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19240A - 통신 유닛 및 차량 - Google Patents

통신 유닛 및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19240A
KR20200119240A KR1020207021633A KR20207021633A KR20200119240A KR 20200119240 A KR20200119240 A KR 20200119240A KR 1020207021633 A KR1020207021633 A KR 1020207021633A KR 20207021633 A KR20207021633 A KR 20207021633A KR 20200119240 A KR20200119240 A KR 202001192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ntenna
communication unit
housing
circuit board
plate por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2163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2493B1 (ko
Inventor
유이치 오무라
Original Assignee
야마하 모터 파워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 모터 파워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 모터 파워 프로덕츠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1192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192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49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49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1/3822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specially adapted for use in vehicl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01Q1/325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 H01Q1/3283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characterised by the location of the antenna on the vehicle side-mounted antennas, e.g. bumper-mounted, door-mount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0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1/02Arrangement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for radio sets, television sets, telephones, or the like; Arrangement of control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0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6/02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 B60R16/023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Arrangement of elements of electric or fluid circuit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lectric constitutive elements for transmission of signals between vehicle parts or subsystem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12Supports; Mounting means
    • H01Q1/20Resilient mounting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QANTENNAS, i.e. RADIO AERIALS
    • H01Q1/00Details of, or arrangements associated with, antennas
    • H01Q1/27Adaptation for use in or on movable bodies
    • H01Q1/32Adaptation for use in or on road or rail vehicl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3Co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BTRANSMISSION
    • H04B1/00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H04B3/00 - H04B13/00; Details of transmission systems not characterised by the medium used for transmission
    • H04B1/38Transceivers, i.e. devices in which transmitter and receiver form a structural unit and in which at least one part is used for functions of transmitting and receiving
    • H04B2001/3894Waterproofing of transmission devi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Remote Sensing (AREA)
  • Details Of Aerials (AREA)
  • Casings For Electric Apparatus (AREA)
  • Support Of Aerials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Transceivers (AREA)

Abstract

통신 유닛은 통신 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과, 통신 회로에 접속된 안테나와, 회로기판 및 안테나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한다. 하우징은 상판부, 하판부 및 외벽부를 포함한다. 상판부는 하판부의 상방에 위치한다. 상판부, 하판부 및 외벽부에 의해 내부공간이 형성된다. 내부공간내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에 회로기판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고 또한 측면에서 볼 때에 상판부의 하면으로부터 회로기판보다 하방의 위치까지 돌출하는 내벽부가 형성된다.

Description

통신 유닛 및 차량
본 발명은 통신 유닛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에 관한 것이다.
예를 들면 골프 카트와 같이, 지면에 매설된 전자 유도선을 따라 이동하는 차량에서는 주행로의 미리 정해진 정점과 통신을 행하는 통신 유닛이 설치된다. 이러한 통신 유닛은 차량의 하부에 설치되므로, 지면으로부터 받는 물 또는 진흙 등의 영향을 저감할 필요가 있다.
특허문헌 1에는 전기기기의 밀봉구조가 기재되어 있다. 특허문헌 1의 밀봉구조에서는 케이스내가 구획판으로 제 1 수납 공간과 제 2 수납 공간으로 구획되어 있다. 제 1 수납 공간에는 회로 블록이 수납되고, 제 2 수납 공간에는 안테나 블록이 수납되어 있다. 회로 블록은 밀봉수지로 밀봉되어 있다.
일본 특허공개 2007-300198호
특허문헌 1에 기재된 밀봉구조에 의하면, 제조시에 케이스내의 회로 블록을 수지로 밀봉하는 공정이 필요하게 된다. 또한 밀봉후에 회로 블록의 조정 작업을 행할 수 없다. 또한, 완전 밀폐 구조를 갖는 통신 유닛을 제조하는 것은 곤란하며, 비용도 비싸진다.
본 발명의 목적은 지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경우라도 완전 밀폐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물의 영향이 저감됨과 아울러,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 가능한 통신 유닛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국면에 따른 통신 유닛은 통신 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과, 통신 회로에 접속된 안테나와, 회로기판 및 안테나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하우징은 상판부, 하판부 및 외벽부를 포함하고, 상판부는 하판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판부, 하판부 및 외벽부에 의해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내부공간내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에 회로기판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고 또한 측면에서 볼 때에 상판부의 하면으로부터 회로기판보다 하방의 위치까지 돌출하는 내벽부가 형성된다.
그 통신 유닛에 있어서는 하우징의 내부공간내에 물이 침입한 경우라도 회로기판이 상판부 및 내벽부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으므로, 침입한 물이 회로기판에 도달하기 어렵다. 또한 하우징이 완전 밀폐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조 비용이 저감됨과 아울러, 제조공정이 복잡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통신 유닛이 지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경우라도 완전 밀폐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물의 영향이 저감된다. 또한 통신 유닛이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 가능해진다.
하우징은 안테나와 상판부의 하면 사이에 제 1 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안테나와 하판부의 상면 사이에 제 2 공간이 형성되도록 내부공간내에서 안테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고, 지지부는 상판부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안테나는 복수의 돌출부에 의해 내부공간내에 지지되어도 좋다.
이 경우, 안테나가 하우징의 상판부로부터 내부공간내에서 매달아지므로, 안테나에 부착된 물이 낙하하기 쉽고, 안테나의 표면에 고이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안테나의 성능의 현저한 저하가 억제된다.
안테나는 서로 이간해서 이웃하는 제 1 및 제 2 안테나 부분을 포함하고, 복수의 돌출부는 제 1 안테나 부분을 지지하는 제 1 돌출부와, 제 2 안테나 부분을 지지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제 1 안테나 부분에 대한 제 1 돌출부의 지지 부분과 제 2 안테나 부분에 대한 제 2 돌출부의 지지 부분이 비연속으로 되도록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제 1 돌출부와 제 2 돌출부가 물로 가교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안테나 부분의 표면 및 제 1 및 제 2 안테나 부분 사이에 물이 고이는 것이 억제된다.
