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8331A -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 Google Patents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8331A
KR20220128331A KR1020227007737A KR20227007737A KR20220128331A KR 20220128331 A KR20220128331 A KR 20220128331A KR 1020227007737 A KR1020227007737 A KR 1020227007737A KR 20227007737 A KR20227007737 A KR 20227007737A KR 20220128331 A KR20220128331 A KR 202201283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interlayer film
laminated glass
light transmittance
parallel ligh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077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준 이시다
히로아키 이누이
Original Assignee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세키스이가가쿠 고교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283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33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5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colorants, e.g. dyes or pig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 B32B3/2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 B32B3/263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with external or internal discontinuities or unevennesses, or a layer of non-planar shape; 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having particular features of form characterised by a particular shape of the outline of the cross-section of a continuous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with cavities or internal voids ; characterised by an apertured layer characterised by a layer having non-uniform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009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 B32B17/1003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number, the constitution or treatment of glass sheets comprising two outer glass shee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559Shape of the cross-section
    • B32B17/10568Shape of the cross-section varying in thicknes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05Type of plasticis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65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colorants, e.g. dyes or pigments
    • B32B17/106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mprising colorants, e.g. dyes or pigments imparting a tint in certain regions only, i.e. shade ban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5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 B32B17/10761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characterized by the resin layer, i.e. interlayer containing vinyl acet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32B17/10005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 B32B17/10807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 B32B17/10899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 B32B17/10935Making laminated safety glass or glazing; Apparatus therefor by introducing interlayers of synthetic resin as a preformed layer, e.g. formed by extru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fillers, pigments, thixotroping ag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 B32B27/2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haracterised by the use of special additives using plastic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2Mechan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4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12Interconnection of layers using interposed adhesives or interposed materials with bonding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JWINDOWS, WINDSCREENS, NON-FIXED ROOFS, DOORS, OR SIMILAR DEVICES FOR VEHICLES; REMOVABLE EXTERNAL PROTECTIVE COVERING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 B60J1/00Windows; Windscreens; Accessories therefor
    • B60J1/001Double glazing for vehicl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7/0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 B32B17/06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 B32B17/10Layered products essentially comprising sheet glass, or glass, slag, or like fibres comprising glass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next to another layer of a specific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33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44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055 or mor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24All layers being polymeric
    • B32B2250/246All polymers belonging to those covered by groups B32B27/32 and B32B27/30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0/00Layers arrangement
    • B32B2250/44Number of layers variable across the laminat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10Inorganic particles
    • B32B2264/104Oxysalt, e.g. carbonate, sulfate, phosphate or nitrate p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64/00Composition or properties of particles which form a particulate layer or are present as additives
    • B32B2264/30Particles characterised by physical dimension
    • B32B2264/303Average diameter greater than 1µ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1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acoustical properties
    • B32B2307/102Ins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32B2307/4026Coloured within the layer by addition of a colorant, e.g. pigments, dy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4Transluc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57/00Electrical equipment
    • B32B2457/20Displays, e.g. liquid crystal displays, plasma display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605/00Vehicles
    • B32B2605/08C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vinyl acetate or vinyl alcohol (co)polymer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27/00Optical systems or apparatu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groups G02B1/00 - G02B26/00, G02B30/00
    • G02B27/01Head-up displays
    • G02B27/0101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 G02B2027/0118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 G02B2027/012Head-up displays characterised by optical features comprising devices for improving the contrast of the display / brillance control visibility comprising devices for attenuating parasitic image effec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5Neutral density filte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Joining Of Glass To Other Material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 평행광 투과율이 균일한 농색부가 존재하고, 따라서,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은, 일단과, 일단의 반대측에 타단을 갖고, 타단의 두께가 일단의 두께보다도 크고, 중간막을 JIS R3202:1996에 준거한 2매의 클리어 유리의 사이에 배치하여 접합 유리 X를 얻고, 얻어진 접합 유리 X에 대하여 특정한 평행광 투과율을 측정했을 때에, 중간막이, 일단측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평행광 투과율이 연속적으로 감소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를 초과하는 그라데이션부와,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일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이 60% 이상인 투명부와, 그라데이션부보다도 타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농색부를 갖는다.

Description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본 발명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에 관한 것이다.
접합 유리는, 외부 충격을 받아서 파손되더라도 유리의 파편 비산량이 적어, 안전성이 우수하다. 이 때문에,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널리 사용되고 있다. 상기 접합 유리는, 한 쌍의 유리판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 넣음으로써 제조되고 있다. 중간막은, 예를 들어, 하기의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방법(도관법), 및 하기의 특허문헌 2에 기재된 방법(Feed Block법) 등에 의해 제작되고 있다.
또한, 자동차에 사용되는 상기 접합 유리로서, 헤드업 디스플레이(HUD)가 알려져 있다. HUD에서는, 자동차의 프론트 글래스에, 자동차의 주행 데이터인 속도 등의 계측 정보 등을 표시시킬 수 있어, 운전자는 프론트 글래스의 전방에 표시가 비추어지고 있는 것처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HUD에서는, 계측 정보 등이 이중으로 보인다고 하는 문제가 있다.
이중상을 억제하기 위해서, 쐐기상의 중간막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특허문헌 3에 기재된 바와 같이, 의장성 및 차광성 등의 관점에서, 쐐기상의 중간막에 있어서, 셰이드 영역이 마련되는 경우가 있다.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31521호 공보 WO2009/001856A1 일본 특허 공개 평11-130481호 공보
셰이드 영역에서는, 일반적으로, 색 및 가시광선 투과율을 변화시키기 위해서, 착색제가 사용된다. 그러나, 종래의 쐐기상의 중간막에서는, 중간막의 두께 변화에 수반하여, 착색제를 포함하는 착색층의 두께도 변화한다. 따라서, 종래의 쐐기상의 중간막에서는,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 평행광 투과율이 균일한 영역은 존재하지 않고, 착색층의 두께가 큰 부분에 있어서, 색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다.
특히, 루프부 일체형 프론트 글래스에 사용되는 중간막과 같이, 폭이 큰 중간막에서는,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 색 불균일이 발생하기 쉽다.
본 발명의 목적은,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 평행광 투과율이 균일한 농색부가 존재하고, 따라서,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넓은 국면에 의하면,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측에 타단을 갖고, 상기 타단의 두께가 상기 일단의 두께보다도 크고, 중간막을 JIS R3202:1996에 준거한 2매의 클리어 유리의 사이에 배치하여 접합 유리 X를 얻고, 얻어진 접합 유리 X에 대해서 하기의 평행광 투과율을 측정했을 때에, 중간막이,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타단측을 향하여 평행광 투과율이 연속적으로 감소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를 초과하는 그라데이션부와,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일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이 60% 이상인 투명부와,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농색부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본 명세서에 있어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중간막」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이 제공된다.
평행광 투과율의 측정: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2㎝의 위치를 시점으로 하여, 상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1㎝ 간격마다 복수의 지점 A를 선택한다. 각 지점 A에 있어서 접합 유리 X의 평행광 투과율을 측정한다. x축 방향을 「상기 일단으로부터의 거리」로 하고, y축 방향을 「평행광 투과율」로 하고, 1개의 지점 A와 해당 지점 A로부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1㎝ 떨어진 2개의 지점과의 3개의 지점으로부터, 2㎝의 영역에서의 근사 직선을 작성한다. 근사 직선으로부터 구해지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을, 상기 1개의 지점 A에 있어서의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으로 한다. 지점 A 각각에 대해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을 구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농색부의 거리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막의 거리에 대한 비가, 0.05 이상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농색부의 거리가 50㎜ 이상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중간막이,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서의 10㎝의 거리 범위당, 두께가 10㎛를 초과하여 변화하고 있지 않은 두께 균일 부위를 갖고, 상기 두께 균일 부위가,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의 중앙의 위치보다도 상기 타단측에 위치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중간막의 어느 특정한 국면에서는, 상기 그라데이션부 및 상기 농색부는 각각, 착색제를 포함하는 착색층을 갖고, 중간막의 두께 방향의 표면과, 상기 착색층의 두께 방향의 표면의 최단 거리가 10㎛ 이상이다.
본 발명이 넓은 국면에 의하면,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술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가 제공된다.
본 발명이 넓은 국면에 의하면,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측에 타단을 갖고, 상기 타단의 두께가 상기 일단의 두께보다도 크고,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고, 접합 유리에 대해서 하기의 평행광 투과율을 측정했을 때에, 접합 유리가,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타단측을 향하여 평행광 투과율이 연속적으로 감소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를 초과하는 그라데이션부와,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일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이 60% 이상인 투명부와,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농색부를 갖는 접합 유리가 제공된다.
평행광 투과율의 측정: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2㎝의 위치를 시점으로 하여, 상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1㎝ 간격마다 복수의 지점 A를 선택한다. 각 지점 A에 있어서 접합 유리의 평행광 투과율을 측정한다. x축 방향을 「상기 일단으로부터의 거리」로 하고, y축 방향을 「평행광 투과율」로 하고, 1개의 지점 A와 해당 지점 A로부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1㎝ 떨어진 2개의 지점과의 3개의 지점으로부터, 2㎝의 영역에서의 근사 직선을 작성한다. 근사 직선으로부터 구해지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을, 상기 1개의 지점 A에 있어서의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으로 한다. 지점 A 각각에 대해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을 구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중간막은,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측에 타단을 갖고, 상기 타단의 두께가 상기 일단의 두께보다도 크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중간막을 JIS R3202:1996에 준거한 2매의 클리어 유리의 사이에 배치하여 접합 유리 X를 얻고, 얻어진 접합 유리 X에 대하여 상기 평행광 투과율을 측정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중간막은, 이하의 (1) 내지 (3)의 각 부를 갖는다. (1)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타단측을 향하여 평행광 투과율이 연속적으로 감소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를 초과하는 그라데이션부. (2)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일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이 60% 이상인 투명부. (3)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농색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 평행광 투과율이 균일한 농색부가 존재하고, 따라서,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는,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측에 타단을 갖고, 상기 타단의 두께가 상기 일단의 두께보다도 크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에 대하여 상기 평행광 투과율을 측정했을 때에, 접합 유리는, 이하의 (1) 내지 (3)의 각 부를 갖는다. (1)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타단측을 향하여 평행광 투과율이 연속적으로 감소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를 초과하는 그라데이션부. (2)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일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이 60% 이상인 투명부. (3)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농색부.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 평행광 투과율이 균일한 농색부가 존재하고, 따라서,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는, 도 1에 도시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의 (a) 내지 (c)는 셰이드 영역을 갖는 종래의 쐐기상의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7의 (a) 및 (b)는 셰이드 영역을 갖는 종래의 쐐기상의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8의 (a) 및 (b)는 셰이드 영역을 갖는 종래의 쐐기상의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상세를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본 명세서에 있어서, 「중간막」이라고 약기하는 경우가 있다)은 접합 유리에 사용된다.
상기 중간막은, 1층의 구조 또는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다. 상기 중간막은, 1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2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은, 2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3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3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4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4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중간막은, 5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5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6층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되고, 6층 이상의 구조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은, 제1 층만을 구비하는 1층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단층의 중간막)이어도 되고, 제1 층과 다른 층을 구비하는 2층 이상의 구조를 갖는 중간막(다층의 중간막)이어도 된다. 중간막은, 이들 구조를, 중간막의 일부에 갖고 있어도 되고, 중간막의 전체에 갖고 있어도 된다. 중간막의 구조는 부분적으로 달라도 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중간막은,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측에 타단을 갖는다.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은, 중간막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단부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중간막에서는, 상기 타단의 두께가 상기 일단의 두께보다도 크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중간막을 JIS R3202:1996에 준거한 2매의 클리어 유리의 사이에 배치하여 접합 유리 X를 얻는다. 상기 접합 유리 X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JIS R3202:1996에 준거한 두께 2㎜의 클리어 유리 2매의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서 적층체를 얻는다. 얻어진 적층체를 고무 백 내에 넣고, 2.6kPa의 진공도에서 20분간 탈기한 후, 탈기한 채 오븐 내로 옮기고, 또한 90℃에서 30분간 유지하고 진공 프레스하여, 적층체를 예비 압착한다.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135℃ 및 압력 1.2MPa의 조건에서,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20분간 압착하여, 접합 유리 X를 얻는다.
본 발명에서는, 얻어진 접합 유리 X에 대해서 하기의 평행광 투과율을 행한다. 상기 중간막의 일단측은, 접합 유리 X의 일단측에 대응한다. 상기 중간막의 타단측은, 접합 유리 X의 타단측에 대응한다. 또한, 상기 중간막의 일단은, 접합 유리 X의 일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중간막의 타단은, 접합 유리 X의 타단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평행광 투과율의 측정: (1)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2㎝의 위치를 시점으로 하여, 상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1㎝ 간격마다 복수의 지점 A를 선택한다. (2) 각 지점 A에 있어서 접합 유리 X의 평행광 투과율을 측정한다. (3) x축 방향을 「상기 일단으로부터의 거리」로 하고, y축 방향을 「평행광 투과율」로 하고, 1개의 지점 A와 해당 지점 A로부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1㎝ 떨어진 2개의 지점과의 3개의 지점으로부터, 2㎝의 영역에서의 근사 직선을 작성한다. 근사 직선으로부터 구해지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을, 상기 1개의 지점 A에 있어서의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으로 한다. 지점 A 각각에 대해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을 구한다.
상기 (1)에 있어서, 1㎝씩 어긋나게 하여, 각 지점 A가 설정된다. 중간막의 일단측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1㎝ 간격의 지점이 선택할 수 있는 위치(간격이 1㎝ 미만이 안되는 위치 또한 지점 A와 상기 타단의 거리가 2㎝ 미만이 안되는 위치)까지 지점을 선택한다. 중간막의 상기 일단측에 가장 가까운 지점 A는, 중간막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2㎝의 위치의 지점 A1이며, 다음 지점 A는, 중간막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3㎝의 위치의 지점 A2이다. 다음 지점 A는, 중간막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4㎝의 위치의 지점 A3이다. 지점 An은, 중간막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해서 (n+1)㎝의 위치(n은 자연수)이다. 지점 A1, 지점 A2 및 지점 A3은 각각, 상기 (1)에 있어서, 1㎝씩 어긋나게 하여 설정되는 지점 A에 포함된다. 중간막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1㎝의 위치의 지점을, 편의상, 지점 A0로 한다. 또한, 지점 A0은, 상기 (1)에 있어서, 1㎝씩 어긋나게 하여 설정되는 지점 A에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2)에 있어서, 각 지점 A의 위치에 있어서, 접합 유리 X의 평행광 투과율이 측정된다. 따라서, 지점 A의 수만큼, 평행광 투과율의 값이 얻어진다. 접합 유리 X의 평행광 투과율은, JIS R3106:1998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된다.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투과한 평행광만이 적분구에 수광되도록, 광원과 적분구의 광로 상에서 광축의 법선에 평행하게, 또한 적분구로부터 13㎝ 떨어진 지점에, 상기 접합 유리 X를 설치한다. 상기 평행광 투과율은, 이 상태에서 측정된 분광 투과율로부터 산출된 가시광선 투과율을 의미한다. 상기 분광 광도계로서는, 예를 들어, 히타치 하이테크사제 「U-410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3)에 있어서, 「중간막의 상기 일단측에 가장 가까운 지점 A1과 해당 지점 A1로부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1㎝ 떨어진 2개의 지점과의 3개의 지점」은, 이하의 3개의 지점이다. 중간막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1㎝의 지점, 2㎝의 지점 및 3㎝의 지점. 바꿔 말하면, 상기 지점 A0, 지점 A1 및 지점 A2. 지점 A0, 지점 A1 및 지점 A2의 평행광 투과율로부터, x축 방향을 「상기 일단으로부터의 거리」로 하고, y축 방향을 「평행광 투과율」로 하고, 근사 직선을 작성한다. 얻어진 근사 직선으로부터 구해지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의 비율의 절댓값을, 「지점 A1에 있어서의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으로 한다.
상기 (3)에 있어서, 「중간막의 상기 일단측에 2번째로 가까운 지점 A2와 해당 지점 A2로부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1㎝ 떨어진 2개의 지점과의 3개의 지점」은, 이하의 3개의 지점이다. 중간막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2㎝의 지점, 3㎝의 지점 및 4㎝의 지점. 바꿔 말하면, 상기 지점 A1, 지점 A2 및 지점 A3. 지점 A1, 지점 A2 및 지점 A3의 평행광 투과율로부터, x축 방향을 「상기 일단으로부터의 거리」로 하고, y축 방향을 「평행광 투과율」로 하고, 근사 직선을 작성한다. 얻어진 근사 직선으로부터 구해지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의 비율의 절댓값을, 「지점 A2에 있어서의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마찬가지로 하여, 「지점 A3에 있어서의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 및 「지점 A(n-1)에 있어서의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이 산출된다. 상기 지점 A는 상기와 같이 선택되므로, 상기 근사 곡선을 제작하기 위한 상기 3개의 지점은,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1㎝ 미만의 영역에 존재하지 않고, 또한 상기 타단으로부터 상기 일단을 향하여 1㎝ 미만의 영역에 존재하지 않는다.
접합 유리 X에 대하여 상기 평행광 투과율을 측정했을 때에, 상기 중간막은, 이하의 (1) 내지 (3)의 각 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그라데이션부를 정한 후, 투명부 및 농색부를 정한다.
