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20710A -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바 및 이러한 스태빌라이저 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 Google Patents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바 및 이러한 스태빌라이저 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20710A
KR20200020710A KR1020197037229A KR20197037229A KR20200020710A KR 20200020710 A KR20200020710 A KR 20200020710A KR 1020197037229 A KR1020197037229 A KR 1020197037229A KR 20197037229 A KR20197037229 A KR 20197037229A KR 20200020710 A KR20200020710 A KR 2020002071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bilizer bar
pendulum support
bar body
connecting member
connec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372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세바스티안 슐로터
비탈리 크나웁
프랑크 나흐바
Original Assignee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filed Critical 젯트에프 프리드리히스하펜 아게
Publication of KR202000207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071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1/00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 B60G21/02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 B60G21/04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 B60G21/05Interconnection systems for two or more resiliently-suspended wheels, e.g. for stabilising a vehicle body with respect to acceleration, deceleration or centrifugal forces permanently interconnected mechanically between wheels on the same axle but on different sides of the vehicle, i.e. the left and right wheel suspensions being interconnected
    • B60G21/055Stabiliser bars
    • B60G21/0551Mounting means theref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45/00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 B29C45/0005Injection moulding, i.e. forcing the required volume of moulding material through a nozzle into a closed mould; Apparatus therefor using fibre reinforc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7/00Pivoted suspension arms; Accessories thereof
    • B60G7/005Bal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L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 B29C, RELATING TO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00Other particular articles
    • B29L2031/30Vehicles, e.g. ships or aircraft, or body parts thereof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3Torsion spring
    • B60G2202/135Stabiliser bar and/or tub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2Middle mounts of stabiliser on vehicle body or chass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2Mounting of torsion springs
    • B60G2204/1224End mounts of stabiliser on wheel suspens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16Ball or spherical joi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10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 B60G2206/11Constructional features of arms the arm being a radius or track or torque or steering rod or stabiliser end link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40Constructional features of dampers and/or springs
    • B60G2206/42Springs
    • B60G2206/427Stabiliser bars or tu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6/00Indexing codes related to the manufacturing of suspensions: constructional features, the materials used, procedures or tools
    • B60G2206/01Constructional features of suspension elements, e.g. arms, dampers, springs
    • B60G2206/80Manufacturing procedures
    • B60G2206/81Shaping
    • B60G2206/8101Shaping by casting
    • B60G2206/81012Shaping by casting by injection moulding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Vehicle Body Suspens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진자 지지부(5, 6) 및 연결 부재(7, 8)를 포함하며 토션 스프링을 형성하는 구부러진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2)를 가진,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바(1)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연결 부재(7, 8)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2)와 진자 지지부(7, 8)를 서로 연결한다. 조립 경비를 줄이기 위하여, 스태빌라이저 바(1)는, 연결 부재(7, 8)의 제1 단부(11)가 진자 지지부 단부(9) 상에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바 및 이러한 스태빌라이저 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본 발명은, 진자 지지부 및 연결 부재를 포함하며 토션 스프링을 형성하는 구부러진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stabilizer bar body)를 가진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바에 관한 것으로, 상기 연결 부재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와 진자 지지부를 서로 연결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과도 관련이 있다.
상기와 같은 스태빌라이저 바는, 아직 공개되지 않은 독일 특허 출원 제10 2016 205 916.5호로부터 공지되어 있다. 이 특허 출원서에 따르면, 스태빌라이저 바는, 토션 스프링을 형성하는 섬유 보강 플라스틱 소재의 구부러진 베이스 바디와; 베이스 바디를 진자 지지부에 연결하기 위해 상기 베이스 바디의 단부측에 배치된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를 구비하며, 이 경우 연결 부재는 스냅 연결에 의해서 베이스 바디와 연결된다.
도입부에 언급된 유형의 스태빌라이저 바는 토션 바 스프링이라고도 지칭된다. 스태빌라이저 바 또는 토션 바 스프링은 자동차 엔지니어링, 특히 섀시 구조에서 롤 스태빌라이저 바로서의 용도로 일반적으로 공지되어 있다. 스태빌라이저 바 또는 토션 바 스프링은 비틀림 하중을 받을 수 있는, 차량의 롤링 운동을 완화하는 부품이다. 자동차 상부 구조물의 롤링 안정화를 위해, 스태빌라이저 바는 자동차의 일 차축에서 휠들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일 차축의 휠들이 상호 압축되는 경우, 스태빌라이저 바는 차축 하중을 분산시켜 균일한 차축 하중 분포를 보장한다. 이로 인해, 자동차의 주행 거동은, 예를 들어 일 차축에 배치된 휠들의 접착 계수가 항상 거의 동일하게 우수한 레벨에서 유지될 수 있도록 긍정적인 영향을 받을 수 있다.
