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137070A - 흡수체, 흡수성 물품, 및 침투 속도의 조정 방법 - Google Patents

흡수체, 흡수성 물품, 및 침투 속도의 조정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137070A
KR20210137070A KR1020217031050A KR20217031050A KR20210137070A KR 20210137070 A KR20210137070 A KR 20210137070A KR 1020217031050 A KR1020217031050 A KR 1020217031050A KR 20217031050 A KR20217031050 A KR 20217031050A KR 20210137070 A KR20210137070 A KR 2021013707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resin particles
absorbent resin
amount
absorb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3105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시 이토
Original Assignee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101370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3707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120/00Hom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1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1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1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42Use of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function or physical properties
    • A61L15/60Liquid-swellable gel-forming materials, e.g. super-absorb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4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shape
    • A61F13/49Absorbent articles specially adapted to be worn around the waist, e.g. diapers
    • A61F13/49007Form-fitting, self-adjusting disposable diap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15/00Chemical aspects of, or use of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 A61L15/16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 A61L15/22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or physiological fluids such as urine or blood, e.g. sanitary towels, tampons containing macromolecular materials
    • A61L15/2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Derivative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 B01J20/1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 B01J20/103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inorganic material comprising silica or silicate comprising silica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1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 to carbon unsaturated bo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omprising organic material
    • B01J20/26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 B01J20/265Synthetic macromolecular compounds modified or post-treated polymers
    • B01J20/267Cross-linked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4Sorbent size or size distribution, e.g. particle siz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02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1Other properties, e.g. density, crush strength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16Particle form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28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 B01J20/28014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characterised by their form or physical properties characterised by their form
    • B01J20/2805Sorbents inside a permeable or porous casing, e.g. inside a container, bag or membra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0/00Solid sorbent compositions or filter aid compositions; Sorbents for chromatography; 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thereof
    • B01J20/30Processes for preparing, regenerating, or reactivating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0/00Homopolymers and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a salt, anhydride, ester, amide, imide or nitrile thereof
    • C08F20/02Monocarboxylic acids having less than ten carbon atoms, Derivatives thereof
    • C08F20/04Acids,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08F20/06Acrylic acid; Methacrylic acid; Metal salts or ammonium sal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 C08F2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of unsaturated monocarboxylic acids or derivatives thereof as defined in group C08F20/00 on to polymers of acids, salts or anhydrid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8/00Chemical modification by after-treatment
    • C08F8/14Esterific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58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form
    • A61F2013/53059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form in granules or partic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13/00Bandages or dressings; Absorbent pads
    • A61F13/15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 A61F13/53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 A61F2013/530481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 A61F2013/530708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absorbency properties
    • A61F2013/530737Absorbent pads, e.g. sanitary towels, swabs or tampons for external or internal application to the body; Supporting or fastening means therefor; Tampon applicators characterised by the absorbing medium having superabsorbent materials, i.e. highly absorbent polymer gel materials characterized by the absorbency properties by the absorbent capac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JCHEMICAL OR PHYSICAL PROCESSES, e.g. CATALYSIS OR COLLOID CHEMISTRY; THEIR RELEVANT APPARATUS
    • B01J2220/00Aspects relating to sorbent materials
    • B01J2220/50Aspects relating to the use of sorbent or filter aid materials
    • B01J2220/68Superabsorbent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Absorbent Articles And Supports Therefor (AREA)

Abstract

흡수성 수지 입자(10a)를 함유하는 흡수체(10)로서, 흡수성 수지 입자(10a)에 자외선을 3시간 조사했을 때의 흡수성 수지 입자(10a)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의 변화량의 비율이,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의 흡수성 수지 입자(10a)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에 대하여 0% 초과 30% 이하인, 흡수체(10)를 제공한다.

Description

흡수체, 흡수성 물품, 및 침투 속도의 조정 방법
본 발명은, 흡수체(吸收體), 흡수성(吸收性) 물품, 및 침투 속도의 조정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 물을 주성분으로 하는 액체(예를 들면 요(尿))를 흡수하기 위한 흡수성 물품에는, 흡수성(吸水性) 수지 입자를 함유하는 흡수체가 이용되고 있다. 예를 들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기저귀 등의 흡수성 물품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입자경을 갖는 흡수성 수지 입자가 개시되어 있다. 또, 특허문헌 2에는, 요와 같은 체액을 수용하는 데에 효과적인 흡수성 부재로서, 특정의 식염수 흐름 유도성, 압력하 성능 등을 갖는 하이드로젤 흡수성 중합체를 사용하는 방법이 개시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06-345819호 일본 공표특허공보 평09-510889호
흡수성 물품에 제공된 액이 흡수성 물품에 충분히 침투되지 않으면, 잉여의 액은 그 표면을 흐르거나 하여 흡수성 물품의 밖으로 새는 것과 같은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흡수성 물품에 대해서는, 액이 우수한 침투 속도로 침투될 것이 요구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우수한 침투 속도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얻는 것이 가능한 흡수체 및 침투 속도의 조정 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당해 흡수체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흡수성 수지 입자를 함유하는 흡수체로서,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에 자외선을 3시간 조사했을 때의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의 변화량의 비율이,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의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에 대하여 0% 초과 30% 이하인, 흡수체를 제공한다.
상술한 흡수체에 의하면, 우수한 침투 속도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상술한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은,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침투 속도의 조정 방법으로서, 상기 흡수체가 흡수성 수지 입자를 함유하고, 당해 조정 방법이,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에 자외선을 3시간 조사했을 때의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에 있어서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의 변화량을 조정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침투 속도의 조정 방법을 제공한다.
상술한 침투 속도의 조정 방법에 의하면, 흡수성 수지 입자에 자외선을 조사했을 때의 흡수성 수지 입자에 있어서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의 변화량을 조정함으로써, 우수한 침투 속도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의하면, 우수한 침투 속도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얻는 것이 가능한 흡수체 및 침투 속도의 조정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당해 흡수체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흡액에 대한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의 응용을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측면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침투 속도의 조정에 대한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의 응용을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흡수성 물품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서 사용한 교반 날개의 개략 형태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3은 흡수성 수지 입자의 하중하의 흡수량의 측정 장치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단,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형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의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아크릴" 및 "메타크릴"을 합하여 "(메트)아크릴"이라고 표기한다. "아크릴레이트" 및 "메타크릴레이트"도 동일하게 "(메트)아크릴레이트"라고 표기한다. "(폴리)"란, "폴리"라는 접두어가 있는 경우 및 없는 경우의 쌍방을 의미하는 것으로 한다. 본 명세서에 단계적으로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소정 단계의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은, 다른 단계의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과 임의로 조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는 수치 범위에 있어서, 그 수치 범위의 상한값 또는 하한값은, 실시예에 나타나 있는 값으로 치환해도 된다. "수용성"이란, 25℃에 있어서 물에 5질량% 이상의 용해성을 나타내는 것을 말한다. 본 명세서에 예시하는 재료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조성물 중의 각 성분의 함유량은, 조성물 중에 각 성분에 해당하는 물질이 복수 존재하는 경우, 특별히 설명하지 않는 한, 조성물 중에 존재하는 당해 복수의 물질의 합계량을 의미한다. "생리 식염수"란, 0.9질량% 염화 나트륨 수용액을 말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를 함유한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흡수성 수지 입자에 자외선(UV)을 3시간 조사했을 때의 흡수성 수지 입자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의 변화량(자외선 조사 전후의 보수량의 차, 무가압하의 보수량의 차)의 비율은,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의 흡수성 수지 입자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무가압하의 보수량)에 대하여 0% 초과 30% 이하이다. 자외선 조사 전후에 있어서의 보수량의 변화량의 비율은, 하기 식으로부터 산출할 수 있다.
보수량의 변화량의 비율[%]={(자외선 조사 후의 보수량[g/g]-자외선 조사 전의 보수량[g/g])/자외선 조사 전의 보수량[g/g]}×100
이와 같은 흡수체에 의하면, 우수한 침투 속도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얻을 수 있다. 이와 같은 효과가 얻어지는 원인은 명확하지는 않지만, 본 발명자는 하기와 같이 추측하고 있다. 단, 원인은 하기의 내용에 한정되지 않는다.
즉, 흡수성 수지 입자에 대하여 자외선을 조사한 경우, 흡수성 수지 입자에 있어서의 상대적으로 취약한 화학 결합부(예를 들면 가교점)가 절단됨으로써 보수량이 증가한다.
흡수성 수지 입자에 있어서의 취약한 화학 결합부가 많은 경우에는, 자외선 조사에 의하여 화학 결합부가 많이 절단되기 때문에 보수량이 크게 변화한다. 이와 같이 취약한 화학 결합부가 많은 흡수성 수지 입자에서는, 화학 결합부(예를 들면 가교점)가 감소하여 흡수성 수지 입자의 수용성이 증대하는 점에서, 우수한 침투 속도가 얻어지기 어렵다.
또, 자외선 조사했을 때에 보수량이 증가하지 않는 경우, 화학 결합부(예를 들면 가교점)가 적기 때문에, 흡수성 수지 입자로서의 흡수 특성이 낮은 점에서, 우수한 침투 속도가 얻어지기 어렵다.
