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006670A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006670A
KR20220006670A KR1020200083918A KR20200083918A KR20220006670A KR 20220006670 A KR20220006670 A KR 20220006670A KR 1020200083918 A KR1020200083918 A KR 1020200083918A KR 20200083918 A KR20200083918 A KR 20200083918A KR 20220006670 A KR20220006670 A KR 202200066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ayer
disposed
adhesive
display device
adhesive memb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391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변병훈
김민하
이덕진
정우석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8391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006670A/ko
Priority to US17/302,299 priority patent/US11686970B2/en
Priority to CN202110750581.0A priority patent/CN113920858A/zh
Publication of KR202200066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6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08Filters for use with infrared or ultraviolet radiation, e.g. for separating visible light from infrared and/or ultraviolet radiation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83Birefringent or phase retard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5Flexible substrates, e.g. plastics, organic film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8Input devices, e.g. touch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3Birefringent elements, e.g. for optical compens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1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ormed by a plurality of foldable display compon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52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flexible, e.g. mimicking a sheet of paper, or rollabl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08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light absorbing layer
    • G02F2201/086UV absorbing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2/00Materials and properties
    • G02F2202/28Adhesive materials or arrangement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Toxicolog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표시 패널,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연신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선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층, 선편광자 상에 직접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 및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접착 부재는 300nm 내지 380nm 파장의 광을 90% 이상 흡수하여 외부에서 입사되는 자외선으로부터 효과적으로 편광층을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는 박형화를 도모하여 우수한 신뢰성 특성을 나타낼 수 있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 편광층 상에 배치되고, 자외선을 흡수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에 대한 것이다.
텔레비전, 휴대 전화, 태블릿 컴퓨터, 내비게이션, 게임기 등과 같은 멀티 미디어 장치에 사용되는 다양한 표시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주로 시인성 개선을 위하여 편광 부재를 포함하고 있다. 편광 부재는 편광자 및 편광자의 보호를 위하여 편광자의 양면에 형성된 보호 필름을 포함한다.
한편, 최근에는 휴대가 용이하도록 하고, 사용자의 편의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휘어지는 플렉서블 표시 부재를 구비하여 폴딩, 벤딩 또는 롤링이 가능한 표시 장치에 대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다. 이에 따라, 표시 장치에서 사용되는 각 부재들은 폴딩이나 벤딩 동작에서 신뢰성을 확보를 위하여 박형화가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박형화된 편광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광학 특성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연신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선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층, 상기 선편광자 상에 직접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 및 상기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300nm 내지 380nm 파장의 광을 90% 이상 흡수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접착 부재는 엘라스토머 접착성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의 박리력은 2000 g/25nm 이상 5000 g/25nm 이하이고, 상기 박리력은 KS A 1107 규격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의 두께는 50μm 이상 200μm 이하일 수 있다.
상기 편광층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위상 지연층과 상기 선편광자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편광층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제1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제1 위상 지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위상 지연층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상 지연층은 λ/4 위상 지연층이고, 상기 제2 위상 지연층은 λ/2 위상 지연층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계 모노머, 트리페닐트리아진계 모노머, 벤조페논계 모노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다.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전체 중량부 대비 0.5 이상 10 이하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는 자외선 활성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편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 상에 배치되는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접착층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300nm 내지 380nm 파장의 광을 90% 이상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윈도우와 접하고, 상기 제1 접착층은 300nm 내지 380nm 파장의 광을 90% 이상 흡수할 수 있다.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편광층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감지부을 더 포함할 수있다.
상기 표시 패널은 표시 소자층 및 표시 소자층 상에 배치된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지부는 상기 봉지층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의 곡률 반경은 5m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된 형태로 변형 가능하거나 벤딩된 형태를 갖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연신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선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층, 상기 선편광자 상에 직접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 및 상기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300nm 내지 380nm 파장의 광을 90% 이상 흡수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접착 부재의 박리력은 2000 g/25nm 이상 5000 g/25nm 이하이고, 상기 박리력은 KS A 1107 규격에 의해 측정된 것일 수 있다.
상기 편광층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위상 지연층과 상기 선편광자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 접착층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연신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선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층, 상기 선편광자 상에 직접에 배치되는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 상에 배치되는 코어층, 상기 코어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300nm 내지 380nm 파장의 광을 90% 이상 흡수할 수 있다.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의 두께는 각각 20μm 이상 100μm 이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박형화된 편광 부재를 포함하여 다양한 동작 상태에서 우수한 신뢰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광학 특성 열화를 억제할 수 있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여 우수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1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a 내지 도 8d는 일 실시예의 편광층의 단면도이다.
도 9a 내지 도 9c는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0은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 및 비교예의 투과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a는 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표시 장치의 투과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b는 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표시 장치의 편광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또는 영역, 층, 부분 등)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있다", "연결 된다", 또는 "결합된다"고 언급되는 경우에 그것은 다른 구성요소 상에 직접 배치/연결/결합될 수 있거나 또는 그들 사이에 제3의 구성요소가 배치될 수도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한편, 본 출원에서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층, 막, 영역, 판 등의 부분과 다른 부분 사이에 추가되는 층, 막, 영역, 판 등이 없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직접 배치"된다는 것은 두 개의 층 또는 두 개의 부재들 사이에 접착 부재 등의 추가 부재를 사용하지 않고 배치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일 수 있다.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구성요소를 지칭한다. 또한, 도면들에 있어서, 구성요소들의 두께, 비율, 및 치수는 기술적 내용의 효과적인 설명을 위해 과장된 것이다.
