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07008B1 - 단일 원소로부터 유래된 아지로다이트형 결정구조를 갖는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단일 원소로부터 유래된 아지로다이트형 결정구조를 갖는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07008B1
KR102507008B1 KR1020170175875A KR20170175875A KR102507008B1 KR 102507008 B1 KR102507008 B1 KR 102507008B1 KR 1020170175875 A KR1020170175875 A KR 1020170175875A KR 20170175875 A KR20170175875 A KR 20170175875A KR 102507008 B1 KR102507008 B1 KR 10250700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wder
sulfide
solid electrolyte
lithium
based soli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758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74484A (ko
Inventor
성주영
장용준
오필건
윤용섭
임재민
김사흠
민홍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758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7008B1/ko
Priority to JP2018130518A priority patent/JP7271096B2/ja
Priority to ES18204054T priority patent/ES2917401T3/es
Priority to EP18204054.3A priority patent/EP3502051B1/en
Priority to US16/180,240 priority patent/US11258057B2/en
Priority to CN201811410147.2A priority patent/CN109942008B/zh
Publication of KR2019007448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7448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70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70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6Electrodes based on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BNON-METALLIC ELEMENTS; COMPOUNDS THEREOF; METALLOIDS OR COMPOUNDS THEREOF NOT COVERED BY SUBCLASS C01C
    • C01B17/00Sulfur; Compounds thereof
    • C01B17/22Alkali metal sulfides or polysulf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DCOMPOUNDS OF ALKALI METALS, i.e. LITHIUM, SODIUM, POTASSIUM, RUBIDIUM, CAESIUM, OR FRANCIUM
    • C01D15/00Lithium compound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BCABLES; CONDUCTORS; INSULATO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CONDUCTIVE, INSULATING OR DIELECTRIC PROPERTIES
    • H01B1/0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 H01B1/06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 H01B1/10Conductors or conductive bodies characterised by the conductive materials; Selection of materials as conductors mainly consisting of other non-metallic substances sulfid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1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in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2Solid material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6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 H01M10/0564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s used as electrolytes, e.g. mixed inorganic/organic electrolytes the electrolyte being constituted of organic materials only
    • H01M10/0566Liquid materials
    • H01M10/0569Liqu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04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 H01M4/0471Processes of manufacture in general involving thermal treatment, e.g. firing, sintering, backing particulate active material, thermal decomposition, pyrolysi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62Composites
    • H01M4/364Composites as mix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3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elements or alloys
    • H01M4/388Haloge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5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compounds other than oxides or hydroxides, e.g. sulfides, selenides, tellurides, halogenides or LiCoFy; of polyanionic structures, e.g. phosphates, silicates or borates
    • H01M4/581Chalcogenides or intercalation compounds thereof
    • H01M4/5815Sulf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30Three-dimensional structu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25Organic electrolyte
    • H01M2300/0028Organic electrolyte characterised by the solvent
    • H01M2300/0037Mixture of solvents
    • H01M2300/004Three solvent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17Non-aqueous electrolytes
    • H01M2300/0065Solid electrolytes
    • H01M2300/0068Solid electrolytes inorganic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2300/00Electrolytes
    • H01M2300/0088Composites
    • H01M2300/0091Composites in the form of mixtur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lectro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Composite Materials (AREA)
  • Secondary Cells (AREA)
  • Conductive Materials (AREA)
  • Primary Cel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합물 분말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 단일 원소의 분말로부터 유래된 아지로다이트(Argyrodite)형 결정구조를 갖는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단일 원소로부터 유래된 아지로다이트형 결정구조를 갖는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A SULFIDE-BASED SOLID ELECTROLYTE FOR ALL-SOLID BATTERY HAVING A CRYSTAL STRUCTURE OF ARGYRODITE DERIVED FROM SINGLE SUBSTANCE AND PREPA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화합물 분말을 기반으로 하지 않는 단일 원소의 분말로부터 유래된 아지로다이트(Argyrodite)형 결정구조를 갖는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이차전지는 자동차, 전력저장시스템 등의 대형기기에서부터 휴대폰, 캠코더, 노트북 등의 소형기기까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이차전지의 적용 분야가 넓어짐에 따라 전지의 안전성 향상 및 고성능화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이차전지 중 하나인 리튬 이차 전지는 니켈-망간 전지나 니켈-카드뮴 전지에 비해 에너지 밀도가 높고 단위면적당 용량이 크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종래의 리튬 이차 전지에 사용되는 전해질은 대부분 유기 용매 등의 액체전해질이었다. 따라서 전해질의 누액 및 이에 따른 화재의 위험성 등의 안전성 문제가 끊임없이 제기되었다.
