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35026A - 토너 리필 중 비정상 동작의 처리 - Google Patents

토너 리필 중 비정상 동작의 처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35026A
KR20200135026A KR1020190061394A KR20190061394A KR20200135026A KR 20200135026 A KR20200135026 A KR 20200135026A KR 1020190061394 A KR1020190061394 A KR 1020190061394A KR 20190061394 A KR20190061394 A KR 20190061394A KR 20200135026 A KR20200135026 A KR 202001350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oner
state
reload kit
image forming
forming appar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13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홍철
김윤수
진성호
노진우
Original Assignee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filed Critical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Priority to KR10201900613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35026A/ko
Priority to EP19930318.1A priority patent/EP3871048B1/en
Priority to CN201980087274.XA priority patent/CN113287067B/zh
Priority to US17/273,385 priority patent/US11506991B2/en
Priority to PCT/US2019/064940 priority patent/WO2020242525A1/en
Publication of KR202001350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35026A/ko
Priority to US17/963,395 priority patent/US11644768B2/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3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provided with identifying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e.g. an electronic memor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03Ink cartridges
    • B41J2/17543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 B41J2/17546Cartridge presence detection or type identification electronically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22Arrangements for preparing, mixing, supplying or dispensing developer
    • G03G15/0865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 G03G15/0867Arrangements for supplying new developer cylindrical developer cartridges, e.g. toner bottles for the developer replenishing opening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06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 G03G15/08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for developing using a solid developer, e.g. powder developer
    • G03G15/0894Reconditioning of the developer unit, i.e. reusing or recycling parts of the unit, e.g. resealing of the unit before refilling with toner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15/00Apparatus for electrographic processes using a charge pattern
    • G03G15/55Self-diagnostics; Malfunction or lifetime display
    • G03G15/553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 G03G15/556Monitoring or warning means for exhaustion or lifetime end of consumables, e.g. indication of insufficient copy sheet quantity for a job for toner consumption, e.g. pixel counting, toner coverage detection or toner density measur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41PRINTING; LINING MACHINES; TYPEWRITERS; STAMPS
    • B41JTYPEWRITERS;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i.e. MECHANISMS PRINTING OTHERWISE THAN FROM A FORME; CORRECTION OF TYPOGRAPHICAL ERRORS
    • B41J2/00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 B41J2/005Typewriters or selective printing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printing or marking process for which they are designed characterised by bringing liquid or particles selectively into contact with a printing material
    • B41J2/01Ink jet
    • B41J2/17Ink jet characterised by ink handling
    • B41J2/175Ink supply systems ; Circuit parts therefor
    • B41J2/17566Ink level or ink residue control
    • B41J2002/17579Measuring electrical impedance for ink level indication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63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having a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around which at least one part is rotated when mounting or using the cartridge
    • G03G2215/0673Generally vertically mounting of said toner cartridge parallel to its longitudinal rotational axi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GELECTROGRAPHY; ELECTROPHOTOGRAPHY; MAGNETOGRAPHY
    • G03G2215/00Apparatus for electrophotographic processes
    • G03G2215/06Developing structures, details
    • G03G2215/066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 G03G2215/0695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 G03G2215/0697Toner cartridge or other attachable and detachable container for supplying developer material to replace the used material using identification means or means for storing process or use parameters being an electronically readable memor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Control Or Security For Electrophotography (AREA)

Abstract

본 개시는, 토너 리로드 킷에서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카트리지로의 토너 리필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토너 리로드 킷에서 상기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이면,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의 메모리에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도록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토너 리로드 킷에서 상기 카트리지로 주입된 토너량에 기초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이 제공된다.

Description

토너 리필 중 비정상 동작의 처리{HANDLING ABNORMAL OPERATION DURING TONER REFILL}
전자사진방식을 이용하는 화상 형성 장치는, 감광체에 형성된 정전잠상에 토너를 공급하여 감광체 상에 가시적인 토너 화상을 형성하고, 이 토너 화상을 중간 전사 매체를 거쳐 또는 직접 인쇄 매체로 전사한 후, 전사된 토너 화상을 인쇄 매체에 정착시킨다.
즉, 화상 형성 장치는 인쇄 매체 상에 토너 화상을 인쇄하기 위하여 토너를 사용한다. 토너는 화상 형성 작업이 진행될 때마다 사용되기 때문에, 소정 시간 이상 사용되면 고갈된다. 이 경우, 토너를 저장하는 부품은 교환되거나, 토너를 저장하는 부품에 토너가 리필 될 수도 있다.
본 개시는, 다음의 자세한 설명과 그에 수반되는 도면들의 결합으로 쉽게 이해될 수 있으며, 참조 번호(reference numerals)들은 구조적 구성요소(structural elements)를 의미한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카트리지 및 토너 리로드 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토너 리필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토너 리필 프로세스에 따른 토너 리로드 킷의 상태 전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토너 리로드 킷의 리필 동작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 및 도 5b는 일실시예에 따라, 토너 리로드 킷의 리필 동작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토너 리로드 킷의 제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토너 리로드 킷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도 7에서 검출된 토너 리로드 킷의 비정상적인 동작에 대한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토너 리로드 킷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도 9에서 검출된 토너 리로드 킷의 비정상적인 동작에 대한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란 프린터(printer), 스캐너(scanner), 팩스기(fax machine), 복합기(multi-function printer, MFP) 또는 디스플레이 장치 등과 같이 화상 형성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모든 종류의 장치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작업"은 인쇄, 스캔, 또는 팩스 중 적어도 하나의 작업일 수 있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하여 본 개시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개시는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카트리지 및 토너 리로드 킷을 도시한 도면이다.
카트리지(100)는 화상 형성 장치(1100)에 장착되거나, 화상 형성 장치(1100)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카트리지(100)는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가 설치된 현상기(110), 감광드럼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가 수용되는 폐토너 수용기(미도시), 현상기(110)와 연결되고 토너가 수용되는 토너 수용기(120)를 포함할 수 있다. 토너 수용기(120)는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될 토너를 현상기(110)로 공급할 수 있다. 토너 수용기(120) 내의 토너가 모두 소진되면, 토너 수용기(120)는 토너 리로드 킷(130)(TRK: Toner Reload Kit)으로부터 토너를 공급받을 수 있다.
카트리지(100)는 토너 수용기(120)와 연결된 토너 충전 인터페이스(115)를 포함할 수 있다. 토너 충전 인터페이스(115)는 토너 리로드 킷(130)이 카트리지(100)에 연결되고,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100)로 토너가 공급될 수 있도록 고정시키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100)는 현상기(110), 폐토너 수용기(미도시), 토너 수용기(120) 및 토너 충전 인터페이스(115)를 구비하는 일체형 카트리지일 수 있다.
