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40940A -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불량탁구공 선별장치 - Google Patents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불량탁구공 선별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40940A
KR20220040940A KR1020200124275A KR20200124275A KR20220040940A KR 20220040940 A KR20220040940 A KR 20220040940A KR 1020200124275 A KR1020200124275 A KR 1020200124275A KR 20200124275 A KR20200124275 A KR 20200124275A KR 20220040940 A KR20220040940 A KR 202200409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ing
table tennis
pong
bad
supply path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42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2829B1 (ko
Inventor
우복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제이엘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제이엘에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제이엘에스
Priority to KR10202001242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2829B1/ko
Publication of KR202200409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409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28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28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8Devices for measuring or verifying ball characteristic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47/00Devices for handling or treating balls, e.g. for holding or carrying balls
    • A63B47/002Devices for dispensing balls, e.g. from a reservoir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7/00Sporting games or accessories therefor, not provided for in groups A63B1/00 - A63B65/00
    • A63B67/04Table games physically beneficial for the human body, modelled on outdoor sports, e.g. table tenni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69/00Training appliances or apparatus for special sports
    • A63B69/40Stationarily-arranged devices for projecting balls or other bodi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BAPPARATUS FOR PHYSICAL TRAINING, GYMNASTICS, SWIMMING, CLIMBING, OR FENCING; BALL GAMES; TRAINING EQUIPMENT
    • A63B2102/00Application of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to the sporting activity ; particular sports involving the use of balls and clubs, bats, rackets, or the like
    • A63B2102/16Table tenni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physics (AREA)
  • Rollers For Roller Conveyors For Transfe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불량탁구공 선별장치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피칭머신과 탁구공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탁구연습시스템에서, 상기 탁구공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탁구공을 상기 피칭머신으로 전달, 공급하면서 불량탁구공을 선별하여 분리하는 불량탁구공 선별장치에 있어서, 통로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탁구공 이송장치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피칭머신까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바닥면에 불량탁구공이 배출되도록 정상탁구공의 외경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배출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경사공급로; 상기 경사공급로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경사공급로의 내부에서 회전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을 연동시키고 상기 경사공급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경사공급로 바닥면에 정지한 불량탁구공을 간헐적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푸싱부재로 구성되는 푸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불량탁구공 선별장치{Apparatus for picking out bad ball in automatic table tennis exerciser}
본 발명은 불량탁구공 선별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상세하게는 자동탁구연습시스템 중에 이용자에 의해 파손되거나 손상된 불량탁구공을 자동으로 선별, 분리해내어 정상탁구공만 연습용으로 공급할 수 있는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불량탁구공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인 탁구는 일정 규격의 탁구대에서 작고 가벼운 탁구공을 라켓으로 주고 받으며 경쟁하는 경기로 좁은 장소에서 적은 인원이라도 언제나 즐길 수 있는 운동이며, 과격하지 않으므로 남녀노소 누구나 즐길 수 있는 대중적인 스포츠이다.
이러한 탁구는 다른 사람들과 같이 경기를 하면서 스포츠를 즐길 수 있으나 필요에 따라서 혼자서 탁구를 즐기거나 자신의 운동능력을 향상시킬 수 있도록 탁구공을 자동으로 공급하여 연습할 수 있도록 하는 장치가 공급되고 있다.
자동탁구연습시스템에 관한 선행기술로서 본 출원인이 출원하여 등록된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92961(2019.6.19.)가 도 1에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종래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간단하게 설명하면, "너비방향을 따라 수직으로 설치되는 네트(101)를 기준으로 일측 제1코트(102) 및 타측 제2코트(103)로 구분되고, 하단을 지지하는 지지대에 의해 높이가 형성되는 직사각형의 탁구대(100); 상기 제1코트의 말단부에 설치되어 순차적으로 공급되는 탁구공을 상기 제2코트를 향해 발사하는 피칭머신(110); 상기 제1코트의 말단부 측에 설치되고, 이송 또는 낙하하는 탁구공을 수집하여 상기 피칭머신에 공급하는 수집대(120); 지면에 수평하게 설치되는 하부가이드(131)와 상기 하부가이드의 상방으로 설치되는 그물망(132)으로 구성되어 상기 탁구대가 내입되는 공간을 형성하고 탁구공이 이탈되는 범위를 제한하며 지면에 낙하한 탁구공을 이동방향으로 유도하는 펜스부(130); 상기 탁구대의 하부에 설치되어 바닥에 낙하한 공을 모아 퍼올려 상향 경사지게 이송하는 탁구공 이송장치(200); 상기 탁구공 이송장치에서 이송된 탁구공을 상기 수집대까지 하향 경사진 통로를 통해 안내, 공급하는 탁구공 공급통로(300);를 포함해서 이루어지는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이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경우 낙하된 공을 탁구공 이송장치 및 공급통로를 통해 자동으로 피칭머신으로 공급해줄 수 있어서, 혼자서 탁구연습이나, 게임을 즐길 수 있는 장점이 있었다.
