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9247A -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9247A
KR20210109247A KR1020200024269A KR20200024269A KR20210109247A KR 20210109247 A KR20210109247 A KR 20210109247A KR 1020200024269 A KR1020200024269 A KR 1020200024269A KR 20200024269 A KR20200024269 A KR 20200024269A KR 20210109247 A KR20210109247 A KR 2021010924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ireless power
power transmission
induction heating
eccentricity
mod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42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재우
성호재
김의성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242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109247A/ko
Priority to EP21159370.2A priority patent/EP3872961A1/en
Priority to US17/185,626 priority patent/US20210274604A1/en
Publication of KR2021010924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924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06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 H05B6/062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 H05B6/065Control, e.g. of temperature, of power for cooking plates or the like using coordinated control of multiple induction coil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9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detection or optimisation of position, e.g. alignment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1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 H02J50/12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using inductive coupling of the resonant type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6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responsive to the presence of foreign objects, e.g. detection of living being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SUPPLYING OR DISTRIBUTING ELECTRIC POWER; SYSTEMS FOR STORING ELECTRIC ENERGY
    • H02J50/0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J50/80Circuit arrangements or systems for wireless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involving the exchange of data, concerning supply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between transmitting devices and receiv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10Induction heating apparatus, other than furnaces, for specific applications
    • H05B6/12Cooking devices
    • H05B6/1209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 H05B6/1236Cooking devices induction cooking plates or the like and devices to be used in combination with them adapted to induce current in a coil to supply power to a device and electrical heating devices powered in this w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6/00Heating by electric, magnetic or electromagnetic fields
    • H05B6/02Induction heating
    • H05B6/36Coil arrangements
    • H05B6/44Coil arrangements having more than one coil or coil segment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43/00Implements for preparing or holding food, not provided for in other groups of this subclass
    • A47J43/04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 A47J43/046Machines for domestic use not covered elsewhere, e.g. for grinding, mixing, stirring, kneading, emulsifying, whipping or beating foodstuffs, e.g. power-driven with tools driven from the bottom sid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2213/00Aspects relating both to resistive heating and to induction heating, covered by H05B3/00 and H05B6/00
    • H05B2213/05Heating plates with pan detection mea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B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BUILDINGS, e.g. HOUSING, HOUSE APPLIANCES OR RELATED END-USER APPLICATIONS
    • Y02B40/00Technologies aiming at improving the efficiency of home appliances, e.g. induction cooking or efficient technologies for refrigerators, freezers or dish wash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Induction Heating Cooking Devices (AREA)
  • Charge And Discharge Circuits For Batteries Or The Like (AREA)

Abstract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모드를 변경하며 상기 모드에 따라 대상물을 유도 가열하거나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워킹 코일; 동작 주파수에 따라 온오프되어 상기 전력을 생성하는 인버터; 상기 사용자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면서 상기 대상물의 수신 코일과 상기 워킹 코일 사이의 편심량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량에 따라 상기 동작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따라서, 하나의 워킹 코일을 사용하는 다기능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모드 또는 유도 가열 모드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면서도, 무선 전력 전송 모드에서도 대상물의 편심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보완하여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capable of induction heating and the control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에 대한 것이다.
무선 충전이란 전선으로 전력을 전송하여 기기를 충전하는 방식 대신 전력을 대기를 통해 무선으로 전송하여 기기를 충전하는 방식이다.
무선 충전의 기본 원리는 송신 코일에 교류 전류를 흘리면 송신 코일 주변에 자기장이 형성되고, 이 자기장의 영향으로 수신기 코일에 교류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러한 교류 전류를 정류해서 배터리를 충전하게 된다.
한편, 주방에서 사용되는 다양한 소형 주방 기기, 즉 소물 가전들은 전력 공급이 필수적으로 요구되므로, 전자 기기들이 각각 개별적으로 구비하는 전기 코드(전원 연결 케이블)를 콘센트에 연결하여 전력을 공급받는다. 이 경우에, 다수의 전기 코드는 관리, 안전, 공간 활용 측면에서 부정적인 영향을 끼치는 문제점이 있었다.
따라서, 최근 주방에서 사용하는 소물 가전들에 대한 무선 전력 충전 수요가 급증하고 있다.
한편, 주방에서 사용하는 소물 가전들 중 유도 전류를 이용한 가열이 요구되는 장치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유도 전류를 이용한 가열 장치는 자기장을 발생시켜 전자 유도를 통해 열을 가하는 인덕션 방식을 취하고 있으며, 전기 레인지와 동일하게 동작할 수 있다.
즉, 일반적인 전자 유도 가열장치는 내부에 구비된 워킹 코일(Working Coil) 또는 가열 코일에 고주파의 전류를 흐르게 한다.
워킹 코일 또는 가열 코일에 고주파의 전류가 흐르면 강력한 자력선이 발생하게 된다. 워킹 코일 또는 가열 코일에서 발생한 자력선은 조리기기를 통과할 때 와류전류(Eddy Current)를 형성하게 된다. 따라서, 조리기기에 와류전류가 흐름에 따라 열이 생성되어 용기 자체를 가열시키고, 용기가 가열됨에 따라 용기 안의 내용물을 가열시킨다.
이와 같은 유도 가열 가열장치는 한국공개번호 10-2016-0123672 등에 상세히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주방에서 사용하는 소물 가전에 따라 유도 가열을 수행하거나, 무선 충전을 수행할 수 있는 다기능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요구가 계속되고 있다.
다기능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경우,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하나의 워킹 코일 또는 가열 코일을 이용하여 주파수를 변경함으로써 유도 가열을 수행하거나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다기능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대상 소물 가전에 유도 가열을 수행하거나, 무선 전력 전송을 하는 경우에는 대상 소물 가전의 수신 코일과 워킹 코일의정렬을 요구한다.
즉,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는 두 코일 사이에 정렬이 이루어지지 않고, 편심되는 경우에 전력 전송 효율이 현저하게 저하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무선 전력 전송에서의 편심을 판단하고 이를 알람하거나 보완하기 위한 기술이 제시되었다.
일 예로, 한국 등록 특허 17-6449681 호는 무선전력전송을 통해 차량용 배터리 충전 시스템을 개시하고 있으며, 수신측 충전 상태 정보를 받아, 레퍼런스 크기보다 작으면, 수신측 코일을 움직여, 정렬 상태를 조절하여 정심 상태로 맞추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그러나, 이와 같은 종래 기술의 경우, 정렬을 위해 수신측 코일의 변경이 필수적으로 요구된다. 그러나, 소물 가전의 무선전력 전송의 경우, 사용자에게 송/수신 코일의 상태를 정심에 맞추도록 계속 알람을 해 주어야 하며, 정렬 상태를 맞추는 것이 무선 소물 가전의 사용 편리성을 저해하는 요소가 될 수 있다.
한편, 미국 등록 특허 US 8912686 호는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송/수신 코일의 정렬 상태가 벗어날 경우, DC 전류를 흘려 수신측 자석 성분의 기구물이 송신 코일에 자동 정렬되도록 하는 내용이 개시되어 있다.
이와 같이 수신 코일에 자석 성분을 포함하면, 금속성 이물질이 함께 붙어 무선 전력 전송 시 발생하는 자기장에 의해 발화 또는 발연의 위험이 있다.
또한, 대상물과 워킹 코일 사이에 이물질이 있는지 여부 역시 각 단계에서 감지하고 이에 대하여 알람하여 이물질 제거 후 전력 전송할 것이 요구된다.
이물질이 존재하는 경우, 전력 전송 저하의 문제가 있으며, 이물질의 재질에 따라 발화 등의 위험이 내재되어 있다.
이를 위해 미국 특허 US 2019-0123589 호는 별도의 스너버 회로를 포함하고 있으며, 이를 통해 전류 감소를 통해 이물질의 여부를 감지하게 되는 기술이 개시되어 있다.
또한, 한국 공개 특허 KR 2013-0018183 호는 무선 전력 전송 전에 송신부에서 초기 전력을 측정하고, 기존의 이물질이 존재하지 않을 때의 기준 전력과 비교하여 이물질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게 된다.
그러나, US 2019-0123589 호는 이물질 확인을 위해 스너버 회로가 추가로 필요하고, 이를 위한 스위치 제어 및 방열 구조를 필요로 한다. 따라서, 공간 및 비용이 추가될 수 있다.
또한, KR 2013-0018183 호의 경우, 초기 전송 전력과 기준 전력을 비교하게 되어 전력 전송 중의 이물질 여부는 판단할 수 없으며, 이물질과 편심 여부를 동시 판단할 수 없어 편심도에 대한 검토는 이루어지지 않는다.
