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53597A - 보호시트 절단장치 및 유리기판 곤포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보호시트 절단장치 및 유리기판 곤포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53597A
KR20210153597A KR1020217027048A KR20217027048A KR20210153597A KR 20210153597 A KR20210153597 A KR 20210153597A KR 1020217027048 A KR1020217027048 A KR 1020217027048A KR 20217027048 A KR20217027048 A KR 20217027048A KR 20210153597 A KR20210153597 A KR 2021015359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otective sheet
downstream
upstream
platen
ch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70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마사나오 오프지
Original Assignee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니폰 덴키 가라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535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5359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1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 B26D7/02Means for holding or positioning work with clamping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5/00Arrangements for operating and controlling machines or device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5/02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 B26D5/06Means for moving the cutting member into its operative position for cutting by electrical mea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06Arrangements for feeding or delivering work of other than sheet, web, or filamentary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6HAND CUTTING TOOLS; CUTTING; SEVERING
    • B26DCUTTING; DETAILS COMMON TO MACHINES FOR PERFORATING, PUNCHING, CUTTING-OUT, STAMPING-OUT OR SEVERING
    • B26D7/00Details of apparatus for cutting, cutting-out, stamping-out, punching, perforating, or severing by means other than cutting
    • B26D7/27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 B26D7/32Means for performing other operations combined with cutting for conveying or stacking cut produc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Forests & Fore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Details Of Cutting Devices (AREA)
  • Nonmetal Cutting Devices (AREA)
  • Advancing Web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절단 전의 보호시트를 인출하여 반송할 때의 반송불량을 억제하여, 보호시트 절단공정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보호시트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인출부(3)와, 인출부(3)에 의해 인출된 보호시트(S)를 절단하는 절단부(4)를 구비하고, 인출부(3)는,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端部)를 끼움 지지하는 제1 이동 척(31A)과, 제1 이동 척(31A)을 인출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제1 슬라이드 기구(31B)를 가지고, 절단부(4)는, 절단 날(41A)과, 절단 날(41A)에 의한 보호시트(S)의 절단위치에 대하여 인출방향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의, 보호시트의 하면을 각각 보지하는 상류 측 정반(42A) 및 하류 측 정반(42B)을 갖는 정반(42)을 가지며, 하류 측 정반(42B)의 상면(42A1)에는, 인출방향으로 연장되고, 제1 이동 척(31A)이 진입할 수 있는 제1 홈부(42B2)가 형성된다.

Description

보호시트 절단장치 및 유리기판 곤포체의 제조방법
[0001] 본 발명은 유리기판을 적층 곤포(梱包)할 때에 이용되는 보호시트를, 소정 치수로 절단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및 그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보호시트를 사이에 끼워 적층하여 곤포된 복수의 유리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유리기판 곤포체의 제조방법의 기술에 관한 것이다.
[0002] 종래 액정 디스플레이,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및 유기 EL 디스플레이 등의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FPD : Flat Panel Display)에 이용되는 유리기판은, 보관이나 수송 시에 각 유리기판의 사이에 합지 등의 보호시트를 위치시킨 상태에서, 팔레트(pallet) 위에 세로형 자세(대략 연직 자세) 또는 가로형 자세(대략 수평 자세)로 적층하여 곤포되는 것이 통례이다.
유리기판의 사이에 위치하는 보호시트는,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의해, 미리 롤 형상으로 감긴 상태에서 길이방향으로 인출되어 소정의 길이로 연속적으로 절단되며, 그 후, 상기 보호시트 절단장치의 근방에 배치되는 적재(積載)장치에 의해 유리기판과 함께 순차적으로 팔레트 상에 재치(載置)된다(예컨대 '특허문헌 1' 참조).
일본 특허 공개 공보 제2010-93022호
[0004] 그런데, 상술한 보호시트 절단장치는, 롤 형상으로 감긴 형태로 이루어지는 띠 형상의 보호시트를 길이방향으로 인출하는 척(chuck)과, 인출된 보호시트를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절단하는 절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절단부는, 보호시트의 절단위치에 대하여, 상기 인출방향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에 각각 배치되는 상류 측 정반 및 하류 측 정반과, 이들 상류 측 정반 및 하류 측 정반의 상방에 각각 배치되는 상류 측 누름판 및 하류 측 누름판을 갖는다.
그리고, 보호시트를 절단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우선 맨 먼저,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를 척에 의해 끼움 지지한 후, 상기 척에 의해 보호시트를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하고, 이어서, 인출된 보호시트에 대하여, 상기 절단위치의 상류 측을 상류 측 정반 및 상류 측 누름판에 의해 끼움 지지하고, 또한 상기 절단위치의 하류 측을 하류 측 정반 및 하류 측 누름판에 의해 끼움 지지함으로써, 보호시트의 자세를 일시적으로 보지(保持)한 후, 절단부에 의해 보호시트를 절단한다.
[0005] 여기서, 척에 의해 보호시트를 인출할 때,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는, 통상적으로 상기 절단위치에 위치하게 되는데, 해당 단부에 척을 근접시키는 것은, 하류 측 정반이 장해가 되어 불가능하다.
따라서, 종래의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있어서는, 한 쌍의 조출(繰出, feeding) 롤러에 의해 보호시트를 일단 풀어내고,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가 하류 측 정반의 하류 측에 도달한 후, 척에 의해 상기 단부를 끼움 지지하여, 보호시트를 인출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0006]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종래의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있어서는, 절단부의 상류 측에 배치되어 있는 조출 롤러에 의해 절단 전의 보호시트를 풀어 반송하기 때문에, 상기 보호시트의 조출방향 측의 단부는, 정전기나 마찰 등의 영향을 받아, 절단부에서의 절단 날이 출입하는 홈 내부로 구부러지는 등의 반송불량을 야기하기 쉬워, 보호시트 절단공정의 생산성 저하를 초래하는 요인이 되었다.
[0007] 본 발명은, 이상에서 나타낸 현 상황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서, 띠 형상의 보호시트를 길이방향으로 인출한 후,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보호시트를 절단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로서, 절단 전의 보호시트를 인출하여 반송할 때의 반송불량을 억제하여, 보호시트 절단공정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 있는 보호시트 절단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또한, 상기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보호시트를 사이에 끼워 적층 곤포된 복수의 유리기판으로 이루어지는 유리기판 곤포체의 제조방법으로서, 보다 양호한 유리기판의 곤포 형태를 실현할 수 있는 유리기판 곤포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0008]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과 같으며, 다음으로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을 설명하도록 한다.
[0009] 즉,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는, 띠 형상의 보호시트를 길이방향으로 인출한 후,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상기 보호시트를 절단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로서, 상기 보호시트를 인출하는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에 의해 인출된 상기 보호시트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부는, 상기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端部)를 끼움 지지하는 제1 척(chuck)과, 상기 제1 척을 인출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를 가지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보호시트를 절단하는 절단 날과, 상기 절단 날에 의한 상기 보호시트의 절단위치에 대하여 상기 인출방향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의, 상기 보호시트의 하면을 각각 보지하는 상류 측 정반(定盤) 및 하류 측 정반을 갖는 정반을 가지며, 상기 하류 측 정반의 상면에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척이 진입할 수 있는 제1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10] 이와 같이, 본 발명의 보호시트 절단장치에서는, 제1 척이 진입할 수 있는 제1 홈부가, 하류 측 정반의 상면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절단위치에 위치하는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에 대하여, 제1 척을, 제1 홈부 내에 침입시켜 근접시킬 수 있으며, 제1 척에 의해 상기 단부를 끼움 지지하여, 보호시트를 안정적으로 인출할 수가 있다.
그 결과, 종래의 보호시트 절단장치와 같이, 한 쌍의 조출 롤러만으로 보호시트를 풀기 때문에, 정전기나 마찰 등의 영향을 받아, 보호시트의 조출방향 측의 단부가 구부러지는 등의 경우도 적어지며, 반송불량의 발생을 억제하여 안정적으로 보호시트를 인출할 수가 있다.
[0011]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서는, 상기 절단부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정반의 상면에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척이 진입할 수 있는 제2 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2]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제1 척은, 제1 홈부에 침입하여 하류 측 정반을 통과한 후에도, 상류 측 정반에 형성되는 제2 홈부에 침입하며, 나아가 보호시트의 인출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이동할 수가 있다.
따라서, 예컨대 예기치 않은 원인으로 인해,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가, 소정 위치에 도달하지 못하고, 해당 소정 위치에 비해 상기 인출방향의 상류 측에 위치하고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1 척에 의해,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를 확실히 끼움 지지하여 인출할 수가 있다.
[0013]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상류 측 정반의 바로 위에 배치되며, 상기 상류 측 정반과 맞닿는 상류 측 하한(下限)위치 및 상기 상류 측 정반과 이격(離隔)되는 상류 측 상한(上限)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상류 측 누름판과, 상기 하류 측 정반의 바로 위에 배치되며, 상기 하류 측 정반과 맞닿는 하류 측 하한위치 및 상기 하류 측 정반과 이격되는 하류 측 상한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하류 측 누름판을 추가로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4]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절단 날에 의한 보호시트의 절단위치에 대하여, 인출방향의 상류 측을 상류 측 정반 및 상류 측 누름판에 의해 끼움 지지하여 보지하며, 또한 인출방향의 하류 측을 하류 측 정반 및 하류 측 누름판에 의해 끼움 지지하여, 인출된 보호시트를 보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절단 날을 이동시켜 상기 보호시트를 절단하는 경우, 안정적인 커팅을 실현할 수가 있다.
