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46387A -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 - Google Patents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46387A
KR20210046387A KR1020190130032A KR20190130032A KR20210046387A KR 20210046387 A KR20210046387 A KR 20210046387A KR 1020190130032 A KR1020190130032 A KR 1020190130032A KR 20190130032 A KR20190130032 A KR 20190130032A KR 20210046387 A KR20210046387 A KR 2021004638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chovy
rotation
unit
feet
stri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300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예도
Original Assignee
이예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예도 filed Critical 이예도
Priority to KR10201901300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10046387A/ko
Publication of KR2021004638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4638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2BUTCHERING; MEAT TREATMENT; PROCESSING POULTRY OR FISH
    • A22CPROCESSING MEAT, POULTRY, OR FISH
    • A22C25/00Processing fish ; Curing of fish; Stunning of fish by electric current; Investigating fish by optical means
    • A22C25/08Holding, guiding, or conveying fish before, during or after its preparation ; Devices for sizing fish; Automatically adapting conveyors or processing machines to the measured siz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Specific Conveyance Element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베이스; 상기 베이스 전방 측에 배치되고 투입된 멸치발을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경사이송컨베이어; 적층된 멸치발을 최하단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경사이송컨베이어 측으로 자동 투입하기 위한 투입가이드유닛;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경사이송컨베이어 후방 측에 배치되고 이송된 멸치발을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프론트이송컨베이어;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프론트이송컨베이어 후방 측에 배치되고 이송된 멸치발을 회전시켜 멸치를 낙하시키기 위한 프론트회전유닛; 상기 베이스에서 멸치가 낙하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호퍼;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프론트회전유닛 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회전유닛에 의해 180도 회전된 멸치발을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미들이송컨베이어; 상기 미들이송컨베이어 상부 측에 배치되고 상방을 향하고 있는 멸치발의 하부면을 타격하여 멸치발에 잔존하는 멸치를 털어내기 위한 타격유닛;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미들이송컨베이어 후방 측에 배치되고 이송된 멸치발을 회전시키기 위한 리어회전유닛; 및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리어회전유닛 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회전유닛에 의해 180도 회전된 멸치발을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리어이송컨베이어;를 포함하는 단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체가 한 쌍이 구비되어 좌우 양측에 나란히 배치되도록 구현함으로써, 자동 멸치 털이기가 좌우 나란히 두 대가 배치되고 멸치발 자동 투입 공급과, 각각의 멸치 털이기에서 수집된 멸치들을 동시에 포장 박스나 보관함 등으로 반출할 수 있도록 하여 멸치 털이나 포장 완료까지의 모든 과정이 신속하고 작업 효율성 및 제품 생산성을 높일 수 있는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AUTOMATIC ANCHOVY COLLECTING APPARATUS OF DOUBLE TYPE}
본 발명은 멸치가 수납된 멸치발을 투입하여 멸치발에서 멸치를 자동으로 털어 분리 수집 및 배출할 수 있고, 털이가 완료된 멸치발을 자동 적층 및 반출할 수 있으며, 이러한 공정을 수행하는 구조가 좌우 양측에 각각 배치됨에 따라 멸치 투입, 털이, 클린 및 배출, 멸치발 반출 등의 모든 공정이 단독형 구조 보다 신속하게 수행할 수 있는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에 관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어장에서 갓 잡아 올린 산멸치는 신선도 유지와 잡냄새 제거 등을 위해 선상에서 사각형 채반 형상을 가지는 플라스틱 재질의 멸치발에 담겨 대형 솥에서 자숙(삶거나 찜) 처리되고, 자숙 처리된 멸치는 육지의 건조장으로 옮겨져 멸치발 상에서 건조 처리된다.
멸치에는 다량의 유분이 포함되어 있어 건조 시 멸치발 바닥면에 잘 눌러 붙게 되어 멸치발을 단순히 뒤집는 방법으로는 멸치가 잘 떨어지지 않는다. 실제 대부분의 멸치 작업장에서는 사람 허리정도 높이에 철봉을 설치하고, 적게는 십여명, 많게는 수십명의 작업자가 대량 적재된 멸치발을 일일이 운반, 철봉에 강하게 내려치는 것으로 멸치를 분리 회수하고 있다.
이렇듯 멸치회수 작업 시 멸치발에 강한 충격이 반복적으로 가해지므로 멸치발은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로 되어 있어 자체 무게가 상당하다. 여기에 적재된 멸치 무게까지 더하면 일반 성인은 물론 숙련자들도 작업이 버겁고, 멸치발을 내려치는 반복 작업으로 손목 인대 부상이 자주 발생되곤 한다. 또한, 작업이 고되어 숙련자들에게도 1일 작업량이 생각보다 많지 않아, 멸치잡이 철 동안에는 어획량 대비 일손이 부족하여 멸치 생산에 차질을 빚기도 하고, 인건비 상승에 따른 생산 비용도 증가한다. 또한, 멸치발은 단단한 플라스틱 재질로 제조되고 있으나, 멸치잡이 시즌 동안 멸치발의 약 30%는 파손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높은 파손율은 생산자의 입장에서 상당한 비용 부담으로 작용한다.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기술로는,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92221호 (2019.08.07.공개, 이하에서는 ‘문헌 1’이라고 함) 『멸치 떨이 자동화 장치』가 제시되어 있는바,
문헌 1은 멸치발을 이송시키기 위한 컨베이어와 상기 컨베이어 구동수단이 구비된 몸체부; 멸치발 적층물로부터 멸치발 한 개씩을 상기 몸체부로 공급하는 멸치발 공급부; 상기 멸치발 공급부로부터 이송되는 멸치발을 180°전도시키는 제1 멸치발 전도부; 상기 몸체부를 가로질러 고정되는 회전축과 상기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모터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축에는 다수개의 캠이 구비되고, 상기 캠의 회전에 맞물려 상기 제1 멸치발 전도부로부터 이송되는 180° 전도된 멸치발의 바닥면을 상측에서 연속 타격하는 타격부재가 구비된 멸치발 타격부; 상기 멸치발 타격부로부터 이송되는 180°전도된 멸치발을 다시 180°전도시키는 제2 멸치발 전도부; 및 제어부를 포함함으로써, 멸치를 자숙하고 건조시킨 멸치발(멸치건조채반)로부터 마른멸치를 회수하고, 멸치발에 늘러 붙어 잘 떨어지지 않는 멸치 또는 멸치 유분을 효과적으로 떨어내는 일련의 공정이 수행되는 멸치 떨이 자동화 장치에 관한 기술이다.