"및/또는"은 연관된 구성들이 정의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모두 포함한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아래에", "하측에", "위에", "상측에" 등의 용어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들의 연관관계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다. 상기 용어들은 상대적인 개념으로, 도면에 표시된 방향을 기준으로 설명된다. 본 명세서에서 "상에 배치되는" 것은 어느 하나의 부재의 상부 뿐 아니라 하부에 배치되는 경우도 나타내는 것일 수 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모든 용어 (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 포함)는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또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서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 기술의 맥락에서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고, 이상적인 또는 지나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 한, 명시적으로 여기에서 정의된 것으로 해석된다.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수지 조성물, 접착 부재및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제1 방향축(DR1)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변들을 갖고, 제1 방향축(DR1)과 교차하는 제2 방향축(DR2) 방향으로 연장되는 단변들을 갖는 직사각형 형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DD)는 평면상에서 원형 및 다각형 등의 다양한 형상들을 갖는 것일 수 있다. 표시 장치(DD)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DD)에서 이미지(IM)가 표시되는 표시면(DS)은 제1 방향축(DR1) 및 제2 방향축(DR2)이 정의하는 면과 평행한 것일 수 있다. 표시면(DS)의 법선 방향, 즉 표시 장치(DD)의 두께 방향은 제3 방향축(DR3)이 지시한다. 각 부재들의 전면(또는 상면)과 배면(또는 하면)은 제3 방향축(DR3)에 의해 구분된다. 그러나,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다른 방향으로 변환될 수 있다. 이하, 제1 내지 제3 방향들은 제1 내지 제3 방향축들(DR1, DR2, DR3)이 각각 지시하는 방향으로 동일한 도면 부호를 참조한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F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폴딩 영역(FA) 및 복수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비폴딩 영역들(NFA) 사이에 배치되며,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들(NFA)은 제1 방향축(DR1)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열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은 일방향인 제2 방향축(DR2) 방향으로 연장되는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폴딩된 형태로 변형 가능한 부분일 수 있다. 폴딩 영역(FA)의 곡률 반경(RD)은 5mm 이하일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예시적으로, 하나의 폴딩 영역(FA)과 두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이 도시되었으나, 폴딩 영역(FA) 및 비폴딩 영역들(NFA)의 개수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표시 장치(DD)는 2개보다 많은 복수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 및 비폴딩 영역들(NFA) 사이에 배치된 복수 개의 폴딩 영역들(FA)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서 비폴딩 영역들(NFA)은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서로 대칭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폴딩 영역(FA)이 비폴딩 영역들(NFA) 사이에 배치되되, 폴딩 영역(FA)을 기준으로 하여 마주하는 두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의 면적은 서로 상이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표시면(DS)은 표시 영역(DA) 및 표시 영역(DA) 주변의 비표시 영역(ND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영상을 표시하고, 비표시 영역(NDA)은 영상을 표시하지 않을 수 있다. 비표시 영역(ND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싸고, 표시 장치(DD)의 테두리를 정의할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는 폴딩되거나 언폴딩되는 접이식(폴더블) 표시 장치(DD)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폴딩 영역(FA)이 제2 방향축(DR2)에 평행한 폴딩축(FX)을 기준으로 휘어져, 표시 장치(DD)가 폴딩될 수 있다. 폴딩축(FX)은 표시 장치(DD)의 단변에 평행한 단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표시 장치(DD)의 폴딩 시, 비폴딩 영역들(NFA)은 서로 마주보고, 표시 장치(DD)는 표시면(DS)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폴딩(in-folding)될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면에 도시된 바와 달리 표시 장치(DD)는 표시면(DS)이 외부에 노출되도록 아웃-폴딩(out-folding)될 수 있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의 폴딩 상태를 도시한 도면이다.
폴딩 동작을 제외하면,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DD-a)는 실질적으로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DD)와 동일한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이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표시 장치(DD-a)에 대한 설명에서는 폴딩 동작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표시 장치(DD-a)는 폴딩 영역(FA-a) 및 복수 개의 비폴딩 영역들(NFA-a)을 포함할 수 있다. 폴딩 영역(FA-a)은 비폴딩 영역들(NFA-a) 사이에 배치되며, 폴딩 영역(FA-a) 및 비폴딩 영역들(NFA-a)은 제2 방향축(DR2) 방향으로 이웃하여 배열될 수 있다.
폴딩 영역(FA-a)이 제1 방향축(DR1)에 평행한 폴딩축(FX-a)을 기준으로 휘어져, 표시 장치(DD-a)가 폴딩될 수 있다. 폴딩축(FX-a)은 표시 장치(DD-a)의 장변에 평행한 장축으로 정의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표시 장치(DD)는 단축을 기준으로 폴딩되고, 이와 달리 도 3에 도시된 표시 장치(DD-a)는 장축을 기준으로 폴딩될 수 있다. 도 4에서는 표시 장치(DD-a)가 표시면(DS)이 외부에 노출되지 않도록 인-폴딩되는 것으로 도시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표시 장치(DD-a)는 장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며 아웃-폴딩되는 것일 수 있다.
도 5는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사시도이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b)는 벤딩 영역(BA1, BA2)과 비벤딩 영역(NBA)을 포함하고, 벤딩 영역(BA1, BA2)은 비벤딩 영역(NBA)의 일측으로부터 벤딩된 것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b)는 이미지(IM)가 전면으로 표시되는 비벤딩 영역(NBA), 이미지(IM)가 측면으로 표시되는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벤딩 영역(BA1) 및 제2 벤딩 영역(BA2)은 비벤딩 영역(NBA)의 양측으로부터 각각 벤딩된 것일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비벤딩 영역(NBA)에서는 표시 장치(DD-b)의 전면인 제3 방향축(DR3) 방향으로 이미지(IM)를 제공하고, 제1 벤딩 영역(BA1)은 제5 방향축(DR5) 방향으로 제2 벤딩 영역(BA2)은 제4 방향축(DR4) 방향으로 이미지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제4 방향축(DR4)과 제5 방향축(DR5)은 제1 내지 제3 방향축(DR1, DR2, DR3)과 교차하는 방향일 수 있다. 하지만, 제1 내지 제5 방향축(DR1 내지 DR5)이 지시하는 방향은 상대적인 개념으로서 도면에 도시된 방향 관계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b)는 비벤딩 영역(NBA) 및 비벤딩 영역(NBA)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 벤딩 영역(BA1, BA2)을 포함하는 벤딩(bending) 표시 장치일 수 있다. 또한,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하나의 비벤딩 영역과 하나의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벤딩 표시 장치일 수 있다. 이때, 벤딩 영역은 비벤딩 영역의 일측에서만 벤딩되어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5에서는 폴더블 표시 장치 및 벤딩 표시 장치 등에 대하여 도시하여 설명하였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롤러블 표시 장치, 플랫한 리지드 표시 장치, 또는 휘어진 리지드 표시 장치일 수도 있다.
