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10033976A - 포토크로믹 화합물, 및 해당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화성 조성물 - Google Patents

포토크로믹 화합물, 및 해당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화성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10033976A
KR20210033976A KR1020217000514A KR20217000514A KR20210033976A KR 20210033976 A KR20210033976 A KR 20210033976A KR 1020217000514 A KR1020217000514 A KR 1020217000514A KR 20217000514 A KR20217000514 A KR 20217000514A KR 20210033976 A KR20210033976 A KR 202100339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photochromic
carbon atoms
compound
bi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7000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다카오 노구치
준지 다케나카
준지 모모다
다카요시 가와사키
야스토모 시미즈
마사유키 미야자키
Original Assignee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야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야마 filed Critical 가부시끼가이샤 도꾸야마
Publication of KR202100339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3397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9/00Tenebrescent materials, i.e. materials for which the range of wavelengths for energy absorption is changed as a result of excitation by some form of energy
    • C09K9/02Organic tenebrescent materi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F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 C08F290/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polymerising monomers on to polymers modified by introduction of aliphatic unsaturated end or side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9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C08G65/33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G65/331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 hydroxy group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9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C08G65/33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C08G65/3311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 hydroxy group
    • C08G65/3314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containing a hydroxy group cyclic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0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cyclic ethers by opening of the heterocyclic ring
    • C08G65/32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G65/329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 C08G65/333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C08G65/33396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with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having oxygen in addition to nitroge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5/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5/34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from hydroxy compounds or their metallic derivatives
    • C08G65/48Polymers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71/00Compositions of polyeth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n eth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71/02Polyalkylene oxid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02B1/041Len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20Filters
    • G02B5/22Absorbing filters
    • G02B5/23Photochromic fil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4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441Heterocyclic
    • C09K2211/1475Heterocyclic containing nitrogen and oxygen as heteroatom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1/00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 G02B1/04Optical elements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f which they are made; Optical coatings for optical elements made of organic materials, e.g. plastics
    • GPHYSICS
    • G02OPTICS
    • G02CSPECTACLES; SUNGLASSES OR GOGGLES INSOFAR AS THEY HAVE THE SAME FEATURES AS SPECTACLES; CONTACT LENSES
    • G02C7/00Optical parts
    • G02C7/10Filters, e.g. for facilitating adaptation of the eyes to the dark; Sunglasses
    • G02C7/102Photochromic fil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yeglasses (AREA)
  • Optical Filters (AREA)
  • Non-Silver Salt Photosensitive Materials And Non-Silver Salt Photography (AREA)
  • Heterocyclic Carbon Compounds Containing A Hetero Ring Having Oxygen Or Sulfur (AREA)
  • Polyethers (AREA)
  • Addition Polymer Or Copolymer, Post-Treatments, Or Chemical Modifica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다가의 잔기에,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가 적어도 하나 치환되고, 또한 포토크로믹 부위를 포함하지 않는, 분자량이 300 이상의 장쇄의 기가 적어도 하나 치환되어 이루어지는 포토크로믹 화합물, 및 이것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높은 포토크로믹 특성을 유지한 채, 매트릭스가 되는 중합성 화합물에 대한 용해성도 높고, 게다가, 매트릭스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포토크로믹 화합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포토크로믹 화합물, 및 해당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화성 조성물
본 발명은 신규인 포토크로믹 화합물, 및 해당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화성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나프토피란 화합물, 풀기드 화합물, 스피로옥사진 화합물 등으로 대표되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은, 태양광 혹은 수은등의 광과 같은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을 조사하면 빠르게 색이 바뀌고, 광의 조사를 멈추고 암소에 두면 원래의 색으로 되돌아간다는 특성(포토크로믹성)을 갖고 있으며, 이 특성을 살려서, 다양한 용도, 특히 광학 재료의 용도로 사용되고 있다.
예를 들어,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사용에 의해 포토크로믹성이 부여되어 있는 포토크로믹 안경 렌즈는, 태양광과 같은 자외선을 포함하는 광이 조사되는 옥외에서는 빠르게 착색되어 선글라스로서 기능하고, 그러한 광의 조사가 없는 옥내에 있어서는 퇴색되어 투명한 통상적인 안경으로서 기능하는 것이며, 근년 그 수요는 증대되고 있다.
광학 재료에 포토크로믹성을 부여하기 위해서는, 일반적으로, 포토크로믹 화합물은 플라스틱 재료와 병용되는데, 구체적으로는, 다음과 같은 수단이 알려져 있다.
(a) 중합성 모노머에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용해시키고, 그것을 중합시킴으로써, 직접, 렌즈 등의 광학 재료를 성형하는 방법. 이 방법은, 이겨 넣기법이라고 불리고 있다.
(b) 렌즈 등의 플라스틱 성형품의 표면에, 포토크로믹 화합물이 분산된 수지층을, 코팅 혹은 주형 중합에 의해 마련하는 방법. 이 방법은, 적층법이라고 불리고 있다.
(c) 2매의 광학 시트를, 포토크로믹 화합물이 분산된 접착재 수지에 의해 형성된 접착층에 의해 접합하는 방법. 이 방법은, 바인더법이라고 불리고 있다.
그런데, 포토크로믹성이 부여된 광학 물품 등의 광학 재료에 대해서는, 또한, 다음과 같은 특성이 요구되고 있다.
(I) 자외선을 조사하기 전의 가시광 영역에서의 착색도(초기 착색)가 낮을 것.
(II) 자외선을 조사했을 때의 착색도(발색 농도)가 높을 것.
(III) 자외선의 조사를 멈추고 나서 원래의 상태로 복귀될 때까지의 속도(퇴색 속도)가 빠를 것.
(IV) 발색 내지 퇴색의 가역 작용의 반복 내구성이 좋을 것.
(V) 보존 안정성이 높을 것.
(VI) 각종의 형상으로 성형하기 쉬울 것.
(VII) 기계적 강도가 저하하지 않고, 포토크로믹성이 부여될 것.
따라서, 전술한 (a), (b), (c)의 수단으로 포토크로믹성을 갖는 광학 재료 등을 제조할 때에도, 상기와 같은 요구가 충족되도록 다양한 제안이 이루어져 있다.
전술한 이겨 넣기법은, 유리 몰드를 사용하여 저렴하게 대량으로 포토크로믹 플라스틱 렌즈를 생산할 수 있다는 이점을 갖고 있다. 현재, 포토크로믹 플라스틱 렌즈의 대부분은 이 방법에 의해 생산되고 있다(특허문헌 1, 특허문헌 2 참조). 종래의 이겨 넣기법에서는 렌즈 기재에 강도가 요구되기 때문에, 포토크로믹 화합물이 분산되어 있는 매트릭스 수지의 기계적 강도를 높일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우수한 포토크로믹성을 발현시키는 것이 곤란하게 되어 있다. 즉, 매트릭스 수지 중에 존재하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분자 자유도가 낮아지기 때문에, 포토크로믹 가역 반응이 손상되어버리는 경우가 있었다.
이러한 이겨 넣기법에 대해서, 특허문헌 1에는, 이소시아네이트 모노머와 티올 모노머를 포함하는 모노머 조성물에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첨가하는 방법이 기재되어 있다. 또한, 특허문헌 2에는, 특정한 (메트)아크릴 중합성 모노머와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는 포토크로믹 경화성 조성물이 나타나 있다.
그러나, 이들 조성물을 중합 경화시켜서 성형된 포토크로믹 렌즈는, 기계적 강도는 높지만, 포토크로믹성, 특히 퇴색 속도의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한편, 적층법이나 바인더법에서는, 전술한 이겨 넣기법에 비하여, 포토크로믹성이 각종 기재 표면에 형성되어 있는 얇은 층에서 발현된다(예를 들어, 특허문헌 3, 특허문헌 4, 특허문헌 5 참조). 그 때문에, 이겨 넣기법과 동등한 발색 농도를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고농도로 용해할 필요가 있다. 그 경우,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서는, 용해성이 불충분하거나, 보존 중에 석출되어버리거나 하는 등의 문제가 있었다. 또한, 포토크로믹성을 발현하는 층이 얇기 때문에,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내구성이 떨어져 있는 경우도 있었다.
특허문헌 3에는, 플라스틱 렌즈 상에 포토크로믹 경화성 조성물을 스핀 코팅 등에 의해 도포하고, 광경화시켜서 포토크로믹 코팅층을 형성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이 적층법은, 코팅법이라고도 불린다). 또한, 특허문헌 4에는, 엘라스토머 가스킷, 점착 테이프 또는 스페이서 등의 부재를 사용하여, 플라스틱 렌즈와 유리 몰드 사이에 간극을 확보하고, 이 간극에 포토크로믹 경화성 조성물을 유입하고, 중합 경화시킴으로써, 포토크로믹층을 형성하는 방법(이하, 2단 중합법이라고도 한다)이 나타나 있다. 또한, 특허문헌 5에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함유하는 폴리우레탄 수지 접착층에 의해 투명한 카르보네이트 시트를 접합한 적층 시트를 제조하는 것이 개시되어 있다(바인더법).
그러나, 특허문헌 3 내지 5의 어느 것에 있어서도, 포토크로믹 화합물이 배합되어 있는 얇은 층에 의해 포토크로믹성을 발현시킬 필요가 있었다. 그 때문에, 용해성이 낮은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사용한 경우에는, 발색 농도가 낮아지는 경향이 있고, 또한,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내구성이라고 하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또한, 이상과 같은 개선점에 대하여 신규 화합물을 포함하는 포토크로믹 경화성 조성물의 검토가 이루어져 있다(특허문헌 6 참조). 특허문헌 6에는, 폴리로탁산 화합물을 포함하는 포토크로믹 경화성 조성물이 개시되어 있다. 이 폴리로탁산 화합물은, 축 분자와, 해당 축 분자를 포접하는 복수의 환상 분자를 포함하는 복합 분자 구조를 갖고 있는 화합물이다. 특허문헌 6에 있어서는, 해당 폴리로탁산 화합물에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배합함으로써, 기계적 특성, 성형성, 발색 농도, 퇴색 속도가 우수한 경화체가 나타나 있다. 특허문헌 6에 있어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폴리로탁산 화합물을 배합함으로써, 우수한 포토크로믹 경화성 조성물, 및 경화체가 얻어진다.
그러나, 근년, 발색 농도, 퇴색 속도 등에 대해서, 더욱 우수한 포토크로믹성을 발현시킬 것이 요구되고 있다. 기본적으로 발색 농도와 퇴색 속도는 트레이드오프의 관계에 있기 때문에, 이들을 양립하는 것은 용이하지 않다. 즉,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중합성 화합물의 조합에 의존하는 경우가 많아, 종래 기술에서는, 어떻게든 한계가 있었다.
국제 공개 제2012/176439호 국제 공개 제2009/075388호 국제 공개 제2011/125956호 국제 공개 제2003/011967호 국제 공개 제2013/099640호 국제 공개 제2015/068798호 국제 공개 WO2004/041961호 국제 공개 WO2000/015630호 국제 공개 WO2009/146509호 국제 공개 WO2012/149599호 국제 공개 WO2012/162725호 국제 공개 WO2013/078086호
이러한 매트릭스를 구성하는 중합성 화합물의 조합 이외에도, 포토크로믹 화합물 자체의 구조를 조정하는 것도 여러가지 검토되고 있다. 예를 들어, 퇴색 속도를 크게 하기 위해서, 나노 캡슐화가 가능한 포토크로믹 화합물이 제안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알킬렌옥시드올리고머쇄기나 폴리실록산올리고머쇄기를 갖는다고 나타나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특허문헌 7, 8 참조). 또한, 이 밖에, 포토크로믹 부위를 적어도 2개 이상의 갖는 포토크로믹 화합물도 제안되어 있다(특허문헌 9 내지 12 참조). 이들 방법에 의하면, 나노 캡슐화가 가능하거나, 색소 농도를 높일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자 등의 검토에 의하면, 이들 종래의 화합물이어도, 근년 요구되는 고도의 포토크로믹 특성에 따르기 위해서는, 더한층의 개량이 필요하였다. 특히, 매트릭스에 대한 의존성이 적어, 퇴색 속도를 보다 높이는 것은 곤란하였다.
이상과 같이, 종래의 포토크로믹 화합물 그 자체의 구조를 조정한 방법이어도,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중합성 화합물에 대한 용해성이 문제가 되거나, 포토크로믹 특성이 충분하지 않다는 점에서 개선의 여지가 있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높은 포토크로믹 특성을 유지한 채, 매트릭스가 되는 중합성 화합물에 대한 용해성도 높고, 게다가, 매트릭스의 영향을 받기 어려운, 포토크로믹 화합물, 및 그것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예의 검토를 거듭하였다. 그리고, 여러가지 구조를 갖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그리고,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와, 해당 포토크로믹 부위를 포함하지 않는 장쇄의 치환기를 동시에 갖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이면, 해당 장쇄의 치환기가 매트릭스를 형성하는 중합성 화합물과의 상용성을 향상시키고, 또한 포토크로믹 부위가 가역 반응할 수 있는 자유 공간을 매트릭스 중에 형성할 수 있는 것은 아닌지 생각하였다.
그리고, 상기 과제를 극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본 발명자들이 검토한 결과, 포토크로믹 부위의 근방에, 포토크로믹 부위와는 결합하고 있지 않은 장쇄의 기를 배치함으로써, 포토크로믹성을 최대한으로 발휘시킬 수 있음을 알아내고, 본 발명을 완성시키기에 이르렀다.
즉,
즉, 제1 본 발명에 따르면,
다가의 잔기에,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가 적어도 하나 치환되고, 또한
포토크로믹 부위를 포함하지 않는, 분자량이 300 이상의 장쇄의 기가 적어도 하나 치환되어 이루어지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이 제공된다. 또한, 상기 장쇄의 기의 분자량은, 수 평균 분자량이다.
제2 본 발명은 제1 본 발명인 포토크로믹 화합물,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포토크로믹 경화성 조성물이다.
제3 본 발명은 제2 본 발명인 포토크로믹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하여 얻어지는 포토크로믹 경화체이다.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은, 우수한 포토크로믹 특성을 발휘한다. 또한, 해당 포토크로믹 화합물,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에 있어서도, 발색 농도 및 퇴색 속도가 우수한 포토크로믹성을 발현하는 경화체를 얻을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분자 구조를 도시하는 개략도.
본 발명은
다가의 잔기에,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가 적어도 하나 치환되고, 또한
포토크로믹 부위를 포함하지 않는, 분자량이 300 이상의 장쇄의 기가 적어도 하나 치환되어 이루어지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이다.
이하에 그 상세에 대하여 설명한다.
(다가의 잔기)
본 발명에 있어서, 다가의 잔기는,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가 적어도 하나 치환되고, 또한
포토크로믹 부위를 포함하지 않는, 분자량이 300 이상의 장쇄의 기가 적어도 하나 치환되어 이루어지는 것이어야만 한다. 그 때문에, 2가 이상의 기여야 한다.
다가의 잔기는, 유기 잔기, 무기 잔기의 어느 것이어도 된다. 즉, 장쇄의 기(단,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지 않는다)와,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를 갖는 적어도 2가의 이상의 기이면, 유기 잔기여도 되고, 무기 잔기여도 된다. 그리고, 이들 다가의 잔기는, 치환기를 복수 도입할 수 있는 개소를 갖는 화합물(예를 들어, 수산기와 같은 반응성기를 복수 갖는 화합물, 또는 페닐기와 같이 벤젠환에 치환기를 부가할 수 있는 개소를 복수 갖는 화합물이다. 이하, 간단히 「다가의 잔기를 형성하는 화합물·물질」이라 하는 경우도 있다.)로부터 형성되면 된다.
또한, 다가의 잔기를 형성하는 화합물·물질은, 어느 정도의 크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포토크로믹 화합물 자체의 생산성을 생각하면, 상기 장쇄의 기, 및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가 도입되는 위치가 너무 가까우면, 입체 장애가 있어, 생산성 높게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제조할 수 없다. 그 때문에, 본 발명에서 사용하는, 다가의 잔기를 형성하는 화합물·물질은, 이하에서 설명하는 유기 잔기를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 및/또는 무기 잔기를 형성하는 물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유기 잔기를 형성하는 화합물>
우선, 유기 잔기에 대하여 설명한다. 예를 들어, 유기 잔기로서는, 치환기를 도입할 수 있는 환상 분자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환상 분자이면, 어느 정도의 크기를 갖고 있기 때문에,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 및 장쇄의 기를 용이하게 도입하기 쉬워진다. 예를 들어, 이러한 환상 분자로서는, 예를 들어 시클로덱스트린, 크라운에테르, 벤조크라운, 디벤조크라운 및 디시클로헥사노크라운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적당한 크기를 갖는, 특히 시클로덱스트린이 바람직하다.
시클로덱스트린은, 글루코오스 단위가 α-1,4-결합한 환상 올리고당이며, 1글루코오스 단위당 3개의 수산기(OH기)를 갖는다. α체(글루코오스 단위수: 6, 총 수산기수: 18), β체(글루코오스 단위수: 7, 총 수산기수: 21), γ체(글루코오스 단위수: 8, 총 수산기수: 24)가 있다. 시클로덱스트린의 경우, 반응성기인 수산기의 수(총 수산기수)가 다가의 잔기의 전체 가수와 일치한다. 그 중에서도, 본 발명에 있어서는, 특히 α-시클로덱스트린(α체), 또는 β-시클로덱스트린(β체)이 바람직하고, α-시클로덱스트린이 가장 바람직하다.
기타, 유기 잔기로서는, 이하의 기를 들 수 있다. 시클로판, 칼릭스알렌, 올리고레조르시놀, 쿠커비투릴, 트리벤조시클로노넨, 시트르산 등의 올리고카르복실산, 폴리아크릴산 등의 폴리카르복실산, 트리스-2-아미노에틸아민 등의 올리고아민이나 스페르민 등의 폴리아민, 펜타에리트리톨 등의 폴리올, 핵산, (환상)올리고펩티드, 산성 및 염기성 단백, 2당 이상의 올리고당, 시클로아밀로스나 나노셀룰로오스, 리그닌 등의 올리고 혹은 폴리페놀, 포르피린이나 프탈로시아닌 그리고 그들의 금속 착체, 풀러렌·카본 나노튜브·그래핀·산화 그래핀 등의 나노 카본류 등을 들 수 있다.
<무기 잔기를 형성하는 물질>
본 발명에 있어서는, 무기 잔기를 사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실세스퀴옥산, 페로브스카이트, 디인산이나 트리인산 등의 올리고인산이나 폴리인산, 금·산화티타늄·산화아연 등의 금속(산화물) 나노 입자, 인 몰리브덴산·인 텅스텐산 등의 폴리옥소메탈레이트를 들 수 있다.
<적합한 잔기(적합한 잔기를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물질))>
본 발명에 있어서는, 시클로덱스트린, 올리고펩티드, 올리고인산, 폴리인산, 실세스퀴옥산, 또는 금속(산화물) 나노 입자를 적합한 잔기를 형성할 수 있는 화합물(물질)로서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고도로 포토크로믹 특성을 유지하고, 또한 중합성 화합물에 대한 용해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포토크로믹 화합물 1 분자당, 상기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의 수와 상기 분자량이 300 이상의 장쇄의 기의 수의 합계수가 2 내지 30을 만족할 수 있는, 다가의 잔기(화합물(물질))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은,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 및 분자량이 300 이상의 장쇄의 기를 각각 하나 가지면, 다가의 잔기를 형성하는 화합물(물질)에는, 그들과는 다른 기가 치환되어도 된다. 해당 다른 기란,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지 않고, 또한, 분자량이 300 미만이 되는 기이다. 즉, 다가의 잔기에는,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 분자량이 300 이상의 장쇄의 기(이하, 간단히 「장쇄기」라 하는 경우도 있다), 분자량이 300 미만의 기(이하, 간단히 「단쇄기」라 하는 경우도 있다), 치환되지 않고 그대로의 상태로 남는 반응 개소를 가질 수 있다. 다가의 잔기의 전체 가수는,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의 수, 장쇄기의 수, 단쇄기의 수, 및 치환되지 않고 그대로의 상태로 남는 반응 개소의 수의 합계수와 일치한다. 또한, 단쇄기의 분자량의 하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10이다.
그 때문에, 다가의 잔기에 있어서, 다가의 기의 가수는, 2가 이상이면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3가 이상의 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4가 이상의 기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6가 이상의 기가 더욱 바람직하다.
한편, 가수의 상한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이 있어서는, 포토크로믹 화합물 1 분자당, 상기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의 수와 상기 장쇄기의 수의 합계수가 2 내지 30을 만족할 수 있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가수의 상한은 30 이상이어도 되고, 40이 가수의 상한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중에서도,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생산성을 높이기(부반응을 억제하고, 생산 효율을 높이기) 위해서는, 다가의 잔기의 가수의 상한은 2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당연한 것이지만, 다가의 잔기의 가수의 상한이 20일 경우에는, 상기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의 수와 상기 장쇄기의 수의 합계수는, 2 이상 20 이하이다.