그러나 이용자가 낙하된 탁구공을 밟게 되면 탁구공이 찌그러지거나 손상 또는 파손되어 불량탁구공이 발생한다. 불량탁구공이 피칭머신에 유입되는 경우 불량탁구공이 발사되어 정상적인 연습이나 게임이 불가능하다.
그리고 불량탁구공으로 인해 피칭머신에 고장을 일으키는 문제가 발생했다.
그래서 이러한 불량탁구공이 피칭머신에 유입되기 전에 미리 선별해서 분리할 수 있는 장치가 제시된 바가 있으나, 이것은 단순히 정상탁구공은 빠지지 않고, 불량탁구공만 빠지는 다수개의 홀이나 슬릿을 사용하는 경우가 대다수이다.
특히, 불량탁구공은 보통 일부만 손상되거나 손상된 정도가 매우 작은 것이 대부분이므로 홀이나 슬릿을 통해 분리되지 못하고 정상탁구공과 함께 유입될 수 밖에 없는 단점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436933(2014.8.27.) "파손골프공 선별알림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1992961(2019.6.19.) "자동 탁구연습장치"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 20-0282886(2002.7.9.) "탁구공 자동발사장치" 대한민국 등록특허 10-0383246(2003.4.24.) "탁구볼 선별장치 및 탁구장치"
이에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고자 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탁구공 이송장치에 이송된 탁구공 중에 손상되거나 파손된 불량탁구공을 자동으로 선별하고 분리해낼 수 있는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불량탁구공 선별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불량탁구공 선별장치는, 피칭머신과 탁구공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탁구연습시스템 중에, 상기 탁구공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탁구공을 상기 피칭머신으로 전달, 공급하면서 불량탁구공을 선별하여 분리하는 불량탁구공 선별장치에 있어서, 통로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탁구공 이송장치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피칭머신까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바닥면에 불량탁구공이 배출되도록 정상탁구공의 외경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배출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경사공급로; 상기 경사공급로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경사공급로의 내부에서 회전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을 연동시키고 상기 경사공급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경사공급로 바닥면에 정지한 불량탁구공을 간헐적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푸싱부재로 구성되는 푸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배출공은 횡방향으로 3개가 병렬로 배열되고, 종방향으로 3개가 직렬로 배열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배출공의 내측에는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연장되고 일측으로 비틀린 형상의 경로변경판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횡방향으로 배열된 3개의 배출공 중에 가장자리에 위치한 배출공에 형성된 경로변경판은 각각 내측을 향해 비틀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본 발명에 의하면, 상대적으로 손상이 큰 불량탁구공은 배출공을 통해 거의 배출되고, 상대적으로 손상이 작은 불량탁구공이 배출공으로 배출되지 않는 경우 경로변경판에 의해 경로가 변경되면서 다음 배출공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그리고 경사공급로에 정지되거나 적체된 불량탁구공들은 푸싱부재에 의해 이강제 이동하면서 배출공을 통해 배출되므로 불량탁구공을 선별하여 분리, 배출하는 효과가 매우 크다.
도 1은 도 1은 종래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을 나타내는 사시도
도 2는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불량탁구공 선별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사시도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경사공급로를 나타내는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일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도면을 참조한 설명은 본 발명을 더 쉽게 이해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주가 그것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될 경우,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을 구성하는 장치 중에서 불량탁구공을 선별하여 분리, 배출시킬 수 있는 불량탁구공 선별장치에 관한 것이다.