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9-0092221호 (2019.08.07.공개)
본 발명은 투입된 멸치발을 3단계로 이송시키되, 1단계와 2단계 사이에 멸치발을 180도 회전시켜 멸치를 털어 낙하시키는 공정과, 2단계와 3단계 사이에 멸치발을 180도 회전시켜 원위치 시키는 공정과, 2단계 이송에서 회전식 브러시를 이용해 멸치발의 하부면을 쓸면서 타격하여 멸치발 내에 잔존하는 멸치를 최종적으로 분리 낙하할 수 있도록 하는 공정으로 수행하는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멸치발 적층, 멸치발 자동 투입, 이송, 멸치발 180도 회전식 멸치 털이, 멸치발 클린 및 타격, 멸치발 180도 회전(원위치로 복귀), 멸치발 적층 반출 등의 모든 공정이 좌우 나란히 배치된 각각의 자동 멸치 털이기에서 동시에 수행됨에 따라 작업 효율성이 우수한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에 관한 기술이다.
아울러 본 발명은 적층된 멸치발들을 자동으로 밀어 외부로 반출할 수 있도록 하고, 호퍼를 통해 배출되는 멸치들을 특정 위치로 이송시켜 포장용 상자 등에 자동으로 담을 수 있도록 한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해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는,
베이스;
상기 베이스 전방 측에 배치되고 투입된 멸치발을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경사이송컨베이어;
적층된 멸치발을 최하단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경사이송컨베이어 측으로 자동 투입하기 위한 투입가이드유닛;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경사이송컨베이어 후방 측에 배치되고 이송된 멸치발을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프론트이송컨베이어;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프론트이송컨베이어 후방 측에 배치되고 이송된 멸치발을 회전시켜 멸치를 낙하시키기 위한 프론트회전유닛;
상기 베이스에서 멸치가 낙하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호퍼;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프론트회전유닛 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회전유닛에 의해 180도 회전된 멸치발을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미들이송컨베이어;
상기 미들이송컨베이어 상부 측에 배치되고 상방을 향하고 있는 멸치발의 하부면을 타격하여 멸치발에 잔존하는 멸치를 털어내기 위한 타격유닛;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미들이송컨베이어 후방 측에 배치되고 이송된 멸치발을 회전시키기 위한 리어회전유닛; 및
상기 베이스에서 상기 리어회전유닛 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회전유닛에 의해 180도 회전된 멸치발을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리어이송컨베이어;
를 포함하는 단위체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체가 한 쌍이 구비되어 좌우 양측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는,
투입된 멸치발을 180도 회전시켜 멸치발에 수납된 멸치들을 자동 낙하시켜 수집되게 하고, 이후 멸치발의 하부면을 쓸면서 타격하여 멸치발 내의 잔존 멸치들을 분리 낙하시키며, 멸치발을 180도 회전시킨 다음 적층 반출할 수 있도록 모든 공정이 자동화된 자동 멸치 털이기를 제공하고, 특히 이러한 자동 멸치 털이기가 좌우 나란히 두 대가 배치되고 멸치발 자동 투입 공급과, 각각의 멸치 털이기에서 수집된 멸치들을 동시에 포장 박스나 보관함 등으로 반출할 수 있도록 하여 멸치 털이나 포장 완료까지의 과정이 신속하고 작업 효율성 및 제품 생산성이 우수한 가장 큰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를 나타낸 측면 구성도,
도 2a는 도 1의 평면 구성도,
도 2b는 경사이송컨베이어 및 투입가이드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면 구성도,
도 3은 프론트이송컨베이어, 바텀이송컨베이어 및 프론트회전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평면 구성도,
도 4는 미들이송컨베이어, 리어이송컨베이어, 리어회전유닛 및 반출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평면 구성도,
도 5는 프론트 및 리어 회전유닛과 호퍼, 타격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면 구성도,
도 6은 프론트회전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면 구성도,
도 7은 프론트회전유닛에 의해 멸치발이 180도 회전되는 동작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면 구성도,
도 8은 타격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면 구성도,
도 9는 타격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정면 구성도,
도 10은 반출유닛을 보여주기 위한 일부 측면 구성도.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 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을 기준으로 프론트이송컨베이어 측을 전부(前部) 또는 전방, 리어이송컨베이어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고, 또 도 3을 기준으로 제1회전브래킷 측을 좌부(左部) 또는 좌방, 제2회전브래킷 측을 후부(後部) 또는 후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고, 또 도 5를 기준으로 호퍼의 호퍼입구 측을 상부 또는 상방, 호퍼의 호퍼출구 측을 하부 또는 하방이라고 방향을 특정하기로 한다.
도 1 내지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는,
크게 베이스(10), 경사이송컨베이어(20), 투입가이드유닛(70), 프론트이송컨베이어(20A), 프론트회전유닛(30A), 호퍼(40), 미들이송컨베이어(20B), 타격유닛(50), 리어회전유닛(30B) 및 리어이송컨베이어(20C)를 포함하는 단위체(U)로 이루어져, 상기 단위체(U)가 한 쌍이 구비되어 좌우 양측에 나란히 배치됨에 따라 자동 멸치 털이기가 더블 형태의 구조를 이룬다.
각 구성에 대해 살펴보면,
베이스(10)는
도 1 및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호 연결되는 횡 및 종 프레임, 패널 등에 의해 전후로 긴 사각틀 구조로 이루어진다.
상기 베이스(10)의 하부 측에는 이동을 위한 바퀴인 다수의 캐스터(11)가 구비될 수 있다.