(1)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타단측을 향하여 평행광 투과율이 연속적으로 감소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를 초과하는 그라데이션부.
(2)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일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이 60% 이상인 투명부.
(3)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농색부.
따라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중간막은,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투명부, 그라데이션부, 농색부를 이 순으로 갖는다. 그라데이션부와 농색부에 의해 셰이드 영역이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중간막은, 투명부, 그라데이션부, 농색부의 3개의 부위의 어느 곳에도 상당하지 않는 부위를 갖고 있어도 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중간막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 평행광 투과율이 균일한 농색부가 존재하고, 따라서,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중간막에서는, 타단의 두께가 일단의 두께보다도 큼에도 불구하고,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 평행광 투과율이 균일한 농색부를 갖고, 따라서,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농색부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와,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를 초과하는 지점 A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복수의 지점 A 중,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를, 지점 Aa로 한다. 상기 복수의 지점 A 중,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를 초과하는 지점 A를, 지점 Ab로 한다. 이 경우에, 상기 농색부에 있어서, 지점 Aa가 1개 이상 존재한다. 상기 농색부에 있어서, 지점 Aa에 추가로, 지점 Ab가 1개 이상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3)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농색부.」는, 「(3)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a를 하나 이상 포함하는 농색부.」를 의미한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먼저, 셰이드 영역을 갖는 종래의 쐐기상의 중간막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6의 (a) 내지 (c), 도 17의 (a) 및 (b) 및 도 18의 (a) 및 (b)는 셰이드 영역을 갖는 종래의 쐐기상의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6의 (a)에 도시하는 중간막(100)은 일단(100a)와 타단(100b)를 갖는다. 타단(100b)의 두께는, 일단(100a)의 두께보다도 크다. 중간막(100)은 제1 층(101)과, 착색층(104)을 구비한다. 착색층(104)은 제1 층(101)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00)은 셰이드 영역(R4)을 갖는다. 셰이드 영역(R4)은, 착색층(104)이 존재하는 영역에 대응한다.
도 16의 (b)에 도시하는 중간막(100A)은 일단(100Aa)와 타단(100Ab)를 갖는다. 타단(100Ab)의 두께는, 일단(100Aa)의 두께보다도 크다. 중간막(100A)은 제1 층(101A)과, 제2 층(102A)과, 제3 층(103A)과, 착색층(104A)을 구비한다. 착색층(104A)은 제2 층(102A)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00A)은 셰이드 영역(R4)을 갖는다. 셰이드 영역(R4)은, 착색층(104A)이 존재하는 영역에 대응한다.
도 16의 (c)에 도시하는 중간막(100B)은 일단(100Ba)와 타단(100Bb)를 갖는다. 타단(100Bb)의 두께는, 일단(100Ba)의 두께보다도 크다. 중간막(100B)은 제1 층(101B)과, 제2 층(102B)과, 제3 층(103B)과, 착색층(104B)을 구비한다. 착색층(104B)은 제1 층(101B)과 제2 층(102B)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00B)은 셰이드 영역(R4)을 갖는다. 셰이드 영역(R4)은, 착색층(104B)이 존재하는 영역에 대응한다.
도 17의 (a)에 도시하는 중간막(100C)은 일단(100Ca)와 타단(100Cb)를 갖는다. 타단(100Cb)의 두께는, 일단(100Ca)의 두께보다도 크다. 중간막(100C)에서는, 일단(100Ca)측부터 타단(100Cb)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은 균일하지 않다. 중간막(100C)은 일단(100Ca)측부터 타단(100Cb)측에 걸쳐서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을 갖는다. 중간막(100C)은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 중에, 일단(100Ca)측부터 타단(100Cb)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는다. 중간막(100C)은 제1 층(101C)과, 제2 층(102C)과, 제3 층(103C)과, 착색층(104C)을 구비한다. 착색층(104C)은 제2 층(102C)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00C)은 셰이드 영역(R4)을 갖는다. 셰이드 영역(R4)은, 착색층(104C)이 존재하는 영역에 대응한다.
도 17의 (b)에 도시하는 중간막(100D)은 일단(100Da)와 타단(100Db)를 갖는다. 타단(100Db)의 두께는, 일단(100Da)의 두께보다도 크다. 중간막(100D)에서는, 일단(100Da)측부터 타단(100Db)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은 균일하지 않다. 중간막(100D)의 외형은, 중간막(100C)의 외형과 마찬가지이다. 중간막(100D)은 제1 층(101D)과, 제2 층(102D)과, 제3 층(103D)과, 착색층(104D)을 구비한다. 착색층(104D)은 제1 층(101D)과 제2 층(102D)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00D)은 셰이드 영역(R4)을 갖는다. 셰이드 영역(R4)은, 착색층(104D)이 존재하는 영역에 대응한다.
도 18의 (a)에 도시하는 중간막(100E)은 일단(100Ea)와 타단(100Eb)를 갖는다. 타단(100Eb)의 두께는, 일단(100Ea)의 두께보다도 크다. 중간막(100E)은 제1 층(101E)과, 제2 층(102E)과, 제3 층(103E)과, 착색층(104E)을 구비한다. 착색층(104E)은 제2 층(102E) 내에 매립되어 있다. 제1 층(101E) 및 제3 층(103E)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인 부분과 직사각형인 부분을 갖는다. 제2 층(102E)과 착색층(104E)을 합친 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인 부분과 직사각형인 부분을 갖는다. 제2 층(102E)과 착색층(104E)을 합친 층에 있어서의 착색층(104E)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제2 층(102E)과 착색층(104E)을 합친 층에 있어서의 착색층(104E)이 존재하는 부분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중간막(100E)은 셰이드 영역(R4)을 갖는다. 셰이드 영역(R4)은, 착색층(104E)이 존재하는 영역에 대응한다.
도 18의 (b)에 도시하는 중간막(100F)은 일단(100Fa)와 타단(100Fb)를 갖는다. 타단(100Fb)의 두께는, 일단(100Fa)의 두께보다도 크다. 중간막(100F)의 외형은, 중간막(100E)의 외형과 마찬가지이다. 중간막(100F)은 제1 층(101F)과, 제2 층(102F)과, 제3 층(103F)과, 착색층(104F)을 구비한다. 착색층(104F)은 제1 층(101F)과 제2 층(102F)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00F)은 셰이드 영역(R4)을 갖는다. 셰이드 영역(R4)은, 착색층(104F)이 존재하는 영역에 대응한다.
중간막(100, 100A 내지 100F)에서는, 해당 중간막의 두께 변화에 수반하여, 착색층(104, 104A 내지 104F)의 두께도 변화하고 있다. 따라서, 중간막(100, 100A 내지 100F)에서는, 셰이드 영역(R4)에 있어서, 평행광 투과율이 균일한 영역은 존재하지 않는다. 중간막(100, 100A 내지 100F)에서는, 셰이드 영역(R4)에 있어서, 일단(100a, 100Aa 내지 100Fa)측으로부터 타단(100b, 100Ab 내지 100Fb)측을 향하여, 평행광 투과율은 연속적으로 감소한다.
이어서, 셰이드 영역을 갖는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 형태의 중간막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의 실시 형태에 있어서, 서로 다른 개소가 치환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도시하는 중간막(1)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중간막(1)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다. 도 1의 좌우 방향이 폭 방향이며, 앞측-안측 방향이 길이 방향이다.
중간막(1)은 제1 층(11)과, 제2 층(12)과, 제3 층(13)과, 착색층(14)을 구비한다. 제1 층(11)의 제1 표면(한쪽 표면)측에, 제2 층(12)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층(11)의 제1 표면에, 제2 층(12)이 적층되어 있다. 제1 층(11)과 제2 층(12)은 접하고 있다. 제1 층(11)의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다른 쪽 표면)측에, 제3 층(13)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층(11)의 제2 표면에, 제3 층(13)이 적층되어 있다. 제1 층(11)과 제3 층(13)은 접하고 있다. 제1 층(11)은 제2 층(12)과 제3 층(13)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착색층(14)은 제2 층(12)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의 타단(1b)측에 있어서, 착색층(14)은 제2 층(12)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의 폭 방향의 타단(1b)측에 있어서, 착색층(14)은 제2 층(12) 내에 매립되어 있다. 착색층(14)과 제1 층(11)은 접하고 있지 않다.
제1 층(11) 및 제3 층(13)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제2 층(12)과 착색층(14)을 합친 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제1 층(11) 및 제3 층(13)의 두께는, 타단(1b)측쪽이 일단(1a)측보다도 크다.
중간막(1)에서는, 타단(1b)의 두께가, 일단(1a)의 두께보다도 두껍다. 중간막(1)에서는, 일단(1a)측부터 타단(1b)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은 균일하다.
중간막(1)은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를 갖는다. 투명부(R1)는 중간막(1)의 일단(1a)측에 존재하고, 농색부(R3)는 중간막(1)의 타단(1b)측에 존재하고, 그라데이션부(R2)는 투명부(R1)와 농색부(R3) 사이에 존재한다.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는 이어져 있다.
투명부(R1)는, 제1 층(11)과, 제2 층(12)과, 제3 층(13)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 및 농색부(R3)는, 제1 층(11)과, 제2 층(12)과, 제3 층(13)과, 착색층(14)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에 의해, 셰이드 영역(R4)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에 있어서, 착색층(14)의 두께는, 일단(1a)측으로부터 타단(1b)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농색부(R3)에 있어서, 착색층(14)의 두께는 균일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2에 도시하는 중간막(1A)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중간막(1A)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A)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다. 도 2의 좌우 방향이 폭 방향이며, 앞측-안측 방향이 길이 방향이다.
중간막(1A)은 제1 층(11A)과, 제2 층(12A)과, 제3 층(13A)과, 착색층(14A)을 구비한다. 제1 층(11A)의 제1 표면(한쪽 표면)측에, 제2 층(12A)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층(11A)의 제1 표면에, 제2 층(12A)이 적층되어 있다. 제1 층(11A)과 제2 층(12A)은 접하고 있다. 제1 층(11A)의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제3 층(13A)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층(11A)의 제2 표면에, 제3 층(13A)이 적층되어 있다. 제1 층(11A)과 제3 층(13A)은 접하고 있다. 제1 층(11A)은 제2 층(12A)과 제3 층(13A)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착색층(14A)은 제1 층(11A)과 제2 층(12A)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A)의 타단(1Ab)측에 있어서, 착색층(14A)은 제1 층(11A)과 제2 층(12A)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A)의 폭 방향의 타단(1Ab)측에 있어서, 착색층(14A)은 제1 층(11A)과 제2 층(12A)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착색층(14A)과 제1 층(11A) 및 제2 층(12A)은 접하고 있다.
제1 층(11A) 및 제3 층(13A)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제2 층(12A)과 착색층(14A)을 합친 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제1 층(11A) 및 제3 층(13A)의 두께는, 타단(1Ab)측쪽이 일단(1Aa)측보다도 크다.
중간막(1A)에서는, 타단(1Ab)의 두께가, 일단(1Aa)의 두께보다도 두껍다. 중간막(1A)에서는, 일단(1Aa)측부터 타단(1Ab)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은 균일하다.
중간막(1A)은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를 갖는다. 투명부(R1)는 중간막(1A)의 일단(1Aa)측에 존재하고, 농색부(R3)는 중간막(1A)의 타단(1Ab)측에 존재하고, 그라데이션부(R2)는 투명부(R1)와 농색부(R3) 사이에 존재한다.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는 이어져 있다.
투명부(R1)는, 제1 층(11A)과, 제2 층(12A)과, 제3 층(13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 및 농색부(R3)는, 제1 층(11A)과, 제2 층(12A)과, 제3 층(13A)과, 착색층(14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에 의해, 셰이드 영역(R4)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에 있어서, 착색층(14A)의 두께는, 일단(1Aa)측으로부터 타단(1Ab)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농색부(R3)에 있어서, 착색층(14A)의 두께는 균일하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도시하는 중간막(1B)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중간막(1B)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B)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다. 도 3의 좌우 방향이 폭 방향이며, 앞측-안측 방향이 길이 방향이다.
중간막(1B)은 제1 층(11B)과, 제2 층(12B)과, 제3 층(13B)과, 착색층(14B)을 구비한다. 제1 층(11B)의 제1 표면(한쪽 표면)측에, 제2 층(12B)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층(11B)의 제1 표면에, 제2 층(12B)이 적층되어 있다. 제1 층(11B)과 제2 층(12B)은 접하고 있다. 제1 층(11B)의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제3 층(13B)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층(11B)의 제2 표면에, 제3 층(13B)이 적층되어 있다. 제1 층(11B)과 제3 층(13B)은 접하고 있다. 제1 층(11B)은 제2 층(12B)과 제3 층(13B)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착색층(14B)은 제2 층(12B)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B)의 타단(1Bb)측에 있어서, 착색층(14B)은 제2 층(12B)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B)의 폭 방향의 타단(1Bb)측에 있어서, 착색층(14B)은 제2 층(12B) 내에 매립되어 있다. 착색층(14B)과 제1 층(11B)은 접하고 있지 않다.
제1 층(11B) 및 제3 층(13B)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인 부분과 직사각형인 부분을 갖는다. 제2 층(12B)과 착색층(14B)을 합친 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인 부분과 직사각형인 부분을 갖는다. 제2 층(12B)과 착색층(14B)을 합친 층에 있어서의 착색층(14B)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제2 층(12B)과 착색층(14B)을 합친 층에 있어서의 착색층(14B)이 존재하는 부분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제1 층(11B) 및 제3 층(13B)의 두께는, 타단(1Bb)측쪽이 일단(1Ba)측보다도 크다.
중간막(1B)에서는, 타단(1Bb)의 두께가, 일단(1Ba)의 두께보다도 두껍다. 중간막(1B)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인 부분과 직사각형인 부분을 갖는다. 중간막(1B)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부분에 있어서, 일단(1Ba)측부터 타단(1Bb)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은 균일하다.
중간막(1B)은,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를 갖는다. 투명부(R1)는 중간막(1B)의 일단(1Ba)측에 존재하고, 농색부(R3)는 중간막(1B)의 타단(1Bb)측에 존재하고, 그라데이션부(R2)는 투명부(R1)와 농색부(R3) 사이에 존재한다.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는 이어져 있다. 투명부(R1)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투명부(R1)는, 제1 층(11B)과, 제2 층(12B)과, 제3 층(13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 및 농색부(R3)는, 제1 층(11B)과, 제2 층(12B)과, 제3 층(13B)과, 착색층(14B)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에 의해, 셰이드 영역(R4)이 구성되어 있다. 셰이드 영역(R4)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그라데이션부(R2)에 있어서, 착색층(14B)의 두께는, 일단(1Ba)측으로부터 타단(1Bb)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농색부(R3)에 있어서, 착색층(14B)의 두께는 균일하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4에 도시하는 중간막(1C)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중간막(1C)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C)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다. 도 4의 좌우 방향이 폭 방향이며, 앞측-안측 방향이 길이 방향이다.
중간막(1C)은 제1 층(11C)과, 제2 층(12C)과, 제3 층(13C)과, 착색층(14C)을 구비한다. 제1 층(11C)의 제1 표면(한쪽 표면)측에, 제2 층(12C)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층(11C)의 제1 표면에, 제2 층(12C)이 적층되어 있다. 제1 층(11C)과 제2 층(12C)은 접하고 있다. 제1 층(11C)의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제3 층(13C)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층(11C)의 제2 표면에, 제3 층(13C)이 적층되어 있다. 제1 층(11C)과 제3 층(13C)은 접하고 있다. 제1 층(11C)은 제2 층(12C)과 제3 층(13C)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착색층(14C)은 제1 층(11C)과 제2 층(12C)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C)의 타단(1Cb)측에 있어서, 착색층(14C)은 제1 층(11C)과 제2 층(12C)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C)의 폭 방향의 타단(1Cb)측에 있어서, 착색층(14C)은 제1 층(11C)과 제2 층(12C)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착색층(14C)과 제1 층(11C) 및 제2 층(12C)은 접하고 있다.
제1 층(11C) 및 제3 층(13C)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인 부분과 직사각형인 부분을 갖는다. 제2 층(12C)과 착색층(14C)을 합친 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인 부분과 직사각형인 부분을 갖는다. 제2 층(12C)과 착색층(14C)을 합친 층에 있어서의 착색층(14C)이 존재하지 않는 부분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제2 층(12C)과 착색층(14C)을 합친 층에 있어서의 착색층(14C)이 존재하는 부분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제1 층(11C) 및 제3 층(13C)의 두께는, 타단(1Cb)측쪽이 일단(1Ca)측보다도 크다.
중간막(1C)에서는, 타단(1Cb)의 두께가, 일단(1Ca)의 두께보다도 두껍다. 중간막(1C)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인 부분과 직사각형인 부분을 갖는다. 중간막(1C)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부분에 있어서, 일단(1Ca)측부터 타단(1Cb)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은 균일하다.
