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42590A - 필기구 - Google Patents

필기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42590A
KR20210142590A KR1020217022285A KR20217022285A KR20210142590A KR 20210142590 A KR20210142590 A KR 20210142590A KR 1020217022285 A KR1020217022285 A KR 1020217022285A KR 20217022285 A KR20217022285 A KR 20217022285A KR 20210142590 A KR20210142590 A KR 20210142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riting instrument
clip member
clip
inner cylinder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2228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케오 후쿠모토
Original Assignee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미쓰비시 엔피쯔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20/010799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195891A1/ja
Publication of KR20210142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4259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3WRITING OR DRAWING IMPLEMENTS; BUREAU ACCESSORIES
    • B43KIMPLEMENTS FOR WRITING OR DRAWING
    • B43K25/00Attaching writing implements to wearing apparel or objects involving constructional changes of the implements
    • B43K25/02Clips
    • B43K25/024Clips detachably secured to the writing tool

Landscapes

  • Clips For Writing Implements (AREA)
  • Mechanical Pencils And Projecting And Retracting Systems Therefor, And Multi-System Writing Instruments (AREA)

Abstract

선재로 이루어지는 클립을 구비하고, 양 손으로 조작하지 않고 클립을 들어 올릴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한다.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기구 본체(7)와, 필기구 본체(7)의 측부에 유지된 선재로 이루어지는 클립 부재(8)를 구비한 필기구(1)는, 클립 부재(8)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8B)가 필기구 본체(7)의 측부에 유지되어 있고, 클립 부재(8)는, 클립 부재(8)의 길이 방향의 선단부(8A)가 필기구 본체(7)에 맞닿도록 필기구 본체(7)를 향하여 가압되어 있으며, 클립 부재(8)의 후단부(8C)를 필기구 본체(7)를 향하여 압압하는 것에 의해, 클립 부재(8)가, 클립 부재(8)의 선단부(8A)가 필기구 본체(7)로부터 이간하도록, 회동한다.

Description

필기구
본 발명은, 필기구에 관한 것으로, 특히, 필기구 본체와 중간부가 필기구 본체의 측부에 회동 가능하게 지지된 클립을 구비한 필기구에 관한 것이다.
종래부터, 볼펜이나 샤프펜슬 등의 필기구에 관하여, 필기구 본체의 후단부에 클립을 가지는 필기구가 알려져 있다. 이러한 클립을 가지는 필기구로서, 예를 들면, 특허문헌 1에는, 클립을 1개의 금속 탄성 선재로 구성한 필기구가 개시되어 있다. 이 필기구에서는, 1개의 금속 탄성 선재를 하단 기부(基部)로부터 좌우 양 선재를 U자형으로 휨 가공하고, 양 단부를 필기구 본체의 측부에 형성된 한 쌍의 장착 구멍에 장착하고 있다.
특허문헌 1 : 일본 공개특허 제2009-39940호 공보
그렇지만,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발명에서는, 클립을 필기구 본체로부터 벌릴 때, 필기구 본체를 유지한 상태에서, 클립의 필선(筆先)측의 부분을 필기구 본체로부터 이간시키지 않으면 안된다. 이 때문에, 클립을 벌리기 위해서는, 일방의 손으로 필기구 본체를 유지하고, 타방의 손으로 클립의 필선측의 부분을 들어 올리지 않으면 안되어, 양손으로 필기구를 조작할 필요가 있어 매우 번거롭다.
본 발명은, 상기의 문제를 감안하여 이루어진 것으로, 선재로 이루어지는 클립을 구비하고, 양손으로 조작하지 않고 클립을 벌릴 수 있는 필기구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고 있다.
본 발명의 필기구는,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기구 본체와, 필기구 본체의 측부에 유지된 선재로 이루어지는 클립 부재를 구비한 필기구로서, 클립 부재의 길이 방향의 중간부가 필기구 본체의 측부에 유지되어 있고, 클립 부재는, 클립 부재의 길이 방향의 필선측의 부분이 필기구 본체에 맞닿도록 필기구 본체를 향하여 가압되어 있으며, 클립 부재의 후부(後部)를 필기구 본체를 향하여 압압(押壓)하는 것에 의해, 클립 부재의 길이 방향의 필선측의 부분이 필기구 본체로부터 이간하도록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한 손의 검지, 중지, 약지, 소지로 필기구 본체를 파지한 상태에서, 클립 부재의 후부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 클립 부재의 선단부를 필기구 본체로부터 이간시켜, 클립 부재와 필기구 본체를 벌릴 수 있고,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클립 부재는 선재가 굽혀져 형성되어 있고, 선재의 양 단부가 필기구 본체의 측부에 형성된 한 쌍의 장착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클립 부재는, 클립 부재를 구성하는 선재의 탄성에 의해, 클립 부재의 길이 방향의 필선측의 부분이 필기구 본체를 향하여 가압되는 형상으로 굽혀져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클립 부재를 구성하는 선재의 탄성에 의해 필기구 본체를 향하여, 클립 부재의 필선측의 부분이 가압되기 때문에,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클립 부재를 구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한 쌍의 장착부는,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 또는, 노치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선재의 양 단부의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고,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대응하는 장착부는, 기단부에 비해 넓어진 경감부를 가지고, 굴곡부는 경감부 내에 위치하고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선재의 적어도 일단에 굴곡부가 형성되고, 이 굴곡부가 경감부 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선재의 단부가 장착부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클립 부재는 적어도 일부에, 선재가 굴곡 되어 이루어지는 도형이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클립 부재에 의장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필기구 본체는, 통 모양의 축통과, 축통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통을 가지고, 한 쌍의 장착 구멍 중 일방은 관통공으로 이루어지며, 클립 부재의 일단부가 관통공 내에 배치되어 유지되어 있고, 관통공은 축통과 내통과의 경계면에 형성되어 있다.
상기 구성의 본 발명에 의하면, 클립 부재를 관통공에 의해 유지하기 때문에, 클립 부재가 간단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관통공이 축통과 내통과의 경계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클립 부재를 관통공 내에 배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선재로 이루어지는 클립 부재를 구비하고, 양손으로 조작하지 않고 클립 부재를 들어 올릴 수 있는 필기구가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축통을 나타내는 축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5a는 도 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5b는 도 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5c는 도 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5d는 도 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5e는 도 5b의 E-E 단면도이다.
도 5f는 도 5c의 F-F 단면도이다.
도 6a는 도 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클립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b는 도 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클립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6c는 도 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클립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클립을 벌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1은 도 8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축통을 나타내는 축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12a는 도 8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2b는 도 8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2c는 도 8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12d는 도 8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12e는 도 12c의 E-E 단면도이다.
도 12f는 도 12b의 F-F 단면도이다.
도 12g는 도 12c의 G-G 단면도이다.
도 13a는 도 8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클립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3b는 도 8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클립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3c는 도 8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클립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클립 부재를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그 1)이다.
도 14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클립 부재를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그 1)이다.
도 15a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클립 부재를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그 2)이다.
도 15b는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클립 부재를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측면도(그 2)이다.
도 16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클립 부재를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정면도(그 3)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클립을 벌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a는 도 18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클립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9b는 도 18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클립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19c는 도 18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클립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a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0b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0c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20d는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0e는 도 20c의 E-E 단면도이다.
도 20f는 도 20b의 F-F 단면도이다.
도 20g는 도 20c의 G-G단면도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2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4는 도 2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축통을 나타내는 축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도 25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후방 축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5b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후방 축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5c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후방 축통을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5d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후방 축통을 나타내고, 도 25c에서의 D-D 단면도이다.
도 25e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후방 축통을 나타내고, 도 25b에서의 E-E 단면도이다.
도 25f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후방 축통을 나타내는 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5g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후방 축통을 나타내는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6a는 도 2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6b는 도 2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6c는 도 2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는 우측면도이다.
도 26d는 도 2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는 좌측면도이다.
도 26e는 도 2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고, 도 26b의 E-E 단면도이다.
도 26f는 도 2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고, 도 26c의 F-F 단면도이다.
도 26g는 도 2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고, 도 26c의 G-G 단면도이다.
도 26h는 도 2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고, 도 26c의 H-H 단면도이다.
도 27a는 도 2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클립 부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7b는 도 2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클립 부재를 나타내는 정면도이다.
도 27c는 도 2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클립 부재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8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필기구에 있어서의 클립 부재를 내통에 장착하고, 내통을 후방 축통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그 1)이다.
도 28b는 도 28a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29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필기구에 있어서의 클립 부재를 내통에 장착하고, 내통을 후방 축통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그 2)이다.
도 29b는 도 29a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30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필기구에서의 클립 부재를 내통에 장착하고, 내통을 후방 축통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그 3)이다.
도 30b는 도 30a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31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필기구에서의 클립 부재를 내통에 장착하고, 내통을 후방 축통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그 4)이다.
도 31b는 도 31a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32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필기구에서의 클립 부재를 장착한 내통을 후방 축통에 장착하고, 노크 부재 및 회전자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는 도 24에 대응하는 단면도이다.
도 32b는 도 32a에서의 B-B 단면도이다.
도 32c는 도 32b에서의 C부의 확대 단면도이다.
도 32d는 도 32a에서의 D-D 단면도이다.
<제1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각 실시 형태에서, 리필의 필선이 출몰하는 측을 필선측, 선단측 또는 전방이라고 하고, 출몰 기구의 노크부가 연장하는 측을 후단측 또는 후방이라고 한다. 또, 필기구의 축방향을 길이 방향 또는 축방향이라고 한다.
도 1~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를 나타내고, 도 1은 사시도, 도 2는 정면도, 도 3은 측면도이다. 또, 도 4는, 도 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축통을 나타내는 축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1)는, 이른바 노크식 볼펜이고, 후단의 노크 부재(16)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 리필 부재(4)의 필선부(4a)가 축통(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와, 리필 부재(4)의 필선부(4a)가 축통(2) 내에 수용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1~도 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필기구(1)는, 필기구 본체(7)와, 필기구 본체(7)의 측부에 유지된 클립 부재(8)를 구비한다. 필기구 본체(7)는, 원통 모양의 장척(長尺)인 축통(2)과, 축통(2) 내에 수용된 리필 부재(4)와, 축통(2)의 후단부에 장착된 출몰 기구(6)를 구비한다. 출몰 기구(6)는, 내통(10)과, 회전자(12)와, 스프링 부재(14)와, 노크 부재(16)를 구비한다.