경사이송컨베이어(20)는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 전방 측에 배치되고 투입된 멸치발(1)을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10)의 좌우 단부에 배치되되 후방으로 갈수록 점차 상방으로 경사진 구조를 갖는 한 쌍의 슬로프블록(201),
상기 각 슬로프블록(201)의 전방 측 내벽에 회전 가능케 연결되는 제1슬로프샤프트(202),
상기 각 슬로프블록(202)의 후방 측 내벽에 회전 가능케 연결되는 제2슬로프샤프트(203),
상기 각 슬로프샤프트(202, 203)를 상호 연결하되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엔드리스(endless)형 슬로프벨트(204), 그리고
상기 제2슬로프샤프트(203)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슬로프구동부(20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슬로프구동부(205)는 구동축 및 이에 축 결합되는 구동기어를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2슬로프샤프트(203)에 축 결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를 상호 연결하는 체인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모터 구동 시 상기 체인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슬로프샤프트(203)가 회전된다. 상기 슬로프구동부(205)는 상기 제2슬로프샤프트(203)에 회전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상기 슬로프벨트(204) 회전 시 상기 슬로프벨트(204)를 타고 이동하는 멸치발(1)이 후술할 프론트이송컨베이어(20A)의 프론트벨트(21d)로 갈아탈 수 있도록 상기 슬로프벨트(204)의 끝 지점과 상기 프론트벨트(21d)의 시작 지점이 서로 이어지는 형태를 이룬다.
따라서 상기 슬로프구동부(205)에서 제공되는 회전 동력이 상기 제2슬로프샤프트(203)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슬로프벨트(204)가 상기 각 슬로프샤프트(202, 203)에 안내되어 회전하게 되고 상기 슬로프벨트(204)로 투입된 멸치발(1)이 상기 프론트이송컨베이어(20A) 측으로 이송된다.
투입가이드유닛(70)은
도 1, 도 2a 및 도 2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층된 멸치발(1)을 최하단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경사이송컨베이어(20) 측으로 자동 투입하기 위한 것으로,
상기 경사이송컨베이어(20)의 전방 측에 세워지고 내부에 멸치발용 수납공간부(711)와 이의 상방 및 후방 각각에 반입구(712) 및 투입구(713)를 갖는 가이드타워(71), 그리고
상기 가이드타워(71) 전방 측에 장착되어 상기 수납공간부(711)에 적층된 멸치발 중 최하단 멸치발을 밀어 상기 경사이송컨베이어(20) 측으로 낙하 투입하기 위한 가이드푸시수단(72)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가이드타워(71)는 상기 베이스(10)의 좌우 단부에 세워지고 속이 빈 사각틀 구조이면서 멸치발(1)이 적층되도록 사각틀 내부에 수평으로 설치되는 판형의 받침부재와 전방에 세워지게 설치되는 판형의 마감부재가 구비됨에 따라 사각틀, 받침부재 및 마감부재를 통해 상기 수납공간부(711), 반입구(712) 및 투입구(713)가 형성되는 것이다. 결국 상기 반입구(712)로 투입된 멸치발(1)은 상기 수납공간부(711)에 순차적으로 적층되고 적층된 멸치발(1) 중 최하단 멸치발(1)이 상기 가이드푸시수단(72)에 의해 밀려 상기 경사이송컨베이어(20)의 슬로프벨트(204) 측으로 낙하 투입되는 것이다.
그리고 상기 가이드푸시수단(72)은 피스톤과, 이 피스톤이 내장되고 선택적 에어 공급에 의해 피스톤을 진퇴 동작케 하는 공압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져, 전진하는 피스톤에 의해 최하단에 위치한 멸치발(1)을 밀게 된다.
한편, 도시되어 있지는 않으나 다른 예의 투입가이드유닛(70)은
우선 상기 가이드타워(71)는 투입구(713)가 후방을 향하지 않고 좌우 측방을 향해 개구(開口)된 구조이면서 상기 각 단위체(U)의 경사이송컨베이어(20) 사이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기 가이드타워(71)에 장착되어 상기 가이드타워(71)의 양 투입구(713) 중 좌측 투입구(713)를 향해 상기 가이드푸시수단(72)이 배치되고, 또 상기 가이드푸시수단(72)을 상하로 승강케 하는 별도의 승강수단이 배치되며, 또 양 투입구(713) 중 우측 투입구(713)에 상기 가이드푸시수단(72)이 하나 더 배치되고, 또 상기 하나 더 배치된 가이드푸시수단(72)을 위한 승강수단이 더 배치되도록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승강수단은 해당 가이드푸시수단을 받치게 되는 승강플레이트와, 이 승강플레이트를 상하로 승강케 하도록 승강플레이트 하부면에 연결되는 피스톤 및 이 피스톤이 내장되고 선택적 에어 공급에 의해 피스톤을 상하로 진퇴 동작케 하는 승강공압실린더 구조의 승강구동부로 이루어져, 승강구동부의 구동에 의해 상기 각 가이드푸시수단이 상하로 승강 동작을 하게 된다.
이를 토대로 동작 과정을 설명하면,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하나의 가이드푸시수단(72)이 상승하여 좌측 투입구(713)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하나의 가이드푸시수단(72)에 의해 최하단의 멸치발(1)이 밀려 좌측 단위체(U)의 경사이송컨베이어(20) 측으로 낙하되고, 상기 승강수단에 의해 다른 하나의 가이드푸시수단(72)이 상승하여 우측 투입구(713)로부터 벗어난 상태에서 하나의 가이드푸시수단(72)에 의해 최하단의 멸치발(1), 즉 다른 하나의 가이드수단(72)에 의해 최하단의 멸치발(1)이 밀려 나간 후 이의 상부 측에서 자중에 의해 내려와 최하단 위치한 멸치발(1)이 우측 단위체(U)의 경사이송컨베이어(20) 측으로 낙하된다. 결국 이러한 동작이 반복되면서 각 단위체(U)의 경사이송컨베이어(20) 측으로 번갈아가면서 멸치발(1)이 자동 투입되도록 구현할 수 있는 것이다.