간략하게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은 크게, 탁구가 이루어지는 탁구대와, 이용자에게 탁구공을 발사하는 피칭머신과, 낙하된 탁구공을 수집하여 피칭머신에 공급하는 수집대(B)와, 탁구공의 이탈을 방지하는 펜스부와, 낙하된 탁구공을 순차적으로 이송하는 탁구이송장치(A)와, 탁구이송장치와 수집대을 연결하면서 이송된 탁구공을 수집대으로 전달, 공급하는 탁구공 공급통로를 포함해서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낙하된 탁구공들 중에 손상되거나 파손되어 사용할 수 없는 불량탁구공이 피칭머신에 공급되지 못하도록 이송된 탁구공들이 상기 탁구공 공급통로를 통과하는 과정에서 불량탁구공만을 선별해서 분리, 배출할 수 있는 불량탁구공 선별장치가 본 발명이다.
도 2는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를 따른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불량탁구공 선별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도시된 본 발명의 사시도이며, 도 4는 도 3에 도시된 본 발명의 경사공급로를 나타내는 평면도를 나타낸다.
본 발명은 크게, 탁구공이 중력에 의해 굴러가는 경로를 제공하면서 불량탁구공을 분리, 배출시키는 경사공급로(100)와, 상기 경사공급로(100)에 정지한 불량탁구공을 밀어 이동시키는 푸싱수단(20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먼저, 상기 경사공급로(1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경사공급로(100)는 대략 단면이 '┗┛'와 같은 형상으로 이루어진 통로 형상이다.
상기 경사공급로(100)의 일단은 상기 탁구공이송장치(A)의 상단과 연결되고, 타단은 수집대(B)까지 연장된다.
이때, 상기 경사공급로(100)는 하향 경사지게 구비되어 상기 탁구공이송장치(A)로부터 이송된 탁구공이 중력에 의해 저절로 굴러서 상기 수집대(B)까지 이동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상기 경사공급로(100)의 바닥면에는 굴러서 이동하는 탁구공들 중에 정상탁구공은 제외하고 불량탁구공들만 분리, 배출되도록 배출공(110)이 관통 형성된다.
상기 배출공(110)은 상기 경사공급로(100)의 길이방향으로 긴 직사각형 형상으로 이루어지고 내폭은 정상탁구공의 외경보다 약간 작은 길이를 가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따라서, 정상탁구공은 상기 배출공(110)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상기 배출공(110)의 길이방향을 따라 굴러서 이동할 수 있다.
반면, 불량탁구공은 찌그러지거나 손상된 부분으로 인해 외경이 줄어들기 때문에 손상정도가 일정크기 이상이 되면 대부분 상기 배출공(11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바람직한 것은 상기 배출공(110)이 하나 이상 복수개 형성되는 것이 좋을 것이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횡방향으로 3개가 병렬로 배열되고 종방향, 다시 말해서 상기 경사공급로(100)의 길이방향으로 3개가 직렬로 배열되어 총 3행 3열의 9개가 형성될 수 있다.
이것은 다수개의 탁구공이 상기 경사공급로(100)로 진입하는 경우 1행에 복수개의 배출공(111)이 형성되어 있으므로 배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고, 혹 배출되지 못한 불량탁구공은 2행, 3행을 거치면서 대부분 배출될 수 있게 하기 위함이다.
그런데 상기 배출공(110)에는 내측에 경로변경판(120)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경로변경판(120)은 상기 배출공(110)의 내측 전단(피칭머신측)으로부터 후단(탁구공이송장치측)을 향해 연장 형성되되, 상기 배출공(110)의 절반 정도를 차지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배출공(110)은 각각 절반이 상기 경로변경판(120)에 의해 막힌 상태가 되지만, 나머지 절반은 관통된 상태이므로 불량탁구공이 배출될 수 있다.
여기서, 중요한 것은 상기 경로변경판(120)은 평평한 상태가 아니고 일측으로 비틀린 형상을 가진다.
즉, 도시된 바와 같이 어느 한 방향으로 비틀어져서 상기 경로변경판(120)의 표면이 일측으로 경사진 곡면을 이룬다.