[0015]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서는, 상기 절단부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누름판의 하면에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류 측 정반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척이 진입할 수 있는 제3 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6]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예컨대 상류 측 누름판이 상류 측 하한위치에 위치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1 척은, 하류 측 정반을 통과한 후, 상류 측 누름판과 간섭하는 일 없이, 상류 측 정반의 제2 홈부와, 상류 측 누름판의 제3 홈부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 내에 침입하며, 나아가 보호시트의 인출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이동할 수가 있다.
따라서, 상류 측 정반 및 상류 측 누름판에 의해,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가 보지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척을 상기 인출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이동시켜, 보호시트에 충분히 근접시킨 다음, 상기 단부를 확실하게 끼움 지지하여 보지할 수가 있다.
[0017]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서는, 상기 절단부에 있어서, 상기 하류 측 누름판의 하면에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류 측 정반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척이 진입할 수 있는 제4 홈부가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18]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예컨대 하류 측 하한위치에 위치하고 있던 하류 측 누름판이, 하류 측 상한위치를 향해 충분히 이동할 때까지 기다리지 않고도, 제1 척은, 하류 측 정반의 제1 홈부 및 하류 측 누름판의 제4 홈부를 통해, 하류 측 누름판과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곧바로 하류 측 정반을 통과하여 보호시트의 조출방향 측의 단부를 끼움 지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서의 일련의 동작 절차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0019]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서는, 상기 상류 측 누름판이 상기 상류 측 하한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하류 측 누름판이 상기 하류 측 상한위치에 위치한 상태로서, 상기 상류 측 누름판에 의해 상기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가 눌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척은 상기 보호시트의 상기 단부를 끼움 지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20]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는, 항상 상류 측 누름판에 의해 눌려 보지된 상태에서, 제1 척에 의해 끼움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제1 척에 의해,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를 확실하게 보지할 수가 있다.
[0021]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하류 측 누름판을 상기 하류 측 정반을 향해 가세(付勢, bias)하는 제1 바이어스 부재와, 상기 상류 측 누름판을 상기 상류 측 정반을 향해 가세하는 제2 바이어스 부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0022]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제2 바이어스 부재에 의한 가세력(付勢力, biasing force)에 의해, 상류 측 누름판은 상류 측 정반의 상면에 밀어붙여지고, 또한, 제1 바이어스 부재에 의한 가세력에 의해, 하류 측 누름판은 하류 측 정반의 상면에 밀어붙여지게 된다.
즉, 이들 상류 측 누름판 및 하류 측 누름판은, 항상 일정한 가세력에 의해 상류 측 정반 및 하류 측 정반에 각각 밀어붙여지게 되어, 안정적으로 보호시트를 보지할 수가 있다.
또한, 상류 측 누름판 및 하류 측 누름판이 상류 측 하한위치 및 하류 측 하한위치를 향해 각각 이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예컨대 상류 측 정반과 상류 측 누름판의 사이, 혹은 하류 측 정반과 하류 측 누름판의 사이에 예기치 않은 이물(異物)이 존재하고 있었을 경우에는, 이들 제1 바이어스 부재 또는 제2 바이어스 부재가 간섭수단으로서 기능하여, 이들 상류 측 누름판 및 하류 측 누름판, 혹은 상류 측 정반 및 하류 측 정반에 결손(缺損)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0023]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누름판 및 상기 하류 측 누름판은, 상기 보호시트의 폭방향으로 분할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0024] 즉, 일체적으로 형성된 장척(長尺) 부재로 이루어지는 상류 측 누름판 및 하류 측 누름판의 경우, 자신의 휨으로 인해, 보호시트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압력을 가하기는 어렵지만, 본 발명에서는, 상류 측 누름판 및 하류 측 누름판이 각각 분할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휨으로 인한 영향도 적어, 보호시트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압력을 가할 수가 있다.
[0025]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정반은, 상기 상류 측 정반과 상기 하류 측 정반으로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류 측 정반의 상면은, 상기 상류 측 정반의 상면에 비해 하방에 위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26]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예컨대 보호시트를 인출할 때에, 상기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다소 흔들렸다 하더라도, 상기 단부가 하류 측 정반과 간섭하여 구부러지는 경우도 적어, 반송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여 안정적으로 보호시트를 인출할 수가 있다.
[0027] 또한,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보호시트는, 상기 인출부에 의해 상기 인출방향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소정의 정지위치까지 반송되고, 상기 인출부는, 절단된 상기 보호시트가 상기 정지위치에 도달한 후, 상기 보호시트의 폭방향 양단부를 끼움 지지하는 제2 척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제2 척이 상기 보호시트를 끼움 지지한 후, 상기 제1 척은, 절단된 상기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를 개방하고, 당해 보호시트의 하방을 통과하여 상기 절단부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0028]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보호시트 절단장치로부터, 절단된 보호시트가 반출되기를 기다리지 않고도, 상기 보호시트가 소정의 정지위치에 도달한 시점에서, 곧바로 제1 척을 소정의 대기위치까지 복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호시트 절단장치에서의 일련의 동작 절차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 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0029] 나아가, 본 발명에 관한 유리기판 적층 곤포체의 제조방법에서는, 상술한 어떠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보호시트와, 유리기판을 교대로 적재하여 곤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0030]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보호시트의 단부가 구부러져 있는 등의 경우도 적어, 보다 양호한 유리기판의 곤포형태를 실현할 수가 있다.
[0031] 본 발명의 효과로서, 이하에 나타내는 것과 같은 효과를 거둔다.
즉, 본 발명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의하면, 절단 전의 보호시트를 인출하여 반송할 때의 반송 불량을 억제하여, 보호시트 절단공정의 생산성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관한 유리기판 곤포체의 제조방법에 의하면, 보다 양호한 유리기판의 곤포형태를 실현할 수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한 보호시트 절단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2는 마찬가지로, 보호시트 절단장치의 전체 구성을 나타낸 도면으로서, 도 1 내의 화살표 X1의 방향으로 본 단면 정면도이다.
도 3은 도 2 내의 화살표 X2의 방향으로 본, 동작 중인 절단부의 상태를 경시(經時)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상류 측 누름판이 상류 측 상한위치에 정지해 있고, 또한 하류 측 누름판이 하류 측 상한위치에서 정지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측면이고, (b)는 상류 측 누름판이 상류 측 하한위치에 정지해 있고, 또한 하류 측 누름판이 하류 측 하한위치에서 정지해 있는 상태를 나타낸 단면 측면이며, (c)는 하류 측 누름판이 하류 측 상한위치로 이동하여, 제1 이동 척에 의해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를 끼움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단면 측면도이다.
도 4는 보호시트 절단장치의 동작을 경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제1 이동 척에 의해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를 끼움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b)는 제1 이동 척에 의해 보호시트를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하여, 상기 보호시트를 절단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c)는 제2 이동 척에 의해 절단된 매엽(枚葉)시트의 폭방향 양단부를 끼움 지지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는 보호시트 절단장치의 동작을 경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으로서, (a)는 절단된 매엽시트를 제1 이동 척 및 제2 이동 척에 의해 반출 섹션까지 반송한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고, (b)는 고정 척에 의해 절단된 매엽시트의 폭방향 양단부를 끼움 지지한 후, 상기 매엽시트의 인출 방향 측의 단부로부터 제1 이동 척을 이격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며, (c)는 절단된 매엽시트의 하방을 통과시켜 제1 이동 척을 제1 대기위치로 복귀시킨 상태를 나타낸 평면도이다.
[0033] 다음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형태에 관하여 도 1 내지 도 5를 이용해 설명한다.
한편, 이하의 설명에 관해서는 편의상, 도 1 및 도 3 내지 도 5에서의 화살표 A의 방향을 보호시트(S)의 반송방향으로 규정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또한, 도 2 및 도 3의 상하방향을 보호시트 절단장치(1)의 상하방향으로 하여 기술하도록 한다.
[0034] (보호시트 절단장치(1)의 구성)
먼저, 본 발명을 구현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1)의 구성에 관하여 도 1, 도 2, 도 3의 (a), (c) 및 도 4의 (a)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의 보호시트 절단장치(1)는, 미리 롤 형상으로 감긴 형태로 이루어지는 띠 형상의 보호시트(S)를, 대략 수평 자세의 상태로 길이방향(도 1의 화살표 A 방향)으로 인출하고, 그 후, 인출된 보호시트(S)를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절단하여, 소정의 외형 치수로 이루어지는 매엽(枚葉)의 보호시트(이하, 적절히 '매엽시트(S1)'라 기재함)를 제작하는 장치이다.