중간막(1C)은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를 갖는다. 투명부(R1)는 중간막(1C)의 일단(1Ca)측에 존재하고, 농색부(R3)는 중간막(1C)의 타단(1Cb)측에 존재하고, 그라데이션부(R2)는 투명부(R1)와 농색부(R3) 사이에 존재한다.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는 이어져 있다. 투명부(R1)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투명부(R1)는, 제1 층(11C)과, 제2 층(12C)과, 제3 층(13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 및 농색부(R3)는, 제1 층(11C)과, 제2 층(12C)과, 제3 층(13C)과, 착색층(14C)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에 의해, 셰이드 영역(R4)이 구성되어 있다. 셰이드 영역(R4)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그라데이션부(R2)에 있어서, 착색층(14C)의 두께는, 일단(1Ca)측으로부터 타단(1Cb)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농색부(R3)에 있어서, 착색층(14C)의 두께는 균일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5에 도시하는 중간막(1D)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중간막(1D)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D)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다. 도 5의 좌우 방향이 폭 방향이며, 앞측-안측 방향이 길이 방향이다.
중간막(1D)은 제1 층(11D)과, 제2 층(12D)과, 제3 층(13D)과, 착색층(14D)을 구비한다. 제1 층(11D)의 제1 표면(한쪽 표면)측에, 제2 층(12D)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층(11D)의 제1 표면에, 제2 층(12D)이 적층되어 있다. 제1 층(11D)과 제2 층(12D)은 접하고 있다. 제1 층(11D)의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제3 층(13D)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층(11D)의 제2 표면에, 제3 층(13D)이 적층되어 있다. 제1 층(11D)과 제3 층(13D)은 접하고 있다. 제1 층(11D)은 제2 층(12D)과 제3 층(13D)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착색층(14D)은 제2 층(12D)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D)의 타단(1Db)측에 있어서, 착색층(14D)은 제2 층(12D)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D)의 폭 방향의 타단(1Db)측에 있어서, 착색층(14D)은 제2 층(12D) 내에 매립되어 있다. 착색층(14D)과 제1 층(11D)은 접하고 있지 않다.
제1 층(11D) 및 제3 층(13D)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제2 층(12D)과 착색층(14D)을 합친 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제1 층(11D) 및 제3 층(13D)의 두께는, 타단(1Db)측쪽이 일단(1Da)측보다도 크다.
중간막(1D)에서는, 타단(1Db)의 두께가, 일단(1Da)의 두께보다도 두껍다. 중간막(1D)에서는, 일단(1Da)측부터 타단(1Db)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은 균일하지 않다.
중간막(1D)은 일단(1Da)측부터 타단(1Db)측에 걸쳐서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을 갖는다. 중간막(1D)은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 중에, 일단(1Da)측부터 타단(1Db)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는다. 또한, 중간막(1D)은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영역을 갖는다. 중간막(1D)은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영역 중에, 일단(1Da)측부터 타단(1Db)측에 걸쳐서 쐐기각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는다.
중간막(1D)은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를 갖는다. 투명부(R1)는 중간막(1D)의 일단(1Da)측에 존재하고, 농색부(R3)는 중간막(1D)의 타단(1Db)측에 존재하고, 그라데이션부(R2)는 투명부(R1)와 농색부(R3) 사이에 존재한다.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는 이어져 있다.
투명부(R1)는, 제1 층(11D)과, 제2 층(12D)과, 제3 층(13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 및 농색부(R3)는, 제1 층(11D)과, 제2 층(12D)과, 제3 층(13D)과, 착색층(14D)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에 의해, 셰이드 영역(R4)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에 있어서, 착색층(14D)의 두께는, 일단(1Da)측으로부터 타단(1Db)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농색부(R3)에 있어서, 착색층(14D)의 두께는 균일하다.
도 6은, 본 발명의 제6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6에 도시하는 중간막(1E)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중간막(1E)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E)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다. 도 6의 좌우 방향이 폭 방향이며, 앞측-안측 방향이 길이 방향이다.
중간막(1E)은 제1 층(11E)과, 제2 층(12E)과, 제3 층(13E)과, 착색층(14E)을 구비한다. 제1 층(11E)의 제1 표면(한쪽 표면)측에, 제2 층(12E)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층(11E)의 제1 표면에, 제2 층(12E)이 적층되어 있다. 제1 층(11E)과 제2 층(12E)은 접하고 있다. 제1 층(11E)의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제3 층(13E)이 배치되어 있다. 제1 층(11E)의 제2 표면에, 제3 층(13E)이 적층되어 있다. 제1 층(11E)과 제3 층(13E)은 접하고 있다. 제1 층(11E)은 제2 층(12E)과 제3 층(13E)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착색층(14E)은 제1 층(11E)과 제2 층(12E)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E)의 타단(1Eb)측에 있어서, 착색층(14E)은 제1 층(11E)과 제2 층(12E)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E)의 폭 방향의 타단(1Eb)측에 있어서, 착색층(14E)은 제1 층(11E)과 제2 층(12E)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착색층(14E)과 제1 층(11E) 및 제2 층(12E)은 접하고 있다.
제1 층(11E) 및 제3 층(13E)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제2 층(12E)과 착색층(14E)을 합친 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제1 층(11E) 및 제3 층(13E)의 두께는, 타단(1Eb)측쪽이 일단(1Ea)측보다도 크다.
중간막(1E)에서는, 타단(1Eb)의 두께가, 일단(1Ea)의 두께보다도 두껍다. 중간막(1E)에서는, 일단(1Ea)측부터 타단(1Eb)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은 균일하지 않다.
중간막(1E)은 일단(1Ea)측부터 타단(1Eb)측에 걸쳐서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을 갖는다. 중간막(1E)은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 중에, 일단(1Ea)측부터 타단(1Eb)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는다. 또한, 중간막(1E)은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영역을 갖는다. 중간막(1E)은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영역 중에, 일단(1Ea)측부터 타단(1Eb)측에 걸쳐서 쐐기각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는다.
중간막(1E)은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를 갖는다. 투명부(R1)는 중간막(1E)의 일단(1Ea)측에 존재하고, 농색부(R3)는 중간막(1E)의 타단(1Eb)측에 존재하고, 그라데이션부(R2)는 투명부(R1)와 농색부(R3) 사이에 존재한다.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는 이어져 있다.
투명부(R1)는, 제1 층(11E)과, 제2 층(12E)과, 제3 층(13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 및 농색부(R3)는, 제1 층(11E)과, 제2 층(12E)과, 제3 층(13E)과, 착색층(14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에 의해, 셰이드 영역(R4)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에 있어서, 착색층(14E)의 두께는, 일단(1Ea)측으로부터 타단(1Eb)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농색부(R3)에 있어서, 착색층(14E)의 두께는 균일하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7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7에 도시하는 중간막(1F)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중간막(1F)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F)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다. 도 7의 좌우 방향이 폭 방향이며, 앞측-안측 방향이 길이 방향이다.
중간막(1F)은 적외선 반사층(15F)과, 제2 층(12F)과, 제3 층(13F)과, 착색층(14F)을 구비한다. 적외선 반사층(15F)의 제1 표면(한쪽 표면)측에, 제2 층(12F)이 배치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F)의 제1 표면에, 제2 층(12F)이 적층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F)과 제2 층(12F)은 접하고 있다. 적외선 반사층(15F)의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제3 층(13F)이 배치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F)의 제2 표면에, 제3 층(13F)이 적층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F)과 제3 층(13F)은 접하고 있다. 적외선 반사층(15F)은 제2 층(12F)과 제3 층(13F)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착색층(14F)은 제2 층(12F)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F)의 타단(1Fb)측에 있어서, 착색층(14F)은 제2 층(12F)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F)의 폭 방향의 타단(1Fb)측에 있어서, 착색층(14F)은 제2 층(12F) 내에 매립되어 있다. 착색층(14F)과 적외선 반사층(15F)은 접하고 있지 않다.
적외선 반사층(15F)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제3 층(13F)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제2 층(12F)과 착색층(14F)을 합친 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제3 층(13F)의 두께는, 타단(1Fb)측쪽이 일단(1Fa)측보다도 크다.
중간막(1F)에서는, 타단(1Fb)의 두께가, 일단(1Fa)의 두께보다도 두껍다. 중간막(1F)에서는, 일단(1Fa)측부터 타단(1Fb)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은 균일하다.
중간막(1F)은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를 갖는다. 투명부(R1)는 중간막(1F)의 일단(1Fa)측에 존재하고, 농색부(R3)는 중간막(1F)의 타단(1Fb)측에 존재하고, 그라데이션부(R2)는 투명부(R1)와 농색부(R3) 사이에 존재한다.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는 이어져 있다.
투명부(R1)는, 적외선 반사층(15F)과, 제2 층(12F)과, 제3 층(13F)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 및 농색부(R3)는, 적외선 반사층(15F)과, 제2 층(12F)과, 제3 층(13F)과, 착색층(14F)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에 의해, 셰이드 영역(R4)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에 있어서, 착색층(14F)의 두께는, 일단(1Fa)측으로부터 타단(1Fb)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농색부(R3)에 있어서, 착색층(14F)의 두께는 균일하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8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8에 도시하는 중간막(1G)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중간막(1G)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G)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다. 도 8의 좌우 방향이 폭 방향이며, 앞측-안측 방향이 길이 방향이다.
중간막(1G)은 적외선 반사층(15G)과, 제2 층(12G)과, 제3 층(13G)과, 착색층(14G)을 구비한다. 적외선 반사층(15G)의 제1 표면(한쪽 표면)측에, 제2 층(12G)이 배치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G)의 제1 표면에, 제2 층(12G)이 적층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G)과 제2 층(12G)은 접하고 있다. 적외선 반사층(15G)의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제3 층(13G)이 배치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G)의 제2 표면에, 제3 층(13G)이 적층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G)과 제3 층(13G)은 접하고 있다. 적외선 반사층(15G)은 제2 층(12G)과 제3 층(13G)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착색층(14G)은 적외선 반사층(15G)과 제2 층(12G)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G)의 타단(1Gb)측에 있어서, 착색층(14G)은 적외선 반사층(15G)과 제2 층(12G)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G)의 폭 방향의 타단(1Gb)측에 있어서, 착색층(14G)은 적외선 반사층(15G)과 제2 층(12G)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착색층(14G)과 적외선 반사층(15G) 및 제2 층(12G)은 접하고 있다.
적외선 반사층(15G)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제3 층(13G)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제2 층(12G)과 착색층(14G)을 합친 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제3 층(13G)의 두께는, 타단(1Gb)측쪽이 일단(1Ga)측보다도 크다.
중간막(1G)에서는, 타단(1Gb)의 두께가, 일단(1Ga)의 두께보다도 두껍다. 중간막(1G)에서는, 일단(1Ga)측부터 타단(1Gb)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은 균일하다.
중간막(1G)은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를 갖는다. 투명부(R1)는 중간막(1G)의 일단(1Ga)측에 존재하고, 농색부(R3)는 중간막(1G)의 타단(1Gb)측에 존재하고, 그라데이션부(R2)는 투명부(R1)와 농색부(R3) 사이에 존재한다.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는 이어져 있다.
투명부(R1)는, 적외선 반사층(15G)과, 제2 층(12G)과, 제3 층(13G)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 및 농색부(R3)는, 적외선 반사층(15G)과, 제2 층(12G)과, 제3 층(13G)과, 착색층(14G)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에 의해, 셰이드 영역(R4)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에 있어서, 착색층(14G)의 두께는, 일단(1Ga)측으로부터 타단(1Gb)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농색부(R3)에 있어서, 착색층(14G)의 두께는 균일하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9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9에 도시하는 중간막(1H)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중간막(1H)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H)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다. 도 9의 좌우 방향이 폭 방향이며, 앞측-안측 방향이 길이 방향이다.
중간막(1H)은 적외선 반사층(15H)과, 제2 층(12H)과, 제3 층(13H)과, 착색층(14H)을 구비한다. 적외선 반사층(15H)의 제1 표면(한쪽 표면)측에, 제2 층(12H)이 배치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H)의 제1 표면에, 제2 층(12H)이 적층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H)과 제2 층(12H)은 접하고 있다. 적외선 반사층(15H)의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제3 층(13H)이 배치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H)의 제2 표면에, 제3 층(13H)이 적층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H)과 제3 층(13H)은 접하고 있다. 적외선 반사층(15H)은 제2 층(12H)과 제3 층(13H)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착색층(14H)은 제2 층(12H)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H)의 타단(1Hb)측에 있어서, 착색층(14H)은 제2 층(12H)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H)의 폭 방향의 타단(1Hb)측에 있어서, 착색층(14H)은 제2 층(12H) 내에 매립되어 있다. 착색층(14H)과 적외선 반사층(15H)은 접하고 있지 않다.
적외선 반사층(15H)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제3 층(13H)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제2 층(12H)과 착색층(14H)을 합친 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제3 층(13H)의 두께는, 타단(1Hb)측쪽이 일단(1Ha)측보다도 크다.
중간막(1H)에서는, 타단(1Hb)의 두께가, 일단(1Ha)의 두께보다도 두껍다. 중간막(1H)에서는, 일단(1Ha)측부터 타단(1Hb)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은 균일하지 않다.
중간막(1H)은 일단(1Ha)측부터 타단(1Hb)측에 걸쳐서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을 갖는다. 중간막(1H)은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 중에, 일단(1Ha)측부터 타단(1Hb)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는다. 또한, 중간막(1H)은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영역을 갖는다. 중간막(1H)은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영역 중에, 일단(1Ha)측부터 타단(1Hb)측에 걸쳐서 쐐기각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는다.
중간막(1H)은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를 갖는다. 투명부(R1)는 중간막(1H)의 일단(1Ha)측에 존재하고, 농색부(R3)는 중간막(1H)의 타단(1Hb)측에 존재하고, 그라데이션부(R2)는 투명부(R1)와 농색부(R3) 사이에 존재한다.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는 이어져 있다.
투명부(R1)는, 적외선 반사층(15H)과, 제2 층(12H)과, 제3 층(13H)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 및 농색부(R3)는, 적외선 반사층(15H)과, 제2 층(12H)과, 제3 층(13H)과, 착색층(14H)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에 의해, 셰이드 영역(R4)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에 있어서, 착색층(14H)의 두께는, 일단(1Ha)측으로부터 타단(1Hb)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농색부(R3)에 있어서, 착색층(14H)의 두께는 균일하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10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에 도시하는 중간막(1I)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중간막(1I)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I)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다. 도 10의 좌우 방향이 폭 방향이며, 앞측-안측 방향이 길이 방향이다.
중간막(1I)은 적외선 반사층(15I)과, 제2 층(12I)과, 제3 층(13I)과, 착색층(14I)을 구비한다. 적외선 반사층(15I)의 제1 표면(한쪽 표면)측에, 제2 층(12I)이 배치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I)의 제1 표면에, 제2 층(12I)이 적층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I)과 제2 층(12I)은 접하고 있다. 적외선 반사층(15I)의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제3 층(13I)이 배치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I)의 제2 표면에, 제3 층(13I)이 적층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I)과 제3 층(13I)은 접하고 있다. 적외선 반사층(15I)은 제2 층(12I)과 제3 층(13I)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착색층(14I)은 적외선 반사층(15I)과 제2 층(12I)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I)의 타단(1Ib)측에 있어서, 착색층(14I)은 적외선 반사층(15I)과 제2 층(12I)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I)의 폭 방향의 타단(1Ib)측에 있어서, 착색층(14I)은 적외선 반사층(15I)과 제2 층(12I)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착색층(14I)과 적외선 반사층(15I) 및 제2 층(12I)은 접하고 있다.
적외선 반사층(15I)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제3 층(13I)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제2 층(12I)과 착색층(14I)을 합친 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제3 층(13I)의 두께는, 타단(1Ib)측쪽이 일단(1Ia)측보다도 크다.
중간막(1I)에서는, 타단(1Ib)의 두께가, 일단(1Ia)의 두께보다도 두껍다. 중간막(1I)에서는, 일단(1Ia)측부터 타단(1Ib)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은 균일하지 않다.
중간막(1I)은 일단(1Ia)측부터 타단(1Ib)측에 걸쳐서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을 갖는다. 중간막(1I)은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 중에, 일단(1Ia)측부터 타단(1Ib)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는다. 또한, 중간막(1I)은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영역을 갖는다. 중간막(1I)은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영역 중에, 일단(1Ia)측부터 타단(1Ib)측에 걸쳐서 쐐기각이 작아지는 부분을 갖는다.
중간막(1I)은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를 갖는다. 투명부(R1)는 중간막(1I)의 일단(1Ia)측에 존재하고, 농색부(R3)는 중간막(1I)의 타단(1Ib)측에 존재하고, 그라데이션부(R2)는 투명부(R1)와 농색부(R3) 사이에 존재한다.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는 이어져 있다.
투명부(R1)는, 적외선 반사층(15I)과, 제2 층(12I)과, 제3 층(13I)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 및 농색부(R3)는, 적외선 반사층(15I)과, 제2 층(12I)과, 제3 층(13I)과, 착색층(14I)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에 의해, 셰이드 영역(R4)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에 있어서, 착색층(14I)의 두께는, 일단(1Ia)측으로부터 타단(1Ib)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농색부(R3)에 있어서, 착색층(14I)의 두께는 균일하다.
도 11은, 본 발명의 제11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1에 도시하는 중간막(1J)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중간막(1J)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J)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다. 도 11의 좌우 방향이 폭 방향이며, 앞측-안측 방향이 길이 방향이다.