이러한 다가의 잔기를 형성하는 화합물로서는, α-시클로덱스트린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
도 1에 있어서 도시하고 있는 바와 같이, 전체로서 "1"로 나타나 있는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은, 상기한 다가의 잔기 "2"에 포토크로믹 부위 "3"를 포함하는 기가 도입된다. 또한, 추가로 상술한 다가의 잔기에,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이 300 이상의 장쇄의 기가 도입된다. 이 장쇄기는, 도 1에 있어서 "4"로 나타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는, 직접, 다가의 잔기와 결합할 수도 있지만, 어느 정도의 공간을 가진 상태에서 포토크로믹 부위가 결합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 때문에, 다가의 잔기와 포토크로믹 부위 사이에 측쇄(이하, 제1 측쇄로 하는 경우도 있다)가 개재하는 상태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측쇄(제1 측쇄)의 기는, 도 1에 있어서 "4a"로 나타나 있다. 또한, 도시는 하고 있지 않지만, 반응 개소(하기의 「다가의 잔기가 갖는 반응성기 등」)가 존재하는 경우도 있다.
<포토크로믹 부위와 다가의 잔기를 결합하는 측쇄>
이러한 측쇄 "4a"(제1 측쇄 "4a")를 포토크로믹 부위에 도입함으로써, 인접하는 분자의 사이에 적당한 공간을 보다 확실하게 형성할 수 있다. 그 결과, 포토크로믹 화합물 분자의 가역 반응을 허용할 수 있는 간극을 확실하게 확보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우수한 포토크로믹성을 발현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상기 측쇄로서는,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이러한 측쇄의 수 평균 분자량은 45 내지 1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내지 8,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내지 5,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 내지 2,0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이 측쇄는, 포토크로믹 부위가 도입되면, 해당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가 된다. 이 측쇄의 수 평균 분자량은, 측쇄의 도입 시에 사용하는 화합물의 양에 의해 조정을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측쇄의 수 평균 분자량에는, 포토크로믹 부위의 분자량을 포함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한, 포토크로믹 부위가 도입되지 않고, 수 평균 분자량이 300 이상인 것은 장쇄기에 해당하고, 수 평균 분자량이 300 미만인 것은 단쇄기에 해당한다.
측쇄가 너무 작으면, 포토크로믹 부위의 가역 반응을 허용할 수 있는 간극을 확보한다는 기능이 불충분해지고, 측쇄가 너무 크면, 후술하는 포토크로믹 부위를 장쇄기 근방에 배치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결국, 장쇄기에 의해 확보되는 공간을 충분히 활용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경향이 있다.
상기와 같은 측쇄는, 다가의 잔기가 갖는 반응성기, 또는 반응 개소(이하, 간단히 「다가의 잔기가 갖는 반응성기 등」이라 하는 경우도 있다)를 이용하여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측쇄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 다가의 잔기가 갖는 전체 가수의 6% 이상, 특히 10% 이상이 측쇄로 치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다가의 잔기를 형성하는 화합물로서 α-시클로덱스트린을 사용한 경우, 반응성기로서 18개의 수산기를 갖고 있으며, 이 수산기를 통하여 측쇄가 도입된다. 즉, 하나의 α-시클로덱스트린에 대해서는 최대로 18개의 측쇄를 도입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전술한 측쇄의 기능을 충분히 발휘시키기 위해서, 이러한 환이 갖는 전체 반응기수(전체 가수)의 6% 이상, 특히 10% 이상이, 측쇄로 수식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측쇄로 수식(측쇄가 도입)되는 비율의 상한은, 사용하는 화합물에 따라 다르기 때문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90%이다. 이와 관련하여, 상기 α-시클로덱스트린의 18개의 수산기 중 9개에 측쇄가 결합하고 있는 경우, 그 수식도는 50%가 된다. 그리고, 당연한 것이지만, 나머지는 수산기인채로이다. α-시클로덱스트린의 경우, 수식도의 상한은 바람직하게는 75%이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와 같은 측쇄(유기쇄)는 그 크기가 전술한 범위 내에 있는 한, 직쇄상이어도 되고, 분지상이어도 된다. 개환 중합; 라디칼 중합; 양이온 중합; 음이온 중합; 원자 이동 라디칼 중합, RAFT 중합, NMP 중합 등의 리빙 라디칼 중합 등을 이용하고, 적당한 화합물을 상기 다가의 잔기를 형성하는 화합물과 반응시키는(「다가의 잔기가 갖는 반응성기 등」과 반응시키는) 것에 의해 적당한 크기의 측쇄를 도입할 수 있다. 이 중합 등에 의해 형성된 측쇄의 말단에, 여러가지 공지된 반응을 이용하여, 측쇄를 연장할 수도 있고, 하기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포토크로믹 부위를 도입할 수 있다. 단, 해당 측쇄에 직접, 포토크로믹 부위가 결합하고 있어도 된다. 또한, 상기와 같이 중합 등에 의해 형성된 측쇄, 또는 여러가지 반응을 이용하여 연장한 측쇄는, 상기한 바와 같이, 포토크로믹 부위를 제외한 경우의 수 평균 분자량이 100 내지 2,000이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개환 중합에 의해, 환상 에테르, 환상 실록산, 락톤 화합물, 환상 아세탈, 환상 아민, 환상 카르보네이트, 환상 이미노에테르, 환상 티오카르보네이트 등의 환상 화합물에서 유래하는 측쇄를 도입할 수 있다. 이들 중에서도, 입수가 용이하며, 반응성이 높고, 나아가 크기(분자량)의 조정이 용이하다는 관점에서, 환상 에테르, 환상 실록산, 락톤 화합물, 환상 카르보네이트를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적합한 환상 화합물의 구체예는, 이하와 같다.
환상 에테르;
에틸렌옥시드, 1,2-프로필렌옥시드, 에피클로로히드린, 에피브로모히드린, 1,2-부틸렌옥시드, 2,3-부틸렌옥시드, 이소부틸렌옥시드, 옥세탄, 3-메틸옥세탄, 3,3-디메틸옥세탄, 테트라히드로푸란,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3-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환상 실록산;
헥사메틸시클로트리실록산, 옥타메틸시클로테트라실록산.
락톤 화합물;
4원환 락톤, 예를 들어, β-프로피오락톤, β-메틸프로피오락톤, L-세린-β-락톤 등.
5원환 락톤, 예를 들어, γ-부티로락톤, γ-헥사노락톤, γ-헵타노락톤, γ-옥타노락톤, γ-데카노락톤, γ-도데카노락톤, α-헥실-γ-부티로락톤, α-헵틸-γ-부티로락톤, α-히드록시-γ-부티로락톤, γ-메틸-γ-데카노락톤, α-메틸렌-γ-부티로락톤, α,α-디메틸-γ-부티로락톤, D-에리트로노락톤, α-메틸-γ-부티로락톤, γ-노나노락톤, DL-판토락톤, γ-페닐-γ-부티로락톤, γ-운데카노락톤, γ-발레로락톤, 2,2-펜타메틸렌-1,3-디옥솔란-4-온, α-브로모-γ-부티로락톤, γ-크로토노락톤, α-메틸렌-γ-부티로락톤, α-메타크릴로일옥시-γ-부티로락톤, β-메타크릴로일옥시-γ-부티로락톤 등.
6원환 락톤, 예를 들어, δ-발레로락톤, δ-헥사노락톤, δ-옥타노락톤, δ-노나노락톤, δ-데카노락톤, δ-운데카노락톤, δ-도데카노락톤, δ-트리데카노락톤, δ-테트라데카노락톤, DL-메발로노락톤, 4-히드록시-1-시클로헥산카르복실산δ-락톤, 모노메틸-δ-발레로락톤, 모노에틸-δ-발레로락톤, 모노헥실-δ-발레로락톤, 1,4-디옥산-2-온, 1,5-디옥세판-2-온 등.
7원환 락톤, 예를 들어, ε-카프로락톤, 모노메틸-ε-카프로락톤, 모노에틸-ε-카프로락톤, 모노헥실-ε-카프로락톤, 디메틸-ε-카프로락톤, 디-n-프로필-ε-카프로락톤, 디-n-헥실-ε-카프로락톤, 트리메틸-ε-카프로락톤, 트리에틸-ε-카프로락톤, 트리-n-ε-카프로락톤, ε-카프로락톤, 5-노닐-옥세판-2-온, 4,4,6-트리메틸-옥세판-2-온, 4,6,6-트리메틸-옥세판-2-온, 5-히드록시메틸-옥세판-2-온 등.
8원환 락톤, 예를 들어, ζ-에난트락톤 등.
기타의 락톤, 예를 들어, 락톤, 락티드, 디락티드, 테트라메틸글리코시드, 1,5-디옥세판-2-온, t-부틸카프로락톤 등.
환상 카르보네이트;
에틸렌카르보네이트, 탄산프로필렌, 탄산 1,2-부틸렌글리세롤1,2-카르보네이트, 4-(메톡시메틸)-1,3-디옥솔란-2-온, (클로로메틸)에틸렌카르보네이트, 탄산비닐렌, 4,5-디메틸-1,3-디옥솔-2-온, 4-클로로메틸-5-메틸-1,3-디옥솔-2-온, 4-비닐-1,3-디옥솔란-2-온, 4,5-디페닐-1,3-디옥솔란-2-온, 4,4-디메틸-5-메틸렌-1,3-디옥솔란-2-온, 1,3-디옥산-2-온, 5-메틸-5-프로필-1,3-디옥솔란-2-온, 5,5-디에틸-1,3-디옥솔란-2-온.
상기 환상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은 락톤 화합물 및 환상 카르보네이트이며, 이 중 ε-카프로락톤, α-아세틸-γ-부티로락톤, α-메틸-γ-부티로락톤, γ-발레로락톤, γ-부티로락톤 등의 락톤 화합물이 특히 적합하며, 무엇보다 바람직한 것은 ε-카프로락톤이다.
또한, 개환 중합에 의해 환상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측쇄를 도입하는 경우, 다가의 잔기가 갖는 반응성기 등(예를 들어, 시클로덱스트린의 수산기)은 반응성이 부족하고, 특히 입체 장애 등에 의해 큰 분자를 직접 반응시키는 것이 곤란한 경우가 있다. 이러한 경우에는, 예를 들어, 카프로락톤 등을 반응시키기 위해서, 우선 프로필렌옥시드 등의 저분자 화합물을 관능기와 반응시켜서 히드록시프로필화를 행하고, 반응성이 많았던 관능기(수산기)를 도입한 후, 전술한 환상 화합물을 사용한 개환 중합에 의해, 측쇄를 도입한다는 수단을 채용할 수 있다. 이하, 프로필렌옥사이드 등의 저분자 화합물, 및 환상 화합물과의 개환 중합으로 형성된 측쇄를 제1 측쇄라고 하는 경우도 있다(상기한 바와 같이, 도 1에 있어서의 "4a"가 이 제1 측쇄에 해당한다.).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은, 다가의 잔기에, 포토크로믹 부위를 포함하는 기가 결합하고 있다(바람직하게는, 측쇄를 통하여 포토크로믹 부위가 결합하고 있다). 그리고, 이 다가의 잔기는, 반드시, 분자량(수 평균 분자량)이 300 이상의 장쇄기가 치환되어 있다. 이에 의해, 포토크로믹 부위의 근방에 항상 해당 장쇄기를 배치시킬 수 있기 때문에, 포토크로믹 부위의 가역 반응을 허용할 수 있는 자유 공간을 확보할 수 있다. 그 결과, 중합성 화합물과 조합한 경우에 있어서도, 높은 발색 농도를 유지한 채, 퇴색 속도를 빠르게 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포토크로믹 부위는, 전술한 측쇄를 이용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추가로 연결기 L을 조합함으로써, 다가의 잔기에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 측쇄와 연결기 L을 갖는 포토크로믹 부위를 반응시켜서, 상기 제1 측쇄와 연결기 L을 결합시켜서, 상기 다가의 잔기를 형성하는 화합물에 포토크로믹 부위를 포함하는 쇄(기)를 도입할 수 있다. 이 경우, 해당 「쇄」는 「제1 측쇄와 연결기 L」이 반응하여 이루어지는 부분을 포함하고, 제1 측쇄와 연결기 L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해당 「쇄」는, 상기 측쇄에 해당한다. 단, 상기한 바와 같이, 포토크로믹 부위는, 제1 측쇄와 직접 접합해도 되고, 이 경우, 제1 측쇄를 해당 「쇄」라고 간주할 수 있고, 해당 「쇄」가 측쇄(제1 측쇄가 측쇄)가 된다.
포토크로믹 부위로서는, 공지된 것을 사용할 수 있고, 이들은 단독으로 사용할 수도,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이러한 포토크로믹 부위로서는, 예를 들어 나프토피란, 스피로옥사진, 스피로피란, 풀기드, 풀기미드, 및 디아릴에텐이 대표적인 것으로서 예시된다. 이 중에서도, 자외선에 의해 분자의 일부가 개열하여 발색하고, 개열한 개소가 재결합함으로써 퇴색하는 것으로서, 개열과 재결합이 일어나는 때에 분자의 움직임을 방해하지 않는 자유 공간의 존재(분자의 자유도)가 중요해지는, 나프토피란, 스피로옥사진, 및 스피로피란일 경우에 우수한 효과를 발휘한다. 그리고, 특히 이 중에서도, 발색 농도 및 퇴색 속도에 있어서 우수한 포토크로믹성을 발현할 수 있다는 점에서, 인데노나프토피란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인데노[2,1-f]나프토[1,2-b]피란이 특히 바람직하다.
포토크로믹 부위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 예시되는 인데노[2,1-f]나프토[1,2-b]피란은, 하기 식 (4)
Figure pct00001
여기서,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후술하는 L에 직결하는 기, 히드록실기, 알킬기, 할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시클로알킬기, 알콕시기, 아미노기(제1, 제2급 아민을 포함하는 기), 환원 질소 원자를 갖고 또한 그 질소 원자에서 그것이 결합하고 있는 탄소 원자에 결합하는 복소환기(단, 치환기를 가져도 된다), 시아노기, 니트로기, 포르밀기, 히드록시카르보닐기, 알킬카르보닐기, 알콕시카르보닐기, 할로겐 원자,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르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르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옥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기, 알킬티오기, 시클로알킬티오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티오기이며,
또한, R8, 및 R9는, 각각 독립적으로, 서로 인접하는 2개가 합쳐져서, 산소 원자, 질소 원자, 황 원자를 포함해도 되는 지방족환(단, 치환기를 가져도 된다)을 형성해도 되고,
R10 및 R11은, 각각 독립적으로, 후술하는 L에 직결하는 기, 수소 원자, 히드록실기, 알킬기, 할로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콕시기, 알콕시알킬기, 포르밀기, 히드록시카르보닐기, 알킬카르보닐기, 알콕시카르보닐기, 할로겐 원자,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르알킬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르알콕시기,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옥시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기이며,
또한, R10 및 R11은, 2개가 합쳐져서, 그들이 결합하는 13위치의 탄소 원자와 함께, 환원 탄소수가 3 내지 20인 지방족환, 상기 지방족환에 방향족환 혹은 방향족 복소환이 축환한 축합 다환, 환원 원자수가 3 내지 20인 복소환, 또는 상기 복소환에 방향족환 혹은 방향족 복소환이 축환한 축합 다환을 형성해도 되고, 단, 이들 환은 치환기를 가져도 되고,
R12, 및 R13은, 각각 독립적으로,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아릴기, 또는 치환기를 가져도 되는 헤테로아릴기이며,
h는 0 내지 4의 정수이며,
i는 0 내지 4의 정수이며,
h가 2 내지 4일 경우에는, 복수의 R8은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i가 2 내지 4일 경우에는, 복수의 R9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단, R8, R9, R10, R11, R12의 아릴기 혹은 헤테로아릴기 상의 치환기, 또는 R13의 아릴기 혹은 헤테로아릴기 상의 치환기의 적어도 하나는 후술하는 치환기 L임
으로 표시된다.
또한, 상기 R8, R9, R10, R11, R12, 및 R13에 있어서, 그들 기, 또는 그들 기가 형성하는 환기가 가져도 되는 치환기는, 주로 발색 색조 등을 컨트롤하기 위하여 도입되어 있고, 이들 치환기에 의해 본 발명의 효과가 손상되는 것은 아니다. 그 때문에,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바람직하게는 R8, 및 R9로 예시한 기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에 있어서, 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6인 것이 바람직하고, 할로알킬기는 탄소수 1 내지 6인 것이 바람직하고, 시클로알킬기는 탄소수 3 내지 8인 것이 바람직하고, 알콕시기는 탄소수 1 내지 6인 것이 바람직하고, 알킬카르보닐기는 탄소수 2 내지 7인 것이 바람직하고, 알콕시카르보닐기는 탄소수 2 내지 7인 것이 바람직하고, 아르알킬기는 탄소수 7 내지 11인 것이 바람직하고, 아르알콕시기는 탄소수 7 내지 11인 것이 바람직하고, 아릴옥시기는 탄소수 6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고, 아릴기는 탄소수 6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고, 알킬티오기는 탄소수 1 내지 6인 것이 바람직하고, 시클로알킬티오기는 탄소수 3 내지 8인 것이 바람직하고, 아릴티오기는 탄소수 6 내지 12인 것이 바람직하다.
포토크로믹 부위를 형성하는 인데노[2,1-f]나프토[1,2-b]피란은, 예를 들어, 국제 공개 제1996/014596호 팸플릿, 국제 공개 2001/019813호 팸플릿, 국제 공개 2001/060811, 국제 공개 제2005/028465호 팸플릿, WO2006/110221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07/073462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07/140071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08/054942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0/065393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1/10744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1/016582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1/025056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1/034202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1/078030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2/102409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2/102410호 팸플릿, 국제 공개 제2012/121414호 팸플릿, 등에 기재된 화합물을 전혀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이어서, 상기한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포토크로믹 부위를 포함하는 측쇄)는 하기 식 (1) 또는 (1')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2
여기서,
PC는, 포토크로믹성기(포토크로믹 부위)이며,
R1은, 탄소수가 2 내지 8인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킬렌기이며,
R2는, 탄소수가 2 내지 8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아세틸기 분지를 갖는 탄소수가 3 내지 8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또는 에테르 결합을 갖는 탄소수가 3 내지 8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이며,
L은, 하기 식 (2)이다.
Figure pct00003
여기서,
R3은, 단결합,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탄소수가 3 내지 12인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탄소수가 6 내지 12인 방향족기이며,
R4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탄소수가 3 내지 12인 시클로알킬렌기, 탄소수가 6 내지 12인 방향족기,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기를 갖는 디알킬실릴기이며,
R5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탄소수가 3 내지 12인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탄소수가 6 내지 12인 방향족기이며,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O, 또는 NH이며,
c는, 0 내지 50의 정수이며, d는, 0 내지 50의 정수이며, e는, 0 또는 1의 정수이며,
c가 2 이상인 경우, 복수 있는 c의 단위의 2가의 기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d가 2 이상인 경우, 복수 있는 d의 단위의 2가의 기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로 표시되는 2가의 기이며,
a는, 1 내지 50의 정수이며, b는, 0 내지 50의 정수이며,
a가 2 이상인 경우, 복수 있는 a의 단위의 2가의 기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b가 2 이상인 경우, 복수 있는 b의 단위의 2가의 기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이 중, 특히 바람직한 기를 예시하면,
R1은,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또는 부틸렌기가 바람직하고, 이소프로필렌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a는 1 내지 10이 바람직하고, 1이 특히 바람직하다.
R2는, 부틸렌기, 펜틸렌기, 또는 헥실렌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b는 1 내지 10이 바람직하고, 2 내지 8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L에 있어서,
R3은, 단결합(이 경우 X1이 직접, b의 단위의 산소 원자와 결합한다)이거나, 또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시클로헥실렌기가 바람직하다. 나아가, 단결합, 또는, 에틸렌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X1, 및 X2는, 각각, 단결합이거나(이 경우, 카르보닐기가 직접, R3, 및 R4와 결합한다), 또는, O(산소 원자)가 보다 바람직하다.
R4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또는 디메틸실릴기가 바람직하고, 에틸렌기, 디메틸실릴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c는, 2가 바람직하고, d는, 1 내지 10이 바람직하고, 1 내지 5가 특히 바람직하고, e는, 0이 바람직하다.
이 중, L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 이하의 것이 예시된다.