따라서, 상기 경로변경판(120)에 도달한 탁구공은 상기 경사공급로(100)를 따라 일직선으로 굴러 내려가는 것이 아니라, 상기 경로변경판(120)에 의해 진행방향이 바뀌게 된다. 즉, 경로가 변경되어 다른 경로를 따라 굴러가게 된다.
이것은 상기 배출공(110)에 진입한 불량탁구공에 형성된 손상 부위가 탁구공의 하측에 위치하는 경우 불량탁구공은 상기 배출공(110)의 내측테두리에 걸리게 되어, 정상탁구공과 같이 상기 배출공(110)을 통해 배출되지 못하고 상기 배출공(110)에 거치된 상태로 계속 굴러가게 된다.
이러한 상태로 동일한 직선경로를 따라 내려가면 그 다음 배출공(110)에서도 배출되지 못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고자 상기 경로변경판(120)에 의해 불량탁구공의 경로를 변경시켜 다른 방향으로 유도하면 손상 부위의 위치가 바뀌면서 다음 배출공(110)에서 배출될 수 있다.
중요한 것은 상기 1행과 2행의 배출공(110)에 형성된 상기 경로변경판(120)의 비틀림 방향이다.
1행에 형성된 3개의 배출공(111) 중 가장자리에 위치한 배출공(111a, 111b)에 형성된 경로변경판(120)은 각각 내측을 향해 비틀린 형상을 가진다. 그리고 중간에 위치한 배출공(111c)에 형성된 경로변경판(120)은 좌측 또는 우측으로 비틀린 형상이 될 수 있다.
2행의 3개의 배출공(112)에 형성된 경로변경판(120)도 1행과 동일하게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중간에 위치한 배출공(112c)에 형성된 경로변경판(120)은 1행의 중간 배출공(111c)과 서로 다른 방향으로 비틀린 형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상기 경로변경판(120)에 의한 탁구공의 경로변경상태는 추후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다음으로 상기 푸싱수단(200)에 대해 설명한다.
상기 푸싱수단(200)은 구동모터(210), 구동스프라켓(220), 종동스프라켓(230), 체인(240), 푸싱부재(250)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구동모터(210)는 상기 경사공급로(100)의 일측면에 설치된다.
그리고 상기 구동모터(210)의 축에는 구동축(221)이 연결되고, 상기 구동축(221)은 상기 경사공급로(100)를 가로질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221)에는 구동스프라켓(220)이 결합된다. 상기 구동스프라켓(220)은 상기 경사공급로(100)의 내부에 회전 구동된다.
이때, 상기 구동스프라켓(220)은 상기 경사공급로(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구동축(221)과 이격되어 종동축(231)이 상기 경사공급로(100)를 가로질러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고, 상기 종동축(231)에는 상기 종동스프라켓(230)이 결합된다.
이때, 상기 종동스프라켓(230)도 상기 경사공급로(100)의 바닥면으로부터 일정 높이 이격되어 회전하도록 설치된다.
상기 구동스프라켓(220)과 종동스프라켓(230)은 체인(240)에 의해 연동된다.
따라서, 상기 구동모터(210)의 구동으로 상기 체인(240)은 상기 경사공급로(100)의 길이방향을 따라 무한궤도로 회전하게 된다.
한편, 상기 체인(240)의 외측으로 푸싱부재(250)가 결합된다.
상기 푸싱부재(250)는 평판 형상일 수 있고 상기 체인(240)의 회전에 의해 상기 경사공급로(100)의 바닥면에 정지한 불량탁구공을 밀어 전방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상기 푸싱부재는 상기 체인의 하측에 위치할 때만 탁구공을 밀기 때문에 간헐적으로 밀어 이동시킨다.
상기 푸싱부재(250)의 높이는 상기 체인(240)의 하측에 위치할 때 상기 경사공급로(100)의 바닥면에 닿지 않아야 한다.
이하에서 도 5를 함께 참조하여 본 발명의 작동상태를 설명하기로 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작동상태도를 나타낸다.
상기 탁구공 이송장치(A)로부터 이송된 탁구공들은 정상탁구공일 경우 상기 경사공급로(100)를 따라 중력에 의해 굴러 내려가 상기 수집대(B)에 수거된다.
