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22579A - 수리 장치 및 수리 방법 - Google Patents

수리 장치 및 수리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22579A
KR20210122579A KR1020200039907A KR20200039907A KR20210122579A KR 20210122579 A KR20210122579 A KR 20210122579A KR 1020200039907 A KR1020200039907 A KR 1020200039907A KR 20200039907 A KR20200039907 A KR 20200039907A KR 20210122579 A KR20210122579 A KR 2021012257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
support
repair
region
fra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990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21502B1 (ko
Inventor
이선동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포스코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포스코
Priority to KR102020003990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502B1/ko
Publication of KR2021012257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2257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5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5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6/00Restoring or reconditioning objects
    • B23P6/04Repairing fractures or cracked metal parts or products, e.g. cast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2CASTING; POWDER METALLURGY
    • B22DCASTING OF METALS; CASTING OF OTHER SUBSTANCES BY THE SAME PROCESSES OR DEVICES
    • B22D11/00Continuous casting of metals, i.e. casting in indefinite lengths
    • B22D11/12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 B22D11/128Accessories for subsequent treating or working cast stock in situ for removing
    • B22D11/1285Segment changing devices for supporting or guiding fram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P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MBINED OPERATIONS; UNIVERSAL MACHINE TOOLS
    • B23P21/00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 B23P21/002Machines for assembling a multiplicity of different parts to compose units, with or without preceding or subsequent working of such parts, e.g. with programme control the units stationary whilst being composed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mission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대상체를 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프레임; 상기 대상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대상체와 분리 및 결합 가능하고, 상기 대상체 하부의 위치가 바뀌게 상기 대상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수리 장치 및 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대상체를 안정적으로 회전시켜 위치를 반전시킬 수 있는 수리 장치 및 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수리 장치 및 수리 방법{Apparatus for repairing object and method for repairing object}
본 발명은 수리 장치 및 수리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대상체 하부의 위치를 전환시켜 대상체를 수리하기 위한 수리 장치 및 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연속주조공정은 슬래브, 블룸, 빌렛 등과 같은 다양한 형상의 반제품을 제조하는 공정이다. 연속주조공정에서 주편은 주형 내에서 1차 냉각되고, 주형을 통과한 후 주형의 직하부에 구비되는 벤더와 세그먼트를 통과하면서 2차 냉각될 수 있다. 여기서, 세그먼트는 주편을 가압하도록 구비되는 복수의 롤러 및 복수의 롤러의 사이의 간격을 조절하는 스크류 잭을 포함한다.
한편, 연속주조공정에서 반제품을 형성함에 있어서, 최근에는 고망간강 등의 강도가 높은 재료를 사용하는데, 고망간강 등의 강도가 높은 재료는 복수의 롤러 및 스크류 잭에 많은 부하를 발생시켰다. 이에, 스크류 잭의 표면이 마모되거나 혹은 스크류 잭 내부 장비의 파손 등의 문제를 발생시켰다.
종래에는, 표면이 마모되거나 혹은 스크류 잭의 내부 장비가 파손될 경우, 크레인으로 스크류 잭을 공중에 부유시킨 후, 작업자가 스크류 잭의 아래에서 스크류 잭을 수리하는 방법을 사용하였다. 하지만, 이와 같은 방법은 많은 인력이 소모되고 장시간의 작업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크레인와 스크류 잭 분리시 작업자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가 있다.
KR 10-1998-0077305 A
본 발명은 대상체의 위치를 전환시킬 수 있는 수리 장치 및 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상체가 전환된 상태에서 대상체를 수리할 수 있는 수리 장치 및 수리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대상체를 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프레임; 상기 대상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대상체와 분리 및 결합 가능하고, 상기 대상체 하부의 위치가 바뀌게 상기 대상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력부;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부는, 상기 대상체의 적어도 일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기; 일단이 상기 연결기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기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당겨주거나 혹은 풀어줄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는 구동기;를 포함한다.
상기 동력부는, 상기 와이어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와 접촉 가능하고,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력시브;를 더 포함한다.
상기 연결기는, 상기 대상체를 파지할 수 있고, 일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으며,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결합부재;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상기 결합부재에 설치되는 가압부재; 상기 와이어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시브;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는, 상기 대상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대; 및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안착대에 설치되는 고정대;를 포함한다.
상기 안착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안착대몸체; 상면에 내측으로 함몰된 삽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안착대몸체의 상에 설치되는 제2 안착대몸체; 상기 대상체와 접촉 가능하며, 상기 삽입구 내에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체;를 포함한다.
상기 지지체는, 상면이 내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삽입구에 끼워지는 지지몸체; 및 상기 삽입구에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신장수축 가능하며, 상기 지지몸체와 연결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지지몸체의 상기 대상체와 접촉하는 면에 배치되는 회전 가능한 복수의 지지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대는, 상기 제1 안착대몸체에 설치되는 연결링크; 및 상기 교차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대상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대는, 상기 제1 안착대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링크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연결링크; 및 상기 교차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보조연결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회전판;을 더 포함한다.
상기 지지부와 상기 동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대상체와 접촉하는 부분에 마찰부재;를 구비한다.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고, 위치가 전환된 상기 대상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조절부;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 및 신장 수축 가능하고,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한다.
상기 조절부는, 상기 와이어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시브;를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상기 대상체의 제1 영역을 지지하는 과정; 상기 제1 영역보다 아래쪽의 제2 영역을 당겨 상기 대상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 회전시킨 상기 대상체를 고정시키는 과정; 및 상기 대상체를 수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대상체를 회전시키는 과정은, 상기 대상체의 상기 제2 영역의 단부를 파지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영역의 단부와 연결된 와이어를 위로 당겨 상기 대상체를 정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대상체를 고정시키는 과정은, 회전되어 위치가 전환된 대상체를 수평방향으로 밀어주는 과정; 전환된 상태의 대상체의 제1 영역의 단부를 지지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대상체를 수리하는 과정은, 상기 대상체의 파지를 해제하는 과정; 전환된 상태의 대상체를 지지하면서 상기 대상체의 제2 영역을 수리하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대상체를 수리하는 과정 후에, 전환된 상태의 상기 대상체의 제2 영역을 파지하는 과정;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대상체의 제2 영역의 단부를 당겨 역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한다.
상기 대상체는, 연주기에 구비되는 세그먼트의 스크류 잭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르면, 대상체의 위치를 전환시켜 대상체를 수리할 수 있다. 이에, 위로 향한 대상체의 하부를 효과적으로 수리할 수 있고, 대상체의 상부 내에 위치한 장비들 또한 효과적으로 수리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의 상부를 지지한 상태에서 대상체의 하부를 당겨 대상체의 위치를 전환시키므로, 대상체가 추락하는 사고 및 대상체가 주변 설비와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의 하부만을 당겨 위치가 바뀌게 하므로, 대상체를 수리하는 시간을 단축시킬 수 있다.
