발기 온도에 대한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별 하향 제어는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따라 정해지는 보상값만큼 증발기 목표온도를 감소시키는 제어이며, 이때 보상값은 온도 값이 된다. 또한,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높은 단일수록 온도 값인 보상값이 더 큰 값으로 설정된다.
상기 제2 설정온도는 증발기 최저 온도로 설정될 수 있고, 예를 들어 2℃로 설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배터리 냉각팬의 작동 단수가 높은 단일수록 더 많은 냉각풍이 후석으로 역류할 수 있으므로 이때 증발기 온도를 더 낮게 제어하여 증발기를 통과한 냉각 공기 및 공조용 공기의 온도를 더 낮게 조절한다.
이를 위해 현재의 증발기 온도가 증발기 최저 온도인 제2 설정온도를 초과할 때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높은 단일수록 증발기 최저 온도인 제2 설정온도에 더 가까워지도록 증발기 목표온도를 결정하는 것이며,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높은 단일수록 보상값을 크게 하여 증발기 온도를 증발기 최저 온도인 제2 설정온도에 더 가까워지도록 제어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증발기 온도의 하향 제어를 위한 온도 보상값이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높은 단일수록 더 큰 값으로 설정됨을 볼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증발기 온도의 하향 제어를 위한 보상값은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상응하는 값으로 미리 설정되며, 제어기(20)가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은 설정 데이터를 이용하여 현재의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해당하는 보상값을 결정한다.
여기서, 설정 데이터는 선행 연구와 평가 및 시험 과정을 통해 취득된 데이터를 이용하여 설정되는 것으로서,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와 온도 보상값의 상관관계를 나타내는 맵이나 테이블, 또는 도 3과 같은 선도나 수식 등이 될 수 있다.
도 3에 예시된 바와 같이, 증발기 온도의 하향 제어를 위한 보상값은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따라 그에 상응하는 값으로 차등화하여 설정될 수 있으며,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달라짐에 따라 적어도 일부 작동 단수에서 상이한 온도값으로 보상값이 설정될 수 있는 것이다.
이와 같이 하여, 본 발명에서는 차량에서 수집된 상태 정보로부터 정해진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를 실시하고,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 과정에서 미리 정해진 공조 장치 부품에 대한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별 상향 제어 또는 하향 제어를 실시한다.
결국, 본 발명에 따르면, 3-존(zone) 제어가 가능한 HEV, PHEV 등 차량에서, 배터리 냉각과 실내 냉방이 동시에 이루어질 때, 상기와 같은 공조 장치 부품에 대한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별 상향 제어 또는 하향 제어가 실시됨으로써, 배터리 냉각풍이 후석으로 역류 및 유입되어 후석이 계속 더워지는 종래의 문제점이 해결될 수 있고, 후석의 쾌적성 유지가 가능해진다.
본 발명에 의하면, 후석 제어를 위해 4-존 제어로 변경할 필요 없이, 그리고 별도의 하드웨어 추가나 원가 상승, 중량 증대 없이, 공조 자동 제어와 연계된 공조 제어 로직을 통하여 후석의 온도 상승 문제를 효과적으로 해결할 수 있게 된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 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1 : 외기온 센서
12 : 일사량 센서
13 : 증발기 온도 센서
14 : 실내온 센서
15 : 토출온 센서
16 : 인터페이스부
20 : 제어기
31 : 공조블로워
32 :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
33 : 압축기

Claims (15)