여기서, 제작된 매엽시트(S1)는, 별도로 제조된 최종 제품인 유리기판(G)을 곤포할 때의 보호부재로서 이용되는 것이며, 팔레트(Q) 상에서, 보호시트 절단장치(1)에 의해 절단된 매엽시트(S1)와, 유리기판(G)을, 대략 연직 자세로 이루어지는 세로형 자세, 또는 대략 수평 자세로 이루어지는 가로형 자세(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가로형 자세)로 번갈아 적재함으로써, 복수의 유리기판(G·G…)이 곤포되어 이루어지는 유리기판 적층 곤포체(100)가 형성된다.
[0035]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보호시트(S)는, 합지로 이루어지지만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예컨대 발포 폴리에틸렌 등으로 이루어지는 발포 수지 시트나, 수지 시트 등과 같은 신축성을 가지며 외부로부터의 충격에 대해 유리기판(G)을 보호할 수 있는 재질이라면, 어떠한 것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의해 곤포되는 유리기판(G)은, 액정 디스플레이용의 유리기판이지만, 이것으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유기 EL 디스플레이, 전계 방출 디스플레이(FED : Field Emission Display), 표면 전도형 전자 방출 소자 디스플레이(SED : 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등의 각종 플랫 패널 디스플레이용의 유리기판이나, 각종 전자 표시 기능 소자나 박막을 형성하기 위한 기재(基材)로서 이용되는 일반적인 유리기판을 채용할 수가 있다.
[0036] 보호시트 절단장치(1)는, 베이스부(基部)가 되는 기초대(基台, 2)를 구비하고, 상기 기초대(2)의 상면에는 인출부(3), 및 상기 인출부(3)에 대하여 보호시트(S)의 반송방향(도 1 내이 화살표 A 방향)의 상류 측에 배치되는 절단부(4) 등이 설치된다.
[0037] 인출부(3)는, 롤 형상으로 감긴 보호시트(S)를 반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하는 동시에, 후술하는 절단부(4)에 의해 절단된 매엽시트(S1)를 반송하여, 소정의 섹션(후술하는 반출 섹션(S02))에서 상기 매엽시트(S1)를 보지하는 부위이다.
인출부(3)는, 제1 이동 척 장치(31), 제2 이동 척 장치(32) 및 고정 척 장치(33) 등에 의해 구성된다.
[0038] 제1 이동 척 장치(31)는, 보호시트(S)를 반송방향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한 후, 후술하는 제2 이동 척 장치(32)와 함께, 절단된 매엽시트(S1)를 반송하는 장치이다.
제1 이동 척 장치(31)는, 제1 척의 일례로서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 측(반송방향 측)의 단부를 끼움 지지하는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 이들 제1 이동 척(31A·31A)을 인출방향을 따라 각각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제1 슬라이드 기구(31B·31B), 및 전동 모터나 유압(油壓)/공기압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을 동조(同調)하여 가동시키는 액추에이터(도시생략) 등을 갖는다.
[0039] 제1 이동 척(31A)은, 예컨대 도 3의 (a) 및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하방향으로 개폐하는 제1 끼움 지지부(31A1), 및 상기 제1 끼움 지지부(31A1)를 상하이동(승강)시키는 승강부(31A2)를 갖는다.
[0040] 그리고,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보호시트(S)의 반송방향(도 3의 화살표 A 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제1 끼움 지지부(31A1·31A1)가 개구하도록 각각 배치된다.
또한,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에서의, 폭방향의 양단부와 대향되도록 하여 각각 배치된다.
[0041] 제1 슬라이드 기구(31B)는 예컨대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니어 가이드에 의해 구성되며, 후술하는 제1 끼움 지지 위치(P01, 도 4의 (a) 참조)와, 제1 퇴피(退避) 위치(P05, 도 5의 (b) 참조)의 사이에서, 각 제1 이동 척(31A)을 슬라이드 이동이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0042]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1 이동 척 장치(31)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척(31A·31A)에 의해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를 끼움 지지한 후,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들 제1 이동 척(31A·31A)을, 반송방향의 하류 측을 향해 가동시킴으로써, 롤 형상으로 감긴 보호시트(S)는 인출방향으로 소정 길이만큼 인출된다.
또한, 절단부(4)에 의해 보호시트(S)가 절단된 후,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들 제1 이동 척(31A·31A)을, 다시 반송방향의 하류 측을 향해 가동시킴으로써, 매엽으로 형성된 매엽시트(S1)는 반출 섹션(S02)을 향해 반송된다.
[0043] 한편, 이들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 및 제1 슬라이드 기구(31B·31B)의 기기 수(基數)에 대해서는, 보호시트(S)를 안정적인 자세로 인출할 수 있는 한, 본 실시형태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컨대 1기(基)만 설치되어 있어도 되고, 3기 이상 설치되어 있어도 된다.
[0044]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단부(4)에 대하여 보호시트(S)의 반송방향 상류 측에, 상기 보호시트(S)를 반송방향을 향해 풀어내는, 상하 한 쌍(도 1에서는 평면도이므로 1개만 기재함)의 조출(繰出) 롤러(5·5)가 설치되어 있는데, 제1 이동 척 장치(31)에 의해 보호시트(S)를 인출하고 있는 동안, 이들 조출 롤러(5·5)는 인출되는 보호시트(S)를 추종하여 회전된다.
[0045] 제2 이동 척 장치(32)는, 제1 이동 척 장치(31)와 함께, 절단된 매엽시트(S1)를 반출 섹션(S02)을 향해 반송하는 장치이다.
제2 이동 척 장치(32)는, 제1 이동 척 장치(31)에 의해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된 보호시트(S)에 대하여, 폭방향의 양단부에서의 반송방향 상류 측을 끼움 지지하는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 이들 제2 이동 척(32A·32A)을 반송방향을 따라 각각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한 쌍의 제2 슬라이드 기구(32B·32B), 및 전동 모터나 유압/공기압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지며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을 동조하여 가동시키는 액추에이터(도시생략) 등을 갖는다.
[0046] 제2 이동 척(32A)은 상하방향으로 개폐하는 제2 끼움 지지부(32A1)를 갖는다.
그리고,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은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에 대하여, 폭방향의 양측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은, 보호시트(S)의 폭방향 중앙부를 향해 제2 끼움 지지부(32A1·32A1)가 개구하도록 각각 배치된다.
[0047] 제2 슬라이드 기구(32B)는, 제1 슬라이드 기구(31B)와 평행하게(즉,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으로) 연장되는 리니어 가이드에 의해 구성되며, 후술하는 제2 대기위치(P21)와, 제2 반송 정지위치(P22; 도 5의 (a) 참조)의 사이에서, 제1 이동 척(31A)의 가동에 추종하여 각 제2 이동 척(32A)을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한다.
[0048]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제2 이동 척 장치(32)에 있어서, 한 쌍의 제2 척(32A·32A)에 의해,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된 보호시트(S)의 폭방향 양단부에 있어서의, 반송방향 상류 측을 끼움 지지한 후, 상기 액추에이터에 의해 이들 제2 이동 척(32A·32A)을, 제1 이동 척 장치(31)와 동조하면서, 반송방향의 하류 측을 향해 가동시킴으로써, 절단된 매엽시트(S1)는, 제1 이동 척(31A) 및 제2 이동 척(32A)에 의해 보지된 상태에서, 안정적인 자세로 반출 섹션(S02)을 향해 반송된다.
[0049] 고정 척 장치(33)는 반출 섹션(S02)에 도달한 매엽시트(S1)를 제1 이동 척 장치(31) 대신에 보지하는 장치이다.
고정 척 장치(33)에 의해 매엽시트(S1)를 보지함으로써, 상기 매엽시트(S1)는, 제2 이동 척 장치(32) 및 상기 고정 척 장치(33)에 의해 보지된 상태가 되며, 제1 이동 척 장치(31)의 제1 이동 척(31A)은, 곧바로 후술하는 제1 대기위치(P02)로 복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0050] 고정 척 장치(33)는, 제2 척의 일례로서, 반출 섹션(S02)에 위치하는 매엽시트(S1)의, 폭방향의 양단부에서의 반송방향 하류 측을 끼움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 척(33A·33A) 등을 갖는다.
[0051] 고정 척(33A)은 상하방향으로 개폐하는 제3 끼움 지지부(33A1)를 갖는다.
그리고, 한 쌍의 고정 척(33A·33A)은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에 대한 폭방향의 양측이며, 또한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에 대한 반송방향 하류 측에 각각 배치된다.
또한, 한 쌍의 고정 척(33A·33A)은 매엽시트(S1)의 폭방향 중앙부를 향해 제2 끼움 지지부(33A1·33A1)가 개구하도록 각각 배치된다.
[0052] 이러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고정 척 장치(33)에 있어서, 한 쌍의 고정 척(33A·33A)에 의해, 반출 섹션(S02)에 도달한 매엽시트(S1)의 폭방향 양단부에서의, 반송방향의 하류 측을 끼움 지지함으로써,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에 의해 보지되고 있던 상기 매엽시트(S1)의 반송방향의 단부는, 고정 척(33A·33A)에 의해서도 보지되게 된다.