도 1의 이미지(10)을 참고하면, 토너 리로드 킷(130)은 몸체(131), 플런저(132), 메모리(133)를 포함할 수 있다. 몸체(131)는 토너가 수용되는 내부 공간(134)과 토너가 배출되는 토너 배출구(135)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토너 배출구(135)는 토너 배출구(135)를 개폐할 수 있는 배출 셔터(136)를 포함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은 상기 언급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1의 이미지(20)을 참고하면, 플런저(plunger)(132)는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도록 내부 공간(134)에 삽입될 수 있다. 플런저(132)는 내부 공간(134)에 수용된 토너가 토너 배출구(135)를 통해 배출되도록 주사기(syringe) 형태 또는 실린더 형태의 주입대를 구비할 수 있다. 배출 셔터(136)는 토너 배출구(135)를 개폐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몸체(131)는 원통형일 수 있다. 몸체(131)의 단부에는 토너가 배출되는 토너 배출구(135), 및 토너 배출구(135)를 개폐하는 배출 셔터(136)가 포함될 수 있다. 플런저(132)는 몸체(131)의 토너 배출구(135)의 반대쪽 단부로부터 내부 공간(134)에 삽입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정품 인증이 완료되고, 토너 리로드 킷(130)이 카트리지(100)로 토너를 공급할 수 있도록 카트리지(100)에 결합된 경우, 배출 셔터(136)는 토너 배출구(135)를 개방할 수 있다. 또한, 배출 셔터(136)는 토너 배출구(135)를 조작할 수 있는 조작 레버를 구비할 수도 있다.
메모리(133)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식별 정보 및 토너 리필 완료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이 화상 형성 장치(1100)에 장착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메모리(133)에 저장된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식별 정보를 확인하여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정품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필 완료 여부를 나타내는 정보를 확인하여, 토너 리로드 킷(130)의 리필 동작이 가능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토너 리로드 킷(130)의 리필 동작이 완료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메모리(133)에 토너 리필 완료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메모리(133)는 비휘발성 메모리(133)일 수 있다.
한편, 토너 리로드 킷(130)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인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이 화상 형성 장치(1100)에 결합된 상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인 접점은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변동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인 접점의 상태에 따라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저항이 변동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저항에 기초하여 토너 리로드 킷(130)의 상태 전압을 획득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상태 전압에 기초하여,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를 확인할 수 있고, 토너 리로드 킷(130)의 리필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의 리필 동작이 비정상적으로 수행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리필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2는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에서 수행되는 토너 리필 프로세스를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2의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210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이 카트리지로 삽입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는 화상 형성 장치(1100)의 토너 충전 인터페이스를 통해 토너 리로드 킷(130)을 카트리지로 삽입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화상 형성 장치(1100) 내의 센서를 통해, 토너 리로드 킷(130)이 카트리지로 삽입된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220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인증을 수행하고,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가능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된 토너 리로드 킷(130)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정품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식별 정보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모델 번호, 제품 번호 등에 대한 정보일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정품 인증이 완료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메모리에 저장된 토너 리필 완료 기록이 있는지를 확인하여,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가능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토너 리로드 킷(130)의 메모리 내에 토너 리필 완료 기록이 저장되어 있으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삽입된 토너 리로드 킷(130)의 사용이 불가함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반면에, 토너 리로드 킷(130)의 메모리 내에 토너 리필 완료 기록이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필을 위한 동작을 가이드 하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230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도킹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도킹 상태에서 잠금 장치의 잠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220에 따라,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가능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이 회전되어 도킹 상태가 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을 카트리지에 고정시키기 위해 잠금 장치의 잠금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토너 리로드 킷(130)의 도킹 상태는, 토너 리로드 킷(130)이 카트리지에 삽입된 상태에서 회전됨으로써 토너 배출구에서 토너 수용기로 토너가 주입될 수 있는 상태로 변경된 상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토너 리로드 킷(130)이 카트리지에 삽입된 상태에서 180도 회전이 수행되면, 토너 배출구와 토너 수용기의 입구가 맞물리게 되어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토너를 주입할 수 있는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때,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잠금 장치의 잠금 동작을 수행하여, 토너 리로드 킷(130)을 고정시킬 수 있다. 잠금 장치의 잠금 동작이 수행되면, 토너 리로드 킷(130)은 카트리지로부터 제거될 수 없고, 회전 동작도 가능하지 않게 된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240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의 토너의 주입 완료를 감지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의 리필 완료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토너의 리필 동작이 완료되면, 토너 리로드 킷(130) 내의 전기적인 접점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으로부터 전기적인 접점의 상태에 대응되는 상태 전압을 획득하고, 토너의 주입 완료를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잔량 정보를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 내의 메모리에 리필 완료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250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 동작이 수행되면, 토너 리로드 킷(130)은 회전이 가능하게 된다. 토너 리로드 킷(130)이 회전되어 카트리지로부터 제거될 수 있는 언도킹 상태가 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언도킹 상태를 감지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260에서, 카트리지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이 제거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거를 감지할 수 있다.
도 3은 일실시예에 따라, 토너 리필 프로세스에 따른 토너 리로드 킷의 상태 전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토너 리로드 킷(130)은 화상 형성 장치(1100)에 장착되어, 화상 형성 장치(1100) 내의 카트리지로 토너를 리필할 수 있다. 토너 리필 프로세스에서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는, 화상 형성 장치(1100)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이 제거된 제1 상태, 화상 형성 장치(1100)에 토너 리로드 킷(130)이 삽입된 제2 상태, 카트리지에 토너가 주입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에 토너 리로드 킷(130)이 도킹된 제3 상태,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제4 상태, 카트리지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이 제거될 수 있도록 토너 리로드 킷(130)이 언도킹된 제 5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은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인 접점을 포함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에 따라 적어도 하나의 전기적인 접점은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변동될 수 있다. 즉, 토너 리로드 킷(130)의 화상 형성 장치(1100)에 결합된 상태에 따라 전기적인 접점의 상태가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되고,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저항이 변하게 된다. 따라서,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가 변경되면, 토너 리로드 킷(130)의 상태 전압은 변경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상태 전압으로 감지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센서를 통해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전압을 획득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1 상태는, 화상 형성 장치(1100)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이 제거된 상태이다. 즉, 제1 상태는 화상 형성 장치(1100)에 토너 리로드 킷(130)이 삽입되기 전의 상태이다. 이 경우, 도 3의 그래프를 참고하면,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1 상태에 대한 상태 전압의 ADC(Analog-Digital Converter) 값(310)은 1014이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ADC 값(310)으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를 제거(remove)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2 상태는, 화상 형성 장치(1100)에 토너 리로드 킷(130)이 삽입된 상태이다. 토너 리로드 킷(130)이 카트리지에 삽입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인증을 수행하고, 토너의 리필 동작이 가능한지를 확인할 수 있다. 토너의 리필 동작이 가능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이 회전 가능한 상태가 되도록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그래프를 참고하면,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2 상태에 대한 상태 전압의 ADC 값(320)은 685이다. 제2 상태에 대한 ADC 값(320)은 토너 리로드 킷(130)의 도킹 동작이 감지되기 전까지 유지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의 도킹 동작이 완료되어야 전기적인 접점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토너 리로드 킷(130)의 도킹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에도 제2 상태에 대한 ADC 값(320)은 유지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ADC 값(320)으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를 삽입(insert)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의 그래프를 참고하면, 토너 리로드 킷(130)의 삽입 상태에서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인증 동작,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 동작, 토너 리로드 킷(130)의 도킹 시작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3 상태는, 카트리지에 토너가 주입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에 토너 리로드 킷(130)이 도킹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토너 리로드 킷(130)이 카트리지에 삽입된 제2 상태에서 180도 회전(예를 들면, 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이 수행되면, 토너 배출구와 토너 수용기의 입구가 맞물리게 되어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토너를 주입할 수 있는 도킹된 제3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그래프를 참고하면,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3 상태에 대한 ADC 값(330)은 78이다. 