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4859A - 발광 장치 - Google Patents

발광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4859A
KR20200024859A KR1020207002612A KR20207002612A KR20200024859A KR 20200024859 A KR20200024859 A KR 20200024859A KR 1020207002612 A KR1020207002612 A KR 1020207002612A KR 20207002612 A KR20207002612 A KR 20207002612A KR 20200024859 A KR20200024859 A KR 2020002485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light
substrate
region
ed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26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361414B1 (ko
Inventor
가즈아키 아라이
Original Assignee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248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48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14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14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F21S43/195Details of lamp holders, terminals or connect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QARRANGEMENT OF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FOR VEHICLES IN GENERAL
    • B60Q1/00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 B60Q1/26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 B60Q1/44Arrangement of optical signalling or lighting devices, the mounting or supporting thereof or circuits therefor the devices being primarily intended to indicate the vehicle, or parts thereof, or to give signals, to other traffic for indicating braking action or preparation for braking, e.g. by detection of the foot approaching the brake ped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3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light source
    • F21S43/14Light emitting diodes [LED]
    • F21S43/145Surface emitters, e.g. organic light emitting diodes [OL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SNON-PORTABLE LIGHTING DEVICES; SYSTEMS THEREOF; VEHICLE LIGHT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 F21S43/0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 F21S43/10Signalling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vehicle exteriors, e.g. brake lamps, direction indicator lights or reversing lights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 F21S43/19Attachment of light sources or lamp holders
    • H01L51/50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02Detail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33/00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 H05B33/12Light sources with substantially two-dimensional radiating surfa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THE FORM OR THE KIND OF THE LIGHT SOURCES OR OF THE COLOUR OF THE LIGHT EMITTED
    • F21Y2115/00Light-generating elements of semiconductor light sources
    • F21Y2115/10Light-emitting diodes [LED]
    • F21Y2115/15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02Details of OLEDs of OLED structures
    • H10K2102/3023Direction of light emission
    • H10K2102/3031Two-side emission, e.g. transparent OLEDs [T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Non-Portable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AREA)

Abstract

발광 장치 (20) 는, 발광 영역 (140) 을 구비하고 있다. 발광 영역 (140) 은, 복수의 발광부 (142) 및 복수의 투광부 (144) 를 갖고 있고, 복수의 투광부 (144) 는, 서로 이웃하는 발광부 (142)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발광 영역 (140) 은, 투광성을 갖는 기재 (200) 중 일방의 면 (외면 (202)) 측에 위치하고 있고, 당해 일방의 면 (외면 (202)) 에 대해 기울기를 갖고 있다. 기재 (200) 는, 자동차의 리어 유리이다. 기재 (200) 는, 이동체의 외측의 영역 (영역 (RG1)) 과 이동체의 내측의 영역 (영역 (RG2)) 을 나누고 있다.

Description

발광 장치
본 발명은, 발광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발광 장치로서 유기 발광 다이오드 (OLED) 가 개발되어 있다. OLED 는, 제 1 전극, 유기층 및 제 2 전극을 갖고 있고, 제 1 전극과 제 2 전극 사이의 전압에 의해 유기층으로부터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EL) 에 의해 광이 발하여진다.
특허문헌 1 내지 3 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OLED 는, 자동차의 내측에 있어서, 자동차의 리어 유리를 따라 첩부되는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이 하여, OLED 는, 표지등으로서 기능하고 있다. 특히 특허문헌 1 의 OLED 는 투광성을 갖고 있고, OLED 를 통하여 자동차의 내측으로부터 자동차의 외측이 보이도록 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195173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5-76294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11-198720호
본 발명자는, 투광성의 기재 (예를 들어, 자동차의 리어 유리) 에, 투광성을 갖는 OLED 를 형성하는 것을 검토하였다. 본 발명자는, 만일 OLED 를 기재의 표면을 따라 첩부하면, OLED 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의 출사 방향이 기재의 표면의 방향에 의존하여 결정될 수 있는 것을 알아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로는, OLED 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의 출사 방향을, 기재의 표면의 방향에 의존하지 않고 결정하는 것을 일례로서 들 수 있다.
청구항 1 에 기재된 발명은,
복수의 발광부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발광부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의 투광부를 갖는 제 1 발광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발광 영역은, 이동체의 투광 부재의 제 1 면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이동체의 외측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고, 상기 제 1 면에 대해 기울기를 갖고 있는 발광 장치이다.
청구항 20 에 기재된 발명은,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발광부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발광부 사이에 위치하는 투광부를 갖는 제 1 발광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발광 영역은, 투광성을 갖는 기재의 제 1 면측에 위치하고, 상기 기재의 상기 제 1 면에 대해 기울기를 갖고 있는 발광 장치이다.
상기 서술한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및 이점은, 이하에 말하는 바람직한 실시형태 및 그것에 부수하는 이하의 도면에 의해 더욱 명확해진다.
도 1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발광 부재를 기판의 제 2 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A-A 단면도이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낸 발광 부재와 기재의 관계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 는, 도 1 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6 은, 도 1 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7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8 은, 도 7 에 나타낸 제 1 발광 부재와 제 2 발광 부재의 관계의 제 1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는, 도 7 에 나타낸 제 1 발광 부재와 제 2 발광 부재의 관계의 제 2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낸 제 1 발광 부재 및 제 2 발광 부재를 기판의 제 2 면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1 은, 도 7 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 는, 도 7 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3 은, 실시형태 3 에 관련된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4 는, 도 12 에 나타낸 발광 부재를 기판의 제 2 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5 는, 실시형태 4 에 관련된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6 은, 실시형태 5 에 관련된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 은, 도 16 에 나타낸 발광 부재를 기판의 제 2 면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8 은, 도 16 에 나타낸 발광 장치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9 는, 실시형태 6 에 관련된 발광 장치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0 은, 도 19 에 나타낸 발광 부재를 기판의 제 2 면측에서 본 평면도의 제 1 예이다.
도 21 은, 도 20 에 나타낸 예에 관련된 제 1 발광 부재, 제 2 발광 부재 및 제 3 발광 부재의 외관상의 형상 및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2 는, 도 19 에 나타낸 발광 부재를 기판의 제 2 면측에서 본 평면도의 제 2 예이다.
도 23 은, 도 22 에 나타낸 예에 관련된 제 1 발광 부재, 제 2 발광 부재 및 제 3 발광 부재의 외관상의 형상 및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4 는, 도 19 에 나타낸 발광 부재를 기판의 제 2 면측에서 본 평면도의 제 3 예이다.
도 25 는, 도 24 에 나타낸 예에 관련된 제 1 발광 부재, 제 2 발광 부재 및 제 3 발광 부재의 외관상의 형상 및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6 은, 도 19 에 나타낸 발광 부재를 기판의 제 2 면측에서 본 평면도의 제 4 예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도면을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모든 도면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이고, 적절히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형태 1)
도 1 은,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발광 장치 (20) 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2 는, 도 1 에 나타낸 발광 부재 (10) 를 기판 (100) 의 제 2 면 (104)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3 은, 도 2 의 A-A 단면도이다.
도 1 을 사용하여, 발광 장치 (20) 의 개요에 대해 설명한다. 발광 장치 (20) 는, 발광 영역 (140) 을 구비하고 있다. 도 2 를 사용하여 후술하는 바와 같이, 발광 영역 (140) (제 1 발광 영역) 은, 복수의 발광부 (142) 및 복수의 투광부 (144) 를 갖고 있고, 복수의 투광부 (144) 는, 서로 이웃하는 발광부 (142) 사이에 각각 위치하고 있다. 발광 영역 (140) 은, 투광성을 갖는 기재 (200) 중 일방의 면 (제 1 면), 특히,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외면 (202) 측에 위치하고 있고, 당해 일방의 면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외면 (202)) 에 대해 기울기를 갖고 있다.