공지된 스태빌라이저 바의 자유 단부는 통상적으로 각각 진자 지지부를 통해 별도의 부품 상에, 예를 들어 휠 캐리어 또는 휠 가이드 핸들 바와 같은 휠 가이드 요소 상에 배치 및/또는 지지될 수 있다. 여기서 진자 지지부는 통상적으로 별도의 부품으로서 형성된다. 이 경우, 진자 지지부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의 개별 단부와 연결되어야 한다. 이와 같은 조립은 종종 복잡하게, 또는 시간이 많이 드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의 과제는, 조립 비용이 감소되는 방식으로, 서문에 언급된 유형의 스태빌라이저 바 및 방법을 개선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차량의 섀시에 스태빌라이저 바를 조립하는 동안 장착될 개별 부품들의 비율이 감소된다. 바람직하게는 대안적인 실시예가 제공된다.
본 발명의 과제는, 청구항 1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 및 청구항 12에 따른 방법에 의해 해결된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개선예들은 종속 청구항들 및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 명시되어 있다.
스태빌라이저 바는 차량 또는 자동차의 섀시에 사용하도록 설계된다. 이 경우, 스태빌라이저 바는 토션 스프링을 형성하는 구부러진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를 구비한다. 특히, 본 출원서의 범주 내에서,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는 세장형, 스트랜드형(strand), 로드형(rod) 및/또는 관형의 바디를 의미한다. 따라서,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는 중공 내지는 관 형상으로 또는 중실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는 관형 로드 또는 중실 로드로서 형성된다.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의 곡선형 설계로 인해,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는 실질적으로 U자 형상으로, C자 형상으로 또는 여타의 형태로 구부러진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는 여러 부분으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스태빌라이저 바는 능동 롤 스태빌라이저 바로서 형성되며, 이 경우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는 액추에이터를 구비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금속 및/또는 섬유/플라스틱 복합재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스태빌라이저 바는 하나 이상의 진자 지지부 및 하나 이상의 연결 부재를 구비한다. 여기에서, 연결 부재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와 진자 지지부를 서로 연결한다. 따라서, 연결 부재는 일측의 진자 지지부와 타측의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사이의 중간 부재로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연결 부재의 제1 단부는 진자 지지부 단부 상에 사출성형된다.
연결 부재의 제1 단부가 관련 진자 지지부의 진자 지지부 단부 상에 사출성형됨으로 인해, 진자 지지부와 연결 부재 사이의 연결이 사전에 이루어질 수 있다. 연결 부재가 진자 지지부 단부 상에 사출성형됨으로 인해,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와 진자 지지부 사이를 연결하기 위한 새로운 가능성이 도출된다. 특히, 스태빌라이저 바의 제조뿐만 아니라 조립까지도 간소화할 수 있는 가능성이 도출된다. 이 경우,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로의 조립 및/또는 차량 내에서 스태빌라이저 바의 최종 조립이 간편해질 수 있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의 제1 단부와 진자 지지부 단부 사이에 조인트 연결부가 실현된다. 따라서, 연결 부재의 제1 단부는 진자 지지부 단부와 관절식으로 연결된다. 특히, 연결 부재의 제1 단부와 진자 지지부 단부의 상호작용으로 인해 조인트 연결부가 실현된다. 특히, 조인트 연결부는 볼 조인트 연결부 및/또는 스위블 조인트 축 연결부로서 실현된다. 볼 조인트 연결부로서 실현되는 경우에는, 연결 부재가 조인트 하우징 섹션을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조인트 하우징 섹션은 하우징 리세스를 구비한다. 조인트 하우징 섹션 및/또는 하우징 리세스는 실질적으로 포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조인트 하우징 및/또는 하우징 리세스 내에 진자 지지부 단부가 관절식으로, 특히 조인트 하우징 섹션에 대하여 피벗 운동 가능하도록 지지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진자 지지부 단부는 조인트 볼을 구비한다. 이 조인트 볼은 연결 부재의 제1 단부에 의해 적어도 부분적으로 둘러싸일 수 있다. 이 경우, 조인트 볼은 연결 부재의 제1 단부에 의해 중첩성형될 수 있다. 특히, 조인트 볼은 연결 부재의 제1 단부 내에 관절식으로 그리고/또는 피벗 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조인트 볼로부터 시작하여, 저널 섹션은 연결 부재의 제1 단부로부터, 특히 하우징 섹션으로부터 그리고/또는 하우징 리세스로부터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스위블 조인트 축 연결부 형상의 조인트 연결부를 갖는 대안적인 일 실시예에서는, 볼 조인트 대신에 스위블 조인트 축을 갖는 스위블 조인트가 사용될 수 있다. 특히, 스위블 조인트 축은 스태빌라이저 바의, 특히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의 회전축에 대해 축 평행하게 정렬된다. 제조 공차를 보상하기 위해, 스위블 조인트 축은 고무 베어링, 특히 탄성 중합체 내에 저장될 수 있다.
일 개선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의 제2 단부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의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 사이에서 비관절식 또는 강성의 연결이 실현된다. 특히, 연결 부재의 제2 단부는 연결 부재의 제1 단부로부터 먼 쪽을 향한다. 비관절식의 또는 강성의 연결은 관절식 연결에 비해 간단히 제조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제2 단부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의 비관절식 또는 강성의 연결로 인해,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에 대한 연결 부재의 상대 운동이 저지된다.
