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08207A - 화장료 조성물 사용을 위한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방법 - Google Patents

화장료 조성물 사용을 위한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08207A
KR20200108207A KR1020190026935A KR20190026935A KR20200108207A KR 20200108207 A KR20200108207 A KR 20200108207A KR 1020190026935 A KR1020190026935 A KR 1020190026935A KR 20190026935 A KR20190026935 A KR 20190026935A KR 20200108207 A KR20200108207 A KR 2020010820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soluble solvent
fat
cosmetic composition
loquat leaf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269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충우
전태영
윤헤련
김나라
이왕연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씨앤비코스메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씨앤비코스메틱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씨앤비코스메틱
Priority to KR10201900269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108207A/ko
Publication of KR2020010820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08207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 방법을 통해 수득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 방법을 통해 얻은 추출물은 피부에 안전하면서도 피부 미용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보습에 도움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에 유용하다.
(색 인 어) 비파엽 추출물, 포공영 추출물, 지용성 용매 추출방법, 지용성 용매 추출물, 보습 화장료

Description

화장료 조성물 사용을 위한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방법 {A method for extracting fat soluble solvent of Loquat leaf (Eriobotrya japonica Lindley) and Taraxaci Herba(Taraxacum platycarpum) for use as a cosmetic composition}
본 발명은 피부 보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을 사용하기 위한,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 방법에 관한 것이다.
최근 다양한 피부염이 증가하고 있는데 그 중에서도 피부 건조에 의한 트러블 증상이 두드러진다. 건조에 의해 발생한 피부염은 피부의 탈각질화 증세만 나타나는 것이 아니라 염증성 피부병변을 동반하는 경우도 있기 때문에, 화장품 분야에는 피부 트러블을 개선하기 위해 보습 성분을 가진 천연 추출물을 사용하고 있으나, 기존 출시된 천연소재의 안전성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제형 등의 한계점을 극복하는데 있어서 아직 부족하며, 이에 대한 연구 또한 미약한 실정이다. 또한, 천연 추출물을 얻기 위해서는 장시간이 소요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어 실용성이 극히 낮은 단점이 있다.
아토피 피부염은 주로 유아기 혹은 소아기에 시작되는 만성적이고 재발성의 염증성 피부질환으로 소양증(가려움증)과 피부건조증, 특징적인 습진을 동반한다. 발병 원인은 아직 확실하게 알려져 있지 않은 상태이다. 임상 증상도 피부건조증, 습진 등으로 다양하게 나타나기 때문에 발병 원인이 어느 한 가지로만 설명될 수는 없지만, 환경적인 요인과 유전적인 소인, 면역학적 반응 및 피부보호막의 이상 등이 주요 원인으로 여겨지고 있다. 아토피 피부염을 진단하기 위한 검사 또한 따로 존재하지는 않지만 아토피 피부염을 악화시키는 원인을 찾기 위한 검사를 한다. 원인 알레르겐(allergen)을 찾기 위한 검사로는 피부단자검사, 혈청 내 특이 면역글로불린 E 검사가 있으며, 혈청 내 총 면역 글로불린 E 검사, 혈액 내의 호산구 수의 측정, 음식물 경구유발검사, 첩포검사(과민성 반응의 원인을 시험하기 위한 검사. 원인으로 추정되는 물질을 등에 붙여 반응을 확인함), 세균 배양검사 등이 있다. 아토피 피부염을 치료하기 위해서는 건조한 피부의 보습, 피부염 치료를 위한 부신피질호르몬제, 면역조절제, 국소 면역조절제와 가려움증을 치료하기 위한 항히스타민제가사용된다. 본 발명에서는 이와 같은 피부염에 도움이 되고자 피부 보습의 효율을 높이고자 하였다.