중간막(1J)은 적외선 반사층(15J)과, 제2 층(12J)과, 제3 층(13J)과, 착색층(14J)을 구비한다. 적외선 반사층(15J)의 제1 표면(한쪽 표면)측에, 제2 층(12J)이 배치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J)의 제1 표면에, 제2 층(12J)이 적층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J)과 제2 층(12J)은 접하고 있다. 적외선 반사층(15J)의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제3 층(13J)이 배치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J)의 제2 표면에, 제3 층(13J)이 적층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J)과 제3 층(13J)은 접하고 있다. 적외선 반사층(15J)은 제2 층(12J)과 제3 층(13J)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착색층(14J)은 제2 층(12J)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J)의 타단(1Jb)측에 있어서, 착색층(14J)은 제2 층(12J)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J)의 폭 방향의 타단(1Jb)측에 있어서, 착색층(14J)은 제2 층(12J) 내에 매립되어 있다. 착색층(14J)과 적외선 반사층(15J)은 접하고 있지 않다.
적외선 반사층(15J)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제3 층(13J)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인 부분과 직사각형인 부분을 갖는다. 제2 층(12J)과 착색층(14J)을 합친 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제3 층(13J)의 두께는, 타단(1Jb)측쪽이 일단(1Ja)측보다도 크다.
중간막(1J)에서는, 타단(1Jb)의 두께가, 일단(1Ja)의 두께보다도 두껍다. 중간막(1J)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인 부분과 직사각형인 부분을 갖는다. 중간막(1J)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부분에 있어서, 일단(1Ja)측부터 타단(1Jb)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은 균일하다.
중간막(1J)은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를 갖는다. 투명부(R1)는 중간막(1J)의 일단(1Ja)측에 존재하고, 농색부(R3)는 중간막(1J)의 타단(1Jb)측에 존재하고, 그라데이션부(R2)는 투명부(R1)와 농색부(R3) 사이에 존재한다.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는 이어져 있다. 투명부(R1)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투명부(R1)는, 적외선 반사층(15J)과, 제2 층(12J)과, 제3 층(13J)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 및 농색부(R3)는, 적외선 반사층(15J)과, 제2 층(12J)과, 제3 층(13J)과, 착색층(14J)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에 의해, 셰이드 영역(R4)이 구성되어 있다. 셰이드 영역(R4)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그라데이션부(R2)에 있어서, 착색층(14J)의 두께는, 일단(1Ja)측으로부터 타단(1Jb)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농색부(R3)에 있어서, 착색층(14J)의 두께는 균일하다.
도 12는, 본 발명의 제12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2에 도시하는 중간막(1K)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중간막(1K)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K)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다. 도 12의 좌우 방향이 폭 방향이며, 앞측-안측 방향이 길이 방향이다.
중간막(1K)은 적외선 반사층(15K)과, 제2 층(12K)과, 제3 층(13K)과, 착색층(14K)을 구비한다. 적외선 반사층(15K)의 제1 표면(한쪽 표면)측에, 제2 층(12K)이 배치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K)의 제1 표면에, 제2 층(12K)이 적층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K)과 제2 층(12K)은 접하고 있다. 적외선 반사층(15K)의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측에, 제3 층(13K)이 배치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K)의 제2 표면에, 제3 층(13K)이 적층되어 있다. 적외선 반사층(15K)과 제3 층(13K)은 접하고 있다. 적외선 반사층(15K)은 제2 층(12K)과 제3 층(13K)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착색층(14K)은 적외선 반사층(15K)과 제2 층(12K)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K)의 타단(1Kb)측에 있어서, 착색층(14K)은 적외선 반사층(15K)과 제2 층(12K)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K)의 폭 방향의 타단(1Kb)측에 있어서, 착색층(14K)은 적외선 반사층(15K)과 제2 층(12K) 사이에 매립되어 있다. 착색층(14K)과 적외선 반사층(15K) 및 제2 층(12K)은 접하고 있다.
적외선 반사층(15K)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제3 층(13K)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인 부분과 직사각형인 부분을 갖는다. 제2 층(12K)과 착색층(14K)을 합친 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제3 층(13K)의 두께는, 타단(1Kb)측쪽이 일단(1Ka)측보다도 크다.
중간막(1K)에서는, 타단(1Kb)의 두께가, 일단(1Ka)의 두께보다도 두껍다. 중간막(1K)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인 부분과 직사각형인 부분을 갖는다. 중간막(1K)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부분에 있어서, 일단(1Ka)측부터 타단(1Kb)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은 균일하다.
중간막(1K)은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를 갖는다. 투명부(R1)는 중간막(1K)의 일단(1Ka)측에 존재하고, 농색부(R3)는 중간막(1K)의 타단(1Kb)측에 존재하고, 그라데이션부(R2)는 투명부(R1)와 농색부(R3) 사이에 존재한다.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는 이어져 있다. 투명부(R1)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투명부(R1)는, 적외선 반사층(15K)과, 제2 층(12K)과, 제3 층(13K)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 및 농색부(R3)는, 적외선 반사층(15K)과, 제2 층(12K)과, 제3 층(13K)과, 착색층(14K)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에 의해, 셰이드 영역(R4)이 구성되어 있다. 셰이드 영역(R4)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그라데이션부(R2)에 있어서, 착색층(14K)의 두께는, 일단(1Ka)측으로부터 타단(1Kb)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농색부(R3)에 있어서, 착색층(14K)의 두께는 균일하다.
도 13은, 본 발명의 제13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3에 도시하는 중간막(1L)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중간막(1L)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L)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다. 도 13의 좌우 방향이 폭 방향이며, 앞측-안측 방향이 길이 방향이다.
중간막(1L)은 제1 층(11L)과, 착색층(14L)을 구비한다.
착색층(14L)은 제1 층(11L)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L)의 타단(1Lb)측에 있어서, 착색층(14L)은 제1 층(11L)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L)의 폭 방향의 타단(1Lb)측에 있어서, 착색층(14L)은 제1 층(11L)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L)에서는, 타단(1Lb)의 두께가, 일단(1La)의 두께보다도 두껍다. 중간막(1L)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제1 층(11L)과 착색층(14L)을 합친 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중간막(1L)에서는, 일단(1La)측부터 타단(1Lb)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은 균일하다.
중간막(1L)은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를 갖는다. 투명부(R1)는 중간막(1L)의 일단(1La)측에 존재하고, 농색부(R3)는 중간막(1L)의 타단(1Lb)측에 존재하고, 그라데이션부(R2)는 투명부(R1)와 농색부(R3) 사이에 존재한다.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는 이어져 있다.
투명부(R1)는, 제1 층(11L)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 및 농색부(R3)는, 제1 층(11L)과, 착색층(14L)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에 의해, 셰이드 영역(R4)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에 있어서, 착색층(14L)의 두께는, 일단(1La)측으로부터 타단(1Lb)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농색부(R3)에 있어서, 착색층(14L)의 두께는 균일하다.
도 13에 도시하는 중간막(1L)은 제1 층과 착색층을 구비하고, 또한 도 1에 도시하는 외형을 갖는 중간막이다. 상기 중간막은, 제1 층과 착색층을 구비하고, 또한 도 3,5에 도시하는 외형을 갖는 중간막이어도 된다.
도 14는, 본 발명의 제14 실시 형태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4에 도시하는 중간막(1M)은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사용된다. 중간막(1M)은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중간막(1M)은 길이 방향과 폭 방향을 갖는다. 도 14의 좌우 방향이 폭 방향이며, 앞측-안측 방향이 길이 방향이다.
중간막(1M)은 제1 층(11M)과, 착색층(14M)을 구비한다.
착색층(14M)은 제1 층(11M)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M)의 타단(1Mb)측에 있어서, 착색층(14M)은 제1 층(11M)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M)의 폭 방향의 타단(1Mb)측에 있어서, 착색층(14M)은 제1 층(11M) 내에 매립되어 있다.
중간막(1M)에서는, 타단(1Mb)의 두께가, 일단(1Ma)의 두께보다도 두껍다. 중간막(1M)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인 부분과 직사각형인 부분을 갖는다. 제1 층(11M)과 착색층(14M)을 합친 층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인 부분과 직사각형인 부분을 갖는다. 중간막(1M)에서는, 일단(1Ma)측부터 타단(1Mb)측에 걸쳐서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부분의 두께의 증가량은 균일하다.
중간막(1M)은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를 갖는다. 투명부(R1)는 중간막(1M)의 일단(1Ma)측에 존재하고, 농색부(R3)는 중간막(1M)의 타단(1Mb)측에 존재하고, 그라데이션부(R2)는 투명부(R1)와 농색부(R3) 사이에 존재한다.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는 이어져 있다. 투명부(R1)와 그라데이션부(R2)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이다. 농색부(R3)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직사각형이다.
투명부(R1)는, 제1 층(11M)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 및 농색부(R3)는, 제1 층(11M)과, 착색층(14M)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그라데이션부(R2)와, 농색부(R3)에 의해, 셰이드 영역(R4)이 구성되어 있다. 셰이드 영역(R4)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은, 쐐기상인 부분과 직사각형인 부분을 갖는다.
그라데이션부(R2)에 있어서, 착색층(14M)의 두께는, 일단(1Ma)측으로부터 타단(1Mb)측을 향하여 연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다. 농색부(R3)에 있어서, 착색층(14M)의 두께는 균일하다.
도 1 내지 14에 도시하는 중간막(1, 1A 내지 1M)에서는, 착색층의 두께가 변화함으로써, 그라데이션부가 형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중간막에서는, 착색층에 포함되는 착색제의 농도가 변화하고 있는 것에 의해, 그라데이션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예를 들어, 상기 중간막에서는, 착색층에 포함되는 착색제의 농도가, 일단측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진해지고 있는 것에 의해, 그라데이션부가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도 3, 4, 11, 12에 도시하는 중간막(1B, 1C, 1J, 1K)에서는, 투명부가, 중간막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그라데이션부 및 농색부가, 중간막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도 14에 도시하는 중간막(1M)에서는, 투명부 및 그라데이션부가, 중간막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고, 농색부가, 중간막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부분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에서는, 도 14에 도시하는 형상을 갖는 중간막과 같이, 투명부가, 중간막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직사각형인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되고, 그라데이션부 및 농색부가, 중간막의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 중간막은, 두께가 증가하고 있는 영역 중에, 일단측부터 타단측에 걸쳐서 두께의 증가량이 커지는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은, 두께 방향의 단면 형상이 쐐기상인 영역 중에, 일단측부터 타단측에 걸쳐서 쐐기각이 커지는 부분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그라데이션부는, 접합 유리 X에 대하여 상기 평행광 투과율을 측정했을 때에,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타단측을 향하여 평행광 투과율이 연속적으로 감소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를 초과하는 영역이다. 또한, 상기 그라데이션부에는, 상기 평행광 투과율이 60% 이상인 부분이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그라데이션부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이 0.3%/㎜를 초과하는 지점 A를 1개 이상 포함한다. 상기 그라데이션부에 포함되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를 초과하는 지점 A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다. 상기 그라데이션부에 포함되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를 초과하는 지점 A의 수는, 1500 이하여도 되고, 1450 이하여도 된다.
상기 투명부는, 접합 유리 X에 대하여 상기 평행광 투과율을 측정했을 때에,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일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이 60% 이상인 영역이다. 상기 투명부의 평행광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6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2% 이상이다.
상기 농색부는, 접합 유리 X에 대하여 상기 평행광 투과율을 측정했을 때에,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를 1개 이상 포함하는 영역이다.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에 있어서의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0.29%/㎜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8%/㎜ 이하이다.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농색부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29%/㎜ 이하인 지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28%/㎜ 이하인 지점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을 더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농색부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27%/㎜ 이하인 지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26%/㎜ 이하인 지점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농색부를 갖는다. 상기 농색부에 포함되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6 이상이다. 상기 농색부에 포함되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의 수가 많으면,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이 보다 한층 억제된다. 상기 농색부에 포함되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의 수는, 300 이하여도 되고, 299 이하여도 된다.
중간막은, 두께 균일 부위를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두께 균일 부위란, 중간막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서의 10㎝의 거리 범위당, 두께가 10㎛를 초과하여 변화하고 있지 않은 것을 말한다. 따라서, 상기 두께 균일 부위는, 중간막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서의 10㎝의 거리 범위당, 두께가 10㎛를 초과하여 변화하고 있지 않은 부위를 말한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두께 균일 부위는, 중간막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으로 두께가 전혀 변화하고 있지 않거나, 또는, 중간막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서의 10㎝의 거리 범위당, 두께가 10㎛ 이하로 변화하고 있는 부위를 말한다.
상기 두께 균일 부위는, 중간막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의 중앙의 위치보다도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 균일 부위의 중앙 위치는, 중간막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의 중앙의 위치보다도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 균일 부위의 중앙 위치와 상기 타단의 거리는, 상기 두께 균일 부위의 중앙 위치와 상기 일단의 거리보다도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 균일 부위는, 상기 농색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두께 균일 부위의 중앙 위치는, 상기 농색부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경우에는, 「지점 A에 있어서의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을 보다 한층 용이하게 조정할 수 있다.
중간막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부의 거리를 거리 L1로 한다. 중간막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그라데이션부의 거리를 거리 L2로 한다. 중간막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농색부의 거리를 거리 L3으로 한다. 거리 L1, L2, L3은, 도 1 내지 14에 도시하는 거리이다. 또한, 상기 중간막이 두께 균일 부위를 갖는 경우에, 중간막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두께 균일 부위의 거리를 거리 L4로 한다.
거리 L1은,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990㎜ 이하이다.
거리 L2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990㎜ 이하이다.
거리 L3은,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990㎜ 이하이다.
거리 L4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990㎜ 이하이다.
중간막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막의 거리를 거리 L로 한다.
거리 L1의, 거리 L에 대한 비(거리 L1/거리 L)는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9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7 이하이다.
거리 L2의, 거리 L에 대한 비(거리 L2/거리 L)는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9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7 이하이다.
거리 L3의, 거리 L에 대한 비(거리 L3/거리 L)는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9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7 이하이다.
거리 L4의, 거리 L에 대한 비(거리 L3/거리 L)는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9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7 이하이다.
중간막은,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0L 내지 0.2L의 거리의 영역에 최소 두께를 갖고,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하여 0L 내지 0.2L의 거리의 영역에 최대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최소 두께 및 최대 두께는, 0L 내지 0.2L의 거리의 영역의 어느 곳인가의 위치에 존재하고 있으면 된다. 중간막은,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0L 내지 0.1L의 거리의 영역에 최소 두께를 갖고,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하여 0L 내지 0.1L의 거리의 영역에 최대 두께를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막은 일단에 최소 두께를 갖고, 중간막은 타단에 최대 두께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은, 타단으로부터 일단을 향하여 0L 내지 0.98L의 거리의 영역에 두께 균일 부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두께 균일 부위는, 0L 내지 0.98L의 거리의 영역의 어느 곳인가의 위치에 존재하고 있으면 된다.
중간막의 최대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5㎜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8㎜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9㎜ 이하이다. 상기 중간막의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 및 굴곡 강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중간막의 두께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투명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중간막의 평균 두께를 T로 한다.
다층의 중간막에 있어서, 상기 제1 층의 평균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35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25T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T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4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75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T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5T 이하이다. 상기 제1 층의 평균 두께가 0.4T 이하이면, 굴곡 강성이 보다 한층 양호해진다.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평균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35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625T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1T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4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375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25T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15T 이하이다.
상기 착색층의 평균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1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T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3T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04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9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8T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97T 이하이다. 상기 착색층의 평균 두께는, 0.9T 이하여도 되고, 0.8T 이하여도 되고, 0.7T 이하여도 되고, 0.6T 이하여도 되고, 0.5T 이하여도 되고, 0.4T 이하여도 되고, 0.3T 이하여도 되고, 0.2T 이하여도 된다.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각 평균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3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125T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75T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97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375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T 이하이다.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각 평균 두께는, 0.46875T 이하여도 되고, 0.45T 이하여도 된다. 또한,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각 평균 두께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강성과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평균 두께의 합계는, 바람직하게는 0.625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T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85T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97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375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T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평균 두께의 합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강성과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착색층,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평균 두께의 합계는, 바람직하게는 0.625T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5T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85T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97T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375T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9T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의 평균 두께의 합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강성과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이중상을 억제하기 위해서, 접합 유리의 설치 각도에 따라, 중간막의 쐐기각(θ)을 적절히 설정할 수 있다. 쐐기각(θ)은 중간막 전체에서의 쐐기각이다.
이중상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중간막의 쐐기각(θ)은 바람직하게는 0.1mrad(0.00575도)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mrad(0.0115도)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mrad(0.1146도)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7mrad(0.0401도) 이하이다. 상기 쐐기각(θ)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트럭이나 버스 등의 프론트 글래스의 설치 각도가 큰 차에 적합한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쐐기각(θ)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스포츠카 등의 프론트 글래스의 설치 각도가 작은 차에 적합한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θ)은 중간막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 부분과 최소 두께 부분의 중간막의 일방측의 표면 부분(제1 표면 부분)을 연결한 직선과, 중간막에 있어서의 최대 두께 부분과 최소 두께 부분의 중간막의 타방측의 표면 부분(제2 표면 부분)을 연결한 직선의 교점에 있어서의 내각이다.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θ)은 이하와 같이 근사적으로 산출할 수 있다. 최대 두께 부분과 최소 두께 부분의 각각에서 중간막의 두께를 측정한다. (중간막의 최대 두께 부분에 있어서의 두께와, 중간막의 최소 두께 부분에 있어서의 두께의 차의 절댓값(㎛)÷최대 두께 부분과 최소 두께 부분의 거리(㎜))의 결과에 기초하여,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θ)을 근사적으로 산출한다.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 θ, 상기 중간막의 두께의 측정에 사용하는 측정기로서는, 접촉식 두께 계측기 「TOF-4R」(야마분 덴키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두께의 측정은, 상술한 측정기를 사용하여, 막 반송 속도 2.15㎜/분 내지 2.25㎜/분으로, 일단으로부터 타단을 향하여 최단 거리가 되도록 행한다.