한편,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에서는, 자외선 조사했을 때에 흡수성 수지 입자의 보수량이 적절히 변화하는 점에서, 우수한 침투 속도가 얻어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는, 물을 보수 가능하면 되고, 흡액 대상의 액은 물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는, 요, 땀, 혈액(예를 들면 경혈) 등의 체액의 흡수성이 우수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의 구성 성분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에 있어서, 자외선 조사 전후에 있어서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의 변화량의 비율은,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에 대하여 하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보수량의 변화량의 비율은,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우수한 침투 속도를 얻기 쉬운 관점에서, 28% 이하, 25% 이하, 24% 이하, 또는 23% 이하가 바람직하다. 보수량의 변화량의 비율은,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우수한 침투 속도를 얻기 쉬운 관점에서, 1% 이상, 5% 이상, 9% 이상, 10% 이상, 15% 이상, 19% 이상, 20% 이상, 또는 21% 이상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무가압하의 보수량)은, 하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보수량은,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우수한 침투 속도를 얻기 쉬운 관점에서, 10g/g 이상, 15g/g 이상, 20g/g 이상, 25g/g 이상, 30g/g 이상, 또는 34g/g 이상이 바람직하다. 보수량은,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우수한 침투 속도를 얻기 쉬운 관점에서, 80g/g 이하, 80g/g 미만, 75g/g 이하, 70g/g 이하, 65g/g 이하, 60g/g 이하, 55g/g 이하, 50g/g 이하, 48g/g 이하, 45g/g 이하, 44g/g 이하, 43g/g 이하, 42g/g 이하, 또는 40g/g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들 관점에서, 보수량은, 10~80g/g이 바람직하고, 30~60g/g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외선을 조사한 후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무가압하의 보수량)은, 하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보수량은,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우수한 침투 속도를 얻기 쉬운 관점에서, 20g/g 이상, 30g/g 이상, 38g/g 이상, 또는 40g/g 이상이 바람직하다. 보수량은,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우수한 침투 속도를 얻기 쉬운 관점에서, 90g/g 이하, 80g/g 이하, 75g/g 이하, 70g/g 이하, 65g/g 이하, 60g/g 이하, 55g/g 이하, 53g/g 이하, 52g/g 이하, 또는 50g/g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들 관점에서, 보수량은, 20~90g/g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을 조사한 후에 있어서의 보수량은,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에 있어서의 보수량보다 커도 된다.
자외선 조사 전후의 보수량으로서는, 실온(25±2℃)에 있어서의 보수량을 이용할 수 있다. 보수량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흡수성 수지 입자에 대하여 조사하는 자외선의 파장은, 예를 들면 254nm이다. 흡수성 수지 입자에 대하여 조사하는 자외선의 강도는, 예를 들면, 흡수성 수지 입자 2.5g에 대하여 610μW/cm2(흡수성 수지 입자 1g당 244μW/cm2)이다. 자외선은, 예를 들면, 흡수성 수지 입자에 대하여 5cm 떨어진 위치로부터 조사할 수 있다. 흡수성 수지 입자는,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등을 포함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에 있어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의 하중 4.14kPa하에 있어서의 생리 식염수의 흡수량은, 하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흡수량은,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우수한 침투 속도를 얻기 쉬운 관점에서, 10mL/g 이상, 12mL/g 이상, 15mL/g 이상, 17mL/g 이상, 18mL/g 이상, 20mL/g 이상, 22mL/g 이상, 또는 25mL/g 이상이 바람직하다. 흡수량은,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과도한 팽윤을 억제하기 쉬운 관점에서, 40mL/g 이하, 35mL/g 이하, 30mL/g 이하, 또는 28mL/g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들 관점에서, 흡수량은, 10~40mL/g이 바람직하고, 12~35mL/g이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량으로서는, 실온(25±2℃)에 있어서의 흡수량을 이용할 수 있다. 흡수량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의 형상으로서는, 대략 구상, 파쇄상, 과립상 등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흡수 전의 흡수성 수지 입자)의 중위(中位) 입자경은, 하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중위 입자경은, 젤 블로킹을 회피하여 흡수성 물품의 침투 속도를 양호하게 유지하기 쉬운 관점에서, 250μm 이상, 280μm 이상, 300μm 이상, 310μm 이상, 320μm 이상, 330μm 이상, 340μm 이상, 350μm 이상, 또는 360μm 이상이 바람직하다. 중위 입자경은, 흡수성 물품의 촉감을 부드럽게 유지하기 쉬운 관점에서, 600μm 이하, 550μm 이하, 500μm 이하, 450μm 이하, 400μm 이하, 380μm 이하, 또는 370μm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들 관점에서, 중위 입자경은, 250~600μm가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는, 후술하는 제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시점에서 원하는 입도 분포를 갖고 있어도 되지만, 체에 의한 분급을 이용한 입도 조정 등의 조작을 행함으로써 입도 분포를 조정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는, 예를 들면, 중합체 입자로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함유하는 단량체를 중합시켜 얻어지는 가교 중합체(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가교 중합체)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것이 가능하고,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가교 중합체를 포함하는 중합체 입자를 포함할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는,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이용할 수 있다. 중합 방법으로서는, 역상(逆相) 현탁 중합법, 수용액 중합법, 벌크 중합법, 침전 중합법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는,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 입자의 양호한 흡수 특성(보수량 등)의 확보, 및 중합 반응의 제어가 용이한 관점에서, 역상 현탁 중합법 또는 수용액 중합법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있어서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중합시키는 방법으로서, 역상 현탁 중합법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수용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메트)아크릴산 및 그 염, 2-(메트)아크릴아마이드-2-메틸프로페인설폰산 및 그 염, (메트)아크릴아마이드, N,N-다이메틸(메트)아크릴아마이드, 2-하이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마이드, 폴리에틸렌글라이콜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N,N-다이에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N-다이에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다이에틸아미노프로필(메트)아크릴아마이드 등을 들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아미노기를 갖는 경우, 당해 아미노기는 4급화되어 있어도 된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상술한 단량체의 카복실기, 아미노기 등의 관능기는, 후술하는 표면 가교 공정에 있어서 가교가 가능한 관능기로서 기능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공업적으로 입수가 용이한 관점에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메트)아크릴산 및 그 염, 아크릴아마이드, 메타크릴아마이드, 및 N,N-다이메틸아크릴아마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메트)아크릴산 및 그 염, 및 아크릴아마이드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 특성(보수량 등)을 더 높이는 관점에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메트)아크릴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더 바람직하다. 즉, 흡수성 수지 입자는, (메트)아크릴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수지 입자를 얻기 위한 단량체로서는, 상술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이외의 단량체가 사용되어도 된다. 이와 같은 단량체는, 예를 들면, 상술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에 혼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사용량은, 단량체 전체량(흡수성 수지 입자를 얻기 위한 단량체 전체량. 예를 들면, 가교 중합체의 구조 단위를 부여하는 단량체의 전체량. 이하 동일)에 대하여 70~100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중에서도, (메트)아크릴산 및 그 염의 비율이 단량체 전체량에 대하여 70~100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 및 그 염의 비율"은, (메트)아크릴산 및 그 염의 합계량의 비율을 의미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수성 수지 입자의 일례로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가교 중합체를 포함하는 흡수성 수지 입자로서, 상기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메트)아크릴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상기 (메트)아크릴산 및 그 염의 비율이,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를 얻기 위한 단량체 전체량(예를 들면, 상기 가교 중합체의 구조 단위를 부여하는 단량체의 전체량)에 대하여 70~100몰%인, 흡수성 수지 입자를 제공할 수 있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는, 통상, 수용액으로서 이용하는 것이 적합하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수용액(이하, 간단히 "단량체 수용액"이라고 한다)에 있어서의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농도는, 20질량% 이상 포화 농도 이하가 바람직하고, 25~70질량%가 보다 바람직하며, 30~55질량%가 더 바람직하다. 수용액에 있어서 사용되는 물로서는, 수돗물, 증류수, 이온 교환수 등을 들 수 있다.
단량체 수용액은,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가 산기를 갖는 경우, 그 산기를 알칼리성 중화제에 의하여 중화하여 이용해도 된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있어서의, 알칼리성 중화제에 의한 중화도는,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 입자의 침투압을 높게 하고, 흡수 특성(보수량 등)을 더 높이는 관점에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중의 산성기의 10~100몰%인 것이 바람직하고, 50~90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며, 60~80몰%인 것이 더 바람직하다. 알칼리성 중화제로서는, 수산화 나트륨, 탄산 나트륨, 탄산수소 나트륨, 수산화 칼륨, 탄산 칼륨 등의 알칼리 금속염; 암모니아 등을 들 수 있다. 알칼리성 중화제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알칼리성 중화제는, 중화 조작을 간편하게 하기 위하여 수용액의 상태로 이용되어도 된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산기의 중화는, 예를 들면, 수산화 나트륨, 수산화 칼륨 등의 수용액을 상술한 단량체 수용액에 적하하여 혼합함으로써 행할 수 있다.
역상 현탁 중합법에 있어서는, 계면활성제의 존재하, 탄화수소 분산매 중에서 단량체 수용액을 분산하고, 라디칼 중합 개시제 등을 이용하여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을 행할 수 있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를 이용할 수 있다.
계면활성제로서는, 비이온계 계면활성제, 음이온계 계면활성제 등을 들 수 있다. 비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소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자당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소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소비톨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소비톨 지방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 폴리옥시에틸렌 피마자유,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알킬알릴폼알데하이드 축합 폴리옥시에틸렌에터,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렌 블록 코폴리머, 폴리옥시에틸렌폴리옥시프로필알킬에터, 폴리에틸렌글라이콜 지방산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로서는, 지방산염, 알킬벤젠설폰산염, 알킬메틸타우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페닐에터 황산 에스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설폰산염,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터의 인산 에스터, 폴리옥시에틸렌알킬알릴에터의 인산 에스터 등을 들 수 있다. 계면활성제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W/O형 역상 현탁의 상태가 양호하고, 적합한 입자경을 갖는 흡수성 수지 입자가 얻어지기 쉬우며, 공업적으로 입수가 용이한 관점에서, 계면활성제는, 소비탄 지방산 에스터, 폴리글리세린 지방산 에스터 및 자당 지방산 에스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수지 입자의 적절한 입도 분포가 얻어지기 쉬운 관점, 및 흡수성 수지 입자의 흡수 특성(보수량 등) 및 그것을 이용한 흡수성 물품의 성능이 향상되기 쉬운 관점에서, 계면활성제는, 자당 지방산 에스터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터가 보다 바람직하다.
계면활성제의 사용량은, 사용량에 대한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는 관점, 및 경제적인 관점에서, 단량체 수용액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1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8~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0.1~3질량부가 더 바람직하다.