도 1은 일반적인 연주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
도 4a 내지 도 4f는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리 장치로 대상체를 수리하는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수리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다. 단지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해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도면은 과장될 수 있고, 도면상의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요소를 지칭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리 장치는 대상체를 수리하기 위한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상체의 위치를 전환시켜 대상체를 수리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여기서. 대상체는 연주기에 구비되는 세그먼트의 스크류 잭을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대상체의 적용 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장비들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연주기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1(b)는 세그먼트의 단면도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a) 및 도 1(b)를 참조하여, 연주기에 대해 대략적으로 설명한다.
연주기(100)는 래들(110), 턴디시(120), 주형(130), 벤더(140) 및 세그먼트(15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a)를 참조하면, 래들(110)은 액상의 피처리물 예컨대 용강을 운반할 수 있다. 턴디시(120)는 래들(110)로부터 용강을 수강받아 내부에 임시 저장하고, 내부에 저장된 용강을 주형(130)으로 연속하여 공급할 수 있다. 주형(130)은 턴디시(120)로부터 공급되는 용강을 주편으로 응고시킬 수 있다. 연주기(100)의 래들(110), 턴디쉬(120) 및 주형(130)은 주편의 제조를 위해 사용되는 통상적인 연주기(100)의 구성이므로, 이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벤더(140)와 세그먼트(150)는 냉각대를 형성할 수 있다. 즉, 벤더(140)와 세그먼트(150)는 주형(130)에서 공급되는 미응고된 주편을 연속하여 인발할 수 있다. 이에, 주편은 냉각대를 통과하면서 냉각 및 성형될 수 있다.
벤더(140)는 주형(130)의 하부에 배치될 수 있다. 세그먼트(150)는 벤더(140)의 하부에 연결되며, 복수개 구비될 수 있다. 즉, 세그먼트(150)들은 벤더(140)의 하측에 나란히 배열되고, 주편이 인발되는 경로를 형성할 수 있다.
세그먼트(150)는 주편을 가압할 수 있는 상부 롤러(151)와 하부 롤러(152) 및 주편을 향하도록 상부 롤러(151) 및 하부 롤러(152)를 이동시킬 수 있는 스크류 잭(153)을 포함할 수 있다.
도 1(b)를 참조하면, 상부 롤러(151) 및 하부 롤러(152)는 원기둥 형상의 롤러이며, 서로 마주보게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하부 롤러(152)는 스크류 잭과 연결되며, 주편을 향하는 방향으로 이동할 수 있다. 즉, 하부 롤러(152)는 상부 롤러(151)와 하부 롤러(152) 사이의 간격이 감소하는 방향으로 이동하며 주편을 가압할 수 있다.
스크류 잭(153)은 원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크류 잭(153)의 상부를 이루는 동력기(153a) 및 직육면체 형상으로 형성되며 스크류 잭(153)의 하부를 이루는 지지기(153b)를 포함할 수 있다.
동력기(153a)는 하부 롤러(152)를 이동시킬 수 있는 동력을 발생시키기 위해, 내부에 모터를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동력기(153a)는 양측에 각각 원기둥 형상의 연결샤프트(153c)를 구비할 수 있다. 연결샤프트(153c)는 하부 롤러(152)와 스크류 잭(153)을 연결시킬 수 있다. 지지기(153b)는 세그먼트(150)의 몸체에 결합되며, 스크류 잭(153)을 세크먼트(150)에 고정시킬 수 있다.
한편, 냉각대에서 주편을 성형함에 있어서, 주편을 상대적으로 강도가 높은 재료(예컨데, 고망간강)를 사용하여 성형할 경우, 스크류 잭에 많은 부하가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류 잭(153)을 지지하는 지지기(153b)의 표면이 마모되거나 혹은 동력기(153a)의 내부 장비(예컨데, 모터)가 파손될 수 있다. 이에, 스크류 잭이 고장날 경우, 후술하는 수리 장치(1000)로 스크류 잭(153)을 지지하고, 스크류 잭(153)의 하부가 위로 오게 위치를 바꾸어 스크류 잭(153)을 수리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스크류 잭(153)의 하부의 높이가 바뀌기 전의 상태를 원상태라 하고, 스크류 잭(153)의 하부의 높이가 바뀐 후의 상태를 전환된 상태라 한다.
또한, 스크류 잭(153)이 원상태에서 전환된 상태로 바뀌도록 회전하는 것을 정회전이라 하고, 스크류 잭(153)이 전환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바뀌도록 회전하는 것을 역회전이라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수리 장치(1000)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인 수리 장치(1000)는 대상체(153)를 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프레임(1100), 대상체(153)를 지지할 수 있는 지지부(1200), 대상체(153)와 분리 및 결합 가능하고 대상체(153)의 하부의 위치가 바뀌게 대상체(153)를 회전시킬 수 있는 동력부(13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수리 장치(1000)는 후술하는 동력부(1300)의 와이어(1320)와 연결되고 위치가 전환된 대상체(153)를 고정시킬 수 있는 조절부(1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대상체 하부의 위치는 대상체 하부의 높이일 수 있다.
한편, 하기에서 대상체(153)는 세그먼트(150)의 스크류 잭(153)을 예시한다. 또한, 하기에서 기재되는 상부 및 하부는 대상체(153)가 원상태일 때를 기준으로 높이가 높은 부분이 상부일 수 있고, 높이가 낮은 부분이 하부일 수 있다. 즉, 대상체(153)가 원상태일 경우, 동력기(153a)가 위치하는 부분을 상부라 하고, 지지기(152b)가 위치하는 부분을 하부라 한다. 여기서, 원상태를 기준으로 동력기(153a)가 위치하는 위쪽 부분을 제1 영역이라 하고, 지지기(152b)가 배치되는 아래쪽 부분을 제2 영역이라 한다. 이에, 원상태가 180°뒤집힌 상태가 전환된 상태일 수 있다.
프레임(1100)은 수리 장치(1000)의 몸체를 이루는 부분일 수 있다. 프레임(1100)은 지지부(1200)가 설치되는 제1 프레임(1110)과 동력부(1300)가 설치되는 제2 프레임(11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프레임(1110)은 수리 장치(1000)가 연장되는 방향(이하, 길이방향이라 함)과 길이방향에 수평하게 교차하는 방향(이하, 교차방향이라 함)을 따라 연장되고,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길이방향은 수리 장치(1000)가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고, 교차방향은 길이방향에 대하여 수평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고, 상하방향은 길이방향 및 교차방향에 대하여 수직하게 직교하는 방향일 수 있다.