축통(2)은 선단부가 끝이 가는 모양인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통(2)의 선단부에는 선단 개구(2a)가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에는 후단 개구(2b)가 형성되어 있다. 축통(2)의 후단부의 내면에는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하는 원환(圓環) 모양의 볼록부(2c)가 형성되어 있다. 또, 축통(2)의 후단의 가장자리에는, 후술하는 내통(10)의 클립 장착부(10c)에 상당하는 형상의 노치부(2d)가 형성되어 있다.
도 5a~도 5e는, 도 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고, 도 5a는 사시도, 도 5b는 정면도, 도 5c는 우측면도, 도 5d는 좌측면도, 도 5e는 도 5b의 E-E 단면도, 도 5f는 도 5c의 F-F 단면도이다. 도 5a~5f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내통(10)은, 원통 모양의 본체부(10a)와, 본체부(10a)의 후단측에 접속된 후단부(10b)와, 본체부(10a)의 후단측에 접속된 클립 장착부(10c)를 구비한다. 이들, 본체부(10a)와, 후단부(10b)와, 클립 장착부(10c)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본체부(10a)는 대략 원통 모양이고, 본체부(10a)의 외경은 축통(2)의 내경보다 조금 작다. 본체부(10a)의 하부의 외면에는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향하여 전체 둘레에 걸쳐서 돌출하는 돌출부(10d)가 형성되어 있다. 또, 본체부(10a)의 후단부의 내주면에는 캠부(10f)가 형성되어 있다. 캠부(10f)는, 회전자(12)의 캠부(12b)와 협동하여, 노크 부재(16)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 회전자(12)를 회동시켜 리필 부재(4)의 필선부(4a)가 축통(2)의 선단 개구(2a)로부터 돌출한 상태와, 축통(2) 내에 수용된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부위이다. 내통(10)의 캠부(10f) 및 회전자(12)의 캠부(12b)의 구성으로서는, 주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통(10)의 캠부(10f)는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볼록부와, 볼록부의 사이에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후단부(10b)는, 원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경은 축통(2)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있다. 후단부(10b)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클립 장착부(10c)는, 본체부(10a)의 후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마련되어 있고, 측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기둥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클립 장착부(10c)의 횡방향(도 5b에서의 좌우 방향)의 양측면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도 5c, 도 5e, 도 5f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클립 장착부(10c)의 우측면의 후부(後部)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장착 구멍(10g)이 개구되어 있다. 제1 장착 구멍(10g)은, 클립 장착부(10c)의 횡방향 중간부에서 종단(終端)되어 있고, 좌측면까지 관통되어 있지 않다.
또, 도 5d, 도 5e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클립 장착부(10c)의 좌측면의 전부(前部)에는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장착 구멍(10h)이 개구되어 있다. 제2 장착 구멍(10h)은, 클립 장착부(10c)의 횡방향 중간부에서 종단되어 있고, 우측면까지 관통되어 있지 않다. 제1 장착 구멍(10g) 및 제2 장착 구멍(10h)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고(즉, 내통(10)의 중심축으로부터 등거리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장착 구멍(10g)은 제2 장착 구멍(10h)보다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자(12)는, 후방측의 기단부(基端部)(12a)와, 전방측의 캠부(12b)를 가진다. 기단부(12a)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경은 노크 부재(16)의 내경보다 작다. 캠부(12b)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경은 내통(10)의 본체부(10a)의 내경보다 조금 작다. 캠부(12b)의 외면에는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볼록부와, 볼록부의 사이에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 오목부를 가진다.
노크 부재(16)는 상방(上方)이 폐쇄되고, 하방(下方)이 개방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노크 부재(16)의 외경은, 내통(10)의 후단부(10b)의 관통공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노크 부재(16)의 외주면의 하단부에는, 둘레 방향에 걸쳐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부(16a)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14)는, 후방 단부가 리필 부재(4)의 선단부에 맞닿고, 선단부가 축통(2)의 선단부에 맞닿아 있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 부재(14)는, 리필 부재(4)를 후방을 향하여 가압하고 있다.
조립 상태에서, 내통(10)은, 본체부(10a)가 축통(2)의 후단 개구(2b)로부터 삽입되어 축통(2)의 내측에 위치하고, 후단부(10b)가 축통(2)의 후단 가장자리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내통(10)의 돌출부(10d)가 축통(2)의 볼록부(2c)보다 선단측에 위치하고, 이것에 의해 내통(10)이 축통(2)에 고정되어 있다. 또, 노크 부재(16)는, 내통(10)의 후단부(10b)의 관통공에 전방으로부터 삽통되고, 돌기부(16a)가 내통(10)의 본체부(10a)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회전자(12)는, 기단부(12a)가 노크 부재(16)의 내측에 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있고, 노크 부재(16)의 선단 가장자리가 회전자(12)의 캠부(12b)의 후단면에 맞닿아 있다. 또, 회전자(12)의 캠부(12b)의 선단면이 리필 부재(4)에 맞닿아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자(12) 및 노크 부재(16)는 리필 부재(4)를 매개로 하여 후방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노크 부재(16)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 회전자(12)가 회전하고, 내통(10)의 캠부(10f)의 오목부에 회전자(12)의 캠부(12b)의 볼록부가 들어간 상태와, 내통(10)의 캠부(10f)의 볼록부의 선단과 회전자(12)의 캠부(12b)의 볼록부의 선단이 맞닿은 상태가 전환되고, 리필 부재(4)의 필선부(4a)가 축통(2) 내에 수용된 상태와, 축통(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6a~도 6c는, 도 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클립 부재를 나타내고, 도 6a는 사시도, 도 6b는 정면도, 도 6c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6c에서는, 클립 부재를 내통으로부터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6a~도 6c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클립 부재(8)는, 한 개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선재가 휨 가공되어 형성되어 있다. 클립 부재(8)는, U자형으로 형성된 선단부(8A)와, 대략 직사각 형상으로 형성된 후단부(8C)와, 선단부(8A) 및 후단부(8C)의 사이의 중간부(8B)를 가진다.
선단부(8A)는, 제1 종부(縱部)(8b)의 전방부와, 제2 종부(8c)의 전방부와, 제1 종부(8b)의 전단과 제2 종부(8c)의 전단을 접속하는 원호 모양부(8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종부(8b)는, 원호 모양부(8a)의 우측(도 6b의 우측)의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또, 제2 종부(8c)는, 원호 모양부(8a)의 좌측(도 6b의 좌측)의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제1 종부(8b)는, 중간부(8B)에서의 제2 단부(8i)의 후방까지 연장되어 있다. 제2 종부(8c)는, 중간부(8B)를 넘어 후단부(8C)까지 연장되어 있다.
후단부(8C)는, 제2 종부(8c)의 후단부와, 제2 종부(8c)의 후단부로부터 우측(도 6b의 우측)으로 연장되는 제1 횡부(橫部)(8d)와, 제1 횡부(8d)의 우측(도 6b의 우측)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종부(8e)와, 제3 종부(8e)의 전단(前端)부로부터 좌측(도 6b의 좌측)으로 연장되는 제2 횡부(8f)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2 횡부(8f)는, 제1 단부(8h)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제2 횡부(8f)의 좌측(도 6b의 좌측)의 단부로부터 제4 종부(8g)가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다.
중간부(8B)는, 제1 종부(8b)의 후단(後端)부로부터 좌측(도 6b의 좌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단부(8h)와, 제4 종부(8g)의 전단부로부터 우측(도 6b의 우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단부(8i)를 구비한다. 제1 단부(8h)는, 제2 단부(8i)보다 후방에 위치하고 있다.
클립 부재(8)를 내통(10)으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는, 제1 종부(8b)는, 제2 종부(8c)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서, 후방을 향하여 반경 방향 중심측(도 6c의 우측)으로 경사져 있다. 또, 제3 종부(8e) 및 제4 종부(8g)는, 제2 종부(8c)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서, 후방을 향하여 반경 방향 외측(도 6c의 좌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제1 단부(8h)는, 제2 단부(8i)보다 필기구 본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한 클립 부재(8)의 가압력은 적어도 제1 종부(8b)가 경사져 있으면 된다.