역상 현탁 중합에서는, 상술한 계면활성제와 함께 고분자계 분산제를 아울러 이용해도 된다. 고분자계 분산제로서는,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 변성 EPDM(에틸렌·프로필렌·다이엔·터폴리머),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뷰타다이엔, 무수 말레산·에틸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뷰타다이엔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산화형 폴리에틸렌, 산화형 폴리프로필렌, 산화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에틸렌·아크릴산 공중합체, 에틸셀룰로스, 에틸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등을 들 수 있다. 고분자계 분산제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고분자계 분산제로서는, 단량체의 분산 안정성이 우수한 관점에서,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에틸렌, 무수 말레산 변성 폴리프로필렌,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에틸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프로필렌 공중합체, 무수 말레산·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산화형 폴리에틸렌, 산화형 폴리프로필렌, 및 산화형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고분자계 분산제의 사용량은, 사용량에 대한 효과가 충분히 얻어지는 관점, 및 경제적인 관점에서, 단량체 수용액 100질량부에 대하여, 0.05~1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8~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0.1~3질량부가 더 바람직하다.
탄화수소 분산매는, 탄소수 6~8의 쇄상 지방족 탄화수소, 및 탄소수 6~8의 지환식 탄화수소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화합물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탄화수소 분산매로서는, n-헥세인, n-헵테인, 2-메틸헥세인, 3-메틸헥세인, 2,3-다이메틸펜테인, 3-에틸펜테인, n-옥테인 등의 쇄상 지방족 탄화수소; 사이클로헥세인, 메틸사이클로헥세인, 사이클로펜테인, 메틸사이클로펜테인, trans-1,2-다이메틸사이클로펜테인, cis-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테인, trans-1,3-다이메틸사이클로펜테인 등의 지환식 탄화수소; 벤젠,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 등을 들 수 있다. 탄화수소 분산매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탄화수소 분산매는, 공업적으로 입수가 용이하고, 또한 품질이 안정되어 있는 관점에서, n-헵테인 및 사이클로헥세인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을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또, 동일한 관점에서, 상술한 탄화수소 분산매의 혼합물로서는, 예를 들면, 시판되고 있는 엑솔헵테인(엑슨 모빌사제: n-헵테인 및 이성체의 탄화수소 75~85% 함유)을 이용해도 된다.
탄화수소 분산매의 사용량은, 중합열을 적절하게 제거하여, 중합 온도를 제어하기 쉬운 관점에서, 단량체 수용액 100질량부에 대하여, 30~1000질량부가 바람직하고, 40~500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50~400질량부가 더 바람직하다. 탄화수소 분산매의 사용량이 30질량부 이상임으로써, 중합 온도의 제어가 용이한 경향이 있다. 탄화수소 분산매의 사용량이 1000질량부 이하임으로써, 중합의 생산성이 향상되는 경향이 있어, 경제적이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수용성인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면, 과황산 칼륨, 과황산 암모늄, 과황산 나트륨 등의 과황산염; 메틸에틸케톤퍼옥사이드, 메틸아이소뷰틸케톤퍼옥사이드, 다이-t-뷰틸퍼옥사이드, t-뷰틸큐밀퍼옥사이드, t-뷰틸퍼옥시아세테이트, t-뷰틸퍼옥시아이소뷰티레이트, t-뷰틸퍼옥시피발레이트, 과산화 수소 등의 과산화물;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2,2'-아조비스[2-(N-페닐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2,2'-아조비스[2-(N-알릴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페인] 2염산염, 2,2'-아조비스{2-[1-(2-하이드록시에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페인} 2염산염, 2,2'-아조비스{2-메틸-N-[1,1-비스(하이드록시메틸)-2-하이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마이드}, 2,2'-아조비스[2-메틸-N-(2-하이드록시에틸)-프로피온아마이드], 4,4'-아조비스(4-사이아노발레르산) 등의 아조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과황산 칼륨, 과황산 암모늄, 과황산 나트륨,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페인] 2염산염, 및 2,2'-아조비스{2-[1-(2-하이드록시에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페인} 2염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고,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2,2'-아조비스[2-(2-이미다졸린-2-일)프로페인] 2염산염, 및 2,2'-아조비스{2-[1-(2-하이드록시에틸)-2-이미다졸린-2-일]프로페인} 2염산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아조계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조계 화합물의 비율은,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전체량에 대하여, 20~100몰%가 바람직하고, 35~90몰%가 보다 바람직하며, 50~85몰%가 더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은,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몰에 대하여 0.05~10밀리몰이어도 된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0.05밀리몰 이상이면, 중합 반응에 장시간을 필요로 하지 않아, 효율적이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의 사용량이 10밀리몰 이하이면, 급격한 중합 반응이 일어나는 것을 억제하기 쉽다.
상술한 라디칼 중합 개시제는, 아황산 나트륨, 아황산수소 나트륨, 황산 제1철, L-아스코브산 등의 환원제와 병용하여, 레독스 중합 개시제로서 이용할 수도 있다.
중합 반응 시, 중합에 이용하는 단량체 수용액은, 연쇄 이동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연쇄 이동제로서는, 차아인산염류, 싸이올류, 싸이올산류, 제2급 알코올류, 아민류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성 수지 입자의 입자경을 제어하기 위하여, 중합에 이용하는 단량체 수용액은, 증점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증점제로서는,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프로필셀룰로스, 메틸셀룰로스,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리아크릴아마이드, 폴리에틸렌이민, 덱스트린, 알진산 나트륨, 폴리바이닐알코올, 폴리바이닐피롤리돈, 폴리에틸렌옥사이드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중합 시의 교반 속도가 동일하면, 단량체 수용액의 점도가 높을수록, 얻어지는 입자의 중위 입자경은 커지는 경향이 있다.
중합 시에 자기 가교에 의한 가교가 발생할 수 있지만, 내부 가교제를 이용함으로써 가교를 실시해도 된다. 내부 가교제를 이용하면, 흡수성 수지 입자의 흡수 특성(보수량 등)을 제어하기 쉽다. 내부 가교제는, 통상, 중합 반응 시에 반응액에 첨가된다. 내부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글라이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글리세린 등의 폴리올류의 다이 또는 트라이(메트)아크릴산 에스터류; 상술한 폴리올류와 불포화산(말레산, 푸마르산 등)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불포화 폴리에스터류; N,N'-메틸렌비스(메트)아크릴아마이드 등의 비스(메트)아크릴아마이드류; 폴리에폭사이드와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다이 또는 트라이(메트)아크릴산 에스터류;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와 (메트)아크릴산 하이드록시에틸을 반응시켜 얻어지는 다이(메트)아크릴산 카밤일에스터류; 알릴화 전분, 알릴화 셀룰로스, 다이알릴프탈레이트, N,N',N''-트라이알릴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 다이바이닐벤젠 등의, 중합성 불포화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 (폴리)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트라이글리시딜에터,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폴리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터 등의 폴리글리시딜 화합물; 에피클로로하이드린, 에피브로모하이드린, α-메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등의 할로에폭시 화합물;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2,4-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 등의, 반응성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내부 가교제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내부 가교제로서는, 폴리글리시딜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다이글리시딜에터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며, (폴리)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및 (폴리)글리세린다이글리시딜에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더 바람직하다.
내부 가교제의 사용량은,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 우수한 침투 속도를 얻기 쉬운 관점, 및 얻어지는 중합체가 적절하게 가교됨으로써 수용성의 성질이 억제되어, 충분한 흡수량이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몰당, 30밀리몰 이하가 바람직하고, 0.01~10밀리몰이 보다 바람직하며, 0.012~5밀리몰이 더 바람직하고, 0.015~1밀리몰이 특히 바람직하며, 0.02~0.1밀리몰이 극히 바람직하고, 0.025~0.06밀리몰이 매우 바람직하다.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라디칼 중합 개시제, 계면활성제, 고분자계 분산제, 탄화수소 분산매 등(필요에 따라 추가로 내부 가교제)을 혼합한 상태에 있어서 교반하에서 가열하여, 유중수계(油中水系)에 있어서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할 수 있다.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할 때에는, 계면활성제(필요에 따라 추가로 고분자계 분산제)의 존재하에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포함하는 단량체 수용액을 탄화수소 분산매에 분산시킨다. 이때, 중합 반응을 개시하기 전이면, 계면활성제, 고분자계 분산제 등의 첨가 시기는, 단량체 수용액의 첨가의 전후 어느 쪽이어도 된다.
그중에서도,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에 잔존하는 탄화수소 분산매의 양을 저감시키기 쉬운 관점에서, 고분자계 분산제를 분산시킨 탄화수소 분산매에 단량체 수용액을 분산시킨 후에 계면활성제를 추가로 분산시키고 나서 중합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역상 현탁 중합은, 1단, 또는 2단 이상의 다단으로 행할 수 있다. 역상 현탁 중합은, 생산성을 높이는 관점에서, 2~3단으로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2단 이상의 다단으로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하는 경우에는, 1단째의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한 후, 1단째의 중합 반응으로 얻어진 반응 혼합물에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를 첨가하여 혼합하고, 1단째와 동일한 방법으로 2단째 이후의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하면 된다. 2단째 이후의 각 단에 있어서의 역상 현탁 중합에서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외에, 상술한 라디칼 중합 개시제 및/또는 내부 가교제를, 2단째 이후의 각 단에 있어서의 역상 현탁 중합 시에 첨가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상술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대한 각 성분의 몰비의 범위 내에서 첨가하여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2단째 이후의 각 단에 있어서의 역상 현탁 중합에서는, 필요에 따라 내부 가교제를 이용해도 된다. 내부 가교제를 이용하는 경우는, 각 단에 제공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양을 기준으로 하여, 상술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 대한 각 성분의 몰비의 범위 내에서 첨가하여 역상 현탁 중합을 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반응의 온도는, 사용하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에 따라 다르지만, 중합을 신속하게 진행시켜, 중합 시간을 짧게 함으로써, 경제성을 높임과 함께, 용이하게 중합열을 제거하여 원활하게 반응을 행하는 관점에서, 20~150℃가 바람직하고, 40~120℃가 보다 바람직하다. 반응 시간은, 통상, 0.5~4시간이다. 중합 반응의 종료는, 예를 들면, 반응계 내의 온도 상승의 정지에 의하여 확인할 수 있다. 이로써,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체는, 통상, 함수(含水) 젤의 상태로 얻어진다.