이때, 정상탁구공의 경우 상기 배출공(110)을 통해 배출되지 않으므로 상기 배출공(110)에 걸친 상태로 굴러서 이동할 수 있다.
만일, 상대적으로 많이 손상된 불량탁구공의 경우 상기 배출공(110)을 통해 거의 다 배출된다. 즉, 1행에 배열된 배출공(111)을 통과하면 2행에 배열된 배출공(112) 중 어느 하나로 배출되고, 2행에 배열된 배출공(112)을 통과하면 3행에 배열된 배출공(113) 중 어느 하나로 배출되기 때문이다.
다만, 많이 손상된 불량탁구공이 상기 경사공급로(100) 상에서 굴러가지 않고 정지된 상태로 적체되면 상기 푸싱부재(250)에 의해 강제적으로 이동하여 근처의 다른 배출공(110)을 통해 배출될 수 있다.
반면 상대적으로 손상 정도가 작은 불량탁구공의 경우, 상기 배출공(110)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통과하는 일이 발생한다. 즉, 손상된 부분이 하측을 향하면 불량탁구공의 양단은 정상탁구공과 동일하므로 상기 배출공(110)을 통해 배출되지 않고 상기 경사공급로(100)를 따라 이동하게 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상기 경로변경판(120)을 통해 불량탁구공의 경로를 변경시킴으로써 불량탁구공의 손상부위가 측면을 향하게 함으로써 다른 배출공(110)을 통해 원활하게 배출될 수 있다.
좀 더 설명하자면, 도시된 바와 같이 1행의 양쪽 배출공(111a 또는 111b)으로 진입하는 불량탁구공이 하측에 손상부위가 있다면 배출공으로 배출되지 않고 통과하는데, 직진하는 경로가 상기 경로변경판(120)에 의해 중앙으로 변경되어 2행의 중간 배출공(112c)으로 진입하게 된다.
경로가 변경된 불량탁구공은 손상부위의 위치가 변경되므로 2행의 중간 배출공(112c)에서 배출될 수 있다.
만일, 여기서도 배출되지 않는다면 2행의 중간 배출공(112c)에 형성된 경로변경판(120)에 의해 다시 한번 더 경로가 변경되어 3행의 양쪽 배출공(113a,113b) 중 어느 하나로 배출될 수 있다.
다르게, 1행의 중간 배출공(111c)으로 진입하는 불량탁구공은 상기 경로변경판(120)에 의해 경로가 측방으로 변경되어 2행의 양쪽 배출공(112a, 112b) 중 어느 하나로 진입하게 된다.
여기서도 배출되지 않는다면 2행의 양쪽 배출공(112a 또는 112b)에 형성된 경로변경판(120)에 의해 다시 경로가 변경되어 3행의 중간 배출공(113c)을 통해 배출된다.
이상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대표적인 실시 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 내용을 바탕으로 본 발명의 범주 내에서 다양한 응용 및 변형을 행하는 것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 경사공급로 110 : 배출공
111 : 1행의 배출공 112 : 2행의 배출공
113 : 3행의 배출공 120 : 경로변경판
200 : 푸싱수단 210 : 구동모터
220 : 구동스프라켓 221 : 구동축
230 : 종동스프라켓 231 : 종동축
240 : 체인 250 : 푸싱부재
A : 탁구공 이송장치 B : 수집대
P : 탁구공

Claims (4)

  1. 피칭머신과 탁구공 이송장치를 포함하는 자동탁구연습시스템 중에, 상기 탁구공 이송장치에 의해 이송된 탁구공을 상기 피칭머신으로 전달, 공급하면서 불량탁구공을 선별하여 분리하는 불량탁구공 선별장치에 있어서,
    통로 형상을 가지면서 상기 탁구공 이송장치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피칭머신까지 하향 경사지게 설치되고, 바닥면에 불량탁구공이 배출되도록 정상탁구공의 외경보다 작은 폭을 가지는 배출공이 하나 이상 형성되는 경사공급로;
    상기 경사공급로의 일측면에 설치되는 구동모터와, 상기 경사공급로의 내부에서 회전 구동되도록 상기 구동모터의 축에 결합되는 구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이격되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종동스프라켓과, 상기 구동스프라켓과 종동스프라켓을 연동시키고 상기 경사공급로의 길이방향을 따라 무한궤도로 회전하는 체인 및 상기 체인의 외측에 결합되어 상기 경사공급로 바닥면에 정지한 불량탁구공을 간헐적으로 밀어 이동시키는 푸싱부재로 구성되는 푸싱수단;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불량탁구공 선별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은 횡방향으로 3개가 병렬로 배열되고,
    종방향으로 3개가 직렬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불량탁구공 선별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배출공의 내측에는 전단으로부터 후단을 향해 연장되고 일측으로 비틀린 형상의 경로변경판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불량탁구공 선별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횡방향으로 배열된 3개의 배출공 중에 가장자리에 위치한 배출공에 형성된 경로변경판은 각각 내측을 향해 비틀린 형상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불량탁구공 선별장치.