조립 상태에서, 내통(10)의 클립 장착부(10c)의 제1 장착 구멍(10g) 및 제2 장착 구멍(10h)은, 축통(2)의 외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간되어,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클립 부재(8)는, 제1 단부(8h)가 내통(10)의 클립 장착부(10c)의 제1 장착 구멍(10g)에 삽입되고, 제2 단부(8i)가 클립 장착부(10c)의 제2 장착 구멍(10h)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클립 부재(8)는, 제1 종부(8b), 제3 종부(8e) 및 제4 종부(8g)가, 제2 종부(8c)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변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클립 부재(8)의 중간부(8B)가 클립 장착부(10c)에 유지된다. 또, 상기와 같이, 클립 부재(8)는 변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클립 부재(8)를 구성하는 금속 선재의 탄성력에 의해 선단부(8A)가 필기구 본체(7)를 향하여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도 3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클립 부재(8)를 내통(10)에 장착한 상태에서, 클립 부재(8)의 선단부(8A)가 필기구 본체(7)의 축통(2)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제1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클립을 벌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클립 부재(8)의 후단부(8C)를 필기구 본체(7)를 향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클립 장착부(10c)에 유지된 중간부(8B)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클립 부재(8)의 선단부(8A)가 필기구 본체(7)로부터 이간하도록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필기구(1)의 사용자는, 한 손의 검지, 중지, 약지, 소지로 필기구 본체(7)의 축통(2)을 파지한 상태에서, 클립 부재(8)의 후단부(8C)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 클립 부재(8)의 선단부(8A)를 필기구 본체(7)로부터 이간시켜, 클립 부재(8)와 필기구 본체(7)를 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클립이 필기구 본체를 향하여 회동하는 것은, 엄밀하게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클립이 회전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클립부의 중간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클립 부재의 후부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해, 클립 부재의 선단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발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립 부재(8)의 중간부(8B)가 필기구 본체(7)의 측부에 유지되어 있고, 클립 부재(8)의 후단부(8C)를 필기구 본체(7)를 향하여 압압하는 것에 의해, 클립 부재(8)가, 클립 부재(8)의 선단부(8A)가 필기구 본체(7)로부터 이간하도록, 회동한다. 이 때문에, 한 손의 검지, 중지, 약지, 소지로 필기구 본체(7)의 축통(2)을 파지한 상태에서, 클립 부재(8)의 후단부(8C)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 클립 부재(8)를 벌릴 수 있고,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클립 부재(8)를 구성하는 선재의 탄성에 의해 선단부(8A)가 필기구 본체(7)를 향하여 가압되기 때문에,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클립 부재(8)를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통(10)에 클립 장착부(10c)를 마련하고, 클립 장착부(10c)에 클립 부재(8)를 장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축통(2)의 측면에 클립 장착부를 마련하고, 클립 부재(8)를 장착해도 괜찮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장착 구멍(10g) 및 제2 장착 구멍(10h)이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고, 클립 부재(8)를 내통(10)으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제1 단부(8h)는, 제2 단부(8i)보다 필기구 본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클립 부재(8)를 평탄하게 형성했을 경우라도, 필선측의 제2 장착 구멍(10h)을 제1 장착 구멍(10g)보다 필기구 본체(7)측에 형성하면, 클립 부재(8)의 선단부가 필기구 본체(7)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립 부재(8)의 제1 단부(8h) 및 제2 단부(8i)를 고정하기 위해서, 제1 장착 구멍(10g) 및 제2 장착 구멍(10h)을 마련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노치를 형성해도 된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크식 볼펜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필기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노크식 샤프펜슬이나, 노크 기구를 구비하지 않은 필기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캡식 필기구의 캡에 클립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2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같은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8~도 11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를 나타내고, 도 8은 사시도, 도 9는 정면도, 도 10은 측면도이다. 또, 도 11은, 도 8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축통을 나타내는 축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는, 이른바 노크식 볼펜이며, 후단의 노크 부재(16)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 리필 부재(4)의 필선부(4a)가 축통(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와, 리필 부재(4)의 필선부(4a)가 축통(2) 내에 수용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필기구(101)는, 내통(110) 및 클립 부재(108)의 구성만이 제1 실시 형태와 다르고, 그 외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도 8~도 11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필기구(101)는, 필기구 본체(107)와, 필기구 본체(107)의 측부에 유지된 클립 부재(108)를 구비한다. 필기구 본체(107)는, 원통 모양의 축통(2)과, 축통(2),내에 수용된 리필 부재(4)와, 축통(2)의 후단부에 마련된 출몰 기구(106)를 구비한다. 출몰 기구(106)는, 내통(110)과, 회전자(12)와, 스프링 부재(14)와, 노크 부재(16)를 구비한다.
도 12a~도 12g는, 도 8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고, 도 12a는 사시도, 도 12b는 정면도, 도 12c는 우측면도, 도 12d는 좌측면도이다. 또, 도 12e는 도 12c의 E-E 단면도, 도 12f는 도 12b의 F-F 단면도이며, 도 12g는 도 12c의 G-G 단면도이다. 도 12a~도 12g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내통(110)은, 원통 모양의 본체부(110a)와, 본체부(110a)의 후단측에 접속된 후단부(110b)와, 본체부(110a)의 후단측에 접속된 클립 장착부(110c)를 구비한다. 이들, 본체부(110a)와, 후단부(110b)와, 클립 장착부(110c)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본체부(110a)는 대략 원통 모양이며, 본체부(110a)의 외경은 축통(2)의 내경보다 조금 작다. 또, 본체부(110a)의 후단부의 내주면에는 캠부(110f)가 형성되어 있다. 캠부(110f)는, 회전자(12)의 캠부(12b)와 협동하여, 노크 부재(16)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 회전자(12)를 회동시켜 리필 부재(4)의 필선부(4a)가 축통(2)의 선단 개구(2a)로부터 돌출한 상태와, 축통(2) 내에 수용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내통(110)의 캠부(110f) 및 회전자(12)의 캠부(12b)의 구성으로서는, 주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후단부(110b)는, 원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경이 축통(2)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후단부(110b)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클립 장착부(110c)는, 본체부(110a)의 후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마련되어 있고, 측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기둥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클립 장착부(110c)의 횡방향(도 12b에서의 좌우 방향)의 양측면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클립 장착부(110c)의 후부에는 제1 장착 노치(110g)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장착 노치(110g)는, 클립 장착부(110c)의 후단부의 반경 방향 외측 단부(도 12c의 클립 장착부(110c)의 상방이면서 좌측 단부)로부터 전방(도 12c의 하측)을 향하여 반경 방향 내측(도 12c의 우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노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장착 노치(110g)의 종단에는 원기둥 모양의 수용부(110g1)가 형성되어 있다.
또, 클립 장착부(110c)의 전부(前部)에는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장착 구멍(110h)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장착 구멍(110h)은, 우측의 기단부(110h1)와, 좌측의 경감부(110h2)를 가진다. 기단부(110h1)는, 클립 장착부(110c)의 우측면에 개구되어 있고,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경감부(110h2)는 클립 장착부(110c)의 좌측면에 개구되어 있고, 기단부(110h1)보다 직경이 큰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장착 노치(110g)의 수용부(110g1) 및 제2 장착 구멍(110h)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고(즉, 내통(110)의 중심축으로부터 등거리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장착 노치(110g)는 제2 장착 구멍(110h)보다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회전자(12), 노크 부재(16), 및 스프링 부재(14)의 구성은, 제1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조립 상태에서, 내통(110)은, 본체부(110a)가 축통(2)의 후단 개구(2b)로부터 삽입되어 내통(110)의 내측에 위치하고, 후단부(110b)가 축통(2)의 후단 가장자리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노크 부재(16)는, 내통(110)의 후단부(110b)의 관통공에 전방으로부터 삽통되어 돌기부(16a)가 내통(10)의 본체부(10a)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회전자(12)는, 기단부(12a)가 노크 부재(16)의 내측에 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있고, 노크 부재(16)의 선단 가장자리가 회전자(12)의 캠부(12b)의 후단면에 맞닿아 있다. 또, 회전자(12)의 캠부(12b)의 선단면이 리필 부재(4)에 맞닿아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자(12) 및 노크 부재(16)는 리필 부재(4)를 매개로 하여 후방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노크 부재(16)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 회전자(12)가 회전하고, 내통(110)의 캠부(110f)의 오목부에 회전자(12)의 캠부(12b)의 볼록부가 들어간 상태와, 내통(110)의 캠부(110f)의 볼록부의 선단과 회전자(12)의 캠부(12b)의 볼록부의 선단이 맞닿은 상태가 전환되고, 리필 부재(4)의 필선부(4a)가 축통(2) 내에 수용된 상태와, 축통(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13a~도 13c는, 도 8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클립 부재를 나타내고, 도 13a는 사시도, 도 13b는 정면도, 도 13c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3a~도 13c에서는, 클립 부재를 내통으로부터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3a~도 13c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클립 부재(108)는, 한 개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선재가 휨 가공되어 형성되어 있다. 클립 부재(108)는, U자형으로 형성된 선단부(108A)와, U자형으로 형성된 후단부(108C)와, 선단부(108A) 및 후단부(108C)의 사이의 중간부(108B)를 가진다.
선단부(108A)는, 제1 종부(108b)의 전방부와, 제2 종부(108c)의 전방부와, 제1 종부(108b)의 전단과 제2 종부(108c)의 전단을 접속하는 제1 원호 모양부(108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종부(108b)는, 제1 원호 모양부(108a)의 우측(도 13b의 우측)의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중간부(108B)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제2 종부(108c)는, 제1 원호 모양부(108a)의 좌측(도 13b의 좌측)의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중간부(108B)를 넘어 후단부(108C)까지 연장되어 있다.
후단부(108C)는, 제2 종부(108c)의 후단부와, 제2 종부(108c)의 후단부로부터 우측(도 13b의 우측)으로 원호 모양으로 연장되는 제2 원호 모양부(108d)와, 제2 원호 모양부(108d)의 우측(도 13b의 우측)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종부(108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중간부(108B)는, 제3 종부(108e)의 전단부로부터 좌측(도 13b의 좌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단부(108f)와, 제1 종부(108b)의 후단부로부터 좌측(도 13b의 좌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단부(108g)를 구비한다. 제2 단부(108g)의 선단에는, 좌방향을 향하여 전방으로 경사지는 굴곡부(108h)가 형성되어 있다.
클립 부재(108)를 내통(110)으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는, 제1 종부(108b)는, 제2 종부(108c)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서, 후방을 향하여 반경 방향 외측(도 13c의 좌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제1 단부(108f)는, 제2 단부(108g)보다 필기구 본체측에 위치하고 있다.
조립 상태에서, 내통(110)의 클립 장착부(110c)의 제1 장착 노치(110g)의 수용부(110g1) 및 제2 장착 구멍(110h)은, 축통(2)의 외면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만큼 이간하고,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도록 위치하고 있다. 클립 부재(108)는, 제1 단부(108f)가 내통(110)의 클립 장착부(110c)의 제1 장착 노치(110g)에 삽입되고, 제2 단부(108g)가 클립 장착부(110c)의 제2 장착 구멍(110h)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이 때, 제2 단부(108g)의 선단의 굴곡부(108h)가, 제2 장착 구멍(110h)의 경감부(110h2) 내에 위치하고 있다. 클립 부재(108)는, 제1 종부(108b)가, 제2 종부(108c)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변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클립 부재(108)의 중간부(108B)가 클립 장착부(110c)에 유지된다. 또, 상기와 같이, 클립 부재(108)는 변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클립 부재(108)를 구성하는 금속 선재의 탄성력에 의해 선단부(108A)가 필기구 본체(7)를 향하여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도 10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클립 부재(108)를 내통(110)에 장착한 상태에서, 클립 부재(108)의 선단부(108A)가 필기구 본체(107)의 축통(2)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다.