상기 중간막을 접합 유리로 한 후의 상기 중간막의 쐐기각(θ), 상기 중간막의 두께의 측정에 사용하는 측정기로서는, 비접촉 다층막 두께 측정기 「OPTIGAUGE」(루메트릭스사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측정기를 사용함으로써, 접합 유리인채로 중간막의 두께를 측정할 수 있다.
중간막의 두께 방향의 표면과, 상기 착색층의 두께 방향의 표면의 최단 거리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990㎛ 이하이다. 상기 최단 거리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이염을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에 관계되는 중간막에 사용할 수 있는 각 재료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열가소성 수지)
중간막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0)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은, 열가소성 수지 (0)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0)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열가소성 수지 (1)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열가소성 수지 (2)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열가소성 수지 (3)으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층은, 열가소성 수지(이하, 열가소성 수지 (4)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층은, 열가소성 수지 (4)로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이하,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1)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 (2)와 상기 열가소성 수지 (3)과 상기 열가소성 수지 (4)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는 점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1)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2)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3)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는,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지는 점에서,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과 다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 (0), 상기 열가소성 수지 (1), 상기 열가소성 수지 (2), 상기 열가소성 수지 (3) 및 상기 열가소성 수지 (4)는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0),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는 각각,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열가소성 수지로서는,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아이오노머 수지 및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열가소성 수지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예를 들어, 폴리비닐알코올(PVA)을 알데히드에 의해 아세탈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는, 폴리비닐알코올의 아세탈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은, 예를 들어, 폴리아세트산비닐을 비누화함으로써 얻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비누화도는, 일반적으로 70몰% 내지 99.9몰%의 범위 내이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PVA)의 평균 중합도는, 바람직하게는 20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00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500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600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600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70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0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00 이하이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평균 중합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성형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알코올의 평균 중합도는, JIS K6726 「폴리비닐알코올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구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포함되는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할 때에 사용하는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3 내지 5인 것이 바람직하고, 3 또는 4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가 3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리 전이 온도가 충분히 낮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있어서의 아세탈기의 탄소수는 4 또는 5여도 된다.
상기 알데히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일반적으로는, 탄소수가 1 내지 10의 알데히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탄소수가 1 내지 10의 알데히드로서는, 예를 들어,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발레르알데히드, 2-에틸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n-옥틸알데히드, n-노닐알데히드, n-데실알데히드, 포름알데히드, 아세트알데히드 및 벤즈알데히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알데히드는,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이소부틸알데히드, n-헥실알데히드 또는 n-발레르알데히드인 것이 바람직하고, 프로피온알데히드, n-부틸알데히드 또는 이소부틸알데히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n-부틸알데히드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알데히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0)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1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8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4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5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서,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17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2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28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7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4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기계 강도가 보다 한층 높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이 20몰% 이상이면 반응 효율이 높고 생산성이 우수하고, 또한 28몰%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차음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서,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착색층이 상기 제1 층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경우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하다. 상기 착색층이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에 매립되어 있지 않고, 또한 상기 착색층이 중간막의 표면층이 아닌 경우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2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8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몰%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31.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2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33몰% 이상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은 바람직하게는 38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7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6.5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6몰% 이하이다.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접착력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서,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착색층이 상기 제2 층 또는 상기 제3 층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경우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하다. 상기 착색층이 중간막의 표면층인 경우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하다.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을 절댓값 A로 하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을 절댓값 B로 한다. 차음성을 더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절댓값 A 및 절댓값 B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몰% 이상이다. 절댓값 A 및 절댓값 B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착색층이 상기 제1 층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경우, 및 상기 착색층이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에 매립되어 있지 않고, 또한 상기 착색층이 중간막의 표면층이 아닌 경우가 있다. 이들 경우에,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을 절댓값 C로 하고,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을 절댓값 D로 한다. 차음성을 더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절댓값 C 및 절댓값 D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몰% 이상이다. 절댓값 C 및 절댓값 D는 각각,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착색층이 상기 제2 층 또는 상기 제3 층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경우, 및 상기 착색층이 중간막의 표면층인 경우가 있다. 이들 경우에,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의 수산기의 함유율보다도 낮은 것이 바람직하다. 차음성을 더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0몰%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12몰% 이상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수산기의 함유율과,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의 수산기의 함유율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수산기의 함유율은,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 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0)의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3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몰%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7몰%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9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4몰%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2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특히,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틸화도가 0.1몰% 이상 25몰% 이하이면, 내관통성이 우수하다.
상기 착색층이 상기 제1 층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경우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의 아세틸화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틸화도의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하다. 상기 착색층이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에 매립되어 있지 않고, 또한 상기 착색층이 중간막의 표면층이 아닌 경우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의 아세틸화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틸화도의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각 아세틸화도(아세틸기량)는 바람직하게는 0.01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틸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내습성이 높아진다.
상기 착색층이 상기 제2 층 또는 상기 제3 층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경우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의 아세틸화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아세틸화도의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하다. 상기 착색층이 중간막의 표면층인 경우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의 아세틸화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아세틸화도의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하다.
상기 아세틸화도는,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구한 몰 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다. 상기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은, 예를 들어,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0)의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3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47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8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80몰%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착색층이 상기 제1 층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경우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의 아세탈화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탈화도의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하다. 상기 착색층이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에 매립되어 있지 않고, 또한 상기 착색층이 중간막의 표면층이 아닌 경우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의 아세탈화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1)의 아세탈화도의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하다.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아세탈화도(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의 경우에는 부티랄화도)는 바람직하게는 55몰%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몰%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75몰%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1몰% 이하이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하한 이상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와 가소제의 상용성이 높아진다. 상기 아세탈화도가 상기 상한 이하이면,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제조하기 위하여 필요한 반응 시간이 짧아진다.
상기 착색층이 상기 제2 층 또는 상기 제3 층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경우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의 아세탈화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아세탈화도의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하다. 상기 착색층이 중간막의 표면층인 경우의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4)의 아세탈화도의 바람직한 범위는,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2) 및 상기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3)의 아세탈화도의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하다.
상기 아세탈화도는, 이하와 같이 하여 구한다. 우선,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부터, 수산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과, 아세틸기가 결합하고 있는 에틸렌기량을 차감한 값을 구한다. 얻어진 값을, 주쇄의 전체 에틸렌기량으로 제산하여 몰 분율을 구한다. 이 몰 분율을 백분율로 나타낸 값이 아세탈화도이다.
또한,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 산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단, ASTM D1396-92에 의한 측정을 사용해도 된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폴리비닐부티랄 수지인 경우에는, 상기 수산기의 함유율(수산기량), 상기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및 상기 아세틸화도는,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된 결과로 산출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중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 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상기 중간막 중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 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0중량% 이하이다. 상기 중간막의 열가소성 수지의 주성분(50중량% 이상)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 중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 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상기 제1 층 중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 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0중량% 이하이다. 상기 제1 층의 열가소성 수지의 주성분(50중량% 이상)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 중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 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상기 제2 층 중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 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0중량% 이하이다. 상기 제2 층의 열가소성 수지의 주성분(50중량% 이상)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 중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 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상기 제3 층 중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 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0중량% 이하이다. 상기 제3 층의 열가소성 수지의 주성분(50중량% 이상)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층 중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 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0중량%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50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90중량% 이상이다. 상기 착색층 중에 포함되는 열가소성 수지 100중량% 중,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100중량% 이하이다. 상기 착색층의 열가소성 수지의 주성분(50중량% 이상)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소제)
중간막의 접착력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본 발명에 관계되는 중간막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0)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1)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2)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3)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층은, 가소제(이하, 가소제 (4)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에 포함되어 있는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인 경우에, 중간막(각 층)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를 포함하는 층은, 가소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가소제로서, 종래 공지된 가소제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가소제로서는, 1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 및 다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 등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 그리고 유기 인산 가소제 및 유기 아인산 가소제 등의 유기 인산 가소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액상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1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로서는, 글리콜과 1염기성 유기산의 반응에 의해 얻어진 글리콜에스테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글리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 테트라에틸렌글리콜 및 트리프로필렌글리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1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부티르산, 이소부티르산, 카프로산, 2-에틸부티르산, 헵틸산, n-옥틸산, 2-에틸헥실산, n-노닐산, 데실산 및 벤조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에스테르로서는, 다염기성 유기산과, 탄소수 4 내지 8의 직쇄 또는 분지 구조를 갖는 알코올의 에스테르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염기성 유기산으로서는, 아디프산, 세바스산 및 아젤라산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로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옥타노에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n-헵타노에이트, 디부틸세바케이트, 디옥틸아젤레이트, 디부틸카르비톨아디페이트, 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1,4-부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펜타노에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카프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 디프로필렌글리콜디벤조에이트, 아디프산디헥실, 아디프산디옥틸, 아디프산헥실시클로헥실, 아디프산헵틸과 아디프산노닐의 혼합물, 아디프산디이소노닐, 아디프산디이소데실, 아디프산헵틸노닐, 세바스산디부틸, 유변성 세바스산알키드, 및 인산에스테르와 아디프산에스테르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유기 에스테르 가소제를 사용해도 된다. 상술한 아디프산에스테르 이외의 다른 아디프산에스테르를 사용해도 된다.
상기 유기 인산 가소제로서는, 트리부톡시에틸포스페이트, 이소데실페닐포스페이트 및 트리이소프로필포스페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가소제는,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디에스테르 가소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1
상기 식 (1) 중,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2 내지 10의 유기기를 나타내고, R3은, 에틸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또는 n-프로필렌기를 나타내고, p는 3 내지 10의 정수를 나타낸다. 상기 식 (1) 중의 R1 및 R2는 각각, 탄소수 5 내지 10의 유기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탄소수 6 내지 10의 유기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3GH)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프로파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가소제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또는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부티레이트(3GH)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를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에 있어서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 (0)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0)의 함유량을, 함유량 (0)으로 한다. 상기 함유량 (0)은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6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0)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함유량 (0)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의 투명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제1 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1)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1)의 함유량을, 함유량 (1)로 한다. 상기 함유량 (1)은 바람직하게는 5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60중량부 이상이다. 상기 함유량 (1)은 바람직하게는 10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9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85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1)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서,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함유량 (1)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착색층이 상기 제1 층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경우에, 상기 착색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4)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4)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4)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의 바람직한 범위는, 함유량 (1)의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하다. 상기 착색층이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에 매립되어 있지 않고, 또한 상기 착색층이 중간막의 표면층이 아닌 경우에, 상기 착색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4)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4)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4)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의 바람직한 범위는, 함유량 (1)의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하다.
상기 제2 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2)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2)의 함유량을, 함유량 (2)로 한다. 상기 제3 층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3)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3)의 함유량을, 함유량 (3)으로 한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5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보다 한층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24중량부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25중량부 이상이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45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40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35중량부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2중량부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중간막의 유연성이 높아져서, 중간막의 취급이 용이해진다. 상기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접합 유리의 내관통성이 보다 한층 높아진다.
상기 착색층이 상기 제2 층 또는 상기 제3 층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경우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 (4)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4)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4)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의 바람직한 범위는,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의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하다. 상기 착색층이 중간막의 표면층인 경우의 상기 열가소성 수지 (4) 100중량부에 대한 상기 가소제 (4)의 함유량(이하, 함유량 (4)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의 바람직한 범위는, 함유량 (2) 및 상기 함유량 (3)의 바람직한 범위와 동일하다.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함유량 (1)은 상기 함유량 (2)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함유량 (1)은 상기 함유량 (3)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층이 상기 제1 층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경우, 및 상기 착색층이 중간막의 표면층이 아닌 경우에,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함유량 (4)는 상기 함유량 (2)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고, 상기 함유량 (4)는 상기 함유량 (3)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층이 상기 제2 층 또는 상기 제3 층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경우, 및 상기 착색층이 중간막의 표면층인 경우에,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높이기 위해서, 상기 함유량 (1)은 상기 함유량 (4)보다도 많은 것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함유량 (2)와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 그리고 상기 함유량 (3)과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이다. 상기 함유량 (2)와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 그리고 상기 함유량 (3)과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착색층이 상기 제1 층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경우, 및 상기 착색층이 상기 제2 층 및 상기 제3 층에 매립되어 있지 않고, 또한 상기 착색층이 중간막의 표면층이 아닌 경우가 있다. 이 경우에,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함유량 (2)와 상기 함유량 (4)의 차의 절댓값, 그리고 상기 함유량 (3)과 상기 함유량 (4)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이다. 상기 함유량 (2)와 상기 함유량 (4)의 차의 절댓값, 그리고 상기 함유량 (3)과 상기 함유량 (4)의 차의 절댓값은 각각,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부 이하이다.
상기 착색층이 상기 제2 층 또는 상기 제3 층 내에 매립되어 있는 경우, 및 상기 착색층이 중간막의 표면층인 경우에, 접합 유리의 차음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함유량 (4)와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10중량부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5중량부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중량부 이상이다. 상기 함유량 (4)와 상기 함유량 (1)의 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80중량부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75중량부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70중량부 이하이다.
(착색제)
중간막은, 착색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층은, 착색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제로서는, 무기 입자, 안료 및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어, 카본 블랙 입자, 카본 나노튜브 입자, 그래핀 입자, 산화철 입자, 산화아연 입자, 탄산칼슘 입자, 알루미나 입자, 카올린 클레이 입자, 규산칼슘 입자, 산화마그네슘 입자, 수산화마그네슘 입자, 수산화알루미늄 입자, 탄산마그네슘 입자, 탈크 입자, 장석 분말 입자, 마이카 입자, 버라이트 입자, 탄산바륨 입자, 산화티타늄 입자, 실리카 입자 및 글래스 비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무기 입자는, 카본 블랙 입자, 카본 나노튜브 입자, 그래핀 입자, 탄산칼슘 입자, 산화티타늄 입자 또는 실리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탄산칼슘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이들 바람직한 무기 입자의 사용에 의해, 광이 투과했을 때에, 외관 불균일이 억제되어, 외관 의장성이 보다 한층 우수한 접합 유리가 얻어진다.
상기 무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5㎛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1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이하이다. 상기 평균 입자경은, 중량 평균 입자경을 나타낸다. 상기 평균 입자경은, 광산란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레이저를 광원으로서 동적 광산란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상기 광산란 측정 장치로서는, 예를 들어, 오츠카 덴시사제 「DLS-6000AL」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염료로서는, 피렌계 염료, 아미노케톤계 염료, 안트라퀴논계 염료, 및 아조계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염료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피렌계 염료로서는, Solvent Green5(CAS79869-59-3) 및 Solvent Green7(CAS6358-69-6)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미노케톤계 염료로서는, Solvent Yellow98(CAS12671-74-8), Solvent Yellow85(CAS12271-01-1) 및 Solvent Red179(CAS8910-94-5), 및 Solvent Red135(CAS71902-17-5)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안트라퀴논계 염료로서는, Solvent Yellow163(CAS13676091-0), Solvent Red207(CAS15958-69-6), Disperse Red92(CAS12236-11-2), Solvent Violet13(CAS81-48-1), Disperse Violet31(CAS6408-72-6), Solvent Blue97(CAS61969-44-6), Solvent Blue45(CAS37229-23-5), Solvent Blue104(CAS116-75-6) 및 Disperse Blue214(CAS104491-84-1)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아조계 염료로서는, Solvent Yellow30(CAS3321-10-4), Solvent Red164(CAS70956-30-8), 및 Disperse Blue146(CAS88650-91-3)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안료는, 유기 안료여도 되고, 무기 안료여도 된다. 상기 유기 안료는, 금속 원자를 갖는 유기 안료여도 되고, 금속 원자를 갖지 않는 유기 안료여도 된다. 상기 안료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유기 안료로서는,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퀴나크리돈 화합물, 아조 화합물, 펜타펜 화합물, 페릴렌 화합물, 인돌 화합물 및 디옥사진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착색제로서는, 예를 들어, 흑색 안료(카본 블랙)와, 적색 안료(C.I.Pigment red)와, 청색 안료(C.I.Pigment blue)와, 황색 안료(C.I.Pigment yellow)가 혼합된 암적갈색의 혼합 안료 등도 들 수 있다.
(차열성 물질)
상기 중간막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층은, 차열성 물질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성 물질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차열성 물질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 X를 포함하거나, 또는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에, 상기 성분 X와 상기 차열 입자와의 양쪽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차열성 물질은, 상기 착색제에 해당하는 경우가 있다.
성분 X:
상기 중간막은,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중 적어도 1종의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층은,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차열성 물질이다. 상기 성분 X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성분 X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성분 X로서, 종래 공지된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안트라시아닌 화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성분 X로서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안트라시아닌 및 안트라시아닌의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프탈로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나프탈로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나프탈로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트라시아닌 화합물 및 상기 안트라시아닌의 유도체는 각각, 안트라시아닌 골격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프탈로시아닌,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나프탈로시아닌 및 나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인 것이 바람직하고, 프탈로시아닌 및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차열성을 효과적으로 높이고, 또한 장기간에 걸쳐 가시광선 투과율을 보다 한층 높은 레벨에서 유지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 및 바나듐 원자 또는 구리 원자를 함유하는 프탈로시아닌의 유도체 중 적어도 1종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더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성분 X는, 바나듐 원자에 산소 원자가 결합한 구조 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제3 층 또는 착색층) 100중량% 중,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05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02중량% 이상이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성분 X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제3 층 또는 착색층) 100중량% 중,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0.05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04중량% 이하이다. 상기 성분 X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예를 들어, 가시광선 투과율을 70% 이상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다.