이에 따라 최근에는 안전성을 높이기 위해 전해질로 액체전해질이 아니라 고체전해질을 이용하는 전고체 전지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고체전해질은 불연(不燃) 또는 난연(難燃)의 성질을 가지므로 액체전해질에 비하여 안전성이 높다.
고체전해질은 산화물계와 황화물계로 나뉜다.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이 산화물계 고체전해질과 비교하여 리튬 이온 전도도가 높고, 넓은 전압 범위에서 안정하다는 장점이 있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95987호는 Li2S 및 P2S5를 혼합한 뒤 유리화하여 제조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개시하고 있다. 이와 같이 종래에는 화합물 형태의 출발물질을 사용하여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제조하였다. Li2S와 같은 화합물 형태의 출발물질은 약 500만원/kg 정도로 그 소재 원가가 굉장히 높다. 게다가 최근에는 GeS2와 같은 화합물을 Li2S, P2S5와 함께 혼합하여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개량하고자 하는 시도가 많아지고 있는바 그 소재 원가가 더욱 높아지고 있다. 높은 소재 원가는 대용량 에너지 저장기술의 요구에 따른 전지의 대면적화에 굉장한 걸림돌이 된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2-0095987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한 것으로 출발물질이 화합물이 아닌 단일 원소로부터 유래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리튬 이온 전도도가 높은 아지로다이트형 결정구조의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전지의 대면적화에 유리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그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상에서 언급한 목적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목적은 이하의 설명으로 보다 분명해 질 것이며,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수단 및 그 조합으로 실현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단체(單體)황 분말로부터 유래된 황(S) 원소, 단체인 분말로부터 유래된 인(P) 원소, 단체리튬 분말로부터 유래된 리튬(Li) 원소 및 할로겐 화합물의 분말로부터 유래된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고, 아지로다이트(Argyrodite)형 결정구조를 갖는다.
상기 할로겐 화합물은 브롬화리튬(LiBr), 염화리튬(LiCl), 요오드화리튬(LiI)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할로겐 원소는 브롬(Br) 원소, 염소(Cl) 원소, 요오드(I) 원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이하의 화학식1로 표현되는 아지로다이트(Argyrodite)형 결정구조를 갖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1]
Li6PS5X
(여기서, X는 Cl, Br 또는 I 이다)
본 발명에 따른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은 단체황 분말, 단체인 분말, 단체리튬 분말 및 할로겐 화?d물의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을 밀링하여 비정질화(amorphization)하는 단계 및 비정질화된 혼합분말을 열처리하여 결정화(crystallization)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할로겐 화합물은 브롬화리튬(LiBr), 염화리튬(LiCl), 요오드화리튬(LiI)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분말은 단체황 분말, 단체인 분말, 단체리튬 분말 및 할로겐 화합물의 분말만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비정질화는 상기 혼합분말을 용매에 투입한 뒤, 유성밀(Planetary mill)을 사용하여 300RPM 내지 1000RPM 및 4시간 내지 40시간의 조건으로 밀링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펜탄(pentane), 헥산(hexane), 2-에틸헥산(2-ehtyl hexane), 헵탄(heptane), 옥탄(oct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메틸시클로헥산(methyl cylcohexan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탄화수소계 용매;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및 에틸벤젠(ethylbenzen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BTX계 용매;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테트라히드로푸란(tetrahydrofuran) 및 1,4-디옥산(1,4-dioxan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에테르계 용매; 에틸 프로피오네이트(ethyl propionate) 및 프로필 프로피오네이트(propyl propionat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에스테르계 용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결정화는 비정질화된 혼합분말을 200℃ 내지 550℃에서 1분 내지 100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종전에 비해 약 5% 미만의 비용으로 리튬 이온 전도도 및 방전 용량(전고체 전지에 적용시)이 향상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원소로부터 유래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로서 그 조성을 쉽게 변경할 수 있는바 리튬, 인, 황 등의 원소의 비율이 각기 다른 다양한 고체전해질의 개발에 대한 유인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글로브 박스와 같은 특별 장치를 요하지 않기 때문에 안전하고 값싸게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하의 설명에서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지로다이트(Argyrodite)형 결정구조를 갖는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얻은 아지로다이트형 결정구조를 갖는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사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제조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에 대한 X-선 회절 분석(X-ray diffraction spectroscopy)을 수행한 결과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조예와 비교예의 전고체 전지 각각에 대하여 충방전을 실시하여 충전 용량 및 방전 용량을 측정한 결과이다.