중합 후, 얻어진 함수 젤상 중합체에 중합 후 가교제를 첨가하여 가열함으로써 가교를 실시해도 된다. 중합 후에 가교를 행함으로써 함수 젤상 중합체의 가교도를 높여 흡수 특성(보수량 등)을 더 향상시킬 수 있다.
중합 후 가교제로서는, 에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1,4-뷰테인다이올,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글라이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글리세린 등의 폴리올; (폴리)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다이글리시딜에터 등의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 에피클로로하이드린, 에피브로모하이드린, α-메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등의 할로에폭시 화합물; 2,4-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2개 이상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를 갖는 화합물; 1,2-에틸렌비스옥사졸린 등의 옥사졸린 화합물; 에틸렌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 화합물; 비스[N,N-다이(β-하이드록시에틸)]아디프아마이드 등의 하이드록시알킬아마이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폴리)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트라이글리시딜에터,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폴리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터 등의 폴리글리시딜 화합물이 바람직하다. 가교제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중합 후 가교제의 양은, 얻어지는 함수 젤상 중합체가 적절하게 가교됨으로써, 적합한 흡수 특성(보수량 등)이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몰당, 30밀리몰 이하가 바람직하고, 10밀리몰 이하가 보다 바람직하며, 0.01~5밀리몰이 더 바람직하고, 0.012~1밀리몰이 특히 바람직하며, 0.015~0.1밀리몰이 극히 바람직하고, 0.02~0.05밀리몰이 매우 바람직하다.
중합 후 가교제의 첨가 시기로서는, 중합에 이용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의 중합 후이면 되고, 다단 중합의 경우는, 다단 중합 후에 첨가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중합 시 및 중합 후의 발열, 공정 지연에 의한 체류, 가교제 첨가 시의 계의 개방, 및 가교제 첨가에 따른 물의 첨가 등에 의한 수분의 변동을 고려하여, 중합 후 가교제는, 함수율(후술)의 관점에서, [중합 직후의 함수율±3질량%]의 영역에서 첨가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어서, 얻어진 함수 젤상 중합체로부터 수분을 제거하기 위하여 건조를 행함으로써 중합체 입자(예를 들면,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중합체 입자)가 얻어진다. 건조 방법으로서는, 예를 들면, (a) 함수 젤상 중합체가 탄화수소 분산매에 분산된 상태에서, 외부로부터 가열함으로써 공비(共沸) 증류를 행하여, 탄화수소 분산매를 환류시켜 수분을 제거하는 방법, (b) 데칸테이션에 의하여 함수 젤상 중합체를 취출하여, 감압 건조하는 방법, (c) 필터에 의하여 함수 젤상 중합체를 여과 분리하여, 감압 건조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그중에서도, 제조 공정에 있어서의 간편함에서, (a)의 방법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중합 반응 시의 교반기의 회전수를 조정함으로써, 혹은 중합 반응 후 또는 건조의 초기에 있어서 응집제를 계 내에 첨가함으로써 흡수성 수지 입자의 입자경을 조정할 수 있다. 응집제를 첨가함으로써, 얻어지는 흡수성 수지 입자의 입자경을 크게 할 수 있다. 응집제로서는, 무기 응집제를 이용할 수 있다. 무기 응집제(예를 들면 분말상 무기 응집제)로서는, 실리카, 제올라이트, 벤토나이트, 산화 알루미늄, 탤크, 이산화 타이타늄, 카올린, 클레이, 하이드로탈사이트 등을 들 수 있다. 응집 효과가 우수한 관점에서, 응집제로서는, 실리카, 산화 알루미늄, 탤크 및 카올린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바람직하다.
역상 현탁 중합에 있어서, 응집제를 첨가하는 방법으로서는, 중합에서 이용되는 것과 동종(同種)의 탄화수소 분산매 또는 물에 응집제를 미리 분산시키고 나서, 교반하에서, 함수 젤상 중합체를 포함하는 탄화수소 분산매 중에 혼합하는 방법이 바람직하다.
응집제의 첨가량은, 중합에 사용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00질량부에 대하여, 0.001~1질량부가 바람직하고, 0.005~0.5질량부가 보다 바람직하며, 0.01~0.2질량부가 더 바람직하다. 응집제의 첨가량이 상술한 범위 내임으로써, 목적으로 하는 입도 분포를 갖는 흡수성 수지 입자가 얻어지기 쉽다.
흡수성 수지 입자의 제조에 있어서는, 건조 공정(수분 제거 공정) 또는 그 이후의 공정에 있어서, 표면 가교제를 이용하여 함수 젤상 중합체의 표면 부분(표면 및 표면 근방)의 표면 가교가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가교를 행함으로써, 흡수성 수지 입자의 흡수 특성(보수량 등, 예를 들면, 자외선 조사 시의 보수량의 변화량) 등을 제어하기 쉽다. 표면 가교는, 함수 젤상 중합체가 특정의 함수율인 타이밍에 행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 가교의 시기는, 함수 젤상 중합체의 함수율이 5~50질량%인 시점이 바람직하고, 10~40질량%인 시점이 보다 바람직하며, 15~35질량%인 시점이 더 바람직하다. 또한, 함수 젤상 중합체의 함수율(질량%)은, 다음의 식으로 산출된다.
함수율=[Ww/(Ww+Ws)]×100
Ww: 전체 중합 공정의 중합 전의 단량체 수용액에 포함되는 수분량으로부터, 건조 공정에 의하여 계 외부로 배출된 수분량을 뺀 양에, 응집제, 표면 가교제 등을 혼합할 때에 필요에 따라 이용되는 수분량을 더한 함수 젤상 중합체의 수분량.
Ws: 함수 젤상 중합체를 구성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가교제, 개시제 등의 재료의 도입량으로부터 산출되는 고형분량.
표면 가교제로서는, 예를 들면, 반응성 관능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표면 가교제로서는, 에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1,4-뷰테인다이올,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 글리세린, 폴리옥시에틸렌글라이콜, 폴리옥시프로필렌글라이콜, 폴리글리세린 등의 폴리올류; (폴리)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트라이글리시딜에터, 트라이메틸올프로페인트라이글리시딜에터,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폴리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터 등의 폴리글리시딜 화합물; 에피클로로하이드린, 에피브로모하이드린, α-메틸에피클로로하이드린 등의 할로에폭시 화합물; 2,4-톨릴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헥사메틸렌다이아이소사이아네이트 등의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3-메틸-3-옥세테인메탄올, 3-에틸-3-옥세테인메탄올, 3-뷰틸-3-옥세테인메탄올, 3-메틸-3-옥세테인에탄올, 3-에틸-3-옥세테인에탄올, 3-뷰틸-3-옥세테인에탄올 등의 옥세테인 화합물; 1,2-에틸렌비스옥사졸린 등의 옥사졸린 화합물; 에틸렌카보네이트 등의 카보네이트 화합물; 비스[N,N-다이(β-하이드록시에틸)]아디프아마이드 등의 하이드록시알킬아마이드 화합물 등을 들 수 있다. 표면 가교제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표면 가교제로서는, 폴리글리시딜 화합물이 바람직하고, (폴리)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다이글리시딜에터, (폴리)글리세린트라이글리시딜에터,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폴리글리시딜에터, 및 폴리글리세롤폴리글리시딜에터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이 보다 바람직하다.
표면 가교제의 사용량은, 적합한 흡수 특성(보수량 등)이 얻어지기 쉬운 관점에서, 중합에 사용하는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 1몰에 대하여, 0.01~20밀리몰이 바람직하고, 0.05~10밀리몰이 보다 바람직하며, 0.1~5밀리몰이 더 바람직하고, 0.15~1밀리몰이 특히 바람직하며, 0.2~0.5밀리몰이 극히 바람직하다.
표면 가교 후에 있어서, 공지의 방법으로 물 및 탄화수소 분산매를 증류 제거하는 것, 가열 감압하에서 건조하는 것 등에 의하여, 표면 가교된 건조품인 중합체 입자를 얻을 수 있다.
중합 반응은, 교반 날개를 갖는 각종 교반기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교반 날개로서는, 평판 날개, 격자 날개, 패들 날개, 프로펠러 날개, 앵커 날개, 터빈 날개, 파우들러 날개, 리본 날개, 풀존 날개, 맥스블렌드 날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평판 날개는, 축(교반축)과, 축의 주위에 배치된 평판부(교반부)를 갖고 있다. 평판부는, 슬릿 등을 갖고 있어도 된다. 교반 날개로서 평판 날개를 이용한 경우에는, 중합체 입자에 있어서의 가교 반응을 균일하게 행하기 쉽고, 보수량 등의 흡수 특성을 유지하면서 자외선 조사 시의 보수량의 변화량을 저감시켜 적합한 범위로 조정하기 쉽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는, 중합체 입자에 더하여, 예를 들면, 젤 안정제, 금속 킬레이트제(에틸렌다이아민 4아세트산 및 그 염,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5아세트산 및 그 염, 예를 들면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5아세트산 5나트륨 등), 유동성 향상제(활제(滑劑)) 등의 추가 성분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추가 성분은, 중합체 입자의 내부, 중합체 입자의 표면 상, 또는 이들 양방에 배치될 수 있다.
흡수성 수지 입자는, 중합체 입자의 표면 상에 배치된 복수의 무기 입자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예를 들면, 중합체 입자와 무기 입자를 혼합함으로써, 중합체 입자의 표면 상에 무기 입자를 배치할 수 있다. 이 무기 입자는, 비정질 실리카 등의 실리카 입자여도 된다.
흡수성 수지 입자가, 중합체 입자의 표면 상에 배치된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 무기 입자의 함유량은, 중합체 입자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하기의 범위여도 된다. 무기 입자의 함유량은, 0.05질량% 이상, 0.1질량% 이상, 0.15질량% 이상, 또는 0.2질량% 이상이어도 된다. 무기 입자의 함유량은, 5.0질량% 이하, 3.0질량% 이하, 1.0질량% 이하, 또는 0.5질량% 이하여도 된다.
