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01246A - 흡수성 수지 입자와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성 수지 입자와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01246A
KR20210101246A KR1020217019045A KR20217019045A KR20210101246A KR 20210101246 A KR20210101246 A KR 20210101246A KR 1020217019045 A KR1020217019045 A KR 1020217019045A KR 20217019045 A KR20217019045 A KR 20217019045A KR 20210101246 A KR20210101246 A KR 2021010124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in particles
absorbent resin
liquid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1904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히로키 야부구치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55270A external-priority patent/JP6710302B2/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9055332A external-priority patent/JP6710303B1/ja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claimed from PCT/JP2019/048818 external-priority patent/WO2020122215A1/ja
Publication of KR2021010124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124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12Powdering or granul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3/00Processes of treating or compound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3/02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 C08J3/03Making solutions, dispersions, lattices or gels by other methods than by solution, emulsion or suspension polymerisation techniques in aqueous media
    • C08J3/075Macromolecular g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15577Apparatus or processes for manufacturing
    • A61F13/15617Making absorbent pads from fibres or pulverulent material with or without treatment of the fibr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0Liquid-swellable gel-forming materials, e.g. super-absorb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5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modified or post-treated polymers
    • B01J20/267Cross-linked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23Fibres or fila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3Sorbents comprising a binder, e.g. for forming aggregated, agglomerated or granulated produc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0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arrier, support or substrate used for impregnation or coating
    • B01J20/3206Organ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01J20/3208Polymer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 B01J20/321Polymeric carriers, supports or substrates consisting of a polymer obtained by reactions involving only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34Inorganic material layers
    • B01J20/3236Inorganic material layers containing metal, other than zeolites, e.g. oxides, hydroxides, sulphides or sal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B01J20/32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 B01J20/3231Impregnating or coating ; Solid sorbent compositions obtained from processes involving impregnating or coating characterised by the coating or impregnating layer
    • B01J20/3234Inorganic material layers
    • B01J20/3238Inorganic material layers containing any type of zeol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1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1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1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20/00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14Ester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40Aspects relating to the composition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44Materials comprising a mixture of organic materials
    • B01J2220/445Materials comprising a mixture of organic materials comprising a mixture of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50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68Superabsorb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33/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acids; Metal or ammonium salts thereof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pidemiology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Hemat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하기 식 (1): 스며들기 지수=무가압 DW의 1분 값(mL/g)+10배 팽윤 시의 인공뇨 통액 속도(g/분)···(1)로 나타나는, 스며들기 지수가 10.0 이상이고, 생리 식염수의 흡수량이 50.0g/g 이상인, 흡수성 수지 입자가 개시된다.

Description

흡수성 수지 입자와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본 발명은, 흡수성(吸水性) 수지 입자와 흡수성(吸收性) 물품 및 그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요(尿) 등의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성 물품에는, 흡수성 수지 입자를 함유하는 흡수체(吸收體)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입자경을 갖는 흡수성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이, 또 특허문헌 2에는, 요와 같은 체액을 수용하는 데에 효과적인 흡수성 부재로서, 특정의 식염수 흐름 유도성, 압력하 성능 등을 갖는 하이드로젤 흡수성 중합체를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6-345819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평09-510889호
종래의 흡수체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에서는, 흡액 대상의 액이 흡수체에 충분히 흡수되지 않고, 잉여의 액이 흡수체 표면을 흐르는 현상(액 유동)이 일어나기 쉬워, 결과적으로 액이 흡수성 물품의 밖으로 샌다는 누설성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흡수체의 액체 누설을 억제 가능한 흡수성 수지 입자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액체 누설이 억제된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는,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의 액체 누설을 개선하려면, 흡수체에 포함되는 흡수성 수지 입자의 집합체에 접촉한 액체를, 집합체 전체에 스며들기 쉽게 하는 것이 중요하다고 생각하여, 예의 연구한 결과, 액체가 흡수성 수지 입자의 집합체에 접촉하고 나서 단시간 동안(초기)에 있어서의 흡수성 수지 입자의 흡수 속도(DW)와 통액 속도가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의 액체 누설에 영향을 미치는 것을 발견하여, 본 발명을 완성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기 식 (1):
스며들기 지수=무가압 DW의 1분 값(mL/g)+10배 팽윤(膨潤) 시의 인공뇨 통액 속도(g/분)···(1)
로 나타나는 스며들기 지수가 10.0 이상이며, 생리 식염수의 흡수량이 50.0g/g 이상인, 흡수성 수지 입자를 제공한다.
무가압 DW는, 흡수성 수지 입자가, 무가압하에서, 생리 식염수(농도 0.9질량%의 식염수)와 접촉하고 나서 소정의 시간 경과할 때까지 생리 식염수를 흡수한 양으로 나타나는 흡수 속도이다. 무가압 DW는, 생리 식염수의 흡수 전의 흡수성 수지 입자 1g당 흡수량(mL)으로 나타난다. 무가압 DW의 1분 값은, 흡수성 수지 입자가 생리 식염수와 접촉하고 나서 1분 후의 흡수량을 의미한다. 무가압 DW의 1분 값은, 액체와 접촉 후, 단시간 동안(초기)에서의 흡수 속도를 나타내는 지표이며, 10배 팽윤 시의 인공뇨 통액 속도는, 초기에 있어서 어느 정도 흡수한 흡수성 수지 입자의 통액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다. 따라서, 이들 양자의 합인 스며들기 지수의 값은, 초기의 흡수 속도와 흡수 후의 통액성을 반영한다. 본 발명자의 지견(知見)에 의하면, 당해 스며들기 지수가 큰 것은, 흡수성 수지 입자의 집합체에 접촉한 액체가, 집합체 전체에 스며들기 쉬운 것을 의미한다. 액체가 흡수성 수지 입자의 집합체 전체에 스며들기 쉬움으로써, 흡수성 수지 입자가 액체 누설을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된다. 즉,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는, 흡수성 물품으로부터의 액체 누설의 발생을 억제하는 것에 효과적으로 기여할 수 있다.
상기 스며들기 지수는 13.0 이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액체 누설이 보다 한층 억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액체 불투과성 시트, 흡수체, 및 액체 투과성 시트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 흡수체 및 액체 투과성 시트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다. 상기 흡수체가, 흡수성 수지 입자를 포함한다. 하기 식 (1):
스며들기 지수=무가압 DW의 1분 값(mL/g)+10배 팽윤 시의 인공뇨 통액 속도(g/분)···(1)
로 나타나는,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의 스며들기 지수가 10.0 이상이다.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의 생리 식염수에 대한 흡수량이 50.0g/g 이상이다.
상기 스며들기 지수는 13.0 이상이어도 된다. 이 경우, 액체 누설이 보다 한층 억제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관한 방법은, 상기 스며들기 지수가 10.0 이상이고, 생리 식염수에 대한 흡수량이 50.0g 이상인, 흡수성 수지 입자를 선별하는 것과, 선별된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체를, 액체 불투과성 시트 및 액체 투과성 시트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 방법에 의하여, 액체 누설의 발생이 억제된 흡수성 물품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액체 누설을 억제 가능한 흡수성 수지 입자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의하면, 액체 누설이 억제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무가압 DW의 1분 값의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2는 10배 팽윤 시의 인공뇨 통액 속도의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3은 흡수성 물품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흡수성 수지 입자의 하중하의 흡수량의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 5는 흡수성 물품의 액체 누설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크릴" 및 "메타크릴"을 합하여 "(메트)아크릴"이라고 표기한다.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도 동일하게 "(메트)아크릴레이트"라고 표기한다. 본 명세서에 단계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소정 단계의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은, 다른 단계의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과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그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은,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값으로 치환해도 된다. "A 또는 B"란, A 및 B 중 어느 일방을 포함하고 있으면 되고, 양방 모두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수용성"이란, 25℃에 있어서 물에 5질량% 이상의 용해성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예시하는 재료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에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당해 복수의 물질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는, 10.0 이상의 스며들기 지수를 나타낸다. 스며들기 지수는, 하기 식 (1):
스며들기 지수=무가압 DW의 1분 값(mL/g)+10배 팽윤 시의 인공뇨 통액 속도(g/분)···(1)
로 나타난다.
스며들기 지수는, 10.0 이상이고, 액체 누설이 보다 억제되는 관점에서, 11.0 이상, 12.0 이상, 13.0 이상, 14.0 이상, 15.0 이상, 16.0 이상, 17.0 이상, 18.0 이상, 19.0 이상, 20.0 이상, 21.0 이상, 또는 21.5 이상이어도 되며, 30.0 이하, 25.0 이하, 또는 22.0 이하여도 된다. 스며들기 지수는, 액체 누설이 보다 억제되는 관점에서, 예를 들면 10.0 이상 30.0 이하, 11.0 이상 30.0 이하, 12.0 이상 25.0 이하, 13.0 이상 25.0 이하, 14.0 이상 25.0 이하, 15.0 이상 22.0 이하, 16.0 이상 22.0 이하, 또는 17.0 이상 22.0 이하여도 된다.
식 (1)에 있어서의 무가압 DW의 1분 값은, 액체 누설이 보다 한층 억제 가능해지는 관점에서, 3.0mL/g 이상, 5.0mL/g 이상, 7.0mL/g 이상, 9.0mL/g 이상, 11.0mL/g 이상, 13.0mL/g 이상, 15.0mL/g 이상, 17.0mL/g 이상, 또는 18.0mL/g 이상이어도 되고, 30mL/g 이하, 25mL/g 이하, 또는 20mL/g 이하여도 된다. 무가압 DW의 1분 값(mL/g)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측정되는 값이다.
식 (1)에 있어서의 10배 팽윤 시의 인공뇨 통액 속도는, 액체 누설이 보다 한층 억제 가능해지는 관점에서, 0.5g/분 이상, 1.0g/분 이상, 1.5g/분 이상, 2.0g/분 이상, 또는 3.0g/분 이상이어도 되고, 20.0g/분 이하, 15.0g/분 이하, 또는 12.5g/분 이하여도 된다. 10배 팽윤 시의 인공뇨 통액 속도는,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되는 값으로서 정의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인공뇨는, 0.780질량%의 염화 나트륨, 0.022질량%의 염화 칼슘, 및 0.038질량%의 황산 마그네슘, 및 0.002질량%의 청색 1호와, 물로 이루어지는 수용액이다.