바람직하게, 연결 부재의 제2 단부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의 단부 상에 사출성형된다. 그럼으로써, 연결 부재는 단 하나의 작업 단계에서 동시에 진자 지지부 단부 및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진자 지지부 단부 및/또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 상에 연결 부재를 사출성형하기 위해, 진자 지지부 및/또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가 사출성형 공구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따라서, 스태빌라이저 바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연결 부재 및 진자 지지부로 이루어진 부품 결합체로서 실현될 수 있다. 이와 같은 부품 결합체는 완전히 사전 제조됨으로써, 차량 섀시 내에 장착될 개별 부품들의 비율을 감소시킨다. 이로 인해, 차량의 섀시에 스태빌라이저 바를 통합하는 과정이 간소화될 수 있다. 특히, 설치 시간 및/또는 사이클 시간이 단축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연결 부재의 제2 단부가 재료 결합 방식의 연결 및/또는 형상 결합 방식의 연결에 의해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재료 결합 방식의 연결은 예를 들어 접착 연결로서 형성될 수 있다. 특히, 형상 결합 방식의 연결은 스냅 연결의 형태로 실현된다. 스냅 연결에 의해서는, 연결 부재의 제2 단부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 사이에 간단한 방식으로, 특히 공구 없이 형상 결합식 연결이 생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재료 결합식 연결 및/또는 형상 결합식 연결에서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에 연결 부재를 사출성형하는 과정이 생략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서는, 연결 부재의 제1 단부만 진자 지지부 단부 상에 사출성형된다. 연결 부재의 제조가 이루어진 후에는, 진자 지지부가 연결 부재 및 적합한 재료 결합식 연결 및/또는 형상 결합식 연결에 의해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와 연결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와 연결 부재의 제2 단부의 순수 형상 결합식 연결 시, 상기 형상 결합식 연결은 예를 들어 스냅 연결부로서의 디자인으로 인해 연결 부재의 파손 없는 분리를 가능하게 한다.
바람직하게, 스태빌라이저 바는 파손 없이 분리 불가능한 부품 결합체로서 형성된다. 특히, 연결 부재를 진자 지지부 단부뿐만 아니라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 상에도 사출성형하는 경우, 파손 없이 분리 불가능한 연속적인 부품 결합체가 나타난다. 특히, 부품 결합체는 적어도 연결 부재 및 진자 지지부를 구비한다. 바람직하게 부품 결합체는 연결 부재, 진자 지지부 및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를 구비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는 서로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2개의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를 구비하며, 이들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는 각각 연결 부재에 의해 진자 지지부와 연결된다. 따라서, 스태빌라이저 바의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는 서로 마주보는 그리고/또는 서로 먼 쪽을 향하는 2개의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를 가지며, 이들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에는 각각 하나의 진자 지지부에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를 연결하기 위한 연결 부재가 각각 하나씩 배치된다. 이때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는 다양한 방식으로 성형될 수 있으며, 이 경우 통상적으로, 특히 스태빌라이저 바를 롤 스태빌라이저 바로서 사용하기 위해서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를 실질적으로 U자 형상으로 성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연결 부재 및/또는 진자 지지부는 각각 2개의 U자형 레그 각각에서 단부 측에 배치된다. 연결 부재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와 진자 지지부 사이의 인터페이스로서 이용될 수 있고, 이로써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와 진자 지지부 사이에서 힘 전달을 위해 이용될 수 있다.
일 개선예에 따르면,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는 연결 부재와 상호 작용하는 비틀림 방지 수단을 구비한다. 이 비틀림 방지 수단에 의해,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에 대한 연결 부재의 상대 운동이 저지된다. 이 경우, 비틀림 방지 수단은 언더컷 및/또는 평탄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로, 비틀림 방지 수단은 난형(ovality)을 가질 수 있거나 난형으로서 형성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비틀림 방지 수단은 타원형의 윤곽 및/또는 타원형의 외주연을 갖는다. 난형이란, 원형에서 벗어난, 특히 둥글지 않은 외주연을 의미할 수 있다. 특히, 연결 부재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의 비틀림 방지 수단에 맞물린다. 비틀림 방지 수단에 의해,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와 관련하여 사용 목적에 상응하는 연결 부재의 배향이 보장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의 횡단면 형상이 실질적으로 둥근 경우에도,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 상에 배치된, 특히 사출성형된 연결 부재의 비틀림 회전이 저지된다. 이를 위해,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는 적어도 국부적으로, 바람직하게 주연 영역에 제공된 평탄부 및/또는 언더컷부에 의해 원형 횡단면으로부터 벗어나는 횡단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그와 형상이 일치하는 연결 부재의 형상, 특히 연결 부재의 제2 단부의 형상에 의해, 연결된 상태에서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에 대한 연결 부재의 비틀림 회전이 효과적으로 저지된다. 이 경우, 연결 부재,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 및 비틀림 방지 수단이 상호 작용한다.
또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는 진자 지지부의 제1 진자 지지부 단부 상에 사출성형된다. 제1 진자 지지부 단부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제2 진자 지지부 단부 상에 연결 부품이 사출성형된다. 따라서, 연결 부재뿐만 아니라 연결 부품까지도 사출성형 공정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연결 부재 및 연결 부품은 동시에 또는 하나의 공통 작업 단계에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먼저 연결 부품이 제2 진자 지지부 단부 상에 사출성형된다. 그런 다음에 후속해서, 특히 또 다른 단계에서, 연결 부재가 제1 진자 지지부 단부 상에 사출성형된다. 그와 동시에, 연결 부재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 상에 사출성형될 수 있다.