이상의 본 발명의 목적들, 다른 목적들, 특징들 및 이점들은 첨부된 도면과 관련된 이하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통해서 쉽게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기서 설명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도 있다. 오히려, 여기서 소개되는 실시예들은 개시된 내용이 철저하고 완전해질 수 있도록 그리고 통상의 기술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상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위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반대로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이 다른 부분 "하부에" 있다고 할 경우, 이는 다른 부분 "바로 아래에"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부분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성분, 반응 조건, 폴리머 조성물 및 배합물의 양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 값 및/또는 표현은, 이러한 숫자들이 본질적으로 다른 것들 중에서 이러한 값을 얻는 데 발생하는 측정의 다양한 불확실성이 반영된 근사치들이므로, 모든 경우 "약"이라는 용어에 의해 수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기재에서 수치범위가 개시되는 경우, 이러한 범위는 연속적이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이러한 범 위의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더 나아가, 이러한 범위가 정수를 지칭하는 경우, 달리 지적되지 않는 한 최소값으로부터 최대값이 포함된 상기 최대값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가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범위가 변수에 대해 기재되는 경우, 상기 변수는 상기 범위의 기재된 종료점들을 포함하는 기재된 범위 내의 모든 값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예를 들면, "5 내지 10"의 범위는 5, 6, 7, 8, 9, 및 10의 값들뿐만 아니라 6 내지 10, 7 내지 10, 6 내지 9, 7 내지 9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5.5, 6.5, 7.5, 5.5 내지 8.5 및 6.5 내지 9 등과 같은 기재된 범위의 범주에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또한 예를 들면, "10% 내지 30%"의 범위는 10%, 11%, 12%, 13% 등의 값들과 30%까지를 포함하는 모든 정수들뿐만 아니라 10% 내지 15%, 12% 내지 18%, 20% 내지 30% 등의 임의의 하위 범위를 포함하고, 10.5%, 15.5%, 25.5% 등과 같이 기재된 범위의 범주 내의 타당한 정수들 사이의 임의의 값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단일 원소로부터 유래된 아지로다이트형 결정구조를 갖는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단체(單體, simple substance)황 분말로부터 유래된 황(S) 원소, 단체인 분말로부터 유래된 인(P) 원소, 단체리튬 분말로부터 유래된 리튬(Li) 원소 및 할로겐 화합물의 분말로부터 유래된 할로겐 원소(X)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단체(單體)'는 단일한 원소로 구성되어 고유한 화학적 성질을 보이는 홑원소 물질을 의미한다. 따라서 상기 단체황 분말은 황(S) 원소로만 구성되어 고유한 화학적 성질을 보이는 단체황의 분말 상태를 의미하고, 상기 단체인 분말은 인(P) 원소로만 구성되어 고유한 화학적 성질을 보이는 단체인의 분말 상태를 의미하며, 상기 단체리튬 분말은 리튬(Li) 원소로만 구성되어 고유한 화학적 성질을 보이는 단체리튬의 분말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할로겐 화합물’은 할로겐 원소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의미한다.
종래에는 Li3PS4와 같은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제조하기 위해 Li2S 및 P2S5를 75 : 25의 몰%비로 혼합한 출발물질을 사용하였다. 종래와 같이 화합물 형태의 출발물질을 사용하는 경우 소재 원가가 굉장히 높다. 상기 출발물질(75Li2S-25P2S5)과 같은 경우 소재 원가가 약 500만원/kg에 달한다. 또한 Li2S는 수분에 취약하고, P2S5는 대기에서 폭발의 위험이 큰 화합물이기 때문에 별도의 글로브 박스(Glove box)에서 취급을 해야 한다는 어려움도 있었다.