프론트이송컨베이어(20A)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에서 상기 경사이송컨베이어(20) 후방 측에 배치되고 이송된 멸치발(1)을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10)의 좌우 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프론트블록(21a),
상기 각 프론트블록(21a)의 전방 측 내벽에 회전 가능케 연결되는 제1프론트샤프트(21b),
상기 각 프론트블록(21a)의 후방 측 내벽에 회전 가능케 연결되는 제2프론트샤프트(21c),
상기 각 프론트샤프트(21b, 21c)를 상호 연결하되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엔드리스(endless)형 프론트벨트(21d), 그리고
상기 제2프론트샤프트(21c)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프론트구동부(21e)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프론트구동부(21e)는 구동축 및 이에 축 결합되는 구동기어를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2프론트샤프트(21c)에 축 결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를 상호 연결하는 체인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모터 구동 시 상기 체인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프론트샤프트(21c)가 회전된다. 상기 프론트구동부(21e)는 상기 제2프론트샤프트(21c)에 회전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구동부(21e)에서 제공되는 회전 동력이 상기 제2프론트샤프트(21c)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프론트벨트(21d)가 상기 각 프론트샤프트(21b, 21c)에 안내되어 회전하게 되고 상기 프론트벨트(21d)로 투입된 멸치발(1)이 후방 측으로 이송된다.
프론트회전유닛(30A)과 리어회전유닛(30B)은
도 4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 상부에 세워지되, 상기 베이스(10)의 좌우 단부에 상호 이격되게 세워지는 한 쌍의 회전지지체(31),
상기 각 회전지지체(31) 중 좌측 회전지지체(31)에 회전 가능케 장착되며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ㄷ’자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는 제1회전브래킷(32),
상기 각 회전지지체(31) 중 우측 회전지지체(31)에 회전 가능케 장착되며 상기 제1회전브래킷(32)과 상호 대향되는 구조를 갖는 제2회전브래킷(33), 그리고
상기 제1회전브래킷(32) 또는 제2회전브래킷(33)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부(34)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회전브래킷(32, 33) 각각의 전단부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점차 커지도록 경사진 프론트가이드(321, 331)가 형성되는데, 우선 상기 각 회전브래킷(32, 33) 내부 공간은 멸치발(1)이 드나들 수 있는 정도의 공간 크기를 갖는데, 그 공간이 멸치발(1)의 두께와 상응함에 따라 최초 멸치발(1) 진입 시 쉽게 진입되기 어려울 수 있기에 상기 프론트가이드(321, 331)를 통해 멸치발(1)의 진입이 용이하도록 구현하였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가이드(321, 331)는 상하로 경사져 입을 벌린 형상을 갖는다.
그리고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1 및 제2 회전브래킷(32, 33) 각각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점차 커지도록 경사진 리어가이드(322, 332)가 형성되는데, 상기 리어가이드(322, 332)는 최초 후방을 향해 배치되어 있다가 상기 회전구동부(34)에 의해 상기 각 회전브래킷(32, 33)이 180도 회전하게 되면 전방 측을 향해 배치됨으로써 상기 프론트가이드(321, 331)와 동일한 기능을 하게 된다. 따라서 상기 리어가이드(322, 332)는 상기 프론트가이드(321, 331)와 마찬가지로 상하로 경사져 입을 벌린 형상을 갖는다.
상기 프론트이송컨베이어(20A)에 의해 이송된 멸치발(1)은 상기 프론트회전유닛(30A)의 각 회전브래킷(32, 33) 내부로 진입하게 되고, 멸치발(1)의 중단부가 상기 각 회전브래킷(32, 33)의 중단부 측에 배치되는 것을 별도의 센서 등을 이용해 감지하게 되면, 센서의 센싱값을 전달받은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회전구동부(34)가 제어되어 구동됨에 따라 상기 각 회전브래킷(32, 33)이 180도 회전 후 정지된다. 이렇게 180도 회전하는 과정에서 멸치발(1)의 내부에 수납된 멸치가 자동으로 낙하하게 되고, 특히 상기 각 회전브래킷(32, 33)이 180도 회전 후 정지 시 상기 미들이송컨베이어(20B)의 각 미들벨트(22d)와 미세하게 충격함에 따라 이때의 충격으로 인해 멸치가 좀 더 용이하게 털어져 낙하하게 된다.
그리고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각 회전브래킷(32, 33)에는 진입한 멸치발(1)을 고정 및 이를 해제하기 위한 홀딩수단(35)이 더 구비될 수 있는데, 상기 홀딩수단(35)은 상기 각 회전브래킷(32, 33)의 상면 또는 하면에 상하 관통되게 삽입되는 피스톤(351)과, 상기 피스톤(351)이 내장되고 에어의 선택적 공급에 의해 상기 피스톤(351)을 상하로 진퇴(進退) 동작케 하고 상기 각 회전브래킷(32, 33)에 장착되는 공압실린더(352)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각 회전브래킷(32, 33) 내로 멸치발(1)이 진입하여 설정된 위치에 배치되면 센서의 감지에 따라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공압실린더(352)가 제어되어 구동되고, 이때에 상기 피스톤(351)이 전진하게 되면서 멸치발(1)을 가압 고정하고, 상기 피스톤(351) 후퇴 시 가압 고정이 해제된다.
그리고 상기 회전구동부(34)는 상기 제2회전브래킷(33)의 축에 연결되는 편심축(341)과, 상기 편심축(341)이 축 결합되는 회전구동모터(342)로 이루어지는데, 이는 일예이고 상기 제2회전브래킷(33)을 180도씩 회전시킬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회전구동모터(342) 구동 시 상기 제2회전브래킷(33)이 회전되고 이때 상기 제1 및 제2 회전브래킷(32, 33)에 삽입 지지된 멸치발(1)이 함께 회전하게 되는 것이다.
따라서 상기 프론트회전유닛(30A)은 상기 베이스(10)에서 상기 프론트이송컨베이어(20A) 후방 측에 배치되고 이송된 멸치발(1)을 회전시켜 멸치를 털어서 낙하시키기 위한 것이고, 상기 리어회전유닛(30B)은 상기 베이스(10)에서 상기 미들이송컨베이어(20B) 후방 측에 배치되고 이송된 멸치발(1)을 회전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프론트회전유닛(30A)에 의해 상하가 뒤집힌 멸치발(1)을 원래의 위치로, 즉 멸치가 수납되는 상면이 상방을 향하도록 다시 한 번 회전시키기 위한 것이다.