Figure pct00004
또한, 당연한 것이지만, 상기 식 (1)에 있어서, PC를 제외하는 부분이, 「쇄」에 해당하고, PC를 제외한 해당 「쇄」(측쇄)의 평균 분자량은 45 내지 1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60 내지 8,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00 내지 5,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100 내지 2,0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다가의 잔기가 갖는 장쇄의 기에 대해서)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다가의 잔기는, 포토크로믹 부위를 포함하지 않는, 분자량이 300 이상의 장쇄의 기(장쇄기)가 적어도 하나 치환되어 이루어지는 기이다. 즉, 해당 다가의 잔기는, 수 평균 분자량이 300 이상인 장쇄기가 결합하고 있어야만 한다. 이에 의해, 중합성 화합물과 조합하여 중합 경화함으로써, 포토크로믹성이 우수한 경화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장쇄기는, 전술한 포토크로믹 부위를 포함하는 쇄(기)와 마찬가지로, 전술한 측쇄(제1 측쇄)를 이용하고, 또한 필요에 따라서 또한 연결기 L을 조합함으로써, 다가의 잔기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에 있어서는, 제1 측쇄의 말단이 중합성기가 되어도 된다. 이 경우, 제1 측쇄의 수 평균 분자량이 300 이상이며, 또한 말단에 중합성기를 포함하는 기가 장쇄기에 해당한다. 한편, 제1 측쇄의 수 평균 분자량이 300 미만이며, 또한 말단에 중합성기를 포함하는 기는 단쇄기에 해당한다.
또한, 상기 제1 측쇄와 연결기 L을 갖는 중합성기 함유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상기 제1 측쇄와 연결기 L을 결합하고, 상기 환상 분자에 중합성기를 도입한 경우에는, 「장쇄」는 「제1 측쇄와 연결기 L」이 반응하여 이루어지는 부분을 포함하고, 제1 측쇄와 연결기 L의 부분을 포함하는 것이 된다. 그리고, 상기한 바와 같이, 해당 「장쇄」는, 상기 측쇄에 해당한다. 그리고, 중합성기 부분은, 장쇄의 기의 수 평균 분자량에 큰 영향을 주지 않기 때문에, 장쇄기의 수 평균 분자량은 중합성기를 포함한 상태의 것으로 한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장쇄기의 수 평균 분자량은, 300 내지 1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 내지 8,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0 내지 5,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00 내지 2,0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또한, 당연한 것이기는 하지만, 중합성기를 포함하는 제1 측쇄, 또는 중합성기를 포함하는 「제1 측쇄와 연결기 L」의 수 평균 분자량(중합성기를 포함하는 수 평균 분자량)이 300 미만이 되는 경우에는, 단쇄기에 해당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장쇄기는, 하기 식 (3) 또는 (3')인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5
여기서,
Z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중합성기이며,
R6은, 탄소수가 2 내지 8인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킬렌기이며,
R7은, 탄소수가 2 내지 8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아세틸기 분지를 갖는 탄소수가 3 내지 8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또는 에테르 결합을 갖는 탄소수가 3 내지 8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이며,
X'는 단결합, O, 또는 NH이며,
L'는, 하기 식 (2')이다.
Figure pct00006
여기서,
R31은, 단결합,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탄소수가 3 내지 12인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탄소수가 6 내지 12인 방향족기이며,
R41은,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탄소수가 3 내지 12인 시클로알킬렌기, 탄소수가 6 내지 12인 방향족기,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기를 갖는 디알킬실릴기이며,
R51은,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탄소수가 3 내지 12인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탄소수가 6 내지 12인 방향족기이며,
X11, 및 X21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O, 또는 NH이며,
c1은, 0 내지 50의 정수이며, d1은, 0 내지 50의 정수이며, e1은, 0 또는 1의 정수이며,
c1이 2 이상인 경우, 복수 있는 c1의 단위의 2가의 기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d1이 2 이상인 경우, 복수 있는 d1의 단위의 2가의 기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로 표시되는 2가의 기이며,
f는, 1 내지 50의 정수이며, g는, 0 내지 50의 정수이며,
f가 2 이상인 경우, 복수 있는 f의 단위의 2가의 기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g가 2 이상인 경우, 복수 있는 g의 단위의 2가의 기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된다.
또한, 당연한 것이지만, 상기 식 (3)에 있어서, 장쇄기의 수 평균 분자량은 300 내지 10,000인 것이 바람직하고, 300 내지 8,00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400 내지 5,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500 내지 2,0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이 중, 특히 바람직한 기를 예시하면,
R6은,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이소프로필렌기, 또는 부틸렌기가 바람직하고, 이소프로필렌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f는, 1 내지 10이 바람직하고, 1이 특히 바람직하다.
R7은, 부틸렌기, 펜틸렌기, 또는 헥실렌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g는, 1 내지 10이 바람직하고, 2 내지 8이 특히 바람직하다.
상기 식 (2')로 표시되는 L'에 있어서,
R31은, 단결합, 또는,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시클로헥실렌기가 바람직하고, 단결합, 또는, 에틸렌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X11은, 단결합, 또는, O가 바람직하다.
X21은, 단결합, 또는, O, 또는, NH가 바람직하다.
R41은, 에틸렌기, 프로필렌기, 부틸렌기, 디메틸실릴기가 바람직하고, 에틸렌기, 디메틸실릴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R51은, 메틸렌기, 에틸렌기, 프로필렌기가 바람직하다.
c1은, 0 내지 2가 바람직하고, d1은, 1 내지 45가 바람직하고, 5 내지 40이 특히 바람직하고, e1은, 0이 바람직하다.
이 중, L'로서 특히 바람직한 것으로서, 이하의 것이 예시된다.
Figure pct00007
Figure pct00008
Z의 중합성기로서는, 아크릴기, 메타아크릴기, 알릴기, 비닐기 및 4-비닐페닐기와 같은 라디칼 중합성기가 대표적인데,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 이외의 다른 중합성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에폭시기, 에피술피드기, 티에타닐기, OH기, SH기, NH2기, NCO기, 또는 NCS기도, 중합기로서 기능하므로 사용된다.
여기서, 에폭시기, 에피술피드기, 티에타닐기는,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 이외의 중합성 화합물이 갖는 에폭시기, 에피술피드기, 티에타닐기, NH2기, NCO기와 반응한다.
OH기나 SH기는,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 이외의 중합성 화합물이 갖는 NCO기나 NCS기와 반응하여, 우레탄 결합, 티오우레탄 결합을 생성한다.
NCO기나 NCS기는,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 이외의 다른 중합성 화합물이 갖는 OH기, SH기, 또는 NH2기와 반응하게 된다.
(적합한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 및 장쇄기의 수, 그들 이외의 기의 수)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 1 분자 중에 도입할 수 있는 포토크로믹 부위를 포함하는 기의 수는, 1 이상이며, 다가의 잔기의 전체 가수보다 1 적은 수 이하여야만 한다. 단, 너무 적으면 발색 농도가 불충분해지고, 너무 많으면 발색 농도가 포화해버려 포토크로믹 부위를 유효하게 기능시킬 수 없게 되는 것으로부터, 포토크로믹 화합물 1 분자 중에 2 내지 9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의 수는 평균값이다.
또한, 장쇄기의 수도, 포토크로믹 화합물 1 분자 중, 1 이상이며, 다가의 잔기의 전체 가수보다 1 적은 수 이하여야만 한다. 단, 너무 적으면 자유 공간을 형성하는 것이 곤란해지고, 너무 많으면 포토크로믹 부위를 유효하게 기능시킬 수 없게 되는 것으로부터, 포토크로믹 화합물 1 분자 중에 2 내지 16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장쇄기의 말단이 중합성기일 경우에는, 너무 적으면 단독으로 중합하는 것이 곤란해지는 것과,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 이외의 다른 중합성 화합물을 배합한 경우에 있어서도 경화체 중에 결합하지 않고 블리드 아웃할 가능성이 있는 것으로부터, 2 내지 16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장쇄기의 수는 평균값이다.
그리고,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기 포토크로믹 화합물 1 분자당, 상기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의 수와 상기 장쇄기의 수의 합계수가 2 내지 30인 것이 바람직하다. 해당 합계수가 이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생산성 높고, 또한 포토크로믹 특성이 우수한 화합물을 얻을 수 있다. 보다 한층 이 효과를 높이기 위해서는, 해당 합계수는, 3 내지 20이 보다 바람직하고, 5 내지 18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의 수에 대하여 상기 장쇄기의 수는 1배 이상이지만, 보다 포토크로믹 특성을 개선하기 위해서는, 1 내지 20배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범위를 만족함으로써, 포토크로믹 부위에 대하여 효율적으로 자유 공간을 형성할 수 있는 것으로 생각되고, 그 결과, 보다 우수한 포토크로믹 특성을 발휘할 수 있을 것으로 생각된다. 이 효과를 보다 현저하게 하기 위해서는, 상기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의 수에 대하여 상기 장쇄기의 수는 1.5 내지 10배로 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2 내지 5배로 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는, 다가의 잔기의 전체 가수가,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의 수와 장쇄기의 수의 합계이면 된다. 단, 포토크로믹 화합물 자체의 생산의 용이함, 부반응의 억제 등을 고려하면, 다가의 잔기는, 단쇄기가 치환되어 있어도 되고, 나아가, 다가의 잔기가 갖는 반응성기 등이 그대로 남아있어도 된다. 각 기의 최적의 비율은, 사용하는 다가의 잔기를 형성하는 화합물에 따라서도 다르기 때문에, 일률적으로 한정할 수 없지만, 포토크로믹 화합물 자체의 생산의 용이함, 부반응의 억제, 및 포토크로믹 특성 등을 고려하면, 이하의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다가의 잔기의 전체 가수를 100%로 했을 때,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의 수가 5 내지 50%, 장쇄기의 수가 5 내지 90%, 단쇄기의 수가 0 내지 90%, 반응하지 않고 잔존하는 반응성기 등(다가의 잔기가 갖는 반응성기 등)의 수가 0 내지 90%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의 수가 10 내지 20%, 장쇄기의 수가 30 내지 50%, 단쇄기의 수가 0 내지 50%, 반응하지 않고 잔존하는 반응성기 등(다가의 잔기가 갖는 반응성기 등)의 수가 0 내지 5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다가의 잔기를 형성하는 화합물이 시클로덱스트린일 경우, 해당 시클로덱스트린에 결합하는 측쇄 중, 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30%, 더욱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이 상기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측쇄)이며, 또한,
5 내지 9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50%, 더욱 바람직하게는 30 내지 50%이 상기 장쇄기인 포토크로믹 화합물이, 우수한 포토크로믹성을 부여하는 점에서 특히 바람직하다. 단, 상기한 설명한 바와 같이, 다가의 잔기에 있어서의 반응성기 등(시클로덱스트린의 수산기) 모두에, 측쇄(제1 측쇄를 포함한다)가 도입되는 것은 아니다. 즉, 상기 비율은, 시클로덱스트린의 수산기에 도입된 측쇄에 포토크로믹 부위가 도입된 비율, 및 해당 측쇄가 장쇄기가 된 비율이다.
또한, 상기한 바와 같이, 시클로덱스트린에 도입한 측쇄(제1 측쇄를 포함한다)의 모두에, 포토크로믹 부위, 및 중합성기가 도입되지 않아도 되고, 나아가, 해당 측쇄가 장쇄기가 아니어도 된다. 단, 장쇄기의 말단에 중합성기가 도입된 경우에는, 이하와 같이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중합성 화합물의 중합성기가 라디칼 중합성기인 경우에는, 그것과 조합하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은, 생산성, 포토크로믹 특성, 및 다른 중합성 화합물과의 중합성을 고려하면, 해당 시클로덱스트린에 결합하는 측쇄 중, 상기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측쇄(기)가 5 내지 50%,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장쇄기(측쇄)가 5 내지 90%, 단쇄기가 0 내지 90%, 반응하지 않고 잔존하는 수산기 0 내지 90%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측쇄(기)가 10 내지 20%,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는 장쇄기(측쇄)가 30 내지 50%, 단쇄기가 0 내지 50%, 반응하지 않고 잔존하는 수산기 0 내지 5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하기의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으로 측정한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예를 들어 2,000 이상이며, 2,000 내지 50,000인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 다른 중합성 화합물과의 상용성을 향상하고, 경화 전의 모노머 점도를 과도하게 높일 일 없이, 많은 포토크로믹 부위를 도입하고, 우수한 효과를 이루기 위해서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중량 평균 분자량 Mw는, 2,000 내지 30,000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3,000 내지 20,000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제조 방법)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은, 그 제조법이 제한되는 것이 아니지만, 이하의 방법으로 제조할 수 있다.
우선, 다가 잔기(다가의 잔기를 형성하는 화합물)를 공지된 방법으로 제조한다. 이어서, 해당 다가 잔기에, 공지된 방법에 의해 제1 측쇄를 도입한다. 이때, 제1 측쇄의 말단은, 반응성기(예를 들어, OH기 등)로서 두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 반응성기 중에서도, 반응하지 않은 경우에는, 「반응하지 않고 잔존하는 반응성기 등」에 해당한다.
또한, 별도로,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고, 해당 포토크로믹 부위에 적어도, 상기 제1 측쇄와 반응할 수 있는 기를 도입한다. 바람직하게는, 이 기는, 상기 L을 형성하는 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리고, 제1 측쇄를 갖는 다가 잔기와, 상기 L을 형성할 수 있는 기를 반응시켜서,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제조할 수 있다. 또한, 포토크로믹 부위와 상기 제1 측쇄는 직접 반응시켜도 된다(이 경우, L은 단결합임). 또한, 이 제1 측쇄의 분자량이 300 미만이며, 또한 포토크로믹 부위를 도입하지 않았을 경우에는, 단쇄기가 된다. 또한, 당연한 것이지만, 제1 측쇄에 중합성기를 도입했다고 해도, 분자량이 300 미만인 경우에는, 단쇄기에 해당한다.
상기 L을 형성할 수 있는 기와, 제1 측쇄의 말단의 반응은,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제1 측쇄의 말단이 OH기일 경우, 말단이 카르복실산인 화합물과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함으로써 상기 L을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황산, 염산 등의 무기산, 방향족 술폰산 등의 유기산, 혹은 불화붕소에테르 등의 루이스산 존재 하에 톨루엔 등의 용매 중, 필요에 따라 가열하면서 교반하고, 생성되는 물을 공비에 의해 제거하여 반응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에스테르화 반응에 있어서, 물을 제거하는 방법으로서는, 무수 황산마그네슘, 혹은 분자 체 등의 건조제에 의해 물을 제거하는 방법, 또는,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등으로 대표되는 탈수제의 존재 하에서 물을 제거하는 방법을 들 수 있다.
또한, 말단이 카르복실산할라이드인 화합물과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함으로써 상기 L을 형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피리딘, 디메틸아닐린 등의 염기의 존재 하, 테트라히드로푸란 등의 에테르계 용매 중, 필요에 따라 가열하면서 교반하고, 생성되는 할로겐화수소를 제거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말단이 산 무수물인 화합물과 에스테르화 반응을 행함으로써 상기 L을 형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아세트산나트륨이나 피리딘 등의 촉매의 존재 하에 톨루엔 등의 용매 중, 필요에 따라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다른 방법으로서, 말단이 NCO기인 화합물과 우레탄화 반응을 행함으로써 상기 L을 형성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리에틸렌디아민 등의 아민계 혹은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등의 주석계 촉매의 존재 하, 무용매 혹은 톨루엔 등의 용매 중, 필요에 따라 가열하면서 교반하는 방법 등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중합성기를 갖는 장쇄기(단쇄기여도 된다)를 도입하는 방법도, 상기 방법과 마찬가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포토크로믹 부위를 중합성기로 치환한 화합물을, 상기 L'를 형성할 수 있는 기와 반응시키면 된다. 또한, 제1 측쇄의 말단 반응성기가, 본 발명에 있어서의 중합성기일 경우에는, 그대로, 중합성기로서 사용할 수도 있다.
(포토크로믹 화합물 이외의 중합성 화합물)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는, 상기 포토크로믹 화합물(이하 포토크로믹 화합물 (A)라고도 한다)과, 필요에 따라, 상기 포토크로믹 화합물 이외의 중합성 화합물을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중합성 화합물((B) 성분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로서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1), 에폭시계 중합성 화합물 (B2), 우레탄 결합이나 우레아 결합 등을 형성할 수 있는 우레탄 혹은 우레아계 중합성 화합물 (B3), 및 (B1 내지 B3) 이외의 기타의 중합성 화합물 (B4)를 들 수 있다. 특히, 포토크로믹 화합물에 중합성기가 도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중합성기와 반응할 수 있는 중합성 화합물이 적합하게 사용된다.
(B1)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1)은 특히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장쇄기 또는 단쇄기, 특히 장쇄기에 라디칼 중합성의 관능기가 도입되어 있는 경우에,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이며, 크게 나누어,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메트)아크릴계 중합성 화합물 (B1-1), 비닐기를 갖는 비닐계 중합성 화합물 (B1-2), 알릴기를 갖는 알릴계 중합성 화합물 (B1-3), 실세스퀴옥산계 중합성 화합물 (B1-4)로 분류된다.
이하에, 그 구체예를 나타낸다.
(B1) (메트)아크릴계 중합성 화합물의 예;
(B1-1-1) 2관능 (메트)아크릴계 중합성 화합물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경화성 조성물은, (B1-1-1) 2관능 (메트)아크릴계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에, 그 구체예를 나타낸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식 (5), (6) 및 (7)에 나타내는 화합물이다. 하기 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이하, 간단히 (B1-1-1-1) 성분으로 하는 경우도 있고, 하기 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이하, 간단히 (B1-1-1-2) 성분으로 하는 경우도 있고, 하기 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이하, 간단히 (B1-1-1-3) 성분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기타, 우레탄 결합을 갖는 2관능 (메트)아크릴계 중합성 화합물(이하, 간단히 (B1-1-1-4) 성분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상기 (B1-1-1-1) 성분, 상기 (B1-1-1-2) 성분, 상기 (B1-1-1-3) 성분, 및 상기 (B1-1-1-4) 성분에 해당하지 않는 2관능 (메트)아크릴계 중합성 화합물(이하, 간단히 (B1-1-1-5) 성분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에 대하여 설명한다.
(B1-1-1-1) 하기 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
Figure pct00009
식 중, R14 및 R15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j 및 k는 각각 독립적으로 0 이상의 정수이며, 또한, j+k는 평균값으로 2 이상 50 이하이다.
또한, 상기 식 (5)로 표시되는 중합성 화합물은, 통상, 분자량의 다른 분자의 혼합물의 형으로 얻어진다. 그 때문에, j 및 k는 평균값으로 나타냈다.
상기 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이하와 같다.
디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펜타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펜타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펜타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펜타프로필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과 폴리에틸렌글리콜이 혼합물을 포함하는 디메타크릴레이트(폴리에틸렌이 2개, 폴리프로필렌이 2개의 반복 단위를 갖는다),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특히 평균 분자량 330),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특히 평균 분자량 536), 폴리에틸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특히 평균 분자량 736),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 폴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타크릴레이트(특히 평균 분자량 536),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특히 평균 분자량 258),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특히 평균 분자량 308),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특히 평균 분자량 508), 폴리에틸렌글리콜디아크릴레이트, (특히 평균 분자량 708), 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아크릴레이트(특히 평균 분자량 536).
(B1-1-1-2) 하기 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Figure pct00010
식 중, R16 및 R17은, 각각,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18 및 R19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0은, 수소 원자 또는 할로겐 원자이며,
B는, -O-, -S-, -(SO2)-, -CO-, -CH2-, -CH=CH-, -C(CH3)2-, -C(CH3)(C6H5)-의 어느 것이며,
l 및 m은 각각 1 이상의 정수이며, l+m은 평균값으로 2 이상 30 이하이다.
또한, 상기 식 (6)으로 표시되는 중합성 화합물은, 통상, 분자량이 다른 분자의 혼합물의 형으로 얻어진다. 그 때문에, l 및 m은 평균값으로 나타냈다.
상기 식 (6)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의 구체예로서는, 예를 들어, 이하의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2,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l+m=2), 2,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디에톡시)페닐]프로판(l+m=4), 2,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폴리에톡시)페닐]프로판(l+m=7), 2,2-비스(3,5-디브로모-4-메타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프로판(l+m=2), 2,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디프로폭시페닐)프로판(l+m=4), 2,2-비스[4-아크릴로일옥시·디에톡시)페닐]프로판(l+m=4), 2,2-비스[4-아크릴로일옥시·폴리에톡시)페닐]프로판(l+m=3), 2,2-비스[4-아크릴로일옥시·폴리에톡시)페닐]프로판(l+m=7), 2,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폴리에톡시)페닐]프로판(l+m=10), 2,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폴리에톡시)페닐]프로판(l+m=17), 2,2-비스[4-메타크릴로일옥시(폴리에톡시)페닐]프로판(l+m=30), 2,2-비스[4-아크릴로일옥시(폴리에톡시)페닐]프로판(l+m=10), 2,2-비스[4-아크릴로일옥시(폴리에톡시)페닐]프로판(l+m=20).