본 발명은 위와 같은 문제점 및 제약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목적하는 고체전해질의 조성에 맞게 준비된 단체황 분말, 단체인 분말, 단체리튬 분말 및 할로겐 화합물의 분말로부터 얻을 수 있는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제시한다.
본 발명은 단체황 분말, 단체인 분말, 단체리튬 분말 등을 출발물질로 사용하므로 소재 원가가 약 15만원/kg 정도로 화합물 형태의 분말을 사용하는 경우에 비해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생산 비용이 굉장히 낮다. 즉, 본 발명에 따르면 적은 비용으로 리튬 이온 전도도 및 방전 용량(전고체 전지에 적용시) 등이 우수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얻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인체에 해롭거나 수분에 취약하거나 폭발의 위험이 있는 화합물 형태의 출발물질을 사용하지 않기 때문에 글로브 박스와 같은 별도의 장치를 요하지 않고, 안전하게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얻을 수 있다는 장점도 있다.
상기 할로겐 화합물은 브롬화리튬(LiBr), 염화리튬(LiCl), 요오드화리튬(LiI)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이에 상기 할로겐 화합물의 분말로부터 유래된 할로겐 원소(X)는 브롬(Br) 원소, 염소(Cl) 원소, 요오드(I) 원소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아지로다이트형 결정구조를 갖고, 이하의 화학식1로 표현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1]
Li6PS5X
여기서, X는 Cl, Br 또는 I 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아지로다이트(Argyrodite)형 결정구조를 갖는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을 도시한 것이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제조방법은 단체황 분말, 단체인 분말, 단체리튬 분말 및 할로겐 화?d물의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S1), 상기 혼합분말을 밀링하여 비정질화(amorphization)하는 단계(S2) 및 비정질화된 혼합분말을 열처리하여 결정화(crystallization)하는 단계(S3)를 포함한다.
상기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S1)는 단체황 분말, 단체인 분말, 단체리튬 분말 및 할로겐 화합물의 분말을 목적하는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조성에 맞게 각각 칭량하여 혼합하는 단계이다.
상기 단체리튬 분말은 리튬금속을 포함하는 단일소재로 대체할 수 있다. 상기 단일소재는 화합물 형태가 아닌 것으로서 밀링(milling) 등으로 단체황 분말, 단체인 분말 등과 혼합 및 비정질화될 수 있는 소재이면 어떠한 것도 해당될 수 있고, 예시적으로 리튬 호일(foil) 등일 수 있다.
상기 할로겐 화합물은 브롬화리튬(LiBr), 염화리튬(LiCl), 요오드화리튬(LiI)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일 수 있다.
이후, 상기 혼합분말을 밀링하여 비정질화한다(S2).
상기 비정질화(S2)는 습식 밀링 또는 건식 밀링으로 수행할 수 있는데 후술할 열처리 단계(S3)에서 결정의 균일한 형성 및 성장을 위해서는 습식 밀링으로 비정질화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 상기 비정질화는 상기 혼합분말을 용매에 투입한 뒤, 유성밀(Planetary mill)을 사용하여 300RPM 내지 1,000RPM 및 4시간 내지 40시간의 조건으로 밀링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펜탄(pentane), 헥산(hexane), 2-에틸헥산(2-ehtyl hexane), 헵탄(heptane), 옥탄(oct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메틸시클로헥산(methyl cylcohexan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탄화수소계 용매;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및 에틸벤젠(ethylbenzen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BTX계 용매;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테트라히드로푸란(tetrahydrofuran) 및 1,4-디옥산(1,4-dioxan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에테르계 용매; 에틸 프로피오네이트(ethyl propionate) 및 프로필 프로피오네이트(propyl propionat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에스테르계 용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혼합분말 1중량% ~ 50중량% 및 용매 50중량% ~ 99중량%, 상세히는 혼합분말 4중량% ~ 20중량% 및 용매 80중량% ~ 96중량%, 더욱 상세히는 혼합분말 5중량% ~ 15중량% 및 용매 75중량% ~ 95중량%를 혼합할 수 있다. 상기 혼합분말이 1중량% 미만이면 수율이 너무 낮아 대량 생산에 적합하지 않을 수 있고, 상기 혼합분말이 50중량%를 초과하면 건식 밀링과 유사하게 균일하게 비정질화된 물질을 얻기 어려울 수 있다.