그 결과,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매엽시트(S)로부터 이격되어 곧바로 제1 대기위치(P02)로 복귀할 수 있는 상태가 된다.
[0053] 절단부(4)는, 인출부(3)에 의해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된 보호시트(S)를 폭방향으로 절단하여 매엽시트(S1)를 형성하는 부위이다.
절단부(4)는 절단장치(41), 정반(42), 누름판(43) 및 승강장치(44) 등에 의해 구성된다.
[0054] 절단장치(41)는 제1 이동 척 장치(31)에 의해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된 보호시트(S)를 폭방향으로 절단하는 장치이다.
절단장치(41)는 예컨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보호시트(S)를 절단하는 절단 날(41A), 및 상기 절단 날(41A)을 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이동기구(41B) 등에 의해 구성된다.
[0055] 절단 날(41A)은 예컨대 보호시트(S)의 반송방향으로 평면을 향하면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대략 직사각형 판 형상의 부재로 이루어지며, 그 상단부에는, 예각으로 돌출된 커터(切刀, cutter; 41A1)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절단 날(41A)은 측면에서 볼 때 보호시트(S)와 직교하며, 또한 절단 날(41A)의 상하방향 중앙부에 상기 보호시트(S)가 위치하도록 하여 배치된다.
[0056] 그리고, 후술하는 이동기구(41B)에 의해, 보호시트(S)에서의 폭방향의 일방(一方) 측(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면에서 볼 때 우측)으로부터 타방(他方) 측(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정면에서 볼 때 좌측)을 향해 절단 날(41A)을 이동시킴으로써, 상기 보호시트(S)는 커터(41A1)를 통해 폭방향으로 절단된다.
[0057]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절단 날(41A)의 커터(41A1)는, 폭방향의 양측에 있어서 보호시트(S)를 절단할 수 있기 때문에, 절단 날(41A)의 이동방향은, 상기 폭방향의 일방 측으로부터 타방 측을 향하는 방향, 또는 상기 폭방향의 타방 측으로부터 일방 측을 향하는 방향의 어느 것이어도 무방하다.
[0058] 이동기구(41B)는, 예컨대 축심방향을 보호시트(S)의 반송방향으로 하고, 상기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 구동할 수 있도록 설치되는 구동 측 풀리(pulley)(41B1), 상기 구동 측 풀리(41B1)와 폭방향으로 대향하여 배치되며, 축심을 중심으로 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지지되는 종동(從動) 측 풀리(41B2), 및 이들 구동 측 풀리(41B1)와 종동 측 풀리(41B2)에 감기는 무단(無斷, endless)의 타이밍 벨트(41B3) 등으로 이루어지는 반송 컨베이어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타이밍 벨트(41B3)의 상방 측의 외주면에는, 홀더(41B4)가 고정 설치되어 있으며, 상기 홀더(41B4)를 통해 절단 날(41A)은 타이밍 벨트(41B3)에 탈부착 가능하게 고정된다.
[0059]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구동 모터의 구동력에 의해, 구동 측 풀리(41B1)가 정회전(正轉)방향 또는 역회전(逆轉)방향으로 회전 구동됨에 따라, 타이밍 벨트(41B3)가 이동하여 절단 날(41A)이 폭방향으로 이동된다.
[0060] 정반(42)은, 제1 이동 척 장치(31)에 의해 인출된 보호시트(S)의 하면을 보지하는 것이다.
정반(42)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 날(41A)에 의한 보호시트(S)의 절단위치(L)에 대하여,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에 각각 배치되며, 인출된 보호시트(S)의 하면에서의 상기 상류 측 및 하류 측을 각각 보지하는 상류 측 정반(42A) 및 하류 측 정반(42B)을 갖는다.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절단위치(L)'란, 제1 이동 척 장치(31)에 의해 인출된 보호시트(S)와, 절단장치(41)의 절단 날(41A)이 이동할 때의 궤적이 교차하는 교선(交線)의 위치를 의미한다.
[0061]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류 측 정반(42A) 및 하류 측 정반(42B)이 서로 분할된 구성으로 되어 있으나, 이것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이들 상류 측 정반(42A) 및 하류 측 정반(42B)이 서로 일체적으로 구성되어 있고, 중앙부에서, 절단 날(41A)이 절단위치(L)를 따라 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하는 긴 구멍(長孔)이 형성된 구성으로 해도 된다.
[0062] 상류 측 정반(42A) 및 하류 측 정반(42B)은 예컨대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수지제 소재로 이루어지는 직사각 형상의 판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며, 수평 상태면서 또한 보호시트(S)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기초대(2)의 상면에 설치된다.
또한, 상류 측 정반(42A)의 길이방향의 치수(L1) 및 하류 측 정반(42B)의 길이방향의 치수(L2)는, 모두 보호시트(S)의 폭방향의 치수(Lw)에 비해 크도록 설정되어 있으며(L1>Lw, L2>Lw), 상류 측 정반(42A)의 상면(42A1) 및 하류 측 정반(42B)의 상면(42B1)에서 보호시트(S)를 보지할 때에, 상기 보호시트(S)가 이들 상류 측 정반(42A) 및 하류 측 정반(42B)의 폭방향 측으로 비어져 나오지 않도록 구성되어 있다.
[0063] 그리고,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 측 정반(42A)의 두께 치수(H1)에 비해 하류 측 정반(42B)의 두께 치수(H2)가 작도록 설정되어 있으며(H1>H2), 하류 측 정반(42B)의 상면(42B1)은 상류 측 정반(42A)의 상면(42A1)에 비해 하방에 위치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H1과 H2의 차는 1㎜~20㎜가 바람직하고, 1㎜~10㎜가 보다 바람직하며, 1㎜~4㎜가 가장 바람직하다.
[0064]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예컨대 제1 이동 척 장치(31)에 의해 보호시트(S)를 인출할 때, 상기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 측의 단부가, 상하방향으로 다소 흔들렸다 하더라도, 상기 단부가 하류 측 정반(42B)과 간섭하여 구부러지는 경우도 적어, 반송 불량의 발생을 억제하며 안정적으로 보호시트(S)를 인출할 수가 있다.
[0065] 그런데,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류 측 정반(42B)의 상면(42B1)에는,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이동 척 장치(31)에서의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이 진입할 수 있는, 한 쌍의 제1 홈부(42B2·42B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후술하는 제2 홈부(42A2)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서의 정반(42)의 상면에 형성되는 '홈부'란, 홈부의 바닥면이 상기 정반(42)의 하면에까지 도달하지 않은 경우뿐만 아니라, 홈부의 바닥면이 정반(42)의 하면의 하방에까지 도달하여, 형성된 홈부에 의해 정반(42)이 분단되어 있는 경우(절결 형상)도 포함된다.
[0066] 구체적으로는 제1 홈부(42B2)는, 상방에서 볼 때(平面視, planar view)에 있어서, 제1 이동 척(31A)의 궤적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고, 반송방향의 상류 측 단면으로부터 하류 측 단면에 걸쳐, 하류 측 정반(42B)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홈부(42B2)는 예컨대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단면(斷面)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고, 그 폭방향의 치수(W1)는 제1 이동 척(31A)의 폭방향의 치수(W2)에 비해 크도록 설정되어 있다(W1>W2).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홈부(42B2)의 바닥면이, 하류 측 정반(42B)의 하면의 하방에까지 도달해 있고, 상기 제1 홈부(42B2)에 의해 하류 측 정반(42B)은 분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0067]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1 이동 척(31A)이 진입할 수 있는 제1 홈부(42B2)가, 하류 측 정반(42B)의 상면(42B1)에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이동 척 장치(31)에 의해 인출되기 직전의 보호시트(S)에 있어서, 절단위치(L)에 위치하는 상기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 측의 단부에 대하여, 제1 이동 척(31A)을, 제1 홈부(42B2, 도 1 참조) 내에 침입시켜 근접시킬 수 있으며, 제 이동 척(31A)에 의해 상기 단부를 끼움 지지하여 보호시트(S)를 안정적으로 인출할 수가 있다.
[0068] 그 결과, 예컨대 종래의 보호시트 절단장치와 같이, 한 쌍의 조출 롤러만으로 보호시트(S)를 풀어냄에 따라 정전기나 마찰 등의 영향을 받아 보호시트(S)의 조출방향 측의 단부가 구부러지는 등의 경우도 적어, 반송불량의 발생을 억제하여 안정적으로 보호시트(S)를 인출할 수가 있다.
[0069] 한편,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류 측 정반(42A)의 상면(42A1)에도,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으로 연장되며, 제1 이동 척 장치(31)에서의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이 진입할 수 있는, 한 쌍의 제2 홈부(42A2·42A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2 홈부(42A2)의 형상 및 배치위치는, 상술한 제1 홈부(42B2)의 형상 및 배치위치와 대략 동등하기 때문에, 설명의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0070]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제1 이동 척(31A)은, 제1 홈부(42B2)에 침입하여 하류 측 정반(42B)을 통과한 후에도, 상류 측 정반(42A)에 형성되는 제2 홈부(42A2)에 침입하며, 나아가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이동할 수가 있다.