제3 상태에 대한 ADC 값(330)은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감지하기 전까지 유지될 수 있다. 토너의 주입이 완료되어야 전기적인 접점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에도 제3 상태에 대한 ADC 값(330)은 유지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ADC 값(330)으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를 도킹(dock)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의 그래프를 참고하면, 토너 리로드 킷(130)의 도킹 상태에서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도킹 완료 동작, 잠금 장치의 잠금 동작, 토너 리로드 킷(130)의 토너 주입 시작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4 상태는,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이다. 토너의 주입이 완료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너 리로드 킷 내의 메모리에 리필 완료 기록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이 카트리지로부터 제거될 수 있도록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그래프를 참고하면,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4 상태에 대한 ADC 값(340)은 337이다. 제4 상태에 대한 ADC 값(340)은 토너 리로드 킷(130)의 언도킹 동작이 감지되기 전까지 유지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의 언도킹 동작이 완료되어야 전기적인 접점의 상태가 변경될 수 있으므로, 토너 리로드 킷(130)의 언도킹 동작이 시작되는 시점에도 제4 상태에 대한 ADC 값(340)은 유지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ADC 값(340)으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를 디스펜스(dispense)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의 그래프를 참고하면, 토너 리로드 킷(130)의 디스펜스 상태에서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토너의 주입 완료 동작, 토너 리로드 킷(130)의 메모리에 토너 리필 완료 기록을 저장하는 동작,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메모리에 토너량의 토너 잔량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동작, 잠금 장치의 잠금 해제 동작, 토너 리로드 킷(130)의 언도킹 시작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5 상태는, 카트리지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이 제거될 수 있도록 토너 리로드 킷(130)이 언도킹된 상태이다. 구체적으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후, 토너 리로드 킷(130)이 도킹된 제3 상태에서 180도 회전(예를 들면, 반시계 방향으로 180도 회전)이 수행되면, 카트리지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이 제거될 수 있는 언도킹된 제5 상태가 될 수 있다. 이 경우, 도 3의 그래프를 참고하면,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5 상태에 대한 ADC 값(350)은 724이다. 제5 상태에 대한 ADC 값(350)은 카트리지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이 제거되기 전까지 유지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ADC 값(350)으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를 언도킹(undock)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도 3의 그래프를 참고하면, 토너 리로드 킷(130)의 언도킹 상태에서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언도킹 완료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0)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이 제거된 상태가 감지되면, 토너 리로드 킷(130)의 상태는 제1 상태가 되고, ADC 값(360)은 1014가 된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ADC 값(360)으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를 제거 상태로 결정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거 상태에서는 화상 형성 장치(1100)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이 제거되는 동작이 수행될 수 있다.
도 4는 일실시예에 따라, 토너 리로드 킷의 리필 동작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4의 화상 형성 장치(100)의 동작 410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에서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카트리지로의 토너 리필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화상 형성 장치(100) 내의 센서를 통해 카트리지로 토너를 리필하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과 화상 형성 장치(1100)의 결합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 전압을 획득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획득된 상태 전압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 동작 상태를 판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센서를 통해, 토너 리로드 킷(130)이 화상 형성 장치(110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상태 전압을 획득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상태 전압에 기초하여,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전압은, 토너 리로드 킷(130)과 화상 형성 장치(1100)의 결합 상태에 따라, 토너 리로드 킷(130) 내의 전기적인 접점이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변동되고, 전기적인 접점이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저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너 리로드 킷(130)의 리필 동작 상태는 토너 리로드 킷(130)과 화상 형성 장치(1100)의 결합 상태에 기초하여 판단될 수 있다. 즉, 리필 동작 상태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를 나타낼 수 있다. 리필 동작 상태는, 화상 형성 장치(1100)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이 제거된 제1 상태, 화상 형성 장치(1100)에 토너 리로드 킷(130)이 삽입된 제2 상태, 제2 상태에서 카트리지에 토너가 주입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에 토너 리로드 킷(130)이 도킹(dock)된 제3 상태,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제4 상태, 제3 상태에서 카트리지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이 제거될 수 있도록 토너 리로드 킷(130)이 언도킹(undock)된 제5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420에서, 판단 결과, 판단 결과, 토너 리로드 킷에서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이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의 메모리에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도록 토너 리로드 킷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의 상태 정보가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메모리에 리필 정보가 저장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리필 정보는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일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의 메모리에 리필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메모리에 리필 정보가 저장되도록 토너 리로드 킷(130)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너 리로드 킷에서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이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필 동작 중 일부 동작이 생략되었는지를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온 상태 직후에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로 변경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의 삽입 상태에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까지의 동작이 생략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판단 결과, 일부 동작이 생략되었으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을 인증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의 인증이 성공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메모리에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너 리필 프로세스 내의 소정 동작이 생략되면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가 획득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상태 정보가 토너 리로드 킷(130)의 비정상적인 리필 동작에 따라 획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토너 리필 프로세스 내의 소정 동작은 토너 리로드 킷(130)의 소정 제어 상태에 대응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생략된 소정 동작에 기초하여, 토너 리로드 킷(130)의 인증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의 인증이 완료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메모리에 리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온 상태 직후에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가 획득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상태 정보가 토너 리로드 킷(130)의 비정상적인 리필 동작에 따라 획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온 상태 직후에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가 획득됨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10)의 동작은 도 7 내지 도 8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100)에 토너 리로드 킷(130)이 삽입된 상태에서, 토너 리로드 킷(130)으로부터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로 변경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을 카트리지에 도킹시키는 동작이 생략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메모리에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확인 결과, 토너 리로드 킷(130)의 메모리에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메모리에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화상 형성 장치(1100)에 토너 리로드 킷(130)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상태 정보에서, 토너 리로드 킷(130)으로부터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상태 정보로의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제1 상태 정보에서 상기 제2 상태 정보로의 변경을 토너 리로드 킷(130)의 비정상적인 리필 동작에 따라 획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제1 상태 정보에서 제2 상태 정보로의 변경이 검출됨에 따른 화상 형성 장치(110)의 동작은 도 9 내지 도 10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생략된 소정 동작에 대응되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소정 제어 상태에, 화상 형성 장치(1100)에 상기 토너 리로드 킷(130)이 삽입된 상태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생략된 소정 동작에 대응되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소정 제어 상태에, 화상 형성 장치(1100)에 상기 토너 리로드 킷(130)이 삽입된 상태가 포함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430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주입된 토너량에 기초하여,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화상 형성 장치(1100) 내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토너 잔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너 리로드 킷(130)의 메모리에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리필 정보가 저장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카트리지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이 제거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1100) 내의 잠금 장치를 해제할 수 있다.