제2 프레임(1120)은 제1 프레임(1110)에 설치되고,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일부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단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제2 프레임(1120)에서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상하방향 연장부(1121)라 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부분을 길이방향 연장부(1122)라 한다. 또한, 제2 프레임(1120)은 상하방향 연장부(1121)와 길이방향 연장부(1122)를 연결하는 가대(1123)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가대(1123)는 길이방향 연장부(1122)를 하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이에, 길이방향 연장부(1122)에 동력부(1300)가 설치되어도 동력부(1300)의 하중에 의해 길이방향 연장부(1122)가 하측으로 휘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고, 제2 프레임(1120)이 구조적 안정성을 갖을 수 있다. 하지만, 제1 프레임(1110) 및 제2 프레임(112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3(a)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지지부의 구조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b)는 지지부에 대상체가 안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3(b)는 대상체가 회전한 상태의 지지부의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및 도 3(a) 내지 도 3(b)를 참조하여 지지부(1200)를 설명한다.
지지부(1200)는 제1 프레임(1110)의 상면에 설치되며, 대상체(153)를 지지할 수 있다. 지지부(1200)는 대상체(153)가 안착될 수 있는 안착대(1210), 전환된 상태의 대상체(153)를 고정시킬 수 있는 고정대(1220)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200)는 대상체(153)와 접촉하는 부분에 대상체(153)와의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는 마찰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마찰부재가 지지부(1200)의 회전판(1222)에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안착대(1210)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며, 대상체(153)가 안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안착대(1210)에는 대상체(153)의 연결샤프트(153c)가 안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안착대(1210)는 제1 안착대몸체(1211), 제2 안착대몸체(1212) 및 지지체(1213)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안착대몸체(1211)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된 직육면체 형상이며, 프레임(1100)의 상면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안착대몸체(1211)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제1 안착대몸체(1211)가 한쌍으로 마련되며, 교차방향을 따라 이격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여기서, 제1 안착대몸체(1211)들 사이의 이격 거리는 대상체(153)의 동력기(153a)의 교차방향 길이보다 길고, 한쌍의 연결샤프트(153c)의 단부 사이의 거리보다 짧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상체(153)의 동력기(153a)가 제1 안착대몸체(1211)들 사이에서 안착대(1210)와 간섭되지 않고, 연결샤프트(153c)를 통해 안착대(1210)에 지지될 수 있다.
제1 안착대몸체(1211)의 상하방향 길이는 대상체(153)의 상하방향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제1 안착대몸체(1211)의 상하방향 길이는 대상체(153)의 회전 중심이 되는 연결샤프트(153c)에서 지지기(153b)의 단부까지 길이보다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상체(153)가 안착대(1210)에 안착되면, 대상체(53)의 지지기(153b)가 제1 프레임(1110)의 상면과 이격될 수 있고, 이격된 상태에서 대상체(153)가 회전할 수 있다.
제2 안착대몸체(1212)는 제1 안착대몸체(1211)의 상면에 설치되고, 상면에 내측으로 함몰된 삽입구(1212a)를 구비한 직육면체 형상일 수 있다. 여기서, 제2 안착대몸체(1212)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제2 안착대몸체(1212)가 한쌍으로 마련되며, 한쌍의 제1 안착대몸체(1211)에 각각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한쌍의 제2 안착대몸체(1212)는 서로 마주보는 일면이 개방될 수 있다. 즉, 한쌍의 제2 안착대몸체(1212)의 사이에 대상체(153)가 배치될 수 있도록, 교차방향의 일면이 개방되어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제2 안착대몸체(121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지지체(1213)는 대상체(153)와 접촉 가능하며, 삽입구(1212a) 내에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체(1213)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지지체(1213)가 한쌍으로 마련되며, 한쌍의 제2 안착대몸체(1212)에 각각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이를 위해, 지지체(1213)는 지지몸체(1213a) 및 탄성부재(1213b)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지지체(1213)는 지지몸체(1213a)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지지롤러(1213c)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a)를 참조하면, 지지몸체(1213a)는 상면이 내측으로 함몰되고, 삽입구(1212a)의 내부에 끼워지며, 삽입구(1212a) 내에서 상하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지지몸체(1213a)는 대상체(153)의 연결샤프트(153c)를 받쳐줄 수 있도록, 함몰된 부분이 라운드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지지몸체(1213a)의 외면과 제1 안착대몸체(1211)의 내면 사이에는 지지몸체(1213a)가 상하방향으로 원활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윤활제가 구비될 수 있다.
도 3(b)를 참조하면, 탄성부재(1213b)는 삽입구(1212a) 내에서 지지몸체(1213a)와 제2 안착대몸체(1212)의 사이에 구비되며, 신장 수축 가능하게 마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부재(1213b)는 스프링으로 마련될 수 있다. 즉, 탄성부재(1213b)는 상단부가 지지몸체(1213a)와 연결되고, 하단부가 제2 안착대몸체(1212)의 내면에 지지될 수 있다. 이에, 지지몸체(1213a)에 대상체(153)가 안착될 경우, 탄성부재(1213b)가 소정 수축되며 지지몸체(1213a)가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따라서, 연결샤프트(153c)가 제2 안착대몸체(1212)의 내측으로 더 이동하며, 대상체(153)의 무게중심이 소정 거리 하측으로 이동할 수 있고, 대상체(153)가 안착대(1210)에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또한, 도 3(c)를 참조하면, 대상체(153)가 전환된 상태가 될 경우, 대상체(153)의 무게중심의 높이가 원상태일 때보다 상대적으로 높게에 위치하게 되므로 지지몸체(1213a)가 받는 응력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여기서, 응력은 물체에 하중(외력)이 가해졌을, 그 하중의 크기에 대응하여 물체 내에 생기는 저항력을 응력이라 한다. 이에, 탄성부재(1213b)가 조금 더 수축하며 지지몸체(1213a)를 하측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연결샤프트(153c)를 삽입구(1212a) 내부로 더 이동시켜 지지몸체(1213a)로 대상체(153)를 더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다. 하지만, 지지몸체(1213a)와 탄성부재(1213b)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지지롤러(1213c)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지지몸체(1213a)에서 대상체(153)와 접촉하는 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즉, 복수의 지지롤러(1213c)는 지지몸체(1213a)의 함몰된 상면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복수의 지지롤러(1213c)는 교차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으로 마련되며, 회전축이 교차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대상체(153)가 회전할 때, 연결샤프트(153c)와 접촉한 복수의 지지롤러(1213c)도 함께 회전하므로, 연결샤프트(153c)와 지지몸체(1213a) 사이에 마찰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지지롤러(1213c)를 통해 대상체(153)를 원활하게 정회전시킬 수 있다. 하지만, 복수의 지지롤러(1213c)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고정대(1220)는 적어도 일부가 원주방향을 따라 회전하며, 전환된 상태의 대상체(15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여기서, 원주방향은 상하방향을 회전 중심으로 하는 방향일 수 있다. 고정대(1220)는 연결링크(1221)와 연결링크(1221)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회전판(1222)을 포함할 수 있다.