따라서, 예컨대 예기치 않은 원인으로 인해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 측의 단부가 소정 위치(즉, 절단위치(L))에 도달하지 못하여, 상기 소정 위치에 비해 상기 인출방향(반송방향)의 상류 측에 위치해 있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1 이동 척(31A)에 의해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 측의 단부를 확실하게 끼움 지지하여 인출할 수가 있다.
[0071] 누름판(43)은 제1 이동 척 장치(31)에 의해 인출된 보호시트(S)를 상방으로부터 눌러, 상기 보호시트(S)를 인출방향(반송방향)으로 인출할 수 없는 상태로 보지하는 것이다.
누름판(43)은 상류 측 정반(42A)의 바로 위에 배치되는 상류 측 누름판(43A) 및 하류 측 정반(42B)의 바로 위에 배치되는 하류 측 누름판(43B)을 갖는다.
[0072] 상류 측 누름판(43A) 및 하류 측 누름판(43B)은 예컨대 폴리아미드 수지 등의 수지제 소재로 이루어지는 직사각 형상의 판 형상 부재로 이루어지며, 수평 상태이고 또한 보호시트(S)의 폭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하여, 상술한 상류 측 정반(42A) 및 하류 측 정반(42B)과 각각 평행하게 설치된다.
[0073] 또한, 상류 측 누름판(43A)은 후술하는 상류 측 승강장치(44A)에 의해 상하이동(승강)하는 동시에, 하류 측 누름판(43B)은 후술하는 하류 측 승강장치(44B)에 의해 상하이동(승강)한다.
구체적으로는 상류 측 누름판(43A)은, 상류 측 정반(42A)과 맞닿는 상류 측 하한위치(H01; 도 3의 (b) 또는 도 3의 (c) 참조), 및 상류 측 정반(42A)과 이격되는 상류 측 상한위치(H02; 도 3의 (a) 참조)의 사이를 이동(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 동시에, 하류 측 누름판(43B)은, 하류 측 정반(42B)과 맞닿는 하류 측 하한위치(H03; 도 3의 (b) 참조), 및 하류 측 정반(42B)과 이격되는 하류 측 상한위치(H04; 도 3의 (a) 또는 도 3의 (c) 참조)의 사이를 이동(승강)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0074]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절단 날(41A)에 의한 보호시트(S)의 절단위치(L)에 대하여, 인출방향(반송주행)의 상류 측을 상류 측 정반(42A) 및 상류 측 누름판(43A)에 의해 끼움 지지하고, 또한 인출방향(반송주행)의 하류 측을 하류 측 정반(42B) 및 하류 측 누름판(43B)에 의해 끼움 지지하여, 인출된 보호시트(S)를 보지할 수 있기 때문에, 절단 날(41A)을 이동시켜 상기 보호시트(S)를 절단하는 경우, 안정적인 커팅을 실현할 수가 있다.
[0075] 상류 측 누름판(43A)의 길이방향의 치수는, 상류 측 정반(42A)의 길이방향의 치수(L1)와 대략 동등하게 되어 있으며, 또한 하류 측 누름판(43B)의 길이방향의 치수는, 하류 측 정반(42B)의 길이방향의 치수(L2)와 대략 동등하게 되어 있다.
이로써, 상류 측 누름판(43A) 및 하류 측 누름판(43B)에 의해, 인출된 보호시트(S)를 상방으로부터 눌러붙인 경우에, 상기 보호시트(S)는 이들 상류 측 누름판(43A) 및 하류 측 누름판(43B)의 폭방향 측으로 비어져 나오는 일 없이 정반(42) 및 누름판(43)에 의해 끼움 지지되어, 확실하게 보지되게 된다.
[0076] 그런데, 상류 측 누름판(43A)의 하면(43A1, 도 3 참조)에는,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으로 연장되고, 상류 측 정반(42A)과 맞닿은 상태에서, 제1 이동 척 장치(31)에서의 한 쌍의 제1 척(31A·31A)이 진입할 수 있는 한 쌍의 제3 홈부(43A2·43A2)가 형성되어 있다.
여기서, 후술하는 제4 홈부(43B2)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본 실시형태에서의, 누름판(43)의 하면에 형성되는 '홈부'란, 홈부의 바닥면이 상기 누름판(43)의 상면에까지 도달하지 않은 경우뿐만 아니라, 홈부의 바닥면이 누름판(43)의 상면의 상방에까지 도달하여, 형성된 홈부에 의해 누름판(43)이 분단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된다.
[0077] 구체적으로는 제3 홈부(43A2)는, 상방에서 볼 때에 있어서, 제1 이동 척(31A)의 궤적과 겹치는 위치에 배치되고, 반송방향의 상류 측 단면으로부터 하류 측 단면에 걸쳐, 상류 측 누름판(43A)을 관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3 홈부(43A2)는 예컨대 정면에서 볼 때 직사각 형상의 단면 형상을 갖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그 폭방향의 치수는 상술한 상류 측 정반(42A)의 제2 홈부(42A2)에서의 폭방향의 치수(즉, 하류 측 정반(42B)의 제1 홈부(42B2)에서의 폭방향의 치수(W1))와 대략 동일한 정도로 설정되어 있다.
나아가, 본 실시형태에서는 제3 홈부(43A2)의 바닥면이, 상류 측 누름판(43A)의 상면의 상방에까지 도달해 있으며, 상기 제3 홈부(43A2)에 의해 상류 측 누름판(43A)은 분단된 구성으로 되어 있다.
[0078]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예컨대 상류 측 누름판(43A)이 상류 측 하한위치(H01)에 위치하는 경우라 하더라도, 제1 이동 척(31A)은, 하류 측 정반(42B)을 통과한 후, 상류 측 누름판(43A)과 간섭하는 일 없이 상류 측 정반(42A)의 제2 홈부(42A2)와, 상류 측 누름판(43A)의 제3 홈부(43A2)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부 내에 침입하며, 나아가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이동할 수가 있다.
[0079] 따라서, 상류 측 정반(42A) 및 상류 측 누름판(43A)에 의해,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가 보지된 상태에 있어서, 제1 이동 척(31A)을 인출방향(반송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이동시켜, 보호시트(S)에 충분히 근접시킨 다음, 해당 단부를 확실하게 끼움 지지하여 보지할 수가 있다.
[0080] 한편,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류 측 누름판(43B)의 하면(43B1, 도 3의 (a) 참조)에도,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으로 연장되며, 하류 측 정반(42B)과 맞닿은 상태에서, 제1 이동 척 장치(31)에서의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이 진입할 수 있는, 한 쌍의 제4 홈부(43B2·43B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제4 홈부(43B2)의 형상 및 배치위치는, 상술한 제3 홈부(43A2)의 형상 및 배치위치와 대략 동등하기 때문에, 설명의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0081]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예컨대 하류 측 하한위치(H03)에 위치하고 있던 하류 측 누름판(43B)이 하류 측 상한위치(H04)를 향해 충분히 이동할 때까지 대기하지 않고, 제1 이동 척(31A)은 하류 측 정반(42B)의 제1 홈부(42B2) 및 하류 측 누름판(43B)의 제4 홈부(43B2)를 통해, 하류 측 누름판(43B)과의 간섭을 회피하면서 곧바로 하류 측 정반(42B)을 통과하여, 보호시트(S)의 조출방향 측의 단부를 끼움 지지할 수가 있다.
따라서, 보호시트 절단장치(1)에서의 일련의 동작 절차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성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0082] 승강장치(44)는 누름판(43)을 상하이동(승강)시키는 장치이다.
승강장치(44)는 절단위치(L)에 대하여,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의 상류 측에 배치되는 상류 측 승강장치(44A), 및 상기 인출방향(반송방향)의 하류 측에 배치되는 하류 측 승강장치(44B) 등에 의해 구성된다.
[0083] 여기서, 본 실시형태에서의 상류 측 승강장치(44A) 및 하류 측 승강장치(44B)는 대략 동등한 구성을 가지므로, 이하의 설명에서는 주로 하류 측 승강장치(44B)에 대해 기재하고, 상류 측 승강장치(44A)의 기재에 대해서는 적절히 생략하도록 한다.
[0084] 하류 측 승강장치(44B)는 예컨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류 측 누름판(43B)의 상방에 배치되는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하류 측 가동 프레임(44B2), 및 유압/공기압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을 승강 가동시키는 한 쌍의 하류 측 액추에이터(44B3·44B3)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하류 측 가동 프레임(44B2)은, 하면에 있어서 하류 측 누름판(43B)을 고정 설치하는 하류 측 고정 설치 부재(44B2a), 및 상기 하류 측 고정 설치 부재(44B2a)의 상부에 있어서 수직방향으로 세워 설치되는 복수의 하류 측 가이드 샤프트(44B2b·44B2b…) 등에 의해 구성된다.
[0085] 여기서, 하류 측 가동 프레임(44B2)은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의 하방에 있어서, 복수의 하류 측 가이드 샤프트(44B2b·44B2b…)를 상기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에 관통시킨 상태로 배치된다.