도 5a는 일실시예에 따라, 토너 리로드 킷의 리필 동작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a의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510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화상 형성 장치(1100) 내의 센서를 통해 카트리지로 토너를 리필하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520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상태에 대응되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리필 동작이 토너 리필 프로세스에 따른 정상적인 동작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필 프로세스 및 센서의 이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이전 상태 정보에서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로의 변경이 토너 리필 프로세스에 따른 정상적인 변경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전 상태 정보에서 상태 정보로의 변경이 비정상적인 변경이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리필 동작을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520은, 도 5b의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525-1 및 동작 525-2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530에서, 리필 동작이 비정상적인 동작이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리필 동작에 대한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센서의 상태 정보의 이력 및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 프로세스 중에서 생략할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및 토너 리필 프로세스가 완료될 수 있도록 제어 상태에서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후속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도 5b의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535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를 통해 업데이트된 토너 잔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따라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 정보를 정확하게 반영하여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에 담긴 토너를 카트리지로 주입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인증이 완료된 토너 리로드 킷(130) 내의 메모리에 리필 완료 기록이 저장되도록 토너 리로드 킷(130)을 제어할 수 있다. 이 경우,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메모리에 토너의 주입 완료를 정확하게 기록하기 위해, 토너 리로드 킷(130)의 재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카트리지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이 제거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1100) 내의 잠금 장치의 잠금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도 5b는 일실시예에 따라, 토너 리로드 킷의 리필 동작을 수행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5b의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525-1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필 프로세스 및 센서의 이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이전 상태 정보에서 상태 정보로의 변경이 토너 리필 프로세스에 따른 정상적인 변경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현재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현재 상태 정보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필 프로세스 및 센서의 상태 정보 이력에 기초하여, 생략된 동작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의 이전 상태 정보가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전원이 오프 상태를 나타내고, 센서의 현재 상태 정보가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전원이 온 상태 직후에 카트리지에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가 삽입 상태, 도킹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이 생략된 것으로 결정하고, 센서의 상태 정보의 변경을 비정상적인 변경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센서의 이전 상태 정보가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가 삽입 상태를 나타내고, 센서의 현재 상태 정보가 카트리지에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가 도킹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이 생략된 것으로 결정하고, 센서의 상태 정보의 변경을 비정상적인 변경으로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525-2에서, 이전 상태 정보에서 상태 정보로의 변경이 비정상적인 변경이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리필 동작을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변경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535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센서의 상태 정보의 이력 및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 프로세스 중에서 생략할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및 토너 리필 프로세스가 완료될 수 있도록 토너 리필 프로세스의 제어 상태에서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후속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100)에서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되고, 온 상태 직후에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가 디스펜스 상태로 된 것으로 감지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이 삽입 상태 및 도킹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을 생략하고, 디스펜스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펜스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은, 토너 리필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수행될 때 디스펜스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기존 동작, 및 토너 리필 프로세스가 비정상적으로 수행됨으로써, 디스펜스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보완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완 동작은, 토너 리로드 킷(130)의 재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일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언도킹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센서를 통해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가 삽입 상태에서 디스펜스 상태로 변경된 것이 감지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이 도킹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을 생략하고, 디스펜스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언도킹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6은 일실시예에 따라,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토너 리로드 킷의 제어 상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서 설명했던 바와 같이,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는, 화상 형성 장치(1100)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이 제거된 상태인 제거 상태(610), 화상 형성 장치(1100)에 토너 리로드 킷(130)이 삽입된 상태인 삽입 상태(620), 카트리지에 토너가 주입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에 토너 리로드 킷(130)이 도킹된 상태인 도킹 상태(630),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인 디스펜스 상태(640), 카트리지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이 제거될 수 있도록 토너 리로드 킷(130)이 언도킹된 상태인 언도킹 상태(650)로 분류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가 변경됨에 따라 센서로부터 획득되는 상태 전압도 변경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상태 전압에 기초하여,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에 대응되는 리필 동작이 토너 리필 프로세스에 따른 정상적인 동작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토너 리필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는, 제거 상태(610), 삽입 상태(620), 도킹 상태(630), 디스펜스 상태(640), 언도킹 상태(650), 제거 상태(610)의 순서로 변경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필 프로세스 및 센서의 이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이전 상태 정보에서 현재의 상태 정보로의 변경이 토너 리필 프로세스에 따른 정상적인 변경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너 리필 프로세스에 따라, 제거 상태(610)에서 삽입 상태(620)로의 변경, 삽입 상태(620)에서 제거 상태(610)로의 변경, 삽입 상태(620)에서 도킹 상태(630)로의 변경, 도킹 상태(630)에서 삽입 상태(620)로의 변경, 도킹 상태(630)에서 디스펜스 상태(640)로의 변경, 디스펜스 상태(640)에서 언도킹 상태(650)로의 변경, 언도킹 상태(650)에서 디스펜스 상태(640)로의 변경, 언도킹 상태(650)에서 제거 상태(610)로의 변경, 제거 상태(610)에서 언도킹 상태(650)로의 변경은, 선행 상태에서 바로 다음 상태인 후행 상태로의 변경, 또는 후행 상태에서 바로 이전 상태인 선행 상태의 변경이므로 토너 리필 프로세스에 따른 정상적인 변경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삽입 상태(620), 도킹 상태(630), 언도킹 상태(650)에 대응되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리필 동작 시에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의 리필 완료 여부를 저장하지 않으므로,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전원 온 상태(601)에서 삽입 상태(620)로의 변경, 전원 온 상태(601)에서 도킹 상태(630)로의 변경, 전원 온 상태(601)에서 언도킹 상태(650)로의 변경은, 토너 리필 프로세스에 따른 정상적인 변경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7은 일실시예에 따라, 토너 리로드 킷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을 참고하면,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전원이 오프 상태(602)에서 온 상태(601)로 된 직후,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센서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가 디스펜스 상태(640)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에서 전원이 온 상태(601)로 된 직후에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가 디스펜스 상태(640)로 감지된 경우, 디스펜스 상태(640)에 대한 ADC 값은 소정 크기를 갖는 값일 수 있다. 즉, 센서는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전원이 온 상태(601)로 된 직후에 토너 리로드 킷(130)의 디스펜스 상태(640)로의 변경(710)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전원 오프 상태(602)에서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되고,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전원이 온 상태(601)로 된 경우, 센서는 상태의 변경을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전원이 온 상태(601)로 된 직후에 디스펜스 상태(640)로의 변경(710)으로 인식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전원이 오프 상태(602)가 되기 전에 토너 리로드 킷(130)이 도킹 상태(630)까지 제어되고, 전원 오프 상태(602)에서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되고,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전원이 온 상태(601)로 된 경우, 센서는 상태의 변경을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전원이 온 상태(601)로 직후에 디스펜스 상태(640)로의 변경(710)으로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전원이 오프 상태(602)가 되기 전에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되었지만, 토너의 리필 완료를 저장하지 않은 상태에서 전원이 오프 되고, 온 상태(601)로 된 경우, 센서는 상태의 변경을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전원이 온 상태(601)로 된 직후에 디스펜스 상태(640)로의 변경(710)으로 인식할 수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전원이 온 상태(601)로 된 직후에 디스펜스 상태(640)로 감지되는 경우는,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되었지만, 전원이 오프 상태(602)로 된 경우, 센서의 이상으로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 정보가 업데이트 되지 않은 경우, 잠금 장치의 잠금이 유지되어 토너 리로드 킷(130)을 화상 형성 장치(1100)로부터 제거하지 못하는 경우 등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에서 전원이 온 상태(601)로 된 직후에,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가 디스펜스 상태(640)로 감지되면,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되고, 토너의 리필 완료 정보가 화상 형성 장치(1100) 또는 토너 리로드 킷(13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이 경우, 실제로 토너 리로드 킷(130)에 남아있는 토너량과 토너 리로드 킷(130)의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검출된 토너량이 불일치할 수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1100)에서 전원이 온 상태(601)로 된 직후에,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가 디스펜스 상태(640)로 감지되는 경우, 실제로 토너 리로드 킷(130)에 남아있는 토너량과 토너 리로드 킷(130)의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검출된 토너량이 불일치할 수 있기 때문에,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전원이 온 상태(601)로 된 직후에 디스펜스 상태(640)로의 변경(710)을 비정상적인 변경으로 결정하고, 토너 리로드 킷(130)의 리필 동작을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결정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전원이 온 상태(601)로 되기 이전에 비정상적인 동작이 수행되었음을 결정할 수 있다.