여기에서의 무기 입자는, 통상, 중합체 입자의 크기와 비교하여 미소(微小)한 크기를 갖는다. 예를 들면, 무기 입자의 평균 입자경은, 0.1~50μm, 0.5~30μm, 또는 1~20μm여도 된다. 평균 입자경은, 입자의 특성에 따라, 미세 구멍 전기 저항법 또는 레이저 회절·산란법에 의하여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를 함유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는, 섬유상물(纖維狀物)을 함유하고 있어도 되고, 예를 들면, 흡수성 수지 입자 및 섬유상물을 포함하는 혼합물이다. 흡수체의 구성으로서는, 예를 들면, 흡수성 수지 입자 및 섬유상물이 균일 혼합된 구성이어도 되고, 시트상 또는 층상으로 형성된 섬유상물의 사이에 흡수성 수지 입자가 끼워진 구성이어도 되며, 그 외의 구성이어도 된다.
섬유상물로서는, 미분쇄된 목재 펄프; 코튼; 코튼 린터; 레이온; 셀룰로스아세테이트 등의 셀룰로스계 섬유; 폴리아마이드, 폴리에스터, 폴리올레핀 등의 합성 섬유; 이들 섬유의 혼합물 등을 들 수 있다. 섬유상물은,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섬유상물로서는, 친수성 섬유를 이용할 수 있다.
흡수체의 사용 전 및 사용 중에 있어서의 형태 유지성을 높이기 위하여, 섬유상물에 접착성 바인더를 첨가함으로써 섬유끼리를 접착시켜도 된다. 접착성 바인더로서는, 열융착성 합성 섬유, 핫멜트 접착제, 접착성 에멀션 등을 들 수 있다. 접착성 바인더는, 단독으로 이용되어도 되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되어도 된다.
열융착성 합성 섬유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전융형(全融型) 바인더; 폴리프로필렌과 폴리에틸렌의 사이드 바이 사이드 또는 심초 구조로 이루어지는 비전융형 바인더 등을 들 수 있다. 상술한 비전융형 바인더에 있어서는, 폴리에틸렌 부분만 열융착할 수 있다.
핫멜트 접착제로서는, 예를 들면, 에틸렌-아세트산 바이닐 코폴리머, 스타이렌-아이소프렌-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 스타이렌-뷰타다이엔-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 스타이렌-에틸렌-뷰틸렌-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 스타이렌-에틸렌-프로필렌-스타이렌 블록 코폴리머, 어모퍼스 폴리프로필렌 등의 베이스 폴리머와, 점착 부여제, 가소제, 산화 방지제 등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접착성 에멀션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메타크릴레이트, 스타이렌, 아크릴로나이트릴,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 뷰틸아크릴레이트, 뷰타다이엔, 에틸렌, 및 아세트산 바이닐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단량체의 중합물을 들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는, 무기 분말(예를 들면 비정질 실리카), 소취제, 항균제, 안료, 염료, 향료, 점착제 등을 함유해도 된다. 흡수성 수지 입자가 무기 입자를 포함하는 경우, 흡수체는, 흡수성 수지 입자 중의 무기 입자와는 별개로 무기 분말을 함유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의 형상은, 예를 들면 시트상이어도 된다. 흡수체의 두께(예를 들면, 시트상의 흡수체의 두께)는, 0.1~20mm 또는 0.3~15mm여도 된다.
흡수체에 있어서의 흡수성 수지 입자의 함유량은, 흡수체의 전체 질량, 또는 흡수성 수지 입자 및 섬유상물의 합계를 기준으로 하여 하기의 범위가 바람직하다. 흡수성 수지 입자의 함유량은, 충분한 흡수 특성을 얻기 쉬운 관점에서, 2질량% 이상, 10질량% 이상, 20질량% 이상 또는 50질량% 이상이 바람직하다. 흡수성 수지 입자의 함유량은, 100질량% 이하이고, 충분한 흡수 특성을 얻기 쉬운 관점에서, 80질량% 이하, 70질량% 이하 또는 60질량% 이하가 바람직하다. 이들 관점에서, 흡수성 수지 입자의 함유량은, 2~100질량%, 10~80질량%, 20~70질량% 또는 50~60질량%가 바람직하다.
흡수체에 있어서의 흡수성 수지 입자의 함유량은, 충분한 흡수 특성을 얻기 쉬운 관점에서, 흡수체 1m2당, 100~1000g이 바람직하고, 150~800g이 보다 바람직하며, 200~700g이 더 바람직하다. 흡수체에 있어서의 섬유상물의 함유량은, 충분한 흡수 특성을 얻기 쉬운 관점에서, 흡수체 1m2당, 50~800g이 바람직하고, 100~600g이 보다 바람직하며, 150~500g이 더 바람직하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를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다른 구성 부재로서는, 흡수체를 보형함과 함께 흡수체의 구성 부재의 탈락이나 유동을 방지하는 코어랩; 흡액 대상의 액이 침입하는 측의 최외부에 배치되는 액체 투과성 시트; 흡액 대상의 액이 침입하는 측과는 반대 측의 최외부에 배치되는 액체 불투과성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흡수성 물품으로서는, 기저귀(예를 들면 종이 기저귀), 화장실 트레이닝 팬츠, 실금 패드, 위생 재료(생리용 냅킨, 탐폰 등), 땀흡수 패드, 펫 시트, 간이 화장실용 부재, 동물 배설물 처리재 등을 들 수 있다.
도 1은, 흡수성 물품의 일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에 나타내는 흡수성 물품(100)은, 흡수체(10)와, 코어랩(20a, 20b)과, 액체 투과성 시트(30)와, 액체 불투과성 시트(40)를 구비한다. 흡수성 물품(100)에 있어서, 액체 불투과성 시트(40), 코어랩(20b), 흡수체(10), 코어랩(20a), 및 액체 투과성 시트(30)가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도 1에 있어서, 부재 사이에 간극이 있는 것처럼 도시되어 있는 부분이 있지만, 당해 간극이 존재하지 않고 부재 사이가 밀착되어 있어도 된다.
흡수체(10)는,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10a)와, 섬유상물을 포함하는 섬유층(10b)을 갖는다. 흡수성 수지 입자(10a)는, 섬유층(10b) 내에 분산되어 있다.
코어랩(20a)은, 흡수체(10)에 접한 상태에서 흡수체(10)의 일방면 측(도 1 중, 흡수체(10)의 상측)에 배치되어 있다. 코어랩(20b)은, 흡수체(10)에 접한 상태에서 흡수체(10)의 타방면 측(도 1 중, 흡수체(10)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흡수체(10)는, 코어랩(20a)과 코어랩(20b)의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코어랩(20a, 20b)으로서는, 티슈, 부직포, 직포, 액체 투과 구멍을 갖는 합성 수지 필름, 그물코를 갖는 네트상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코어랩(20a) 및 코어랩(20b)은, 예를 들면, 흡수체(10)와 동등한 크기의 주면(主面)을 갖고 있다.
액체 투과성 시트(30)는, 흡수 대상의 액이 침입하는 측의 최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액체 투과성 시트(30)는, 코어랩(20a)에 접한 상태에서 코어랩(20a) 상에 배치되어 있다. 액체 투과성 시트(30)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에스터, 폴리아마이드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부직포, 다공질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40)는, 흡수성 물품(100)에 있어서 액체 투과성 시트(30)와는 반대 측의 최외부에 배치되어 있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40)는, 코어랩(20b)에 접한 상태에서 코어랩(20b)의 하측에 배치되어 있다. 액체 불투과성 시트(40)로서는,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폴리염화 바이닐 등의 합성 수지로 이루어지는 시트, 이들 합성 수지와 부직포의 복합 재료로 이루어지는 시트 등을 들 수 있다. 액체 투과성 시트(30)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40)는, 예를 들면, 흡수체(10)의 주면보다 넓은 주면을 갖고 있고, 액체 투과성 시트(30)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40)의 외연부는, 흡수체(10) 및 코어랩(20a, 20b)의 주위로 연장되어 있다.
흡수체(10), 코어랩(20a, 20b), 액체 투과성 시트(30), 및 액체 불투과성 시트(40)의 대소 관계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흡수성 물품의 용도 등에 따라 적절히 조정된다. 또, 코어랩(20a, 20b)을 이용하여 흡수체(10)를 보형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지 않고,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복수의 코어랩에 의하여 흡수체를 감싸도 되며, 1매의 코어랩에 의하여 흡수체를 감싸도 된다.