생리 식염수의 흡수량은, 50.0g/g 이상이며, 액체 누설이 보다 한층 억제 가능해지는 관점에서, 51.0g/g 이상, 52.0g/g 이상, 53.0g/g 이상, 54.0g/g 이상, 또는 55.0g/g 이상이어도 되고, 70g/g 이하, 67g/g 이하, 65g/g 이하, 62g/g 이하, 또는 60g/g 이하여도 된다. 생리 식염수의 흡수량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측정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의 하중하에 있어서의 생리 식염수의 흡수량은, 예를 들면 10~40mL/g, 15~35mL/g, 20~30mL/g, 또는 22~28mL/g이어도 된다. 하중하에 있어서의 생리 식염수의 흡수량으로서는, 하중 4.14kPa에 있어서의 흡수량(25℃)을 이용할 수 있다. 흡수량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의 형상으로서는, 대략 구상, 파쇄상, 과립상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의 중위(中位) 입자경은, 250~850μm, 300~700μm, 또는 300~600μm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는,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시점에서 원하는 입도 분포를 갖고 있어도 되지만, 체에 의한 분급을 이용한 입도 조정 등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입도 분포를 조정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는, 예를 들면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의 중합에 의하여 형성된 가교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가교 중합체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를 갖는다.
흡수성 수지 입자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를 중합시키는 공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중합 방법으로서는, 역상(逆相) 현탁 중합법, 수용액 중합법, 벌크 중합법, 침전 중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 입자의 양호한 흡수 특성의 확보, 및 중합 반응의 제어가 용이한 관점에서, 중합 방법은, 역상 현탁 중합법 또는 수용액 중합법이어도 된다. 이하에 있어서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중합시키는 방법으로서, 역상 현탁 중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수용성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및 그 염, 2-(메트)아크릴아마이드-2-메틸프로페인설폰산 및 그 염,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메틸(메트)아크릴아마이드,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마이드, 폴리에틸렌글라이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N,N-다이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다이에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아미노기를 갖는 경우, 당해 아미노기는 4급화되어 있어도 된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상술한 단량체의 카복실기, 아미노기 등의 관능기는, 후술하는 표면 가교 공정에 있어서 가교가 가능한 관능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공업적으로 입수가 용이한 관점에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메트)아크릴산 및 그 염, 아크릴아마이드, 메타크릴아마이드, 및 N,N-다이메틸아크릴아마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메트)아크릴산 및 그 염, 및 아크릴아마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흡수 특성을 더 높이는 관점에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메트)아크릴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수용액으로서 이용해도 된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이하, 간단히 "단량체 수용액"이라고 한다)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농도는, 20질량% 이상 포화 농도 이하여도 되고, 25~70질량%여도 되며, 30~55질량%여도 된다. 수용액에 있어서 사용되는 물로서는, 수돗물, 증류수, 이온 교환수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성 수지 입자를 얻기 위한 단량체로서는, 상술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가 사용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단량체는, 예를 들면 상술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사용량은, 단량체 전체량에 대하여 70~100몰%여도 되고, 80~100몰%여도 되며, 90~100몰%여도 되고, 95~100몰%여도 되며, 100몰%여도 된다. 그중에서도, (메트)아크릴산 및 그 염의 비율이 단량체 전체량에 대하여 70~100몰%여도 되고, 80~100몰%여도 되며, 90~100몰%여도 되고, 95~100몰%여도 되며, 100몰%여도 된다.
단량체 수용액은,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산기를 갖는 경우, 그 산기를 알칼리성 중화제에 의하여 중화하여 이용해도 된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있어서의, 알칼리성 중화제에 의한 중화도는,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 입자의 침투압을 높게 하고, 흡수 특성(흡수량 등)을 더 높이는 관점에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중의 산성기의 10~100몰%여도 되고, 50~90몰%여도 되며, 60~80몰%여도 된다. 알칼리성 중화제로서는, 수산화 나트륨, 탄산 나트륨, 탄산 수소 나트륨, 수산화 칼륨, 탄산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 암모니아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성 중화제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알칼리성 중화제는, 중화 조작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수용액의 상태로 이용되어도 된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산기의 중화는, 예를 들면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등의 수용액을 상술한 단량체 수용액에 적하하여 혼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역상 현탁 중합법에 있어서는, 계면활성제의 존재하, 탄화수소 분산매 중에서 단량체 수용액을 분산하고, 라디칼 중합 개시제 등을 이용하여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을 행할 수 있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이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소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폴리)"란, "폴리"라는 접두어가 있는 경우 및 없는 경우의 쌍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이하 동일.), 자당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소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소비톨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소비톨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알킬알릴폼알데하이드 축합 폴리옥시에틸렌에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알킬에터,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지방산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지방산염, 알킬벤젠설폰산염, 알킬메틸타우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 황산 에스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설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의 인산 에스터, 및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터의 인산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W/O형 역상 현탁의 상태가 양호하고, 적합한 입자경을 갖는 흡수성 수지 입자가 얻어지기 쉬우며, 공업적으로 입수가 용이한 관점에서, 계면활성제는, 소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및 자당 지방산 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 입자의 흡수 특성이 향상되기 쉬운 관점에서, 계면활성제는, 자당 지방산 에스터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터여도 된다.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사용량에 대한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는 관점, 및 경제적인 관점에서, 단량체 수용액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10질량부여도 되고, 0.08~5질량부여도 되며, 0.1~3질량부여도 된다.
역상 현탁 중합에서는, 상술한 계면활성제와 함께 고분자계 분산제를 아울러 이용해도 된다. 고분자계 분산제로서는,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 변성 EPDM(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터폴리머),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뷰타다이엔, 무수 말레산·에틸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뷰타다이엔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산화형 폴리에틸렌, 산화형 폴리프로필렌, 산화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셀룰로스, 에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계 분산제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고분자계 분산제는, 단량체의 분산 안정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에틸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산화형 폴리에틸렌, 산화형 폴리프로필렌, 및 산화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어도 된다.
고분자계 분산제의 사용량은, 사용량에 대한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는 관점, 및 경제적인 관점에서, 단량체 수용액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10질량부여도 되고, 0.08~5질량부여도 되며, 0.1~3질량부여도 된다.
탄화수소 분산매는, 탄소수 6~8의 쇄상 지방족 탄화수소, 및 탄소수 6~8의 지환식 탄화수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탄화수소 분산매로서는, n-헥세인, n-헵테인, 2-메틸헥세인, 3-메틸헥세인, 2,3-다이메틸펜테인, 3-에틸펜테인, n-옥테인 등의 쇄상 지방족 탄화수소; 사이클로헥세인, 메틸사이클로헥세인, 사이클로펜테인, 메틸사이클로펜테인, trans-1,2-다이메틸사이클로펜테인, cis-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테인, trans-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테인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 분산매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공업적으로 입수가 용이하고, 또한 품질이 안정되어 있는 관점에서, 탄화수소 분산매는, n-헵테인 및 사이클로헥세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동일한 관점에서, 상술한 탄화수소 분산매의 혼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되고 있는 엑솔헵테인(엑슨 모빌사제: n-헵테인 및 이성체의 탄화수소 75~85% 함유)을 이용해도 된다.
탄화수소 분산매의 사용량은, 중합열을 적절하게 제거하여, 중합 온도를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단량체 수용액 100질량부에 대하여, 30~1000질량부여도 되고, 40~500질량부여도 되며, 50~300질량부여도 된다. 탄화수소 분산매의 사용량이 30질량부 이상임으로써, 중합 온도의 제어가 용이한 경향이 있다. 탄화수소 분산매의 사용량이 1000질량부 이하임으로써, 중합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어, 경제적이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수용성이어도 되고, 예를 들면 과황산 칼륨, 과황산 암모늄, 과황산 나트륨 등의 과황산염;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메틸아이소뷰틸케톤퍼옥사이드, 다이-t-뷰틸퍼옥사이드, t-뷰틸큐밀퍼옥사이드, t-뷰틸퍼옥시아세테이트, t-뷰틸퍼옥시아이소뷰티레이트, t-뷰틸퍼옥시피발레이트, 과산화 수소 등의 과산화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2,2'-아조비스[2-(N-페닐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2,2'-아조비스[2-(N-알릴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페인] 2염산염, 2,2'-아조비스{2-[1-(2-하이드록시에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페인} 2염산염, 2,2'-아조비스{2-메틸-N-[1,1-비스(하이드록시메틸)-2-하이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마이드}, 2,2'-아조비스[2-메틸-N-(2-하이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마이드], 4,4'-아조비스(4-사이아노발레르산) 등의 아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과황산 칼륨, 과황산 암모늄, 과황산 나트륨,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페인] 2염산염, 및 2,2'-아조비스{2-[1-(2-하이드록시에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페인} 2염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어도 된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몰에 대하여 0.00005~0.01몰이어도 된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0.00005몰 이상이면, 중합 반응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효율적이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0.01몰 이하이면, 급격한 중합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
상술한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아황산 나트륨, 아황산 수소 나트륨, 황산 제1철, L-아스코브산 등의 환원제와 병용하여, 레독스 중합 개시제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중합 반응 시, 중합에 이용하는 단량체 수용액은, 연쇄 이동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연쇄 이동제로서는, 차아인산염류, 싸이올류, 싸이올산류, 제2급 알코올류, 아민류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성 수지 입자의 입자경을 제어하기 위하여, 중합에 이용하는 단량체 수용액은, 증점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증점제로서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아크릴산,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폴리에틸렌이민, 덱스트린, 알긴산 나트륨, 폴리바이닐알코올, 폴리바이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 시의 교반 속도가 동일하면, 단량체 수용액의 점도가 높을수록, 얻어지는 입자의 중위 입자경은 커지는 경향이 있다.
중합 시에 자기 가교에 의한 가교가 발생할 수 있지만, 내부 가교제를 더 이용함으로써 가교를 실시해도 된다. 내부 가교제를 이용하면, 흡수성 수지 입자의 흡수 특성을 제어하기 쉽다. 내부 가교제는, 통상, 중합 반응 시에 반응액에 첨가된다. 내부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글라이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글리세린 등의 폴리올류의 다이 또는 트라이(메트)아크릴산 에스터류; 상술한 폴리올류와 불포화산(말레산, 푸마르산 등)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터류; N,N'-메틸렌비스(메트)아크릴아마이드 등의 비스(메트)아크릴아마이드류; 폴리에폭사이드와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다이 또는 트라이(메트)아크릴산 에스터류;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와 (메트)아크릴산 하이드록시에틸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다이(메트)아크릴산 카밤일에스터류; 알릴화 전분, 알릴화 셀룰로스, 다이알릴프탈레이트, N,N',N''-트라이알릴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다이바이닐벤젠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 (폴리)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트라이글리시딜에터,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폴리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터 등의 폴리글리시딜 화합물; 에피클로로하이드린, 에피브로모하이드린, α-메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등의 할로에폭시 화합물;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2,4-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 등의, 반응성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내부 가교제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내부 가교제로서는, 폴리글리시딜 화합물이어도 되고, 다이글리시딜에터 화합물이어도 되며, (폴리)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및 (폴리)글리세린다이글리시딜에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어도 된다.