또한, 각 하류 측 가이드 샤프트(44B2b)에 있어서,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의 상면으로부터 돌출된 선단부에는 하류 측 접촉부재(44B4)가 설치되는 동시에,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의 하면과, 하류 측 고정 설치 부재(44B2a)의 상면의 사이에는, 예컨대 압축 코일 스프링 등으로 이루어지는, 제1 바이어스 부재의 일례인 하류 측 바이어스 부재(44B5)가 상기 하류 측 가이드 샤프트(44B2b)와 대략 동축(同軸) 상에 배치되어 있다.
[0086] 그리고,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에 대하여, 하류 측 가동 프레임(44B2)은, 복수의 하류 측 바이어스 부재(44B5·44B5…)에 의해, 항상 하방을 향해 가세(付勢, bias)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써, 하류 측 누름판(43B)은 하류 측 가동 프레임(44B2)을 통해 복수의 하류 측 바이어스 부재(44B5·44B5…)에 의해,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에 대하여 항상 하류 측 정반(42B)을 향해 가세되게 된다.
[0087]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하류 측 가동 프레임(44B2)이,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에 대하여 하방 측으로 소정의 위치까지 이동하면, 복수의 하류 측 접촉부재(44B4·44B4…)가 상기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의 상면에 맞닿도록 설정되어 있어,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으로부터 하류 측 가동 프레임(44B2)이 탈락하는 것을 방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0088] 한편, 상류 측 승강장치(44A)는, 상술한 하류 측 승강장치(44B)와 대략 동등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 측 누름판(43A)의 상방에 배치되는 상류 측 승강 프레임(44A1), 상류 측 승강 프레임(44A1)에 상하 이동 가능하도록 지지되는 상류 측 가동 프레임(44A2), 및 유압/공기압 실린더 등으로 이루어지며 상기 상류 측 승강 프레임(44A1)을 승강 가동시키는 한 쌍의 상류 측 액추에이터(44A3·44A3; 도 1 참조) 등에 의해 구성된다.
또한, 이들 상류 측 승강 프레임(44A1), 상류 측 가동 프레임(44A2) 및 상류 측 액추에이터(44A3)는, 상술한 하류 측 승강장치(44B)에서의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 하류 측 가동 프레임(44B2) 및 하류 측 액추에이터(44B3)와 대략 동등한 구성으로 이루어지므로, 설명의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0089] 그리고, 상류 측 승강장치(44A)에서도, 상류 측 승강 프레임(44A1)에 대하여, 상류 측 가동 프레임(44A2)은, 복수(도 3에서는 측면도이므로 1개만 기재됨)의 제2 바이어스 부재의 일례인 상류 측 바이어스 부재(44A5·44A5…)에 의해, 항상 하방을 향해 가세(付勢, bias)된 상태로 되어 있다.
이로써, 상류 측 누름판(43A)은 상류 측 가동 프레임(44A2)을 통해 복수의 상류 측 바이어스 부재(44A5·44A5…)에 의해, 상류 측 승강 프레임(44A1)에 대하여 항상 상류 측 정반(42A)을 향해 가세되게 된다.
[0090]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상류 측 바이어스 부재(44A5)에 의한 가세력에 의해, 상류 측 누름판(43A)은 상류 측 정반(42A)의 상면에 밀어붙여지고, 또한 하류 측 바이어스 부재(44B5)에 의한 가세력에 의해, 하류 측 누름판(43B)은 하류 측 정반(42B)의 상면에 밀어붙여지게 된다.
즉, 이들 상류 측 누름판(43A) 및 하류 측 누름판(43B)은 항상 일정한 가세력에 의해 상류 측 정반(42A) 및 하류 측 정반(42B)에 각각 밀어붙여지게 되어, 안정적으로 보호시트(S)를 보지할 수가 있다.
[0091] 또한, 상류 측 누름판(43A) 및 하류 측 누름판(43B)이, 상류 측 하한위치(H01) 및 하류 측 하한위치(H03)를 향해 각각 이동하는 경우에 있어서, 예컨대 상류 측 정반(42A)과 상류 측 누름판(43A)의 사이, 혹은 하류 측 정반(42B)과 하류 측 누름판(43B)의 사이에 예기치 않은 이물이 존재하고 있었을 경우에는, 이들 상류 측 바이어스 부재(44A5) 또는 하류 측 바이어스 부재(44B5)가 간섭수단으로서 기능하여, 이들 상류 측 누름판(43A) 및 하류 측 누름판(43B), 혹은 상류 측 정반(42A) 및 하류 측 정반(42B)에 결손 등이 생기는 것을 방지할 수가 있다.
[0092] 그런데,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류 측 누름판(43B)은 보호시트(S)의 폭방향으로 분할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복수(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의 하류 측 판 조각(板片)(43b·43b…)이 상기 폭방향을 향해 일직선 상에 배치된 구성으로 이루어진다.
또한, 하류 측 가동 프레임(44B2)에 관해서도, 예컨대 이들 하류 측 판 조각(板片)(43b·43b…)에 맞추어 3 분할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며, 하류 측 승강 프레임(44B1)에 대하여, 각각 단독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0093] 한편, 상류 측 누름판(43A)에 관해서도 마찬가지로, 보호시트(S)의 폭방향으로 분할되고 또한 상기 폭방향을 향해 일직선 상에 배치된 복수(예컨대 본 실시형태에서는 5개)의 상류 측 판 조각(板片)(43a·43a…; 도 1 참조)으로 이루어지며, 예컨대 이들 상류 측 판 조각(板片)(43a·43a…)에 맞추어 3분할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상류 측 가동 프레임(44A2)을 통해, 상류 측 승강 프레임(44A1)에 대하여 각각 단독으로 상하 이동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0094]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예컨대 일체적으로 형성된 장척(長尺) 부재로 이루어지는 상류 측 누름판 및 하류 측 누름판의 경우, 자신의 휨으로 인해 보호시트(S)에 대하여 폭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압력을 가하기 어려우나,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류 측 누름판(43A) 및 하류 측 누름판(43B)이 각각 분할된 구성으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이러한 휨으로 인한 영향도 적어 보호시트(S)에 대해 폭방향으로 균등하게 가압력을 가할 수가 있다.
[0095] (보호시트 절단장치(1)의 동작 절차)
다음으로, 본 실시형태에서의 보호시트 절단장치(1)의 동작 절차에 관하여 도 1 및 도 3 내지 도 5를 이용하여 설명한다.
[0096] 우선 맨 먼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출부(3)에 있어서, 제1 이동 척 장치(31)에서의 한 쌍의 이동 척(31A·31A)은, 하류 측 정반(42B)의 반송방향 하류 측의 근방에 위치하는 제1 대기위치(P02)에서 정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제2 이동 척 장치(32)에서의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은, 반송방향의 최상류 측에 위치하며, 제1 이동 척(31A·31A)과 이웃하는 제2 대기위치(P21)에서 정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0097] 또한, 이들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 및 제2 이동 척(32A·32A)은, 모두 개방상태에서 정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에서는, 승강부(31A2·31A2; 도 3의 (c) 참조)에 의해 제1 끼움 지지부(31A1·31A1)가 상한위치까지 이동(승강)하여 정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0098] 나아가, 인출부(3)에 있어서, 고정 척 장치(33)에서의 한 쌍의 고정 척(33A·33A)은 개방상태에서 정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0099] 한편,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부(4)에 있어서, 상류 측 누름판(43A)은 상류 측 정반(42A)과 근접하는 상류 측 하한위치(H01)에서 정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또한, 하류 측 누름판(43B)은 하류 측 정반(42B)의 상방에 위치하는 소정의 하류 측 상한위치(H04)에서 정지한 상태로 되어 있다.
나아가,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장치(41)에서의 절단 날(41A)은, 폭방향의 일방 측(정면에서 볼 때 우측)에서 대기한 상태로 되어 있다.
[0100] 그리고, 롤 형상으로 감긴 보호시트(S)는 인출방향 측(반송방향 측)의 선단이 절단위치(L) 상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인출방향 측(반송방향 측)의 단부가, 상류 측 누름판(43A)에 의해 눌려 보지된 상태로 되어 있다.
[0101] 이러한 상태에서의 보호시트 절단장치(1)에 있어서, 이미 절단된 매엽(枚葉)의 보호시트(S; 매엽시트(S1))가 상기 보호시트 절단장치(1)로부터 반출되면,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곧바로 반송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이동한다.
[0102] 반송방향 상류 측으로 이동한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그 후 도 4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방에서 볼 때 각 제1 이동 척(31A·31A)에서의 제1 끼움 지지부(31A1)의 선단부와, 보호시트(S)에서의 인출방향 측(반송방향 측)의 단부가 겹치는 제1 끼움 지지 위치(P01)에 도달하여 정지한다.
[0103] 제1 끼움 지지 위치(P01)에 정지한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도 3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끼움 지지부(31A1·31A1)를 폐쇄 상태로 가동시켜, 보호시트(S)에서의 인출방향 측(반송방향 측)의 단부를 끼움 지지한다. 도 3의 (c)에서는, 제1 이동 척(31A1·31A1)이 상류 측 정반(42A)과 하류 측 정반(42B) 사이의 절단 날(41A)이 드나드는 개구부 상에 위치하고 있으나, 이 형태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컨대, 상류 측 정반(42A)의 제2 홈부(42A2) 내부와, 상류 측 누름판(43A)의 제3 홈부(43A2) 내부로 제1 이동 척(31A1·31A1)을 진입시킴으로써, 제1 이동 척(31A1·31A1)이 상류 측 정반(42A) 측에서 보호시트(S)에서의 인출방향 측(반송방향 측)의 단부를 끼움 지지해도 된다.