하우징은 상판부 및 외벽부를 가짐과 아울러 하부 개구를 갖는 케이스와, 하판부를 가짐과 아울러 케이스의 하부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하부 개구의 외측 가장자리는 평면에서 볼 때에 내벽부의 하단으로 둘러싸여지는 영역의 외측에 있고, 케이스의 외벽부와 덮개가 서로 감합됨으로써 내부공간이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하우징의 하부 개구의 외측 가장자리가 내벽부의 하단의 외측에 있음과 아울러, 덮개가 그 하부 개구를 폐색함으로써, 물이 회로기판에 더 도달하기 어렵다. 또한 하우징의 내부공간내에 물이 침입한 경우라도 침입한 물은 케이스와 덮개의 감합 부분으로부터 외부로 배출된다.
하부 개구의 외측 가장자리는 외벽부의 하단에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간단한 구조로 물이 회로기판에 도달하기 어려워진다.
케이스의 외벽부의 하측 가장자리부는 제 1 절곡 구조를 갖고, 덮개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제 2 절곡 구조를 갖고, 외벽부의 하측 가장자리부와 덮개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감합함과 아울러, 제 1 절곡 구조 및 제 2 절곡 구조에 의해 라비린스 구조가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케이스의 제 1 절곡 구조와 덮개의 제 2 절곡 구조에 의해 라비린스 구조가 형성되므로, 케이스와 덮개가 완전 밀폐 구조를 갖지 않고, 하우징의 내부공간내로의 물의 침입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하우징의 하단 가장자리부에 배수 경로가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하우징의 내부공간내에 물이 침입한 경우라도 그 물이 중력에 의해 내부공간내의 하부로 이동하고, 하우징의 배수 경로를 통해 배출된다. 그것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공간내에 물이 고이는 것이 억제된다.
배수 경로를 하우징의 하방의 공간에 연통시키는 제 1 구멍이 하우징에 형성됨과 아울러, 제 1 구멍의 상방에서 배수 경로를 하우징의 외부의 공간에 연통시키는 제 2 구멍이 하우징에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하우징의 내부공간으로부터 배수 경로에 안내된 물이 제 1 구멍을 통해 하우징의 하방으로 배출된다. 한편, 하우징의 하방으로부터 제 1 구멍을 통해 배수 경로에 들어온 물은 그대로 상방의 제 2 구멍을 통해 배출된다. 그것에 의해, 배수 경로를 통해 하우징의 내부공간내에 물이 침입하기 어렵다.
하우징의 하판부의 상면은 외방 또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이 경우, 하우징의 하판부의 상면에 부착된 물이 흘러내리기 쉽다. 그것에 의해, 하우징의 내부공간내에 물이 고이는 것이 억제된다.
안테나는 외벽부와 내벽부 사이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회로기판이 내벽부의 내측의 공간에 위치하고, 안테나가 내벽부와 외벽부 사이의 공간에 위치한다. 이 경우, 안테나에의 일시적인 물의 부착에 의한 성능의 저하는 회로기판에의 물의 부착에 비해서 작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회로기판을 둘러싸는 내벽부의 내측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내벽부와 외벽부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회로기판을 하우징의 내부공간내에 침입한 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회로기판은 안테나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안테나와 지면 사이의 거리를 작게 하면서 회로기판을 물에 접촉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국면에 따른 차량은 좌우 한쌍의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과, 메인 프레임보다 상방에 배치된 바닥 부재와, 차량 전후 방향에 있어서 메인 프레임을 지면 상에 지지하도록 설치된 조타륜과, 상기 통신 유닛을 구비하고, 통신 유닛은 차량 평면에서 볼 때에 한쌍의 프레임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통신 유닛의 최상부는 바닥 부재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통신 유닛의 최하부는 메인 프레임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이 경우, 통신 유닛이 바닥 부재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하므로, 안테나와 지면 사이의 거리가 작아진다. 그것에 의해, 통신 유닛과 지면의 통신 대상 사이의 통신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유닛이 메인 프레임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므로, 차량의 주행 중에 통신 유닛이 지면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포크리프트에 의한 차량의 운반시에 포크가 통신 유닛에 접촉하지 않는다. 그것에 의해, 통신 유닛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차량은 차량 측면에서 볼 때에 조타륜보다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된 차륜을 더 구비하고, 통신 유닛의 안테나는 차량 측면에서 볼 때에 차륜보다 조타륜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이 경우, 조타륜의 조타각에 의존해서 안테나와 지면의 통신 대상의 거리가 변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통신 유닛이 지면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경우라도 완전 밀폐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물의 영향이 저감됨과 아울러, 통신 유닛이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 가능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신 유닛의 하우징을 비스듬히 하방으로부터 본 경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통신 유닛의 하우징을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본 경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는 회로기판 및 안테나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케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5는 회로기판 및 안테나가 부착된 케이스의 저면도이다.
도 6은 안테나 지지용의 리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7은 덮개의 평면도이다.
도 8은 도 4 및 도 7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9는 도 4 및 도 7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10은 도 4 및 도 7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11은 도 1의 통신 유닛을 구비하는 골프 카트의 외관 측면도이다.
도 12는 골프 카트에 있어서의 통신 유닛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3은 통신 유닛의 침수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유닛의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유닛 및 그것을 구비한 차량에 대해서 설명한다.