내부 가교제의 사용량은, 얻어지는 중합체가 적절하게 가교됨으로써 수용성의 성질이 억제되어, 충분한 흡수량이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몰당, 0밀리몰 이상, 0.02밀리몰 이상, 0.03밀리몰 이상, 0.04밀리몰 이상, 또는 0.05밀리몰 이상이어도 되고, 0.1몰 이하여도 된다. 특히, 다단의 역상 현탁 중합의 중합, 1단째의 중합에 있어서, 내부 가교제의 양이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몰당 0.03밀리몰 이상이면, 스며들기 지수가 큰 흡수성 수지 입자가 얻어지기 쉽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라디칼 중합 개시제, 필요에 따라 내부 가교제 등을 포함하는 수상(水相)과, 탄화수소계 분산제와 필요에 따라 계면활성제, 고분자계 분산제 등을 포함하는 유상(油相)을 혼합한 상태에 있어서 교반하에서 가열하여, 유중수계에 있어서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할 수 있다.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할 때에는, 계면활성제(필요에 따라 추가로, 고분자계 분산제)의 존재하에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수용액을 탄화수소 분산매에 분산시킨다. 이때, 중합 반응을 개시하기 전이면, 계면활성제, 고분자계 분산제 등의 첨가 시기는, 단량체 수용액의 첨가의 전후 어느 쪽이어도 된다.
그중에서도,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에 잔존하는 탄화수소 분산매의 양을 저감시키기 쉬운 관점에서, 고분자계 분산제를 분산시킨 탄화수소 분산매에 단량체 수용액을 분산시킨 후에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분산시키고 나서 중합을 행해도 된다.
역상 현탁 중합은, 1단, 또는 2단 이상의 다단으로 행할 수 있다. 역상 현탁 중합은, 생산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2~3단으로 행해도 된다.
2단 이상의 다단으로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하는 경우에는, 1단째의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한 후, 1단째의 중합 반응으로 얻어진 반응 혼합물에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1단째와 동일한 방법으로 2단째 이후의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하면 된다. 2단째 이후의 각 단에 있어서의 역상 현탁 중합에서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외에, 상술한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2단째 이후의 각 단에 있어서의 역상 현탁 중합 시에 첨가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상술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대한 각 성분의 몰비의 범위 내에서 첨가하여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해도 된다. 또한, 2단째 이후의 각 단에 있어서의 역상 현탁 중합에서는, 필요에 따라 내부 가교제를 이용해도 된다. 내부 가교제를 이용하는 경우는, 각 단에 제공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상술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대한 각 성분의 몰비의 범위 내에서 첨가하여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해도 된다.
중합 반응의 온도는, 사용하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에 따라 다르지만, 중합을 신속하게 진행시켜, 중합 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경제성을 높임과 함께, 용이하게 중합열을 제거하여 원활하게 반응을 행하는 관점에서, 20~150℃여도 되고, 40~120℃여도 된다. 반응 시간은, 통상, 0.5~4시간이다. 중합 반응의 종료는, 예를 들면 반응계 내의 온도 상승의 정지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체는, 통상, 함수(含水) 젤상 중합체의 상태로 얻어진다.
중합 후, 얻어진 함수 젤상 중합체에 가교제를 첨가하여 가열함으로써, 중합 후 가교를 실시해도 된다. 중합 후 가교를 행함으로써 함수 젤상 중합체의 가교도를 높이며, 그로써 흡수성 수지 입자의 흡수 특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중합 후 가교를 행하기 위한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1,4-뷰테인다이올,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글라이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글리세린 등의 폴리올; (폴리)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및 (폴리)글리세린다이글리시딜에터 등의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 에피클로로하이드린, 에피브로모하이드린, 및 α-메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등의 할로에폭시 화합물; 2,4-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및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2개 이상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 1,2-에틸렌비스옥사졸린 등의 옥사졸린 화합물; 에틸렌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 화합물; 비스[N,N-다이(β-하이드록시에틸)]아디프아마이드 등의 하이드록시알킬아마이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가교제는, (폴리)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트라이글리시딜에터,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폴리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터 등의 폴리글리시딜 화합물이어도 된다. 이들 가교제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중합 후 가교에 이용되는 가교제의 양은, 얻어지는 함수 젤상 중합체가 적절하게 가교됨으로써 적합한 흡수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관점에서,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몰당, 0~0.03몰이어도 되고, 0~0.01몰이어도 되며, 0.00001~0.005몰이어도 된다. 중합 후 가교에 이용되는 가교제의 양이 상기 범위 내이면, 스며들기 지수가 큰 흡수성 수지 입자가 얻어지기 쉽다.
중합 후 가교의 첨가 시기로서는, 중합에 이용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 후이면 되고, 다단 중합의 경우는, 다단 중합 후에 첨가되어도 된다. 또한, 중합 시 및 중합 후의 발열, 공정 지연에 의한 체류, 가교제 첨가 시의 계의 개방, 및 가교제 첨가에 따른 물의 첨가 등에 의한 수분의 변동을 고려하여, 중합 후 가교의 가교제는, 함수율(후술)의 관점에서, [중합 직후의 함수율±3질량%]의 영역에서 첨가해도 된다.
이어서, 얻어진 함수 젤상 중합체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건조를 행한다. 건조에 의하여,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입자가 얻어진다. 건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a) 함수 젤상 중합체가 탄화수소 분산매에 분산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가열함으로써 공비(共沸) 증류를 행하여, 탄화수소 분산매를 환류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 (b) 데칸테이션에 의하여 함수 젤상 중합체를 취출하여, 감압 건조하는 방법, (c) 필터에 의하여 함수 젤상 중합체를 여과 분리하여, 감압 건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간편함으로부터, (a)의 방법을 이용해도 된다.
중합 반응 시의 교반기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혹은, 중합 반응 후 또는 건조의 초기에 있어서 응집제를 계 내에 첨가함으로써 흡수성 수지 입자의 입자경을 조정할 수 있다. 응집제를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 입자의 입자경을 크게 할 수 있다. 응집제로서는, 무기 응집제를 이용할 수 있다. 무기 응집제(예를 들면 분말상 무기 응집제)는, 실리카,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산화 알루미늄, 탤크, 이산화 타이타늄, 카올린, 클레이, 하이드로탈사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응집 효과가 우수한 관점에서, 응집제로서는, 실리카, 산화 알루미늄, 탤크 및 카올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어도 된다.
역상 현탁 중합에 있어서, 응집제를 첨가하는 방법은, 중합에서 이용되는 것과 동종(同種)의 탄화수소 분산매 또는 물에 응집제를 미리 분산시키고 나서, 교반하에서, 함수 젤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분산매 중에 혼합하는 방법이어도 된다.
응집제의 첨가량은, 중합에 사용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1질량부여도 되고, 0.005~0.5질량부여도 되며, 0.01~0.2질량부여도 된다. 응집제의 첨가량이 상술한 범위 내임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입도 분포를 갖는 흡수성 수지 입자가 얻어지기 쉽다.
흡수성 수지 입자의 제조에 있어서는, 건조 공정 또는 그 이후의 어느 하나의 공정에 있어서, 가교제를 이용하여 함수 젤상 중합체의 표면 부분의 가교(표면 가교)가 행해져도 된다. 표면 가교를 행함으로써, 흡수성 수지 입자의 흡수 특성을 제어하기 쉽다. 표면 가교는, 함수 젤상 중합체가 특정의 함수율인 타이밍에 행해져도 된다. 표면 가교의 시기는, 함수 젤상 중합체의 함수율이 5~50질량%인 시점이어도 되고, 10~40질량%인 시점이어도 되며, 15~35질량%인 시점이어도 된다. 또한, 함수 젤상 중합체의 함수율(질량%)은, 다음의 식으로 산출된다.
함수율=[Ww/(Ww+Ws)]×100
Ww: 전체 중합 공정의 중합 전의 단량체 수용액에 포함되는 수분량으로부터, 건조 공정에 의하여 계 외부로 배출된 수분량을 뺀 양에, 응집제, 표면 가교제 등을 혼합할 때에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수분량을 더한 함수 젤상 중합체의 수분량.
Ws: 함수 젤상 중합체를 구성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가교제, 개시제 등의 재료의 도입량으로부터 산출되는 고형분량.
표면 가교를 행하기 위한 가교제(표면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반응성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가교제로서는, 에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1,4-뷰테인다이올,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글라이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글리세린 등의 폴리올류; (폴리)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트라이글리시딜에터,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라이글리시딜에터,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폴리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터 등의 폴리글리시딜 화합물; 에피클로로하이드린, 에피브로모하이드린, α-메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등의 할로에폭시 화합물; 2,4-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3-메틸-3-옥세테인메탄올, 3-에틸-3-옥세테인메탄올, 3-뷰틸-3-옥세테인메탄올, 3-메틸-3-옥세테인에탄올, 3-에틸-3-옥세테인에탄올, 3-뷰틸-3-옥세테인에탄올 등의 옥세테인 화합물; 1,2-에틸렌비스옥사졸린 등의 옥사졸린 화합물; 에틸렌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 화합물; 비스[N,N-다이(β-하이드록시에틸)]아디프아마이드 등의 하이드록시알킬아마이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가교제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가교제는, 폴리글리시딜 화합물이어도 되고, (폴리)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트라이글리시딜에터,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폴리글리시딜에터, 및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어도 된다.
표면 가교제의 사용량은, 얻어지는 함수 젤상 중합체가 적절하게 가교됨으로써 적합한 흡수 특성을 나타내도록 하는 관점에서, 통상, 중합에 사용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몰에 대하여, 0.00001~0.02몰이어도 되고, 0.00005~0.01몰이어도 되며, 0.0001~0.005몰이어도 된다. 표면 가교제의 사용량이 0.00001몰 이상이면, 흡수성 수지 입자의 표면 부분에 있어서의 가교 밀도가 충분히 높여지고, 흡수성 수지 입자의 젤 강도를 높이기 쉽다. 표면 가교제의 사용량이 0.02몰 이하이면, 흡수성 수지 입자의 흡수량을 높이기 쉽다. 또, 표면 가교제의 사용량이 상기 범위 내이면, 스며들기 지수가 큰 흡수성 수지 입자가 얻어지기 쉽다.
표면 가교 후에 있어서, 공지의 방법으로 물 및 탄화수소 분산매를 증류 제거함으로써, 표면 가교된 흡수성 수지 입자의 건조품인 중합체 입자를 얻을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는, 중합체 입자만으로 구성되어 있어도 되지만, 예를 들면 젤 안정제, 금속 킬레이트제(에틸렌다이아민 4아세트산 및 그 염,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5아세트산 및 그 염, 예를 들면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5아세트산 5나트륨 등), 및 유동성 향상제(활제(滑劑)) 등으로부터 선택되는 각종 추가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성분은, 중합체 입자의 내부, 중합체 입자의 표면 상, 또는 그들의 양방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 성분은, 유동성 향상제(활제)여도 되고, 그중에서도 무기 입자여도 된다. 무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비정질 실리카 등의 실리카 입자를 들 수 있다.