특히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기재 (200) 는, 이동체의 유리이고, 보다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리어 유리이다. 기재 (200) 는, 이동체의 외측의 영역 (영역 (RG1)) 과 이동체의 내측의 영역 (영역 (RG2)) 을 나누고 있다. 기재 (200) 의 외면 (202) 은, 영역 (RG1) 측에 위치하고 있고, 기재 (200) 의 내면 (204) 은, 영역 (RG2) 측을 향하고 있다. 발광 영역 (140) 은, 이동체의 외측 (요컨대, 영역 (RG1)) 을 향하여 광을 출사한다.
상기 서술한 구성에 의하면, 발광 영역 (140) 으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의 출사 방향을, 기재 (200) 의 외면 (202) 의 방향에 의존하지 않고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발광 영역 (140) 은, 기재 (200) 의 외면 (202) 측에 위치하고 있고, 기재 (200) 의 외면 (202) 에 대해 기울기를 갖고 있다. 요컨대, 발광 영역 (140) 은, 기재 (200) 의 외면 (202) 을 따르고 있지 않다. 따라서, 발광 영역 (140) 으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의 출사 방향을, 기재 (200) 의 외면 (202) 의 방향에 의존하지 않고 결정할 수 있다.
발광 부재 (10) 가 사용되는 이동체는, 자동차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열차, 선박 및 비행기를 포함한다.
발광 부재 (10) 가 사용되는 이동체가 자동차일 때, 기재 (200) 는, 리어 유리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예를 들어, 프론트 유리 또는 사이드 유리여도 된다.
도 2 및 도 3 을 사용하여, 발광 부재 (10) 의 상세를 설명한다. 도 2 및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발광 부재 (10) 는, 보텀 이미션이고, 발광부 (142) 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은, 기판 (100) 을 투과하여 출사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발광 부재 (10) 는, 톱 이미션이어도 된다.
도 2 를 사용하여, 발광 부재 (10) 의 평면 레이아웃의 상세를 설명한다.
발광 부재 (10) 는, 기판 (100) 및 발광 영역 (140) 을 구비하고 있다. 발광 영역 (140) 은, 복수의 발광부 (142) 및 복수의 투광부 (144) 를 갖고 있다.
도 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기판 (100) 의 형상은, 1 쌍의 장변 및 1 쌍의 단변을 갖는 사각형이다. 또한, 기판 (100) 의 형상은, 도 2 에 나타내는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 영역 (140) 은, 면상으로 퍼져 있고, 도 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발광 영역 (140) 의 형상은, 1 쌍의 장변 및 1 쌍의 단변을 갖는 사각형이다. 특히 도 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복수의 발광부 (142) 및 복수의 투광부 (144) 는, 기판 (100) 의 단변의 연신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고, 기판 (100) 의 장변의 연신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또한, 발광 영역 (140) 의 형상은, 도 2 에 나타내는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 을 사용하여, 발광 부재 (10) 의 단면 구조의 상세를 설명한다.
발광 부재 (10) 는, 기판 (100), 제 1 전극 (110), 유기층 (120) 및 제 2 전극 (130) 을 갖고 있다.
기판 (100) 은, 제 1 면 (102) 및 제 2 면 (104) 을 갖고 있다. 제 2 면 (104) 은, 제 1 면 (102) 의 반대측에 있다. 제 1 전극 (110), 유기층 (120) 및 제 2 전극 (130) 은, 기판 (100) 의 제 1 면 (102) 측에 위치하고 있다.
기판 (100) 은, 투광성을 갖는 절연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일례에 있어서, 기판 (100) 은, 유리 또는 수지 (예를 들어, PEN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PES (폴리에테르술폰), PET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또는 폴리이미드) 로 이루어져 있다.
기판 (100) 은, 가요성을 갖고 있어도 되고, 또는 가요성을 갖고 있지 않아도 된다. 기판 (100) 이 수지로 이루어지는 경우, 기판 (100) 은 가요성을 갖도록 할 수 있다.
제 1 전극 (110) 은, 도전성을 및 투광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져 있다. 일례에 있어서, 제 1 전극 (110) 은, 금속 산화물, 보다 구체적으로는, ITO (Indium Tin Oxide), IZO (Indium Zinc Oxide), IWZO (Indium Tungsten Zinc Oxide) 또는 ZnO (Zinc Oxide) 를 포함하고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제 1 전극 (110) 은, 도전성 유기 재료, 보다 구체적으로는, 카본 나노 튜브 또는 PEDOT/PSS 를 포함하고 있어도 된다.
유기층 (120) 은, 유기 EL 에 의해 광을 발하는 재료를 포함하고 있다. 일례에 있어서, 유기층 (120) 은, 제 1 전극 (110) 측에서 제 2 전극 (130) 측을 향하여, 정공 주입층 (HIL), 정공 수송층 (HTL), 발광층 (EML), 전자 수송층 (ETL) 및 전자 주입층 (EIL) 을 순서대로 포함하고 있다. 제 1 전극 (110) 으로부터 HIL 및 HTL 을 경유하여 정공이 EML 에 주입되고, 제 2 전극 (130) 으로부터 EIL 및 ETL 을 경유하여 전자가 EML 에 주입된다. 정공 및 전자는, EML 에 있어서 재결합하고, 이로써 광이 발하여진다.
제 2 전극 (130) 은, 도전성 및 차광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고, 특히, 광 반사성을 갖고 있다. 일례에 있어서, 금속, 보다 구체적으로는, Al, Au, Ag, Pt, Mg, Sn, Zn 및 In 으로 이루어지는 군 중에서 선택되는 금속 또는 이 군에서 선택되는 금속의 합금을 포함하고 있다.
발광부 (142) 는, 기판 (100) 의 제 1 면 (102) 으로부터 제 1 전극 (110), 유기층 (120) 및 제 2 전극 (130) 을 순서대로 포함하는 적층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도 3 의 검은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발광부 (142) 에서는, 유기층 (120) 으로부터 발하여진 광은, 제 1 전극 (110) 을 투과하고 기판 (100) 을 투과하여 기판 (100) 의 제 2 면 (104) 으로부터 출사된다. 유기층 (120) 으로부터 발하여진 광이 제 2 전극 (130) 측을 향하였다고 해도, 이 광은 제 2 전극 (130) 에 의해 제 1 전극 (110) 측을 향하여 반사된다.
투광부 (144) 에는, 차광 부재, 특히, 도 3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2 전극 (130) 이 중첩되어 있지 않다. 따라서, 도 3 의 흰색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외부로부터의 광이 투광부 (144) 를 투과할 수 있다.
도 1 을 사용하여, 발광 장치 (20) 의 상세한 것에 대하여 설명한다.
발광 장치 (20) 는, 발광 부재 (10), 기재 (200) 및 커버 (300) 를 구비하고 있다.
기재 (200) 는, 투광성을 갖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유리이다. 다른 예에 있어서, 아크릴 수지나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등의 수지 기재여도 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기재 (200) 는, 자동차의 투광 부재 (구체적으로는, 리어 유리) 이고, 자동차의 외측의 영역 (영역 (RG1)) 과 자동차의 내측의 영역 (영역 (RG2)) 을 나누고 있다. 기재 (200) 는, 외면 (202) 및 내면 (204) 을 갖고 있다. 기재 (200) 의 외면 (202) 은, 영역 (RG1) 측을 향하고 있고, 기재 (200) 의 내면 (204) 은, 영역 (RG2) 측을 향하고 있다.
커버 (300) 는, 기재 (200) 의 외면 (202) 에 장착되어 있고, 발광 영역 (140) 에 대해 기재 (200) 의 반대측에 위치하고 있다. 커버 (300) 는, 기재 (200) 의 외면 (202) 의 일부와 함께 공간 (SP) 을 획정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공간 (SP) 의 상면 및 측면은, 커버 (300) 에 의해 획정되고, 공간 (SP) 의 바닥면은, 기재 (200) 의 외면 (202) 에 의해 획정되어 있다.
발광 부재 (10) 는, 자동차의 외측, 특히, 공간 (SP) 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발광 부재 (10) 는, 커버 (300) 에 의해, 공간 (SP) 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되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커버 (300) 는, 예를 들어, 자동차의 이동에 수반하여 발생하는 풍압 또는 자동차의 외부의 기후 상황 (예를 들어, 비, 바람, 눈 또는 태양광) 으로부터 발광 부재 (10) 를 보호하고 있다.