이후, 비정질화된 상기 혼합분말을 열처리하여 결정화한다(S3).
상기 결정화(S3)는 비정질화된 혼합분말을 200℃ 내지 550℃ 및 1분 내지 100시간, 자세히는 1시간 내지 100시간, 더욱 자세히는 4시간 내지 100시간의 조건으로 열처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결정화(S3)를 진행하기 전, 비정질화된 혼합분말을 건조하는 단계를 더 수행할 수 있다. 이는 비정질화를 마친 혼합분말에 잔류하는 용매를 제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온 내지 200℃, 1분 내지 10시간의 조건으로 진공 건조, 열건조 또는 진공 조건에서 열건조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은 단체황, 단체인, 단체리튬, 할로겐 화합물의 분말로부터 얻은 혼합분말을 출발 물질로 사용하기 때문에 황화리튬(Li2S), 오황화이인(P2S5) 등을 사용할 때와 달리 글로브 박스에서 수행할 필요가 없고, 간단하게 드라이룸(Dry room)에서 수행할 수 있다.
위와 같은 방법으로 제조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아지로다이트형 결정구조를 갖고, 이하의 화학식1로 표현되는 것일 수 있다.
[화학식1]
Li6PS5X
여기서, X는 Cl, Br 또는 I 이다.
이하,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 및 실험예를 통해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S1) 단체황 분말(시그마 알드리치 社, sulfur), 단체인 분말(시그마 알드리치 社, phosphorous), 단체리튬 분말(FMC 社, Lithium powder) 및 염화리튬 분말(시그마 알드리치社, LiCl)을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얻었다.
구체적으로 단체황 분말 11.9g, 단체인 분말 2.3g, 단체리튬 분말 2.6g 및 염화리튬 3.1g을 칭량 및 혼합하여 혼합분말을 얻었다. 상기 원료 물질들의 몰비는 Li : P : S : LiCl = 5 : 1 : 5 : 1이었다.
(S2) 상기 혼합분말과 용매인 자일렌(Xylene) 165g을 혼합한 뒤, 지르코니아 볼 1,150g과 함께 유성형 볼밀의 용기에 투입하였다. 이후 약 360RPM으로 밀링을 수행하여 상기 혼합분말을 비정질화 하였다.
(S3) 비정질화된 혼합분말을 약 500℃ 및 4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결정화함으로써 이하의 화학식2로 표현되고, 아지로다이트형 결정구조를 갖는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얻었다. 도 2는 최종적으로 얻어진 상기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사진이다.
[화학식2]
Li6PS5Cl
제조예 - 전고체 전지의 제조
상기 실시예의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포함하고, 양극, 음극 및 상기 양극과 음극 사이에 위치하는 고체전해질층으로 구성된 전고체 전지를 제조하였다.
(고체전해질층) 상기 실시예의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압축 성형하여 500㎛ 두께의 고체전해질층을 얻었다.
(양극) 활물질(리튬니켈코발트망간계 활물질, NCM-711), 상기 실시예의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도전재(Super C)를 혼합한 분말로 상기 고체전해질층의 일면에 30㎛ 두께의 양극을 형성하였다. 상기 양극의 활물질 로딩량은 5.8mg/cm2였다.
(음극) 고체전해질층의 타면에 100㎛ 두께의 리튬 포일(Foil)을 부착하여 음극을 형성하였다.
비교예
출발 물질로 단체가 아닌 화합물(Li2S, P2S5, LiCl)을 사용하였다.
Li6PS5Cl의 조성에 맞게 Li2S, P2S5 및 LiCl을 각각 칭량하여 혼합하였다. 혼합물을 건식 밀링한 뒤, 500℃ 및 4시간 동안 열처리하여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얻었다.
상기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사용하여 상기 제조예와 동일한 방법으로 전고체 전지를 제조하였다.