특히, 연결 부품은 추가 조인트 연결부를 구비한다. 따라서, 연결 부재뿐만 아니라 연결 부품까지도 조인트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조인트 연결부는 볼 조인트 연결부 및/또는 스위블 조인트 축 연결부로서 실현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연결 부품은 추가 조인트 하우징 섹션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추가 조인트 하우징 섹션은 추가 하우징 리세스를 구비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추가 조인트 하우징 섹션 및/또는 추가 하우징 리세스는 추가 조인트 볼을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특히, 상기 추가 조인트 볼은 연결 부품 내에, 바람직하게는 추가 조인트 하우징 섹션 내에 그리고/또는 추가 하우징 리세스 내에 관절식으로 그리고/또는 피벗 운동 가능하도록 지지된다. 상기 추가 조인트 볼로부터 시작하여, 추가 저널 섹션이 추가 조인트 하우징 섹션 및/또는 추가 하우징 리세스의 외부로 연장될 수 있다. 스위블 조인트 축 연결부로서의 일 실시예에서는, 볼 조인트 대신에 스위블 조인트 축을 갖는 스위블 조인트가 사용될 수 있다. 제조 공차를 보상하기 위해, 스위블 조인트 축은 고무 베어링, 특히 탄성 중합체 내에 지지될 수 있다.
일 개선예에 따르면, 연결 부재 및/또는 연결 부품은 플라스틱 또는 섬유/플라스틱 복합재로 제조된다. 이로 인해, 연결 부재 및/또는 연결 부품은 사출성형 공정에서 경량 부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특히,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는 플라스틱 또는 섬유/플라스틱 복합재로 제조된다. 따라서, 금속에 비해 상당한 중량 이점이 실현될 수 있다. 섬유/플라스틱 복합재는 유리 섬유, 탄소 섬유, 카본 섬유, 현무암 섬유 또는 금속 섬유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섬유/플라스틱 복합재는, 섬유 재료와 하나의 결합체를 형성하는 하나 이상의 매트릭스, 수지 또는 접착제를 포함한다. 섬유 층 및/또는 섬유들의 사전 설정 가능한 배향으로 인해, 개별적인 강성 요건에 따른 설계가 실현될 수 있다. 특히, 스태빌라이저 바 및/또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의 복잡한 실시예들이 구현될 수 있다. 다름 아닌 자동차의 언더플로어 영역에서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부품 구성 가능성에 대해 특히 높은 요건이 제기된다. 예를 들어, 스트럿, 구동 샤프트, 위시본(wishbone), 브레이크, 브레이크 라인 또는 여타의 부품들에 의해, 스태빌라이저 바의 배치를 위해서는 단지 적은 설치 공간만이 가용하다. 섬유/플라스틱 복합재의 사용 하에, 스태빌라이저 바가 기존의 설치 공간을 최적으로 활용하는 동시에 최적의 기능성을 보장하도록, 스태빌라이저 바를 특히 곡선으로 설계할 수 있다.
특히, 진자 지지부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플라스틱 또는 섬유/플라스틱 복합재로 제조된다. 진자 지지부 및/또는 전체 스태빌라이저 바는 상이한 재료로 이루어진 하이브리드 부품으로서 제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연결 부재와 상호작용하는 진자 지지부의 조인트 볼 그리고 조인트 볼로부터 외부로 연장되는 저널 섹션은 금속으로 형성된다. 바람직하게, 진자 지지부의 연결 부품만 플라스틱 및/또는 섬유/플라스틱 복합재로 실현된다. 그에 따라, 연결 부품과 상호 작용하는 추가 조인트 볼 그리고 상기 추가 조인트 볼로부터 연장되는 추가 저널 섹션도 금속으로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를 제조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방법에 따라,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및 진자 지지부가 제공된다. 따라서, 먼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및 진자 지지부가 개별 부품으로서 미리 제조된다. 사전 제조의 범주 내에서, 추가 연결 부품 및/또는 추가 조인트 연결부가 진자 지지부에 미리 장착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및 진자 지지부의 제공에 후속해서, 연결 부재가 사출성형품으로서 제조된다. 특히, 이를 위해 적어도 진자 지지부 또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 측을 향하는 진자 지지부 단부가 적합하게 형성된 사출성형 공구 내로 삽입된다. 연결 부재의 사출성형과 동시에 상기 연결 부재가 진자 지지부 단부 상에 사출성형된다. 이로 인해, 진자 지지부 단부가 연결 부재의 제1 단부 쪽을 향하게 되고 그리고/또는 연결 부재의 제1 단부 상에 배치된다.
