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852A - 액상 교반을 통한 전고체 전지용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액상 교반을 통한 전고체 전지용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852A
KR20220111852A KR1020210015135A KR20210015135A KR20220111852A KR 20220111852 A KR20220111852 A KR 20220111852A KR 1020210015135 A KR1020210015135 A KR 1020210015135A KR 20210015135 A KR20210015135 A KR 20210015135A KR 20220111852 A KR20220111852 A KR 2022011185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olid electrolyte
drying
hours
temperature
produc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51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장용준
송인우
최선호
김사흠
이상헌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151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1852A/ko
Priority to EP21210777.5A priority patent/EP4040539A1/en
Priority to US17/538,902 priority patent/US20220246981A1/en
Priority to CN202111509625.7A priority patent/CN114853035A/zh
Publication of KR2022011185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85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1Alkaline or alkaline earth metals elements
    • H01M4/382Lithiu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25/00Phosphorus; Compounds thereof
    • C01B25/14Sulfur, selenium, or tellurium compounds of phosphoru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15/00Lithium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8/0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 B01J8/08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moving particles
    • B01J8/10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in general, conducted in the presence of fluids and solid particles; Apparatus for such processes with moving particles moved by stirrers or by rotary drums or rotary receptacles or endless bel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5Immobilising or gelification of electrolyte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출발물질을 분쇄하지 않고 액상 교반하여 반응시키는 전고체 전지용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액상 교반을 통한 전고체 전지용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MANUFACTURING METHOD OF SOLID ELECTROLYTE FOR ALL SOLID STATE BATTERY USING LIQUID STIRRING}
본 발명은 출발물질을 분쇄하지 않고 액상 교반하여 반응시키는 전고체 전지용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이차전지는 전기 자동차나 전지전력저장시스템 등의 대용량 전력저장전지와 휴대전화, 캠코더, 노트북 등의 소형 휴대전자기기의 고성능 에너지원으로 사용된다. 휴대전자기기의 소형화와 장시간 연속사용을 목표로 부품의 경량화와 저소비 전력화에 대해 연구가 진행 중이며, 이러한 맥락으로 소형이면서 고용량을 실현할 수 있는 이차전지가 요구된다.
이차전지로서의 리튬이온전지는 니켈 망간전지나 니켈 카드뮴전지보다 에너지 밀도가 높고 면적당 용량이 크고 자기방전율이 낮으며 수명이 길다. 게다가 메모리 효과가 없어서 사용의 편리성과 장수명의 특성을 지닌다. 그러나 차세대 전기자동차용 배터리로써 리튬이온전지는 과열에 의한 안정성 문제, 낮은 에너지 밀도 및 저출력 등과 같은 여러 가지 문제점들은 안고 있다.
특히, 액체전해질로 인한 안정성 문제는 화제를 유발하는 사고로 이어지기도 한다. 액체전해질을 사용한 리튬이온전지의 문제점들을 극복하고자 최근에는 고체전해질을 사용한 전고체 리튬이온전지의 연구개발이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전고체 리튬이온전지는 고체전해질을 사용함으로써 액체전해질에서 발생하는 발화 문제가 없으며, 바이폴라(Bipolar) 구조가 가능하기 때문에 부피에너지밀도를 기존 대비 5배 정도 높일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하지만, 전고체 리튬이온전지에 사용되는 고체전해질은 매우 비싸고, 대량화가 어려우며, 입도 제어에 한계가 있다. 이는 전고체 리튬이온전지의 상용화에 가장 큰 걸림돌이다. 따라서 이들의 한계를 극복할 수 있는 새로운 고체전해질 합성 방법개발이 필요하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8-0055086호
본 발명은 고체전해질을 대량으로 손쉽게 제조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고체전해질의 제조비용을 크게 절감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은 단체 리튬 분말, 단체 황 분말 및 인 화합물을 포함하는 출발물질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출발물질을 용매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반응을 일으키는 단계; 반응물을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반응물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체 리튬 분말 및 단체 황 분말은 상기 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출발물질은 리튬 할로겐 화합물(LiX, X는 Br, Cl 또는 I)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발물질은 리튬 황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출발물질과 상기 용매의 중량비는 1 : 20 ~ 1: 50일 수 있다.