실험예1 -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X-선 회절 분석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에 대한 X-선 회절 분석(X-ray diffraction spectroscopy)을 수행하였다. 그 결과는 도 3과 같다. 이를 참조하면, 2θ=15.5±1°, 18±1°, 26±1°, 30.5±1°, 32±1°에서 주요 피크가 관찰되었고, 이는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의 피크와 모두 일치하는바, 상기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이 아지로다이트형 결정 구조를 갖고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2 -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리튬 이온 전도도 측정
상기 실시예에서 제조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압축 성형하여 측정용 성형체(직경 13mm, 두께 0.6mm)를 만들었다. 상기 성형체에 10 mV의 교류 전위를 준 뒤 1×106 내지 100Hz의 주파수 스윕을 실시하여 임피던스 값을 측정하였는바, 상기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리튬 이온 전도도는 2.3×10-3S/cm로 굉장히 높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조 방법에 따르면 고이온 전도성의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을 얻을 수 있다.
실험예3 - 전고체 전지의 방전 용량 측정
상기 제조예 및 비교예의 전고체 전지 각각에 대하여 0.1C rate의 율속으로 2.5V ~ 4.3V 범위의 CC(Constant current) 조건으로 충방전을 실시하여 충전 용량 및 방전 용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도 4와 같다. 이를 참조하면, 상기 제조예와 비교예의 전고체 전지의 충전 용량, 방전 용량 및 효율이 이하의 표1과 같음을 알 수 있다.
구분 충전용량[mAh/g] 방전용량[mAh/g] 효율[%]
제조예(본 발명) 232.5 165.9 71.4
비교예 208.7 160.6 77.0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으로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는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Claims (11)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단체황 분말, 단체인 분말, 단체리튬 분말 및 할로겐 화합물의 분말을 포함하는 혼합분말을 준비하는 단계;
    상기 혼합분말을 용매에 투입한 뒤, 밀링하여 비정질화(amorphization)하는 단계; 및
    비정질화된 혼합분말을 열건조를 수행한 후, 열처리하여 결정화(crystallization)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혼합분말은 단체황 분말, 단체인 분말, 단체리튬 분말 및 할로겐 화합물의 분말만을 포함하는 아지로다이트(Argyrodite)형 결정구조를 갖는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할로겐 화합물은 브롬화리튬(LiBr), 염화리튬(LiCl), 요오드화리튬(LiI)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비정질화는 상기 혼합분말을 용매에 투입한 뒤, 유성밀(Planetary mill)을 사용하여 300RPM 내지 1000RPM 및 4시간 내지 40시간의 조건으로 밀링하는 것인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용매는 펜탄(pentane), 헥산(hexane), 2-에틸헥산(2-ehtyl hexane), 헵탄(heptane), 옥탄(octane), 시클로헥산(cyclohexane) 및 메틸시클로헥산(methyl cylcohexan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탄화수소계 용매;
    벤젠(benzene), 톨루엔(toluene), 자일렌(xylene) 및 에틸벤젠(ethylbenzen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BTX계 용매;
    디에틸에테르(diethyl ether), 테트라히드로푸란(tetrahydrofuran) 및 1,4-디옥산(1,4-dioxan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에테르계 용매;
    에틸 프로피오네이트(ethyl propionate) 및 프로필 프로피오네이트(propyl propionate) 중 어느 하나 이상인 에스테르계 용매;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결정화는 비정질화된 혼합분말을 200℃ 내지 550℃에서 1분 내지 100시간 동안 열처리하는 것인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11.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은 이하의 화학식1로 표현되는 아지로다이트(Argyrodite)형 결정구조를 갖는 것인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화학식1]
    Li6PS5X
    (여기서, X는 Cl, Br 또는 I 이다)
KR1020170175875A 2017-12-20 2017-12-20 단일 원소로부터 유래된 아지로다이트형 결정구조를 갖는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070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875A KR102507008B1 (ko) 2017-12-20 2017-12-20 단일 원소로부터 유래된 아지로다이트형 결정구조를 갖는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JP2018130518A JP7271096B2 (ja) 2017-12-20 2018-07-10 単一元素に由来するアルジロダイト型結晶構造を有する全固体電池用固体電解質及びその製造方法
ES18204054T ES2917401T3 (es) 2017-12-20 2018-11-02 Método para preparar un electrolito sólido para una batería totalmente sólida con una estructura cristalina de tipo argirodita