도 8은 일실시예에 따라, 도 7에서 검출된 토너 리로드 킷의 비정상적인 동작에 대한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화상 형성 장치(1100)에서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되고, 온 상태 직후에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가 디스펜스 상태로 되면, 도 8의 그래프(820)에 따라, 센서로부터 획득된 ADC 값은, 디스펜스 상태에 대한 ADC 값(821)인 337일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ADC 값(821)에 기초하여,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된 이후에 바로 토너 리로드 킷(130)이 디스펜스 상태로 검출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온 상태 직후에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가 디스펜스 상태로 검출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에 의한 리필 동작을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8의 흐름도(81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100)는 비정상적인 리필 동작에 대한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811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재인증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812에서, 토너의 주입 완료 후에,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 내의 메모리에 리필 완료 기록이 저장되도록 토너 리로드 킷(130)을 제어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813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814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카트리지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이 제거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1100) 내의 잠금 장치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비정상적인 리필 동작 시에 화상 형성 장치(1100)에서 동작 811 내지 동작 814이 수행됨으로써,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고, 토너 리로드 킷(130)의 메모리에 토너 리필 완료 기록을 저장할 수 있고, 화상 형성 장치(1100)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이 제거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즉, 도 8의 그래프(8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이 삽입 상태 및 도킹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을 생략하고, 디스펜스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언도킹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9는 다른 일실시예에 따라, 토너 리로드 킷의 비정상적인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를 참고하면, 센서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가 삽입 상태(620)에서 디스펜스 상태(640)로의 변경(910)을 감지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 도중에 토너 리로드 킷(130)이 일시적으로 화상 형성 장치(1100)와 분리되면서 토너의 리필 완료 정보가 화상 형성 장치(1100) 또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고, 화상 형성 장치(1100)에 다시 결합된 경우, 센서는 삽입 상태(620)에서 디스펜스 상태(640)로의 변경(910)을 감지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조 공정 및 유통 과정에서 토너 리로드 킷(130)의 디스펜스 상태(640)에 대응되는 전기적인 접점에 결함이 생긴 경우, 센서는 삽입 상태(620)에서 디스펜스 상태(640)로의 변경(910)을 감지할 수 있다.
토너 리필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수행되면,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는 제거 상태(610), 삽입 상태(620), 도킹 상태(630), 디스펜스 상태(640), 언도킹 상태(650), 제거 상태(610)의 순서로 변경될 수 있다. 그러나,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가 삽입 상태(620)에서 디스펜스 상태(640)로 감지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도킹 상태(630)는 누락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또한,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가 토너 리필 프로세스에 따라 순차적으로 변경된 것이 아니기 때문에,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가 디스펜스 상태(640)로 감지되더라도,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되고, 토너의 리필 완료 정보가 화상 형성 장치(1100) 또는 토너 리로드 킷(130) 내의 메모리에 저장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따라서, 실제로 토너 리로드 킷(130)에 남아있는 토너량과 토너 리로드 킷(130)의 메모리에 저장된 정보로부터 검출된 토너량이 불일치할 수 있다.
즉,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가 삽입 상태(620)에서 디스펜스 상태(640)로의 변경이 감지되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삽입 상태(620)에서 디스펜스 상태(640)로의 변경(910)을 비정상적인 변경으로 결정하고, 토너 리로드 킷(130)의 리필 동작을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은 일실시예에 따라, 도 9에서 검출된 토너 리로드 킷의 비정상적인 동작에 대한 후속 동작을 수행하는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가 삽입 상태에서 디스펜스 상태로 변경되면, 도 10의 그래프(1020)에 따라, 센서로부터 획득된 ADC 값은, 삽입 상태에 대한 ADC 값(1022)인 685에서 디스펜스 상태에 대한 ADC 값(1023)인 337로 변경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획득된 ADC 값에 기초하여,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즉,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가 삽입 상태에서 디스펜스 상태로 변경되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130)의 제어 상태가 삽입 상태에서 디스펜스 상태로의 변경이 검출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에 의한 리필 동작을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결정할 수 있다.
도 10의 흐름도(1010)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1100)는 비정상적인 리필 동작에 대한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1011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에서 카트리지로 토너 주입이 완료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토너 주입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주입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토너 주입이 완료된 경우, 화상 형성 장치(1100)는 동작 1012을 수행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1012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 내의 메모리에 리필 완료 기록이 저장되도록 토너 리로드 킷(130)을 제어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1013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1014에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카트리지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130)이 제거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1100) 내의 잠금 장치의 잠금을 해제할 수 있다.
즉, 도 10의 그래프(10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화상 형성 장치(1100)는 토너 리로드 킷(130)이 도킹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을 생략하고, 디스펜스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언도킹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1은 일실시예에 따라, 화상 형성 장치의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에 도시된 화상 형성 장치(1100)는 카트리지(1110),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20), 메모리(1130) 및 프로세서(1140)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 요소가 필수 구성 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 요소보다 많은 구성 요소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100)가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 요소에 의해 화상 형성 장치(1100)가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기 구성 요소들에 대해 살펴본다. 한편, 도 11에 도시된 카트리지(1110)은 도 1에서 설명한 카트리지(100)와 대응될 수 있다.