상기 단체 리튬 분말 및 단체 황 분말이 용매에 용해되지 않은 상태에서 교반하여 분말 간의 충돌을 일으켜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반응은 교반기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교반기는 용매 및 출발물질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배치되는 교반 날개; 및 상기 교반 날개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교반봉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봉을 회전시켜 상기 교반 날개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용매 내에서 출발물질 간의 충돌 또는 접촉이 유도되어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진공 분위기에서 25℃ 내지 250℃의 온도로 5시간 내지 15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건조는 진공 분위기에서, 25℃ 이상 및 50℃ 미만의 온도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건조하는 1차 건조; 50℃ 이상 및 100℃ 미만의 온도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건조하는 2차 건조; 100℃ 이상 및 150℃ 미만의 온도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건조하는 3차 건조; 150℃ 이상 및 200℃ 미만의 온도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건조하는 4차 건조; 및 200℃ 내지 250℃의 온도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건조하는 5차 건조;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1차 건조 내지 5차 건조는 25℃에서 시작하여 200℃ 내지 250℃의 범위 내의 온도까지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승온하는 조건으로 수행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400℃ 내지 600℃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다.
상기 고체전해질은 결정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고체전해질을 대량으로 손쉽게 제조할 수 있으므로 가격 경쟁력 확보에 큰 도움이 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다양한 조성의 고체전해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교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3a는 실시예1에 따른 고체전해질의 X선 회절 분석(X-ray diffraction, XRD) 결과이다.
도 3b는 실시예2에 따른 고체전해질의 X선 회절 분석 결과이다.
도 3c는 실시예3에 따른 고체전해질의 X선 회절 분석 결과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폴리머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흐름도이다. 상기 제조방법은 단체 리튬 분말, 단체 황 분말 및 인 화합물을 포함하는 출발물질을 준비하는 단계(S10), 상기 출발물질을 용매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반응을 일으키는 단계(S20), 반응물을 건조하는 단계(S30) 및 건조된 반응물을 열처리하는 단계(S40)를 포함한다.
이하 각 단계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기 출발물질은 단체 리튬 분말, 단체 황 분말 및 인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고, 선택적으로 리튬 할로겐 화합물(LiX, X는 Br, Cl 또는 I)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기존의 건식 밀링 공정을 통한 고체전해질을 제조방법은 글로브 박스에 출발물질과 볼을 넣고 48시간 이상 분쇄한 뒤, 볼을 분리하여 분말을 얻고, 열처리를 하는 등 굉장히 복잡한 절차를 거친다.
또한, 습식 밀링 역시 용매에 출발물질을 용해한 뒤, 장시간 교반하며 반응을 시킨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종래의 제조방법과 달리 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출발물질을 사용하고 교반을 통해 용매 내에서 고체 상태의 출발물질 간에 충돌을 일으켜 반응을 일으키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종래에는 리튬 황 화합물을 용매에 용해해 오황화이인과 반응을 시켰다면, 본 발명은 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단체 리튬 분말 및 단체 황 분말을 사용하고 이들을 교반 및 충돌시켜 반응을 일으킨다. 종래의 방법에 비해 메카니컬 밀링이 강화되어 출발물질이 더 고르고 잘게 분쇄되는 효과도 얻을 수 있다.
상기 출발물질과 상기 용매의 중량비는 1 : 20 ~ 1 : 50일 수 있다. 종래 습식 밀링은 슬러리 정도의 점도를 갖는 상태에서 출발물질을 분쇄하는 것이고, 본 발명은 일종의 용액 상태에서 상기 출발물질을 교반하는 것이다. 상기 출발물질과 상기 용매의 중량비가 위 범위에 속해야 출발물질이 교반되며 목적하는 정도의 빈도로 상호 간에 접촉이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에탄올(Ethanol), 프로판올(Propanol), 부탄올(Butanol), 디메틸 카보네이트(Dimethyl carbonate), 에틸 아세테이트(Ethyl acetate), 테트라하이드로퓨란(Tetrahydrofuran), 1,2-디메톡시에탄(1,2-Dimethoxyethane), 포로필렌 글리콜 디메틸 에테르(Propylene glycol dimethyl ether), 아세토나이트릴(Acetonitril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적어도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발물질의 반응은 교반기를 이용하여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상기 교반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상기 교반기(10)는 용매(A) 및 출발물질(B)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용기(11), 상기 용기(11) 내부에 배치되는 교반 날개(12) 및 상기 교반 날개(12)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교반봉(1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반봉(13)을 회전시켜 상기 교반 날개(12)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용매(A) 내에서 출발물질(B) 간의 충돌 또는 접촉이 유도되어 반응이 일어날 수 있다.