(1)통신 유닛의 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유닛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통신 유닛의 하우징을 비스듬히 하방으로부터 본 경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통신 유닛의 하우징을 비스듬히 상방으로부터 본 경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1∼도 3 및 후술하는 도면에는 위치 관계를 명확히 하기 위해서 서로 직교하는 X방향, Y방향 및 Z방향을 나타내는 화살표가 붙여져 있다. X방향 및 Y방향은 수평면내에서 서로 직교하고, Z방향은 연직방향에 상당하다.
도 1에 나타내듯이 통신 유닛(1)은 케이스(10), 덮개(20), 회로기판(30) 및 안테나(40)를 포함한다. 케이스(10) 및 덮개(20)가 하우징(50)을 구성한다. 하우징(50)내에 회로기판(30) 및 안테나(40)가 수용되어 있다. 케이스(10)는 하부 개구를 갖는다. 케이스(10)의 하부 개구가 덮개(20)에 의해 폐색된다. 케이스(10) 및 덮개(20)에 의해 내부공간(IS)이 형성된다. 회로기판(30)에는 배선 케이블(CA)이 접속되어 있다.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듯이 케이스(10)는 장방 형상의 상판부(11)(도 3 참조) 및 4개의 외벽부(12a∼12d)를 갖는다. 본 예에서는 상판부(11)는 X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단변 및 Y방향으로 연장되는 한쌍의 장변을 갖는다. 한쌍의 외벽부(12a,12b)는 상판부(11)의 2개의 단변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다른 한쌍의 외벽부(12c,12d)는 상판부(11)의 2개의 장변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도 2에 나타내듯이 외벽부(12a∼12d)에 의해 둘러싸여진 영역내에서, 상판부(1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으로 돌출하는 4개의 내벽부(13a∼13d)가 형성되어 있다. 한쌍의 내벽부(13a,13b)는 X방향으로 연장되고, 다른 한쌍의 내벽부(13c,13d)는 Y방향으로 연장된다. 내벽부(13a∼13d)의 하단의 위치는 외벽부(12a∼12d)의 하단의 위치보다 높다. 도 2에 있어서는 내벽부(13a∼13d)에 도트 패턴이 붙여져 있다.
상판부(11)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돌출하도록, 복수의 리브(R1) 및 복수의 보스(B1,B2,B3)가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리브(R1) 및 복수의 보스(B1,B2,B3)의 상세한 배치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한쌍의 외벽부(12a,12b)의 하단으로부터 각각 외방 또한 수평으로 돌출하는 부착부(121a,121b)가 형성되어 있다. 각 부착부(121a,121b)에는 복수의 부착구멍(122)이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는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덮개(20)는 하판부(21)를 구비한다. 하판부(21)의 하면에는 보강용의 복수의 리브(R2)가 격자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하판부(21)의 외주연에는 복수의 노치(n1)가 형성되어 있다. 덮개(20)는 케이스(10)와 마찬가지로 플라스틱 재료에 의해 일체적으로 형성된다.
도 3에 나타내듯이 케이스(10)의 상판부(11)에는 배선 케이블(CA)의 취출 구멍(111)이 외벽부(12d)와 내벽부(13d) 사이의 부분에 형성되어 있다. 덮개(20)의 하판부(21)의 상면은 외방 또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다. 상세하게는 하판부(21)는 장방 형상의 수평부(211) 및 4개의 사다리꼴 형상의 경사부(212a∼212d)를 포함한다. 경사부(212a∼212d)는 수평부(211)의 4변으로부터 각각 비스듬히 하방으로 연장된다. 그것에 의해, 하우징(50)의 내부공간(IS)내에 물이 침입한 경우, 하우징(50)의 하판부(21)의 상면에 부착된 물이 흘러내리기 쉽다.
덮개(20)의 상면의 가장자리부를 따라 상방으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벽(213)이 형성되어 있다. 이웃하는 돌출벽(213) 사이에 배수용의 노치(n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덮개(20)의 상면에 복수(본 예에서는 4개)의 대좌(215)가 형성되어 있다. 각 대좌(215)에는 관통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대좌(215)는 케이스(10)의 후술하는 덮개 부착용의 보스(B2)에 나사로 부착된다.
도 4는 회로기판(30) 및 안테나(40)가 부착되어 있지 않은 케이스(10)의 저면도이다. 도 4에 상세하게 나타내듯이 외벽부(12a∼12d)와 내벽부(13a∼13d)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안테나 지지용 및 보강용의 복수의 리브(R1)가 X방향 및 Y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복수의 리브(R1)는 지지부 또는 복수의 돌출부의 예이다. 리브(R1)의 상세한 형상에 대해서는 후술한다.
또한 외벽부(12a∼12d)와 내벽부(13a∼13d)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안테나 유지용의 복수의 보스(B1) 및 덮개 부착용의 복수(본 예에서는 4개)의 보스(B2)가 형성되어 있다. 또한, 내벽부(13a∼13d)에 의해 둘러싸여지는 영역에 있어서, 회로기판 유지용의 복수의 보스(B3)가 형성되어 있다. 각 보스(B1,B2,B3)에는 나사 구멍이 형성되어 있다. 각 보스(B1)는 리브(R1)에 일체적으로 형성되어 있다. 이웃하는 2개의 리브(R1)에 형성되는 2개의 보스(B1) 중 한쪽의 보스(B1)는 내측(내벽부(13a∼13d)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고, 다른쪽의 보스(B1)는 외측(외벽부(12a∼12d)에 가까운 위치)에 형성되어 있다.
도 5는 회로기판(30) 및 안테나(40)가 부착된 케이스(10)의 저면도이다. 외벽부(12a∼12d)와 내벽부(13a∼13d) 사이의 영역에 있어서, 안테나(40)가 대략 직사각형상으로 연장되도록 복수의 리브(R1) 상에 배치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1개의 안테나(40)가 연속하는 2중의 직사각형상을 형성한다. 안테나(40)는 도 4의 복수의 보스(B1)에 나사(S1)에 의해 고정된다. 안테나(40)의 양단부는 회로기판(30)에 전기적으로 접속되어 있다.