한국 등록 특허 17-6449681 호 (등록일: 2017년 17월 27일) 미국 등록 특허 US 8912686 호 (등록일: 2014년 12월 16일) 미국 등록 특허 US 2019-0123589 호 (공개일: 2019년 04월 25일) 한국 공개 특허 2014-01004242 호 (공개일 : 2014년 08월 28일)
본 발명의 제1 과제는 하나의 워킹 코일을 사용하는 다기능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일 때, 대상물이 되는 소물 가전의 편심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보완하여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사용자의 모드 선택이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인 경우에 올려져 있는 대상 소물 가전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편심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전력 전송하면서 편심 여부에 대한 보상을 수행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2 과제이다.
이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 모드가 선택될 때에 대상물이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일 경우, 해당 수신 코일과 송신측의 워킹 코일 사이에 과편심이 일어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 하면서 사용자에게 알람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3 과제이다.
또한, 편심 정도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때, 한국 등록 특허 17-6449681 호나 미국 등록 특허 US 8912686 호와 같이 대상물의 위치를 변경하여 편심을 보상하지 않고, 주파수 스윕의 시작주파수를 제어하거나, 스윕 간격을 제어하여 편심도가 반영된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함으로써, 물리적인 위험성 없이 전력 전송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4 과제이다.
이때, 미국 등록 특허 US 2019-0123589 호와 한국 공개 특허 2014-01004242 호와 같이 대상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지 않고, 무선 전력 전송 중에 편심 판단과 함께 이물질이 있는지 여부도 판단함으로써 사용자 알람을 진행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본 발명의 제5 과제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사용자 선택에 따라 모드를 변경하며 상기 모드에 따라 대상물을 유도 가열하거나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워킹 코일; 동작 주파수에 따라 온오프되어 상기 전력을 생성하는 인버터; 상기 사용자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면서 상기 대상물의 수신 코일과 상기 워킹 코일 사이의 편심량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량에 따라 상기 동작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을 진행하는 정상 모드 이전에 상기 준비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준비 구간에서 상기 대상물이 상기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상기 대상물이 올려지는 상부 글라스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모드 선택을 유도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제1 동작 주파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면서, 상기 대상물로부터 요청 파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워킹 코일의 입력 전력을 연산할 수 있다.
상기 제1 동작 주파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할 때, 상기 워킹 코일에서, 소정 크기의 대기 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심량에 대하여 상기 인버터의 동작 주파수에 따른 상기 워킹 코일의 입력 전력, 및 공진 전류에 대한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저장되어 있는 정심의 데이터와 계산된 입력 전력을 비교하여 정심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정심이 아닌 경우, 편심에 대한 데이터 중 상기 동작 주파수에 대한 공진 전류 및 입력 전력의 값이 일치하는 편심량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현재 데이터와 편심에 대한 저장된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물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편심량이 클수록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동작 주파수를 낮추어 무선 전력 전송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선택에 따라 모드를 변경하며 상기 모드에 따라 대상물을 유도 가열하거나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 정보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대상물을 감지하여 상기 대상물이 수신코일이 있는 소물가전인지 판단하는 준비 단계; 및 상기 대상물에 소정의 동작 주파수로 인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면서 상기 대상물의 수신 코일과 상기 워킹 코일 사이의 편심량을 산출하여 상기 편심량에 따라 상기 동작 주파수를 제어하는 정상 동작 모드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준비 단계에서 상기 대상물이 입력 전류 또는 공진 전류를 통해 상기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정상 동작 모드 단계는 상기 동작 주파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면서, 상기 대상물로부터 요청 파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파워에 대응하여 상기 워킹 코일의 입력 전력을 연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동작 주파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할 때, 상기 워킹 코일에서 소정 크기의 대기 전압을 유지할 수 있다.
상기 편심량에 대하여 상기 인버터의 동작 주파수에 따른 상기 워킹 코일의 입력 전력, 및 공진 전류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편심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편심량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중 정심의 데이터와 계산된 입력 전력을 비교하여 정심인지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편심량을 판단하는 단계는, 정심이 아닌 경우, 편심에 대한 데이터 중 상기 동작 주파수에 대한 공진 전류 및 입력 전력의 값이 현재 데이터와 일치하는 편심량이 있는지 판단할 수 있다.
현재 데이터와 편심에 대한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물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상기 편심량이 클수록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상기 동작 주파수를 낮추어 무선 전력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정심 및 편심에 대한 데이터는 룩업테이블로부터 읽어들여 현재 데이터와 비교할 수 있다.
상기 해결 수단을 통해, 하나의 워킹 코일을 사용하는 다기능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있어서, 무선 전력 전송 모드 또는 유도 가열 모드를 선택적으로 구동하면서도, 무선 전력 전송 모드에서도 대상물의 편심 여부를 판단하여 이를 보완하여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의 모드 선택이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인 경우에 올려져 있는 대상 소물 가전으로부터 정보를 수신하지 않더라도, 편심 여부를 판단함으로써 전력 전송 전에 편심 여부에 대한 보상을 수행가능하다.
이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 모드가 선택될 때에 대상물이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일 경우, 해당 수신 코일과 송신측의 워킹 코일 사이에 과편심이 일어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 중에 사용자에게 알람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때, 편심 판단과 함께 이물질이 있는지 여부도 판단함으로써 사용자 알람을 함께 진행할 수 있다.
그리고, 편심 정도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때, 주파수 스윕의 시작주파수를 제어하거나, 스윕 간격을 제어하여 편심도가 반영된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함으로써 전력 전송의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상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무선 전력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측 대상물의 구성도이다.
도 6은 수신 코일과 워킹 코일 사이의 정렬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개략적인 모드 순서도이다.
도 8은 도 5의 순서도에 대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상태도이다.
도 9는 전력 전송 중의 편심 및 이물질 판단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다.
도 10은 편심에 따른 보상 방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F)/후(R)/좌(Le)/우(Ri)/상(U)/하(D)”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도면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구성요소 앞에 ‘제1, 제2' 등의 표현이 붙는 용어 사용은, 지칭하는 구성요소의 혼동을 피하기 위한 것일 뿐, 구성요소 들 사이의 순서, 중요도 또는 주종관계 등과는 무관하다. 예를 들면, 제1 구성요소 없이 제2 구성요소 만을 포함하는 발명도 구현 가능하다.
도면에서 각 구성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또는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와 면적은 실제크기나 면적을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조를 설명하는 과정에서 언급하는 각도와 방향은 도면에 기재된 것을 기준으로 한다. 명세서에서 구조에 대한 설명에서, 각도에 대한 기준점과 위치관계를 명확히 언급하지 않은 경우, 관련 도면을 참조하도록 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4를 참고하여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상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무선 전력 전송을 설명하기 위한 회로도이다.
도 1 및 도 2를 참고하면,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상부에 대상물(1)이 위치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상부에 위치하고 있는 대상물(1)을 가열시키거나,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상물(1)은 수신 코일(15)을 가지는 소물 가전, 수신 코일(15)을 가지지 않는 소물 가전, 전자 제품이 아닌 일반적인 가열 가능한 조리 용기 또는 이물질일 수 있다.
수신 코일(15)을 가지는 소물 가전은 무선전력 전송 장치(1)를 통해 수신 코일(15)로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해당 전력을 동력으로 주된 동작할 수 있는 것으로, 일 예로, 무선 블랜더, 또는 무선 오븐토스터 등일 수 있다.
수신 코일(15)을 가지지 않는 소물 가전은 무선전력 전송 장치(10)의 워킹 코일(12), 즉 송신 코일이 자기장을 발생하여 해당 소물 가전을 직접 가열하는 가전기기로서, 일반적인 조리 용기라고 볼 수 없는 전자 제품을 의미한다. 일 예로, 무선 전기 포트 또는 무선 밥솥일 수 있으며, 이와 같은 수신 코일(15)을 가지지 않는 소물 가전은 주된 동작을 수행하는 영역, 즉 열을 받아 기능하는 영역 이외의 영역에서 구동 전력을 요하는 모듈부로의 전원 공급을 위한 픽업 코일이 존재한다. 이와 같은 픽업 코일은 송신 코일인 워킹 코일(12)과 대응하는 영역에 빗겨 존재할 수 있으며, 모듈부, 일 예로 통신모듈, 인터페이스, 디스플레이 등과 같은 제어 모듈부에 무선 전력 전송을 수신하여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한편, 일반적인 조리 용기로는, 워킹 코일(12)로부터 발생하는 자기장(20)에 의해 가열될 수 있는 자기장(20)이 통과가능한 전기 저항 성분이 포함되어 있는 용기를 의미한다. 조리 용기의 재질에 전기 저항 성분이 포함된 경우 자기장(20)은 조리 용기에 와류 전류를 발생 시킨다. 와류 전류는 조리 용기 자체를 발열시키고, 이 열은 전도되어 조리 용기의 내부까지 전달된다. 이에 따라, 조리 용기의 내용물이 조리될 수 있다.