호퍼(40)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에서 멸치가 낙하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것으로,
상기 프론트회전유닛(30A)에 의해 멸치발(1) 회전 시 멸치가 낙하되는 범위와, 상기 타격유닛(50)에 의해 타격되어 멸치가 낙하되는 범위가 포함될 수 있도록 상방 개구(開口)된 호퍼입구(41), 그리고
상기 호퍼입구(41) 하부 측에 배치되어 하방 개구된 호퍼출구(42)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호퍼입구(41)는 상광하협(上廣下狹)의 단면 공간 구조를 갖는다.
미들이송컨베이어(20B)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에서 상기 프론트회전유닛(30A) 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회전유닛(30A)에 의해 180도 회전된 멸치발(1)을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10) 중간 측 좌우 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미들블록(22a),
상기 각 미들블록(22a)의 전방 측 내벽에 회전 가능케 연결되는 제1미들샤프트(22b),
상기 각 미들블록(22a)의 후방 측 내벽에 회전 가능케 연결되는 제2미들샤프트(22c),
상기 각 미들샤프트(22b, 22c)를 상호 연결하되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엔드리스(endless)형 미들벨트(22d), 그리고
상기 제2미들샤프트(22c)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미들구동부(22e)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미들구동부(22e)는 구동축 및 이에 축 결합되는 구동기어를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2미들샤프트(22c)에 축 결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를 상호 연결하는 체인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모터 구동 시 상기 체인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미들샤프트(22c)가 회전된다. 상기 미들구동부(22e)는 상기 제2미들샤프트(22c)에 회전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미들구동부(22e)에서 제공되는 회전 동력이 상기 제2미들샤프트(22c)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미들벨트(22d)가 상기 각 미들샤프트(22b, 22c)에 안내되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미들벨트(22d)로 투입된 멸치발(1)이 후방 측으로 이송된다.
그리고 상기 미들이송컨베이어(20B)의 미들벨트(22d) 상에는 상기 프론트회전유닛(30A)에 의해 180도 회전되어 안착되는 멸치발(1)과 접촉하게 되는 다수의 탄성돌기부(22f)가 형성될 수 있는데,
도 4의 [가]에서와 같이, 상기 각 탄성돌기부(22f)는 탄성 재질로 이루어지거나,
또는 도 4의 [나]에서와 같이, 상기 미들벨트(22d) 상에 장착되며 상기 탄성돌기부(22f)가 상하 드나들 수 있도록 내장되는 하우징(22g)과, 상기 탄성돌기부(22f)와 상기 하우징(22g) 사이에 배치되는 탄성스프링(22h)으로 이루어짐으로써, 멸치발(1)과의 접촉 시 상기 각 탄성돌기부(22f)에 의해 멸치발(1)이 상하로 진동함에 따라 멸치발(1) 내의 멸치들을 좀 더 용이하게 낙하 유도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타격유닛(50)은
도 8 및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미들이송컨베이어(20B) 상부 측에 배치되고 상방을 향하고 있는 멸치발(1)의 하부면을 타격하여 멸치발(1)에 잔존하는 멸치를 털어내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10) 상부에 세워지되 상기 베이스(10)의 좌우 단부에 상호 이격되게 세워지는 한 쌍의 타격지지체(51),
상기 각 타격지지체(51)를 상호 연결하면서 회전되게 장착되는 타격샤프트(52),
상기 타격샤프트(52) 상에 일정 간격으로 축 결합되는 다수의 타격클린수단(53),
상기 타격샤프트(52)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타격샤프트구동부(54), 그리고
상기 타격지지체(51), 타격샤프트(52) 및 각 타격클린수단(53)을 감싸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투광(透光)성 커버(55)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타격지지체(51)는 상기 미들이송컨베이어(20B)의 각 미들블록(22a) 상부에 고정되게 세워질 수도 있다.
그리고 도 9에서와 같이, 상기 각 타격클린수단(53)은
상기 타격샤프트(52)에 축 결합되고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원판형 디스크(531)와,
상기 각 디스크(531) 사이에 개재(介在)되되 상기 디스크(531)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 배치되는 n(단, n은 2이상의 정수임) 개의 로드(532)와,
상기 각 디스크(531)와 상기 각 로드(532)에 끼워져 상기 각 디스크(531)와 상기 각 로드(532)를 상호 결합시키는 n개의 고정바(533)와,
상기 각 로드(532) 단부에 회전 가능케 결합되는 n개의 브러시(534)
로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각 타격클린수단(53)의 각 고정바(533)는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일체형 바(bar) 구조를 이루는 것이 바람직하다. 결국 하나의 바 구조로 이루어진 고정바(533)가 상기 각 타격클린수단(53)의 디스크(531)들을 상호 연결하는 형태인 것이다. 아울러 본 발명에서는 상기 n이 4인 것으로 도면 전반에 걸쳐 도시되어 있기는 하나, 이는 일예이고 멸치발(1)의 크기나 형태 등을 고려하여 그 수량이 변경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브러시(534)는 측면에서 바라보았을 때 십자(+) 형태로 이루어지고, 그 중심이 상기 각 로드(532)의 단부에 회전 가능케 결합됨으로써, 상기 미들이송컨베이어(20B)에 의해 이송되는 멸치발(1)의 하부면, 즉 상기 프론트회전유닛(30A)에 의해 상하가 뒤집힌 상태이므로, 멸치발(1)의 하부면이 상방을 향하고 있는 상태에서 상기 브러시(534)가 접촉되어 회전되면서 멸치발(1)의 하부면을 타격함과 동시에 멸치를 털어내는 기능을 수행하게 된다.