공간 (SP) 내에 있어서, 발광 부재 (10) 는, 기판 (100) 의 제 2 면 (104) 이 영역 (RG1) 측을 향하고, 또한 기판 (100) 의 제 1 면 (102) 이 영역 (RG2) 측을 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특히, 기판 (100) 은, 기재 (200) 의 외면 (202) 에 대해 기울기를 갖고 있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2 에 나타낸 발광 영역 (140) 의 단변 방향이 자동차의 높이 방향을 따르도록 되어 있다. 발광 부재 (10) 의 발광 영역 (140) 으로부터 발하여진 광은, 기판 (100) 및 커버 (300) 를 투과하여 영역 (RG1) 을 향하여 출사된다. 도 1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도 3 에 나타낸 제 1 전극 (110), 유기층 (120) 및 제 2 전극 (130) 은, 영역 (RG1) 측 (자동차의 외측) 으로부터 영역 (RG2) 측 (자동차의 내측) 을 향하는 방향으로 나열되게 된다.
공간 (SP) 내에서는, 커버 (300) 로부터 지지판 (310) 이 처져 있고, 발광 부재 (10) 는, 기판 (100) 의 제 2 면 (104) 이 지지판 (310) 에 대향하도록 배치되어 있다. 일례에 있어서, 기판 (100) 의 제 2 면 (104) 은, 접착제에 의해 지지판 (310) 에 첩부되어 있어도 된다. 다른 예에 있어서, 기판 (100) 의 제 2 면 (104) 은, 예를 들어 나사에 의해, 지지판 (310) 에 기계적으로 고정되어 있어도 된다. 발광 부재 (10) 는, 커버 (300) 측에 장착되어 있다. 따라서, 발광 부재 (10) 는, 리어 유리에 대한 착탈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공간 (SP) 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발광 부재 (10) 를 보호하는 관점에서부터, 커버 (300) 는, 내식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발광 부재 (10) 로부터 발하여진 광이 커버 (300) 를 투과하도록 하는 관점에서부터, 커버 (300) 는, 투광성을 갖는 재료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례에 있어서, 커버 (300) 는, 투명 수지, 예를 들어, 아크릴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로 이루어져 있다.
도 4 는, 도 1 에 나타낸 발광 부재 (10) 와 기재 (200) 의 관계의 상세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 에 있어서, 방향 D1 은, 발광 영역 (140) (복수의 발광부 (142)) 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배광 분포가 피크를 갖는 방향을 나타내고, 특히 도 4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기판 (100) 의 제 2 면 (104) 의 법선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방향 D2 는, 기재 (200) 의 외면 (202) 의 법선 방향을 나타내고 있다. 기준축 (R) 은, 자동차의 진행 방향을 따른 축을 나타내고 있다.
기재 (200) 는, 기준축 (R) 에 수직인 방향에서부터, 발광 부재 (10), 즉, 기판 (100) 및 발광 영역 (140) 보다 옆으로 눕혀져 있다. 따라서, 방향 D1 은, 방향 D2 보다, 기준축 (R) 의 근처를 향하게 되고, 특히 도 4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방향 D1 은, 기준축 (R) 을 따르고 있다.
발광 부재 (10) (발광 영역 (140)) 는, 자동차의 하이 마운트 스톱 램프 (HMSL) 로서 기능하고 있고, 자동차의 후방을 향하여 (요컨대, 기준축 (R) 을 따라) 적색의 광을 발한다. 일례에 있어서, 발광 영역 (140) 으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배광 분포는, 기준축 (R) 으로부터 상하 좌우 10°이내에 피크를 갖고 있다.
도 5 는, 도 1 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커버 (300) 는, 기재 (200) 의 외면 (202) 을 따라 연신하는 부분을 포함하고 있다. 따라서, 커버 (300) 에 의해, 지지판 (310) 의 상부 및 하부의 쌍방으로부터 지지판 (310) 을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발광 부재 (10) 를 안정적으로 고정시킬 수 있다.
도 6 은, 도 1 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발광 부재 (10) 는, 영역 (RG2) 측, 요컨대, 자동차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다. 커버 (300) 도, 영역 (RG2) 측, 요컨대, 자동차의 내측에 위치하고 있고, 발광 부재 (10) 를 지지하고 있다.
발광 부재 (10) 는, 기재 (200) 중 일방의 면 (제 1 면), 특히, 도 6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내면 (204) 측에 위치하고 있고, 당해 일방의 면 (도 6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내면 (204)) 에 대해 기울기를 갖고 있다. 따라서, 발광 영역 (140) 으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의 출사 방향을, 기재 (200) 의 내면 (204) 의 방향에 의존하지 않고 결정할 수 있다.
이상,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발광 영역 (140) 으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의 출사 방향을, 기재 (200) 의 표면의 방향에 의존하지 않고 결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2)
도 7 은,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발광 장치 (20) 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실시형태 1 의 도 1 에 대응한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광 장치 (20) 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발광 장치 (20) 와 동일하다.
발광 장치 (20) 는, 복수의 발광 부재 (10), 특히 도 7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발광 부재 (10a), 제 2 발광 부재 (10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를 구비하고 있다. 각 발광 부재 (10) 는, 도 1 에 나타낸 발광 부재 (10) 와 동일하게 하여, 기판 (100) 및 발광 영역 (140) 을 갖고 있다.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및 제 3 발광 부재 (10c) 의 발광 영역 (140) 은, 기재 (200) 의 외면 (202) 을 따라, 아래에서 위를 향하여 순서대로 나열되어 있다. 각 발광 부재 (10) 의 기판 (100) 은, 기재 (200) 의 외면 (202) 에 대해 기울기를 갖고 있고, 이로써, 각 발광 부재 (10) 의 발광 영역 (140) 은, 기재 (200) 의 외면 (202) 에 대해 기울기를 갖고 있다. 따라서, 각 발광 부재 (10) 의 발광 영역 (140) 으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의 출사 방향을, 기재 (200) 의 외면 (202) 의 방향에 의존하지 않고 결정할 수 있다.
상기 서술한 구성에 의하면, 자동차의 후방 (요컨대, 영역 (RG1) 측) 에서 보았을 때의 복수의 발광 영역 (140) 에 입체감을 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및 제 3 발광 부재 (10c) 의 발광 영역 (140) 은, 기재 (200) 의 외면 (202) 을 따라 나열되어 있다. 따라서, 각 발광 영역 (140) 은, 자동차의 전방에서 후방을 향하는 방향을 따라 서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후방 (요컨대, 영역 (RG1) 측) 에서 보았을 때의 복수의 발광 영역 (140) 에 입체감을 줄 수 있다.
복수의 발광 영역 (140) 의 입체감을 두드러지게 하기 위해, 각 발광 영역 (140) 의 휘도를 서로 다르게 해도 된다. 일례에 있어서, 복수의 발광 영역 (140) 의 휘도는, 제 1 발광 부재 (10a) 로부터 제 3 발광 부재 (10c) 를 향함에 따라, 감소해도 되고, 또는 증가해도 된다.
커버 (300) 는, 도 1 에 나타낸 예와 동일하게 하여, 공간 (SP) 을 획정하고 있고, 제 1 발광 부재 (10a), 제 2 발광 부재 (10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는, 공간 (SP) 내에 위치하고 있다. 따라서, 각 발광 부재 (10) 를 공간 (SP) 의 외부 환경으로부터 보호할 수 있다.
도 7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기재 (200) 의 외면 (202) 으로부터의 커버 (300) 의 돌출을 작게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도 7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 제 1 발광 부재 (10a), 제 2 발광 부재 (10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는, 기재 (200) 의 외면 (202) 을 따라 나열되어 있고, 요컨대, 연직 방향으로 긴 1 개의 발광 영역이 3 개의 발광 영역 (140) 으로 분할되어 있다고 말할 수 있다. 만일, 연직 방향으로 긴 1 개의 발광 영역을 커버 (300) 에 의해 덮으면, 예를 들어 도 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재 (200) 의 외면 (202) 으로부터의 커버 (300) 의 돌출이 커진다. 이에 반하여 도 7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커버 (300) 의 적어도 일부, 구체적으로는, 도면 중의 부분 302 가 기재 (200) 의 외면 (202) 을 따라 위치하도록 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기재 (200) 의 외면 (202) 으로부터의 커버 (300) 의 돌출을 작게 할 수 있다.