연결링크(1221)는 제2 안착대몸체(1212)에 설치되며, 회전판(1222)이 회전 가능하도록 회전판(1222)을 지지할 수 있다. 연결링크(1221)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연결링크(1221)에는 상하방향으로 홀이 형성될 수 있고, 홀에 베어링 볼트가 구비될 수 있다. 연결링크(1221)의 베어링 볼트와 후술하는 회전판(1222)이 결합될 수 있고, 연결링크(1221)에 회전판(1222)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연결링크(1221)는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연결링크(1221)가 한쌍으로 마련되며, 한쌍의 제2 안착대몸체(1212)에 각각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또한, 연결링크(1221)는 제2 안착대몸체(1212)에서 제1 안착대몸체(1211)와 인접한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인접한 위치는 전환된 상태의 대상체(153)의 제1 영역의 단부와 동일한 높이일 수 있다. 이에, 후술하는 회전판(1222)이 회전하며 전환된 상태의 대상체(153)의 제1 영역의 단부를 지지하며 대상체(153)를 고정시킬 수 있다.
회전판(1222)은 회전하며 전환된 상태의 대상체(153)의 제1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회전판(1222)의 구조를 설명함에 있어서,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길이방향으로 회전판(1222)이 배치되어 있는 경우를 가정하여 설명한다. 그러나, 회전판(1222)은 연결링크(1221)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으므로, 그 배치방향은 바뀔 수 있다. 회전판(1222)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고, 교차방향으로 소정의 폭과 상하방향으로 소정의 두께를 갖는 구조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회전판(1222)은 플레이트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또한, 회전판(1222)의 양단부에는 각각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구비될 수 있다. 즉, 회전판(1222)의 한쌍의 홀 중 어느 하나가 한쌍의 연결링크(1221) 중 어느 하나의 연결링크(1221)에 결합되고 회전하며, 다른 하나의 홀이 다른 하나의 연결링크(1221)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회전판(1222)의 양단부가 한쌍의 연결링크(1221)에 고정된 상태로 대상체(153)의 제1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대상체(153)의 제1 영역의 단부, 예컨데 동력기(153a)의 상면을 접촉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전환된 상태의 대상체(153)가 회전판(1222)에 지지되며, 후술하는 동력부(1300)의 결합부재(1311)의 파지가 해제되어도 전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한편, 회전판(1222)은 대상체(153)와 접촉하는 부분에 마찰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회전판(1222)은 상면과 연결링크(1221)를 향하는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 마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마찰부재는 회전판(1222)과 대상체(153)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회전판(1222)과 대상체 접촉시, 마찰부재를 통해 회전판(153)이 대상체(153)를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하지만, 연결링크(1221) 및 회전판(1222)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동력부(1300)는 대상체(153)와 분리 및 결합 가능하고, 대상체(153)의 하부의 높이, 즉 제2 영역의 위치가 바뀌게 대상체(15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대상체(153)의 하부의 위치는 대상체(153) 하부의 높이일 수 있다. 즉, 동력부(1300)는 대상체(153)의 제1 영역이 지지부(1200)에 안착되어 있는 상태에서 대상체(153)의 제2 영역을 붙잡아 일방향으로 회전시켜 대상체(153)의 제2 영역이 대상체(153)의 제1 영역보다 높게 배치되게 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동력부(1300)는 대상체(153)를 파지할 수 있는 연결기(1310), 연결기(1310)에 장력을 인가하는 와이어(1320) 및 와이어(1320)에 구동력을 제공하는 구동기(13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동력부(1300)는 와이어(1320)를 안내할 수 있는 동력시브(13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동력부(1300)는 대상체(153)와 접촉하는 부분에 대상체(153)와의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는 마찰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마찰부재가 동력부(1300)의 결합부재(1311)에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연결기(1310)는 적어도 일부가 대상체(153)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며, 대상체(153)를 파지할 수 있다. 연결기(1310)는 결합부재(1311), 가압부재(1312) 및 연결시브(1313)를 포함할 수 있다.
결합부재(1311)는 일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으며, 와이어(1320)와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결합부재(1311)는 일면이 개방된 직육면체 형상으로 마련될 수 있다. 결합부재(1311)의 개방된 일면에 대상체(153)의 제2 영역이 삽입될 수 있다.
또한, 결합부재(1311)는 개방된 일면과 마주보는 면에 샤클링(1311a)을 구비할 수 있다. 샤클링(1311a)에는 와이어(1320)가 결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와이어와 다른 물체를 결합시킬 때,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와이어와 물체를 연결하면 연결되는 부분의 결합 강도가 상대적으로 약해질 수 있다. 또한, 결합된 상태에서 와이어에 장력을 발생시킬 경우 결합 강도가 장력을 발생시키기 전과 비교하여 약 50% 정도 결합 강도가 약화될 수 있다. 이에, 결합부재(1311)에 샤클링(1311a)과 와이어(1320)를 결합시키므로, 와이어(1320)에 장력이 발생되어도 결합 부분의 강도가 약화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가압부재(1312)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결합부재(1311)의 측면에 설치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복수개로 마련된 가압부재(1312)가 결합부재(1311)의 측면에 각각 설치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가압부재(1312)는 회전 가능하게 형성되고, 회전하며 결합부재(1311)의 내부공간을 향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에, 결합부재(1311)에 대상체(153)의 제2 영역이 삽입된 상태에서, 가압부재(1312)가 내부공간을 향하여 이동하며 대상체(153)를 가압할 수 있다. 따라서, 가압부재(1312)가 대상체(153)를 결합부재(13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가압부재(1312)는 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가압부재(1312)에서 대상체(153)와 접촉하는 부분에 마찰부재(미도시)가 마련될 수도 있다. 즉, 가압부재(1312)가 대상체(153)를 가압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미끄러지지 않도록, 가압부재(1312)의 단부에 마찰 계수가 높은 마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이에, 가압부재(1312)가 대상체(153)와 접촉한 상태에서 와이어(1320)에 의해 회전하더라도 결합부재(1311)의 파지를 견고하게 유지할 수 있다.
연결시브(1313)는 회전 가능하며 와이어(1320)를 안내할 수 있다. 연결시브(1313)는 결합부재(1311)의 측면에 설치되며, 회전축이 교차방향을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이에, 연결시브(1313)를 통해 와이어(1320)와 결합부재(1311)의 사이에 마찰이 발생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결합부재(1311), 가압부재(1312) 및 연결시브(1313)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와이어(1320)는 일단이 결합부재(1311)와 연결되고, 타단이 후술하는 구동ㄱ기(1330)에 연결될 수 있다. 와이어(1320)는 프레임(1100)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와이어(1320)는 일부가 구동기(1330)의 내부에 감겨 있을 수 있고, 일부가 구동기(1330)에서 연장되어 프레임(1100)의 가대(1123)를 따라 이어지고 결합부재(1311)의 샤클링(1311a)에 결합될 수 있다. 즉, 와이어(1320)는 구동기(1330)의 구동에 의해 풀어지거나 혹은 감겨지며, 연결기(1310)를 이동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1320)는 고온에 강하고 중량물을 견인할 수 있는 철제 와이어가 사용될 수 있다. 하지만, 와이어(132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구동기(1330)는 프레임(1100)에 설치되며, 와이어(1320)를 당겨주거나 혹은 풀어줄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기(1330)는 제2 프레임(1120)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이에, 구동기(1330)가 와이어(1320)를 당겨줄 수 있고, 대상체(153)를 정회전시키며 대상체(153) 하부의 높이를 변경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기(1330)는 회전체(미도시)와 모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체는 교차방향으로 연장되는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회전체는 회전축이 교차방향을 따라 배치되며, 외주면에 와이어(1320)가 감겨있을 수 있다. 모터는 회전체와 동축상에 연결되며 회전체에 구동력을 제공할 수 있다. 즉, 모터에서 발생되는 동력으로 회전체가 회전하며 와이어(1320)를 감거나 혹은 풀어줄 수 있다.