비파(Eriobotrya japonica Lindley)는 장미과의 상록 교목으로 우리나라에서는 제주도, 경남 및 전남지방 등 온화한 기후 조건에서 주로 자생하고 예로부터 민간요법으로 청폐, 진해, 거담, 건위, 이뇨, 패혈 해소, 기관지염, 딸국질 및 부종 등에 효능이 있다고 알려져 있다. 비파엽의 성분으로는 quercetin, ursolic acid, oleanolic acid, tannin, chlorogenic acid, caffeoylquinic acid 등이 보고되어 있다. 비파잎에서 분리한 megastigman glycosides와 폴리페놀성분이 항종양 활성을 보였고 이는 녹차의 폴리페놀인 epigallocatechin의 효능에 필적한다고 한다. 비파엽의 성분인 quercetin, kaempferol과 같은 강력한 항산화 효능을 가진 플라보노이드류 때문에 비파엽 추출물이 항산화 및 미백 효과를 보이고, 비파엽에 함유되어 있는 정유 및 nerolidol, tannin, vitamin 등 중 특히 nerolidol은 에센스 오일에 들어있는 성분으로 최근 바르는 치료제의 피부 침투 효과를 증가하는 효소로 이용되고 있기도 하다. 또한 비파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염 예방 및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에 의하면 비파엽 추출물은 항산화성과 아토피와 관련된 항히스타민 및 항염증 활성이 우수하여 아토피의 치료에 있어 항히스타민에 의한 소양감 감소와 염증 활성 억제를 통해 아토피 질환을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는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에 비파엽을 추출하여 얻은 정유 및 분획들은 피부 보습을 통해 피부염에 도움을 줄 수 있어 화장품의 원료로서 우수한 응용 가능성이 있다고 판단하였다.
포공영(Taraxacum platycarpum)은 민들레의 한약명으로서 다년생 초본인 국화과(Compositase)에 속하며, 이른 봄부터 늦가을에 이르기까지 우리나라 전역에 걸쳐 널리 분포한다. 한방에서는 해열, 발한, 건위, 강장 해독, 임파선염, 급성 기관지염, 위염, 간염, 담낭염, 부인병 등의 치료에 사용되어왔다. 또한 예로부터 민들레의 어린 순과 뿌리는 나물이나 국 그리고 구황식물 등으로 식용되었고, 서양에서는 잎은 샐러드용, 뿌리는 커피대용, 꽃은 와인 재료로 이용되어왔다. 포공영에 존재하는 생리활성 성분으로는 전초에서 taraxasterol, taraxerol, 꽃에서 arnidiol, lutein, flavoxanthine 등의 성분이 분리되었으며, 잎에는 lutein, viklaxanthin, plastoquinone 등이 함유되어 있으며, 특히 guainolide sesquiterpene인 desacetyl- matricarin (austricin)은 항 알러지 작용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포공영의 항알러지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RBL-2H3 cell line에 PMA와 A23187을 자극한 후 RBL-2H3 cell내 과립의 degranulation의 억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하여 β-Hexosaminidase의 누출량의 억제 정도를 살펴본 결과 포공영은 농도 의존적으로 현저하게 degranulation을 억제하는 것을 볼 수 있었다. 또한 알러지 반응 시 세포내에서 분비되어 중요한 작용을 하는 것으로 알려진 사이토카인인 TNF-α, IL-4의 합성조절 정도를 살펴본 결과, TNF-α, IL-4의 mRNA 수준에서의 발현의 조절을 통한 합성도 억제하는 것으로 보였다.(조주흠 외 7명, The Anti-allergic Effects of Taraxaci Herba(蒲公英)on the RBL-2H3 Cells, The Journal of Korean Oriental Medical Ophthalmology & Otolaryngology & Dermatology 2007;20(1) : 209-217). 이 결과들로 보아 포공영은 알레르기와 관련된 질환에 치료 약물로서 응용이 가능할 것으로 보이며, 피부 질환에 도움을 줄 것으로 보여 화장품의 탁월한 원료가 될 것으로 판단 되었다.
지금까지의 비파엽과 포공영 추출물에 대한 연구는 대부분 여러 가지 재료가 혼합된 추출물에 관한 것으로 비파엽과 포공영만이 가지고 있는 유효성분의 활용도가 낮았고, 열수 추출에 관한 연구가 많아 지용성 활성 물질 추출물에 대한 적용 및 연구가 미비했다. 이에 지용성 용매 추출이 가능하다면 지금까지 많이 사용 되어온 수용성 추출물이 아닌 지용성 추출물은 다른 효과를 줄 수 있을 것으로 판단하였으며, 비파엽과 포공용의 지용성 용매 추출물을 화장품 조성료로 사용한다면 피부 보습을 통해 피부염에 도움을 줄 수 있을 것이라 판단하였다.