도 8 은, 도 7 에 나타낸 제 1 발광 부재 (10a) 와 제 2 발광 부재 (10b) 의 관계의 제 1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의 법선 방향에서 보아,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과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은, 일 방향 (도면 중, 방향 H) 으로 나열되어 있다.
각 발광 부재 (10) 의 기판 (100) 은, 제 1 가장자리 (106a) 및 제 2 가장자리 (106b) 를 갖고 있다. 제 2 가장자리 (106b) 는, 제 1 가장자리 (106a) 의 반대측에 있고, 제 1 가장자리 (106a) 및 제 2 가장자리 (106b) 는, 방향 H 로 나열되어 있다.
각 발광 부재 (10) 의 발광 영역 (140) 은, 제 1 가장자리 (146a) 및 제 2 가장자리 (146b) 를 갖고 있다. 제 2 가장자리 (146b) 는, 제 1 가장자리 (146a) 의 반대측에 있고, 제 1 가장자리 (146a) 및 제 2 가장자리 (146b) 는, 방향 H 로 나열되어 있다. 발광 영역 (140) 의 제 1 가장자리 (146a) 및 제 2 가장자리 (146b) 는, 각각, 기판 (100) 의 제 1 가장자리 (106a) 및 제 2 가장자리 (106b) 를 따르고 있다.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의 제 1 가장자리 (146a) 와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의 제 2 가장자리 (146b) 는,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의 제 2 가장자리 (146b) 와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의 제 1 가장자리 (146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방향 H 에 있어서,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과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은, 서로 근접하고 있다. 따라서, 자동차의 후방으로부터는,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과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사이의 비발광 영역이 눈에 띄지 않도록 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방향 H 에 있어서,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의 제 2 가장자리 (146b) 는, 제 1 발광 부재 (10a) 의 기판 (100) 의 제 1 가장자리 (106a) 로부터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의 제 2 가장자리 (146b) 측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고, 특히 도 8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발광 부재 (10a) 의 제 1 가장자리 (106a) 와 제 1 가장자리 (146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동일하게 하여, 방향 H 에 있어서,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의 제 1 가장자리 (146a) 는, 제 2 발광 부재 (10b) 의 기판 (100) 의 제 2 가장자리 (106b) 로부터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의 제 1 가장자리 (146a) 측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고, 특히 도 8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2 발광 부재 (10b) 의 제 2 가장자리 (106b) 와 제 2 가장자리 (146b)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예에서는, 방향 H 에 있어서,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의 제 2 가장자리 (146b) 는, 제 1 발광 부재 (10a) 의 기판 (100) 의 제 1 가장자리 (106a) 와 정렬하고 있어도 된다. 동일하게 하여, 방향 H 에 있어서,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의 제 1 가장자리 (146a) 는, 제 2 발광 부재 (10b) 의 기판 (100) 의 제 2 가장자리 (106b) 와 정렬하고 있어도 된다. 이 예에 있어서도, 방향 H 에 있어서,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과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은, 서로 근접하게 된다.
도 9 는, 도 7 에 나타낸 제 1 발광 부재 (10a) 와 제 2 발광 부재 (10b) 의 관계의 제 2 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방향 H 에 있어서,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과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은, 도 8 에 나타낸 예보다, 서로 더욱 근접해 있다. 구체적으로는, 방향 H 에 있어서,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의 제 2 가장자리 (146b) 는,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의 제 1 가장자리 (146a) 로부터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의 제 2 가장자리 (146b) 측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고, 특히 도 9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발광 부재 (10a) 의 제 1 가장자리 (146a) 와 제 2 가장자리 (146b)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동일하게 하여, 방향 H 에 있어서,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의 제 1 가장자리 (146a) 는,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의 제 2 가장자리 (146b) 로부터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의 제 1 가장자리 (146a) 측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고, 특히 도 9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2 발광 부재 (10b) 의 제 2 가장자리 (146b) 와 제 1 가장자리 (146a) 사이에 위치하고 있다.
다른 예에서는, 방향 H 에 있어서,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의 제 2 가장자리 (146b) 는,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의 제 1 가장자리 (146a) 와 정렬하고 있어도 된다. 동일하게 하여, 방향 H 에 있어서,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의 제 1 가장자리 (146a) 는,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의 제 2 가장자리 (146b) 와 정렬하고 있어도 된다. 이 예에 있어서도, 방향 H 에 있어서,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과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은, 서로 근접하게 된다.
도 10 은, 도 9 에 나타낸 제 1 발광 부재 (10a) 및 제 2 발광 부재 (10b) 를 기판 (100) 의 제 2 면 (104) 측에서 본 도면이다.
도 10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 1 발광 부재 (10a) 및 제 2 발광 부재 (10b) 를 기판 (100) 의 제 2 면 (104) 측에서 보았을 때,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은,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과 방향 H 을 따라 정렬하고 있어도 된다. 제 1 발광 부재 (10a) 및 제 2 발광 부재 (10b) 를 기판 (100) 의 제 2 면 (104) 측에서 보았을 때, 방향 H 에 있어서,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과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은, 발광부 (142) 가 연속적인 선상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투광부 (144) 를 정렬시킴으로써, 제 1 발광 부재 (10a) 와 제 2 발광 부재 (10b) 가 중첩되는 영역의 투과율이 감소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도 11 은, 도 7 의 제 1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커버 (300) 는, 부분 302 를 갖고 있고, 부분 302 는, 각 발광 부재 (10) 에 대향하고 있고, 또한, 기재 (200) 의 외면 (202) 을 따라 위치하고 있다. 부분 302 는, 제 1 발광 부재 (10a), 제 2 발광 부재 (10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의 발광 영역 (140) 을 덮고 있다. 따라서, 제 1 발광 부재 (10a), 제 2 발광 부재 (10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의 발광 영역 (140) 은, 공통의 두께를 갖는 부재 (요컨대, 부분 302) 에 의해 덮이게 된다. 만일, 도 7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이, 기판 (100) 과 동일한 방향을 향한 부재 (커버 (300) 의 일부) 에 의해 덮이고, 제 2 발광 부재 (10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의 발광 영역 (140) 이, 기판 (100) 으로부터 기울어진 방향을 향한 부재 (부분 302) 에 의해 덮이는 경우, 커버 (300) 의 두께의 차이에서 기인하여 휘도의 편차가 발생할 수 있다. 이에 반하여 도 11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이와 같은 휘도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도 12 는, 도 7 의 제 2 변형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커버 (300) 는, 복수의 부분 304 를 갖고 있고, 복수의 부분 304 는, 모두 동일한 방향, 구체적으로는, 자동차의 후방을 향하고 있다. 복수의 발광 부재 (10) 는, 복수의 부분 304 에 각각 대향하고 있다. 특히 도 1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기판 (100) 의 제 2 면 (104) 이 부분 304 에 장착되어 있다. 도 12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각 발광 영역 (140) 을 덮는 부재 (요컨대, 각 부분 304) 의 두께를 균일하게 일치하게 할 수 있다. 따라서, 커버 (300) 의 두께의 차이에서 기인하여 발생할 수 있는 휘도의 편차를 억제할 수 있다.
(실시형태 3)
도 13 은, 실시형태 3 에 관련된 발광 장치 (20) 를 나타내는 측면도이고, 실시형태 2 의 도 7 에 대응한다. 도 14 는, 도 13 에 나타낸 발광 부재 (10) 를 기판 (100) 의 제 2 면 (104)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도 14 의 A-A 단면도는, 도 3 과 동일해진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광 장치 (20) 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실시형태 2 에 관련된 발광 장치 (20) 와 동일하다.