한편, 이물질이 대상물(1)의 위치에 놓여지는 경우, 이물질은 무선 전력 전송을 방해할 수 있는 전기 저항 성분이 있는 물질로 이루어진 편으로서, 숟가락 또는 젓가락 등과 같은 철 바(Iron bar)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자 유도 가열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고, 또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로서 기능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하나의 워킹 코일(12)에 대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일반적인 가열 용기를 가열하는 유도 가열 모드로 기능할 수 있고, 수신 코일(15)이 있거나 수신 코일(15)이 없는 소물 가전에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기능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다기능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도 2와 같이 상판 글래스(11), 워킹 코일(12)을 적어도 하나 이상을 포함하는 케이싱(도시하지 않음)을 포함할 수 있다. 먼저,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요소를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상판 글래스(11)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내부를 보호하고, 대상물(1)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구체적으로, 상판 글래스(11)는 여러 광물질을 합성한 세라믹 재질의 강화 유리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내부를 외부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상판 글래스(11)는 상부에 위치한 대상물(1)을 지지할 수 있다. 따라서, 상판 글래스(11)의 상부에는 대상물(1)이 위치할 수 있다.
워킹 코일(12)은 대상물(1)의 종류 및 사용자의 모드 선택에 따라 대상물(1)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거나, 가열을 위한 자기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하며, 설계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워킹 코일(12)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각 코일(12)에 따라 대상물(1)을 배치할 수 있는 영역이 결정될 수 있다.
상판 글래스(11)의 일 측에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모드를 결정할 수 있는 사용자 입력부(도시하지 않음)가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워킹 코일(12)은 상판 글래스(11)의 하부에 위치할 수 있다. 워킹 코일(12)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전원 온/오프에 따라 전류가 흐르거나 흐르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워킹 코일(12)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에도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모드 및 출력에 따라 워킹 코일(12)에 흐르는 전류의 양은 달라질 수 있다.
워킹 코일(12)에 전류가 흐르는 경우 워킹 코일(12)은 자기장(20)을 발생시킬 수 있다. 워킹 코일(12)에 흐르는 전류가 많을수록 자기장(20)은 많이 발생한다.
한편, 워킹 코일(12)에서 발생하는 자기장(20)의 방향은 워킹 코일(12)을 흐르는 전류의 방향에 의해 결정된다. 그러므로 워킹 코일(12)에 교류를 흘리게 되면 자기장(20)의 방향은 교류의 주파수만큼 변환된다. 예를 들어, 워킹 코일(12)에 60Hz의 교류를 흘리면 자기장의 방향이 1초에 60번 변환하게 된다.
케이싱 내에 사용자 입력부 및 워킹 코일(12)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상용 전원으로부터 전압 및 전류를 수신하고 이를 변환하여 사용자 입력에 따라 워킹 코일(12)에 전력을 공급하는 구동 모듈(도시하지 않음)이 배치되어 있다.
이와 같은 구동 모듈은 하나의 인쇄회로기판 위에 실장되는 복수의 칩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일체화된 하나의 칩으로 구현가능하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내부에 페라이트(13)을 포함하여 내부의 구동 모듈을 보호할 수 있다.
즉, 페라이트(13)는 워킹 코일(12)에서 발생한 자기장 또는 외부에서 발생한 전자기장이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내부의 구동 모듈에 미치는 영향을 차단하는 차폐 역할을 한다.
이를 위해, 페라이트(13)는 투자율(permeability)이 매우 높은 물질로 형성될 수 있다. 페라이트(13)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내부로 유입되는 자기장이 방사되지 않고, 페라이트(13)를 통해 흐르도록 유도하는 역할을 한다.
도 1 및 도 2에서는 적어도 1개의 워킹 코일(12)을 포함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를 개시하고 있으며, 일반적으로 가정에서는 2개 내지 4개의 워킹 코일(12)을 포함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워킹 코일(12)의 코일 크기는 서로 상이하게 형성될 수 있으며, 각각의 코일(12)은 구동 모듈의 제어에 따라 인버터 구동하여 특정 주파수의 전류를 흘림으로써 유도 가열 모드일 때에는 사용자가 선택하는 화력 레벨에 해당하는 목표 전력을 발생하여 그에 해당하는 열을 발생할 수 있다.
또한, 무선 전력 전송 모드일 때에는 구동 모듈의 제어에 따라 인버터 구동하여 다른 크기의 주파수의 전류를 흘림으로써 소물 가전으로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이를 위해 각각의 워킹 코일(12)은 구동 모듈 내에서 각각의 인버터와 연결되도록 구현 가능하며, 복수개의 워킹 코일(12)이 스위치에 의해 직병렬로 연결되어 하나의 인버터에 연결되도록 구현도 가능하다.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해당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가 유도 가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에는 소정 주파수의 전류에 의해 자기장을 발생하여 상판 글라스(11) 위에 올려진 가열 용기에 통과시킨다.
이때, 조리용기의 재질에 전기 저항 성분이 포함된 경우 자기장은 조리 용기에 와류 전류를 발생 시킨다. 와류 전류는 조리 용기 자체를 발열시키고, 이 열은 전도되어 조리용기의 내부까지 전달된다. 이에 따라, 조리 용기의 내용물이 조리되는 방식으로 유도 가열 모드가 진행된다.
페라이트(13)에 의해 워킹 코일(12)(12)에서 발생한 자기장(20)이 이동하는 모습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다.
이와 같은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가 유도 가열 모드로 동작할 때의 회로도를 참고하면, 도 3과 같은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은 한 개의 인버터(140) 및 한 개의 워킹 코일(12)(이하에서는 150으로 명명함)을 포함하는 경우 전자 유도 가열 모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회로도를 나타낸 것이다. 전자 유도 가열 모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정류부(120), DC 링크 커패시터(130), 인버터(140), 워킹 코일(12)(150) 및 공진 커패시터(160)를 포함한다.
외부 전원(110)은 AC(Alternation Current) 입력 전원일 수 있다. 외부 전원(110)은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로 교류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외부 전원(110)은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의 정류부(120)로 교류 전압을 공급할 수 있다.
정류부(120, Rectifier)는 교류를 직류로 변환하기 위한 전기적 회로로서, 정류부(120)는 외부 전원(110)을 통해 공급되는 교류 전압을 직류 전압으로 변환한다. 이때, 정류부(120)를 통해 출력되는 DC 양단을 DC 링크라고 한다. DC 양단에서 측정 되는 전압을 DC 링크 전압이라고 한다. 공진 곡선이 동일한 경우 DC 링크 전압에 따라 출력 전력이 달라질 수 있다. DC 링크 커패시터(130)는 외부 전원(110)과 인버터(140) 사이의 버퍼 역할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DC 링크 커패시터(130)는 정류부(120)를 통해 변환된 DC 링크 전압을 유지시켜 인버터(140)까지 공급한다.
인버터(140)는 워킹 코일(12)(150)에 고주파의 전류가 흐르도록 워킹 코일(12)(150)에 인가되는 전압을 스위칭한다. 인버터(140)는 일반적으로 IGBT(Insulated Gate Bipolar Transistor)로 이루어진 스위칭 소자를 구동시킴으로써 워킹 코일(12)(150)에 고주파의 전류가 흐르게 하고, 이에 따라 워킹 코일(12)(150)에 고주파 자계가 형성된다.