이하,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에 대한 설명에서는 단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표시 장치(DD)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후에 설명되는 내용들은 장축을 기준으로 폴딩되는 표시 장치(DD-a),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DD-b) 뿐 아니라 다양한 형태의 표시 장치에도 적용될 수 있다.
도 6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7은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 대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I-I'선에 대응하는 부분의 단면도일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 표시 모듈(DM) 상에 배치된 윈도우(WP)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서 표시 모듈(DM)은 표시 소자층(DP-EL)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DP) 및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된 편광층(PL)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표시 모듈(DM) 및 윈도우(WP) 사이에 배치된 접착 부재(AP)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서 접착 부재(AP)는 편광층(PL)과 윈도우(W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접착 부재(AP)는 광학 투명 접착 필름(OCA, optically clear adhesive film) 또는 광학 투명 접착 수지층(OCR, optically clear adhesive resin layer)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면, 표시 패널(DP)은 베이스 기판(BS), 베이스 기판(BS) 상에 배치된 회로층(DP-CL), 회로층(DP-CL) 상에 배치된 표시 소자층(DP-EL), 및 표시 소자층(DP-EL)을 커버하는 봉지층(TFE)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표시 소자층(DP-EL)에 복수 개의 유기 발광 소자들 또는 복수 개의 양자점 발광 소자들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도 7 등에서 제시된 표시 패널(DP)의 구성은 예시적인 것으로 표시 패널(DP)의 구성이 도 7 등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표시 패널(DP)은 액정 표시 소자를 포함하는 것일 수 있으며, 이 경우 봉지층(TFE)이 생략될 수 있다.
편광층(PL)은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편광층(PL)은 선편광자(PP, 도 8a)를 포함한다. 선편광자(PP, 도 8a)는 연신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필름 타입의 편광자일 수 있다. 편광층(PL)은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되어 외부광에 의한 표시 패널(DP)에서의 반사광을 제어할 수 있다.
윈도우(WP)는 표시 모듈(DM)을 보호하는 것일 수 있다. 표시 모듈(DM)에서 생성된 이미지(IM)는 윈도우(WP)를 투과하여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윈도우(WP)는 표시 장치(DD)의 터치면을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폴딩 영역(FA)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DD)에서 윈도우(WP)는 플렉서블 윈도우일 수 있다.
윈도우(WP)는 베이스층(BL) 및 인쇄층(BM)을 포함할 수 있다. 윈도우(WP)는 투과 영역(TA) 및 베젤 영역(BZA)을 포함할 수 있다. 투과 영역(TA) 및 베젤 영역(BZA)을 포함한 윈도우(WP)의 전면은 표시 장치(DD)의 전면에 해당한다.
투과 영역(TA)은 광학적으로 투명한 영역일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비해 상대적으로 광 투과율이 낮은 영역일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소정의 컬러를 가질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에 인접하며, 투과 영역(TA)을 에워쌀 수 있다.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의 형상을 정의할 수 있다. 다만, 실시예가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베젤 영역(BZA)은 투과 영역(TA)의 일 측에만 인접하여 배치될 수도 있고, 일 부분이 생략될 수도 있다.
베이스층(BL)은 유리 또는 플라스틱 기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BL)은 강화 유리 기판이 사용될 수 있다. 또는 베이스층(BL)은 가요성이 있는 고분자 수지로 형성된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층(BL)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불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difluoride), 폴리스티렌(polystyrene),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thylene vinylalcohol copolymer)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하지만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해당 기술분야에서 윈도우(WP)의 베이스층(BL)으로 알려진 일반적인 형태라면 제한 없이 사용될 수 있다.
인쇄층(BM)은 베이스층(BL)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인쇄층(BM)은 표시 모듈(DM)에 인접한 베이스층(BL)의 하부면에 제공될 수 있다. 인쇄층(BM)은 베이스층(BL)의 가장자리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인쇄층(BM)은 잉크인쇄층일 수 있다. 또한, 인쇄층(BM)은 안료 또는 염료를 포함하여 형성된 층일 수 있다. 윈도우(WP)에서 베젤 영역(BZA)은 인쇄층(BM)이 제공되는 부분일 수 있다.
한편, 윈도우(WP)는 베이스층(BL) 상에 제공되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성층(미도시)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기능성층(미도시)은 하드코팅층, 지문 방지 코팅층 등일 수 있으나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 부재(AP)는 표시 모듈(DM)과 윈도우(WP) 사이에 배치된다. 접착 부재(AP)는 표시 모듈(DM)과 윈도우(WP)를 접착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편광층(PL)과 윈도우(WP)를 접착시킬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재(AP)는 편광층(PL)을 보호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AP)는 엘라스토머 접착성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한다. 엘라스토머 접착성 수지는 접착 부재(AP)의 접착력을 부여하는 주성분일 수 있다. 엘라스토머 접착성 수지는 일정 수준의 박리력을 갖게하는 것이라면 그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엘라스토머 접착성 수지는 아크릴계 엘라스토머 수지, 실리콘계 엘라스토머 수지, 고무계 엘라스토머 수지 또는 우레탄계 엘라스토머 수지일 수 있다. 아크릴계 엘라스토머 접착성 수지는 예를 들어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프로필아크릴레이트, 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 하이드록시아크릴레이트, 초산비닐아크릴레이트, 아크릴로니트릴, 아크릴아마이드, 스티렌,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이타콘산, 아크릴산 디메틸아미노에틸, 매티롤아크릴아마이드, 그리시딜 메타아마이드, 또는 무수마레이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성분들을 2종 이상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AP)는 KS A 1107 규격에 의해 측정할 때, 2000 g/25nm 이상 5000 g/25nm 이하의 박리력 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접착 부재(AP)가 2000 g/25nm 이상의 박리력을 가질 때 윈도우(WP)와 편광층(PL)을 효과적으로 접착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AP)에서 자외선 흡수제는 파장 200nm 내지 400nm의 광을 흡수하는 것이라면 제한없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자외선 흡수제는 페놀계 모노머, 벤조트리아졸계 모노머, 벤조페논계 모노머, 옥시벤조페논계 모노머,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살리실산계 모노머, 트리아진계 모노머, 옥스아미드계 모노머, 및 티누빈(Tinuvin, Basf사) 중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특히, 벤조트리아졸계 모노머, 살리실산 에스테르계 모노머, 트리페닐트리아진계 모노머, 티누빈 및 벤조페논계 모노머 중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흡수제는 접착 부재(AP)에 포함되는 재료의 전체 중량부 대비 0.5 이상 10 이하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AP)는 외부에서 입사되는 자외선을 흡수하여 자외선이 편광층(PL)에 도달하지 않도록 효과적으로 자외선을 차단할 수 있다. 접착 부재(AP)는 특히, 300nm 내지 380nm 파장의 광을 90% 이상 흡수할 수 있다.