바람직하게는, 연결 부재의 사출성형과 동시에 상기 연결 부재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 상에 사출성형된다. 이를 위해, 진자 지지부 및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가 함께 사출성형 공구 내로 삽입될 수 있다.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쪽을 향하는 진자 지지부 단부와, 진자 지지부 단부 쪽을 향하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가 사출성형 공구 내에 삽입되는 것으로 충분할 수 있다. 연결 부재의 제1 단부는 진자 지지부 단부 상에 사출성형될 수 있고, 연결 부재의 제2 단부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 상에 사출성형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스태빌라이저 바는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이다. 바람직하게 이 방법은, 본원에 기술된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와 관련하여 설명된 모든 실시예에 따라 개선되었다. 또한, 여기에 기술된 스태빌라이저 바는 방법과 관련하여 설명된 모든 실시예에 따라 개선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각각의 도면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더욱 상세하게 설명된다. 여기에서, 동일한 참조 부호는 동일하거나 유사하거나 기능적으로 동일한 부품 또는 요소에 관련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의 사시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본원 스태빌라이저 바의 일 섹션의 사시 측면도이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따른 본원 스태빌라이저 바를 위한 진자 지지부의 사시도이다.
도 4는 연결 부재가 없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 및 진자 지지부의 일 섹션의 사시 측면도이다.
도 5는 연결 부재가 없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의 사시도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1)의 사시 정면도를 보여준다. 스태빌라이저 바는, 차량의 롤링 동작을 방지하기 위해 차량의 섀시에서 사용될 수 있으며 비틀림 하중을 받을 수 있 토션 바 스프링 장치이다. 스태빌라이저 바(1)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2)를 구비한다.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2)는 로드 형태로 또는 바 형태로 형성된다. 또한,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2)는 곡선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 서로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2개의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 4)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2)의 실질적으로 U자인 형상이 나타나도록 배치된다. 따라서, 2개의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 4)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2)의 실질적으로 U자 형상인 레그를 실현한다.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2)는 섬유 보강 플라스틱 또는 섬유/플라스틱 복합재로 제조된다. 섬유 재료로서 예를 들어 듀로플라스틱 매트릭스 또는 열가소성 매트릭스 내에 매립된 연속 유리 섬유 또는 탄소 섬유가 사용될 수 있다. 이 경우,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2)는 중공 형상으로 혹은 관 형상으로 구현될 수 있거나 중실 재료로 제조될 수 있다.
또한, 스태빌라이저 바(1)는 2개의 진자 지지부(5, 6)를 구비한다. 이 경우, 진자 지지부(5)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에 할당되고, 진자 지지부(6)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4)에 할당된다.
더 나아가, 스태빌라이저 바(1)는 2개의 연결 부재(7, 8)를 갖는다. 이 경우, 연결 부재(7)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에 할당되고, 연결 부재(8)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4)에 할당된다. 더 상세하게는, 연결 부재(7, 8)는 각각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 또는 4)와 관련 진자 지지부(5 또는 6) 사이에 배치된다. 따라서, 연결 부재(7, 8)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2)와 진자 지지부(5, 6) 사이에서 힘을 전달하기 위한 일종의 인터페이스로서 이용된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본원 스태빌라이저 바(1)의 일 섹션의 사시 측면도를 보여준다. 상세하게는, 본 도면에 진자 지지부(5) 및 연결 부재(7)를 갖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가 도시되어 있다. 이와 관련한 하기의 설명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4), 진자 지지부(6) 및 연결 부재(8)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연결 부재(7)는, 제1 진자 지지부 단부(9) 상에 사출성형된 사출성형품으로서 형성된다. 제1 진자 지지부 단부(9)는 조인트 볼(10)을 갖는다. 제1 진자 지지부 단부(9) 또는 조인트 볼(10)은 연결 부재(7)의 제1 단부(11)와 연결된다.
연결 부재(7)는, 자신의 제1 단부(11)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제2 단부(12)를 갖는다. 연결 부재(7)의 제2 단부(12)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와 연결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7)의 제2 단부(12)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 상에 사출성형되어 있다. 대안적으로, 제2 단부(12)는 형상 결합 방식의 연결, 특히 스냅 연결에 의해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와 연결될 수 있다.
연결 부재(7)의 제1 단부(11)는 조인트 하우징 섹션(13)을 구비한다. 조인트 하우징 섹션(13)은, 조인트 볼(10)이 그 내부에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되어 있는 하우징 리세스(14)를 갖는다. 볼 조인트(10)로부터 시작하여, 진자 지지부(5)의 저널 섹션(15)은 조인트 하우징 섹션(13) 또는 하우징 리세스(14)로부터, 제1 진자 지지부 단부(9)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제2 진자 지지부 단부(16)의 방향으로 연장된다. 따라서, 연결 부재(7)와 제1 진자 지지부 단부(9)의 연결은 조인트 연결부(17)로서 구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조인트 연결부(17)는 볼 조인트 연결부로서 형성된다.
연결 부재(7)의 제2 단부(12)는 수용 섹션(18)를 구비한다. 수용 섹션(18)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를 둘러싸고,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는 수용 섹션(18)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수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스태빌라이저 바(1)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2), 진자 지지부(5, 6) 및 연결 부재(7, 8)로 이루어진 부품 결합체로서 형성되어 있다. 연결 부재(7, 8)가 자신의 각각의 제1 단부(11)에 의해 제1 진자 지지부 단부(9) 상에 사출성형되어 있고, 각각의 제2 단부(12)에 의해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 4) 상에 사출성형되어 있기 때문에, 부품 결합체는 파손 없이는 분리 불가능한 유닛이다.