또한 클립 부재(108)를 장착할 때, 먼저, 도 14a 및 도 14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전후를 반전시킴과 아울러, 표리를 반전시킨 상태(즉, 제2 단부(108g)가 제1 단부(108f)보다 후방측이면서 필기구 본체(107) 측에 위치하는 상태)에서, 제2 단부(108g)의 굴곡부(108h)를 제2 장착 구멍(110h)의 기단부(110h1)에 삽입하고, 클립 부재(108)를 제2 단부(108g)를 중심으로 제1 원호 모양부(108a)가 후단측에 위치할 때까지 회전시켜, 굴곡부(108h)가 경감부(110h2) 내에 위치하도록 제2 단부(108g)를 제2 장착 구멍(110h)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도 15a, 도 15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2 종부(108c)를 제2 원호 모양부(108d)측이 필기구 본체(107)의 좌측에 위치하도록 제1 원호 모양부(108a)를 만곡시킨다. 그리고, 도 15b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2 단부(108g)를 중심으로 하여 제1 원호 모양부(108a)가 전방에 위치하도록 클립 부재(108)를 회동시킨다.
다음으로, 도 16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제3 종부(108e) 및 제1 단부(108f)를, 제1 장착 노치(110g)에 측방으로부터 삽입하고, 제1 단부(108f)를 수용부(110g1)에 배치한다. 이것에 의해, 클립 부재(108)를 클립 장착부(110c)에 장착할 수 있다. 또한 제1 단부(108f)를 수용부(110g1)에 배치한 장착한 후의 클립 부재(108)는, 클립 부재(108) 또는 내통(110)을 파괴하지 않는 한, 떼어낼 수 없다.
도 17은 본 발명의 제2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클립을 벌린 상태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클립 부재(108)의 후단부(108C)를 필기구 본체(107)를 향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클립 장착부(110c)에 유지된 중간부(108B)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클립 부재(108)의 선단부(108A)가 필기구 본체(107)로부터 이간하도록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필기구(101)의 사용자는, 한 손의 검지, 중지, 약지, 소지로 필기구 본체(107)의 축통(2)을 파지한 상태에서, 클립 부재(108)의 후단부(108C)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서, 클립 부재(108)의 선단부(108A)를 필기구 본체(107)로부터 이간시켜, 클립 부재(108)와 필기구 본체(107)를 벌릴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발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립 부재(108)의 중간부(108B)가 필기구 본체(107)의 측부에 유지되어 있고, 클립 부재(108)의 후단부(108C)를 필기구 본체(107)를 향하여 압압하는 것에 의해, 클립 부재(108)가, 클립 부재(108)의 선단부(108A)가 필기구 본체(107)로부터 이간하도록, 회동한다. 이 때문에, 한 손의 검지, 중지, 약지, 소지로 필기구 본체(107)의 축통(2)을 파지한 상태에서, 클립 부재(108)의 후단부(108C)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 클립 부재(108)를 벌릴 수 있고,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클립 부재(108)를 구성하는 선재의 탄성에 의해 선단부(108A)가 필기구 본체(107)를 향하여 가압되기 때문에,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클립 부재(108)를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2 장착 구멍(110h)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에 의해 형성되고 제2 장착 구멍(110h)에는 경감부(110h2)가 형성되며, 경감부(110h2)에 제2 단부(108g)의 굴곡부(108h)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클립 부재(108)의 제2 단부(108g)에 굴곡부(108h)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클립 부재(108)가 제2 장착 구멍(110h)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장착 노치(110g)를 노치로 형성하고, 제2 장착 구멍(110h)을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에 의해 형성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노치를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으로 변경해도 괜찮고,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을 노치로 변경해도 괜찮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립 부재(108)의 제2 단부(108g)에 굴곡부(108h)를 형성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제1 단부(108f)에 굴곡부를 마련해도 괜찮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통(110)에 클립 장착부(110c)를 마련하고, 클립 장착부(110c)에 클립 부재(108)를 장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축통(2)의 측면에 클립 장착부를 마련하고, 클립 부재(108)를 장착해도 괜찮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제1 장착 노치(110g) 및 제2 장착 구멍(110h)이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고, 클립 부재(108)를 내통(110)으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제1 단부(108f)는, 제2 단부(108g)보다 필기구 본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클립 부재(108)를 평탄하게 형성했을 경우라도, 필선측의 제2 장착 구멍(110h)을 제1 장착 노치(110g)보다 필기구 본체(107)측에 형성하면, 클립 부재(108)의 선단부를 필기구 본체(107)측으로 가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크식 볼펜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필기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노크식 샤프펜슬이나, 노크 기구를 구비하지 않은 필기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캡식 필기구의 캡에 클립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제3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한 부호를 부여하여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8은, 본 발명의 제3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필기구(201)는, 필기구 본체(107)와, 필기구 본체(107)의 측부에 유지된 클립 부재(208)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의 필기구(201)는, 클립 부재(208)의 구성만이 제2 실시 형태와 다르고, 그 외의 구성은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도 19a~도 19c는, 도 18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클립 부재를 나타내고, 도 19a는 사시도, 도 19b는 정면도, 도 19c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19c에 대해서는, 클립 부재를 내통으로부터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19a~도 19c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클립 부재(208)는, 한 개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선재가 휨 가공되어 형성되어 있다. 클립 부재(208)는, U자형으로 형성된 선단부(208A)와, 도형 모양으로 형성된 후단부(208C)와, 선단부(208A) 및 후단부(208C)의 사이의 중간부(208B)를 가진다.
선단부(208A)는, 제1 종부(208b)의 전방부와, 제2 종부(208c)의 전방부와, 제1 종부(208b)의 전단과 제2 종부(208c)의 전단을 접속하는 제1 원호 모양부(208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종부(208b)는, 제1 원호 모양부(208a)의 우측(도 19b의 우측)의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중간부(208B)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제2 종부(208c)는, 제1 원호 모양부(208a)의 좌측(도 19b의 좌측)의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중간부(208B)를 넘어 후단부(208C)까지 연장되어 있다.
후단부(208C)는, 제2 종부(208c)의 후단부와, 동물 등의 캐릭터를 본뜬 도형 모양으로 형성된 도형부(208d)와, 도형부(208d)의 우측(도 19b의 우측)의 전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종부(208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도형부(208d)의 형상은, 동물 등의 캐릭터에 한정하지 않고, 꽃 등을 본 뜬 형상이나, 문자나 모양 등을 본 뜬 형상으로 해도 괜찮다.
중간부(208B)는, 제3 종부(208e)의 전단부로부터 좌측(도 19b의 좌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단부(208f)와, 제1 종부(208b)의 후단부로부터 좌측(도 19b의 좌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단부(208g)를 구비한다.
클립 부재(208)를 내통(110)으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는, 제1 종부(208b)는, 제2 종부(208c)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서, 후방을 향하여 반경 방향 외측(도 19c의 좌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제1 단부(208f)는, 제2 단부(208g)보다 필기구 본체측에 위치하고 있다.
조립 상태에서, 클립 부재(208)는, 제1 단부(208f)가 내통(110)의 클립 장착부(110c)의 제1 장착 노치(110g)에 삽입되고, 제2 단부(208g)가 클립 장착부(110c)의 제2 장착 구멍(110h)에 삽입되어 고정되어 있다. 클립 부재(208)는, 제1 종부(208b)가, 제2 종부(208c)와 대략 평행하게 되도록 변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클립 부재(208)의 중간부(208B)가 클립 장착부(110c)에 유지된다. 또, 상기와 같이, 클립 부재(208)이 변형된 상태로 장착되어 있기 때문에, 클립 부재(208)를 구성하는 금속 선재의 탄성력에 의해 선단부(208A)가 필기구 본체(107)를 향하여 가압된다. 이것에 의해, 도 18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클립 부재(208)를 내통(110)에 장착한 상태에서, 클립 부재(108)의 선단부(108A)가 필기구 본체(107)의 축통(2)의 외주면에 맞닿아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클립 부재(208)의 후단부(208C)를 필기구 본체(107)를 향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클립 장착부(110c)에 유지된 중간부(208B)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클립 부재(208)의 선단부(208A)가 필기구 본체(107)로부터 이간하도록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필기구(201)의 사용자는, 한 손의 검지, 중지, 약지, 소지로 필기구 본체(107)의 축통(2)을 파지한 상태에서, 클립 부재(208)의 후단부(208C)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 클립 부재(208)의 선단부(208A)를 필기구 본체(107)로부터 이간시켜, 클립 부재(208)와 필기구 본체(107)를 벌릴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제2 실시 형태에 더하여 이하의 효과가 발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립 부재(208)의 후단부(208C)에, 선재가 굴곡되어서 이루어지는 도형부(208d)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클립 부재(208)에 의장성을 가지게 할 수 있다.
또한 클립 부재(208)의 필기구 본체(107)로의 장착 구조는 본 실시 형태의 구성에 한정하지 않고, 제1 실시 형태나 제2 실시 형태와 같은 구성으로 해도 괜찮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후단부(208C)에 도형을 형성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선단부(208A) 등에 형성해도 좋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통(110)에 클립 장착부(110c)를 마련하고, 클립 장착부(110c)에 클립 부재(108)를 장착하고 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축통(2)의 측면에 클립 장착부를 마련하고, 클립 부재(108)를 장착해도 괜찮다.
<제4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0a~도 20g는, 제4 실시 형태의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고, 도 20a는 사시도, 도 20b는 정면도, 도 20c는 우측면도, 도 20d는 좌측면도이다. 또, 도 20e는 도 20c의 E-E 단면도, 도 20f는 도 20b의 F-F 단면도이며, 도 20g는 도 20c의 G-G 단면도이다. 제4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는, 내통의 구성만이 제2 실시 형태와 다르고, 그 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즉, 본 실시 형태의 필기구는, 필기구 본체와, 필기구 본체의 측부에 유지된 클립 부재(108)를 구비한다. 본 실시 형태의 내통에 장착되는 클립 부재는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그리고, 필기구 본체는, 축통(2)과, 축통(2) 내에 수용된 리필 부재(4)와, 축통(2)의 후단부에 장착된 출몰 기구를 구비하고, 출몰 기구는, 내통(310)과, 회전자(12)와, 스프링 부재(14)와, 노크 부재(16)에 의해 구성된다. 그리고, 내통(310)은 축통(2)의 후단부에 장착되는 것이다.