접착 부재(AP)는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접착 부재(AP)에 포함되는 가교제는 구체적으로 멜라민계 가교제, 요소계 가교제, 이소시아네이트계 가교제, 에폭시계 가교제, 메탈킬레이트계 가교제, 금속염 가교제, 금속 산화물 가교제, 폴리 아민 시나메이트계 가교제 등일 수 있다. 특히, 접착 부재(AP)는 자외선 활성 가교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자외선 활성 가교제의 종류로는 예를 들어, 이르가큐어,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및 루시린 TPO 등을 들 수 있다. 접착 부재(AP)는 광 경화성으로 자외선 활성 가교제를 포함하여 가교 반응이 충분히 이루어질 수 있다.
가교제는 전체 중량부에 대해 0.01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구체적으로 0.5 중량부 내지 2.0 중량부, 구체적으로 1.0 중량부 내지 16.0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접착 부재(AP)의 접착력 및 신뢰성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AP)는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접착력향상을 위한 실란 커플링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예를 들어 3-글리시독시 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3-글리시독시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3-글리시독시 프로필 메틸디에톡시실란, 2-(3,4 에폭시사이클로헥실) 에틸트리메톡시실란 등의 에폭시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2-(아미노에틸)-3-아미노프로필 메틸디메톡시실란, 3-트리에톡시실릴-N(1,3-디메틸부틸리덴) 프로필아민,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 아미노기함유 실란 결합제, 3-아크릴록시프로필 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 트리에톡시실란 등의(메타) 아크릴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3-이소시아네이트 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등의 이소시아네이트기 함유 실란 커플링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실란 커플링제는 전체 중량부에 대해서 바람직하게는 1 중량부이하로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01 중량부 이상 1중량부 이하 또는 0.02 중량부 이상 0.6 중량부이하로 포함될 수 있다.
접착 부재(AP)는 정전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도록 대전 방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대전 방지제는 예를 들어 유기염, 금속염, 4가 암모늄계 모노머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한, 접착 부재(AP)는 반응 속도 조절제, 경화촉진제, 이온성 액체, 리튬염, 무기충전제, 연화제, 분자량 조절제, 산화방지제, 노화방지제, 안정제, 점착 부여 수지, 레벨링제, 소포제, 가소제, 염료, 안료(착색 안료, 체질 안료 등), 처리제, 자외선차단제, 형광증백제, 분산제, 열안정제, 광안정제, 대전방지제, 응집제, 윤활제 및 용제 등의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AP)는 액상의 수지 조성물 상태로 윈도우(WP)의 일면 또는 표시 모듈(DM)의 일면 상에 제공되고, 윈도우(WP)와 표시 모듈(DM) 사이에 제공된 액상의 조성물을 자외선 경화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한편, 이와 달리 별도의 공정에서 액상의 조성물을 자외선 경화하여 접착 부재(AP)를 형성하고, 접착 필름 형태로 경화된 상태의 접착 부재(AP)의 일면을 윈도우(WP)의 일면 또는 표시 모듈(DM)의 일면 상에 적층(lamination)하고, 접착 부재(AP)의 나머지 일면에 부착되지 않은 윈도우(WP)의 일면 또는 표시 모듈(DM)의 일면을 부착하는 방법으로 접착 부재(AP)가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접착 부재(AP)의 두께는 50㎛ 이상 200㎛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접착 부재(AP)의 두께는 70㎛ 이상 150㎛ 이하일 수 있다. 접착 부재(AP)의 두께가 50㎛ 보다 작아지는 경우 접착력이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8a 내지 도 8d에 대한 설명에서는 상술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에 포함되는 편광층(PL)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도 8a 내지 도 8d는 일 실시예의 편광층(PL1, PL1-1, PL2, PL3)의 단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를 참조하면, 편광층(PL1)은 선편광자(PP)를 포함한다. 선편광자(PP)는 제공된 광을 일방향으로 선 편광시키는 것일 수 있다. 선편광자(PP)는 접착 부재(AP)와 직접 접하는 상부면(PP-F) 및 상부면(PP-F)에 대향하는 하부면(PP-B)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편광층(PL1)은 별도의 보호층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편광자(PP)의 상부면(PP-F)과 접착 부재(AP) 사이에 별도의 보호층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선편광자(PP)의 하부면(PP-B)과 표시 모듈(DM) 사이에 별도의 보호층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도 8b를 참조하면, 편광층(PL1-1)은 선편광자(PP)의 하부면(PP-B) 상에 배치되는 보호층(PTL)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 경우에도 선편광자(PP)의 상부면(PP-F)과 접착 부재(AP) 사이에는 별도의 보호층을 포함하지 않을 수 있다. 보호층(PTL)은 예를 들어,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AC)층일 수 있다. 또한, 실시예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층(PTL)은 하드코팅층, 반사방지층, 위상지연층 및/또는 안티글래어(anti-glare)층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보호층(PTL)은 선편광자(PP)의 상부면(PP-F) 상에 배치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의 선편광자(PP)는 연신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필름 타입의 편광자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연신된 고분자 필름은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polyvinylalcohol)계 필름일 수 있다. 이때, 고분자 필름이 연신된 방향은 선편광자(PP)의 흡수축이 될 수 있으며, 연신된 방향과 수직하는 방향은 선편광자(PP)의 투과축이 될 수 있다. 선편광자(PP)는 연신된 고분자 필름에 이색성 염료를 흡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편광자(PP)는 연신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요오드를 흡착하여 제조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에 흡착된 요오드는 자외선에 의해 하기 식 1과 같은 반응이 진행될 수 있다. 즉, 편광층(PL)에 자외선이 도달할 경우, 선편광자(PP)의 요오드 이온이 자외선을 흡수하여 열(heat)을 방출하고, 방출된 열(heat)에 의해 이온종이 변형되고, I2가 생성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는 생성된 I2와 반응하여 하기 식 2와 같이 폴리엔(polyene)화가 진행될 수 있다. 또는 폴리비닐알코올이 입사되는 자외선을 직접 흡수하여 -OH의 라디칼 형성으로 인한 폴리엔화가 진행될 수 있다. 폴리엔화가 진행된 선편광자(PP)는 광학적 역할을 수행하지 못하게 된다.