일반적인 천연물 추출 방법으로 열수 추출, 유기용매 추출, 초임계 추출 등의 방법을 사용하고 있다. 열수 추출은 수용성 물질의 유용한 추출법이긴하나 수용성 물질이외 유효한 성분의 함량이 낮으며 고온을 이용함으로써 성분의 안정성 또한 떨어질 수 있는 단점이 있다. 유기 용매 추출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및 이소프로판올로 이루어진 극성 용매 및 에틸아세테이트, 헥산, 디클로메탄 및 클로로포름으로 이루어진 무극성 용매를 이용해 각 용매에 대한 높은 효율의 추출 및 분리 정제가 가능하나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단계별 조작 및 필요한 기기들이 많아 효율성이 떨어지며 유기 용매 잔류의 문제점이 있다. 초임계 추출법은 기체의 고유 임계점 이상의 압력을 가해야함에 따라 안전상 문제가 발생 할 수 있으며, 고압 장치를 설치해야 하기 때문에 경제적인 측면에서 어려움이 있으며 1회 추출되는 물질의 양이 적다는 단점이 있다.
식물에 이용할 수 있는 지용성 물질의 추출 방법으로는 상기 언급한 유기 용매 추출방법 및 초임계 추출방법이 가능하겠으나 상기 언급했던 여러 가지 문제점들로 인해 오일 자체로 식물의 지용성 물질을 추출하는 방법을 고안하였다. 오일은 상온에서는 액체로서 점성이 있고, 가연성이며 물에 용해되지 않고 물보다 가벼워 수면 위에 엷은 층을 이루어 퍼지는 물질로써 각종 고급 지방산인 글리세르에스테르(글리세리드)로 되어 있다. 지방산에는 스테아르산, 팔미트산, 미리스트산 등의 포화지방산과 올레산, 리놀산, 리놀렌산 등의 불포화 지방산이 있다. 그러나 지용성 용매인 오일은 불포화 지방산을 가지고 있는 경우 공기 중 쉬운 산패가 있을 수 있으며 이는 영양소를 파괴하거나 심할 때는 독성을 가질 수도 있고 피부 사용에 부작용이 있을 수 있다. 이런 단점을 고려하여 본 발명의 지용성 용매로 Caprylic/Capric Triglyceride 를 사용하였다.
Caprylic/Capric Triglyceride는 MCT(Medium Chain Triglyceride)로 탄소수 8~10인 지방산을 포함하고 있는 지방이다. 천연에 존재하는 지방으로 구성하고 있는 지방산은 대부분이 탄소수 14이상인 긴사슬지방산이지만, 우유지방, 코코넛유 등에는 중간사슬지방산이 있다. Caprylic/Capric Triglyceride는 카프릴릭과 카프릭애씨드 및 글리세린의 혼합 트라이 에스터로 화장품에는 착향제 및 피부컨디셔닝제, 수분차단제, 용제로 사용된다. 코코넛 오일(야자유)과 글리세린의 복합물로 천연 지방의 일종이며, 불포화 지방산을 함유하지 않아 산화 안전성이 아주 뛰어난 성분이다. 피부 표면을 복구하고 수분을 공급해 주는 역할을 해주어 피부 표면에 수분을 날아가지 않도록 보호막을 형성해 주고, 밀폐 시켜주기 때문에 피부 친화성이 좋은 천연 보습 인자 성분이다. 또한 지방산이긴 하지만 번들거림과 끈적임이 없고 침투성이 좋아 화장품에서 피부를 부드럽고 매끄럽게 만들어주는 고급 성분이다. 오일 제형 타입의 기름기를 잡아주고 수분을 흡수하는 성분들을 고루 섞일 수 있도록 도와주는 용매 역할도 하며 산화 안정성이 뛰어나기 때문에 화장품 안에서도 쉽게 산화되지 않고 제품이 부패 되지 않도록 보호하는 천연 보존제 역할도 수행한다. 파라벤이나 페녹시 에탄올 등 유해성이 의심되는 보존제를 대신해 천연 방부제로 사용되고 피부에 부작용이 거의 없는 EWG 1등급의 안전한 성분으로 미네랄 오일을 대체해 로션이나 크림 등에 많이 이용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는 지용성 용매 선택에 있어 잔류의 문제점이 없고, 산화 안정성이 뛰어나며 부작용이 없고, 피부 보습에도 도움을 주어 화장료 조성물에 더 없이 효과적인 용매 Caprylic/Capric Triglyceride를 선택하였고, 각 추출물 및 지용성 용매만 단일 사용하는 것보다 화장료 조성물로써 시너지 효과를 낼 수 있을 것이라 판단되어진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를 이용한 추출 방법을 개발하게 되었다.