도 3은, 도 1 또는 도 2에 따른 본 발명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1)를 위한 진자 지지부(5)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도면에 대한 이하의 설명은 진자 지지부(6)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진자 지지부(5)는 제2 진자 지지부 단부(16)에 연결 부품(19)을 구비한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부품(19)은 사출성형품으로서 제2 진자 지지부 단부(16) 상에 사출성형되어 있다. 이 경우, 연결 부품은 플라스틱 또는 섬유/플라스틱 복합재로 제조된다. 연결 부품(19)은 제1 단부(20) 및 이 제1 단부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제2 단부(21)를 구비한다. 연결 부품(19)의 제1 단부(20)는, 조인트 볼(10)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저널 섹션(15)의 단부와 고정 연결되거나, 비틀림 방지되도록 고정 연결된다.
연결 부품(19)의 제2 단부(21)는 추가 조인트 하우징 섹션(22)을 구비한다. 추가 조인트 하우징 섹션(22)은 추가 하우징 리세스(23)를 갖는다. 추가 하우징 리세스(23) 내에는, 볼 저널(25)의 추가 조인트 볼(24)이 움직일 수 있게 지지된다. 더 넓은 조인트 볼(24)로부터 시작하여, 추가 저널 섹션(26)이 추가 조인트 하우징 섹션(22) 또는 추가 하우징 리세스(23)로부터 외부로 연장된다.
따라서, 제2 진자 지지부 단부(16)의 영역에는 추가 조인트 연결부(27)가 실현된다. 본 실시예에서, 추가 조인트 연결부(27)는 볼 조인트 연결부로서 형성되어 있다. 추가 저널 섹션(26)은 섀시 부품, 예를 들어 휠 캐리어 또는 컨트롤 암과 연결될 수 있다.
도 4는, 연결 부재(7) 없이,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 및 진자 지지부(5)의 일 섹션의 사시 측면도를 보여준다. 이어지는 설명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4), 진자 지지부(6) 및 연결 부재(8)에 유사하게 적용된다.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는 비틀림 방지 수단(28)을 구비한다. 비틀림 방지 수단(28)은, 도 2에 따른 연결 부재(7)의 제2 단부(12)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의 비틀림 방지식 또는 회전 고정식 연결을 형성하는 데 이용된다.
상응하는 비틀림 방지 수단(28)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의 외부면 또는 주연면에서 언더컷부 및/또는 평탄부로서 형성될 수 있다.
비틀림 방지 수단(28)에 상응하게, 본 도면에 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은 추가 비틀림 방지 수단이 조인트 볼(10)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진자 지지부(9)의 저널 섹션(15)의 단부 영역에 배치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추가 비틀림 방지 수단은, 저널 섹션(15)과 연결 부품(19)의 비틀림 방지식 및/또는 회전 고정식 연결을 형성하는 데 이용된다.
진자 지지부(5)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2)의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 사이의 연결을 형성하기 위해, 적어도 조인트 볼(10)을 갖는 제1 진자 지지부 단부(9) 및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가 적합한 사출성형 공구 내에 삽입된다. 이 경우, 제1 진자 지지부 단부(9)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 쪽을 향하며, 제1 진자 지지부 단부(9)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 사이의 사전 설정된 간격을 두고 배치된다. 이어서, 연결 부재(7)의 제조가 수행된다. 본 실시예에 따르면, 이 경우 연결 부재(7)는, 동시에 자신의 제1 단부(11)에 의해서는 제1 진자 지지부 단부(9) 상에 사출성형되고, 자신의 제1 단부(12)에 의해서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 상에 사출성형된다. 따라서, 진자 지지부(5)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2) 사이의 연결이 하나의 작업 단계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연결 부재(7)는 플라스틱 또는 섬유/플라스틱 복합재로 제조된다.
도 5는, 연결 부재(7)가 없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의 사시도를 보여준다. 이하의 설명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4)에 대해서도 유사하게 적용된다.
본 실시예에서, 비틀림 방지 수단(28)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 내에서 양측에 배치된 홈(29, 30)에 의해 형성되어 있다. 이 경우, 홈들(29, 30)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의 외주면 내에 형성된다. 홈들(29, 30)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의 서로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홈들(29, 30)은 서로로부터 먼 쪽을 향하여 배향된다. 상기 배향 외에는 홈들(29, 30)이 동일하게 형성된다.
홈(29 또는 30)은 홈통(trough) 형태의 함몰부(31)를 갖는다. 연결 부재(7)를 형성하기 위해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를 중첩성형할 때, 비틀림 방지 수단(28)이 동시에 중첩성형된다. 이 경우, 연결 부재(7)를 형성하기 위한 재료가 비틀림 방지 수단, 홈(29, 30) 또는 함몰부(31) 내로 침투한다. 이로 인해, 재료 경화 이후 연결 부재(7)의 형성을 위해,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에 대한 연결 부재(7)의 상대 운동이 저지된다.