[식 1]
Figure pat00001
[식 2]
Figure pat00002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별도의 선편광자(PP)용 보호층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경우 편광층(PL1)이 두꺼워지고, 특히 폴딩 또는 벤딩 조건에서 편광층(PL1) 내에 주름 또는 크랙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는 편광층(PL1)에 접하는 접착 부재(AP)가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여 편광층(PL1)에 자외선이 도달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하며, 보호층을 생략하여 표시 장치(DD)의 박형화를 도모할 수 있고, 표시 장치(DD)의 벤딩을 보다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선편광자(PP)의 두께는 1㎛ 이상 50㎛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선편광자(PP)의 두께는 3㎛ 이상 20㎛ 이하, 또는 5㎛ 이상 15㎛ 이하 일 수 있다. 선편광자(PP)의 두께가 1㎛ 보다 작아지는 경우 광학적 특성 구현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두께가 50㎛ 보다 커지는 경우 편광층(PL)의 두께 감소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8c를 참조하면, 편광층(PL2)은 선편광자(PP) 하면 상에 배치되는 제1 위상 지연층(RC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위상 지연층(RC1)은 제공된 광의 위상을 λ/4만큼 지연시키는 λ/4 위상 지연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편광자(PP)를 투과하여 제1 위상 지연층(RC1)으로 제공된 광의 파장이 550nm인 경우, 제1 위상 지연층(RC1)을 통과한 광은 137.5nm의 위상 지연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1 위상 지연층(RC1)은 광학적 이방성을 가지며, 입사되는 광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즉, 선편광자(PP)를 투과하여 제1 위상 지연층(RC1)으로 제공된 광은 선편광 상태에서 원편광 상태로 바뀔 수 있다. 또한, 원편광 상태로 제1위상 지연층(RC1)으로 제공된 광은 선편광 상태로 바뀔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편광층(PL2)에서 제1 위상 지연층(RC1)은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 제1 위상 지연층(RC1)은 반응성 액정 단량체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 제1 위상 지연층(RC1)은 반응성 액정 단량체를 코팅하여 정렬한 후 중합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상 지연층(RC1)에 사용된 액정 단량체는 막대형의 네마틱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즉, 제1 위상 지연층(RC1)은 네마틱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
제1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는 0.5㎛ 이상 5㎛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위상 지연층의 두께는 0.5㎛ 이상 2㎛ 이하일 수 있다. 제1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가 0.5㎛ 보다 작아지는 경우 광학적 특성 구현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두께가 5㎛ 보다 커지는 경우 편광층(PL)의 두께 감소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제1 위상 지연층(RC1)과 선편광자(PP) 사이에는 광학 접착 부재(AP-a)가 배치될 수 있다. 광학 접착 부재(AP-a)는 아크릴계 수지, 실리콘계 수지, 우레탄계 수지 및 에폭시계 수지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접착층일 수 있다. 광학 접착 부재(AP-a)의 두께는 0.1㎛ 이상 10㎛ 이하일 수 있다.
도 8d를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서 편광층(PL)은 제1 위상 지연층(RC1)과 선편광자(PP) 이외에 제2 위상 지연층(RC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위상 지연층(RC2)은 제1 위상 지연층(RC1)과 선편광자(PP)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위상 지연층(RC1)과 선편광자(PP) 사이에 제1 광학 접착 부재(AP-a1)가 배치되고, 제2 위상 지연층(RC2)과 제1 위상 지연층(RC1) 사이에는 제2 광학 접착 부재(AP-a2)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1 광학 접착 부재(AP-a1) 및 제2 광학 접착 부재(AP-a2)에 대해서는 상술한 광학 접착 부재(AP-a)에 대한 내용과 동일한 내용이 적용될 수 있다.
제2 위상 지연층(RC2)은 제공된 광의 위상을 λ/2만큼 지연시키는 광학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선편광자(PP)를 투과하여 제2 위상 지연층(RC2)으로 제공된 광의 파장이 550nm인 경우, 제2 위상 지연층(RC2)을 통과한 광은 275nm의 위상 지연값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제2 위상 지연층(RC2)으로 입사되는 광의 편광 상태를 변화시킬 수 있다. 선편광자(PP)로부터 제2 위상 지연층(RC2)으로 입사된 선편광된 광의 편광 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한편, 제1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과 제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 방향의 위상 지연값 중 어느 하나는 양의 값을 갖고, 다른 하나는 음의 값을 가질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위상 지연층(RC1)은 포지티브 A-플레이트(posi A-Plate)이고, 제2 위상 지연층(RC2)은 네가티브 A-플레이트(nega A-Plate)일 수 있다.
제2 위상 지연층(RC2)은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 제2 위상 지연층(RC2)은 반응성 액정 단량체를 사용하여 만들어진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 제2 위상 지연층(RC2)은 반응성 액정 단량체를 코팅하여 정렬한 후 중합하는 공정을 거쳐 제조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위상 지연층(RC2)에 사용된 액정 단량체는 디스크형의 디스코틱상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즉, 제2 위상 지연층(RC2)은 디스코틱 액정 코팅층일 수 있다.