도 20a~도 20g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내통(310)은, 원통 모양의 본체부(310a)와, 본체부(310a)의 후단측에 접속된 후단부(310b)와, 본체부(310a)의 후단측에 접속된 클립 장착부(310c)를 구비한다. 이들, 본체부(310a)와, 후단부(310b)와, 클립 장착부(310c)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본체부(310a)는 대략 원통 모양이며, 본체부(310a)의 외경은 축통(2)의 내경보다 조금 작다. 또, 본체부(310a)의 후단부의 내주면에는 캠부(310f)가 형성되어 있다. 캠부(310f)는, 회전자(12)의 캠부(12b)와 협동하여, 노크 부재(16)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 회전자(12)를 회동시켜 리필 부재(4)의 필선부(4a)가 축통(2)의 선단 개구(2a)로부터 돌출한 상태와, 축통(2) 내에 수용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내통(310)의 캠부(310f) 및 회전자(12)의 캠부(12b)의 구성으로서는, 주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후단부(310b)는, 원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경이 축통(2)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후단부(310b)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클립 장착부(310c)는, 본체부(310a)의 후단으로부터 소정의 거리를 두고 마련되어 있고, 측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기둥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클립 장착부(310c)의 횡방향(도 20b에서의 좌우 방향)의 양측면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클립 장착부(310c)의 후부에는 제1 장착 노치(310g)가 형성되어 있다. 제1 장착 노치(310g)는, 클립 장착부(310c)의 후단부의 반경 방향 내측 단부(도 20c의 클립 장착부(310c)의 상방이면서 우측 단부)로부터, 먼저, 전방(도 20c의 하측)으로 연장되어 굴곡되고, 전방(도 20c의 하측)을 향하여 반경 방향 외측(도 20c의 좌측)으로 경사지도록 연장되는 노치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장착 노치(310g)의 종단에는 원기둥 모양의 수용부(310g1)가 형성되어 있다.
또, 클립 장착부(310c)의 전부(前部)에는 횡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장착 구멍(310h)이 형성되어 있다. 제2 장착 구멍(310h)은, 우측의 기단부(310h1)와, 좌측의 경감부(310h2)를 가진다. 기단부(310h1)는, 클립 장착부(310c)의 우측면에 개구되어 있고,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또, 경감부(310h2)는 클립 장착부(310c)의 좌측면에 개구되어 있고, 기단부(310h1)보다 직경이 큰 원기둥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1 장착 노치(310g)의 수용부(310g1) 및 제2 장착 구멍(310h)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어 있어(즉, 내통(310)의 중심축으로부터 등거리에 위치하고 있고), 제1 장착 노치(310g)는 제2 장착 구멍(310h)보다 후방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도, 내통(310)의 클립 장착부(310c)의 제1 장착 노치(310g)에 클립 부재(108)의 제1 단부(108f)가 삽입되고, 클립 장착부(310c)의 제2 장착 구멍(310h)에 클립 부재(108)의 제2 단부(108g)가 삽입되어, 클립 부재(108)가 내통(310)에 고정된다. 이 때, 제2 단부(108g)의 선단의 굴곡부(108h)가, 제2 장착 구멍(310h)의 경감부(310h2) 내에 위치하고 있다. 클립 부재(108)의 장착 방법은, 제2 실시 형태와 동일하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클립 부재(108)를 장착했을 때에, 클립 부재(108)가 장착되는 내통(310)의 클립 장착부(310c)의 외면이 외경측에 위치하고, 제1 장착 노치(310g)의 단부가 노출되지 않기 때문에, 의장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크식 볼펜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필기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노크식 샤프펜슬이나, 노크 기구를 구비하지 않은 필기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캡식 필기구의 캡에 클립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서, 클립이 필기구 본체를 향하여 회동한다는 것은, 엄밀하게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클립이 회전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각 실시 형태와 같이 클립부의 중간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클립 부재의 후부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해, 클립 부재의 선단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이다.
<제5 실시 형태>
이하,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21~도 23은,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를 나타내고, 도 21은 사시도, 도 22는 정면도, 도 23은 측면도이다. 또, 도 24는, 도 2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축통을 나타내는 축방향을 따른 단면도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401)는, 소위 더블 노크식 볼펜이며, 후단의 노크 부재(416)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 리필 부재(404)의 필선부(404a)가 축통(40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상태와, 리필 부재(404)의 필선부(404a)가 축통(402) 내에 수용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21~도 2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본 실시 형태의 필기구(401)는, 필기구 본체(407)와, 필기구 본체(407)의 측부에 유지된 클립 부재(408)를 구비한다. 클립 부재(408)는, 필기구 본체(407)의 후방의 측부에 형성된 클립 유지부(418)에 유지되어 있다. 필기구 본체(407)는, 원통 모양의 장척인 축통(402)과, 축통(402) 내에 수용된 리필 부재(404)와, 축통(402)의 후단부에 장착된 출몰 기구(406)를 구비한다. 출몰 기구(406)는, 내통(410)과, 회전자(412)와, 스프링 부재(414)와, 노크 부재(416)를 구비한다.
축통(402)은 선단부가 끝이 가는 모양인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축통(402)은, 선단측의 전방 축통(402A)과, 후단측의 후방 축통(402B)이 접속되어 형성되어 있다. 도 25a~도 25g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에 의한 필기구의 후방 축통을 나타내고, 도 25a는 사시도, 도 25b는 정면도, 도 25c는 측면도, 도 25d는 도 25c에서의 D-D 단면도, 도 25e는 도 25b에서의 E-E 단면도, 도 25f는 전방에서 본 도, 도 25g는 후방에서 본 도면이다. 도 24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전방 축통(402A)의 후단부의 외주면에는 나사줄(402A1)이 형성되어 있다. 또, 도 25a~도 25g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후방 축통(402B)의 내주면에는 나사줄(402B1)이 형성되어 있다. 전방 축통(402A)의 후단부가 후방 축통(402B)의 전단측으로부터 내측으로 들어가, 전방 축통(402A)의 나사줄(402A1)과 후방 축통(402B)의 나사줄(402B1)이 나사 결합하는 것에 의해, 전방 축통(402A)과 후방 축통(402B)이 연결되어 축통(402)은 형성되어 있다. 전방 축통(402A)의 선단부에는 선단 개구(402a)가 형성되어 있다. 또, 후방 축통(402B)의 후단에는 후단 개구(402b)가 형성되어 있다.
후방 축통(402B)의 후단부의 내면에는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한 쌍의 축경부(縮徑部)(402c)가 형성되어 있다. 축경부(402c)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보아 직사각형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후단부에 경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한 쌍의 축경부(402c)는 중심축을 사이에 두고 대향하는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또, 후방 축통(402B)의 후단의 가장자리에는, 후술하는 내통(410)의 연출부(延出部)(410b1)에 상당하는 형상의 노치부(402d)가 형성되어 있다. 노치부(402d)의 전단부에는 제1 클립 유지부(402e)가 형성되어 있다. 제1 클립 유지부(402e)는, 후방 축통(402B)의 외주면에 세워 마련된 기대부(基臺部)(402e1)와, 기대부(402e1)에 접속된 걸림부(402e2)를 구비한다. 기대부(402e1)의 반경 방향 외측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다. 기대부(402e1)의 후방면은 반경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전방을 향하도록 경사져 있다. 기대부(402e1)의 반경 방향 외측면에는, 일방의 횡방향의 가장자리로부터 폭방향 중간 위치까지 연장되는 오목부(402e3)가 형성되어 있다. 걸림부(402e2)는, 기대부(402e1)의 반경 방향 외측면의 전단부에 세워 마련되어 있다. 걸림부(402e2)의 반경 방향 외측면은 평탄하게 형성되어 있고, 걸림부(402e2)의 후단부는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전방으로 경사져 있다.
도 26a~도 26h는, 도 2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내통을 나타내고, 도 26a는 사시도, 도 26b는 정면도, 도 26c는 우측면도, 도 26d는 좌측면도, 도 26e는 도 26b의 E-E 단면도, 도 26f는 도 26c의 F-F 단면도, 도 26g는 도 26c의 G-G 단면도, 도 26h는 도 26c의 H-H 단면도이다. 도 26a~도 26h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내통(410)은, 원통 모양의 본체부(410a)와, 본체부(410a)의 후단측에 접속된 후단부(410b)와, 본체부(410a)의 후단측에 접속된 제2 클립 유지부(410c)를 구비한다. 이들, 본체부(410a)와, 후단부(410b)와, 제2 클립 유지부(410c)는 일체로 성형되어 있다.
본체부(410a)는 대략 원통 모양이며, 본체부(410a)의 외경은 축통(402)의 내경보다 조금 작다. 본체부(410a)의 전방측에는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오목하게 되어 있는 오목부(410d)가 형성되어 있고, 오목부(410d)의 둘레 가장자리부는 계단부로 하여 형성되어 있다. 오목부(410d) 내에는, 오목부(410d)의 전방의 가장자리를 따르도록 형성된 기부(基部)(410e1)와, 기부(410e1)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탄성 변형부(410e2)가 형성되어 있다. 기부(410e1)의 내주면은 본체부(410a)의 내주면과 동일한 원통면 모양으로 되어 있고, 기부(410e1)의 외주면은 본체부(410a)보다 소경의 원통면 모양으로 되어 있다. 탄성 변형부(410e2)는 기부(410e1)와 동일한 원통면 모양이며, 기부(410e1)의 후방 가장자리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편지지(片支持) 빔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기부(410e1)의 선단부에는 반경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돌출하는 볼록부(410e3)가 형성되어 있다. 기부(410e1)의 후방 및 둘레 방향 양측은 관통공(410e4)에 의해 포위되고 있다.