상기 교반 날개(12) 및 교반봉(13)의 회전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상기 출발물질(B)이 상기 용매(A) 내에서 고르게 분산된 상태에서 상호 간 접촉이 일어날 수 있을 정도의 회전수로 운전할 수 있다. 상기 회전수는 교반기(10)의 크기, 용매(A)와 출발물질(B)의 중량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이후, 반응물을 건조하여 상기 용매를 제거할 수 있다.
일 예로 상기 반응물을 진공 분위기에서 25℃도 내지 250℃의 온도로 5시간 내지 15시간 동안 건조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것일 수 있다. 건조의 조건이 25℃ 미만 및/또는 5시간 미만이면 용매가 충분히 제거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원료 물질 간의 반응이 충분치 않을 수 있다. 반면에 250℃ 초과 및/또는 15시간 초과이면 원료 물질, 특히 인 황화물이 열화될 수 있다.
다른 예로 상기 반응물을 진공 분위기에서, 서로 다른 온도 조건의 2 이상의 연속적인 건조 단계로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25℃ 이상 및 50℃ 미만의 온도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건조하는 1차 건조, 50℃ 이상 및 100℃ 미만의 온도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건조하는 2차 건조, 100℃ 이상 및 150℃ 미만의 온도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건조하는 3차 건조, 150℃ 이상 및 200℃ 미만의 온도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건조하는 4차 건조 및 200℃ 내지 250℃의 온도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건조하는 5차 건조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상기 1차 건조 내지 5차 건조의 온도 조건은 25℃에서 시작하여 200℃ 내지 250℃의 범위 내의 온도까지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승온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비연속적인 건조는 25℃에서 1차 건조, 50℃에서 2차 건조, 100℃에서 3차 건조, 150℃에서 4차 건조, 200℃에서 5차 건조하되, 어느 한 단계에서 다음 단계로 넘어갈 때 온도를 최대한 빠르게 승온시키는 것일 수 있다. 반면에 연속적인 건조는 25℃에서 시작하여 1시간 내지 3시간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 시간에 걸쳐 천천히 온도를 올리면서 50℃에 다다를 때까지 건조(1차 건조)하고, 50℃에서 다시 1시간 내지 3시간의 범위 내에서 설정된 시간에 걸쳐 천천히 온도를 올리면서 100℃에 다다를 때까지 건조(2차 건조)하는 등의 것일 수 있다.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의 승온 조건은 설정된 건조 시간에 따라 적절히 조절하는 것일 수 있다.
최종적으로 건조된 반응물을 열처리하여 고체전해질을 결정화할 수 있다.
상기 열처리는 건조된 반응물을 400℃ 내지 600℃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면, 2.5℃/분 ~ 10℃/분의 속도로 상온에서 150℃까지 승온시키고, 2.5℃/분 ~ 5℃/분의 속도로 250℃까지 승온시키며, 1℃/분 ~ 2.5℃/분의 속도로 400℃까지 승온시키고, 1℃/분의 속도로 550℃까지 승온시키는 조건으로 열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열처리의 조건이 400℃ 미만 및/도는 1시간 미만이면 결정이 충분히 성장하지 않을 수 있다. 반면에 600℃ 초과 및/또는 5시간 초과이면 고체전해질 변성을 초래하여 이온전도도가 저감하는 문제가 있을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다른 형태를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1
Li3PS4의 조성을 갖는 고체전해질을 합성하기 위하여 출발물질로 단체 리튬 분말(시그마 알드리치 社) 0.578g, 단체 황 분말(시그마 알드리치 社) 1.336g, 오황화이인(P2S5) 분말(시그마 알드리치 社) 3.086g을 준비하였다. 상기 출발물질을 용매인 테트라하이드로퓨란 100g이 수용된 교반기에 투입하였다. 교반기를 작동하고 상기 출발물질을 교반하여 고체전해질을 합성하였다.
이후, 반응물을 진공 분위기에서 약 200℃로 약 5시간 동안 건조하여 잔류 용매를 제거하였다.