흡수성 수지 입자는, 중합체의 표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무기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중합체 입자와 무기 입자를 혼합함으로써, 중합체 입자의 표면 상에 무기 입자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무기 입자는, 비정질 실리카 등의 실리카 입자여도 된다. 흡수성 수지 입자가 중합체 입자의 표면 상에 배치된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 중합체 입자의 질량에 대한 무기 입자의 비율은, 0.2질량% 이상, 0.5질량% 이상, 1.0질량% 이상, 또는 1.5질량% 이상이어도 되고, 5.0질량% 이하, 또는 3.5질량% 이하여도 된다. 여기에서의 무기 입자는, 통상, 중합체 입자의 크기와 비교하여 미소한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면, 무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이, 0.1~50μm, 0.5~30μm, 또는 1~20μm여도 된다. 여기에서의 평균 입자경은, 동적 광산란법, 또는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하여 측정되는 값일 수 있다. 무기 입자의 첨가량이 상술한 범위 내임으로써, 흡수성 수지 입자의 흡수 특성, 그중에서도, 스며들기 지수가 적합한 흡수성 수지 입자가 얻어지기 쉽다.
일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를 함유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는, 섬유상물을 함유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흡수성 수지 입자 및 섬유상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흡수체의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흡수성 수지 입자 및 섬유상물이 균일 혼합된 구성이어도 되고, 시트상 또는 층상으로 형성된 섬유상물의 사이에 흡수성 수지 입자가 끼워진 구성이어도 되며, 그 외의 구성이어도 된다.
섬유상물로서는, 미분쇄된 목재 펄프; 코튼; 코튼 린터; 레이온; 셀룰로스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스계 섬유; 폴리아마이드, 폴리에스터, 폴리올레핀 등의 합성 섬유; 이들 섬유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섬유상물은,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섬유상물로서는, 친수성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흡수체에 있어서의 흡수성 수지 입자의 질량 비율은, 흡수성 수지 입자 및 섬유상물의 합계에 대하여, 2~100질량%, 10~80질량% 또는 20~60질량%여도 된다.
흡수체의 사용 전 및 사용 중에 있어서의 형태 유지성을 높이기 위하여, 섬유상물에 접착성 바인더를 첨가함으로써 섬유끼리를 접착시켜도 된다. 접착성 바인더로서는, 열융착성 합성 섬유, 핫멜트 접착제, 접착성 에멀션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성 바인더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열융착성 합성 섬유로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전융형(全融型) 바인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나 심초 구조로 이루어지는 비전융형 바인더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비전융형 바인더에 있어서는, 폴리에틸렌 부분만 열융착할 수 있다.
핫멜트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코폴리머,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 스타이렌-에틸렌-뷰틸렌-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 스타이렌-에틸렌-프로필렌-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 어모퍼스 폴리프로필렌 등의 베이스 폴리머와, 점착 부여제, 가소제, 산화 방지제 등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접착성 에멀션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스타이렌, 아크릴로나이트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뷰틸아크릴레이트, 뷰타다이엔, 에틸렌, 및 아세트산 바이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단량체의 중합물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 이용되는 무기 분말(예를 들면 비정질 실리카), 소취제, 안료, 염료, 항균제, 향료, 점착제 등을 함유해도 된다. 이들 첨가제에 의하여, 흡수체에 다양한 기능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무기 입자로서는, 예를 들면 이산화 규소, 제올라이트, 카올린, 클레이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성 수지 입자가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 흡수체는 흡수성 수지 입자 중의 무기 입자와는 별개로 무기 분말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의 형상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시트상이어도 된다. 흡수체의 두께(예를 들면, 시트상의 흡수체의 두께)는, 예를 들면 0.1~20mm, 0.3~15mm여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흡수체를 보형하는 코어랩; 흡액 대상의 액이 침입하는 측의 최외부에 배치되는 액체 투과성 시트; 흡액 대상의 액이 침입하는 측과는 반대 측의 최외부에 배치되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성 물품으로서는, 기저귀(예를 들면 종이 기저귀), 화장실 트레이닝 팬츠, 실금 패드, 위생 재료(생리용 냅킨, 탐폰 등), 땀흡수 패드, 펫 시트, 간이 화장실용 부재, 동물 배설물 처리재 등을 들 수 있다.
도 3은, 흡수성 물품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100)은, 흡수체(10)와, 코어랩(20a, 20b)과, 액체 투과성 시트(30)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40)를 구비한다. 흡수성 물품(100)에 있어서, 액체 불투과성 시트(40), 코어랩(20b), 흡수체(10), 코어랩(20a), 및 액체 투과성 시트(30)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도 3에 있어서, 부재 사이에 간극이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는 부분이 있지만, 당해 간극이 존재하지 않고 부재 사이가 밀착되어 있어도 된다.
흡수체(10)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10a)와, 섬유상물을 포함하는 섬유층(10b)을 갖는다. 흡수성 수지 입자(10a)는, 섬유층(10b) 내에 분산되어 있다.
흡수성 수지 입자(10a)의 함유량은, 흡수체(10)가 흡수성 물품(100)에 사용될 때에 충분한 액체 흡수 성능이 보다 얻어지기 쉬워지는 관점에서, 흡수체(10)의 1평방미터당 100~1000g(즉 100~1000g/m2)이어도 되고, 150~800g/m2여도 되며, 200~700g/m2여도 된다. 흡수성 물품(100)으로서의 충분한 액체 흡수 성능을 발휘시키고, 특히 액체 누설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흡수성 수지 입자(10a)의 함유량은 100g/m2 이상이어도 되며, 젤 블로킹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고, 흡수성 물품(100)으로서 액체의 확산 성능을 발휘시키며, 또한 액체의 침투 속도를 개선하는 관점에서, 흡수성 수지 입자(10a)의 함유량은 1000g/m2 이하여도 된다.
섬유상물의 함유량은, 흡수체(10)가 흡수성 물품(100)에 사용될 때에도 충분한 액체 흡수 성능을 얻는 관점에서, 흡수체(10)의 1평방미터당 50~800g(즉 50~800g/m2)이어도 되고, 100~600g/m2여도 되며, 150~500g/m2여도 된다. 흡수성 물품(100)으로서의 충분한 액체 흡수 성능을 발휘시키고, 특히 젤 블로킹 현상의 발생을 억제하여 액체의 확산 성능을 높이며, 또한 흡수체(10)의 흡액 후의 강도를 높이는 관점에서, 섬유상물의 함유량은, 흡수체(10)의 1평방미터당 50g 이상(즉 50g/m2 이상)이어도 되고, 특히 액체 흡수 후의 역행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섬유상물의 함유량은, 흡수체(10)의 1평방미터당 800g 이하(즉 800g/m2 이하)여도 된다.
코어랩(20a)은, 흡수체(10)에 접한 상태로 흡수체(10)의 일방면 측(도 3 중, 흡수체(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코어랩(20b)은, 흡수체(10)에 접한 상태로 흡수체(10)의 타방면 측(도 3 중, 흡수체(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체(10)는, 코어랩(20a)과 코어랩(20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코어랩(20a, 20b)으로서는, 티슈, 부직포 등을 들 수 있다. 코어랩(20a) 및 코어랩(20b)은, 예를 들면 흡수체(10)와 동등한 크기의 주면(主面)을 갖고 있다.
액체 투과성 시트(30)는, 흡수 대상의 액이 침입하는 측의 최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액체 투과성 시트(30)는, 코어랩(20a)에 접한 상태로 코어랩(20a) 상에 배치되어 있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40)는, 흡수성 물품(100)에 있어서 액체 투과성 시트(30)와는 반대 측의 최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40)는, 코어랩(20b)에 접한 상태로 코어랩(20b)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액체 투과성 시트(30)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40)는, 예를 들면 흡수체(10)의 주면보다 넓은 주면을 갖고 있고, 액체 투과성 시트(30)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40)의 외연부는, 흡수체(10) 및 코어랩(20a, 20b)의 주위로 연장되어 있다.
흡수체(10), 코어랩(20a, 20b), 액체 투과성 시트(30),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40)의 대소 관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흡수성 물품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된다. 도 3에 나타나는 흡수체(10)는, 2매의 코어랩(20a, 20b)의 사이에 끼움으로써, 보형되어 있다. 흡수체를 보형하는 코어랩에 의하여 보형하는 방법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접힌 1매의 코어랩으로 흡수체를 사이에 끼워도 된다. 코어랩이 주머니체를 형성하고, 그 내부에 흡수체가 배치되어도 된다.
액체 투과성 시트(30)는, 당해 기술분야에서 통상 이용되는 수지 또는 섬유로 형성된 시트여도 된다. 액체 투과성 시트(30)는, 흡수성 물품에 이용될 때의 액체 침투성, 유연성 및 강도의 관점에서,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PE) 및 폴리프로필렌(PP) 등의 폴리올레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PET), 폴리트라이메틸렌테레프탈레이트(PTT) 및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PEN) 등의 폴리에스터, 나일론 등의 폴리아마이드, 및 레이온과 같은 합성 수지, 또는 이들 합성 수지를 포함하는 합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되고, 면, 견, 마, 또는 펄프(셀룰로스)를 포함하는 천연 섬유여도 된다. 액체 투과성 시트(30)의 강도를 높이는 등의 관점에서, 액체 투과성 시트(30)가 합성 섬유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합성 섬유가 특히,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에스터 섬유 또는 이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이들 소재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의 소재를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액체 투과성 시트(30)는, 부직포, 다공질 시트, 또는 이들의 조합이어도 된다. 부직포는, 섬유를 짜지 않고 얽히게 한 시트이다. 부직포는, 단섬유(즉 스테이플)로 구성되는 부직포(단섬유 부직포)여도 되고, 장섬유(즉 필라멘트)로 구성되는 부직포(장섬유 부직포)여도 된다. 스테이플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지만, 일반적으로는 수백mm 이하의 섬유 길이를 갖고 있어도 된다.