차열 입자:
상기 중간막은,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층은,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는 차열성 물질이다.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차열 입자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이는 관점에서는,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 산화물 입자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는, 금속의 산화물에 의해 형성된 입자(금속 산화물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시광보다도 긴 파장 780㎚ 이상의 적외선은, 자외선과 비교하여 에너지양이 작다. 그러나, 적외선은 열적 작용이 커서, 적외선이 물질에 흡수되면 열로서 방출된다. 이 때문에, 적외선은 일반적으로 열선이라고 불리고 있다. 상기 차열 입자의 사용에 의해, 적외선(열선)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차열 입자란, 적외선을 흡수 가능한 입자를 의미한다.
상기 차열 입자의 구체예로서는, 알루미늄 도프 산화주석 입자, 인듐 도프 산화주석 입자, 안티몬 도프 산화주석 입자(ATO 입자), 갈륨 도프 산화아연 입자(GZO 입자), 인듐 도프 산화아연 입자(IZO 입자), 알루미늄 도프 산화아연 입자(AZO 입자), 니오븀 도프 산화티타늄 입자, 나트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탈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루비듐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주석 도프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 주석 도프 산화아연 입자, 규소 도프 산화아연 입자 등의 금속 산화물 입자나, 6붕화란탄(LaB6)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이외의 차열 입자를 사용해도 된다.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기 때문에, 금속 산화물 입자가 바람직하고, ATO 입자, GZO 입자, IZO 입자,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가 보다 바람직하고, ITO 입자 또는 산화텅스텐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특히, 열선의 차폐 기능이 높고, 또한 입수가 용이하므로, 주석 도프 산화인듐 입자(ITO 입자)가 바람직하고, 산화텅스텐 입자도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산화텅스텐 입자는,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텅스텐 입자」에는,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가 포함된다. 상기 금속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로서는, 구체적으로는, 나트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탈륨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및 루비듐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보다 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가 특히 바람직하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차열성을 더한층 높게 하는 관점에서는, 해당 세슘 도프 산화텅스텐 입자는, 식: Cs0.33WO3으로 표시되는 산화텅스텐 입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차열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바람직하게는 0.0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1㎛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 이하이다. 평균 입자경이 상기 하한 이상이면 열선의 차폐성이 충분히 높아진다. 평균 입자경이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 입자의 분산성이 높아진다.
상기 「평균 입자경」은, 체적 평균 입자경을 나타낸다. 평균 입자경은, 입도 분포 측정 장치(닛키소사제 「UPA-EX150」) 등을 사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제3 층 또는 착색층) 100중량% 중,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특히 산화텅스텐 입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1.5중량% 이상이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차열 입자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제3 층 또는 착색층) 100중량% 중,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특히 산화텅스텐 입자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6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5.5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4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3.5중량% 이하, 가장 바람직하게는 3중량% 이하이다. 상기 차열 입자의 함유량이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차열성이 충분히 높아지고, 또한 가시광선 투과율이 충분히 높아진다.
(금속염)
상기 중간막은, 알칼리 금속염 및 알칼리 토류 금속염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염(이하, 금속염 M이라고 기재하는 경우가 있다)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층은,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알칼리 토류 금속이란, Be, Mg, Ca, Sr, Ba, 및 Ra의 6종의 금속을 의미한다. 상기 금속염 M의 사용에 의해, 중간막과 유리판 등의 접합 유리 부재와의 접착성 또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각 층간의 접착성을 제어하는 것이 용이해진다. 상기 금속염 M은,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금속염 M은, Li, Na, K, Rb, Cs, Mg, Ca, Sr 및 Ba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된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 중에 포함되어 있는 금속염은, K 및 Mg 중 적어도 1종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금속염 M으로서,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알칼리 금속염, 및 탄소수 2 내지 16의 유기산알칼리 토류 금속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금속염 M은,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마그네슘염, 또는,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칼륨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마그네슘염 및 상기 탄소수 2 내지 16의 카르복실산칼륨염으로서는, 아세트산마그네슘, 아세트산칼륨, 프로피온산마그네슘, 프로피온산칼륨, 2-에틸부티르산마그네슘, 2-에틸부탄산칼륨, 2-에틸헥산산마그네슘 및 2-에틸헥산산칼륨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중간막, 또는 상기 금속염 M을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제3 층 또는 착색층)에 있어서의 Mg 및 K의 함유량의 합계는, 바람직하게는 5ppm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10ppm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20ppm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0ppm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50ppm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0ppm 이하이다. Mg 및 K의 함유량의 합계가 상기 하한 이상 및 상기 상한 이하이면, 중간막과 접합 유리 부재(유리판 등)의 접착성 또는 중간막에 있어서의 각 층간의 접착성을 보다 한층 양호하게 제어할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
상기 중간막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층은,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 차폐제의 사용에 의해, 중간막 및 접합 유리가 장기간 사용되더라도, 가시광선 투과율이 보다 한층 저하되기 어려워진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에는, 자외선 흡수제가 포함된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자외선 흡수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트리아졸 화합물),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페논 화합물),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트리아진 화합물),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말론산에스테르 화합물), 옥살산아닐리드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옥살산아닐리드 화합물) 및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벤조에이트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 원자를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백금 입자, 백금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팔라듐 입자 및 팔라듐 입자의 표면을 실리카로 피복한 입자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 차폐제는, 차열 입자가 아닌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또는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다.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보다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 또는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이다.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아연, 산화티타늄 및 산화세륨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에 대해서, 표면이 피복되어 있어도 된다. 상기 금속 산화물을 포함하는 자외선 차폐제의 표면의 피복 재료로서는, 절연성 금속 산화물, 가수 분해성 유기 규소 화합물 및 실리콘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절연성 금속 산화물로서는, 실리카, 알루미나 및 지르코니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절연성 금속 산화물은, 예를 들어 5.0eV 이상의 밴드 갭 에너지를 갖는다.
상기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2-(2'-히드록시-5'-메틸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P」), 2-(2'-히드록시-3',5'-디-t-부틸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320」), 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326」), 및 2-(2'-히드록시-3',5'-디-아밀페닐)벤조트리아졸(BASF사제 「Tinuvin328」) 등을 들 수 있다. 자외선을 차폐하는 성능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상기 자외선 차폐제는, 할로겐 원자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인 것이 바람직하고, 염소 원자를 포함하는 벤조트리아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벤조페논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옥타벤존(BASF사제 「Chimassorb81」)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트리아진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ADEKA사제 「LA-F70」 및 2-(4,6-디페닐-1,3,5-트리아진-2-일)-5-[(헥실)옥시]-페놀(BASF사제 「Tinuvin1577FF」)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2-(p-메톡시벤질리덴)말론산디메틸, 테트라에틸-2,2-(1,4-페닐렌디메틸리덴)비스말로네이트, 2-(p-메톡시벤질리덴)-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디닐)말로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말론산에스테르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의 시판품으로서는, Hostavin B-CAP, Hostavin PR-25, Hostavin PR-31(어느 것이나 모두 클라리안트사제)을 들 수 있다.
상기 옥살산아닐리드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N-(2-에틸페닐)-N'-(2-에톡시-5-t-부틸페닐)옥살산디아미드, N-(2-에틸페닐)-N'-(2-에톡시-페닐)옥살산디아미드, 2-에틸-2'-에톡시-옥살아닐리드(클라리안트사제 「SanduvorVSU」) 등의 질소 원자 상에 치환된 아릴기 등을 갖는 옥살산디아미드류를 들 수 있다.
상기 벤조에이트 구조를 갖는 자외선 차폐제로서는, 예를 들어, 2,4-디-tert-부틸페닐-3,5-디-tert-부틸-4-히드록시벤조에이트(BASF사제 「Tinuvin12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제3 층 또는 착색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 및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0.1중량%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2중량%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0.3중량%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0.5중량% 이상이다. 이 경우에는, 기간 경과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가 보다 한층 억제된다.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제3 층 또는 착색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 및 벤조트리아졸 화합물의 함유량은, 바람직하게는 2.5중량%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중량%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1중량% 이하, 특히 바람직하게는 0.8중량% 이하이다. 특히, 상기 자외선 차폐제를 포함하는 층 100중량% 중, 상기 자외선 차폐제의 함유량이 0.2중량% 이상인 것에 의해,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기간 경과 후의 가시광선 투과율의 저하를 현저하게 억제할 수 있다.
(산화 방지제)
상기 중간막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3 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착색층은,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로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황계 산화 방지제 및 인계 산화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는 페놀 골격을 갖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황계 산화 방지제는 황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는 인 원자를 함유하는 산화 방지제이다.
상기 산화 방지제는, 페놀계 산화 방지제 또는 인계 산화 방지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페놀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2,6-디-t-부틸-p-크레졸(BHT), 부틸히드록시아니솔(BHA), 2,6-디-t-부틸-4-에틸페놀, 스테아릴-β-(3,5-디-t-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 2,2'-메틸렌비스-(4-메틸-6-부틸페놀), 2,2'-메틸렌비스-(4-에틸-6-t-부틸페놀), 4,4'-부틸리덴-비스-(3-메틸-6-t-부틸페놀), 1,1,3-트리스-(2-메틸-히드록시-5-t-부틸페닐)부탄, 테트라키스[메틸렌-3-(3',5'-부틸-4-히드록시페닐)프로피오네이트]메탄, 1,3,3-트리스-(2-메틸-4-히드록시-5-t-부틸페놀)부탄, 1,3,5-트리메틸-2,4,6-트리스(3,5-디-t-부틸-4-히드록시벤질)벤젠, 비스(3,3'-t-부틸페놀)부티릭 애시드 글리콜에스테르 및 비스(3-t-부틸-4-히드록시-5-메틸벤젠프로판산)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인계 산화 방지제로서는, 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스(트리데실)포스파이트, 트리페닐포스파이트, 트리노닐페닐포스파이트, 비스(트리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비스(데실)펜타에리트리톨디포스파이트, 트리스(2,4-디-t-부틸페닐)포스파이트, 비스(2,4-디-t-부틸-6-메틸페닐)에틸에스테르아인산, 및 2,2'-메틸렌비스(4,6-디-t-부틸-1-페닐옥시)(2-에틸헥실옥시)포스포러스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산화 방지제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산화 방지제의 시판품으로서는, 예를 들어 BASF사제 「IRGANOX 245」, BASF사제 「IRGAFOS 168」, BASF사제 「IRGAFOS 38」, 스미또모 가가꾸 고교사제 「스밀라이저 BHT」, 사까이 가가꾸 고교사제 「H-BHT」, 그리고 BASF사제 「IRGANOX 1010」 등을 들 수 있다.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의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장기간에 걸쳐 유지하기 위해서,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제1 층, 제2 층, 제3 층 또는 착색층) 100중량% 중,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0.03중량%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0.1중량%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산화 방지제의 첨가 효과가 포화되므로, 상기 중간막 100중량% 중 또는 상기 산화 방지제를 포함하는 층 100중량% 중, 상기 산화 방지제의 함유량은 2중량%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른 성분)
상기 중간막, 상기 제1 층, 상기 제2 층, 상기 제3 층 및 상기 착색층은 각각, 필요에 따라, 커플링제, 분산제, 계면 활성제, 난연제, 대전 방지제, 금속염 이외의 접착력 조정제, 내습제, 형광 증백제 및 적외선 흡수제 등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이들 첨가제는, 1종만이 사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이 병용되어도 된다.
(적외선 반사층)
상기 중간막은, 적외선 반사층을 갖고 있어도 된다. 상기 적외선 반사층은 적외선을 반사한다. 상기 적외선 반사층은, 적외선을 반사하는 성능을 갖고 있다면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적외선 반사층으로서는, 금속박 구비 수지 필름, 수지층 상에 금속층 및 유전층이 형성된 다층 적층 필름, 다층 수지 필름 및 액정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필름은, 적외선을 반사하는 성능을 갖는다.
상기 적외선 반사층은, 금속박 구비 수지 필름, 다층 수지 필름 또는 액정 필름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들 필름은, 적외선의 반사 성능이 상당히 우수하다. 따라서, 이들 필름의 사용에 의해, 차열성이 보다 한층 높고, 높은 가시광선 투과율을 보다 한층 장기간에 걸쳐 유지할 수 있는 접합 유리가 얻어진다.
상기 금속박 구비 수지 필름은, 수지 필름과, 해당 수지 필름의 외표면에 적층된 금속박을 구비한다. 상기 수지 필름의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수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수지,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 수지,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수지, 폴리우레탄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 폴리올레핀 수지, 폴리염화비닐 수지 및 폴리이미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금속박의 재료로서는, 알루미늄, 구리, 은, 금, 팔라듐, 및 이들을 포함하는 합금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수지층 상에 금속층 및 유전층이 형성된 다층 적층 필름은, 수지층(수지 필름)에, 금속층 및 유전층이 교호로 임의의 층수로 적층된 다층 적층 필름이다. 또한, 상기 수지층 상에 금속층 및 유전층이 형성된 다층 적층 필름에서는, 금속층 및 유전층의 모두가 교호로 적층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한데, 금속층/유전층/금속층/유전층/금속층/금속층/유전층/금속층과 같이, 일부가 교호로 적층되어 있지 않은 구조 부분이 있어도 된다.
상기 다층 적층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수지층(수지 필름)의 재료로서는, 상기 금속박 구비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수지 필름의 재료와 마찬가지의 재료를 들 수 있다. 상기 다층 적층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수지층(수지 필름)의 재료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락트산, 폴리(4-메틸펜텐-1), 폴리불화비닐리덴, 환상 폴리올레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 폴리염화비닐, 폴리비닐알코올, 나일론6,11,12,66 등의 폴리아미드, 폴리스티렌, 폴리카르보네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스테르, 폴리페닐렌술피드 및 폴리에테르이미드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층 적층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금속층의 재료로서는, 상기 금속박 구비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금속박의 재료와 마찬가지의 재료를 들 수 있다. 상기 금속층의 양면 혹은 편면에, 금속 혹은 금속의 혼합 산화물의 코팅층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코팅층의 재료로서는, ZnO, Al2O3, Ga2O3, InO3, MgO, Ti, NiCr 및 Cu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층 적층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유전층의 재료로서는, 예를 들어 산화인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다층 수지 필름은, 복수의 수지 필름이 적층된 적층 필름이다. 상기 다층 수지 필름의 재료로서는, 상기 다층 적층 필름에 있어서의 상기 수지층(수지 필름)의 재료와 마찬가지의 재료를 들 수 있다. 상기 다층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수지 필름의 적층수는, 2 이상이며, 3 이상이어도 되고, 5 이상이어도 된다. 상기 다층 수지 필름에 있어서의 수지 필름의 적층수는, 1000 이하여도 되고, 100 이하여도 되고, 50 이하여도 된다.
상기 다층 수지 필름은, 다른 광학적 성질(굴절률)을 갖는 2종류 이상의 열가소성 수지층이 교호로 또는 랜덤하게 임의의 층수로 적층된 다층 수지 필름이어도 된다. 이러한 다층 수지 필름은, 원하는 적외선 반사 성능이 얻어지도록 구성된다.
상기 액정 필름으로서는, 임의의 파장의 광을 반사하는 콜레스테릭 액정층을 임의의 층수로 적층한 필름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액정 필름은, 원하는 적외선 반사 성능이 얻어지도록 구성된다.
적외선을 반사하는 성능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상기 적외선 반사층이, 800㎚ 내지 2000㎚의 범위 내의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 있어서, 적외선 투과율이 40% 이하인 성질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800㎚ 내지 2000㎚의 범위 내의 적어도 하나의 파장에 있어서, 적외선 투과율은 보다 바람직하게는 30% 이하,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이하이다.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파장 800㎚ 내지 2000㎚의 범위에 있어서의 각 파장의 투과율은,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된다. 단독의 적외선 반사층을 준비한다. 분광 광도계(히타치 하이테크사제 「U-4100」)를 사용하여, JIS R3106:1998에 준거하여 상기 적외선 반사층의 파장 800㎚ 내지 2000㎚에 있어서의 각 파장의 분광 투과율을 얻는다.
(접합 유리용 중간막의 다른 상세)
중간막은, 감겨서, 중간막의 롤체로 되어도 된다. 롤체는, 권취 코어와, 해당 권취 코어의 외주에 감긴 중간막을 구비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중간막은, 예를 들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231521호 공보에 기재된 방법(방법 1, 도관법), 또는, WO2009/001856A1에 기재된 방법(방법 2, Feed Block법(FB법))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 1(도관법)에서는, 예를 들어, 도 1, 3, 5, 7, 9, 11, 13, 14에 기재된 착색층의 형상을 갖는 중간막을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방법 2(FB법)에서는, 예를 들어, 도 2, 4, 6, 8, 10, 12에 기재된 착색층의 형상을 갖는 중간막을 양호하게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은, 보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하여 제조할 수 있다.