[0104]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상류 측 누름판(43A)이 상류 측 하한위치(H01)에 위치하고, 또한 하류 측 누름판(43B)이 하류 측 상한위치(H04)에 위치한 상태로서, 상류 측 누름판(43A)에 의해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 측의 단부가 눌린 상태에 있어서,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이 상기 보호시트(S)의 단부를 끼움 지지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0105]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반송방향) 측의 단부는, 항상 상류 측 누름판(43A)에 의해 눌려 보지된 상태에서, 제1 이동 척(31A·31A)에 의해 끼움 지지되게 된다.
따라서,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에 의해, 보호시트(S)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를 확실하게 보지할 수가 있다.
[0106]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에 의해, 보호시트(S)의 단부가 끼움 지지되면, 상류 측 누름판(43A)은 곧바로 상방으로 이동(상승)하여, 도 3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 측 정반(42A)의 상방에 위치하는 소정의 상류 측 상한위치(H02)에 도달해 정지한다.
[0107] 또한, 상류 측 누름판(43A)의 상승과 함께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반송방향의 하류 측을 향해 이동하여,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소정의 제1 중간 정지 위치(P03)에 도달하면 일단 정지한다.
이로써, 보호시트(S)는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에 의해, 인출방향 측(반송방향 측)을 향해 소정의 길이만큼 인출되게 된다.
[0108]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이 제1 중간 정지 위치(P03)에서 정지하면, 상류 측 누름판(43A)은 다시 하방으로 이동(하강)하여, 도 3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류 측 하한위치(H01)에 도달해 정지한다.
또한, 상류 측 누름판(43A)과 함께, 하류 측 누름판(43B)도 동시에 하강하여, 하류 측 정반(42B)과 근접하는 하류 측 하한위치(H03)에 도달해 정지한다.
이로써, 보호시트(S)는 절단위치(L, 도 1 참조)에 대하여 반송방향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에 있어서, 상류 측 누름판(43A) 및 하류 측 누름판(43B)에 의해 각각 눌려 보지된 상태가 된다.
[0109] 상류 측 누름판(43A)이 상류 측 하한위치(H01)에서 정지하고, 또한 하류 측 누름판(43B)이 하류 측 하한위치(H03)에서 정지하면, 절단 날(41A)은 폭방향의 타방 측(정면에서 볼 때 좌측)을 향해 이동한다.
그리고 도 4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절단 날(41A)은 보호시트(S)를 통과하여 폭방향의 타방 측에서의 소정의 위치에 도달하면 정지한다.
이로써, 보호시트(S)는 절단위치(L)에서 절단 날(41A)에 의해 폭방향으로 절단된다.
[0110] 절단 날(41A)이 폭방향의 타방 측에서의 소정의 위치에서 정지하면,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은 도 4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 끼움 지지부(32A1·32A1)를 폐쇄상태로 가동시켜, 절단된 매엽시트(S1)에서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끼움 지지한다. 또한, 제2 이동 척(32A·32A)은, 상술한 상류 측 누름판(43A) 및 하류 측 누름판(43B)에 의한 보호시트(S)의 보지와 대략 동시에 행해도 된다.
[0111]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에 의해, 매엽시트(S1)의 폭방향의 양단부가 끼움 지지되면, 하류 측 누름판(43B)은 상승하며, 하류 측 상한위치(H04)에 도달하여 정지한다.
한편, 상류 측 누름판(43A)은 상류 측 하한위치(H01)에서 정지한 상태를 유지한다(도 3의 (c) 참조).
[0112] 또한, 하류 측 누름판(43B)의 상승과 함께, 이들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 및 제2 이동 척(32A·32A)은 함께 동조하면서 반송방향의 하류 측을 향해 이동한다.
[0113] 그리고, 도 5의 (a)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이 소정의 제1 반송 정지 위치(P04)에 도달하고, 또한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이 소정의 제2 반송 정지 위치(P22)에 도달하면, 이들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 및 제2 이동 척(32A·32A)은 다시 일단 정지한다.
이렇게 하여, 매엽시트(S1)는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 및 제2 이동 척(32A·32A)에 의해, 절단된 직후의 위치의 절단 섹션(S01, 도 4의 (b) 참조)으로부터, 보호시트 절단장치(1)로부터의 반출 작업이 행해지는 반출 섹션(S02)으로 반송되게 된다.
[0114]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이 제1 반송 정지 위치(P04)에서 정지하고, 또한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이 제2 반송 정지 위치(P22)에서 정지하면, 한 쌍의 고정 척(33A·33A)은, 제3 끼움 지지부(33A1·33A1)를 폐쇄상태로 가동시켜, 매엽시트(S1)에서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끼움 지지한다.
[0115] 한 쌍의 고정 척(33A·33A)에 의해, 매엽시트(S1)의 폭방향의 양단부가 끼움 지지되면,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제1 끼움 지지부(31A1·31A1)를 개방상태로 가동시켜, 매엽시트(S1)에서의 인출방향 측(반송방향 측)의 단부를 개방한다.
그 후,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다시 반송방향의 하류 측을 향해 이동하여, 도 5의 (b)에 나타낸 바와 같이 각 제1 이동 척(31A·31A)에서의 제1 끼움 지지부(31A1)의 선단부와, 매엽시트(S1)에서의 인출방향 측(반송방향 측)의 선단이 이격된 상태가 되는 제1 퇴피 위치(P05)에 도달하여 정지한다.
[0116] 제1 퇴피 위치(P05)에 정지한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승강부(31A2·31A2; 도 3의 (a) 참조)에 의해, 제1 끼움 지지부(31A1·31A1)를 곧바로 하한위치까지 하강시킨다.
[0117] 그리고, 제1 끼움 지지부(31A1·31A1)가 하한위치에 도달하여 정지하면,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매엽시트(S1)의 하방을 통과하여 반송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이동한다.
그 후, 도 5의 (c)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다시 제1 대기위치(P02)에 도달하여 정지한다.
[0118]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서는 절단부(4)의 절단 날(41A)에 의해 절단된 매엽시트(S1)가, 인출부(3)에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 및 제2 이동 척(32A·32A)에 의해, 인출방향(반송방향)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소정의 정지위치(즉, 반출 섹션(S02))까지 반송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그리고, 인출부(3)는, 절단된 매엽시트(S1)가 반출 섹션(S02)에 도달한 후, 상기 매엽시트(S1)의 폭방향 양단부를 끼움 지지하는 한 쌍의 고정 척(33A·33A)을 더 구비하며, 이들 한 쌍의 고정 척(33A·33A)이 매엽시트(S1)를 끼움 지지한 후,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절단된 매엽시트(S1)의 인출방향(반송방향) 측의 단부를 개방하며, 상기 매엽시트(S1)의 하방을 통과하여 절단부(4) 측(즉, 반송방향의 상류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구성으로 되어 있다.
[0119] 이러한 구성을 가짐으로써, 보호시트 절단장치(1)로부터, 절단된 매엽시트(S1)가 반출되기를 기다리지 않고도, 상기 매엽시트(S1)가 반출 섹션(S02)에 도달한 시점에서, 곧바로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을 제1 대기위치(P02)까지 복귀시킬 수 있기 때문에, 보호시트 절단장치(1)에서의 일련의 동작 절차에 걸리는 시간이 단축되어, 생산효율의 향상을 도모할 수가 있다.
[0120] 제1 대기위치(P02)에서 정지한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은, 승강부(31A2·31A2)에 의해, 제1 끼움 지지부(31A1·31A1)를 곧바로 상한위치까지 상승시킨다.
[0121] 한편, 한 쌍의 제1 이동 척(31A·31A)이 제1 대기위치(P02)에서 정지하면, 한 쌍의 제2 이동 척(32A·32A)은, 제2 끼움 지지부(32A1·32A1)를 개방상태로 가동시켜, 매엽시트(S1)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개방한다.
또한, 이와 동시에, 한 쌍의 고정 척(33A·33A)은, 제3 끼움 지지부(33A1·33A1)를 개방상태로 가동시켜, 매엽시트(S1)의 폭방향의 양단부를 개방한다.
[0122] 그리고, 도시되지 않은 적재(積載)장치에 의해, 매엽시트(S1)가 보호시트 절단장치(1)로부터 반출되면, 제2 이동 척(32A)은 곧바로 반송방향의 상류 측을 향해 이동하여, 도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다시 제2 대기위치(P21)에 도달해 정지한다.
이로써, 보호시트 절단장치(1)의 동작 절차는 일단 종료되게 되며, 새롭게 매엽시트(S1)를 제작하는 경우에는, 다시 상술한 동작 절차를 반복하게 된다.