액체 투과성 시트(30)는, 서멀 본드 부직포, 에어 스루 부직포, 레진 본드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멜트 블로 부직포, 에어레이드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 포인트 본드 부직포, 또는 이들로부터 선택되는 2종 이상의 부직포의 적층체여도 된다. 이들 부직포는, 예를 들면 상술한 합성 섬유 또는 천연 섬유에 의하여 형성된 것일 수 있다. 2종 이상의 부직포의 적층체는, 예를 들면 스펀 본드 부직포, 멜트 블로 부직포 및 스펀 본드 부직포를 갖고, 이들이 이 순서로 적층된 복합 부직포인 스펀 본드/멜트 블로/스펀 본드 부직포여도 된다. 액체 투과성 시트(30)는, 액체 누설 억제의 관점에서, 서멀 본드 부직포, 에어 스루 부직포, 스펀 본드 부직포, 또는 스펀 본드/멜트 블로/스펀 본드 부직포여도 된다.
액체 투과성 시트(30)로서 이용되는 부직포는, 흡수성 물품의 액체 흡수 성능의 관점에서, 적절한 친수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관점에서, 액체 투과성 시트(30)는, 종이 펄프 기술 협회에 의한 종이 펄프 시험 방법 No. 68(2000)의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되는 친수도가 5~200인 부직포여도 된다. 부직포의 상기 친수도는, 10~150이어도 된다. 종이 펄프 시험 방법 No. 68의 상세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WO2011/086843호를 참조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친수성을 갖는 부직포는, 예를 들면 레이온 섬유와 같이 적절한 친수도를 나타내는 섬유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어도 되고, 폴리올레핀 섬유, 폴리에스터 섬유와 같은 소수성의 화학 섬유를 친수화 처리하여 얻은 섬유에 의하여 형성된 것이어도 된다. 친수화 처리된 소수성의 화학 섬유를 포함하는 부직포를 얻는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소수성의 화학 섬유에 친수화제를 혼합한 것을 이용하여 스펀 본드법으로 부직포를 얻는 방법, 소수성 화학 섬유로 스펀 본드 부직포를 제작할 때에 친수화제를 동반시키는 방법, 소수성의 화학 섬유를 이용하여 얻은 스펀 본드 부직포에 친수화제를 함침시키는 방법을 들 수 있다. 친수화제로서는, 지방족 설폰산염, 고급 알코올 황산 에스터염 등의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제4급 암모늄염 등의 양이온계 계면활성제,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지방산 에스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소비탄 지방산 에스터 등의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폴리옥시알킬렌 변성 실리콘 등의 실리콘계 계면활성제, 및 폴리에스터계, 폴리아마이드계, 아크릴계, 유레테인계의 수지로 이루어지는 스테인·릴리스제 등이 이용된다.
액체 투과성 시트(30)는, 흡수성 물품에, 양호한 액체 침투성, 유연성, 강도 및 쿠션성을 부여할 수 있는 관점, 및 흡수성 물품의 액체 침투 속도를 빠르게 하는 관점에서, 적절하게 벌키하고, 단위면적당 중량이 큰 부직포여도 된다. 액체 투과성 시트(30)에 이용되는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5~200g/m2여도 되고, 8~150g/m2여도 되며, 10~100g/m2여도 된다. 액체 투과성 시트(30)에 이용되는 부직포의 두께는, 20~1400μm여도 되고, 50~1200μm여도 되며, 80~1000μm여도 된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40)는, 흡수성 물품(100)에 있어서 액체 투과성 시트(30)와는 반대 측의 최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40)는, 코어랩(20b)에 접한 상태로 코어랩(20b)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40)는, 예를 들면 흡수체(10)의 주면보다 넓은 주면을 갖고 있고, 액체 불투과성 시트(40)의 외연부는, 흡수체(10) 및 코어랩(20a, 20b)의 주위로 연장되어 있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40)는, 흡수체(10)에 흡수된 액체가 액체 불투과성 시트(40) 측으로부터 외부로 새어 나가는 것을 방지한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40)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 바이닐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 내수성의 멜트 블론 부직포를 고강도의 스펀 본드 부직포 사이에 끼운 스펀 본드/멜트 블로/스펀 본드(SMS) 부직포 등의 부직포로 이루어지는 시트, 이들 합성 수지와 부직포(예를 들면, 스펀 본드 부직포, 스펀 레이스 부직포)의 복합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40)는, 장착 시의 습함이 저감되어, 착용자에게 주는 불쾌감을 경감시킬 수 있는 등의 관점에서, 통기성을 갖고 있어도 된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40)로서,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를 주체로 하는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를 이용할 수 있다. 흡수성 물품의 착용감을 저해하지 않도록, 유연성을 확보하는 관점에서, 액체 불투과성 시트(40)는, 예를 들면 단위면적당 중량이 10~50g/m2인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여도 된다.
흡수성 물품(100)은, 예를 들면 흡수체(10)를 코어랩(20a, 20b)의 사이에 배치하고, 이들을 액체 투과성 시트(30)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40)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할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40), 코어랩(20b), 흡수체(10), 코어랩(20a), 및 액체 투과성 시트(30)의 순서로 적층된 적층체가, 필요에 따라 가압된다.
흡수체(10)는, 흡수성 수지 입자(10a)를 섬유상물과 혼합함으로써 형성된다. 상기 스며들기 지수가 10.0 이상이고, 생리 식염수에 대한 흡수량이 50.0g 이상인 흡수성 수지 입자를 선별하며, 이것을 선택적으로 이용하여 흡수체(10)를 형성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 흡수체 또는 흡수성 물품을 이용한 흡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액 방법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 흡수체 또는 흡수성 물품에 흡액 대상의 액을 접촉시키는 공정을 구비한다.
실시예
이하에 실시예를 들어 본 발명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실시예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수성 수지 입자의 제조>
[실시예 1의 흡수성 수지 입자의 제조]
제1단째의 중합 반응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질소 가스 도입관, 및 교반기로서, 날개 직경 5cm의 4매 경사 패들 날개를 2단으로 갖는 교반 날개를 구비한 내경 11cm, 내용적 2L의 둥근 바닥 원통형 세퍼러블 플라스크를 준비했다. 이 플라스크에, n-헵테인 293g, 및 고분자계 분산제로서의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미쓰이 가가쿠 주식회사, 하이왁스 1105A) 0.736g을 넣었다. 플라스크 내의 반응액을 교반하면서 80℃까지 승온시켜, 고분자계 분산제를 n-헵테인에 용해시켰다. 그 후, 반응액을 50℃까지 냉각했다.
내용적 300mL의 비커에, 농도 80.5질량%의 아크릴산 수용액 92.0g(1.03몰)을 넣었다. 비커를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아크릴산 수용액에 대하여 농도 20.9질량%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147.7g을 적하하고, 그로써 75몰%의 아크릴산을 중화했다. 이어서, 아크릴산 용액에, 증점제로서 하이드록실에틸셀룰로스 0.092g(스미토모 세이카 주식회사, HECAW-15F),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 과황산 칼륨 0.0736g(0.272밀리몰), 내부 가교제로서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0.010g(0.057밀리몰)을 용해시켜, 제1단째의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제1단째의 단량체 수용액을 세퍼러블 플라스크 내의 상술한 반응액에 첨가하고, 반응액을 10분간 교반했다. 이어서, n-헵테인 6.62g 및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터(HLB: 3, 미쓰비시 가가쿠 푸즈 주식회사, 료토 슈가에스터 S-370) 0.736g을 포함하는 계면활성제 용액을 반응액에 첨가하고, 교반 날개의 회전수를 550rpm으로 하여 반응액을 교반하면서, 계 내를 질소로 충분히 치환했다. 그 후, 세퍼러블 플라스크를 70℃의 수욕 중에서 가열하면서, 60분간에 걸쳐 중합 반응을 진행시켰다. 이 중합 반응에 의하여, 함수 젤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제1단째의 중합 슬러리액을 얻었다.
제2단째의 중합 반응
내용적 500mL의 비커에 농도 80.5질량%의 아크릴산 수용액 128.8g(1.43몰)을 넣었다. 비커를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아크릴산 수용액에 대하여, 농도 27질량%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159.0g을 적하하고, 그로써 75몰%의 아크릴산을 중화했다. 이어서, 아크릴산 수용액에, 과황산 칼륨 0.090g(0.334밀리몰)을 용해시켜, 제2단째의 단량체 수용액을 조제했다.
세퍼러블 플라스크 내의 제1단째의 중합 슬러리액을, 교반 날개의 회전수를 1000rpm으로 하여 교반하면서, 25℃로 냉각했다. 거기에, 제2단째의 단량체 수용액의 전체량을 첨가하고, 계속해서 계 내를 질소로 30분간에 걸쳐 치환했다. 그 후, 세퍼러블 플라스크를 70℃의 수욕 중에서 가열하면서, 60분간에 걸쳐 중합 반응을 진행시켰다. 중합 후 가교를 위한 가교제로서 2질량%의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수용액 0.580g(0.067밀리몰)을 첨가하여, 함수 젤상 중합체를 얻었다.
함수 젤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응액에, 농도 45질량%의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5아세트산 5나트륨 수용액 0.265g을 교반하에서 첨가했다. 그 후, 125℃로 설정한 유욕(油浴)에 플라스크를 침지하고, n-헵테인과 물의 공비 증류에 의하여, 247.9g의 물을 계 외로 빼냈다. 그 후, 반응액에 표면 가교제로서 농도 2질량%의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수용액 4.42g(0.507밀리몰)을 첨가하고, 83℃에서 2시간 동안, 표면 가교제에 의한 가교 반응을 진행시켰다.
표면 가교 반응 후의 반응액으로부터, 125℃에서의 가열에 의하여, n-헵테인을 증류 제거하여, 중합체 입자(건조품)를 얻었다. 이 중합체 입자를 눈 크기 850μm의 체에 통과시켰다. 그 후, 중합체 입자의 질량에 대하여 0.5질량%의 비정질 실리카(오리엔탈 실리카즈 코포레이션, 토쿠실 NP-S)를 중합체 입자에 혼합하여, 비정질 실리카를 포함하는 흡수성 수지 입자를 231.0g 얻었다. 그 흡수성 수지 입자의 중위 입자경은 355μm였다.
[실시예 2의 흡수성 수지 입자의 제조]
공비 증류에 의하여 함수 젤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응액으로부터 빼낸 물의 양이 239.7g이었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수순으로, 비정질 실리카를 포함하는 흡수성 수지 입자 229.2g을 얻었다. 그 흡수성 수지 입자의 중위 입자경은 377μm였다.
[실시예 3의 흡수성 수지 입자의 제조]
제1단째의 중합 반응에 있어서의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0.092g(0.339밀리몰), 및 과황산 칼륨 0.018g(0.068밀리몰)으로 변경하고, 제2단째의 중합 반응에 있어서의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0.129g(0.475밀리몰), 및 과황산 칼륨 0.026g(0.095밀리몰)으로 변경하며, 공비 증류에 의하여 함수 젤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응액으로부터 빼낸 물의 양이 238.5g이었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수순으로, 중합체 입자(건조품)를 얻었다. 중합체 입자(건조품)의 질량에 대하여, 0.2질량%의 비정질 실리카(오리엔탈 실리카즈 코포레이션, 토쿠실 NP-S)를 중합체 입자에 혼합하여, 비정질 실리카를 포함하는 흡수성 수지 입자를 232.1g 얻었다. 그 흡수성 수지 입자의 중위 입자경은 396μm였다.