카트리지(1110)는 화상 형성 장치(1100)에 장착되거나, 화상 형성 장치(1100)로부터 탈거될 수 있다. 카트리지(1110)는 감광드럼과 현상롤러가 설치된 현상기, 감광드럼으로부터 제거된 폐토너가 수용되는 폐토너 수용기, 현상기와 연결되고 토너가 수용되는 토너 수용기를 포함할 수 있다. 토너 수용기는 화상 형성 작업에 사용될 토너를 현상기로 공급할 수 있다. 토너 수용기 내의 토너가 모두 소진되면, 토너 수용기는 토너 리로드 킷으로부터 토너를 공급받을 수 있다. 또한, 카트리지(1110)는 토너 리로드 킷이 카트리지(1110)에 결합되어 토너를 공급할 수 있도록 하는 토너 충전 인터페이스를 구비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20)는 사용자로부터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입력 등을 수신하기 위한 입력부와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에 따른 결과 또는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상태 등의 정보를 표시하기 위한 출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20)는 사용자 입력을 수신하는 조작 패널, 화면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입력부는, 예를 들어, 키보드, 물리 버튼, 터치스크린, 카메라 또는 마이크 등과 같이 다양한 형태의 사용자 입력을 수신할 수 있는 장치들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출력부는,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스피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에 제한되지 않고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20)는 다양한 입출력을 지원하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20)는 카트리지(1110)에 충전된 토너량의 토너 잔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40)는 실시간으로 카트리지(1110)에 남아있는 토너량을 계산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20)는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 정보를 실시간으로 표시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140)는 카트리지(1110)에 토너가 리필 되면,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 정보를 업데이트할 수 있다.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20)는 업데이트 된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20)는 토너 리로드 킷의 조작 방법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메모리(1130)는 화상 형성 장치(1100)와 관련된 프로그램, 데이터 또는 파일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메모리(1130)에 저장된 프로그램을 실행시키거나, 메모리(1130)에 저장된 데이터 또는 파일을 읽어오거나, 새로운 파일을 메모리(1130)에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30)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으로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30)는 프로세서(1140)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할 수 있다.
메모리(1130)는 센서로부터 획득된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30)는 카트리지(1110)의 토너 잔량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메모리(1130)는 토너 리로드 킷에 의한 리필 동작이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검출된 경우 리필 동작이 정상적으로 수행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을 제어하는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며, CPU 등과 같은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각 기능에 대응되는 특화된 프로세서를 적어도 하나 포함하거나, 하나로 통합된 형태의 프로세서일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화상 형성 장치(1100) 내의 센서를 통해 카트리지(1110)로 토너를 리필하는 토너 리로드 킷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40)는 센서를 통해, 토너 리로드 킷이 화상 형성 장치(1100)에 결합된 상태를 나타내는 토너 리로드 킷의 상태 전압을 획득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상태 전압에 기초하여, 토너 리로드 킷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전압은, 토너 리로드 킷이 화상 형성 장치(1100)에 결합된 상태에 따라, 토너 리로드 킷 내의 전기적인 접점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변동되는 저항에 기초하여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너 리로드 킷의 제어 상태는, 화상 형성 장치(1100)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이 제거된 제1 상태, 화상 형성 장치(1100)에 토너 리로드 킷이 삽입된 제2 상태, 제2 상태에서 카트리지(1110)에 토너가 주입될 수 있도록 카트리지(1110)에 토너 리로드 킷이 도킹된 제3 상태, 토너 리로드 킷에서 카트리지(1110)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제4 상태, 제3 상태에서 카트리지(1110)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이 제거될 수 있도록 토너 리로드 킷이 언도킹된 제5 상태를 포함할 수 있다.
센서의 상태 정보가 토너 리로드 킷에서 카트리지(1110)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면, 프로세서(1140)는 토너 리로드 킷의 메모리에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리필 정보가 저장되도록 토너 리로드 킷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센서의 상태 정보가 토너 리로드 킷에서 카트리지(1110)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면, 프로세서(1140)는 토너 리로드 킷의 메모리에 리필 정보가 저장되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의 메모리에 리필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프로세서(1140)는 토너 리로드 킷의 메모리에 리필 정보가 저장되도록 토너 리로드 킷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너 리필 프로세스 내의 소정 동작이 생략되면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가 획득되면, 프로세서(1140)는 상태 정보가 토너 리로드 킷의 비정상적인 리필 동작에 따라 획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토너 리필 프로세스 내의 소정 동작은 토너 리로드 킷의 소정 제어 상태에 대응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생략된 소정 동작에 기초하여, 토너 리로드 킷의 인증 수행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토너 리로드 킷의 인증이 완료되면, 프로세서(1140)는 토너 리로드 킷의 메모리에 리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온 상태 직후에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가 획득되면, 프로세서(1140)는 상태 정보가 토너 리로드 킷의 비정상적인 리필 동작에 따라 획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프로세서(1140)는 화상 형성 장치(1100)에 토너 리로드 킷이 삽입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1 상태 정보에서, 토너 리로드 킷으로부터 카트리지(1110)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제2 상태 정보로의 변경을 검출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제1 상태 정보에서 상기 제2 상태 정보로의 변경을 토너 리로드 킷의 비정상적인 리필 동작에 따라 획득된 것으로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40)는 생략된 소정 동작에 대응되는 토너 리로드 킷의 소정 제어 상태에, 화상 형성 장치(1100)에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이 삽입된 상태가 포함되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생략된 소정 동작에 대응되는 토너 리로드 킷의 소정 제어 상태에, 화상 형성 장치(1100)에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이 삽입된 상태가 포함되면, 프로세서(1140)는 토너 리로드 킷의 인증을 수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토너 리로드 킷에서 카트리지(1110)로 주입된 토너량에 기초하여, 카트리지(1110)의 토너 잔량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30)를 제어하여, 토너 잔량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토너 리로드 킷의 메모리에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리필 정보가 저장되면, 프로세서(1140)는 카트리지(1110)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이 제거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1100) 내의 잠금 장치를 해제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어 상태에 대응되는 토너 리로드 킷의 리필 동작이 토너 리필 프로세스에 따른 정상적인 동작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40)는 토너 리필 프로세스 및 센서의 이전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이전 상태 정보에서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로의 변경이 토너 리필 프로세스에 따른 정상적인 변경인지를 결정할 수 있다. 여기서, 상태 정보는 토너 리로드 킷의 현재의 제어 상태를 나타내는 현재 상태 정보일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토너 리필 프로세스 및 센서의 상태 정보 이력에 기초하여, 생략된 동작이 있는지를 확인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센서의 이전 상태 정보가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전원이 오프 상태를 나타내고, 센서의 현재 상태 정보가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전원이 온 상태 직후에 카트리지(1110)에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프로세서(1140)는 토너 리로드 킷의 제어 상태가 삽입 상태, 도킹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이 생략된 것으로 결정하고, 센서의 상태 정보의 변경을 비정상적인 변경으로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다른 예를 들면, 센서의 이전 상태 정보가 토너 리로드 킷의 제어 상태가 삽입 상태를 나타내고, 센서의 현재 상태 정보가 카트리지(1110)에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를 나타내는 경우, 프로세서(1140)는 토너 리로드 킷의 제어 상태가 도킹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이 생략된 것으로 결정하고, 센서의 상태 정보의 변경을 비정상적인 변경으로 결정할 수 있다.
이전 상태 정보에서 상태 정보로의 변경이 비정상적인 변경이면, 프로세서(1140)는 리필 동작을 비정상적인 동작으로 결정할 수 있다.