흡수체는, 톱 시트에 접착되어 있어도 된다. 흡수체가 코어랩에 의하여 협지 또는 피복되어 있는 경우, 적어도 코어랩과 톱 시트가 접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코어랩과 톱 시트가 접착되어 있음과 함께 코어랩과 흡수체가 접착되어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흡수체의 접착 방법으로서는, 핫멜트 접착제를 톱 시트에 대하여 소정 간격으로 폭방향으로 스트라이프상, 스파이럴상 등으로 도포하여 접착하는 방법; 전분, 카복시메틸셀룰로스, 폴리바이닐알코올, 폴리바이닐피롤리돈, 그 외의 수용성 고분자 등의 수용성 바인더를 이용하여 접착하는 방법 등을 들 수 있다. 또, 흡수체가 열융착성 합성 섬유를 포함하는 경우, 열융착성 합성 섬유의 열융착에 의하여 접착하는 방법을 채용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 흡수체 또는 흡수성 물품을 이용한 흡액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액 방법은,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 흡수체 또는 흡수성 물품에 흡액 대상의 액을 접촉시키는 공정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침투 속도(액체의 침투 속도)의 조정 방법으로서,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수지 입자, 흡수체 또는 흡수성 물품을 이용한 침투 속도의 조정 방법(예를 들면 향상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침투 속도의 조정 방법은, 흡수성 수지 입자에 자외선을 3시간 조사했을 때의 흡수성 수지 입자에 있어서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의 변화량을 조정하는 조정 공정을 구비한다. 조정 공정에서는,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의 흡수성 수지 입자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에 대하여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의 변화량의 비율을 상술한 각 범위(예를 들면 0% 초과 30%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자외선을 3시간 조사했을 때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의 변화량에 근거하여 흡수성 수지 입자를 선정하는 선정 공정을 구비하는, 흡수성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선정 공정에서는,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의 흡수성 수지 입자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에 대하여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의 변화량의 비율을 상술한 각 범위(예를 들면 0% 초과 30% 이하)로 조정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흡수성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흡수성 수지 입자를 이용한, 흡수체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흡수성 수지 입자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흡수성 수지 입자를 얻는 입자 제조 공정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체의 제조 방법은, 입자 제조 공정 후에, 흡수성 수지 입자와 섬유상물을 혼합하는 공정을 구비해도 된다.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술한 흡수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얻어진 흡수체를 이용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상술한 흡수체의 제조 방법에 의하여 흡수체를 얻는 흡수체 제조 공정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한 흡수성 물품의 제조 방법은, 흡수체 제조 공정 후에, 흡수체와 흡수성 물품의 다른 구성 부재를 이용하여 흡수성 물품을 얻는 공정을 구비해도 되고, 당해 공정에서는, 예를 들면, 흡수체와 흡수성 물품의 다른 구성 부재를 서로 적층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을 얻는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내용을 더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흡수성 수지 입자의 제조>
(실시예 1)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질소 가스 도입관, 및 교반기를 구비한 내경 11cm, 내용적 2L의 둥근 바닥 원통형 세퍼러블 플라스크를 준비했다. 교반기에는, 도 2에 개략 형태를 나타내는 교반 날개(평판 날개)(200)를 장착했다. 교반 날개(200)는, 축(200a) 및 평판부(200b)를 구비하고 있다. 평판부(200b)는, 축(200a)에 용접되어 있음과 함께, 만곡(彎曲)된 선단을 갖고 있다. 평판부(200b)에는, 축(200a)의 축방향을 따라 뻗는 4개의 슬릿(S)이 형성되어 있다. 4개의 슬릿(S)은 평판부(200b)의 폭방향으로 배열되어 있으며, 내측의 2개의 슬릿(S)의 폭은 1cm이고, 외측 2개의 슬릿(S)의 폭은 0.5cm이다. 평판부(200b)의 길이는 약 10cm이고, 평판부(200b)의 폭은 약 6cm이다. 계속해서, 상술한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탄화수소 분산매로서 n-헵테인 293g을 첨가하고, 고분자계 분산제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미쓰이 가가쿠 주식회사제, 하이왁스 1105A) 0.736g을 첨가함으로써 혼합물을 얻었다. 이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80℃까지 승온함으로써 분산제를 용해한 후, 혼합물을 50℃까지 냉각했다.
다음으로, 내용적 300mL의 비커에,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 80.5질량%의 아크릴산 수용액 92.0g(아크릴산: 1.03몰)을 첨가했다. 계속해서,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20.9질량%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147.7g을 비커 내에 적하함으로써 75몰%의 중화를 행했다. 그 후, 증점제로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0.092g(스미토모 세이카 주식회사제, HEC AW-15F),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0.092g(0.339밀리몰) 및 과황산 칼륨 0.018g(0.067밀리몰), 내부 가교제로서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0.0046g(0.026밀리몰)을 첨가하여 용해시킴으로써 제1단째의 수성액을 조제했다.
그리고, 교반기의 회전수 425rpm으로 교반하면서 상술한 제1단째의 수성액을 상술한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첨가한 후, 10분간 교반했다. 그 후, n-헵테인 6.62g에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터(계면활성제, 미쓰비시 가가쿠 푸즈 주식회사제, 료토 슈가에스터 S-370, HLB값: 3) 0.736g을 가열 용해함으로써 얻어진 계면활성제 용액을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첨가했다. 그리고, 교반기의 회전수 425rpm으로 교반하면서 계 내를 질소로 충분히 치환했다. 그 후, 플라스크를 70℃의 수욕(水浴)에 침지하여 승온하고, 중합을 60분간 행함으로써 제1단째의 중합 슬러리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내용적 500mL의 다른 비커에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 80.5질량%의 아크릴산 수용액 128.8g(아크릴산: 1.44몰)을 첨가했다. 계속해서,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27질량%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159.0g을 비커 내에 적하함으로써 75몰%의 중화를 행했다. 그 후,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0.129g(0.476밀리몰) 및 과황산 칼륨 0.026g(0.096밀리몰)을 첨가함과 함께 내부 가교제로서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0.0117g(0.067밀리몰)을 첨가한 후에 용해시킴으로써 제2단째의 수성액을 조제했다.
다음으로, 교반기의 회전수 650rpm으로 교반하면서, 상술한 세퍼러블 플라스크 내를 25℃로 냉각한 후, 상술한 제2단째의 수성액의 전체량을 상술한 제1단째의 중합 슬러리액에 첨가했다. 계속해서, 계 내를 질소로 30분간 치환한 후, 다시, 플라스크를 70℃의 수욕에 침지하여 승온하고, 중합 반응을 60분간 행함으로써 제2단째의 함수 젤상 중합체를 얻었다.
상술한 제2단째의 함수 젤상 중합체에 45질량%의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5아세트산 5나트륨 수용액 0.589g을 교반하에서 첨가했다. 그 후, 125℃의 유욕(油浴)으로 반응액을 승온시키고, n-헵테인과 물의 공비 증류에 의하여 n-헵테인을 환류하면서 207.9g의 물을 계 외로 빼냈다. 그리고, 플라스크에 표면 가교제로서 2질량%의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수용액 4.42g(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0.507밀리몰)을 첨가한 후, 83℃에서 2시간 유지했다.
그 후, n-헵테인을 125℃에서 증발시켜 건조시킴으로써 중합체 입자(건조품)를 얻었다. 이 중합체 입자를 눈 크기 850μm의 체를 통과시킨 후, 중합체 입자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0.2질량%의 비정질 실리카(오리엔탈 실리카즈 코포레이션사제, 토쿠실 NP-S)를 중합체 입자에 혼합함으로써, 비정질 실리카를 포함하는 흡수성 수지 입자를 232.3g 얻었다. 흡수성 수지 입자의 중위 입자경은 361μm였다.
(실시예 2)
제2단째의 중합 후의 함수 젤상 중합체에 있어서, 공비 증류에 의하여 217.8g의 물을 계 외로 빼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흡수성 수지 입자 231.0g을 얻었다. 흡수성 수지 입자의 중위 입자경은 339μm였다.
(실시예 3)
제2단째의 중합 후의 함수 젤상 중합체에 있어서, 공비 증류에 의하여 224.3g의 물을 계 외로 빼낸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흡수성 수지 입자 231.0g을 얻었다. 흡수성 수지 입자의 중위 입자경은 342μm였다.
(비교예 1)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를 용해시킬 때에, 교반기로서, 평판 날개 대신에, 날개 직경 5cm의 4매 경사 패들 날개를 2단 갖는 교반 날개를 이용한 것, 제1단째의 수성액의 조제에 있어서,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을 이용하지 않고, 과황산 칼륨 0.0736g(0.272밀리몰)을 이용함과 함께, 내부 가교제로서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0.010g(0.057밀리몰)을 이용한 것, 제1단째의 중합 슬러리액의 조제에 있어서 교반기의 회전수를 550rpm으로 변경한 것, 제2단째의 수성액의 조제에 있어서,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을 이용하지 않고, 과황산 칼륨 0.090g(0.333밀리몰)을 이용함과 함께 내부 가교제로서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0.0117g(0.067밀리몰)을 이용한 것, 제2단째의 수성액의 전체량을 제1단째의 중합 슬러리액에 첨가할 때의 교반기의 회전수를 1000rpm으로 변경한 것, 제2단째의 중합 후의 함수 젤상 중합체에 첨가하는 45질량%의 다이에틸렌트라이아민 5아세트산 5나트륨 수용액의 사용량을 0.265g으로 변경함과 함께, 공비 증류에 의하여 247.9g의 물을 계 외로 빼낸 것, 및 중합체 입자의 질량에 대하여 0.5질량%의 비정질 실리카를 중합체 입자와 혼합한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흡수성 수지 입자 231.0g을 얻었다. 흡수성 수지 입자의 중위 입자경은 355μm였다.
(비교예 2)
제2단째의 중합 후의 함수 젤상 중합체에 있어서, 공비 증류에 의하여 253.9g의 물을 계 외로 빼낸 것, 및 중합체 입자의 질량에 대하여 0.1질량%의 비정질 실리카를 중합체 입자와 혼합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흡수성 수지 입자 230.8g을 얻었다. 흡수성 수지 입자의 중위 입자경은 360μm였다.
(비교예 3)
제2단째의 중합 후의 함수 젤상 중합체에 있어서, 공비 증류에 의하여 271.4g의 물을 계 외로 빼낸 것, 및 당해 공비 증류 후에 첨가하는 2질량%의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수용액의 사용량을 6.40g(0.735밀리몰)으로 변경한 것 이외에는, 비교예 1과 동일하게 하여, 흡수성 수지 입자 230.6g을 얻었다. 흡수성 수지 입자의 중위 입자경은 355μm였다.
(비교예 4)
환류 냉각기, 적하 깔때기, 질소 가스 도입관, 및 교반기(날개 직경 5cm의 4매 경사 패들 날개를 2단 갖는 교반 날개)를 구비한 내경 11cm, 내용적 2L의 둥근 바닥 원통형 세퍼러블 플라스크를 준비했다. 이 플라스크에, 탄화수소 분산매로서 n-헵테인 300g을 첨가하고, 고분자계 분산제로서 무수 말레산 변성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미쓰이 가가쿠 주식회사제, 하이왁스 1105A) 0.74g을 첨가함으로써 혼합물을 얻었다. 이 혼합물을 교반하면서 분산제를 가온 용해한 후, 혼합물을 50℃까지 냉각했다.