워킹 코일(12)(150)은 스위칭 소자의 구동 여부에 따라 전류가 흐르거나 전류가 흐르지 않을 수 있다. 워킹 코일(12)(150)에 전류가 흐르면 자기장이 발생한다. 워킹 코일(12)(150)은 전류가 흐름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켜 조리 용기를 가열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전자 유도 가열 모드에서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워킹 코일(12)(150)을 전자기 유도에 이용하여 조리 용기를 가열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무선전력 전송 모드로 기능하는 경우, 유도 가열에 이용되는 워킹 코일(12)(150)을 무선 전력 전송(WPT, Wireless Power Transfer)에 동일하게 이용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이란 전선 없이 전력을 전송할 수 있는 기술을 의미한다. 현 재, 주로 무선 전력 전송에 활용되는 방식으로는 자기유도(MI) 방식, 자기공진(MR) 방식이 있다. 각각의 방식을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자기유도 방식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간의 자기유도 현상을 이용하는 것이다. 구체적으로, 1차(송신) 코일에 전류가 주입되면 자기장이 발생할 수 있다. 2차(수신) 코일은 1차 코일에서 발생한 자기장에 의해 유도 전류가 발생한다. 2차 코일에서 발생한 유도 전류는 배터리를 충전시킬 수 있다. 자기 유도 방식에 따라 발생하는 자기장은 약하기 때문에, 1차 코일과 2차 코일은 매우 근접한 위치에 있어야 충전이 가능하다.
자기공진(자기공명) 방식은 1차 코일과 2차 코일이 같은 주파수를 사용하여 전력을 주고 받는 방식이다. 즉, 1차 코일에서 공진 주파수로 진동하는 자기장을 생성하면, 2차 코일은 1차 코일에서 생성된 자기장과 동일한 공진 주파수로 설계되어 에너지를 수신할 수 있다. 이 경우, 비교적 원거리에서도 충전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코일을 유도 가열 모드에서 사용되는 워킹 코일(12)로 사용함으로써 동일한 구조를 이용하여 사용자 모드 선택에 따라 해당 기능을 선택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다시, 도 3을 참조하면, 워킹 코일(12)(150)의 일측은 인버터(140)의 스위칭 소자의 접속점에 연결되어 있고, 다른 일측은 공진 커패시터(160)에 연결된다. 스위칭 소자의 구동은 제어부(190)(미도시)에 의해서 이루어지며, 제어부(190)에서 출력되는 스위칭 시간에 제어되어 스위칭 소자가 서로 교호로 동작하면서 워킹 코일(12)(150)로 고주파의 전압을 인가한다. 그리고, 제어부(190)로터 인가되는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시간은 점차 보상되는 형태로 제어되기 때문에 워킹 코일(12)(150)에 공급되는 전압은 저전압에서 고전압으로 변한다.
제어부(190)(미도시)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한다. 즉, 제어부(190)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를 구성하는 각각의 구성 요소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공진 커패시터(160)는 완충기 역할을 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공진 커패시터(160)는 스위칭 소자의 턴오프 동안 포화 전압 상승 비율을 조절하여, 턴오프 시간 동안 에너지 손실에 영향을 준다. 공진 커패시터(160)는 정류부(120)로부터 전압이 출력되는 DC 양단과 워킹 코일(12)(150) 사이에 직렬 연결된 복수의 커패시터(160a, 160b)를 포함할 수 있다. 공진 커패시터(160)는 제1 공진 커패시터(160a)와 제2 공진 커패시터(160b)로 구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공진 커패시터(160a)는 일단이 정류부(120)로부터 전압이 출력되는 일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2 공진 커패시터(160b)와 워킹 코일(12)(150)의 접속점에 연결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공진 커패시터(160b)는 일단이 정 류부(120)로부터 저압이 출력되는 타단과 연결되고, 타단이 제1 공진 커패시터(160a)와 워킹 코일(12)(150)의 접속점에 연결될 수 있다.
제1 공진 커패시터(160a)의 커패시턴스와 제2 공진 커패시터(160b)의 커패시턴스는 동일하다.
한편, 공진 커패시터(160)의 커패시턴스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공진 주파수(resonance frequency)를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은 회로도로 구성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공진 주파수는 워킹 코일(12)(150)의 인덕턴스(inductance)와 공진 커패시터(160)의 커패시턴스(capacitance)에 의해 결정된다. 또한, 워킹 코일(12)(150)의 인덕턴스와 공진 커패시터(160)의 커패시턴스에 의해 결정된 공진 주파수를 중심으로 공진 곡선이 형성될 수 있다. 공진 곡선은 주파수에 따른 출력 전력을 나타낼 수 있다.
다기능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에 포함된 워킹 코일(12)(150)의 인덕턴스 값과 공진 커패시터(160)의 커패시턴스 값에 따라 Q 팩터(quality factor)가 결정된다. Q 팩터에 따라 공진 곡선은 상이하게 형성된다. 최대 전력을 출력하는 주파수를 공진 주파수(f0)라 하며,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공진 곡선의 공진 주파수(f0)를 기준으로 오른쪽 영역의 주파수를 이용한다. 따라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주파수를 감소시켜 화력 단계를 낮추고, 주파수를 증가시켜 화력 단계를 높일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이와 같이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출력 전력을 조절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제1 주파수부터 제2 주파수의 범위에 해당하는 주파수를 이용할 수 있다. 즉,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제1 주파수부터 제2 주파수의 범위에 포함된 어느 하나의 주파수로 변경하여, 화력을 조절할 수 있다.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에서 제어 가능한 최소 주파수인 제1 주파수 및 최대 주파수인 제2 주파수는 기 설정되어 있을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주파수는 20kHz이고, 제2 주파수는 75kHz일 수 있다.
제1 주파수를 20kHz로 설정함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가 가청 주파수(약 16Hz~ 20kHz)를 사용하는 경우를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소음을 줄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2 주파수를 IGBT 최대 스위칭 주파수로 설정할 수 있다. IGBT 최대 스위칭 주파수란 IGBT 스위칭 소자의 내압 및 용량 등을 고려하여, 구동 가능한 최대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IGBT 최대 스위칭 주파수는 75kHz일 수 있다.
이와 같은 이유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에서 유도 가열로 조리기기를 가열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하는 주파수는 약 20kHz 에서 75kHz에 포함된 주파수일 수 있다.
한편, 무선 전력 전송(WPT, Wireless Power Transfer)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가 조리 용기를 유도 가열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와 상이할 수 있다. 특히, 무선 전력 전송에 사용되는 주파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조리용기를 가열하기 위해 사용하는 주파수보다 더 높은 대역의 주파수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공진 주파수를 조절함으로써 동일한 워킹 코일(12)(150)을 통해 조리기기 가열 기능 및 무선 전력 전송 기능을 모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동작할 때의 회로도의 일 예를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리용기 유도 가열 모드 및 무선 전력 전송 모드를 선택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일 예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정류부(120), DC 링크 커패시터 (130), 인버터(140), 워킹 코일(12)(150), 공진 커패시터(160a, 160b), WPT 커패시터(170a, 170b) 및 모드 전환 스위치(180a, 180b)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한 내용은 여기서 생략하기로 한다.
워킹 코일(12)(150)은 전류가 흐름에 따라 자기장을 발생시킨다. 워킹 코일(12)(150)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2차측 조리 용기를 통과함에 따라 2차측 대상물(1)을 가열시킬 수 있다.
또는, 워킹 코일(12)(150)에서 발생한 자기장은 2차측 소물 가전을 통과함에 따라 2차측 소물 가전으로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공진 커패시터(160a, 160b)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바와 동일하다. 즉, 도 4에 도시된 공진 커패시터(160a, 160b)는 도 3을 통해 설명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에 포함된 공진 커패시터와 동일하다.
한편, 공진 커패시터(160a, 160b)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동작하거나 조리용기 유도 가열 모드로 동작함에 따라 WPT 커패시터(170a, 170b)와 병렬 연결되거나 병렬 연결되지 않을 수 있다.
WPT 커패시터(170a, 170b)는 공진 커패시터(160a, 160b)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WPT 커패시터(170a, 170b)는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100)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동작하도록 무선 전력 전송의 공진 주파수를 낮추기 위한 구성 요소이다. 구체적으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가 조리용기 유도 가열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WPT 커패시터(170a, 170b)는 공진 커패시터(160a, 160b)와 연결되지 않는다. 반면에,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WPT 커패시터(170a, 170b)는 공진 커패시터(160a, 160b)와 병결 연결된다. WPT 커패시터(170a, 170b)와 공진 커패시터(160a, 160b)가 병렬 연결 되면, 합성 커패시턴스는 증가하게 된다. 합성 커패시턴스가 증가하면, 아래 수학식 1에 의해 공진 주파수(f0)가 감소하게 된다.
즉, 전자 유도 가열 조리기(100)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동작하는 경우 공진 주파수(f0)가 감소하게 된다. 이와 같이,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공진 주파수(f0)를 감소시켜 기존의 인버터(140) 및 워킹 코일(12)(150)을 이용하여 2차측 제품으로 무선 전력을 전송할 수 있다.