내벽부(13a∼13d)에 의해 둘러싸여진 영역에 있어서, 회로기판(30)이 도 4의 복수의 보스(B3)에 나사(S2)에 의해 고정된다. 회로기판(30)은 복수의 배선 패턴을 갖는다. 회로기판(30)의 상면 및 하면에는 복수의 전자부품(31)이 실장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후술하는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태그(200)(도 11)와 통신을 행하는 통신 회로가 형성되어 있다.
내벽부(13a∼13d)는 평면에서 볼 때에 회로기판(30)의 전체 둘레를 둘러싼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듯이 내벽부(13a∼13d)는 측면에서 볼 때에 회로기판(30)보다 하방의 위치까지 돌출한다.
도 1에 나타내듯이 안테나(40)와 케이스(10)의 상판부(11) 사이에는 제 1 공간(SP1)이 형성되고, 안테나(40)와 덮개(20)의 하판부(21) 사이에는 제2공간(SP2)이 형성된다. 이 경우, 안테나(40)가 하우징(50)의 상판부(11)로부터 내부공간(IS)내에서 매달려진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로기판(30)과 상판부(11) 사이에는 제 3 공간(SP3)이 형성되고, 회로기판(30)과 하판부(21) 사이에는 제 4 공간(SP4)이 형성된다. 회로기판(30)은 안테나(4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도 6은 안테나 지지용의 리브의 구성을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도 6에는 X방향 또는 Y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2개의 리브(R1)의 정면도가 세로로 나란히 나타내어져 있다. 이웃하는 2개의 리브(R1)의 한쪽을 리브(R1a)라고 칭하고, 다른쪽을 리브(R1b)라고 칭한다. 또한 리브(R1a)에 일체화된 보스(B1)를 보스(B1a)라고 칭하고, 리브(R1b)에 일체화된 보스(B1)를 보스(B1b)라고 칭한다. 또한, 보스(B1a)에 부착되는 나사(S1)를 나사(S1a)라고 칭하고, 보스(B1b)에 부착되는 나사(S1)를 나사(S1b)라고 칭한다. 리브(R1a,R1b)가 제 1 및 제 2 돌출부의 예이다.
도 6에 있어서, 내벽부(13a∼13d)에 가까운 위치를 내측이라고 칭하고, 외벽부(12a∼12d)에 가까운 위치를 외측이라고 칭한다. 한쪽의 리브(R1a)의 하단 중앙에 하방을 향하는 돌기(Pa)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R1a)의 하단의 내측부분에 오목부(Na)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R1a)의 외측의 단부에 보스(B1a)가 형성되어 있다. 다른쪽의 리브(R1b)의 하단 중앙에 하방을 향하는 돌기(Pb)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R1b)의 하단의 외측부분에 오목부(Nb)가 형성되어 있다. 리브(R1b)의 내측의 단부에 보스(B1b)가 형성되어 있다.
안테나(40)는 X방향 또는 Y방향에 있어서 이웃하는 제 1 안테나 부분(41) 및 제 2 안테나 부분(42)을 포함한다. 제 1 안테나 부분(41)은 제 2 안테나 부분(42)의 외측에 위치한다.
제 1 안테나 부분(41)은 한쪽의 리브(R1a)의 돌기(Pa)와 보스(B1a) 사이에서 리브(R1a)의 하단의 외측부분에 지지되고, 나사(S1a)에 의해 보스(B1a) 상에 고정된다. 또한 제 1 안테나 부분(41)은 다른쪽의 리브(R1b)의 오목부(Nb)내에서 리브(R1b)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제 2 안테나 부분(42)은 다른쪽의 리브(R1b)의 돌기(Pb)와 보스(B1b) 사이에서 리브(R1b)의 하단의 내측부분에 지지되고, 나사(S1b)에 의해 보스(B1b) 상에 고정된다. 또한 제 2 안테나 부분(42)은 한쪽의 리브(R1a)의 오목부(Na)내에서 리브(R1a)로부터 이간되어 있다.
또, 본 예에서는 보스(B1a,B1b)의 하단에 제 1 및 제 2 안테나 부분(41,42)의 측면을 따라 노치(n4)가 형성되어 있다. 제 1 및 제 2 안테나 부분(41,42)은 보스(B1a,B1b)의 노치(n4)와 나사(S1a,S1b) 사이에 고정된다.
이러한 리브(R1a,R1b)의 구성에 의하면, 제 1 안테나 부분(41)에 대한 리브(R1a)의 지지 부분과 제 2 안테나 부분(42)에 대한 리브(R1b)의 지지 부분이 비연속으로 된다. 이 경우, 리브(R1a)와 리브(R1b)가 물로 가교되는 것이 억제된다. 그것에 의해, 제 1 및 제 2 안테나 부분(41,42)의 표면 및 제 1 및 제 2 안테나 부분(41,42) 사이에 물이 고이는 것이 억제된다.
도 7은 덮개(20)의 평면도이다. 덮개(20)의 하판부(21)의 상면의 외주연을 따라 홈이 배수 경로(DR)로서 형성되어 있다. 도 8은 도 4 및 도 7의 A-A선 단면도, 도 9는 도 4 및 도 7의 B-B선 단면도, 도 10은 도 4 및 도 7의 C-C선 단면도이다.
도 8∼도 10에 나타내듯이 외벽부(12a)의 하단부는 수평 외방으로 절곡되고, 또한 하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외벽부(12b∼12d)의 하단부의 구조도 외벽부(12a)의 하단부와 동일하다. 그것에 의해, 외벽부(12a∼12d)의 하측 가장자리부에 제 1 절곡 구조(FS1)가 형성된다.