다음으로, 내용적 500mL의 삼각 플라스크에,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 80질량%의 아크릴산 수용액 92g(아크릴산: 1.02몰)을 첨가했다. 계속해서,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30질량%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102.2g을 플라스크 내에 적하함으로써 75몰%의 중화를 행했다. 그 후, 증점제로서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0.092g(스미토모 세이카 주식회사제, HEC AW-15F)과,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0.110g(0.407밀리몰) 및 과황산 칼륨 0.009g(0.034밀리몰)과, 내부 가교제로서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0.006g(0.037밀리몰)과, 이온 교환수 48.0g을 첨가하고 용해시킴으로써 제1단째의 수성액을 조제했다.
그리고, 교반기의 회전수 550rpm으로 교반하면서 상술한 제1단째의 수성액을 상술한 세퍼러블 플라스크에 첨가한 후, 10분간 교반했다. 그 후, n-헵테인 6.66g에 자당 스테아르산 에스터(계면활성제, 미쓰비시 가가쿠 푸즈 주식회사제, 료토 슈가에스터 S-370, HLB값: 3) 0.74g을 가열 용해함으로써 얻어진 계면활성제 용액 7.4g에 첨가했다. 그리고, 교반기의 회전수 550rpm으로 교반하면서 계 내를 질소로 충분히 치환했다. 그 후, 플라스크를 70℃의 수욕에 침지하여 승온하고, 중합을 60분간 행함으로써 제1단째의 중합 슬러리액을 얻었다.
다음으로, 내용적 500mL의 다른 삼각 플라스크에 수용성 에틸렌성 불포화 단량체로서 80질량%의 아크릴산 수용액 128.8g(아크릴산: 1.43몰)을 첨가했다. 계속해서, 외부로부터 냉각하면서, 30질량%의 수산화 나트륨 수용액 143.1g을 삼각 플라스크 내에 적하함으로써 75몰%의 중화를 행했다. 그 후, 수용성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 2,2'-아조비스(2-아미디노프로페인) 2염산염 0.155g(0.570밀리몰) 및 과황산 칼륨 0.013g(0.048밀리몰)과, 내부 가교제로서 에틸렌글라이콜다이글리시딜에터 0.009g(0.052밀리몰)과, 이온 교환수 12.5g을 첨가한 후에 용해시킴으로써 제2단째의 수성액을 조제했다.
다음으로, 교반기의 회전수 1000rpm으로 교반하면서, 상술한 세퍼러블 플라스크 내를 25℃로 냉각한 후, 상술한 제2단째의 수성액의 전체량을 상술한 제1단째의 중합 슬러리액에 첨가했다. 계속해서, 계 내를 질소로 충분히 치환한 후, 다시, 플라스크를 70℃의 수욕에 침지하여 승온하고, 제2단째의 중합을 30분간 행했다.
제2단째의 중합 후, 125℃의 유욕으로 제2단째의 반응액을 승온하고, n-헵테인과 물의 공비 증류에 의하여 n-헵테인을 환류하면서 245g의 물을 계 외로 빼냈다. 그리고, n-헵테인을 증발시켜 건조시킴으로써 중합체 입자(건조품)를 얻었다. 이 중합체 입자를 눈 크기 1000μm의 체를 통과시킴으로써 흡수성 수지 입자 233.2g을 얻었다. 흡수성 수지 입자의 중위 입자경은 370μm였다.
<중위 입자경>
흡수성 수지 입자의 상술한 중위 입자경은 하기 수순에 의하여 측정했다. 즉, JIS 표준 체를 위로부터, 눈 크기 600μm의 체, 눈 크기 500μm의 체, 눈 크기 425μm의 체, 눈 크기 300μm의 체, 눈 크기 250μm의 체, 눈 크기 180μm의 체, 눈 크기 150μm의 체, 및 받침 접시의 순서로 조합했다. 조합한 가장 위의 체에, 흡수성 수지 입자 50g을 넣고, 로 탭식 진탕기(주식회사 이이다 세이사쿠쇼제)를 이용하여 JIS Z 8815(1994)에 준하여 분급했다. 분급 후, 각 체 위에 남은 입자의 질량을 전체량에 대한 질량 백분율로서 산출하여 입도 분포를 구했다. 이 입도 분포에 관하여 입자경이 큰 쪽부터 순서대로 체 위를 적산함으로써, 체의 눈 크기와 체 위에 남은 입자의 질량 백분율의 적산값의 관계를 대수 확률지에 플롯했다. 확률지 상의 플롯을 직선으로 연결함으로써, 적산 질량 백분율 50질량%에 상당하는 입자경을 중위 입자경으로서 얻었다.
<흡수성 수지 입자의 보수량>
(자외선 조사 전)
자외선 조사 전의 흡수성 수지 입자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 A(실온, 25±2℃)를 하기 수순으로 측정했다. 먼저, 흡수성 수지 입자 2.0g을 칭량한 면 백(bag)(면 브로드 60번, 가로 100mm×세로 200mm)을 내용적 500mL의 비커 내에 설치했다. 흡수성 수지 입자가 들어간 면 백 안에 생리 식염수 500g을, 뭉치지 않도록 한 번에 주입한 후, 면 백의 상부를 고무 밴드로 묶어, 30분 정치시킴으로써 흡수성 수지 입자를 팽윤시켰다. 30분 경과 후의 면 백을, 원심력이 167G가 되도록 설정한 탈수기(주식회사 고쿠산제, 품번: H-122)를 이용하여 1분간 탈수한 후, 탈수 후의 팽윤 젤을 포함한 면 백의 질량 Wa[g]를 측정했다. 흡수성 수지 입자를 첨가하지 않고 동일한 조작을 행하여, 면 백의 습윤 시의 공(空)질량 Wb[g]를 측정하고, 보수량 A로서, 하기 식으로부터 흡수성 수지 입자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을 산출했다.
보수량[g/g]=(Wa-Wb)/2.0
(자외선 조사 후)
자외선 조사 후의 흡수성 수지 입자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 B(실온, 25±2℃)를 하기 수순으로 측정했다. 먼저, 흡수성 수지 입자 2.5g을 유리제 샬레(내경 10cm)의 바닥면 전체에 대하여 균일하게 살포했다. 흡수성 수지 입자의 바로 위 5cm의 높이에 자외선 조사 장치(애즈원 주식회사제, 상품명: 핸디 UV 램프, 형번: SUV-4)의 광원을 설치했다. 장치 전체를 상자로 덮음으로써 차광한 후에, 유리제 샬레 내의 흡수성 수지 입자에 대하여 파장 254nm의 자외선을 3시간 조사했다. 흡수성 수지 입자에 조사되는 자외선 강도는 610μW/cm2였다. 자외선 조사 후의 흡수성 수지 입자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 B를 상기 보수량 A와 동일한 수순으로 산출했다.
(변화량의 비율의 산출)
자외선 조사 전후에 있어서의 보수량의 변화량의 비율[%]을 하기 식으로부터 산출했다. 보수량 A, 보수량 B, 및 보수량의 변화량의 비율을 표 1에 나타낸다.
보수량의 변화량의 비율[%]={(보수량 B[g/g]-보수량 A[g/g])/보수량 A[g/g]}×100
<흡수성 수지 입자의 하중하의 흡수량>
흡수성 수지 입자의 하중하의 생리 식염수의 흡수량(실온, 25℃±2℃)을, 도 3에 나타내는 측정 장치(Y)를 이용하여 측정했다. 측정 장치(Y)는, 뷰렛부(61), 도관(62), 측정대(63), 및 측정대(63) 상에 놓인 측정부(64)로 구성된다. 뷰렛부(61)는, 연직 방향으로 뻗는 뷰렛(61a)과, 뷰렛(61a)의 상단에 배치된 고무 마개(61b)와, 뷰렛(61a)의 하단에 배치된 콕(61c)과, 콕(61c)의 근방에 있어서 일단(一端)이 뷰렛(61a) 내로 뻗는 공기 도입관(61d)과, 공기 도입관(61d)의 타단(他端) 측에 배치된 콕(61e)을 갖고 있다. 도관(62)은, 뷰렛부(61)와 측정대(63)의 사이에 장착되어 있다. 도관(62)의 내경은 6mm이다. 측정대(63)의 중앙부에는, 직경 2mm의 구멍이 뚫려 있고, 도관(62)이 연결되어 있다. 측정부(64)는, 원통(64a)(아크릴 수지제)과, 원통(64a)의 바닥부에 접착된 나일론 메시(64b)와, 추(64c)를 갖고 있다. 원통(64a)의 내경은 20mm이다. 나일론 메시(64b)의 눈 크기는 75μm(200메시)이다. 그리고, 측정 시에는 나일론 메시(64b) 상에 측정 대상의 흡수성 수지 입자(66)가 균일하게 살포된다. 추(64c)의 직경은 19mm이며, 추(64c)의 질량은 119.6g이다. 추(64c)는, 흡수성 수지 입자(66) 상에 놓이고, 흡수성 수지 입자(66)에 대하여 4.14kPa의 하중을 가할 수 있다.
측정 장치(Y)의 원통(64a) 내에 0.100g의 흡수성 수지 입자(66)를 넣은 후, 추(64c)를 올려 측정을 개시했다. 흡수성 수지 입자(66)가 흡수한 생리 식염수와 동일한 용적의 공기가, 공기 도입관으로부터, 신속하게 또한 원활하게 뷰렛(61a)의 내부에 공급되기 때문에, 뷰렛(61a)의 내부의 생리 식염수의 수위의 감량이, 흡수성 수지 입자(66)가 흡수한 생리 식염수량이 된다. 뷰렛(61a)의 눈금은, 위에서 아래 방향으로 0mL부터 0.5mL 단위로 각인되어 있으며, 생리 식염수의 수위로서, 흡수 개시 전의 뷰렛(61a)의 눈금 Va와, 흡수 개시부터 120분 후의 뷰렛(61a)의 눈금 Vb를 판독하여, 하기 식으로부터 하중하의 흡수량을 산출했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하중하의 흡수량[mL/g]=(Vb-Va)/0.1
<흡수성 물품의 제작>
기류형 혼합 장치(유한회사 오텍사제, 패드 포머)를 이용하여, 흡수성 수지 입자 10g 및 분쇄 펄프 6.8g을 공기 초조(抄造)에 의하여 균일 혼합함으로써, 40cm×12cm의 크기의 시트상의 흡수체를 제작했다. 다음으로, 시트상의 흡수체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평량 16g/m2의 2매의 티슈 페이퍼로 흡수체의 상하를 협지한 상태로 전체에 196kPa의 하중을 30초간 가하여 프레스함으로써 적층체를 얻었다. 또한, 흡수체와 동일한 크기를 갖는 평량 22g/m2의 폴리에틸렌-폴리프로필렌제의 에어 스루형 다공질 액체 투과성 시트를 적층체의 상면에 배치함으로써 흡수성 물품을 제작했다.