건조된 반응물을 약 550℃로 약 5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결정성을 갖는 고체전해질을 얻었다.
도 3a는 실시예1에 따른 고체전해질의 X선 회절 분석(X-ray diffraction, XRD) 결과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고체전해질은 Li3PS4 결정상의 피크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2
Li7P3S11의 조성을 갖는 고체전해질을 합성하기 위하여 출발물질로 단체 리튬 분말(시그마 알드리치 社) 0.491g, 단체 황 분말(시그마 알드리치 社) 1.135g, 오황화이인(P2S5) 분말(시그마 알드리치 社) 3.373g을 준비하였다.
이를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체전해질을 합성하였다.
도 3b는 실시예2에 따른 고체전해질의 X선 회절 분석 결과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고체전해질은 Li7P3S11 결정상의 피크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실시예3
Li6PS5Br의 조성을 갖는 고체전해질을 합성하기 위하여 출발물질로 단체 리튬 분말(시그마 알드리치 社) 0.554g, 단체 황 분말(시그마 알드리치 社) 1.281g, 오황화이인(P2S5) 분말(시그마 알드리치 社) 1.775g, 브롬화 리튬(LiBr) 분말 1.389g을 준비하였다.
이를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1과 동일한 방법으로 고체전해질을 합성하였다.
도 3c는 실시예3에 따른 고체전해질의 X선 회절 분석 결과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고체전해질은 Li6PS5Br 결정상의 피크를 보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
상기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에 따른 고체전해질에 대한 리튬이온 전도도를 측정하였다.
각 고체전해질을 압축 성형하여 측정용 성형체(직경 13mm, 두께 0.6 mm)로 만들었다. 상기 성형체에 10 mV의 교류 전위를 준 뒤 1Х106 내지 100 Hz의 주파수 스윕을 실시하여 임피던스 값을 측정함으로써 리튬이온 전도도를 알 수 있었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과 같다.
구분 조성 리튬이온 전도도[S/cm]
실시예1 Li3PS4 0.5Х10-3
실시예2 Li7P3S11 0.8Х10-3
실시예3 Li6PS5Br 1.0Х10-3
이상으로 본 발명의 실험예 및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였는바,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상술한 실험예 및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된다.
10: 교반기 11: 용기 12: 교반 날개 13: 교반봉

Claims (12)

  1. 단체 리튬 분말, 단체 황 분말 및 인 화합물을 포함하는 출발물질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출발물질을 용매에 투입하고 교반하여 반응을 일으키는 단계;
    반응물을 건조하는 단계; 및
    건조된 반응물을 열처리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체 리튬 분말 및 단체 황 분말은 상기 용매에 용해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물질은 리튬 할로겐 화합물(LiX, X는 Br, Cl 또는 I)을 더 포함하는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물질은 리튬 황 화합물을 포함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발물질과 상기 용매의 중량비는 1 : 20 ~ 1: 50인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단체 리튬 분말 및 단체 황 분말이 용매에 용해되지 않은 상태에서 교반하여 분말 간의 충돌을 일으켜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응은 교반기를 이용하여 수행되고,
    상기 교반기는
    용매 및 출발물질이 수용되는 공간이 형성된 용기;
    상기 용기 내부에 배치되는 교반 날개; 및
    상기 교반 날개에 연결되어 상기 용기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 형성된 교반봉을 포함하는 것인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교반봉을 회전시켜 상기 교반 날개의 회전력에 의해 상기 용매 내에서 출발물질 간의 충돌 또는 접촉이 유도되어 반응이 일어나는 것인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진공 분위기에서 25℃ 내지 250℃의 온도로 5시간 내지 15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인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건조는 진공 분위기에서,
    25℃ 이상 및 50℃ 미만의 온도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건조하는 1차 건조;
    50℃ 이상 및 100℃ 미만의 온도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건조하는 2차 건조;
    100℃ 이상 및 150℃ 미만의 온도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건조하는 3차 건조;
    150℃ 이상 및 200℃ 미만의 온도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건조하는 4차 건조; 및
    200℃ 내지 250℃의 온도로 1시간 내지 3시간 동안 건조하는 5차 건조;하는 것인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1차 건조 내지 5차 건조는 25℃에서 시작하여 200℃ 내지 250℃의 범위 내의 온도까지 연속적 또는 비연속적으로 승온하는 조건으로 수행하는 것인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처리는 400℃ 내지 600℃로 1시간 내지 5시간 동안 수행하는 것인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체전해질은 결정성을 갖는 것인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KR1020210015135A 2021-02-03 2021-02-03 액상 교반을 통한 전고체 전지용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KR20220111852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135A KR20220111852A (ko) 2021-02-03 2021-02-03 액상 교반을 통한 전고체 전지용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EP21210777.5A EP4040539A1 (en) 2021-02-03 2021-11-26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id electrolyte for an all-solid-state battery through liquid stirring