액정 코팅층인 제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는 0.5㎛ 이상 70㎛ 이하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는 5㎛ 이상 50㎛ 이하일 수 있다. 또한, 제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는 제1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또는 상이할 수 있다. 제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는 제1 위상 지연층(RC1)의 두께보다 두꺼운 것일 수 있다.
제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가 0.5㎛ 보다 작아지는 경우 위상 지연층 내에서 광학적 특성 구현이 균일하지 않을 수 있으며, 제2 위상 지연층(RC2)의 두께가 70㎛ 보다 커지는 경우 편광층(PL)의 두께 감소 효과가 충분하지 않을 수 있다.
도 9a 및 도 9b는 표시 장치(DD)의 단면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상술한 도 1 내지 도 8d를 참조하여 설명한 내용과 동일한 설명이 적용될 수 있으며,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9a에서는 터치 감지부(TP)가 편광층(PL) 상에 배치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DD)를 도시하였다. 터치 감지부(TP)는 표시 패널(DP)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감지부(TP)는 표시 패널(DP)의 봉지층(TFE, 도 7) 상에 직접 배치될 수 있다. 터치 감지부(TP)는 외부의 터치를 감지하여 소정의 입력 신호로 변경하고, 입력 신호를 표시 패널(DP)에 제공할 수 있다. 터치 감지부(TP)는 사용자의 직접 터치, 사용자의 간접 터치, 물체의 직접 터치 또는 물체의 간접 터치 등을 인식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터치 감지부(TP)는 외부에서 인가되는 터치의 위치 및 터치의 세기(압력) 중 적어도 어느 하나를 감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의 터치 감지부(TP)는 다양한 구조를 갖거나 다양한 물질로 구성될 수 있으며, 어느 하나의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터치 감지부(TP)는 외부의 터치를 감지하기 위한 복수 개의 감지 전극들(미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감지 전극들(미도시)은 정전 용량 방식으로 외부의 입력을 감지할 수 있다. 표시 패널(DP)은 터치 감지부(TP)로부터 입력 신호를 제공받고, 입력 신호에 대응하는 영상을 생성할 수 있다. 또한, 터치 감지부(TP)는 센싱부(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센싱부는 압력센서, 및/ 또는 근접센서 등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도 9b는 복수의 접착 부재(AP1, AP2) 및 복수의 접착 부재(AP1, AP2) 사이에 배치된 코어층(CL)을 포함하는 표시 장치(DD)를 도시하였다. 코어층(CL)은 복수의 접착 부재(AP1, AP2)보다 높은 모듈러스를 가지는 층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층(CL)은 복수의 투명한 가요성 고분자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코어층(CL)은 폴리이미드(polyimide), 폴리아크릴레이트(polyacrylate), 폴리메틸메타아크릴레이트(polymethylmethacrylate), 폴리카보네이트(polycarbonate),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olyethylenenaphthalate), 폴리염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chloride), 폴리불화비닐리덴(polyvinylidene difluoride), 폴리스티렌(polystyrene), 에틸렌-비닐알코올 공중합체(ethylene vinylalcohol copolymer),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triacetyl cellulose), 시클로올레핀폴리머(cyclo-olefin polymer)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만들어질 수 있다. 코어층(CL)은 접착 부재(AP1, AP2) 사이에 배치되어 가요성을 높여 표시 장치의 벤딩 또는 폴딩 조건에서 유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복수의 접착 부재(AP1, AP2) 중 적어도 하나는 두께에 대한 설명을 제외하고 상술한 접착 부재(AP)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윈도우(WP)와 접하는 제2 접착 부재(AP2)는 상술한 접착 부재(AP)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접착부재(AP1)는 300nm 내지 380nm 파장의 광을 90% 이상 흡수하지 않을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며, 복수의 접착 부재(AP1, AP2) 각각에 상술한 접착 부재(AP)에 대한 설명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복수의 접착 부재(AP1, AP2) 사이에 코어층(CL)을 포함하는 경우, 복수의 접착 부재(AP1, AP2) 각각은 두께 범위가 20㎛ 이상 100㎛ 이하일 수 있다.
도 10은 일 실시예의 접착 부재들 및 비교예의 보호층들의 투과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a는 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표시 장치들의 투과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1b는 일 실시예 및 비교예의 표시 장치들의 편광도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10에서, 실시예 1은 자외선 흡수제로서 옥시벤조페논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두께 100㎛인 접착 부재이다. 실시예 2는 자외선 흡수제로서 벤조트리아졸계 화합물을 포함하고, 두께 200㎛인 접착 부재이다. 비교예 1은 자외선 흡수재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접착 부재이다. 비교예 2는 자외선 흡수재를 포함하지 않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접착 부재이다. 비교예 3 내지 6은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선편광자의 보호층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교예 3은 두께 30㎛의 TAC(Tri-Acetyl Cellulose) 필름이고, 비교예 4는 두께 27㎛의 COP (cyclo-olefin polymer) 필름이고, 비교예 5는 두께 19㎛의 COP필름이며, 비교예 6은 두께 29㎛의 COP 필름이다. 실시예 1 및 실시예 2의 투과도를 보면 380nm 이하 파장의 광을 90% 이상 흡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비교예 1 및 비교예 2의 접착 부재와 비교할 때, 우수한 자외선 흡수 특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비교예 3 내지 6과 비교해도 이와 동등 또는 우수한 정도의 자외선 흡수 특성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일 실시예에 따른 접착 부재를 포함하여 보호층이 없더라도 이와 동등 또는 우수한 정도의 자외선 차단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도 11a 및 도 11b에서, 실시예 1은 도 10의 실시예 1의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이고, 실시예 2는 도 10의 실시예 2의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이다. 비교예 1은 도 10의 비교예 1의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이고, 비교예 2는 도 10의 비교예 2의 접착 부재를 포함하는 표시장치이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표시장치들은 접착 부재를 제외한 모든 구성이 동일하며, 도 7의 표시 장치 구성을 가진다. 도 11a에서, x축은 자외선에 노출된 시간을 의미하고, y축은 380nm 내지 780nm에서 측정된 투과율을 의미한다. 도 11b에서, x축은 자외선에 노출된 시간을 의미하고, y축은 편광도를 의미한다.