[실시예 4의 흡수성 수지 입자의 제조]
제1단째의 중합 반응에 있어서의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0.092g(0.339밀리몰), 및 과황산 칼륨 0.018g(0.068밀리몰)으로 변경하고, 제2단째의 중합 반응에 있어서의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0.129g(0.475밀리몰), 및 과황산 칼륨 0.026g(0.095밀리몰)으로 변경하며, 공비 증류에 의하여 함수 젤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응액으로부터 빼낸 물의 양이 238.5g이었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수순으로, 중합체 입자(건조품)를 얻었다.
중합체 입자(건조품)의 질량에 대하여 2.0질량%의 비정질 실리카(오리엔탈 실리카즈 코포레이션, 토쿠실 NP-S)를 중합체 입자에 혼합하여, 비정질 실리카를 포함하는 흡수성 수지 입자 232.2g을 얻었다. 그 흡수성 수지 입자의 중위 입자경은 393μm였다.
[비교예 1의 흡수성 수지 입자의 제조]
제2단째의 중합 반응에 있어서, 아크릴산 수용액에, 과황산 칼륨 0.090g(0.334밀리몰)과 함께, 내부 가교제로서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0.0116g(0.067밀리몰)을 용해시킨 것, 중합 후 가교를 위한 가교제를 첨가하지 않았던 것, 공비 증류에 의하여 함수 젤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응액으로부터 빼낸 물의 양이 256.1g이었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수순으로, 중합체 입자(건조품)를 얻었다.
중합체 입자(건조품)의 질량에 대하여, 0.1질량%의 비정질 실리카(오리엔탈 실리카즈 코포레이션, 토쿠실 NP-S)를 중합체 입자에 혼합하여, 비정질 실리카를 포함하는 흡수성 수지 입자 230.8g을 얻었다. 그 흡수성 수지 입자의 중위 입자경은 349μm였다.
[비교예 2의 흡수성 수지 입자의 제조]
제1단째의 중합 반응에 있어서,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0.092g(0.339밀리몰), 및 과황산 칼륨 0.018g(0.068밀리몰)으로, 내부 가교제를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0.0046g(0.026밀리몰)으로 변경한 것, 제2단째의 중합 반응에 있어서,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0.129g(0.475밀리몰), 및 과황산 칼륨 0.026g(0.095밀리몰)으로, 내부 가교제를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0.0116g(0.067밀리몰)으로 변경한 것, 중합 후 가교를 위한 가교제를 첨가하지 않았던 것, 공비 증류에 의하여 함수 젤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응액으로부터 빼낸 물의 양이 234.2g이었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수순으로, 중합체 입자(건조품)를 얻었다.
중합체 입자의 질량에 대하여 0.2질량%의 비정질 실리카(오리엔탈 실리카즈 코포레이션, 토쿠실 NP-S)를 중합체 입자에 혼합하여, 비정질 실리카를 포함하는 흡수성 수지 입자 229.6g을 얻었다. 그 흡수성 수지 입자의 중위 입자경은 355μm였다.
[비교예 3의 흡수성 수지 입자의 제조]
제1단째의 중합 반응에 있어서,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0.092g(0.339밀리몰), 및 과황산 칼륨 0.018g(0.068밀리몰)으로, 내부 가교제를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0.0046g(0.026밀리몰)으로 변경한 것, 제2단째의 중합 반응에 있어서,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0.129g(0.475밀리몰), 및 과황산 칼륨 0.026g(0.095밀리몰)으로, 내부 가교제를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0.0116g(0.067밀리몰)으로 변경한 것, 중합후 가교제를 첨가하지 않았던 것, 공비 증류에 의하여 함수 젤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응액으로부터 빼낸 물의 양이 223.7g이었던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수순으로, 중합체 입자(건조품)를 얻었다.
중합체 입자의 질량에 대하여 0.2질량%의 비정질 실리카(오리엔탈 실리카즈 코포레이션, 토쿠실 NP-S)를 중합체 입자에 혼합하여, 비정질 실리카를 포함하는 흡수성 수지 입자 229.6g을 얻었다. 그 흡수성 수지 입자의 중위 입자경은 346μm였다.
[비교예 4의 흡수성 수지 입자의 제조]
제1단째의 중합 반응에 있어서,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0.092g(0.339밀리몰), 및 과황산 칼륨 0.018g(0.068밀리몰)으로, 내부 가교제를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0.0046g(0.026밀리몰)으로 변경한 것, 제2단째의 중합 반응에 있어서,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0.129g(0.475밀리몰), 및 과황산 칼륨 0.026g(0.095밀리몰)으로 변경하고, 내부 가교제를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0.0116g(0.067밀리몰)으로 변경한 것, 중합 후 가교를 위한 가교제를 첨가하지 않았던 것, 공비 증류에 의하여 함수 젤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반응액으로부터 빼낸 물의 양이 219.2g이었던 것, 후 가교제를 농도 2질량%의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수용액 6.62g(0.761밀리몰)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수순으로, 중합체 입자(건조품)를 얻었다.
중합체 입자의 질량에 대하여 0.2질량%의 비정질 실리카(오리엔탈 실리카즈 코포레이션, 토쿠실 NP-S)를 중합체 입자에 혼합하여, 비정질 실리카를 포함하는 흡수성 수지 입자 229.6g을 얻었다. 그 흡수성 수지 입자의 중위 입자경은 356μm였다.
<중위 입자경>
흡수성 수지 입자 50g을 중위 입자경 측정용으로 이용했다.
JIS 표준 체를 위로부터, 눈 크기 850μm의 체, 눈 크기 500μm의 체, 눈 크기 425μm의 체, 눈 크기 300μm의 체, 눈 크기 250μm의 체, 눈 크기 180μm의 체, 눈 크기 150μm의 체, 및 받침 접시의 순서로 조합했다.
조합한 가장 위의 체에, 흡수성 수지 입자를 넣고, 로 탭식 진탕기를 이용하여 20분간 진탕시켜 분급했다. 분급 후, 각 체 위에 남은 흡수성 수지 입자의 질량을 전체량에 대한 질량 백분율로서 산출하여 입도 분포를 구했다. 이 입도 분포에 관하여 입자경이 큰 쪽부터 순서대로 체 위를 적산함으로써, 체의 눈 크기와 체 위에 남은 흡수성 수지 입자의 질량 백분율의 적산값의 관계를 대수 확률지에 플롯했다. 확률지 상의 플롯을 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적산 질량 백분율 50질량%에 상당하는 입자경을 중위 입자경으로 했다.
<생리 식염수의 흡수량(g/g)>
500ml 용량의 비커에, 0.9질량% 염화 나트륨 수용액(생리 식염수) 500g을 칭량하여, 마그네틱 스터러 바(8mmφ×30mm의 링 없음)로, 600r/min으로 교반시키면서, 흡수성 수지 입자 2.0g을, 뭉치지 않도록 분산시켰다. 교반시킨 상태에서 60분간 방치하여, 흡수성 수지 입자를 충분히 팽윤시켰다. 그 후, 미리 눈 크기 75μm 표준 체의 질량 Wa(g)를 측정해 두고, 이것을 이용하여, 상기 비커의 내용물을 여과하고, 체를 수평에 대하여 약 30도의 경사각이 되도록 경사진 상태로, 30분간 방치함으로써 잉여의 수분을 여과 분리했다. 팽윤 젤이 들어간 체의 질량 Wb(g)를 측정하고, 이하의 식에 의하여, 생리 식염수 흡수능을 구했다.
생리 식염수의 흡수량=(Wb-Wa)/2.0
<흡수성 수지 입자의 하중하의 흡수량>
흡수성 수지 입자의 하중하(가압하)의 생리 식염수의 흡수량(실온, 25℃±2℃)을, 도 4에 나타내는 측정 장치(Y)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측정 장치(Y)는, 뷰렛부(71), 도관(72), 측정대(73), 및 측정대(73) 상에 놓인 측정부(74)로 구성된다. 뷰렛부(71)는, 연직 방향으로 뻗는 뷰렛(71a)과, 뷰렛(71a)의 상단(上端)에 배치된 고무 마개(71b)와, 뷰렛(71a)의 하단에 배치된 콕(71c)과, 콕(71c)의 근방에 있어서 일단(一端)이 뷰렛(71a) 내로 뻗는 공기 도입관(71d)과, 공기 도입관(71d)의 타단(他端) 측에 배치된 콕(71e)을 갖고 있다. 도관(72)은, 뷰렛부(71)와, 측정대(73)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도관(72)의 내경은 6mm이다. 측정대(73)의 중앙부에는, 직경 2mm의 구멍이 뚫려 있고, 도관(72)이 연결되어 있다. 측정부(74)는, 원통(74a)(아크릴 수지(플렉시 글라스)제)과, 원통(74a)의 바닥부에 접착된 나일론 메시(74b)와, 저울추(74c)를 갖고 있다. 원통(74a)의 내경은 20mm이다. 나일론 메시(74b)의 눈 크기는 75μm(200메시)이다. 그리고, 측정 시에는 나일론 메시(74b) 상에 측정 대상의 흡수성 수지 입자(75)가 균일하게 살포된다. 저울추(74c)의 직경은 19mm이며, 저울추(74c)의 질량은 120g이다. 저울추(74c)는, 흡수성 수지 입자(75) 상에 놓이고, 흡수성 수지 입자(75)에 대하여 4.14kPa의 하중을 가할 수 있다.
측정 장치(Y)의 원통(74a) 내에 0.100g의 흡수성 수지 입자(75)를 넣은 후, 저울추(74c)를 올려 측정을 개시했다. 흡수성 수지 입자(75)가 흡수한 생리 식염수와 동일 용적의 공기가, 공기 도입관에서, 신속하게 또한 원활하게 뷰렛(71a)의 내부로 공급되기 때문에, 뷰렛(71a)의 내부의 생리 식염수의 수위의 감량이, 흡수성 수지 입자(75)가 흡수한 생리 식염수량이 된다. 뷰렛(71a)의 눈금은, 위에서 아랫 방향으로 0mL부터 0.5mL 단위로 각인되어 있으며, 생리 식염수의 수위로서, 흡수 개시 전의 뷰렛(71a)의 눈금 Va와, 흡수 개시부터 60분 후의 뷰렛(71a)의 눈금 Vb를 판독하여, 하기 식으로부터 하중하의 흡수량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하중하 흡수량[mL/g]=(Vb-Va)/0.1
<무가압 DW(Demand Wettability)의 1분 값의 측정>
흡수성 수지 입자의 무가압 DW는, 도 1에 나타내는 측정 장치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측정은 1종류의 흡수성 수지 입자에 관하여 5회 실시하고, 최젓값과 최곳값을 제외한 3점의 측정값의 평균값을 구했다.