EP18204054.3A EP3502051B1 (en) 2017-12-20 2018-11-02 Method of preparing a solid electrolyte for all-solid battery having argyrodite-type crystal structure
US16/180,240 US11258057B2 (en) 2017-12-20 2018-11-05 Solid electrolyte for all-solid battery having argyrodite-type crystal structure derived from single element and method of preparing the same
CN201811410147.2A CN109942008B (zh) 2017-12-20 2018-11-23 用于全固态电池的固体电解质及其制备方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75875A KR102507008B1 (ko) 2017-12-20 2017-12-20 단일 원소로부터 유래된 아지로다이트형 결정구조를 갖는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74484A KR20190074484A (ko) 2019-06-28
KR102507008B1 true KR102507008B1 (ko) 2023-03-06

Family

ID=6417223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75875A KR102507008B1 (ko) 2017-12-20 2017-12-20 단일 원소로부터 유래된 아지로다이트형 결정구조를 갖는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11258057B2 (ko)
EP (1) EP3502051B1 (ko)
JP (1) JP7271096B2 (ko)
KR (1) KR102507008B1 (ko)
CN (1) CN109942008B (ko)
ES (1) ES2917401T3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557616A (zh) * 2019-03-29 2021-10-26 三井金属矿业株式会社 硫化物固体电解质
EP3798183A1 (en) * 2019-09-27 2021-03-31 AMG Lithium GmbH Sulfidic solid electrolyte and its precursor
CN114728803A (zh) * 2019-11-20 2022-07-08 索尔维公司 硫代磷酸锂的制备方法
KR102247356B1 (ko) 2019-11-29 2021-04-30 고대연 고체전해질 제조장치 및 제조방법
KR20210108147A (ko) * 2020-02-25 2021-09-02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전고체 이차전지
KR102342871B1 (ko) 2020-06-17 2021-12-24 한국전기연구원 리튬 이차전지용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CN115803829A (zh) * 2020-07-10 2023-03-14 三菱综合材料株式会社 固体电解质部件的制造方法
JP7251562B2 (ja) * 2020-07-10 2023-04-04 三菱マテリアル株式会社 固体電解質部材の製造方法
CN112271322A (zh) * 2020-10-23 2021-01-26 蜂巢能源科技有限公司 一种固体电解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20230107223A (ko) * 2020-11-11 2023-07-14 에이지씨 가부시키가이샤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고체 전해질층 및 리튬 이온 이차 전지
KR20220069203A (ko) * 2020-11-19 2022-05-27 한국전자기술연구원 에스터계 유기용매를 이용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 방법, 그 제조 방법으로 제조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전고체전지
CN112768760A (zh) * 2021-02-10 2021-05-07 山东瑞福锂业有限公司 一种合成硫化物固态电解质的方法
KR102613606B1 (ko) 2021-09-09 2023-12-14 울산대학교 산학협력단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로부터 제조된 전고체 전지
CN114142084B (zh) * 2021-11-26 2024-01-30 湖州昆仑先端固态电池科技有限公司 一种硫化物固体电解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122508B (zh) * 2021-11-26 2024-02-23 湖州昆仑先端固态电池科技有限公司 一种硫化物固体电解质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4852980B (zh) * 2022-04-22 2024-04-05 武汉理工大学 一种锂电池用固态电解质材料及其制备方法
KR20240061208A (ko) * 2022-10-31 2024-05-08 주식회사 엘지화학 고체 전해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8919A (ja) * 2002-01-15 2003-07-25 Idemitsu Petrochem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硫化物ガラス及びガラスセラミックスの製造方法並びに該ガラスセラミックスを用いた全固体型電池
JP2017199631A (ja) * 2016-04-28 2017-11-02 出光興産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電極合材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Family Cites Familie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07048289A1 (de) * 2007-10-08 2009-04-09 Universität Siegen Lithium-Argyrodite
JP5716261B2 (ja) * 2009-03-16 2015-05-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結晶化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JP5141675B2 (ja) 2009-12-16 2013-02-13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およびリチウム電池
JP6243103B2 (ja) * 2012-06-29 2017-12-06 出光興産株式会社 正極合材