그리고 상기 타격샤프트구동부(54)는 상기 타격샤프트(52)에 축 결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투광성 커버(55) 상부 측에 배치되고 구동기어를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를 상호 연결하는 벨트로 이루어질 수 있고, 또는 상기 타격샤프트(52)에 축 결합되는 종동스프로켓과, 상기 투광성 커버(55) 상부 측에 배치되고 구동스프로켓을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종동스프로켓과 상기 구동스프로켓을 상호 연결하는 체인으로 이루어질 수 있는 등, 상기 타격샤프트구동부(54)는 상기 타격샤프트(52)에 회전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도 8에서와 같이, 상기 투광성 커버(55)는 사각의 틀 구조이면서 각 틀에 개방된 개소(個所)에 맞게 투광 재질이 패널이 장착되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이러한 상기 투광성 커버(55)는 외부로부터 내부 구성을 보호함을 물론, 특히 상기 프론트회전유닛(30A)에 의해 털어지는 멸치들이 유입되는 것을 차단함과 동시에 커버(55) 외벽에 부딪힌 멸치들이 자동으로 상기 호퍼(40) 측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안내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리어이송컨베이어(20C)는
도 1, 도 2a, 도 4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에서 상기 리어회전유닛(30B) 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회전유닛(30B)에 의해 180도 회전된 멸치발(1)을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10) 후방 측 좌우 단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리어블록(23a),
상기 각 리어블록(23a)의 전방 측 내벽에 회전 가능케 연결되는 제1리어샤프트(23b),
상기 각 리어블록(23a)의 후방 측 내벽에 회전 가능케 연결되는 제2리어샤프트(23c),
상기 각 리어샤프트(23b, 23c)를 상호 연결하되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엔드리스(endless)형 리어벨트(23d), 그리고
상기 제2리어샤프트(23c)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리어구동부(23e)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리어구동부(23e)는 구동축 및 이에 축 결합되는 구동기어를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2리어샤프트(23c)에 축 결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를 상호 연결하는 체인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모터 구동 시 상기 체인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리어샤프트(23c)가 회전된다. 상기 리어구동부(23e)는 상기 제2리어샤프트(23c)에 회전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리어구동부(23e)에서 제공되는 회전 동력이 상기 제2리어샤프트(23c)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리어벨트(23d)가 상기 각 리어샤프트(23b, 23c)에 안내되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리어벨트(23d)로 투입된 멸치발(1)이 후방 측으로 이송된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는 반출유닛(60)을 더 포함하는데,
상기 반출유닛(60)은
도 1 및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10)에서 상기 리어이송컨베이어(20C) 후방 측에 배치되고 이송된 멸치발(1)의 좌우 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서포트(61),
상기 각 서포트(61)를 서로 마주하는 반대 방향으로 후퇴시키기 위한 서포트구동부(62)와,
상기 서포트구동부(62)에 의해 상기 각 서포트(61)가 후퇴됨에 따라 지지 해제된 멸치발(1)이 낙하 적층되는 스태커(63)와,
상기 스태커(63)에 적층된 멸치발(1)들을 밀어내어 외부로 반출시키기 위한 푸시수단(64)
을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여기서 상기 각 서포트(61) 중 좌측의 서포트(61)는 ‘ㄴ’자 형상의 단면 구조로 이루어지고, 우측의 서포트(61)는 좌측의 서포트(61)와 상호 대향되는 구조로 이루어진다. 결국 상기 각 서포트(61)에 멸치발(1)이 안정적으로 안착 지지된다. 이렇게 안착 지지된 상태에서 상기 서포트구동부(62)에 의해 상기 각 서포트(61)가 서로 마주하는 반대 방향으로 후퇴됨에 따라 멸치발(1)이 자동 낙하되어 상기 스태커(63) 내부에 적층된다.
상기 서포트구동부(62)는 상기 각 서포트(61) 외벽에 연결되는 피스톤과, 이 피스톤이 내장되고 선택적 에어 공급에 의해 피스톤을 진퇴 동작케 하는 공압실린더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이는 일예이고 상기 각 서포트(61)를 서로 마주보는 방향과 서로 마주보는 반대 방향으로 진퇴(進退) 동작시킬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그리고 도 10에서와 같이, 상기 푸시수단(64)은
상기 스태커(63) 내외로 드나들 수 있도록 배치되는 푸시패널(641)과,
상기 푸시패널(641)의 전면(前面) 중앙에 연결되는 푸시피스톤(642)과,
상기 푸시피스톤(642)이 내장되고 선택적 에어 공급에 의해 상기 푸시피스톤(542)을 전후로 진퇴 동작케 하는 푸시공압실린더(643)와,
상기 베이스(10) 내에 설치되고 상기 공압실린더(643)를 지지하게 되는 받침부재(644)
로 이루어진다.