동력시브(1340)는 프레임(1100)에 설치되며, 구동기(1330)에서 연장되는 와이어(1320)를 안내할 수 있다. 여기서, 동력시브(1340)는 단수개 혹은 복수개로 마련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동력시브(1340)가 복수개 마련된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동력시브(1340)는 가대(1123)에 설치되며, 가대(1123)를 따라 연장되는 와이어(1320)를 안내할 수 있다. 이에, 동력시브(1340)가 와이어(1320)와 가대(1123) 사이의 마찰을 방지할 수 있다. 하지만, 동력시브(1340)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조절부(1400)는 전환된 상태인 대상체(153)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와이어 혹은 로프에 의해 매달려 지지되는 물체는 외부에서 충격이 가해질 경우 충격이 가해지는 방향을 따라 흔들릴 수 있다. 즉, 물체가 진자운동을 하게되며 주변 구조물과 충돌할 수 있다. 이에, 와이어(1320) 및 연결기(1310)에 의해 매달려 하부의 높이가 전환된 대상체(153)가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조절부(1400)가 와이어(1320)를 수평방향으로 가압하여 와이어(1320)의 장력, 즉 텐션을 증가시킬 수 있다. 와이어의 장력이 증가하면 와이어(1320)가 상대적으로 더 팽팽하게 인장될 수 있고, 대상체(153)를 정회전하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더 회전시키며 대상체를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또한, 조절부(1400)는 회전판(1222)이 대상체(153)의 제1 영역의 상면을 더 원활하게 받쳐줄 수 있도록, 대상체(153)를 소정 각도 회전시키는 역활을 할 수도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회전판(1222)은 원주방향으로 회전하며, 전환된 상태의 대상체(153)를 지지할 수 있다. 이때, 조절부(1400)가 대상체(153)를 소정 각도 더 회전시킴에 따라, 대상체(153)의 제1 영역의 상면이 지면에 대하여 경사진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판(1222)이 회전하며 제1 영역의 상면과 더 원활하게 접촉하며 대상체(153)를 받쳐줄 수 있다. 이를 위해, 조절부(1400)는 와이어(1320)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는 가압기(1410) 및 실린더(14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압기(1410)는 실린더(1420)와 연결되고, 수평방향, 즉 길이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프레임(1100)에 설치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가압기(1410)는 길이방향 연장부(1122)의 단부에 힌지 결합될 수 있다. 즉, 가압기(1410)는 회전 중심이 길이방향 연장부(1122)의 단부에 고정되고, 일단이 와이어(1320)와 연결되며, 타단이 실린더(1420)에 결합될 수 있다. 이에, 실린더(1420)의 구동에 대응하여, 회전 중심이 제2 프레임(1120)에 고정된 상태로 회전하며 일단이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가압기(1410)의 일단에는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시브(1430)가 마련될 수 있다. 조절시브(1430)는 복수개로 마련되며, 가압기(1410)가 연장되는 방향을 따라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이에, 가압기(1410)는 조절시브(1430)를 통해 와이어(1320)를 안내하면서, 전환된 상태의 대상체(153)의 흔들림을 억제 혹은 방지하기 위해 와이어(1320)를 가압하며 대상체(153)를 고정시킬 수 있다. 하지만, 가압기(1410) 및 조절 시브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실린더(1420)는 가압기(1410)와 힌지 결합되며, 길이방향 연장부(1122)에 설치될 수 있다. 실린더(1420)는 적어도 일부가 길이방향으로 신장수축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실린더(1420)의 이동에 대응하여 가압기(1410)가 길이방향을 따라 전후진 이동하며 와이어(1320)를 가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실린더(1420)는 에어실린더, 유압실린더, 공압실린더를 포함할 수 있다. 하지만, 실린더의 구조와 형상은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할 수 있다.
도 4a는 지지부에 대상체가 안착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b는 연결기를 대상체에 연결한 모습을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c는 대상체를 정회전시키는 모습이고, 도 4d는 전환된 상태의 대상체를 나타내는 도면이고, 도 4e는 대상체를 정회전하는 방향으로 더 회전시키고 대상체를 고정시키는 도면이다. 도 4f는 대상체와 연결기를 분리하고 대상체를 수리하는 도면이다.
도 4a 내지 도 4f를 참조하여, 대상체를 수리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수리 장치(1000)에 대상체(153)가 안착된 상태일 수 있다. 즉, 대상체(153)의 연결샤프트(153c)가 지지몸체(1213a) 및 지지롤러(1213c)의 상면에 안착된 상태일 수 있다. 이때, 대상체(153)가 지지몸체(1213a)에 안착됨에 있어서, 도 3(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체(153)의 무게에 의해 탄성부재(1213b)가 수축되고, 지지몸체(1213a)가 소정 거리 하강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조절부(1400)의 실린더(1420)는 신장된 상태일 수 있고, 가압부재(1312)의 일단이 제1 프레임(1110)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을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연결기(1310)가 하강 이동하며 대상체(153)와 결합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구동기(1330)의 모터를 구동시켜 회전체에 감겨있던 와이어(1320)를 풀어줄 수 있다. 와이어(1320)가 풀리면서 결합부재(1311)를 하강 이동시킬 수 있다. 이후, 결합부재(1311)와 대상체(153)의 제2 영역을 결합시키고, 가압부재(1312)를 회전시켜 대상체(153)를 결합부재(1311)에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c를 참조하면, 모터를 구동시켜 회전체가 와이어(1320)를 감도록 회전시킬 수 있다. 회전체가 와이어(1320)를 감으며 와이어(1320)에 장력을 발생시킬 수 있고, 와이어(1320)가 결합부재(1311)을 당기며 대상체(153)를 회전시킬 수 있다. 도 4c는 대상체가 예컨데 90°정도 정회전한 모습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d를 참조하면, 회전체가 계속 회전하며 와이어(1320)를 감아줄 수 있다. 이에, 와이어(1320)가 감기며 계속 결합부재(1311)를 당겨 대상체(153)를 정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체(153)의 제2 영역을 대상체(153)의 제1 영역보다 높은 높이 배치되도록 대상체(153)를 회전시킬 수 있다. 즉, 대상체(153)의 제1 영역과 제2 영역의 위치가 뒤바뀐 전환된 상태로 위치 변경시킬 수 있다.