당해 측정 장치는, 뷰렛부(1), 도관(5), 측정대(13), 나일론 메시 시트(15), 가대(11), 및 클램프(3)를 갖는다. 뷰렛부(1)는, 눈금이 기재된 뷰렛관(21)과, 뷰렛관(21)의 상부의 개구를 밀전(密栓)하는 고무 마개(23)와, 뷰렛관(21)의 하부의 선단(先端)에 연결된 콕(22)과, 뷰렛관(21)의 하부에 연결된 공기 도입관(25) 및 콕(24)을 갖는다. 뷰렛부(1)는 클램프(3)로 고정되어 있다. 평판상의 측정대(13)는, 그 중앙부에 형성된 직경 2mm의 관통 구멍(13a)을 갖고 있고, 높이가 가변인 가대(11)에 의하여 지지되어 있다. 측정대(13)의 관통 구멍(13a)과 뷰렛부(1)의 콕(22)이 도관(5)에 의하여 연결되어 있다. 도관(5)의 내경은 6mm이다.
측정은 온도 25℃, 습도 60±10%의 환경하에서 행해졌다. 먼저 뷰렛부(1)의 콕(22)과 콕(24)을 닫고, 25℃로 조절된 0.9질량% 식염수(50)를 뷰렛관(21) 상부의 개구로부터 뷰렛관(21)에 넣었다. 식염수의 농도 0.9질량%는, 식염수의 질량을 기준으로 하는 농도이다. 고무 마개(23)로 뷰렛관(21)의 개구를 밀전한 후, 콕(22) 및 콕(24)을 열었다.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도관(5) 내부를 0.9질량% 식염수(50)로 채웠다. 관통 구멍(13a) 내로 도달한 0.9질량% 식염수의 수면의 높이가, 측정대(13)의 상면의 높이와 동일하게 되도록, 측정대(13)의 높이를 조정했다. 조정 후, 뷰렛관(21) 내의 0.9질량% 식염수(50)의 수면의 높이를 뷰렛관(21)의 눈금으로 판독하여, 그 위치를 제로점(0초 시점의 판독값)으로 했다.
측정대(13) 상의 관통 구멍(13)의 근방에서, 나일론 메시 시트(15)(100mm×100mm, 250메시, 두께 약 50μm)를 깔아, 그 중앙부에, 내경 30mm, 높이 20mm의 실린더를 두었다. 이 실린더에, 1.00g의 흡수성 수지 입자(10a)를 균일하게 살포했다. 그 후, 실린더를 주의 깊게 제거하여, 나일론 메시 시트(15)의 중앙부에 흡수성 수지 입자(10a)가 원상으로 분산된 샘플을 얻었다. 이어서, 흡수성 수지 입자(10a)가 재치된 나일론 메시 시트(15)를, 그 중심이 관통 구멍(13a)의 위치가 되도록, 흡수성 수지 입자(10a)가 산일(散逸)되지 않을 정도로 빠르게 이동시켜, 측정을 개시했다. 공기 도입관(25)으로부터 뷰렛관(21) 내로 기포가 최초로 도입된 시점을 흡수 개시(0초)로 했다.
뷰렛관(21) 내의 0.9질량% 식염수(50)의 감소량(즉, 흡수성 수지 입자(10a)가 흡수한 0.9질량% 식염수의 양)을 0.1mL 단위로 순차적으로 판독하고, 흡수성 수지 입자(10a)의 흡수 개시부터 기산하여 1분 후의 0.9질량% 식염수(50)의 감량분 Wc(g)를 판독했다. Wc로부터, 하기 식에 의하여 무가압 DW의 1분 값을 구했다. 무가압 DW는, 흡수성 수지 입자(10a)의 1.00g당 흡수량이다.
무가압 DW의 1분 값(mL/g)=Wc/1.00
<인공뇨의 조제>
이온 교환수에, 하기와 같이 무기염이 존재하도록 배합하여 용해시킨 것에, 소량의 청색 1호를 더 배합하여 인공뇨를 조제했다. 하기의 농도는, 인공뇨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는 농도이다.
인공뇨 조성
NaCl: 0.780질량%
CaCl2: 0.022질량%
MgSO4: 0.038질량%
청색 1호: 0.002질량%
<10배 팽윤 시의 인공뇨 통액 속도>
(a) 측정 장치의 설치
측정 장치로서, 도 2에 개략 구성을 나타낸 것을 이용했다. 측정부는, 나일론 메시 시트(250메시)(64)가 접착된, 내경 19mm, 외경 25mm, 높이 120mm이고, 약 30g의 무게를 갖는 아크릴 수지제의 원통상 용기 (A)(61)와, 동일한 나일론 메시 시트(63)가 접착된, 내경 26mm, 외경 40mm, 높이 140mm의 아크릴 수지제 원통상 용기 (B)(62)와 팽윤시킨 흡수성 수지 입자(10a)로 형성되며, 원통상 용기 (B)는 원통상 용기 (A)의 내부를 상하로 저항없이 이동할 수 있다. 샬레(66)는, 내경이 약 70mm인 크기를 갖고 있다.
(b) 통액 속도의 측정
측정은, 약 25℃, 습도 60±10%의 실내에서 행했다. 원통상 용기 (B)(62)에, 흡수성 수지 입자 0.20g을 균일하게 넣고, 상부로부터 원통상 용기 (A)(61)를 삽입하여, 측정부를 형성했다. 인공뇨 1.8g을 넣은 내경 30mm의 샬레에, 측정부의 메시 측을 침지하여 10분간 팽윤시켜, 흡수성 수지 입자를 10배 팽윤시켰다.
빈 샬레(66) 상에, 건조한 눈 크기 1.4mm(100mm×100mm)의 금망(金網)(67)을 재치한 상태로 질량(Wd)을 측정했다. 다음으로, 금망(67)의 중심부에 팽윤시킨 흡수성 수지 입자(10a)를 포함하는 측정부를 재치했다. 이어서, 원통상 용기 (A)(61)의 상부로부터 인공뇨 20g을 첨가함과 동시에 스톱 워치를 스타트시켰다. 인공뇨 투입으로부터 30초 후, 흡수성 수지 입자(10a)를 포함하는 측정부를 금망(67) 상으로부터 제거하고, 투입으로부터 30초간(0.5분간)이 경과할 때까지, 팽윤시킨 흡수성 수지 입자(10a)를 통과하여 유출한 인공뇨(65)를 포함하는 샬레(66)와 금망(67)의 합계 질량(We)을 측정하여, 인공뇨 통액 속도(g/분)를, 이하의 식에 의하여 구했다.
인공뇨 통액 속도(g/분)=(We-Wd)/0.5
<스며들기 지수>
스며들기 지수=무가압 DW의 1분 값+10배 팽윤 시의 인공뇨 통액 속도로 나타나는 스며들기 지수를 구했다.
<흡수성 수지 입자의 성능>
표 1에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 이용한 흡수성 수지 입자와 흡수성 수지 입자의 성능을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경사 누설 시험>
이하의 i), ii), iii), iv) 및 v)의 수순에 따라, 흡수성 수지 입자의 누설성을 평가했다.
i) 길이 15cm, 폭 5cm의 직사각형상의 점착 테이프(다이아텍스 주식회사제, 파이오란 테이프)를 점착면이 위가 되도록 실험대 상에 두고, 그 점착면 상에, 흡수성 수지 입자 3.0g을 균일하게 살포했다. 살포된 흡수성 수지 입자의 상부에, 스테인리스제 롤러(질량 4.0kg, 직경 10.5cm, 폭 6.0cm)를 올리고, 롤러를,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의 사이에서 3회 왕복시켰다. 이로써, 흡수성 수지 입자로 이루어지는 흡수층을 점착 테이프의 점착면 상에 형성했다.
ii) 점착 테이프를 수직으로 세워 들어올리고, 잉여의 흡수성 수지 입자를 흡수층으로부터 제거했다. 다시, 흡수층에 상기 롤러를 올리고, 점착 테이프의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양단의 사이에서 3회 왕복시켰다.
iii) 온도 25±2℃의 실내에 있어서, 길이 30cm, 폭 55cm의 직사각형의 평탄한 주면을 갖는 아크릴 수지판을, 그 폭 방향이 수평면에 평행하고, 그 주면과 수평면이 30도를 이루도록 고정했다. 고정된 아크릴판의 주면에, 흡수층이 형성된 점착 테이프를, 흡수층이 노출되고, 그 길이 방향이 아크릴 수지판의 폭 방향에 대하여 수직이 되는 방향으로 첩부했다.
iv) 흡수층의 상단으로부터 약 1cm의 위치이며 표면으로부터 약 1cm의 높이로부터, 액온 25℃의 시험액 0.25mL를, 마이크로 피펫(엠 에스 기키사제 피펫맨·네오 P1000N)을 이용하여, 1초 이내에 모두 주입했다.
v) 시험액의 주입 개시부터 30초 후에, 흡수층에 주입된 시험액의 이동 거리의 최댓값을 판독하여, 확산 거리 D로서 기록했다. 또한, 확산 거리 D는, 주면 상에 있어서, 적하점(주입점)과 최장 도달점을, 아크릴 수지판의 단변 수평면에 대하여 수직 방향의 직선으로 연결한 거리이다. 또한, 확산 거리 D가 14cm 이상인 경우는 액체 누설이 발생하고 있었다.
Figure pct00002
표 2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에서 얻어진 흡수성 수지 입자에 의하면, 비교예에서 얻어진 흡수성 수지 입자에 비하여, 액체 누설의 억제가 가능해지는 것이 나타났다.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의 제작>
[실시예 1의 흡수성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작]
기류형 혼합 장치(유한회사 오텍제, 패드 포머)를 이용하여, 실시예 1의 흡수성 수지 입자 10g 및 분쇄 펄프 9.5g을 공기 초조(抄造)에 의하여 균일 혼합함으로써, 12cm×32cm의 크기의 시트상의 흡수체를 제작했다. 흡수체를 평량 16g/m2의 티슈 페이퍼(코어랩) 상에 배치하고, 흡수체 상에, 티슈 페이퍼(코어랩), 및 단섬유 부직포인 에어 스루 부직포(액체 투과성 시트)를 이 순서로 적층했다. 이 적층체에 대하여, 588kPa의 하중을 30초간 가했다. 또한, 12cm×32cm의 크기의 폴리에틸렌제 액체 불투과성 시트를, 에어 스루 부직포와는 반대 측의 면에 첩부하여, 시험용 흡수성 물품(실시예 1의 흡수성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작했다. 사용한 에어 스루 부직포의 단위면적당 중량은, 17g/m2였다.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흡수성 수지 입자의 평량은, 280g/m2, 분쇄 펄프(친수성 섬유)의 평량은 260g/m2였다.