(B1-1-1-3) 하기 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
Figure pct00011
식 중, R21 및 R22는, 각각,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n은 평균값으로 1 내지 20의 수이며,
A 및 A'는, 서로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각각 탄소수 2 내지 15의 직쇄상 또는 분지상의 알킬렌기이며, A가 복수 존재하는 경우에는, 복수의 A는 동일한 기여도 되고, 다른 기여도 된다.
상기 식 (7)로 표시되는 화합물은,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과 (메트)아크릴산을 반응시킴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여기서, 사용되는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로서는, 이하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트리메틸렌글리콜, 테트라메틸렌글리콜, 펜타메틸렌글리콜, 헥사메틸렌글리콜, 옥타메틸렌글리콜, 노나메틸렌글리콜 등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의 포스겐화로 얻어지는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500 내지 2,000의 수 평균 분자량을 갖는 것);
2종 이상의 폴리알킬렌글리콜의 혼합물, 예를 들어, 트리메틸렌글리콜과 테트라메틸렌글리콜의 혼합물, 테트라메틸렌글리콜과 헥사메틸렌디글리콜의 혼합물, 펜타메틸렌글리콜과 헥사메틸렌글리콜의 혼합물, 테트라메틸렌글리콜과 옥타메틸렌글리콜의 혼합물, 헥사메틸렌글리콜과 옥타메틸렌글리콜의 혼합물 등)의 포스겐화로 얻어지는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수 평균 분자량 500 내지 2,000);
1-메틸트리메틸렌글리콜의 포스겐화로 얻어지는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수 평균 분자량 500 내지 2,000);.
(B1-1-1-4) 우레탄 결합을 갖는 2관능 (메트)아크릴 중합성 화합물
(B1-1-1-4) 성분은,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물이 대표적이다. 여기서, 폴리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예를 들어,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이소시아네이트, 2,2,4-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다이머산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리덴비스-4-시클로헥실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노르보르넨디이소시아네이트, 노르보르넨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또는 메틸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한편, 폴리올로서는, 탄소수 2 내지 4의 에틸렌옥시드, 프로필렌옥시드, 헥사메틸렌옥시드의 반복 단위를 갖는 폴리알킬렌글루콜, 혹은 폴리카프로락톤디올 등의 폴리에스테르디올을 들 수 있다. 또한, 폴리카르보네이트디올, 폴리부타디엔디올, 또는 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1,3-프로판디올, 1,4-부탄디올, 1,5-펜탄디올, 1,6-헥산디올, 1,9-노난디올, 1,8-노난디올, 네오펜틸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1,4-시클로헥산디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 등을 예시할 수 있다.
또한, 이들 폴리이소시아네이트 및 폴리올의 반응에 의해 우레탄 프리폴리머로 한 것을, 2-히드록시(메트)아크릴레이트로 추가로 반응시킨 반응 혼합물이나, 상기 디이소시아네이트를 2-히드록시(메트)아크릴레이트와 직접 반응시킨 반응 혼합물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등도 사용할 수 있다.
우레탄 결합을 갖는 2관능 (메트)아크릴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의 U-2PPA(분자량 482), UA-122P(분자량 1,100), U-122P(분자량 1,100), U-108A, U-200PA, UA-511, U-412A, UA-4100, UA-4200, UA-4400, UA-2235PE, UA-160TM, UA-6100, UA-6200, U-108, UA-4000, UA-512, 및 다이셀 유씨비사제의 EB4858(분자량 454), 및 니혼 가야쿠(주)제 UX-2201, UX3204, UX4101, 6101, 7101, 8101 등을 들 수 있다.
(B1-1-1-5) 기타 2관능 (메트)아크릴계 중합성 화합물
(B1-1-1-5) 성분으로서는, 치환기를 갖고 있어도 되는 알킬렌기의 양쪽 말단에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B1-1-1-5) 성분으로서는, 탄소수 6 내지 20의 알킬렌기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1,6-헥산디올디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기타, (B1-1-1-5) 성분으로서는, 황 원자를 포함하는 2관능 (메트)아크릴레이트 모노머를 들 수 있다. 황 원자는 술피드기로서 분자쇄의 일부를 이루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비스(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티오에틸)술피드, 비스(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술피드, 비스(아크릴로일옥시에틸)술피드, 1,2-비스(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티오)에탄, 1,2-비스(아크릴로일옥시에틸)에탄, 비스(2-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티오에틸)술피드, 비스(2-아크릴로일옥시에틸티오에틸)술피드, 1,2-비스(메타크릴로일옥시에틸티오에틸티오)에탄, 1,2-비스(아크릴로일옥시에틸티오에틸티오)에탄, 1,2-비스(메타크릴로일옥시이소프로필티오이소프로필)술피드, 1,2-비스(아크릴로일옥시이소프로필티오이소프로필)술피드를 들 수 있다.
이상의 (B1-1-1-1) 성분, (B1-1-1-2) 성분, (B1-1-1-3) 성분, (B1-1-1-4) 성분, 및 (B1-1-1-5) 성분에 있어서는, 각 성분에 있어서의 단독 성분을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에서 설명한 복수 종류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복수 종류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B1-1-1) 성분의 기준이 되는 질량은, 복수 종류의 것의 합계량이다.
이어서, (B1-1-2)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중합성 화합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B1-1-2)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중합성 화합물
(B1-1-2) 성분으로서는, 하기 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간단히 (B1-1-2-1) 성분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우레탄 결합을 갖는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중합성 화합물(이하, 간단히 (B1-1-2-2) 성분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 그리고, 상기 (B1-1-2-1) 성분, 및 상기 (B1-1-2-2) 성분에 해당하지 않는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중합성 화합물(이하, 간단히 (B1-1-2-3) 성분으로 하는 경우도 있다)을 들 수 있다.
(B1-1-2-1) 하기 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하기 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12
식 중, R23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4는, 수소 원자 또는 탄소수 1 내지 2의 알킬기이며,
R25는, 탄소수 1 내지 10인 3 내지 6가의 유기기이며,
o는, 평균값으로 0 내지 3의 수이며, p는 3 내지 6의 수이다.
R24로 표시되는 탄소수 1 내지 2의 알킬기로서는 메틸기가 바람직하다. R25로 표시되는 유기기로서는, 폴리올로부터 유도되는 기, 3 내지 6가의 탄화수소기, 3 내지 6가의 우레탄 결합을 포함하는 유기기를 들 수 있다.
상기 식 (8)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이하와 같다.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트리아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테트라메틸올메탄테트라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에틸렌글리콜트리메타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에틸렌글리콜트리아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메타크릴레이트, 디트리메틸올프로판테트라아크릴레이트.
(B1-1-2-2) 우레탄 결합을 갖는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중합성 화합물
(B1-1-2-2) 성분은, (B1-1-1-4) 성분으로 설명한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화합물과, 글리세린, 트리메틸올프로판,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등의 폴리올 화합물을 반응시켜서 얻어지는 것이며, 분자 중에 3개 이상의 (메트)아크릴레이트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시판품으로서, 신나까무라 가가꾸 고교(주)제의 U-4HA(분자량 596, 관능기 수 4), U-6HA(분자량 1,019, 관능기 수 6), U-6LPA(분자량 818, 관능기 수 6), U-15HA(분자량 2,300, 관능기 수 15)를 들 수 있다.
(B1-1-2-3) 기타의 다관능 (메트)아크릴계 중합성 화합물
(B1-1-2-3) 성분으로서는,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의 말단을 (메트)아크릴기로 수식한 화합물이다. 원료가 되는 폴리에스테르 화합물의 분자량이나 (메트)아크릴기의 수식량에 따라 여러가지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 화합물이 시판되고 있는 것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4관능 폴리에스테르올리고머(분자량 2,500 내지 3,500, 다이셀 유씨비사, EB80 등), 6관능 폴리에스테르올리고머(분자량 6,000 내지 8,000, 다이셀 유씨비사, EB450 등), 6관능 폴리에스테르올리고머(분자량 45,000 내지 55,000, 다이셀 유씨비사, EB1830 등), 4관능 폴리에스테르올리고머(특히 분자량 10,000의 다이이찌 고교 세야꾸사, GX8488B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상으로 예시한 (B1-1-2) 성분((B1-1-2-1) 성분, (B1-1-2-2) 성분, (B1-1-2-3) 성분)을 사용함으로써, 중합에 의해 가교 밀도가 향상되어, 얻어지는 경화체의 표면 경도를 높일 수 있다. 따라서, 특히, 코팅법으로 얻어지는 포토크로믹 경화체(적층체)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는, (B1-1-2) 성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특히(B1-1-2) 성분 중에서도 (B1-1-2-1) 성분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B1-1-2-1) 성분, (B1-1-2-2) 성분, 및 (B1-1-2-3) 성분은, 각 성분에 있어서의 단독 성분을 사용할 수도 있고, 상기에서 설명한 복수 종류의 것을 사용할 수도 있다. 복수 종류의 것을 사용하는 경우에는, (B1-1-2) 성분의 기준이 되는 질량은, 복수 종류의 것의 합계량이다.
이어서, (B1-1-3)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중합성 화합물에 대하여 설명한다.
(B1-1-3) 단관능 (메트)아크릴계 중합성 화합물
(B1-1-3) 성분으로서는, 하기 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13
식 중, R26은, 수소 원자 또는 메틸기이며, R27은, 수소 원자, 메틸디메톡시실릴기, 트리메톡시실릴기, 또는 글리시딜기이며, q는, 0 내지 10의 정수이며, r은, 0 내지 20의 정수이다.
상기 식 (9)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구체적으로 나타내면 이하와 같다.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특히 평균 분자량 293),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타크릴레이트(특히 평균 분자량 468),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특히 평균 분자량 218),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아크릴레이트, (특히 평균 분자량 454), 스테아릴메타크릴레이트, 라우릴메타크릴레이트, 메틸아크릴레이트, 에틸아크릴레이트, 부틸아크릴레이트, 옥틸아크릴레이트, 라우릴아크릴레이트, γ-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메타크릴로일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글리시딜메타크릴레이트.
(B1-2) 비닐계 중합성 화합물;
비닐기를 갖는 비닐계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메틸비닐케톤, 에틸비닐케톤, 에틸비닐에테르, 스티렌, 비닐시클로헥산, 부타디엔, 1,4-펜타디엔, 디비닐술피드, 디비닐술폰, 1,2-디비닐벤젠, 1,3-디비닐-1,1,3,3-테트라메틸프로판디실록산, 디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아디프산디비닐, 세바스산디비닐, 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디비닐술폭시드, 디비닐퍼술피드, 디메틸디비닐실란, 1,2,4-트리비닐시클로헥산, 메틸트리비닐실란, α-메틸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 이량체 등을 들 수 있다.
상기에서 예시한 비닐계 중합성 화합물 중에서, α-메틸스티렌 및 α-메틸스티렌 이량체는, 중합 조정제로서 기능하여, 포토크로믹 조성물의 성형성을 향상시킨다.
(B1-3) 알릴계 중합성 화합물
알릴기를 갖는 알릴계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이하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디에틸렌글리콜비스알릴카보네이트,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알릴에테르(특히 평균 분자량 550),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알릴에테르(특히 평균 분자량 350),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알릴에테르(특히 평균 분자량 1500), 폴리에틸렌글리콜알릴에테르(특히 평균 분자량 450), 메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알릴에테르(특히 평균 분자량 750), 부톡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알릴에테르(특히 평균 분자량 1600), 메타크릴로일옥시폴리에틸렌글리콜-폴리프로필렌글리콜알릴에테르(특히 평균 분자량 560), 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알릴에테르(특히 평균 분자량 600), 메타크릴로일옥시폴리에틸렌글리콜알릴에테르(특히 평균 분자량 430), 아크릴로일옥시폴리에틸렌글리콜알릴에테르(특히 평균 분자량 420), 비닐옥시폴리에틸렌글리콜알릴에테르(특히 평균 분자량 560), 스티릴옥시폴리에틸렌글리콜알릴에테르(특히 평균 분자량 650), 메톡시폴리에틸렌티오글리콜알릴티오에테르(특히 평균 분자량 730).
또한, 알릴계 중합성 화합물은, 연쇄 이동제로서 작용함으로써, 경화성 조성물의 포토크로믹성(발색 농도, 퇴색 속도)을 향상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B1-4) 실세스퀴옥산 중합성 화합물;
실세스퀴옥산 중합성 화합물은, 케이지상, 사다리상, 랜덤과 같은 여러가지 분자 구조를 취하는 것이며, (메트)아크릴기 등의 라디칼 중합성기를 갖고 있다.
이러한 실세스퀴옥산 중합성 화합물의 예로서는, 하기 식 (10)으로 표시되는 것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14
식 중, s는, 중합도이며, 3 내지 100의 정수이며,
복수개 있는 R28은, 서로 동일하거나 혹은 달라도 되고, 라디칼 중합성기, 라디칼 중합성기를 포함하는 유기기, 수소 원자, 알킬기, 시클로알킬기, 알콕시기 또는 페닐기이며, 적어도 하나의 R28은, 라디칼 중합성기, 또는 라디칼 중합성기를 포함하는 유기기이다.
여기서, R28로 표시되는 라디칼 중합성기, 또는 라디칼 중합성기를 포함하는 유기기로서는, (메트)아크릴기; (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기, (3-(메트)아크릴로일옥시프로필) 디메틸실록시기 등의 (메트)아크릴기를 갖는 유기기; 알릴기; 알릴프로필기, 알릴프로필디메틸실록시기 등의 알릴기를 갖는 유기기; 비닐기; 비닐프로필기, 비닐디메틸실록시기 등의 비닐기를 갖는 유기기 등을 들 수 있다.
(B2) 에폭시계 중합성 화합물;
이 중합성 화합물은, 중합성기로서, 분자 내에 에폭시기를 갖는 것이며, 특히, 포토크로믹 화합물 (A)의 측쇄에, 중합성 관능기로서, 수산기, NH2기, NCO기가 도입되어 있는 경우에 특히 적합하다.
이러한 에폭시계 중합성 화합물은, 크게 나누어,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 및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로 분류되고, 그 구체예로서는, 이하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로서, 에틸렌옥시드, 2-에틸옥시란, 부틸글리시딜에테르, 페닐글리시딜에테르, 2,2'-메틸렌비스옥시란, 1,6-헥산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노나에틸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디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테트라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노나프로필렌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네오펜틸글리콜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글리시딜에테르, 글리세롤트리글리시딜에테르, 디글리세롤테트라글리시딜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글리시딜에테르,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의 디글리시딜에테르,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의 트리글리시딜에테르를 들 수 있다.
지환족 에폭시 화합물로서, 이소포론디올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2,2-히드록시시클로헥실프로판디글리시딜에테르를 들 수 있다.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로서, 레조르신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F 디글리시딜에테르, 비스페놀 S 디글리시딜에테르, 오르토프탈산디글리시딜에스테르, 페놀노볼락폴리글리시딜에테르, 크레졸노볼락폴리글리시딜에테르를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외에도, 에폭시기와 함께, 분자 내에 황 원자를 갖는 에폭시계 중합성 화합물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황 함유 원자 에폭시계 중합성 화합물은, 특히 굴절률 향상에 기여하는 것이며, 쇄상 지방족계 및 환상 지방족계의 것이 있고, 그 구체예는 다음과 같다.
쇄상 지방족계 황 함유 원자 에폭시계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비스(2,3-에폭시프로필)술피드, 비스(2,3-에폭시프로필)디술피드, 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탄, 1,2-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에탄, 1,2-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프로판, 1,3-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프로판, 1,3-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2-메틸프로판, 1,4-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부탄, 1,4-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2-메틸부탄, 1,3-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부탄, 1,5-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펜탄, 1,5-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2-메틸펜탄, 1,5-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3-티아펜탄, 1,6-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헥산, 1,6-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2-메틸헥산, 3,8-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3,6-디티아옥탄, 1,2,3-트리스(2,3-에폭시프로필티오)프로판, 2,2-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1,3-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프로판, 2,2-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1-(2,3-에폭시프로필티오)부탄을 들 수 있다.
환상 지방족계 황 함유 원자 에폭시계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1,3-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시클로헥산, 1,4-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시클로헥산, 1,3-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시클로헥산, 1,4-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시클로헥산, 2,5-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1,4-디티안, 2,5-비스[<2-(2,3-에폭시프로필티오)에틸>티오메틸]-1,4-디티안, 2,5-비스(2,3-에폭시프로필티오메틸)-2,5-디메틸-1,4-디티안을 들 수 있다.
(B3) 우레탄계 중합성 화합물(우레아계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이 중합성 화합물은, 중합의 반복 단위가 우레탄 결합이나 우레아 결합에 의해 연쇄하는 것이며, 특히 포토크로믹 화합물 (A)의 측쇄에 중합성 관능기로서, 에폭시기, 에피술피드기, 티에타닐기, OH기, SH기, NH2기, NCO기 또는 NCS기가 도입되어 있는 경우에 효과적이다.
예를 들어, 우레탄 결합은, 폴리올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이 우레탄 결합 중에는, 폴리올과 폴리이소티아시아네이트의 반응, 혹은 폴리티올과 폴리이소티아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으로 형성되는 티오우레탄 결합도 포함된다.
또한, 우레아 결합은, 폴리아민과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반응으로 형성되는 것이며, 이 우레아 결합 중에는, 폴리아민과 폴리이소티아시아네이트의 반응으로 형성되는 티오우레아 결합도 포함된다.
상기 설명으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있어서, 우레탄 혹은 우레아계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폴리올(B3-1), 폴리티올(B3-2), 폴리아민(B3-3), 폴리이소시아네이트(B3-4), 폴리이소티아시아네이트(B3-5) 중에서, 상기 우레탄 결합(티오우레탄 결합) 혹은 우레아 결합(티오우레아 결합)이 형성되도록, 복수종의 화합물이 선택하여 사용된다.
또한, 전술한 폴리로탁산의 측쇄에, 중합성기로서, 수산기, 머캅토기(SH기), NH2기, NCO기 등이 도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우레탄 혹은 우레아계 중합성 화합물(이하, 간단히, 양자를 통합하여 「우레탄계 중합성 화합물」로 하는 경우도 있다)이 형성하는 중합쇄 중에 측쇄가 삽입되기 때문에 적합하다.
이러한 우레탄계 중합성 화합물의 1종으로서 사용되는 화합물로서는,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것이 사용된다.
(B3-1) 폴리올;
폴리올은, 1 분자 중에 OH기를 2개 이상 갖고 있는 화합물이며, 예를 들어, 디-, 트리-, 테트라-, 펜타-, 헥사-히드록시 화합물, 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OH기를 함유하는 폴리에스테르(폴리에스테르폴리올), 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OH기를 함유하는 폴리에테르(이하 폴리에테르폴리올이라고 한다), 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OH기를 함유하는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 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OH기를 함유하는 폴리카프로락톤(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 1 분자 중에 2개 이상의 OH기를 함유하는 아크릴계 중합체(폴리아크릴폴리올)가 대표적이다.
이들 화합물을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다음과 같다.
지방족 알코올로서는, 에틸렌글리콜, 디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부틸렌글리콜, 네오펜틸글리콜, 글리세린, 트리메틸올에탄, 트리메틸올프로판, 부탄트리올, 1,2-메틸글루코사이드, 펜타에리트리톨, 디펜타에리트리톨, 트리펜타에리트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트레이톨, 리비톨, 아라비니톨, 크실리톨, 알리톨, 만니톨, 둘시톨, 이디톨, 글리콜, 이노시톨, 헥산트리올, 트리글리세롤, 디글리페롤, 트리에틸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트리스(2-히드록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시클로부탄디올, 시클로펜탄디올, 시클로헥산디올, 시클로헵탄디올, 시클로옥탄디올, 시클로헥산디메탄올, 히드록시프로필시클로헥산올, 트리시클로〔5,2,1,0,2,6〕데칸-디메탄올, 비시클로〔4,3,0〕-노난디올, 디시클로헥산디올, 트리시클로〔5,3,1,1〕도데칸디올, 비시클로〔4,3,0〕노난디메탄올, 트리시클로〔5,3,1,1〕도데칸-디에탄올, 히드록시프로필트리시클로〔5,3,1,1〕도데칸올, 스피로〔3,4〕옥탄디올, 부틸시클로헥산디올, 1,1'-비시클로헥실리덴디올, 시클로헥산트리올, 말티톨, 락티톨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알코올로서는, 디히드록시나프탈렌, 트리히드록시나프탈렌, 테트라히드록시나프탈렌, 디히드록시벤젠, 벤젠트리올, 비페닐테트라올, 피로갈롤, (히드록시나프틸)피로갈롤, 트리히드록시페난트렌, 비스페놀 A, 비스페놀 F, 크실릴렌글리콜, 테트라브롬비스페놀 A를 들 수 있다.