이때, 대상체(153)가 정회전함에 있어서,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체(153)의 무게중심이 원상태일 때의 무게중심보다 상대적으로 높게 위치하게 되므로 지지몸체(1213a)가 받는 응력이 상대적으로 증가할 수 있다. 이에, 탄성부재(1213b)가 더 수축되며, 지지몸체(1213a)가 더 하강 이동할 수 있다. 이에, 탄성부재(1213b)가 더 수축하며 지지몸체(1213a)를 더 아래로 이동시킬 수 있고, 연결샤프트(153c)를 삽입구(1212a) 내부로 더 이동시켜 대상체(153)를 더 안정적으로 받쳐줄 수 있다.
도 4d를 참조하면, 조절부(1400)를 통해 와이어(1320)를 가압할 수 있다. 즉, 조절부(1400)로 와이어(1320)를 가압하여 대상체(153)를 정회전하는 방향으로 소정각도 더 회전시킬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실린더(1420)가 수축하며 가압부재(1312)를 수평방향, 즉 길이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가압부재(1312)가 이동하며 와이어(1320)를 길이방향으로 가압할 수 있다. 이에, 와이어(1320)의 장력이 증가하며 와이어(1320)가 상대적으로 더 팽팽하게 인장될 수 있고, 대상체(153)도 함께 정회전하는 방향으로 소정 각도 더 회전할 수 있다. 이에, 와이어(1320)의 장력이 증가함에 따라, 와이어(1320)와 연결된 대상체(153)도 더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이후, 고정대(1220)를 회전시켜 대상체(153)의 제1 영역의 상면을 받쳐줄 수 있다. 즉, 회전판(1222)이 대상체(153)의 제1 영역의 상면과 접촉하게 회전시키고, 회전판(1222)의 단부를 연결링크(1221)와 결합시켜 대상체(153)를 받쳐줄 수 있다. 이에, 대상체(153)는 한쌍의 연결샤프트(153c)가 지지몸체(1213a)에 받쳐지고, 대상체(153)의 제1 영역의 상면이 회전판(1222)에 의해 받쳐져 결합부재(1311)의 파지가 해제되더라도 수리 장치(1000)에 안착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4e를 참조하면, 결합부재(1311)와 대상체(153)의 제2 영역을 결합을 해제시킬 수 있다. 즉, 가압부재(1312)를 역회전시켜 결합부재(1311)의 파지를 해제시킬 수 있다. 이후, 구동기(1330)의 모터를 구동시켜 와이어(1320)를 더 감아줄 수 있고, 결합부재(1311)를 상승 이동시켜 결합부재(1311)를 대상체(153)의 제2 영역과 이격시킬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대상체(153)의 제2 영역에 발생된 고장을 수리할 수 있다. 여기서, 수리 작업은 대상체에서 마모가 발생한 부분을 교체하거나, 마모가 발생한 부분을 납땜하는 등의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수리 작업에는 대상체(153)에서 제2 영역에 배치된 지지기(153b)를 분리하여 대상체(153)의 제1 영역에 배치된 동력기(153a)의 내부 구성들을 교체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도 있다.
대상체(153)를 수리한 후, 결합부재(1311)를 대상체(153)의 제2 영역과 결합시키고, 구동기(1330)를 이용하여 대상체(153)를 역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대상체(153)를 역회전시키는 과정은 대상체(153)를 정회전시키는 과정과 반대로 진행될 수 있다. 이에, 대상체 하부의 높이가 원상태로 바뀔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리 장치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른 수리 장치를 설명한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와 동일한 구조에 관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를 참조하면, 고정대(1220)는 보조연결링크(1223) 및 보조연결링크(1223)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보조회전판(1224)을 포함할 수 있다. 보조연결링크(1223)와 보조회전판(1224)은 연결링크(1221)와 회전판(1222)과 함께 전환된 상태의 대상체(153)를 양측에서 지지할 수 있다. 한편, 지지부(1200)는 대상체(153)와 접촉하는 부분에 대상체(153)와의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는 마찰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마찰부재가 지지부(1200)의 보조회전판(1224)에 마련되는 경우를 예시적으로 설명한다.
보조연결링크(1223)는 제2 안착대몸체(1212)에 설치되며, 보조회전판(1224)을 지지할 수 있다. 보조연결링크(1223)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플레이트 형상일 수 있다. 보조연결링크(1223)는 한쌍으로 마련되며, 한쌍의 제2 안착대몸체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연결링크(1223)에는 상하방향으로 관통된 홀이 형성될 수 있고, 홀에 베어링 볼트가 구비될 수 있다. 보조연결링크(1223)의 베어링 볼트와 후술하는 보조회전판(1224)이 결합될 수 있고. 보조연결링크(1223)에 보조회전판(1224)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될 수 있다. 여기서, 보조연결링크(1223)는 연결링크(1221)보다 길이방향 길이가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보조연결링크(1223)는 연결링크(1221)와 동일한 높이에 설치되며, 연결링크(1221)가 연장된 방향과 반대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전환된 상태에서 대상체(153)는 조절부(1400)에 의해 소정각도 더 회전하며 대상체(153)의 제1 영역의 상면이 지면에 대하여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이에, 보조연결링크(1223)를 연결링크(1221)보다 더 길게 형성하여 보조회전판(1224)을 이용해 전환된 상태의 대상체(153)의 측면을 지지하게 할 수 있다.
보조회전판(1224)은 보조연결링크(1223)에 설치되며, 회전하며 전환된 상태인 대상체(153)의 제1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 즉, 전환된 상태인 대상체(153)의 제1 영역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보조회전판(1224)은 회전판(1222)과 동일한 형상 및 구조로 마련되지만, 길이방향의 길이가 회전판(1222)보다 더 길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상체(153)가 전환된 상태일 때, 회전판(1222)이 대상체(153)의 제1 영역 상면을 지지하고, 보조회전판(1224)이 대상체(153)의 제1 영역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에, 전환된 상태인 대상체(153)가 회전판(1222) 및 보조회전판(1224)을 통해 양측에서 지지되므로, 전환된 상태의 대상체(153)가 지지부(1200)에서 더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다.