JP6044588B2 (ja) * 2014-05-15 2016-12-14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JP6222134B2 (ja) * 2015-02-25 2017-11-01 トヨタ自動車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電池および硫化物固体電解質材料の製造方法
EP3312846A4 (en) * 2015-06-17 2018-12-26 Idemitsu Kosan Co.,Ltd. Solid electrolyte production method
JP6683363B2 (ja) * 2015-06-17 2020-04-22 出光興産株式会社 固体電解質の製造方法
DE102015224335A1 (de) * 2015-12-04 2017-06-08 Robert Bosch Gmbh Feststoffelektrode mit elektrolytgetränkten Aktivmaterialpartikeln
JP6945382B2 (ja) * 2016-09-08 2021-10-06 出光興産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
CN106684441B (zh) * 2017-01-09 2019-03-12 郑州新世纪材料基因组工程研究院有限公司 一种硫磷化物固体电解质及其制备方法
US11637312B2 (en) * 2017-06-29 2023-04-25 Idemitsu Kosan Co., Ltd. Sulfide solid electrolyte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208919A (ja) * 2002-01-15 2003-07-25 Idemitsu Petrochem Co Ltd リチウムイオン伝導性硫化物ガラス及びガラスセラミックスの製造方法並びに該ガラスセラミックスを用いた全固体型電池
JP2017199631A (ja) * 2016-04-28 2017-11-02 出光興産株式会社 硫化物固体電解質、電極合材及びリチウムイオン電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02051B1 (en) 2022-05-18
CN109942008B (zh) 2022-08-05
KR20190074484A (ko) 2019-06-28
JP2019114525A (ja) 2019-07-11
US11258057B2 (en) 2022-02-22
CN109942008A (zh) 2019-06-28
ES2917401T3 (es) 2022-07-08
EP3502051A1 (en) 2019-06-26
JP7271096B2 (ja) 2023-05-11
US20190190007A1 (en) 2019-06-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07008B1 (ko) 단일 원소로부터 유래된 아지로다이트형 결정구조를 갖는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30061313A (ko) 아지로다이트형 결정구조를 갖는 전고체 전지용 황화물계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Guo et al. New class of LAGP-based solid polymer composite electrolyte for efficient and safe solid-state lithium batteries
KR102417506B1 (ko) 단일원소로부터 유래된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952196B1 (ko) 고체 전해질,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US10305092B2 (en) Method of preparing 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olid electrolyte complex for all-solid-state lithium sulfur battery
Kawai et al. Novel 5 V spinel cathode Li2FeMn3O8 for lithium ion batteries
KR20180055086A (ko) 습식공정을 통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KR102417513B1 (ko) 광범위한 결정화 온도 범위에서 고이온전도도를 갖는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093337B1 (ko) 고체전지
KR20190062998A (ko) 고체 전해질, 그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KR20200075250A (ko) 알칼리 토금속이 도핑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CN110581303A (zh) 固态电化学组件、固态电化学装置及其制备方法
KR20200042708A (ko) 전고체 전지용 고체 전해질의 제조 방법, 이에 의해 제조된 고체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Tran et al. Sandwich-structured composite polymer electrolyte based on PVDF-HFP/PPC/Al-doped LLZO for high-voltage solid-state lithium batteries
KR20200070721A (ko) 전고체 전지 음극용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10036543A (ko) Li6P2S8I 고체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
KR20200070720A (ko) 전자 전도도가 향상된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및 이의 제조방법
JP7301013B2 (ja) 硫化物系固体電解質及び全固体リチウムイオン電池
KR102253763B1 (ko) 치밀한 구조를 가지는 이차전지 용 고체상 복합 전해질 막 제조방법
KR102673003B1 (ko) 용해석출법에 의한 고이온전도성 황화물계 고체전해질의 제조방법 및 이에 사용되는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제조용 조성물
Viallet et al. Inorganic massive batteries
KR20230040519A (ko) 황화물계 고체전해질,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전고체 전지
WO2023111179A1 (en) PROCESS FOR THE PREPARATION OF SOLID SULFIDE MATERIAL OF FORMULA MaLI bP cS dX e (I)
JP2023534796A (ja) 固体電解質製造用組成物、これを用いる固体電解質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