덮개(20)의 외주부는 하방으로 절곡되고, 수평 외방으로 절곡되고, 또한 상방으로 절곡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덮개(20)의 외측 가장자리부에 제 2 절곡 구조(FS2)가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외벽부(12a∼12d)의 하측 가장자리부와 덮개(20)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감합함과 아울러, 케이스(10)의 제 1 절곡 구조(FS1)와 덮개(20)의 제 2 절곡 구조(FS2)에 의해 라비린스 구조가 형성된다. 그 결과, 케이스(10)와 덮개(20)가 완전 밀폐 구조를 갖지 않고, 하우징(50)의 내부공간(IS)내에의 물의 침입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2 절곡 구조(FS2)에 의해 배수 경로(DR)가 형성된다. 배수 경로(DR)는 하우징(50)의 하단 외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된다. 도 8에 나타내듯이 배수 경로(DR)는 덮개(20)의 노치(n2)를 통해서 하우징(50)의 내부공간(IS)에 연통한다. 그것에 의해, 내부공간(IS)에 침입한 물은 화살표(W1)로 나타내듯이 배수 경로(DR)에 안내된다. 도 9에 나타내듯이 노치(n1,n2)를 제외한 부분에서는 배수 경로(DR)의 상부는 외벽부(12a)(및 외벽부(12b∼12d))에 의해 폐쇄되어 있다. 도 10에 나타내듯이 덮개(20)의 노치(n1)와 케이스(10)의 외벽부(12a)(및 외벽부(12b∼12d))에 의해 하방의 공간에 연통하는 배수 구멍(h1)이 형성된다. 배수 경로(DR)에 안내된 물은 화살표(W2)로 나타내듯이 배수 구멍(h1)을 통해서 하방으로 배출된다. 외벽부(12a)(및 외벽부(12b∼12d))에는 상방의 외부공간에 연통하는 배수 구멍(h2)이 형성되어 있다. 본 예에서는 각 배수 구멍(h2)은 배수 구멍(h1)의 상방에 배치되어 있다. 배수 구멍(h1)이 제 1 구멍의 예이며, 배수 구멍(h2)이 제 2 구멍의 예이다.
이 경우, 하우징(50)의 내부공간(IS)으로부터 배수 경로(DR)에 안내된 물이 배수 구멍(h1)을 통해서 하우징(50)의 하방으로 배출된다. 한편, 하우징(50)의 하방으로부터 배수 구멍(h1)을 통해서 배수 경로(DR)에 들어온 물은 화살표(W3)로 나타내듯이 그대로 상방의 배수 구멍(h2)을 통해서 배출된다. 그것에 의해, 배수 경로(DR)를 통해 하우징(50)의 내부공간(IS)내에 물이 침입하기 어렵다.
(2)통신 유닛(1)을 구비한 차량
다음에 통신 유닛(1)을 구비한 차량의 예로서 골프 카트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11은 도 1의 통신 유닛(1)을 구비하는 골프 카트의 외관 측면도이다. 도 12는 골프 카트에 있어서의 통신 유닛의 위치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11에 나타내듯이 골프 카트(100)는 차체(110), 전륜인 한쌍의 조타륜(120) 및 한쌍의 후륜(130)을 갖는다. 차체(110)는 메인 프레임(MF)을 갖는다. 메인 프레임(MF)의 상방에는 바닥 부재(FL)가 설치되어 있다.
바닥 부재(FL) 상의 대략 중앙부에는 전방부 시트(140)가 설치되고, 바닥 부재(FL) 상의 후방에는 후방부 시트(150)가 설치되어 있다. 전방부 시트(140)의 전방에는 핸들(160)이 설치되어 있다. 전방부 시트(140)에 착좌하는 탑승자가 핸들(160)을 조작함으로써, 조타륜(120)의 방향이 조정되고, 골프 카트(100)의 조타가 행해진다. 지면(G)에는 RFID 태그(200)가 매설되어 있다.
통신 유닛(1)의 최상부는 바닥 부재(FL)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통신 유닛(1)의 최하부는 메인 프레임(MF)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한다. 즉, 지면(G)으로부터 통신 유닛(1)의 최상부까지의 높이(H1)는 지면(G)으로부터 바닥 부재(FL)까지의 높이(Hf)보다 낮다. 또한 지면(G)으로부터 통신 유닛(1)의 최하부까지의 높이(H2)는 지면(G)으로부터 메인 프레임(MF)의 하단까지의 높이(Hm)보다 높다.
도 12에 나타내듯이 메인 프레임(MF)은 좌우의 프레임 부재(Fa,Fb)에 의해 구성된다. 통신 유닛(1)은 좌우의 프레임 부재(Fa,Fb) 사이에 배치된다. 본 예에서는 통신 유닛(1)은 좌우의 프레임 부재(Fa,Fb) 사이의 중심선(CL) 상에 배치된다.
이러한 배치에 의해, 안테나(40)와 지면(G) 중의 RFID 태그(200) 사이의 거리가 작아진다. 그것에 의해, 통신 유닛(1)과 RFID 태그(200) 사이의 통신 상태를 양호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유닛(1)이 메인 프레임(MF)의 최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므로, 골프 카트(100)의 주행 중에 통신 유닛(1)이 지면(G)에 접촉하는 것을 회피할 수 있다. 또한 포크리프트에 의한 골프 카트(100)의 운반시에 포크가 통신 유닛(1)에 접촉하지 않는다. 그것에 의해, 통신 유닛(1)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통신 유닛(1)의 안테나(40)는 후륜(130)보다 조타륜(120)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그것에 의해, 조타륜(120)의 조타각에 의존하는 내륜차 및 외륜차에 기인해서 안테나(40)와 RFID 태그(200)의 거리가 변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그 결과, 통신 유닛(1)과 RFID 태그(200)의 안정된 통신이 확보된다.