황 함유 폴리올로서는, 비스-〔4-(히드록시에톡시)페닐〕술피드, 비스-〔4-(2-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술피드, 비스-〔4-(2,3-디히드록시프로폭시)페닐〕술피드, 비스-〔4-(4-히드록시시클로헥실옥시)페닐〕술피드, 비스-〔2-메틸-4-(히드록시에톡시)-6-부틸페닐〕술피드를 들 수 있다.
상기 황 함유 폴리올에, 수산기 1개당 평균 3 분자 이하의 에틸렌옥시드 및/또는 프로필렌옥시드가 부가된 화합물로서, 디-(2-히드록시에틸)술피드, 비스(2-히드록시에틸)디술피드, 1,4-디티안-2,5-디올, 비스(2,3-디히드록시프로필)술피드, 테트라키스(4-히드록시-2-티아부틸)메탄, 비스(4-히드록시페닐)술폰, 테트라브로모비스페놀 S, 테트라메틸비스페놀 S, 4,4'-티오비스(6-tert-부틸-3-메틸페놀), 1,3-비스(2-히드록시에틸티오에틸)-시클로헥산을 들 수 있다.
폴리에스테르폴리올로서는, 폴리올과 다염기산의 축합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폴리에테르폴리올로서는, 분자 중에 활성 수소 함유기를 2개 이상 갖는 화합물과 알킬렌옥사이드의 반응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 및 그 변성체를 들 수 있다.
폴리카프로락톤폴리올로서는, ε-카프로락톤의 개환 중합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폴리카르보네이트폴리올로서는, 저분자 폴리올류의 1종류 이상의 포스겐화로부터 얻어지는 화합물, 에틸렌카르보네이트, 디에틸카르보네이트, 디페닐카르보네이트 등을 사용한 에스테르 교환법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폴리아크릴폴리올로서는, 수산기를 함유하는 아크릴산에스테르 혹은 메타크릴산에스테르와 이들 에스테르와 공중합 가능한 모노머의 공중합체에 의해 얻어지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B3-2) 폴리티올;
폴리티올은, 1 분자 중에 SH기를 2개 이상 갖고 있는 화합물이며,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지방족 폴리티올로서는, 메탄디티올, 1,2-에탄디티올, 1,1-프로판디티올, 1,2-프로판디티올, 1,3-프로판디티올, 2,2-프로판디티올, 1,6-헥산디티올, 1,2,3-프로판트리티올, 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메탄, 1,1-시클로헥산디티올, 1,2-시클로헥산디티올, 2,2-디메틸프로판-1,3-디티올, 3,4-디메톡시부탄-1,2-디티올, 2-메틸시클로헥산-2,3-디티올, 비시클로〔2,2,1〕헵타-exo-cis-2,3-디티올, 1,1-비스(머캅토메틸)시클로헥산, 티오말산비스(2-머캅토에틸에스테르), 2,3-디머캅토숙신산(2-머캅토에틸에스테르), 2,3-디머캅토-1-프로판올(2-머캅토아세테이트), 2,3-디머캅토-1-프로판올(3-머캅토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디에틸렌글리콜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1,2-디머캅토프로필메틸에테르, 2,3-디머캅토프로필메틸에테르, 2,2-비스(머캅토메틸)-1,3-프로판디티올, 비스(2-머캅토에틸)에테르, 에틸렌글리콜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에틸렌글리콜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1,4-비스(3-머캅토부티릴옥시)부탄, 1,4-부탄디올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1,4-부탄디올-비스(티오글리콜레이트), 1,6-헥산디올-비스(티오글리콜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스(3-머캅토부티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3-머캅토부티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1,2-비스(2-머캅토에틸티오)-3-머캅토프로판, 디펜타에리트리톨헥사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부티레이트), 1,4-비스(3-머캅토부티릴옥시)부탄,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스(3-머캅토부티레이트), 트리메틸올에탄트리스(3-머캅토부티레이트), 1,2-비스[(2-머캅토에틸)티오]-3-머캅토프로판, 2-머캅토메틸-1,3-프로판디티올, 2-머캅토메틸-1,4-부탄디티올, 2,4,5-트리스(머캅토메틸)-1,3-디티올란, 2,2-비스(머캅토메틸)-1,4-부탄디티올, 4,4-비스(머캅토메틸)-3,5-디티아헵탄-1,7-디티올, 2,3-비스(머캅토메틸)-1,4-부탄디티올, 2,6-비스(머캅토메틸)-3,5-디티아헵탄-1,7-디티올, 4-머캅토메틸-1,8-디머캅토-3,6-디티아옥탄, 2,5-비스머캅토메틸-1,4-디티안, 1,1,3,3-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티오)프로판, 5,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7-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 4,8-디머캅토메틸-1,11-디머캅토-3,6,9-트리티아운데칸4-머캅토메틸-1,8-디머캅토-3,6-디티아옥탄을 들 수 있다.
방향족 폴리티올로서는, 1,2-디머캅토벤젠, 1,3-디머캅토벤젠, 1,4-디머캅토벤젠, 1,2-비스(머캅토메틸)벤젠, 1,3-비스(머캅토메틸)벤젠, 1,4-비스(머캅토메틸)벤젠, 1,2-비스(머캅토에틸)벤젠, 1,3-비스(머캅토에틸)벤젠, 1,4-비스(머캅토에틸)벤젠, 1,2-비스(머캅토메톡시)벤젠, 1,3-비스(머캅토메톡시)벤젠, 1,4-비스(머캅토메톡시)벤젠, 1,2-비스(머캅토에톡시)벤젠, 1,3-비스(머캅토에톡시)벤젠, 1,4-비스(머캅토에톡시)벤젠, 1,2,3-트리머캅토벤젠, 1,2,4-트리머캅토벤젠, 1,3,5-트리머캅토벤젠, 1,2,3-트리스(머캅토메틸)벤젠, 1,2,4-트리스(머캅토메틸)벤젠, 1,3,5-트리스(머캅토메틸)벤젠, 1,2,3-트리스(머캅토에틸)벤젠, 1,2,4-트리스(머캅토에틸)벤젠, 1,3,5-트리스(머캅토에틸)벤젠, 1,2,3-트리스(머캅토메톡시)벤젠, 1,2,4-트리스(머캅토메톡시)벤젠, 1,3,5-트리스(머캅토메톡시)벤젠, 1,2,3-트리스(머캅토에톡시)벤젠, 1,2,4-트리스(머캅토에톡시)벤젠, 1,3,5-트리스(머캅토에톡시)벤젠, 1,2,3,4-테트라머캅토벤젠, 1,2,3,5-테트라머캅토벤젠, 1,2,4,5-테트라머캅토벤젠, 1,2,3,4-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벤젠, 1,2,3,5-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벤젠, 1,2,4,5-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벤젠, 1,2,3,4-테트라키스(머캅토에틸)벤젠, 1,2,3,5-테트라키스(머캅토에틸)벤젠, 1,2,4,5-테트라키스(머캅토에틸)벤젠, 1,2,3,4-테트라키스(머캅토에틸)벤젠, 1,2,3,5-테트라키스(머캅토메톡시)벤젠, 1,2,4,5-테트라키스(머캅토메톡시)벤젠, 1,2,3,4-테트라키스(머캅토에톡시)벤젠, 1,2,3,5-테트라키스(머캅토에톡시)벤젠, 1,2,4,5-테트라키스(머캅토에톡시)벤젠, 2,2'-디머캅토비페닐, 4,4'-디머캅토비페닐, 4,4'-디머캅토비벤질, 2,5-톨루엔디티올, 3,4-톨루엔디티올, 1,4-나프탈렌디티올, 1,5-나프탈렌디티올, 2,6-나프탈렌디티올, 2,7-나프탈렌디티올, 2,4-디메틸벤젠-1,3-디티올, 4,5-디메틸벤젠-1,3-디티올, 9,10-안트라센디메탄티올, 1,3-디(p-메톡시페닐)프로판-2,2-디티올, 1,3-디페닐프로판-2,2-디티올, 페닐메탄-1,1-디티올, 2,4-디(p-머캅토페닐)펜탄, 1,4-비스(머캅토프로필티오메틸)벤젠을 들 수 있다.
할로겐 치환 방향족 폴리티올로서는, 2,5-디클로로벤젠-1,3-디티올, 1,3-디(p-클로로페닐)프로판-2,2-디티올, 3,4,5-트리브롬-1,2-디머캅토벤젠, 2,3,4,6-테트라클로르-1,5-비스(머캅토메틸)벤젠을 들 수 있다.
복소환 함유 폴리티올로서는, 2-메틸아미노-4,6-디티올-sym-트리아진, 2-에틸아미노-4,6-디티올-sym-트리아진, 2-아미노-4,6-디티올-sym-트리아진, 2-모르폴리노-4,6-디티올-sym-트리아진, 2-시클로헥실아미노-4,6-디티올-sym-트리아진, 2-메톡시-4,6-디티올-sym-트리아진, 2-페녹시-4,6-디티올-sym-트리아진, 2-디오벤젠옥시-4,6-디티올-sym-트리아진, 2-티오부틸옥시-4,6-디티올-sym-트리아진, 1,3,5-트리스(3-머캅토부티릴옥시에틸)-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머캅토기 이외에도 황 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방향족 폴리티올로서는, 1,2-비스(머캅토메틸티오)벤젠, 1,3-비스(머캅토메틸티오)벤젠, 1,4-비스(머캅토메틸티오)벤젠, 1,2-비스(머캅토에틸티오)벤젠, 1,3-비스(머캅토에틸티오)벤젠, 1,4-비스(머캅토에틸티오)벤젠, 1,2,3-트리스(머캅토메틸티오)벤젠, 1,2,4-트리스(머캅토메틸티오)벤젠, 1,3,5-트리스(머캅토메틸티오)벤젠, 1,2,3-트리스(머캅토에틸티오)벤젠, 1,2,4-트리스(머캅토에틸티오)벤젠, 1,3,5-트리스(머캅토에틸티오)벤젠, 1,2,3,4-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티오)벤젠, 1,2,3,5-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티오)벤젠, 1,2,4,5-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티오)벤젠, 1,2,3,4-테트라키스(머캅토에틸티오)벤젠, 1,2,3,5-테트라키스(머캅토에틸티오)벤젠, 1,2,4,5-테트라키스(머캅토에틸티오)벤젠, 및 상기 폴리티올의 핵 알킬화물을 들 수 있다.
머캅토기 이외에도 황 원자를 함유하고 있는 지방족 폴리티올로서는, 비스(머캅토메틸)술피드, 비스(머캅토에틸)술피드, 비스(머캅토프로필)술피드, 비스(머캅토메틸티오)메탄, 비스(2-머캅토에틸티오)메탄, 비스(3-머캅토프로필)메탄, 1,2-비스(머캅토메틸티오)에탄, 1,2-(2-머캅토에틸티오)에탄, 1,2-(3-머캅토프로필)에탄, 1,3-비스(머캅토메틸티오)프로판, 1,3-비스(2-머캅토에틸티오)프로판, 1,3-비스(3-머캅토프로필티오)프로판, 1,2-비스(2-머캅토에틸티오)-3-머캅토프로판, 2-머캅토에틸티오-1,3-프로판디티올, 1,2,3-트리스(머캅토메틸티오)프로판, 1,2,3-트리스(2-머캅토에틸티오)프로판, 1,2,3-트리스(3-머캅토프로필티오)프로판, 테트라키스(머캅토메틸티오메틸)메탄, 테트라키스(2-머캅토에틸티오메틸)메탄, 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필티오메틸)메탄, 비스(2,3-디머캅토프로필)술피드, 2,5-디머캅토-1,4-디티안, 비스(머캅토메틸)디술피드, 비스(머캅토에틸)디술피드, 비스(머캅토프로필)디술피드를 들 수 있다.
상기 화합물의 티오글리콜산 혹은 머캅토프로피온산의 에스테르로서는, 히드록시메틸술피드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히드록시메틸술피드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에틸술피드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히드록시에틸술피드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프로필술피드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히드록시프로필술피드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메틸디술피드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히드록시메틸디술피드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에틸디술피드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히드록시에틸디술피드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프로필디술피드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히드록시프로필디술피드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2-머캅토에틸에테르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2-머캅토에틸에테르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1,4-디티안-2,5-디올비스(2-머캅토아세테이트), 1,4-디티안-2,5-디올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2,5-비스(머캅토메틸)-1,4-디티안, 2,5-비스(2-머캅토에틸)-1,4-디티안, 2,5-비스(3-머캅토프로필)-1,4-디티안, 2-(2-머캅토에틸)-5-머캅토메틸-1,4-디티안, 2-(2-머캅토에틸)-5-(3-머캅토프로필)-1,4-디티안, 2-머캅토메틸-5-(3-머캅토프로필)-1,4-디티안, 티오글리콜산비스(2-머캅토에틸에스테르), 티오디프로피온산비스(2-머캅토에틸에스테르), 4,4'-티오디부틸산비스(2-머캅토에틸에스테르), 디티오디글리콜산비스(2-머캅토에틸에스테르), 디티오디프로피온산비스(2-머캅토에틸에스테르), 4,4'-디티오디부틸산비스(2-머캅토에틸에스테르), 티오디글리콜산비스(2,3-디머캅토프로필에스테르), 티오디프로피온산비스(2,3-디머캅토프로필에스테르), 디티오디글리콜산비스(2,3-디머캅토프로필에스테르), 디티오디프로피온산(2,3-디머캅토프로필에스테르)을 들 수 있다.
머캅토기 이외에 황 원자를 함유하는 복소환 함유 폴리티올로서는, 3,4-티오펜디티올, 테트라히드로티오펜-2,5-디머캅토메틸, 2,5-디머캅토-1,3,4-티아디아졸을 들 수 있다.
이소시아누레이트기 함유 폴리티올로서는, 1,2-비스[(2-머캅토에틸)티오]-3-머캅토프로판, 트리스-{(3-머캅토프로피오닐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 1,3,5-트리스(3-머캅토부티릴옥시에틸)-1,3,5-트리아진-2,4,6(1H,3H,5H)-트리온, 트리스-[(3-머캅토프로피오닐옥시)-에틸]-이소시아누레이트를 들 수 있다.
(B3-3) 폴리아민;
폴리아민은, 1 분자 중에 NH2기를 2개 이상 갖고 있는 화합물이며, 그 구체예로서는,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에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디아민, 이소포론디아민, 노나메틸렌디아민, 운데칸메틸렌디아민, 도데카메틸렌디아민, 메타크실렌디아민, 1,3-프로판디아민, 푸트레신, 2-(2-아미노에틸아미노)에탄올, 디에틸렌트리아민, p-페닐렌디아민, m-페닐렌디아민, 멜라민, 1,3,5-벤젠트리아민을 들 수 있다.
(B3-4) 폴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이소시아네이트는, 1 분자 중에 NCO기를 2개 이상 갖고 있는 화합물이며, 그 구체예로서는, 이하의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에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옥타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노나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펜탄디이소시아네이트, 2,2,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데카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부텐디이소시아네이트, 1,3-부타디엔-1,4-디이소시아네이트, 2,4,4-트리메틸헥사메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1,6,11-운데카트리이소시아네이트, 1,3,6-헥사메틸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1,8-디이소시아네이트4-이소시아네이토메틸옥탄, 2,5,7-트리메틸-1,8-디이소시아네이트-5-이소시아네이토메틸옥탄, 비스(이소시아네이토에틸)카르보네이트, 비스(이소시아네이토에틸)에테르, 1,4-부틸렌글리콜디프로필에테르-ω,ω'-디이소시아네이트, 리신디이소시아네이트메틸에스테르, 리신트리이소시아네이트, 2-이소시아네이토에틸-2,6-디이소시아네이트헥사노에이트, 2-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2,6-디이소시아네이트헥사노에이트를 들 수 있다.
지환족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이소포론디이소시아네이트, 노르보르난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 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시클로헥산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디메틸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디시클로헥실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4-이소시아네이트n-부틸리덴)펜타에리트리톨, 다이머산디이소시아네이트, 2-이소시아네이토메틸-3-(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5-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3-(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6-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2-(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5-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2-(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6-이소시아네이토메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3-(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6-(2-이소시아네이토에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3-(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6-(2-이소시아네이토에틸)-비시클로〔2,1,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2-(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5-(2-이소시아네이토에틸)-비시클로〔2,2,1〕-헵탄, 2-이소시아네이토메틸-2-(3-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6-(2-이소시아네이토에틸)-비시클로〔2,2,1〕-헵탄, 1,3,5-트리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시클로헥산을 들 수 있다.
방향족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네이토에틸)벤젠, 비스(이소시아네이토프로필)벤젠, α,α,α',α'-테트라메틸크실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네이토부틸)벤젠,,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나프탈렌, 비스(이소시아네이토메틸)디페닐에테르, 비스(이소시아네이토에틸)프탈레이트, 메시틸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2,6-디(이소시아네이토메틸)푸란, 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릴렌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이소프로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메틸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에틸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디이소프로필페닐렌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메틸벤젠트리이소시아네이트, 벤젠트리이소시아네이트, 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메틸나프탈렌디이소시아네이트, 비페닐디이소시아네이트, 톨리딘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페닐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비벤질-4,4'-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네이토페닐)에틸렌, 3,3'-디메톡시비페닐-4,4'-디이소시아네이트, 트리페닐메탄트리이소시아네이트, 폴리메릭 MDI, 나프탈렌트리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2,4,4'-트리이소시아네이트, 3-메틸디페닐메탄-4,6,4'-트리이소시아네이트, 4-메틸-디페닐메탄-3,5,2',4',6'-펜타이소시아네이트, 페닐이소시아네이트메틸이소시아네이트, 페닐이소시아네이트에틸이소시아네이트, 테트라히드로나프틸렌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벤젠디이소시아네이트, 헥사히드로디페닐메탄-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렌글리콜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1,3-프로필렌글리콜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벤조페논디이소시아네이트, 디에틸렌글리콜디페닐에테르디이소시아네이트, 디벤조푸란디이소시아네이트, 카르바졸디이소시아네이트, 에틸카르바졸디이소시아네이트, 디클로로카르바졸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황 함유 지방족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디오디에틸디이소시아네이트, 디오디프로필디이소시아네이트, 디오디헥실디이소시아네이트, 디메틸술폰디이소시아네이트, 디티오디메틸디이소시아네이트, 디티오디에틸디이소시아네이트, 디티오디프로필디이소시아네이트, 디시클로헥실술피드-4,4'-디이소시아네이트, 1-이소시아네이토메틸티아-2,3-비스(2-이소아나토에틸티아)프로판, 1,2-비스(2-이소시아나토에틸티오)에탄, 1,1,2,2-테트라키스(이소시아나토메틸티오)에탄, 2,2,5,5-테트라키스(이소시아나토메틸티오)-1,4-디티안, 2,4-디티아펜탄-1,3-디이소시아네이트, 2,4,6-트리티아헵탄-3,5-디이소시아네이트, 2,4,7,9-테트라티아펜탄-5,6-디이소시아네이트, 비스(이소시아나토메틸티오)페닐메탄을 들 수 있다.
지방족 술피드계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비스[2-(이소시아나토메틸티오)에틸]술피드를 들 수 있다.
방향족 술피드계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디페닐술피드-2,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술피드-4,4'-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4,4'-디이소시아네이트디벤질티오에테르, 비스(4-이소시아네이토메틸벤젠)술피드, 4,4'-메톡시벤젠티오에틸렌글리콜-3,3'-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방향족 디술피드계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디페닐디술피드-4,4'-디이소시아네이트, 2,2'-디메틸디페닐디술피드-5,5'-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디술피드-5,5'-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틸디페닐디술피드-6,6'-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메틸디페닐디술피드-5,5'-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디페닐디술피드-4,4'-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메톡시디페닐디술피드-3,3'-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방향족 술폰계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디페닐술폰-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술폰-3,3'-디이소시아네이트, 벤질리덴 술폰-4,4'-디이소시아네이트, 디페닐메탄술폰-4,4'-디이소시아네이트, 4-메틸디페닐메탄술폰-2,4'-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메톡시디페닐술폰-3,3'-디이소시아네이트, 3,3'-디메톡시-4,4'-디이소시아네이트디벤질술폰, 4,4'-디메틸디페닐술폰-3,3'-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tert-부틸디페닐술폰-3,3'-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메톡시벤젠에틸렌디술폰-3,3'-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클로로디페닐술폰-3,3'-디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술폰산에스테르계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4-메틸-3-이소시아네이트벤젠술포닐-4'-이소시아네이트페놀에스테르, 4-메톡시-3-이소시아네이트벤젠술포닐-4'-이소시아네이트페놀에스테르를 들 수 있다.