발광 부재 (10) 는, 복수의 발광 영역 (140), 특히 도 13 및 도 14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발광 영역 (140a), 제 2 발광 영역 (140b) 및 제 3 발광 영역 (140c) 을 갖고 있다. 도 14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각 발광 영역 (140) 은, 도 2 에 나타낸 발광 영역 (140) 과 동일하게 하여, 복수의 발광부 (142) 및 복수의 투광부 (144) 를 갖고 있다. 복수의 발광 영역 (140) 은, 공통의 기판, 즉, 기판 (100) 에 형성되어 있고 바꾸어 말하면, 기판 (100) 은, 제 1 발광 영역 (140a), 제 2 발광 영역 (140b) 및 제 3 발광 영역 (140c) 에 걸쳐 연장되어 있다. 특히, 도 14 의 예에서는, 각 발광 영역 (140) 복수의 발광부 (142) 및 복수의 투광부 (144) 는, 방향 Y 를 따라 일치하고 있다.
기판 (100) 은, 가요성을 갖고 있다. 따라서, 도 1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기판 (100) 을 평판상으로부터 변형시킬 수 있다. 이로써, 각 발광 영역 (140) 은, 기재 (200) 의 외면 (202) 을 따라 나열하도록 하고, 또한 기재 (200) 의 외면 (202) 에 대해 기울기를 갖도록 하게 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제 1 발광 영역 (140a), 제 2 발광 영역 (140b) 및 제 3 발광 영역 (140c) 은, 스트라이프 방향이 방향 H 를 따라 일치하고 있다. 따라서, 방향 H 에 있어서, 각 발광 영역 (140) 은, 발광부 (142) 가 연속적인 선상이 되도록 배치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발광 영역 (140a), 제 2 발광 영역 (140b) 및 제 3 발광 영역 (140c) 은, 기판 (100) 에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용이하게 위치 맞춤할 수 있다.
또한, 제 1 발광 영역 (140a) 및 제 2 발광 영역 (140b) 은, 도 8 에 나타낸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및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과 동일하게 하여 배치해도 되고, 또는 도 9 에 나타낸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및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과 동일하게 하여 배치해도 된다.
(실시형태 4)
도 15 는, 실시형태 4 에 관련된 발광 장치 (20) 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광 장치 (20) 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발광 장치 (20) 와 동일하다.
기재 (200) 는, 자동차의 리어 유리이고, 자동차의 외측의 영역 (영역 (RG1)) 과 자동차의 내측의 영역 (영역 (RG2)) 을 나누고 있다. 기재 (200) 는, 영역 (RG1) 측, 즉, 자동차의 외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만곡되어 있다.
복수의 발광 부재 (10), 즉, 제 1 발광 부재 (10a) 및 제 2 발광 부재 (10b) 는, 영역 (RG1) 측, 즉, 자동차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다. 제 1 발광 부재 (10a) 및 제 2 발광 부재 (10b) 는, 기재 (200) 의 외면 (202) 을 따라 자동차의 폭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다. 도 15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2 에 나타낸 발광 영역 (140) 의 장변 방향이 자동차의 폭 방향을 따르도록 되어 있다. 제 1 발광 부재 (10a) 및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은, 기재 (200) 중 일방의 면 (제 1 면), 특히, 도 15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외면 (202) 측에 위치하고 있고, 당해 일방의 면 (도 15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외면 (202)) 에 대해 기울기를 갖고 있다. 따라서, 발광 영역 (140) 으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의 출사 방향을, 기재 (200) 의 외면 (202) 의 방향에 의존하지 않고 결정할 수 있다.
(실시형태 5)
도 16 은, 실시형태 5 에 관련된 발광 장치 (20) 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도 17 은, 도 16 에 나타낸 발광 부재 (10) 를 기판 (100) 의 제 2 면 (104) 측에서 본 평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광 장치 (20) 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실시형태 1 에 관련된 발광 부재 (10) 와 동일하다.
도 16 및 도 17 에 있어서, X 방향은, 이동체 (예를 들어, 자동차) 의 폭 방향을 나타내고, Y 방향은, 이동체 (예를 들어, 자동차) 의 높이 방향을 나타내고, Z 방향은, 이동체 (예를 들어, 자동차) 의 진행 방향을 따른 방향을 나타낸다.
복수의 발광부 (142) 는, 기재 (200) 의 외면 (202) 에 대한 발광 영역 (140) 의 기울기의 방향 (Y 방향) 을 따라 나열되어 있고, 또한 당해 기울기의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 (X 방향) 으로 연신되어 있다. 도 16 및 도 17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도, 발광 영역 (140) 으로부터 발하여지는 광의 출사 방향을, 기재 (200) 의 외면 (202) 의 방향에 의존하지 않고 결정할 수 있다.
도 17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발광부 (142) 및 복수의 투광부 (144) 는, 기판 (100) 의 장변의 연신 방향 (X 방향) 으로 연신되어 있고, 기판 (100) 의 단변의 연신 방향 (Y 방향) 으로 나열되어 있다. 발광 영역 (140) 은, 기판 (100) 의 장변의 연신 방향 (X 방향) 을 따르는 방향에 있어서, 기판 (100) 의 단변의 연신 방향 (Y 방향) 을 따르는 방향보다, 길어져 있다.
도 18 은, 도 16 에 나타낸 발광 장치 (20) 의 일례를 나타내는 상면도이다.
도 18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3 개의 발광 부재 (10), 제 1 발광 부재 (10a), 제 2 발광 부재 (10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가 나열되어 있다. 각 발광 부재 (10) 의 발광 영역 (140) 은, 서로 반대측에 있는 제 1 가장자리 (146a) 및 제 2 가장자리 (146b) 를 갖고 있다. 각 발광 부재 (10) 의 제 1 가장자리 (146a) 는, 동일한 방향 (도 18 의 좌측) 을 향하고 있고, 발광 부재 (10) 의 제 2 가장자리 (146b) 는, 제 1 가장자리 (146a) 의 반대측 (도 18 의 우측) 을 향하고 있다.
도 18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이동체의 후방에서 보아, 외관상의 발광 영역 (140) 이 제 1 발광 부재 (10a) 로부터 제 2 발광 부재 (10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에 걸쳐 끊어지지 않고 연속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제 1 발광 부재 (10a) 는, Z 방향에 있어서, 제 2 발광 부재 (10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로부터 이동체의 후방을 향하여 어긋나 있다. 제 1 발광 부재 (10a) 의 제 1 가장자리 (146a) 및 제 2 가장자리 (146b) 는, Z 방향에 있어서, 제 2 발광 부재 (10b) 의 제 2 가장자리 (146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의 제 1 가장자리 (146a) 와 각각 정렬하고 있다. 따라서, 이동체의 후방에서 보아, 외관상의 발광 영역 (140) 이 제 1 발광 부재 (10a) 로부터 제 2 발광 부재 (10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에 걸쳐 끊어지지 않고 연속하고 있다.
다른 예에 있어서, 제 1 발광 부재 (10a) 의 발광 영역 (140) 의 일부분 (제 1 가장자리 (146a) 및 그 근방) 및 다른 일부분 (제 2 가장자리 (146b) 및 그 근방) 은, Z 방향에 있어서, 제 2 발광 부재 (10b) 의 발광 영역 (140) 의 일부분 (제 2 가장자리 (146b) 및 그 근방) 및 제 3 발광 부재 (10c) 의 발광 영역 (140) 의 일부분 (제 1 가장자리 (146a) 및 그 근방) 과 중첩되어 있어도 된다. 이 예에 있어서도, 이동체의 후방에서 보아, 외관상의 발광 영역 (140) 이 제 1 발광 부재 (10a) 로부터 제 2 발광 부재 (10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에 걸쳐 끊어지지 않고 연속한다.
복수의 발광 부재 (10) 는, 동일한 색의 광을 발해도 되고, 또는 서로 상이한 색의 광을 발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 1 발광 부재 (10a) 는, 적색의 광을 발하고, 제 2 발광 부재 (10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는, 엄버 또는 황색의 광을 발해도 된다.