WPT 커패시터(170a, 170b)는 제1 WPT 커패시터(170a)와 제2 WPT 커패시터(170b)로 구성된다. 제1 WPT 커패시터 (170a)는 제1 공진 커패시터(160a)와 병렬 연결될 수 있고, 제2 WPT 커패시터(170b)는 제2 공진 커패시터(160 b)와 병렬 연결될 수 있다.
제1 WPT 커패시터(170a)의 커패시턴스와 제2 WPT 커패시터(170b)의 커패시턴스는 동일하다.
모드 전환 스위치(180a, 180b)는 WPT 커패시터(170a, 170b)와 공진 커패시터(160a, 160b)의 병렬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즉, 모드 전환 스위치(180a, 180b)는 WPT 커패시터(170a, 170b)를 공진 커패시터(160a, 160 b)와 병렬 연결되거나 병렬 연결되지 않도록 제어한다.
구체적으로, 모드 전환 스위치(180a, 180b)가 온(On)되면 회로가 단락(short)되어, WPT 커패시터(170a, 170b) 와 공진 커패시터(160a, 160b)는 병렬 연결된다. 이에 따라,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공진 주파수(f0)가 감소 하게 된다.
반면에, 모드 전환 스위치(180a, 180b)가 오프(Off)되면 회로가 개방(open)되어, WPT 커패시터(170a, 170b)는 공진 커패시터(160a, 160b)와 연결되지 않는다. 따라서, 공진 주파수(f0)는 변경되지 않는다.
모드 전환 스위치(180a, 180b)는 제1 모드 전환 스위치(180a) 및 제2 모드 전환 스위치(180b)로 구성되며, 제1 모드 전환 스위치(180a)와 제2 모드 전환 스위치(180b)는 동시에 동작한다. 제1 모드 전환 스위치(180a)는 제1 WPT 커패시터(170a)와 제1 공진 커패시터(160a)의 병렬 연결 여부를 결정하고, 제2 모드 전환 스위치(180b)는 제2 WPT 커패시터(170b)와 제2 공진 커패시터(160b)의 벙렬 연결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앞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작 모드에 따라 모드 전환 스위치(180a, 180b)를 제어하여, 동일한 워킹 코일(12)(150)을 통해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동작시키거나 유도 가열 모드로 동작시킬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상기 2 가지의 모드 중 하나의 모드가 선택적으로 동작된다.
이와 같은 모드 선택에 따른 전환 스위치(180a, 180b)의 온오프, 인버터(140)의 스위칭 소자의 온오프 등을 제어하고, 전반적인 구동 모듈의 제어를 위한 제어부(190)를 더 포함한다.
사용자 입력부로 유도 가열 모드가 선택되면,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제어부(190)는 유도 가열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전환 스위치(180a, 180b)가 오프되어 유도 가열이 진행된다.
한편, 사용자 입력부로 대상물(1)에 대한 무선 전력 전송 모드가 선택되면,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전환 스위치(180a, 180b)가 온되어 합성된 커패시턴스에 의한 공진 주파수에 따른 무선 전력 전송이 진행된다.
이때, 상기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에서는 상판 글라스(11) 위에 올려진 대상물(1)이 무선전력 전송 가능한 대상물(1)인지 판단하는 대상물(1) 판단을 수행하여야 한다.
이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무선 전력 전송 모드를 선택하였다 하더라도, 무선 전력 전송 장치에 올려진 대상물(1)이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할 수 없는 전자 제품이거나,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이 아닌 수신 코일이 없는 소물 가전인 경우에 그 동작을 서로 달리하여 진행하여야 한다.
사용자 입력부를 통해 수신된 모드 선택 정보에만 근거하여 동작을 수행하는 경우, 수신 코일이 없는 대상물(1)에 대하여 과전류가 흐르게 되거나, 이물질인 경우에도 과전류에 의한 전력 낭비가 유발될 수 있고 고열을 동반하여 장치 자체에 손상을 줄 수 있다.
또한, 대상물(1)이 수신 코일(15)이 있는 소물 가전인 경우에도 수신 코일(15)과 워킹 코일(12) 사이의 정렬 상태에 대하여 판단하여야 한다.
수신 코일(15)과 워킹 코일(12)이 정렬되지 않는 경우, 즉 편심되어 있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의 동작 주파수를 제어하여 편심을 보완한 전력 전송을 진행하여야 한다.
이때, 수신측, 즉 대상물의 구성은 일 예로 도 5와 같을 수 있으며, 대상물의 수신 코일과 워킹 코일 사이의 정렬 상태는 도 6에서 검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측 대상물의 구성도이고, 도 6은 수신 코일과 워킹 코일 사이의 정렬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도이다.
도 5를 참고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대상물(1), 즉 수신 코일(15) 있는 소물 가전은 수신 코일(15), 수신 코일(15)과 연결되어 수신된 무선 전력을 처리하는 수신전력 처리부(21), 소물 제어부(25), 내부 부하(23) 및 통신부(2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수신 코일(15) 있는 소물 가전의 경우, 수신 코일(15)이 바닥면 등에 배치되어 워킹 코일(12)과 대면하여 무선 전력을 수신하도록 형성된다.
이와 같은 수신 코일(15)이 있는 소물 가전으로는 무선 오븐 토스터 또는 무선 블랜더와 같이 주 내부 부하(23)가 기능 블록으로 포함되어 있는 소물 가전으로서, 무선 전력을 수신하여, 해당 전력을 다시 원하는 기능의 내부 부하(23)에 원하는 레벨로 변환하여 제공하는 수신 전력 처리부(21)를 포함한다.
이러한 수신 전력 처리부(21)는 수신 코일(15)을 흐르는 전류 및 전압을 정류하고 원하는 레벨로 변환하는 컨버터를 구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통신부(2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와 무선 통신을 진행하여 소물 가전의 부하 전압, 목표 출력 등의 정보를 전송하고, 내부 부하(23)의 구동 여부에 대한 정보를 함께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수신 코일(15) 있는 소물 가전은 수신 전력 처리부(21), 내부 부하(23) 및 통신부(24)를 제어하는 소물 제어부(25)를 포함하며, 소물 제어부(25)는 외부의 사용자로부터의 명령, 즉, 사용자 인터페이스 등을 통한 명령에 따라 각 기능 블록을 제어하고, 내부 부하(23)에 요구되는 전력을 공급하여 내부 부하(23)를 구동한다.
이에 의해 무선으로 전력 수급이 가능하고, 원하는 기능을 수행함으로써 유선으로 전원 공급 없이 무선 전력 공급 장치(10)로부터 전력을 수급받아 내부 부하(23)를 구동하여 토스터 또는 블랜더 등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수신 코일(15)이 있는 소물 가전이 상판 글라스(11) 위에 놓이면, 수신 코일(15)과 워킹 코일(12) 사이에 정렬이 진행된다.
수신 코일(15)과 워킹 코일(12) 사이의 정렬은 두 코일(12, 15)의 중심이 동 축 상에 위치하는지 여부로 정의된다.
즉, 도 6에서 간략화하여 보여지는 것과 같이 각 코일의 중심(n1, n2) 즉 수신 코일(15)의 중심점(n2)과 워킹 코일(12)의 중심점(n1)이 동일 평면 상에 위치한다고 가정할 때, 편심량(d1)은 두 중심점 사이의 직선 거리로 정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수신 코일(15)이 있는 소물 가전, 일 예로 블랜더 또는 오븐토스터의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해, 수신 코일(15)이 워킹 코일(12)과 소정 거리를 충족하며 근거리에서 정렬할 것을 요구한다.
정렬은 정심, 즉 두 코일(12, 15)이 동일 평면(p1) 상에 위치한다고 가정할 때, 두 중심점(n1, n2)이 동일 평면에서 동심인 것으로 정의되며, 즉, 가상의 동일 평면(p1)에 수직한 축 상에서 수신 코일(15)의 중심점(n2)과 워킹 코일(12)의 중심점(n1)이 동심인 것으로 정의될 수 있다.
편심은 가상의 동일 평면(p1)에 수직한 축 상에서 두 코일(12, 15)의 중심점(n1, n3)이 동심축을 이루지 않는 경우로서, 도 6에서와 같이 가상의 동일 평면(p1) 상에서의 두 중심점(n1, n3) 사이의 거리(d1)를 편심량으로 정의할 수 있다.
따라서, 편심량은 가상의 동일 평면 상의 직선 거리(d1)로 정의되며, 서로 다른 면에서의 사선 거리가 아니다.