(3)실시형태의 효과
도 13은 통신 유닛(1)의 침수시의 상태를 나타내는 모식도이다. 골프 카트(100)가 예를 들면 물 고임부 위를 통과한 경우, 통신 유닛(1)이 경사져서 일시적으로 하우징(50)의 내부공간(IS)내에 물이 침입하는 일이 있다. 이러한 경우라도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유닛(1)에 있어서는 회로기판(30)이 상판부(11) 및 내벽부(13a∼13d)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으므로, 침입한 물이 회로기판(30)에 도달하기 어렵다. 도 13의 예에서는 하우징(50)의 내부공간(IS)내에 있어서의 수면이 하우징(50)의 외측에 있어서의 수면보다 낮고, 상판부(11) 및 내벽부(13a∼13d)로 둘러싸여진 공간내에 있어서의 수면이 내벽부(13a∼13d)의 외측에 있어서의 수면보다 낮다. 그것에 의해, 회로기판(30)에 물이 부착되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유닛(1)에서는 회로기판(30)이 수지로 밀봉되어 있지 않고, 하우징(50)이 완전 밀폐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으므로, 제조 비용이 저감됨과 아울러, 제조공정이 복잡화되지 않는다. 따라서, 통신 유닛(1)이 지면(G)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경우라도 완전 밀폐 구조를 필요로 하지 않고 물의 영향이 저감된다. 또한 통신 유닛(1)이 저비용으로 용이하게 제조 가능해진다. 또한, 통신 유닛(1)의 제조후에 회로기판(30) 상의 전자부품(31)의 조정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10)의 제 1 절곡 구조(FS1)와 덮개(20)의 제 2 절곡 구조(FS2)에 의해 라비린스 구조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케이스(10)와 덮개(20)가 완전 밀폐 구조를 갖지 않고, 하우징(50)의 내부공간(IS)내로의 물의 침입을 저감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배수 경로(DR)가 하우징(50)의 하단 외측 가장자리부에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우징(50)의 내부공간(IS)내에 물이 침입한 경우라도 그 물이 중력에 의해 내부공간(IS)내의 하부로 이동하고, 하우징(50)의 배수 경로(DR)를 통해 배출된다. 그것에 의해, 하우징(50)의 내부공간(IS)내에 물이 고이는 것이 억제된다.
또한, 덮개(20)의 하판부(21)의 상면이 외방 또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으므로, 하우징(50)의 내부공간(IS)내에 물이 침입한 경우, 하우징(50)의 하판부(21)의 상면에 부착된 물이 외방의 배수 경로(DR)로 흘러내리기 쉽다. 그것에 의해, 하우징(50)의 내부공간(IS)내에 물이 고이는 것이 억제된다.
안테나(40)에의 일시적인 물의 부착에 의한 성능의 저하는 회로기판(30)에의 물의 부착에 비해서 작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로기판(30)이 내벽부(13a∼13d)의 내측의 공간에 위치하고, 안테나(40)가 내벽부(13a∼13d)와 외벽부(12a∼12d) 사이의 공간에 위치하므로, 회로기판(30)을 둘러싸는 내벽부(13a∼13d)의 내측의 공간을 작게 할 수 있다. 그것에 의해, 내벽부(13a∼13d)와 외벽부(12a∼12d) 사이의 거리를 크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그 결과, 회로기판(30)을 하우징(50)의 내부공간(IS)내에 침입한 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또한 안테나(40)가 하우징(50)의 상판부(11)로부터 내부공간(IS)내에서 매달려지므로, 안테나(40)에 부착된 물이 낙하하기 쉽고, 안테나(40)의 표면에 고이는 것이 억제된다. 그 결과, 안테나(40)의 성능의 현저한 저하가 억제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회로기판(30)은 안테나(4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다. 이 경우, 안테나(40)와 지면(G) 사이의 거리를 작게 하면서 회로기판(30)을 물에 접촉되기 어렵게 할 수 있다.
(4)다른 실시형태
(a)도 1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형태에 따른 통신 유닛(1)의 단면도이다. 도 14의 통신 유닛(1)이 도 1의 통신 유닛(1)과 다른 것은 케이스(10)의 외벽부(12a∼12d)와 내벽부(13a∼13d) 사이에 중간벽부(14)가 설치되어 있는 점이다. 중간벽부(14)은 평면에서 볼 때에 내벽부(13a∼13d)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고 또한 측면에서 볼 때에 상판부(11)의 하면으로부터 내벽부(13a∼13d)의 하단보다 하방의 위치까지 돌출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케이스(10)는 내벽부(13a∼13d)의 하단으로 둘러싸여지는 하부 개구(이하, 내측 개구(OP1)라고 부른다), 중간벽부(14)의 하단으로 둘러싸여지는 하부 개구(이하, 중간 개구(OP2)라고 부른다.), 및 외벽부(12a∼12d)의 하단으로 둘러싸여지는 하부 개구(이하, 외측 개구(OP3)라고 부른다.)를 갖는다.
중간 개구(OP2)의 외측 가장자리는 중간벽부(14)의 하단에 있다. 외측 개구(OP3)의 외측 가장자리는 외벽부(12a∼12d)의 하단에 있다. 도 1의 통신 유닛(1)에 있어서는 외측 개구(OP3)가 덮개(20)의 하판부(21)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이에 대하여 도 14의 통신 유닛(1)에서는 중간 개구(OP2)가 덮개(20)의 하판부(21)에 의해 폐색되어 있다. 중간벽부(14)의 외측의 영역에 있어서, 하판부(21)에 구멍(h3)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도 14의 구성에 있어서도, 회로기판(30)이 상판부(11) 및 내벽부(13a∼13d)에 의해 둘러싸여져 있으므로, 하우징(50)의 내부공간(IS)내에 침입한 물이 회로기판(30)에 도달하기 어렵다. 또, 안테나(40)가 중간벽부(14)와 내벽부(13a∼13d)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도 좋다.