(1) 도관법에 있어서, 도관의 슬릿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평행광 투과율 및 해당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율이 특정한 범위를 충족하는 상기 그라데이션부, 상기 투명부 및 상기 농색부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특히, 농색부의 두께가 균일한 쐐기상의 중간막을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2) FB법에 있어서, FB 내의 슬릿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평행광 투과율 및 해당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율이 특정한 범위를 충족하는 상기 그라데이션부, 상기 투명부 및 상기 농색부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특히, 농색부의 두께가 균일한 쐐기상의 중간막을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3) 금형 출구의 형상을 조정함으로써, 타단측의 두께를 균일하게 할 수 있고, 평행광 투과율 및 해당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율이 특정한 범위를 충족하는 상기 그라데이션부, 상기 투명부 및 상기 농색부를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특히, 농색부의 두께가 균일한 쐐기상의 중간막을 양호하게 얻을 수 있다. (4) 종래대로의 방법으로 두께가 균일한 농색부(직사각 형상의 중간층)를 압출 성형한 뒤, 해당 직사각 형상의 중간층에, 쐐기상의 층을 적층한다. 이 방법에서는, 직사각형 중간층과 쐐기상의 층 사이에 적외선 반사층 등의 고기능층을 용이하게 적층할 수 있다.
중간막의 제조 효율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간막의 제조 효율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에, 동일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 및 동일한 가소제가 포함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중간막의 제조 효율이 우수하다는 점에서, 상기 제2 층과 상기 제3 층이 동일한 수지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양측의 표면 중 적어도 한 쪽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은, 양측의 표면에 요철 형상을 갖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요철 형상을 형성하는 방법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고 예를 들어, 립 엠보스법, 엠보스 롤법, 캘린더 롤법, 및 이형 압출법 등을 들 수 있다. 정량적으로 일정한 요철 모양인 다수의 요철 형상의 엠보스를 형성할 수 있는 점에서, 엠보스 롤법이 바람직하다.
(접합 유리)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상술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술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는,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측에 타단을 갖는다.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은, 접합 유리에 있어서 서로 대향하는 양측의 단부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타단의 두께가 상기 일단의 두께보다도 크다.
상기 접합 유리에 대해서 하기의 평행광 투과율을 행한다.
평행광 투과율의 측정: (1)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2㎝의 위치를 시점으로 하여, 상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1㎝ 간격마다 복수의 지점 A를 선택한다. (2) 각 지점 A에 있어서 접합 유리의 평행광 투과율을 측정한다. (3) x축 방향을 「상기 일단으로부터의 거리」로 하고, y축 방향을 「평행광 투과율」로 하고, 1개의 지점 A와 해당 지점 A로부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1㎝ 떨어진 2개의 지점과의 3개의 지점으로부터, 2㎝의 영역에서의 근사 직선을 작성한다. 근사 직선으로부터 구해지는 평행광 투과율의 비율의 절댓값을, 상기 1개의 지점 A에 있어서의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으로 한다. 지점 A 각각에 대해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을 구한다.
상기 (1)에 있어서, 1㎝씩 어긋나게 하여, 각 지점 A가 설정된다. 접합 유리의 일단측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1㎝ 간격의 지점이 선택할 수 있는 위치(간격이 1㎝ 미만이 안되는 위치 또한 지점 A와 상기 타단의 거리가 2㎝ 미만이 안되는 위치)까지 지점을 선택한다. 접합 유리의 상기 일단측에 가장 가까운 지점 A는, 접합 유리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2㎝의 위치의 지점 A1이며, 다음 지점 A는, 접합 유리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3㎝의 위치의 지점 A2이다. 다음 지점 A는, 접합 유리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4㎝의 위치의 지점 A3이다. 지점 An은, 접합 유리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해서 (n+1)㎝의 위치(n은 자연수)이다. 지점 A1, 지점 A2 및 지점 A3은 각각, 상기 (1)에 있어서, 1㎝씩 어긋나게 하여 설정되는 지점 A에 포함된다. 접합 유리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1㎝의 위치의 지점을, 편의상, 지점 A0로 한다. 또한, 지점 A0은, 상기 (1)에 있어서, 1㎝씩 어긋나게 하여 설정되는 지점 A에 포함되지 않는다.
상기 (2)에 있어서, 각 지점 A의 위치에 있어서, 접합 유리의 평행광 투과율이 측정된다. 따라서, 지점 A의 수만큼, 평행광 투과율의 값이 얻어진다. 접합 유리의 평행광 투과율은, JIS R3106:1998에 준거하여 측정된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된다.
분광 광도계를 사용하여, 투과한 평행광만이 적분구에 수광되도록, 광원과 적분구의 광로 상에서 광축의 법선에 평행하게, 또한 적분구로부터 13㎝ 떨어진 지점에, 상기 접합 유리를 설치한다. 상기 평행광 투과율은, 이 상태에서 측정된 분광 투과율로부터 산출된 가시광선 투과율을 의미한다. 상기 분광 광도계로서는, 예를 들어, 히타치 하이테크사제 「U-4100」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3)에 있어서, 「접합 유리의 상기 일단측에 가장 가까운 지점 A1과 해당 지점 A1로부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1㎝ 떨어진 2개의 지점과의 3개의 지점」은, 이하의 3개의 지점이다. 접합 유리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1㎝의 지점, 2㎝의 지점 및 3㎝의 지점. 바꿔 말하면, 상기 지점 A0, 지점 A1 및 지점 A2. 지점 A0, 지점 A1 및 지점 A2의 평행광 투과율로부터, x축 방향을 「상기 일단으로부터의 거리」로 하고, y축 방향을 「평행광 투과율」로 하고, 근사 직선을 작성한다. 얻어진 근사 직선으로부터 구해지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을 「지점 A1에 있어서의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으로 한다.
상기 (3)에 있어서, 「접합 유리의 상기 일단측에 2번째로 가까운 지점 A2와 해당 지점 A2로부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1㎝ 떨어진 2개의 지점과의 3개의 지점」은, 이하의 3개의 지점이다. 접합 유리의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2㎝의 지점, 3㎝의 지점 및 4㎝의 지점. 바꿔 말하면, 상기 지점 A1, 지점 A2 및 지점 A3. 지점 A1, 지점 A2 및 지점 A3의 평행광 투과율로부터, x축 방향을 「상기 일단으로부터의 거리」로 하고, y축 방향을 「평행광 투과율」로 하고, 근사 직선을 작성한다. 얻어진 근사 직선으로부터 구해지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을 「지점 A2에 있어서의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으로 한다.
본 발명에서는, 마찬가지로 하여, 「지점 A3에 있어서의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 및 「지점 A(n-1)에 있어서의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이 산출된다. 상기 지점 A는 상기와 같이 선택되므로, 상기 근사 곡선을 제작하기 위한 상기 3개의 지점은,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1㎝ 미만의 영역에 존재하지 않고, 또한 상기 타단으로부터 상기 일단을 향하여 1㎝ 미만의 영역에 존재하지 않는다.
접합 유리에 대하여 상기 평행광 투과율을 측정했을 때에, 상기 접합 유리는, 이하의 (1) 내지 (3)의 각 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서는, 그라데이션부를 정한 후, 투명부 및 농색부를 정한다.
(1)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타단측을 향하여 평행광 투과율이 연속적으로 감소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를 초과하는 그라데이션부.
(2)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일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이 60% 이상인 투명부.
(3)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농색부.
따라서,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에서는,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투명부, 그라데이션부, 농색부를 갖는다. 또한, 그라데이션부와 농색부에 의해, 셰이드 영역이 구성된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구성이 구비되어 있으므로,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 평행광 투과율이 균일한 농색부가 존재하고, 따라서,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에서는, 타단의 두께가 일단의 두께보다도 큼에도 불구하고,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 평행광 투과율이 균일한 농색부를 갖고, 따라서,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농색부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와,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를 초과하는 지점 A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복수의 지점 A 중,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를, 지점 Aa로 한다. 상기 복수의 지점 A 중,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를 초과하는 지점 A를, 지점 Ab로 한다. 이 경우에, 상기 농색부에 있어서, 지점 Aa가 1개 이상 존재한다. 상기 농색부에 있어서, 지점 Aa에 추가로, 지점 Ab가 1개 이상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3)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농색부.」은, 「(3)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a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농색부.」를 의미한다.
도 15는, 도 1에 도시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사용한 접합 유리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도시하는 단면도이다.
도 15에 도시하는 접합 유리(21)는 제1 접합 유리 부재(3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32)와, 중간막(1)을 구비한다. 중간막(1)은 제1 접합 유리 부재(31)와 제2 접합 유리 부재(32) 사이에 배치되어 있고, 끼워 넣어져 있다. 중간막(1)의 제1 표면(한쪽 표면)에, 제1 접합 유리 부재(31)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의 제1 표면과는 반대인 제2 표면(다른 쪽 표면)에, 제2 접합 유리 부재(32)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에 있어서의 제2 층(12)의 외측 표면에 제1 접합 유리 부재(31)가 적층되어 있다. 중간막(1)에 있어서의 제3 층(13)의 외측 표면에 제2 접합 유리 부재(32)가 적층되어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는,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을 구비하고 있고, 해당 중간막이,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다. 본 발명에 관계되는 접합 유리에서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다.
상기 그라데이션부는, 접합 유리에 대하여 상기 평행광 투과율을 측정했을 때에,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타단측을 향하여 평행광 투과율이 연속적으로 감소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를 초과하는 영역이다. 또한, 상기 그라데이션부에는, 상기 평행광 투과율이 60%를 초과하는 부분이 존재하고 있어도 된다. 상기 그라데이션부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이 0.3%/㎜를 초과하는 지점 A를 1개 이상 포함한다. 상기 그라데이션부에 포함되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를 초과하는 지점 A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3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4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5 이상이다. 상기 그라데이션부에 포함되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를 초과하는 지점 A의 수는, 1500 이하여도 되고, 1450 이하여도 된다.
상기 투명부는, 접합 유리에 대하여 상기 평행광 투과율을 측정했을 때에,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일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이 60% 이상인 영역이다. 상기 투명부의 평행광 투과율은, 바람직하게는 6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2% 이상이다.
상기 농색부는, 접합 유리에 대하여 상기 평행광 투과율을 측정했을 때에,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를 포함하는 영역이다.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에 있어서의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은, 바람직하게는 0.29%/㎜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28%/㎜ 이하이다.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을 보다 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농색부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29%/㎜ 이하인 지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28%/㎜ 이하인 지점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을 더한층 억제하는 관점에서는 상기 농색부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27%/㎜ 이하인 지점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26%/㎜ 이하인 지점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접합 유리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농색부를 갖는다. 상기 농색부에 포함되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의 수는,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 더욱 바람직하게는 4 이상, 특히 바람직하게는 5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6 이상이다. 상기 농색부에 포함되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의 수가 많으면,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의 색 불균일이 보다 한층 억제된다. 상기 농색부에 포함되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의 수는, 300 이하여도 되고, 299 이하여도 된다.
접합 유리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투명부의 거리를 거리 L1로 한다. 접합 유리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그라데이션부의 거리를 거리 L2로 한다. 접합 유리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농색부의 거리를 거리 L3으로 한다. 거리 L1, L2, L3은, 도 15에 도시하는 거리이다.
거리 L1은,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990㎜ 이하이다.
거리 L2는, 바람직하게는 1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990㎜ 이하이다.
거리 L3은, 바람직하게는 50㎜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60㎜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3000㎜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2990㎜ 이하이다.
접합 유리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막의 거리를 거리 L로 한다.
거리 L1의, 거리 L에 대한 비(거리 L1/거리 L)는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9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7 이하이다.
거리 L2의, 거리 L에 대한 비(거리 L2/거리 L)는 바람직하게는 0.0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3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9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7 이하이다.
거리 L3의, 거리 L에 대한 비(거리 L3/거리 L)는 바람직하게는 0.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051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98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0.97 이하이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는, 제1 유리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는, 제2 유리판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제2 접합 유리 부재로서는, 유리판 및 PET(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접합 유리에는, 2매의 유리판의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뿐만 아니라, 유리판과 PET 필름 등 사이에 중간막이 끼워 넣어져 있는 접합 유리도 포함된다. 상기 접합 유리는, 유리판을 구비한 적층체이며, 적어도 1매의 유리판이 사용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가 각각, 유리판 또는 PET 필름이며, 또한 상기 접합 유리는,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중 적어도 한 쪽으로서, 유리판을 구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1,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양쪽이 유리판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판으로서는, 무기 유리 및 유기 유리를 들 수 있다. 상기 무기 유리로서는, 플로트 판유리, 열선 흡수 판유리, 열선 반사 판유리, 연마 판유리, 형판 유리, 선입 판유리 및 그린 유리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유기 유리는, 무기 유리를 대신하는 합성 수지 유리이다. 상기 유기 유리로서는, 폴리카르보네이트판 및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폴리(메트)아크릴 수지판으로서는, 폴리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판 등을 들 수 있다.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 및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의 각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1㎜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또한, 상기 접합 유리 부재가 유리판인 경우에, 해당 유리판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0.7㎜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5㎜ 이하,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하이다. 상기 접합 유리 부재가 PET 필름인 경우에, 해당 PET 필름의 두께는, 바람직하게는 0.03㎜ 이상이며, 바람직하게는 0.5㎜ 이하이다.
상기 접합 유리의 제조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는다. 우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서, 적층체를 얻는다. 이어서, 예를 들어, 얻어진 적층체를 압박 롤에 통과시키거나 또는 고무 백에 넣어서 감압 흡인하거나 함으로써,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 사이에 잔류하는 공기를 탈기한다. 그 후, 약 70℃ 내지 110℃에서 예비 접착하여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얻는다. 이어서,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오토클레이브에 넣거나, 또는 프레스하거나 해서, 약 120℃ 내지 150℃ 및 1MPa 내지 1.5MPa의 압력으로 압착한다. 이와 같이 하여, 접합 유리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 철도 차량, 항공기, 선박 및 건축물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이들 용도 이외에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차량용 또는 건축물용의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인 것이 바람직하고, 차량용의 중간막 및 접합 유리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의 프론트 글래스, 사이드 글래스, 리어 글래스, 루프 글래스 또는 백라이트용 유리 등에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중간막 및 상기 접합 유리는, 자동차에 적합하게 사용된다. 상기 중간막은, 자동차의 접합 유리를 얻기 위하여 적합하게 사용된다.
이하에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내세워서 본 발명을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지는 않는다.
사용한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서는, 아세탈화에, 탄소수 4의 n-부틸알데히드가 사용되고 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에 대해서는, 아세탈화도(부티랄화도), 아세틸화도 및 수산기의 함유율은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에 의해 측정하였다. 또한, ASTM D1396-92에 의해 측정한 경우에도, JIS K6728 「폴리비닐부티랄 시험 방법」에 준거한 방법과 마찬가지의 수치를 나타냈다.
(실시예 1)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작:
이하의 성분을 배합하고,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평균 중합도 3000, 수산기의 함유율 22몰%, 아세틸화도 13몰%, 아세탈화도 65몰%) 100중량부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60중량부
얻어지는 제1 층 중에서 0.2중량%로 되는 양의 Tinuvin326(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BASF사제 「Tinuvin326」)
얻어지는 제1 층 중에서 0.2중량%로 되는 양의 BHT(2,6-디-t-부틸-p-크레졸)
제2 층 및 제3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작:
하기의 성분을 배합하고,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제2 층 및 제3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평균 중합도 1700, 수산기의 함유율 30.5몰%, 아세틸화도 1몰%, 아세탈화도 68.5몰%) 100중량부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38중량부
얻어지는 제2 층 및 제3 층 중에서 0.2중량%로 되는 양의 Tinuvin326(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BASF사제 「Tinuvin326」)
얻어지는 제2 층 및 제3 층 중에서 0.2중량%로 되는 양의 BHT(2,6-디-t-부틸-p-크레졸)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작:
하기의 성분을 배합하고,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평균 중합도 1700, 수산기의 함유율 30.5몰%, 아세틸화도 1몰%, 아세탈화도 68.5몰%) 100중량부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40중량부
얻어지는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100중량% 중(및 얻어지는 착색층 중)에서 5.9중량%로 되는 양의 탄산칼슘 입자(무기 입자, 중량 평균 입자경 5.0㎛)
중간막의 제작:
FB법에 의해, FB 내의 슬릿 형상을 조정하여, 농색부에 있어서의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유속이 균일해지도록 하여, 중간막을 제조하였다.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과, 제2 층 및 제3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과,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하고, 중간막을 권취하여, 롤체를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쐐기상의 중간막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중간막은, 일단에 최소 두께를 갖고, 타단에 최대 두께를 갖는다. 또한, 얻어진 중간막의 구성을 표 2에 나타낸다.
접합 유리의 제작:
JIS R3202:1996에 준거한 두께 2㎜의 클리어 유리 2매의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서,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고무 백 내에 넣고, 2.6kPa의 진공도에서 20분간 탈기한 후, 탈기한 채 오븐 내로 옮기고, 또한 90℃에서 30분간 유지하고 진공 프레스하여, 적층체를 예비 압착하였다.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135℃ 및 압력 1.2MPa의 조건에서,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20분간 압착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접합 유리는, 상기 접합 유리 X에 상당한다.