이때, 두 코일(12, 15) 사이에 무선 전력 전송을 원활하게 진행하기 위해서는 편심량이 소정 범위 이하인 것을 요구하고 있으며, 편심량이 클수록 무선 전력 전송의 전송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르면, 무선 전력을 전송할 때, 편심량을 판단하여 이를 보완하여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방법을 제안한다.
이하에서는 도 7 및 도 8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전력 전송 장치의 전체 동작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개략적인 모드 순서도이고, 도 8은 도 7의 순서도에 대한 송신 장치 및 수신 장치의 상태도이다.
도 7 및 도 8을 참고하면, 본 발명의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사용자 입력부로부터 무선 전력 전송 모드에 대한 아이콘 또는 버튼이 선택되어 이에 해당 하는 선택 정보가 제어부(190)로 수신되면, 무선 전력 전송 모드로 변환되어 동작을 진행한다.
이와 같은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정상 동작 모드(S60), 즉 수신 대상물(1)을 향해 무선 전력을 방사하는 동작에 이르기까지 복수의 단계를 거치며 준비 구간을 가진다.
이와 같은 정상 동작 모드 전의 준비 구간에서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상판 글라스(11)에 올라가져 있는 대상물(1)의 구분을 위한 감지를 수행한다.
즉, 대상물(1)이 수신 코일이 있는 소물 가전인지, 수신 코일이 없이 직접 가열하며 픽업 코일만 있는 소물 가전인지, 일반적인 가열 용기인지, 이물질인지 또는 아무것도 없는 무부하 상태인지를 구분한다.
구체적으로, 모드 선택 정보가 수신되면(S10), 송신측을 기준으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대상물 감지 모드(S20)로 진입한다.
송신측으로 정의되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는 대상물 감지 모드(S20)에서 스탠바이 모드(Stand-by mode)(S30)를 지나 이물질 감지 모드(S40), 및 소프트 스타트 모드(Soft start mode)(S50)를 진행한다.
소프트 스타트 모드(S50)에서 정상 동작 모드(S60)로 진입하기 전에 모든 대상물(1)에 대한 감지를 종료하고 해당하는 전력을 무선으로 전송할 수 있다(S70).
대상물 감지 모드(S20)는 사용자가 사용자 입력부의 무선 전력 전송 모드 아이콘 또는 버튼을 누름과 동시에 진행될 수 있으며, 제어부(190)는 대상물(1)이 상판 글라스(11) 위에 놓여져 있는지 여부 판단 및 정렬 상태를 예측하기 위한 주파수를 발진할 수 있다.
이때, 이와 같은 발진 주파수에 의해 상기 인버터(140)의 스위칭 소자가 교차로 온오프하여 전류를 흘리게 된다. 대상물 감지 모드(S20)에서 구별되는 대상물(1)은 일반적인 가열 용기인지 아닌지에 대한 것으로서, 시작 주파수로부터 제1 동작 주파수로 스위칭하면서 대상물(1)이 가열 용기인지 아닌지 판별할 수 있다.
이와 같은 대상물 감지 모드(S20)에서는 대상물(1)이 있는지 여부 및 코일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으며, 코일이 존재하는 경우, 대상물(1)의 수신 코일(15)과 워킹 코일(12) 사이에 정렬 상태, 즉 정심인지 편심인지 여부에 대하여도 추가적으로 구분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은 대상물 감지 모드(S20)에서는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가 대상물(1)로의 무선통신을 시도하고 있으나, 실제 무선통신을 통한 수신은 뒤에 이물질 감지 모드에서 대상물(1)인 소물 가전의 전원이 인가될 때 통신 페어링이 시작될 수 있다.
Idle 모드는 사용자 입력부에서 사용자가 전원 버튼을 눌러 턴온하는 경우,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제어부(190)를 포함하는 구동 모듈에 전원이 인가되어 제어부(190)가 활성화되는 시작 상태로 정의한다.
이와 같은 Idle 모드는 사용자 입력부와 구동 모듈 사이에 유선통신이 진행되나 실질적인 제어부(190)의 구동이 시작되지 않는다.
스탠바이 모드(S30)는 대상물 감지 모드(S20) 이후의 단계로서, 무선전력 전송을 위한 영역에 대상물(1)이 있는 경우에 이물질 판단을 위해 제2 동작 주파수로 인버터(140) 구동을 수행하는 주파수 변경 구간으로 정의한다.
이때, 스탠바이 모드(S30)에서는 초기 동작 주파수로부터 제2 동작 주파수로 주파수 스윕(sweep)이 발생하고, 제2 동작 주파수까지 도달하면 실질적인 이물질 감지 모드(S40)로 진입하게 된다.
이때, 처음부터 제2 동작 주파수로 발진하지 않는 것은 dc 링크의 전압이 충전된 상태에서 제2 동작 주파수, 즉 초기 동작 주파수보다 낮은 주파수에서의 구동 시에 구동 소음이 발생할 수 있어 단계를 두고 발진을 유도하게 된다.
다음의 이물질 감지 모드(S40)는 제2 동작 주파수로 구동하며 수신측, 즉 대상물(1)의 통신 페어링이 진행된 상태에서 대상물(1)의 유도 전압 정보를 수신하여 이물질 여부를 판단하는 구간으로 정의한다.
이때, 이물질이 존재한다고 판단되면 Idle 모드로 다시 진입하고, 이물질이 있음을 사용자에게 알리고 이물질이 없는 경우 소프트 스타트 모드(S50)로 진입하게 된다.
즉, 이물질 감지 모드(S40)부터 수신측, 즉 대상물(1)이 유도 전류에 의해 전원이 주입되어 활성화되는 상태로서, wakeup 모드로 정의되고, 무선 통신이 페어링되어 수신측과 송신측이 서로 통신 시작된다.
소프트 스타트 모드(S50)는 대상물(1)에서 요청하는 레벨의 파워를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에서 동작하기 위해 해당 전력에 해당하는 주파수까지 변동하는 구간으로 정의된다.
소프트 스타트 모드(S50)에서 대상물(1)이 요청하는 레벨의 파워 근처에 도달하면 정상 동작 모드(S60)로 진입할 수 있다.
한편, 소프트 스타트 모드(S50)에서도 추가 감지 모드를 수행할 수 있다.
추가 감지 모드에서는 소물 가전의 전력 전송 전 재확인을 위해 추가적인 감지를 수행하는 구간으로 정의된다.
즉, 추가 감지 모드에서 사용자가 실제 선택한 모드를 재확인하고, 무부하와 소물 가전 사이에 판단 착오가 있는지 여부를 재확인 할 수 있다.
정상 동작 모드(S60)는 대상물(1)이 요청하는 레벨의 전력까지 일정한 레벨을 두고, 요청 출력의 변동을 모니터링하여 실제 출력이 요청 출력과 차이가 있는지 판단하는 구간으로 정의한다.
이때, 실제 출력과 요청 출력 사이에 차이가 발생하는 경우, 실제 출력이 요청 출력보다 작은 경우 파워 업 모드(power up mode)로 진행하여 동작 주파수를 낮추어 출력을 높일 수 있으며, 실제 출력이 요청 출력보다 높은 경우 파워 다운 모드(power down mode)로 진행하여 동작 주파수를 높임으로써 출력을 낮출 수 있다.
대상물(1) 측에서는 사용자가 대상물(1)의 동작 선택 및 동작 시작에 따라서, 작은 파워 혹은 큰 파워의 요청에 따라 제어부(190)가 그에 맞게 요청 출력으로 동작을 수행하게 된다.
이와 같이 정상 동작 모드(S60)가 진행되면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심 여부 및 이물질 감지를 수행할 수 있다(S70).
즉, 정상 동작 모드(S60)에서 요청 출력을 수신하여 이에 따라 동작 주파수를 변환하는 한편, 대상물로부터의 요청 파워를 수신하고, 이를 분석하여, 요청 파워를 위한 워킹 코일(12)의 전력 연산값을 산출하고, 워킹 코일(12)의 전력 연산값에 따라 편심 여부 및 이물질 여부를 판단한다.
이하에서는 도 9 및 도 10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심 및 이물질 판단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9는 전력 전송 중의 편심 및 이물질 판단 동작을 나타내는 순서도이고, 도 10은 편심에 따른 보상 방법을 도시한 그래프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준비 구간이 종료하고 정상 동작 모드(S100)가 진행된다.
정상 동작 모드에서는 대상물(1)이 수신 코일(15)이 있는 소물 가전으로 판단이 종료되고, 수신 코일(15)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기 위한 제2 동작 주파수의 인버터(140) 구동이 진행된다(S110).