US17/538,902 US20220246981A1 (en) 2021-02-03 2021-11-30 Method of manufacturing a solid electrolyte for an all-solid-state battery through liquid stirring
CN202111509625.7A CN114853035A (zh) 2021-02-03 2021-12-10 通过液体搅拌制造用于全固态电池的固体电解质的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5135A KR20220111852A (ko) 2021-02-03 2021-02-03 액상 교반을 통한 전고체 전지용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852A true KR20220111852A (ko) 2022-08-10

Family

ID=7880635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5135A KR20220111852A (ko) 2021-02-03 2021-02-03 액상 교반을 통한 전고체 전지용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20246981A1 (ko)
EP (1) EP4040539A1 (ko)
KR (1) KR20220111852A (ko)
CN (1) CN114853035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086A (ko) 2016-11-16 2018-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습식공정을 통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042708A (ko) * 2018-10-16 2020-04-24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전고체 전지용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고체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055086A (ko) 2016-11-16 2018-05-25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습식공정을 통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853035A (zh) 2022-08-05
US20220246981A1 (en) 2022-08-04
EP4040539A1 (en) 2022-08-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30061313A (ko) 아지로다이트형 결정구조를 갖는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JP7271053B2 (ja) 窒素が添加された全固体電池用硫化物界固体電解質
KR102507008B1 (ko) 단일 원소로부터 유래된 아지로다이트형 결정구조를 갖는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EP2530767B1 (en) Nickel-rich and manganese-rich quaternary metal oxide materials as cathodes for lithium-ion and lithium-ion polymer batteries
CN105375010A (zh) 一种高压实密度锂离子正极材料的制备方法
JP7394528B2 (ja) 全固体電池用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これによって製造された固体電解質及びこれを含む全固体電池
JP2011057500A (ja) 硫化物固体電解質
KR102417513B1 (ko) 광범위한 결정화 온도 범위에서 고이온전도도를 갖는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60127877A (ko) 리튬 충전지용 고전압 층상 양극 물질, 및 이의 제조 방법
KR20160140030A (ko) 전고체 리튬황 전지용 양극활물질-고체전해질 복합체의 제조방법
KR102002597B1 (ko) 고체 전해질 제조 방법, 이를 이용해서 제조되는 고체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US20210043963A1 (en) Method of manufacturing sulfide solid electrolyte and sulfide solid electrolyte manufactured thereby
KR20230139299A (ko) 양극 재료, 배터리, 전자기기
KR20200070721A (ko) 전고체 전지 음극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316587B1 (ko) 리튬전지용 초고용량 유황양전극과 그 제조방법 및 유황양전극을 이용한 리튬전지
KR20220111852A (ko) 액상 교반을 통한 전고체 전지용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KR20200070720A (ko) 전자 전도도가 향상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4523387A (ja) 電池特性を改善させる電極活物質の製造方法及びそれから製造された電極活物質を含むリチウム二次電池
CN115763719A (zh) 一种磷酸钛镧锂包覆镁掺杂钴酸锂正极材料及其制备方法
KR102673003B1 (ko) 용해석출법에 의한 고이온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제조용 조성물
KR20220120104A (ko) 불순물의 생성 없이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제조하는 방법 및 이를 통해 제조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JP5000041B2 (ja) リチウムマンガン複合酸化物粉末、その製造方法、リチウム二次電池用正極活物質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US1099197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high-ion conductive sulfide-based solid electrolyte using dissolution-precipitation and composition used therefor
KR101588362B1 (ko) 코어-쉘 구조의 양극 활물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0614681B1 (ko) 황화철 전극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상온용리튬황화철전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