(실시예 2 내지 12 및 비교예 1 내지 6)
중간막의 구성을 표 1 내지 5와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하여, FB법 또는 도관법에 의해 중간막 및 접합 유리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13)
하기의 성분을 배합하고,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제2 층 및 제3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평균 중합도 1700, 수산기의 함유율 30.5몰%, 아세틸화도 1몰%, 아세탈화도 68.5몰%) 100중량부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38중량부
얻어지는 제2 층 및 제3 층 중에서 0.2중량%로 되는 양의 Tinuvin326(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BASF사제 「Tinuvin326」)
얻어지는 제2 층 및 제3 층 중에서 0.2중량%로 되는 양의 BHT(2,6-디-t-부틸-p-크레졸)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작:
하기의 성분을 배합하고,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평균 중합도 1700, 수산기의 함유율 30.5몰%, 아세틸화도 1몰%, 아세탈화도 68.5몰%) 100중량부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40중량부
얻어지는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100중량% 중(및 얻어지는 착색층 중)에서 5.9중량%로 되는 양의 탄산칼슘 입자(무기 입자, 중량 평균 입자경 5.0㎛)
도관법에 의해, 이하와 같이 하여, 제2 층과 착색층의 공압출물, 및 제3 층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제2 층과 착색층을 압출기에 의해 공압출하여, 제2 층과 착색층의 공압출물을 얻었다. 제3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압출기에 의해 압출하여, 제3 층을 얻었다. 또한, 제2 층과 착색층의 공압출물은 직사각형의 형상을 갖고, 제3 층은 일단에 최소 두께를 갖고, 타단에 최대 두께를 갖고 있었다. 또한, 도관의 슬릿 형상을 조정하여, 농색부에 있어서의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유속이 균일해지도록 하였다.
적외선 반사층:
하기의 적외선 반사층을 준비하였다.
XIR-75(금속박 구비 수지 필름, Southwall Technologies사제 「XIR-75」)
또한, XIR-75에 있어서의 금속박은, In2O3/Ag/In2O3/Ag/In2O3의 5층의 구조를 갖는다.
접합 유리의 제작:
JIS R3202:1996에 준거한 두께 2㎜의 클리어 유리 2매의 사이에 제2 층과 착색층의 공압출물과, 적외선 반사층과, 제3 층을 이 순으로 적층한 것을 끼워서,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고무 백 내에 넣고, 2.6kPa의 진공도에서 20분간 탈기한 후, 탈기한 채 오븐 내로 옮기고, 또한 90℃에서 30분간 유지하고 진공 프레스하여, 적층체를 예비 압착하였다.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135℃ 및 압력 1.2MPa의 조건에서,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20분간 압착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접합 유리는, 상기 접합 유리 X에 상당한다.
(실시예 14 내지 18)
중간막의 구성과 적외선 반사층을 표 5 내지 6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3과 마찬가지로 하여, FB법 또는 도관법에 의해 중간막 및 접합 유리를 제조하였다.
또한, 표 중의 적외선 반사층 Nano90S는, 스미또모 쓰리엠사제 「멀티레이어Nano 90S」를 가리킨다.
(실시예 19)
하기의 성분을 배합하고,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평균 중합도 1700, 수산기의 함유율 30.5몰%, 아세틸화도 1몰%, 아세탈화도 68.5몰%) 100중량부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38중량부
얻어지는 제2 층 및 제3 층 중에서 0.2중량%로 되는 양의 Tinuvin326(2-(2'-히드록시-3'-t-부틸-5-메틸페닐)-5-클로로벤조트리아졸, BASF사제 「Tinuvin326」)
얻어지는 제2 층 및 제3 층 중에서 0.2중량%로 되는 양의 BHT(2,6-디-t-부틸-p-크레졸)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제작:
하기의 성분을 배합하고, 믹싱 롤로 충분히 혼련하여,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얻었다.
폴리비닐아세탈 수지(평균 중합도 1700, 수산기의 함유율 30.5몰%, 아세틸화도 1몰%, 아세탈화도 68.5몰%) 100중량부
트리에틸렌글리콜-디-2-에틸헥사노에이트(3GO) 40중량부
얻어지는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 100중량% 중(및 얻어지는 착색층 중)에서 5.9중량%로 되는 양의 탄산칼슘 입자(무기 입자, 중량 평균 입자경 5.0㎛)
중간막의 제작:
FB법에 의해, FB 내의 슬릿 형상을 조정하여, 농색부에 있어서의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의 유속이 균일해지도록 하여 중간막을 제조하였다. 제1 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과, 착색층을 형성하기 위한 조성물을, 압출기를 사용하여 공압출하고, 중간막을 권취하여, 롤체를 얻었다. 이와 같이 하여, 쐐기상의 중간막을 제작하였다. 얻어진 중간막은, 일단에 최소 두께를 갖고, 타단에 최대 두께를 갖는다. 또한, 얻어진 중간막의 구성을 표 7에 나타낸다.
접합 유리의 제작:
JIS R3202:1996에 준거한 두께 2㎜의 클리어 유리 2매의 사이에 중간막을 끼워서, 적층체를 얻었다. 얻어진 적층체를 고무 백 내에 넣고, 2.6kPa의 진공도에서 20분간 탈기한 후, 탈기한 채 오븐 내로 옮기고, 또한 90℃에서 30분간 유지하고 진공 프레스하여, 적층체를 예비 압착하였다. 오토클레이브 중에서 135℃ 및 압력 1.2MPa의 조건에서, 예비 압착된 적층체를 20분간 압착하여, 접합 유리를 얻었다. 또한, 얻어진 접합 유리는, 상기 접합 유리 X에 상당한다.
(실시예 20 및 비교예 7, 8)
중간막의 구성을 표 7과 같이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9와 마찬가지로 하여, FB법 또는 도관법에 의해 중간막 및 접합 유리를 제조하였다.
(평가)
(1) 평행광 투과율의 측정
얻어진 접합 유리의 평행광 투과율을 JIS R3106:1998에 준거하여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와 같이 하여 측정하였다.
분광 광도계(히타치 하이테크사제 「U-4100」)를 사용하여, 투과한 평행광만이 적분구에 수광되도록, 광원과 적분구의 광로 상에서 광축의 법선에 평행하게, 또한 적분구로부터 13㎝ 떨어진 지점에, 상기 접합 유리를 설치하였다. 상기 평행광 투과율은, 이 상태에서 측정된 분광 투과율로부터 산출된 가시광선 투과율을 의미한다.
실시예 1 내지 20에서 얻어진 중간막 및 접합 유리는, 일단측으로부터 타단측을 향하여, 투명부, 그라데이션부, 농색부를 갖고 있었다. 한편, 비교예 1 내지 8에서 얻어진 중간막 및 접합 유리는, 농색부를 갖지 않았다.
(2) 셰이드 영역의 색 불균일(눈으로 보기)
얻어진 접합 유리를 라이트 테이블 상에 설치하고, 라이트 테이블 내의 형광등을 조사한 상태에서 광원의 반대면으로부터, 눈으로 보아서 상기 접합 유리의 셰이드 영역에 있어서의 착색 모양을 관찰하였다. 상기 관찰 방법에 의해 10명이 얻어진 접합 유리를 관찰하고, 눈으로 보는 셰이드 영역의 색 불균일을 하기의 기준으로 판정하였다. 또한 한 변이 1㎝인 정사각형의 격자 모양을 인쇄한 백색의 필름을 접합 유리와 라이트 테이블 사이에 설치하고, 접합 유리를 필름과 평행하게 접합 유리의 두께 방향으로 1.5㎝ 이격한 상태에서 설치하고, 접합 유리의 상부로부터 형광등을 조사한 상태에서, 착색 모양을 관찰하였다.
[셰이드 영역의 색 불균일(눈으로 보기)의 판정 기준]
○: 색 불균일을 식별 불가
△: 색 불균일을 조금 식별 가능
×: 색 불균일을 분명하게 식별 가능
(3) 셰이드 영역의 색 불균일(평행광 투과율)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셰이드 영역의 거리(거리 L2+거리 L3)와, 일단과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농색부의 거리(거리 L3)로부터, 셰이드 영역에 차지하는 농색부의 비율(%)을 식: 거리 L3/(거리 L2+거리 L3)×100에 의해 산출하였다.
[셰이드 영역의 색 불균일(평행광 투과율)의 판정 기준]
○: 셰이드 영역에 차지하는 농색부의 비율이 1% 이상
×: 셰이드 영역에 차지하는 농색부의 비율이 1% 미만
중간막의 구성 및 결과를 하기의 표 1 내지 7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2
Figure pct00003
Figure pct00004
Figure pct00005
Figure pct00006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1, 1A, 1B, 1C, 1D, 1E, 1F, 1G, 1H, 1I, 1J, 1K, 1L, 1M: 중간막
1a, 1Aa, 1Ba, 1Ca, 1Da, 1Ea, 1Fa, 1Ga, 1Ha, 1Ia, 1Ja, 1Ka, 1La, 1Ma: 일단
1b, 1Ab, 1Bb, 1Cb, 1Db, 1Eb, 1Fb, 1Gb, 1Hb, 1Ib, 1Jb, 1Kb, 1Lb, 1Mb: 타단
11, 11A, 11B, 11C, 11D, 11E, 11L, 11M: 제1 층
12, 12A, 12B, 12C, 12D, 12E, 12F, 12G, 12H, 12I, 12J, 12K: 제2 층
13, 13A, 13B, 13C, 13D, 13E, 13F, 13G, 13H, 13I, 13J, 13K: 제3 층
14, 14A, 14B, 14C, 14D, 14E, 14F, 14G, 14H, 14I, 14J, 14K, 14L, 14M: 착색층
15F, 15G, 15H, 15I, 15J, 15K: 적외선 반사층
21: 접합 유리
21a: 일단
21b: 타단
31: 제1 접합 유리 부재
32: 제2 접합 유리 부재
R1: 투명부
R2: 그라데이션부
R3: 농색부
R4: 셰이드 영역

Claims (7)

  1.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측에 타단을 갖고,
    상기 타단의 두께가, 상기 일단의 두께보다도 크고,
    중간막을 JIS R3202:1996에 준거한 2매의 클리어 유리의 사이에 배치하여 접합 유리 X를 얻고, 얻어진 접합 유리 X에 대해서 하기의 평행광 투과율을 측정했을 때에, 중간막이,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타단측을 향하여 평행광 투과율이 연속적으로 감소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를 초과하는 그라데이션부와,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일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이 60% 이상인 투명부와,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농색부를 갖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평행광 투과율의 측정: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2㎝의 위치를 시점으로 하여, 상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1㎝ 간격마다 복수의 지점 A를 선택한다. 각 지점 A에 있어서 접합 유리 X의 평행광 투과율을 측정한다. x축 방향을 「상기 일단으로부터의 거리」로 하고, y축 방향을 「평행광 투과율」로 하고, 1개의 지점 A와 해당 지점 A로부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1㎝ 떨어진 2개의 지점과의 3개의 지점으로부터, 2㎝의 영역에서의 근사 직선을 작성한다. 근사 직선으로부터 구해지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을, 상기 1개의 지점 A에 있어서의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으로 한다. 지점 A 각각에 대해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을 구한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농색부의 거리의,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중간막의 거리에 대한 비가, 0.05 이상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농색부의 거리가 50㎜ 이상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간막이,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에서의 10㎝의 거리 범위당, 두께가 10㎛를 초과하여 변화하고 있지 않은 두께 균일 부위를 갖고,
    상기 두께 균일 부위가,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의 중앙의 위치보다도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는, 접합 유리용 중간막.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그라데이션부 및 상기 농색부는 각각, 착색제를 포함하는 착색층을 갖고,
    중간막의 두께 방향의 표면과, 상기 착색층의 두께 방향의 표면의 최단 거리가 10㎛ 이상인, 접합 유리용 중간막.
  6.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접합 유리용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접합 유리용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는, 접합 유리.
  7. 일단과, 상기 일단의 반대측에 타단을 갖고,
    상기 타단의 두께가, 상기 일단의 두께보다도 크고,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제2 접합 유리 부재와, 중간막을 구비하고,
    상기 제1 접합 유리 부재와 상기 제2 접합 유리 부재 사이에, 상기 중간막이 배치되어 있고,
    접합 유리에 대해서 하기의 평행광 투과율을 측정했을 때에, 접합 유리가,
    상기 일단측으로부터 상기 타단측을 향하여 평행광 투과율이 연속적으로 감소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를 초과하는 그라데이션부와,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일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이 60% 이상인 투명부와,
    상기 그라데이션부보다도 상기 타단측에 위치하고, 또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이 0.3%/㎜ 이하인 지점 A를 1개 이상 포함하는 농색부를 갖는 접합 유리.
    평행광 투과율의 측정: 상기 일단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2㎝의 위치를 시점으로 하여, 상기 시점으로부터 상기 타단을 향하여 1㎝ 간격마다 복수의 지점 A를 선택한다. 각 지점 A에 있어서 접합 유리의 평행광 투과율을 측정한다. x축 방향을 「상기 일단으로부터의 거리」로 하고, y축 방향을 「평행광 투과율」로 하고, 1개의 지점 A와 해당 지점 A로부터 상기 일단과 상기 타단을 연결하는 방향의 양측으로 1㎝ 떨어진 2개의 지점과의 3개의 지점으로부터, 2㎝의 영역에서의 근사 직선을 작성한다. 근사 직선으로부터 구해지는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을, 상기 1개의 지점 A에 있어서의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으로 한다. 지점 A 각각에 대해서, 「평행광 투과율의 변화 비율의 절댓값」을 구한다.
KR1020227007737A 2020-01-16 2021-01-13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20128331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20005355 2020-01-16
JPJP-P-2020-005355 2020-01-16
PCT/JP2021/000767 WO2021145328A1 (ja) 2020-01-16 2021-01-13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331A true KR20220128331A (ko) 2022-09-20

Family

ID=768637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07737A KR20220128331A (ko) 2020-01-16 2021-01-13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20230086272A1 (ko)
EP (1) EP4092004A4 (ko)
JP (1) JPWO2021145328A1 (ko)
KR (1) KR20220128331A (ko)
CN (1) CN114945542A (ko)
BR (1) BR112022010947A2 (ko)
MX (1) MX2022006687A (ko)
TW (1) TW202132092A (ko)
WO (1) WO2021145328A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0481A (ja) 1997-07-24 1999-05-18 Saint Gobain Vitrage Hudシステムの反射鏡としても兼用される積層フロントガラス
JP2006231521A (ja) 2005-02-21 2006-09-07 Sekisui Chem Co Ltd 多層構造を有する熱可塑性樹脂シート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WO2009001856A1 (ja) 2007-06-27 2008-12-31 Sekisui Chemical Co., Ltd. 安全ガラス用多層中間膜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223883A (ja) * 2005-12-26 2007-09-06 Asahi Glass Co Ltd 車両用合せガラス
JP2009035444A (ja) * 2007-08-01 2009-02-19 Nippon Sheet Glass Co Ltd ウインドシールドおよびウインドシールド用中間膜
JP2010180068A (ja) * 2009-02-03 2010-08-19 Asahi Glass Co Ltd 車両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の製造方法および車両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並びに車両合わせガラス
JP2012206877A (ja) * 2011-03-29 2012-10-25 Sekisui Chem Co Ltd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及び合わせガラス
EP2921464B1 (en) * 2012-11-14 2020-12-30 Sekisui Chemical Co., Ltd. Laminated-glass interlayer and laminated glass
JP6392629B2 (ja) * 2014-10-28 2018-09-19 株式会社クラレ ポリビニルアセタール組成物
US9975315B2 (en) * 2014-12-08 2018-05-22 Solutia Inc. Poly(vinyl acetal) resin compositions, layers, and interlayers having enhanced optical propertie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30481A (ja) 1997-07-24 1999-05-18 Saint Gobain Vitrage Hudシステムの反射鏡としても兼用される積層フロントガラス
JP2006231521A (ja) 2005-02-21 2006-09-07 Sekisui Chem Co Ltd 多層構造を有する熱可塑性樹脂シート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WO2009001856A1 (ja) 2007-06-27 2008-12-31 Sekisui Chemical Co., Ltd. 安全ガラス用多層中間膜の製造装置及び製造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86272A1 (en) 2023-03-23
EP4092004A4 (en) 2024-02-14
CN114945542A (zh) 2022-08-26
EP4092004A1 (en) 2022-11-23
TW202132092A (zh) 2021-09-01
BR112022010947A2 (pt) 2022-08-30
JPWO2021145328A1 (ko) 2021-07-22
WO2021145328A1 (ja) 2021-07-22
MX2022006687A (es) 2022-07-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11918850B (zh) 夹层玻璃用中间膜、夹层玻璃和平视显示器***的制造方法
KR102341992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US20230001671A1 (en)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es, and laminated glass
WO2019189736A1 (ja) 合わせガラス用中間膜、合わせガラス及びヘッドアップディスプレイシステムの製造方法
JP7512199B2 (ja) 車両用合わせガラス及び車両
KR102338547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416206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102302429B1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롤체 및 접합 유리
KR20200138190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10073523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CN114127179B (zh) 夹层玻璃用中间膜以及夹层玻璃
KR20220057668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20128331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US20220055352A1 (en) Laminated glass interlayer, roll body, and laminated glass manufacturing method
KR20220062426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롤체 및 접합 유리
WO2022085720A1 (ja) 合わせガラス及び車両
US20200391484A1 (en) Intermediate film for laminated glass, laminated glass, and method for installing laminated glass
KR20220021922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롤체 및 접합 유리
KR20190120742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
KR20200099962A (ko) 접합 유리용 중간막 및 접합 유리