또, 본체부(410a)의 후단부의 내주면에는 캠부(410f)(도 26e)가 형성되어 있다. 캠부(410f)는, 회전자(412)의 캠부(412b)와 협동하여, 노크 부재(416)를 압압하는 것에 의해, 회전자(412)를 회동시켜 리필 부재(404)의 필선부(404a)가 축통(402)의 선단 개구(402a)로부터 돌출한 상태와, 축통(402) 내에 수용된 상태를 전환하기 위한 부위이다. 내통(410)의 캠부(410f) 및 회전자(412)의 캠부(412b)의 구성으로서는, 주지의 구성을 채용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통(410)의 캠부(410f)는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볼록부와, 볼록부의 사이에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 오목부를 가지고 있다.
후단부(410b)는, 원환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외경은 축통(402)의 외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후단부(410b)에는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는 원형의 관통공이 형성되어 있다. 또, 후단부(410b)는, 본체부(410a)의 외주면을 따라서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연출부(410b1)를 구비한다.
제2 클립 유지부(410c)는, 연출부(410b1)의 전단부에 연속하여 마련되어 있고, 측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기둥체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제2 클립 유지부(410c)의 횡방향(도 26b에서의 좌우 방향)의 양측면은 평행하게 형성되어 있다.
제2 클립 유지부(410c)는, 본체부(410a)로부터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세워 마련된 기립부(起立部)(410c1)와, 기립부(410c1)의 반경 방향 외측의 선단에 연속하여 마련된 연출부(410c2)를 가진다. 기립부(410c1)의 전방의 면은 반경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전방으로 경사져 있다. 연출부(410c2)의 기립부(410c1)보다 전방의 부분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하는 돌출부(410c3)가 형성되어 있다. 기립부(410c1)와 돌출부(410c3)와의 사이, 또한, 연출부(410c2)와의 접속부의 전방측의 모서리부에는 제1 오목부(410g)가 형성되어 있다. 또, 기립부(410c1)와 연출부(410c2)와의 접속부의 후방측의 모서리부에는 제2 오목부(410h)가 형성되어 있다. 돌출부(410c3)의 전방측의 면은 반경 방향 바깥쪽을 향하여 후방으로 경사져 있다.
제1 오목부(410g)는,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고, 횡방향(도 26b의 좌우 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제1 오목부(410g)는 반경 방향 외부(저부)가 반원 모양 단면이고, 반경 방향 내부가 구형 모양 단면이며, 전체적으로 U자형의 단면 형상으로 되어 있다. 제1 오목부(410g)는 횡방향의 일방측의 부분(도 26f의 우측의 부분)에 비해, 타방측의 부분(도 26f의 타방측의 부분)이 확경(擴徑)되어 경감부가 형성되어 있다. 제2 오목부(410h)는, 후방을 향하여 개방되어 있고, 횡방향으로 관통되어 있다.
회전자(412)는, 후방측의 기단부(412a)와, 전방측의 캠부(412b)를 가진다. 기단부(412a)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경은 노크 부재(416)의 내경보다 작다. 캠부(412b)는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고, 그 외경은 내통(410)의 본체부(410a)의 내경보다 조금 작다. 캠부(412b)의 외면에는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볼록부와, 볼록부의 사이에 전방을 향하여 연장되도록 형성된 오목부를 가진다.
노크 부재(416)는 상방이 폐쇄되고, 하방이 개방된 원통 모양으로 형성되어 있다. 노크 부재(416)의 외경은, 내통(410)의 후단부(410b)의 관통공의 내경과 대략 동일하게 되어 있다. 또, 노크 부재(416)의 외주면의 하단부에는, 둘레 방향에 걸쳐서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돌기부(416a)가 형성되어 있다.
스프링 부재(414)는, 후방 단부가 리필 부재(404)의 선단부에 맞닿고, 선단부가 축통(402)의 선단부에 맞닿아 있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 부재(414)는, 리필 부재(404)를 후방을 향하여 가압하고 있다.
조립 상태에서, 내통(410)은, 본체부(410a)가 축통(402)의 후단 개구(402b)로부터 삽입되어 축통(402)의 내측에 위치하고, 후단부(410b)가 축통(402)의 후단 가장자리에 맞닿도록 배치되어 있다. 또, 노크 부재(416)는, 내통(410)의 후단부(410b)의 관통공에 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내통(410)의 후방으로 돌출되어 있고, 돌기부(416a)가 내통(410)의 본체부(410a)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또, 회전자(412)는, 기단부(412a)가 노크 부재(416)의 내측에 전방으로부터 삽입되어 있고, 노크 부재(416)의 선단 가장자리가 회전자(412)의 캠부(412b)의 후단면에 맞닿아 있다. 또, 회전자(412)의 캠부(412b)의 선단면이 리필 부재(404)에 맞닿아 있다. 이것에 의해, 회전자(412) 및 노크 부재(416)는 리필 부재(404)를 매개로 하여 후방을 향하여 가압되어 있다.
이러한 상태에서, 노크 부재(416)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 회전자(412)가 회전하고, 내통(410)의 캠부(410f)의 오목부에 회전자(412)의 캠부(412b)의 볼록부가 들어간 상태와, 내통(410)의 캠부(410f)의 볼록부의 선단과 회전자(412)의 캠부(412b)의 볼록부의 선단이 맞닿은 상태가 전환되고, 리필 부재(404)의 필선부(404a)가 축통(402) 내에 수용된 상태와, 축통(402)의 선단으로부터 돌출한 상태를 전환할 수 있다.
도 27a~도 27c는, 도 21에 나타내는 필기구의 클립 부재를 나타내고, 도 27a는 사시도, 도 27b는 정면도, 도 27c는 측면도이다. 또한 도 27a~도 27c에서는, 클립 부재를 내통으로부터 떼어낸 상태를 나타내고 있다. 도 27a~도 27c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클립 부재(408)는, 한 개의 스테인리스 등의 금속 선재가 휨 가공되어 형성되어 있다. 클립 부재(408)는, U자형으로 형성된 선단부(408A)와, U자형의 형성된 후단부(408C)와, 선단부(408A) 및 후단부(408C)의 사이의 중간부(408B)를 가진다.
선단부(408A)는, 제1 종부(408b)의 전방부와, 제2 종부(408c)의 전방부와, 제1 종부(408b)의 전단과 제2 종부(408c)의 전단을 접속하는 제1 원호 모양부(408a)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제1 종부(408b)는, 제1 원호 모양부(408a)의 우측(도 27b의 우측)의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중간부(408B)까지 연장되어 있다. 또, 제2 종부(408c)는, 제1 원호 모양부(408a)의 좌측(도 27b의 좌측)의 단부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중간부(408B)를 넘어 후단부(408C)까지 연장되어 있다.
후단부(408C)는, 제2 종부(408c)의 후단부와, 제2 종부(408c)의 후단부로부터 우측(도 27b의 우측)으로 원호 모양으로 연장되는 제2 원호 모양부(408d)와, 제2 원호 모양부(408d)의 우측(도 27b의 우측)의 단부로부터 전방으로 연장되는 제3 종부(408e)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중간부(408B)는, 제3 종부(408e)의 전단부로부터 좌측(도 27b의 좌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1 단부(408f)와, 제1 종부(408b)의 후단부로부터 좌측(도 27b의 좌측)을 향하여 연장되는 제2 단부(408g)를 구비한다. 제2 단부(408g)의 선단에는, 좌방향을 향하여 전방으로 경사지는 굴곡부(408h)가 형성되어 있다.
클립 부재(408)를 내통(410)으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는, 제1 종부(408b)는, 제2 종부(408c)가 연장되는 방향에 대해서, 후방을 향하여 반경 방향 외측(도 27c의 좌측)으로 경사져 있다. 이 때문에, 제1 단부(408f)는, 제2 단부(408g)보다 필기구 본체측에 위치하고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필기구를 조립할 때, 먼저, 클립 부재를 내통에 장착한다. 도 28a~도 31a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필기구에서의 클립 부재를 내통에 장착하고, 내통을 후방 축통에 장착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사시도이다. 또, 도 28b~도 31b는, 각각 도 28a~도 31a에 대응하는 측면도이다.
도 28a 및 도 28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클립 부재(408)를 내통(410)에 장착하려면, 먼저,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클립 부재(408)를 전방을 향하여 이동시켜, 제1 단부(408f)를 후방으로부터 제2 오목부(410h) 내에 삽입한다.
다음으로, 도 29a 및 도 29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클립 부재(408)의 제2 단부(408g)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내통(410)을 향하여 압압한다. 그리고, 제2 단부(408g)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부터 제1 오목부(410g) 내에 끼워 넣는다. 이 때, 굴곡부(408h)가 제1 오목부(410g)의 확경된 부분에 위치하도록 끼워 넣는다.
다음으로, 도 30a 및 도 30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내통(410)의 연출부(410b1)가 후방 축통(402B)의 노치부(402d) 내에 들어가도록, 도면 중 화살표로 나타내는 것과 같이, 내통(410)을 전방으로 이동시켜, 후방 축통(402B)의 후단 개구(402b)에 삽입한다. 이와 같이, 내통(410)의 연출부(410b1)가 후방 축통(402B)의 노치부(402d) 내로 들어가도록 배치하는 것에 의해, 내통(410)의 오목부(410d)가, 후방 축통(402B)의 축경부(402c)와 축방향으로 정렬된다.