본 발명은 피부 보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비파엽과 포공영 추출물을 화장료 조성물에 사용하고자 하여 추출물의 효과적인 추출 방법을 개발하였다. 일반적인 열수 추출, 유기용매 추출, 그 밖의 추출 방법의 문제점을 개선한 지용성 용매 추출 방법에 대한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과제는 화장료 조성물 사용을 위한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를 이용한 추출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비파엽과 포공영을 분쇄하는 단계, 상기 분쇄된 비파엽과 포공영을 지용성 용매인 Caprylic/Capric Triglyceride로 추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추출 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물은 피부 보습에 도움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통상적인 추출 방법이 아닌 지용성 용매를 이용한 추출방법을 발명하고, 지용성 용매를 이용한 비파엽과 포공영 추출물은 피부보습에 도움을 줄 수 있는 화장료 조성물로 유용하다.
본 발명에 따른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를 이용한 추출방법은 비파엽과 포공영을 분쇄하는 단계와, 상기 분쇄된 비파엽과 포공영을 지용성 용매로 추출하는 단계를 거친다.
이하 각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추출 효율을 높이기 위해 0.5mm~1.0mm로 비파엽과 포공영을 분쇄한다.
다음으로, 분쇄물을 추출 용매로 추출한다. 사용한 추출 용매로는 100% Caprylic/Capric Triglyceride로 원료 중량의 2~10배(부피)의 추출 용매를 부가한다. 상기 추출은 실온추출, 가온추출, 초음파 추출 등의 통상의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추출온도는 당업자가 추출 방법에 적절한 다양한 온도 범위를 채택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20 ℃ 내지 100 ℃등에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국한되지 않는다. 또한, 추출시간은 추출방법에 따라 상이하며, 당업자가 적절한 추출 시간을 채택할 수 있으며, 이에 국한되지 않으나, 약 1 시간 내지 수일의 범위에서 단회 또는 복수회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1차 추출 용매로 추출을 수행하여 얻어진 추출물은 통상의 방법에 따라 여과하여 불순물을 제거한 액상 형태로 얻어 바로 사용 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상기 추출물의 완제품에 대한 함량은 조성물 전체에 대하여 0.0001 내지 90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1 내지 30.0 중량% 범위가 바람직하다. 최소한의 피부보습 효과를 달성할 수 있도록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최소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며, 과량 첨가에 따른 사용감 저하 및 각종 제형에의 적용 가능성을 고려하여 추출물의 함량은 상기 최대치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때, 추출물의 함량은 제형에 함유되는 성분들의 함량에 따라 상기 범위 내에서 적절히 조절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추출물 성분 외에 본 발명이 목적으로 하는 주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주 효과에 상승 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을 함유할 수 있다.
<실시예 1>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
비파엽과 포공영은 한반도에서 자생한 것을 사용하였다. 비파엽과 포공영을 중량의 변화가 없을때까지 실온에서 건조시켜 0.5~1.0mm 크기로 분쇄하여 각각 준비하고 비파엽과 포공영을 중량 대비 1:1의 비율로 혼합, 미분분쇄(~1mm) 분말의 건조 중량의 2~10배 양의 Caprylic/Capric Triglyceride을 가하여 혼합한다. 이 혼합물을 50~60℃에 5~10시간 가온한 후, 24~48시간 상온 교반 방치 한 후, 10㎛ 투과 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로 1차 여과 후, 0.5㎛ 투과 사이즈를 갖는 여과지로 2차 여과하여 지용성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비교예 1> 비파엽과 포공영의 열수 추출
대조군으로 사용된 비파엽과 포공영의 추출물은 동일한 용매 추출 공정을 통해 수득하였고, 전처리 공정은 비파엽과 포공영 지용성 용매 추출 방법과 동일하다. 다만 지용성 용매인 Caprylic/Capric Triglyceride 대신 정제수를 이용하여 추출, 여과하여 비파엽과 포공영의 열수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예 2> 비파엽과 포공영의 에탄올 용매 추출
대조군으로 사용된 비파엽과 포공영의 에탄올 추출물은 동일한 용매 추출 공정을 통해 수득하였고, 전처리 공정은 비파엽과 포공영 지용성 용매 추출 방법과 동일하다. 다만 지용성 용매인 Caprylic/Capric Triglyceride 대신 에탄올을 이용하여 추출, 여과하여 비파엽과 포공영의 에탄올 추출물을 얻었다.