1: 스태빌라이저 바
2: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3: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
4: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
5: 진자 지지부
6: 진자 지지부
7: 연결 부재
8: 연결 부재
9: 제1 진자 지지부 단부
10: 조인트 볼
11: 연결 부재의 제1 단부
12: 연결 부재의 제2 단부
13: 조인트 하우징 섹션
14: 하우징 리세스
15: 저널 섹션
16: 제2 진자 지지부 단부
17: 조인트 연결부
18: 수용 섹션
19: 연결 부품
20: 연결 부품의 제1 단부
21: 연결 부품의 제2 단부
22: 추가 조인트 하우징 섹션
23: 추가 하우징 리세스
24: 추가 조인트 볼
25: 볼 저널
26: 추가 저널 섹션
27: 추가 조인트 연결부
28: 비틀림 방지 수단
29: 홈
30: 홈
31: 함몰부

Claims (13)

  1. 진자 지지부(5, 6) 및 연결 부재(7, 8)를 포함하며 토션 스프링을 형성하는 구부러진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2)를 가진,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바로서, 상기 연결 부재(7, 8)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2)와 진자 지지부(7, 8)를 서로 연결하는,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바에 있어서,
    연결 부재(7, 8)의 제1 단부(11)가 진자 지지부 단부(9) 상에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바.
  2. 제1항에 있어서, 연결 부재(7, 8)의 제1 단부(11)와 진자 지지부 단부(9) 사이에 조인트 연결부(17)가 실현되며, 특히 상기 조인트 연결부(17)는 볼 조인트 연결부로서 그리고/또는 스위블 조인트 축 연결부로서 구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바.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진자 지지부 단부(9)가 조인트 볼(10)을 구비하고, 상기 조인트 볼은 연결 부재(7, 8)의 제1 단부(11)에 의해 중첩성형되며, 특히 상기 조인트 볼(10)은 연결 부재(7, 8)의 제1 단부(11) 내에 관절식으로 지지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바.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부재(7, 8)의 제2 단부(12)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 4) 사이에 비관절식의 또는 강성의 연결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바.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부재(7, 8)의 제2 단부(12)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 4) 상에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바.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부재(7, 8)의 제2 단부(12)가 재료 결합 방식의 연결 및/또는 형상 결합 방식의 연결, 특히 접착 연결 및/또는 스냅 연결에 의해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 4)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바.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파손 없이 분리 불가능한 부품 결합체로서 형성되며, 특히 상기 부품 결합체는 연결 부재(7, 8)와 진자 지지부(5, 6) 및/또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2)에 의해 실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바.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2)가 서로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2개의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 4)를 가지며, 상기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들이 각각 연결 부재(7, 8)에 의해 진자 지지부(5, 6)와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바.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 4)가 연결 부재(7, 8)와 상호 작용하는 비틀림 방지 수단(28)을 구비하며, 특히 상기 비틀림 방지 수단(28)이 언더컷, 평탄부 및/또는 난형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바.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연결 부재(7, 8)가 진자 지지부(5, 6)의 제1 진자 지지부 단부(9) 상에 사출성형되고, 제1 진자 지지부 단부(9)로부터 먼 쪽을 향하는 제2 진자 지지부 단부(16) 상에 연결 부품(19)이 사출성형되며, 특히 상기 연결 부품(19)이 추가 조인트 연결부(27)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바.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2) 및/또는 연결 부재(7, 8)가 플라스틱 또는 섬유/플라스틱 복합재로 제조되며, 특히 진자 지지부(5, 6)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라스틱 또는 섬유/플라스틱 복합재로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바.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스태빌라이저 바(1)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으로서,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2) 및 진자 지지부(5)가 제공되고, 연결 부재(7, 8)가 사출성형품으로서 제조되며, 연결 부재(7, 8)의 사출성형과 동시에 상기 연결 부재가 진자 지지부 단부(9) 상에 사출성형되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제조 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연결 부재(7, 8)의 사출성형과 동시에 상기 연결 부재가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 4) 상에 사출성형되며, 이 경우 연결 부재(7, 8)의 제1 단부(11)가 진자 지지부 단부(9) 상에 사출성형되고, 연결 부재(7, 8)의 제2 단부(12)는 스태빌라이저 바 몸체 단부(3, 4) 상에 사출성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태빌라이저 바의 제조 방법.