도 18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복수의 발광 부재 (10) 모두, Y 방향 (즉, 이동체의 높이 방향) 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발광부 (142) 를 갖고 있지만, 다른 예에 있어서, X 방향 (즉, 이동체의 폭 방향) 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발광부 (142) 를 갖는 발광 부재 (10) (예를 들어, 도 2) 및 Y 방향 (즉, 이동체의 높이 방향) 으로 나열되는 복수의 발광부 (142) 를 갖는 발광 부재 (10) (예를 들어, 도 17) 의 쌍방을 기재 (200) 에 장착해도 된다.
(실시형태 6)
도 19 는, 실시형태 6 에 관련된 발광 장치 (20) 를 나타내는 측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에 관련된 발광 장치 (20) 는, 이하의 점을 제외하고, 실시형태 5 에 관련된 발광 부재 (10) 와 동일하다.
도 7 에 나타낸 예와 동일하게 하여, 커버 (300) 는, 공간 (SP) 을 획정하고 있고, 복수의 발광 부재 (10), 즉, 제 1 발광 부재 (10a), 제 2 발광 부재 (10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가 공간 (SP) 내에 위치하고 있다. 도 16 및 도 17 에 나타낸 예와 동일하게 하여, 복수의 발광부 (142) 는, 기재 (200) 의 외면 (202) 에 대한 발광 영역 (140) 의 기울기의 방향 (Y 방향) 을 따라 나열되어 있고, 또한 당해 기울기의 방향에 직교하는 일 방향 (X 방향) 으로 연신되어 있다.
복수의 발광 부재 (10) 는, 동일한 색의 광을 발해도 되고, 또는 서로 상이한 색의 광을 발해도 된다. 예를 들어, 제 1 발광 부재 (10a) 는, 적색의 광을 발하고, 제 2 발광 부재 (10b) 는, 엄버의 광을 발하고, 제 3 발광 부재 (10c) 는, 황색의 광을 발해도 된다.
도 20 은, 도 19 에 나타낸 발광 부재 (10) 를 기판 (100) 의 제 2 면 (104) 측에서 본 평면도의 제 1 예이다.
복수의 발광부 (142) 는, X 방향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길이를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X 방향에 있어서의 각 발광부 (142) 의 길이는, Y 방향에 있어서 기재 (200) (도 19) (도 20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20 의 하측) 에 가까운 발광부 (142) 만큼 길어져 있다. 따라서, 복수의 발광부 (142) 는, 제 1 발광부 (복수의 발광부 (142) 중 어느 것) 및 제 2 발광부 (복수의 발광부 (142) 중 다른 어느 것) 를 포함하고 있고, 제 2 발광부는, Y 방향에 있어서 제 1 발광부보다 기재 (200) 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고, X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발광부의 길이는, X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발광부의 길이보다 짧아져 있다.
도 21 은, 도 20 에 나타낸 예에 관련된 제 1 발광 부재 (10a), 제 2 발광 부재 (10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의 외관상의 형상 및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제 1 발광 부재 (10a), 제 2 발광 부재 (10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는, 실제로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 및 치수를 갖고 있다. 그러나, 이동체의 후방에서 보았을 경우에 있어서의 제 1 발광 부재 (10a), 제 2 발광 부재 (10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의 외관상의 형상 및 치수는,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이한 형상 및 치수를 갖고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발광 부재 (10) 의 외관상의 형상 및 치수는, 이동체의 후방에서 먼 발광 부재 (10) 만큼 작아진다. 도 19 및 도 21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제 1 발광 부재 (10a), 제 2 발광 부재 (10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중에서, 제 1 발광 부재 (10a) 는, 이동체의 후방에서부터 가장 가깝게 위치하고 있고, 제 3 발광 부재 (10c) 는, 이동체의 후방에서부터 가장 멀게 위치하고 있다.
도 21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발광부 (142) 의 외관상의 형상 및 치수의 통일감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발광 부재 (10) 에 있어서, X 방향에 있어서의 각 발광부 (142) 의 길이는, Y 방향에 있어서 기재 (200) (도 19) 에 가까운 발광부 (142) 만큼 길어져 있다. 따라서, 도 21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X 방향에 있어서의 각 발광부 (142) 의 외관상의 길이는, 제 1 발광 부재 (10a) 로부터 제 3 발광 부재 (10c) 에 걸쳐, 서서히 짧아지도록 할 수 있다. 만일, X 방향에 있어서의 각 발광부 (142) 의 길이가 동일하면, X 방향에 있어서의 각 발광부 (142) 의 외관상의 길이는, 제 1 발광 부재 (10a) 로부터 제 2 발광 부재 (10b) 에 걸쳐, 및 제 2 발광 부재 (10b) 로부터 제 3 발광 부재 (10c) 에 걸쳐 크게 상이하여, 복수의 발광부 (142) 의 외관상의 형상 및 치수의 통일감이 저해된다. 이에 반하여, 도 21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발광부 (142) 의 외관상의 형상 및 치수의 통일감을 얻을 수 있다.
도 22 는, 도 19 에 나타낸 발광 부재 (10) 를 기판 (100) 의 제 2 면 (104) 측에서 본 평면도의 제 2 예이다.
복수의 발광부 (142) 는, Y 방향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폭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Y 방향에 있어서의 각 발광부 (142) 의 폭은, Y 방향에 있어서 기재 (200) (도 19) (도 22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22 의 하측) 에 가까운 발광부 (142) 만큼 넓어져 있다. 따라서, 복수의 발광부 (142) 는, 제 1 발광부 (복수의 발광부 (142) 중 어느 것) 및 제 2 발광부 (복수의 발광부 (142) 중 다른 어느 것) 를 포함하고 있고, 제 2 발광부는, Y 방향에 있어서 제 1 발광부보다 기재 (200) 에 가깝게 위치하고 있고, Y 방향에 있어서의 제 1 발광부의 폭은, Y 방향에 있어서의 제 2 발광부의 폭보다 좁아져 있다.
도 23 은, 도 22 에 나타낸 예에 관련된 제 1 발광 부재 (10a), 제 2 발광 부재 (10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의 외관상의 형상 및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3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복수의 발광부 (142) 의 외관상의 형상 및 치수의 통일감을 얻을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각 발광 부재 (10) 에 있어서, Y 방향에 있어서의 각 발광부 (142) 의 폭은, Y 방향에 있어서 기재 (200) (도 19) 에 가까운 발광부 (142) 만큼 넓어져 있다. 따라서, 도 23 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Y 방향에 있어서의 각 발광부 (142) 의 외관상의 폭은, 제 1 발광 부재 (10a) 로부터 제 3 발광 부재 (10c) 에 걸쳐, 서서히 좁아지도록 할 수 있다. 만일, Y 방향에 있어서의 각 발광부 (142) 의 폭이 동일하면, Y 방향에 있어서의 각 발광부 (142) 의 외관상의 폭은, 제 1 발광 부재 (10a) 로부터 제 2 발광 부재 (10b) 에 걸쳐, 및 제 2 발광 부재 (10b) 로부터 제 3 발광 부재 (10c) 에 걸쳐 크게 상이하여, 복수의 발광부 (142) 의 외관상의 형상 및 치수의 통일감이 저해된다. 이에 반하여, 도 23 에 나타내는 예에 있어서는, 상기 서술한 바와 같이, 복수의 발광부 (142) 의 외관상의 형상 및 치수의 통일감을 얻을 수 있다.
도 24 는, 도 19 에 나타낸 발광 부재 (10) 를 기판 (100) 의 제 2 면 (104) 측에서 본 평면도의 제 3 예이다.
도 20 에 나타낸 예와 동일하게 하여, X 방향에 있어서의 각 발광부 (142) 의 길이는, Y 방향에 있어서 기재 (200) (도 19) (도 24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24 의 하측) 에 가까운 발광부 (142) 만큼 길어져 있다. 또한, 도 22 에 나타낸 예와 동일하게 하여, Y 방향에 있어서의 각 발광부 (142) 의 폭은, Y 방향에 있어서 기재 (200) (도 19) (도 24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24 의 하측) 에 가까운 발광부 (142) 만큼 넓어져 있다.