<실험예 1> 데시게이터를 이용한 보습력 측정
본 발명에 따른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물, 열수 추출물 및 에탄올 용매 추출물 5ml을 플레이트에 넣은 후 완전 건조된 CaCl₂를 흡습제로 하여 35℃ 데시케이터에서 무게를 측정하였다. 무게는 총 144시간 동안 측정하였다. 화장품 배합의 보습 성분으로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1,3-부틸렌글리콜(BG), Caprylic/Capric Triglyceride(MCT)을 비교하여 실험결과를 나타내었다. 그 결과를 표 1 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보습력(%) =(1-△S/S) * 100
여기서, S는 초기 표본의 무게이고, △S는 초기 표본의 무게에서 최종 표본의 무게를 차감한 값이다.
보습력 측정
시간(hr) 보습력(%)
BG MCT 비교예 1 비교예 2 실시예1
24 100 100 100 100 100
48 92 90 88 87 97
72 85 88 82 80 95
120 82 85 76 72 94
144 74 82 69 64 92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BG나 MCT에 비해 본 발명에 따른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물의 보습력이 시간 경과에 따라 유의적으로 높았으며, 통상적인 열수 추출물 및 유기용매 추출물과 비교해 볼 때 보습력이 훨씬 높게 보존됨을 확인할 수 있다.
<실험예 2> 피부 보습 평가
2-1 : 피부 수분 증가 효과
본 발명에 따른 비파엽과 포공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용성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의 피부 보습력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설문 조사로 피부가 건조하다고 느끼는 20 내지 40세의 여성 40명을 대상으로 하기 제형 처방예 4.에서 제조된 크림 제품을 1일 2회씩 얼굴에 도포하게 한 후, 1개월간 사용하게 하였다. 도포 시작 전, 항온, 항습 조건(온도 20 내지 22°C, 상대습도 40%)에서 수분보유측정기(독일국 소재 커리지 카자카 일렉트로닉 게엠베하(courage Khazaka electronic GmbH) 제품 corneometer CM825)를 이용하여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기본값을 삼고, 1주, 2주, 4주 경과 후의 피부 전도도를 측정하여 보습의 증가율을 평가하였다. 이때, 양성대조군으로서 지용성 추출물 대신 지질혼합물(세라마이드 : 콜레스테롤 : 지방산 = 2 : 1 : 1)을 사용하여 크림을 제조 하였으며, 지용성 추출물 대신 비교예 1 함유 크림, 비교예 2 함유 크림을 각각 제조하여 보습 효과를 평가하였다. 그 결과를 하기 표 2.(피부 수분 증가율(%))에 나타내었으며, 그 결과 값은 평균값으로 나타내었다.
피부 수분 증가율(%)
시험군 1주 경과 2주 경과 4주 경과
비교예 1 함유크림 15.1 25.0 29.8
비교예 2 함유크림 13.9 23.8 29.5
실시예 1 함유크림 26.5 32.1 34.0
양성대조군 22.0 29.2 32.3
상기 표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비파엽과 포공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지용성 추출물을 함유한 화장품 조성물의 피부 수분 증가율이 높게 측정되었으며, 양성대조군에 비하여도 피부 수분 증가율이 높다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2-2 : 피부 건조 개선 평가(설문)
상기 실험예 2-1의 시험 대상자에 대한 설문지 조사를 통하여 주관적인 효능 평가를 시행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3.(피부 건조 개선 평가)에 나타내었다.