한편, 보조회전판(1224)은 대상체(153)와 접촉하는 부분에 마찰부재(미도시)를 구비할 수도 있다. 즉, 보조회전판(1224)은 상면과 연결링크(1221)를 향하는 측면 중 적어도 어느 한면에 마찰부재를 구비할 수 있다. 마찰부재는 보조회전판(1224)과 대상체(153)사이의 마찰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마찰 계수가 높은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보조회전판(1224)과 대상체 접촉시, 마찰부재를 통해 보조회전판(1224)이 대상체(153)를 더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이어서, 다른 실시 예가 적용되는 수리 장치에서 보조회전판이 회전하는 과정을 설명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조절부(1400)에 의해 대상체(153)가 소정 각도 더 회전하면, 회전판(1222)을 회전시켜 전환된 상태인 대상체(153)의 제1 영역 상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어서, 보조회전판(1224)을 회전시켜 전환된 상태인 대상체(153)의 제1 영역의 측면을 지지할 수 있다. 이후, 보조회전판(1224)의 단부를 보조연결링크(1223)에 고정시켜 전환된 상태의 대상체(153)를 양측에서 더욱 견고하게 지지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리 방법을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수리 방법은, 대상체를 수리하는 방법일 수 있다. 수리 방법은 대상체(153)를 마련하는 과정(S110), 대상체(153)의 제1 영역을 지지하는 과정(S120), 제1 영역보다 아래쪽의 제2 영역을 당겨 대상체(153)를 회전시키는 과정(S130), 회전시킨 대상체(153)를 고정시키는 과정(S140) 및 대상체(153)를 수리하는 과정(S15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수리 방법을 설명함에 있어서, 대상체(153)의 제1 영역은 대상체(153)의 상부일 수 있고, 대상체(153)의 제2 영역은 대상체(153)의 하부일 수 있다. 또한, 원상태는 대상체(153)가 회전하지 않은 상태, 즉 제1 영역이 제2 영역보다 높게 배치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전환된 상태는 대상체(153)가 회전한 상태, 즉 제2 영역이 제1 영역보다 위에 위치한 상태일 수 있다. 또한, 정회전은 원상태에서 전환된 상태로 회전하는 것일 수 있고, 역회전은 전환된 상태에서 원상태로 회전하는 것일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수리 방법을 나타내는 플로우차트이다.
도 4a 내지 도 4e 및 도 6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수리 방법을 설명한다.
도 4a를 참조하면, 먼저 대상체(153)를 마련할 수 있다.(S110) 마련한 대상체(153)의 제1 영역을 지지할 수 있다.(S120) 즉, 대상체(153)를 수리 장치(1000)의 안착대(1210)에 안착시킬 수 있다.
도 4b를 참조하면, 구동기(1330)의 모터를 구동시켜 회전체에 감겨있는 와이어(1320)를 풀어줄 수 있다. 와이어(1320)가 풀리며 결합부재(1311)를 하강 이동시킬 수 있다. 하강 이동한 결합부재(1311)로 대상체(153)의 제2 영역을 파지할 수 있다. 즉, 결합부재(1311)에 제2 영역을 삽입하고 가압부재(1312)를 회전시켜 결합부재(1311)와 대상체(153)를 고정시킬 수 있다.
도 4c 및 도 4d를 참조하면, 대상체(153)의 제1 영역보다 아래쪽의 제2 영역을 당겨 대상체(153)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S130) 즉, 제1 영역보다 제2 영역이 위에 위치하도록 대상체(153)를 정회전시킬 수 있다. 이를 위해, 구동기(1330)의 모터를 작동시켜 회전체에 와이어(1320)가 감기도록 회전체를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와이어(1320)가 회전체에 감기며 제2 영역을 위로 당겨줄 수 있다. 즉, 와이어(1320)가 결합부재(1311)에 장력을 인가하여 제2 영역이 제1 영역보다 위에 위치하도록 대상체(153)를 정회전시킬 수 있다.
대상체(153)가 정회전하며 위치가 전환된 상태가 되면, 정회전시킨 대상체(153)를 고정시킬 수 있다.(S140)
도 4e를 참조하면, 가압기(1410)로 전환된 상태의 대상체(153)를 수평방향으로 밀어주며 대상체(153)를 소정 각도 더 회전시킬 수 있다. 이에, 와이어(1320)의 장력, 즉 텐션이 증가할 수 있고, 와이어(1320)가 상대적으로 더 팽팽한 상태가 되도록 더 많은 부하가 걸려있게 될 수 있다. 이후, 회전판(1222)으로 전환된 상태의 대상체(153)의 제1 영역의 상면을 지지할 수 있다.
도 4f를 참조하면, 대상체(153)의 제2 영역의 파지를 해제할 수 있다. 즉, 결합부재(1311)의 파지를 해제하면, 대상체(153)의 제2 영역은 모두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이후, 제2 영역의 외부 혹은 제1 영역의 내부를 수리할 수 있다.
이후, 수리가 끝나면, 전환된 상태의 대상체(153)의 제2 영역을 다시 파지할 수 있다. 이후,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대상체(153)의 제2 영역을 당겨 대상체(153)를 역회전시킬 수 있다. 대상체(153)가 원상태로 배치되면, 결합부재(1311)의 파지를 해제시킬 수 있고, 수리가 완료된 대상체(153)를 안착대(1210)에서 세그먼트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처럼, 대상체를 수리함에 있어서, 대상체의 위치를 전환시켜 대상체를 수리할 수 있다. 이에, 대상체의 하부를 효과적으로 수리할 수 있고, 대상체의 상부 내에 위치한 장비를 꺼내어 효과적으로 수리할 수 있다. 또한, 대상체를 양측에서 지지한 상태로 대상체의 하부의 위치가 바뀌게 하므로, 대상체가 추락하는 사고 및 대상체가 주변 설비와 충돌하여 손상되는 것을 억제 혹은 방지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주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 되며, 아래에 기재될 특허청구범위뿐만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100: 연주기 153: 대상체
1000: 수리 장치 1100: 프레임
1200: 지지부 1300: 동력부
1400: 조절부

Claims (19)

  1. 대상체를 수리하기 위한 장치로서,
    프레임;
    상기 대상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지지부; 및
    상기 대상체와 분리 및 결합 가능하고, 상기 대상체 하부의 위치가 바뀌게 상기 대상체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상기 프레임에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력부;를 포함하는 수리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대상체의 적어도 일부와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는 연결기;
    일단이 상기 연결기에 결합되고, 상기 연결기의 상측으로 연장되는 와이어;
    상기 와이어를 당겨주거나 혹은 풀어줄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의 타단과 연결되는 구동기;를 포함하는 수리 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동력부는, 상기 와이어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와이어와 접촉 가능하고, 상기 프레임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동력시브;를 더 포함하는 수리 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연결기는,
    상기 대상체를 파지할 수 있고, 일면이 개방된 내부공간을 갖으며, 상기 와이어에 연결되는 결합부재;
    상기 내부공간을 향하여 이동 가능하게 상기 결합부재에 설치되는 가압부재;
    상기 와이어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결합부재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연결시브;를 포함하는 수리 장치.