도 25 는, 도 24 에 나타낸 예에 관련된 제 1 발광 부재 (10a), 제 2 발광 부재 (10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의 외관상의 형상 및 치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1 에 나타낸 예와 동일하게 하여, X 방향에 있어서의 각 발광부 (142) 의 외관상의 길이는, 제 1 발광 부재 (10a) 로부터 제 3 발광 부재 (10c) 에 걸쳐, 서서히 짧아지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도 23 에 나타낸 예와 동일하게 하여, Y 방향에 있어서의 각 발광부 (142) 의 외관상의 폭은, 제 1 발광 부재 (10a) 로부터 제 3 발광 부재 (10c) 에 걸쳐, 서서히 좁아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발광부 (142) 의 외관상의 형상 및 치수의 통일감을 얻을 수 있다. 또한, 제 1 발광 부재 (10a), 제 2 발광 부재 (10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의 각각의 발광 영역 (140) 은, 도 19 에 나타낸 바와 같이, 실제로는, 기재 (200) 의 외면 (202) 으로부터 기울어져 있어도, 도 25 에 있어서의 외관상의 레이아웃에 의하면, 각 발광부 (142) 는, 제 1 발광 부재 (10a) 로부터 제 3 발광 부재 (10c) 에 걸쳐 기재 (200) 의 외면 (202) 을 따라 나열되어 있도록 보이게 할 수 있다.
도 26 은, 도 19 에 나타낸 발광 부재 (10) 를 기판 (100) 의 제 2 면 (104) 측에서 본 평면도의 제 4 예이다.
발광 부재 (10) 는, 제어 회로 (400) 를 구비하고 있다. 제어 회로 (400) 는, 발광 영역 (140) 을 제어하고 있고, 구체적으로는, 복수의 발광부 (142) 중에서 발광시키는 발광부 (142) 를 선택하고 있다. 도 26 에서는, 제어 회로 (400) 에 의해 선택된 발광부 (142) (발광하고 있는 발광부 (142)) 는, 실선으로 나타내고 있고, 제어 회로 (400) 에 의해 선택되어 있지 않은 발광부 (142) (발광하고 있지 않은 발광부 (142)) 는,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발광 영역 (140) 은, 복수의 선택 발광 영역 (142a) 을 갖고 있다. 각 선택 발광 영역 (142a) 은, 제어 회로 (400) 에 의해 선택된 하나 또는 복수의 발광부 (142) 를 포함하고 있다. 복수의 발광부 (142) 가 좁은 피치 (예를 들어, 0.50 ㎜ 이하의 피치) 로 나열되어 있는 경우, 복수의 선택 발광 영역 (142a) 의 외관상의 각각은, 예를 들어 도 22 에 나타낸 복수의 발광부 (142) 의 각각에 유사한 형상 및 치수를 가질 수 있다.
복수의 선택 발광 영역 (142a) 은, Y 방향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폭을 갖고 있다. 상세하게는, Y 방향에 있어서의 각 선택 발광 영역 (142a) 의 폭은, Y 방향에 있어서 기재 (200) (도 19) (도 26 에 나타내는 예에서는, 도 26 의 하측) 에 가까운 선택 발광 영역 (142a) 만큼 넓어져 있다. 따라서, 도 26 에 나타내는 예에 관련된 제 1 발광 부재 (10a), 제 2 발광 부재 (10b) 및 제 3 발광 부재 (10c) 에 있어서는, 도 23 에 나타낸 예와 동일하게 하여, Y 방향에 있어서의 각 선택 발광 영역 (142a) 의 외관상의 폭은, 제 1 발광 부재 (10a) 로부터 제 3 발광 부재 (10c) 에 걸쳐, 서서히 좁아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복수의 선택 발광 영역 (142a) 의 외관상의 형상 및 치수의 통일감을 얻을 수 있다.
이상,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형태 및 실시예에 대해 서술했지만, 이들은 본 발명의 예시로, 상기 이외의 여러 가지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상기 서술한 각 도면으로 나타낸 실시형태는, 그 목적 및 구성 등에 특히 모순이나 문제가 없는 한, 서로의 기재 내용을 조합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 출원은, 2017년 7월 13일에 출원된 일본 특허출원 2017-136757호를 기초로 하는 우선권을 주장하고, 그 개시의 모두를 여기에 포함한다.

Claims (20)

  1. 복수의 발광부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발광부 사이에 각각 위치하는 복수의 투광부를 갖는 제 1 발광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발광 영역은, 이동체의 투광 부재의 제 1 면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이동체의 외측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고, 상기 제 1 면에 대해 기울기를 갖고 있는 발광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복수의 발광부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발광부 사이에 위치하는 투광부를 갖는 제 2 발광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2 발광 영역은, 이동체의 투광 부재의 제 1 면측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이동체의 외측을 향하여 광을 출사하고, 상기 제 1 면에 대해 기울기를 갖고 있고,
    상기 제 1 발광 영역 및 상기 제 2 발광 영역은, 상기 제 1 면을 따라 나열되어 있는 발광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제 1 기판 및 제 2 기판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발광 영역 및 상기 제 2 발광 영역은, 각각, 상기 제 1 기판 및 상기 제 2 기판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 1 기판은, 상기 투광 부재의 상기 제 1 면에 대해 기울기를 갖고 있고,
    상기 제 2 기판은, 상기 투광 부재의 상기 제 1 면에 대해 기울기를 갖고 있는 발광 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 영역의 법선 방향에서 보아, 상기 제 1 발광 영역과 상기 제 2 발광 영역은, 일 방향으로 나열되어 있고,
    상기 제 1 발광 영역 및 상기 제 2 발광 영역의 각각은, 제 1 가장자리와, 상기 제 1 가장자리의 반대측의 제 2 가장자리를 갖고,
    상기 제 1 기판은, 상기 제 1 발광 영역의 상기 제 1 가장자리를 따른 제 1 가장자리를 갖고,
    상기 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 영역의 상기 제 1 가장자리와 상기 제 2 발광 영역의 상기 제 2 가장자리는, 상기 제 1 발광 영역의 상기 제 2 가장자리와 상기 제 2 발광 영역의 상기 제 1 가장자리 사이에 위치하고 있고,
    상기 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발광 영역의 상기 제 2 가장자리는, 상기 제 1 기판의 상기 제 1 가장자리와 정렬하고 있고, 또는 상기 제 1 기판의 상기 제 1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 1 발광 영역의 상기 제 2 가장자리측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는 발광 장치.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2 발광 영역의 상기 제 2 가장자리는, 상기 제 1 발광 영역의 상기 제 1 가장자리와 정렬하고 있고, 또는 상기 제 1 발광 영역의 상기 제 1 가장자리로부터 상기 제 1 발광 영역의 상기 제 2 가장자리측으로 어긋나 위치하고 있는 발광 장치.
  6. 제 2 항에 있어서,
    가요성을 갖는 기판을 추가로 구비하고,
    상기 제 1 발광 영역 및 상기 제 2 발광 영역은, 상기 기판에 형성되어 있고,
    상기 기판은, 상기 제 1 발광 영역으로부터 상기 제 2 발광 영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는 발광 장치.
  7. 제 2 항 내지 제 6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 영역 및 상기 제 2 발광 영역에 대해 상기 투광 부재의 반대측에 커버를 추가로 구비하는 발광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의 적어도 일부는, 상기 투광 부재의 상기 제 1 면을 따라 위치하고 있는 발광 장치.
  9. 제 1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의 각각은, 상기 이동체의 외측에서 내측을 향하는 방향으로, 투광성의 제 1 전극, 유기층 및 차광성의 제 2 전극을 순서대로 포함하는 적층 구조로 이루어지는 발광 장치.
  10. 제 1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 영역은, 상기 이동체의 외측에 위치하고 있는 발광 장치.
  11. 제 1 항 내지 제 10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투광 부재는, 상기 이동체의 리어 유리이고,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상기 이동체의 후방을 향하여 광을 발하는 발광 장치.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배광 분포는, 상기 이동체의 진행 방향을 따른 기준축으로부터 상하 좌우 10°이내에 피크를 갖는 발광 장치.