KR1020200124275A 2020-09-24 2020-09-24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불량탁구공 선별장치 KR1024228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275A KR102422829B1 (ko) 2020-09-24 2020-09-24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불량탁구공 선별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4275A KR102422829B1 (ko) 2020-09-24 2020-09-24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불량탁구공 선별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40940A true KR20220040940A (ko) 2022-03-31
KR102422829B1 KR102422829B1 (ko) 2022-07-20

Family

ID=8093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4275A KR102422829B1 (ko) 2020-09-24 2020-09-24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불량탁구공 선별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2829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735A (ko) * 1997-09-17 1999-04-26 고즈키 가게히코 탁구볼 선별장치 및 탁구장치
KR200282886Y1 (ko) 2002-05-01 2002-07-23 김종철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
KR101436933B1 (ko) 2013-07-05 2014-09-02 김선수 파손골프공 선별 알림장치
KR101992961B1 (ko) 2019-03-27 2019-06-25 우복연 자동 탁구 연습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90029735A (ko) * 1997-09-17 1999-04-26 고즈키 가게히코 탁구볼 선별장치 및 탁구장치
KR100383246B1 (ko) 1997-09-17 2003-07-18 코나미 가부시키가이샤 탁구볼 선별장치 및 탁구장치
KR200282886Y1 (ko) 2002-05-01 2002-07-23 김종철 탁구공 자동 발사장치
KR101436933B1 (ko) 2013-07-05 2014-09-02 김선수 파손골프공 선별 알림장치
KR101992961B1 (ko) 2019-03-27 2019-06-25 우복연 자동 탁구 연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2829B1 (ko) 2022-07-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699386A (en) Soccer practice machine
JP7301415B2 (ja) 自動卓球練習装置
CZ20014509A3 (cs) Zařízení pro soutěľní hru s hokejkou a pukem pro lední hokej
WO1997032640A1 (fr) Appareil de jeu
KR101564191B1 (ko) 탁구 연습 장치
US20100148445A1 (en) Ball delivery and sports apparatus
CN107137898A (zh) 能自动收集排球的排球场地
KR102422829B1 (ko) 자동탁구연습시스템의 불량탁구공 선별장치
US20060121996A1 (en) Recreation range
KR102439874B1 (ko) 자동 탁구 연습장치
KR20120021465A (ko) 축구공 슈팅 게임장치
CN213399809U (zh) 球币分流游戏机
JP5363211B2 (ja) ゴルフ練習場
US6712710B2 (en) Multi-level pool game apparatus and method
RU2754109C1 (ru) Мультиспортивная и многоплощадковая конструкция, способная автоматически собирать и подавать мячи
JP7414323B1 (ja) 横コンベヤーによりゴルフボールを回収する室内ゴルフ練習場用ゴルフ練習機
US10569158B2 (en) Bowling pin setter mechanism
JP3570789B2 (ja) 遊技機
KR100986168B1 (ko) 대량의 골프공을 자동공급하는 디스펜서 장치
CN111603734A (zh) 一种羽毛球自动捡球装置
EP2070567B1 (de) Verfahren zum Trainieren von Torschüssen beim Fußball und Einrichtung zum Ausüben des Verfahrens
JP2002119634A (ja) ビリヤード球を使用するボーリング遊技機
JP5800418B2 (ja) 運動装置
CN220026052U (zh) 一种多机头棒球发球机
JPH09239144A (ja) エアゲーム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