(b)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안테나(40)가 외벽부(12a∼12d)와 내벽부(13a∼13d) 사이의 공간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안테나(40)가 내벽부(13a∼13d)에 의해 둘러싸여진 공간내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안테나(40)가 내벽부(13a∼13d)를 둘러싸도록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안테나(40)가 외벽부(12a∼12d)와 내벽부(13a∼13d) 사이의 일부의 영역에 배치되어도 좋다.
(c)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회로기판(30)이 하우징(50)의 내부공간(IS)내에서 안테나(4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안테나(40)가 회로기판(30)과 같은 높이의 위치 또는 회로기판(30)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되어도 좋다.
(d)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상판부(11) 및 외벽부(12a∼12d)에 의해 케이스(10)가 형성되고, 하판부(21)에 의해 덮개(20)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판부(11)에 의해 덮개가 형성되고, 하판부(21) 및 외벽부(12a∼12d)에 의해 케이스가 형성되어도 좋다.
(e)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50)의 하단 가장자리부에 배수 경로(DR)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하우징(50)의 하판부(21)의 중앙부에 배수 경로(DR)가 형성되어도 좋다. 또는 배수 경로(DR)가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f)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케이스(10)의 제 1 절곡 구조(FS1) 및 덮개(20)의 제 2 절곡 구조(FS2)에 의해 라비린스 구조가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케이스(10)와 덮개(20)의 감합 부분으로부터의 물의 침입이 적은 경우에는 라비린스 구조가 형성되지 않아도 좋다.
(g)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덮개(20)의 하판부(21)의 상면이 외방 또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 있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덮개(20)의 하판부(21)의 상면이 수평면이어도 좋다. 또는 덮개(20)의 하판부(21)의 상면이 내방 또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되어도 좋다. 그 경우, 배수 경로 또는 배수 구멍이 하판부의 중앙부에 형성되어도 좋다.
(h)상기 실시형태에서는 골프 카트(100)의 조타륜(120)이 전륜이지만, 본 발명은 이것에 한정되지 않는다. 후륜이 조타륜이어도 좋다. 그 경우, 통신 유닛(1)의 안테나(40)는 전륜보다 조타륜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골프 카트(100)에 있어서의 통신 유닛(1)의 배치는 일례이며, 통신 유닛(1)이 골프 카트(100)의 다른 부분에 배치되어도 좋다. 또한, 통신 유닛(1)은 골프 카트(100)에 한정되지 않고, 4륜 자동차 또는 자동차 등의 다른 차량에 설치되어도 좋다.

Claims (13)

  1. 통신 회로가 형성된 회로기판과,
    상기 통신 회로에 접속된 안테나와,
    상기 회로기판 및 상기 안테나를 수용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상기 하우징은 상판부, 하판부 및 외벽부를 포함하고, 상기 상판부는 상기 하판부의 상방에 위치하고, 상기 상판부, 상기 하판부 및 상기 외벽부에 의해 내부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내부공간내에 있어서,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회로기판의 전체 둘레를 둘러싸고 또한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상판부의 하면으로부터 상기 회로기판보다 하방의 위치까지 돌출하는 내벽부가 형성된 통신 유닛.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안테나와 상기 상판부의 하면 사이에 제 1 공간이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안테나와 상기 하판부의 상면 사이에 제 2 공간이 형성되도록 상기 내부공간내에서 상기 안테나를 지지하는 지지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지지부는 상기 상판부의 하면으로부터 하방을 향해서 돌출하는 복수의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안테나는 상기 복수의 돌출부에 의해 상기 내부공간내에 지지된 통신 유닛.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서로 이간해서 이웃하는 제 1 및 제 2 안테나 부분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돌출부는 상기 제 1 안테나 부분을 지지하는 제 1 돌출부와, 상기 제 2 안테나 부분을 지지하는 제 2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안테나 부분에 대한 상기 제 1 돌출부의 지지 부분과 상기 제 2 안테나 부분에 대한 상기 제 2 돌출부의 지지 부분이 비연속으로 되도록 상기 복수의 돌출부가 형성된 통신 유닛.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상기 상판부 및 상기 외벽부를 가짐과 아울러 하부 개구를 갖는 케이스와,
    상기 하판부를 가짐과 아울러 상기 케이스의 상기 하부 개구를 폐색하는 덮개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개구의 외측 가장자리는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내벽부의 하단으로 둘러싸여지는 영역의 외측에 있고,
    상기 케이스의 상기 외벽부와 상기 덮개가 서로 감합됨으로써 상기 내부공간이 형성된 통신 유닛.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개구의 외측 가장자리는 상기 외벽부의 하단에 형성된 통신 유닛.
  6. 제 4 항 또는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케이스의 상기 외벽부의 하측 가장자리부는 제 1 절곡 구조를 갖고,
    상기 덮개의 외측 가장자리부는 제 2 절곡 구조를 갖고,
    상기 외벽부의 하측 가장자리부와 상기 덮개의 외측 가장자리부가 감합함과 아울러 상기 제 1 절곡 구조 및 상기 제 2 절곡 구조에 의해 라비린스 구조가 형성 된 통신 유닛.