리필 동작이 비정상적인 동작이면, 프로세서(1140)는 카트리지(1110)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리필 동작에 대한 후속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로세서(1140)는 센서의 상태 정보의 이력 및 카트리지(1110)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되었는지 확인한 결과에 기초하여, 토너 리필 프로세스 중에서 생략할 적어도 하나의 동작 및 토너 리필 프로세스가 완료될 수 있도록 제어 상태에서 수행할 적어도 하나의 후속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를 들면, 센서를 통해 화상 형성 장치(1100)에서 전원이 오프 상태에서 온 상태로 되고, 온 상태 직후에 토너 리로드 킷의 제어 상태가 디스펜스 상태로 된 것으로 감지되면, 프로세서(1140)는 토너 리로드 킷이 삽입 상태 및 도킹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을 생략하고, 디스펜스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펜스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은, 토너 리필 프로세스가 정상적으로 수행될 때 디스펜스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기존 동작, 및 토너 리필 프로세스가 비정상적으로 수행됨으로써, 디스펜스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보완 동작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보완 동작은, 토너 리로드 킷의 재인증을 수행하는 동작일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1140)는 언도킹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다른 예를 들면, 센서를 통해 토너 리로드 킷의 제어 상태가 삽입 상태에서 디스펜스 상태로 변경된 것이 감지되면, 프로세서(1140)는 토너 리로드 킷이 도킹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을 생략하고, 디스펜스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프로세서(1140)는 언도킹 상태에서 수행되어야 할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카트리지(1110)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경우, 프로세서(1140)는 카트리지(1110)의 토너 잔량 정보를 업데이트 할 수 있다. 프로세서(1140)는 화상 형성 장치(1100)의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20)를 통해 업데이트된 토너 잔량 정보가 표시되도록 할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카트리지(1110)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되지 않은 경우, 프로세서(1140)는 토너 리로드 킷에 담긴 토너를 카트리지(1110)로 주입하도록 가이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140)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120)를 통해 토너 리로드 킷의 조작 방법을 가이드 하는 가이드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를 들면, 카트리지(1110)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경우, 프로세서(1140)는 인증이 완료된 토너 리로드 킷 내의 메모리에 리필 완료 기록이 저장되도록 토너 리로드 킷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140)는 카트리지(1110)로부터 토너 리로드 킷이 제거될 수 있도록 화상 형성 장치(1100) 내의 잠금 장치의 잠금 동작을 해제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화상 형성 장치(1100)의 동작 방법은 컴퓨터 또는 프로세서에 의하여 실행 가능한 명령어 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에서 실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으로 작성가능하고,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를 이용하여 이와 같은 프로그램을 동작시키는 범용 디지털 컴퓨터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매체는 read-only memory (ROM), random-access memory (RAM), flash memory, CD-ROMs, CD-Rs, CD+Rs, CD-RWs, CD+RWs, DVD-ROMs, DVD-Rs, DVD+Rs, DVD-RWs, DVD+RWs, DVD-RAMs, BD-ROMs, BD-Rs, BD-R LTHs, BD-REs, 마그네틱 테이프, 플로피 디스크, 광자기 데이터 저장 장치, 광학 데이터 저장 장치, 하드 디스크, 솔리드-스테이트 디스크(SSD), 그리고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저장할 수 있고, 프로세서나 컴퓨터가 명령어를 실행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나 컴퓨터에 명령어 또는 소프트웨어, 관련 데이터, 데이터 파일, 및 데이터 구조들을 제공할 수 있는 어떠한 장치라도 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개시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Claims (15)

  1. 토너 리로드 킷에서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카트리지로의 토너 리필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토너 리로드 킷에서 상기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이면,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의 메모리에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도록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을 제어하는 단계; 및
    상기 토너 리로드 킷에서 상기 카트리지로 주입된 토너량에 기초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리필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토너 리로드 킷과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결합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 전압을 획득하는 단계; 및
    상기 획득된 상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토너 리필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전압을 획득하는 단계는,
    상기 토너 리로드 킷과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결합 상태에 따라, 상기 토너 리로드 킷 내의 전기적인 접점이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로 변동되고, 상기 전기적인 접점의 온 상태 또는 오프 상태에 따라 결정되는 저항에 기초하여, 상기 상태 전압을 획득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리필 동작 상태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로부터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이 제거된 제1 상태;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이 삽입된 제2 상태;
    상기 카트리지에 토너가 주입될 수 있도록 상기 카트리지에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이 도킹된 제3 상태;
    상기 토너 리로드 킷에서 상기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제4 상태; 및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이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이 언도킹된 제5 상태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의 메모리에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도록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토너 리로드 킷에서 상기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이면,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의 메모리에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의 메모리에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리필 정보가 저장되어 있지 않으면,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의 메모리에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의 메모리에 상기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도록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토너 리로드 킷에서 상기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이면 토너 리필 동작 중 일부 동작이 생략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일부 동작이 생략되었으면,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을 인증하는 단계; 및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의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의 메모리에 상기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리로드 킷에서 상기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이면 토너 리필 동작 중 일부 동작이 생략되었는지를 판단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온 상태 직후에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로 변경되면, 토너의 삽입 상태에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까지의 동작이 생략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의 메모리에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도록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을 제어하는 단계는
    상기 화상 형성 장치에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이 삽입된 상태에서, 상기 토너 리로드 킷으로부터 상기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로 변경되면,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을 상기 카트리지에 도킹시키는 동작이 생략된 것으로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의 메모리에 상기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었는지를 확인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의 메모리에 상기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면,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이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화상 형성 장치의 동작 방법.
  10. 토너 리로드 킷에서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카트리지로의 토너 리필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명령어들;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토너 리로드 킷에서 상기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이면,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의 메모리에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도록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을 제어하는 명령어들; 및
    상기 토너 리로드 킷에서 상기 카트리지로 주입된 토너량에 기초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로 저장된 컴퓨터 판독 가능 저장 매체..
  11. 토너 리로드 킷으로부터 토너를 공급받는 카트리지;
    상기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 정보를 표시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
    프로세서; 및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토너 리로드 킷에서 화상 형성 장치 내의 카트리지로의 토너 리필 동작 상태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토너 리로드 킷에서 상기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이면,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의 메모리에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도록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을 제어하고,
    상기 토너 리로드 킷에서 상기 카트리지로 주입된 토너량에 기초하여, 상기 카트리지의 토너 잔량 정보를 업데이트 하는,,화상 형성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토너 리로드 킷과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결합 상태에 대응하는 상태 전압을 획득하고,
    상기 획득된 상태 전압에 기초하여, 상기 토너 리필 동작 상태를 판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토너 리로드 킷에서 상기 카트리지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이면 토너 리필 동작 중 일부 동작이 생략되었는지를 판단하고,
    상기 판단 결과, 상기 일부 동작이 생략되었으면,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을 인증하고,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의 인증이 성공하면,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의 상기 메모리에 상기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를 저장하는, 화상 형성 장치.
  14.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화상 형성 장치의 온 상태 직후에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로 변경되면, 토너의 삽입 상태에서 토너의 주입이 완료된 상태까지의 동작이 생략된 것으로 판단하는, 화상 형성 장치.