<침투 속도>
온도 25±2℃의 실내에 있어서, 수평의 받침대 위에 흡수성 물품을 배치했다. 다음으로, 내경 3cm의 투입구를 갖는 용량 100mL의 액투입용 실린더(양단이 개구된 원통)를 흡수성 물품의 주면의 중심부에 두었다. 계속해서, 미리 소량의 청색 1호로 착색하여 25±1℃로 조정한 생리 식염수 80mL를 실린더 내에 한 번에 투입했다(연직 방향으로부터 공급했다). 스톱 워치를 이용하여, 투입 개시부터, 생리 식염수가 실린더 내로부터 완전하게 소실될 때까지의 흡수 시간을 측정했다. 이 조작을 30분 간격으로 추가로 2회(계 3회) 행하여, 3회째의 흡수 시간을 침투 속도[초]로서 얻었다. 침투 속도는 짧은 쪽이 바람직하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낸다.
Figure pct00001
표 1에 의하면, 흡수성 수지 입자에 자외선을 조사했을 때의 흡수성 수지 입자에 있어서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의 변화량을 조정하는 것이, 우수한 침투 속도를 갖는 흡수성 물품을 얻는 것에 유효하다는 것이 확인된다.
10…흡수체
10a, 66…흡수성 수지 입자
10b…섬유층
20a, 20b…코어랩
30…액체 투과성 시트
40…액체 불투과성 시트
61…뷰렛부
61a…뷰렛
61b…고무 마개
61c…콕
61d…공기 도입관
61e…콕
62…도관
63…측정대
64…측정부
64a…원통
64b…나일론 메시
64c…추
100…흡수성 물품
200…교반 날개
200a…축
200b…평판부
S…슬릿
Y…측정 장치

Claims (7)

  1. 흡수성 수지 입자를 함유하는 흡수체로서,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에 자외선을 3시간 조사했을 때의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의 변화량의 비율이,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의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에 대하여 0% 초과 30% 이하인, 흡수체.
  2. 청구항 1에 있어서,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에 있어서,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이 10~80g/g인, 흡수체.
  3. 청구항 1 또는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가, (메트)아크릴산 및 그 염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적어도 1종에서 유래하는 구조 단위를 갖는, 흡수체.
  4.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3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의 함유량이 당해 흡수체의 전체 질량을 기준으로 하여 50질량% 이상인, 흡수체.
  5. 청구항 1 내지 청구항 4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
  6. 청구항 5에 있어서,
    기저귀인, 흡수성 물품.
  7. 흡수체를 구비하는 흡수성 물품에 있어서의 침투 속도의 조정 방법으로서,
    상기 흡수체가 흡수성 수지 입자를 함유하고,
    당해 조정 방법이,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에 자외선을 3시간 조사했을 때의 상기 흡수성 수지 입자에 있어서의 생리 식염수의 보수량의 변화량을 조정하는 공정을 구비하는, 침투 속도의 조정 방법.
KR1020217031050A 2019-03-08 2020-03-05 흡수체, 흡수성 물품, 및 침투 속도의 조정 방법 KR2021013707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9-043011 2019-03-08
JP2019043011 2019-03-08
PCT/JP2020/009482 WO2020184391A1 (ja) 2019-03-08 2020-03-05 吸収体、吸収性物品、及び、浸透速度の調整方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37070A true KR20210137070A (ko) 2021-11-17

Family

ID=724275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31050A KR20210137070A (ko) 2019-03-08 2020-03-05 흡수체, 흡수성 물품, 및 침투 속도의 조정 방법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1) US20220151842A1 (ko)
EP (1) EP3936530A4 (ko)
JP (2) JP7194197B2 (ko)
KR (1) KR20210137070A (ko)
CN (1) CN113544162A (ko)
WO (1) WO202018439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20218167A1 (ko) * 2019-04-23 2020-10-29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5819A (ja) 1993-06-08 1994-12-20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高吸水性樹脂の製造法
JPH09510889A (ja) 1994-03-29 1997-11-04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良好な湿潤一体性を有し、ヒドロゲルを形成する吸収性重合体の濃度が比較的高い、体液用吸収部材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554354B2 (ja) * 1988-02-23 1996-11-13 ユニ・チャーム株式会社 吸収材の製造方法
JP5091373B2 (ja) 1999-12-15 2012-12-05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吸収物品
TWI278480B (en) * 1999-12-15 2007-04-11 Nippon Catalytic Chem Ind Water-absorbent resin composition
CN1197901C (zh) * 1999-12-28 2005-04-20 金泽等 高分子材料的改性方法及其用途
CN100434159C (zh) * 2003-12-12 2008-11-19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剂及其生产方法和用途
JP2007277466A (ja) * 2006-04-10 2007-10-25 Procter & Gamble Co 改質された吸水性樹脂の製法
CA2649299A1 (en) * 2006-04-10 2007-10-25 The Procter & Gamble Company An absorbent member comprising a modified water absorbent resin
JP5415256B2 (ja) * 2006-08-31 2014-02-12 株式会社日本触媒 粒子状吸水剤およびその製造方法
WO2009123197A1 (ja) * 2008-03-31 2009-10-08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樹脂を主成分とする粒子状吸水剤の製造方法及びその製造装置
EP2338918B1 (en) * 2008-09-16 2015-06-03 Nippon Shokubai Co., Ltd. Production method and method for enhancing liquid permeability of water-absorbing resin
KR101887706B1 (ko) 2009-09-30 2018-08-10 가부시키가이샤 닛폰 쇼쿠바이 입자상 흡수제 및 그 제조방법
WO2013002387A1 (ja) 2011-06-29 2013-01-03 株式会社日本触媒 ポリアクリル酸(塩)系吸水性樹脂粉末及びその製造方法
JP6549841B2 (ja) * 2013-12-27 2019-07-24 旭化成株式会社 吸収性複合体及びその製造方法
WO2015129917A1 (ja) * 2014-02-28 2015-09-03 株式会社日本触媒 ポリ(メタ)アクリル酸(塩)系粒子状吸水剤及び製造方法
JP6685926B2 (ja) * 2014-12-05 2020-04-22 株式会社日本触媒 吸水性樹脂の製造方法
EP3896097A1 (en) * 2018-12-12 2021-10-20 Sumitomo Seika Chemicals Co., Ltd. Water-absorptive resin particle, absorption body, and absorptive article
KR20210101249A (ko) * 2018-12-12 2021-08-18 스미토모 세이카 가부시키가이샤 흡수성 수지 입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345819A (ja) 1993-06-08 1994-12-20 Nippon Synthetic Chem Ind Co Ltd:The 高吸水性樹脂の製造法
JPH09510889A (ja) 1994-03-29 1997-11-04 ザ、プロクター、エンド、ギャンブル、カンパニー 良好な湿潤一体性を有し、ヒドロゲルを形成する吸収性重合体の濃度が比較的高い、体液用吸収部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20151842A1 (en) 2022-05-19
EP3936530A1 (en) 2022-01-12
JP7194197B2 (ja) 2022-12-21
EP3936530A4 (en) 2022-12-21
JP2021102137A (ja) 2021-07-15
CN113544162A (zh) 2021-10-22
JPWO2020184391A1 (ja) 2021-03-18
WO2020184391A1 (ja) 2020-09-1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20184394A1 (ja) 吸水性樹脂粒子、吸収体、吸収性物品、吸水性樹脂粒子の通液維持率の測定方法、及び吸水性樹脂粒子の製造方法
KR20210101251A (ko) 흡수성 수지 입자,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
KR20210137068A (ko) 흡수성 수지 입자
JP6828222B1 (ja) 吸水性樹脂粒子、吸収性物品、吸水性樹脂粒子を製造する方法、及び吸収体の加圧下での吸収量を高める方法
KR20210101243A (ko) 흡수성 수지 입자
KR20210101242A (ko) 흡수성 수지 입자
KR20210137071A (ko) 흡수성 수지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흡수체, 흡수성 물품, 및 침투 속도의 조정 방법
KR20210137069A (ko) 흡수성 수지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
KR20210137067A (ko) 흡수성 수지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
WO2020184386A1 (ja) 吸水性樹脂粒子、吸収性物品、吸水性樹脂粒子を製造する方法、及び吸収体への生理食塩水の浸透速度を速める方法
EP3896120B1 (en) Water-absorbing resin particles, absorbent, and absorbent article
WO2020122219A1 (ja) 吸水性樹脂粒子、吸収体、吸収性物品、及び液吸引力測定方法
KR20210101254A (ko) 흡수성 수지 입자,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
KR20210101250A (ko) 흡수성 물품
KR20210101245A (ko) 흡수성 수지 입자 및 흡수성 물품
KR20210137070A (ko) 흡수체, 흡수성 물품, 및 침투 속도의 조정 방법
KR20210139288A (ko) 흡수성 수지 입자 및 그 제조 방법
KR20210137066A (ko) 흡수성 수지 입자,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
US20220219140A1 (en) Water-absorbent resin particles
WO2020218158A1 (ja) 吸水性樹脂粒子
WO2020122215A1 (ja) 吸水性樹脂粒子並びに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20218168A1 (ja) 吸水性樹脂粒子、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KR20210101240A (ko) 흡수성 수지 입자, 흡수체 및 흡수성 물품
JP6889811B2 (ja) 吸水性樹脂粒子、吸収性物品、吸水性樹脂粒子を製造する方法、及び吸収性物品の液漏れを抑制する方法
JP6752320B2 (ja) 吸収性物品及びその製造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