이 때, 도 31a 및 도 31b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클립 부재(408)의 후단부(408C)를 후방 축통(402B)을 향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제2 클립 유지부(410c)에 유지된 중간부(408B)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여, 클립 부재(408)의 선단부(408A)가 후방 축통(402B)으로부터 이간하도록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그리고, 이러한 상태에서 내통(410)을 전방으로 삽입하면, 축경부(402c)의 후방부가 경사면으로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내통(410)의 전방 가장자리가 축경부(402c)를 타고 넘을 수 있다. 내통(410)의 제2 클립 유지부(410c)의 기립부(410c1)의 전방측의 경사면이, 후방 축통(402B)의 기대부(402e1)의 후방의 경사면과 맞닿을 때까지, 내통(410)을 삽입한다. 이것에 의해, 내통(410)의 오목부(410d) 내로 후방 축통(402B)의 축경부(402c)가 들어간다. 이것에 의해, 내통(410)에 후방 축통(402B)에 대해서 후방을 향하는 인발력이 작용해도, 후방 축통(402B)의 축경부(402c)의 전방 가장자리가, 내통(410)의 오목부(410d)의 전방 가장자리의 단부와 맞닿아, 내통(410)이 후방 축통(402B)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후방 축통(402B)의 축경부(402c)의 반경 방향 내면이, 탄성 변형부(410e2)에 형성된 볼록부(410e3)에 맞닿아, 탄성 변형부(410e2)가 반경 방향 내측을 향하여 만곡된다. 이것에 의해, 탄성 변형부(410e2)의 후단부의 내측 가장자리는 회전자(412)의 캠부(412b)의 외경보다 내측까지 돌출한다.
또, 내통(410)의 기립부(410c1)의 전방측의 경사면이, 후방 축통(402B)의 기대부(402e1)의 후방의 경사면과 맞닿는 것에 의해, 후방 축통(402B)의 제1 클립 유지부(402e)와, 내통(410)의 제2 클립 유지부(410c)에 의해, 필기구 본체(407)로부터 측방으로 세워 마련된 클립 유지부(418)가 형성된다. 또, 내통(410)의 제1 오목부(410g)와, 후방 축통(402B)의 오목부(402e3)가 일체로 되어 관통공(420)을 형성한다. 이 관통공(420)은, 일방의 기단부에 비해 타방의 단부가 대경으로 되어 있다. 관통공(420) 내에 제2 단부(408g)가 배치되고, 관통공(420) 내의 대경의 경감부에 굴곡부(408h)가 배치된다. 이것에 의해, 클립 부재(408)의 제2 단부(408g)가 관통공(420) 내에 유지된다. 이와 같이 클립 부재(408)는, 제1 단부(408f)가, 내통(410)의 제2 오목부(410h)에 장착되고, 제2 단부(408g)가 관통공(420)에 장착되는 것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즉, 클립 유지부(418)를 구성하는 내통(410)의 제2 오목부(410h) 및 관통공(420)이 장착부로서 기능한다. 이와 같이 하여 형성된 관통공(420)(장착부)은, 내통(410)의 제2 클립 유지부(410c)와, 후방 축통(402B)의 제1 클립 유지부(402e)의 경계면에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내통(410)을 후방 축통(402B)에 장착한 후, 노크 부재(416)를 후방 축통(402B)의 전방으로부터 후방 축통(402B) 내로 삽입하고, 또한 회전자(412)를 후방 축통(402B)의 전방으로부터 후방 축통(402B) 내로 삽입한다. 도 32a~도 32d는, 본 발명의 제5 실시 형태의 필기구에서의 클립 부재를 장착한 내통을 후방 축통에 장착하고, 노크 부재 및 회전자를 장착한 상태를 나타내고, 도 32a는 도 24에 대응하는 단면도, 도 32b는 도 32a에서의 B-B 단면도, 도 32c는 도 32b에서의 C부의 확대 단면도, 도 32d는 도 32a에서의 D-D 단면도이다. 도 32a~도 32d에 나타내는 것과 같이, 탄성 변형부(410e2)는 기부(410e1)로부터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어 있기 때문에, 탄성 변형부(410e2)가 반경 방향 내측으로 돌출되어 있어도, 회전자(412)를 삽입할 때에 회전자(412)를 부드럽게 삽입할 수 있다. 그리고, 한 번 회전자(412)를, 탄성 변형부(410e2)를 타고 넘어 후방까지 삽입하면, 회전자(412)를 전방으로 이동시키려고 해도, 탄성 변형부(410e2)의 후방의 가장자리가 회전자(412)의 외경보다 내측까지 돌출되어 있기 때문에, 회전자(412)의 전방의 캠부(412b)의 외측 둘레 가장자리가 탄성 변형부(410e2)의 후방의 단면에 맞닿는다. 이 때문에, 리필(4)의 교환시 등에 필기구(401)를 분해해도, 회전자(412)는, 탄성 변형부(410e2)에 의해 후방 축통(402B) 내에 유지되어 있다.
다음으로, 전방 축통(402A)의 선단부에 스프링 부재(414)를 배치하고, 스프링 부재(414)의 내측에 선단부가 삽입되도록, 리필 부재(404)를 배치한 상태에서, 전방 축통(402A)과 후방 축통(402B)를 나사 결합하여 접속시킨다. 이것에 의해, 스프링 부재(414)에 의해 리필 부재(404)가 후방으로 가압되어 회전자(412)의 전단면에 맞닿는다. 그리고, 회전자(412)를 매개로 하여 노크 부재(416)가 후방으로 가압되어, 노크 부재(416)의 돌기부(416a)가 내통(410)의 후단부(410b)의 전방의 가장자리에 맞닿는다. 이것에 의해, 필기구(401)의 조립이 완료된다.
조립 상태에서, 클립 부재(408)의 후단부(408C)를 필기구 본체(407)를 향하여 반경 방향 내측으로 밀어 넣으면, 제2 클립 유지부(410c)에 유지된 중간부(408B)를 지점으로 하여 회동하고, 클립 부재(408)의 선단부(408A)가 필기구 본체(407)로부터 이간하도록 반경 방향 바깥쪽으로 이동한다. 이 때문에, 본 실시 형태의 필기구(401)의 사용자는, 한 손의 검지, 중지, 약지, 소지로 필기구 본체(407)의 축통(402)을 파지한 상태에서, 클립 부재(408)의 후단부(408C)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 클립 부재(408)의 선단부(408A)를 필기구 본체(407)로부터 이간시켜, 클립 부재(408)와 필기구 본체(407)를 벌릴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클립이 필기구 본체를 향하여 회동한다는 것은, 엄밀하게 하나의 축을 중심으로 클립이 회전하는 경우뿐만 아니라, 상기 실시 형태와 같이 클립부의 중간부가 지지된 상태에서, 클립 부재의 후부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압압하는 것에 의해, 클립 부재의 선단부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이하의 효과가 발휘된다.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립 부재(408)의 중간부(408B)가 필기구 본체(407)의 측부에 유지되어 있고, 클립 부재(408)의 후단부(408C)를 필기구 본체(407)를 향하여 압압하는 것에 의해, 클립 부재(408)가, 클립 부재(408)의 선단부(408A)가 필기구 본체(407)로부터 이간하도록, 회동한다. 이 때문에, 한 손의 검지, 중지, 약지, 소지로 필기구 본체(407)의 축통(402)을 파지한 상태에서, 클립 부재(408)의 후단부(408C)를 밀어 넣는 것에 의해, 클립 부재(408)를 벌릴 수 있고, 한 손으로 조작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클립 부재(408)를 구성하는 선재의 탄성에 의해 선단부(408A)가 필기구 본체(407)를 향하여 가압되기 때문에, 스프링 등의 가압 부재를 이용하지 않고, 간단한 구성으로 클립 부재(8)를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 의하면, 관통공(420)이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에 의해 형성되고 관통공(420)에는 경감부가 형성되며, 경감부에 제2 단부(408g)의 굴곡부(408h)가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이, 클립 부재(408)의 제2 단부(408g)에 굴곡부(408h)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클립 부재(408)가 관통공(420)으로부터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립 유지부(418)는 관통공(420)을 가지고, 클립 부재(408)가 선재로 이루어지며, 선재로 이루어지는 부분이 관통공(420) 내에 배치되어 유지되어 있고, 관통공(420)은 축통(2)와 내통(410)과의 경계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클립 부재(408)를 관통공(420)에 의해 유지하기 때문에, 클립 부재(408)가 간단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관통공(420)이 축통(2)과 내통(410)과의 경계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클립 부재(408)를 관통공(420) 내에 배치할 수 있다.
본 실시 형태의 필기구(401)는, 통 모양의 축통(402)과, 축통(402)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통(410)과, 내통(410)의 내측에 배치되는 회전자(412)를 구비하고, 내통(410)에는, 조립 상태에서 회전자(412)보다도 선단측에, 축통(402) 내에 배치되었을 때에 내측을 향하여, 회전자(412)의 외경보다도 내측까지 돌출하는 탄성 변형부(410e2)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내통(410)을 축통(402) 내에 배치하면 탄성 변형부(410e2)가 내측을 향하여, 회전자(412)의 외경보다도 내측까지 돌출한다. 이것에 의해, 리필 부재(404)를 교환할 때 등에 있어서도, 회전자(412)가 탄성 변형부(410e2)에 맞닿기 때문에, 축통(402)으로부터 회전자(412)가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축통(402)의 내주면에는 축경부(402c)가 형성되어 있고, 탄성 변형부(410e2)는 외주면이 축경부(402c)에 맞닿는 것에 의해, 내측을 향하여 돌출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내통(410)을 축통(402) 내에 배치하는 것에 의해 탄성 변형부(410e2)를 내측을 향하여 돌출시킬 수 있고, 내통(410)의 구성을 복잡하게 하지 않고 회전자(412)의 이탈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내통(410)은 외주면의 오목부(410d)의 둘레 가장자리에 계단부를 가지고, 축통(402)의 내측에 내통(410)이 배치된 상태에서, 내통(410)에 인발력이 작용하면 계단부가 축경부(402c)에 걸려, 인발력에 저항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계단부가 축경부(402c)에 걸리기 때문에, 내통(410)을 축통(402)에 고정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탄성 변형부(410e2)는, 후방을 향하여 연장되는 편지지 빔 형상이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간단한 구성으로 내통이 축통 내에 배치되었을 때에 탄성 변형부(410e2)를 내측으로 돌출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필기구(401)는 축통(402)을 따라서 마련된 클립 부재(408)를 가지고, 축통(402)와 내통(410)에 의해 클립 부재(408)를 유지하는 클립 유지부(418)가 형성된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클립 부재(408)의 장착 작업을 간단하게 행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립 유지부(418)는 관통공(420)을 가지고, 클립 부재(408)가 선재로 이루어지며, 선재로 이루어지는 부분이 관통공(420) 내에 배치되어 유지되어 있고, 관통공(420)은 축통(2)과 내통(410)과의 경계면에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클립 부재(408)를 관통공(420)에 의해 유지하기 때문에, 클립 부재(408)가 간단하게 빠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음과 아울러, 관통공(420)이 축통(2)과 내통(410)과의 경계면에 배치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클립 부재(408)를 관통공(420) 내에 배치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 형태에서는, 관통공(420) 및 제2 오목부(410h)가 길이 방향으로 정렬되고, 클립 부재(408)를 내통(410)으로부터 떼어낸 상태에서, 제1 단부(408f)는, 제2 단부(408i)보다도 필기구 본체측에 위치하도록 구성하고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클립 부재(408)를 평탄하게 형성했을 경우라도, 필선측의 제2 오목부(410h)를 관통공(420)보다도 필기구 본체(407)측에 형성하면, 클립 부재(408)의 선단부가 필기구 본체(407)측으로 가압될 수 있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클립 부재(408)의 제1 단부(408h) 및 제2 단부(408i)를 고정하기 위해서, 관통공(420) 및 제2 오목부(410h)를 마련했지만, 이것에 한정하지 않고, 노치를 형성해도 괜찮다.