  7. 제 1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하단 가장자리부에 배수 경로가 형성된 통신 유닛.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배수 경로를 상기 하우징의 하방의 공간에 연통시키는 제 1 구멍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제 1 구멍의 상방에서 상기 배수 경로를 상기 하우징의 외부의 공간에 연통시키는 제 2 구멍이 상기 하우징에 형성된 통신 유닛.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의 상기 하판부의 상면은 외방 또한 하방으로 경사지도록 형성된 통신 유닛.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안테나는 상기 외벽부와 상기 내벽부 사이에 배치된 통신 유닛.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기판은 상기 안테나보다 높은 위치에 배치된 통신 유닛.
  12. 좌우 한쌍의 프레임 부재를 포함하는 메인 프레임과,
    상기 메인 프레임보다 상방에 배치된 바닥 부재와,
    차량 전후 방향에 있어서 상기 메인 프레임을 지면 상에 지지하도록 설치된 조타륜과,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통신 유닛을 구비하고,
    상기 통신 유닛은 차량 평면에서 볼 때에 상기 한쌍의 프레임 부재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통신 유닛의 최상부는 상기 바닥 부재의 하면보다 하방에 위치하고, 상기 통신 유닛의 최하부는 상기 메인 프레임의 하단보다 상방에 위치하는 차량.
  13. 제 12 항에 있어서,
    차량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조타륜보다 전방 또는 후방에 설치된 차륜을 더 구비하고,
    상기 통신 유닛의 상기 안테나는 차량 측면에서 볼 때에 상기 차륜보다 상기 조타륜에 가까운 위치에 배치된 차량.
KR1020207021633A 2018-02-15 2018-10-23 통신 유닛 및 차량 KR10257249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8025346A JP6582073B2 (ja) 2018-02-15 2018-02-15 通信ユニットおよび車両
JPJP-P-2018-025346 2018-02-15
PCT/JP2018/039390 WO2019159437A1 (ja) 2018-02-15 2018-10-23 通信ユニットおよび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19240A true KR20200119240A (ko) 2020-10-19
KR102572493B1 KR102572493B1 (ko) 2023-08-30

Family

ID=67619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21633A KR102572493B1 (ko) 2018-02-15 2018-10-23 통신 유닛 및 차량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1731568B2 (ko)
JP (1) JP6582073B2 (ko)
KR (1) KR102572493B1 (ko)
CN (1) CN111713026B (ko)
WO (1) WO201915943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342685B2 (ja) * 2019-12-20 2023-09-12 三菱自動車工業株式会社 車両の荷室構造
EP4011708A1 (en) * 2020-12-10 2022-06-15 Volvo Truck Corporation Motor vehicle with a box for electronic components extending below the floor of the cabi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0198A (ja) 2006-04-27 2007-11-15 Tatsuno Matsushita Denko Kk 電気機器の封止構造
JP3161101U (ja) * 2010-05-07 2010-07-22 株式会社慶洋エンジニアリング 車載用gpsアンテ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61101B2 (ja) * 1992-11-17 2001-04-25 株式会社ニコン 荷電粒子線描画装置
JPH11312998A (ja) * 1998-04-28 1999-11-09 Kyocera Corp 携帯無線機
JP4550297B2 (ja) 2001-01-30 2010-09-22 株式会社東海理化電機製作所 車両用通信装置
JP4186826B2 (ja) * 2004-01-28 2008-11-26 株式会社デンソー プリント基板の取り付け構造
JP4265990B2 (ja) * 2004-04-12 2009-05-20 株式会社オートネットワーク技術研究所 電気接続箱
JP2010278750A (ja) 2009-05-28 2010-12-09 Panasonic Corp 携帯無線機
JP2011035822A (ja) * 2009-08-05 2011-02-17 Panasonic Corp 携帯無線機
JP2012074524A (ja) * 2010-09-28 2012-04-12 Kyocera Corp 電子機器
JP2013063682A (ja) 2011-09-15 2013-04-11 Alps Electric Co Ltd 車載用電子機器
JP6573078B2 (ja) 2016-07-06 2019-09-11 住友電装株式会社 電気接続箱の排水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300198A (ja) 2006-04-27 2007-11-15 Tatsuno Matsushita Denko Kk 電気機器の封止構造
JP3161101U (ja) * 2010-05-07 2010-07-22 株式会社慶洋エンジニアリング 車載用gpsアンテナ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731568B2 (en) 2023-08-22
CN111713026B (zh) 2022-01-25
JP6582073B2 (ja) 2019-09-25
WO2019159437A1 (ja) 2019-08-22
JP2019145872A (ja) 2019-08-29
CN111713026A (zh) 2020-09-25
KR102572493B1 (ko) 2023-08-30
US20200353875A1 (en) 2020-1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19169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CN1991125B (zh) 用于车辆的车门结构
JP6065692B2 (ja) 電池パック
US9374916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8978804B2 (en) Battery box
KR20200119240A (ko) 통신 유닛 및 차량
JP2002369335A (ja) 電気接続箱の二重壁構造
CN104508928A (zh) 防水箱和装备有防水箱的电气接线箱
US8708379B2 (en) Vehicle bumper structure
US11070084B2 (en) Vehicle
CN105102275A (zh) 车辆端部结构
CN109216971B (zh) 电力转换装置以及电力转换装置在车辆上的安装结构
US20200294749A1 (en) Electric connection box
JP6722140B2 (ja) 接地ガード取付構造
JP2020191165A (ja) 車載用のバッテリケース及びその枠体
US11837857B2 (en) Electrical junction box
US11114829B2 (en) Electric connection box
JP2000125450A (ja) 電気接続箱の防水構造
JP6016191B2 (ja) 車両用バッテリパックの車載構造
JP2012085473A (ja) 車搭用プロテクタの水抜き構造
JP4542493B2 (ja) 電気接続箱
JP2021057991A (ja) 電気接続箱
JP6185784B2 (ja) カウルカバー構造
JP6555004B2 (ja) フェンダー構造
KR102209813B1 (ko) 레이더 장치 마운팅 어셈블리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