결국 컨트롤러에 의해 상기 공압실린더(643)가 제어되어 구동됨에 따라 상기 푸시패널(641)이 적층되어 있는 멸치발(1)들을 밀게 됨으로써, 별도의 캐리어 등에 담길 수 있도록 반출이 가능하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는 바텀이송컨베이어(20D)를 더 포함하는데,
상기 바텀이송컨베이어(20D)는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각 단위체(U)의 호퍼(40) 출구 측에 배치되어 낙하된 멸치를 이송 배출시키기 위한 것으로,
상기 베이스(10)의 전후 길이를 기준으로 교차되는 방향으로 배치되는 것으로, 전후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바텀블록(24a),
상기 각 바텀블록(24a)의 좌측 내벽에 회전 가능케 연결되는 제1바텀샤프트(24b),
상기 각 바텀블록(24a)의 우측 내벽에 회전 가능케 연결되는 제2바텀샤프트(24c),
상기 각 바텀샤프트(24b, 24c)를 상호 연결하는 한 쌍의 엔드리스(endless)형 바텀벨트(24d), 그리고
상기 제2바텀샤프트(24c)에 연결되어 회전 동력을 제공하는 바텀구동부(24e)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이때 상기 바텀구동부(24e)는 구동축 및 이에 축 결합되는 구동기어를 갖는 구동모터와, 상기 제2바텀샤프트(24c)에 축 결합되는 종동기어와, 상기 구동기어와 상기 종동기어를 상호 연결하는 체인으로 이루어져, 상기 구동모터 구동 시 상기 체인이 회전됨에 따라 상기 제2바텀샤프트(24c)가 회전된다. 상기 바텀구동부(24e)는 상기 제2바텀샤프트(24c)에 회전 동력을 제공할 수 있는 조건을 만족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 및 변경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상기 바텀구동부(24e)에서 제공되는 회전 동력이 상기 제2바텀샤프트(24c)를 회전시킴에 따라 상기 바텀벨트(24d)가 상기 각 바텀샤프트(24b, 24c)에 안내되어 회전하게 되고 상기 바텀벨트(24d)로 낙하된 멸치발(1)이 좌측 또는 우측으로 이송 배출된다. 최종 배출되는 지점에 포장용 상자 등이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특정 형상과 구조를 갖는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를 위주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가능하고, 이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 멸치발
10 : 베이스
11 : 캐스터
20 : 경사이송컨베이어
201 : 슬로프블록
202 : 제1슬로프샤프트
203 : 제2슬로프샤프트
204 : 슬로프벨트
205 : 슬로프구동부
20A : 프론트이송컨베이어
21a : 프론트블록
21b : 제1프론트샤프트
21c : 제2프론트샤프트
21d : 프론트벨트
21e : 프론트구동부
20B : 미들이송컨베이어
22a : 미들블록
22b : 제1미들샤프트
22c : 제2미들샤프트
22d : 미들벨트
22e : 미들구동부
22f : 탄성돌기부
22g : 하우징
22h : 탄성스프링
20C : 리어이송컨베이어
23a : 리어블록
23b : 제1리어샤프트
23c : 제2리어샤프트
23d : 리어벨트
23e : 리어구동부
20D : 바텀이송컨베이어
24a : 바텀블록
24b : 제1바텀샤프트
24c : 제2바텀샤프트
24d : 바텀벨트
24e : 바텀구동부
30A, 30B : 프론트회전유닛, 리어회전유닛
31 : 회전지지체
32 : 제1회전브래킷
321 : 프론트가이드
322 : 리어가이드
33 : 제2회전브래킷
331 : 프론트가이드
332 : 리어가이드
34 : 회전구동부
341 : 편심축
342 : 회전구동모터
35 : 홀딩수단
351 : 피스톤
352 : 공압실린더
40 : 호퍼
41 : 호퍼입구
42 : 호퍼출구
50 : 타격유닛
51 : 타격지지체
52 : 타격샤프트
53 : 타격클린수단
531 : 디스크
532 : 로드
533 : 고정바
534 : 브러시
54 : 타격샤프트구동부
55 : 투광성 커버
60 : 반출유닛
61 : 서포트
62 : 서포트구동부
63 : 스태커
64 : 푸시수단
641 : 푸시패널
642 : 푸시피스톤
643 : 푸시공압실린더
644 : 받침부재
70 : 투입가이드유닛
71 : 가이드타워
711 : 수납공간부
712 : 반입구
713 : 투입구
72 : 가이드푸시수단

Claims (7)

  1. 베이스(10);
    상기 베이스(10) 전방 측에 배치되고 투입된 멸치발(1)을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경사이송컨베이어(20);
    적층된 멸치발(1)을 최하단부터 순차적으로 상기 경사이송컨베이어(20) 측으로 자동 투입하기 위한 투입가이드유닛(70);
    상기 베이스(10)에서 상기 경사이송컨베이어(20) 후방 측에 배치되고 이송된 멸치발(1)을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프론트이송컨베이어(20A);
    상기 베이스(10)에서 상기 프론트이송컨베이어(20A) 후방 측에 배치되고 이송된 멸치발(1)을 회전시켜 멸치를 낙하시키기 위한 프론트회전유닛(30A);
    상기 베이스(10)에서 멸치가 낙하하는 위치에 배치되는 호퍼(40);
    상기 베이스(10)에서 상기 프론트회전유닛(30A) 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프론트회전유닛(30A)에 의해 180도 회전된 멸치발(1)을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미들이송컨베이어(20B);
    상기 미들이송컨베이어(20B) 상부 측에 배치되고 상방을 향하고 있는 멸치발(1)의 하부면을 타격하여 멸치발(1)에 잔존하는 멸치를 털어내기 위한 타격유닛(50);
    상기 베이스(10)에서 상기 미들이송컨베이어(20B) 후방 측에 배치되고 이송된 멸치발(1)을 회전시키기 위한 리어회전유닛(30B); 및
    상기 베이스(10)에서 상기 리어회전유닛(30B) 후방 측에 배치되고 상기 리어회전유닛(30B)에 의해 180도 회전된 멸치발(1)을 후방 측으로 이송시키기 위한 리어이송컨베이어(20C);
    를 포함하는 단위체(U)로 이루어지고, 상기 단위체(U)가 한 쌍이 구비되어 좌우 양측에 나란히 배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투입가이드유닛(70)은
    상기 경사이송컨베이어(20)의 전방 측에 세워지고 내부에 멸치발용 수납공간부(711)와 이의 상방 및 후방 각각에 반입구(712) 및 투입구(713)를 갖는 가이드타워(71)와,
    상기 가이드타워(71) 전방 측에 장착되어 상기 수납공간부(711)에 적층된 멸치발 중 최하단 멸치발을 밀어 상기 경사이송컨베이어(20) 측으로 낙하 투입하기 위한 가이드푸시수단(72)
    으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론트 및 리어 회전유닛(30A, 30B) 각각은 상기 베이스(10) 상부에 세워지는 한 쌍의 회전지지체(31)와, 상기 각 회전지지체(31) 중 좌측 회전지지체(31)에 회전 가능케 장착되며 전방에서 바라보았을 때 ‘ㄷ’자 형상의 단면 구조를 갖는 제1회전브래킷(32)과, 상기 각 회전지지체(31) 중 우측 회전지지체(31)에 회전 가능케 장착되며 상기 제1회전브래킷(32)과 상호 대향되는 구조를 갖는 제2회전브래킷(33)과, 상기 제1회전브래킷(32) 또는 상기 제2회전브래킷(33)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회전구동부(34)로 이루어지며,