방향족 술폰산아미드계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4-메틸-3-이소시아네이트벤젠술포닐아닐리드-3'-메틸-4'-이소시아네이트, 디벤젠술포닐-에틸렌디아민-4,4'-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메톡시벤젠술포닐-에틸렌디아민-3,3'-디이소시아네이트, 4-메틸-3-이소시아네이트벤젠술포닐아닐리드-4-메틸-3'-이소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황 함유 복소환 이소시아네이트로서는, 티오펜-2,5-디이소시아네이트, 티오펜-2,5-디이소시아네이트메틸, 1,4-디티안-2,5-디이소시아네이트, 1,4-디티안-2,5-디이소시아네이트메틸, 1,3-디티올란-4,5-디이소시아네이트, 1,3-디티올란-4,5-디이소시아네이트메틸, 1,3-디티올란-2-메틸-4,5-디이소시아네이트메틸, 1,3-디티올란-2,2-디이소시아네이트에틸, 테트라히드로티오펜-2,5-디이소시아네이트테트라히드로티오펜-2,5-디이소시아네이트메틸, 테트라히드로티오펜-2,5-디이소시아네이트에틸, 테트라히드로티오펜-3,4-디이소시아네이트메틸을 들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이소시아네이트의 할로겐 치환체, 알킬 치환체, 알콕시 치환체, 니트로 치환체나, 다가 알코올과의 프리폴리머형 변성체, 카르보디이미드 변성체, 우레아 변성체, 뷰렛 변성체, 이량체화 혹은 삼량체화 반응 생성물 등도 사용할 수 있다.
(B3-5)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
폴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는, 1 분자 중에 NCS기를 2개 이상 갖고 있는 화합물이며, 그 구체예로서는,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지방족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서는, 1,2-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에탄, 1,3-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프로판, 1,4-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부탄, 1,6-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헥산, p-페닐렌디이소프로필리덴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지환족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서는, 시클로헥실이소티오시아네이트, 시클로헥산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방향족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서는, 페닐이소티오시아네이트, 1,2-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벤젠, 1,3-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벤젠, 1,4-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벤젠, 2,4-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톨루엔, 2,5-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m-크실렌디이소시아네이트, 4,4'-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1,1'-비페닐, 1,1'-메틸렌비스(4-이소티오시아네이트벤젠), 1,1'-메틸렌비스(4-이소티오시아네이트2-메틸벤젠), 1,1'-메틸렌비스(4-이소티오시아네이트3-메틸벤젠), 1,1'-(1,2-에탄디일)비스(4-이소티오시아네이트벤젠), 4,4'-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벤조페논, 4,4'-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3,3'-디메틸벤조페논, 벤즈아닐리드-3,4'-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디페닐에테르-4,4'-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디페닐아민-4,4'-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복소환 함유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서는, 2,4,6-트리이소티오시아네이트1,3,5-트리아진을 들 수 있다.
카르보닐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서는, 헥산디오일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노난디오일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카르보닉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1,3-벤젠디카르보닐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1,4-벤젠디카르보닐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2,2'-비피리딘)-4,4'-디카르보닐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또한, 이소티오시아네이트기의 황 원자의 이외에 적어도 하나의 황 원자를 갖는 다관능의 이소티오시아네이트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다관능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서는, 이하의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황 함유 지방족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서는, 티오비스(3-이소티오시아네이트프로판), 티오비스(2-이소티오시아네이트에탄), 디티오비스(2-이소티오시아네이트에탄)을 들 수 있다.
황 함유 방향족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서는, 1-이소티오시아네이트4-{(2-이소티오시아네이트)술포닐}벤젠, 티오비스(4-이소티오시아네이트벤젠), 술포닐비스(4-이소티오시아네이트벤젠), 술피닐비스(4-이소티오시아네이트벤젠), 디티오비스(4-이소티오시아네이트벤젠), 4-이소티오시아네이트1-{(4-이소티오시아네이트페닐)술포닐}-2-메톡시-벤젠, 4-메틸-3-이소티오시아네이트벤젠술포닐-4'-이소티오시아네이트페닐에스테르, 4-메틸-3-이소티오시아네이트벤젠술포닐아닐리드-3'-메틸-4'-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황 함유 복소환 이소티오시아네이트로서는, 티오펜-2,5-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 1,4-디티안-2,5-디이소티오시아네이트를 들 수 있다.
상술한 우레탄계 중합성 화합물 (B3)은 각각, 중합에 의해 우레탄 결합이나 우레아 결합을 형성하도록 조합하여 사용된다.
(B4) 기타의 중합성 화합물;
본 발명에 있어서는, 상술한 중합성 화합물 (B1) 내지 (B3) 이외에, 굴절률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에피술피드계 중합성 화합물 (B4-1)이나 티에타닐계 중합성 화합물 (B4-2)를 사용할 수 있고, 또한 포토크로믹성의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단관능 중합성 화합물 (B4-3)을 사용할 수도 있다(단, 상기에 예시한, 중합성기를 하나 갖는 중합성 화합물은 제외한다.). 또한, 분자 중에 다른 타입의 복수종의 중합성기를 갖는 복합형 중합성 화합물 (B4-4)도 사용할 수 있다.
(B4-1) 에피술피드계 중합성 화합물;
이 중합성 모노머는,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에피술피드기를 갖고 있는 화합물이며, 특히, 포토크로믹 화합물 (A)의 측쇄에, 중합성 관능기로서 SH기가 도입되어 있는 경우에 적합하다. 구체적으로는, 이하의 화합물을 예시할 수 있다. 비스(1,2-에피티오에틸)술피드, 비스(1,2-에피티오에틸)디술피드,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술피드,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티오)메탄,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디술피드,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디티오)메탄, 비스(2,3-에피티오프로필디티오)에탄, 비스(6,7-에피티오-3,4-디티아헵틸)술피드, 비스(6,7-에피티오-3,4-디티아헵틸)디술피드, 1,4-디티안-2,5-비스(2,3-에피티오프로필디티오메틸), 1,3-비스(2,3-에피티오프로필디티오메틸)벤젠, 1,6-비스(2,3-에피티오프로필디티오메틸)-2-(2,3-에피티오프로필디티오에틸티오)-4-티아헥산, 1,2,3-트리스(2,3-에피티오프로필디티오)프로판, 1,1,1,1-테트라키스(2,3-에피티오프로필디티오메틸)메탄, 1,3-비스(2,3-에피티오프로필디티오)-2-티아프로판, 1,4-비스(2,3-에피티오프로필디티오)-2,3-디티아부탄, 1,1,1-트리스(2,3-에피티오프로필디티오)메탄, 1,1,1-트리스(2,3-에피티오프로필디티오메틸티오)메탄, 1,1,2,2-테트라키스(2,3-에피티오프로필디티오)에탄, 1,1,2,2-테트라키스(2,3-에피티오프로필디티오메틸티오)에탄, 1,1,3,3-테트라키스(2,3-에피티오프로필디티오)프로판, 1,1,3,3-테트라키스(2,3-에피티오프로필디티오메틸티오)프로판, 2-[1,1-비스(2,3-에피티오프로필디티오)메틸]-1,3-디티에탄, 2-[1,1-비스(2,3-에피티오프로필디티오메틸티오)메틸]-1,3-디티에탄을 들 수 있다.
(B4-2) 티에타닐계 중합성 화합물;
이 중합성 화합물은, 포토크로믹 화합물 (A)의 측쇄에 중합성 관능기로서 SH기가 도입되어 있는 경우에 효과적이며,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티에타닐기를 갖는 티에탄 화합물이다. 이러한 티에타닐계 중합성 화합물의 일부는, 복수의 티에타닐기와 함께 에피술피드기를 갖는 것이며, 이것은, 상기 에피술피드계 중합성 화합물의 항에 예시되어 있다. 기타의 티에타닐계 중합성 화합물에는, 분자 내에 금속 원자를 갖고 있는 금속 함유 티에탄 화합물과, 금속을 포함하고 있지 않은 비금속계 티에탄 화합물이 있다.
비금속계 티에탄 화합물로서는, 비스(3-티에타닐)디술피드, 비스(3-티에타닐)술피드, 비스(3-티에타닐)트리술피드, 비스(3-티에타닐)테트라술피드, 1,4-비스(3-티에타닐)-1,3,4-트리티아부탄, 1,5-비스(3-티에타닐)-1,2,4,5-테트라티아펜탄, 1,6-비스(3-티에타닐)-1,3,4,6,-테트라티아헥산, 1,6-비스(3-티에타닐)-1,3,5,6,-테트라티아헥산, 1,7-비스(3-티에타닐)-1,2,4,5,7-펜타티아헵탄, 1,7-비스(3-티에타닐티오)-1,2,4,6,7-펜타티아헵탄, 1,1-비스(3-티에타닐티오)메탄, 1,2-비스(3-티에타닐티오)에탄, 1,2,3-트리스(3-티에타닐티오)프로판, 1,8-비스(3-티에타닐티오)-4-(3-디에타닐티오메틸)-3,6-디티아옥탄, 1,11-비스(3-티에타닐티오)-4,8-비스(3-디에타닐티오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 1,11-비스(3-티에타닐티오)-4,7-비스(3-디에타닐티오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 1,11-비스(3-티에타닐티오)-5,7-비스(3-디에타닐티오메틸)-3,6,9-트리티아운데칸, 2,5-비스(3-디에타닐티오메틸)-1,4-디티안, 2,5-비스[[2-(3-티에타닐티오)에틸]티오메틸]-1,4-디티안, 2,5-비스(3-디에타닐티오메틸)-2,5-디메틸-1,4-디티안, 비스티에타닐술피드, 비스(티에타닐티오)메탄3-[<(티에타닐티오)메틸티오>메틸티오]티에탄, 비스티에타닐디술피드, 비스티에타닐트리술피드, 비스티에타닐테트라술피드, 비스티에타닐펜타술피드, 1,4-비스(3-티에타닐디티오)-2,3-디티아부탄, 1,1,1-트리스(3-티에타닐디티오)메탄, 1,1,1-트리스(3-디에타닐디티오메틸티오)메탄, 1,1,2,2-테트라키스(3-티에타닐디티오)에탄, 1,1,2,2-테트라키스(3-디에타닐디티오메틸티오)에탄을 들 수 있다.
금속 함유 티에탄 화합물로서는, 이 티에탄 화합물은, 분자 내에, 금속 원자로서, Sn 원자, Si 원자, Ge 원자, Pb 원자 등의 14족의 원소; Zr 원자, Ti 원자 등의 4족의 원소; Al 원자 등의 13족의 원소; 또는 Zn 원자 등의 12족의 원소;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이며, 예를 들어, 특히 적합하게 사용되는 것은, 이하의 화합물이다.
알킬티오(티에타닐티오)주석으로서는, 메틸티오트리스(티에타닐티오)주석, 에틸티오트리스(티에타닐티오)주석, 프로필티오트리스(티에타닐티오)주석, 이소프로필티오트리스(티에타닐티오)주석을 들 수 있다.
비스(알킬티오)비스(티에타닐티오)주석으로서는, 비스(메틸티오)비스(티에타닐티오)주석, 비스(에틸티오)비스(티에타닐티오)주석, 비스(프로필티오)비스(티에타닐티오)주석, 비스(이소프로필티오)비스(티에타닐티오)주석을 들 수 있다.
알킬티오(알킬티오)비스(티에타닐티오)주석으로서는, 에틸티오(메틸티오)비스(티에타닐티오)주석, 메틸티오(프로필티오)비스(티에타닐티오)주석, 이소프로필티오(메틸티오)비스(티에타닐티오)주석, 에틸티오(프로필티오)비스(티에타닐티오)주석, 에틸티오(이소프로필티오)비스(티에타닐티오)주석, 이소프로필티오(프로필티오)비스(티에타닐티오)주석을 들 수 있다.
비스(티에타닐티오) 환상 디티오주석 화합물로서는, 비스(티에타닐티오)디티아스탄네탄, 비스(티에타닐티오)디티아스탄노란, 비스(티에타닐티오)디티아스탄니난, 비스(티에타닐티오)트리티아스탄노칸을 들 수 있다.
알킬(티에타닐티오)주석 화합물로서는, 메틸트리스(티에타닐티오)주석, 디메틸비스(티에타닐티오)주석, 부틸트리스(티에타닐티오)주석, 테트라키스(티에타닐티오)주석을 들 수 있다.
주석 이외의 금속을 포함하는 것으로서는, 테트라키스(티에타닐티오)게르마늄, 트리스(티에타닐티오)비스무트를 들 수 있다.
(B4-3) 단관능 중합성 화합물;
이 중합성 화합물은, 분자 중에 하나의 OH기, 또는 SH기를 갖는 화합물이며, 전술한 폴리올과 병용되어, 분자량이나 가교도를 조정함으로써, 포토크로믹성을 높이기 위하여 사용된다. 이러한 단관능 중합성 화합물의 예로서,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올레일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메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2-에틸헥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트리데실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세틸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스테아릴에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모노-4-옥틸페닐에테르를 들 수 있다.
(B4-4) 복합형 중합성 화합물;
이 중합성 화합물은, 분자 중에 다른 타입의 복수종의 중합성기를 갖는 것이며, 이러한 중합성 화합물의 사용에 의해, 각종 물성 조정을 도모할 수 있다.
이러한 복합형 중합성 화합물의 예로서, 이하의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OH형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2-히드록시메타크릴레이트, 2-히드록시아크릴레이트, 아크릴산2-히드록시프로필, 히드록시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이소시아네이트형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2-이소시아나토에틸메타크릴레이트, 2-이소시아나토에틸아크릴레이트를 들 수 있다.
OH/SH형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2-머캅토에탄올, 3-머캅토-1,2-프로판디올, 글루세린디(머캅토아세테이트), 1-히드록시-4-머캅토시클로헥산, 2,4-디머캅토페놀, 2-머캅토하이드로퀴논, 4-머캅토페놀, 1,3-디머캅토-2-프로판올, 2,3-디머캅토-1-프로판올, 1,2-디머캅토-1,3-부탄디올, 펜타에리트리톨트리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모노(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비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스(티오글리콜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펜타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히드록시메틸-트리스(머캅토에틸티오메틸)메탄, 1-히드록시에틸티오-3-머캅토에틸티오벤젠, 4-히드록시-4'-머캅토디페닐술폰, 2-(2-머캅토에틸티오)에탄올, 디히드록시에틸술피드모노(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디머캅토에탄모노(살리실레이트), 히드록시에틸티오메틸트리스(머캅토에틸티오)메탄을 들 수 있다.
상술한 중합성 화합물 (B1) 내지 (B4)에 있어서, 적합하게 사용되는 중합성 화합물은, 이겨 넣기법에서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1), 및 우레탄계 중합성 화합물 (B3)이며, 적층법에서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1)이며, 바인더법에서는 우레탄계 중합성 화합물 (B3)이다.
(C) 중합 경화 촉진제;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조성물에 있어서는, 상술한 중합성 화합물 (B)나 포토크로믹 화합물 (A)의 측쇄에 도입된 중합성 관능기의 종류에 따라, 그 중합 경화를 빠르게 촉진시키기 위하여 각종 중합 경화 촉진제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1)을 사용한 경우, 및 포토크로믹 화합물 (A)의 측쇄에 라디칼 중합성의 관능기가 도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중합 개시제 (C1)이 중합 경화 촉진제로서 사용된다.
또한, 에폭시계 중합성 화합물 (B2), 및 에피술피드계 중합성 화합물 (B4-1), 티에타닐계 중합성 화합물 (B4-2)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 및 포토크로믹 화합물 (A)의 측쇄에 중합성 관능기로서 에폭시기, 에피술피드기, 티에타닐기가 도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에폭시 경화제 (C2-1), 및 에폭시기를 개환 중합시키기 위한 양이온 중합 촉매 (C2-2)가 중합 경화 촉진제로서 사용된다.
또한, 우레탄계 중합성 화합물 (B3)이나 기타의 중합성 화합물 (B4)가 사용되고 있는 경우, 및 포토크로믹 화합물 (A)의 측쇄에 중합성 관능기로서 OH기, SH기, NH2기, NCO기 또는 NCS기가 도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우레탄용 반응 촉매 (C3-1), 축합제 (C3-2)가 중합 경화 촉진제로서 사용된다.
(C1) 중합 개시제
중합 개시제에는, 열 중합 개시제와 광중합 개시제가 있고, 그 구체예는 이하와 같다.
열 중합 개시제로서는, 디아실퍼옥사이드로서, 벤조일퍼옥사이드, p-클로로벤조일퍼옥사이드, 데카노일퍼옥사이드, 라우로일퍼옥사이드, 아세틸퍼옥사이드를 들 수 있다.
퍼옥시에스테르로서는, t-부틸퍼옥시-2-에틸헥사네이트, t-부틸퍼옥시네오데카네이트, 쿠밀퍼옥시네오데카네이트, t-부틸퍼옥시벤조에이트를 들 수 있다.
퍼카르보네이트로서는, 디이소프로필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 디-sec-부틸퍼옥시디카르보네이트를 들 수 있다.
아조 화합물로서는, 아조비스이소부티로니트릴, 2,2'-아조비스(2,4-디메틸발레로니트릴)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아세토페논계 화합물로서, 1-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 1-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1-(4-이소프로필페닐)-2-히드록시-2-메틸프로판-1-온을 들 수 있다.
α-디카르보닐계 화합물로서는, 1,2-디페닐에탄디온, 메틸페닐글리콕실레이트를 들 수 있다.
아실포스핀옥시드계 화합물로서는, 2,6-디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산메틸에스테르, 2,6-디클로로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2,6-디메톡시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시드, 페닐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포스핀옥시드를 들 수 있다.
또한, 광중합 개시제를 사용하는 경우에는, 3급 아민 등의 공지된 중합 경화 촉진 보조제를 병용할 수도 있다.
(C2-1) 에폭시 경화제
아민 화합물 및 그의 염으로서, 2-메틸이미다졸, 2-에틸-4-메틸이미다졸, 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센, 트리메틸아민, 벤질디메틸아민, 트리에틸아민, 2,4,6-트리스(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 2-(디메틸아미노메틸)페놀을 들 수 있다.
4급 암모늄염으로서는, 테트라메틸암모늄클로라이드, 벤질트리메틸암모늄브로마이드, 테트라부틸암모늄브로마이드를 들 수 있다.
유기 포스핀 화합물로서는, 테트라-n-부틸포스포늄벤조트리아졸레이트, 테트라-n-부틸포스포늄-0,0-디에틸포스포로디티오에이트를 들 수 있다.
금속 카르복실산염으로서는, 크롬(III)트리카르복실레이트, 옥틸산주석을 들 수 있다.
아세틸아세톤 킬레이트 화합물로서는, 크롬아세틸아세토네이트를 들 수 있다.
(C2-2) 양이온 중합 촉매
루이스산계 촉매로서는, BF3·아민 착체, PF5, BF3, AsF5, SbF5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성 양이온 중합 촉매로서, 포스포늄염이나 4급 암모늄염, 술포늄염, 벤질암모늄염, 벤질피리디늄염, 벤질술포늄염, 히드라지늄염, 카르복실산에스테르, 술폰산에스테르, 아민이미드를 들 수 있다.
자외 경화성 양이온 중합 촉매로서, 디아릴요오도늄헥사플루오로포스페이트, 헥사플루오로안티몬산비스(도데실페닐)요오도늄을 들 수 있다.
(C3-1) 우레탄용 반응 촉매
이 반응 촉매는, 폴리이소(티아)시아네이트와, 폴리올 또는 폴리티올의 반응에 의한 폴리(티오)우레탄 결합 생성에 있어서 사용된다.
이 예로서는, 이하의 것을 예시할 수 있다. 트리에틸렌디아민, 헥사메틸렌테트라민, N,N-디메틸옥틸아민, N,N,N',N'-테트라메틸-1,6-디아미노헥산, 4,4'-트리메틸렌비스(1-메틸피페리딘), 1,8-디아자비시클로-(5,4,0)-7-운데센,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 디메틸주석비스(이소옥틸티오글리콜레이트), 디부틸주석디클로라이드, 디부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부틸주석말레에이트, 디부틸주석말레에이트 폴리머, 디부틸주석디리시놀레에이트, 디부틸주석비스(도데실머캅티드), 디부틸주석비스(이소옥틸티오글리콜레이트), 디옥틸주석디클로라이드, 디옥틸주석말레에이트, 디옥틸주석말레에이트 폴리머, 디옥틸주석비스(부틸말레에이트), 디옥틸주석디라우레이트, 디옥틸주석디리시놀레에이트, 디옥틸주석디올레에이트, 디옥틸주석디(6-히드록시)카프로에이트, 디옥틸주석비스(이소옥틸티오글리콜레이트), 디도데실주석디리시놀레에이트를 들 수 있다. 기타, 각종 금속염, 예를 들어, 올레산구리, 아세틸아세톤산구리, 아세틸아세톤산철, 나프텐산철, 락트산철, 시트르산철, 글루콘산철, 옥탄산칼륨, 티타늄산2-에틸헥실 등을 들 수 있다.
(C3-2) 축합제
무기산으로서는, 염화수소, 브롬화수소, 황산이나 인산 등을 들 수 있다.