따라서,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10)의 인버터(140)는 제2 동작 주파수에 의해 스위칭 소자가 온오프하여 입력 전류가 흐르게 되며, 이에 따라 워킹 코일(12)에 대기 전압이 설정되고 공진 전류가 흐른다.
이때, 제어부(190)는 대상물(1)인 소물 가전의 통신부(24)로부터 무선 통신을 통해 부하가 존재하는지 여부를 수신한다(S120).
즉, 대상물(1)인 소물 가전의 오븐 토스터 또는 블랜더의 내부 부하(23)의 제어에 따라 내부 부하(23)의 동작 요청이 있는지 수신한다.
이와 같이 내부 부하(23)의 구동에 의한 요청 파워가 있는 경우, 이에 대한 부하 전압 및 요청 파워 정보를 수신한다(S130).
부하 전압 및 요청 파워는 각 내부 부하(23)의 요청된 동작에 따라 상이하며, 각 동작의 레벨에 따라 서로 다른 크기의 파워가 요청될 수 있다.
이때, 워킹 코일(12)에는 대상물(1)의 부하(23)를 구동하기 위한 소정 크기의 대기 전압이 유지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워킹 코일(12)에 대기 전압이 소정 레벨로 유지됨으로써, 파워 변동으로 인해 대기 전압을 유지하지 못하는 경우, 대상물(1)의 내부 부하(23)의 수신 전력 처리부(21)에도 입력 전압의 변동이 발생하여 최소한의 요구 전압을 유지하지 못하게 되는 오동작, 내부 부하(23)가 동작하다가 정지하는 경우 등이 방지된다.
따라서, 워킹 코일(12)은 소정 크기 이상의 대기 전압이 유지되도록 한다.
제어부(190)는 대상물(1)의 통신부(24)로부터 수신된 요청 파워로부터 워킹 코일(12)에 설정되어야 하는 입력 전압 값을 연산한다.
이와 같은 입력 전압 값은 유도 전력 전송의 합성 인덕턴스 및 입력 전류와의 관계에 의해 산출 가능하다.
제어부(190)는 산출된 입력 전압 값과 대기 전압을 비교하여(S140), 산출된 입력 전압 값이 대기 전압보다 작지 않은 경우, 공진 전류를 위한 동작 주파수를 높여 입력 전류를 높임으로써 해당 입력 전압 값을 대기 전압과 같은 수준으로 올린다(S150).
한편, 대기 전압의 값이 산출된 입력 전압의 값보다 큰 경우에는 공진 전류를 위한 동작 주파수를 낮춰 입력 전류를 낮춤으로써 해당 입력 전압 값을 대기 전압과 같은 수준으로 낮춘다(S160).
따라서, 요청 전력에 따른 입력 전압 값이 대기 전압과 같은 수준으로 변경된 경우, 해당 동작 주파수에서의 워킹 코일(12)의 입력 전력을 연산한다(S170).
이때, 제어부(190)는 각 코일(12, 15) 사이의 배치에 따른 동작 주파수에 따른 입력 전력의 데이터를 저장하는 룩업테이블로부터 입력 전력에 해당하는 데이터를 읽어들인다.
즉, 각 코일(12, 15)이 정심인지 편심인지에 따른 동작 주파수에 대한 입력 전력, 공진 전류의 값을 포함하는 룩업테이블의 데이터들로부터 해당 데이터를 읽어들일 수 있다.
이와 같은 데이터는 다음의 표와 같을 수 있다.
편심량(mm) 입력 전력 44kHz 공진 전류 44kHz 입력 전압
0 400 603 253
10 415 627 253
15 432 645 253
20 454 671 253
25 177 704 253
표 1에서는 동작 주파수가 44kHz일 때의 값을 일 예로 나타내었으나, 이와 같은 데이터가 각 동작 주파수마다 설정되며 저장 가능하다.특히,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해당 소물 가전의 경우, 무선 전력 전송의 대상이 특정 소물 가전으로 규정되어 소물 가전의 수신 코일(15)의 인덕턴스 및 워킹 코일(12)과의 합성 인덕턴스가 미리 계산되어 테이블화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표 1을 참고하여, 편심량이 0일 때, 즉, 정심일 때, 해당 워킹 코일(12)의 연산된 입력 전력 값과 테이블 상의 입력 전력 값을 서로 비교한다(S170).
워킹 코일(12)의 연산된 입력 전력 값이 정심에서의 입력 전력값보다 큰 경우, 제어부(190)는 대상물, 즉 수신 코일(15) 있는 소물 가전이 정심에 위치하지 않는 것으로 판단한다(S180).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룩업테이블에서 편심 데이터를 읽어 들여, 즉 편심량이 0이 아닌 값 중, 연산된 입력 전력 값과 공진 전류 및 동작 주파수의 값을 가지는 편심 값이 있는지 찾는다.
즉, 현재 동작 주파수에서, 연산된 입력 전력의 값과 동일한 입력 전력의 값을 가지며 동일한 공진 전류를 가지는 편심 값이 있는지 확인한다.
일 예로, 편심이 10mm 인 경우의 데이터와 일치하는 경우, 편심량이 10mm만큼 존재하는 것으로 판단하고, 편심 보상을 진행한다(S230).
한편, 룩업테이블 상의 데이터들과 매칭되는 값이 전혀 없는 경우, 구체적으로 해당 동작 주파수에서 연산된 입력 전력 값과 공진 전류 값이 동시에 매칭되는 편심 값이 존재하지 않는 경우에는 이물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한다(S190).
제어부(190)는 이물질이 있는 경우로 판단되면, 사용자에게 알람하여 이물질 제거를 유도할 수 있다(S200).
한편, 워킹 코일(12)의 연산된 입력 전력이 정심값보다 작은 경우에는 정심에 있는 것으로 판단하고, 이후 동작으로 진행한다.
다음으로, 제어부(190)는 정상적으로 전력 전송을 수행하면서, 전송된 전력에 의해 대상물(1)의 내부 부하(23)의 구동이 시작되었는지 판단한다(S210).
대상물(1)인 소물 가전의 내부 부하(23)가 충분한 수신 전력을 수신하면, 이를 변환함으로서 내부 부하(23), 오븐 토스터 또는 블랜더의 기능 블록이 동작하도록 부하 구동 진입을 수행한다(S220).
한편, 제어부(190)는 편심이 있는 것으로 판단되면, 편심 보상을 진행한다(S230).
편심이 있는 경우, 일반적으로 편심에서 원하는 출력 파워를 얻기 위한 동작 주파수는 감소하게 된다. 즉, 편심이 심해질수록 무선전력 전송 파라미터 중 결합계수가 작아짐으로써, 전력 전송 효율이 저하된다. 따라서, 동일한 동작 주파수로 동작 시에 전송되는 전력이 매우 작아진다. 따라서, 원하는 출력 전력을 갖기까지 시간이 매우 오래 걸릴 수 있다.
따라서, 빠른 응답을 가져야 하는 무선 소물 가전으로 무선 전력 전송을 하는 경우에는 이와 같은 오랜 응답에 의해 원하는 성능을 발현하지 못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편심량을 산출함으로써 산출된 산출량에 따라 이와 같은 출력 전력을 보상하기 위해 동작 주파수를 가변하여 전력을 전송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도 10와 같이 편심량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동작 주파수를 서로 가변하여 설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일한 요청 파워를 전송하기 위하여 요구되는 동작 주파수가 편심량에 따라 서로 다르며, 편심량이 클수록 동작 주파수가 작아진다.
따라서, 편심량에 따라 동작 주파수를 서로 가변하도록 설정되며, 도 10과 같이, 편심량이 0일때는 44kHz로 설정하고, 편심량이 25mm일때는 동작 주파수를 35kHz로 설정할 수 있다.
이러한 편심량과 동작 주파수의 연계는 룩업테이블에 각각의 편심량에 대하여 설정하여 저장할 수 있으며, 도 10과 같이 함수 관계로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편심량이 큰 경우, 더 낮은 동작 주파수를 가지므로 더 낮은 최종 동작 주파수까지 진입하는데 걸리는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편심량을 산출하고, 이에 따라 무선 전력 전송 시에 시작 주파수를 제어하여 단시간에 효과적으로 요청 전력 전송이 가능하다.
따라서, 편심이 일정량으로 포함되더라도 전력 전송의 효율이 보장되어 단시간에 전력 전송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정상 동작 모드에서 대상물(1)로부터의 요청 파워에 대한 실시간 워킹 코일(15)의 입력 전력을 연산하여 비교함으로써 편심 및 이물질 여부를 판단하여 편심량을 반영한 동작 주파수로 전력 전송이 가능하다.