[실시예 2~4의 흡수성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작]
흡수성 수지 입자를 실시예 2~4의 흡수성 수지 입자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흡수성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과 동일하게 하여, 실시예 2~4의 흡수성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작했다.
[비교예 1~4의 흡수성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의 제작]
흡수성 수지 입자를 실시예 5~8의 흡수성 수지 입자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의 흡수성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과 동일하게 하여, 비교예 1~4의 흡수성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작했다.
<흡수성 물품의 구배 흡수 시험>
도 5는, 흡수성 물품의 누설성을 평가하는 방법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평탄한 주면을 갖는 길이 45cm의 지지판(1)(여기에서는 아크릴 수지판, 이하 경사면(S1)이라고도 한다)을, 수평면(S0)에 대하여 45±2도로 경사진 상태에서 가대(41)에 의하여 고정했다. 온도 25±2℃의 실내에 있어서, 고정된 지지판(1)의 경사면(S1) 상에, 시험용의 흡수성 물품(100)을, 그 길이 방향이 지지판(1)의 길이 방향을 따르는 방향으로 첩부했다. 이어서, 흡수성 물품(100) 내의 흡수체의 중앙으로부터 8cm 상방의 위치를 향하여, 흡수성 물품의 연직 상방에 배치된 적하 깔때기(42)로부터, 25±1℃로 조정한 시험액(50)(인공뇨)을 적하했다. 1회당 80mL의 시험액을, 8mL/초의 속도로 적하했다. 적하 깔때기(42)의 선단과 흡수성 물품의 거리는 10±1mm였다. 1회째의 시험액 투입 개시부터 10분 간격으로, 동일한 조건으로 시험액을 반복 투입하고, 시험액은 누설이 관측될 때까지 투입했다.
흡수성 물품(100)에 흡수되지 않았던 시험액이 지지판(1)의 하부로부터 새어 나온 경우, 새어 나온 시험액을 지지판(1)의 하방에 배치된 금속제 트레이(44) 내에 회수했다. 회수된 시험액의 중량(g)을 천칭(43)에 의하여 측정하고, 그 값을 누설량으로서 기록했다. 시험액의 전체 투입량으로부터 누설량을 뺌으로써, 누설이 발생할 때까지의 흡수량을 산출했다. 이 수치가 클수록, 착용 시에 있어서의 액체의 누설이 발생하기 어렵다고 판단된다.
Figure pct00003
표 3의 결과로부터, 실시예에서 얻어진 흡수성 수지 입자에 의하면, 비교예에서 얻어진 흡수성 수지 입자에 비하여, 액체 누설의 억제가 가능해지는 것이 나타났다.
1…뷰렛부
3…클램프
5…도관
10…흡수체
10a…흡수성 수지 입자
10b…섬유층
11…가대
13…측정대
13a…관통 구멍
15…나일론 메시 시트
20a, 20b…코어랩
21…뷰렛관
22…콕
23…고무 마개
24…콕
25…공기 도입관
30…액체 투과성 시트
40…액체 불투과성 시트
50…0.9질량% 식염수
61…원통상 용기 (A)
62…원통상 용기 (B)
63, 64…나일론 메시 시트
65…인공뇨
66…샬레
67…금망
71…뷰렛부
71a…뷰렛
71b…고무 마개
71c…콕
71d…공기 도입관
71e…콕
72…도관
73…측정대
74…측정부
74a…원통
74b…나일론 메시
74c…저울추
100…흡수성 물품
S0…수평면
S1…경사면

Claims (6)

  1. (메트)아크릴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를 갖는 가교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입자와, 상기 중합체 입자의 표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무기 입자를 포함하고, (메트)아크릴산 및 그 염의 비율이 상기 가교 중합체 중의 단량체 단위 전체량에 대하여 70~100몰%인, 흡수성 수지 입자로서,
    하기 식 (1):
    스며들기 지수=무가압 DW의 1분 값(mL/g)+10배 팽윤 시의 인공뇨 통액 속도(g/분)···(1)
    로 나타나는, 스며들기 지수가 10.0 이상이며,
    생리 식염수의 흡수량이 50.0g/g 이상인, 흡수성 수지 입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스며들기 지수가 13.0 이상인, 흡수성 수지 입자.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무가압 DW의 1분 값이, 3.0mL/g 이상인, 흡수성 수지 입자.
  4. 액체 불투과성 시트, 흡수체, 및 액체 투과성 시트를 구비하고, 상기 액체 불투과성 시트, 상기 흡수체 및 상기 액체 투과성 시트가 이 순서로 배치되어 있는, 흡수성 물품으로서,
    상기 흡수체가,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성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성 물품.
  5. 하기 식 (1):
    스며들기 지수=무가압 DW의 1분 값(mL/g)+10배 팽윤 시의 인공뇨 통액 속도(g/분)···(1)
    로 나타나는 스며들기 지수가 10.0 이상이고, 생리 식염수에 대한 흡수량이 50.0g 이상인, 흡수성 수지 입자를 선별하는 것과,
    선별된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를 포함하는 흡수체를, 액체 불투과성 시트 및 액체 투과성 시트의 사이에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고,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가, (메트)아크릴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단량체 단위를 갖는 가교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입자와, 상기 중합체 입자의 표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무기 입자를 포함하며,
    (메트)아크릴산 및 그 염의 비율이 상기 가교 중합체 중의 단량체 단위 전체량에 대하여 70~100몰%인, 흡수성 물품을 제조하는 방법.
  6. 청구항 5에 있어서,
    선별되는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의 무가압 DW의 1분 값이 3.0mL/g 이상인, 방법.
KR1020217019045A 2018-12-12 2019-12-12 흡수성 수지 입자와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0124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9)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8-232851 2018-12-12
JP2018232851 2018-12-12
JP2019014545 2019-01-30
JPJP-P-2019-014545 2019-01-30
JP2019055270A JP6710302B2 (ja) 2018-12-12 2019-03-22 吸水性樹脂粒子
JPJP-P-2019-055332 2019-03-22
JPJP-P-2019-055270 2019-03-22
JP2019055332A JP6710303B1 (ja) 2019-01-30 2019-03-22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PCT/JP2019/048818 WO2020122215A1 (ja) 2018-12-12 2019-12-12 吸水性樹脂粒子並びに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1246A true KR20210101246A (ko) 2021-08-18

Family

ID=76877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19045A KR20210101246A (ko) 2018-12-12 2019-12-12 흡수성 수지 입자와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EP (1) EP3896121A4 (ko)
KR (1) KR20210101246A (ko)
CN (1) CN113166440A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5819A (ja) 1993-06-08 1994-12-20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高吸水性樹脂の製造法
JPH09510889A (ja) 1994-03-29 1997-11-04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良好な湿潤一体性を有し、ヒドロゲルを形成する吸収性重合体の濃度が比較的高い、体液用吸収部材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TW522024B (en) * 1995-09-01 2003-03-01 Nippon Catalytic Chem Ind Absorbing agent composite, absorbent material, and absorbent product containing absorbent material
US7803880B2 (en) * 2003-09-19 2010-09-28 Nippon Shokubai Co., Ltd. Water absorbent and producing method of same
RU2007108309A (ru) * 2004-08-06 2008-09-20 Ниппон Сокубаи Ко., Лтд. (Jp) Гранулированный водопоглощающий агент на основе водопоглощающей смолы,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агента и поглощающее изделие
BRPI0715129A2 (pt) * 2006-08-04 2013-06-04 Sumitomo Seika Chemicals partÍcula de resina capaz de absorver Água, mÉtodo para produÇço dessa e material absorvente que usa e mesma
KR102187490B1 (ko) * 2016-03-28 2020-12-08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입자상 흡수제
CN113242865A (zh) * 2018-12-12 2021-08-10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性树脂颗粒
CN113166441B (zh) * 2018-12-12 2024-04-23 住友精化株式会社 吸水性树脂颗粒、吸收性物品及其制造方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5819A (ja) 1993-06-08 1994-12-20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高吸水性樹脂の製造法
JPH09510889A (ja) 1994-03-29 1997-11-04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良好な湿潤一体性を有し、ヒドロゲルを形成する吸収性重合体の濃度が比較的高い、体液用吸収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96121A1 (en) 2021-10-20
CN113166440A (zh) 2021-07-23
EP3896121A4 (en) 2022-10-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20143575A1 (en) Water absorbing resin particles
KR20210130795A (ko) 흡수성 수지 입자, 흡수체, 흡수성 물품, 흡수성 수지 입자의 통액 유지율의 측정 방법, 및 흡수성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
KR20210101249A (ko) 흡수성 수지 입자
KR20210101251A (ko) 흡수성 수지 입자,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
CN113166441B (zh) 吸水性树脂颗粒、吸收性物品及其制造方法
KR20210139286A (ko) 흡수성 수지 입자, 흡수성 물품, 흡수성 수지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흡수체의 가압하에서의 흡수량을 높이는 방법
CN113166436B (zh) 吸水性树脂颗粒及吸收性物品
KR20210139287A (ko) 흡수성 수지 입자, 흡수성 물품, 흡수성 수지 입자를 제조하는 방법, 및 흡수체로의 생리 식염수의 침투 속도를 빠르게 하는 방법
KR20210137069A (ko) 흡수성 수지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
KR20210137071A (ko) 흡수성 수지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흡수체, 흡수성 물품, 및 침투 속도의 조정 방법
KR20210101250A (ko) 흡수성 물품
KR20210101253A (ko) 흡수성 수지 입자,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
KR20210101252A (ko) 흡수성 수지 입자, 흡수체, 흡수성 물품, 및 액흡인력 측정 방법
WO2020122214A1 (ja) 吸水性樹脂粒子及び吸収性物品
JP6710303B1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KR20220005483A (ko) 흡수성 수지 입자
JP6856826B1 (ja) 吸水性樹脂粒子
KR20220050918A (ko) 흡수 시트 및 흡수성 물품
KR20210101246A (ko) 흡수성 수지 입자와 흡수성 물품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39288A (ko) 흡수성 수지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37066A (ko) 흡수성 수지 입자,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
KR20210137070A (ko) 흡수체, 흡수성 물품, 및 침투 속도의 조정 방법
JPWO2020218168A1 (ja) 吸水性樹脂粒子、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JP6775051B2 (ja) 吸収性物品
WO2020122215A1 (ja) 吸水性樹脂粒子並びに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