피부 건조 개선 평가
시험군 응답자수
매우 양호 양호 보통 미흡
비교예 1 함유크림 1 1
비교예 2 함유크림 2 2 1
실시예 1 함유크림 8 8 2
양성대조군 8 6 1
<실험예 3> 인체 피부 자극시험 평가
본 발명에 따른 화장품의 안전도를 평가하기 위해 인체 피부 자극시험 평가를 실시하였다. 시험평가는 인체의 피부 1차 자극 시험으로서 첩포시험(팻치테스트)으로 판별하였다. 연구대상은 건강한 20∼40대 피험자 40명을 대상으로 CTFA (The Cosmetic Toiletry and Frangrance Association, Safety testing guidelines)가이드 라인에 따라 실시하였다. 제형 처방예 3. 에서 제조된 제품을 각각을 2g씩 적하 시킨 후, 시험 부위인 좌측 상완 내측에 첩포검사를 실시하였다. 첩포는 12시간 도포하며 첩포를 제거한 후는 마킹 펜(marking pen)으로 시험부위를 표시하며 12시간 간격으로 12시간, 24시간, 36시간, 48시간 후에 각 시험 부위의 염증 및 피부반응을 관찰하여 국제 접촉 피부염 연구회(International Contact Dermatitis Research Group; ICDRG)의 규정에 따라 판정하도록 하였다. 최종 판독 결과는 모두 음성반응을 보여 피부 안전성이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수학식 2)
피부반응도 = (Grade x No. of respones) x 100
3(Maximum. grad) x n(No. of total subjects)
피부 반응도에 따른 평가 기준(계산값)
시험물질
(Sample)
판정기준
0.0~0.9 1.0~2.9 3.0~4.9 5.0이상
무자극 경자극 중자극 강자극
피부 안전성 판독의 판정기준
반응 가중치 판정의 기준
- 0 무반응
± 0.5 희미한 홍반
+ 1 경계가 뚜렷하나 약한 홍반, 부종 및 구진 형성
++ 2 뚜렷한 홍반, 구진 및 수포 형성
+++ 3 대수포 형성
1차 자극 실험 결과
분류 처방예 1 처방예 2 처방예 3 처방예 4 처방예 5 처방예 6
의양성 반응(±) - - - - - -
약양성 반응(+) - - - - - -
접촉성 피부염 유발확률(%) 0.00 0.00 0.00 0.00 0.00 0.00
(-:무자극)
화장료 조성물의 처방예
이하는, 각 화장품 제형에 있어서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물을 함유하여 피부 보습 효과를 갖는 제형으로서의 화장료 조성물의 처방예를 보여주며 처방은 다음과 같다.
<처방예 1> 스킨로션 제조(유연화장수)
스킨로션 베이스제조
원료명 중량%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물 3.0
알파-글루칸 1.0
부틸렌글리콜 2.5
올레일알코올 1.5
에탄올 5.0
폴리솔베이트 80 0.5
피이지-12 노닐페닐에테르 0.2
카르복실비닐폴리머 0.1
글리세린 3.5
트리에탄올아민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처방예 2> 에멀전 베이스 제조
에멀전 베이스 제조
원료명 중량%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물 3.0
글리세린 3.0
디소듐이디티에이 0.05
폴리글리세릴-3-메틸글루코스 디스테아레이트 1.5
세테아릴알코올 0.8
폴리아크릴아마이드 & C13-14이소파라핀 & 라우레스-7 0.6
방부제 적량
정제수 to 100
<처방예 3> 에센스 제조
에센스 제조
원료명 중량%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물 3.0
부틸렌글리콜 3.0
글리세린 3.0
알란토인 0.7
판테놀 0.2
EDTA-2Na 0.05
에탄올 5.0
트리에탄올아민 1.5
스쿠알란 2.0
밀납 2.0
폴리솔베이트60 3.0
카르복실비닐폴리머 1.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2.8
방부제, 색소, 향 적량
정제수 to 100
<처방예 4> 크림 제조
크림 제조
원료명 중량%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물 3.0
밀납 12.0
폴리솔베이트 60 2.0
PEG 60 경화피마자유 2.0
솔비탄세스퀴올레이트 1.0
유동파라핀 30.0
스쿠알란 5.0
글리세린 5.0
부틸렌글리콜 3.5
프로필렌글리콜 3.5
트리에탄올아민 0.3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처방예 5> 바디클린져 제조
바디클린져 제조
원료명 중량%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물 3.0
알킬에텔상산염 (30%) 30.0
알킬에텔설포석신산염 (30%) 15.0
알킬아미도베타인 (30%) 4.0
프로필렌글리콜 5.0
라우라미드디이에이 4.0
베타인 5.0
셀룰로스검 0.1
가수분해단백질 0.2
염화나트륨 미량
구연산 미량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to 100
<처방예 6> 아이크림 제조
아이크림 제조
원료명 중량%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물 3.0
수상점증제 30.0
히아루론산 6.0
베타글루칸 4.0
알부틴 3.0
아데노신 1.0
항산화제 0.1
방부제, 색소, 향료 적량
정제수 35.0

Claims (5)

  1.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 방법을 이용하여 얻은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지용성 용매 MCT를 이용하는 추출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조성물 전체 중량에 대하여 0.001 내지 100 중량%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피부 보습에 도움을 주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장료 조성물.