도 11a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자외선에 노출되는 시간이 길어지더라도 투과율의 급격한 변화가 발생하지 않았다. 도 11b를 참조하면, 실시예 1 및 실시예 2는 자외선 노출 시간이 길어 지더라도 초기의 편광도(DOP)를 유지하며, 2% 이하로 편광도(DOP)의 차이가 발생함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비교예 1 및 비교예 2는 노출 시간이 길어질수록 편광도(DOP)가 급격하게 하락하며, 실시예들에 비해 훨씬 낮은 편광도(DOP)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자외선에 장시간 노출되더라도 자외선으로부터 편광층을 보호할 수 있어 우수한 내구성을 가질 수 있다.
일 실시예의 표시 장치는 300nm 내지 380nm 파장의 광을 90% 이상 흡수하는 접착 부재를 포함하여 편광층 내에 별도의 보호 부재를 포함하지 않아도 자외선으로부터 편광층의 열화를 차단할 수 있다. 또한, 표시 장치의 박형화를 달성할 수 있으며, 벤딩 또는 폴딩의 동작 상태에서도 편광층 내의 주름이나 크랙이 발생하지 않아 우수한 동작 신뢰성을 나타낼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 또는 해당 기술 분야에 통상의 지식을 갖는 자라면, 후술될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는 명세서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내용으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의해 정하여져야만 할 것이다.
DD : 표시 장치 WP : 윈도우
DM : 표시 모듈 DP : 표시 패널
AP : 접착 부재 PL : 편광층
PP : 선편광층 RC : 위상 지연자

Claims (20)

  1.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연신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선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층;
    상기 선편광자 상에 직접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 및
    상기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 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300nm 내지 380nm 파장의 광을 90% 이상 흡수하는 표시 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엘라스토머 접착성 수지 및 자외선 흡수제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의 박리력은 2000 g/25nm 이상 5000 g/25nm 이하이고, 상기 박리력은 KS A 1107 규격에 의해 측정된 것인 표시 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의 두께는 50μm 이상 200μm 이하인 표시 장치.
  5.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위상 지연층과 상기 선편광자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 접착층; 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제1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제1 위상 지연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위상 지연층; 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위상 지연층은 λ/4 위상 지연층이고, 상기 제2 위상 지연층은 λ/2 위상 지연층인 표시 장치.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벤조트리아졸계 모노머, 트리페닐트리아진계 모노머, 벤조페논계 모노머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인 표시 장치.
  8.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자외선 흡수제는 전체 중량부 대비 0.5 이상 10 이하 중량부로 포함되는 표시 장치.
  9.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자외선 활성 가교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는 상기 편광층 상에 배치되는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 상에 배치되는 코어층; 및
    상기 코어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접착층;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300nm 내지 380nm 파장의 광을 90% 이상 흡수하는 표시 장치.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은 상기 윈도우와 접하고,
    상기 제1 접착층은 300nm 내지 380nm 파장의 광을 90% 이상 흡수하는 표시 장치.
  1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 및 상기 편광층 사이에 배치되는 터치 감지부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 12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패널은 표시 소자층 및 표시 소자층 상에 배치된 봉지층을 포함하고,
    상기 터치 감지부는 상기 봉지층 상에 직접 배치되는 표시 장치.
  14. 제 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폴딩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폴딩 영역의 곡률 반경은 5mm 이하인 표시 장치.
  15. 일 방향으로 연장하는 벤딩축을 기준으로 벤딩된 형태로 변형 가능하거나 벤딩된 형태를 갖는 벤딩 영역을 포함하는 표시 패널; 및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연신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선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층;
    상기 선편광자 상에 직접에 배치되는 접착 부재; 및
    상기 접착 부재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 를 포함하고,
    상기 접착 부재는 300nm 내지 380nm 파장의 광을 90% 이상 흡수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6.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접착 부재의 박리력은 2000 g/25nm 이상 5000 g/25nm 이하이고, 상기 박리력은 KS A 1107 규격에 의해 측정된 것인 플렉서블 표시 장치.
  17. 제 15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층은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는 위상 지연층; 및
    상기 위상 지연층과 상기 선편광자 사이에 배치되는 광학 접착층; 을 더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18. 표시 패널;
    상기 표시 패널 상에 배치되고, 연신된 고분자 필름을 포함하는 선편광자를 포함하는 편광층;
    상기 선편광자 상에 직접에 배치되는 제1 접착층;
    상기 제1 접착층 상에 배치되는 코어층;
    상기 코어층 상에 배치되는 제2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 상에 배치되는 윈도우; 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19.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 및 상기 제2 접착층 중 적어도 어느 하나가 300nm 내지 380nm 파장의 광을 90% 이상 흡수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20. 제 1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접착층 및 제2 접착층의 두께는 각각 20μm 이상 100μm 이하인 표시 장치.