KR1020197037229A 2017-06-21 2018-05-23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바 및 이러한 스태빌라이저 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20200020710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7210416.3A DE102017210416A1 (de) 2017-06-21 2017-06-21 Stabilisator für ein Fahrwerk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Stabilisators
DE102017210416.3 2017-06-21
PCT/EP2018/063537 WO2018233968A1 (de) 2017-06-21 2018-05-23 Stabilisator für ein fahrwerk eines fahrzeugs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stabilisator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0710A true KR20200020710A (ko) 2020-02-26

Family

ID=6224529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37229A KR20200020710A (ko) 2017-06-21 2018-05-23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바 및 이러한 스태빌라이저 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351836B2 (ko)
EP (1) EP3642061B1 (ko)
JP (1) JP2020524633A (ko)
KR (1) KR20200020710A (ko)
CN (1) CN110785303B (ko)
DE (1) DE102017210416A1 (ko)
WO (1) WO201823396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9206726B3 (de) * 2019-05-09 2020-06-18 Zf Friedrichshafen Ag Stabilisator für ein Fahrwerk eines Fahrzeugs, Pendelstütze für einen solchen Stabilisator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solchen Stabilisators bzw. einer solchen Pendelstütze
DE102020202120A1 (de) 2020-02-19 2021-08-19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m Herstellen eines Anbindungsteils zum Anordnen an einem Ende eines Stabilisatorkörpers und Verwendung eines solchen Anbindungsteils zum Herstellen eines Stabilisators
FR3127160B1 (fr) * 2021-09-23 2023-09-29 Sogefi Suspensions Embout pour barre stabilisatrice de véhicule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95116A (ja) 1995-04-26 1996-11-12 Rhythm Corp 車両用スタビライザの連結装置
DE19543690C2 (de) 1995-11-23 2001-04-19 Trw Fahrwerksyst Gmbh & Co Verbindung eines Stabilisators mit der Radaufhängung eines Kraftfahrzeuges
US6109816A (en) * 1996-09-30 2000-08-29 Bridgestone Corporation Stabilizer link rod, and method of manufacturing same
DE10227014B4 (de) 2002-06-17 2008-07-10 ZF Lemförder GmbH Zwei-Komponenten Lagerschale für ein umspritztes Kugelgelenk
DE102006038451A1 (de) 2006-08-16 2008-02-21 Zf Friedrichshafen Ag Pendelstütze
DE102007009322A1 (de) * 2007-02-22 2008-09-25 Auto-Entwicklung Sachsen Gmbh Gelenkzapfen aus Metall für den Einsatz in axial und/oder radial belasteten Kraftfahrzeug-Fahrwerksgelenken und Verfahren zu seiner Herstellung
DE102009027736A1 (de) 2009-07-15 2011-01-27 Zf Friedrichshafen Ag Zweipunktlenker
DE102010041791B4 (de) * 2010-09-30 2013-05-29 Zf Friedrichshafen Ag Fahrzeugbauteil
DE102010049565A1 (de) * 2010-10-25 2012-04-26 Daimler Ag Drehstabfeder für ein Kraftfahrzeug
JP5826508B2 (ja) 2011-04-14 2015-12-02 日本発條株式会社 スタビリンクの製造方法
DE102014217839A1 (de) * 2014-09-05 2016-03-10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Stabilisatorlager für ein zweispuriges Fahrzeug
DE102014218433B4 (de) 2014-09-15 2021-07-01 Zf Friedrichshafen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s Verbindungsbauteils für ein Fahrzeug und Verbindungsteil
DE102016205916A1 (de) * 2016-04-08 2017-10-12 Zf Friedrichshafen Ag Drehstabfeder
JP6335986B2 (ja) * 2016-08-25 2018-05-30 日本発條株式会社 スタビリン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00189346A1 (en) 2020-06-18
CN110785303A (zh) 2020-02-11
US11351836B2 (en) 2022-06-07
CN110785303B (zh) 2023-06-16
WO2018233968A1 (de) 2018-12-27
DE102017210416A1 (de) 2018-12-27
JP2020524633A (ja) 2020-08-20
EP3642061A1 (de) 2020-04-29
EP3642061B1 (de) 2021-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382129B2 (en) Vehicle stabilizer
KR101363089B1 (ko) 차량의 섀시에 배치된 부품들의 관절형 연결을 위한 연결부
CN107530924B (zh) 混合臂及其制造方法
KR101312710B1 (ko) 차량용 샤시 부품 연결용 단일축 댐핑 조인트
US6363613B1 (en) Torsion bar shoulder bearing
KR20200020710A (ko)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바 및 이러한 스태빌라이저 바를 제조하기 위한 방법
KR101972245B1 (ko) 완충기
JP2011116340A (ja) 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及びサスペンションアームの製作方法
KR20150082651A (ko) 차량용 축
CN108688430B (zh) 用于汽车悬架的稳定连杆
CN108778786B (zh) 车桥/悬架***
KR20110063173A (ko) 서스펜션 암
CN102959256A (zh) 用于制造球套接头的方法
KR20140135164A (ko) 차량용 서스펜션 암
MXPA02008543A (es) Eje de ruedas flexibles para un automovil, con dispositivo antibalanceo perfeccionado.
KR102339940B1 (ko) 차량용 현가암
JP2017067293A (ja) シャーシ軸受
KR20110063166A (ko) 서스펜션 암
KR20200079030A (ko) 차량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컨트롤 암 및 상기 컨트롤 암의 제조 방법
US20090020976A1 (en) Bushing having high axial spring rat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US9421844B2 (en) Torsion beam axle for a vehicle, and bearing arrangement for a torsion beam axle
KR101954640B1 (ko) 조인트 부시가 관통 결합된 스틸 플레이트 및 상기 스틸 플레이트를 덮는 복합재를 이용한 하이브리드 방식의 컨트롤 암 및 상기 컨트롤 암과 볼 조인트 간의 결합 구조
KR20220007857A (ko) 차량 섀시용 스태빌라이저, 이러한 스태빌라이저용 진자 지지부 및 이러한 스태빌라이저 또는 이러한 진자 지지부의 제조 방법
KR101974916B1 (ko) 차량 현가장치를 구성하는 컨트롤 암 및 상기 컨트롤 암의 제조 방법
CN114248591B (zh) 悬架及悬架的螺旋弹簧