  5. 제 1항 내지 3항에 있어서, 유연 화장수, 영양 화장수(밀크로션), 겔, 수용성 리퀴드, 영양크림, 맛사지 크림, 에센스, 아이크림, 수중유(O/W) 또는 유중수(W/O)형의 에멀젼, 고체 무수 생성물, 소구체를 사용한 수성 상에서의 오일 분산물, 이온성 또는 비이온성 형태의 지질 소포체의 형태, 연고, 클렌징 크림, 클렌징 폼, 클렌징 워터, 보디오일 등의 기초 화장료 중에서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에 도움을 주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190026935A 2019-03-08 2019-03-08 화장료 조성물 사용을 위한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방법 KR2020010820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935A KR20200108207A (ko) 2019-03-08 2019-03-08 화장료 조성물 사용을 위한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26935A KR20200108207A (ko) 2019-03-08 2019-03-08 화장료 조성물 사용을 위한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08207A true KR20200108207A (ko) 2020-09-17

Family

ID=7270712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26935A KR20200108207A (ko) 2019-03-08 2019-03-08 화장료 조성물 사용을 위한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00108207A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98942B1 (ko) * 2021-05-13 2021-09-07 주식회사 기본에 뛰어난 살균 및 소취효과를 갖는 행주용 물티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행주용 물티슈
KR102381251B1 (ko) 2020-11-11 2022-03-31 차혜영 비파엽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피부 보습용, 피부 여드름 개선용 또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81251B1 (ko) 2020-11-11 2022-03-31 차혜영 비파엽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용, 피부 보습용, 피부 여드름 개선용 또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98942B1 (ko) * 2021-05-13 2021-09-07 주식회사 기본에 뛰어난 살균 및 소취효과를 갖는 행주용 물티슈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행주용 물티슈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0687468B1 (ko) 면역증강 및 보습 효능을 가지는 새싹채소 발효 추출물을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236946B1 (ko) 식물성 추출물을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염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257342B1 (ko) 항균 및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595530B1 (ko) 피부 주름 개선 및 미백 효과가 우수한 경피 흡수 촉진용 리포좀 조성물
KR102083294B1 (ko) 피부재생 효과를 갖는 미선나무 추출물 및 그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재생용 조성물
KR100905386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JP2007230977A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i
KR20200108207A (ko) 화장료 조성물 사용을 위한 비파엽과 포공영의 지용성 용매 추출방법
KR101257435B1 (ko) 세이지 추출물, 레몬밤 추출물, 우뭇가사리 추출물 및 양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아토피 피부 및 피부 자극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0702327B1 (ko) 자극완화 효과를 갖는 동백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조성물
KR101106216B1 (ko) 피부염 예방 화장품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화장품
Stępniowska et al. Selected Alkaloids Used in the Cosmetics Industry.
CN115337239B (zh) 一种具有舒缓及修复功效的精华油及其制备方法
KR20090079468A (ko) 스피루리나 추출물을 함유하는 자극완화 또는 항소양효능을 가진 화장료 조성물
KR20150112103A (ko) 식물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US10806693B2 (en) Method for increasing lipolysis using a composition comprising bioactive Nelumbo nucifera (lotus) extract
KR20080111249A (ko) 치아시드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KR101950331B1 (ko) 곰솔, 개똥쑥 및 유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지 감소 및 여드름 개선을 위한 조성물
KR20050117958A (ko) 복방 생약 추출물이 함유된 나노 리포좀 조성물 및 이를이용한 피부 미백용 화장료
KR102472639B1 (ko) 피부온도 저감, 붓기 완화 효과를 갖는 스포츠 마사지용 화장료 조성물
KR102627566B1 (ko) 병풀 추출물 및 울금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1648466B1 (ko)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JP5047511B2 (ja) 顆粒球・マクロファージコロニー刺激因子(gm−csf)産生抑制剤i
KR20190070081A (ko) 강황 및 생강 혼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102162377B1 (ko) 천연물 유래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