1: 대상물 10: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1: 상판 글라스 13: 폐라이트
15: 수신 코일 20: 자기장
21: 수신전력 처리부 23 : 내부 부하
24: 통신부 25: 소물 제어부
12, 150 : 워킹 코일 120: 정류부
130: dc링크 커패시터 140: 인버터
160: 공진 커패시터 190: 제어부

Claims (20)

  1. 사용자 선택에 따라 모드를 변경하며 상기 모드에 따라 동작 주파수를 변경하여 대상물을 유도 가열하거나, 상기 대상물에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워킹 코일;
    상기 동작 주파수에 따라 온오프되어 상기 전력을 생성하는 인버터;
    상기 사용자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를 선택하는 경우,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면서 상기 대상물의 수신 코일과 상기 워킹 코일 사이의 편심량을 산출하여 상기 산출량에 따라 상기 동작 주파수를 제어하는 제어부
    를 포함하는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무선 전력 전송을 진행하는 정상 모드 이전에 상기 준비 구간을 포함하며,
    상기 준비 구간에서 상기 대상물이 상기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는
    상기 대상물이 올려지는 상부 글라스 및
    상기 사용자로부터 모드 선택을 유도하는 사용자 입력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제1 동작 주파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면서, 상기 대상물로부터 요청 파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그에 대응하여 상기 워킹 코일의 입력 전력을 연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동작 주파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할 때, 상기 워킹 코일에서, 소정 크기의 대기 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편심량에 대하여 상기 인버터의 동작 주파수에 따른 상기 워킹 코일의 입력 전력 및 공진 전류에 대한 데이터를 저장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저장되어 있는 정심의 데이터와 계산된 입력 전력을 비교하여 정심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정심이 아닌 경우, 저장되어 있는 편심에 대한 데이터 중 상기 동작 주파수에 대한 공진 전류 및 입력 전력의 값이 일치하는 편심량이 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현재 데이터와 저장되어 있는 편심에 대한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물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량이 클수록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동작 주파수를 낮추어 무선 전력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11. 사용자 선택에 따라 모드를 변경하며 상기 모드에 따라 대상물을 유도 가열하거나 무선 전력을 전송하는 워킹 코일을 포함하는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의 선택 정보가 무선 전력 전송 모드임을 확인하는 단계;
    상기 대상물을 감지하여 상기 대상물이 수신코일이 있는 소물가전인지 판단하는 준비 단계; 및
    상기 대상물에 소정의 동작 주파수로 인버터를 구동하여 상기 무선 전력 전송을 수행하면서 상기 대상물의 수신 코일과 상기 워킹 코일 사이의 편심량을 산출하여 상기 편심량에 따라 상기 동작 주파수를 제어하는 정상 동작 모드 단계
    를 포함하는 유도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준비 단계에서 상기 대상물이 입력 전류 또는 공진 전류를 통해 상기 수신 코일을 포함하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정상 동작 모드 단계는 상기 동작 주파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하면서, 상기 대상물로부터 요청 파워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요청 파워에 대응하여 상기 워킹 코일의 입력 전력을 연산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 주파수로 무선 전력을 전송할 때, 상기 워킹 코일에서 소정 크기의 대기 전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량에 대하여 상기 인버터의 동작 주파수에 따른 상기 워킹 코일의 입력 전력, 및 공진 전류에 대한 데이터를 기초로 상기 편심 여부를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량을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데이터 중 정심의 데이터와 계산된 입력 전력을 비교하여 정심인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
  17. 제16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량을 판단하는 단계는, 정심이 아닌 경우, 편심에 대한 데이터 중 상기 동작 주파수에 대한 공진 전류 및 입력 전력의 값이 현재 데이터와 일치하는 편심량이 있는지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현재 데이터와 편심에 대한 데이터가 일치하지 않는 경우, 이물질이 있는 것으로 판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편심량이 클수록 무선 전력 전송을 위한 상기 동작 주파수를 낮추어 무선 전력 전송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정심 및 편심에 대한 데이터는 룩업테이블로부터 읽어들여 현재 데이터와 비교하는 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도 가열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의 구동 방법.
KR1020200024269A 2020-02-27 2020-02-27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KR20210109247A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269A KR20210109247A (ko) 2020-02-27 2020-02-27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P21159370.2A EP3872961A1 (en) 2020-02-27 2021-02-25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induction heat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17/185,626 US20210274604A1 (en) 2020-02-27 2021-02-25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induction heat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4269A KR20210109247A (ko) 2020-02-27 2020-02-27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9247A true KR20210109247A (ko) 2021-09-06

Family

ID=7475869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4269A KR20210109247A (ko) 2020-02-27 2020-02-27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274604A1 (ko)
EP (1) EP3872961A1 (ko)
KR (1) KR20210109247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462951B1 (en) * 2021-08-18 2022-10-04 Peter Kao Method for distinguishing metal objects from heating cup and wireless charging device using the same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104242A (ko)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스파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감지 장치 및 방법
US8912686B2 (en) 2010-11-04 2014-12-16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Wireless power system and method with improved alignment
US20190123589A1 (en) 2004-05-11 2019-04-25 Philips Ip Ventures B.V. Controlling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FR2646049B1 (fr) * 1989-04-18 1991-05-24 Cableco Sa Plaque electrique chauffante amovible
US8817506B2 (en) * 2008-09-01 2014-08-26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Converter circuit, and motor drive control apparatus, air-conditioner, refrigerator, and induction heating cooker provided with the circuit
ES2352772B1 (es) * 2008-12-19 2012-01-26 Bsh Electrodomésticos España, S.A. Campo de cocción con varios elementos de calentamiento y al menos un grupo constructivo de la electrónica de potencia.
US9787364B2 (en) * 2011-01-20 2017-10-10 Triune Ip, Llc Multi-use wireless power and data system
JP2013041029A (ja) 2011-08-12 2013-02-28 Semiconductor Components Industries Llc 液晶駆動回路
EP2797384A4 (en) * 2011-12-20 2015-04-29 Panasonic Corp CONTACTLESS DINING AND CONTACTLESS TRANSMISSION SYSTEM
US10132650B2 (en) * 2015-01-22 2018-11-20 Integrated Device Technology, Inc. Apparatuses and related methods for detecting magnetic flux field characteristics with a wireless power transmitter
KR102334617B1 (ko) 2015-04-16 2021-12-03 엘지전자 주식회사 조리기기
US10734845B2 (en) * 2016-06-30 2020-08-04 Mitsubishi Electric Corporatio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system and induction heating cooker
US11916405B2 (en) * 2019-01-02 2024-02-27 Ge Hybrid Technologies, Llc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with multiple controllers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123589A1 (en) 2004-05-11 2019-04-25 Philips Ip Ventures B.V. Controlling inductive power transfer systems
US8912686B2 (en) 2010-11-04 2014-12-16 Access Business Group International Llc Wireless power system and method with improved alignment
KR20140104242A (ko) 2013-02-20 2014-08-28 주식회사 스파콘 무선 전력 전송 시스템에서 이물질 감지 장치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10274604A1 (en) 2021-09-02
EP3872961A1 (en) 2021-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66793C2 (ru) Тепловой барьер для беспроводной передачи мощности
EP3873177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induction heat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CN107852784B (zh) 感应加热烹调器及其控制方法
US20140158680A1 (en) Contactless power feeder and contactless transmission system
JP6403808B2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及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JP6731058B2 (ja) ワイヤレス電力伝送のためのデバイス、電力送信機、及び方法
US11265973B2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control algorithm and circuit structure
JP6636168B2 (ja) 非接触電力伝送装置、及び非接触電力伝送システム
KR20210109247A (ko)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US20190357317A1 (en) Induction heating device having improved control algorithm and circuit structure
KR20210109250A (ko)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EP3873176A1 (en) Wireless power transmission apparatus for induction heating and control method thereof
KR20210109248A (ko) 유도 가열 구현 가능한 무선 전력 전송 장치 및 그의 제어 방법
WO2018138872A1 (ja) 誘導加熱調理器
JP6840260B2 (ja) 誘導加熱調理器
JP6360093B2 (ja)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KR19990002751A (ko) 복합조리기의 구동 제어장치 및 방법
JP6584583B2 (ja) 誘導加熱調理器および非接触給電システム
CN112714518B (zh) 电磁加热设备及其控制方法、装置和存储介质
US20240060653A1 (en) Cooktop
KR20230165054A (ko) 유도 가열 방식의 쿡탑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