  15.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리지에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을 고정시키는 잠금 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명령어들을 실행함으로써,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의 메모리에 상기 토너 리필 완료를 나타내는 정보가 저장되면, 상기 카트리지로부터 상기 토너 리로드 킷이 제거될 수 있도록 상기 잠금 장치를 해제하는, 화상 형성 장치.
KR1020190061394A 2019-05-24 2019-05-24 토너 리필 중 비정상 동작의 처리 KR20200135026A (ko)

Priority Applications (6)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394A KR20200135026A (ko) 2019-05-24 2019-05-24 토너 리필 중 비정상 동작의 처리
EP19930318.1A EP3871048B1 (en) 2019-05-24 2019-12-06 Handling abnormal operation during toner refill
CN201980087274.XA CN113287067B (zh) 2019-05-24 2019-12-06 对墨粉重填期间的异常操作进行处理
US17/273,385 US11506991B2 (en) 2019-05-24 2019-12-06 Storing information in toner refill kit during toner refill
PCT/US2019/064940 WO2020242525A1 (en) 2019-05-24 2019-12-06 Handling abnormal operation during toner refill
US17/963,395 US11644768B2 (en) 2019-05-24 2022-10-11 Storing information in a toner refill kit during toner refill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1394A KR20200135026A (ko) 2019-05-24 2019-05-24 토너 리필 중 비정상 동작의 처리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35026A true KR20200135026A (ko) 2020-12-02

Family

ID=735534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1394A KR20200135026A (ko) 2019-05-24 2019-05-24 토너 리필 중 비정상 동작의 처리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2) US11506991B2 (ko)
EP (1) EP3871048B1 (ko)
KR (1) KR20200135026A (ko)
CN (1) CN113287067B (ko)
WO (1) WO20202425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36371B2 (ja) * 2019-11-28 2023-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Family Cites Families (2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476704B2 (ja) 1999-03-30 2003-12-10 シャープ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2001117380A (ja) 1999-10-15 2001-04-27 Hitachi Ltd 画像形成装置
JP4051859B2 (ja) 2000-05-11 2008-02-27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インク残量管理装置及びインク残量管理方法
JP2003149929A (ja) 2001-11-14 2003-05-21 Canon Inc 情報記録用メモリ搭載カートリッジ
US6650847B2 (en) * 2001-12-21 2003-11-18 Xerox Corporation Container figuration matching system and method
JP2004101670A (ja) 2002-09-06 2004-04-02 Canon Inc リサイクル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の検知手段、及び画像形成装置
JP4220798B2 (ja) 2002-09-20 2009-02-04 株式会社リコー 粉体収納容器
US6862420B1 (en) 2003-09-26 2005-03-01 Xerox Corporation Toner container cartridge and refilling apparatus
JP2005231250A (ja) 2004-02-20 2005-09-02 Seiko Epson Corp 印刷装置、及び印刷システム
JP2004199095A (ja) * 2004-03-29 2004-07-15 Fuji Photo Film Co Ltd 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2005326772A (ja) 2004-05-17 2005-11-24 Fuji Xerox Co Ltd 画像形成装置
JP4532986B2 (ja) 2004-05-19 2010-08-25 キヤノン株式会社 トナー補給容器及び画像形成装置
KR100693341B1 (ko) * 2004-12-10 2007-03-09 삼성전자주식회사 리필토너 판별기능을 구비한 화상형성장치 및 그 방법
KR101076035B1 (ko) 2005-02-01 2011-10-21 삼성전자주식회사 화상형성장치의 현상기
KR100738948B1 (ko) 2006-02-20 2007-07-18 주식회사 에이아이티 토너 리필장치
US20090153602A1 (en) * 2007-12-18 2009-06-18 Thomas Daniel Brown Printing Cartridge Refill Method And Associated Cartridge Refill System
JP5509450B2 (ja) * 2009-10-26 2014-06-04 株式会社リコー 現像剤搬送装置、画像形成装置、現像剤搬送方法、現像剤搬送プログラム及び記録媒体
JP2013195923A (ja) 2012-03-22 2013-09-30 Ricoh Co Ltd トナー補給容器、これを備えた現像装置、プロセスカートリッジ及び画像形成装置
JP6816533B2 (ja) 2017-01-27 2021-01-20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形成装置
JP6900748B2 (ja) * 2017-03-31 2021-07-07 ブラザー工業株式会社 画像記録装置
KR20190125106A (ko) * 2018-04-27 2019-11-06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리필 토너 공급
KR20200004613A (ko) * 2018-07-04 2020-01-14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화상형성장치의 토너 리필 제어
KR20200004630A (ko) * 2018-07-04 2020-01-14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재사용 가능한 리필 장치를 이용한 토너 리필 제어
KR102390148B1 (ko) * 2018-08-30 2022-04-2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리필 카트리지의 토너의 주입 완료 검출
KR102390147B1 (ko) * 2018-08-30 2022-04-25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현상 카트리지와 본체 간의 인터페이스를 통해 본체에 연결되는 토너 리필 카트리지
KR102404582B1 (ko) * 2018-11-06 2022-06-02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리필 과정에서의 에러 처리 방법
KR102673428B1 (ko) * 2019-01-16 2024-06-07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리필 장치의 연결 상태를 판단하기 위한 방법
KR20200143115A (ko) * 2019-06-14 2020-12-23 휴렛-팩커드 디벨롭먼트 컴퍼니, 엘.피. 토너 리필 카트리지에서의 토너 주입량 검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506991B2 (en) 2022-11-22
WO2020242525A1 (en) 2020-12-03
EP3871048B1 (en) 2024-05-22
US11644768B2 (en) 2023-05-09
US20230032397A1 (en) 2023-02-02
EP3871048A4 (en) 2022-09-21
US20220050403A1 (en) 2022-02-17
CN113287067A (zh) 2021-08-20
EP3871048A1 (en) 2021-09-01
CN113287067B (zh) 2024-01-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644768B2 (en) Storing information in a toner refill kit during toner refill
JP5870538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カートリッジ
KR20190125106A (ko) 장착된 토너 카트리지에 리필 토너 공급
US20240142892A1 (en) Method for error handling in the toner refill process
US11442380B2 (en) Controlling toner refill by using toner refill cartridge
KR102390148B1 (ko) 토너 리필 카트리지의 토너의 주입 완료 검출
US20210191290A1 (en) Detecting toner injection amount of toner refill cartridge
EP3762785B1 (en) Structure for selectively locking toner inlet shutter
JP3979320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管理制御方法
US20230391097A1 (en) Authentication of consumable by opening and closing of parts
JP2020065205A (ja) 画像形成システム
US20240004327A1 (en) Image forming apparatus, image forming method, and non-transitory recording medium
EP4356202A1 (en) Control of drive unit according to detection of amount of toner in toner refill cartridge
JP2007083504A (ja) デジタルプリント装置
JP6638684B2 (ja) 画像処理装置
JP3979321B2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画像形成装置の管理制御方法
JP2004029132A (ja) 画像形成装置及びその自己診断方法
JP2004286949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現像カートリッジ不正取出情報の記憶制御方法
JP2005121986A (ja) 画像形成装置および該装置の制御方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