  13.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로부터 출사되는 광의 배광 분포가 피크를 갖는 방향은, 상기 제 1 면의 법선 방향보다, 상기 이동체의 진행 방향을 따른 기준축의 근처를 향하고 있는 발광 장치.
  14.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일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상기 일 방향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길이를 갖는, 발광 장치.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은, 상기 투광 부재의 상기 제 1 면에 대한 상기 발광 영역의 기울기의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있고, 또한 상기 기울기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발광 장치.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제 1 발광부와, 상기 기울기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부보다 상기 투광 부재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 2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일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발광부의 길이는, 상기 일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발광부의 길이보다 짧은, 발광 장치.
  17. 제 1 항 내지 제 13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일 방향으로 연신되어 있고,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상기 기울기의 방향에 있어서 각각 상이한 폭을 갖는, 발광 장치.
  18. 제 17 항에 있어서,
    상기 일 방향은, 상기 투광 부재의 상기 제 1 면에 대한 상기 발광 영역의 기울기의 방향을 따라 나열되어 있고, 또한 상기 기울기의 방향에 직교하는 방향인 발광 장치.
  19. 제 18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발광부는, 제 1 발광부와, 상기 기울기의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 1 발광부보다 상기 투광 부재에 가깝게 위치하는 제 2 발광부를 포함하고,
    상기 기울기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1 발광부의 폭은, 상기 기울기의 방향에 있어서의 상기 제 2 발광부의 폭보다 좁은, 발광 장치.
  20. 광을 출사하는 복수의 발광부와, 서로 이웃하는 상기 발광부 사이에 위치하는 투광부를 갖는 제 1 발광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 1 발광 영역은, 투광성을 갖는 기재의 제 1 면측에 위치하고, 상기 기재의 상기 제 1 면에 대해 기울기를 갖고 있는 발광 장치.
KR1020207002612A 2017-07-13 2018-06-28 발광 장치 KR1023614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36757 2017-07-13
JP2017136757 2017-07-13
PCT/JP2018/024625 WO2019013010A1 (ja) 2017-07-13 2018-06-28 発光装置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4859A true KR20200024859A (ko) 2020-03-09
KR102361414B1 KR102361414B1 (ko) 2022-02-09

Family

ID=650017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2612A KR102361414B1 (ko) 2017-07-13 2018-06-28 발광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11486558B2 (ko)
JP (2) JPWO2019013010A1 (ko)
KR (1) KR102361414B1 (ko)
CN (1) CN110892542B (ko)
WO (1) WO201901301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61414B1 (ko) 2017-07-13 2022-02-09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발광 장치
JP2020136145A (ja) * 2019-02-22 2020-08-31 キヤノン株式会社 有機el素子及び発光装置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8720A (ja) 1998-01-14 1999-07-27 Harness Syst Tech Res Ltd 表示装置
JP2004123029A (ja) * 2002-10-07 2004-04-22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装置
JP2015076294A (ja) 2013-10-09 2015-04-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標識灯
JP2015195173A (ja) 2014-03-24 2015-11-0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標識灯
JP6355945B2 (ja) * 2014-03-19 2018-07-11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照明装置
JP6448915B2 (ja) * 2014-05-15 2019-01-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56625U (ja) * 1992-01-08 1993-07-27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JPH0732938A (ja) * 1993-07-19 1995-02-03 Koito Mfg Co Ltd 自動車の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
JPH0732939A (ja) * 1993-07-19 1995-02-03 Koito Mfg Co Ltd 自動車の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
JP2607212Y2 (ja) * 1993-12-17 2001-05-28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標識灯
JPH08324337A (ja) * 1995-05-31 1996-12-10 Suzuki Motor Corp 車両用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
JPH10147177A (ja) * 1996-11-15 1998-06-02 Toyota Autom Loom Works Ltd ハイマウントストップランプの取付構造及びバックウインドウガラス
JP5543228B2 (ja) 2010-01-21 2014-07-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面発光体を備えた車両用灯具
JP5701404B2 (ja) * 2011-12-16 2015-04-15 パイオニア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を含む照明装置
WO2013168290A1 (ja) * 2012-05-11 2013-11-14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
JP5961053B2 (ja) * 2012-06-29 2016-08-0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リアパネル
US8992057B2 (en) * 2013-03-12 2015-03-31 GM Global Technology Operations LLC Expressive vehicle lighting assembly
JP6382555B2 (ja) * 2014-04-01 2018-08-2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輌用灯具
US10151441B2 (en) * 2014-10-08 2018-12-11 Koito Manufacturing Co., Ltd. Light emitting device and vehicle lamp
JPWO2017073459A1 (ja) 2015-10-27 2018-09-06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システム
JP2017098104A (ja) * 2015-11-25 2017-06-01 株式会社小糸製作所 発光装置
JP2017103049A (ja) * 2015-11-30 2017-06-08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装置及び発光システム
CN205395916U (zh) * 2016-02-17 2016-07-27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高位制动灯灯体
JP6742809B2 (ja) 2016-05-18 2020-08-1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光源装置および車両用灯具
WO2018013903A1 (en) * 2016-07-15 2018-01-18 CleanRobotics, Inc. Automatic sorting of waste
JP2018045964A (ja) 2016-09-16 2018-03-2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システム及び発光モジュール
JP6938131B2 (ja) 2016-11-01 2021-09-2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素子及び発光システム
WO2018139037A1 (ja) 2017-01-26 2018-08-02 パイオニア株式会社 発光システム及び発光装置
KR102361414B1 (ko) 2017-07-13 2022-02-09 파이오니아 가부시키가이샤 발광 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198720A (ja) 1998-01-14 1999-07-27 Harness Syst Tech Res Ltd 表示装置
JP2004123029A (ja) * 2002-10-07 2004-04-22 Ichikoh Ind Ltd 車両用灯具装置
JP2015076294A (ja) 2013-10-09 2015-04-20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標識灯
JP6355945B2 (ja) * 2014-03-19 2018-07-11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照明装置
JP2015195173A (ja) 2014-03-24 2015-11-05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標識灯
JP6584072B2 (ja) * 2014-03-24 2019-10-02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標識灯
JP6448915B2 (ja) * 2014-05-15 2019-01-09 株式会社小糸製作所 車両用灯具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7164664B2 (ja) 2022-11-01
US11781726B2 (en) 2023-10-10
KR102361414B1 (ko) 2022-02-09
JPWO2019013010A1 (ja) 2020-07-30
US20230047270A1 (en) 2023-02-16
US20210116095A1 (en) 2021-04-22
WO2019013010A1 (ja) 2019-01-17
US11486558B2 (en) 2022-11-01
US11940115B2 (en) 2024-03-26
CN110892542A (zh) 2020-03-17
CN110892542B (zh) 2022-12-27
JP2021119629A (ja) 2021-08-12
US20230408057A1 (en) 2023-1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940115B2 (en) Light-emitting device
US10132461B2 (en) Vehicular lamp
KR102215092B1 (ko) 유기 발광 표시 장치
CN103765084B (zh) 用于车辆的具有多层光板的照明装置
US10566575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lighting apparatus having auxiliary electrode in non-emission area
CN103311449A (zh) 显示装置及其制造方法
US9511707B2 (en) Vehicular lamp
JP2014235817A (ja) 照明体及び照明ユニット
JP2022023143A (ja) 発光モジュール
JP7145303B2 (ja) 発光装置
JP2020090111A (ja) 発光システム
JP2014038757A (ja) 大型有機電界発光装置
WO2018139037A1 (ja) 発光システム及び発光装置
US20220344608A1 (en) Light-emitting device
WO2017195295A1 (ja) 発光システム及び発光装置を基材に取り付ける方法
WO2018211934A1 (ja) 発光装置
JP2018152309A (ja) 発光システム
JP6949766B2 (ja) 光装置
JP2019033238A (ja) 発光装置
WO2014068637A1 (ja) 反射板付き発光素子
JPWO2015163319A1 (ja) 面発光モジュール
JP2018160320A (ja) 発光装置
JP6450124B2 (ja) 発光装置
JP2018129247A (ja) 発光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