  5.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대상체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안착대; 및
    적어도 일부가 상하방향에 교차하는 교차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며, 상기 안착대에 설치되는 고정대;를 포함하는 수리 장치.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안착대는,
    상하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제1 안착대몸체;
    상면에 내측으로 함몰된 삽입구를 구비하고, 상기 제1 안착대몸체의 상에 설치되는 제2 안착대몸체;
    상기 대상체와 접촉 가능하며, 상기 삽입구 내에서 위치 조절 가능하게 구비되는 지지체;를 포함하는 수리 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지지체는,
    상면이 내측으로 함몰되고, 상기 삽입구에 끼워지는 지지몸체; 및
    상기 삽입구에 구비되고, 상하방향으로 신장수축 가능하며, 상기 지지몸체와 연결되는 탄성부재; 및
    상기 지지몸체의 상기 대상체와 접촉하는 면에 배치되는 회전 가능한 복수의 지지롤러;를 포함하는 수리 장치.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상기 제1 안착대몸체에 설치되는 연결링크; 및
    상기 교차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대상체를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연결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회전판;을 포함하는 수리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대는,
    상기 제1 안착대몸체에 설치되고, 상기 연결링크의 연장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연장되는 보조연결링크; 및
    상기 교차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보조연결링크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보조회전판;을 더 포함하는 수리 장치.
  10.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9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와 상기 동력부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상기 대상체와 접촉하는 부분에 마찰부재;를 구비하는 수리 장치.
  11.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와이어와 연결되고, 위치가 전환된 상기 대상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상기 프레임에 설치되는 조절부;를 포함하는 수리 장치.
  12.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와이어의 장력을 증가시킬 수 있도록, 수평방향을 따라 이동 가능한 가압부재; 및
    신장 수축 가능하고, 상기 가압부재와 연결되는 실린더;를 포함하는 수리 장치.
  13. 청구항 11에 있어서,
    상기 조절부는,
    상기 와이어를 안내할 수 있도록, 상기 가압부재의 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되는 조절시브;를 더 포함하는 수리 장치.
  14. 대상체를 마련하는 과정;
    상기 대상체의 제1 영역을 지지하는 과정;
    상기 제1 영역보다 아래쪽의 제2 영역을 당겨 상기 대상체를 일방향으로 회전시키는 과정;
    회전시킨 상기 대상체를 고정시키는 과정; 및
    상기 대상체를 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수리 방법.
  15.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를 회전시키는 과정은,
    상기 대상체의 상기 제2 영역의 단부를 파지하는 과정; 및
    상기 제2 영역의 단부와 연결된 와이어를 위로 당겨 상기 대상체를 정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수리 방법.
  16.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를 고정시키는 과정은,
    회전되어 위치가 전환된 대상체를 수평방향으로 밀어주는 과정;
    전환된 상태의 대상체의 제1 영역의 단부를 지지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수리 방법.
  17. 청구항 14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를 수리하는 과정은,
    상기 대상체의 파지를 해제하는 과정;
    전환된 상태의 대상체를 지지하면서 상기 대상체의 제2 영역을 수리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수리 방법.
  18. 청구항 17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를 수리하는 과정 후에,
    전환된 상태의 상기 대상체의 제2 영역을 파지하는 과정;
    상기 일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상기 대상체의 제2 영역의 단부를 당겨 역회전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수리 방법.
  19. 청구항 14 내지 청구항 18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체는, 연주기에 구비되는 세그먼트의 스크류 잭을 포함하는 수리 방법.


KR1020200039907A 2020-04-01 2020-04-01 수리 장치 및 수리 방법 KR1024215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907A KR102421502B1 (ko) 2020-04-01 2020-04-01 수리 장치 및 수리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9907A KR102421502B1 (ko) 2020-04-01 2020-04-01 수리 장치 및 수리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22579A true KR20210122579A (ko) 2021-10-12
KR102421502B1 KR102421502B1 (ko) 2022-07-15

Family

ID=780786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9907A KR102421502B1 (ko) 2020-04-01 2020-04-01 수리 장치 및 수리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502B1 (ko)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6615A (ko) * 1995-11-13 1997-06-24 우덕창 중장비 엔진의 정비 장치
KR19980077305A (ko) 1997-04-18 1998-11-16 김정국 원통형 중량물 틸팅(tilting)장치
KR101254124B1 (ko) * 2011-11-21 2013-04-12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반전장치
KR101334339B1 (ko) * 2012-06-19 2013-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
KR101435460B1 (ko) * 2014-02-07 2014-08-28 포스마텍 주식회사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회전장치
KR101779795B1 (ko) * 2017-01-03 2017-09-19 주식회사 제이피티 나선형 열교환기의 자동용접장치 및 자동용접방법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970026615A (ko) * 1995-11-13 1997-06-24 우덕창 중장비 엔진의 정비 장치
KR19980077305A (ko) 1997-04-18 1998-11-16 김정국 원통형 중량물 틸팅(tilting)장치
KR101254124B1 (ko) * 2011-11-21 2013-04-12 주식회사 포스코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반전장치
KR101334339B1 (ko) * 2012-06-19 2013-11-28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풍력발전기용 블레이드 그립핑 장치
KR101435460B1 (ko) * 2014-02-07 2014-08-28 포스마텍 주식회사 연속주조용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회전장치
KR101779795B1 (ko) * 2017-01-03 2017-09-19 주식회사 제이피티 나선형 열교환기의 자동용접장치 및 자동용접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502B1 (ko) 2022-07-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76851B1 (ko) 갠트리 크레인장치
WO2013179549A1 (ja) 斜ケーブルの取り替え方法及び斜ケーブル取り替え用仮ハンガー
US10246285B2 (en) Web roll handling and loading system
JP7092706B2 (ja) ロボットのメンテナンス装置およびロボットのメンテナンス方法
KR102421502B1 (ko) 수리 장치 및 수리 방법
KR101066577B1 (ko) 대형 임펠러의 분해 및 조립용 지지장치
TWI602769B (zh) Stacker crane
KR101376310B1 (ko) 권취드럼용 대차
KR101254124B1 (ko) 연속주조기 세그먼트 상부프레임 반전장치
KR200402250Y1 (ko) 크레인용 인양물의 무게중심 조정장치
JPH1192076A (ja) クレーン用玉掛けワイヤロープのスプレッダ装置
KR101812202B1 (ko) 수직이동 용접장치
KR200455417Y1 (ko) 기계실의 장비 이동 장치
US3847429A (en) Balance bar for handling wrapper rolls of a strip coiling machine
WO2009157542A1 (ja) 成形装置
JP7100899B2 (ja) セントルにおける天フォームの移動装置
JP2010089474A (ja) ブラダー反転装置およびそれを用いたブラダーのタイヤ加硫装置への取付け方法
SA07280730B1 (ar) رافعة لتراص كتل الكربون
CN104627772A (zh) 防坠提升机
JP4884937B2 (ja) 昇降機構における直動ベアリングの支持構造
JP6525910B2 (ja) ブレーキ装置
CN211198023U (zh) 一种放卷机气动上卷装置
CN215623370U (zh) 一种料框
CN220245321U (zh) 龙门吊
KR102492833B1 (ko) 이송대차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