KR1020200083918A 2020-07-08 2020-07-08 표시 장치 KR20220006670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918A KR20220006670A (ko) 2020-07-08 2020-07-08 표시 장치
US17/302,299 US11686970B2 (en) 2020-07-08 2021-04-29 Display device
CN202110750581.0A CN113920858A (zh) 2020-07-08 2021-07-02 显示装置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3918A KR20220006670A (ko) 2020-07-08 2020-07-08 표시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670A true KR20220006670A (ko) 2022-01-18

Family

ID=791725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3918A KR20220006670A (ko) 2020-07-08 2020-07-08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1686970B2 (ko)
KR (1) KR20220006670A (ko)
CN (1) CN113920858A (ko)

Family Cites Families (3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M254038U (en) 2004-02-12 2004-12-21 Optimax Tech Corp Panel structure of color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KR20050120136A (ko) 2004-06-18 2005-12-22 옵티맥스 테크놀러지 코포레이션 컬러 유기 발광 다이오드의 간섭광을 개선하기 위한고투과율 편광막
KR100831562B1 (ko) * 2006-03-23 2008-05-21 주식회사 엘지화학 유연성 기판 반송용 점착제 조성물
KR20080110090A (ko) 2007-06-14 2008-12-18 삼성전자주식회사 굴절률 감쇠 필름, 이를 구비한 편광 부재, 및 이를 구비한표시 장치
KR100996374B1 (ko) 2008-02-25 2010-11-24 한국과학기술연구원 광 여기 발광시트 및 그의 제조방법
EP2161763A1 (de) 2008-09-04 2010-03-10 Bayer MaterialScience AG Konversionsfolie und ei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TW201101137A (en) 2009-06-29 2011-01-01 J Touch Corp Touch panel with matrix type tactile feedback
TWI398801B (zh) 2009-08-21 2013-06-11 J Touch Corp Transparent vibrating elements and their modules
DE102009038904A1 (de) 2009-08-29 2011-03-10 Bundesdruckerei Gmbh Gegenstand mit einem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KR101063361B1 (ko) 2010-05-06 2011-09-07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플렉서블 전자소자 및 플렉서블 기판
KR101147988B1 (ko) 2010-07-13 2012-05-24 포항공과대학교 산학협력단 물리적 박리 방법을 이용한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플렉서블 전자소자 및 플렉서블 기판
KR20120014732A (ko) 2010-08-10 2012-02-20 에프엔에스테크 주식회사 플렉시블 마스크를 이용한 oled 증착 방법
KR101713277B1 (ko) 2010-08-13 2017-03-08 삼성전자주식회사 반사 방지 필름 및 상기 반사 방지 필름을 채용한 접이식 디스플레이 장치
CN103299448B (zh) 2010-09-29 2016-09-07 Posco公司 使用辊形状母基板的柔性电子器件的制造方法、柔性电子器件及柔性基板
KR101271864B1 (ko) 2010-11-05 2013-06-07 주식회사 포스코 플렉서블 모기판을 이용한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플렉서블 전자소자 및 플렉서블 기판
KR101271838B1 (ko) 2010-11-24 2013-06-07 주식회사 포스코 보강기판을 이용한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플렉서블 전자소자 및 플렉서블 기판
KR101262464B1 (ko) 2010-11-24 2013-05-08 주식회사 포스코 레이저를 이용한 플렉서블 전자소자의 제조방법
KR101868476B1 (ko) 2011-10-06 2018-06-1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판을 포함하는 유기전계 발광소자 디스플레이
US9648751B2 (en) 2012-01-13 2017-05-09 Arjo Wiggins Fine Papers Limited Method for producing a sheet
US20150218394A1 (en) 2012-08-07 2015-08-06 Lg Chem, Ltd. Printed matter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such printed matter
TW201441345A (zh) 2013-04-16 2014-11-01 Polychem Uv Eb Internat Corp 一種含有強氧化物前驅物的水性蝕刻劑組成及其構造與導電線路圖案化製程
KR101471570B1 (ko) 2013-06-20 2014-12-10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고신율의 pva계 복합 필름 및 이를 이용한 편광판의 제조 방법
KR101470207B1 (ko) * 2013-08-30 2014-12-08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친환경 접착제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한 테이프
KR101560973B1 (ko) 2014-04-25 2015-10-16 주식회사 포스코 Oled용 광 투과 금속기판 및 그 제조방법
KR20160096898A (ko) 2015-02-06 2016-08-17 김영남 은행수거장치
KR101854498B1 (ko) 2015-04-23 2018-06-15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20170064453A (ko) 2015-11-30 2017-06-0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폴더블 표시장치
DE102016121942A1 (de) 2015-11-30 2017-06-01 Lg Display Co., Ltd. Faltbare Anzeigevorrichtung
KR102454082B1 (ko) 2015-12-11 2022-10-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플레이트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102560325B1 (ko) * 2016-01-08 2023-07-2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 및 플렉서블 터치 스크린 패널을 포함하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
US20170317316A1 (en) 2016-04-29 2017-11-02 Samsung Display Co., Ltd. Polarization member and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KR101995977B1 (ko) * 2016-11-28 2019-07-0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JP6934296B2 (ja) 2016-12-01 2021-09-15 日東電工株式会社 粘着剤付き偏光板および画像表示装置
JP6832246B2 (ja) 2017-06-22 2021-02-24 日東電工株式会社 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組成物、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有機el表示装置用粘着剤層付き偏光フィルム、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KR102475857B1 (ko) * 2017-09-18 2022-12-1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 장치
KR102503732B1 (ko) * 2017-11-30 2023-02-2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JP7184549B2 (ja) 2018-06-28 2022-12-06 日東電工株式会社 光学積層体および有機el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920858A (zh) 2022-01-11
US20220011631A1 (en) 2022-01-13
US11686970B2 (en) 2023-06-2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93272B2 (en) Flexible display apparatus
US9740044B2 (en) Set of polarizing plates having a young's modulus and front-plate-integrated liquid crystal display panel comprising the same
KR102196372B1 (ko) 편광판의 셋트 및 전면판 일체형 액정 표시 패널
KR101727871B1 (ko) 편광판의 셋트 및 전면판 일체형 액정 표시 패널
KR101727870B1 (ko) 편광판의 셋트 및 전면판 일체형 액정 표시 패널
CN106796465B (zh) 具有偏振片的触摸感测电极、包括其的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KR20170020452A (ko) 편광자, 점착제를 지닌 편광판, 및 화상 표시 장치
JP6143917B2 (ja) 曲面画像表示パネル用凸面側偏光板
TW201640160A (zh) 附黏合劑層的偏光薄膜組、液晶面板及液晶顯示裝置
KR20170028848A (ko) 편광판, 반사 방지 적층체 및 화상 표시 시스템
KR20180126876A (ko) 편광판 및 이를 포함하는 광학표시장치
KR101822699B1 (ko) 광학시트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JP2011070012A (ja) 表示装置
KR20220006670A (ko) 표시 장치
WO2022270402A1 (ja) 表示装置
US20220206204A1 (en) Polarizing laminate and image display device including the same
WO2021005996A1 (ja) 円偏光板及び画像表示装置
JP2023003395A (ja) 表示装置
TW202109159A (zh) 圓偏光板及圖像顯示裝置
JP2023053913A (ja) 光学積層体及び画像表示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