    상기 제1 및 제2 회전브래킷(32, 33) 각각의 전단부에는 전방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점차 커지도록 경사진 프론트가이드(321, 331)가 형성되고,
    상기 제1 및 제2 회전브래킷(32, 33) 각각의 후단부에는 후방으로 갈수록 내부 공간이 점차 커지도록 경사진 리어가이드(322, 332)가 형성되며,
    상기 각 회전브래킷(32, 33)에는 진입한 멸치발(1)을 고정 및 이를 해제하기 위한 홀딩수단(35)이 구비되고,
    상기 각 회전브래킷(32, 33) 내로 멸치발(1) 진입 시 상기 프론트가이드(321, 331) 측으로 진입하게 되면 프론트가이드(321, 331)에 의해 멸치발(1)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고, 상기 리어가이드(322, 332) 측으로 진입하게 되면 리어가이드(322, 332)에 의해 멸치발(1)이 용이하게 진입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타격유닛(50)은
    상기 베이스(10) 상부에 세워지는 한 쌍의 타격지지체(51)와,
    상기 각 타격지지체(51)를 상호 연결하면서 회전되게 장착되는 타격샤프트(52)와,
    상기 타격샤프트(52) 상에 일정 간격으로 축 결합되는 다수의 타격클린수단(53)과,
    상기 타격샤프트(52)에 회전 동력을 전달하는 타격샤프트구동부(54)와,
    상기 타격지지체(51), 타격샤프트(52) 및 각 타격클린수단(53)을 감싸 외부로부터 보호하는 투광(透光)성 커버(55)
    로 이루어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각 타격클린수단(53)은 상기 타격샤프트(52)에 축 결합되고 좌우 이격되게 배치되는 한 쌍의 디스크(531)와, 상기 각 디스크(531) 사이에 개재(介在)되되 상기 디스크(531) 중심을 기준으로 방사상(放射狀) 배치되는 n(단, n은 2이상의 정수임) 개의 로드(532)와, 상기 각 디스크(531)와 상기 각 로드(532)에 끼워져 상기 각 디스크(531)와 상기 각 로드(532)를 상호 결합시키는 n개의 고정바(533)와, 상기 각 로드(532) 단부에 회전 가능케 결합되는 n개의 브러시(534)로 이루어지고,
    상기 각 타격클린수단(53)의 각 고정바(533)는 상호 연결되어 하나의 일체형 바(bar) 구조를 이루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
  6.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10)에서 상기 리어이송컨베이어(20C) 후방 측에 배치되고 이송된 멸치발(1)의 좌우 단부를 지지하는 한 쌍의 서포트(61)와, 상기 각 서포트(61)를 서로 마주하는 반대 방향으로 후퇴시키기 위한 서포트구동부(62)와, 상기 서포트구동부(62)에 의해 상기 각 서포트(61)가 후퇴됨에 따라 지지 해제된 멸치발(1)이 낙하 적층되는 스태커(63)와, 상기 스태커(63)에 적층된 멸치발(1)들을 밀어내어 외부로 반출시키기 위한 푸시수단(64)으로 이루어진 반출유닛(60)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
  7. 제 1 항 내지 제 5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각 단위체(U)의 호퍼(40) 출구 측에 배치되어 낙하된 멸치를 이송 배출시키기 위한 바텀이송컨베이어(20D)를 더 포함하며,
    상기 미들이송컨베이어(20B)의 벨트 상에는 상기 프론트회전유닛(30A)에 의해 180도 회전되어 안착되는 멸치발(1)과 접촉하게 되는 다수의 탄성돌기부(22f)가 형성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
KR1020190130032A 2019-10-18 2019-10-18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 KR2021004638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032A KR20210046387A (ko) 2019-10-18 2019-10-18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30032A KR20210046387A (ko) 2019-10-18 2019-10-18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46387A true KR20210046387A (ko) 2021-04-28

Family

ID=7572101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30032A KR20210046387A (ko) 2019-10-18 2019-10-18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10046387A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917B1 (ko) * 2022-04-14 2023-02-08 현오남 수산물 및 채반 공급 장치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221A (ko) 2018-08-08 2019-08-07 조종래 멸치 떨이 자동화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092221A (ko) 2018-08-08 2019-08-07 조종래 멸치 떨이 자동화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97917B1 (ko) * 2022-04-14 2023-02-08 현오남 수산물 및 채반 공급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NL1031292C1 (nl) Inrichting en werkwijze voor het faciliteren bij de oogst van gewassen.
CN107128664B (zh) 槟榔理料机
KR102500549B1 (ko) 아이스바용 스틱 삽입장치
KR101178131B1 (ko) 연속 박스 세척건조장치
US12006079B2 (en) Stacking and packaging device
KR102542589B1 (ko) 병버섯 자동 수확 장치
CN109604194A (zh) 一种蔬菜分拣、清洗、包装一体装置
KR20210046387A (ko) 더블형 자동 멸치 털이기
JPH10305803A (ja) 所望定位で多様な小型製品を自動パッケージする機械
KR20210046354A (ko) 싱글형 자동 멸치 털이기
US3974922A (en) Can depalletizer
KR100573405B1 (ko) 이동순환식 고추건조장치
KR20080009864A (ko) 당근의 세척 및 자동분류장치
JPH09173996A (ja) 箱型容器の洗浄装置及び洗浄方法
US7849608B2 (en) Apparatus for drying leaf products
JPH045611B2 (ko)
JP7152647B2 (ja) カップ入り即席麺製造装置
KR102384584B1 (ko) 멸치 채반 자동 털이 및 회수장치
JP3132753B2 (ja) 折畳み容器の洗浄乾燥装置及び方法
CN210220478U (zh) 冲压件清洗烘干机
JP6959581B2 (ja) 収穫用車両
NL8100826A (nl) Verpakkingsmachine voor gemakkelijk beschadigbare, bolvormige waren, in het bijzonder fruit.
JP7459921B2 (ja) 収穫用車両
JP5660286B2 (ja) 物品洗浄システム
JP6997415B2 (ja) 収穫用車両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