  1. 제어기가 차량에서 수집된 환경 정보로부터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 경우, 제어기가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를 시작하는 단계;
    상기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가 시작되면, 제어기가 현재의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해당하는 보상값을 결정하는 단계;
    제어기가 상기 결정된 보상값을 이용하여 공조 장치 부품의 현재 제어변수 값을 보상하는 단계; 및
    제어기가 상기 보상된 제어변수 값에 따라 공조 장치 부품의 상태를 제어하여, 배터리를 냉각한 배터리 냉각풍이 차량 후석으로 역류함에 따른 보상을 위한 공조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환경 정보는 외기온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외기온도, 및 일사량 센서에 의해 검출되는 일사량 중 하나 또는 둘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3. 청구항 2 있어서,
    상기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 진입 조건은, 상기 외기온 센서에 의해 검출된 외기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1 설정온도보다 높은 조건, 및 상기 일사량 센서에 의해 검출된 일사량이 미리 정해진 설정값보다 큰 조건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를 시작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진입 조건을 만족하는 것으로 판단한 상태에서,
    현재 에어컨 온(on) 및 공조 자동 제어가 선택된 상태이고,
    배터리 냉각팬이 작동 중인 상태인 경우,
    상기 배터리 냉각풍 후석 역류 보상을 위한 공조 제어를 시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5. 청구항 1 있어서,
    상기 공조 장치 부품의 현재 제어변수 값을 보상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공조 장치 부품의 현재 작동 상태 정보를 기초로 정해진 보상 실시 조건을 만족하는지를 판단하여, 상기 보상 실시 조건을 만족하는 경우에만 해당 공조 장치 부품의 현재 제어변수 값을 보상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공조 장치 부품은 공조블로워,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 및 증발기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공조 장치 부품의 작동 상태 정보는 공조블로워의 작동 전압,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의 작동 전압, 및 증발기 온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보상 실시 조건은,
    상기 공조블로워의 현재 작동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제1 설정전압 미만인 조건;
    상기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의 현재 작동 전압이 미리 정해진 제2 설정전압을 초과하는 조건; 및
    상기 증발기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현재의 증발기 온도가 미리 정해진 제2 설정온도를 초과하는 조건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공조 장치 부품의 현재 제어변수 값을 보상하는 단계에서, 상기 현재 제어변수 값은 공조블로워의 작동 목표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보상을 위한 공조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해당하는 보상값만큼 상기 공조블로워의 작동 목표전압을 증가시켜 공조블로워의 회전속도를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보상값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높을수록, 상기 공기블로워의 회전속도가 더 증가하도록, 상기 공조블로워의 작동 목표전압을 보상하기 위한 상기 보상값이 더 큰 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11.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공조 장치 부품의 현재 제어변수 값을 보상하는 단계에서, 상기 현재 제어변수 값은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의 작동 목표전압을 포함하고,
    상기 보상을 위한 공조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해당하는 보상값만큼 상기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의 작동 목표전압을 감소시켜 후석 템프 도어에 의해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량이 증가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상기 보상값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높을수록, 상기 증발기를 통과하는 냉각 공기량이 더 증가하도록, 상기 후석 템프 도어 액추에이터의 작동 목표전압을 보상하기 위한 상기 보상값이 더 큰 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13.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공조 장치 부품의 현재 제어변수 값을 보상하는 단계에서, 상기 현재 제어변수 값은 증발기 목표온도를 포함하고,
    상기 보상을 위한 공조 작동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단계에서, 상기 제어기는 상기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에 해당하는 보상값만큼 상기 증발기 목표온도를 낮춰 증발기를 통과한 냉각 공기의 온도가 낮아지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14. 청구항 13에 있어서,
    상기 보상값을 결정하는 단계에서, 상기 배터리 냉각팬 작동 단수가 높을수록, 상기 증발기를 통과한 냉각 공기의 온도가 더 낮아지도록, 상기 증발기 목표온도를 보상하기 위한 상기 보상값이 더 큰 값으로 결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제어기는 증발기 온도 센서에 의해 검출된 현재의 증발기 온도가 상기 보상값에 의해 보상된 증발기 목표온도를 추종하도록 압축기의 작동을 제어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KR1020210040847A 2021-03-30 2021-03-30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KR20220135336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847A KR20220135336A (ko) 2021-03-30 2021-03-30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US17/514,972 US11724560B2 (en) 2021-03-30 2021-10-29 Control method for air conditioning of a vehicle
DE102021212434.8A DE102021212434A1 (de) 2021-03-30 2021-11-04 Steuerverfahren für Klimatisierung eines Fahrzeugs
CN202111396845.3A CN115139732A (zh) 2021-03-30 2021-11-23 用于控制车辆的空调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40847A KR20220135336A (ko) 2021-03-30 2021-03-30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35336A true KR20220135336A (ko) 2022-10-07

Family

ID=832826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40847A KR20220135336A (ko) 2021-03-30 2021-03-30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724560B2 (ko)
KR (1) KR20220135336A (ko)
CN (1) CN115139732A (ko)
DE (1) DE102021212434A1 (ko)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969254B2 (ja) * 2001-10-29 2007-09-05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ッテリ温度管理装置
JP4192625B2 (ja) * 2003-02-25 2008-12-10 株式会社デンソー バッテリ冷却装置
JP2009154698A (ja) * 2007-12-26 2009-07-16 Calsonic Kansei Corp バッテリ温度管理装置
JP6036746B2 (ja) * 2014-04-25 2016-11-30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
JP6303030B2 (ja) * 2015-02-05 2018-03-28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バッテリ冷却構造
JP7367629B2 (ja) * 2020-07-27 2023-10-2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車両用空調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DE102021212434A1 (de) 2022-10-06
US20220314732A1 (en) 2022-10-06
US11724560B2 (en) 2023-08-15
CN115139732A (zh) 2022-10-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39961B2 (en) Partial air inlet control strategy for air conditioning system
EP2700519A1 (en) Air-conditioning device for vehicle
JP4710616B2 (ja) 車両用電池冷却装置
KR101305830B1 (ko) 차량의 실내 환기방법
JP7218989B2 (ja) 車両用電池冷却システム
KR20080019612A (ko) 차량용 에어컨디셔닝시스템 및 에어컨디셔닝방법
JPH01285417A (ja) 自動車用空調装置
WO2017138258A1 (ja) 車両用空調装置
US11820201B2 (en) Method for controlling vehicle HVAC system
JP4596106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4496971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20135336A (ko) 차량의 공조 제어 방법
JPH04230412A (ja) 車両用空調装置
JP3669151B2 (ja) 車両用空調装置
JP3861805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140089092A (ko) 차량의 후석 공조 제어 시스템 및 그 제어 방법
JP2013079035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3147063A (ja) 温調装置の制御方法
JP2012086681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11218975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826892B2 (ja) 自動車用空調装置の配風制御装置
JP2017185919A (ja) 車両用空調装置
JP2003104033A (ja) 車両用空調装置
JP6568812B2 (ja) 車両用空調装置
KR20220030347A (ko) 차량용 공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