또, 본 실시 형태에서는, 노크식 볼펜에 본 발명을 적용한 경우에 대해 설명했지만,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는 필기구는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노크식 샤프펜슬이나, 노크 기구를 구비하지 않은 필기구에도 적용할 수 있다. 또, 캡식 필기구의 캡에 클립을 장착하는 것도 가능하다.
1 : 필기구 2 : 축통
2a : 선단 개구 2b : 후단 개구
2c : 볼록부 2d : 노치부
4 : 리필 부재 4a : 필선부
6 : 출몰 기구 7 : 필기구 본체
8 : 클립 부재 8A : 선단부
8B : 중간부 8C : 후단부
8a : 원호 모양부 8b : 제1 종부
8c : 제2 종부 8d : 제1 횡부
8e : 제3 종부 8f : 제2 횡부
8g : 제4 종부 8h : 제1 단부
8i : 제2 단부 10 : 내통
10a : 본체부 10b : 후단부
10c : 클립 장착부 10d : 돌출부
10f : 캠부 10g : 제1 장착 구멍
10h : 제2 장착 구멍 12 : 회전자
12a : 기단부 12b : 캠부
14 : 스프링 부재 16 : 노크 부재
16a : 돌기부 101 : 필기구
106 : 출몰 기구 107 : 필기구 본체
108 : 클립 부재 108A : 선단부
108B : 중간부 108C : 후단부
108a : 제1 원호 모양부 108b : 제1 종부
108c : 제2 종부 108d : 제2 원호 모양부
108e : 제3 종부 108f : 제1 단부
108g : 제2 단부 108h : 굴곡부
110 : 내통 110a : 본체부
110b : 후단부 110c : 클립 장착부
110f : 캠부 110g : 제1 장착 노치
110g1 : 수용부 110h : 제2 장착 구멍
110h1 : 기단부 110h2 : 경감부
116 : 노크 부재 201 : 필기구
208 : 클립 부재 208A : 선단부
208B : 중간부 208C : 후단부
208a : 제1 원호 모양부 208b : 제1 종부
208c : 제2 종부 208d : 도형부
208e : 제3 종부 208f : 제1 단부
208g : 제2 단부 310 : 내통
310a : 본체부 310b : 후단부
310c : 클립 장착부 310f : 캠부
310g : 제1 장착 노치 310g1 : 수용부
310h : 제2 장착 구멍 310h1 : 기단부
310h2 : 경감부 401 : 필기구
402 : 축통 402A : 전방 축통
402A1 : 나사줄 402B : 후방 축통
402B1 : 나사줄 402a : 선단 개구
402b : 후단 개구 402c : 축경부
402d : 노치부 402e : 제1 클립 유지부
402e1 : 기대부 402e2 : 걸림부
402e3 : 오목부 404 : 리필 부재
404a : 필선부 406 : 출몰 기구
407 : 필기구 본체 408 : 클립 부재
408A : 선단부 408B : 중간부
408C : 후단부 408a : 제1 원호 모양부
408b : 제1 종부 408c : 제2 종부
408d : 제2 원호 모양부 408e : 제3 종부
408f : 제1 단부 408g : 제2 단부
408h : 굴곡부 410 : 내통
410a : 본체부 410b : 후단부
410b1 : 연출부 410c : 제2 클립 유지부
410c1 : 기립부 410c2 : 연출부
410c3 : 돌출부 410d : 오목부
410e1 : 기부 410e2 : 탄성 변형부
410e3 : 볼록부 410e4 : 관통공
410f : 캠부 410g : 제1 오목부
410h : 제2 오목부 412 : 회전자
412a : 기단부 412b : 캠부
414 : 스프링 부재 416 : 노크 부재
416a : 돌기부 418 : 클립 유지부
420 : 관통공

Claims (5)

  1.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필기구 본체와, 상기 필기구 본체의 측부에 유지된 선재로 이루어지는 클립 부재를 구비한 필기구로서,
    상기 클립 부재의 상기 길이 방향의 중간부가 상기 필기구 본체의 측부에 유지되어 있고,
    상기 클립 부재는, 상기 클립 부재의 필선(筆先)측의 부분이 상기 필기구 본체에 맞닿도록 상기 필기구 본체를 향하여 가압되어 있으며,
    상기 클립 부재의 후부(後部)를 상기 필기구 본체를 향하여 압압(押壓)하는 것에 의해, 상기 클립 부재의 상기 길이 방향의 필선측의 부분이 상기 필기구 본체로부터 이간하도록, 회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필기구.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클립 부재는 상기 선재가 굽혀져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재의 양 단부가 상기 필기구 본체의 측부에 형성된 한 쌍의 장착부에 각각 장착되어 있으며,
    상기 클립 부재는, 상기 클립 부재를 구성하는 상기 선재의 탄성에 의해, 상기 클립 부재의 상기 길이 방향의 필선측의 부분이 상기 필기구 본체를 향하여 가압되는 형상으로 굽혀져 있는 필기구.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한 쌍의 장착부는, 각각 횡방향으로 연장되는 구멍, 또는, 노치 부분에 의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재의 양 단부 중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는 굴곡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적어도 일방의 단부에 대응하는 장착부는, 기단부에 비해 넓어진 경감부를 가지고,
    상기 굴곡부는 상기 경감부 내에 위치하고 있는 필기구.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하나의 항에 있어서,
    상기 클립 부재는 적어도 일부에, 상기 선재가 굴곡되어 이루어지는 도형이 형성되어 있는 필기구.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필기구 본체는, 통 모양의 축통과, 상기 축통의 내측에 배치되는 내통을 가지고,
    상기 한 쌍의 장착 구멍 중 일방은 관통공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클립 부재의 일단부가 상기 관통공 내에 배치되어 유지되어 있으며,
    상기 관통공은 상기 축통과 상기 내통과의 경계면에 형성되어 있는 필기구.
KR1020217022285A 2019-03-27 2020-03-12 필기구 KR2021014259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059786 2019-03-27
JPJP-P-2019-059786 2019-03-27
JPJP-P-2019-156350 2019-08-29
JP2019156350A JP7304774B2 (ja) 2019-03-27 2019-08-29 筆記具
PCT/JP2020/010799 WO2020195891A1 (ja) 2019-03-27 2020-03-12 筆記具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42590A true KR20210142590A (ko) 2021-11-25

Family

ID=727155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22285A KR20210142590A (ko) 2019-03-27 2020-03-12 필기구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JP (1) JP7304774B2 (ko)
KR (1) KR20210142590A (ko)
CN (1) CN11363139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9940A (ja) 2007-08-08 2009-02-26 Tombow Pencil Co Ltd 筆記具用ク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6313040Y2 (ko) * 1979-12-26 1988-04-13
JPS60109988U (ja) * 1983-12-29 1985-07-25 栄弘産業株式会社 筆記具用クリツプの取付装置
JP2002067579A (ja) * 2000-08-30 2002-03-08 Sailor Pen Co Ltd:The 筆記具用クリップ
JP2007290266A (ja) * 2006-04-26 2007-11-08 Sailor Pen Co Ltd:The 筆記具用クリップ
KR200431530Y1 (ko) * 2006-08-23 2006-11-23 김성삼 필기구 고정기
US8016505B2 (en) * 2008-04-14 2011-09-13 Kole Zekaj Letter opener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9039940A (ja) 2007-08-08 2009-02-26 Tombow Pencil Co Ltd 筆記具用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0163826A (ja) 2020-10-08
CN113631396A (zh) 2021-11-09
JP7304774B2 (ja) 2023-07-07
TW202103979A (zh) 2021-02-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2024087031A (ja) 筆記具
KR20210142590A (ko) 필기구
US6309129B1 (en) Writing utensils
JP3139401U (ja) 筆記具のクリップ取付構造
CN114179551B (zh) 书写工具
TWI844648B (zh) 書寫用具
JP3571682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筆記体
JPH08258488A (ja) ノック式筆記具
JP6259650B2 (ja) ボールペン
CN112060805B (zh) 防断芯自动铅笔
JP3653699B2 (ja) ノック式筆記具
JP5293171B2 (ja) キャップ嵌合構造
JPS6331988Y2 (ko)
JPH0440953Y2 (ko)
JP4792832B2 (ja) クリップ取り付け構造
JP3159535U (ja) ノック式筆記具
JP2023070970A (ja) 筆記具
JP3154210B2 (ja)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プペンシル
JP5750315B2 (ja) 振出式シャープペンシル
JPS62117797A (ja) 複合筆記具
JPH11321183A (ja) 複式筆記具
JP2513979Y2 (ja) 回転繰出式筆記具
JP4971038B2 (ja) シャープペンシル
JP4006785B2 (ja) 軸の連結構造
JP3539070B2 (ja) サイドノック式シャ−プペンシル