1 보호시트 절단장치
3 인출부
4 절단부
31A 제1 이동 척(제1 척)
31B 제1 슬라이드 기구(슬라이드 기구)
33A 고정 척(제2 척)
41A 절단 날
42 정반(定盤)
42A 상류 측 정반
42A1 상면
42A2 제2 홈부
42B 하류 측 정반
42B1 상면
42B2 제1 홈부
43A 상류 측 누름판
43A1 하면
43A2 제3 홈부
43B 하류 측 누름판
43B1 하면
43B2 제4 홈부
44A5 상류 측 바이어스 부재(제2 바이어스 부재)
44B5 하류 측 바이어스 부재(제1 바이어스 부재)
100 유리기판 적층 곤포체
G 유리기판
H01 상류 측 하한위치
H02 상류 측 상한위치
H03 하류 측 하한위치
H04 하류 측 상한위치
L 절단위치
S 보호시트
S1 매엽시트
S02 반출 섹션

Claims (11)

  1. 띠 형상의 보호시트를 길이방향으로 인출한 후, 그 길이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으로 상기 보호시트를 절단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로서,
    상기 보호시트를 인출하는 인출부와,
    상기 인출부에 의해 인출된 상기 보호시트를 절단하는 절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인출부는,
    상기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端部)를 끼움 지지하는 제1 척(chuck)과,
    상기 제1 척을 인출방향을 따라 슬라이드 이동시키는 슬라이드 기구를 가지고,
    상기 절단부는,
    상기 보호시트를 절단하는 절단 날과,
    상기 절단 날에 의한 상기 보호시트의 절단위치에 대하여 상기 인출방향의 상류 측 및 하류 측의, 상기 보호시트의 하면을 각각 보지(保持)하는 상류 측 정반(定盤) 및 하류 측 정반을 갖는 정반을 가지며,
    상기 하류 측 정반의 상면에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제1 척이 진입할 수 있는 제1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정반의 상면에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1 척이 진입할 수 있는 제2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상류 측 정반의 바로 위에 배치되며, 상기 상류 측 정반과 맞닿는 상류 측 하한(下限)위치 및 상기 상류 측 정반과 이격(離隔)되는 상류 측 상한(上限)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상류 측 누름판과,
    상기 하류 측 정반의 바로 위에 배치되며, 상기 하류 측 정반과 맞닿는 하류 측 하한위치 및 상기 하류 측 정반과 이격되는 하류 측 상한위치의 사이를 이동할 수 있는 하류 측 누름판을 추가로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누름판의 하면에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상류 측 정반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척이 진입할 수 있는 제3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5. 제3항 또는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에 있어서,
    상기 하류 측 누름판의 하면에는,
    상기 인출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하류 측 정반과 맞닿은 상태에서 상기 제1 척이 진입할 수 있는 제4 홈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6. 제3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누름판이 상기 상류 측 하한위치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하류 측 누름판이 상기 하류 측 상한위치에 위치한 상태로서, 상기 상류 측 누름판에 의해 상기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가 눌린 상태에 있어서,
    상기 제1 척은 상기 보호시트의 상기 단부를 끼움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7. 제3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는,
    상기 하류 측 누름판을 상기 하류 측 정반을 향해 가세(付勢, bias)하는 제1 바이어스 부재와,
    상기 상류 측 누름판을 상기 상류 측 정반을 향해 가세하는 제2 바이어스 부재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8. 제3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류 측 누름판 및 상기 하류 측 누름판은,
    상기 보호시트의 폭방향으로 분할된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정반은, 상기 상류 측 정반과 상기 하류 측 정반으로 별개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류 측 정반의 상면은, 상기 상류 측 정반의 상면에 비해 하방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절단부에 의해 절단된 상기 보호시트는, 상기 인출부에 의해 상기 인출방향의 하류 측에 위치하는 소정의 정지위치까지 반송되고,
    상기 인출부는,
    절단된 상기 보호시트가 상기 정지위치에 도달한 후, 상기 보호시트의 폭방향 양단부를 끼움 지지하는 제2 척을 추가로 가지며,
    상기 제2 척이 상기 보호시트를 끼움 지지한 후,
    상기 제1 척은,
    절단된 상기 보호시트의 인출방향 측의 단부를 개방하며,
    당해 보호시트의 하방을 통과하여 상기 절단부 측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호시트 절단장치.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보호시트 절단장치에 의해 절단된 보호시트와, 유리기판을 번갈아 적재(積載)하여 곤포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리기판 적층 곤포체의 제조방법.
KR1020217027048A 2019-04-18 2020-03-30 보호시트 절단장치 및 유리기판 곤포체의 제조방법 KR20210153597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79618 2019-04-18
JP2019079618 2019-04-18
PCT/JP2020/014536 WO2020213377A1 (ja) 2019-04-18 2020-03-30 保護シート切断装置及びガラス基板梱包体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53597A true KR20210153597A (ko) 2021-12-17

Family

ID=72836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7048A KR20210153597A (ko) 2019-04-18 2020-03-30 보호시트 절단장치 및 유리기판 곤포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428180B2 (ko)
KR (1) KR20210153597A (ko)
CN (1) CN113474136B (ko)
TW (1) TW202104108A (ko)
WO (1) WO2020213377A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3022A (ja) 2008-10-07 2010-04-2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基板梱包装置およびその梱包方法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SE395508B (sv) * 1972-04-10 1977-08-15 Brev Etudes S I B A Sa Soc Ind Forgasare
CH645294A5 (de) * 1980-03-21 1984-09-28 Grapha Holding Ag Buchblockschneidmaschine.
JPS5948391A (ja) * 1982-09-09 1984-03-19 株式会社神戸製鋼所 油圧ウインチの操作装置
JPH0719736Y2 (ja) * 1991-05-13 1995-05-10 山橋工業株式会社 ウエブ切断装置
JPH0826513B2 (ja) * 1993-04-19 1996-03-13 株式会社バルダン タオル生地の切断装置
JP2807216B2 (ja) * 1996-10-24 1998-10-08 大蔵省印刷局長 帯状印刷紙から積載ブロックを形成する方法
JP4796673B2 (ja) * 2005-06-14 2011-10-19 日本メクトロン株式会社 長尺フィルム基材の裁断装置
NL1033452C2 (nl) * 2007-02-26 2008-08-27 Vmi Epe Holland Snijinrichting.
DE102009037506B4 (de) 2009-08-17 2011-09-15 Karl Eugen Fischer Gmbh Schneideinrichtung zum Schneiden eines dünnen und klebrigen Bandes, insbesondere eines Cordbandes
CN104144345B (zh) 2013-09-18 2016-08-17 腾讯科技(深圳)有限公司 在移动终端进行实时图像识别的方法及该移动终端
JP6427952B2 (ja) * 2014-05-23 2018-11-28 株式会社Ihi 搬送装置
JP6303811B2 (ja) * 2014-05-23 2018-04-04 株式会社Ihi 搬送装置
CN109335790A (zh) * 2018-10-17 2019-02-15 安徽柏昂新材料有限公司 一种无纺布转动牵引裁剪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093022A (ja) 2008-10-07 2010-04-22 Nippon Electric Glass Co Ltd ガラス基板梱包装置およびその梱包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3474136B (zh) 2024-04-26
JP7428180B2 (ja) 2024-02-06
TW202104108A (zh) 2021-02-01
JPWO2020213377A1 (ko) 2020-10-22
WO2020213377A1 (ja) 2020-10-22
CN113474136A (zh) 2021-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51827B1 (ko) 유리 기판 곤포 시스템, 보호 시트 적재 장치, 보호 시트 공급 장치, 및 유리 기판 곤포 방법
CN110087999B (zh) 玻璃板制造方法及玻璃板制造装置
TWI610874B (zh) 片材供給裝置
JP5146903B2 (ja) ガラス基板梱包装置
AU2021224444B2 (en) Withdrawal system for withdrawing items from packaging box
KR102156351B1 (ko) 포장 박스로부터 인출되는 물품을 정렬하는 정렬 시스템
CZ298650B6 (cs) Posouvací zarízení
KR20210153597A (ko) 보호시트 절단장치 및 유리기판 곤포체의 제조방법
KR20060133447A (ko) 반송 시스템
KR101633211B1 (ko) 스탬핑되는 스트립을 공급하기 위한 모듈
WO2021070588A1 (ja) ガラス板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JP4012899B2 (ja) 積層鉄心の製造装置
US11203484B2 (en) Flat-packing machine for innerspring units
JP2012214297A (ja) 積層体形成装置
KR101736495B1 (ko) 보호 커버 공급장치
JP5071627B2 (ja) 保護シート積込装置
JP5086715B2 (ja) 物品包装装置
JP3478956B2 (ja) カートンシートの分離装置
JP2009269639A (ja) 帯掛け包装方法および装置
WO2023175925A1 (ja) 金属箔の切断積載方法及び金属箔切断積載装置
JP2622470B2 (ja) コア整列体の形成装置
JP2002096803A (ja) 巻おしぼり包装装置
JP2008132544A (ja) 製品シートの残留屑除去装置。
CN114771927A (zh) 一种自动覆膜机
CN116395619A (zh) 一种解包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