유기산으로서는, p-톨루엔술폰산, 캄포술폰산 등을 들 수 있다.
산성 이온 교환 수지로서는, 스티렌-디비닐벤젠의 공중합체에, 술폰산기를 도입한 것 등을 들 수 있다.
카르보디이미드로서는, 디시클로헥실카르보디이미드, 1-에틸-3-(3-디메틸아미노피롤릴)-카르보디이미드를 들 수 있다.
(중합 경화 촉진제 (C)의 배합 비율)
상술한 각종 중합 경화 촉진제 (C)는 각각, 1종 단독으로도 되고, 2종 이상을 병용할 수도 있지만, 그 사용량은, 소위 촉매량이면 되고, 예를 들어, 중합성 화합물 (B) 100질량부당, 0.001 내지 10질량부, 특히 0.01 내지 5질량부의 범위 소량이면 된다.
경화성 조성물에 있어서의 기타의 배합 성분;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그 자체 공지된 각종 배합제, 예를 들어, 이형제, 자외선 흡수제, 적외선 흡수제, 자외선 안정제, 산화 방지제, 착색 방지제, 대전 방지제, 형광 염료, 염료, 안료, 향료 등의 각종 안정제, 첨가제, 용제, 레벨링제, 나아가, t―도데실머캅탄 등의 티올류를 중합 조정제로서, 필요에 따라 배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자외선 안정제를 사용하면 포토크로믹 부위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적합하다. 이러한 자외선 안정제로서는,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 힌더드 페놀 산화 방지제, 황계 산화 방지제 등이 알려져 있다. 특히 적합한 자외선 안정제는, 이하와 같다. 비스(1,2,2,6,6-펜타메틸-4-피페리딜)세바케이트, 아사히 덴까 고교(주)제 아데카스탭 LA-52, LA-57, LA-62, LA-63, LA-67, LA-77, LA-82, LA-87, 2,6-디-tert-부틸-4-메틸-페놀, 에틸렌비스(옥시에틸렌)비스[3-(5-tert-부틸-4-히드록시-m-톨릴)프로피오네이트], 시바·스페셜리티·케미컬즈사제의 IRGANOX 1010, 1035, 1075, 1098, 1135, 1141, 1222, 1330, 1425, 1520, 259, 3114, 3790, 5057, 565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자외선 안정제의 사용량은,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한 특별히 제한되는 것은 아니지만, 통상, 포토크로믹 화합물 100질량부당, 0.001 내지 10질량부, 특히 0.01 내지 1질량부의 범위이다. 특히 힌더드 아민 광안정제를 사용하는 경우, 포토크로믹 부위의 종류에 따라 내구성의 향상 효과에 차가 있는 결과, 조정된 발색 색조의 색 편차가 발생하지 않도록 하기 위해서, 포토크로믹 부위 1몰당, 0.5 내지 30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내지 20몰, 더욱 바람직하게는 2 내지 15몰의 양으로 하는 것이 좋다.
또한,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 (A) 이외의 포토크로믹 화합물도 본 발명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배합할 수도 있다.
<경화성 조성물의 적합 조성>
본 발명의 포토크로믹 화합물은, 특히 중합성기를 갖는 것의 경우, 단독으로 중합함으로써 포토크로믹 경화체를 얻을 수 있다.
또한, 포토크로믹 화합물 (A)에 중합성 화합물 (B)를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어느 경우에 있어서든, 충분한 발색 농도를 얻기 위해서, 경화성 조성물의 총량을 100질량%로 했을 때에, 포토크로믹 부위에 상당하는 질량을, 0.001 내지 10질량%로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토크로믹 부위에 상당하는 질량은, 포토크로믹성의 발현 방식에 따라서도 다르고, 예를 들어, 이겨 넣기법에 의해 포토크로믹성을 발현시키는 경우에는, 0.001 내지 2질량%, 특히 0.001 내지 1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적층법 및 바인더법에 의해 포토크로믹성을 발현시키는 경우에는, 0.1 내지 10질량%, 특히 1 내지 7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토크로믹 화합물 (A)와, 중합성 화합물 (B)의 배합비는, 포토크로믹 화합물 1 분자 중에,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측쇄)가 몇개 포함되는지에 따라서도 다르다.
일 분자 중에 포함되는 포토크로믹 부위의 기(측쇄)의 개수가 1 내지 9개일 경우, 포토크로믹 화합물 (A)를 0.5 내지 80질량%, 중합성 화합물 (B)를 20 내지 99.5질량%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일 분자 중에 포함되는 포토크로믹 부위의 기(측쇄)의 개수가 2개 내지 16개일 경우, 포토크로믹 화합물 (A)를 0.1 내지 50질량%, 중합성 화합물 (B)를 50 내지 99.9질량%의 비율로 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있어서는, 포토크로믹 화합물 (A)에 의한 포토크로믹성 향상 효과를 최대한으로 발휘시키기 위해서는, 포토크로믹 화합물 (A)의 종류, 사용하는 중합성 화합물 (B)의 종류에 따라 적절히 결정하면 된다.
포토크로믹 화합물 (A)의 장쇄기 또는 단쇄기, 바람직하게는 장쇄기에 도입되는 중합성 관능기가, 아크릴기 및/또는 메타크릴기일 경우, 중합성 화합물 (B)로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B1)을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최적이다.
그 때의 (B1) 성분의 배합 비율로서는, 상기 (B1-1) 성분, (B1-2) 성분, (B1-3) 성분, 및 (B1-4)의 총량을 100질량%로 했을 때, 얻어지는 포토크로믹 경화체의 경도, 기계적 특성, 그리고, 발색 농도, 및 퇴색 속도와 같은 포토크로믹 특성을 고려하면, (B1-1) 성분을 80 내지 100질량%, (B1-2), (B1-3), (B1-4) 성분을 합쳐서 0 내지 2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B1-1) 성분의 총량을 100질량%로 했을 때, (B1-1-1) 성분을 30 내지 80질량%, (B1-1-2) 성분을 10 내지 50질량%, (B1-1-3) 성분을 0 내지 20질량%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포토크로믹 화합물 (A)의 장쇄기 또는 단쇄기, 바람직하게는 장쇄기에 도입되는 중합성 관능기가, OH기 및/또는 SH기일 경우, 폴리올(B3-1), 폴리티올(B3-2), 폴리아민(B3-3), 폴리이소시아네이트(B3-4) 및 폴리이소티아시아네이트(B3-5)를 우레탄 결합, 티오우레탄 결합, 우레아 결합 혹은 티오우레아 결합(특히 우레탄 결합 또는 티오우레탄 결합)이 형성되도록 조합으로 사용하는 것이 최적이다.
이 경우, NCO기 혹은 NCS기 1몰당, SH기 및 OH기의 양이 0.8 내지 1.2몰, 특히 0.85 내지 1.15몰, 가장 바람직하게는, 0.9 내지 1.1몰이 범위로 하는 것이 좋다.
<경화성 조성물의 사용>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상기 포토크로믹 화합물 (A)에 중합성기를 갖는 쇄가 도입되어 있는 경우에는, 포토크로믹 화합물 (A)만이어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포토크로믹 화합물 (A)를 사용하여 시트 성형함으로써, 포토크로믹 시트(포토크로믹 경화체)를 제작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경화성 조성물을, 유기 용매에 분산 내지 용해시켜서 도포액을 조제하고, 이 도포액을 투명한 광학 시트나 광학 필름에 도포하고, 건조시킴으로써, 포토크로믹 코팅층(포토크로믹 경화체)을 형성하고, 이에 의해, 포토크로믹성을 발현시킬 수 있다.
그런데,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일반적으로는, 포토크로믹 화합물 (A)에 추가로, 중합성 화합물 (B)나 중합 경화 촉진제 (C)를 배합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예를 들어, 각 성분을 용융 혼련하여 포토크로믹 조성물을 조제하고, 이것을 중합 경화시킴으로써 포토크로믹 경화체를 제작하고, 이 경화체에 의해 포토크로믹성을 발현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하, 중합성 화합물 (B)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을 포토크로믹 경화체로 하는 경우의 예를 설명하지만, 중합성기를 갖는 쇄가 도입된 포토크로믹 화합물 (A)만을 사용하는 경우에도, 해당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키는 방법과 동일한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또한, 해당 경화성 조성물에 포함되는 포토크로믹 화합물 (A)는 중합성기를 갖고 있어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포토크로믹 경화체를 제작하기 위한 중합 경화는, 자외선, α선, β선, γ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 열, 혹은 양자의 병용 등에 의해, 라디칼 중합, 개환 중합, 음이온 중합 혹은 축중합을 행함으로써 행하여진다. 즉, 중합성 화합물 (B)나 중합 경화 촉진제 (C)의 종류 및 형성되는 포토크로믹 경화체의 형태에 따라, 적당한 중합 수단을 채용하면 된다.
중합성 화합물 (B) 등이 배합되어 있는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을 열 중합시키는 때에는, 특히 온도가 얻어지는 포토크로믹 경화체의 성상에 영향을 준다. 이 온도 조건은, 열 중합 개시제의 종류와 양이나 중합성 화합물의 종류에 따라 영향을 받으므로 일률적으로 한정은 할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 비교적 저온에서 중합을 개시하고, 천천히 온도를 높여 가는 방법이 적합하다. 중합 시간이나 온도와 마찬가지로 각종 요인에 따라 상이하므로, 미리 이러한 조건에 따른 최적의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적합한데, 일반적으로는, 2 내지 48시간에 중합이 완결하도록 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포토크로믹 적층 시트를 얻는 경우에는, 중합성 관능기끼리의 반응이 진행하는 온도에서 중합하고, 그 때, 목적으로 하는 분자량이 되도록 최적의 온도와 시간을 결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을 광중합시키는 때에는, 중합 조건 중, 특히 UV 강도는 얻어지는 포토크로믹 경화체의 성상에 영향을 준다. 이 조도 조건은, 광중합 개시제의 종류와 양이나 중합성 모노머의 종류에 따라 영향을 받으므로 일률적으로 한정은 할 수 없지만, 일반적으로 365㎚의 파장에서 50 내지 500mW/㎠의 UV광을 0.5 내지 5분의 시간에 광조사하도록 조건을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중합 경화를 이용한 이겨 넣기법에 의해 포토크로믹성을 발현시키는 경우에는, 에스트라머 가스킷 또는 스페이서로 유지되어 있는 유리 몰드 사이에 상기 경화성 조성물을 주입하고, 중합성 화합물 (B)나 중합 경화 촉진제의 종류에 따라, 공기로 중에서의 가열이나 자외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 조사에 의한 주형 중합에 의해, 렌즈 등의 광학 재료의 형태로 성형된 포토크로믹 경화체를 얻을 수 있다.
이러한 방법에 의하면, 직접, 포토크로믹성이 부여된 안경 렌즈 등이 얻어진다.
적층법에 의해 포토크로믹성을 발현시키는 경우에는, 경화성 조성물을 적절히 유기 용제에 용해시켜서 도포액을 조제하고, 스핀 코팅이나 디핑 등에 의해, 렌즈 기재 등의 광학 기재의 표면에 도포액을 도포하고, 건조시켜서 유기 용제를 제거하고, 이어서, 질소 등의 불활성 가스 중에서의 UV 조사나 가열 등에 의해 중합 경화를 행함으로써, 광학 기재의 표면에 포토크로믹 경화체를 포함하는 포토크로믹층이 형성된다(코팅법).
또한, 렌즈 기재 등의 광학 기판을 소정의 공극이 형성되도록 유리 몰드에 대면하여 배치하고, 이 공극에 경화성 조성물을 주입하고, 이 상태에서, UV 조사나 가열 등에 의해 중합 경화를 행하는 이너 몰드에 의한 주형 중합에 의해서도, 광학 기재의 표면에 포토크로믹 경화체를 포함하는 포토크로믹층을 형성할 수 있다(주형 중합법).
상기와 같은 적층법(코팅법 및 주형 중합법)에 의해 포토크로믹층을 광학 기재의 표면에 형성하는 경우에는, 미리 광학 기재의 표면에, 알칼리 용액, 산 용액 등에 의한 화학적 처리, 코로나 방전, 플라스마 방전, 연마 등에 의한 물리적 처리를 행하여 둠으로써, 포토크로믹층과 광학 기재의 밀착성을 높일 수도 있다. 물론, 광학 기재의 표면에 투명한 접착 수지층을 마련해 두는 것도 가능하다.
또한, 바인더법에 의해 포토크로믹성을 발현하는 경우에는, 경화성 조성물을 사용한 시트 성형에 의해 포토크로믹 시트를 제작하고, 이것을 2매의 투명한 시트(광학 시트) 사이에 끼우고, 전술한 중합 경화를 행함으로써, 포토크로믹층을 접착층으로 하는 포토크로믹 적층체가 얻어진다.
이 경우, 포토크로믹 시트의 제작에는, 경화성 조성물을 유기 용제에 용해시킨 도포액을 사용한 코팅이라고 하는 수단도 채용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제작된 포토크로믹 적층체는, 예를 들어, 이것을 금형 내에 장착되고, 이 후, 렌즈 등의 광학 기재용 열가소성 수지(예를 들어 폴리카르보네이트를 사출 성형함으로써, 포토크로믹성이 부여된 소정 형상의 렌즈 등의 광학 기재가 얻어진다. 또한, 이 포토크로믹 적층체는, 접착제 등에 의해, 광학 기재의 표면에 접착할 수도 있고, 이에 의해, 포토크로믹 렌즈를 얻을 수도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하여 포토크로믹 적층체를 제작하는 경우, 특히 광학 기재와 밀착성이 높다는 점에서, 중합성 화합물 (B)로서, 우레탄 혹은 우레아계 중합성 화합물 (B3), 특히 우레탄계 중합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폴리우레탄이 형성되도록 조정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술한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은, 발색 농도나 퇴색 속도 등이 우수한 포토크로믹성을 발현시킬 수 있고, 게다가, 기계적 강도 등의 특성을 저감시킬 일도 없어, 포토크로믹성이 부여된 광학 기재, 예를 들어 포토크로믹 렌즈의 제작에 유효하게 이용된다.
또한, 본 발명의 경화성 조성물에 의해 형성되는 포토크로믹층이나 포토크로믹 경화체는, 그 용도에 따라, 분산 염료 등의 염료를 사용하는 염색, 실란 커플링제나 규소, 지르코늄, 안티몬, 알루미늄, 주석, 텅스텐 등의 졸을 주성분으로 하는 하드 코팅제를 사용한 하드 코팅막의 제작, SiO2, TiO2, ZrO2 등의 금속 산화물의 증착에 의한 박막 형성, 유기 고분자를 도포한 박막에 의한 반사 방지 처리, 대전 방지 처리 등의 후속 가공을 실시하는 것도 가능하다.
실시예
이어서, 실시예 및 비교예를 사용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본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우선, 본 발명에서 사용한 측정 장치, 및 각 성분의 제조 방법 등에 대하여 설명한다.
(분자량 측정; 겔 투과 크로마토그래피(GPC 측정))
GPC의 측정은, 장치로서 액체 크로마토그래프 장치(니혼 워터즈사제)를 사용하였다. 칼럼은 분석하는 샘플의 분자량에 따라, 쇼와 덴코 가부시키가이샤제Shodex GPC KF-802(배제 한계 분자량: 5,000), KF802.5(배제 한계 분자량: 20,000), KF-803(배제 한계 분자량: 70,000), KF-804(배제 한계 분자량: 400,000), KF-805(배제 한계 분자량: 2,000,000)를 적절히 사용하였다. 또한, 전개액으로서 디메틸포름아미드(DMF)를 사용하여, 유속 1ml/min, 온도 40℃의 조건에서 측정하였다. 표준 시료에 폴리스티렌을 사용하여, 비교 환산에 의해 중량 평균 분자량을 구하였다. 또한, 검출기에는 시차 굴절률계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시클로덱스트린 결합 포토크로믹 화합물(CyD1)의 합성
이 CyD1은, 다가의 잔기를 형성하는 화합물로서, 시클로덱스트린을 사용한 경우의 화합물이다.
제1 공정
하기 식 (11)
Figure pct00015
로 표시되는 화합물 4.7g(10mmol), 국제 공개 제2006/022825호 팸플릿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합성한 하기 식 (12)
Figure pct00016
로 표시되는 화합물 5.3g(15mmol), p-톨루엔술폰산피리디늄염 0.25(1mmol)에 톨루엔 100mL를 첨가하고, 75℃에서 1시간 가열 교반하였다. 실온까지 냉각한 후, 물 100mL로 3회 세정하고, 유기층을 감압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하기 식 (13)
Figure pct00017
로 표시되는 화합물 6.2g을 얻었다. 수율은 77%였다.
제2 공정
상기 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6.2g(7.7mmol), 숙신산 무수물 1.55g(15.5mmol), 트리에틸아민 1.95g(19.3mmol)에 디클로로메탄 200mL를 첨가하고,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빙냉을 행한 후, 10% 염산을 pH가 1이 될 때까지 천천히 첨가하고, 분액을 행하였다. 물 250mL로 3회 세정하고, 유기층을 감압 증류 제거하였다. 얻어진 잔사를,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하기 식 (14)
Figure pct00018
로 표시되는 화합물 6.6g(7.3mmol)을 얻었다. 수율은 95%였다.
제3 공정
상기 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 96mg(0.1mmol), 시판하고 있는 2-히드록시프로필-α-시클로덱스트린 118mg(0.1mmol)에 THF(테트라히드로푸란)/DMSO(디메틸술폭시드)(1:1, v/v) 18ml를 첨가하고, 교반한 후, WSC(water-soluble carbodiimide(수용성 카르보디이미드)) 192mg, DMAP(디메틸아미노피리딘) 63mg을 추가하고, 차광 하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TLC(Thin layer Chromatography(박층 크로마토그래피))로 원료 소실을 확인 후, 물을 첨가하여 반응을 정지시켰다. 아세트산에틸로 추출을 행한 후 증발기로 농축하고, 아세톤 10ml로 리슬러리를 행함으로써, 하기 식 (15)
Figure pct00019
로 표시되는 포토크로믹 부위를 포함하는 기(측쇄)를 갖는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얻었다(수량: 53mg). 1H-NMR로부터, α-시클로덱스트린에 상기 식 (15)로 표시되는 포토크로믹 부위가 1.8개 도입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계속해서, 상기에서 얻어진 식 (15)로 표시되는 포토크로믹 화합물 28mg, 무수 숙신산 77mg, 트리에틸아민 0.11ml를 디클로로메탄 5.0ml에 용해시켜 실온에서 14시간 교반한 후,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수 평균 분자량: 1,000) 138mg, WSC 40mg, DMAP 10mg을 추가하고, 차광 하 실온에서 12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 증류 제거한 후,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아세톤/아세트산에틸 5:95)로 정제를 행함으로써, 하기 식 (16)
Figure pct00020
로 표시되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쇄(장쇄기)가 도입된 포토크로믹 화합물(CyD1) 67mg을 얻었다. 1H-NMR로부터, α-시클로덱스트린에 상기 식 (16)으로 표시되는 장쇄가 9.3개 도입되어 있음을 확인하였다.
얻어진 포토크로믹 화합물(CyD1)의 특성을 이하에 나타내었다. 이하의 수치는 평균값이다.
<다가의 잔기의 전체 가수>
시클로덱스트린(다가의 잔기를 형성하는 화합물) 전체 가수: 18.
<반응하지 않고 잔존하는 반응성기>
시클로덱스트린에 있어서의 반응하지 않고 잔존하는 반응성기의 수: 6.9.
<포토크로믹 부위를 포함하는 기>
포토크로믹 부위를 포함하는 기의 수: 1.8.
포토크로믹 부위를 포함하는 측쇄의 수식도: 0.10(10%).
포토크로믹 부위를 포함하는 측쇄의 수 평균 분자량: 평균으로 약 160(포토크로믹 부위를 제외한다).
<장쇄기>
장쇄기의 수: 9.3.
장쇄기의 수식도: 0.52(52%).
장쇄기의 수 평균 분자량: 평균으로 약 1200(말단은 부틸기).
<단쇄기의 수>
단쇄기의 수 0.
<포토크로믹 화합물 자체의 중량 평균 분자량>
중량 평균 분자량 Mw(GPC): 13,000.
이 결과로부터, CyD1은, α-시클로덱스트린의 수산기 10%에 포토크로믹 부위가 도입되고, 52%에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장쇄)가 도입된 구조임을 알았다. 또한, 1H-NMR의 측정 결과로부터, 1 분자당, 평균으로 약 1.8개의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측쇄와 평균으로 약 9.3개의 장쇄가 도입되었음을 알았다.
실시예 2
경화성 조성물 (Y1(이하, 간단히 (Y1)로 하는 경우도 있다))의 조제, 및 포토크로믹 경화체의 제작·평가
(경화성 조성물의 조제)
하기 처방에 의해, 각 성분을 충분히 혼합하여, 포토크로믹 경화성 조성물 (Y1)을 조제하였다.
처방;
(A) 포토크로믹 화합물
CyD1(실시예 1에서 제조) 69.3mg(포토크로믹 색소: 9.6μmol).
(B) 중합성 화합물
(B1-1-1-4) 노르보르넨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 4.58g.
(B3-2)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 5.42g.
(C) 중합 경화 촉진제
(C3-1) 디메틸주석디클로라이드 10mg.
(포토크로믹 경화체의 제작과 평가)
상기 경화성 조성물 (Y1)을 사용하여, 이겨 넣기법으로 포토크로믹 경화체를 얻었다.
또한, 상기 경화성 조성물 (Y1)로 사용하는 중합성 화합물 (B)는 노르보르넨메탄디이소시아네이트와,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키스(3-머캅토프로피오네이트)이기 때문에, 이들 중합성 화합물 (B)로 형성되는 매트릭스는, 자유 공간이 좁은 것이다. 그 때문에, 이 매트릭스 중에서 포토크로믹 특성을 발휘할 수 있으면, 보다 우수한 포토크로믹 특성을 발휘하는 것이 명백하다.
중합 방법을 이하에 나타내었다.
상기 경화성 조성물 (Y1)을 충분히 탈포한 후, 이형 처리를 실시한 유리 몰드와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를 포함하는 가스킷으로 구성된, 두께 2㎜의 주형를 포함하는 몰드형에 주형하였다. 이어서, 30℃로부터 95℃까지 서서히 승온하면서, 15시간에 걸쳐 경화시켰다. 중합 종료 후, 포토크로믹 경화체를 주형의 유리로부터 분리하였다.
얻어진 포토크로믹 경화체를 시료로 하여, 이것에 (주)하마마츠 포토닉스제의 크세논 램프 L-2480(300W)SHL-100을, 에아로매스 필터(코닝사제)를 통하여 20±1℃, 중합체(포토크로믹 코팅층) 표면에서의 빔 강도 365㎚=2.4mW/㎠, 245㎚=24μW/㎠로 120초간 조사하여 발색시켜, 포토크로믹 적층체의 포토크로믹 특성을 측정하였다. 각 포토크로믹 특성을 이하의 방법으로 평가하고, 표 1에 나타냈다.
·최대 흡수 파장(λmax):
(주)오츠카 덴시 고교제의 분광 광도계(순간 멀티 채널 포토 디텍터MCPD1000)에 의해 구한 발색 후의 최대 흡수 파장이다. 해당 최대 흡수 파장은 발색 시의 색조에 관한 것이다.
·발색 농도{ε(120)-ε(0)}:
상기 최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120초간 광조사한 후의 흡광도{ε(120)}와 광조사 전의 흡광도 ε(0)의 차. 이 값이 높을수록 포토크로믹성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퇴색 속도〔t1/2(sec.)〕:
120초간 광조사 후, 광의 조사를 멈추었을 때에, 시료의 상기 최대 흡수 파장에 있어서의 흡광도가 {ε(120)-ε(0)}의 1/2까지 저하되는 데 요하는 시간. 이 시간이 짧을수록 포토크로믹성이 우수하다고 할 수 있다.
비교예 1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포토크로믹 화합물 대신에 국제 공개 제2006/022825호 팸플릿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서, 포토크로믹 부위만으로 이루어지는 하기 식 (17)로 표시되는 포토크로믹 화합물(d1)을 합성하였다.
Figure pct00021
얻어진 포토크로믹 화합물(d1)을 사용하여, 포토크로믹 색소의 비율이 9.6μmol이 되도록 한 이외에는, 실시예 2와 동일한 종류로 동일한 배합 비율의 중합성 화합물 (B), 중합 경화 촉진제 (C)를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y1)을 제조하였다. 얻어진 경화성 조성물 (y1)을 사용하여 실시예 2와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고, 마찬가지의 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비교예 2
실시예 1에 있어서의 포토크로믹 화합물 대신에 다가 잔기를 포함하지 않는, 즉, 장쇄기와 포토크로믹 부위가 직접 결합된 포토크로믹 화합물 (d2)을 합성하였다.
상기 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 4.14g(5.0mmol)을 탈수 디클로로메탄에 용해시킨 후, 하기 식 (18)
Figure pct00022
로 표시되는 폴리프로필렌글리콜모노부틸에테르(수 평균 분자량: 2000)의 숙신산 부가체 11.0g, WSC 2.0g, DMAP 120mg을 추가하고, 차광 하 실온에서 14시간 교반하였다. TLC로 원료 소실을 확인 후, 유기상을 수세하고 증발기로 감압 증류 제거하였다. 실리카겔 크로마토그래피(전개 용매:아세톤/아세트산에틸 5:95)로 정제를 행하여, 하기 식 (19)
Figure pct00023
로 표시되는 오일상물을 얻었다(수율: 78%). 상기 식 (19)로 표시되는 장쇄 결합 포토크로믹 화합물 (d2)을 30.7mg 사용하여, 비교예 1과 마찬가지의 조작을 행하고, 경화성 조성물 (y2(이하, 간단히 (y2)라 하는 경우도 있다))을 조제하고, 포토크로믹 경화체의 제작·평가를 행하였다. 결과를 표 1에 나타냈다.
Figure pct00024
얻어진 포토크로믹 경화체에 있어서, 화합물 d1(비교예 1)은 포토크로믹성을 나타내지 않았다. 이것은, 해당 티오우레탄 매트릭스는 가교 밀도가 높고, 화합물 d1의 포토크로믹성의 발현을 허용하는 자유 공간을 갖고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화합물 d1에 장쇄를 직접 결합시킨 화합물 d2(비교예 2)에서는, 포토크로믹성을 나타냈지만, 발색 농도는 얇고, 퇴색 속도는 늦다는 결과였다. 이것은, 장쇄 도입만으로는 마이크로상 분리 구조의 형성에는 아직 불충분하기 때문에, 양호한 포토크로믹성의 발현에 필요 충분한 자유 공간을 창출되어 있지 않은 것을 나타내고 있다.
본 발명인 실시예 2로부터 명백해진 바와 같이 포토크로믹 화합물의 분자 구조로서, 본 발명과 같이 마이크로상 분리 구조를 미리 설계함으로써, 포토크로믹성의 발현을 허용하는 자유 공간을 원래 갖지 않는 매트릭스중에 있어서도, 양호한 포토크로믹성을 발휘할 수 있음이 명확해졌다.

Claims (10)

  1. 다가의 잔기에,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가 적어도 하나 치환되고, 또한
    포토크로믹 부위를 포함하지 않는, 분자량이 300 이상의 장쇄의 기가 적어도 하나 치환되어 이루어지는 포토크로믹 화합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크로믹 화합물 1 분자당, 상기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의 수와 상기 장쇄의 기의 수의 합계수가 2 내지 30인 포토크로믹 화합물.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크로믹 부위가, 나프토피란, 스피로옥사진, 스피로피란, 풀기드, 풀기미드 및 디아릴에텐으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구조를 갖는 포토크로믹 화합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크로믹 부위가, 인데노[2,1-f]나프토[1,2-b]피란인 포토크로믹 화합물.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다가의 잔기가, 환상 분자로 형성되는 포토크로믹 화합물.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포토크로믹 부위를 갖는 기가, 하기 식 (1) 또는 (1')
    Figure pct00025

    여기서,
    PC는 포토크로믹성기이며,
    R1은, 탄소수가 2 내지 8인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킬렌기이며,
    R2는, 탄소수가 2 내지 8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아세틸기 분지를 갖는 탄소수가 3 내지 8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또는 에테르 결합을 갖는 탄소수가 3 내지 8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이며,
    L은, 하기 식 (2)
    Figure pct00026

    여기서,
    R3은, 단결합,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탄소수가 3 내지 12인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탄소수가 6 내지 12인 방향족기이며,
    R4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탄소수가 3 내지 12인 시클로알킬렌기, 탄소수가 6 내지 12인 방향족기,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기를 갖는 디알킬실릴기이며,
    R5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탄소수가 3 내지 12인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탄소수가 6 내지 12인 방향족기이며,
    X1, 및 X2는,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O, 또는 NH이며,
    c는, 0 내지 50의 정수이며, d는, 0 내지 50의 정수이며, e는, 0 또는 1의 정수이며,
    c가 2 이상인 경우, c의 괄호로 닫힌 2가의 기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d가 2 이상인 경우, d의 괄호로 닫힌 2가의 기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됨
    으로 표시되는 2가의 기이며,
    a는, 1 내지 50의 정수이며, b는, 0 내지 50의 정수이며,
    a가 2 이상인 경우, a의 괄호로 닫힌 2가의 기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b가 2 이상인 경우, b의 괄호로 닫힌 2가의 기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됨
    인, 포토크로믹 화합물.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장쇄의 기가, 하기 식 (3) 또는 (3')
    Figure pct00027

    여기서,
    Z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기 또는 중합성기이며,
    R6은, 탄소수가 2 내지 8인 직쇄상 또는 분지쇄상 알킬렌기이며,
    R7은, 탄소수가 2 내지 8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아세틸기 분지를 갖는 탄소수가 3 내지 8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또는 에테르 결합을 갖는 탄소수가 3 내지 8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이며,
    X'는 단결합, O, 또는 NH이며,
    L'는, 하기 식 (2')
    Figure pct00028

    여기서,
    R31은, 단결합,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탄소수가 3 내지 12인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탄소수가 6 내지 12인 방향족기이며,
    R41은,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탄소수가 3 내지 12인 시클로알킬렌기, 탄소수가 6 내지 12인 방향족기, 또는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기를 갖는 디알킬실릴기이며,
    R51은, 탄소수가 1 내지 20인 직쇄상 혹은 분지쇄상 알킬렌기, 탄소수가 3 내지 12인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탄소수가 6 내지 12인 방향족기이며,
    X11, 및 X21은, 각각 독립적으로, 단결합, O, 또는 NH이며,
    c1은, 0 내지 50의 정수이며, d1은, 0 내지 50의 정수이며, e1은, 0 또는 1의 정수이며,
    c1이 2 이상인 경우, 2가의 기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d1이 2 이상인 경우, 2가의 기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됨
    으로 표시되는 2가의 기이며,
    f는, 1 내지 50의 정수이며, g는, 0 내지 50의 정수이며,
    f가 2 이상인 경우, 2가의 기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되며,
    g가 2 이상인 경우, 2가의 기는, 각각 동일해도 되고, 달라도 됨
    인, 포토크로믹 화합물.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중량 평균 분자량이 2,000 이상이 되는 포토크로믹 화합물.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포토크로믹 화합물, 및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화성 조성물.
  10. 제9항에 기재된 경화성 조성물을 경화시켜서 얻어지는 포토크로믹 경화체.
KR1020217000514A 2018-07-20 2019-07-18 포토크로믹 화합물, 및 해당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화성 조성물 KR2021003397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136374 2018-07-20
JPJP-P-2018-136374 2018-07-20
PCT/JP2019/028358 WO2020017610A1 (ja) 2018-07-20 2019-07-18 フォトクロミック化合物、及び該フォトクロミック化合物を含んでなる硬化性組成物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33976A true KR20210033976A (ko) 2021-03-29

Family

ID=6916450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7000514A KR20210033976A (ko) 2018-07-20 2019-07-18 포토크로믹 화합물, 및 해당 포토크로믹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화성 조성물

Country Status (11)

Country Link
US (1) US11767467B2 (ko)
EP (1) EP3825346A4 (ko)
JP (1) JP7337799B2 (ko)
KR (1) KR20210033976A (ko)
CN (1) CN112424260B (ko)
AU (1) AU2019305813A1 (ko)
BR (1) BR112020027009B1 (ko)
CA (1) CA3105467A1 (ko)
MX (1) MX2021000494A (ko)
TW (1) TWI793352B (ko)
WO (1) WO20200176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1172513A1 (ja) 2020-02-28 2021-09-02 株式会社トクヤマ 湿気硬化型ポリウレタン組成物及び積層体
US20230365739A1 (en) * 2020-08-05 2023-11-16 Tokuyama Corporation Curable composition and cured article thereof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5630A1 (en) 1998-09-11 2000-03-23 Ppg Industries Ohio, Inc. Polyalkoxylated naphthopyrans
WO2003011967A1 (fr) 2001-07-27 2003-02-13 Tokuyama Corporation Composition durcissable, article durci obtenu a partir de cette composition et materiau optique photochrome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WO2004041961A1 (en) 2002-11-04 2004-05-21 Polymers Australia Pty Limited Photochromic compositions and light transmissible articles
WO2009075388A1 (ja) 2007-12-13 2009-06-18 Tokuyama Corporation フォトクロミック硬化性組成物
WO2009146509A1 (en) 2008-06-05 2009-12-10 Advanced Polymerik Pty Ltd Photochromic polymer and composition comprising photochromic polymer
WO2011125956A1 (ja) 2010-04-01 2011-10-13 株式会社トクヤマ フォトクロミック硬化性組成物
WO2012149599A1 (en) 2011-05-03 2012-11-08 Advanced Polymerik Pty Ltd Photochromic polymer
WO2012162725A1 (en) 2011-06-03 2012-12-06 Advanced Polymerik Pty Ltd Photochromic polymers
WO2012176439A1 (ja) 2011-06-23 2012-12-27 三井化学株式会社 重合性組成物
WO2013078086A1 (en) 2011-11-22 2013-05-30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ic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photochromic moieties
WO2013099640A1 (ja) 2011-12-26 2013-07-04 株式会社トクヤマ フォトクロミック組成物
WO2015068798A1 (ja) 2013-11-11 2015-05-14 株式会社トクヤマ フォトクロミック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3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IL115803A (en) 1994-11-03 2000-02-17 Ppg Industries Inc Indeno-naphthopyran derivatives useful for photochromic articles
IL119781A0 (en) * 1996-12-08 1997-03-18 Yeda Res & Dev Photochromic spirooxazine polysiloxanes
US6479604B1 (en) * 1998-08-17 2002-11-12 Korea Research Institute Of Chemical Technology Diarylethene compound, photochromic diarylethene type copolymer and method for the production of the same
US6296785B1 (en) 1999-09-17 2001-10-02 Ppg Industries Ohio, Inc. Indeno-fused photochromic naphthopyrans
JP4157245B2 (ja) 2000-02-21 2008-10-01 株式会社トクヤマ クロメン化合物
US8211338B2 (en) 2003-07-01 2012-07-03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ic compounds
JP4663523B2 (ja) 2003-09-18 2011-04-06 株式会社トクヤマ クロメン化合物
US7465415B2 (en) 2004-07-30 2008-12-16 Ppg Industries Ohio, Inc. Photochromic materials derived from ring-opening monomers and photochromic initiators
US20060228557A1 (en) 2005-04-08 2006-10-12 Beon-Kyu Kim Photochromic materials having extended pi-conjugated systems and compositions and articles including the same
US7556751B2 (en) 2005-12-21 2009-07-07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ic materials having electron-withdrawing substituents
US20070278461A1 (en) 2006-05-31 2007-12-06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ic materials comprising haloalkyl groups
US8748634B2 (en) 2006-10-30 2014-06-10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ic materials demonstrating improved fade rates
JP2008273848A (ja) * 2007-04-26 2008-11-13 Tokuyama Corp ナフトピラン化合物及びフォトクロミック硬化体組成物
WO2011010744A1 (ja) 2009-07-21 2011-01-27 株式会社トクヤマ クロメン化合物
JP5606441B2 (ja) 2009-08-04 2014-10-15 株式会社トクヤマ クロメン化合物
US20120161089A1 (en) 2009-08-28 2012-06-28 Toshiaki Takahashi Chromene compound
US8691120B2 (en) 2009-09-18 2014-04-08 Tokuyama Corporation Chromene compound
JPWO2011078030A1 (ja) 2009-12-22 2013-05-02 株式会社トクヤマ クロメン化合物
AU2012209701A1 (en) 2011-01-27 2013-07-25 Tokuyama Corporation Chromene compound
HUE025467T2 (en) 2011-01-28 2016-02-29 Tokuyama Corp Chromene compound
WO2012121414A1 (ja) 2011-03-08 2012-09-13 株式会社トクヤマ クロメン化合物
WO2013101940A1 (en) 2011-12-27 2013-07-04 Amitava Gupta Photochromic fluid filled lenses and methods of manufacture thereof
JP6392696B2 (ja) * 2015-04-02 2018-09-19 株式会社トクヤマ フォトクロミック組成物の製造方法
WO2017038865A1 (ja) 2015-09-03 2017-03-09 株式会社トクヤマ ポリロタキサン及びその製法並びに該ポリロタキサンを含有する光学用組成物
WO2017039019A1 (ja) * 2015-09-03 2017-03-09 株式会社トクヤマ プライマー組成物及びフォトクロミック積層体
WO2017038957A1 (ja) * 2015-09-03 2017-03-09 株式会社トクヤマ フォトクロミックコーティング組成物
BR112019002688B1 (pt) * 2016-08-10 2023-03-14 Tokuyama Corporation Composição curável fotocrômica, uso desta, e monômeros de polirotaxano
EP3643735A4 (en) * 2017-06-20 2021-03-17 Tokuyama Corporation PHOTOCHROMIC POLYROTAXANE COMPOUND AND CURING COMPOSITION CONTAINING ITS PHOTOCHROMIC POLYROTAXANE COMPOUND
AU2018298623B2 (en) * 2017-07-14 2022-11-17 Tokuyama Corporation Chromene compound, curable composition comprising the compound, and optical article including a cured body of the curable composition
CN111989382B (zh) 2018-04-17 2024-01-05 株式会社德山 光致变色化合物、包含该光致变色化合物的固化性组合物和光学物品

Patent Citations (1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00015630A1 (en) 1998-09-11 2000-03-23 Ppg Industries Ohio, Inc. Polyalkoxylated naphthopyrans
WO2003011967A1 (fr) 2001-07-27 2003-02-13 Tokuyama Corporation Composition durcissable, article durci obtenu a partir de cette composition et materiau optique photochrome et son procede de production
WO2004041961A1 (en) 2002-11-04 2004-05-21 Polymers Australia Pty Limited Photochromic compositions and light transmissible articles
WO2009075388A1 (ja) 2007-12-13 2009-06-18 Tokuyama Corporation フォトクロミック硬化性組成物
WO2009146509A1 (en) 2008-06-05 2009-12-10 Advanced Polymerik Pty Ltd Photochromic polymer and composition comprising photochromic polymer
WO2011125956A1 (ja) 2010-04-01 2011-10-13 株式会社トクヤマ フォトクロミック硬化性組成物
WO2012149599A1 (en) 2011-05-03 2012-11-08 Advanced Polymerik Pty Ltd Photochromic polymer
WO2012162725A1 (en) 2011-06-03 2012-12-06 Advanced Polymerik Pty Ltd Photochromic polymers
WO2012176439A1 (ja) 2011-06-23 2012-12-27 三井化学株式会社 重合性組成物
WO2013078086A1 (en) 2011-11-22 2013-05-30 Transitions Optical, Inc. Photochromic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photochromic moieties
WO2013099640A1 (ja) 2011-12-26 2013-07-04 株式会社トクヤマ フォトクロミック組成物
WO2015068798A1 (ja) 2013-11-11 2015-05-14 株式会社トクヤマ フォトクロミック組成物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TWI793352B (zh) 2023-02-21
MX2021000494A (es) 2021-04-12
EP3825346A4 (en) 2022-04-20
CN112424260B (zh) 2023-10-13
WO2020017610A1 (ja) 2020-01-23
BR112020027009A2 (pt) 2021-04-06
CA3105467A1 (en) 2020-01-23
JPWO2020017610A1 (ja) 2021-08-02
TW202016255A (zh) 2020-05-01
US11767467B2 (en) 2023-09-26
JP7337799B2 (ja) 2023-09-04
US20210292641A1 (en) 2021-09-23
AU2019305813A1 (en) 2021-01-21
BR112020027009B1 (pt) 2023-12-26
CN112424260A (zh) 2021-02-26
EP3825346A1 (en) 2021-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565679B1 (ko) 포토크로믹성 폴리로탁산 화합물, 및 해당 포토크로믹성 폴리로탁산 화합물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경화성 조성물
JP6592078B2 (ja) フォトクロミック硬化体の製造方法
JP6615613B2 (ja) フォトクロミック組成物
KR102556784B1 (ko) 크로멘 화합물, 해당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화성 조성물, 및 해당 경화성 조성물을 포함하는 경화체를 포함하는 광학 물품
WO2017038865A1 (ja) ポリロタキサン及びその製法並びに該ポリロタキサンを含有する光学用組成物
WO2017038957A1 (ja) フォトクロミックコーティング組成物
JP6392696B2 (ja) フォトクロミック組成物の製造方法
JP7337799B2 (ja) フォトクロミック化合物、及び該フォトクロミック化合物を含んでなる硬化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